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0596Y1 - Frame for award - Google Patents

Frame for awar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0596Y1
KR200480596Y1 KR2020140004238U KR20140004238U KR200480596Y1 KR 200480596 Y1 KR200480596 Y1 KR 200480596Y1 KR 2020140004238 U KR2020140004238 U KR 2020140004238U KR 20140004238 U KR20140004238 U KR 20140004238U KR 200480596 Y1 KR200480596 Y1 KR 2004805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anel
decorative trim
dimensional
rear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4238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04459U (en
Inventor
이경순
Original Assignee
이경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순 filed Critical 이경순
Priority to KR20201400042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0596Y1/en
Publication of KR2015000445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4459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5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596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0616Ornamental frames, e.g. with illumination, speakers or decorative features
    • A47G1/0627Ornamental frames, e.g. with illumination, speakers or decorative features with decorative strips or layers on the frame memb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2Frames or housings for storing medals, badg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6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 A47G1/18Picture loop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6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 A47G1/24Appliances for adjus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into a desired position, especially inclin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2001/0694Picture frames comprising means allowing the frame to be supported on a horizontal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4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 B44C5/0423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containing fibreglass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4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 B44C5/043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containing wooden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4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 B44C5/0438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containing stone elements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장, 증서 등과 같은 평면내장체와 함께 훈장, 표장, 표창의 주체 등의 입체로고, 감사패, 뱃지, 메달 등과 같이 일정 두께를 갖는 입체내장체를 함께 수용하여 진열하고, 이를 수용하는 프레임의 전면부는 원목, 석재, 자개 등으로 고급스럽거나 화려하게 장식되는 등 다양한 소재를 선택할 수 있고,
상기 평면내장체를 위하여 후면 고정패널의 트임부의 테두리에 금장 또는 은장 등과 같은 희귀 금속이 도입된 장식트림이 구비되고,
벽면에 걸어서 진열할 수 있음과 동시에 직립 상태로 세워서 탁상, 책상 등에 거치가 가능한 액자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입체내장체가 수용 가능한 액자는
개구부, 내측 둘레의 걸림턱, 상기 걸림턱 영역에 구비된 수납부, 후면에 구비된 스토퍼를 갖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수납부에 배열되어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는 투광패널,
상기 투광패널 후면 테두리에 접하도록 수납부에 안치되는 스페이서,
입체내장체를 포함하는 내장체 및
상기 스페이서 후면에 접한 상태로 프레임의 수납부에 배열되며, 투광패널과의 사이에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입체내장체 고정부를 갖고, 상기 프레임의 스토퍼에 의하여 고정되는 고정패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고정패널의 후면에 접한 상태로 프레임의 수납부에 배열되는 마감패널을 더 포함하며, 상기 마감패널에는 직립용 다리가 구비되어 있고, 이 직립용 다리는 펼침 각도 제한부재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프레임의 후면 상부에는 벽걸이용 고리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which houses a three-dimensional interior body having a certain thickness such as a three-dimensional logo such as a decoration, a mark, a main body of a recognition, a plaque, a badge, The front part of the building can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wood, stone, mother-of-pearl, etc.,
A decorative trim having a rare metal such as a gold or silver metal is provided on a rim of the bottom of the rear fixed panel for the flat pane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cture frame capable of standing on a wall and standing upright and being mounted on a desk or a desk,
The frame that can accommodate the three-dimensional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rame having a stopper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thereof,
A light projecting panel arranged at a receiving portion of the frame to prevent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A spacer which is placed in the receiving portion to be in contact with the rear edge of the light transmitting panel,
A body including a three-dimensional body and
And a fixed panel which is arranged in the receiving section of the frame in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spacer and forms a receiving space with the light transmitting panel, has a three-dimensional embedding body fixing section and is fixed by a stopper of the frame.
And a finishing panel arranged on a receiving portion of the frame in contact with a rear surface of the fixed panel, wherein the finishing panel is provided with an upright leg, the upright leg having a spread angle limiting member, And a wall-hanging ring is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rear surface of the frame.

Description

입체내장체가 수용 가능한 액자{FRAME FOR AWARD}FRAME FOR AWARD, which can accommodate a three-

본 고안은 입체내장체가 수용 가능한 액자에 관한 것으로,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ame which can accommodate a three-dimensional body,

보다 자세하게는 상장, 증서 등과 같은 평면내장체와 함께 훈장, 표장, 표창의 주체 등의 입체로고, 감사패, 뱃지, 메달 등과 같이 일정 두께를 갖는 입체내장체를 함께 수용하여 진열하고, 이를 수용하는 프레임의 전면부는 원목, 석재, 자개 등으로 고급스럽거나 화려하게 장식되는 등 다양한 소재를 선택할 수 있고,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lat interior such as a certificate or a certificate, a three-dimensional logo such as a decoration, an emblem, a main body of a recognition, a plaque, a badge, a medal, The front part of the building can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wood, stone, mother-of-pearl, etc.,

상기 평면내장체를 위하여 후면 고정패널의 트임부의 테두리에 금장 또는 은장 등과 같은 희귀 금속이 도입된 장식트림이 구비되고,A decorative trim having a rare metal such as a gold or silver metal is provided on a rim of the bottom of the rear fixed panel for the flat panel,

벽면에 걸어서 진열할 수 있음과 동시에 직립 상태로 세워서 탁상, 책상 등에 거치가 가능한 액자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ame which can be placed on a wall and can be placed upright, and can be mounted on a desk or a desk.

일반적으로 상장, 표창, 감사장, 위촉패 등 어떤 행위를 기리는 증서 및 문서 등은 액자에 넣어서 전시 또는 보관한다.In general, certificates and documents to honor any act, such as a certificate, a recognition, an acknowledgment, or a commission, shall be displayed or kept in a frame.

이러한 액자에는 다양한 종류가 종래기술로 제시되어 있는데, 보통은 벽면 따위에 걸어서 거치한 상태로 전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Various types of these frames are presented in the prior art, and it is common to display the frames in a state of being mounted on a wall.

때론 책상, 탁상 등에 직립시켜 세워 보관해야 하는 경우가 있고,Sometimes it is necessary to keep it upright on a desk, table, etc.,

등록특허 제10-1166857호 (2012년07월12일) [직립이 가능한 액자]에는 사진을 끼워 보관하되 기대지 않아도 직립이 가능하고, 액자프레임 내측의 사진은 입체감을 살려 보다 활동성 있는 사진으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직립이 가능한 액자가 제시되어 있다.Registration No. 10-1166857 (July 12, 2012) [Picture frame that can be erected] can be stored upside down without having to take a picture, and the inside of the frame frame can be saved as a more active photograph A frame that can be erected is presented.

아울러 등록특허 제10-0959787호 (2010년05월18일) [액자용 지지대]에는 액자나 사진패널의 배면 테두리 일측 또는 양측에 나사 고정되는 고정블록의 전면(前面) 중앙에 와이어경 보다 작은 직경의 슬롯홀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블록과 대응되는 와이어지지대의 일단이 슬롯홀에 강제 압입됨과 동시에 상호 간에 작용되는 마찰력을 이용한 와이어지지대의 회동작용을 통해 액자나 사진패널의 경사지지각도를 조절 및 지지하도록 구성된 액자용 지지대가 제시되어 있다.
In addition, in the support frame for frame, a frame having a diameter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wire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front face of the fixing block, which is screwed to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back frame of the frame or photo panel. The angle of support of the frame or the photo panel can be adjusted and adjusted by the rotation of the wire support by using the frictional force applied to each other while the one end of the wire support corresponding to the fixed block is forcibly inserted into the slot hole, A supporting frame for a frame configured to support the frame is proposed.

상기 두 종래기술 모두 액자를 직립 상태로 거치하여 대상체를 전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사한 기술이다.
Both of the above prior arts are similar techniques in that the object can be displayed by mounting the frame in an upright state.

등록특허 제10-1166857호 (2012년07월12일) [직립이 가능한 액자]는 프레임만으로 직립 상태를 지지해야 하기 때문에 그 직립상태의 보존이 확실히 보장되지 않고,Registration No. 10-1166857 (Jul. 12, 2012) [framing that can be erected] needs to support the upright state with only the frame, so that preservation of the upright state can not be surely guaranteed,

등록특허 제10-0959787호 (2010년05월18일) [액자용 지지대]의 지지대는 힌지에 와이어로 지지하되, 걸림홈만으로 액자의 무게를 지탱해야 하기 때문에 역시 직립상태의 보존이 확실히 보장되기 어렵다.
The support of the frame support is supported by a wire on the hinge and the weight of the frame is supported only by the engagement groove so that the retention of the upright state is surely ensured. it's difficult.

