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7655A - 신균주 쎄네데스무스 오블리쿼스 ysw15 - Google Patents

신균주 쎄네데스무스 오블리쿼스 ysw15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7655A
KR20120007655A KR1020100068295A KR20100068295A KR20120007655A KR 20120007655 A KR20120007655 A KR 20120007655A KR 1020100068295 A KR1020100068295 A KR 1020100068295A KR 20100068295 A KR20100068295 A KR 20100068295A KR 20120007655 A KR20120007655 A KR 201200076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sw15
strain
obliquus
kacc93097p
scenedesmus obliqu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82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55435B1 (ko
Inventor
전병훈
최정아
황재훈
김영훈
양일승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682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5435B1/ko
Publication of KR201200076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76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54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54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2Unicellular algae; Culture media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4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characterised by the microorganisms used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06Lysis of microorganisms
    • C12N1/066Lysis of microorganisms by physical method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2Unicellular algae;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25Unicellular algae is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7/00Preparation of oxy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C12P7/02Preparation of oxy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hydroxy group
    • C12P7/04Preparation of oxy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hydroxy group acyclic
    • C12P7/06Ethanol, i.e. non-beverage
    • C12P7/065Ethanol, i.e. non-beverage with microorganisms other than yeas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89Algae ; Processes using alga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10Biofuels, e.g. bio-diese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ir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Botan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yc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균주 쎄네데스무스 오블리쿼스 YSW15[KACC93097P]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신균주 쎄네데스무스 오블리쿼스 YSW15[KACC93097P]는 고농도 탄수화물 함량을 가지고 있어 바이오에탄올 생산에 매우 효과적이고, 또한 폐수 내성이 강하여 폐수 내 질소와 인을 제거할 수 있으므로 폐수 처리와 동시에 바이오 에너지 생산에 좋은 에너지 원료로 사용 가능하다.

Description

신균주 쎄네데스무스 오블리쿼스 YSW15{Novel strain Scenedesmus obliquus YSW15}
본 발명은 폐수 내성 및 탄수화물 함량이 높은 쎄네데스무스 오블리쿼스 YSW15(Scenedesmus obliquus YSW15)[KACC93097P] 균주에 관한 것이다.
화석 연료 고갈 사태, 온실가스 규제 강화를 배경으로 대체에너지 개발이 세계 이슈로 부상하고 있으며, 차세대 연료로서 바이오에탄올 보급이 급속히 진행되고 있다.
미국은 2017년까지 석유소비를 20% 줄이는 대신 바이오에탄올 등 대체에너지 이용 확대와 일본, 중국 등 국가도 바이오에탄올 생산 정책을 추진 중이다. 바이오에탄올은 사탕수수, 옥수수 등 식물에서 추출한 연료로, 휘발유와 혼합하거나 단독으로 자동차 연료로 사용될 수 있어 바이오디젤과 더불어 대표적인 재생자원 에너지로 각광받고 있다.
그러나, 바이오에탄올이 대체에너지로 부상하면서 원료가 되는 옥수수, 사탕수수, 밀 등에 대한 수요가 급증해 곡물가격 급등의 한 요인이 되고 있어, 곡물로부터 바이오에탄올을 얻는 방법은 식량을 원료원으로 사용된다는 비난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하다. 이에, 세계 바이오에너지 시장은 에너지 원료를 곡물계에서 목질계로 방향을 돌리고 있지만, 목질계는 리그닌 제거 등의 전처리에 어려움으로 쉽게 활용되고 있지 못하고 있다.
최근, 바이오에탄올의 원료로 사용되는 에너지원으로 국내ㆍ외 연구 그룹에서는 탄수화물 및 당질이 풍부한 해조류로부터 바이오에탄올을 얻는 기술을 연구 중에 있다.
