KR20120008848U - 트위스트 및 스텝식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트위스트 및 스텝식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8848U
KR20120008848U KR2020110005386U KR20110005386U KR20120008848U KR 20120008848 U KR20120008848 U KR 20120008848U KR 2020110005386 U KR2020110005386 U KR 2020110005386U KR 20110005386 U KR20110005386 U KR 20110005386U KR 20120008848 U KR20120008848 U KR 2012000884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means
twist
scaffolding
exercise
foot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53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애
Original Assignee
이종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애 filed Critical 이종애
Priority to KR20201100053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8848U/ko
Publication of KR2012000884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884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multiple steps, i.e. more than one step per limb, e.g. steps mounted on endless loops, endless ladd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5Linearly-compressed elements

Abstract

허리의 트위스트 운동기능을 구비하여 몸의 전신운동효과를 달성하고, 양호한 운동목적을 달성하는 트위스트 및 스텝식 운동기구를 제공한다.
트위스트 및 스텝식 운동기구는, 받침대, 적어도 하나의 받침대, 한 세트 이상의 상부아암 및 하부아암, 발판세트, 연결브래킷 및 탄성유니트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발판세트 상에 발을 놓고, 상기 발판세트가 탄성수단을 누르고, 탄성유니트에 의해, 탄성수단에 의해 탄성회복력을 제공하고, 사용자는 상하로 스텝을 밟는 것 외에 상기 발판세트가 좌우로 회전한다.