한편, 보통의 경우 위촉장, 감사장, 상장 등과 같은 페이퍼(Paper)형태의 평면내장체 등은 훈장, 표장, 표창의 주체 등의 입체로고, 상기 평면내장체에 따르는 부상으로 지급되는 감사패, 뱃지, 메달 등과 같이 일정 두께를 갖는 입체내장체가 함께 수여되기 때문에, 상기 평면내장체와 함께 전시하는 경우 그 만족도는 배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입체내장체의 전시 또한 중요한 요소이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plane, such as a paper, such as a letter of appointment, a certificate of appreciation, or a certificate, a three-dimensional logo such as a medal, a mark or a main body of a prizewinning, The display of the three-dimensional visceral body is also an important factor because the degree of satisfaction can be doubled when displayed together with the above-mentioned planar viscous body.

이러한 입체내장체의 수용에 관한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 제10-1352218호 (2014년01월09일) [병 고정형 액자]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병을 고정하여 포장용기로 사용하거나 벽에 걸거나 탁자 위에 올려놓을 수 있는 액자에 관한 것으로, 사각 형상의 측면 테두리를 이루는 액자틀, 액자틀의 후측면에 마련되는 후판, 후판의 전측에서 액자틀에 고정되며, 병의 후측면을 지지하도록 곡면을 이루는 지지판, 지지판의 상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며, 병의 상단을 지지하는 제1 지지대 및 지지판의 하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며, 병의 하단을 지지하는 제2 지지대를 포함한다.[0003] The prior art related to the housing of such a three-dimensional body includes a bottle-fixed frame as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0-1352218 (Jan. 9, 2014) A frame plate which forms a side frame of a rectangular shape, a thick plate provided on a rear side of the frame, a frame plate fixed to the frame on the front side of the thick plate, and having a curved surface for supporting the rear side of the bottle A first support protruding forward from an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plate, a first support supporting the upper end of the bottle, and a second support protruding forward from a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plate and supporting the lower end of the bottle.

상기 종래기술은 입체내장체를 수용하지만, 내장체가 외부로 돌출되어 전시되므로 외부 충격에 의해 내장체가 파손될 염려가 있고, 조립식으로 구성되어 있지 않아 조립 및 분해가 어렵기 때문에 액자 내부의 청소 등이 용이하지 않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However, since the inner body is protruded to the outside, the inner body may be damaged due to an external impact, and it is difficult to assemble and disassemble because it is not constructed as a prefabricated structure. It has the disadvantage that it does not.

또한 공개실용신안 제20-2012-0006951호 (2012년10월10일) [실제 흙(모래)과 돌(광물), 그림과 글씨(문장)가 들어있는 액자]에는 유리판 하면으로 내부의 공간에 실제 흙(모래)이 들어있는 투명관, 그림, 돌(광물), 글씨(문장)가 들어있는 판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과 교육, 보존용 액자를 제시하고 있다.In addition, a public utility model 20-2012-0006951 (October 10, 2012) [picture frame which contains real sand (earth) and stone (mineral), picture and writing) It shows a frame for decorating, education and preservation, which is characterized by fixing a transparent tube containing actual earth (sand), a picture, a stone (mineral), and a plate containing the text (sentence).

하지만 상기 입체내장체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에 대한 구체적 기술이 언급되어 있지 않고, 그 조립 및 분해에 대한 어떠한 설명이 없어 기술적 실현이 어려운 종래기술로 판단할 수 있다.
However,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accommodation space for accommodating the three-dimensional body is not mentioned, and there is no description about the assembly and disassembly thereof, so that it can be judged from the prior art that the technical realization is difficult.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

상장, 증서 등과 같은 평면내장체와 함께 훈장, 표장, 표창의 주체 등의 입체로고, 감사패, 뱃지, 메달 등과 같이 일정 두께를 갖는 입체내장체를 함께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을 구비하기 위해 이물질 유입 방지 전면 투광패널과 후면 내장체를 수용하기 위한 고정패널 사이에 스페이서(=사각 중간틀)를 도입하여 입체내장체 수용공간을 확보한 액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In order to provide a housing space capable of accommodating a three-dimensional body having a certain thickness, such as a three-dimensional logo such as a decoration, a sign, and a medal, a plaque, a badge, a medal, etc., And a spacer (= square intermediate frame) is inserted between the anti-fogging front light-transmitting panel and the fixed panel for accommodating the rear-side inner frame to secure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three-dimensional inner frame.

상기 스페이서 후면에 접한 상태로 배열된 고정패널의 트임부의 테두리를 이루는 둘레부에 금장 또는 은장 등과 같은 귀금속 재료가 가공된 장식트림을 구비하여 내장체의 가치를 보다 부각시키고, 나아가 외부 충격 등에 대해 강한 액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A decoration trim formed by processing a precious metal material such as a gold or silver metal is provided at a periphery of the top of the top panel of the fixed panel arranged in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spacer to enhance the value of the interior panel,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frames,

벽걸이용 고리와 함께 펼침 각도 제한부재가 구비된 직립용 다리를 후면 마감패널에 구비하여 벽면에 걸어서 진열할 수 있음과 동시에 직립 상태로 세워서 탁상, 책상 등에 거치가 가능한 액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raming which is provided with an upright leg provided with a wall hanging ring and a spread angle restricting member on a rear finishing panel so as to be able to stand on a wall and stands upright in a standing state, .

본 고안에 따른 입체내장체가 수용 가능한 액자는 The frame that can accommodate the three-dimensional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개구부, 내측 둘레의 걸림턱, 상기 걸림턱 영역에 구비된 수납부, 후면에 구비된 스토퍼를 갖는 프레임,A frame having a stopper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thereof,

상기 프레임의 수납부에 배열되어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는 투광패널,A light projecting panel arranged at a receiving portion of the frame to prevent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상기 투광패널 후면 테두리에 접하도록 수납부에 안치되는 스페이서, A spacer which is placed in the receiving portion to be in contact with the rear edge of the light transmitting panel,

입체내장체를 포함하는 내장체 및A body including a three-dimensional body and

상기 스페이서 후면에 접한 상태로 프레임의 수납부에 배열되며, 투광패널과의 사이에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입체내장체 고정부를 갖고, 상기 프레임의 스토퍼에 의하여 고정되는 고정패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nd a fixed panel which is arranged in the receiving section of the frame in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spacer and forms a receiving space with the light transmitting panel, has a three-dimensional embedding body fixing section and is fixed by a stopper of the frame.

또한 상기 고정패널의 후면에 접한 상태로 프레임의 수납부에 배열되는 마감패널을 더 포함하며, 상기 마감패널에는 직립용 다리가 구비되어 있고, 이 직립용 다리는 펼침 각도 제한부재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프레임의 후면 상부에는 벽걸이용 고리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a finishing panel arranged on a receiving portion of the frame in contact with a rear surface of the fixed panel, wherein the finishing panel is provided with an upright leg, the upright leg having a spread angle limiting member, And a wall-hanging ring is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rear surface of the frame.

아울러 상기 고정패널에는 사진, 상장, 감사장과 같은 평면내장체의 노출을 위한 트임부가 타공 형성되어 있고, 이 트임부를 감싸는 고정패널의 둘레부를 압지 하도록 끼움홈을 형성하는 전면장식부, 후면지지부, 전면장식부와 후면지지부를 잇는 연결부를 갖는 장식트림이 둘레부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트임부는 사각 트임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식트림은 상호 상응하는 좌우 제1장식트림과, 상하 제2장식트림으로 구성되고, 제1 및 제2 장식트림은 상호 접하는 단부가 사선 단부를 구성하며, 제1 및 제2 장식트림의 후면지지부는 전면장식부보다 고정패널의 둘레부와 접하는 면적이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fixing panel is provided with a trim portion for exposing a planar inner body such as a photograph, a certificate, and a certificate of appreciation, and includes a front decorating portion, a rear supporting portion, and a front surface defining a fitting groove for pressing the periphery of the fixing panel, A decorative trim having a connection portion connecting the decorative portion and the rear support portion is coupled to the peripheral portion, the transparent portion includes the square trim, and the decorative trim is composed of the first left decorative trim and the second upper decorative trim Preferably, the first and second decorative trims have mutually tapered ends, and the rear supporting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decorative trims have a larger area in contact with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fixed panel than the front decorative portion.

