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7476U - a stay - Google Patents

a sta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7476U
KR20120007476U KR2020120008879U KR20120008879U KR20120007476U KR 20120007476 U KR20120007476 U KR 20120007476U KR 2020120008879 U KR2020120008879 U KR 2020120008879U KR 20120008879 U KR20120008879 U KR 20120008879U KR 20120007476 U KR20120007476 U KR 2012000747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cture
pedestal
frame
fitting porti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8879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배영진
Original Assignee
배영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영진 filed Critical 배영진
Priority to KR20201200088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7476U/en
Publication of KR2012000747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7476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4Photograph st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4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 B44C5/0438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containing stone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4Photograph stands
    • A47G2001/145Picture cubes

Abstract

본 고안은 전후좌우 면에 사진이나 그림을 끼울 수 있고 상면에는 수석을 비롯한 각종 장식물을 안착시킬 수 있도록 한 탁상형 액자겸용 장식물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구성에 있어서, 상면에 안착면(11)이 구비되어 수석을 비롯한 각종 장식물(2)을 안착시키도록 된 받침대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 동체(1)의 전후좌우측에 구비된 각 면에는 사진이나 그림(13)과 함께 투명유리(14)를 함께 삽입시킬 수 있는 끼움부(15)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사용자가 원하는 사진을 쉽게 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나의 장식물 받침대(1)에 여러 장의 사진이나 그림을 끼워 전시할 수 있어 사용자가 자신의 취향에 따른 사진이나 그림을 효과적으로 선택 전시할 수 있는 등의 많은 효과가 따르게 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able-top decorative frame pedestal that can be inserted into a picture or a picture on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surfaces, and to allow various decorations including the chief on the top surface.
In the configuration, the mounting surface 11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to mount various ornaments 2 including the chief, and each surface provided on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edestal body 1 has a photograph or a picture ( 13) together with the transparent glass 14 is characterized in that to form a fitting portion 15 that can be inserted together.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an not only easily view the user's desired picture, but also can display and display several pictures or pictures on a single pedestal (1) so that the user can effectively select and display a picture or picture according to his or her taste. There are many effects that can be done.

Description

탁상형 액자겸용 장식물 받침대{a stay}Table-top frame holder {a stay}

본 고안은 전후좌우 면에 사진이나 그림을 끼울 수 있고 상면에는 수석을 비롯한 각종 장식물을 안착시킬 수 있도록 한 탁상형 액자겸용 장식물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able-top decorative frame pedestal that can be inserted into a picture or a picture on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surfaces, and to allow various decorations including the chief on the top surface.

주지된 바와 같이 액자는 사진이나 그림, 상장 등의 각종 기념물을 끼워 넣어 벽에 걸어두고 보거나 탁상에 올려놓고 볼 수 있도록 한 것을 말하며, 벽면에 걸어 사용하도록 된 것은 배면에 걸고리나 못에 걸 수 있는 줄이 구비되어 있고, 탁상위에 올려놓을 수 있도록 된 것은 배면에 절첩식 버팀대가 구비되어 있다.As is well known, a picture frame is a picture, a picture, a monument, etc., which are inserted into various monuments such as hanging on a wall or viewed on a table.The use of a wall on a wall means that it can be hooked to a hook or nail. A string is provided, and a folding brace is provided on the back so that it can be placed on a table.

그러나 전술한 벽면 또는 탁상형 액자는 단순히 사진이나 그림 등을 끼워 넣어 볼 수 있는 액자로서의 기능 외에 다른 기능을 기대할 수 없었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wall or desk-type picture frame could not be expected other than the function as a picture frame simply by inserting a picture or picture.

또한, 통상의 액자는 평면적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하나의 액자에 한 장의 사진이나 그림을 끼울 수밖에 없었기에 사용에 한계가 따를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In addition, since a picture frame has a flat configuration, only one picture or picture can be inserted into a single picture frame, which limits the use of the picture frame.

