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7267A - A pill box and a method for managing an administration of a medication - Google Patents

A pill box and a method for managing an administration of a medic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7267A
KR20120007267A KR20100067939A KR20100067939A KR20120007267A KR 20120007267 A KR20120007267 A KR 20120007267A KR 20100067939 A KR20100067939 A KR 20100067939A KR 20100067939 A KR20100067939 A KR 20100067939A KR 20120007267 A KR20120007267 A KR 201200072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ine
medication
time
box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00679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164792B1 (en
Inventor
박명은
홍승범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000679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4792B1/en
Priority to PCT/KR2010/005360 priority patent/WO2012008647A1/en
Publication of KR20120007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726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47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479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4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 A61J7/0409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 A61J7/0481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working on a schedule ba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4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 A61J7/0409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 A61J7/0481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working on a schedule basis
    • A61J7/049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working on a schedule basis automatically changing in response to a schedule deviation by the patien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2200/00General characteristics or adaptations
    • A61J2200/30Compliance analysis for taking med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4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 A61J7/0409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 A61J7/0427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with direct interaction with a dispensing or delivery system
    • A61J7/0436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with direct interaction with a dispensing or delivery system resulting from removing a drug from, or opening, a contain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PURPOSE: A medicine box and a medicine taking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ame are provided to enable a user to effectively perform medicine taking administration. CONSTITUTION: A medicine box comprises: a housing(110); a plurality of medicine containers(120); a plurality of output devices(130) which correspond to the medicine containers; and a controller which obtains information on medicine and a medicine taking time, selects at least one among medicine containers, and controls for the output device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medicine container to output a mark for directing medicine taking.

Description

약상자 및 약상자를 이용한 복약관리방법{A PILL BOX AND A METHOD FOR MANAGING AN ADMINISTRATION OF A MEDICATION}Medication box and medicine management method using medicine box {A PILL BOX AND A METHOD FOR MANAGING AN ADMINISTRATION OF A MEDICATION}

본 발명은 복약관리를 하는 약상자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복약지도 및 복약확인을 하는 약상자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dicine box for medication management.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dicine box for medication guidance and medication confirmation.

약은 질병이나 부상, 기타 신체의 이상을 치료, 완화 및 예방하기 위해 생물에게 투여하는 물질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건강한 사람이라도 일년에 수 차례 약을 복용하게 마련이며, 특정 질환이 있는 사람의 경우에는 일생 동안 주기적으로 복약을 해야 하기도 한다. 이러한 약들은 각각 서로 다른 화학적 성분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약마다 인체 내에서 흡수 및 분해되는 작용과정이 달라 대부분 복약시간이 미리 정해져 있다. 따라서 올바른 투약효과를 위해서는 약의 성분과 목적 및 약효의 지속시간에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정해진 시간에 정해진 약제를 복용하는 것이 중요하다.A medicine is a substance administered to a living organism to treat, alleviate, or prevent a disease, injury, or other physical condition. In general, even healthy people take the medicine several times a year, and people with certain diseases may need to take medicine periodically throughout their lives. Since these drugs are made of different chemical components, different drugs have different processes of absorption and decomposition in the human body, and most medication time is predetermined. Therefore, for the correct dosage effect, it is important to take a fixed drug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at regular intervals depending on the composition and purpose of the drug and the duration of the drug.

일반적으로 약에 대한 처방전을 작성하는 의사나 약사는 투약시간에 대해 기상 후, 식전, 식후 및 취침 전 등과 같이 가능한 일반인들의 생활패턴에 맞춰 복용약제, 복약시간 및 복용방법 등에 대해 안내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러한 복약지도는 의·약사들의 구두에 따라 설명되며 이후 복약과정에서 복용자의 기억과 주의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것이므로 복용자 개개인이 주의를 기울이지 않는다면 복약스케줄에 따른 효과적인 복용을 기대하기 힘들다. 특히 분초를 다투는 현대인의 경우 바쁜 일상생활로 인하여 외출 시에 항상 약을 소지하여 정해진 시간에 정해진 약제를 올바로 복용하기란 그리 쉬운 일이 아니다. 더욱이 아동이나 노인의 경우에는 일반인에 비해 주의력이 약할 수 있어 별도의 복약관리가 없다면 실제로 정확한 시간에 복약스케줄에 따라 정기적으로 약을 복용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뿐 아니라 복약여부를 기억하지 못해 약을 오·남용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다.In general, a doctor or pharmacist who writes a prescription for a medicine provides information on medications, medication time, and methods of taking medications in accordance with possible lifestyle patterns, such as after waking up, before meals, after meals, and before bedtime. . However, such medication guidance is explained according to oral medicine and pharmacists, and since it depends solely on the memory and attention of the patient during the medication process, it is difficult to expect effective medication according to the medication schedule unless the individual takes care of the medication. Particularly in the case of a modern man struggling for minutes and minutes, it is not easy to take medicine correctly at a given time by always carrying medicine when going out due to busy daily life. In addition, children and the elderly may be less alert than the general public, so if there is no separate medication management, it is difficult to take the medicine regularly according to the medication schedule at the exact time, and it is impossible to remember whether or not to take the medicine. Abuse may occur.

종래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복약관리를 보조하는 별도의 기록지를 이용하여 왔다. 별도의 기록지란 복용약제 및 복약시기가 제공되어 복용자가 이에 따라 복약한 뒤 복약 사실을 하나하나 기록하는 노트나 메모 등이다. 그러나 이러한 기록지를 이용한 복약관리는 사람이 수기로 작성하는 것이어서 효율적인 관리가 이루어지기 힘들 수 있다. 복용자가 매번 복약 시마다 기록지에 복약사실을 수기로 기록하는 것은 누락이나 오기의 우려가 크며, 양로원이나 보육시설 등에서 간호인에게 기록하도록 하는 경우라도 모든 복약여부를 빠짐없이 기록하기란 현실적으로 곤란할 수 있다.Conventionally, a separate recording sheet for assisting medication management has been used to solve this problem. A separate record sheet is a note or memo to record the medication facts one by one after taking the medication and time to take the medication accordingly. However, medication management using such a recording sheet is written by a person by hand, so it may be difficult to efficiently manage the medication. It is very likely that the person taking the medication record on the record sheet every time they take the medication, there is a high risk of omission or coming, and even if the nursing home or nursery to be recorded to the caregiver, it may be practically difficult to record all the medication.

이에 대해 최근에는 정해진 시기에 복용해야 하는 약을 분류하여 수납해 놓는 약상자 등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약상자는 기록지에 복약기록을 하는 것에 비해서는 복약순응도면에서 유리하지만 크기나 무게상 휴대하기 곤란하고 복약시기별로 약을 분류하는 작업이 요구되므로 번거로울 뿐 아니라 분류 시 실수로 약이 잘못 수납되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또한 복용자에게 복약시간을 알리기 위해서는 별도의 자명종 등을 이용해야 하므로 체계적인 복약관리를 위해서는 아직 미흡한 점이 많다.Recently, medicine boxes, etc., which classify and store medicines to be taken at a predetermined time have been used. These medicine boxes are advantageous in terms of compliance with medication records compared to recording medication records, but they are difficult to carry in size and weight, and are required to classify drugs by medication time. Can occur. In addition, in order to inform the taking time to take a separate alarm clock, such as to use a systematic dosing management is still insufficient in many points.

따라서, 사회가 발전하여 점차적으로 개인의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일반인은 물론 유아나 노인의 경우에도 올바른 복약을 위해 사용하기 간편하면서도 높은 복약순응도를 확보할 수 있도록 효과적인 복약지도 및 복약관리를 위한 약상자에 대한 필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다.
Therefore, as the society develops and the interest in personal health gradually increases, effective medication guidance and medication management is easy to use for the correct medication and high medication compliance for the general public as well as infants and the elderly. There is a growing need for medicine boxes.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이하와 같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본 발명의 일 과제는, 복용자가 약을 효과적으로 복용하도록 하는 약상자를 제공하는 것이다.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dicine box that allows the doser to take the medicine effectively.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복용자의 복약순응도가 향상되도록 하는 약상자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dicine box for improving the medication compliance of the doser.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복약관리를 하는 약상자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dicine box for medication management.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건강관리서버 등과 연동하여 종합적인 복약관리를 하는 약상자를 제공하는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dicine box for comprehensive medication management in conjunction with a health care server.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정해진 복약시기에 정해진 약제를 복용하도록 하는 약상자를 제공하는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dicine box for taking a prescribed medicine at a prescribed medication time.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복약여부를 확인하도록 하는 약상자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dicine box to confirm whether or not the medica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외출시간에 복약스케줄에 따라 약을 소지하도록 하는 약상자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dicine box to carry the medicine according to the medication schedule at the time of going out.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복용자가 약을 효과적으로 복용하도록 하는 복약관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dication management method that allows the doser to take the medicine effectively.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복용자의 복약순응도를 향상시키는 복약관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dication management method for improving the medication compliance of the doser.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정해진 복약시기에 정해진 약제를 복용하도록 하는 복약관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dication management method for taking a prescribed medication at a prescribed medication time.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복약여부를 확인하도록 하는 복약관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dication management method to confirm whether or not medica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외출시간에 복약스케줄에 따라 약을 소지하도록 하는 복약관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dication management method to carry the drug according to the medication schedule at the time of going out.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above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ould be.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은 약상자를 제공함으로써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e above problems by providing the following medicine box.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약상자는, 복수의 약보관함, 복수의 약보관함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출력장치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어부는, 복약시기 및 복약시기에 따른 복용약정보를 획득하고, 복약시기가 도래한 때 복용약정보에 근거하여 복수의 약보관함 중 적어도 하나의 약보관함을 선택하고, 선택된 약보관함에 대응되는 출력장치가 복약을 지시하는 표시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dicine box includes a plurality of medicine containers, a plurality of output devices and a controller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medicine containers. Here, the control unit obtains the medi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medication time and the medication time, when the medication time arrives at least one drug storage box of the plurality of drug storage based on the medication information, the output device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medicine storage box Control to output an indication indicating medication.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약상자는, 각각 서로 다른 약이 수용되는 복수의 약보관함, 복수의 약보관함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출력장치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어부는, 복약시기 및 복약시기에 복용하도록 정해진 약의 종류에 관한 정보 및 복수의 약보관함 각각에 수용된 약의 종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복용약정보를 획득하고, 복약시기가 도래한 때 복용약정보에 근거하여 복수의 약보관함 중 복약시기에 복용하도록 정해진 종류의 약이 수용된 적어도 하나의 약보관함을 선택하고, 선택된 약보관함에 대응되는 출력장치가 복약을 지시하는 표시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dicine box includes a plurality of medicine containers each having a different medicine, a plurality of output devices and a control unit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medicine containers. Here, the control unit obtains the medic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information on the medication time and the type of medicine to be taken at the medication time, and information on the type of medicine accommodat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drug storage, and taking medication information when the medication time has arrived Based on the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drug storage box to select at least one drug storage container containing a predetermined type of medicine to be taken at the time of medication, and controls the output device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drug storage box to output an indication indicating the medica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른 약상자는, 각각 서로 다른 약이 수용되는 복수의 약보관함, 복수의 약보관함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출력장치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어부는, 복약시기 및 복약시기에 복용하도록 정해진 약의 종류에 관한 정보 및 약의 종류에 따른 복용량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복용약정보를 획득하고, 복약시기가 도래한 때 복용약정보에 근거하여 복수의 약보관함 중 적어도 하나의 약보관함을 선택하고, 선택된 약보관함에 대응되는 출력장치가 복약을 지시하는 표시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복약을 지시하는 표시는,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약보관함 각각에 수용된 약의 종류에 따른 복용량을 지시하는 표시이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dicine box includes a plurality of medicine storage boxes, each containing a different medicine, a plurality of output devices and a controller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medicine storage boxes. Here, the control unit obtains the medic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information on the medication time and the type of medicine determined to be taken at the medication time and the dosag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medicine, and based on the medication information when the medication time arrives, Selecting at least one drug storage box of the drug storage box, and controls the output device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drug storage box to output an indication indicating medication. Here, the indication indicating the medication is an indication indicating the dosage according to the type of medicine contained in each of the selected at least one medicine storage box.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른 약상자는, 복수의 약보관함, 복수의 약보관함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출력장치, 복수의 약보관함 각각의 약배출여부를 감지하는 복수의 센서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어부는, 복약시기 및 복약시기에 따른 복용약정보를 획득하고, 복약시기가 도래한 때 복용약정보에 근거하여 복수의 약보관함 중 적어도 하나의 약보관함을 선택하고, 선택된 약보관함에 대응되는 출력장치가 복약을 지시하는 표시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복수의 센서가 감지한 약배출여부에 근거하여 선택된 약보관함에 대응하는 출력장치가 복용여부를 지시하는 표시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dicine box includes a plurality of medicine storage containers, a plurality of output device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medicine storage containers, and a plurality of sensors and controllers for detecting whether each of the medicine storage containers is discharged. Here, the control unit obtains the medi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medication time and the medication time, when the medication time arrives at least one drug storage box of the plurality of drug storage based on the medication information, the output device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medicine storage box Control to output an indication indicating medication, and the output device corresponding to the medicine storage selected based on whether the medicine is detected by the plurality of sensors outputs an indication indicating whether or not to take the medica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른 약상자는, 각각 서로 다른 약이 수용되는 복수의 약보관함, 복수의 약보관함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출력장치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어부는, 복약시기에 관한 제1정보 및 복수의 약보관함 중 복약시기에 복용하도록 정해진 약이 수용된 약보관함에 관한 제2정보를 획득하고, 제1정보에 따른 복약시기가 도래한 때, 제2정보에 근거하여 복수의 약보관함 중 적어도 하나의 약보관함을 선택하고,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약보관함에 대하여 복약을 지시하는 표시를 출력하도록 복수의 출력장치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약보관함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출력장치를 제어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dicine box includes a plurality of medicine storage boxes, each containing a different medicine, a plurality of output devices and a controller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medicine storage boxes. Herein, the control unit obtains the first information about the medication time and the second information about the medicine storage container in which the medicine determined to be taken at the medication time among the plurality of medicine storage boxes, and when the medication time according to the first information arrives, At least one drug storage box selected from among the plurality of output devices to select at least one medicine storage box among the plurality of medicine storage boxes based on the information, and to output an indication indicating medication for the selected at least one medicine storage box; Control one output device.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복수의 약보관함을 포함하는 약상자를 이용한 복약관리방법은, 복약시기 정보 및 복약시기에 따른 복용약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복약시기가 도래한 때, 복용약 정보에 근거하여 복수의 약보관함 중 적어도 하나의 약보관함을 선택하는 단계,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약보관함 각각에 대하여 복약을 지시하는 표시를 출력하는 단계,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약보관함 각각의 약배출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및 감지된 약배출여부에 근거하여,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약보관함 중 약이 배출된 약보관함에 대하여 복용상태를 지시하는 표시를 출력하고, 약이 배출되지 아니한 약보관함에 대하여 미복용상태를 지시하는 표시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Medication management method using a medicine box including a plurality of drug storage box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obtaining information on the medication time and taking the medication time according to the medication time, when the medication time, a plurality of based on the medication information Selecting at least one medicine container of the at least one medicine storage box, outputting an indication indicating medication for each of the selected at least one medicine storage box, detecting whether each of the at least one medicine storage box selected is discharged, and detecting Based on the discharge of the medicine, the indication indicating the dosage state of the drug storage container in which the medicine is discharged among the at least one selected medicine storage container is output, and the indication indicating the unused state of the medicine storage container in which the medicine is not discharged. Outputting.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각각 서로 다른 종류의 약이 수용되는 복수의 약보관함을 포함하는 약상자를 이용한 복약관리방법은, 복약시기 정보 및 복약시기에 복용하도록 정해진 약의 종류 및 약의 종류에 따른 복용량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복용약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복약시기가 도래한 때, 복용약 정보에 근거하여 복수의 약보관함 중 적어도 하나의 약보관함을 선택하는 단계,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약보관함 각각에 대하여 복약을 지시하는 표시를 출력하는 단계,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약보관함 각각의 약배출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및 감지된 약배출여부에 근거하여,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약보관함 중 약이 배출된 약보관함에 대하여 복용상태를 지시하는 표시를 출력하고, 약이 배출되지 아니한 약보관함에 대하여 미복용상태를 지시하는 표시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dication management method using a medicine box including a plurality of medicine storage boxes in which different kinds of medicines are accommodated,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on the medication time and the type of medicine determined to be taken at the medication time Obtaining dosage information including the dosage information, when the medication time arrives, selecting at least one medicine storage box among the plurality of medicine storage boxes based on the medicine information, and for each of the at least one medicine storage box selected Outputting an indication indicative of medication, detecting whether each of the at least one selected medicine container is discharged, and based on the detected drug release, for the medicine container in which the medicine is discharged from the at least one selected medicine container; Outputs an indication indicating the dosage and displays the unused status for drug storage for which no medication has been discharged. Outputting an indica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른 약상자는, 약이 수용되는 약보관함, 복약시기를 저장하는 저장부, 제1시점 및 제2시점을 입력받는 입력부, 출력장치, 약보관함의 약배출여부를 감지하는 센서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어부는, 복약시기가 제1시점 및 제2시점에 따른 시간범위에 속하는 때 제1표시를 출력하고, 복약시기가 도래한 때 제2표시를 출력하고, 센서가 감지한 약배출여부에 근거하여 약이 배출된 때 제3표시를 출력하고, 센서가 감지한 약배출여부에 근거하여 약이 배출되지 아니한 때 제4표시를 출력하도록 상기 출력장치를 제어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dicine box, a medicine storage container for storing the medicine,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medication time, an input unit for receiving the first time and the second time, an output device, detecting whether the medicine storage of the medicine storage box It includes a sensor and a control unit. Here, the control unit outputs a first indication when the medication time falls within the time range according to the first time point and the second time point, outputs a second indication when the medication time arrives, and is based on whether the medicine is detected by the sensor. And outputs a third display when the medicine is discharged, and outputs a fourth display when the medicine is not discharged based on whether the medicine is discharged.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른 약상자를 이용한 복약관리방법은, 복약시기를 획득하는 단계, 제1시점 및 제2시점을 입력받는 단계, 복약시기가 제1시점 및 제2시점에 따른 시간범위에 속하는 때, 복약시기가 시간범위에 속함을 지시하는 표시를 출력하는 단계, 복약시기가 도래한 때, 복약을 지시하는 표시를 출력하는 단계, 약배출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감지된 약배출여부에 근거하여 약이 배출된 때, 복용상태를 지시하는 표시를 출력하는 단계 및 감지된 약배출여부에 근거하여 약이 배출되지 아니한 때, 미복용상태를 지시하는 표시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dication management method using a medicine box includes the steps of obtaining a medication time, receiving a first time point and a second time point, and a medicine time period in a time range according to the first time point and the second time point. Outputting an indication indicating that the medication period is within the time range when belonging, outputting an indication indicating medication, when the medication period arrives, detecting whether the medication is discharged, detecting whether the medication is discharged or not Outputting an indication indicative of the dosage state when the medicine is discharged on the basis of the drug and outputting an indication indicative of the non-dose state when the medicine is not discharged based on the detected drug discharge.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은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에 의하면, 복용자가 복약관리에 따라 복약하도록 함으로써, 복용자의 복약순응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taking the medication according to the medication management, there is an effect that the medication compliance of the medication is improved.