나아가 상기 고정패널의 사각 트임부를 감싸는 둘레부는 각각 대편에 배열된 두 돌출부와, 다른 두 비돌출부를 가져 '

Figure 112014052775780-utm00001
'또는 '
Figure 112014052775780-utm00002
' 형상의 유사 사각 트임부가 형성되고, 제1 또는 제2 장식트림은 이 돌출부를 수용하도록 상대적으로 더 얕은 제1끼움홈을 갖고. 제2 또는 제1 장식트림은 이 비돌출부를 수용하도록 상대적으로 더 깊은 제2끼움홈을 갖고, 둘레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네 개의 제1 및 제2 장식트림은 사각형 실(實)트임부를 구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Further, the peripheries surrounding the quadrangle of the fixed panel have two protrusions arranged on the opposite sides and two other protrusions,
Figure 112014052775780-utm00001
'or '
Figure 112014052775780-utm00002
Shaped quadrangular trims are formed, and the first or second decorative trim has a relatively shallow first fitting groove to receive the projection. The second or first decorative trim has a relatively deeper second fitting groove to receive the non-protruding portion, and the four first and second decorative trim portions, when coupled to the peripheral portion, constitute a square- .

본 고안에 따른 입체내장체가 수용 가능한 액자는 프레임의 전면에 목재, 석재, 자개 등과 같은 장식을 마련하여 보다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제공함과 동시에 이물질 유입 방지 전면 투광패널과 후면 내장체를 수용하기 위한 고정패널 사이에 스페이서(=사각 중간틀)를 구비하여 상장, 증서 등과 같은 평면내장체와 함께 훈장, 표장, 표창의 주체 등의 입체로고, 감사패, 뱃지, 메달 등과 같이 일정 두께를 갖는 입체내장체를 함께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을 제공하여, 평면내장체의 명예적 가치를 보다 부각시킬 수 있도록 하고,
The frame, which can accommodate the three-dimensional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decoration such as wood, stone, mother-of-pearl and the like on the front face of the frame to provide a more luxurious image, (= Square middle frame) to provide a three-dimensional body with a certain thickness, such as a three-dimensional logo such as a medal, a stamp, a badge, a medal, etc., It is possible to provide a receptive space that can accommodate,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highlight the honorable value of the flat-

상기 스페이서 후면에 접한 상태로 배열된 고정패널의 트임부의 테두리를 이루는 둘레부에 금장 또는 은장 등과 같은 귀금속 재료가 가공된 장식트림을 구비하여 내장체의 가치를 보다 부각시키고, 나아가 상기 장식트림은 전면장식부와 더불어 후면지지부로 이루어져 있어, 액자 내부 구성요소의 뒤틀림 현상을 막아주어 장기간 전시에도 내장체에 가해질 수 있는 손상을 막고,
A decoration trim formed by processing a precious metal material such as a gold or silver metal or the like is provided at a periphery of the top of the top panel of the fixed panel arranged in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spacer to further enhance the value of the interior trim, And the rear support together with the decorative part prevents the distortion of the internal components of the frame, thereby preventing damage to the internal body even in long-time display,

벽걸이용 고리와 함께 펼침 각도 제한부재가 구비된 직립용 다리를 후면 마감패널에 구비하여 벽면에 걸어서 진열할 수 있음과 동시에 직립 상태로 세워서 탁상, 책상 등에 거치가 가능하다.
An upright leg provided with a hanging ring and a spread angle restricting member is provided on a rear finishing panel so that it can be placed on a wall and can stand upright and stand upright on a tabletop or desk.

도1은 본 고안의 정면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후면 사시도.
도3a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도
도3b는 본 고안의 결합단면도.
도4는 본 고안의 분해도(전면).
도5는 본 고안의 분해도(후면).
도6은 본 고안의 고정패널의 변형예.
도7은 본 고안의 고정패널의 실시예.
도8은 본 고안의 입체내장체 고정부의 실시도.
도9는 본 고안의 자개장식의 실시도.(정면)
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A is a diagram showing the coupling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b is an engaging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front view).
5 is an exploded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rear view).
6 is a modification of the fixed panel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mbodiment of a fixed panel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view of the three-dimensional solid body fixing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9 is a front view of the self-deco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embodiments) which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can take various form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is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is intended to cover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in particular, the numerals of the tens and the digits of the digits, the digits of the tens, the digits of the digits and the alphabets are the same, Members referred to by reference numerals can be identified as members corresponding to these standards.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고안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In the drawings, the components are expressed by exaggeratingly larger (or thicker) or smaller (or thinner) in size or thickness considering simplicity of understanding, etc. However, since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It should not be.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 " comprising " or " consisting of ", or the like, refers to the presence of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first, second, third, etc.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re merely referred to in order to distinguish the different components from one another, and are not limited to the order in which they are manufactured, It may not match.

첨부된 도면을 통해 본 고안에 따른 입체내장체가 수용 가능한 액자(F)에 대해 설명한다.
A frame (F) capable of accommodating a three-dimensional solid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1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입체내장체(52)가 수용 가능한 액자(F)는 개구부(11), 내측 둘레의 걸림턱(13), 상기 걸림턱(13) 영역에 구비된 수납부(15), 후면에 구비된 스토퍼(17)를 갖는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의 수납부(15)에 배열되어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는 투광패널(20)과, 상기 투광패널(20) 후면 테두리에 접하도록 수납부(15)에 안치되는 스페이서(40)와, 입체내장체(52)를 포함하는 내장체(50) 및 상기 스페이서(40) 후면에 접한 상태로 프레임(10)의 수납부(15)에 배열되며, 투광패널(20)과의 사이에 수용공간(30)을 형성하고, 입체내장체(52) 고정부(61)를 갖고, 상기 프레임(10)의 스토퍼(17)에 의하여 고정되는 고정패널(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1 to 5, the frame F that can accommodate the three-dimensional solid body 5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the opening 11, the inner periphery of the engagement protrusion 13, A frame 10 having a receiving portion 15 and a stopper 17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thereof and a light projecting panel 20 arranged on the receiving portion 15 of the frame 10 to prevent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A spacer 40 placed in the housing 15 so as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rear edge of the light transmitting panel 20, a main body 50 including the three-dimensional main body 52, The frame 10 is arranged in the receiving portion 15 of the frame 10 and has a receiving space 30 formed between the frame 10 and the light transmitting panel 20 and has a fixing portion 61 of the three- And a stationary panel 60 fixed by a stopper 17 of the stationary panel.

상기 프레임(10)은 원목, 석재, 자개 등의 소재를 선택하여 고급스러운 연출이 가능하고, 또한 화려한 장식 조형물을 활용하여 미감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프레임(10)의 소재는 연출하고자 하는 의도, 현재 트렌드(유행), 용도 등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The frame 10 can be produced in a luxurious manner by selecting materials such as wood, stone, and mother-of-pearl, and can also improve aesthetics by utilizing colorful ornamental sculptures. The material of the frame 10 can be variously selected depending on the intention to be produced, the current trend, the use, and the like.

도 9에서는 상기 화려한 장식 중 자개장식(12)을 이용하여 고급스러운 연출을 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FIG. 9 shows an example in which a luxurious directing is performed using the mother-of-pearl 12 from among the ornate decorations.

특히 상기 프레임(10)의 전면부에 자개장식(12)을 도입하여 장식하여 전시 대상체가 되는 평면내상체(51)인 표창장, 수여식 사진과 입체내상체(52)인 국가로고, 뱃지, 훈장의 의미를 보다 부각할 수 있고, 나아가 깔끔한 외관과 미적 가치 창출에 이바지 한다.
Particularly,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radle, which is an in-plane body 51 to be an object to be displayed by decorating the front side of the frame 10 with a mother-of-pearl 12, and a national logo, badge, It can make more meaningful, and contributes to clean appearance and aesthetic value creation.

또한 상기 프레임(10)의 걸림턱(13)과 상기 프레임(10)의 측벽부분은 상기 수납부(15)를 구성하고 있고, 이 수납부(15)에 상기 투광패널(20), 스페이서(40), 고저패널 등을 후방에서부터 삽입하여 배열하면 상기 걸림턱(13)이 이탈방지 기능을 하여 프레임(10) 전방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The engaging protrusion 13 of the frame 10 and the side wall portion of the frame 10 constitute the accommodating portion 15 and the light transmitting panel 20 and the spacer 40 ), A high or low panel, etc. are inserted and arranged from the rear, the latching jaws 13 prevent the frame 10 from falling forward.

