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7806A - 발열송풍 일체형 헤어드라이어 - Google Patents

발열송풍 일체형 헤어드라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7806A
KR20120007806A KR1020100068516A KR20100068516A KR20120007806A KR 20120007806 A KR20120007806 A KR 20120007806A KR 1020100068516 A KR1020100068516 A KR 1020100068516A KR 20100068516 A KR20100068516 A KR 20100068516A KR 20120007806 A KR20120007806 A KR 201200078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dryer
heating
housing
air
heat gen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8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79512B1 (ko
Inventor
김홍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트레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트레이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트레이스
Priority to KR10201000685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9512B1/ko
Publication of KR201200078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78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95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95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4Hot-air producers
    • A45D20/08Hot-air producers heated electrically
    • A45D20/10Hand-held drying devices, e.g. air douches
    • A45D20/12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e.g. nozzles, stan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48Hair-drying combs or hair-drying brushes, with internal heating means
    • A45D20/50Hair-drying combs or hair-drying brushes, with internal heating means and provision for an air stream

Landscapes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열송풍 일체형 헤어드라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가 유동되도록 전후방에 각각 토출공과 흡기공이 형성된 하우징과, 흡기공을 통해 하우징 내부로 외부공기가 강제 흡입되면, 하우징 내부로 강제 흡입된 공기가 발열되어 토출공을 통해 외부로 강제 배출되는 헤어드라이어에 있어서, 하우징에 길이방향으로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회전축과, 회전축을 회전 구동시키는 모터와, 회전축에 길이방향으로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되, 회전축과 모터가 내부에 수용되는 관 형태이며, 회전축에 의해 회전되는 몸체와, 몸체의 외경에 형성되며 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나열된 복수의 스크류 블레이드 및 스크류 블레이드의 외부면에 설치된 발열부를 포함하되, 발열부는 스크류 블레이드의 일면에 부착되는 금속 재질의 하부베이스와, 하부베이스 상면에 도포되는 세라믹 절연층과, 세라믹 절연층 상면에 인쇄되는 발열패턴층과, 발열패턴층에 연결된 리드선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송풍 일체형 헤어드라이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발열과 송풍이 일체로 일체로 구성되어 있어 구조가 단순하고, 공기가 접촉되어 발열되는 면적이 넓으면서 접촉시간을 증가시켜 저전력으로도 공기를 효과적으로 발열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발열송풍 일체형 헤어드라이어{Integrated Heating and Blowing Hair Dryer}
본 발명은 헤어드라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크류형 송풍팬의 날개면 상에 발열체를 코팅하여 송풍과 발열을 동시에 수득할 수 있는 발열송풍 일체형 헤어드라이어에 관한 것이다.
헤어드라이어는 젖은 상태의 모발을 건조시키거나, 젖은 상태의 모발에 어떠한 스타일을 연출하기 위해 열과 바람을 생성시키는 전자기기이다.
일반적으로 헤어드라이어는 전기로 열을 발생시키는 히터와, 히터에서 발생된 열을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모터에 연결된 팬이 별도로 배치된다.
