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7130U - 계기용 변류기 - Google Patents

계기용 변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7130U
KR20120007130U KR2020110002936U KR20110002936U KR20120007130U KR 20120007130 U KR20120007130 U KR 20120007130U KR 2020110002936 U KR2020110002936 U KR 2020110002936U KR 20110002936 U KR20110002936 U KR 20110002936U KR 20120007130 U KR20120007130 U KR 2012000713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urrent transformer
core
instrumen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29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현
Original Assignee
김용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현 filed Critical 김용현
Priority to KR20201100029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7130U/ko
Publication of KR2012000713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713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20Instruments transformers
    • H01F38/22Instruments transformers for single phase ac
    • H01F38/28Current transform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5/00Details of measuring arrangements of the types provided for in groups G01R17/00 - G01R29/00, G01R33/00 - G01R33/26 or G01R35/00
    • G01R15/14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 G01R15/18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using inductive devices, e.g. transformers
    • G01R15/183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using inductive devices, e.g. transformers using transformers with a magnetic co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2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6Mounting, supporting or suspend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not being of the signal 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0Fastening or clamping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together; 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 H01F27/324Insulation between coil and core, between different winding sections, around the coil; Other insulation structures
    • H01F27/325Coil bobb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20Instruments transformers
    • H01F38/22Instruments transformers for single phase ac
    • H01F38/28Current transformers
    • H01F38/30Constru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nsformers For Measur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계기용 변류기에 관한 것으로, 1차측코일과 2차측코일을 분리형 보빈에 감아서 함체 내에 수납시킴으로써, 보다 콤팩트해지고 부피가 적어지며 설치면적을 적게 차지하고 제조비용이 절감되며 설치가 용이하고 간편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계기용 변류기{Current Transformer}
본 고안은 계기용 변류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분리형 보빈(Bobbin)에 1차측코일과 2차측코일을 감아서 함체 내에 수납하여 일체화한 계기용 변류기에 관한 것이다.
계기용 변류기는 어떤 전류값을 이에 비례하는 전류값으로 변성하는 즉, 1차측의 대전류를 직접 계측할 수 없으므로 전류를 일정비율로 낮춰 계기의 계측이 가능하도록 하는 변류기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일반 전등 및 동력설비의 수배전반에 설치되는 75A 이하의 저전류 계기용 변류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 코어(Ring Core)(2)에 2차측코일(3)을 감아 함체(1) 내에 수납시킨 상태로 시판된다. 이렇게 시판되는 계기용 변류기의 외부에 중앙의 관통공(4)을 관통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전류용량에 해당하는 1차측케이블을 감아서 사용한다.
예를 들면, 50/5A의 경우에는 1차측케이블을 2회 감아서 사용하고, 40/5A의 경우에는 1차측케이블을 3회 감아서 사용하며, 30/5A의 경우에는 1차측케이블을 4회 감아서 사용하고, 20/5A의 경우에는 1차측케이블을 5회 감아서 사용며, 10/5A의 경우에는 1차측케이블을 10회 감아서 사용한다. 미설명 부호 5는 2차측단자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계기용 변류기는 2차측코일이 수납된 함체를 좁은 공간에 고정시킨 다음에 1차측케이블을 감아야 하기 때문에 권선작업이 힘들고 불편하며 케이블이 많이 소요되고 1차측케이블이 외부에 노출되어 안전과 미관상 좋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보다 콤팩트(Compact)하고 설치가 간편 용이하고 제조비용이 절감되는 계기용 변류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1차측코일과 2차측코일을 분리형 보빈에 감아서 함체 내에 수납시킨다.
본 고안의 계기용 변류기는 1차측코일과 2차측코일을 분리형 보빈에 감아서 함체 내에 수납시킴으로써 계기용 변류기가 보다 콤팩트해지고 부피가 적어지고 설치면적을 적게 차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고안은 콤팩트한 구조로 인하여 제조비용이 절감되고, 설치시 권선작업이 필요하지 아니하므로 설치가 용이하고 간편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계기용 변류기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고안 실시예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분리형 보빈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E/I 철심코어 및 그 조립방법의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단자보호판의 작용 설명도이다.
이하 본 고안을 도면을 토대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1차측코일과 2차측코일을 분리형 보빈에 감아서 함체 내에 수납시킨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분리형 보빈(15)의 제1요부(151)에 1차측코일(17)을 감고 제2요부(152)에 2차측코일(18)을 감은 다음에, 분리형 보빈(15)을 E/I코어(E/I Core)(14)에 조합시킨다.
분리형 보빈(15)을 E/I코어(14)에 조합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1매의 E 코어(E Core)(141)의 중심돌기가 분리형 보빈(15)의 관통공(153)을 관통하도록 한 다음에 E 코어(141)의 3 돌기의 끝에 I 코어(I Core)(142)를 연접시킨다.
이어서 반대편에서 다른 1매의 E 코어(141)를 그 중심돌기가 분리형 보빈(15)의 관통공(153)을 관통하도록 한 다음에 E 코어(141)의 3 돌기의 끝에 I 코어(142)를 연접시킨다.
이와 같은 작업을 필요한 만큼 반복하여 분리형 보빈(15)과 E/I코어(14)를 조합시킨 다음에, 분리형 보빈(15)이 조합된 E/I코어(14)의 한편에 단자판(12)을 부착한다.
다음에 1차측코일(17)의 양단을 단자판(12)의 1차측단자(171)에 각각 연결시키고, 2차측코일(18)의 양단을 단자판(12)의 2차측단자(171)에 각각 연결시킨다.
이와 같이, E/I코어(14), 분리형 보빈(15), 1차측코일(17), 2차측코일(18) 및 단자판(12)의 조합체를 E/I코어(14), 분리형 보빈(15) 1차측코일(17) 및 2차측코일(18)이 함체(11)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함체(11)와 조합시킨다.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단자판(12)에 단자를 보호하는 단자보호판(13)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단자보호판(13)에는 장공(131)을 천공하여 단자보호판(13)을 단자판(12)에 부착시키는 볼트(132)를 풀지 않고도 단자보호판(13)을 좌 또는 우로 밀고 단자에 결선작업 등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함체(11) 내부의 잔여 공간에 절연재를 충전시켜 함체(11)와 그 내부의 조합체를 일체로 고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계기용 변류기는 1차측코일과 2차측코일을 분리형 보빈에 감아서 함체 내에 수납시킴으로써 계기용 변류기가 보다 콤팩트해지고 부피가 적어지고 설치면적을 적게 차지한다.
또, 본 고안은 콤팩트한 구조로 인하여 제조비용이 절감되고, 설치시 권선작업이 필요하지 아니하므로 설치가 용이하고 간편하게 된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토대로 본 고안을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위의 기재 내용에 의하여 본 고안의 범위가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한,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실용실안등록청구범위의 기재 중 괄호를 사용하여 기재한 도면부호는, 본 고안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참고로 부기한 것으로, 본 고안은 도면상의 형태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고안의 계기용 변류기는 일반 전등 및 동력설비의 수배전반 등에 널리 사용될 수 있다.
1: 함체 2: 링 코어(Ring Core)
3: 2차측코일 33: 관통공
4: 관통공 5: 2차측단자
11: 함체 12: 단자판
13: 단자보호판 131: 장공
132: 볼트 14: E/I코어(E/I Core)
141: E 코어(E Core) 142: I 코어(I Core)
15: 분리형 보빈(Bobbin) 151: 제1요부(凹部)
152: 제2요부 153: 관통공
17: 1차측코일 171: 1차측단자
18: 2차측코일 181: 2차측단자

