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9367Y1 - 배선용 차단기 조합용 3상 계기용 변류기 - Google Patents

배선용 차단기 조합용 3상 계기용 변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9367Y1
KR200389367Y1 KR20-2005-0009372U KR20050009372U KR200389367Y1 KR 200389367 Y1 KR200389367 Y1 KR 200389367Y1 KR 20050009372 U KR20050009372 U KR 20050009372U KR 200389367 Y1 KR200389367 Y1 KR 2003893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coils
cores
current transform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93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관
Original Assignee
(주)대붕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붕이앤씨 filed Critical (주)대붕이앤씨
Priority to KR20-2005-00093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936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93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936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2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0Fastening or clamping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together; 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 H01F27/306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20Instruments transformers
    • H01F38/22Instruments transformers for single phase ac
    • H01F38/28Current transformers
    • H01F38/30Constru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20Instruments transformers
    • H01F38/38Instruments transformers for polyphase a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3/00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formers For Measur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3상 배선용 차단기로부터 인입되는 케이블을 -자 형상으로 구부리지 않고서 매우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한 배선용 차단기 조합용 3상 계기용 변류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은 제1코어 내지 제3코어들(21,22,23)이 각각 삽입되며 전선케이블들(2a,2b,2c)이 각각 관통되도록 한 제1허브 내지 제3허브들(11,12,13)이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내지 제3코어들(21,22,23)에 와인딩된 코일들(31,32,33)의 전류를 부하에 제공하기 위한 금속단자(14)가 일측에 형성되며, 배전함에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1개 이상의 고정단자대(15)가 구비된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의 제1 내지 제3허브들(11,12,13)에 각각 안착되어 자속을 발생시키는 제 1 코어 내지 제3코어들(21,22,23)과; 상기 케이스(10)의 금속단자(14)로 인출되며 상호 연결되도록 상기 제 1 내지 제 3 코어들(21,22,23)에 소정의 권선비로써 권선된 제1내지 제3코일들(31,32,33)과; 상기 제 1 내지 제3 코일들(31,32,33)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내지 제 3 코일들(31,32,33)을 절연시킨뒤 커버(40)로서 케이스(10)를 닫음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선용 차단기 조합용 3상 계기용 변류기{3 phase current transformer combibed with circuit breaker}
본 고안은 배선용 차단기와 조합되어 사용 가능한 3상 계기용 변류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3상 배선용 차단기로부터 인입되는 케이블을 -자 형상으로 구부리지 않고서 매우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한 배선용 차단기 조합용 3상 계기용 변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계기용 변류기는, 배전함내에 장착된 상태에서 전신주로부터 공급되는 고압상태의 전류를 사용개소에 적합한 전류값으로 변환시키는 전장품으로 서, 이러한 변류기는 도1a 및 도1b에서와 같이 사각 형상의 변류 코일(1a)이 실링부재(도시하지 않았음)에 의해 몸체(1)내에 밀폐된 상태에서 각각의 단자부가 형성되어 각종 부하로 정격전류를 공급하도록 되어 있는바, 도1a에 도시된 종래의 계기용변류기(1) 3개를 사용하여 3상 계기용 변류기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전선케이블들(2a,2b,2c)을 각각 계기용 변류기 몸체(1)에 형성된 개구(1b)에 관통시키게 되는바, 이 경우 배선용 차단기로부터 인출되는 각각의 케이블들(2a,2b,2c) 간의 간격은 동일하고, 배전함 바닥면으로부터의 높이 또한 동일하기 때문에 케이블들(2a,2c)은 양측면에 있는 계기용 변류기 몸체(1)의 개구(1b)내에 수평적으로 삽입되지만, 중앙에 위치된 계기용 변류기(1)는 양측면에 있는 계기용 변류기(1) 보다 수평적으로 높이 위치되어 있으므로 중앙에 있는 케이블(2b)은 그에 대응한 중앙에 위치된 몸체(1)의 개구(1b)에 삽입하기 위해서는 케이블(2b)를 -자 형태로 구부려야만 하지만 케이블 자체가 구리선 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잘 