즉, 팬을 가동시키면서 본체 후방 그릴을 통해 공기를 유입하여 흐름을 형성하도록 하고, 상기 공기의 흐름이 가열중인 히터를 경유하는 중에 가열된 후, 본체 전방 토출 그릴을 통해 모발에 더운 바람이 접촉하게 되어 젖은 상태의 모발을 건조시키거나, 원하는 헤어 스타일을 연출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헤어드라이어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와 가열된 공기를 송풍하기 위한 팬이 헤어드라이어의 본체 내부에서 차지하는 충분한 공간이 마련되어야 하고, 히터 및 팬이 설치되는 공간에 의해 그만큼 헤어드라이어를 소형, 경량으로 제작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모터로 팬을 회전시켜 공기를 히터로 송풍하면 히터로 인해 공기는 저항을 받게 되고, 이러한 공기 저항으로 인해 모터에서 소비전력이 커짐과 동시에 불가피하게 팬 소음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전기를 열원으로 하는 히터는 일반적으로 니켈과 크롬을 합금시킨 니크롬선을 발열체로 사용하는 것이며, 이러한 니크롬선 타입의 히터는 전기 회로로의 한 요소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산화반응으로 가늘어짐 현상이 발생하며 이로 인한 저항변화로 발열체로서의 물성이 변하여 온도제어의 정밀성 저하, 수명단축 및 사용 중 부분적으로 단락이 되어 히터 전체가 기능을 상실하게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과열로 인한 화재사고 등도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히터가 상술한 바와 같이 니크롬선의 코일 형태의 가는 선으로 되어 있어 공기와 직접 접촉되는 면이 넓지 못해 히터에서 발생하는 열을 효과적으로 공기로 전달하는데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는데,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히터의 온도를 과도하게 상승시켜야 하는데, 히터를 통해 방출되는 공기의 온도보다 히터 자체의 중심온도가 지나치게 상승하면 과열에 의한 안전사고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헤어드라이어 내부에 위치한 팬의 경우 그 크기가 작기 때문에 팬에 의해 충분한 유량의 공기를 히터로 공급하기 위해서는 고속으로 팬을 회전시켜야 하기 때문에 헤어드라이어의 사용시 필연적으로 팬 소음이 발생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과제는, 발열과 송풍이 일체로 구성되어 있어 구조가 단순하고, 공기가 접촉되어 발열되는 면적이 넓으면서 접촉시간을 증가시켜 저전력으로도 공기를 효과적으로 발열시킬 수 있는 발열송풍 일체형 헤어드라이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부수적인 과제는, 공기가 송풍되는 방향으로 설치된 넓은 면적의 날개로 인해 저속으로 날개가 회전되더라도 많은 양의 공기를 송풍시킬 수 있는 발열송풍 일체형 헤어드라이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부수적인 과제는, 기존의 발열선의 열팽창 계수와 발열선이 설치되는 베이스와의 열팽창 계수의 차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발열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발열송풍 일체형 헤어드라이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부수적인 과제는, 다량의 원적외선이 방출되어 사용자의 모발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발열송풍 일체형 헤어드라이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부수적인 과제는, 내부의 국부적 과열의 발생이 방지되어 과열에 의한 불쾌한 냄새의 억제 및 화재로 인한 안전사고를 미리 방지할 수 있는 발열송풍 일체형 헤어드라이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공기가 유동되도록 전후방에 각각 토출공과 흡기공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흡기공을 통해 상기 하우징 내부로 외부공기가 강제 흡입되면, 상기 하우징 내부로 강제 흡입된 공기가 발열되어 상기 토출공을 통해 외부로 강제 배출되는 헤어드라이어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길이방향으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회전축, 상기 회전축을 회전 구동시키는 모터, 상기 회전축에 길이방향으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되, 상기 회전축과 상기 모터가 내부에 수용되는 관 형태이며, 상기 회전축에 의해 회전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외경에 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나열된 복수의 스크류 블레이드 및 상기 스크류 블레이드의 외부면에 설치된 발열부를 포함하되, 상기 발열부는 상기 스크류 블레이드의 일면에 부착되는 금속 재질의 하부베이스와, 상기 하부베이스 상면에 도포되는 세라믹 절연층과, 상기 세라믹 절연층 상면에 인쇄되는 발열패턴층과, 상기 발열패턴층에 연결된 리드선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열패턴층은 산화루테늄(RuO2)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와 상기 흡기공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에 의해 회전되는 보조 송풍팬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열부는 상기 스크류 블레이드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열부는 상기 발열패턴층 상면에 보호층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 내경면에 반사면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발열과 송풍이 일체로 구성되어 있어 구조가 단순하고, 공기가 접촉되어 발열되는 면적이 넓으면서 접촉시간을 증가시켜 저전력으로도 공기를 효과적으로 발열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가 송풍되는 방향으로 설치된 넓은 면적의 날개로 인해 저속으로 날개가 회전되더라도 많은 양의 공기를 송풍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발열선의 열팽창 계수와 발열선이 설치되는 베이스와의 열팽창 계수의 차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발열부의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량의 원적외선이 방출되어 사용자의 모발 건강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의 국부적 과열의 발생이 방지되어 과열에 의한 불쾌한 냄새의 억제 및 화재로 인한 안전사고를 미리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발열송풍 일체형 헤어드라이어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발열송풍 일체형 헤어드라이어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 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발열송풍 일체형 헤어드라이어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발열송풍 일체형 헤어드라이어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 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발열송풍 일체형 헤어드라이어는, 회전축(200), 모터(M)(미도시), 몸체(300), 스크류 블레이드(400) 및 발열부(410)를 포함하는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며,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서의 헤어드라이어는 기본적으로 공기가 유동되도록 전후방에 각각 토출공(120)과 흡기공(110)이 형성된 하우징(100)과, 상기 흡기공(110)을 통해 상기 하우징(100) 내부로 외부공기가 강제 흡입되면, 상기 하우징(100) 내부로 강제 흡입된 공기가 발열되어 상기 토출공(120)을 통해 외부로 강제 배출되는 일반적인 방식의 헤어드라이어를 기본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회전축(200)은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설치되는데, 상기 하우징(100)의 길이방향, 즉 상기 흡기공(110)과 토출공(120)에 양단이 각각 결합되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200)에는 모터(M)(미도시)가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200)을 무한 회전시킨다.
