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8178U - 성분이 다른 분리형 재료의 혼합 사용 용기 - Google Patents

성분이 다른 분리형 재료의 혼합 사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8178U
KR20120008178U KR2020110004395U KR20110004395U KR20120008178U KR 20120008178 U KR20120008178 U KR 20120008178U KR 2020110004395 U KR2020110004395 U KR 2020110004395U KR 20110004395 U KR20110004395 U KR 20110004395U KR 20120008178 U KR20120008178 U KR 2012000817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ntents
diaphragm
stirring frame
diffe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43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7354Y1 (ko
Inventor
송정훈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20201100043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7354Y1/ko
Publication of KR2012000817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817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73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735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01F27/09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f the stirrers with respect to the recepta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16Rigid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the other
    • B65D81/3222Rigid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the other with additional means facilitating admixtur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8Means for mixing different substances prior to appl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성분이 다른 내용물의 격막 절취 구조가 직선 이동하는 비교적 간단한 구성인 동시에, 격막 절취 후 용기의 일부를 형성하는 회전형 교반틀 및 그 교반날개를 이용해 용기의 사방 내면에 인접한 내용물까지 모두 고르게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성분이 다른 분리형 재료의 혼합 사용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 따른 성분이 다른 분리형 재료의 혼합 사용 용기는, 일면이 개방된 중공(中空)형이고, 수용된 내용물의 배출구가 형성되는 외부용기와, 상기 외부용기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개방형 원통 구조이고, 내부 공간을 외부와 차단하는 격막이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격막을 기준으로 내측에 복수의 교반날개가 형성되는 내부교반틀과, 상기 내부교반틀의 일측에 삽입되어 상기 격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내측 선단에 상기 격막의 절취를 위한 절취부가 형성되는 이종(異種) 내용물 용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성분이 다른 분리형 재료의 혼합 사용 용기{Packing container capable mixed using two contents having a different ingredient}
본 고안은 성분이 다른 분리형 재료의 혼합 사용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성분이 다른 내용물의 격막 절취 구조가 직선 이동하는 비교적 간단한 구성인 동시에, 격막 절취 후 용기의 일부를 형성하는 회전형 교반틀 및 그 교반날개를 이용해 용기의 사방 내면에 인접한 내용물까지 모두 고르게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성분이 다른 분리형 재료의 혼합 사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동일 계열의 의약품이나 화장품 중 서로 다른 성분의 내용물을 혼합 시 새로운 특성의 화장 또는 약품 기능을 얻게 되는 종류들이 있다.
상기와 같이 혼합 사용시 새로운 특성을 지니게 되는 의약품이나 화장품의 혼합 사용 방법은 통상 서로 다른 용기에 서로 다른 성분의 내용물을 각각 담아 보관 후 사용시 별도의 용기에 서로 다른 내용물을 적정 비율로 부어 혼합 사용하게 된다. 여기서, 서로 다른 성분의 내용물을 서로 다른 용기에 각각 보관하는 이유는 서로 다른 내용물을 혼합한 상태에서 일정 기간(통상 7일 전후) 경과시, 두 내용물의 독립적 화학변화 및 상호 간 화학작용에 의해 변질 우려가 있고, 그에 따른 기능 저하가 초래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서로 다른 용기에 각각 보관된 서로 다른 내용물을 별도의 용기에 옮겨 담아 혼합하는데 따른 번거로움 및 내용물 낭비 현상(용기 내면에 묻어있는 내용물까지 완전히 덜어내지는 못함)에 따라, 실용신안등록 제305757호의 용기 구조가 제안되었다.
이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종래의 용기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용기, 차단부재, 하부용기, 회전캡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서 용기의 내용물은 액상의 화장품인 것을 예로 한다.
상부용기(10)는 내부에 제1 내용물(10a)이 채워지고, 상부에 제1 내용물(10a)의 배출을 위한 배출부가 설치된다. 또한, 상부용기(10)는 그 하부가 개방되고, 상부용기(10)의 개방된 하부가 차단부재(20)에 의해 밀봉된다.
