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8784U - 접이식 수납함 - Google Patents
접이식 수납함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08784U KR20120008784U KR2020110005278U KR20110005278U KR20120008784U KR 20120008784 U KR20120008784 U KR 20120008784U KR 2020110005278 U KR2020110005278 U KR 2020110005278U KR 20110005278 U KR20110005278 U KR 20110005278U KR 20120008784 U KR20120008784 U KR 20120008784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in body
- frame
- storage box
- insertion part
- fixing memb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3/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enabling folding of the cabinet or the like
- A47B43/04—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enabling folding of the cabinet or the like made of a rigid frame with walls or door-leaves of textile or the like
Landscapes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접이식 수납함이 개시된다. 본 고안의 접이식 수납함은, 상면이 개구되고, 개구된 상면을 커버하기 위한 상부커버가 상면 일측에서 연장 형성되는 플랙시블한 재질의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의 형태를 유지하기 위한 상부 프레임 및 한 쌍의 측면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프레임; 및
상기 본체의 바닥에 내설되어 바닥이 처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바닥판으로 이루어진 접이식 수납함으로서,
상기 본체의 내측 상부 가장자리에는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는 상기 프레임을 상기 본체에 고정하기 위한 프레임 고정부재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본체의 하부 일측에는 상기 바닥판을 선택적으로 삽입하거나 빼내기 위한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의 주변에는 상기 삽입부를 개폐하기 위한 삽입부 개폐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의 형태를 유지하기 위한 상부 프레임 및 한 쌍의 측면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프레임; 및
상기 본체의 바닥에 내설되어 바닥이 처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바닥판으로 이루어진 접이식 수납함으로서,
상기 본체의 내측 상부 가장자리에는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는 상기 프레임을 상기 본체에 고정하기 위한 프레임 고정부재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본체의 하부 일측에는 상기 바닥판을 선택적으로 삽입하거나 빼내기 위한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의 주변에는 상기 삽입부를 개폐하기 위한 삽입부 개폐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접이식 수납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천으로 된 수납함이 형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프레임이 수납함 본체와 분리가능하게 구성되어 본체의 세탁 및 보관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본체의 하부에 바닥판을 배치함으로써 본체에 물건을 수납하였을 때 바닥이 처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접이식 수납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납함은 주변에 흩어져 있는 물품을 담아서 정리하고 그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사용자의 의도 없이 수납된 물건들이 다시 흩어지는 것을 방지해 준다.
이러한 수납함은 실생활에서 쓰이지 않는 곳이 없을 정도로 필수불가결한 것으로 사용도에 따라서 이삿짐을 옮기는 용도로 사용하거나, 다양한 물품을 보관하여 가정에서 물건을 정리할 경우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산업현장, 농업현장 등에서 생산물품 등을 수납할 경우에 사용하는 등 그 용도가 매우 다양하다.
이와 같은 수납함의 편리함과 다양한 활용도에 기인하여 종이재질, 목재, 플라스틱 재질 등 다양한 재질로 제작된 박스 형태가 실용화되어 있다.
