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8215U - 일인용 소파식 침대 - Google Patents

일인용 소파식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8215U
KR20120008215U KR2020110004423U KR20110004423U KR20120008215U KR 20120008215 U KR20120008215 U KR 20120008215U KR 2020110004423 U KR2020110004423 U KR 2020110004423U KR 20110004423 U KR20110004423 U KR 20110004423U KR 20120008215 U KR20120008215 U KR 2012000821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fa
bed
plate
upper plate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44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자
Original Assignee
이명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명자 filed Critical 이명자
Priority to KR20201100044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8215U/ko
Publication of KR2012000821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821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04Seating furniture, e.g. sofas, couches, settees, or the like, with movable parts changeable to beds; Chair be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소파로의 변형이 가능한 침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원룸과 같이 극히 제한적인 공간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일인용 침대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소파침대들은 그 구조가 다양한 기구를 사용하거나 사이즈가 큰 것에 치중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소파로의 변형이 가능하였다. 본 고안은 매트와 프레임을 각각 두개로 분리하고, 각 매트이 높낮이는 다르게 구비되어 소파로의 변형시에는 하나는 등받침대로 다른 하나는 바닥부로 사용하며, 두 개의 프레임역할을 하는 상하판은 단순한 결합구조를 사용하여 침대프레임과 소파프레임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하판의 이동은 오목과 볼록부의 결합을 통한 가이드를 통해 이루어지며, 이러한 단순한 구조를 사용한 소파침대는 사용자 일인이 제한된 공간에서 극히 효율적으로 침대기능과 소파기능을 동시에 할 수 있는 편리함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일인용 소파식 침대{Convertable bed into sofa for one person}
본 고안은 일인이 사용하는 침대에 관한 것으로, 원룸과 같은 극히 제한된 공간에서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절약하기 위하여 일인이 낮에는 소파로 사용하고 밤에는 침대로 사용하는 의자에 가까운 소파로의 변형이 가능한 침대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 나와있는 전통적인 소파식 침대는 그 구조가 매우 다양하게 나와있다. 넓지 않은 공간에서 사용하기 위한 소파겸용 침대는 대부분 골격구조에 변화를 주어 기구적으로 접거나, 프레임 기구의 구조변화를 통하여 그 사이즈를 변화시키고 소파형태로 변형함으로써 별도 구비된 시트를 사용하여 침대로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간이 소파로 사용하게 된다. 시중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구조는 단순히 철로 만들어진 골격프레임을 접고 펴는 구조가 사용되며, 등받이 부분을 눕혀 침대로 사용하고 등받이 부분을 올리면 소파가 되는 단순구조가 많이 사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단순조작도 그 내부를 들여다보면 복잡한 기구구조로 되어 있어, 각 프레임을 잡아주는 여러 부재들이 사용됨을 알 수 있다.
등록특허 10-0298083은 상기와 같은 구조의 변형으로 하부시트를 들어올려 상부시트의 앞쪽으로 수평되게 이동시키거나, 반대되는 조작에 의하여 하부시트를 상부시트의 하부에 포개지게 함으로써 침대와 소파로의 변형이 가능하게 하였으나 그 기계적인 기구구조가 그리 간단하지 않은 단점이 여전히 존재한다. 침대 프레임의 변형구조를 사용하는 등록특허 10-0204162는 본 고안이 지향하는 다단 매트리스를 정리가 잘되도록 프레임구조가 침대와 소파로 변형이 잘 이루어지나 프레임 제작이 복잡한 단점이 있다. 매트리스 지지판을 들어올리고 그 하단에 소파를 설치하는 등록특허 10-0400654 기술은 다수가 사용하는 데에는 가능하나 일인용으로는 적합하지 않으며, 프레임 자체가 분리가능한 등록특허 10-0407524 기술은 사용자의 편리함보다는 운반의 편리함에 중점을 두어 일인용 소파침대에는 적합한 기술이 아님을 알 수 있다.