바이오에탄올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크게 원료 물질의 당화, 발효 및 증류의 세 단계를 거치는데, 특히 원료의 당화에 많은 화학적, 열처리 등이 소요된다. 이러한 전처리 공정들은 낮은 수율, 성분의 변화, 첨가제 사용으로 인한 장비의 부식 및 환경오염 및 부산물의 생성 등의 단점이 존재하며, 이마저도 아직 상업적 가능성을 보이는 결과는 발표되지 않고 있다. 또한, 발효 단계에서 사용되는 효모는 생성된 알코올에 의해 효모의 생장이 억제되는데, 이는 바이오에탄올 생성 효율을 제한한다.
이에 반해 조류는 다른 원료에 비해 높은 경제적 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식량 자원 및 자연 파괴와 같은 부정적 요소가 상대적으로 낮다. 또한, 부영양화로 인하여 해수오염 문제를 야기하고 있는 해조류를 바이오에탄올의 원료로서 사용한다면 폐기물로부터의 부가가치 창출이라는 경제적 및 친환경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미세조류는 탄수화물, 단백질, 지질 등으로 형태를 구성하고 있으며, 효율적으로 탄수화물을 이용하게 되면 다량의 에탄올을 쉽게 얻을 수 있다. 폐수에 내성을 가지는 조류는 성장이 빠르고, 탄수화물 및 지질의 함량이 높아 발효 시 에탄올로 전환될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조류는 구조물이 단단한 세포벽을 지니고 있어, 세포벽을 파괴하는 전처리가 요구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바이오에탄올의 생산효율을 증대시킨 새로운 공정을 개발하던 중 폐수에 대해 내성을 갖는 미세조류 균주를 확보하게 되었다. 또한, 미세조류를 초음파로 전처리하여 세포벽을 파쇄시켜 탄수화물을 추출하고, 이를 혐기균이 있는 산발효조에 투입시켜 산발효 시킴으로써 바이오에탄올을 용이하게 수득하는 방법을 개발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신규한 미세조류를 폐수 처리에 사용하여 환경오염 문제를 해결하고, 그 과정에서 생성된 미세조류를 바이오에탄올 생산용 원료로 활용하여 대체에너지를 해결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쎄네데스무스 오블리쿼스 YSW15(Scenedesmus obliquus YSW15)[KACC93097P] 균주 및 이의 배양액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초음파로 전처리하여 세포벽이 파쇄된 미세조류를 혐기균으로 산발효시켜 바이오에탄올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바이오에탄올의 제조방법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쎄네데스무스 오블리쿼스 YSW15(Scenedesmus obliquus YSW15)[KACC93097P]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포함하는 폐수 처리용 미생물제제를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폐수에서 상기 신균주를 배양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쎄네데스무스 오블리쿼스 YSW15(Scenedesmus obliquus YSW15)[KACC93097P] 균주를 이용하여 폐수 내성과 바이오에탄올 생산원인 탄수화물 함유를 검토하여 바이오에탄올 생산용 신균주로서의 가능성을 확보하였다.
본 발명의 신균주는 폐수 내성이 강하며, 폐수에 함유된 N, P의 직접 적용이 가능하여 배양의 경제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성장된 쎄네데스무스 오블리쿼스 YSW15(Scenedesmus obliquus YSW15)[KACC93097P]는 높은 함량(40 중량% 이상) 탄수화물을 함유하고 있어 바이오에탄올 생산에 기여토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에탄올 생성경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쎄네데스무스 오블리쿼스 YSW15(Scenedesmus obliquus YSW15)[KACC93097P]의 사진이다.
