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7881U - Diaper changing board with hoister - Google Patents

Diaper changing board with hois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7881U
KR20120007881U KR2020110003956U KR20110003956U KR20120007881U KR 20120007881 U KR20120007881 U KR 20120007881U KR 2020110003956 U KR2020110003956 U KR 2020110003956U KR 20110003956 U KR20110003956 U KR 20110003956U KR 20120007881 U KR20120007881 U KR 2012000788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per
pedestal
lifting device
diaper changing
changing 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3956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명희
신연철
Original Assignee
신연철
정명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연철, 정명희 filed Critical 신연철
Priority to KR20201100039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7881U/en
Publication of KR2012000788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7881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5/00Dressing-tables or diaper changing supports for children
    • A47D5/006Dressing-tables or diaper changing supports for children fold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7/00Other equipment, e.g. separate apparatus for deodorising, disinfecting or cleaning devices without flushing for toilet bowls, seats or covers; Holders for toilet brush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유아를 올려놓고 기저귀를 교체할 수 있는 기저귀 교환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저귀 교환대의 받침대를 상하로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산모가 영유아의 기저귀를 교체할 때에 편안함을 제공하고, 받침대를 사용하지 않고 보관할 때에는 살균을 할 수 있는 승강장치가 구비된 기저귀 교환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치가 구비된 기저귀 교환대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몸체; 승강장치가 구비되어 상하작동을 하는 작동부; 영유아를 올려놓을 수 있고, 회전장치가 구비되어 접철 작동을 하는 받침대; 상기 작동부의 전면에 설치되는 자외선 살균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aper changing table that can replace the diaper to put the infant, more specifically, by allowing the mother to change the base of the diaper changing table up and down to provide comfort when the mother changes the diaper of the infant, It relates to a diaper changing table equipped with a lifting device capable of sterilization when stored without using.
Diaper exchange table is provided with a lif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including a drive; An operation unit provided with a lifting device for vertical operation; Infant can be placed, the base is provided with a rotating device for folding operation;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ultraviolet sterilization lamp which is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operating unit.

Description

승강장치가 구비된 기저귀 교환대 {DIAPER CHANGING BOARD WITH HOISTER}Diaper changing table with lifting device {DIAPER CHANGING BOARD WITH HOISTER}

본 발명은 영유아를 올려놓고 기저귀를 교체할 수 있는 기저귀 교환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저귀 교환대의 받침대를 상하로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산모가 영유아의 기저귀를 교체할 때에 편안함을 제공하고, 받침대를 사용하지 않고 보관할 때에는 살균을 할 수 있는 승강장치가 구비된 기저귀 교환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aper changing table that can replace the diaper to put the infant, more specifically, by allowing the mother to change the base of the diaper changing table up and down to provide comfort when the mother changes the diaper of the infant, It relates to a diaper changing table equipped with a lifting device capable of sterilization when stored without using.

일반적으로 공공장소에서 산모가 영유아의 기저귀를 교체하고자 할 때에는 화장실 또는 아기 편의시설 등과 같은 공간에 비치되어있는 기저귀 교환대를 이용하게 된다.In general, when a mother wants to change a diaper for an infant, the diaper change stand is provided in a space such as a toilet or a baby facility.

그런데, 종래의 기저귀 교환대는 보통 화장실에서 변기 주변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많고, 일반적으로 공동으로 사용하는 기물이라는 특징 때문에 세균이 쉽게 증식할 수도 있어서, 자칫 면역력이 좋지 않은 영유아는 이러한 세균에 전염되어 건강에 매우 큰 위험을 초래할 수도 있었다.By the way, conventional diaper changing table is usually located around the toilet in the toilet, and because of the common features of common use, bacteria can easily grow, so infants with poor immunity are transmitted to these bacteria to health. It could be very dangerous.

또한 기존의 기저귀 교환대는 고정형으로 되어있는 것이 대부분이어서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그 높이 또한 조절이 불가능하여 사용자는 기저귀 교환대가 설치되어있는 높이에서만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In addition, the existing diaper changing table is a fixed type is mostly because there is a problem that takes up a lot of space, the height is also impossible to adjust the user had a inconvenience to use only at the height of the diaper changing table is installed.

