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8013U - 다목적 조명기구 - Google Patents

다목적 조명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8013U
KR20120008013U KR2020110004149U KR20110004149U KR20120008013U KR 20120008013 U KR20120008013 U KR 20120008013U KR 2020110004149 U KR2020110004149 U KR 2020110004149U KR 20110004149 U KR20110004149 U KR 20110004149U KR 20120008013 U KR20120008013 U KR 2012000801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light emitting
decorative plate
light
ligh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41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순호
Original Assignee
권순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순호 filed Critical 권순호
Priority to KR20201100041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8013U/ko
Publication of KR2012000801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801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05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using magn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9/00Elements for modifying spectral properties, polarisation or intensity of the light emitted, e.g. filters
    • F21V9/08Elements for modifying spectral properties, polarisation or intensity of the light emitted, e.g. filters for producing coloured light, e.g. monochromatic; for reducing intensity of light
    • F21V9/12Elements for modifying spectral properties, polarisation or intensity of the light emitted, e.g. filters for producing coloured light, e.g. monochromatic; for reducing intensity of light with liquid-filled chambers

Abstract

본 고안은 조명기능과 장식 및 광고기능 등을 구현하는 다목적 조명기구에 관한 것으로, 조명기구에 있어서, 전원플러그와 발광램프를 구비하고 있는 발광부와 상기 발광부로부터 투광되는 광원을 확산시키는 광원확산부를 포함하는 조명기구로서, 상기 광원확산부에는 자력에 의하여 부상하는 장식판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조명기구에 의하면 광원확산부에 자력에 의하여 부상하는 장식판 또는 조형물을 구비하고, 그 장식판에 그림이나 전화번호 알림문구 등을 삽입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어두운 곳에서도 물체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기본적인 조명기능에 추가하여 장식 및 광고효과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다목적 조명기구{Multi-Purpose Lighting Device}
본 고안은 조명기능과 장식 및 광고기능 등을 구현하는 다목적 조명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원공급수단과 발광램프를 구비하고 있는 발광부와 상기 발광부의 광원을 확산시키는 광원확산부로 이루어지는 조명기구로서 상기 광원확산부에 자력에 의하여 부상하는 장식판 또는 조형물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호기심을 자극하고 장식 및 광고효과 등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다목적 조명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명기구는 전원을 공급받아 전기에너지를 빛에너지로 전환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어두운 곳에서도 물체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도구로서, 인간의 문명을 획기적으로 발전시키는 기폭제 역할을 하였다.
이러한 조명은 밝기가 충분하고 일정해야 시력을 보호할 수 있고 눈의 피로도 줄일 수 있다. 좋은 조명은 눈이 부시지 않아야 하고, 적당한 음영이 있어야 하며, 기분 좋은 색이어야 한다. 방의 기능에 따라 적당한 밝기가 다르므로 목적에 알맞은 조명 기구를 선택한다. 즉, 공부방은 밝기가 충분해야 하고, 식당의 조명은 음식이 맛있게 보이는 것으로 해야 한다. 또 쉬는 장소에는 적당히 어두운 조명이 필요하다.
조명 기구는 형광등이나 백열등, 전구식 형광등, 할로젠등과 같은 광원 이 내장된 기구로, 설치 방법에 따라 천장등, 다운 라이트, 벽등, 펜던트, 스탠드용 램프, 샹들리에, 스포트라이트 등으로 구분되며, 과거에는 조명이 단순히 밝게 해 주는 것이 목적이었으나 현재는 빛의 색, 밝기, 범위 등이 사용 목적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조절되고 있다.
예를 들어 천장등(ceiling light)은 천장에 직접 설치하는 조명 기구로, 실내 전체를 밝게 하므로 일반적인 전체 조명의 조명 기구로 많이 이용되고, 벽등(bracket)은 벽이나 기둥에 노출시켜 설치하는 조명 기구로서 현관이나 계단, 복도와 같은 통로, 옥외 공간에 많이 쓰이며, 거실, 침실 등에도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국부조명을 목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장식등이나 벽등류의 조명기구는 주로 벽면에 설치된 콘센트에 꽂아서 사용하는데, 이를 위해 전원플러그를 갖춘 소켓과 상기 소켓에 결합하여 사용하는 발광램프 및 조명 갓 등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형태의 조명기구는 단순히 조명을 위한 단일 목적으로만 사용할 수 있을 뿐, 예를 들어 광고판이나 주차알림판, 장식용 조형물 등과 같은 다른 용도로는 사용할 수 없다는 것이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조명기구에 자력에 의하여 부상하는 장식판 또는 조형물을 구비함으로써, 기본적인 조명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호기심을 자극하여 장식 및 광고효과 등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다목적 조명기구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하에 제안된 본 고안은 조명기구에 있어서, 전원플러그와 발광램프를 구비하고 있는 발광부와 상기 발광부로부터 투광되는 광원을 확산시키는 광원확산부를 포함하는 조명기구로서, 상기 광원확산부에는 자력에 의하여 부상하는 장식판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조명기구를 제시한다.