상기 몸체(300)는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회전축(200)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된다. 이때, 상기 몸체(300)는 길이방향으로 내부가 빈 관 형태로 이루어져, 그 내부에 모터(M)(미도시)가 수용되며, 상기 몸체(300)는 상기 회전축(200)에 의해 회전된다.
상기 스크류 블레이드(400)는 상기 몸체(300)의 외경에 복수로 나열되어 형성되는데, 상기 몸체(3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위치한다.
즉, 상기 몸체(300)의 외경에 형성된 스크류 블레이드(400)는 송풍을 위한 기존의 헤어드라이어 송풍 팬의 날개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상기 회전축(200)의 전후방향으로 길게 설치된 몸체(300)의 외경면에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스크류 블레이드(400)가 일반적인 직선형태의 날개가 아닌 연속적인 스크류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후술하는 발열부(410)에서와 같이 공기가 상기 스크류 블레이드(400) 사이에 보다 많은 시간 동안 머무를 수 있어 발열효과를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상기 발열부(410)는 상기 스크류 블레이드(400)의 외부면에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발열부(410)는 하부베이스(411), 세라믹 절연층(412), 발열패턴층(413) 및 리드선(414)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하부베이스(411)는 약 0.5 내지 1.5mm의 두께로 이루어진 SUS(stainless steel) 또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재질이며, 상기 하부베이스(411)의 상면에 세라믹 절연체가 수차례 얇게 도포되어 세라믹 절연층(412)이 형성되고, 상기 세라믹 절연층(412)이 형성된 하부베이스(411)의 상면에 발열패턴층(413)이 인쇄된다.
이때, 상기 발열패턴층(413)은 선(Line) 형태로 이루어진 산화루테늄(Ru02)계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도 3 참조)
그리고, 상기 발열패턴층(413)은 양 끝단이 소정의 리드선(414)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는다.
여기서, 상기 발열부(410)는 상기 발열패턴층(413) 상면에 소정의 보호층(415)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추가로 상기 보호층(415) 상부에 선택적으로 추가 보호층(415)이 더 형성될 수 있어, 세라믹 절연층(412)과 발열패턴층(413)과 리드선(414) 및 상기 보호층(415)을 전체적으로 커버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의 발열부(410)는 산화루테늄(Ru02)계 소재의 발열패턴층(413)이 상기 하부베이스(411)에 인쇄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상기 하부베이스(411)와 상기 세라믹 절연층(412) 간의 열팽창계수 차이 및 상기 세라믹 절연층(412)과 상기 발열패턴층(413) 간의 열팽창계수 차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즉, 상기 발열부(410)가 고온으로 급격히 상승하였을 경우 각각의 구성요소들 간의 열팽창계수 차이로 인해 상기 발열부(41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발열부(410)의 급격히 온도가 상승하여도 안전하고, 상기 발열부(410)의 구조가 면 발열체이기 때문에 보다 균일한 발열이 가능하며, 나아가 발열부(410)의 형태를 다양하게 변경 가능함에 있어 그 형태의 제약이 없다는 장점이 있다.