이는 평균보다 키가 크거나 작은 산모에 있어서, 영유아의 기저귀를 교환할 때에 자세가 불편해 질 수 있고, 자칫 산모의 허리에 큰 무리를 주는 원인으로 작용할 수도 있었다.
This may cause uncomfortable posture when changing diapers of infants and young mothers who are taller or shorter than the average, and may act as a cause of great burden on the mother's waist.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06743호는 '화장실용 유아의자 겸용 기저귀 교환`대'가 개시되어 있으며, 기저귀 교환대를 절첩 가능하게 형성하여, 미사용시에는 상판을 벽면에 부착된 케이스에 삽입, 보관하도록 하고 있다.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306743 discloses a diaper changing stand for infant chairs, and the diaper changing stand is formed to be foldable, and when not in use, the top plate is inserted into a case attached to the wall and stored. I'm trying to.

그러나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06743호에서 개시하는 기저귀 교환대를 포함하여 현재 실시되고 있는 기저귀 교환대는 절첩방식이 수동형이고 별다른 안전장치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서, 사용자가 교환대를 이용하려고 상판을 내릴 때 상판이 갑자기 낙하하여 부상을 당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안고 있는 영유아에게 충격을 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diaper changing table currently implemented, including the diaper changing table disclosed in Korean Utility Model No. 20-0306743, has a folding type and no safety device, so when the user unloads the plate to use the changing tabl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top plate may suddenly fall down to be injured, or may shock the infant and the infant.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가 기저귀 교환대를 이용함에 있어서 기저귀 교환대에 상하작동이 가능하도록 레크-피니언 기어를 구성하여 교환대를 상하로 구동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신장에 알맞게 기저귀 교환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작동부와 받침대 사이에 유압실린더 또는 모터를 사용하여 받침대의 갑작스러운 절첩 작용을 방지함으로써 사용자가 받침대를 개방하면서 일어날 수 있는 충돌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받침대를 사용하지 않고 접어놓을 때에는 살균램프가 가동되어 받침대를 살균하여 사용자가 항상 청결한 조건에서 기저귀 교환대를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세균에 의한 영유아의 감염요소를 조기에 차단할 수 있는 기저귀 교환대를 제공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user by using the diaper changing table to configure the rack-pinion gear to enable the vertical operation of the diaper changing table to operate the exchange table up and down by the user himself The height of the diaper changer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body, and the hydraulic cylinder or motor between the operating part and the stand is used to prevent the sudden folding of the stand so that the user can open the stand to prevent accidents. When you fold it without using the stand, the sterilization lamp is activated to sterilize the stand so that the user can always use the diaper change table in clean conditions so that the diaper change table can be prevented from infecting infants. The purpose is to provide.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영유아를 올려놓고 새 기저귀를 착용시킬 수 있는 기저귀 교환대에 있어서, 구동부를 포함하는 몸체; 승강장치가 구비되어 상하작동을 하는 작동부; 영유아를 올려놓을 수 있고, 회전장치가 구비되어 접철 작동을 하는 받침대; 상기 작동부의 전면에 설치되는 자외선 살균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치가 구비된 기저귀 교환대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iaper changing table that can put the infant and put a new diaper, the body comprising a drive unit; An operation unit provided with a lifting device for vertical operation; Infant can be placed, the base is provided with a rotating device for folding operation; It provides a diaper changing table with a lif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ultraviolet sterilization lamp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operating unit.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승강장치가 구비된 기저귀 교환대를 이용함으로써, 사용자는 받침대의 갑작스러운 개방으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충돌사고에 대해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using a diaper change table equipped with a lifting device, the user can be prevented in advance to prevent accidents that may occur from the sudden opening of the pedestal can improve the safety It has an effect.

또한, 승강장치를 이용하여 자신의 신장에 맞는 기저귀 교환대의 위치를 설정하여 영유아의 기저귀를 교환하는 동안 편안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comfortable posture while changing the diaper of infants by setting the position of the diaper changing table according to their height by using the lifting device.

이에 더하여, 기저귀 교환대를 사용하지 않는 동안 살균장치를 작동함으로써 면역력이 약한 영유아가 세균으로부터 감염되는 것을 조기에 차단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operating the sterilization device while not using the diaper changing tabl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event early infection of infants with weak immunity from bacteria.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치가 구비된 기저귀 교환대의 사시도,
도 2은 상기 도 1에 도시된 본 고안의 승강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기저귀 교환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aper change table equipped with a lif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lif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3 and 4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diaper change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고안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First, in the drawings, it is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or par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possible.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치가 구비된 기저귀 교환대(1)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고안의 승강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150)를 묘사한 확대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aper change table 1 equipped with a lif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depicts a driving unit 1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lif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 It is an enlarged view.