본 발명에 의하면, 복약확인을 통해 복용자가 약물을 오 ·남용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user from misusing drugs by taking the medication confirmation.

본 발명에 의하면 정해진 복약시기에 정해진 약제를 복용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of taking a prescribed drug at a predetermined medication time.

본 발명에 의하면, 외출시간에 복약스케줄에 따라 약을 소지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of having the medicine according to the medication schedule at the time of going out.

본 발명에 의하면, 약상자가 건강관리서버 등과 연동되므로 보다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복약관리가 이루질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medicine box is linked with the health care server, more systematic and comprehensive medication management can be achieved.

본 발명에 의하면, 올바른 복약관리를 통해 약 복용의 효과가 향상되므로, 복용자가 보다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고, 사회적으로 불필요한 의료비용의 낭비를 줄일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effect of taking medicine is improved through proper medication management, the user can lead a healthier life and can reduce socially unnecessary waste of medical expense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약관리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약상자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상자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상자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보관함의 펑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보관함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에 마련된 약보관함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에 장착되는 약보관함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에 장착되는 약보관함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뚜껑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뚜껑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보관함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보관함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력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출력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보관함의 개방여부를 감지하는 센서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보관함의 개방여부를 감지하는 센서의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보관함의 약수용여부를 감지하는 센서의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보관함의 약수용여부를 감지하는 센서의 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의 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복약관리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복약관리방법의 순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medication tracke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the medicine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medicine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medicine box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lan view of the drug storage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lan view of the medicine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edicine container provided in the hou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medicine container mounted on a hou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medicine container mounted on a hous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l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li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rug storage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rug storage box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plan view of an out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plan view of an outpu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ensor for detecting the opening of the medicine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ensor for detecting the opening of the medicine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ensor for detecting the acceptance of a medicine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ensor for detecting the acceptance of the medicine storage box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riv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1 is a flow chart of a medication track method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2 is a flow chart of a medication track metho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used to easi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terms used herein.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아니하고 수정 또는 변형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수정 또는 변형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수정예 또는 변형예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or modif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t this time, modifications or variations that do not depart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modifications or vari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도면상 동일한 도면부호가 사용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For the same component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in the drawings, and redundant descriptions may be omitted.

본 발명은 이하에서 기재되는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한다.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xample described below.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복약관리시스템에 대하여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약관리시스템의 구성도이다.Hereinafte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ure 1 for the medica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 is a block diagram of a medication tracke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복약관리시스템이란, 처방받은 약을 올바르게 복용할 수 있도록 복약을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이러한 복약관리는 효과적인 복약을 위한 복약지도 및 복약시기에 복약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복약확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복약지도는 복약스케줄에 따라 복약하도록 하는 복약지시 및 약을 오용 또는 남용하는 것을 방지하는 오·남용방지를 포함할 수 있다.Medication management system is a system for managing medications so that the prescribed medicine can be taken correctly. Such medication management may include medication guidance for effective medication and medication identification to confirm whether or not medication was taken at the time of medication. Here, the medication map may include medication instruction to take medication according to the medication schedule and prevention of misuse and abuse to prevent misuse or abuse of medicine.

이러한 복약관리시스템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강관리서버(10), 약상자(100) 및 이동통신단말기(20)를 포함할 수 있다. 건강관리서버(10)는 환자, 복용자 등의 피건강관리자의 건강을 관리하기 위한 정보를 수집, 관리 및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이동통신단말기(20)는 건강을 관리하기 위한 정보를 건강관리서버(10) 또는 약상자(100)로 전송하거나 또는 이들로부터 전송받을 수 있다. 약상자(100)는 약을 보관할 수 있으며, 건강관리를 위한 정보를 이용하여 복약지도를 하거나 복약확인을 할 수 있다. Such a medication management system may include a health care server 10, a medicine box 100,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 as shown in FIG. 1. The health care server 10 may be a server that collects, manages, and provides information for managing the health of a health manager such as a patient or a dos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 may transmit or receive information for managing health to or from the health care server 10 or the medicine box 100. The medicine box 100 may store the medicine and may use the information for health care to guide the medication or confirm the medication.

이러한 건강관리서버(10), 약상자(100) 및 이동통신단말기(20)는 서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의 교환은 유무선통신망을 통한 통신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건강관리서버(10), 약상자(100) 및 이동통신단말기(20)는 이러한 정보교환 및 유무선통신을 통해, 복용자와 복용자의 건강관리자(health manager)를 보다 가깝게 이어주고 서로 정보를 공유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복약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The health care server 10, the medicine box 100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 may exchange information with each other. The exchange of such information may be achieved through communication through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t this time, the health care server 10, the medicine box 100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 through such information exchange and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to connect the health manager of the doser and the doser closer to each other and share information with each other. By doing so, more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medication management can be achieved.

이때 건강관리자란, 환자 또는 복용자의 건강에 관한 지도 및 관리를 수행하는 사람 또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강관리자는 의사, 약사, 간호사 및 간병인 등일 수 있으며, 또는 이러한 사람들이 하는 역할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할 수 있는 장치가 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health manager may mean a person or a device that performs guidance and management regarding the health of a patient or a patient. For example, a health care worker may be a doctor, a pharmacist, a nurse, a caregiver, or the like, or may be a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some or all of these people's roles.

이하에서는 건강관리서버(10), 이동통신단말기(20) 및 약상자(1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health care server 10,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 and the medicine box 100 will be described.

먼저 건강관리서버(10)에 관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건강관리서버(10)는 환자, 복용자 등의 피건강관리자의 건강을 관리하기 위한 정보를 수집, 관리 및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First, the contents of the health care server 10 are as follows. The health care server 10 may be a server that collects, manages, and provides information for managing the health of a health manager such as a patient or a doser.

이러한 건강관리서버(10)는 병원이나, 약국 및 건강관리센터 중 적어도 하나의 장소에 마련될 수 있다. 건강관리서버(10)는 각종 단말 또는 그 외의 서버 등과 통신할 수 있다. 건강관리서버(10)와 통신하는 장치는, 예를 들어 병원측 단말기(11), 병원측 서버, 약국측 단말기(12), 약국측 서버, 건강관리센터측 단말기(13), 건강관리센터측 서버, 복용자측 단말기, 이동통신단말기(20), 약상자(100) 및 그 외의 건강관리관련단말기 등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통신은 유무선망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강관리서버(10)와 각 기기들은 인터넷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한 예를 들어, 의사는 병원측 단말기(11)를 통해 건강관리서버(10)와 통신할 수 있다. 또는, 복용자는 이동통신단말기(20)나 약상자(100) 등을 통해 건강관리서버(10)로부터 건강관리서버(10)가 제공하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The health care server 10 may be provided in at least one place of a hospital, a pharmacy and a health care center. The health care server 10 may communicate with various terminals or other servers. The apparatus for communicating with the health care server 10 includes, for example, a hospital terminal 11, a hospital server, a pharmacy terminal 12, a pharmacy server, a health care center terminal 13, and a health care center side. There may be a server, a terminal on the user's s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 a medicine box 100, and other health care related terminals. Such communication may be performed through a wired or wireless network. For example, the health care server 10 and each device can communicate via the Internet. For example, the doctor may communicate with the health care server 10 through the hospital terminal 11. Alternatively, the taker may obtain information provided by the health care server 10 from the health care server 10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 or the medicine box 100.

건강관리서버(10)는 건강관리에 관한 정보를 제공함에 있어 인증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강관리서버(10)는 인증된 외부기기로만 건강관리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강관리서버(10)는 약국측 단말기(12)가 정보를 요구하는 경우, 약사면허번호를 입력받아 허가된 약사면허번호인지 판단하여 유효한 약사면허인 경우에만 약국측 단말기(12)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건강관리에 관한 정보는 환자나 복용자 개개인의 신상에 관한 것이므로 건강관리서버(10)는 이와 같은 인증절차를 통해 보안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health care server 10 may perform an authentication procedure in providing information about health care. For example, the health care server 10 may provide health care information only to an authorized external device. For example, when the pharmacy terminal 12 requests the information, the health care server 10 receives the pharmacist license number and determines whether the licensed pharmacist license number is a valid pharmacist license. Information can be provided by Since the information on health care is related to the personal identity of the patient or individual taking the health care server 10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security through such authentication procedures.

건강관리서버(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건강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는데, 이러한 정보는 예를 들어, 복약관리를 위한 정보일 수 있다. 복약관리에 관한 정보는 복용자정보, 처방전정보, 복약스케줄 및 복약확인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정보에 대한 간략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As described above, the health care server 10 manages information on health, and this information may be, for example, information for medication management. The information on the medication managemen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aking information, prescription information, medication schedule, and medic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A brief description of this information follows.

복용자정보는 약을 복용하는 개인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용자정보는 복용자의 이름, 성별, 연령, 체중, 혈압, 혈당, 병력 및 그 외의 복용자의 건강상태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건강관리서버(10)는 건강관리자나 복용자로부터 복용자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건강관리서버(10)는 저장된 복용자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건강관리자는 건강관리서버(10)가 제공하는 복용자정보를 이용하여 복용자의 건강을 관리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사는 병원측 단말기(11)를 이용하여 건강관리서버(10)에 접근하여 복용자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복용자정보를 참고하여 약을 처방하거나 진료를 할 수 있다. The taker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about the individual taking the medicine. For example, the taking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the taking name, sex, age, weight, blood pressure, blood sugar, medical history and other taking health of the taking person. The health care server 10 may receive and store taking user information from a health manager or a doser. The health care server 10 may provide stored dose information. The health care manager may manage the health of the intake person by using the ingestion information provided by the health care server 10. For example, the doctor may access the health care server 10 using the hospital terminal 11 to obtain the taking information, and may prescribe a medicine or treat the medicine by referring to the obtained taking information.

처방전정보는 복용자에게 처방된 약품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처방전정보는 처방된 개인에 관한 정보 및 처방된 약품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방전정보는 피처방자정보, 처방자정보, 처방시간, 처방약품의 명칭, 처방약품의 분류, 조제방법, 복약방법 및 복약 시의 주의사항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약방법은 복약시기나 복약스케줄, 약품의 복용량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복약 시의 주의사항은 복약 시 병용금기약품이나 예상되는 부작용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건강관리서버(10)는 이러한 처방전정보를 처방자로부터 입력받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Prescription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about the medicine prescribed to the taker. Prescription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the prescribed individual and information about the prescribed medication. For example, the prescription information may include prescriber information, prescriber information, prescription time, name of the prescription drug, classification of the prescription drug, preparation method, medication method and precautions during medication. For example, the medication method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medication time, medication schedule, dosage of medication, and the like. In addition, for example, precautions when taking a medic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on concomitant contraindications and anticipated side effects. The health care server 10 may receive and store such prescription information from the prescriber.

건강관리서버(10)는 이와 같이 저장된 처방전정보는 제공할 수 있다. 복용자나 건강관리자는 이러한 정보를 활용하여 보다 효과적인 복약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강관리서버(10)는 의사측 단말기를 거쳐 처방자로부터 처방전정보를 얻어 저장할 수 있다. 건강관리서버(10)는 약사측 단말기를 통해 약사에게 저장된 처방전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로써, 약사는 별도의 처방전, 예를 들어 종이 처방전 등이 없이도 건강관리서버(10)에 접속함으로써 약 제조를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건강관리서버(10)를 통한 처방전정보의 송수신을 통해 약사나 피처방자는 보다 편리하게 약을 제조하고 또 구입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의사 등의 처방자는 약 처방 시 건강관리서버(10)에 접속하여 현재 피처방자의 과거의 처방전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약의 경우 그 화학적 성분에 따라 병용하여서는 안 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는데, 건강관리서버(10)는 처방자에게 복용자의 과거의 처방전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처방자가 약 처방하는 것을 보조할 수 있다.The health care server 10 may provide the prescription information stored as described above. You or your health care provider can use this information to better manage your medication. For example, the health care server 10 may obtain and store prescription information from a prescriber via a doctor's terminal. The health care server 10 may provide stored prescription information to the pharmacist through the terminal of the pharmacist. Thus, the pharmacist can manufacture the medicine by connecting to the health care server 10 without a separate prescription, for example, paper prescription. Through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prescription information through the health care server 10, the pharmacist or prescriber can manufacture and purchase the medicine more conveniently. As another example, a prescriber such as a doctor may check the past prescription information of the current prescriber by accessing the health care server 10 when prescribing a medicine. In the case of drugs may not be used in combination depending on the chemical composition, the health care server 10 may assist the prescriber to prescribe the drug by providing the prescriber with the past prescription information.