Description

트위스트 및 스텝식 운동기구{Sports equipment of twist and step type}
본 고안은 트위스트 및 스텝식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사용자에게 상하 스텝과 좌우 트위스트의 운동효과를 함께 제공하므로, 전신운동으로써 건강을 증진할 수 있는, 트위스트 및 스텝식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건강기구는 건강증진의 목적에 따라서 상이한 기능의 구조설계가 시중에 많이 나와 있다. 상기 건강기구는 사용자의 요구에 부합하여 상이한 건강효과를 제공하며 수시로 편리하게 조작해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소비자에게 폭넓게 각광받고 있는 추세다.
이 중에서, 일반 가정에서 인기있는 건강기구로서 스텝식 운동기구가 있다. 상기 스텝식 운동기구는 경량으로 수납이 용이한 특성을 구비하고 있고, 사용도 쉬워서 가정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공지된 건강기구의 스텝식 구조의 설계는 유사보행의 운동방식에 의해서 그 구조가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조작 시에는 단지 스텝을 밟는 운동효과만 제공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사용자의 스텝에 의한 운동량은 확실하게 향상되지만, 그 외의 운동효과는 얻을 수 없으므로(사용자가 얻을 수 있는 것은 보행에 의한 운동량과 보행 시의 근육운동 뿐임), 상기 스텝식 운동기구를 사용하므로 전신운동 효과를 볼 수는 없었다.
본 고안자는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공지된 스텝식 구조의 기능이 단지 유사보행으로 인한 운동량을 증강시킬 뿐, 그 외의 근육운동의 효과를 볼 수 없는 것으로부터 본 고안자는 장기간 설계, 제조에 종사한 경험에서 각 방면을 신중하게 고려하여 본 구조를 제공하고, 공지된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은 간단하게 사용될 수 있는 구조로 사용자에게 상하 스텝 운동 효과를 제공하고, 또한 몸의 전체운동 효과를 가지는 트위스트 및 스텝식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본 고안의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또한 제조 코스트가 낮고, 산업경쟁력을 구비한다. 그리고, 탄성수단에 의해 중량이 아래로 내려갈 때, 충격력을 완화하고, 운동 중 발생하는 상해를 예방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한 트위스트 및 스텝식 운동기구는, 1개의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 상에 위치하는 적어도 1개의 고정대와, 일단은 상기 고정대 상에 축이음되고, 상대측 단은 발판세트에 연결되고, 상하로 배열하는 한 세트 이상의 상부아암 및 하부아암과, 상기 상부아암 및 하부아암의 일단에 설치하고, 2장의 회전발판을 설치하는 발판세트와, 지면과 평행한 평면부 및 축이음부를 구비하고, 상기 발판세트는 회전축 유니트로 상기 평면부 상에 설치하고, 축이음부에 의해 상기 상부아암 및 하부아암의 일단에 축이음하는 연결브래킷과, 발판세트와 연결브래킷의 사이에 설치하고, 상기 발판세트는 상기 회전축 유니트를 축심으로 하여, 상기 연결브래킷 상에서 회전하는 회전축 유니트와, 상기 발판세트와 연결하고, 상기 발판세트의 하방에 설치하고, 발판세트의 상하 동작을 제공하는 탄력으로서 사용하는 적어도 1개의 탄성유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축 유니트는, 적어도, 고정부품과, 연결브래킷의 평면부에 고정하는 회전축과, 발판세트의 하방으로 고정하고, 삽입공을 설치하여 상기 회전축을 삽입하는데 사용하고, 상기 고정부품은 상기 회전축을 설치하여 상기 연접관과 연결하는데 사용하는 연접관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공은 그 내벽과 회전축의 사이에 적어도 1개의 축커버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브래킷의 평면부에는 돌출표면의 위치한정돌기를 형성하고,상기 발판세트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받침대의 저부에는 위치한정대를 설치하고, 상기 위치한정대는 탄성수단을 그 위에 설치하여 상기 탄성수단을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판세트는 하방으로 상부완충고무를 설치하고, 상기 상부완충고무는 상기 탄성수단의 돌출부를 넣어서 설치하고, 상기 위치한정대 상에는 상기 탄성수단의 폴을 넣어서 설치하고, 상기 위치한정대 상의 상기 탄성수단에 대응하는 개소에는 하부완충고무를 설치하고, 상기 돌출부와 폴의 틈에 의해 상기 탄성수단의 탄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트위스트 및 스텝식 운동기구는, 허리의 트위스트 운동기능을 구비하여 몸의 전신운동효과를 달성하고, 양호한 운동목적을 달성한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트위스트 및 스텝식 운동기구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트위스트 및 스텝식 운동기구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구조지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회전축유니트를 도시한 구조지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트위스트 및 스텝식 운동기구의 상하 스텝 동작을 도시한 지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트위스트 및 스텝식 운동기구의 좌우 트위스트 동작을 도시한 지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회전발판의 회전각도를 제한한 것을 도시한 구조지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회전발판의 회전각도를 제한한 것을 도시한 구조지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탄성수단을 도시한 구조지시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과 작동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트위스트 및 스텝식 운동기구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트위스트 및 스텝식 운동기구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구조지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회전축유니트를 도시한 구조지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트위스트 및 스텝식 운동기구의 상하 스텝 동작을 도시한 지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트위스트 및 스텝식 운동기구의 좌우 트위스트 동작을 도시한 지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회전발판의 회전각도를 제한한 것을 도시한 구조지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회전발판의 회전각도를 제한한 것을 도시한 구조지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탄성수단을 도시한 구조지시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에 의한 트위스트 및 스텝식 운동기구(1)는 받침대((11), 적어도 한 개의 고정대(12), 1조 이상의 상부아암(131) 및 하부아암(132), 발판세트(15), 연결브래킷(18) 및 탄성수단(191)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대(12)는 상기 받침대(11) 상에 설치하고, 상기 상부아암(131), 하부아암(132)의 일단은 상기 고정대(12) 상에 축이음하고, 상대측 단은 상기 연결브래킷(18)에 축이음된다. 