Claims (4)

  1. 제1요부(151)에 1차측코일(17)이 감겨지고 제2요부(152)에 2차측코일(18)이 감겨진 분리형 보빈(15)이 E/I코어(14)와 조합되어 함체(11)의 내부에 삽입된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기용 변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E/I코어(14)의 한편에 설치된 단자판(12)에 단자를 보호하는 단자보호판(13)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기용 변류기
  3. 제2항에 있어서,
    단자보호판(13)에 장공(131)이 천공되어 있어,
    단자보호판(13)을 단자판(12)에 부착시키는 볼트(132)를 풀지 않고도 단자보호판(13)을 좌 또는 우로 밀고 단자에 결선작업을 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기용 변류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11) 내부의 잔여 공간에 절연재가 충전되어 고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기용 변류기
KR2020110002936U 2011-04-07 2011-04-07 계기용 변류기 KR2012000713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2936U KR20120007130U (ko) 2011-04-07 2011-04-07 계기용 변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2936U KR20120007130U (ko) 2011-04-07 2011-04-07 계기용 변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7130U true KR20120007130U (ko) 2012-10-17

Family

ID=47504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2936U KR20120007130U (ko) 2011-04-07 2011-04-07 계기용 변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7130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390Y1 (ko) * 2012-11-26 2013-12-11 김용현 계기용 변류기
KR200476192Y1 (ko) * 2013-12-31 2015-02-05 김용현 계기용 변류기
EP4006930A4 (en) * 2019-07-31 2023-11-15 SHT Corporation Limited CURRENT TRANSFORMER MODUL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390Y1 (ko) * 2012-11-26 2013-12-11 김용현 계기용 변류기
KR200476192Y1 (ko) * 2013-12-31 2015-02-05 김용현 계기용 변류기
EP4006930A4 (en) * 2019-07-31 2023-11-15 SHT Corporation Limited CURRENT TRANSFORMER MODU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5999Y1 (ko) 변류기 일체형 영상변류기
KR20120007130U (ko) 계기용 변류기
CN205670479U (zh) 一种高压使用插拔式连接的组合互感器
CN201465789U (zh) 开启式电流互感器
KR200371971Y1 (ko) 분할형 변류기
CN210272055U (zh) 组合式取电测量互感器
CN209912708U (zh) 一种新型电流互感器
KR101242163B1 (ko) 분할형 전류 트랜스포머
KR102368100B1 (ko) 변압기용 단자 조립 어셈블리
KR200389367Y1 (ko) 배선용 차단기 조합용 3상 계기용 변류기
JP2000088889A (ja) カレントトランスとそれを用いた装置
CN210692317U (zh) 一种插座式测量保护电流互感器
CN202736718U (zh) 套管式电流互感器
KR101678998B1 (ko) 계기용 변류기
JP2011040211A (ja) 配線器具
KR200439071Y1 (ko) 영상변류기의 고정구조체
CN217485277U (zh) 一种绕组精度高的外绕式电流互感器
CN209448444U (zh) 一种用于自供电微机保护装置的电源适配器及保护装置
CN203444968U (zh) 电流互感器组件
CN219575952U (zh) 一种便携式接地装置
CN210575375U (zh) 一种防干扰的电感器
CN216250248U (zh) 一种铁基非晶纳米晶抗直流分量电流互感器
CN219086792U (zh) 一种智能电动机保护器
CN217008910U (zh) 一种10kv电磁式电流互感器的运行指示装置
CN211150294U (zh) 一种电能表互感器线圈夹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