상기 목재나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경우에 외형이 딱딱한 고체로 이루어지고 부피가 크기 때문에 수납함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수납함 자체를 별도로 보관할 때 점유공간을 많이 차지하여 공간의 효율적 활용이 어렵고, 특히 목재로 이루어진 조립식 수납함의 경우에는 나사나, 볼트/너트 등의 체결구를 분해하여 보관하고 추후 다시 조립하여 재사용할 수 있으나, 분해나 조립 작업이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휴대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수납함으로써, 천으로 이루어진 본체의 내부에 철사와 같은 프레임을 설치하여 천으로 된 본체가 형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접이식 수납함이 개시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한 접이식 수납함은 프레임과 천으로 된 수납함 본체가 고정되지 않아 수납함의 사용 중에 프레임이 본체와 분리되는 현상이 발생하였고, 본체의 바닥을 이루는 바닥판이 본체에 고정되어 있어서 본체로부터 분리되지 않음으로써 본체의 세탁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천으로 된 접이식 수납함의 바닥을 이루는 바닥판을 선택적으로 탈,장착할 수 있고, 프레임을 본체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접이식 수납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상면이 개구되고, 개구된 상면을 커버하기 위한 상부커버가 상면 일측에서 연장 형성되는 플랙시블한 재질의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의 형태를 유지하기 위한 상부 프레임 및 한 쌍의 측면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프레임; 및
상기 본체의 바닥에 내설되어 바닥이 처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바닥판으로 이루어진 접이식 수납함으로서,
상기 본체의 내측 상부 가장자리에는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는 상기 프레임을 상기 본체에 고정하기 위한 프레임 고정부재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본체의 하부 일측에는 상기 바닥판을 선택적으로 삽입하거나 빼내기 위한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의 주변에는 상기 삽입부를 개폐하기 위한 삽입부 개폐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수납함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프레임 고정부재는,
일단이 상기 본체에 고정되고,
타단은 벨크로테잎, 단추 또는 고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결합수단에 의해 상기 수평 프레임의 수평단을 감싸면서 상기 본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 개폐부재는,
일단이 상기 본체에 고정되고,
타단은 벨크로테잎, 단추 또는 고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결합수단에 의해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삽입부를 개폐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측면 프레임의 각 양단부가 상기 상부 프레임의 해당영역을 감싸면서 절곡되어 회전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각 측면 프레임은 상기 회전 결합부를 중심으로 상기 상부 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본체의 내측 하부에는,
상기 측면 프레임의 수평바를 상기 본체의 내측 하부에 고정하기 위한 수평바 고정부재가 구비될 수 있고, 이 수평바 고정부재는 일단이 상기 본체에 고정되고, 타단은 벨크로테잎, 단추 또는 고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결합수단에 의해 상기 수평바를 감싸면서 상기 본체에 결합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본체의 내측 상부 가장자리에 프레임을 본체에 고정하기 위한 프레임 고정부재가 각각 구비되고, 본체의 하부 일측에는 바닥판을 선택적으로 삽입하거나 빼내기 위한 삽입부가 형성되며, 삽입부의 주변에는 삽입부를 개폐하기 위한 삽입부 개폐부재가 구비됨으로써, 프레임이 본체와 일체화되어 본체의 형태가 용이하게 유지될 수 있고, 바닥판을 선택적으로 빼낼 수 있음으로써 본체의 세탁이나 보관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수납함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접이식 수납함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a,3b는 도 2의 A-A'선, B-B'선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접이식 수납함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a,3b는 도 2의 A-A'선, B-B'선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수납함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접이식 수납함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a,3b는 도 2의 A-A'선, B-B'선 단면도이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수납함(10)은 상면이 개구되고, 개구된 상면을 커버하기 위한 상부커버(14)가 상면 일측에서 연장 형성되는 플랙시블한 재질의 본체(12)와, 본체(10) 내부에 설치되어 본체(12)의 형태를 유지하기 위한 상부 프레임(32) 및 한 쌍의 측면 프레임(34)으로 이루어진 프레임(30)과, 본체(10)의 바닥에 내설되어 바닥이 처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바닥판(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체(12)의 내측 상부 가장자리에는 본체(12) 내부에 설치되는 프레임(30) 중에서 상부 프레임(32)의 수평단(32A)을 본체(12)에 고정하기 위한 프레임 고정부재(15)가 각각 구비되고, 본체(10)의 하부 일측에는 바닥판(20)을 선택적으로 삽입하거나 빼내기 위한 삽입부(16)가 형성된다. 이 삽입부(16)의 주변에는 삽입부(16)를 개폐하기 위한 삽입부 개폐부재(16A)가 구비된다.
한편, 본체(12)의 내측 하부에는, 측면 프레임(34)의 수평바(34A)를 본체(12)의 내측 하부에 고정하기 위한 수평바 고정부재(34B)가 구비된다.