복약스케줄은 복용자가 약을 복용해야 하는 일정일 수 있다. 이러한 일정은 복약시기에 관한 정보 및 각 복약시기마다 복용하도록 정해진 복용약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복약스케줄은 일 단위나 주 단위 또는 월 단위의 일정일 수 있다. 건강관리서버(10)는 처방자나 건강관리자로부터 복약스케줄을 입력받을 수 있다. 또는 건강관리서버(10)는 저장된 복용자정보 및 처방전정보를 근거로 복약스케줄을 생성할 수 있다. 건강관리서버(10)는 유무선통신망을 통해 복용자의 약상자(100)나 이동통신단말기(20)로 복약스케줄을 전송할 수 있다. 약상자(100)나 이동통신단말기(20)는 복약스케줄에 따라 복용자에게 복약시기에 약을 복용하도록 복약지시를 할 수 있다. 이로써, 복용자는 복약시기를 알 수 있고 이에 따라 복약함으로써 복약순응도가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이동통신단말기(20)나 약상자(100)는 처방전정보를 이용하여 자체적으로 복약스케줄을 생성할 수 있다.Medication schedules may be schedules in which the dose should be taken by the recipient. The schedul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information about the medication time and information about the medicine to be taken for each medication time. The medication schedule may be a daily, weekly or monthly schedule. The health care server 10 may receive an input of a medication schedule from a prescriber or a health care manager. Alternatively, the health care server 10 may generate a medication schedule based on stored dose information and prescription information. The health care server 10 may transmit a medication schedule to the medicine box 100 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 of the doser through the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e medicine box 100 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 may instruct the user to take the medicine at the time of taking medicine according to the medication schedule. As a result, the doser can know the medication time and accordingly medication dose can be improved. Meanwhil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 or the medicine box 100 may generate a medication schedule by itself using prescription information.

건강관리서버(10)는 복약확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복약확인정보는 복용자가 복약했는지 여부 및 약의 복용이 복약스케줄에 따라 이루어졌는지 등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건강관리서버(10)는 복용자나 약상자(100) 또는 이동통신단말기(20)로부터 복약확인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건강관리서버(10)는 복약확인정보를 의사나 약사 등의 건강관리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건강관리자는 이러한 복약확인정보를 이용해 복용자의 복약여부 및 복약순응도 등을 알 수 있고 이에 근거하여, 복용자에 대해 보다 효과적인 복약관리를 할 수 있다.
The health care server 10 may provide medication confirmation information. Here, the medication confirmation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about whether the person taking the medicine and whether the medicine was taken according to the medication schedule. The health care server 10 may obtain medication confirmation information from the doser or the medicine box 100 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 The health care server 10 may provide the medication check information to a health manager such as a doctor or a pharmacist. The health care manager can us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medication to find out whether the medication is taken and the medication compliance, and based on this, the medication can be more effectively administered to the medication.

다음으로 이동통신단말기(20)에 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Next, a descrip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 is as follows.

이동통신단말기(20)는 복약관리에 대한 정보를 건강관리서버(10) 또는 약상자(100)로 전송하거나 또는 이들로부터 전송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단말기(20)는 건강관리서버(10)나 약상자(100)와의 통신을 통해 복약스케줄이나 복약확인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동통신단말기(20)는 이와 같이 획득된 정보를 복용자에게 제공하여 복약지시를 하거나 또는 복용자나 약상자(100)로부터 복약확인정보를 획득하여 이를 건강관리서버(10)로 송출하여 건강관리서버(10)에서 복용자의 복약확인정보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이동통신단말기(20)에 낙상감지센서가 있는 경우에는, 복용자가 낙상한 경우 이를 건강관리서버(10)나 복용자의 가족측 단말기(21), 응급구조대측 단말기(22) 및 건강관리자측 단말기(23)와 통신하여 이를 알릴 수 있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 may transmit information about the medication management to the health care server 10 or the medicine box 100 or may be transmitted from them. For exampl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 may obtain medication schedule or medication confirmation information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health care server 10 or the medicine box 100.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 provides the information obtained as described above to the taker to instruct the medication or to obtain the medication confirmation information from the taker or medicine box 100 and sends it to the health care server 10 to manage the health care server 10 ), You can make your medication information available. For example, if there is a fall detection sensor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 if the taker falls, this is the health care server 10 or the taker's family terminal 21, the emergency rescue terminal 22 and The healthcare manager may communicate with the terminal 23.

끝으로, 약상자(100)에 관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Finally, the information about the medicine box 100 is as follows.

약상자(100)는 약을 보관할 수 있다. 또한 약상자(100)는 복약스케줄에 따라 복약지시를 하고, 약의 오남용을 방지하고, 복약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약상자(100)는 확인한 복약여부에 대한 복약확인정보를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약상자(100)에 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The medicine box 100 may store medicine. In addition, the medicine box 100 can be instructed to take medication according to the medication schedule, to prevent misuse of the drug, it is possible to check whether or not the medication. The medicine box 100 may output the medication confirmation information regarding the confirmed medication. Mor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medicine box 100 will be described later.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약상자(100)의 구성에 대하여 도 2, 도 3 및 도 4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약상자(100)의 구성도이고, 도 3 및 도 4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상자(100)의 사시도이다.Hereinafter, a configuration of the medicine box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3, and 4.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medicine box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3 and 4 are perspective views of the medicine box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상자(100)는 하우징(110), 약보관함(120), 뚜껑(125)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and FIG. 4, the medicine box 100 may include a housing 110, a medicine container 120, and a lid 125.

하우징(110)은 약상자(100)의 외관을 형성하며, 다른 구성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약보관함(120)은 약을 수용할 수 있다. 이러한 약보관함(120)은 하우징(110)의 내부에 마련되거나 또는 하우징(110)에 장착될 수 있다. 뚜껑(125)은 약보관함(120)을 개폐할 수 있다. The housing 110 forms the appearance of the medicine box 100, and may accommodate other components therein. Drug storage 120 may receive a medicine. The medicine container 120 may be provided inside the housing 110 or may be mounted to the housing 110. The lid 125 may open and close the medicine container 120.

이하에서는 하우징(110), 약보관함(120) 및 뚜껑(125)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the housing 110, the medicine container 120, and the lid 125 will be described.

이하에서는 하우징(110)에 관하여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는 상술한 대로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상자(100)의 사시도이다.Hereinafter, the housing 11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3 and 4 are perspective views of the medicine box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respectively.

하우징(110)은 약상자(10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약상자(100)는 거취용 약상자(100) 또는 휴대용 약상자(100)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약상자(100)는 거취용 약상자(100)일 수 있고, 도 4에 도시된 약상자(100)는 휴대용 약상자(100)일 수 있다. The housing 110 may form an appearance of the medicine box 100. Medicine box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medicine box 100 or a portable medicine box 100. For example, the medicine box 100 illustrated in FIG. 3 may be a medicine box 100 for catching up, and the medicine box 100 illustrated in FIG. 4 may be a portable medicine box 100.

여기서 약상자(100)가 휴대용인 경우에는, 하우징(110)은 휴대하기 용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110)은 무게가 가볍고 크기가 작게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110)은 휴대가 간편하므로, 복용자가 장소에 구애됨 없이 약상자(100)를 휴대함으로써, 외출하는 때에도 복약스케줄에 따라 약을 복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e case where the medicine box 100 is portable, the housing 110 may be formed to be easy to carry. For example, the housing 110 may be provided with a light weight and a small size. Since the housing 110 is easy to carry, by taking the medicine box 100 without regard to the plac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take the medicine according to the medication schedule when going out.

이러한 하우징(110)에는 약상자(100)의 다른 구성이 수용될 수 있거나 또는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약보관함(120)이 하우징(110) 내부에 마련되거나 또는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110)은 내부에 수납된 다른 구성을 보호하기에 적합한 강도를 가진 재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110)의 재질은 알루미늄이나 강화플라스틱일 수 있다.Such a housing 110 may accommodate or mount other components of the medicine box 100. For example, the medicine container 120 may be provided or mounted in the housing 110. Therefore, the housing 110 may be a material having strength suitable for protecting other components stored therein. For example, the material of the housing 110 may be aluminum or reinforced plastic.

하우징(110)에는 약이 수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약이 수용된 약보관함(120)이 하우징(110)에 수납됨으로써 하우징(110) 내부에 약이 수용되는 것이다. 여기서 하우징(110)은 내부에 수용된 약제가 변질되지 아니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약제는 빛이나 온도 또는 습도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이에 따라 변질될 수 있다. 하우징(110)은 빛이 투과되지 아니하는 재질 또는 온도나 습도가 전달되지 아니하는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재질로 마련된 하우징(110)은 내부의 약재가 변질되지 아니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110)은 불투명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하우징(110)은 일측에 구멍이 있어 통풍이 자유롭도록 형성될 수 있다.Medicine may be accommodated in the housing 110. For example, the medicine container 120 containing the medicine is accommodated in the housing 110 to receive the medicine inside the housing 110. Here, the housing 110 may be provided so that the medicine contained therein is not altered. In general, the medicament may react sensitively to light or temperature or humidity and thus deteriorate accordingly. The housing 110 may be made of a material that does not transmit light or a material that does not transmit temperature or humidity. Housing 110 provided with such a material may have an effect that the internal medicine does not deteriorate. For example, the housing 110 may be made of an opaque material. In another example, the housing 110 may be formed to have a hole in one side so that ventilation is free.

상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110)에는 약상자(100)의 다른 구성들, 예를 들어 약보관함(120) 등이 수용될 수 있다. 여기서 이러한 구성들은 하우징(110)에 장착 및 탈착 될 수 있다. 하우징(110)은 이런 구성들이 탈·부착되기 용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약보관함(120)은 하우징(110)에 장착되어 하우징(110)과 연결되고, 탈착됨으로써 하우징(11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우징(110)에 장착 및 탈착될 수 있는 약보관함(120)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housing 110 may accommodate other components of the medicine box 100, for example, the medicine container 120. These components may be mounted and detached from the housing 110. The housing 11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se components are easy to attach and detach. For example, the medicine container 120 may be mounted on the housing 110, connected to the housing 110, and detached from the housing 110 by being detached from the housing 110. In this way, a mor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medicine container 120 that can be mounted and detached to the housing 110 will be described later.

이하에서는 약보관함(120)에 관하여 도 5, 도 6, 도 7,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보관함(120)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보관함(120)의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110)에 마련된 약보관함(120)의 사시도이고, 도 8 및 도 9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110)에 장착되는 약보관함(120)의 사시도이다.Hereinafter, the medicine container 12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6, 7, 8, and 9. 5 is a plan view of the medicine container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lan view of the medicine container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edicine container 120 provided in the housing 110, Figures 8 and 9 are respectively a perspective view of the medicine container 120 mounted to the housing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약보관함(120)은 내부에 약을 수용할 수 있다. 이러한 약보관함(120)은 약을 보관하기 적합한 재질일 수 있다. 하우징(110)에 관한 설명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약제는 빛이나 온도 또는 습도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이에 따라 변질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약보관함(120)은 약이 변질되지 아니하도록 빛을 차단하거나 온도나 습도가 급격하게 변하지 아니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약보관함(120)은 불투명한 재질로 마련되어 빛을 차단할 수 있으며, 약보관함(120)의 일측에 구멍을 형성함으로써, 약보관함(120)의 통풍이 자유롭도록 형성될 수 있다.Drug storage box 120 may accommodate the drug therein. The drug storage box 120 may be a material suitable for storing medicine. As described above in the description of the housing 110, in general, the medicament is sensitive to light, temperature, or humidity, and thus may be deteriorated accordingly. Therefore, the medicine container 12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that blocks the light so that the medicine does not deteriorate or the temperature or humidity does not change abruptly. For example, the medicine container 120 may be made of an opaque material to block light, and by forming a hole in one side of the medicine container 120, the medicine container 120 may be freely ventilated.

상술한 바와 같이 약보관함(120)에는 약이 수용될 수 있다. 이때, 약보관함(120)은 복수일 수 있다. 즉, 약상자(100)는 복수의 약보관함(120)을 포함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medicine storage box 120 may contain medicine. In this case, the medicine storage box 120 may be a plurality. That is, the medicine box 1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medicine storage box 120.

이러한 약보관함(120)은 약상자(100)에 일정한 개수로 마련될 수 있다. 약보관함(120)의 수가 많을수록 다량의 약을 수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약보관함(120)의 수가 많으면 적은 경우에 비해 보관할 수 있는 분량이 많아지므로 자주 약을 투입해야 하는 불편함이 해소될 수 있다. 나아가 보관할 수 있는 약의 분량이 늘어나므로 복용자가 약이 없어 복약스케줄에 따라 복용하지 못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도 있다. 그러나 약보관함(120)의 수를 무한정으로 늘릴 수는 없다. 약상자(100)가 거취용 또는 휴대용일 수 있는데, 특히 휴대용인 경우에는 하우징(110)의 설명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휴대성을 위하여 무게나 공간의 제약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약상자(100)의 약보관함(120) 내의 약보관함(120)의 수는 약상자(100)의 용도, 휴대성, 공간적인 제약, 무게의 제한, 투약편리성 및 복약관리에 용이성 등의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여 정해질 수 있다.The medicine container 120 may be provided in a predetermined number in the medicine box (100). The greater the number of drug storage 120, there is an effect that can accommodate a large amount of drugs. If the number of drug storage box 120 is greater than the amount that can be stored compared to the case of less,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put the drug frequently can be eliminated. In addition, the amount of medicine that can be stored increases the amount of medication that can not be taken in advance according to the medication schedule. However, the number of drug storage 120 may not be increased indefinitely. The medicine box 100 may be deodorant or portable,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portable, because there is a weight or space constraint for portability as described above in the description of the housing 110. Therefore, the number of the medicine container 120 in the medicine container 120 of the medicine box 100 is various, such as the use of the medicine box 100, portability, spatial constraints, weight restrictions, ease of administration and ease of medication management The factor can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actors.

여기서, 복수의 약보관함(120)에는 각각 1회 복용분량의 약제가 수용되거나 또는 각각의 약보관함(120)마다 서로 다른 종류의 약이 수용될 수 있다.In this case, each of the plurality of drug storage 120 may be accommodated in a single dose of the drug or each type of drug storage container 120 may be accommodated different types of medicine.

우선 각각의 약보관함(120)에는 1회 복용분량의 약제가 수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약보관함(120)이 n개인 경우에는, 약상자(100)는 n회 복용분량의 약을 수용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예를 들어, 8개의 약보관함(120)을 포함하는 약상자(100)는 8회 복용분량의 약을 수용할 수 있다. 약상자(100)에는 이러한 복수의 약보관함(120)이 일정한 순서에 따라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약보관함(120)은 배치되는 순서대로 복약스케줄에 따른 약이 수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약보관함(120)의 평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상자(100)는 예를 들어, 가로 7열 및 세로 3열로써, 총 21개의 약보관함(12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매일 3회씩 복약하는 경우에는, 세로열은 각각 요일, 가로열은 각각 아침, 점심, 저녁으로써, 복약스케줄에 따라 1주일 복용분량의 약이 보관될 수 있다.First, each drug storage box 120 may be accommodated in a single dose of the drug. For example, when the medicine container 120 is n, the medicine box 100 may accommodate n doses of medicine. In more detail, for example, the medicine box 100 including eight medicine containers 120 may accommodate eight doses of medicine. The medicine box 100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uch medicine storage box 120 in a certain order. Here, each medicine container 120 may be accommodated according to the medication schedule in the order in which they are arranged. 5 is a plan view of a plurality of drug storage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5, the medicine box 100 may include 21 medicine storage boxes 120 in total, for example, 7 columns and 3 columns. Here, when taking three times daily, the column is the day of the week, the row is morning, lunch, dinner, respectively, the dose of the drug can be stored in a week depending on the medication schedule.