도 3은 쎄네데스무스 오블리쿼스 YSW15(Scenedesmus obliquus YSW15)[KACC93097P]의 계통수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폐수와 BBM에서 쎄네데스무스 오블리쿼스 YSW15(Scenedesmus obliquus YSW15)[KACC93097P]의 질소 및 인 제거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미세조류를 이용한 바이오에탄올 생성공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혐기균(산발효균)이 있는 산발효조에 파쇄된 조류를 주입했을 때 발생된 바이오 에탄올 생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파쇄된 조류의 세포벽을 보여준 사진으로 초음파 전처리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신균주인 클라미도모나스 피트쉬만니 YSL03은 본 발명자들에 의해 최초로 분리 동정된 것으로서, 하ㆍ폐수 처리장에서 BBM 배지를 이용하여 균주를 분리하였으며, 분리한 균주를 28s rDNA 시퀀싱 서열 검색에 의해 분자 유전학적인 방볍으로 분석한 결과, 표준 균주인 쎄네데스무스 오블리쿼스 AF183482와 97% 유사한 신균주임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분리 동정된 신균주를 쎄네데스무스 오블리쿼스 YSW15라 명명하였으며, 2010년 5월 13일자로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유전자원센터에 기탁하여 수탁번호 KACC93097P를 부여받았다.
상기 쎄네데스무스 오블리쿼스 YSW15는 탄수화물 함량이 다른 조류에 비해 2 내지 8배 향상된 새로운 균종으로서, 균체 건조 중량 1g 당 4 g/L 이상(바람직하기로는 8 내지 15 g/L )의 탄수화물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쎄네데스무스 오블리쿼스 YSW15는 폐수에서 배양이 가능하며, 특히, 20 내지 30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27 ℃), pH 7.0 내지 8.0(보다 바람직하게는 pH 7.2 내지 7.6)에서 배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BBM 배지(KH2PO4, CaCl2ㆍ2H2O, MgSO4ㆍ7H2O, NaNO3, K2HPO4, NaCl, H3BO3 및 미량원소를 함유하는 배지) 에서 배양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미량원소는 ZnSO4ㆍ7H2O, MnCl2ㆍ4H2O, MoO3, CuSO4ㆍ5H2O 및 Co(NO3)2ㆍ6H2O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쎄네데스무스 오블리쿼스 YSW15는 질소, 인(50 mg/L, 3 mg/L) 조건 하에서도 생육이 가능하므로 폐수의 희석 배율을 크게 낮추지 않고도 배양이 가능하다.
또한, 폐수 내 오염원인 질소, 인 제거 효과를 나타내므로 폐수 처리에 활용 가능하다.
국내의 축산 농가는 11만 가구 이상으로 많은 양의 질소, 인의 성분이 폐수처리장으로 유입된다. 기존 질소, 인 제거는 물리, 화학, 생물학적 방법이 전부 이용되며, 경제적인 부분에 많은 단점이 있으나, 조류 재배 시 광합성에 필요한 빛은 자연 상태인 태양으로부터 섭취하며 부가적 성장 요소인 질소, 인을 폐수에서 자연스럽게 섭취하므로 처리 공정이 단순하다. 따라서, 공정 시설에 필요한 투자비와 운전비용이 대단히 낮아 상용화 가능성은 매우 높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쎄네데스무스 오블리쿼스 YSW15[KACC93097P]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포함하는 폐수 처리용 미생물제제를 제공할 수 있다.
폐수를 활용하여 배양시킨 본 발명에 따른 쎄네데스무스 오블리쿼스 YSW15는 빠른 성장 속도와 동시에 탄수화물이 풍부한 종(균체 건조 중량의 탄수화물 함유량 40% 이상)으로서, 탄수화물 추출로 인한 바이오 에탄올을 생산할 수 있는 성분 제공 요소로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은 또한 초음파로 전처리하여 세포벽이 파쇄된 미세조류를 혐기균으로 산발효시켜 바이오에탄올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바이오에탄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에탄올의 제조방법은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미세조류를 전처리시켜 세포벽을 파쇄하여 당화시킨다.
미세조류를 초음파 처리로 세포벽 파괴를 시도하여 조류 내 탄수화물(carbohydrate) 또는 당류(saccharide)의 단당이 쉽게 용존되도록 한다.