본 고안은 상기 발광부로부터 투광되는 광원을 확산시키는 광원확산부는 투명관의 형태를 이루는 반사확산관과, 상기 반사확산관의 하단에 구비되는 영구자석과. 상기 반사확산관의 내부에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하단부에 안내링을 구비하고 있는 장식판과, 상기 장식판의 안내링에 구비되는 영구자석을 포함하며, 상기 장식판과 반사확산관의 상단 또는 하단에 구비되는 영구자석은 동일극성의 자극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조명기구를 제시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조명기구에 의하면 광원확산부에 자력에 의하여 부상하는 장식판 또는 조형물을 구비하고, 그 장식판에 그림이나 전화번호 알림문구 등을 삽입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어두운 곳에서도 물체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기본적인 조명기능에 추가하여 장식 및 광고효과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조명기구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조명기구의 구성요소를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조명기구의 구성요소인 발광부의 저면을 예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조명기구의 구성요소인 광원확산부의 구성상태를 예시한 단면도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조명기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조명기구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조명기구의 구성요소를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조명기구의 구성요소인 발광부의 저면을 예시한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조명수단은 발광부(10)와 상기 발광부(10)로부터 투광되는 광원을 확산시키는 광원확산부(20)로 이루어진다.
상기 발광부(10)는 본체(11)의 일측에는 전원플러그(12)가 구비되고 상단에는 상기 광원확산부(20)를 결합할 수 있도록 하며 내벽 일정한 위치에 걸림턱(13a)을 구비하고 있는 삽입홈(13)이 구비되는 한편, 상기 발광부(10)의 소정된 위치에는 전원플러그(12)와 전원스위치(14)를 매개로 하여 연결되는 발광램프(15)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발광램프(15)는 목적하는 조명의 용도에 부합하여 백열등 또는 LED등과 이를 설치하기 위한 소켓 등을 선택적으로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조명기구의 구성요소인 광원확산부의 구성상태를 예시한 단면도이다.
상기 발광부(10)로부터 투광되는 광원을 확산시키며 발광부(10)의 삽입홈(13)에 결합되는 광원확산부(20)는 투명관의 형태를 이루는 반사확산관(21)과, 상기 반사확산관(21)의 내면 하단에 구비되는 영구자석(22)과. 상기 반사확산관(21)의 내부에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하단부에 안내링(23a)(23b)을 구비하고 있는 장식판(23)과, 상기 장식판(23)의 하단에 있는 안내링(23b)에 구비되는 영구자석(2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반사확산관(21)의 내부에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하단부에 안내링(23a)(23b)을 구비하고 있는 장식판(23)을 조각이나 상징물 등의 장식용 조형물로 구성하면 기본적인 조명기능에 부가하여 장식적 효과를 창출할 수 있고, 상기 장식판(23)에 광고그림이나 광고문구 또는 전화번호 등을 표기하면 광고판이나 주차알림판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반사확산관(21)의 내면 하단에 구비되는 영구자석(22)과 장식판(23)의 하단 안내링(23b)에 구비되는 영구자석(24)은 동일 극성의 자극으로 구성함으로써, 동일자극의 반발력에 의하여 장식판(23)이 반사확산관(21)의 내부에 일정 높이 부상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발광부(10)로부터 투광되는 광원을 확산시키는 광원확산부(20)의 구성요소이며 투명관의 형태를 이루는 반사확산관(2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진공 또는 공기가 주입된 형태로 적용하고 있으나, 이 반사확산관(21)의 내부에 물이나 오일 또는 이들에 색소를 추가한 액체를 충진하면 다양한 색상의 조명을 연출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발광부(10)의 전원플러그(12)를 조명장소의 콘센트(도시하지 않음)에 꽂은 상태에서 전원스위치(14)를 "온" 시키면 발광램프(15)가 점등된다. 이와 같이 발광부(10)가 콘센트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단 삽입홈(13)에 광원확산부(20)의 반사확산관(21)을 삽입하면 반사확산관(21)은 하단부가 상기 발광부(10)의 삽입홈(13) 내벽에 형성된 걸림턱(13a)에 걸려 고정되게 되며, 이때 상기 반사확산관(21)의 하단에 구비되는 영구자석(22)과 장식판(23)의 하단 안내링(23b)에 구비되는 영구자석(24)이 동일 극성의 자극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동일자극에 의한 반발력으로 장식판(23)이 반사확산관(21)의 내부에 일정 높이 부상하여 사용자의 흥미를 자극할 수 있도록 한다.
더불어, 상기 반사확산관(21)의 내부에 자력에 의하여 부상하도록 구비된 장식판(23)에는 광고그림이나 광고문구 또는 전화번호 등을 표기함으로써, 기본적인 조명기능에 부가하여 주차알림판이나 광고판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장식판(23)을 조형물로 변경적용하면 장식적 효과 또한 발휘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조명기구에 의하면 광원확산부에 자력에 의하여 부상하는 장식판 또는 조형물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어두운 곳에서도 물체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기본적인 조명기능에 추가하여 장식 및 광고효과 등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게 된다.
지금까지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조명기구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고안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및 변형이 가능 하다는 것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영구자석을 장식판과 반사확산관의 하단에만 설치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영구자석을 장식판과 반사확산관의 상하 모두에 설치하는 구성으로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으며, 상기 장식판 또한 조각이나 상징물 등의 조형물로 변경적용하면 조명기능과 동시에 장식적 효과 또한 창출할 수 있도록 한다.
10: 발광부 11: 본체
12: 전원플러그 13: 삽입홈
13a: 걸림턱 14: 전원스위치
15: 발광램프 20: 광원확산부
21: 반사확산관 22: 영구자석
23: 장식판 23a, 23b: 안내링
24: 영구자석