차단부재(20)는 상부용기(10)의 개방된 하부에 삽입 및 결합되어 상부용기(10)의 내부를 밀폐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차단부재(20)는 차단판(2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차단부재(21)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상부용기(10)의 개방된 하부에 삽입되며, 이때 차단부재(20)의 하단(도 1 기준)으로부터 외향플랜지가 절곡되고, 이러한 외향플랜지가 상부용기(10)의 하단에 걸려 고정된다. 그리고, 차단판(21)은 차단부재(20)의 상면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이때 차단판(21)은 차단부재(20)의 상단에 강도가 약한 절취선(21a)을 형성하며 결합된다.
하부용기(30)는 내부에 제2 내용물(30a)이 채워지고, 개방된 상부에 차단부재(20)의 절취선(21a)를 절취하기 위한 톱니형 재단날(31)이 형성된다. 그리고, 하부용기(30)는 그 상부가 차단부재(20)의 내측에 삽입되고, 그 하부가 회전캡(40)의 내부에 삽입되어 체결된다.
회전캡(40)은 상부용기(1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그 회전시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하부용기(30)를 함께 상측으로 이동시킨다.
종래의 용기는 상기 구성에 의해서, 회전캡(40)이 그 회전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되면, 하부용기(30)가 회전캡(40)과 연동되어 상측으로 이동되고, 이 과정에서 하부용기(30)의 톱니형 재단날(31)이 차단부재(20)의 절취선(21a)을 절취하게 된다. 즉, 상부용기(10)의 내측과 하부용기(30)의 내측을 차단하는 격막 기능의 차단판(21)이 절취됨에 따라, 상부용기(10)의 제1 내용물(10a)과 하부용기(30)의 제2 내용물(30a)이 서로 혼합 가능한 상태가 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용기는 회전캡의 회전시 이와 연동하여 하부용기의 상승 이동이 진행되는 형태이므로, 이를 위해 회전캡과 하부용기가 비교적 복잡한 체결구조로 체결된다. 다시 말해, 종래의 용기는 성분이 다른 두 내용물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용도이므로, 두 내용물의 혼합물이 통상 7일 전후에 모두 사용되어야 하는 점에 비추어 볼 때, 이를 위한 용기는 비교적 단순 구조이면서도 두 혼합물을 원활히 혼합할 수 있는 구조일 때 사용상의 편리성, 생산성, 경제성 등 여러 면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종래 용기는 그 회전캡이 하부용기를 상승시키는 기능 외에 다른 기능이 없고, 이에 따라 상부용기의 제1 내용물과 하부용기의 제2 내용물을 혼합시, 사용자가 용기 전체를 흔드는 것 이외에 다른 방법이 없다. 이때, 사용자는 두 내용물이 충분히 혼합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없고, 상기 이유로 상당 수의 사용자가 용기를 대충 흔들어 사용하므로, 두 내용물 간 충분한 혼합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이는 화장품의 기능 저하로 이어진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성분이 다른 두 내용물을 격막에 의해 차단된 상태로 보관 후, 실제 사용 시 간단한 직선형 누름 조작에 의해 격막을 절취하고, 이어서 회전 조작을 통해 두 내용물을 원활하게 혼합시켜 최종 사용토록 하는 성분이 다른 분리형 재료의 혼합 사용 용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성분이 다른 두 내용물을 분리 보관 후, 내용물의 실제 사용 시 용기의 일부를 형성하는 회전형 교반틀 및 이러한 회전형 교반틀의 교반날개를 이용하여 용기의 사방 내면에 인접한 내용물까지 모두 고르게 혼합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성분이 다른 분리형 재료의 혼합 사용 용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성분이 다른 분리형 재료의 혼합 사용 용기는, 일면이 개방된 중공(中空)형이고, 수용된 내용물의 배출구가 형성되는 외부용기와, 상기 외부용기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개방형 원통 구조이고, 내부 공간을 외부와 차단하는 격막이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격막을 기준으로 내측에 복수의 교반날개가 형성되는 내부교반틀과, 상기 내부교반틀의 일측에 삽입되어 상기 격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내측 선단에 상기 격막의 절취를 위한 절취부가 형성되는 이종(異種) 내용물 용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교반날개는 상기 내부교반틀의 높이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형성되되, 적어도 둘 이상의 교반날개는 상기 내부교반틀을 횡방향으로 절단한 원형의 평단면 형상을 기준으로 전체 원주의 서로 다른 구간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교반날개는 상기 원형의 평단면의 중심을 통과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교반틀은 