상기 미세조류로는 탄수화물을 함유하는 미세조류라면 모두 가능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신균주 쎄네데스무스 오블리쿼스 YSW15를 사용하였다. 특히, 초음파를 5 내지 30분 동안 처리하여 미세조류 내 함유된 당 성분을 90% 정도 추출 가능하다.
상기 초음파는 20 내지 60 kHz, 1.0 내지 5.0 Kw의 세기로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세포벽이 파쇄된 미세조류가 기질로 사용되어 혐기균에 의해 산발효되어 바이오에탄올을 얻을 수 있다.
즉, 전처리되어 용존된 단당(파쇄된 미세조류)은 혐기 산발효 과정에서 에탄올로 전환되며, 산발효 공정의 선택은 도 1과 같이 당류가 빠르게 전환되어 에탄올 생성이 가능한 이유에서이다.
상기 산발효는 30 내지 40 ℃(보다 바람직하게는 33 내지 37 ℃)와 pH 5.0 내지 7.0(보다 바람직하게는 pH 5.5 내지 6.5)의 조건 하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발생된 바이오매스(파쇄된 미세조류)에는 다량의 탄수화물이 포함되어 있어, 차세대 발효 공정 에너지원으로 활용 가능하며, 폐 바이오매스 활용 가치가 있어 상용화 가능성은 매우 높다.
또한, 혐기 산발효의 기질로 활용되는 파쇄조류는 탄수화물 추출로 인한 에탄올을 생산할 수 있는 성분 제공 요소로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조류의 탄수화물을 분석하는 방법으로는 anthrone-H2SO4 법, Molisch법, fehling법 등을 실시하여 탄수화물을 분석해 낼 수 있다.
또한, 이렇게 분리한 탄수화물을 분석한 결과, 균체 건조 중량에 대하여 40 중량% 이상 포함되어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바이오에탄올을 생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의 실시예는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신균주의 분리 및 배양
강원도 원주 지역의 하?폐수처리장 주변에서 시료를 채취하였다. 채취 시료는 200 mL 시험관에 다음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BBM 액체배지를 넣고 약 2주간 정치 배양하였다. 폐수의 농도는 질소ㆍ인이 각각 50 mg/L, 3 mg/L로 공급하며 형광등을 광원으로 하여 배양 시험관 표면에서 조도를 약 24 watt로 조절한 후 직접 배양하였다. 예비 배양한 시료 1 mL를 10 mL의 멸균 증류수가 포함된 30 mL시험관에 넣고 잘 혼합하여 미세조류 세포를 분산시켰다. 이로부터 마이크로 피펫을 사용하여 0.1 mL의 시료를 취한 후 멸균 증류수가 포함된 시험관에 넣고 혼합하였다. 이러한 조작을 5회 반복한 후 각각의 시험관에서 약 0.1 mL의 시료를 취하고, 이를 다음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성의 BBM 배지가 놓인 페트리디쉬(Petri dish)에 접종한 다음, 온도 25 ~ 27 ℃ 및 조도 50 μmol/㎡-sec의 배양기에서 2~3주간 정치 배양하였다. 미세조류의 군락(Colony)이 나타나면 현미경으로 확인하면서 백금이를 사용하여 각각의 군락을 웰 세포 배양 플레이트(well cell culture plate)에 옮겨 분리를 시작하였다. 각각의 홀에는 조류군락과 BBM배지를 1:1로 하여 투여 후 10 내지 14일간 배양하였다. 일부 미생물의 성장을 억제하게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항생제 스트렙토마이신을 사용하여 조류만을 성장하도록 하였다. 이때, 사용된 항생제의 양은 배지 1L 당 0.15 μm/ mL를 사용하였다. 일정 기간 후 각각의 홀에 배양된 군락을 현미경 관찰하였다. 이때, 대부분의 홀에서는 특성 미세조류만 성장하며, 같은 모양을 지닌 종을 BBM 배지로 준비된 페트리디쉬에서 배양을 하였다. 일정 기간 후 배양된 조류 군락은 한 종류의 군락으로 우세하게 배양되며, 이 군락을 채취하여 100 m의 BBM 배지가 들어있는 250 mL 삼각 플라스크에 이식하여 본 배양을 시작하였다.