더불어, 상기 세라믹 절연층(412)이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세라믹 소재로 이루어져 있어 사용자의 모발 건강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때, 상기 하우징(100) 내경면에는 상기 세라믹 절연층(412)에서 방출되는 원적외선이 반사되어 상기 토출공(120)을 통해 방출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반사면(130)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열부(410)는 선택적으로 상기 스크류 블레이드(400)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의 발열송풍 일체형 헤어드라이어는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설치되며, 모터(M)(미도시)를 내부에 수용하면서 외경면에는 발열부(410)가 형성된 스크류 블레이드(400)가 형성된 몸체(300)가 회전축(200)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이렇게 회전하는 몸체(300)에 의해 상기 하우징(100)의 후방의 흡기공(110)을 통해 찬 외부 공기가 상기 하우징(100) 내부로 강제 흡입되면, 상기 스크류 블레이드(400)에 형성된 발열부(410)에 의해 공기가 발열됨과 동시에 상기 회전하는 몸체(300)의 외경면에 설치된 스크류 블에이드로 인해 상기 하우징(100)의 전방 토출공(120)으로 발열된 공기가 토출되어 사용자의 모발에 전달되는 것이다.
이와 동시에 발열부(410)의 세라믹 전열층에 의해 원적외선이 방출되면 상기 하우징(100)의 내경면의 반사면(130)에 원적외선이 반사되면서 상기 토출공(120)을 통해 사용자의 모발에 전달된다.
이는 헤어드라이어의 내부로 유입되는 외부의 찬 공기가 회전하는 상기 몸체(300)의 외경면에 형성된 넓은 면으로 이루어진 스크류 블레이드(400)에 접촉하여 송풍됨과 동시에 상기 스크류 블레이드(400) 면에 형성된 발열부(410)에 의해 발열됨으로써 가열효율이 기존의 코일방식의 히터에 비해 월등히 그 효율이 높은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발열부(410)가 SUS 또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재질의 하부베이스(411) 상에 바로 구현됨으로 열 저항이 적어 최종적으로 발열된 공기의 온도와 발열부(410) 간의 온도차이가 거의 없어 사용자가 원하는 공기 온도를 얻게 되더라도 발열부(410)의 최고 온도는 공기 온도와 유사(약 200℃)하기 때문에 발열부(410)의 국부적인 과열이 전혀 발생하지 않아 기존의 헤어드라이어의 과열로 인한 안전 사고 등의 발생 가능성이 없고, 기존의 헤어드라이어의 국부 고온으로 인해 타는 듯한 냄새가 발생하지 않아 사용자가 안전하고 쾌적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의 상기 몸체(300)와 상기 몸체(300)의 외경면에 형성된 스크류 블레이드(400)가 일체로 구성되어 있어 송풍과 가열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고, 이에 송풍에 필요한 상기 스크류 블레이드의 날개 면적을 넓게 하는 것이 가능하고, 더불어 모터(M)(미도시)가 긴 관 형태의 몸체(300) 내부에 수용됨으로써, 선택적으로 용량이 큰 모터(M)(미도시)를 용이하게 설치 및 교체할 수 있기 때문에 적은 회전으로도 더욱 많은 양의 공기를 송풍할 수 있다.
따라서, 저속으로 인해 송풍 소음이 적고, 송풍 날개 자체가 스크류 형태로 되어 있어 기존의 일반적인 헤어드라이어의 송풍 팬에 비해 소음의 발생이 적은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헤어드라이어는 원적외선의 방사율이 매우 높다. 이는 발열부(410)의 세라믹 절연층(412)에 의해 방출되는 원적외선을 하우징(100)의 내경면에 설치된 반사면(130)에 의해 원적외선이 토출공(120) 방향으로 반사되어 토출공(120)을 통해 사용자의 모발에 직접 접촉함으로써 결과적으로 공기를 통한 대류열전달과 원적외선을 통한 복사 열전달을 모두 이용하게 되므로 젖은 머리를 단시간에 건조시킴과 동시에 머릿결을 건강하게 하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발열송풍 일체형 헤어드라이어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 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발열송풍 일체형 헤어드라이어는 상기 몸체(300)와 상기 흡기공(110) 사이에 보조 송풍팬(500)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보조 송풍팬(500)은 상기 회전축(200)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200)에 의해 회전되는데, 상기 모터(M)(미도시)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200)으로 인해 회전한다. 즉, 상기 회전축(200)이 회전함으로써 상기 몸체(300)와 상기 보조 송풍팬(500)이 동시에 회전하여 더욱 많은 양의 공기를 송풍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청구항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변형이나 변경 실시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0: 하우징 110: 흡기공
120: 토출공 130: 반사면
200: 회전축 300: 몸체
400: 스크류 블레이드 410: 발열부
411: 하부베이스 412: 세라믹 절연층
413: 발열패턴층 414: 리드선
415: 보호층 500: 보조 송풍팬

Claims (6)

  1. 공기가 유동되도록 전후방에 각각 토출공과 흡기공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흡기공을 통해 상기 하우징 내부로 외부공기가 강제 흡입되면, 상기 하우징 내부로 강제 흡입된 공기가 발열되어 상기 토출공을 통해 외부로 강제 배출되는 헤어드라이어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길이방향으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회전축;