또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0)의 후면에는 스토퍼(17)가 구비되어 있는데, 이 스토퍼(17)는 스윙운동을 하는 체결바가 드라이버로 고정되어 체결 시에는 체결바가 고정패널(60)이 이탈되지 않도록 내측으로 회동하여 지지해주고, 해체 시에는 외측으로 회동하여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2, a stopper 17 is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rame 10. The stopper 17 is fixed to the stopper 17 by a screwdriver. When the stopper 17 is fastened, 60 are rotatably supported inward so as not to be detached, and rotatable and detachable when disassembled.

(이때 내측은 중공부 측을 의미하며, 외측은 테두리 측을 의미한다.)
(In this case, the inner side means the hollow side, and the outer side means the edge side.)

또한 추가로 상기 프레임(10)에는 벽면에 못 따위로 고정하여 걸어서 전시할 수 있도록 벽걸이용 고리(19)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고리(19)는 오각형 유사형상을 가지고 있고, 한 변이 고정부재에 의해 프레임(10)에 고정된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설치 시 고정되어 있는 변과 마주보는 모서리가 벽면에 박힌 못에 걸리게 되고 이 모서리를 제외한 좌우측 두 모서리는 스토핑 기능을 하여 거치된 벽면에서 액자(F)가 기울지 않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frame 10 is provided with a wall-hanging ring 19 so that the frame 10 can be fixed on the wall and can be displayed by walking. The ring 19 has a pentagon-like shape and is formed in such a manner that one side is fixed to the frame 10 by a fixing member. Therefore, the edges facing the fixed side are caught by the nails stuck on the wall, and the two left and right edges except the corner are stopping to prevent the frame (F) from tilting.

한편 도3a, 도3b 및 도4를 통해 상기 프레임(10)의 수납부(15)에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투광패널(20)이 배열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3A, 3B and 4,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light projecting panel 20 for preventing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the accommodating portion 15 of the frame 10 is arranged.

상기 투광패널(20)은 유리, 투명 강화 플라스틱 등을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The light transmitting panel 20 may be made of glass, transparent reinforced plastic, or the like.

전기한 바와 같이, 상기 투광패널(20)은 프레임(10) 후방에서 삽입되어 상기 수납부(15)의 최전방에 배열되고, 입체내장체를 위한 수용공간(30)을 형성한다. 수용공간(30)에 대해서는 하기에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light transmitting panel 20 is inserted from the rear of the frame 10 and arranged at the foremost position of the receiving portion 15, and forms a receiving space 30 for the three-dimensional interior body. The accommodation space 3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도4 및 도5 분해도에서 확인 가능한 바와 같이, 상기 투광패널(20)을 조립하고 난 후, 상기 수납부(15)에 투광패널(20)의 후면에 접하게끔 상기 스페이서(40)를 조립한다.4 and 5, the spacer 40 is assemb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light transmitting panel 20 in the receiving portion 15 after the light transmitting panel 20 is assembled.

상기 스페이서(40)는 내장체의 효과적인 전시를 위해서 상기 투광패널(20)의 크기보다 조금 작은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페이서(40)의 크기가 투광패널(20)의 크기보다 큰 경우에 내장체의 일부를 가릴 소지가 있기 때문이다.The spacer 40 preferably has a size slightly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light-transmitting panel 20 for effective display of the inner body. When the size of the spacer 40 is larger than the size of the light-transmitting panel 20, there is a possibility of covering a part of the inner body.

또한 스페이서(40)는 상기 투광패널(20)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연질의 소재나 완충효과를 갖는 소재를 선택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spacer 40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 soft material or a buffering effect in order to prevent the light transmitting panel 20 from being damaged.

상기 내장체(50)는 평면내장체(51)와 입체내장체(52)로 분류할 수 있는데, 보통 액자(F)에 수용되어 전시되는 내장체(50)는 평면내장체(51)로 그림, 사진, 상장, 표창, 공로증, 감사증, 임명장 등 페이퍼 형태의 문서를 의미하고,The inner body 50 can be classified into a flat inner body 51 and a solid inner body 52. The inner body 50 normally received and displayed in the frame F is a flat inner body 51, , Photograph, listing, commendation, merit, audit, appointment, etc.,

본 고안의 핵심 특징인 입체내장체(52)를 수용한다는 개념에서 입체내장체(52)는 훈장, 표창의 주체(시의회, 국회)등의 입체로고, 공로패, 감사패, 뱃지, 메달 등 상기 평면내장체(51)와 함께 전시되어 보다 명예롭고 자랑스러운 의미를 부여하는 일정 두께를 갖는 조형물을 의미한다.
The three-dimensional solid body 52 may be a flat solid body such as a three-dimensional logo such as a medal or a commendation body (city council or parliament), a plaque, a plaque, a badge, Means a sculptur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that is displayed together with the sieve 51 to give a more honorable and proud meaning.

다음으로 본 고안의 핵심인 수용공간(30)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통해 설명한다.Next, the accommodation space 30, which is the cor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공간(30)은 전기한 바와 같이 입체내장체(52)를 평면내장체(51)와 함께 수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핵심 특징을 이루고 있다.As shown in FIG. 1, the receiving space 30 is a key feature in that the three-dimensional inside body 52 can be accommodated together with the flat inside body 51, as described above.

상기 수용공간(30)은 전면에는 투광패널(20), 좌우 측면으로는 스페이서(40), 후면으로는 고정패널(60)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도3a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The accommodation space 30 is formed by the light projecting panel 20 on the front surface, the spacer 40 on the left and right side surfaces, and the fixed panel 60 on the rear surface.

또한 도3a의 일점쇄선에는 확대한 상세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 프레임(10)의 내측 둘레의 걸림턱(13)에 의해 형성된 수납부(15)에 최전방에는 투광패널(20)이 배열되어 있고, 이 투광패널(20)의 후면에 상기 스페이서(40)가 입체내장체의 높이에 맞춰 배열되어 있고, 스페이서(40)의 후면에는 상기 투광패널(20)과 함께 수용공간(30)을 이루는 고정패널(60)이 배열되어 있고, 고정패널(60)의 후면에는 마감패널(70)이 배열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3A, the light transmitting panel 20 is arranged at the foremost position in the storage portion 15 formed by the latching jaws 13 around the inner periphery of the frame 10 And the spacers 40 are arrang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light projecting panel 20 so as to match the height of the three-dimensional solid body. On the rear surface of the spacer 40, It can be seen that the panel 60 is arranged and the finishing panel 70 is arrang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ixed panel 60. [

또한 도3b에는 본 액자의 결합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이를 통해 상기 수용공간(30)에 대해 보다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FIG. 3B also shows an engaging cross-sectional view of the frame of FIG. 3B, whereby the accommodation space 30 can be more clearly identified.

도3b를 참고하여 상기 수용공간(30) 중 특히 본 고안의 핵심인 입체내장체를 수용하기 위한 제2수용공간(32)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Referring to FIG. 3B, the second accommodation space 32 for accommodating the three-dimensional body, which is the cor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제2수용공간(32)을 이루는 핵심은 상기 스페이서(40)이고, 이 스페이서(40)는 프레임(10)의 내부에서 가장 전방에 있는 투광패널(20)과 고정패널(60)의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The center of the second accommodation space 32 is the spacer 40. The spacer 40 is positioned between the light projecting panel 20 and the fixed panel 60, .

따라서 상기 제2수용공간(32)은 전방으로는 투광패널(20), 상 하측으로는 스페이서(40), 후방으로는 고정패널(60)로 둘러싸인 공간임을 알 수 있다.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second accommodation space 32 is a space surrounded by the light projecting panel 20 at the front, the spacer 40 at the upper and lower side, and the fixed panel 60 at the rear side.

상기와 같이 스페이서(40)가 입체내장체를 수용한 제2수용공간(32)의 '높이'를 결정짓는 구성요소이기 때문에, 스페이서(40)의 두께는 입체내장체의 두께에 맞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고안은 액자(F) 제작 시에 전시하고자 하는 입체내장체의 두께에 맞춰 상기 스페이서(40)의 두께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성이 우수하고 폭 넓은 평면 또는 입체내장체의 전시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종래기술에 비해 탁월한 기술적 효과를 가지고 있다.
Since the spacer 40 is a component that determines the 'height' of the second accommodation space 32 in which the three-dimensional solid body is accommodated, the thickness of the spacer 40 is set to the thickness of the three-dimensional solid body Since the thickness of the spacer 40 can be adjusted in accordance with the thickness of the three-dimensional object to be displayed at the time of manufacturing the frame 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xcellent workability and exhibits a wide flat or three- It has superior technical effects compared to the prior art.