Claims (4)

  1. 조명기구에 있어서,
    전원플러그와 발광램프를 구비하고 있는 발광부와 상기 발광부로부터 투광되는 광원을 확산시키는 광원확산부를 포함하는 조명기구로서, 상기 광원확산부에는 자력에 의하여 부상하는 장식판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조명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로부터 투광되는 광원을 확산시키는 광원확산부는 투명관의 형태를 이루는 반사확산관과, 상기 반사확산관의 하단에 구비되는 영구자석과. 상기 반사확산관의 내부에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하단부에 안내링을 구비하고 있는 장식판과, 상기 장식판의 안내링에 구비되는 영구자석을 포함하며, 상기 장식판과 반사확산관의 상단 또는 하단에 구비되는 영구자석은 동일극성의 자극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조명기구.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로부터 투광되는 광원을 확산시키는 광원확산부의 구성요소이며 투명관의 형태를 이루는 반사확산관의 내부에는 액체가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조명기구.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광원확산부의 구성요소이며 자력에 의하여 부상하는 장식판은 광고그림이나 광고문구를 구비하는 광고판 또는 장식용 조형물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조명기구.


KR2020110004149U 2011-05-16 2011-05-16 다목적 조명기구 KR2012000801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4149U KR20120008013U (ko) 2011-05-16 2011-05-16 다목적 조명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4149U KR20120008013U (ko) 2011-05-16 2011-05-16 다목적 조명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8013U true KR20120008013U (ko) 2012-11-26

Family

ID=47517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4149U KR20120008013U (ko) 2011-05-16 2011-05-16 다목적 조명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8013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5483A (ko) * 2014-07-07 2016-01-15 주식회사 엘이디파워 Led 조명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5483A (ko) * 2014-07-07 2016-01-15 주식회사 엘이디파워 Led 조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55440B2 (en) Decorative light defusing novelty lamp
US20060215397A1 (en) Lamp structure with a function of candlestick
KR100940942B1 (ko) 내부광원에 의한 측면 장식발광이 이루어지게 한 천정용 조명등
JP2014120400A (ja) Led照明装置
KR200439900Y1 (ko) 야외 계단 및 난간 내부에 결합되는 조명등 고정장치
KR20120008013U (ko) 다목적 조명기구
WO2016101345A1 (zh) 一种模拟烛光的发光装置
KR101839707B1 (ko) 엘이디 조명등 장치
KR20090072037A (ko) 천정용 조명등의 장식구
JP2005183035A (ja) 照明器具
KR200467344Y1 (ko) 장식용 조명등 장치
KR101221363B1 (ko) 엘이디램프 등기구용 바디 프레임
CN205592880U (zh) 一种具有投影功能的投影灯
WO2007005904A2 (en) Electronic gas flame bulb
KR20100011230A (ko) 수족관용 조명등
KR200425018Y1 (ko) 조명등
KR200384309Y1 (ko) 성경책모형의 장식용 벽 등
KR20110009436U (ko) 전시 조명장치
KR101436825B1 (ko) Led 조명장치가 내장된 테이블
JP3221902U (ja) 照明装置
KR101866537B1 (ko) 액자형 벽부 조명
CN214948813U (zh) 装饰灯
KR101778922B1 (ko) 엘이디를 이용한 매다는 등
JP2005158546A (ja) 照明装置
KR102454047B1 (ko) 실내조명 및 장식기능을 갖는 상징조형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