    상기 회전축을 회전 구동시키는 모터;
    상기 회전축에 길이방향으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되, 상기 회전축과 상기 모터가 내부에 수용되는 관 형태이며, 상기 회전축에 의해 회전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외경에 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나열된 복수의 스크류 블레이드; 및
    상기 스크류 블레이드의 외부면에 설치된 발열부를 포함하되,
    상기 발열부는 상기 스크류 블레이드의 일면에 부착되는 금속 재질의 하부베이스와, 상기 하부베이스 상면에 도포되는 세라믹 절연층과, 상기 세라믹 절연층 상면에 인쇄되는 발열패턴층과, 상기 발열패턴층에 연결된 리드선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송풍 일체형 헤어드라이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패턴층은 산화루테늄(RuO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송풍 일체형 헤어드라이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와 상기 흡기공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에 의해 회전되는 보조 송풍팬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송풍 일체형 헤어드라이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는 상기 스크류 블레이드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송풍 일체형 헤어드라이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는 상기 발열패턴층 상면에 보호층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송풍 일체형 헤어드라이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경면에 반사면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송풍 일체형 헤어드라이어.
KR1020100068516A 2010-07-15 2010-07-15 발열송풍 일체형 헤어드라이어 KR1011795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8516A KR101179512B1 (ko) 2010-07-15 2010-07-15 발열송풍 일체형 헤어드라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8516A KR101179512B1 (ko) 2010-07-15 2010-07-15 발열송풍 일체형 헤어드라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7806A true KR20120007806A (ko) 2012-01-25
KR101179512B1 KR101179512B1 (ko) 2012-09-07

Family

ID=45613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8516A KR101179512B1 (ko) 2010-07-15 2010-07-15 발열송풍 일체형 헤어드라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95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7119B1 (ko) * 2018-12-27 2020-05-0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타이어-노면 마찰음과 인공지능을 이용한 도로포장 상태등급 판정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44788B2 (ja) 2002-11-19 2008-09-03 九州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整髪具
CN200973180Y (zh) 2006-11-09 2007-11-07 吴胜红 电烫发夹的厚膜加热器改良结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7119B1 (ko) * 2018-12-27 2020-05-0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타이어-노면 마찰음과 인공지능을 이용한 도로포장 상태등급 판정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9512B1 (ko) 2012-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95568Y1 (ko) 할로겐 헤어드라이기
KR101277264B1 (ko) 세라믹히터를 갖는 헤어드라이기
KR101277784B1 (ko) 세라믹 발열체를 갖는 헤어 드라이어
CN105286263A (zh) 一种吹风机
KR20070094041A (ko) 음이온, 원적외선 발생 헤어드라이어
KR101179512B1 (ko) 발열송풍 일체형 헤어드라이어
CN207461648U (zh) 吹风机
KR101175920B1 (ko) 크로스 플로우 타입의 임펠러를 구비한 원적외선 발생 헤어드라이어
KR100701919B1 (ko) 헤어 드라이어
JPH0234603B2 (ko)
KR200428978Y1 (ko) 헤어 드라이기의 히터장치
KR101765671B1 (ko) 헤어드라이어
KR200490185Y1 (ko) 카본히터가 구비된 헤어드라이기
CN205143846U (zh) 一种吹风机
KR100431279B1 (ko) 근적외선 히터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열기구
CN208720511U (zh) 热能集中的电加热风扇
KR200497503Y1 (ko) 휀이 결합된 난방용 전기히터
KR101417327B1 (ko) 헤어드라이어의 발열체 구조
JP2702767B2 (ja) 遠赤外線温風器
KR200316314Y1 (ko) 온풍기
CN216932208U (zh) 干燥设备
CN220571706U (zh) 一种低功率移动电吹风
JPH0451436Y2 (ko)
CN210630395U (zh) 一种宠物烘干机
KR100525308B1 (ko) 발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