또한 상기 수용공간(30)은 평면내장체(51)의 수용을 위한 제1수용공간(31)과 입체내장체(52)의 수용을 위한 제2수용공간(32)으로 구분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It is further preferable that the accommodation space 30 is divided into a first accommodation space 31 for accommodating the planar inner body 51 and a second accommodation space 32 for accommodating the three- .

평면내장체(51)를 위한 제1수용공간(31)은 입체내장체(52)를 위한 제2수용공간(32)에 비해 유격공간이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를 위해 하기할 고정패널(60)에는 별도의 높이보정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accommodation space 31 for the flat inner surface body 51 is formed to have a smaller clearance space than the second accommodation space 32 for the three-dimensional inner body 52. For this purpose, 60 are equipped with separate height correction means.

다음으로 본 고안의 핵심인 상기 고정패널(60)의 구조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Next, the structure of the fixed panel 60, which is the cor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입체내장체 고정부(61)를 갖고, 프레임(10)의 스토퍼(17)에 의하여 고정되는 고정패널(60)은 도4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진, 그림, 상장, 감사장과 같은 평면내장체(51)의 노출을 위한 트임부(63)가 타공 형성되어 있다.4 and 5, the fixed panel 60 having the three-dimensional solid body fixing portion 61 and fixed by the stopper 17 of the frame 10 has a shape such as a photograph, a picture, a certificate, a certificate of appreciation A cutter portion 63 for exposing the planar inner surface body 51 is formed.

도1 내지 도7에는 상기 트임부(63)의 크기가 상기 입체내장체(52) 고정부(61)의 크기보다 크게 도시 되어 있으나, 이는 일반적으로 페이퍼형태의 평면내장체(51)의 크기가 입체내장체(52)의 크기보다 크기 때문이다.1 to 7, the size of the twisted portion 63 is larger than the size of the fixing portion 61 of the three-dimensional body 52, but the size of the planar inner body 51 in the form of paper is generally Dimensional body 52 is larger than the size of the three-

이러한 크기는 당업자의 상황이나 판단에 따라 변형 실시 가능한 것으로 해석된다.
Such a size is interpreted as being capable of being modified according to the circumstances or judgment of a person skilled in the art.

이러한 고정패널(60)은 하드보드지와 같은 강도가 높은 페이퍼(Paper)수지를 활용하거나 우드락(폼보드), 목재합판 등을 활용할 수 있다.
The fixed panel 60 may utilize a paper resin having high strength such as a hard board paper, or a wood plywood (wood board), a wood plywood, or the like.

아울러 상기 고정패널(60)은 모시 또는 마 소재의 천 장식이 덧대어질 수 있다. 이를 통해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고, 나아가 먼지 등을 쉽게 제거할 수 있어 보관 및 유지에 용이하고, 추가로 쉽게 변색되지 않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In addition, the fixing panel 60 may be padded with cloth or hem cloth.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roduce a luxurious atmosphere and to easily remove dust and the like, which is easy to store and maintain, and has an advantage that it is not easily discolored.

한편 도4 내지 도6에서는 상기 트임부(63)를 감싸는 고정패널(60)의 둘레부(65)를 압지 하도록 끼움홈(67)을 형성하는 전면장식부(691), 후면지지부(693), 이 둘을 잇는 연결부(695)를 갖는 장식트림(69)이 둘레부(65)에 결합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4 to 6 show a front decorating part 691, a rear supporting part 693, and a front supporting part 693, which form a fitting groove 67 for pressing the circumferential part 65 of the fixing panel 60 surrounding the twisting part 63, It can be seen that the decorative trim 69 having the connecting portion 695 connecting the two is coupled to the peripheral portion 65. [

상기 전면장식부(691)는 금장 또는 은장 등으로 구성할 수 있고, 기타 희귀성 금속 재료를 활용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front decorative part 691 may be formed of gold or silver, or may be formed using other rare metal materials.

제품의 신뢰성과 고급스러움을 강조하는 동시에 부식, 변색 등에 강한 산화성이 낮은 금 또는 은과 같은 희귀성 금속 자체를 활용하거나 또는 플라스틱 사출에 도금하는 형태로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It is also possible to utilize a rare metal such as gold or silver which is low in oxidation resistance, which is resistant to corrosion, discoloration and the like, or plated with plastic injection, while emphasizing the reliability and luxury of the product.

또한 상기 후면지지부(693)는 강도가 높은 아크릴 수지나 폴리염화비닐(PVC)과 같은 소재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Also, it is preferable that the rear supporting part 693 is made of a material such as acrylic resin or polyvinyl chloride (PVC) having high strength.

이러한 후면지지부(693)는 페이퍼수지로 이루어진 상기 고정패널(60)이 장기간 사용 시에 습기 등에 의해 휘는 현상을 막아주어 내구성이 높은 액자(F)를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The rear support portion 693 prevents the fixing panel 60 made of paper resin from being bent by moisture or the like during long-term use, thereby providing the frame F with high durability.

또 이러한 후면지지부(693)는 상기 평면내장체(51)를 위한 제1수용공간(31)과 입체내장체(52)를 위한 제2수용공간(32)에 다르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제1수용공간(31)에 형성된 후면지지부(693)에는 평면내장체(51)가 상기 수용공간(30)에 의한 유격에 의해 액자(F) 내부에서 흔들리지 않도록 하는 별도의 스토핑 수단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1을 통해 제1수용공간(31)과 제2수용공간(32)의 구분을 확인할 수 있다.) The rear support portion 693 is preferably applied to the first accommodation space 31 for the planar inner body 51 and the second accommodation space 32 for the three-dimensional inner body 52, It is preferable that a separate stopping means is provided on the rear supporting portion 693 formed in the accommodating space 31 so as to prevent the flat inner surface 51 from shaking in the frame F due to the clearance of the accommodating space 30 (The distinction between the first accommodation space 31 and the second accommodation space 32 can be confirmed through FIG. 1).

이를 위해 본 고안에서는 상기 후면지지부(693)에 이탈방지턱(미도시)을 추가로 구비하여 상기 평면내장체(51)가 내부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해주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였다.
To this end, the rear support portion 693 is further provided with a release preventing jaw (not shown) to fix the flat inner surface body 51 so as not to move inside.

상기 전면장식부(691)와 후면지지부(693)는 연결부(695)를 통해 이어져 있고, 이러한 장식트림(69)은 상기 고정패널(60)의 둘레부(65)에 상기 끼움홈(67)을 통해 결합되어 있는 것을 도4 내지 도6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The front decorating part 691 and the rear supporting part 693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connecting part 695. The decorative trim 69 is fitted to the circumferential part 65 of the fixing panel 60 4 through 6, respectively.

상기 결합을 지지하기 위해 접착수단을 끼움홈(67) 내측에 도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열융착과 같은 방법을 통해 결합을 지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It is preferable to introduce the bonding means inside the fitting groove 67 to support the bonding, and it is also possible to support the bonding via a method such as thermal fusion bonding.

또한 도4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패널(60)에는 추가로 보조패널(66)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S. 4 and 5, it is preferable that the fixed panel 60 further includes an auxiliary panel 66.

상기 보조패널(66)은 상기 고정패널(60)의 후면에 위치하고 역시 마찬가지로 상기 프레임(10)의 수납부(15)에 배열되며, 동시에 마감패널(70)의 전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auxiliary panel 66 is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ixed panel 60 and likewise on the receiving portion 15 of the frame 10 and at the same time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inishing panel 70.

이러한 보조패널(66)은 평면 및 입체내장체(52)의 효과적인 전시를 위해서 배경이미지를 이루는 고급스러운 장식이나 문양 또는 색채가 가미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입체내장체(52) 고정부(61)를 이 보조패널(66)에 구비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It is desirable that such an auxiliary panel 66 be provided with a luxurious decoration, pattern or color that forms a background image for effective display of the planar and stereoscopic body 52. It is further preferable that the fixing portion 61 of the three-dimensional solid body 52 is provided on the sub-panel 66.