한편, 수석을 비롯한 각종 장식물을 올려놓게 되는 장식물받침대는 통상 사각이나 오각, 육각 등 다각기둥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표면에 음양각의 문양이나 또는 정면에 장식물에 대한 설명이나 명칭, 의의 등을 기록한 것이 대부분이다.On the other hand, the decoration base on which various decorations, including the chief, are placed is usually formed in the shape of a polygonal column such as a square, a pentagon, and a hexagon. Mostly.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 액자에 대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해 안출된 것으로 특히, 수석을 비롯한 각종 장식물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된 사각이나 오각, 육각 등의 다각기둥 형태의 장식물 받침대에 있어서, 각 면마다 사진이나 그림을 투명유리와 함께 삽입하여 감상할 수 있도록 끼움부를 형성함으로서 수석 등의 각종 장식물의 감상과 함께 사방에서도 사진이나 그림 감상도 가능하게 함으로서 장식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with the conventional picture frame, and in particular, each side of the ornament in the form of a polygonal pillar, such as a square, a pentagon, and a hexagon, on which various ornaments, including the chief, can be placed, The purpose of this is to maximize the decorativeness by enabling the viewing of pictures and pictures from all directions along with the appreciation of various decorations such as the chief by forming a fitting part for inserting pictures or pictures with transparent glass for viewing.

또한, 상기 받침대를 회전가능하게 함으로서 보고자 하는 사진을 돌려가면서 보다 쉽게 볼 수 있게 하려는 데도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ke the pedestal rotatable so that it can be viewed more easily while rotating a picture to be viewed.

또한, 받침대의 각 면에 장식물에 대한 설명이나 명칭, 의의 등을 음각 또는 양각 형성할 수 도 있다.In addition, each side of the pedestal may be embossed or embossed with a description, name, and meaning of the decoration.

상면에 안착면(11)이 구비되어 수석을 비롯한 각종 장식물(2)을 안착시키도록 된 받침대에 있어서,In the pedestal which is provided with a seating surface 11 on the upper surface to seat various ornaments 2 including the chief,

상기 받침대 동체(1)의 전후좌우측에 구비된 각 면에는 사진이나 그림(13)과 함께 투명유리(14)를 함께 삽입시킬 수 있는 끼움부(15)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Each side provided on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edestal body 1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tting portion 15 for inserting the transparent glass 14 together with a picture or a picture 13 is formed.

상기 받침대 동체(1)를 상협하광한 다각 형태로 구성함도 특징으로 한다.It is also characterized in that the pedestal body 1 is configured in a polygonal shape in which the upper and lower beams.

상기 끼움부(15)는 양각으로 형성함도 특징으로 한다.The fitting portion 15 is also characterized by being embossed.

받침대 동체(1) 각 면에 별도 형성된 끼움부(15')를 장착함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ounting portion (15 ') formed separately on each side of the base body (1).

받침대 동체(1) 각 면에 끼움부(15")를 가진 별도의 액자틀(4)을 부착구성함도 특징으로 한다.The pedestal body 1 is also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ttached to a separate frame 4 having a fitting portion 15 "on each side.

받침대 동체(1)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저면 중앙부에 축공(16)을 형성하고, 상기 축공(16)이 베이스(3) 중앙부에 구비된 수직축(31)에 끼워져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함도 특징으로 한다.The shaft hole 16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so that the base body 1 can be rotated, and the shaft hole 16 is fitted to the vertical shaft 31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base 3 to be rotatable. .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수석 등을 비롯한 각종 장식물(2)을 안착시키도록 된 장식물 받침대(1)의 각 면에 인물이나 풍경 등 다양한 형태의 사진이나 그림을 끼워 장식할 수 있음으로서 책상이나 식탁 등을 비롯하여 테이블 위에 놓았을 때 사용자가 원하는 사진을 쉽게 볼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하나의 장식물 받침대(1)에 여러 장의 사진이나 그림을 끼워 전시할 수 있어 장식물에 대한 각종 의의나 설명, 배경 등에 대한 효율적인 기록 및 전달은 물론 사용자가 자신의 취향에 따른 사진이나 그림을 효과적으로 선택 전시할 수 있는 등의 많은 효과가 따르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an be decorated with various types of photographs and pictures such as figures and landscapes on each side of the ornament pedestal 1 for seating various ornaments 2 including the chief or the like. When placed on a table, users can easily view the photos they want, as well as display multiple photos or pictures on a single pedestal (1) to display various meanings, explanations, backgrounds, etc. In addition to the recording and transmission, the user can effectively display and display photographs or pictures according to his or her taste.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일부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횡단면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횡단면예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로서 일부를 분해한 횡단면예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로서 일부를 분해한 횡단면예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5 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예시도.
1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exemplary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of a part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part of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은 삼각, 사각, 오각, 육각기둥 등의 다각기둥 형태로 된 장식물 받침대(1)에 있어서,The present invention is in the ornament pedestal (1) in the form of a polygonal column, such as triangular, square, pentagonal, hexagonal,

