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6645A - 옥내 배선용 접속함의 전선관용 고정패킹 - Google Patents

옥내 배선용 접속함의 전선관용 고정패킹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6645A
KR20120006645A KR1020100067221A KR20100067221A KR20120006645A KR 20120006645 A KR20120006645 A KR 20120006645A KR 1020100067221 A KR1020100067221 A KR 1020100067221A KR 20100067221 A KR20100067221 A KR 20100067221A KR 20120006645 A KR20120006645 A KR 201200066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it
packing
junction box
pipe
indoor wi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72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봉기
강봉순
Original Assignee
남양 비엠씨(주)
강봉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양 비엠씨(주), 강봉순 filed Critical 남양 비엠씨(주)
Priority to KR10201000672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6645A/ko
Publication of KR20120006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66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6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5/00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 F16L25/0036Joints for corrugated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8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 F16L41/088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fixed using an elastic grommet between the extremity of the tube and the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06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with sleeve or socket formed by or in the pipe end
    • F16L47/065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with sleeve or socket formed by or in the pipe end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outer surface of pipe and inner surface of sleeve or socket, the sealing rings being placed previously on the male par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H02G3/0616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 H02G3/0691Fixing tubing to casing by auxiliary means co-operating with indentations of the tubing, e.g. with tubing-convolu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옥내 배선 접속함의 상/하부면에 형성된 이음관과 연결되는 전선관의 단부에 연결캡과 고정패킹을 순차적으로 삽착시킨 후 상기 연결캡과 이음관의 외주연에 형성된 나사산을 나사 결합하여 상기 전선관을 일체로 고정시키되, 상기 고정패킹은 상기 전선관이 삽입될 수 있는 직경으로 중공이 형성된 몸체의 하부에는 상기 이음관의 입구와 밀착되게 단턱부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내주연에는 상기 전선관의 표면에 형성된 주름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반원 형태의 돌출부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돌출부가 전선관의 주름홈에 삽착되어 밀폐성을 크게 향상시켜 줌으로 접속함 내부로 물이나 이물질 등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하여 이를 제거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및 인건비를 최소화함은 물론 작업의 효율성 및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옥내 배선 접속함의 전선관용 고정패킹을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옥내 배선용 접속함의 전선관용 고정패킹{FIXING PACKING FOR ELECTRIC WIRE PIPE OF CONTACT CASE FOR WIRING INDOORS}
본 발명은 옥내 배선 접속함에 전선을 용이하게 삽입하기 위해 설치되는 전선관을 상기 접속함에 형성된 이음관과 연결, 고정하는데 사용되는 옥내 배선용 접속함의 전선관용 고정패킹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전선관이 삽입될 수 있는 직경으로 중공이 형성된 몸체의 하부에는 상기 이음관의 입구와 밀착되게 단턱부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내주연에는 상기 전선관의 표면에 형성된 주름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반원 형태의 돌출부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이음관과 전선관을 연결캡에 의해 연결할 경우 상기 전선관의 외주연을 고정패킹이 완벽하게 감싸 접속함 내부로 물이나 이물질 등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하여 이를 제거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및 인건비를 최소화함은 물론 작업의 효율성 및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옥내 배선용 접속함의 전선관용 고정패킹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옥내 배선 접속함은 건물의 건축시 벽체 철근의 설치작업 후 배선작업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벽체 철근에 시공되는 것으로, 외부로부터 건물의 내부로 인입되는 각종 전기선이나 전화선 및 TV케이블 등을 각각의 층에 배선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옥내 배선 접속함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태로 합성수지 재질을 사출 성형하여 구비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와 동일 재질로 사출 성형되어 개방된 본체(10)의 전방에 결합되는 결합부(20)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본체(10)의 상/하부면 양측에는 철근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반원형의 고정부(12)가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하부면 중앙에는 전선관(30)과 연결하는 이음관(14)이 적어도 2개 이상 일체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20)는 상기 본체(10)의 개방된 전방에 결합되고, 결합부(20)의 전방에는 상기 전선관(30)을 통해 인입된 전선이 연결되는 콘센트(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게 된다.