프레임(30)은 각 측면 프레임(34)의 양단부가 상부 프레임(32)의 해당영역(양 측면 수평부)을 감싸면서 절곡되어 회전 결합부(34C)가 형성되고, 각 측면 프레임(34)은 회전 결합부(34C)를 중심으로 상부 프레임(3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수납함(10)의 핵심적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프레임 고정부재(15)는 본체(12) 내부에 설치되는 프레임(30) 중에서 수평 프레임(32)의 수평단(32A)를 본체(12)에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본체(12)에 재봉질 또는 리벳 등에 의해 고정되고, 타단은 벨크로테잎이나, 단추 또는 고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결합수단에 의해 수평 프레임(32)의 수평단(32A)을 감싸면서 본체(12)에 결합 된다. 이러한 프레임 고정부재(15)는 직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수평바 고정부재(34B)는 측면 프레임(34)의 하부를 이루는 수평바(34A)를 본체(12)에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일단이 본체(12)에 재봉질이나 리벳 등에 의해 고정되고, 타단은 벨크로테잎, 단추 또는 고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결합수단에 의해 측면 프레임(34)의 수평바(34A)를 감싸면서 본체(12)에 결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프레임 고정부재(15)나 수평바 고정부재(34B)는 도 1 내지 도 3a,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방형으로 길게 형성되어 하나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짧은 형태로 형성되어 다수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삽입부(16)는 바닥판(20)을 선택적으로 본체(12)에 결합하거나 본체(12)로부터 분리하도록 본체(12)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바닥판(20)이 외측으로 빠질 수 있도록 본체(12)의 하부 일측에 형성된다. 그리고, 이 삽입부(16)의 주변에는 삽입부(16)를 개폐하기 위한 삽입부 개폐부재(16A)가 구비된다. 삽입부 개폐부재(16A)는 직물 등으로 구성되어 일단이 본체(12)에 재봉질이나 리벳 등에 의해 고정되고, 타단은 벨크로테잎, 단추 또는 고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결합수단에 의해 본체(12)에 결합되어 삽입부(16)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것이다.
한편, 상부 프레임(32) 양측의 수평단(32A)에는 측면 프레임(34)의 각 양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이 측면 프레임(34)의 양단부는 수평단(32A)을 감싸면서 회전 결합부(34C)가 형성된다. 따라서, 측면 프레임(34)은 회전 결합부(34C)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상부 프레임(32)에 결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수납함(10)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직물재로 된 본체(12)가 일정한 형태,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박스 형태를 이루기 위해서는, 본체(12)의 삽입부(16)를 통하여 바닥판(20)을 끼워 결합하고, 본체(12)의 내부에 프레임(30)을 삽입한다. 이때, 바닥판(20)은 프레임(30)이 설치된 후에 삽입될 수도 있고, 프레임(30)이 설치되기 전에 삽입될 수도 있다.
프레임(30)을 설치하는 과정을 보면, 양측에 측면 프레임(34)이 결합된 상부 프레임(32)을 본체(12)의 내부로 삽입한 후, 양측 측면 프레임(34)을 펼쳐서 각 측면 프레임(34)의 수평바(34B)가 본체(12)의 바닥을 지지하도록 한다. 즉, 각 측면 프레임(34)을 상부 프레임(32)에 대해서 직각을 유지하도록 세워서 본체(12)가 상,하부 방향으로 펼쳐지도록 한다. 이때, 각 측면 프레임(34)의 각 양단부는 회전 결합부(34C)에 의해 회동하여 펼쳐진다. 이와 같은 측면 프레임(34)과 상부 프레임(32)의 결합구조는 측면 프레임(34)의 양단부가 직접 상부 프레임(32)에 회전 결합부(34C)를 형성하면서 결합되므로 측면 프레임(34)을 상부 프레임(32)에 회동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부품이 불필요하게 된다.
이 과정으로 수평 프레임(32)이 본체(12)의 상부 가장자리에 위치하고, 각 측면 프레임(34)이 바닥에 지지되므로 본체(12)는 사각박스 형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어서, 삽입부(16)가 폐쇄되도록 삽입부 개폐부재(16A)의 타단을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본체(12)에 결합한다. 이때, 결합수단은 벨크로테잎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벨크로테잎이 사용이 편리하기 때문이다.