또한,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장치에 유압실린더(221)를 적용한 것을 도시한 확대도이고, 도 4은 도 3에 도시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장치에 서보모터(222)를 적용한 것을 도시한 확대도이다.In addition, Figure 3 is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application of the hydraulic cylinder 221 to the rot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ure 1, Figure 4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It is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application of the servo motor 222 to the rotating device according to.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치가 구비된 기저귀 교환대(1)는 승강장치가 설치되는 몸체(100); 상기 몸체(100)에 결합되어 상기 승강장치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 작동되는 작동부(200); 영유아를 올려놓을 수 있고, 회전장치가 구비되어 절첩 작동을 하는 받침대(210); 및 컨트롤러 박스(130)로 구성된다.Diaper exchange table 1 is provided with a lif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ody 100 is installed with a lifting device; An operation part 200 coupled to the body 100 to move up or down by the lifting device; Infant can put on, the support is provided with a rotating device 210 for folding operation; And a controller box 130.

상기 작동부(200)는 하단에 승강장치가 구성되어 상기 몸체(100)의 상부에 결합된다. 상기 승강장치는 레크기어(101)와 피니언 기어(102) 및 모터(103)로 구성되고, 상기 레크기어(101)는 상기 몸체(100) 내부의 하단에 형성된 모터(103) 및 피니언 기어(102)에 결합되어 구동된다. 여기서, 상기 몸체(100) 내부에 형성된 상기 모터(103)는 결합하고 있는 상기 피니언 기어(102)를 구동시키고, 이는 상기 피니언 기어(102)와 치합되어 있는 레크기어(101)를 구동하여 상기 작동부(200)를 상하로 작동시킬 수 있게 한다.The operation unit 200 is configured to the lifting device at the bottom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100). The elevating device includes a rack gear 101, a pinion gear 102 and a motor 103, and the rack gear 101 includes a motor 103 and a pinion gear 102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body 100. Coupled to and driven. Here, the motor 103 formed inside the body 100 drives the pinion gear 102 that is engaged, which drives the recreation gear 101 engaged with the pinion gear 102. It is possible to operate the unit 200 up and down.

즉, 상기 모터(103)의 구동력은 상기 모터(103)에 결합되어 있는 상기 피니언 기어(102)를 회전시키고, 상기 피니언 기어(102)의 회전운동은 상기 피니언 기어(102)에 치합된 레크기어(101)에 전달되면서 직선운동으로 변환되어서, 상기 레크기어(101)를 상하 방향으로 직선 왕복운동 시킴으로써, 상기 작동부(200)가 상하로 이동을 행할 수 있다.That is,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103 rotates the pinion gear 102 coupled to the motor 103, and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pinion gear 102 is engaged with the pinion gear 102. Transmitted to the linear motion while being transmitted to (101), by linear reciprocating motion in the vertical gear 101, the operating unit 200 can move up and down.

한편, 상기 피니언 기어(102)는 웜 기어로 대체되어도 무관하며, 그에 따라 상기 모터(103)의 형성 위치를 상황에 맞게 조절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inion gear 102 may be replaced with a worm gear, and thus the position where the motor 103 is formed can be adjusted accordingly.

상기 받침대(210)는 상기 작동부(200)의 중상단에 힌지로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받침대(210)는,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작동부(200)에 접어서 보관할 수 있고, 사용을 하고자 할 때에는 버튼을 조작하거나 또는 레버를 조작하는 것으로 상기 작동부(200)로부터 개방이 가능하다.The pedestal 210 is coupled to the middle upper end of the operation unit 200 by a hinge, it is installed to be rotatable. When not in use, the pedestal 210 can be stored by folding the operation unit 200, and when using it, opening is possible from the operation unit 200 by operating a button or operating a lever.