상기 보조패널(66)은 완충소재로 이루어져 있어, 본 고만에 따른 액자(F)가 거치 상태에서 이탈하여 바닥 등에 떨어지는 경우 그 충격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막아준다.
The auxiliary panel 66 is made of a cushioning material and prevents the frame F from being damaged by the impact when the frame F is separated from the floor and dropped on the floor.

도4 및 도5에서는 또한 상기 고정패널(60) 또는 보조패널(66)의 후면에 위치하고 마찬가지로 상기 프레임(10)의 수납부(15)에 최종 배열되는 마감패널(70)을 확인할 수 있다.4 and 5, it is also possible to identify the finishing panel 70 loca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ixed panel 60 or the sub panel 66 and finally arranged in the receiving portion 15 of the frame 10 as well.

상기 마감패널(70)에는 직립용 다리(71)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추가로 확인할 수 있고, 이 직립용 다리(71)는 펼침 각도 제한부재(75)가 구비되어 있는 것 또한 확인 가능하다.
It can be further confirmed that the upright panel 71 is provided with the upright legs 71 and it is also verified that the upright angle limiting members 75 are provided.

도2를 통해 확인 가능한 바와 같이, 상기 직립용 다리(71)는 상기 마감패널(70)에 고정되어 있는 선회부재(73)에 일 단부가 연결되어 있고, 액자(F)의 직립 거치 시에는 액자(F)의 후면 방향으로 회동하여 선회부재(73)와 결합되지 않은 타 단부가 바닥면에 접한 채로 직립 상태를 지지하고(도2 [B]), 벽면에 거치하거나 보관하는 등과 같은 직립 상태 해제 시에는 액자(F)의 전면 방향으로 회동하여 상기 마감패널(70)의 후면에 밀착된다(도2 [A]).2, one end of the upright leg 71 is connected to a turning member 73 fixed to the finishing panel 70. When the frame F is vertically mounted, (See Fig. 2 (B)) while the other end not paired with the pivotal member 73 is held in contact with the floor surface, and is lifted upright or stored in the wall surface And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finishing panel 70 (Fig. 2 (A)).

이와 같은 직립용 다리(71)의 회동에 있어서, 상기 직립용 다리(71)가 액자(F)의 무게 때문에 후방으로 점점 회동되어 액자(F)가 후방으로 쓰러지게 되는 것을 막아주기 위한 제한부재(75)가 구비되어 있는 것 또한 도2 [B]를 통해 확인 가능하다.The upright leg 71 is pivoted rearwardly due to the weight of the frame F so as to prevent the frame F from falling backward in the rotation of the upright leg 71 It is also possible to confirm that it is equipped with the light source 75 in FIG. 2B.

상기 제한부재(75)는 줄부재(751)와 이 줄부재의 양단을, 일단은 마감패널(70)에 일단은 직립용 다리(71)에 고정해주는 고정구(753)로 이루어져 있다.
The restricting member 75 is composed of a string member 751 and fixing members 753 for fixing both ends of the string member to the end panel 70 at one end and the legs 71 at the other end.

상기 마감패널(70)에는 다리 수납홈(미도시)이 별도로 구비되어 상기와 같이 직립상태 해제 시, 다리 수납홈에 상기 직립용 다리(71)가 삽입되어 은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nishing panel 70 may be provided with a leg-receiving groove (not shown). When the legs are released from the upright state as described above, the legs 71 may be inserted into the leg-receiving grooves to be concealed.

직립용 다리(71)가 상기 마감패널(70)의 단부로 노출된 상태로 벽면 등에 거치할 때, 상기 직립용 다리(71)에 의해 벽면에 완전히 밀착되지 못하게 되고, 이 경우 액자(F)의 무게가 모두 벽면에 고정된 못과 같은 고정부재에 쏠리게 되고 고정부재가 벽면에서 이탈되어 버리거나 또는 작은 충격에도 액자(F)가 고정부재에서 이탈되어버릴 염려가 있다.When the upright leg 71 is mounted on a wall surface or the like with the end of the upright panel 70 being exposed to the end of the finish panel 70, the upright leg 71 can not completely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the wall surfac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weight of the frame F is deviated to a fixing member such as a nail fixed to the wall and the fixing member is separated from the wall surface or the frame F is separated from the fixing member even in a small impact.

따라서 이러한 다리 수납홈의 도입을 통해 외관이 깔끔하고 특히 상기와 같은 벽면 거치 시의 거치 안정성에 대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Therefore, the appearance of the leg-restricting grooves is clean, and in particular, the problem of the stability of the wall-mounted restraints can be solved.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액자(F)의 고정패널(60)은 도6에 도시된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Meanwhile, the fixed panel 60 of the frame 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in the form shown in FIG.

도6에서는 좌우 제1장식트림(69A)과, 상하 제2장식트림(69B)을 확인 할 수 있는데,In Fig. 6, the left and right first decorative trims 69A and the upper and lower second decorative trims 69B can be identified.

제1장식트림(69A)은 상기 고정패널(60)의 둘레부(65)의 좌우 테두리에 결합되고, 상기 제2장식트림(69B)은 고정패널(60)의 둘레부(65)의 상하 테두리에 결합된다.The first decorative trim 69A is coupled to the left and right edges of the peripheral portion 65 of the fixed panel 60 and the second decorative trim 69B is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edges of the peripheral portion 65 of the fixed panel 60. [ Lt; / RTI >

제1장식트림(69A)은 양단부가 사선 단부로 구성되어 있고, 이는 제2장식트림(69B)에도 마찬가지로 구비될 수 있다.Both ends of the first decorative trim 69A are formed by oblique ends, which can be similarly provided to the second decorative trim 69B.

또한 제1 및 제2 장식트림(69A)(69B)의 후면지지부(693)는 전면장식부(691)보다 고정패널(60)의 둘레부(65)와 접하는 면적이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The rear supporting portions 693 of the first and second decorative trim portions 69A and 69B are preferably larger in area than the front decorating portion 691 in contact with the peripheral portion 65 of the fixed panel 60. [

이는 결합력을 위한 구성적 특징인데, 접착수단을 활용하는 경우 상기 고정패널(60)의 전면보다는 후면에 접착수단을 도포하는 것이 외관적 측면에서 볼 때 바람직하고, 당연히 후면의 접촉 면적이 큰 것이 접착수단에 의한 결합에 있어 유리할 것이다.This is a constitutive feature for the bonding force. In the case of utilizing the bonding means, it is preferable to apply the adhesive means to the rear surface rather than the front surface of the stationary panel 60 from the viewpoint of appearance. Of course, Lt; / RTI >

또한 전기한 바와 같이, 후면지지부(693)는 상기 고정패널(60)의 지지를 위해 강도가 높은 소재로 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패널(60)의 휨 방지를 위해서도 후면지지부(693)가 전면장식부(691)보다 고정패널(60)의 둘레부(65)와의 접촉 면적이 넓은 것이 바람직하다.
Since the rear support portion 693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 high strength for supporting the fixed panel 60 as described above, It is preferable that the area of contact with the peripheral portion 65 of the fixed panel 60 is larger than that of the fixed portion 691.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각 트임부(63)를 감싸는 둘레부(65)는 각각 대편에 배열된 두 돌출부(651)와, 다른 두 비돌출부(653)를 갖는데, 돌출부(651)는 제1장식트림(69A)과 결합되는 좌우측에, 비돌출부(653)는 제2장식트림(69B)과 결합되는 상하 측에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6, the circumferential portions 65 surrounding the rectangular trenches 63 have two protrusions 651 arranged on the opposite sides and two other protrusions 653, and the protrusions 651 It is preferable that the non-protruding portions 653 are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coupled with the first decorative trim 69A an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coupled with the second decorative trim 69B.

또한 도6 및 도6 상부 일점쇄선 원 영역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651)와 비돌출부(653)를 갖는 특성에 의해 상기 트임부(63)는 '

Figure 112014052775780-utm00003
'또는 '
Figure 112014052775780-utm00004
' 형상을 갖는 유사 사각 트임부(63m)가 되고, 이 유사 사각 트임부(63m)의 둘레부(65), 즉 돌출부(651)와 비돌출부(653)에는 상기 제1장식트림(69A)의 제1끼움홈(699a)과 상기 제2장식트림(69B)의 제2끼움홈(699b)이 결합되고,6 and 6,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truding portion 651 and the non-protruding portion 653, the tip portion 63 is formed of the '
Figure 112014052775780-utm00003
'or '
Figure 112014052775780-utm00004
And the protruding portion 651 and the non-protruding portion 653 of the perimeter portion 65 of the pseudo rectangular truncated portion 63m are formed to have a shape similar to that of the first decorative trim 69A The first fitting groove 699a is engaged with the second fitting groove 699b of the second decorative trim 69B,

나아가 도6의 우측 하단 일점쇄선 영역에 표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끼움홈(699a)은 상기 제2끼움홈(699b)에 비해 더 얕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6, the first fitting groove 699a is shallower than the second fitting groove 699b, as indicated by the dotted line at the lower right end of FIG.