상기 발판세트(15)는 연결브래킷(18)에 의해 상부아암(131), 하부아암(132)의 일단에 설치되고, 상기 탄성수단(191)은 상기 발판세트(15)와 연결하여 발판세트(15)가 상하 작동하는 탄력을 제공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발판세트(15) 상에 올라서서, 상기 발판세트(15)가 탄성수단(191)을 누르면, 탄성수단(191)에 의해서 탄성회복력을 제공하여, 사용자는 상하로 스텝을 밟게 된다. 또, 상하스텝 외에 상기 발판 세트(15)는 좌우로 회전하고, 허리의 트위스트 운동기능도 구비하고, 몸의 전체적인 운동효과를 달성하여, 더욱 양호한 운동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이 가능하도록 하는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트위스트 및 스텝식 운동기구에 있어서,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것이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이고, 상기 트위스트 및 스텝식 운동기구(1)는 적어도 다음을 포함한다.
적어도 한 개의 고정대(12)는 한 개의 받침대(11) 상에 설치한다. 그리고, 상부아암(131), 하부아암(132)을 설치된다. 또한, 상부아암(131), 하부아암(132)은 일단이 상기 고정대(12) 상에 축이음되고, 상대측 단은 발판세트(15)에 연접하고, 상기 상부아암(131), 하부아암(132)은 상하로 배열한다.
상기 발판세트(15)는 상기 상부아암(132), 하부아암(132)의 일단에 설치하고, 상기 발판세트(15)는 2장의 회전발판(151)을 구비한다.
상기 연결브래킷(18)은 지면에 평행한 평면부(181) 및 축연결부(182)를 구성하고, 상기 발판세트(15)는 회전축 유니트(14)에 의해 상기 평면부(181) 상에 설치되고, 상기 축연결부(182)에 의하여 상기 상부아암(131), 하부아암(132)의 일단에 축이음한다.
회전축 유니트(14)는 발판세트(15)와 연결 브래킷(18)에 설치한다.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상기 회전축 유니트(14)는 적어도 고정부품(141), 회전축(142) 및 연접관(143)을 설치한다. 상기 회전축(142)은 연결브래킷(18)의 평면부(181)에 고정하고, 상기 연접관(143)은 발판세트(15)의 각 회전발판(151)의 하방에 고정하고, 상기 연접관(143)에는 삽입공(144)을 설치하여, 상기 회전축(142)을 끼워 맞추는 데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품(141, 나사도 가능함)은 상기 회전축(142)과 상기 연접관(143)을 연결하는데, 사용하고, 상기 발판세트(15)의 각 회전발판(151)은 상기 회전축 유니트(14)를 축심으로 하여 상기 연결 브래킷(18) 상에서 회전한다.
적어도 한 개의 탄성수단(191)은 스프링 또는 고무도 가능하다. 상기 탄성수단(191)은 상기 발판세트(15)와 연결하고, 발판세트(15)가 상하로 동작하기 위한 탄력으로서 제공된다. 그 중, 상기 탄성수단(191)은 발판세트(15) 하방으로 대응되어 설치되고, 상기 탄성수단(191)의 바깥쪽에는 보호덮개(192)를 설치하여 덮고, 상기 보호덮개(192)는 연결브래킷(18)에 고정한다.
따라서, 본 고안을 사용자가 사용할 때에는 양발로 각 회전발판(151) 위에 올라선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것처럼, 사용자는 상기 트위스트 및 스텝식 운동기구에 의해 상하로 스텝하는 운동효과뿐만 아니라, 상기 발판세트(15)의 각 회전발판(151)에 의해 좌우로 트위스트할 수 있고, 허리의 트위스트 운동기능을 가진다. 물론, 상기 트위스트 및 스텝식 운동기구는 도 9에서처럼, 인장끈(2)을 더 구성하는데, 상기 받침대(11)에 고정하여 사용자가 상기 트위스트 및 스텝식 운동기구(1)의 발 운동에 사용하고, 동시에 인장끈(2)에 의해 팔운동을 실시할 수도 있다.
또한, 연결브래킷(18)의 평면부(181)에는 돌출표면의 위치한정돌기(183)를 설치하고,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것처럼, 상기 발판세트(15)의 각 회전발판(151)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것에 사용한다.
그외, 도 2 및 도 8에 도시한 대로, 받침대(11)의 저부에는, 위치한정대(193)를 설치한다. 상기 위치한정대(193)는 탄성수단(191)을 그 위에 설치하고, 상기 탄성수단(191)을 이동시키지 않도록 한다. 상기 발판세트(15)의 각 회전발판(151) 하방으로는 상부완충고무(194)를 설치하고, 상기 탄성수단(191)은 상부완충고무(194)의 돌출부(195)에 설치하며, 상기 위치한정대(193) 상에는 상기 탄성수단(191)의 폴(196)을 설치한다. 상기 위치한정대(193) 상의 상기 탄성수단(191)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하완충고무(197)를 설치하고, 상기 돌출부(195)와 폴(196)의 거리에 의해, 상기 탄성수단(191)의 탄력을 제어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공지된 스텝식 운동기구가 유사보행의 운동효과만 제공하고, 운동량을 향상시키지 않는 것에 대해서 개선하고 있다. 본 고안의 트위스트 및 스텝식 운동기구는 사용자에게 스텝의 운동효과 및 좌우 회전의 트위스트 운동을 제공하고, 전신근육운동뿐만 아니라, 운동량을 높여서 사용자의 소모열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처럼, 본 고안은 트위스트 및 스텝식 운동기구를 제공하고, 상기 실시설명 및 도면에 도시한 것은, 본 고안의 양호한 실시예의 하나에 지나지 않고, 본 고안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고안의 구조, 장치, 특징 등에 근사, 동조하는 것은 모두 본 고안의 목적 및 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트위스트 및 스텝식 운동기구 11: 받침대
12: 고정대 131: 상부아암
132: 하부아암 14: 회전축 유니트
141: 고정부품 142: 회전축
143: 연접관 144: 삽입공
145: 축커버 15: 발판세트
151: 회전발판 18: 연결브래킷
181: 평면부 182: 축연결부
183: 위치한정돌기 191: 탄성수단
192: 보호덮개 193: 위치한정대
194: 상부완충고무 195: 돌출부
196: 폴 197: 하부완충고무
2: 인장끈