[표 1]
Figure pat00001
[표 2]
Figure pat00002
도 2는 분리 균주인 쎄네데스무스 오블리쿼스 YSW15[KACC93097P] 균주를 나타낸 것이다. 폐수에 적응한 뒤 성장에 저해를 받지 않고 원형의 모습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쎄네데스무스 오블리쿼스 YSW15에는 다량의 탄수화물이 함유되어 있으며 미세조류의 생산성이 다른 조류에 비해 빠르게 나타났다.
실시예 2: 분리 균주 배양
상기 표 1의 BBM 배지를 이용하여 쎄네데스무스 오블리쿼스 YSW15균주를 25 내지 27 ℃, pH 7.2 내지 7.6 하에서 250 mL 삼각플라스크에 10 mL의 상기 균주를 넣고 형광 교반 배양기에서 약 14일간 배양을 하였다. 교반은 150 rpm으로 유지하였으며, 조도 50 μmol/㎡-sec를 유지하였다.
실시예 3: 분리 균주의 동정
상기 실시예 1의 분리 균주의 염기서열 분석은 28s rDNA 염기서열 시퀀스분석법으로 분석하였다. 샘플의 상태는 쎄네데스무스 오블리쿼스 YSW15 집락이 있는 평판배지 상태로 의뢰하였으며, 의뢰 내역으로는 추출-gDNA, PCR 증폭에 의한 PCR 생성물을 시퀀싱(sequencing) 반응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프라이머는 다음과 같다.
정방향 프라이머: 5'-AGCGGAGGAAAAGAAACTA-'3 (서열번호 2)
역방향 프라이머: 5'-TACTAGA-AGGTTCGATTAGTC-'3 (서열번호 3)
28s rDNA 염기서열 분석 결과를 첨부된 서열번호에 기재하였으며, 계통학적 결과는 쥬크-캔터(Jukes-Cantor) 모델을 적용한 네이버-조이닝(Neighbour-joining) 방법에 따라 계통수(phylogenetic tree)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분리 균주의 염기서열[서열번호 1]은 NCBI에서 상동성을 조사한 결과, 다음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쎄네데스무스 오블리쿼스로 분류되었다.
[표 3]
Figure pat00003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분리한 미세조류균은 형태 및 최적 온도, pH 등의 특성을 종합 고려할 때 쎄네데스무스 오블리쿼스에 속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신균주를 쎄네데스무스 오블리쿼스 YSW15 [KACC93097P]라 명명하였으며, 2010년 5월 13일 자로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유전자원센터에 기탁하여 수탁번호 KACC93097P를 부여받았다.
실시예 4: 폐수 내성 및 질소, 인 제거 확인
MF(Micro Filtration)을 거친 폐수에 상기 실시예2에 의해 확보된 조류 쎄네데스무스 오블리쿼스 YSW15에서 질소와 인 제거를 검토하기 위하여 각각 다른 유입원에 따라 조류를 씨딩(seeding)하였다. 각각의 반응조는 25 내지 27 ℃의 실내 온도를 유지하였으며, pH는 6.8 내지 7.2로 자연 상태로 유지하였고 회분 실험 형태로 진행하였다. 처음 식종 후 조류가 적응하는 데까지 걸리는 시간은 2 ~ 3 일 내외로 그 이후 폐수의 초기농도에 관계없이 질소와 인의 제거가 발생되었다.
도 4에서는 조류 적응이 진행된 후로 6일 내로 질소와 인의 저감이 빠르게 진행되었고 9일 후 인은 전부 제거되었다. 반응기에 정상 상태(steady-state)의 조류를 적용 시 빠른 인, 질소의 제거가 발생될 것으로 판단된다.