이 때, 상기 받침대(210)는 중력 및 자중에 의해 갑작스럽게 하방으로 낙하하면서 펼쳐지게 되는데, 이는 사용자로 하여금 충돌을 발생시켜 부상을 유발하거나 사용자가 안고 있는 영유아에게 충격을 줄 수 있는 위험이 있다.At this time, the pedestal 210 is unfolded while suddenly falling down due to gravity and self-weight, which may cause a user to cause a collision, or cause an injury or shock to the infant is held by the user.

따라서, 상기 받침대(210)와 상기 작동부(200) 사이에 회전장치를 설치하여, 상기와 같은 위험요소를 해결한다. 상기 회전장치의 실시예로는 유압 실린더(221) 또는 서보모터(222)가 적용된다.Therefore, by installing a rotating device between the pedestal 210 and the operation unit 200, the above-mentioned risk factor is solved. As an embodiment of the rotating device, a hydraulic cylinder 221 or a servomotor 222 is applied.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압실린더(221)는, 상기 받침대(210)의 측면과 상기 작동부(200)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받침대(210)와 상기 작동부(200)를 서로 연결한다.As shown in FIG. 3, the hydraulic cylinder 221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pedestal 210 and the side of the actuating part 200 to connect the pedestal 210 and the actuating part 200 to each other. .

이렇게 형성된 상기 유압실린더(221)는 별도의 제어부에 의해 구동을 제어할 수 있어, 그 길이가 수축되거나 팽창될 수 있다.The hydraulic cylinder 221 formed as described above may be controlled by a separate control unit so that its length may be contracted or expanded.

즉, 상기 유압실린더(221)가 초기상태에 있을 때에는 상기 받침대(210)가 상기 작동부(200)로 접혀져 보관되어있는 상태이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상기 유압실린더(221)가 팽창하여 그 길이가 늘어나면 그에 연동하여 상기 받침대(210)는 하방으로 펼쳐지게 되어, 상기 받침대(210) 위에 영유아를 올려 놓을 수 있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hydraulic cylinder 221 is in the initial state, the pedestal 210 is folded and stored in the operating unit 200, and the hydraulic cylinder 221 is expanded by the user's operation to its length. When the increase in conjunction with the pedestal 210 is extended downward, it is in a state that can put the infant on the pedestal 210.

한편,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유압실린더(221)를 형성하는 대신에 서보모터(222)를 형성하여 상기 받침대(210)를 개폐하는 것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instead of forming the hydraulic cylinder 221 as shown in Figure 4 it is possible to form the servo motor 222 to open and close the pedestal 210.

상기 서보모터(222)는 상기 받침대(210)와 상기 작동부(200)의 힌지축에 직접 형성되며, 상기 받침대(210)를 직접 구동한다.The servo motor 222 is directly formed on the hinge shaft of the pedestal 210 and the operation unit 200, and directly drives the pedestal 210.

상기 유압실린더(221)와 마찬가지로, 상기 서보모터(222)는 별도의 제어부에 의해 구동이 제어될 수 있고, 정해진 각도로 정, 역회전이 된다.Like the hydraulic cylinder 221, the servo motor 222 may be driven by a separate control unit, and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at a predetermined angle.

상기 서보모터(222)의 형성 위치는 힌지부의 안쪽에 설치되어 외관상 밖으로 돌출되지 않아 미관을 해치지 않는 위치가 가장 바람직하며, 경우에 따라 형성 공간이 마땅하지 않을 경우 작동부(200)의 바깥쪽에 형성하여도 무관하다.The position where the servo motor 222 is formed is most preferably a position that is installed inside the hinge portion and does not protrude outward so as not to harm the aesthetics. It does not matter.

한편, 상기 작동부(200)의 전면에는 자외선 살균램프(240)가 형성되는데, 이는 상기 받침대(210)를 사용하지 않고 접어서 보관할 때에 작동한다.On the other hand, UV sterilization lamp 240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operation unit 200, which operates when folded and stored without using the pedestal 210.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기저귀 교환대(1)는 공공장소에서 여러 사람이 공동으로 사용하는 기물인 만큼, 청결 및 위생 문제가 발생하는 것은 불가피한데, 상기 자외선 살균램프(240)를 형성함으로써 받침대(210)가 사용되지 않는 동안 수시로 살균하여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Diaper exchange stand (1)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thing that is used in common by a number of people in public, it is inevitable that the problem of cleanliness and hygiene occurs, by forming the ultraviolet sterilization lamp 240 pedestal 210 This can be solved by disinfecting from time to time while the) is not used.