이와 달리 약보관함(120)에는 각각 서로 다른 한 종류의 약제가 수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약보관함(120)이 n개인 경우에는, 약상자(100)는 n 종류의 약을 수용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약보관함(120)을 포함하는 약상자(100)는, 약보관함(120)마다 한 종류의 약이 수용됨으로써, 총 3종류의 약을 수용할 수 있다. In contrast, the drug storage box 120 may be accommodated in each one different type of drug. For example, when the medicine container 120 is n, the medicine box 100 may accommodate n types of medicin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6, the medicine box 100 including three medicine containers 120 accommodates a total of three medicines by receiving one type of medicine for each medicine container 120. can do.

이러한 약보관함(120)은 하우징(110)의 내부에 마련되거나 또는 하우징(110)에 장착됨으로써 그 내부로 수납될 수 있다. The medicine container 120 may be provided in the housing 110 or may be accommodated therein by being mounted in the housing 110.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보관함(120)은 하우징(110)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약보관함(120)은 하우징(110) 내부의 일정한 공간일 수 있다. 하우징(110) 내부에 복수의 약보관함(120)이 마련되는 때에는, 하우징(110) 내에 복수의 공간이 마련됨으로써 복수의 약보관함(120)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공간은 격벽으로 분리된 공간일 수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7, the medicine container 120 may be provided inside the housing 110. Here, the medicine storage box 120 may be a predetermined space inside the housing 110. When the plurality of medicine storage box 120 is provided in the housing 110, a plurality of medicine storage box 120 may be provided by providing a plurality of spaces in the housing 110. The plurality of spaces may be spaces separated by partitions.

또 다른 예를 들어, 약보관함(120)은 하우징(110)에 장착됨으로써 하우징(110) 내부에 수납될 수 있다. 이러한 약보관함(120)은 하우징(110)에 장착되거나 또는 하우징(110)으로부터 탈착될 수 있다. 약상자(100)가 복수의 약보관함(120)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복수의 약보관함(120) 하나하나마다 별도로 장·탈착되거나 또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약상자(100)가 연결되어 장·탈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보관함(120)은 각각 별개로 장·탈착될 수 있다. 이로써, 1회 복용분량의 약을 별도로 소지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약보관함(120)이 연결되어 하나로써 장·탈착될 수 있다. 도 5에 관한 설명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세로열이 하루치 복용분량을 의미하는 경우라면 1일 복용분량의 약을 별도로 소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장착 및 탈착이 가능한 약보관함(120)은 복용자가 약상자(100)와 분리하여 별도로 소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휴대가 간편한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효과는 특히 약상자(100) 자체를 휴대할 수 없는 거취용 약상자(100)에 있어서 유리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medicine container 120 may be accommodated in the housing 110 by being mounted in the housing 110. The medicine container 120 may be mounted to or detached from the housing 110. When the medicine box 100 includes a plurality of medicine containers 120, each of the medicine containers 120 may be separately mounted or detached, or at least two or more medicine boxes 100 may be connected and removed. . For example, as shown in FIG. 8, the medicine storage box 120 may be separately mounted and detached. Thus, a single dose of medicine can be carried separately. For example, as shown in FIG. 9, two medicine containers 12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may be attached or detached as one.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5, if the vertical column means a daily dose, a daily dose may be separately taken. As described above, the medicine storage box 120 that can be mounted and detached has an advantage that the intake holder can be separated from the medicine box 100 and thus can be easily carried. This effect may be particularly advantageous for the medicine box 100 for taking the medicine box 100 itself can not carry.

한편, 이러한 약보관함(120)은 복용자아게 약을 제공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의 뚜껑(125)의 설명에서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drug storage box 120 may provide a medicine to the taker may have a variety of shapes for this purpose. This will be described together in the description of the lid 125 below.

이하에서는 뚜껑(125)에 대하여 도 10, 도 11,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 및 도 11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뚜껑(125)의 단면도이고, 도 12 및 13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데 따른 약보관함(120)의 단면도이다.Hereinafter, the lid 125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0, 11, 12, and 13. 10 and 11 are cross-sectional views of the lid 125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and FIGS. 12 and 13 are cross-sectional views of the medicine container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125)은 약보관함(120)을 개폐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약보관함(120)의 내부는 뚜껑(125)에 의해 외부로 개방되거나 외부와 차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뚜껑(125)이 닫히면 약보관함(120)의 내부가 외부와 차단되어 약이 보관될 수 있고, 뚜껑(125)이 열리면 약보관함(120)의 내부가 외부로 개방되어 약이 배출될 수 있다. 여기서 복용자는 약보관함(120)이 개방되면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약을 복용할 수 있다. 10 and 11, the lid 125 may open and close the medicine container 120. In other words, the inside of the medicine container 120 may be opened to the outside or blocked from the outside by the lid 125. For example, when the lid 125 is closed, the inside of the medicine container 120 may be blocked from the outside and the medicine may be stored. When the lid 125 is opened, the medicine container 120 is opened to the outside to discharge the medicine. Can be. Here, the dose may take the medicine accommodated therein when the drug storage box 120 is opened.

이러한 뚜껑(125)은 다양한 방식으로 약보관함(120)을 개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125)은 상하로 움직임으로써 약보관함(120)을 개폐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125)은 슬라이드함으로써 약보관함(120)을 개폐할 수 있다. The lid 125 may open and close the medicine container 120 in various ways.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0, the lid 125 may open and close the medicine container 120 by moving up and down. For another example, as shown in FIG. 11, the lid 125 may open and close the medicine container 120 by sliding.

이러한 뚜껑(125)은 제어부(150)에 의해 복약스케줄에 따른 복약시기에 열리고 복약시기가 아닌 때에는 잠금상태가 되어 열리지 아니할 수 있다.The lid 125 may be opened by the control unit 150 at the medication time according to the medication schedule, and may not be opened in a locked state when it is not the medication time.

이와 같이 뚜껑(125)에 의해 약보관함(120)이 개방되면 복용자는 약보관함(120)에 수용된 약을 복용할 수 있다. 여기서, 약보관함(120)에 수용된 약은 약상자(100)에 마련된 별도의 배출장치(미도시)에 의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는 별도의 배출장치(미도시) 없이 약상자(100)가 외부의 힘 등에 의해 기울어짐에 따라 약이 약보관함(120)으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상자(100)가 기울어짐에 따라 약보관함(120)이 중력방향과 일정한 각도를 이루고 이에 따라 약이 중력에 따라 약상자(100)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여기서 약보관함(120)의 일면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약보관함(120)의 일면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약보관함(120)이 마련된 약상자(100)는 경사가 없는 약보관함(120)에 비해 보다 약이 배출되기 적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울기가 없는 약보관함(120)의 경우에는 도립상태나 수직상태 등에서 약이 배출될 수 있다. 이에 비해, 일면이 경사진 약보관함(120)의 경우에는 이보다 적은 각도 예를 들어, 20~30도의 기울기에서도 약이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일면이 경사진 약보관함(120)을 포함하는 약상자(100)는 약이 배출되기 유리한 효과가 있을 수 있다.
As such, when the medicine container 120 is opened by the lid 125, the doser may take the medicine contained in the medicine container 120. Here, the medicine contained in the medicine container 120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a separate discharge device (not shown) provided in the medicine box 100. Alternatively, as the medicine box 100 is inclined by an external force or the like without a separate discharge device (not shown), the medicine may be discharged from the medicine storage box 120. For example, as the medicine box 100 is inclined as shown in FIG. 12, the medicine container 120 forms an angle with the gravity direction, and thus the medicine may be discharged from the medicine box 100 according to gravity. Here, one surface of the medicine storage box 120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For example, one surface of the medicine container 120 may be formed as shown in FIG. 13. The medicine box 100 provided with the medicine storage box 120 may be more suitable to discharge the medicine than the medicine storage box 120 without the inclination. In detail, in the case of the medicine storage box 120 without the inclination, the medicine may be discharged in an inverted state or a vertical state. In contrast, in the case of the medicine container 120 inclined on one surface, the medicine may be discharged even at an angle smaller than this, for example, at an inclination of 20 to 30 degrees. Therefore, the medicine box 100 including one side of the inclined medicine container 120 may have an advantageous effect that the drug is discharg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약상자(100)의 다른 구성에 대하여 다시 도 2,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약상자(100)의 구성도이고, 도 3 및 도 4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상자(100)의 사시도이다.Hereinafter, another configuration of the medicine box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3, and 4 again.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medicine box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3 and 4 are perspective views of the medicine box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도 2,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상자(100)는 외부기기와 통신하는 통신부(160), 외부로부터 입력을 받는 입력부(170), 정보를 제공하는 출력부(175), 복약관리를 위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155), 약상자(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90) 및 각 구성을 제어하는 제어부(150)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2, 3 and 4, the medicine box 100 is a communication unit 160 for communicating with an external device, an input unit 170 for receiving an input from the outside, an output unit 175 for providing information, medication It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f a storage unit 155 for storing information for management, a power supply unit 190 for supplying power to the medicine box 100 and the control unit 150 for controlling each component.

이하에서는 통신부(160), 저장부(155), 입력부(170), 출력부(175), 전원부(190) 및 제어부(150)에 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the communication unit 160, the storage unit 155, the input unit 170, the output unit 175, the power supply unit 190, and the control unit 150 will be described.

통신부(16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은 유무선망을 통한 유선통신 또는 무선통신일 수 있다. 유선통신은 예를 들어, RS-232 또는 USB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무선통신은 예를 들어,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직비(Zigbee)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외부기기는 예를 들어, 이동통신단말기(20)를 포함하는 각종 단말기 또는 건강관리서버(10) 등일 수 있다. 통신부(160)는 외부기기로부터 복약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반면 통신부(160)는 외부기기로 복약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복약관리에 필요한 정보는 예를 들어, 복용자정보, 처방전정보, 복약스케줄 및 복약확인정보 등일 수 있다. 이러한 통신을 통해 약상자(100)는 건강관리서버(10), 이동통신단말 및 그 외의 외부기기와 정보를 주고 받음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복약관리를 할 수 있다.The communicator 160 may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device as illustrated in FIG. 1. Such communication may be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through a wired or wireless network. Wired communication may be, for example, by RS-232 or USB. Wireless communication may be performed by, for example, Wi-Fi, Bluetooth, or Zigbee. The external device may be, for example, various terminals includ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 or the health care server 10. The communication unit 160 may receive information necessary for medication management from an external device. On the other hand, the communication unit 160 may transmit information necessary for medication management to an external device. Information necessary for medication management may be, for example, taking information, prescription information, medication schedule and medic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rough such communication, the medicine box 100 may perform more efficient medication management by exchanging information with the health care server 10,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other external devices.

입력부(170)는 사용자 등으로부터 입력을 받을 수 있다. 입력부(170)는 예를 들어, 복수의 버튼, 터치패드, 음성인식장치, 마우스, 광마우스, 약상자(100)의 동작을 인식하는 장치 등일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입력부(170)를 통해 복약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복약스케줄, 복약확인정보, 외출시간, 알람시간 등일 수 있다.The input unit 170 may receive an input from a user. The input unit 170 may be, for example, a plurality of buttons, a touch pad, a voice recognition device, a mouse, an optical mouse, or a device for recognizing the operation of the medicine box 100. Here, the user may input information necessary for medication management through the input unit 170. Such information may be medication schedule, medication confirmation information, outing time, alarm time, and the like.

출력부(175)는 외부로 출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부(175)는 디스플레이, 스피커, 진동장치 등일 수 있다. 여기서 출력부(175)는 복용자에게 복약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The output unit 175 may perform an output to the outside. For example, the output unit 175 may be a display, a speaker, a vibration device, or the like. Here, the output unit 175 may provide the user with information necessary for medication management.

저장부(155)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정보는 복약관리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복약관리에 관한 정보는 예를 들어 복용자정보, 처방전정보, 복약스케줄 및 복약확인정보일 수 있다. 저장부(155)는 통신부(160), 입력부(170) 또는 제어부(150)로부터 정보를 받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55)는, 통신부(160), 출력장치(130) 등을 통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155)는 메모리일 수 있다. 메모리는 예를 들어, 플래쉬메모리, RAM, ROM, 하드디스크 등일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155)는 약상자(100)에 내장된 형태 또는 탈착이 가능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55 may store information. Here, the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on medication management. The information on the medication management may be, for example, taking user information, prescription information, medication schedule, and medic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storage unit 155 may receive and store information from the communication unit 160, the input unit 170, or the control unit 150. In addition, the storage unit 155 may provide information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60, the output device 130, or the like. The storage unit 155 may be a memory. The memory may be, for example, flash memory, RAM, ROM, hard disk, or the like. The storage unit 155 may be provided in a form embedded or removable in the medicine box 100.

전원부(190)는 약상자(100)의 각 구성에 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전원부(190)는 전기적인 에너지를 제공할 수 있다. 전원부(190)는 약상자(100) 내에 고정되어 있거나 또는 탈착될 수 있다. 전원부(190)는 예를 들어, 건전지일 수 있다. 이러한 건전지는 재충전이 가능한 건전지일 수 있다. 또는 전원부(190)는 무선방식에 의해 충전될 수 있다. 또는 전원부(190)는 자체적으로 에너지를 생산하여 이를 약상자(100)에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부(190)는 태양전지(solar cell)일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190 may provide power to each component of the medicine box 100. The power supply unit 190 may provide electrical energy. The power supply unit 190 may be fixed or detached in the medicine box 100. The power supply unit 190 may be, for example, a battery. Such batteries may be rechargeable batteries. Alternatively, the power supply unit 190 may be charged by a wireless method. Alternatively, the power supply unit 190 may produce energy by itself and supply it to the medicine box 100. For example, the power supply unit 190 may be a solar cell.

제어부(150)는 약상자(100)가 복약관리를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복약관리는 예를 들어, 복약지시, 오남용방지 또는 복약확인일 수 있다. 제어부(150)의 기능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The controller 150 may control the medicine box 100 to manage medication. Medication management can be, for example, medication instruction, prevention of abuse or medication confirmation. A mor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function of the controller 150 will be described later.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약상자(100)의 또 다른 구성에 대해서 도 2,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약상자(100)의 구성도이고, 도 3 및 도 4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상자(100)의 사시도이다.Hereinafter, another configuration of the medicine box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3, and 4.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medicine box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3 and 4 are perspective views of the medicine box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도 2,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상자(100)는, 복수의 약보관함(120)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출력장치(130), 복수의 약보관함(120) 각각의 약배출여부를 감지하는 복수의 센서(140), 응급상황의 발생을 감지하는 응급상황감지부(145) 및 약상자(100)로부터 약보관함(120)이 분리되도록 하는 구동부(180)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2, 3, and 4, the medicine box 100 includes a plurality of output devices 130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medicine containers 120, and whether the medicines are discharged from each of the medicine containers 120.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sensors 140 for detecting the emergency, emergency detection unit 145 for detecting the occurrence of the emergency situation and the medicine box (120) for separating the medicine container 120 from the medicine box 100. Can be.

이하에서는 출력장치(130), 센서(140), 응급상황감지부(145), 구동부(180)에 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the output device 130, the sensor 140, the emergency situation detecting unit 145, and the driving unit 180 will be described.