실시예 5: 바이오에탄올 제조
1) 탄수화물 추출(전처리 과정)
배양된 쎄네데스무스 오블리쿼스 YSW15[KACC93097P]의 고형물을 1% 회수한 뒤 증류수로 희석하여, 40 kHz, 2.2 Kw의 초음파로 15분 동안 처리하여 세포벽을 60% 이상 파쇄시켰다.
파쇄된 쎄네데스무스 오블리쿼스 YSW15(이하, 파쇄조류)는 탄수화물이 균체 건조 중량(dry biomass) 1g을 기준으로 탄수화물이 약 11 g /L 포함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파쇄 전 측정된 탄수화물에 비해 70 ~ 75% 증가된 양이다.
[표 4]
Figure pat00004
2) 혐기 산발효
상기 1)의 파쇄조류를 혐기균인 클로스트리디움 속(Clostridium sp.)이 들어 있는 산발효조에 투입시켰다. 혐기균은 글루코오스 10,000 mg/L; NH4HCO3, 4,700 mg/L; K2HPO4, 125 mg/L; MgCl2.6H2O, 100 mg/L; MnSO4ㆍ6H2O, 15 mg/L; FeSO4ㆍ7H2O, 25 mg/L; CuSO4ㆍ5H2O, 5 mg/L; CoCl2ㆍ5H2O, 0.1 mg/L; NaHCO3, 2,000 mg/L를 이용하여 배양하였으며, 이때 체류시간(HRT)은 12 시간으로 조절하였다. 클로스트리디움 속으로 안정화된 반응조는 기질로 쎄네데스무스 오블리쿼스 YSW15를 이용하여 발효과정을 거쳐 고품질의 바이오에탄올을 회수하며, 이때 파쇄조류와 혐기균은 50:50의 중량비로 35 ℃와 pH 5.5 내지 6.0로 운전되는 산발효조 내 포함되었다.
산발효 공정을 통하여 바이오에탄올 0.257(g 에탄올/ g 바이오매스)를 수득하였으며, 탄수화물 (당) 전환율은 기존 물질인 사탕수수, 사탕옥수수 (12.5%, 14%)에 비해 45% 이상, 같은 미세조류에 비해 2% 이상 효율이 좋았다 (표 5 참고).
도 6은 혐기균(산발효균)이 있는 산발효조에 파쇄된 조류를 주입했을 때 발생된 바이오에탄올 생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대조군으로 사용된 스타치는 녹말 성분으로 화학적 구성은 자당으로 되어 있어 산발효에서 쉽게 바이오에탄올로 전환될 수 있는 물질이다. 연구 결과 전처리를 거친 파쇄조류에서 스타치와 비슷한 양의 바이오 에탄올이 생성되었다. 전처리되지 않은 조류는 단단한 조류 세포벽에 의해 산발효조에서 당 성분이 용존되지 않아 에탄올이 생성되지 않았다.
또한, 발생된 바이오에탄올을 기존의 다른 바이오에탄올 공정과 비교 결과를 다음 표 4에 정리하였다. 본 발명은 다른 발명에 비해 탄수화물 함량이 10 ~ 60배 이하 농도에도 불구하고 생성된 에탄올 수율은 0.257 내지0.316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본 발명에 사용된 초음파 전처리 미세조류의 탄수화물이 90% 이상 산발효조로 용존되었음을 의미한다.
산발효조에서 발생된 바이오 에탄올은 바이오매스 당 발생된 에탄올로 추후 증류법을 적용하면 순수 바이오 에탄올을 획득할 수 있다.