장식물 받침대(1)의 각 면마다 사진이나 그림(13)과 투명유리(14)를 끼워 넣을 수 있도록 끼움부(15)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Each side of the decorative pedestal (1)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tting portion 15 is configured to fit the picture or picture 13 and the transparent glass (14).

상기 끼움부(15)는 도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받침대동체(1) 자체의 각 면에 음각형성하거나 또는 도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양각 형성하여도 되며, 이 외에도 도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별도의 끼움부(15')를 형성하여 이를 받침대 동체(1) 각 면에 부착 고정시키거나 또는 도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끼움부(15")를 가진 액자틀(4)을 부착 고정시켜도 된다.The fitting portion 15 may be engraved on each side of the pedestal body 1 itself as shown in Figure 3 or embossed as shown in Figure 4, in addition to the separate fitting as shown in Figure 5 The portion 15 'may be formed and fixed to each side of the pedestal body 1, or as shown in Fig. 6, the frame 4 having the fitting portion 15 " may be attached and fixed.

한편, 끼움부(15')의 형태는 도시된 형태에 한하지 않으며, 따라서 사진이나 그림(13)과 투명유리 또는 투명플라스틱을 함께 끼우거나 또는 빳빳한 형태의 사진 또는 그림을 끼워 전시할 수 있는 구성이면 어떤 경우이든 간에 적용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hape of the fitting portion 15 'is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form, and thus the picture or picture 13 and the transparent glass or transparent plastic, or the configuration that can be displayed by inserting a picture or picture of a rigid shape Can be applied in any case.

따라서 위와 같이 받침대 동체(1)에 구비되는 끼움부(15)의 변화는 도시된 형상과 구조에 한정되지 않는 것으로 받침대의 각면에 사진이나 그림(13)과 더불어 투명유리를 함께 끼워 지지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이는 본 고안의 목적과 사상의 범위안에 해당됨이 자명하다 할 것이어서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Therefore, as described above, the change of the fitting portion 15 provided in the base body 1 is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shape and structure, and the transparent glass together with the picture or the picture 13 may be supported on each side of the base. If it is a configuration, it will be obvious that it fall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idea, and thus it belongs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받침대 동체(1) 상면 안착면(11)에 수석을 비롯하여 다양한 종류의 장식물(2)을 안착 전시 및 관상할 수 있고 동체(1) 각 면에 끼움부(15)가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가 필요로 하거나 원하는 사진 또는 그림을 끼워 넣어 전시할 수 있으며, 동체(1)의 각 면마다 사진이나 그림(13)을 끼워 넣어 전시할 수 있음에 따라 받침대 동체(1)가 뒷면이 따로 없게 되어 장식성이 극대화된다.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an display and decorate various kinds of decorations (2) including the chief on the upper surface seating surface (11) of the base body (1), and fittings (15) are formed on each side of the body (1). It can be displayed by inserting a picture or a picture that a user needs or wants, and can be displayed by inserting a picture or picture (13) on each side of the fuselage (1). There is no segregation for maximum decoration.

도 7은 본 고안의 제5실시예로서 이는 동체(1)가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서 사용자가 동체(1)를 돌려가며 원하는 사진이나 그림을 감상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이는 동체 저면 중앙부에 축공(16)을 천공하여 베이스(3)에 구비된 수직축(31)에 끼운 구성임으로 수직축(31)을 중심으로 동체(1)가 원활하게 회전되기에 원하는 사진이나 그림의 선택이 보다 더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FIG. 7 is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configured to rotate the fuselage 1 so that a user can view a desired picture or picture by rotating the fuselage 1, which is a shaft hole at the center of the bottom of the fuselage. 16 to perforate the vertical shaft 31 provided in the base 3, so that the body 1 rotates smoothly about the vertical axis 31 so that the selection of a desired picture or picture can be made more smoothly. do.