상기 외부용기의 개방된 일면을 통해 외부에 노출되는 회전조작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부용기의 내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회전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교반틀의 외면에 상기 회전 가이드홈에 삽입 후 지지되는 동시에 외력 작용시 회전 가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회전지지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종(異種) 내용물 용기는 상기 내측 선단의 높이가 동일하지 않은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절취부가 상기 내측 선단 중 최상단에 위치한 부분에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부용기는 상기 배출구의 개폐를 위한 탈착형 마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용기 내부에 성분이 다른 두 내용물을 격막으로 차단하여 보관 후, 내용물의 실제 사용 시 간단한 직선형 누름 조작에 의해 격막을 절취한 다음 회전 조작을 통해 두 내용물을 원활하게 혼합시켜 최종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고안의 용기는 격막 절취를 위한 구성 및 작용이 직선형의 비교적 간단한 구성 및 작용에 의해 이루어지며, 또한 격막 절취 후 간단한 회전 작용을 통해 성분이 다른 두 내용물을 원활하게 교반시킬 수 있어 사용상 편의성, 경제성, 생산성 등 여러 방면에서 향상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용기의 일부를 형성하는 회전형 교반틀 및 이러한 회전형 교반틀의 교반날개를 이용하여 용기의 사방 내면에 인접한 내용물까지 모두 고르게 혼합시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성분이 다른 두 내용물의 교반 효율을 크게 향상시킨다.
도 1은 종래의 성분이 다른 두 내용물을 혼합 사용하는 용기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분이 다른 분리형 재료의 혼합 사용 용기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분이 다른 분리형 재료의 혼합 사용 용기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분이 다른 분리형 재료의 혼합 사용 용기 중 내부교반틀의 평면도
도 5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6은 도 5의 성분이 다른 분리형 재료의 혼합 사용 용기에서 이종의 내용물이 혼합되는 상태를 보인 도면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성분이 다른 분리형 재료의 혼합 사용 용기를 보인 단면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자외선 살균 가습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분이 다른 분리형 재료의 혼합 사용 용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분이 다른 분리형 재료의 혼합 사용 용기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분이 다른 분리형 재료의 혼합 사용 용기 중 내부교반틀의 평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분이 다른 분리형 재료의 혼합 사용 용기(100: 이하, 화장품 용기를 예료 설명하며, 따라서 화장품 용기라 약칭 함)는 외부용기(110), 내부교반틀(120), 이종(異種) 내용물 용기(13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00)는 마개(140)를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외부용기(110)는 일면이 개방된 중공(中空)형 구조이며, 이러한 외부용기(110)는 내측의 제1 내용물을 외부에 배출하는 배출부(111)가 형성된다. 도면을 기준으로 부연 설명하면, 외부용기(110)는 하부가 개방되고, 상부에 배출부(111)가 형성되는 것으로써, 이하에서 이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외부용기(110)의 배출부(111)는 배출홀(111a)을 형성한 병목 형태이며, 이러한 배출부(111)의 외측면에 나사산(111b)이 형성된다.
내부교반틀(120)은 외부용기(110)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동시에 상하를 개방한 원통형 구조이며, 이러한 내부교반틀(120)의 내측 하부에는 내부교반틀(120)의 내부 공간을 외부와 차단하는 격막(121)이 형성된다. 그리고, 내부교반틀(120)의 격막(121)으로부터 상단까지의 공간에 제1 내용물이 채워진다. 또한, 내부교반틀(120)은 외부용기(110)의 개방된 하부를 통해 외부에 노출되는 회전조작부(123)가 더 포함된다. 회전조작부(123)에 대해 본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회전조작부(123)가 내부교반틀(120)의 하부에 확대된 지름의 돌출 형태로 형성되고, 이러한 회전조작부(123)와 내부교반틀(120) 간의 연결 부분에 단차(段差)부(124)가 형성됨으로써, 단차(段差)부(124)에 외부용기(110)의 하단이 거치된다.