상기 자외선 살균램프(240)는 상기 받침대(210)의 힌지부 또는 제어프로세스에 센서를 구성하여 상기 받침대(210)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만 작동하도록 한다.The ultraviolet sterilizing lamp 240 configures a sensor in the hinge portion or the control process of the pedestal 210 to operate only when the pedestal 210 is not used.

나아가, 램프(240)의 파손으로 인한 사용자의 부상 또는 불편함을 덜어주기 위하여 상기 작동부(200)의 전면에 유리 또는 투명 아크릴과 같은 투명한 부재를 형성하여 안전성을 확보하고, 미관상에서도 보기 좋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more, in order to reduce the injury or inconvenience of the user due to the breakage of the lamp 240, a transparent member such as glass or transparent acrylic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operation part 200 to secure safety and look good in aesthetic view. It is preferable to construct.

또한, 상기 받침대(210) 상부에는 안전벨트(230)를 형성하여, 사용자가 영유아를 올려놓고 기저귀를 교체하는 동안, 영유아에게 상기 안전벨트(230)를 채움으로써 영유아가 뒤척이면서 상기 받침대(210)로부터 낙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by forming a seat belt 230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210, while the user puts the infant and replace the diaper, by filling the seat belt 230 to the infant while the infant is turned over the support 210 Falls can be prevented from falling.

그리고, 상기 몸체(100)는 내부에 상기 작동부(200)를 구동 시킬 수 있는 구동 모터(103)를 포함하고, 전면 하부에는 음향장치(120) 및 폐기저귀 수거함(110)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body 100 includes a drive motor 103 capable of driving the operation unit 200 therein, and an acoustic device 120 and a waste collection bin 110 are formed at the lower front side.

보다 자세하게는, 상기 폐기저귀 수거함(110)은 몸체(100) 전면 하부에 형성되는데, 상기 폐기저귀 수거함(110)은 수거함(110) 위쪽에 개폐장치를 구성한다.In more detail, the waste collection bin 110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front of the body 100, the waste collection bin 110 is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the top of the collection bin (110).

기계식으로 구성되는 개폐장치는 레버 또는 버튼 등과 같은 형태로 형성되어, 사용자는 수거함(110)의 손잡이를 당기거나 또는 버튼을 조작하는 것으로 개폐할 수 있다.Mechanical opening and closing device is formed in the form of a lever or a button, etc., the user can be opened and closed by pulling the handle of the collection box 110 or by operating a button.

폐기저귀 수거함(110)은 내용물의 수거가 용이하도록 쓰레기 봉투 등을 씌워서 사용하는것이 바람직하며, 그 용량은 상기 기저귀 교환대(1)가 설치되는 조건에 따라 조절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Waste bin collection box 110 is preferably used to cover the garbage bag to facilitate the collection of the contents, the capacity is preferably adjustable according to the conditions in which the diaper changing table (1) is installed.

한편, 상기 음향장치(120)는 상기 폐기저귀 수거함(110)과 함께 몸체(100)의 전면 하부에 형성되는데, 몸체(100) 내부에 멜로디 발생용 프로세스를 포함하고, 음향이 발생되는 스피커를 외부에 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그 작동원리는 다음과 같다.On the other hand, the sound device 120 is formed in the lower front of the body 100 together with the waste collection bin 110, including a process for generating a melody in the body 100, the sound is generated outside the speak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xposure to, the principle of operation is as follows.

사용자가 기저귀 교환대(1)를 사용하기 위해 상기 받침대(210)를 개방하면, 상기 받침대(210)의 힌지부에 형성된 센서로부터 작동 신호를 받아들인다. 작동신호를 받아들인 음향장치(120)는 미리 입력되어 있는 멜로디를 상기 몸체(100) 전면에 형성되어있는 스피커로 출력하여 멜로디를 발생시킨다.When the user opens the pedestal 210 to use the diaper changing table 1, the operation signal is received from a sensor formed at the hinge portion of the pedestal 210. The acoustic device 120 receiving the operation signal outputs the melody previously input to the speaker formed on the front of the body 100 to generate the melody.