만곡되지 않아 작업상의 많은 애로 사항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종래에서와 같이 3상 전선케이블중 어느 하나를 구부릴 필요없이 수평적으로 관통되도록 계기용 변류기의 형상을 변경하여 작업공수를 줄일 수 있도록 한 배선용 차단기 조합용 3상 계기용 변류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관통되는 전선케이블의 전류량을 변류시켜 출력하는 3상 계기용 변류기에 있어서: 제1코어 내지 제3코어들이 각각 삽입되며 전선케이블들이 각각 관통되도록 한 제1허브 내지 제3허브들이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내지 제3코어들에 권선된 코일들의 전류를 부하에 제공하기 위한 금속단자가 일측에 형성되며, 배전함에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1개 이상의 고정단자대가 구비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제1 내지 제3허브들에 각각 안착되어 자속을 발생시키는 제 1 코어 내지 제3코어들과; 상기 케이스의 금속단자로 인출되며 상호 연결되도록 상기 제 1 내지 제 3 코어들에 소정의 권선비로써 권선된 제1내지 제3코일들과; 상기 제 1 내지 제3 코일들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내지 제 3 코일들을 절연시킨뒤 커버로서 케이스를 닫음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부하에 일정한 전류를 공급하는 금속단자는 상기 케이스의 상측 외부 중앙 또는 하측 외부 중앙에 형성될 수도 있으나, 케이스의 양측면 중 어느 한 곳에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에는 본 고안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 조합용 3상 계기용 변류기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바, 이는 도3에서와 같이 이후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전선케이블(2a,2b,2c)이 제1허브 내지 제3허브들(11,12,13)의 내측(개구)(11a,12a,13a)으로 관통되어 전선케이블(2a,2b,2c)의 전류량을 변류시켜 출력하도록 한 것이다.
도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은 케이스(10)를 포함하는바, 이 케이스(10)의 내측에는 제1코어 내지 제3코어들(21,22,23)이 각각 삽입되며 전선케이블들(2a,2b,2c)이 각각 관통되도록 한 제1허브 내지 제3허브들(11,12,1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10)에는 제1 내지 제3코어들(21,22,23)에 권선된 코일들(31,32,33)의 전류를 부하에 제공하기 위한 4개의 금속단자들(14)이 일측에 형성되며,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전함(도시하지 않았음)에는 2개의 고정단자대(15)에 와셔(16)와 나사(17)로서 고정되도록 하였다.
다시 도4를 참조하면, 케이스(10)의 제1 내지 제3허브들(11,12,13)에는 제 1 코어 내지 제3코어들(21,22,23)이 각각 안착되어 자속을 발생시키도록 하였으며, 이들 제 1 내지 제 3 코어들(21,22,23)에는 제1내지 제3코일들(31,32,33)이 소정의 권선비로써 권선되고, 코일의 끝단부는 케이스(10)의 금속단자(14)로 인출되도록 하였다. 또한, 도5에서와 같이 제 1 내지 제3 코일들(31,32,33)의 외주면에는 이들을 상호 절연시키기 위한 소정의 절연부재(50)가 충전된뒤 커버(40)를 케이스(10)에 닫음으로써 조립이 완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도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배전함의 바닥면으로부터 허브의 개구(11a,12a,13a)까지의 높이(H)가 일정하므로 도1a및 도1b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중앙의 전선 케이블을 구부려야하는 불편함을 완전히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케이스(10)의 개구(11a,12a,13a)를 관통하는 전선케이블(2a,2b,2c)에 소정의 전류가 흐르므로써 제 1 내지 제3 코어(21,22,23)는 자속을 발생시키고, 코일(31,32,33)은 권선비에 따라서 여자전류가 발생된다. 그러므로 자속과 여자전류가 합해진 전류(예컨대 5A or 1A)가 금속단자(14)를 통해 출력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배전함의 바닫면으로부터 허브의 개구까지의 높이가 일정하므로 종래에서와 같은 중앙의 전선 케이블을 -자 형상으로 구부려야하는 불편함을 완전히 해소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비록 본 고안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을지라도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하기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내에서 많은 수정및 변형이 있을 수도 있다.
예컨대, 본 고안의 케이스 형상은 도시된 형상 이외에 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금속단자의 위치는 도시된 것이외에 별도의 커버를 씌워 금속단자가 보이지 않도록 할 수도 있고, 케이스 고정용 단자대의 갯수나 형상도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1a와 도1b는 종래의 3상 전원에 사용 가능한 계기용 변류기의 사용 상태 사시도및 설치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 조합용 3상 계기용 변류기의 사시도;
도3은 도2에 도시된 본 고안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4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도5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2a,2b,2c: 전선케이블 10: 케이스
11,12,13: 허브 11a,12a,13a: 개구
14: 금속단자 15: 고정용단자대
21,22,23: 코어 31,32,33: 코일
40: 커버 50: 절연부재