그리고, 내부교반틀(120)의 외측 둘레면을 따라 회전지지돌기(125)가 형성되고, 외부용기(110)의 내면을 따라 회전지지돌기(125)의 삽입과 지지 및 회전 안내를 위한 회전가이드홈(112)이 형성된다. 즉, 회전지지돌기(125)가 회전가이드홈(112)에 삽입 후 지지됨에 따라, 내부교반틀(120)은 외부용기(110)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회전지지돌기(125)가 회전가이드홈(112)을 따라 슬라이딩 됨에 따라, 내부교반틀(120)은 외부용기(110)의 내측에서 회전된다. 도 3을 참조하여 부연 설명하면, 회전지지돌기(125)는 원통형 내부교반틀(120)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따라서, 이에 대응되는 회전가이드홈(112)은 원통형 외부용기(110)의 내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또한, 내부교반틀(120)의 내측에 복수의 교반날개(122)가 형성되며, 이러한 교반날개(122)는 내부교반틀(12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복수의 교반날개(122) 중, 적어도 둘 이상의 교반날개(122)는 내부교반틀(120)을 횡방향으로 절단한 원형의 평단면을 기준으로 전체 원주의 서로 다른 구간에 연결되는 형태일 수 있다. 도 4는 내부교반틀(120)의 평면도로서, 이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교반날개(122)는 내부교반틀(120)의 원주를 기준으로 대략 120° 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을 예로 하였으나,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교반날개(122)는 내부교반틀(120)의 원주를 기준으로 다양한 각도 및 그에 따른 간격을 유지하며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교반날개(122)는 내부교반틀(120)을 횡방향으로 절단한 원형의 평단면을 기준으로 그 선단이 원의 중심을 통과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종(異種) 내용물 용기(130)는 내부교반틀(120)의 개방된 하부를 통해 내부교반틀(120) 내측에 삽입되어 지지되며, 이때 이종(異種) 내용물 용기(130)는 필요시 내부교반틀(120)의 상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를 위해 이종 내용물 용기(130)의 내면에 반구형의 탄성 지지돌기(132)가 형성되고, 내부교반틀(120)의 내면에 반구형의 지지홈(126)이 형성되는 것을 예로 하였으나,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종(異種) 내용물 용기(130)가 내부교반틀(120)의 내측에서 필요에 따라 상승 이동 가능한 상태로 지지되는 조건을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그리고, 이종(異種) 내용물 용기(130)는 내부교반틀(120)에 삽입된 내측 선단에 절취부(131)가 형성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절취부(131)는 이종 내용물 용기(130)의 상향 이동시 내부교반틀(120)의 격막(121)을 절취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절취부(131)가 동일 높이로 연속되는 첨단(尖端) 형태인 것을 예로 하였으나,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절취부(131)는 톱니 형태 등 격막을 절취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마개(140)는 외부용기(110)의 배출부(111)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배출부(111)의 배출홀(111a)을 개폐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마개(140)의 내면에는 외부용기(110) 배출부(111)의 나사산(111b)에 대응되는 나사산(141)이 형성된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작동 상태를 보인 도면으로써, 이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00)에서 이종(異種)의 내용물이 분리된 상태로 저장 후 사용 시 혼합되어 사용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장품 용기(100)의 내부교반틀(120)에 제1 내용물 및 이종(異種) 내용물 용기(130)의 제2 내용물은 내부교반틀(120)의 격막(121)에 의해 분리된 상태로 보관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5의 화살표 방향으로 이종(異種) 내용물 용기(130)를 밀면, 이종(異種) 내용물 용기(130)가 상측으로 이동되고, 이 과정에서 이종(異種) 내용물 용기(130)의 절취부(131)가 격막(121)을 절취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이종(異種) 내용물 용기(130)의 제2 내용물이 격막(121)의 파쇄된 부분을 통해 외부용기(110) 내측으로 유입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어서, 내부교반틀(120)의 회전조작부(123)를 회전시키면, 내부교반틀(120)이 회전하는 동시에 그 내측의 교반날개(122)가 회전하며, 이러한 교반날개(122)의 회전 및 교반 작용에 의해 제1 내용물과 제2 내용물이 내부교반틀(120)의 내측에서 원활하게 혼합된다.