바닥판(20)이 삽입부(16)로 삽입된 후 삽입부 개폐부재(16A)를 이용하여 삽입부(16)를 폐쇄하게 되므로 바닥판(20)이 이탈되지 않게 된다.
이어서, 본체(12)의 내측 상부에 구비된 각각의 프레임 고정부재(15)를 이용하여 상부 프레임(32)의 수평단(32A)을 본체(12)에 고정한다. 즉, 일단이 본체(12)에 고정된 프레임 고정부재(15)으로 각 수평단(32A)을 감싼 후 타단을 본체(12)에 결합시킨다. 이때, 프레임 고정부재(15)의 타단은 벨크로테잎 등과 같은 결합수단에 의해 본체(12)에 결합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프레임 고정부재(15)의 타단 일면과 본체(12)의 일부분에 서로 붙는 구조의 벨크로테잎을 각각 재봉질 등으로 결합시킨 후, 프레임 고정부재(15) 타단 측의 벨크로테잎을 본체(12) 측의 벨크로테잎에 붙임으로써 프레임 고정부재(15)의 타단은 본체(12)에 고정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으로 상부 프레임(32)이 프레임 고정부재(15)에 의해 본체(12)의 내측 상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본체(12)의 내측 하부에 구비된 수평바 고정부재(34B)를 이용하여 측면 프레임(34)의 수평바(34A)를 본체(12)의 하부에 고정한다. 이 과정은 프레임 고정부재(15)의 작용과 동일하다.
이와 같은 과정으로 상부 프레임(32)과 각 측면 프레임(34)은 프레임 고정부재(15) 및 측면 프레임(34)은 펼쳐진 상태에서 본체(12)의 내부에 고정되어 본체(12)와 일체화된다. 따라서, 본체(12)는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여 사각박스 형상을 갖게 되는 것이며, 각각의 프레임(30)이 각 고정부재(15,34B)에 의해 본체(12)에 고정되므로 프레임(30)이 임의로 본체(12)와 분리되는 현상이 방지되어 항상 일정한 형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체(12)로부터 프레임(30)을 제거하고 바닥판(20)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수평바 고정부재(34C)의 타단을 본체(12)로부터 분리하여 수평바(34A)의 구속을 해제한다. 이어서, 프레임 고정부재(1%)의 타단을 본체(12)로부터 분리하여 수평단(32A)의 구속을 해제하여 프레임(30)을 본체(12)로부터 분리한다. 그리고, 삽입부 개폐부재(16A)를 개방하여 삽입부(16)로부터 바닥판(20)을 빼낸다.
이러한 과정에 의해, 프레임(30)과 바닥판(20)은 본체(12)에서 분리되며, 따라서 본체(12)을 접을 수 있다.
또한, 본체(12)에서 바닥판(20)이 분리되므로 직물재로 된 본체(12)를 용이하게 세탁할 수 있게 됨은 물론, 다중으로 접을 수 있음으로써 보관이 용이하게 된다.