Claims (4)

1개의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 상에 위치하는 적어도 1개의 고정대와,
일단은 상기 고정대 상에 축이음되고, 상대측 단은 발판세트에 연결되고, 상하로 배열하는 한 세트 이상의 상부아암 및 하부아암과,
상기 상부아암 및 하부아암의 일단에 설치하고, 2장의 회전발판을 설치하는 발판세트와,
지면과 평행한 평면부 및 축이음부를 구비하고, 상기 발판세트는 회전축 유니트로 상기 평면부 상에 설치하고, 축이음부에 의해 상기 상부아암 및 하부아암의 일단에 축이음하는 연결브래킷과,
발판세트와 연결브래킷의 사이에 설치하고, 상기 발판세트는 상기 회전축 유니트를 축심으로 하여, 상기 연결브래킷 상에서 회전하는 회전축 유니트와,
상기 발판세트와 연결하고, 상기 발판세트의 하방에 설치하고, 발판세트의 상하 동작을 제공하는 탄력으로서 사용하는 적어도 1개의 탄성유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위스트 및 스텝식 운동기구.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 유니트는, 적어도,
고정부품과,
연결브래킷의 평면부에 고정하는 회전축과,
발판세트의 하방으로 고정하고, 삽입공을 설치하여 상기 회전축을 삽입하는데 사용하고, 상기 고정부품은 상기 회전축을 설치하여 상기 연접관과 연결하는데 사용하는 연접관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공은 그 내벽과 회전축의 사이에 적어도 1개의 축커버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위스트 및 스텝식 운동기구.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브래킷의 평면부에는 돌출표면의 위치한정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발판세트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받침대의 저부에는 위치한정대를 설치하고, 상기 위치한정대는 탄성수단을 그 위에 설치하여 상기 탄성수단을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위스트 및 스텝식 운동기구.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세트는 하방으로 상부완충고무를 설치하고,
상기 상부완충고무는 상기 탄성수단의 돌출부를 넣어서 설치하고,
상기 위치한정대 상에는 상기 탄성수단의 폴을 넣어서 설치하고,
상기 위치한정대 상의 상기 탄성수단에 대응하는 개소에는 하부완충고무를 설치하고, 상기 돌출부와 폴의 틈에 의해 상기 탄성수단의 탄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위스트 및 스텝식 운동기구.
KR2020110005386U 2011-06-16 2011-06-16 트위스트 및 스텝식 운동기구 KR2012000884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5386U KR20120008848U (ko) 2011-06-16 2011-06-16 트위스트 및 스텝식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5386U KR20120008848U (ko) 2011-06-16 2011-06-16 트위스트 및 스텝식 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8848U true KR20120008848U (ko) 2012-12-27

Family

ID=53683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5386U KR20120008848U (ko) 2011-06-16 2011-06-16 트위스트 및 스텝식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8848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7293B1 (ko) * 2013-04-15 2013-07-17 최병호 발목 및 다리 스트레칭 장치
KR20230046474A (ko) * 2021-09-30 2023-04-06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피보팅 메커니즘을 이용한 하지 제어능력 훈련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7293B1 (ko) * 2013-04-15 2013-07-17 최병호 발목 및 다리 스트레칭 장치
KR20230046474A (ko) * 2021-09-30 2023-04-06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피보팅 메커니즘을 이용한 하지 제어능력 훈련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60386U (ja) ツイスト、ステップ式運動器具
US11395950B2 (en) Adjustable double end bag
KR20120008848U (ko) 트위스트 및 스텝식 운동기구
KR100776573B1 (ko) 운동기구용 베어링
KR101382413B1 (ko) 무전원승마운동기
CN202219068U (zh) 阻尼限位装置及具有该装置的上肢牵引器
KR101596853B1 (ko) 회전식 허리 운동 기구
CN102302837B (zh) 阻尼限位装置及具有该装置的上肢牵引器
CN204380196U (zh) 硅胶仿人搏击训练器
KR200450761Y1 (ko) 체육시설 플로어 시공용 이중방진 높이조절장치
CN204048941U (zh) 一种具有可旋转补光灯的视频展台
CN210786108U (zh) 一种体育健身用户外健步机
CN205563053U (zh) 一种易安装的投影仪
CN209662582U (zh) 存储架
KR20140033835A (ko) 실내용 평행봉 거치 기구
KR200405273Y1 (ko) 다기능 운동기구
CN202113544U (zh) 用于健身器材的转动角度限位结构
KR101538235B1 (ko) 실외용 멀티 운동기구
KR101441110B1 (ko) 골프 스윙 연습장치
KR101549483B1 (ko) 야외 설치용 운동기구
CN204815536U (zh) 一种神经内科用腰部康复训练器
KR101346399B1 (ko) 철봉 시스템
CN216963507U (zh) 一种用于健身器材控制设备的防护装置
CN214232649U (zh) 一种电力施工用脚扣
CN209714179U (zh) 一种神经科用肢体力量训练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