이 밖에 프레임을 복수구조로 만들어 전개시키는 20-0145825, 20-0145926 호와 이러한 부재 프레임의 전개를 별도의 구동장치를 사용하여 전개시키는 공개특허 2006-0027005 등의 다양한 기술이 존재하지만, 지극히 간단한 일인 만을 위한 소파침대로서는 여전히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고, 그 제작 단가가 상대적으로 비싼 단점이 존재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 일인이 극히 제한된 공간에서 사용할 수 있는 단순한 구조의 소파침대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침대로의 사용시에는 단지 한 사람이 누울 수 있는 최소한의 공간을 창출하며, 접었을 때에는 일인용 소파의 기능을 수행하여 아주 좁은 공간에서 소파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하고, 소파라기 보다는 일인용 의자에 가까운 기능을 수행하는 소파침대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다른 목적의 별도의 복잡한 기구를 사용하지 않고 이동체와 고정체 사이의 단순한 결합체를 사용하여 그 제작이 간단한 침대와 소파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소파침대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침대의 매트를 받쳐 올려 프레임구조 역할 을 하기 위한 상판과 하판, 상기 상판에 구비되어 소파로 사용할 때 상기 상판이 하판과 겹쳐지며 움직이기 위한 상판볼록부, 상기 하판에 설치되며 상기 상판볼록부가 일정 궤도를 움직이도록 설치된 상판가이드, 상기 상판과 하판에 각각 올려지며 각 판에 높이 다르게 설치되는 상판매트와 하판매트, 상기 각 상하매트가 움직이지 않도록 상기 각 상하판에 구비되는 상하판 매트스트퍼, 그리고 상기의 상하판이 소파상태로 결합될 때에 상기 상판볼록부와 고정되도록 구비되는 상판스토퍼와 스토퍼홈으로 구성되며, 소파로의 변형시에는 상기 하판매트가 등받이 매트의 역할을 하고 상기 상판매트는 바닥매트의 역할을 하게된다.
이 밖에 추가로, 본 고안에 따른 소파침대는 일인원 원룸에 설치되므로 대부분 방바닥에 앉아서 생활하는 사용자에게는 통상의 의자와 같이 별도의 다리가 필요없으나, 컴퓨터 의자와 같이 전용하기 위해서는 상기 상판과 하판에 별도의 지지용 다리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용 다리는 그 디자인에 따라 실제 의자와 같은 효과를 낼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판과 하판에 상기 각각의 매트가 움직이지 않게 매트스토퍼는 다양한 디자인으로 설계되어 상기 지지다리와 연계하여 실제 소파디자인과 같게 만들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실시예에 의하여 사용자는 간단한 조작에 의하여 지극히 제한된 공간에서 일인이 밤에는 침대로 사용하고 낮에는 일인용 의자에 가까운 소파롤 사용할 수 있는 일인 전용 소파침대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생산자는 저렴하면서 간단한 구조로 제작이 가능하다. 따라서, 원룸과 같은 공간에서 생활하는 사람에게는 전체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 따른 침대상태의 사시도로 그 개형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상판과 하판의 평면도와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침대의 소파상태로 변형된 개형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을 바탕으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침대 상태의 사시도로 그 개형을 도시한 것이다. 기본 구성요소를 살펴보면, 침대를 구성하는 두 개의 밑판, 즉 상판(1)과 하판(2)이 기본을 이루고 그 위에 두께가 다른 상판매트(3)와 하판매트(4)가 상기 상판(1)과 하판(2)에 얹혀져 침대구조를 이루고 있다. 본 도면에서는 상기 상판매트(3)가 하판매트(4)에 비하여 얇게 구성된 실시예를 보여준다. 