1: 받침대 동체 2: 장식물 3:베이스
11:안착면 13:사진이나 그림 14:투명유리
15,15',15":끼움부 13: 보강힘살부 31:수직축
1: base body 2: ornament 3: base
11: Seating surface 13: Photograph or figure 14: Transparent glass
15,15 ', 15 ": Fitting 13: Reinforcement 31: Vertical shaft

Claims (6)

상면에 안착면(11)이 구비되어 수석을 비롯한 각종 장식물(2)을 안착시키도록 된 받침대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 동체(1)의 전후좌우측에 구비된 각 면에는 사진이나 그림(13)과 함께 투명유리(14)를 함께 삽입시킬 수 있는 끼움부(15)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탁상형 액자 겸용 장식물 받침대.
In the pedestal which is provided with a seating surface 11 on the upper surface to seat various ornaments 2 including the chief,
Combined table type picture frame, characterized in that each side provided on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edestal body 1 is formed with a fitting portion 15 for inserting the transparent glass 14 together with a picture or a picture 13. Decorative pedesta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 동체(1)를 상협하광한 다각 형태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탁상형 액자 겸용 장식물 받침대.
The method of claim 1,
Table-top frame-like decorative pedestal, characterized in that the pedestal body (1) is configured in a polygonal shape with a lower sid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15)를 양각으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탁상형 액자 겸용 장식물 받침대.
The method of claim 1,
Table-top frame combined decoration pedestal, characterized in that the fitting portion 15 is embossed.
제 1항에 있어서,
받침대 동체(1) 각 면에 별도 형성된 끼움부(15')를 장착함을 특징으로 하는 탁상형 액자 겸용 장식물 받침대.
The method of claim 1,
Pedestal frame (1) A table-type frame-type decorative pedestal characterized by mounting a separately formed fitting portion (15 ') on each side.
제 1항에 있어서,
받침대 동체(1) 각 면에 끼움부(15")를 가진 별도의 액자틀(4)을 부착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탁상형 액자 겸용 장식물 받침대.
The method of claim 1,
Pedestal frame (1) A table-type frame-like decorative pedestal characterized by attaching a separate frame (4) with fittings (15 ") on each side.
제 1항에 있어서,
받침대 동체(1)의 저면 중앙부에 축공(16)을 형성하고, 상기 축공(16)이 베이스(3) 중앙부에 구비된 수직축(31)에 끼워져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탁상형 액자 겸용 장식물 받침대.
The method of claim 1,
The shaft frame 16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body 1, and the shaft hole 16 is inserted into the vertical shaft 31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base 3 so as to be rotatable. Decorative pedestal.
KR2020120008879U 2012-10-02 2012-10-02 a stay KR20120007476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8879U KR20120007476U (en) 2012-10-02 2012-10-02 a st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8879U KR20120007476U (en) 2012-10-02 2012-10-02 a sta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7476U true KR20120007476U (en) 2012-10-30

Family

ID=47510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8879U KR20120007476U (en) 2012-10-02 2012-10-02 a sta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7476U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23188B2 (en) Apparatus for concealing multimedia devices
US20160065803A1 (en) Television Display Device
US20160143455A1 (en) Display stand
KR20120007476U (en) a stay
JP3170453U (en) Turntable device
KR200480596Y1 (en) Frame for award
JP3128006U (en) Stone photo frame for remains
KR200185080Y1 (en) A rotary picture frame for a table
KR200341755Y1 (en) Table frame
JP3086943U (en) Forehead decoration
CN211106664U (en) Multi-functional three-dimensional goods of furniture for display rather than for use of pin-connected panel
KR20170024677A (en) The desk a memorial tablet design molding
KR200377107Y1 (en) Picture frame assembly
CN203016438U (en) Three-dimensional photo frame
KR200465607Y1 (en) Supporting tool with memorial tablet
CN211130522U (en) Three-dimensional photo frame ornament
JP3175527U (en) Picture Frames
KR200483388Y1 (en) Width adjustable plaque base
JP3195532U (en) Shrine decorations
KR20070001281U (en) The medal frame
JP3146044U (en) Colored paper frame
JP6167137B2 (en) Flower stand
KR200458154Y1 (en) Decoration implement for multipurpose
JP3089210U (en) Horizontal pet plaque with loupe
KR100597474B1 (en) Picture frame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