이하에서는 출력장치(130)에 관하여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4 및 도 15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력장치(130)의 평면도이다.Hereinafter, the output device 13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4 and 15. 14 and 15 are plan views of an output device 1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출력장치(130)는 약보관함(120)에 대하여 복약관리에 관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약상자(100)는 복수의 출력장치(13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약보관함(120)을 포함하는 약상자(100)는 복수의 출력장치(13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개의 약보관함(120)을 포함하는 약상자(100)는 n개의 출력장치(1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output device 130 may output information about medication management for the medicine storage box 120. Here, the medicine box 1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output devices 130. The medicine box 100 including the plurality of medicine storage boxes 120 may include a plurality of output devices 130. For example, the medicine box 100 including the n medicine containers 120 may include n output devices 130.

출력장치(130)는 다양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출력장치(130)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스피커, 진동장치 등일 수 있다. 이로써, 출력장치(130)는 약상자(100)의 사용자 또는 복용자에게 복약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The output device 130 may output various information. The output device 130 may be, for example, a display, a speaker, a vibration device, or the like. As a result, the output device 130 may provide the user or taker of the medicine box 100 with information necessary for medication management.

출력장치(130)는 각각 약보관함(120)에 대응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상자(100)에는 약보관함(120)마다 그에 대응하는 출력장치(130)가 마련될 수 있다. 출력장치(130)는 약보관함(120)의 상태 등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장치(130)는 약보관함(120)에 대한 복약관리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복수의 출력장치(130)는 각각 복수의 약보관함(120)에 대하여 복약관리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The output device 130 may correspond to the medicine container 120, respectively. As shown in FIG. 3, the medicine box 100 may be provided with an output device 130 corresponding to each medicine container 120. The output device 130 may provide information regarding the state of the medicine container 120 and the like. For example, the output device 130 may display information on medication management for the medicine container 120. The plurality of output devices 130 may provide information on medication management for the plurality of medicine storage boxes 120, respectively.

이러한 출력장치(130)는 복약관리에 관한 정보를 다양한 방법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장치(130)는 문자로 된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문자로 된 메시지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 복용자에게 일단의 동작을 지시하는 문장이거나 또는 복용해야 되는 약의 복용량이나 알약의 복용개수를 지시하는 숫자일 수 있다. 또는 출력장치(130)는 복약관리에 관한 정보를 반영하도록 미리 정해진 복수의 색상을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복약관리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약을 지시하는 표시는 청색으로, 복용상태를 지시하는 표시는 녹색으로, 미복용상태를 지시하는 표시는 적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 복수의 색상에 따라 복약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장치(130)는 복용자가 보다 직관적으로 복약에 관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output device 130 may display information about medication management in various ways. For example, the output device 130 may output a message in text. As shown in FIG. 14, the text message may specifically be a sentence instructing the user of a group of actions, or a number indicating the dose or number of pills to be taken. Alternatively, the output device 130 may provide the user with the information on the medication management by outputting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colors to reflect the information on the medication management.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5, the indication indicating the medication may be displayed in blue, the indication indicating the dosage state may be displayed in green, and the indication indicating the undosed state may be displayed in red. The output device 130 for outputting information on the medication according to the plurality of colors has an effect that the doser can grasp the information on the medication more intuitively.

이하에서는 센서(140)에 관하여 도 16, 도 17,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6 및 도 17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보관함(120)의 개방여부를 감지하는 센서(140)의 단면도이고,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보관함(120)에 약수용여부를 감지하는 센서(140)의 단면도이다. Hereinafter, the sensor 14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6, 17, 18, and 19. 16 and 17 are cross-sectional views of the sensor 140 for detecting the opening of the medicine container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Figures 18 and 19 is a medicine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ensor 140 for detecting the acceptance of weakness.

센서(140)는 약보관함(120)의 약배출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복수의 약보관함(120)을 포함하는 약상자(100)는 복수의 센서(1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센서(140)는 각각 복수의 약보관함(120)의 약배출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The sensor 140 may detect whether the medicine container 120 is discharged. The medicine box 100 including the plurality of medicine storage box 120 may include a plurality of sensors 140. Here, the plurality of sensors 140 may detect whether the plurality of drug storage boxes 120 are discharged.

이러한 센서(140)는 약보관함(120)의 개방여부를 감지하거나, 약보관함(120) 내에 약이 수용되어있는지 여부를 감지하거나 또는 뚜껑(125)의 개폐여부를 감지함으로써 약배출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The sensor 140 may detect whether the medicine container 120 is opened, detect whether the medicine is contained in the medicine container 120, or detect whether the medicine is discharged by detecting whether the lid 125 is opened or closed. Can be.

먼저 센서(140)는 약보관함(120)의 개방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약보관함(120)의 개방여부란 약보관함(120)의 내부가 외부로 노출 또는 개방되었는지 아니면 약보관함(120)의 내부가 뚜껑(125) 등에 의해 외부와 단절 또는 차단되었는지의 여부를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140)는 광센서일 수 있다. 광센서는 예를 들어, 적외선센서(140), 가시광센서, 자외선센서(140) 등일 수 있다. 여기서 광센서는 수광부 및 발광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부는 발광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이고, 수광부는 포토다이오드(photo diode)일 수 있다. 여기서 발광부는 빛을 조사할 수 있고, 수광부는 빛을 수용할 수 있다.First, the sensor 140 may detect whether the medicine container 120 is open. Here, the opening of the medicine container 120 may mean whether the inside of the medicine container 120 is exposed or opened to the outside or the interior of the medicine container 120 is disconnected or blocked from the outside by the lid 125 or the like. Can be. The sensor 140 may be an optical sensor. The optical sensor may be, for example, an infrared sensor 140, a visible light sensor, an ultraviolet sensor 140, or the like. The optical sensor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light receiving unit and a light emitting unit. For example, the light emitting unit may be a light emitting diode (LED), and the light receiving unit may be a photo diode. The light emitter may emit light, and the light receiver may receive light.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140)는 수광부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약보관함(120) 내부에 수광부를 마련하여, 수광부가 약보관함(120)이 외부로 개방된 경우에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빛을 수광하고, 개방되지 아니한 경우에는 빛을 수용하지 아니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센서(140)는 수광부의 빛 수용여부에 따라 약보관함(120)의 개방여부를 감지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약보관함(120)의 내부가 외부와 차단된 경우에는 빛이 들어오지 아니하므로 수광부는 실질적으로 빛을 수용할 수 없을 수 있다. 한편 약보관함(120)의 내부가 외부로 개방된 경우에는 외부로부터 빛이 들어올 수 있으므로 수광부는 실질적으로 빛을 수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광부는 외부로부터 빛을 수용하여 약보관함(120)의 개방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6, the sensor 140 may be configured as a light receiver. For example, by providing a light receiving unit inside the medicine container 120, the light receiving unit receives the light from the outside when the medicine container 120 is open to the outside, and not to receive the light if not opened. can do. Accordingly, the sensor 140 may detect whether the medicine container 120 is opened according to whether the light receiving unit receives light. For example, when the inside of the medicine storage box 120 is blocked from the outside, light does not enter, and thus the light receiving unit may not be able to substantially receive light. On the other hand, when the inside of the medicine storage box 120 is opened to the outside, since light may enter from the outside, the light receiving unit may substantially receive light. Accordingly, the light receiver may detect whether the medicine container 120 is opened by receiving light from the outside.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140)는 발광부와 수광부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발광부는 일정한 주파수의 빛을 조사할 수 있으며 수광부는 그 일정한 주파수의 빛을 수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140) 마련되되, 발광부는 조사된 빛이 약보관함(120)이 외부로 개방된 상태에서는 반사되지 아니하고 외부로 개방되지 아니한 상태에서는 조사된 빛이 반사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수광부는 반사되는 빛을 수용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수광부에서의 빛의 수용여부에 따라 약보관함(120)의 내부가 약상자(100)의 외부로 개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7, the sensor 140 may include a light emitting unit and a light receiving unit. The light emitter may emit light of a constant frequency and the light receiver may receive light of a constant frequency. For example, the sensor 140 may be provided, but the light emitting unit may be provided so that the irradiated light is not reflected when the weak storage container 120 is open to the outside and the irradiated light is reflected when the light is not opened to the outside. The light receiving unit may be provided to receive the reflected light. Therefore, it is possible to detect whether the inside of the medicine container 120 is opened to the outside of the medicine box 100 according to whether the light is received by the light receiver.

또는 센서(140)는 약보관함(120)에 약이 수용되어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140)는 무게센서(140)나 광센서일 수 있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140)는 약보관함(120)에 약이 있는 경우 그 무게를 감지함으로써 약보관함(120)의 약수용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또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140)는 수광부와 발광부로 구성된 광센서로 약보관함(120)에 약이 수용되어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sensor 140 may detect whether the medicine is stored in the medicine storage box 120. The sensor 140 may be a weight sensor 140 or an optical sensor. As shown in FIG. 18, the sensor 140 may detect whether the medicine container 120 has medicine storage capacity by detecting the weight of the medicine container 120 when the medicine is present. 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19, the sensor 140 may detect whether or not the medicine is stored in the medicine storage box 120 as an optical sensor including a light receiving unit and a light emitting unit.

또는 센서(140)는 뚜껑(125)의 동작을 검출하는 스위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뚜껑(125)이 열리는 때에 연결되고 뚜껑(125)이 닫히는 때 차단되는 스위치로써, 약보관함(120)의 개폐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sensor 140 may be a switch that detects the operation of the lid 125. For example, as a switch connected when the lid 125 is opened and blocked when the lid 125 is closed, it is possible to detect whether the medicine container 120 is opened or closed.

이하에서는 응급상황감지부(145)에 대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emergency situation detection unit 145 will be described.

응급상황감지부(145)는 응급상황의 발생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응급상황이란 복용자 또는 약상자(100)의 사용자의 건강이 위험해지거나 신체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응급상황감지부(145)는 외부기기와 통신을 하거나 또는 직접 센싱을 통해 응급상황의 발생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The emergency situation detection unit 145 may detect whether an emergency situation occurs. In this case, the emergency may refer to a case in which the health of the user of the doser or the medicine box 100 becomes dangerous or an abnormality occurs in the body. The emergency detection unit 145 may detect whether an emergency occurs by communicating with an external device or directly sensing.

예를 들어, 응급상황감지부(145)는 사용자의 신체나 건강에 관한 신호를 받거나 또는 스스로 사용자의 신체나 건강에 관한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신체나 건강에 관한 신호는 혈당, 혈압, 체온 또는 맥박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응급상황감지부(145)는 장기간 움직임이 없거나 또는 급작스러운 움직임, 예를 들어 낙상 등을 감지함에 따라 응급상황이 발생한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응급상황감지부(145)는 가속도센서, 자이로센서 등의 모션센서일 수 있다.
For example, the emergency situation detection unit 145 may receive a signal regarding the user's body or health or may detect a state related to the user's body or health by itself. The body or health signal may be at least one of blood sugar, blood pressure, body temperature, or pulse rate. For another example, the emergency situation detection unit 145 may detect that an emergency situation occurs as there is no long-term movement or sudden movement, for example, a fall. The emergency situation detection unit 145 may be a motion sensor such as an acceleration sensor and a gyro sensor.

이하에서는 구동부(180)에 관하여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180)의 단면도이다.Hereinafter, the driving unit 18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0. 2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riving unit 18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구동부(180)는 약상자(100)로부터 약보관함(120)이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약보관함(120)은 약상자(100)에 장착되어 수납되거나 또는 탈착되어 분리될 수 있다. 여기서 구동부(180)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상자(100)에 장착된 약보관함(120)이 탈착되도록 할 수 있다.
The driving unit 180 may allow the medicine storage box 120 to be separated from the medicine box 100. The medicine container 120 may be mounted and stored in the medicine box 100 or detached from the medicine box 100. Here, the driving unit 180 may allow the medicine storage box 120 mounted on the medicine box 100 to be detached as shown in FIG. 20.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복약관리방법에 관하여 도 1, 도 21 및 도 2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약관리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1 및 도 22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약관리방법의 순서도이다.Hereinafter, a medication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21, and 22. 1 is a block diagram of a medication tracke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1 and Figure 22 is a flow chart of a medication tracker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복약관리방법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약상자(100)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이때, 약상자(100)는 본 발명에 따른 복약관리방법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복약관리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약상자(100)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medication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described using the medicine box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 this time, the medicine box 100 is used to easily explain the medication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medication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medicine box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복약관리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약상자(100)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다른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Medication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se another device performing the same function as the medicine box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복약관리는, 약상자(100)가 복용자에게 복약을 지시하는 복약지시, 복용자가 약의 오·남용하는 것을 방지하는 오남용방지 및 복약여부를 확인하도록 하는 복약확인을 포함할 수 있다.
Medication management, the medicine box 100 may instruct the instructor to take the medication, and may include a medication check to confirm whether or not to prevent abuse and abuse of the drug to take the abuser.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복약관리방법에 관하여 도 21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복약관리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상자의 사시도이다.Hereinafter, a medication track method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1 and 4. 21 is a flow chart of a medication track method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medicine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복약관리방법은, 복수의 약보관함(120)에 각각 약이 수용되는 단계(S101), 복약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102), 복약시기가 도래한 때, 적어도 하나의 약보관함(120)을 선택하는 단계(S103), 선택된 약보관함(120)에 대하여 복약을 지시하는 표시를 출력하는 단계(S104), 약배출여부를 감지하는 단계(S105), 감지한 결과에 따라 약이 배출된 때, 복용상태를 지시하는 표시를 출력하는 단계(S106), 감지한 결과에 따라 약이 배출되지 아니한 때, 미리 설정된 시간의 경과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07),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동안 약이 배출되지 아니한 때, 미복용상태를 지시하는 표시를 출력하는 단계(S108) 중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Medication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receiving the medicine in each of the plurality of medicine storage box (S101), the step of obtaining information necessary for medication management (S102), the medication time has arrived When the at least one medicine container 120 is selected (S103), outputting an indication indicating medication for the selected medicine container 120 (S104), detecting whether the medicine is discharged (S105), When the medicine is discharged according to the detected result, outputting an indication indicating a taking state (S106), and when the medicine is not discharged according to the detected result, determining wheth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S107). When the medicine is not discharged during the preset time, at least one step of outputting an indication indicating the unused state may be included.

먼저 약상자(100)에 포함되는 복수의 약보관함(120)에 각각 약이 수용될 수 있다(S101). 이때, 각각의 약보관함(120)에는 서로 다른 종류의 약이 수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약보관함(120)이 마련된 약상자(100)의 경우에는, 제1약보관함(120a)에는 제1약이, 제2약보관함(120b)에는 제2약이, 제3보관함(120c)에는 제3약이 수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약은 수면제, 제2약은 소화제, 제3약은 영양제일 수 있다.First, medicines may be accommodat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medicine storage boxes 120 included in the medicine box 100 (S101). In this case, different types of medicine may be accommodated in each medicine container 120. 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in the case of the medicine box 100 provided with three medicine containers 120, the first medicine is stored in the first medicine container 120a and the second medicine container 120b is made of a medicine box 100. Two medicines may contain the third medicine in the third storage box (120c). Specifically, the first drug may be sleeping pills, the second drug may be a digestive medicine, and the third drug may be a nutrient.

약상자(100)는 복약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102). 이러한 정보는 복약시기에 관한 정보 및 복약시기에 복용하도록 처방된 약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복약스케줄일 수 있다. 복약스케줄은 복약시기 및 복용약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edicine box 100 may obtain information necessary for medication management (S102). Such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about the time of medication and information about the medicine prescribed to be taken at the time of medication. Such information may be medication schedules. Medication schedules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medication time and medication.