상기 좌우측에 결합되는 제1장식트림(69A)은 보다 깊은 제2끼움홈(699b)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The first decorative trim 69A coupl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preferably has a deeper second fitting groove 699b,

상기 상하 측에 결합되는 제2장식트림(69B)은 보다 얕은 제1끼움홈(699a)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decorative trim 69B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sides has a shallow first fitting groove 699a.

이런 제1 및 제2 장식트림(69A)(69B)은 둘레부(65)에 결합된 상태에서 사각형의 실(實)트임부(63t)를 구성하게 되는데, 상대적으로 돌출된 돌출부(651)에 상대적으로 깊이가 깊은 제2끼움홈(699b)을 갖는 제1장식트림(69A)이 결합되고, 비돌출부(653)에 깊이가 얕은 제1끼움홈(699a)을 갖는 제2장식트림(69B)이 결합되므로 전체적으로 사각형의 형상이 유지되어,The first and second ornamental trims 69A and 69B constitute a quadrangular truncated cone portion 63t in a state of being coupled to the circumferential portion 65. The protruded portion 651 The first decorative trim 69A having the second fitting groove 699b having a relatively deep depth is engaged and the second decorative trim 69B having the first fitting groove 699a having a shallow depth is formed on the non- The shape of the rectangle is maintained as a whole,

쉽게 결합하여 조립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성이 뛰어난 액자(F)를 제공하고,It is possible to easily assemble and assemble the frame F to provide a frame F with excellent workability,

나아가 접착수단을 활용하지 않아도 단순하게 끼움결합만으로도 고정을 지지할 수 있어 접착부재가 노출되어 외관의 미감을 떨어뜨리는 점을 사전에 막을 수 있고, 조립 후에 변형해야할 여지가 있을 때 보다 쉽게 해체가 가능하도록 하여 유지, 보수, 특히 청소 작업이 용이하도록 한다.
Further, even if the adhesive means is not used, it is possible to support the fixation even by simply fitting the adhesive, thereby preventing the appearance of the appearance of the adhesive member from being deteriorated, and allowing the adhesive member to be easily disassembled when there is room for modification after assembly So as to facilitate maintenance, maintenance, and particularly cleaning.

또한 상기 유사 사각 트임부(63m)는 돌출부(651)와 비돌출부(653)가 접하는 지점에 결착슬릿(655)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도6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6, it can be seen that the pit slit 655 is formed at a position where the protruding portion 651 and the non-protruding portion 653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상기 돌출부(651)의 단부는 상기 제1장식트림(69A)의 사선 단부에 대응되어 사선의 형태를 가지고 있고, 이는 제1장식트림(69A)을 돌출부(651)에 결합하기 쉽게 하여 조립성을 높이기 위함이며, 마찬가지로 이유로 본 고안은 조립성을 보다 높이기 위해 결착슬릿(655)을 추가로 도입하여 제1장식트림(69A)을 먼저 결합하고 난 후 제2장식트림(69B)을 결합할 때 필요한 유격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The end of the protrusion 651 has a slanting shape corresponding to the slanting end of the first decorative trim 69A so that the first decorative trim 69A can be easily engaged with the protrusion 651, And likewise for the same reason, the present invention is further advantageous in that it is necessary to additionally introduce the engagement slit 655 to further increase the assemblability and to join the second decorative trim 69B after first joining the first decorative trim 69A So that a clearance space can be secured.

상기 결합에 대한 설명은 돌출부(651)가 좌우측이 구비된, 즉 트임부(63)가 '

Figure 112014052775780-utm00005
'의 형상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 것이고,The description of the coupling is made such that the protrusions 651 are provided on the right and left sides,
Figure 112014052775780-utm00005
&Quot;, and "

상기 돌출부(651)가 상하 측에 구비된, 즉 트임부(63)가 '

Figure 112014052775780-utm00006
'의 형상인 경우에는 제1장식트림(69A)은 깊이가 얕은 제1끼움부를 갖고, 제2장식트림(69B)은 깊이가 깊은 제2끼움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The projecting portion 651 is provid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that is,
Figure 112014052775780-utm00006
The first decorative trim 69A preferably has a first recessed portion with a shallow depth and the second decorative trim 69B preferably has a second recessed portion with a deep depth.

도7에는 상기와 같은 제1 및 제2장식트림(69A)(69B)의 결합에 대해 도시하고 있는데, 도7을 통해 결합과정에 대해 설명하면,FIG. 7 illustrates the combin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decorative trim portions 69A and 69B. The combining proces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먼저 고정패널(60)의 둘레부(65)에 형성된 돌출부(651)에 제1장식트림(69A)을 설치하고, 비돌출부(653)에 제2장식트림(69B)을 결합한 다음,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방식으로 밀어주면 제1장식트림(69A)의 사선 단부와 제2장식트림(69B)의 사선 단부가 만나면서 결착슬릿(655)에 결합되어 사각형 실 트임부(63t)를 구성하며 설치가 완료된다.First the decorative trim 69A is provided on the projection 651 formed on the peripheral portion 65 of the fixing panel 60 and the second decorative trim 69B is fitted on the non- As shown in the drawing, when the sliding method is pushed, the oblique end portions of the first decorative trim 69A and the oblique end portions of the second decorative trim 69B are combined with the engaging slit 655 to form the rectangular sealing portion 63t Installation is complete.

이때 상기 제1장식트림(69A)의 사선 단부에는 수용홈(미도시)을 추가로 구비하고, 제2장식트림(69B)에는 수용돌기(미도시)를 구비하여, 상호 접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장식트림(69A)의 수용홈에 상기 제2장식트림(69B)의 수용돌기가 삽입된 채로 결합되는 것이 결합력의 증대에 있어 보다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a receiving groove (not shown) is additionally provided at a slant end of the first decorative trim 69A and a receiving protrusion (not shown) is provided in the second decorative trim 69B,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receiving projection of the second decorative trim 69B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of the decorative trim 69A while the receiving projection of the second decorative trim 69B is inserted.

한편 도8에서는 본 고안의 고정패널에 형성된 입체내장체 고정부(61)의 실시가 확대 도시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in Fig. 8, the implementation of the three-dimensional solid body fixing part 61 formed on the fixed pane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nlarged.

상기 고정부(61)는 상기 고정패널(60)에 형성된 홈으로, 전기한 바와 같은 일정 두께를 갖는 입체내장체(52)가 전방으로 향하여 전시될 수 있는 형태로 고정부(61)에 끼워 넣어 진열한다. 상기 고정부(61)는 사각형, 사다리꼴, 원 등 다양한 형태의 홈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전시하고자 하는 입체내장체(52)의 형태에 따라 당업자가 변경 제작 가능한 것이다.The fixing part 61 is a groove formed in the fixing panel 60. The fixing part 60 is inserted into the fixing part 61 in such a form that the three- Show up. The fixing portion 61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square, a trapezoid, and a circle, and can be modified and manufactur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three-dimensional body 52 to be displayed.

상기 입체내장체 고정부(61)는 상기 평면내장체 전시용 트임부(63)와 함께 상기 고정패널(60)의 전면의 구비되고, 트임부(63)에 형성된 장식트림(69)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three-dimensional embedding body fixing part 61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ixed panel 60 together with the flat trunk part for trimming display 63 and the decoration trim 69 formed on the trimming part 63 is applied It is possible.