사용자가 사용을 마친 후 상기 받침대(210)를 다시 접으면 상기 센서에서의 작동신호가 끊기고, 이에 따라 멜로디 또한 함께 멈추게 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가장 바람직한 멜로디는 잔잔하고 조용하여 영유아에게 안정감을 줄 수 있어야 하고, 나아가서는, 음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별도로 컨트롤러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When the user finishes the use and folds the pedestal 210 again, the operation signal from the sensor is cut off, and thus the melody is also stopped. The most preferred melod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alm and quiet to give infants a sense of stability, and furthermore, it is also possible to configure a separate controller to adjust the volume.

한편, 가방걸이(140)는 몸체(100)의 전면 또는 측면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기저귀 교환대(1)를 사용하는 동안 가방, 외투와 같은 소지품을 보관할 수 있게 한다. 상기 가방걸이(140)는 무거운 물건의 하중에도 견딜 수 있도록 상기 몸체(100)에 피스못으로 고정하거나 용접하여 접합하는 등 여러가지 결합방식을 이용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bag hanger 140 is formed on the front or side of the body 100, allowing the user to store the belongings, such as bags, coats while using the diaper changing table (1). The bag hanger 140 may use various coupling methods such as fixing or welding by means of a piece nail to the body 100 to withstand the load of heavy objects.

한편, 컨트롤러 박스(130)는 상기 몸체(100)의 측면에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상기 기저귀 교환대(1)가 설치되는 공간의 허용 여부에 따라 상기 몸체(100)의 전면, 상기 작동부(200)의 전면 및 측면 또는 상기 몸체(100)와 작동부(200)의 공간과는 별도로 마련되어 있는 공간에 유선으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콘트롤러 박스(130)의 구성은, 상기 작동부(200)를 위아래로 구동시킬 수 있는 상하작동 버튼, 상기 받침대(210)를 펴고 접을 수 있는 개폐작동 버튼, 사용자가 기저귀 교환대(1)의 사용을 마친 뒤, 자동으로 상기 받침대(210)를 닫으면서 상기 작동부(200)를 기본 위치로 이동시켜 처음의 상태로 되돌려 놓을 수 있는 상태 초기화 버튼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 상기 음향장치(120)의 음향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요소를 구성시킬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ler box 130 is most preferably formed on the side of the body 100, the front of the body 100, the operation unit according to whether the space for the diaper changing table 1 is installed or not Front and side of the 200 or the space between the body 100 and the operation unit 200 can be installed and used in a wired space provided separately.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roller box 130, the up and down operation button that can drive the operation unit 200 up and down,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button to fold and fold the pedestal 210, the user of the diaper changing table (1) After use, it is most preferably composed of a state reset button, etc., which can be moved back to the initial state by moving the operation unit 200 to the default position while automatically closing the pedestal 210, if necessary An element capable of adjusting the sound level of the sound device 120 may be configured.

1 : 승강장치가 구비된 기저귀 교환대
100 : 몸체 101 : 레크기어
102 : 피니언기어 103 : 모터
110 : 폐기저귀 수거함 120 : 음향장치
130 : 컨트롤러 박스 140 : 가방걸이
150 : 구동부 200 : 작동부
210 : 받침대 220 : 힌지
221 : 유압실린더 222 : 서보모터
230 : 안전벨트 240 : 자외선 살균램프
1: diaper changing table equipped with lifting device
100: body 101: recreation gear
102: pinion gear 103: motor
110: waste bin collection 120: sound device
130: controller box 140: bag hanger
150: driving unit 200: operating unit
210: pedestal 220: hinge
221: hydraulic cylinder 222: servo motor
230: seat belt 240: ultraviolet sterilization lamp

Claims (7)