일반적으로 약은 처방된 약의 화학적 성분 및 복용자의 특성에 따라 복용하는 시점이 정해질 수 있는데, 이러한 시점 또는 이러한 시점을 포함하는 일정한 시간간격이 복약시기일 수 있다. 제어부(150)는 이러한 복약시기에 관한 정보를 건강관리서버(10) 등의 외부기기 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또는 제어부(150)는 복약스케줄을 획득하여 이로부터 복약시기 정보를 획득하거나 또는 처방전정보 및 복용자정보 등에 기초하여 복약시기를 산출할 수 있다. In general, the time point of taking the medicine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he prescribed medicin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rson taking the medicine, and such a time point or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including the time point may be the medication time. The controller 150 may receive information regarding the medication time from an external device or a user such as the health care server 10. Alternatively, the controller 150 may obtain a medication schedule and obtain medication time information therefrom, or calculate the medication time based on prescription information and user information.

복용약에 관한 정보는 상기 복약시기에 복용하도록 처방된 약에 관한 정보이다. 여기서 복용약에 관한 복용약정보는, 약의 종류에 관한 정보, 약의 종류에 따른 복용량에 관한 정보 및 이러한 약이 어느 약보관함(120)에 수용된 것인지에 관한 정보 또는 약보관함(120)에 수용된 약의 종류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이러한 복용약정보를 건강관리서버(10) 등의 외부기기나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거나 또는 처방전정보, 복용자정보 및 복약스케줄 등에 따라 복용약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about the medicine to be taken is information about the medicine prescribed to be taken at the time of taking the medication. Here, the taking medicine information about the taking medicine, the information on the type of medicine, the information on the dosage according to the type of medicine and information about which medicine storage box 120 is accommodated in such medicine or the type of medicine accommodated in the medicine storage box 120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r more of information about. The controller 150 may receive such medication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device or user such as the health care server 10 or generate medi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prescription information, dose information, and medication schedule.

약상자(100)는 복약시기가 도래한 때, 복용약정보에 근거하여 적어도 하나의 약보관함(120)을 선택할 수 있다(S103). 이때, 복약시기는 환자가 약을 복용하는 시점이다. 이러한 복약시기는 복약스케줄에 따라 약을 복용하도록 정해진 시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식후 30분 등일 수 있다. 또는 복약시기는 응급상황 등이 발생하여 약을 복용해야 하는 시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응급상황감지부(145)가 응급상황이 발생한 것을 감지한 시점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응급상황은 약상자(100)가 복용자의 낙상을 감지하거나 급격한 혈압증가를 감지한 경우 등일 수 있다.When the medicine box 100 arrives, the medicine box 100 may select at least one medicine storage box 120 based on the taking medicine information (S103). At this time, the medication time is the time when the patient takes the medicine. This medication time may be a time determined to take the medicine according to the medication schedule. For example, 30 minutes after a meal or the like. Alternatively, the medication time may be a time when an emergency situation and the like should be taken. For example, the emergency situation detection unit 145 may be a point in time when an emergency situation is detected. In more detail, the emergency may be when the medicine box 100 detects a fall of the doser or detects a sudden increase in blood pressure.

이러한 복약시기가 도래한 때, 제어부(150)는 상기의 복용약정보에 근거하여 적어도 하나의 약보관함(120)을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선택된 약보관함(120)은 해당 복약시기에 복용하도록 정해진 약이 수용되어있는 약보관함(120)일 수 있다. 제어부(150)가 이러한 선택을 하는 것은, 복약시기에 따라 복용하도록 정해진 약의 종류 및 약보관함(120)에 수용된 약의 종류에 관한 정보에 근거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약상자(100)의 경우, 제1약보관함(120a)는 혈당약이, 제2약보관함(120b)에는 혈압약, 제3약보관함(120c)에는 심장병약이 각각 수용될 수 있다. 이때, 혈당치의 이상에 따라 응급상황이 발생한 때에는 제어부(150)는 상기 복용약정보에 따라 응급상황에 따른 복약시기에 혈당약을 복용하도록 정해진 것을 판단하고, 이에 따라 제1약보관함(120a)을 선택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심장에 이상이 생긴 응급상황이 발생한 때에는 제2약보관함(120b) 및 제3약보관함(120c)을 선택할 수 있다.When the medication time arrives, the controller 150 may select at least one medicine storage box 120 based on the medication information. In this case, the selected medicine storage box 120 may be a medicine storage box 120 in which a medicine determined to be taken at the corresponding medication time is accommodated. The control unit 150 may make this selection based on the type of medicine determined to be taken according to the medication time and the information about the type of medicine accommodated in the medicine storage box 120.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medicine box 100 shown in FIG. 4, the first drug storage box 120a is a blood sugar drug, the second drug storage box 120b is a blood pressure drug, and the third drug storage box 120c is a heart disease drug. Each can be accommodated. At this time, when an emergency situation occurs according to the abnormal blood glucose level, the controller 150 determines that the blood sugar medicine is determined to be taken at the time of taking medication according to the emergency situation according to the medicine information, and thus selects the first drug storage box 120a. Can be. Similarly, when an emergency occurs in which the heart is abnormal, the second drug storage box 120b and the third drug storage box 120c may be selected.

약상자(100)는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약보관함(120)에 관하여 복약을 지시하는 표시를 출력할 수 있다(S104). 제어부(150)는 상기 선택된 약보관함(120)에 대응되는 출력장치(130)가 복약을 지시하는 표시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출력장치(130)는, 복용자가 복약을 지시하는 표시를 확인하고 이러한 표시를 출력한 출력장치(130)에 대응하는 약보관함(120)에 수용된 약을 복용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로써, 복약시기 또는 복약스케줄 등에 따른 약의 복용이 수행되어 복용자의 복약순응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The medicine box 100 may output an indication for instructing medication with respect to the selected at least one medicine storage box 120 (S104). The controller 150 may control the output device 130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medicine storage box 120 to output an indication indicating medication. The output device 130 has the effect of taking the medicine accommodated in the medicine storage box 120 corresponding to the output device 130 that outputs the display, the user confirms the indication indicating the medication. As a result, taking medication according to the medication time or medication schedule is performed, thereby improving the medication compliance of the doser.

여기서 출력장치(130)는 복약을 지시하는 표시를 다양한 방법으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약시기는 처방된 약을 복용하도록 정해진 복약시점 또는 그 시점을 포함한 시간간격일 수 있다. 여기서, 복약시기가 시간간격인 때에는 출력장치(130)는 정확한 복약시점으로부터 일정시간 이전인 시점에 복약시점까지 남은 시간을 표시함으로써 복약을 지시할 수 있다. 또는 출력장치(130)의 설명부분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복약을 지시하는 것으로 미리 설정된 색상을 출력함으로써 복약을 지시할 수 있다. 이러한 색상은 청색 또는 녹색일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색상은 복약시기가 경과함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장치(130)는 복약시기의 시작시점에는 파란색으로, 정확한 복약시점에는 보라색으로, 복약시기의 종료시점에는 붉은색으로 바꾸어 색상을 출력할 수 있다. Herein, the output device 130 may output a display indicating medication. For example, the medication time may be a time of medication or a time interval including the time at which the prescribed medicine is to be taken. Here, when the medication period is a time interval, the output device 130 may instruct the medication by displaying the time remaining from the exact medication time to a medication time before a certain time. Alternatively, the medication may be instructed by outputting a preset color by instructing medication as described above in the description of the output device 130. This color may be blue or green. On the other hand, the color may change as the medication time passes. For example, the output device 130 may output a color by changing the color to blue at the beginning of the medication period, to purple at the exact medication period, and to red at the end of the medication period.

다른 예를 들어, 출력장치(130)는 해당 약보관함(120)에 수용된 약의 복용량을 표시함으로써 복약을 지시하는 표시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약상자(100)에서, 제1약보관함(120a)에 수용된 약은 1개, 제2약보관함(120b)에 수용된 약은 2개 복용하도록 지시하는 때에는, 제1출력장치(130a)는 숫자 1을 반영하는 표식을, 제2출력장치(130b)는 숫자 2를 반영하는 표식을 출력할 수 있다.For another example, the output device 130 may output an indication indicating medication by displaying the dose of the medicine accommodated in the medicine storage box 120. For example, in the medicine box 100 shown in FIG. 4, when instructing to take one medicine contained in the first medicine storage box 120a and two medicines contained in the second medicine storage box 120b, The output device 130a may output the mark reflecting the number 1, and the second output device 130b may output the mark reflecting the number 2.

약상자(100)는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약보관함(120)의 약배출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S105). 복수의 센서(140)는 각각에 해당하는 약보관함(120)의 개방여부, 약수용여부, 뚜껑(125)의 개폐여부 또는 약배출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복약을 지시하는 표시가 출력된 출력장치(130)에 대응하는 약보관함(120)이 개방되거나 또는 그 약보관함(120)에 약이 수용되지 아니하거나 또는 그 약보관함(120)에 대응하는 뚜껑(125)이 열린 때에는 해당 약보관함(120)으로부터 약이 배출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로써, 센서(140)부는 약보관함(120)으로부터 약배출여부를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The medicine box 100 may detect whether the medicine is discharged from the at least one selected medicine storage box 120 (S105). The plurality of sensors 140 may detect whether the medicine container 120 corresponding to each other is opened, whether the medicine is accommodated, whether the lid 125 is opened or closed, or whether the medicine is discharged. The medicine container 120 corresponding to the output device 130 outputting the indication indicating the medicine is opened or the medicine container is not received in the medicine container 120 or the lid corresponding to the medicine container 120 When the 125 is opened, it can be seen that the medicine is discharged from the medicine container 120. As a result, the sensor 140 may directly or indirectly detect whether the medicine is discharged from the medicine container 120.

약상자(100)는 감지한 결과에 따라 그 결과를 반영하는 표시를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센서(140)가 감지한 결과에 따라 약이 배출된 때, 복용상태를 지시하는 표시를 출력할 수 있다(S106). 복용상태를 지시하는 표시는, 복약을 지시한 표시가 출력된 출력장치(130)에 대응하는 약보관함(120)으로부터 약이 배출된 것을 지시할 수 있다. 이는 다시 말해 복용자가 복약시기에 복약하도록 정해진 약을 복용했다는 것을 지시하는 표시일 수 있다.The medicine box 100 may output a display reflecting the result according to the detected result. Specifically, when the medicine is discharged according to the result detected by the sensor 140, a display indicating the taking state may be output (S106). The indication indicating the taking state may indicate that the medicine is discharged from the medicine storage box 120 corresponding to the output device 130 on which the indication indicating the medication is output. This may be an indication that, in other words, the instructor has taken a prescribed medication to take the medication.

반대로 센서(140)가 감지한 결과에 따라 선택된 약보관함(120)에서 약이 배출되지 아니한 때에는 미복용상태를 지시하는 표시를 출력할 수 있다(S108). 미복용상태란 복약시기에 따라 복용하도록 정해진 약을 복용하지 아니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복용자가 복약시기에 복약하도록 정해진 약을 복용하지 아니한 것을 지시할 수 있다. On the contrary, when the medicine is not discharged from the selected medicine storage box 120 according to the result detected by the sensor 140, a display indicating the unused state may be output (S108). The non-dosed state may mean a state in which a medicine is not taken to be taken according to the medication time. In other words, the instructor may be instructed not to take the medicine prescribed for the medication.

출력장치(130)는 복용상태 및 미복용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복용상태 및 미복용상태의 표시는 상술한 복약을 지시하는 표시와 마찬가지로 다양한 방법으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표시는 복용/미복용상태를 반영하는 것으로 정해진 색상에 의한 표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용상태는 녹색이나 청색, 미복용상태는 적색이나 흑색 등의 색상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또는 복용상태의 경우에는 복용한 시간대를 문자로 출력하거나 미복용상태의 경우에는 복용시점으로부터 경과한 시간을 표시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The output device 130 may display the dose state and the untaken state. The indication of the dosing state and the non-dose state may be displayed in various ways similarly to the indication indicating the medication. For example, such an indication may be an indication of a color determined to reflect a dosing / undosed state. Specifically, the dosage state may be indicated by a color such as green or blue, and the unused state by red or black. Alternatively, it may be possible to display the time taken in text in the case of taking state or to display the elapsed time from the time of taking in the case of non-dose state.

이때, 제어부(150)는 출력장치(130)가 복약시점이 경과한 시점에 미복용상태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복약시점이 경과한 뒤 일정한 시간이 경과했는지를 판단하고(S107), 그 경과여부에 따라 미복용상태를 출력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복약시기는 복약시점을 포함한 시간간격일 수 있는데, 이때, 출력장치(130)는 이러한 시간간격이 경과하는 동안에 약의 배출이 감지되지 아니한 때에 미복용상태임을 지시하는 표시를 출력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ntroller 150 may control the output device 130 to output the unused state at the time when the medication point elapses. In addition, the controller 150 may determine wheth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after the time of taking the medication (S107), and outputs a non-dosed state depending on whether the medication has elapsed. In general, the medication time may be a time interval including a medication time, and at this time, the output device 130 may output an indication indicating that the medicine is not in use when the discharge of the medicine is not detected during this time interval. .

이러한 복용상태와 미복용상태를 지시하는 표시를 출력하는 약상자(100)는, 복용자가 자신의 복약여부를 스스로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복용자는 이러한 복약여부에 근거하여 자신의 복약순응도를 판단하고 나아가 더욱 효과적으로 복약스케줄에 따라 복약을 할 수 있다.
The medicine box 100 outputting a display indicating such a taking state and the non-dose state has an effect that the taker can check his or her own medication. The doser can judge his or her medication compliance based on the medication availability and can take medication more effectively according to the medication schedul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복약관리방법에 관하여 도 2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복약관리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상자의 사시도이다.Hereinafter, a medication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2 and 3. 22 is a flow chart of a medication track metho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medicine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복약관리방법은, 약보관함(120)에 약이 수용되는 단계(S201), 복약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202), 시간범위를 획득하는 단계(S203), 복약시기가 획득한 시간범위에 속하는 때, 복약시기가 상기 시간범위에 속함을 지시하는 표시를 출력하는 단계(S204), 상기 표시가 출력된 약보관함(120)이 약상자(100)에서 분리되는 단계(S205), 복약시기가 도래한 때, 복약을 지시하는 표시를 출력하는 단계(S206), 약배출여부를 감지하는 단계(S207), 감지한 결과에 따라 약이 배출된 때, 복용상태를 지시하는 표시를 출력하는 단계(S208), 감지한 결과에 따라 약이 배출되지 아니한 때, 미복용상태를 지시하는 표시를 출력하는 단계(S209) 중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e medicine-taking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ep of receiving medicine in the medicine storage box 120 (S201), obtaining information necessary for medication management (S202), and obtaining a time range (S203). ), When the medication time falls within the obtained time range, outputting an indication indicating that the medication time belongs to the time range (S204), and the medicine storage box 120 in which the indication is output is separated from the medicine box 100. In step S205, when the medication time arrives, outputting an indication indicating medication (S206), detecting whether the medicine is discharged (S207), and when the medicine is discharged according to the detected result, the taking state Outputting an indication indicating (S208), and when the medicine is not discharged according to the detected result, at least one of outputting an indication indicating an unused state (S209).

먼저 약상자(100)의 약보관함(120)에 약이 수용될 수 있다(S201). 여기서 약상자(100)는 복수의 약보관함(1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약보관함(120)에는 각각 1회 복용분량의 약이 수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약보관함(120)의 설명에서 상술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열은 하루 중의 복약시기에 따라, 세로열은 요일에 따라 배치되는 약상자(100)의 경우에는 총 21회 분량의 약이 수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각각의 약보관함(120)에는 서로 다른 약이 수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약보관함(120)에는 수면제 2정과 소화제 1정, 다른 약보관함(120)에는 수면제 1정과 소화제 1정이 수납될 수 있을 것이다.First, the medicine may be accommodated in the medicine storage box 120 of the medicine box 100 (S201). Here, the medicine box 1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medicine storage box 120. In this case, each of the plurality of drug storage 120 may be accommodated in one dose of the medicine. 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5 described above in the description of the medicine storage box 120, the horizontal column corresponds to the medication time of the day, and the vertical column corresponds to the total amount of 21 times in the case of the medicine box 100 arranged according to the day of the week. Medicine may be acceptable. In this case, different drugs may be accommodated in each medicine container 120. For example, one drug storage box 120 may contain two sleeping tablets and one extinguishing tablet, and the other medicine storage box 120 may contain one sleeping tablet and one extinguishing tablet.