상기 입체내장체 고정부(61)에 장식트림(69)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입체내장체 고정부(61)를 전기한 보조패널(66)에 별도로 마련하고, 상기 고정패널(60)에는 트임부(63)를 형성하여 장식트림(69)을 결합하고 상기 고정패널(60)의 후면에 보조패널(66)을 밀착시켜 결합하면 된다.
In order to apply the decorative trim 69 to the three-dimensional solid body fixing portion 61, the three-dimensional solid body fixing portion 61 is separately provided on the electric auxiliary panel 66, and the fixing panel 60 is provided with the trimming portion 69 63 may be formed to connect the ornamental trim 69 and the auxiliary panel 66 may be closely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fixed panel 60. [

이상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입체내장체가 수용 가능한 액자(F)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In the above description, a frame (F) capable of accommodating a three-dimensional body having a specific shape and structur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changed and replac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Modifications, alterations, and substitutions are to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F: 액자 10: 프레임
11: 개구부 13: 걸림턱
15: 수납부 17; 스토퍼
19: 벽걸이용 고리 20: 투광패널
30: 수용공간 31: 제1수용공간
32: 제2수용공간 40: 스페이서
50: 내장체 51: 평면내장체
52: 입체내장체 60: 고정패널
61: 입체내장체 고정부 63: 트임부
65: 둘레부 651: 돌출부
653: 비돌출부 655: 결합슬릿
67: 끼움홈 69: 장식트림
69A: 제1장식트림 69B: 제2장식트림
691: 전면장식부 693: 후면지지부
695: 연결부 699a: 제1끼움홈
699b: 제2끼움홈 70: 마감패널
71: 직립용 다리 73: 선회부재
75; 펼침 각도 제한부재 751: 줄부재
753: 고정구
F: Frame 10: Frame
11: opening 13:
15: storage portion 17; stopper
19: Wall ring 20: Light projecting panel
30: accommodation space 31: first accommodation space
32: second accommodation space 40: spacer
50: interior body 51: flat interior body
52: three-dimensional body 60: fixed panel
61: three-dimensional solid body fixing member 63:
65: circumference 651: protrusion
653: non-protruding portion 655:
67: fitting groove 69: decorative trim
69A: 1st decorative trim 69B: 2nd decorative trim
691: front decorating part 693: rear supporting part
695: connecting portion 699a: first fitting groove
699b: second fitting groove 70: finishing panel
71: leg for uprighting 73:
75; Spread angle restricting member 751:
753: Fixture

Claims (4)

개구부, 내측 둘레의 걸림턱, 상기 걸림턱 영역에 구비된 수납부, 후면에 구비된 스토퍼를 갖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수납부에 배열되어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는 투광패널;
상기 투광패널 후면 테두리에 접하도록 수납부에 안치되는 스페이서;
입체내장체를 포함하는 내장체; 및
상기 스페이서 후면에 접한 상태로 프레임의 수납부에 배열되며, 투광패널과의 사이에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입체내장체 고정부를 갖고, 상기 프레임의 스토퍼에 의하여 고정되는 고정패널;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패널에는 사진, 상장, 감사장과 같은 평면내장체의 노출을 위한 트임부가 타공 형성되어 있고,
이 트임부를 감싸는 고정패널의 둘레부를 압지 하도록 끼움홈을 형성하는 전면장식부, 후면지지부, 전면장식부와 후면지지부를 잇는 연결부를 갖는 장식트림이 둘레부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트임부는 사각 트임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식트림은 상호 상응하는 좌우 제1장식트림과, 상하 제2장식트림으로 구성되고,
제1 및 제2 장식트림은 상호 접하는 단부가 사선 단부를 구성하며,
제1 및 제2 장식트림의 후면지지부는 전면장식부보다 고정패널의 둘레부와 접하는 면적이 더 크고,
상기 고정패널의 사각 트임부를 감싸는 둘레부는 각각 대편에 배열된 두 돌출부와, 다른 두 비돌출부를 가져 '
Figure 112016011647415-utm00019
'또는 '
Figure 112016011647415-utm00020
' 형상의 유사 사각 트임부가 형성되고,
제1 또는 제2 장식트림은 이 돌출부를 수용하도록 상대적으로 더 얕은 제1끼움홈을 갖고.
제2 또는 제1 장식트림은 이 비돌출부를 수용하도록 상대적으로 더 깊은 제2끼움홈을 갖고,
둘레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네 개의 제1 및 제2 장식트림은 사각형 실(實)트임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
A frame having an opening, a stopper on the inner periphery, a storage portion provided on the stopper region, and a stopper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A light projecting panel arranged at a receiving portion of the frame to prevent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the frame;
A spacer which is placed in the receiving portion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rear edge of the light transmitting panel;
An inner body including a three-dimensional inner body; And
A fixed panel which is arranged in the receiving section of the frame in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spacer and forms a receiving space with the light transmitting panel, has a three-dimensional embedding body holding section and is fixed by a stopper of the frame;
, ≪ / RTI >
The fixing panel is formed with a trim portion for exposing a flat inner surface such as a photograph,
A decorative trim having a front decorating portion, a rear supporting portion, and a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front decorating portion and the rear supporting portion, the decorative trim being coupled to the periphery of the fixing trim panel,
Wherein the brim includes a square brim,
Wherein the decorative trim comprises a corresponding first left decorative trim and a second upper decorative trim,
The first and second decorative trim portions constitute the oblique end portions,
The rear supporting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decorative trims have a larger area in contact with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fixed panel than the front decorating portion,
The periphery of the rectangular panel surrounding the rectangular panel has two protrusions arranged on the opposite sides and two other protrusions,
Figure 112016011647415-utm00019
'or '
Figure 112016011647415-utm00020
Shaped < / RTI > quadrilateral portion of the shape is formed,
The first or second decorative trim has a relatively shallower first fitting groove to receive the projection.
The second or first decorative trim has a relatively deeper second fitting groove to receive the non-protruding portion,
And the four first and second decorative trim portions in the state of being joined to the peripheral portion constitute a rectangular trimming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패널의 후면에 접한 상태로 프레임의 수납부에 배열되는 마감패널을 더 포함하며,
상기 마감패널에는 직립용 다리가 구비되어 있고,
이 직립용 다리는 펼침 각도 제한부재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프레임의 후면 상부에는 벽걸이용 고리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finishing panel arranged on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frame in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fixed panel,
The finishing panel is provided with an upright leg,
The upright leg is provided with a spread angle restricting member,
And a wall-hanging ring is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rear surface of the fram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2020140004238U 2014-06-03 2014-06-03 Frame for award KR200480596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238U KR200480596Y1 (en) 2014-06-03 2014-06-03 Frame for awar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238U KR200480596Y1 (en) 2014-06-03 2014-06-03 Frame for awar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4459U KR20150004459U (en) 2015-12-11
KR200480596Y1 true KR200480596Y1 (en) 2016-06-13

Family

ID=55028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4238U KR200480596Y1 (en) 2014-06-03 2014-06-03 Frame for awar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0596Y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7309B1 (en) * 2018-05-18 2020-08-24 주식회사 예일문화사 Frame include folding type bridge
JP7157442B2 (en) * 2018-08-28 2022-10-20 額縁のタカハシ株式会社 picture frame for conferment of hono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4396B2 (en) * 1989-11-30 2000-02-28 三田工業株式会社 Image reading device
JP3117745B2 (en) 1991-04-23 2000-12-18 日本電子株式会社 Objective lens in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4396B2 (en) * 1989-11-30 2000-02-28 三田工業株式会社 Image reading device
JP3117745B2 (en) 1991-04-23 2000-12-18 日本電子株式会社 Objective lens in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4459U (en) 2015-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533579S1 (en) Eyeglasses
USD603916S1 (en) Ball
USD509382S1 (en) Eyeglass display
KR200480596Y1 (en) Frame for award
USD620127S1 (en) Fence set
USD524451S1 (en) Railing and sunshade support for a pool
US8480247B2 (en) Interchangeable decoration system
USD531748S1 (en) Outdoor light
USD533394S1 (en) Combined platter and base
USD557940S1 (en) Tabletop drink service display
USD514247S1 (en) Lighting fixture base
USD520258S1 (en) Outdoor chair
JP3128006U (en) Stone photo frame for remains
USD524567S1 (en) Outdoor chair
USD532121S1 (en) Post support
KR200416668Y1 (en) folding screen possible to light
KR200483441Y1 (en) Frame equipped with anti-scratch recess
CN204048943U (en) Escutcheon and assembly
KR20110003819U (en) Medal plate
KR200185080Y1 (en) A rotary picture frame for a table
JP3117745U (en) Picture frame
US20200196777A1 (en) Modular, multi-function frame system
CN204132959U (en) A kind of table picture frame with receiver
KR200341755Y1 (en) Table frame
KR200465607Y1 (en) Supporting tool with memorial tabl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