앞에서, 본 고안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수납함 12 : 본체
14 : 상부커버 15 : 프레임 고정부재
16 : 삽입부 16A : 삽입부 개폐부재
20 : 바닥판 30 : 프레임
32 : 상부 프레임 32A : 수평단
34 : 측면 프레임 34A : 수평바
34B : 수평바 고정부재 34C : 회전 결합부
14 : 상부커버 15 : 프레임 고정부재
16 : 삽입부 16A : 삽입부 개폐부재
20 : 바닥판 30 : 프레임
32 : 상부 프레임 32A : 수평단
34 : 측면 프레임 34A : 수평바
34B : 수평바 고정부재 34C : 회전 결합부
Claims (6)
- 상면이 개구되고, 개구된 상면을 커버하기 위한 상부커버가 상면 일측에서 연장 형성되는 플랙시블한 재질의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의 형태를 유지하기 위한 상부 프레임 및 한 쌍의 측면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프레임; 및
상기 본체의 바닥에 내설되어 바닥이 처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바닥판으로 이루어진 접이식 수납함으로서,
상기 본체의 내측 상부 가장자리에는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는 상기 프레임을 상기 본체에 고정하기 위한 프레임 고정부재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본체의 하부 일측에는 상기 바닥판을 선택적으로 삽입하거나 빼내기 위한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의 주변에는 상기 삽입부를 개폐하기 위한 삽입부 개폐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수납함.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고정부재는,
일단이 상기 본체에 고정되고,
타단은 벨크로테잎, 단추 또는 고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결합수단에 의해 상기 수평 프레임의 수평단을 감싸면서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수납함.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 개폐부재는,
일단이 상기 본체에 고정되고,
타단은 벨크로테잎, 단추 또는 고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결합수단에 의해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삽입부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수납함.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프레임의 각 양단부가 상기 상부 프레임의 해당영역을 감싸면서 절곡되어 회전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각 측면 프레임은 상기 회전 결합부를 중심으로 상기 상부 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수납함.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측 하부에는,
상기 측면 프레임의 하부를 이루는 수평바를 상기 본체의 내측 하부에 고정하기 위한 수평바 고정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수납함.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바 고정부재는,
일단이 상기 본체에 고정되고,
타단은 벨크로테잎, 단추 또는 고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결합수단에 의해 상기 수평바를 감싸면서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수납함.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10005278U KR20120008784U (ko) | 2011-06-14 | 2011-06-14 | 접이식 수납함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10005278U KR20120008784U (ko) | 2011-06-14 | 2011-06-14 | 접이식 수납함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08784U true KR20120008784U (ko) | 2012-12-24 |
Family
ID=53683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10005278U KR20120008784U (ko) | 2011-06-14 | 2011-06-14 | 접이식 수납함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20008784U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903333A (zh) * | 2022-05-31 | 2022-08-16 | 珠海宜心家居有限公司 | 弹簧式收折结构及折叠收纳装置 |
-
2011
- 2011-06-14 KR KR2020110005278U patent/KR20120008784U/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903333A (zh) * | 2022-05-31 | 2022-08-16 | 珠海宜心家居有限公司 | 弹簧式收折结构及折叠收纳装置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456580B2 (en) | Foldable bag frame and pet bag using same | |
US20100017959A1 (en) | Knockdown furniture for infant | |
JP6095784B2 (ja) | マットレスカバー組立体及び方法 | |
US20100155397A1 (en) | Collapsible structures with liners | |
KR101245161B1 (ko) | 절첩 가능한 여행용 가방 | |
KR20120008784U (ko) | 접이식 수납함 | |
US20140224288A1 (en) | Bed Tent | |
CN103299011B (zh) | 特别是帐篷或遮蔽物类的包括由联接器件相互连接的两个柔性片材的容具及对应联接器件 | |
KR200473733Y1 (ko) | 분리형 애완견집 | |
KR200489715Y1 (ko) | 텐트용 가방 겸용 포장커버 | |
JP4908647B1 (ja) | バッグ及び蛇腹構造 | |
JP3115654U (ja) | 組み立て式ペット用品 | |
KR200317335Y1 (ko) | 바닥천의 탈착이 가능토록 된 원터치 텐트 | |
KR200480065Y1 (ko) | 수납 가변식 캠핑용 가방 | |
RU158031U1 (ru) | Конструкция палатки с каркасом по типу зонта | |
KR102440342B1 (ko) | 접이식 상자 | |
JP3166093U (ja) | 支持板を備える折りたたみ可能な収納箱 | |
JP2008229142A (ja) | 袋 | |
KR101005609B1 (ko) | 접이식 박스 | |
JP5497943B1 (ja) | 突縁付給湯袋と布形状部材付立設板 | |
JP6116742B1 (ja) | ポータブル多機能槽 | |
TWM520840U (zh) | 行李箱加大空間隔網片改良 | |
JP3549269B2 (ja) | 陰干し器 | |
JP5711627B2 (ja) | テント | |
CN108930123A (zh) | 衣物处理机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