약상자(100)는 복약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202). 이러한 정보는 복약시기에 관한 정보 및 복약시기에 복용하도록 처방된 약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복약스케줄일 수 있다. 복약스케줄은 복약시기 및 복용약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복약시기 및 복용약에 관한 정보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복약관리방법에서 상술한 것과 동일할 수 있다.The medicine box 100 may obtain information required for medication management (S202). Such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about the time of medication and information about the medicine prescribed to be taken at the time of medication. Such information may be medication schedules. Medication schedules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medication time and medication. The information on the medication time and the medicine may be the same as described above in the medication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약상자(100)는 시간범위를 획득할 수 있다(S203). 약상자(100)는 통신부(160)를 통해 이동통신단말기(20) 등의 외부기기 또는 입력부(17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상기 시간범위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50)는 입력부(17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제1시점 및 제2시점을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시점 및 제2시점에 따른 시간범위는 사용자가 약상자(100)로부터 약을 복용할 수 없는 시간범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시간범위는 복용자가 외출 또는 여행하는 시간범위일 수 있다.The medicine box 100 may obtain a time range (S203). The medicine box 100 may obtain the time range from the user through an external device such a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 or the input unit 17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60. For example, the controller 150 may obtain a first time point and a second time point from the user through the input unit 170. The time range according to the first time point and the second time point may be a time range in which the user cannot take medicine from the medicine box 100. For example, this time range may be a time range during which the taker goes out or travels.

약상자(100)는 복약시기가 획득한 시간범위에 속하는 때, 복약시기가 상기 시간범위에 속함을 지시하는 표시를 출력할 수 있다(S204). 제어부(150)는 획득한 복약시기 및 시간범위에 기초하여 시간범위에 복약시기가 속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약시기는 9시부터 9시 15분의 제1시기, 12시부터 12시 30분의 제2시기 및 5시 30분부터 6시인 제3시기이고, 외출시간이 11시부터 7시인 때, 제2시기 및 제3시기의 복약시기는 외출하는 시간범위에 속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시기에 복용할 약은 제1약보관함(120a), 제2시기에 복용할 약은 제2약보관함(120b), 제3시기에 복용할 약은 제3약보관함(120c)에 수용된 때, 제2약보관함(120b)과 제3약보관함(120c)에 대응하는 출력장치(130)는 복약시기가 외출시간에 속함을 지시하는 표시를 출력할 수 있다. 이로써, 약상자(100)는 복약시기가 외출시간에 속하는지 그리고 어느 약보관함(120)이 그 복약시기에 해당하는지에 관한 정보를 복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When the medicine box belongs to the acquired time range, the medicine box 100 may output an indication indicating that the medicine time belongs to the time range (S204). The controller 150 may determine whether the medication time belongs to the time range based on the acquired medication time and the time range. For example, the medication time is the first time from 9:00 to 9:15, the second time from 12 to 12:30, and the third time from 5:30 to 6:00, and the outing time is from 11 to 7 At the poet, the medication period of the second and third periods may belong to the time range of going out. Here, the medicine to be taken at the first time is stored in the first drug storage box 120a, the medicine to be taken at the second time is stored in the second medicine storage box 120b, and the medicine to be taken at the third time is stored in the third medicine storage box 120c. At this time, the output device 130 corresponding to the second drug storage box 120b and the third drug storage box 120c may output an indication indicating that the medication time belongs to the outing time. As a result, the medicine box 100 can provide the user with information about whether the medication time belongs to the outing time and which drug storage box 120 corresponds to the medication time.

여기서 상기 시간범위에 속하는 복약시기에 해당하는 약보관함(120)은 약상자(1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S205). 이러한 약보관함(120)은 약상자(100)의 사용자 또는 구동부(180)에 의해 하우징(11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여기서, 약보관함(120)은 하나하나가 별도로 분리되거나 또는 일정한 개수가 함께 분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 복약시기의 약보관함(120)이 하나하나 분리되거나 또는 하루에 3회 복용하는 경우 1일치의 약보관함(120), 즉 3개의 약보관함(120)이 서로 연결되어 함께 분리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약보관함(120)이 약상자(100)로부터 분리되는 것은, 제어부(150)가 복약시기가 외출시간에 속하는 것을 판단하고 그 복약시기에 해당하는 약보관함(120)이 탈착되도록 구동부(180)를 제어하여 수행될 수 있다.Here, the medicine storage box 120 corresponding to the medication time in the time range may be separated from the medicine box 100 (S205). The medicine container 120 may be separated from the housing 110 by a user of the medicine box 100 or the driving unit 180. Here, the medicine container 120 may be separated one by one or a predetermined number may be separated together. For example, if the medicine storage box 120 of each medication period is separated one by one or three times a day, one day drug storage 120, that is, three drug storage containers 1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be separated together It can be. As described above, the medicine container 120 is separated from the medicine box 100, and the controller 150 determines that the medication time belongs to the outing time, and the driving unit 180 detaches the medicine container 120 corresponding to the medication time. It can be performed by controlling.

약상자(100)는 복약시기가 도래한 때, 복약을 지시하는 표시를 출력할 수 있다(S206).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복약시기가 도래하면, 복약시기에 해당하는 약보관함(120)을 선택하고 선택된 약보관함(120)에 대응하는 출력장치(130)를 제어하여 해당 약보관함(120)에 대하여 복약을 지시하는 표시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약상자(100)는 선택된 약보관함(120)에 대하여 약배출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S207). 구체적으로 선택된 약보관함(120) 각각에 대응하는 센서(140)가 약보관함(120)으로부터 약이 배출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약상자(100)는 감지한 결과에 따라 약이 배출된 때, 복용상태를 지시하는 표시를 출력하고(S208), 배출되지 아니한 때는 미복용상태를 지시하는 표시를 출력할 수 있다(S209). 여기서 제어부(150)는 약이 배출되지 아니한 채 복약시점으로부터 일정시간이 경과한 뒤 미복용상태를 출력하도록 출력장치(130)를 제어할 수 있다. 복약을 지시하는 표시를 출력하고, 약배출여부를 감지하고, 감지여부에 따라 복용/미복용상태를 지시하는 표시를 출력하는 것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복약관리방법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할 수 있다.When the medicine box 100 arrives, the medicine box 100 may output a display indicating the medicine (S206). In detail, when the medication time arrives, the controller 150 selects the medicine storage box 120 corresponding to the medication time and controls the output device 130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medicine storage box 120 to the medicine storage box 120. It is possible to output a display indicating the medication. The medicine box 100 may detect whether the medicine is discharged with respect to the selected medicine storage box 120 (S207). In detail, the sensor 140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selected medicine container 120 may detect whether the medicine is discharged from the medicine container 120. When the medicine box is discharged according to the detected result, the medicine box 100 may output an indication indicating a taking state (S208), and when not discharged, may output an indication indicating an unused state (S209). Here, the controller 150 may control the output device 130 to output the unused state afte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from the time of medication without discharging the medicine. Outputting an indication indicative of the medication, detecting whether the medicine is discharged, and outputting an indication indicating the intake / undosed state according to the detection is the same as that described in the medication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여기서, 출력장치(130)는 복약을 지시하는 표시, 상기 시간범위에 복약시기가 속하는 것을 지시하는 표시 및 복용/미복용상태를 지시하는 표시는 다양한 방법으로 출력될 수 있다. 이는 시각적, 청각적, 촉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표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표시는 각각의 내용을 나타내는 문자이거나 또는 서로 다른 미리 정해진 색상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복약을 지시하는 표시는 청색, 시간범위에 복약시기가 속하는 것을 지시하는 표시는 황색, 복용상태는 녹색, 미복용상태는 적색 등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색상에 의해 각각의 표시가 출력되는 약상자(100)는 복용자가 직관적으로 그 의미를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유아나 노인의 경우에 그 효과가 더 클 수 있다. 이로써, 복약을 지시하는 표시나 시간범위에 복약시기가 속하는 것을 지시하는 표시에 따라 복용자는 복약시기에 올바른 복약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복용/미복용상태를 지시하는 표시에 따라 복용자는 자기의 복약순응도를 확인하여 이에 기초하여 향후 복약순응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In this case, the output device 130 may display the indication indicating the medication, the indication indicating that the medication period belongs to the time range, and the indication indicating the dose / non-dose state may be output in various ways. This may be a visually, aurally, tactilely recognizable indication. For example, such an indication may be a character representing each content or may be a different predetermined color. More specifically, the indication indicating the medication may be displayed in blue, the indication indicating that the medication period belongs to the time range, yellow, the dosage state is green, and the undosed state may be displayed as red. As such, the medicine box 100 in which each display is output by color has an effect that the doser can intuitively grasp its meaning. In particular, the effect may be greater for infants and the elderly. Thus, the instructor can perform the correct medication at the medication time according to the indication indicating the medication or the indication indicating the medication time belongs to the time range.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indication indicating the dosing / non-dose state, the doser can check his or her medication compliance and improve future medication compliance based on this.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rawings. In addition,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document can be applied to not only the present invention, but also all or some of the embodim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10: 건강관리서버 11: 병원측 단말기
12: 약국측 단말기 13: 건강관리센터측 단말기
20: 이동통신단말기 21: 가족측 단말기
22: 응급구조대측 단말기 23: 건강관리자측 단말기
100: 약상자 110: 하우징
120: 약보관함
120a: 제1약보관함 120b: 제2약보관함 120c: 제3약보관함
125: 뚜껑
125a: 제1뚜껑 125b: 제2뚜껑 125c: 제3뚜껑
130: 출력장치
130a: 제1출력장치 130b: 제2출력장치 130c: 제3출력장치
140: 센서 145: 응급상황감지부 150: 제어부
155: 저장부 160: 통신부 170: 입력부
175: 출력부 180: 구동부 190: 전원부
10: Health Care Server 11: Hospital Terminal
12: pharmacy terminal 13: health care center terminal
2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1: family terminal
22: emergency response terminal 23: health care terminal
100: medicine box 110: housing
120: Medicine Box
120a: first drug storage box 120b: second drug storage box 120c: third drug storage box
125: lid
125a: first lid 125b: second lid 125c: third lid
130: output device
130a: first output device 130b: second output device 130c: third output device
140: sensor 145: emergency situation detection unit 150: control unit
155: storage unit 160: communication unit 170: input unit
175: output unit 180: drive unit 190: power supply unit

Claims (28)