[표 5]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6
농업생명공학연구원 KACC93097 20100513
<110>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Yonsei University <120> Novel strain Scenedesmus obliquus YSW 15 <160> 3 <170> KopatentIn 1.71 <210> 1 <211> 799 <212> DNA <213> Scenedesmus obliquus YSW 15 <400> 1 ttagtaacgg cgagcgaacc gcgcaaagcc caacttgaaa atctccctcg gagaattgta 60 gtctatagaa gtaccctctg caacgggccg agctaaagtc tcctggaaag gggcgtcaga 120 gagggtgaga accccgtaag ctcgtgcttg gttgcctcac gaggtgcttt cgaagagtcg 180 ggttgcttgg gaatgcagcc caaatttggt ggtaaatccc atctaaggct aaatactggc 240 gagagaccga tagcgaacaa gtaccgtgag ggaaagatga aaagaacttt gaaaagagag 300 ttaaaaagtg cttgaaattg ttgaggggga agcgtttgaa tgctcgggtg cgctcaggct 360 tatgggtcct taacggggct ctgtatgtgc tgagtgctgg ccagcatggg ttaggctagt 420 gggacaaaag cgtgggttga taccatgccg ctgccactgg cttgaccaag gcgtgaagac 480 tgcccttgtc cttcgggaac tgcagtctca agatgctggt gaaaggcttt caaccgaccc 540 gtcttgaaac acggaccaag gagtctaaca tgtatgcgag ttggtgggtg gaaaacccat 600 gaagcgtaag gaaactgact ggtgggatgg cctgtgcctg caccatcgac cgaccatgcg 660 tttctgcaaa aggtttgagt gcgagcatac ctgttgggac ccgaaagatg gtgaactatg 720 cctgagcagg gtgaagccag gtgaaaacct ggtggaggct cgtagatgtg ctgacgtgca 780 aatcgctttt cggacttgt 799 <210> 2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400> 2 agcggaggaa aagaaacta 19 <210> 3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400> 3 tactagaagg ttcgattagt c 21

Claims (13)

  1. 폐수 내성 및 탄수화물 함량이 높은 쎄네데스무스 오블리쿼스 YSW15(Scenedesmus obliquus YSW15)[KACC93097P] 균주.
  2. 제 1 항에 있어서,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을 가지는 쎄네데스무스 오블리쿼스 YSW15(Scenedesmus obliquus YSW15)[KACC93097P] 균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수화물 함량이 균체 건조 중량 1g 당 4 g/L 이상인 쎄네데스무스 오블리쿼스 YSW15(Scenedesmus obliquus YSW15)[KACC93097P] 균주.
  4. 쎄네데스무스 오블리쿼스 YSW15(Scenedesmus obliquus YSW15)[KACC93097P] 균주 배양액.
  5. 초음파로 전처리하여 세포벽이 파쇄된 미세조류를 혐기균으로 산발효시켜 바이오에탄올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에탄올의 제조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조류는 쎄네데스무스 오블리쿼스 YSW15(Scenedesmus obliquus YSW15)[KACC93097P] 균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에탄올의 제조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는 20 내지 60 kHz, 1.0 내지 5.0 Kw, 5 내지 30 분 동안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에탄올의 제조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산발효는 30 내지 40 ℃와 pH 5.0 내지 7.0의 조건 하에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에탄올의 제조방법.
  9. 청구항 1의 쎄네데스무스 오블리쿼스 YSW15(Scenedesmus obliquus YSW15)[KACC93097P] 균주 또는 청구항 4의 배양액을 포함하는 폐수 처리용 미생물제제.