Claims (2)

  1. 관통되는 전선케이블(2a,2b,2c)의 전류량을 변류시켜 출력하는 3상 계기용 변류기에 있어서:
    제1코어 내지 제3코어들(21,22,23)이 각각 삽입되며 전선케이블들(2a,2b,2c)이 각각 관통되도록 한 제1허브 내지 제3허브들(11,12,13)이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내지 제3코어들(21,22,23)에 와인딩된 코일들(31,32,33)의 전류를 부하에 제공하기 위한 금속단자(14)가 일측에 형성되며, 배전함에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1개 이상의 고정단자대(15)가 구비된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의 제1 내지 제3허브들(11,12,13)에 각각 안착되어 자속을 발생시키는 제 1 코어 내지 제3코어들(21,22,23)과;
    상기 케이스(10)의 금속단자(14)로 인출되며 상호 연결되도록 상기 제 1 내지 제 3 코어들(21,22,23)에 소정의 권선비로써 권선된 제1내지 제3코일들(31,32,33)과;
    상기 제 1 내지 제3 코일들(31,32,33)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내지 제 3 코일들(31,32,33)을 절연시킨뒤 커버(40)로서 케이스(10)를 닫음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 조합용 3상 계기용 변류기.
  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금속단자(14)는 상기 케이스(10)의 상측 외부 중앙 또는 하측 외부 중앙중 어느 한 곳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 조합용 3상 계기용 변류기.
KR20-2005-0009372U 2005-04-06 2005-04-06 배선용 차단기 조합용 3상 계기용 변류기 KR2003893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9372U KR200389367Y1 (ko) 2005-04-06 2005-04-06 배선용 차단기 조합용 3상 계기용 변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9372U KR200389367Y1 (ko) 2005-04-06 2005-04-06 배선용 차단기 조합용 3상 계기용 변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9367Y1 true KR200389367Y1 (ko) 2005-07-14

Family

ID=43690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9372U KR200389367Y1 (ko) 2005-04-06 2005-04-06 배선용 차단기 조합용 3상 계기용 변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936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192Y1 (ko) 2013-12-31 2015-02-05 김용현 계기용 변류기
KR101678998B1 (ko) 2015-07-29 2016-11-25 새론테크 주식회사 계기용 변류기
KR20220155831A (ko) * 2021-05-17 2022-11-24 주식회사 운영 조합형 철심이 적용된 3상 변류기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192Y1 (ko) 2013-12-31 2015-02-05 김용현 계기용 변류기
KR101678998B1 (ko) 2015-07-29 2016-11-25 새론테크 주식회사 계기용 변류기
KR20220155831A (ko) * 2021-05-17 2022-11-24 주식회사 운영 조합형 철심이 적용된 3상 변류기 및 그 제조방법
KR102494063B1 (ko) 2021-05-17 2023-02-06 주식회사 운영 조합형 철심이 적용된 3상 변류기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20983B2 (ja) 変流器支持装置及びその変流器支持装置を用いたスイッチギヤ
JP6378385B1 (ja) 端子台を備えたacリアクトル
JP3203802U (ja) 共振型高電流密度変圧器
EP3428938A1 (en) Noise filter and noise reduction unit
CA2591103C (en) Aluminum wound transformer
KR200389367Y1 (ko) 배선용 차단기 조합용 3상 계기용 변류기
KR200371971Y1 (ko) 분할형 변류기
KR200402632Y1 (ko) 변류기 케이스
CN101697314A (zh) 一种电流互感器
KR102368100B1 (ko) 변압기용 단자 조립 어셈블리
CN202796410U (zh) 户外型电流互感器
KR101338905B1 (ko) 고주파 변압기
KR102003943B1 (ko) 회로차단기의 파워 변류기 어셈블리
CN101202157A (zh) 柔性附加式变压器
CN215265811U (zh) 一种具有定位壳体的互感器
CN216015039U (zh) 一种悬空穿设互感器组件
CN205542321U (zh) 一种变压器的接线结构改良及采用该结构改良的潜水泵
CN202495332U (zh) 一种零序电流互感器
KR200476192Y1 (ko) 계기용 변류기
CN211699969U (zh) 一种新型的多槽组合式高压变压器结构
CN101714448A (zh) 户外型电流互感器
JP3228018B2 (ja) 漏電遮断器
CN216250271U (zh) 一种35kV全封闭型电流互感器
CN211455520U (zh) 一体浇注式电流互感器
CN212516774U (zh) 一种快速装配式变压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