상기한 도 2 내지 도 6의 실시예를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화장품 용기(100)는 용기 내부에 성분이 다른 두 내용물을 격막(121)으로 차단하여 보관 후, 내용물의 실제 사용 시 간단한 직선형 누름 조작에 의해 격막(121)을 절취한 다음 회전 조작을 통해 두 내용물을 원활하게 혼합시켜 최종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고안의 화장품 용기(100)는 격막(121) 절취를 위한 구성 및 작용이 직선형의 비교적 간단한 구성 및 작용에 의해 이루어지며, 또한 격막(121) 절취 후 간단한 회전 작용을 통해 성분이 다른 두 내용물을 원활하게 교반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화장품 용기(100)는 그 일부를 형성하는 회전형 내부교반틀(120) 및 이러한 내부교반틀(120)의 교반날개(122)를 이용하여 화장품 용기(100)의 사방 내면에 인접한 내용물까지 모두 고르게 혼합시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성분이 다른 두 내용물의 교반 효율을 크게 향상시키게 된다.
한편,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를 보인 단면도로서, 본 실시예의 화장품 용기는 도 1 내지 도 6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와 비교하여 이종(異種) 내용물 용기(230)의 구성이 다르며,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 이종(異種) 내용물 용기(230)를 중심으로 설명하며, 도 1 내지 도 6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와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은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종(異種) 내용물 용기(230)는 내부교반틀(120)에 삽입되는 선단의 높이가 다르고, 이때 상대적으로 높이가 높은 선단에 절취부(231)가 형성되는 형태이다. 이에 따라, 이종(異種) 내용물(230) 용기의 상방향 이동시, 내부교반틀(120)의 상대적으로 높은 절취부(231)가 격막(121)의 일측을 절취하고, 이렇게 격막(121)의 일측이 절취된 상태에서 내부교반틀(120)의 상방향 이동은 정지된다. 따라서, 격막(121)은 내부교반틀(120)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지 않은 상태에서, 그 일측의 절취된 부분을 통해서 이종 내용물 용기(230)의 제2 내용물이 내부교반틀(120) 내측으로 유입되어 제1 내용물과 혼합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성분이 다른 분리형 재료의 혼합 사용 용기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 화장품용기 110 : 외부용기
111 : 배출부 111a : 배출홀
111b : 나사산 112 : 회전 가이드홈
120 : 내부 교반틀 121 : 격막
122 : 교반날개 123 : 회전조작부
124 : 단차부 125 : 회전지지돌기
126 : 지지홈 130 : 이종(異種) 내용물 용기
131 : 절취부 132 : 탄성지지돌기
140 : 마개 141 : 나사산

Claims (7)

  1. 일면이 개방된 중공(中空)형이고, 수용된 내용물의 배출구가 형성되는 외부용기;
    상기 외부용기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개방형 원통 구조이고, 내부 공간을 외부와 차단하는 격막이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격막을 기준으로 내측에 복수의 교반날개가 형성되는 내부교반틀;
    상기 내부교반틀의 일측에 삽입되어 상기 격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내측 선단에 상기 격막의 절취를 위한 절취부가 형성되는 이종(異種) 내용물 용기를 포함하는 성분이 다른 분리형 재료의 혼합 사용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날개는 상기 내부교반틀의 높이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형성되되, 적어도 둘 이상의 교반날개는 상기 내부교반틀을 횡방향으로 절단한 원형의 평단면 형상을 기준으로 전체 원주의 서로 다른 구간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분이 다른 분리형 재료의 혼합 사용 용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날개는 상기 원형의 평단면의 중심을 통과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분이 다른 분리형 재료의 혼합 사용 용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교반틀은 상기 외부용기의 개방된 일면을 통해 외부에 노출되는 회전조작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분이 다른 분리형 재료의 혼합 사용 용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용기의 내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회전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교반틀의 외면에 상기 회전 가이드홈에 삽입 후 지지되는 동시에 외력 작용시 회전 가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회전지지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분이 다른 분리형 재료의 혼합 사용 용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종(異種) 내용물 용기는 상기 내측 선단의 높이가 동일하지 않은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절취부가 상기 내측 선단 중 최상단에 위치한 부분에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분이 다른 분리형 재료의 혼합 사용 용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용기는 상기 배출구의 개폐를 위한 탈착형 마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분이 다른 분리형 재료의 혼합 사용 용기.