복수의 약보관함;
상기 복수의 약보관함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출력장치; 및
복약시기 및 상기 복약시기에 따른 복용약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복약시기가 도래한 때, 상기 복용약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약보관함 중 적어도 하나의 약보관함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약보관함에 대응되는 출력장치가 복약을 지시하는 표시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약상자.
A plurality of drug storage;
A plurality of output device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medicine containers; And
Acquiring medication information and taking medicin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medication time, when the medication time arrives, select at least one medicine storage box of the plurality of medicine storage box based on the medicine information, and corresponds to the selected medicine storage box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the output device to output an indication indicating medication.
Medicine box.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약보관함에는, 각각 서로 다른 종류의 약이 수용되고,
상기 복용약정보는, 상기 복약시기에 복용하도록 정해진 약의 종류에 관한 정보 및 상기 복수의 약보관함 각각에 수용된 약의 종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된 약보관함은, 상기 복약시기에 복용하도록 정해진 종류의 약이 수용된 약보관함인
약상자.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plurality of drug storage, different kinds of medicine are accommodated,
The medicine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on the type of medicines to be taken at the time of medication, and information on the types of medicines contain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drug storage boxes,
The selected medicine storage box is a medicine storage box containing a predetermined type of medicine to be taken at the time of medication
Medicine box.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약보관함에는, 각각 서로 다른 종류의 약이 수용되고,
상기 복용약정보는, 상기 복약시기에 복용하도록 정해진 약의 종류 및 상기 약의 종류에 따른 복용량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복약을 지시하는 표시는,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약보관함 각각에 수용된 약의 종류에 따른 복용량을 지시하는 표시인
약상자.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plurality of drug storage, different kinds of medicine are accommodated,
The medication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about the type of medicine to be taken at the time of taking the medication and the dosage according to the type of medicine,
The indication indicative of the medication is an indication indicative of the dosage according to the type of medicine contained in each of the selected at least one medicine storage box.
Medicine box.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약시기는, 복약스케줄에 따른 복약시점 또는 상기 복약시점을 포함하는 시간간격인
약상자.
The method of claim 1,
The medication time is a time interval including the medication time or the medication time according to the medication schedule
Medicine box.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약시기는, 응급상황이 발생한 시점 또는 상기 응급상황이 발생한 시점을 포함하는 시간간격인
약상자.
The method of claim 1,
The medication period is a time interval including the time when the emergency situation or the time when the emergency occurred
Medicine box.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응급상황이 발생한 것을 감지하는 응급상황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응급상황감지부가 감지한 상기 응급상황의 발생여부에 따라 상기 복약시기의 도래여부를 판단하는
약상자.
The method of claim 5,
Further comprising: an emergency situation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that the emergency occurred;
The control unit may determine whether the medication time has arrived according to whether the emergency situation detected by the emergency situation detection unit occurs.
Medicine box.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약보관함 각각의 개방여부를 감지하는 복수의 센서;를 더 포함하는
약상자.
The method of claim 1,
A plurality of sensors for detecting whether each of the plurality of drug storage box opening; further comprising a
Medicine box.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센서는, 광센서인
약상자.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plurality of sensors are optical sensors
Medicine box.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약보관함 각각을 개폐하는 복수의 뚜껑;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센서는, 상기 복수의 뚜껑에 따른 상기 복수의 약보관함 각각의 개폐여부를 검출함으로써 상기 약보관함의 개방여부를 감지하는 스위치인
약상자.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lids for opening and closing each of the plurality of medicine containers,
The plurality of sensors are switches that detect whether the medicine container is open by detecting whether the medicine containers are opened or closed according to the plurality of lids.
Medicine box.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센서가 감지한 개방여부에 근거하여, 상기 선택된 약보관함에 대응되는 출력장치가 복용여부를 지시하는 표시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약상자.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output device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medicine storage box to output an indication indicating whether to take the medicine based on whether the plurality of sensors detect the opening.
Medicine box.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약을 지시하는 표시는, 제1미리 정해진 색상이고,
상기 복용여부를 지시하는 표시 중 복용상태를 지시하는 표시는, 제2미리 정해진 색상이고,
상기 복용여부를 지시하는 표시 중 미복용상태를 지시하는 표시는, 제3미리 정해진 색상인
약상자.
The method of claim 10,
The indication indicating the medication is a first predetermined color,
Of the indications indicating whether or not to take the indication indicating the taking state, the second predetermined color,
Of the indications indicating whether or not to take the indication indicating the unused state, the third predetermined color
Medicine box.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센서가 감지한 결과에 따라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약보관함 중 개방된 약보관함에 대응하는 출력장치가 복용상태를 지시하는 표시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약상자.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an output device corresponding to an opened medicine storage box among the at least one selected medicine storage box to output a display indicating a taking state according to a result detected by the plurality of sensors.
Medicine box.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센서가 감지한 결과에 따라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약보관함 중 개방되지 아니한 약보관함에 대응하는 출력장치가 미복용상태를 지시하는 표시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약상자.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an output device corresponding to a medicine container that is not opened among the selected at least one medicine container according to a result detected by the plurality of sensors to output a display indicating an unused state.
Medicine box.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센서가 감지한 결과에 따라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약보관함 중 상기 복약을 지시하는 표시가 출력된 후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하는 동안 개방되지 아니한 약보관함에 대응하는 출력장치가 미복용상태를 지시하는 표시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약상자.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controller may further include: an output device corresponding to a medicine storage box that is not opened for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indication indicating the medication among the selected at least one medicine storage box is output according to a result detected by the plurality of sensors; To output an indication indicating unused status
Medicine box.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약보관함 각각의 약배출여부를 감지하는 복수의 센서;를 더 포함하고
약상자.
The method of claim 1,
And a plurality of sensors for detecting whether each of the plurality of drug storage containers is discharged.
Medicine box.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센서는, 광센서 및 무게센서 중 적어도 하나인
약상자.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plurality of sensors are at least one of an optical sensor and a weight sensor.
Medicine box.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센서가 감지한 약배출여부에 근거하여, 상기 선택된 약보관함에 대응하는 출력장치가 복용여부를 지시하는 표시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약상자.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output device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medicine storage box to output an indication indicating whether to take the medicine based on whether the medicine is detected by the plurality of sensors.
Medicine box.
각각 서로 다른 약이 수용되는 복수의 약보관함;
상기 복수의 약보관함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출력장치;
복약시기에 관한 제1정보 및 상기 복수의 약보관함 중 상기 복약시기에 복용하도록 정해진 약이 수용된 약보관함에 관한 제2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1정보에 따른 상기 복약시기가 도래한 때, 상기 제2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약보관함 중 적어도 하나의 약보관함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약보관함에 대하여 복약을 지시하는 표시를 출력하도록 상기 복수의 출력장치 중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약보관함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출력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약상자.
A plurality of drug storage containers each containing a different drug;
A plurality of output device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medicine containers;
Obtaining first information about a medication time and second information about a medicine container in which a medicine determined to be taken at the medication time is received among the plurality of medicine containers;
When the medication time according to the first information arrives, at least one medicine storage box of the plurality of medicine storage boxes is selected based on the second information,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at least one output device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at least one medicine storage box among the plurality of output devices to output an indication indicating medication on the at least one medicine storage box.
Medicine box.
복수의 약보관함을 포함하는 약상자를 이용한 복약관리방법에 있어서,
복약시기 정보 및 상기 복약시기에 따른 복용약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복약시기가 도래한 때, 상기 복용약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약보관함 중 적어도 하나의 약보관함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약보관함 각각에 대하여 복약을 지시하는 표시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약보관함 각각의 약배출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된 약배출여부에 근거하여,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약보관함 중 약이 배출된 약보관함에 대하여 복용상태를 지시하는 표시를 출력하고, 약이 배출되지 아니한 약보관함에 대하여 미복용상태를 지시하는 표시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약관리방법.
In the medication management method using a medicine box including a plurality of drug storage box,
Acquiring medication time information and taking medi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medication time;
Selecting at least one medicine storage box among the plurality of medicine storage boxes based on the medicine information when the medication time arrives;
Outputting an indication indicating medication for each of the selected at least one medicine container;
Detecting whether each of the selected at least one medicine container is discharged; And
On the basis of the detected drug discharge, output the indication indicating the taking state for the drug storage of the drug at least one of the selected drug storage container, and indicates the unused state for the drug storage container is not discharged Outputting a display to include;
Medication Management.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약보관함에는, 각각 서로 다른 종류의 약이 수용되고,
상기 복용약 정보는, 상기 복약시기에 복용하도록 정해진 약의 종류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약의 종류에 따른 복용량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복약을 지시하는 표시는,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약보관함에 각각에 수용된 약의 종류에 따른 복용량을 지시하는 표시인
복약관리방법.
20. The method of claim 19,
In the plurality of drug storage, different kinds of medicine are accommodated,
The medication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about the type of medicine determined to be taken at the time of medication and information about the dosage amount according to the type of medicine,
The indication indicating the medication is an indication indicating the dosage according to the type of medicine contained in each of the selected at least one medicine storage box.
Medication Management.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복약을 지시하는 표시는, 제1미리 정해진 색상이고,
상기 복용상태를 지시하는 표시는, 제2미리 정해진 색상이고,
상기 미복용상태를 지시하는 표시는, 제3미리 정해진 색상인
복약관리방법.
The method of claim 19.
The indication indicating the medication is a first predetermined color,
The indication indicating the dose state is a second predetermined color,
The indication indicating the unused state is a third predetermined color.
Medication Management.
약이 수용되는 약보관함;
복약시기를 저장하는 저장부;
제1시점 및 제2시점을 입력받는 입력부;
출력장치;
상기 약보관함의 약배출여부를 감지하는 센서; 및
상기 복약시기가 상기 제1시점 및 상기 제2시점에 따른 시간범위에 속하는 때 제1표시를 출력하고, 상기 복약시기가 도래한 때 제2표시를 출력하고, 상기 센서가 감지한 약배출여부에 근거하여 약이 배출된 때 제3표시를 출력하고, 상기 센서가 감지한 약배출여부에 근거하여 약이 배출되지 아니한 때 제4표시를 출력하도록 상기 출력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약상자.
Drug storage in which the drug is accepted;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medication time;
An input unit configured to receive a first time point and a second time point;
Output device;
A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the medicine container is discharged; And
Outputting a first indication when the medication time falls within the time range according to the first time point and the second time point; outputting a second indication when the medication time point arrives; A control unit for outputting a third display when the medicine is discharged based on the control unit, and controlling the output device to output a fourth display when the medicine is not discharged based on whether the medicine is discharged by the sensor;
Medicine box.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범위는, 외출시간이고,
상기 제1표시는, 상기 복약시기가 상기 외출시간에 속함을 지시하는 표시이고,
상기 제2표시는, 복약을 지시하는 표시이고,
상기 제3표시는, 복용상태를 지시하는 표시이고,
상기 제4표시는, 미복용상태를 지시하는 표시인
약상자.
The method of claim 22,
The time range is outing time,
The first display is a display indicating that the medication time belongs to the outing time,
The second display is a display indicating medication.
The third display is a display indicating a dose state,
The fourth display is a display indicating an unused state.
Medicine box.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표시는, 제1미리 정해진 색상이고,
상기 제2표시는, 제2미리 정해진 색상이고,
상기 제3표시는, 제3미리 정해진 색상이고,
상기 제4표시는, 제4미리 정해진 색상인
약상자.
The method of claim 22,
The first display is a first predetermined color,
The second display is a second predetermined color,
The third display is a third predetermined color,
The fourth display is a fourth predetermined color
Medicine box.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약보관함은, 상기 약상자로부터 장착 및 탈착되는
약상자.
The method of claim 22,
The medicine container is mounted and detached from the medicine box
Medicine box.
약상자를 이용한 복약관리방법에 있어서,
복약시기를 획득하는 단계;
제1시점 및 제2시점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복약시기가 상기 제1시점 및 상기 제2시점에 따른 시간범위에 속하는 때, 상기 복약시기가 상기 시간범위에 속함을 지시하는 표시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복약시기가 도래한 때, 복약을 지시하는 표시를 출력하는 단계;
약배출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약배출여부에 근거하여 약이 배출된 때, 복용상태를 지시하는 표시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된 약배출여부에 근거하여 약이 배출되지 아니한 때, 미복용상태를 지시하는 표시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약관리방법.
In the medication management method using a medicine box,
Obtaining a medication time;
Receiving a first time point and a second time point;
Outputting an indication indicating that the medication time is in the time range when the medication time is in the time range according to the first time point and the second time point;
Outputting an indication indicating medication when the medication time has arrived;
Detecting whether the medicine is discharged;
Outputting an indication indicative of the dose when the medicine is discharged based on the detected drug release; And
Outputting an indication indicative of the unused state when the medicine is not discharged based on the detected drug discharge;
Medication Management.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범위는, 외출시간인
복약관리방법.
The method of claim 26,
The time range is outing time
Medication Management.
상기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약상자는, 약이 수용되는 약보관함을 포함하고,
상기 복약시기가 상기 시간범위에 속함을 지시하는 표시가 출력된 때, 상기 약보관함이 상기 약상자로부터 탈착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복약관리방법.
The method of claim 26,
The medicine box includes a medicine storage container for receiving medicine,
And removing the medicine container from the medicine box when an indication indicating that the medication time is in the time range is output.
Medication Management.
KR20100067939A 2010-07-14 2010-07-14 A pill box and a method for managing an administration of a medication KR101164792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67939A KR101164792B1 (en) 2010-07-14 2010-07-14 A pill box and a method for managing an administration of a medication
PCT/KR2010/005360 WO2012008647A1 (en) 2010-07-14 2010-08-13 Medicine box and a medicine-taking organisation method using a medicine box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67939A KR101164792B1 (en) 2010-07-14 2010-07-14 A pill box and a method for managing an administration of a medic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7267A true KR20120007267A (en) 2012-01-20
KR101164792B1 KR101164792B1 (en) 2012-07-11

Family

ID=45469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067939A KR101164792B1 (en) 2010-07-14 2010-07-14 A pill box and a method for managing an administration of a medication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64792B1 (en)
WO (1) WO2012008647A1 (en)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111800A1 (en) 2012-07-04 2014-01-09 Hyundai Motor Company Automated manual transmission of a vehicle
KR20170139928A (en) * 2016-06-10 2017-12-20 재단법인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Multifunctional blood pressure management device and blood pressure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KR101909869B1 (en) * 2018-04-27 2018-10-18 최정윤 Injection liquid composition for localized lipolysis and smart mixing system for it
KR102083347B1 (en) * 2018-11-14 2020-03-02 서수찬 Medication time automatic notification device
KR20200002690U (en) * 2019-06-03 2020-12-11 박재희 electric calendar with alarm function of take medicine time
KR20210126832A (en) * 2020-04-10 2021-10-21 주식회사 이엠비 A medicine management system
KR102384614B1 (en) * 2020-11-30 2022-04-08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Smart phill box control system using broker server in restricted communication environments
KR102393069B1 (en) * 2021-11-11 2022-05-03 오성시스템 주식회사 Medicine storage box with locking means
KR20220064453A (en) * 2020-11-11 2022-05-19 주식회사 휴로 Medicine storage case with blood sugar and blood pressure check function and its control method
KR20230140242A (en) * 2022-03-29 2023-10-06 주식회사 한아아이티 Personal health management system related to cardiovascular diseas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3591B1 (en) * 2013-10-14 2021-02-09 (주)제이브이엠 Distribution package apparatus for medicines
JP6051244B2 (en) * 2015-02-10 2016-12-27 株式会社オー・イー・エム技研 Self-supporting automatic medication machine
KR101784974B1 (en) 2015-09-04 2017-10-12 (주)매직에코 Smart clip and system for managing medicine dose using the same
CN105711981A (en) * 2016-03-15 2016-06-29 王丽 Intelligent medicine box with remote control function
IT201600079665A1 (en) * 2016-07-28 2018-01-28 Corrado Saugo SYSTEM FOR ASSISTED DISPENSE OF DRUGS AND MEDICINALS IN GENERAL
KR101952495B1 (en) * 2017-02-17 2019-02-26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Smart Medicine Cabinet
CN108670824A (en) * 2018-06-11 2018-10-19 安徽商贸职业技术学院 A kind of the elderly's medicine box
KR101953750B1 (en) 2018-08-14 2019-03-04 이선준 Drug Dispenser for Medication Management
CN109018725A (en) * 2018-09-25 2018-12-18 南京英维尔科技服务有限公司 A kind of intelligent medicine box
KR102009039B1 (en) * 2018-10-12 2019-08-09 박기준 Medication aid dispenser
FR3088192B1 (en) * 2018-11-12 2023-06-09 Bernard Voute SPECIALTY INTAKE MANAGEMENT DEVICE
KR102263509B1 (en) 2018-11-28 2021-06-10 안소현 The system for providing medication information and the method for providing medication information using the medication storage department
CN110787056A (en) * 2019-01-07 2020-02-14 吉林农业大学 Multifunctional intelligent medicine box based on NB-IoT information transmission
CN110368308A (en) * 2019-06-26 2019-10-25 贵阳朗玛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A kind of method and platform of intelligence medication prompting
CN111202679A (en) * 2020-03-13 2020-05-29 苏州橡实信息技术有限公司 Portable intelligent LED lamp indication medicine box system and use method thereof
CN111756854A (en) * 2020-06-30 2020-10-09 张美月 Intelligent medicine taking monitoring method and system
KR20220050394A (en) 2020-10-16 2022-04-25 정성욱 Automatic Medication Supply Device and System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25284A (en) * 2002-02-06 2003-08-12 Self Security:Kk Supporting device of control of taking medicine
JP2007325125A (en) * 2006-06-02 2007-12-13 Adaputogen Seiyaku Kk Notification system and medicine box
KR200426335Y1 (en) * 2006-06-30 2006-09-19 정원이 Digital Dosage for calendar
KR200440603Y1 (en) * 2006-12-13 2008-06-23 황도균 Storage case of medicine
JP2008156982A (en) * 2006-12-26 2008-07-10 Self Security:Kk Utilization confirmation support apparatus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111800A1 (en) 2012-07-04 2014-01-09 Hyundai Motor Company Automated manual transmission of a vehicle
KR20170139928A (en) * 2016-06-10 2017-12-20 재단법인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Multifunctional blood pressure management device and blood pressure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KR101909869B1 (en) * 2018-04-27 2018-10-18 최정윤 Injection liquid composition for localized lipolysis and smart mixing system for it
KR102083347B1 (en) * 2018-11-14 2020-03-02 서수찬 Medication time automatic notification device
KR20200002690U (en) * 2019-06-03 2020-12-11 박재희 electric calendar with alarm function of take medicine time
KR20210126832A (en) * 2020-04-10 2021-10-21 주식회사 이엠비 A medicine management system
KR20220064453A (en) * 2020-11-11 2022-05-19 주식회사 휴로 Medicine storage case with blood sugar and blood pressure check function and its control method
KR102384614B1 (en) * 2020-11-30 2022-04-08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Smart phill box control system using broker server in restricted communication environments
KR102393069B1 (en) * 2021-11-11 2022-05-03 오성시스템 주식회사 Medicine storage box with locking means
KR20230140242A (en) * 2022-03-29 2023-10-06 주식회사 한아아이티 Personal health management system related to cardiovascular disea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4792B1 (en) 2012-07-11
WO2012008647A1 (en) 2012-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4792B1 (en) A pill box and a method for managing an administration of a medication
KR101233799B1 (en) A pill box and a method for managing an administration of a medication
Minaam et al. Smart drugs: Improving healthcare using smart pill box for medicine reminder and monitoring system
KR101164793B1 (en) A pill box
JP3214893U (en) Portable drug dispenser
US20160354283A1 (en) Sensor-based medication systems
KR102569136B1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adherence monitoring and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use of consumable dispensers
CA2921239C (en) Electronic pill box and medication reminder and compliance system incorporating same
US10494165B2 (en) Medication event monitoring system
EP2289480A2 (en) Locking element for dispenser
KR101953750B1 (en) Drug Dispenser for Medication Management
CA2921228A1 (en) Method of using a medication reminder and compliance system including an electronic pill box
US9785750B2 (en) Medicine organizer
KR101732631B1 (en) System for Taking Medicine Care Service based on mobile device
WO2012013723A1 (en) Pharmaceutical product dispenser
KR101164013B1 (en) Medicine storage box
TWI536984B (en) Intelligent kit for monitoring the status of medication and its operation
US20190133886A1 (en) System and method for dispensing medication
WO2016138047A1 (en) Pill management and health monitoring system
EP2502852A1 (en) Dispensing device
KR20130000090A (en) Apparatus for managing medication
Sather Evolution of smart pillbox: History and reasons for a need to design a smart pillbox
WO2023119141A1 (en) An intelligent digital medicine storage and reminder device
WO2023239795A1 (en) Medication environmental interactive device (eid)
WO2020172484A1 (en) Point of care pharmacy app controlled blister pack drug dispens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