  10. 청구항 1의 쎄네데스무스 오블리쿼스 YSW15(Scenedesmus obliquus YSW15)[KACC93097P] 균주를 폐수에서 배양하는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를 20 내지 30 ℃, pH 7.0 내지 8.0 하에서 배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를 KH2PO4, CaCl2ㆍ2H2O, MgSO4ㆍ7H2O, NaNO3, K2HPO4, NaCl, H3BO3 및 미량원소를 포함하는 배지에서 배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미량원소는 ZnSO4ㆍ7H2O, MnCl2ㆍ4H2O, MoO3, CuSO4ㆍ5H2O 및 Co(NO3)2ㆍ6H2O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00068295A 2010-07-15 2010-07-15 신균주 쎄네데스무스 오블리쿼스 ysw15 KR1011554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8295A KR101155435B1 (ko) 2010-07-15 2010-07-15 신균주 쎄네데스무스 오블리쿼스 ysw15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8295A KR101155435B1 (ko) 2010-07-15 2010-07-15 신균주 쎄네데스무스 오블리쿼스 ysw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7655A true KR20120007655A (ko) 2012-01-25
KR101155435B1 KR101155435B1 (ko) 2012-07-11

Family

ID=45612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8295A KR101155435B1 (ko) 2010-07-15 2010-07-15 신균주 쎄네데스무스 오블리쿼스 ysw15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54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D4408C1 (ro) * 2015-03-18 2016-10-31 Институт Зоологии Академии Наук Молдовы Tulpină de microalgă verde Scenedesmus apiculatus var. indicus în calitate de sursă de beta-carot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37327B (zh) * 2018-01-28 2021-05-04 杭州富阳优信科技有限公司 一种菌藻复合制剂及其在制备氢气中的用途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8385B1 (ko) * 2007-11-07 2009-05-18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혐기성 미생물을 이용한 해조류로부터 수소가스의 생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D4408C1 (ro) * 2015-03-18 2016-10-31 Институт Зоологии Академии Наук Молдовы Tulpină de microalgă verde Scenedesmus apiculatus var. indicus în calitate de sursă de beta-carot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5435B1 (ko) 2012-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uo et al. Nutrient removal and lipid production by Coelastrella sp. in anaerobically and aerobically treated swine wastewater
John et al. Micro and macroalgal biomass: a renewable source for bioethanol
Demirbas Use of algae as biofuel sources
US8986962B2 (en) Organism co-culture in the production of biofuels
Jamali et al. Particle size variations of activated carbon on biofilm formation in thermophilic biohydrogen production from palm oil mill effluent
Sinha et al. Biohydrogen production from various feedstocks by Bacillus firmus NMBL-03
JP2011514806A (ja) 二種の微生物の連続作用による植物材料の燃料および化学物質への変換のための方法
CN101861395A (zh) 使用细菌生产生物能
Kumar et al. Simultaneous removal of 5-hydroxy methyl furfural (5-HMF) and hydrogen production from acid (H2SO4) pretreated red-algal hydrolysate via hybrid immobilized cells
CN102597251A (zh) 用于由长心卡帕藻集成生产乙醇和海藻液的方法
US20080085536A1 (en) Production of Cellulose in Halophilic Photosynthetic Prokaryotes (Cyanobacteria)
Dhandayuthapani et al. Bioethanol from hydrolysate of ultrasonic processed robust microalgal biomass cultivated in dairy wastewater under optimal strategy
Xu et al. Hydrogen generation performance from Taihu algae and food waste by anaerobic codigestion
US20140242641A1 (en) Method for obtaining an open phototrophic culture with improved storage compound production capacity
KR100898385B1 (ko) 혐기성 미생물을 이용한 해조류로부터 수소가스의 생산방법
CN107208035A (zh) 含油酵母变体、其获得方法及其用于脂质生产的用途
Ayil-Gutiérrez et al. Study of factors involved in the behavior of biofilms formed by biohydrogen-producing microflora identified by molecular biology using dairy wastewater
KR101155435B1 (ko) 신균주 쎄네데스무스 오블리쿼스 ysw15
CN103086582A (zh) 一种甲烷的制备方法
Arun et al. Microalgae: the future fuel
KR101114426B1 (ko) 신균주 클라미도모나스 피트쉬만니 ysl03
Taroepratjeka et al. Biohydrogen production by extremely halophilic bacteria from the salt pan of Samut Sakhon, Thailand
KR101568566B1 (ko) 신균주 클라미도모나스 멕시카나 ysl008
KR101244836B1 (ko) 신규한 니트치아 푸실라 균주 및 그 용도
CN110894512A (zh) 一种利用微藻直接生产乙醇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