한편, 상기 이음관(14)의 외주연에는 다수의 나사산(N)이 형성되며, 상기 나사산(N)과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별도의 연결캡(40)이 구비되어 상기 전선관(30)의 단부에 상기 연결캡(40)을 삽착시키고, 이어서 통상적인 링 형태의 패킹을 상기 전선관(30)의 단부에 삽착시킨 상태에서 전선관(30)의 단부를 상기 이음관(14)에 삽입한 후 상기 연결캡(40)을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이음관(14)의 나사산(N)과 나사 결합시키면 상기 패킹이 이음관(14)의 입구와 밀착되어 상기 전선관(30)을 일체로 고정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전선관(30)은 절곡시키거나 진행 방향을 용이하게 전환할 수 있도록 표면에 다수의 주름홈(32)이 형성된 주름관 형태의 전선관(30)을 주로 사용하고 있어 통상적인 링 형태의 패킹을 사용할 경우 상기 주름홈(32)에 의해 패킹의 밀착성이 크게 저하되어 콘크리트 타설시 상기 주름홈(32)을 통해 본체(10) 내부로 물이나 이물질이 침투하여 이를 제거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및 노동력에 따른 인건비에 의해 설치비의 상승을 초래하였고, 또한 작업의 효율성 및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성 또한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은 옥내 배선 접속함의 상/하부면에 형성된 이음관과 연결되는 전선관의 단부에 연결캡과 고정패킹을 순차적으로 삽착시킨 후 상기 연결캡과 이음관의 외주연에 형성된 나사산을 나사 결합하여 상기 전선관을 일체로 고정시키되, 상기 고정패킹은 상기 전선관이 삽입될 수 있는 직경으로 중공이 형성된 몸체의 하부에는 상기 이음관의 입구와 밀착되게 단턱부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내주연에는 상기 전선관의 표면에 형성된 주름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반원 형태의 돌출부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돌출부가 전선관의 주름홈에 삽착되어 밀폐성을 크게 향상시켜 줌으로 접속함 내부로 물이나 이물질 등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하여 이를 제거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및 인건비를 최소화함은 물론 작업의 효율성 및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옥내 배선 접속함의 전선관용 고정패킹을 제공하고자 안출된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옥내 배선 접속함을 이루는 본체의 상/하부면 중앙에 각각 일체로 형성된 이음관과 연결되는 전선관의 단부에 삽착되어 별도로 구비되는 연결캡에 의해 상기 전선관과 이음관 사이에 틈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옥내 배선 접속함의 전선관용 고정패킹에 있어서, 상기 고정패킹은 신축성이 우수한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을 사출 성형하여 구비되며, 상기 전선관이 삽입될 수 있는 직경으로 중공이 형성된 일정 길이를 갖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하부에는 상기 이음관의 입구와 밀착되게 단턱부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내주연에는 상기 전선관의 표면에 형성된 주름홈에 삽착될 수 있도록 반원 형태의 돌출부를 일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옥내 배선 접속함의 전선관용 고정패킹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돌출부가 전선관의 주름홈에 삽착되어 밀폐성을 크게 향상시켜 줌으로 접속함 내부로 물이나 이물질 등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하여 이를 제거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및 인건비를 최소화함은 물론 작업의 효율성 및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옥내 배선 접속함을 도시해 보인 측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 상태를 도시해 보인 측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패킹을 도시해 보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종래와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부호를 적용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옥내 배선 접속함은 본체(10)와 결합부(20), 전선관(30) 및 고정패킹(100)으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본체(10)는 전방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태가 되도록 합성수지 재질을 사출 성형하여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하부면 양측에는 각각 철근이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반원 형태의 고정부(12)를 형성하고, 상/하부면 중앙에는 각각 전선관(30)이 체결될 수 있도록 이음관(14)를 다수 돌출되게 형성하며, 상기 이음관의 외주연에는 나사산(N)을 형성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 결합부(20)는 전방에 콘센트(도시하지 않음)가 결합되며, 후방에는 상기 본체(10)와 결합될 수 있도록 합성수지 재질을 소정 형태로 사출 성형하여 구비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 전선관(30)은 콘크리트에 매설되어 전선의 인입이 원활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합성수지 재질을 이용하여 내부가 관통된 파이프 형태로 구비하되, 표면에 다수의 주름홈(32)을 형성하여 진행 방향을 용이하게 전환할 수 있도록 하면 되는 것이다.
즉, 상기 본체(10)의 위치에 따라 전선관(30)을 절곡하거나 진행 방향을 다른 각도로 전환할 수 있도록 다수의 주름홈(32)을 형성함이 바람직한데, 이때 상기 전선관(30)의 단부는 본체(10)의 상/하부면 중앙에 형성된 이음관(14)에 삽입되고, 별도로 구비되는 연결캡(40)에 의해 상기 이음관(14)에 견고하게 고정되게 된다.
상기 고정패킹(100)은 신축성이 우수한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을 사출 성형하여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전선관(30)이 삽입될 수 있는 직경으로 중공이 형성된 일정 길이를 갖는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하부에는 상기 이음관(14)의 입구와 밀착되게 단턱부(120)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110)의 내주연에는 상기 전선관(30)의 표면에 형성된 주름홈(32)에 삽착될 수 있도록 반원 형태의 돌출부(130)를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돌출부(130)가 전선관(30)의 주름홈(32)에 삽착되어 밀폐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옥내 배선 접속함의 전선관용 고정패킹의 작용은 먼저, 상기 전선관(30)의 단부에 연결캡(40)과 고정패킹(100)을 순차적으로 삽착시키되, 상기 고정패킹(100)의 몸체(110) 내주연에 형성된 돌출부(130)를 상기 전선관(30)의 표면에 형성된 주름홈(32)에 삽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전선관(30)의 단부를 이음관(14)에 삽입한 다음 상기 연결캡(40)을 회전시켜 이음관(14)의 외주연에 형성된 나사산(N)과 나사결합시켜 상기 전선관(30)을 본체(10)와 일체로 연결하면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고정패킹(100)의 몸체(110) 하부에 형성된 단턱부(120)가 상기 이음관(14)의 입구와 밀착되어 콘크리트 타설시 상기 본체(10) 내부로 물이나 이물질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1차적으로 차단하게 되며, 상기 전선관(30)의 주름홈(32)에 삽착된 고정패킹(100)의 돌출부(130)에 의해 물이나 이물질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2차적으로 차단하게 됨으로써, 상기 본체(10)의 내부가 완벽하게 방수처리가 될 수 있도록 하여 물이나 이물질을 제거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나 인건비 등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0 : 본체 14 : 이음관
20 : 결합부 30 : 전선관
32 : 주름홈 40 : 연결캡
100 : 고정패킹 110 : 몸체
120 : 단턱부 130 : 돌출부