도면 상의 상판받침대(7)와 하판받침대(8)는 필요에 따라 탈부착될 수 있으며, 한국과 같이 방 바닥에서 주로 생활하는 경우에는 생략할 수 있고, 구조 변형 후에 의자와 같이 사용하려면 각각의 받침대를 각 판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판매트스토퍼(5)와 하판매트스토퍼(6)는 각 매트(3,4)가 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것으로 디자인상 상기 각 받침대(7,8)와 결합하여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하판매트스토퍼(6)는 후술하는 도 3의 소파로 변형시 등받이 매트 지지대로 사용할 수 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그 크기를 적절히 키워 등받이 매트가 뒤로 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고, 하판매트(4) 자체의 탄력서에 의하여 별도의 도움없이 하판매트(4) 단독으로 등받이 역할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상판매트(3)는 소파사용 시에 바닥부재인 방석으로 사용되고, 상기 상판(1)은 상기 하판(2)으로 이동하여 겹쳐짐으로써 일인용 소파로 변형되어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상기 하판(2)의 평면도와 상하판의 단면도 그리고 상기 상판(1)을 밑에서 올려다 바라본 평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하판(2)에 상판(1)의 이동시 가이드 역할을 하는 다수의 홈 구조인 상판가이드(22)가 설치된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상판(1)이 이동할 때 상기 상판의 이동이 상판(1)에 구비된 상판볼록부(21)와 결합하여 움직이는 오목한 계곡구조의 상판가이드(22) 역할을 하게 된다. 이것은 오목볼록부로 구성된 레일과 유사한 구조이다. 보조적으로 상기 상판(1)의 이동을 쉽게 하기 위하여 상기 상판(1)의 상판볼록부(21) 하단에 롤러(23)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상판(1)은 상기 하판(2)에 설치된 상판가이드(22)를 따라 쉽게 이동이 가능하게 되어 소파로의 변형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하판(2)에 구비된 상판스토퍼(24)는 상기 상판가이드(22) 내에 설치되어 상기 상판(1)이 소파로 변형될 때에 더 이상 전진하게 못하도록 하여주며, 상기 하판(2)의 우측에 구비된 또 다른 상판스토퍼(24')는 침대로의 변형시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상판(1)이 멈추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스토퍼는 상기 상판가이드(22) 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하판(2)의 다른 어느 부분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도 3은 상기 상판(1)이 상기 하판(2) 방향으로 완전히 이동하고, 상기 하판매트(4)가 수직으로 세워져 있는 소파형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따라서, 상기 하판매트(4)는 사용자의 소파 등받이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하판매트스토퍼(6)는 그 높이에 따라 벽에 붙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낮은 높이를 사용하도록 하며, 별도로 의자와 같이 본 실시예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등받이를 지지해야 하므로 적절히 높아야 한다. 그러나, 적정한 매트탄성에 의해 별도의 높이조절이 필요하지 않도록 제작이 가능하다. 도 2의 상판스토퍼(24)는 상기 하판매트(4)가 수직으로 조립될 때에 움직이지 않도록 잡아주어야 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그 상하판이 소파형태로 결합되었을 때에, 상기 상판(1) 말단부와 상기 하판매트스토퍼(6) 사이의 간격이 상기 하판매트(4)의 두께와 비슷하도록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파로의 변형시에 상기 상판볼록부(21)는 상기 상판가이드(22)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스토퍼홈(25)에 결합되어 사용자가 소파에 앉았을 때에 상기 상판(1)이 이동하지 않게 결합된다. 이러한 결합은 본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다른 실시예에 의하여 반드시 상기 상판가이드(22)를 통하여 이루질 필요는 없으며, 상기 하단의 중앙부등 다른 부위에 별도로 설치하여 상기 상판(1)과 하판(2)이 결합될 수 있다.