영유아를 올려놓고 기저귀를 착용시킬 수 있는 기저귀 교환대에 있어서,
승강장치가 설치되는 몸체;
상기 몸체에 결합되어 상기 승강장치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 작동되는 작동부;
영유아를 올려놓을 수 있고, 회전장치가 구비되어 접철 작동을 하는 받침대; 및 컨트롤러 박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치가 구비된 기저귀 교환대.
In the diaper changing table where infants can be put on their diapers,
Body to which the lifting device is installed;
An operating part coupled to the body to be operated up or down by the elevating device;
Infant can be placed, the base is provided with a rotating device for folding operation; And diaper changing table is provided with a lifting device comprising a controller box.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작동부의 하단에 부착되는 레크기어;
상기 레크기어에 결합되는 피니언기어; 및
상기 피니언 기어가 결합된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치가 구비된 기저귀 교환대.
According to claim 1, The elevating device is a recreation gear attached to the lower end of the operating portion;
A pinion gear coupled to the recreation gear; And
Diaper change table provided with a lif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otor coupled to the pinion gea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장치는 상기 작동부와 받침대를 연결하는 유압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저귀 교환대.
The diaper change tabl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otating device is a hydraulic cylinder connecting the operation unit and the pedesta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장치는 상기 받침대와 작동부의 힌지축에 결합되어 정해진 각도로 정,역회전이 되는 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저귀 교환대.The diaper change tabl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otating device is a motor which is coupled to the hinge shaft of the pedestal and the operating unit and rotates forward and reverse at a predetermined angl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의 전면에는 자외선 살균램프가 형성되어서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저귀 교환대.The diaper changing tabl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 ultraviolet sterilizing lamp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operating sec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중 상단에 형성되어, 가방 또는 외투 등과 같은 물건을 걸어서 보관할 수 있는 가방걸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저귀 교환대.The diaper exchange stan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bag hanger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body and configured to hang and store an object such as a bag or a coa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 형성되어, 상기 받침대를 개봉하여 이용하는 동안 작동하여 음악이 재생되고, 상기 받침대를 닫으면 작동을 중지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저귀 교환대.The diaper change table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acoustic device formed in the body to operate while opening and using the pedestal to reproduce music, and to stop the operation when the pedestal is closed. .
KR2020110003956U 2011-05-09 2011-05-09 Diaper changing board with hoister KR20120007881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3956U KR20120007881U (en) 2011-05-09 2011-05-09 Diaper changing board with hois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3956U KR20120007881U (en) 2011-05-09 2011-05-09 Diaper changing board with hoist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7881U true KR20120007881U (en) 2012-11-19

Family

ID=47517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3956U KR20120007881U (en) 2011-05-09 2011-05-09 Diaper changing board with hois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7881U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0657B1 (en) * 2013-11-12 2015-06-23 김휘욱 Diaper bidet for baby
KR20180021602A (en) * 2016-08-22 2018-03-05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A diaper exchanging table
KR102045317B1 (en) * 2018-05-17 2019-11-18 대한민국 Diaper exchange bed for preventing fall
WO2022072499A1 (en) * 2020-09-30 2022-04-07 Pluie, Inc. Diaper changing tables and methods of using thereof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0657B1 (en) * 2013-11-12 2015-06-23 김휘욱 Diaper bidet for baby
KR20180021602A (en) * 2016-08-22 2018-03-05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A diaper exchanging table
KR102045317B1 (en) * 2018-05-17 2019-11-18 대한민국 Diaper exchange bed for preventing fall
WO2022072499A1 (en) * 2020-09-30 2022-04-07 Pluie, Inc. Diaper changing tables and methods of using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110893A1 (en) Trashcan
KR20120007881U (en) Diaper changing board with hoister
CN106491292A (en) Multi-purpose bed
KR101282765B1 (en) Nursing bed
CN203693946U (en) Multifunctional nursing bed for old people
JPWO2008093527A1 (en) Nursing bed
RU2682788C2 (en) Article for collecting urine and stool samples of users
US20210106477A1 (en) Bed
KR200402017Y1 (en) Bed for a patient
WO2013160679A1 (en) Sleeping unit
US9750350B2 (en) Bouncing and swiveling infant support structure
KR101822751B1 (en) Medical bed
CN206016326U (en) Between a kind of special suckling in public place
CN210494431U (en) Multi-functional nursing bed based on paediatrics nursing
KR20080101508A (en) Patient bed
CN109512616A (en) It is a kind of can automatic controlled height convenient for nursing medical perambulator
WO2020130769A1 (en) Retractable bed for people with limited or no mobility
CN113142882A (en) Multifunctional telescopic apartment bed
KR200399753Y1 (en) Portable toilet bowl
KR20150121908A (en) Folding type toilet for bedridden patients
KR101403524B1 (en) Also be used as bath in bedroom
CN207236935U (en) Care bed handrail
CN114948514B (en) Automatic measure multi-functional bedpan that prevents falling of urine volume
CN206852334U (en) A kind of multifunctional table
CN217806607U (en) Bedside folding type garbage bag hanging ra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