KR2020110004395U 2011-05-20 2011-05-20 성분이 다른 분리형 재료의 혼합 사용 용기 KR2004673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4395U KR200467354Y1 (ko) 2011-05-20 2011-05-20 성분이 다른 분리형 재료의 혼합 사용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4395U KR200467354Y1 (ko) 2011-05-20 2011-05-20 성분이 다른 분리형 재료의 혼합 사용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8178U true KR20120008178U (ko) 2012-11-28
KR200467354Y1 KR200467354Y1 (ko) 2013-06-10

Family

ID=47517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4395U KR200467354Y1 (ko) 2011-05-20 2011-05-20 성분이 다른 분리형 재료의 혼합 사용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7354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676Y1 (ko) * 2013-11-07 2015-07-09 펌텍코리아 (주) 이중 화장품 용기
KR20190088203A (ko) * 2018-01-18 2019-07-26 주식회사 파인애플 디아이와이 화장품 세트
KR20200121930A (ko) * 2019-04-15 2020-10-27 주식회사 삼화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KR20200121929A (ko) * 2019-04-15 2020-10-27 주식회사 삼화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898Y2 (ko) * 1984-12-05 1991-01-14
JP2571824Y2 (ja) * 1992-05-07 1998-05-20 吉田工業株式会社 混合容器
KR200294044Y1 (ko) * 2002-04-25 2002-11-08 주식회사 씨디알 화장품 용기에 내장된 파우더 용기의 개봉 구조
KR200346012Y1 (ko) * 2003-11-24 2004-03-26 임열택 염색제 혼합용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676Y1 (ko) * 2013-11-07 2015-07-09 펌텍코리아 (주) 이중 화장품 용기
KR20190088203A (ko) * 2018-01-18 2019-07-26 주식회사 파인애플 디아이와이 화장품 세트
KR20200121930A (ko) * 2019-04-15 2020-10-27 주식회사 삼화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KR20200121929A (ko) * 2019-04-15 2020-10-27 주식회사 삼화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7354Y1 (ko) 2013-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0284B1 (ko) 이종 내용물의 혼합 사용이 가능한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KR200256383Y1 (ko) 서로 다른 성분의 분말 또는 용액을 분리보관 및 혼합사용할 수 있는 용기
KR200467354Y1 (ko) 성분이 다른 분리형 재료의 혼합 사용 용기
RU2749948C2 (ru) Крышка с дыропробивным элементом, в частности, для гибкой трубки
KR200476070Y1 (ko) 이종내용물 혼합 화장품용기
US9381480B2 (en) Container for mixing two different types of solutions
KR200475965Y1 (ko) 이액형 용액을 혼합을 위한 화장용기
KR20140045536A (ko) 투석을 위한 용기
KR101234514B1 (ko) 이종 내용물의 혼합 사용이 가능한 주사기형 용기
KR101619957B1 (ko)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WO2011054484A1 (en) Dispensing cap, container and method for dispensing contents
US20150174542A1 (en) Multi-ingredient mixing device
JPH0710172A (ja) 用時混合容器および用時混合方法
KR200407438Y1 (ko) 내용물 혼합 사용이 용이한 용기
KR20130022369A (ko) 이종물질을 수용한 배출장치
KR200426428Y1 (ko) 내용물의 혼합사용이 가능한 혼합용기
KR101464156B1 (ko)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KR20130004528U (ko) 수납공간이 분리된 혼합용기
KR102017235B1 (ko) 스크류 타입 이종물질 혼합기
KR101560310B1 (ko) 내용물 통과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포장용기
KR102206002B1 (ko) 이액형 화장품 용기
JP5154172B2 (ja) 二剤混合容器
KR200286135Y1 (ko) 서로 다른 성분의 분말 또는 용액을 분리보관 및 혼합사용할 수 있는 용기
KR102009607B1 (ko) 내용물 분리보관 및 혼합사용이 가능한 용기
KR101635471B1 (ko) 이종물질을 수용한 배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