1 : 상판 2 : 하판
3 : 상판매트 4 : 하판매트
5 : 상판매트스토퍼 6 : 하판매트스토퍼
7 : 상판받침대 8 : 하판받침대
21 : 상판볼록부 22 : 상판가이드
23 : 롤러 24,24' : 상판스토퍼
25 : 스토퍼홈

Claims (2)

  1. 소파로의 변형이 가능한 침대에 있어서, 상기 침대는
    각각 그 두께가 다른 두 개의 상하매트(3,4)와; 상기 두 개의 매트를 받치는 상판과 하판(1,2); 상기 두개의 매트(3,4)가 미끄러지지 않게 상기의 상판과 하판에 각각 구비되는 매트스토퍼(5,6); 그리고 상판과 하판을 지지하는 받침대(7,8)로 구성되며,
    상기 상판은 상판볼록부(21)를 구비하고 상기 하판은 오목한 모양의 상판가이드(22)를 구비하여 각 상하판이 결합되어 움직이도록 하고, 상기 하판에는 상판스토퍼(24,24')와 스토퍼홈(25)을 더 구비하여 상기 상판이 소파로 변형될 때 상기 상판볼록부(21)가 상기 상판스토퍼와 스토퍼홈에 결합되어 상하판이 겹치고, 상기 하판매트(4)가 두 개의 상하판 사이에 고정되어 등받이 역할을 하고, 상판매트(3)는 소파 바닥재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침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볼록부(21)의 밑단에 롤러(23)를 더 구비하여 사용자가 상기 상판(1)을 이동하여 소파로의 변형 시에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침대.


KR2020110004423U 2011-05-22 2011-05-22 일인용 소파식 침대 KR2012000821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4423U KR20120008215U (ko) 2011-05-22 2011-05-22 일인용 소파식 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4423U KR20120008215U (ko) 2011-05-22 2011-05-22 일인용 소파식 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8215U true KR20120008215U (ko) 2012-11-30

Family

ID=47517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4423U KR20120008215U (ko) 2011-05-22 2011-05-22 일인용 소파식 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8215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0864U (ko) * 2015-08-28 2017-03-08 임승민 분리 조합형 침대 겸용 소파세트
CN114532788A (zh) * 2022-02-25 2022-05-27 浙江高裕家居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全海绵可压缩沙发的半组合结构及组合结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0864U (ko) * 2015-08-28 2017-03-08 임승민 분리 조합형 침대 겸용 소파세트
CN114532788A (zh) * 2022-02-25 2022-05-27 浙江高裕家居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全海绵可压缩沙发的半组合结构及组合结构
CN114532788B (zh) * 2022-02-25 2023-09-22 浙江高裕家居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全海绵可压缩沙发的半组合结构及组合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49942B2 (en) Movable bed
US8091159B2 (en) Mechanism and mattress for sofabed
US20110023230A1 (en) Convertible furniture unit
JP5823816B2 (ja) 腰掛の起立補助装置
CN105578929A (zh) 床-沙发转换框架
KR20120008215U (ko) 일인용 소파식 침대
CN102984972A (zh) 床-沙发转换框架
CN106108484A (zh) 一种推拉折叠式上下床
RU2681100C1 (ru) Диван с трансформируемым мебельным каркасом
KR101953996B1 (ko) 소파 겸용 침대
RU141962U1 (ru) Трансформируемая мебель с промежуточным положением для отдыха
KR101560494B1 (ko) 접이식 의자 시트의 굴곡방지장치
RU165009U1 (ru) Двусторонний диван-кровать
KR20080095824A (ko) 접이식 의자 및 배치 시스템
CN105433643A (zh) 智能电动沙发床
KR20160139659A (ko) 서랍장에 의한 지지면적 확장구조를 갖는 침대 프레임
TWI589252B (zh) 躺椅裝置
JP6494102B2 (ja) 椅子
RU187753U1 (ru) Модуль предмета мягкой мебели со съемной панелью
RU2681097C1 (ru) Трансформируемый мебельный каркас
RU209050U1 (ru) Устройство трансформации дивана
KR101135439B1 (ko) 캠핑카용 변형가구
KR102416815B1 (ko) 이동식 테이블이 결합된 다인용 의자
US3550168A (en) Folding bed
JP5530710B2 (ja) テーブ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