Claims (1)

  1. 옥내 배선 접속함을 이루는 본체(10)의 상/하부면 중앙에 각각 일체로 형성된 이음관(14)과 연결되는 전선관(30)의 단부에 삽착되어 별도로 구비되는 연결캡(40)에 의해 상기 전선관(30)과 이음관(14) 사이에 틈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옥내 배선 접속함의 전선관용 고정패킹에 있어서,
    상기 고정패킹(100)은 신축성이 우수한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을 사출 성형하여 구비되며, 상기 전선관(30)이 삽입될 수 있는 직경으로 중공이 형성된 일정 길이를 갖는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하부에는 상기 이음관(14)의 입구와 밀착되게 단턱부(120)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110)의 내주연에는 상기 전선관(30)의 표면에 형성된 주름홈(32)에 삽착될 수 있도록 반원 형태의 돌출부(130)를 일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내 배선 접속함의 전선관용 고정패킹.
KR1020100067221A 2010-07-13 2010-07-13 옥내 배선용 접속함의 전선관용 고정패킹 KR201200066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7221A KR20120006645A (ko) 2010-07-13 2010-07-13 옥내 배선용 접속함의 전선관용 고정패킹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7221A KR20120006645A (ko) 2010-07-13 2010-07-13 옥내 배선용 접속함의 전선관용 고정패킹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6645A true KR20120006645A (ko) 2012-01-19

Family

ID=45612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7221A KR20120006645A (ko) 2010-07-13 2010-07-13 옥내 배선용 접속함의 전선관용 고정패킹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664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2729B1 (ko) * 2012-02-23 2013-08-01 (주)진성테크 방수기능을 갖는 매입형 접속함
KR102134554B1 (ko) * 2020-02-20 2020-07-15 박학수 싱크대용 수전과 토출관의 원터치 연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2729B1 (ko) * 2012-02-23 2013-08-01 (주)진성테크 방수기능을 갖는 매입형 접속함
KR102134554B1 (ko) * 2020-02-20 2020-07-15 박학수 싱크대용 수전과 토출관의 원터치 연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6318B1 (ko) 관로구용 연결관 결속장치
JP3947987B2 (ja) 壁体への螺旋管体連結用コネクタ
KR101011018B1 (ko) 밀림방지와 삽입 후 분리 방지 패킹용 상하수도관
JP2000146068A (ja) 継手付きベルマウスとそのブロック体並びにハンドホール
RU2453958C1 (ru) Стеновой ввод для прокладки кабелей, кабелезащитных труб или других проводов
KR20120006645A (ko) 옥내 배선용 접속함의 전선관용 고정패킹
KR101289778B1 (ko) 케이블 보호관 연결구
KR100805689B1 (ko) 폴리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ppr)또는폴리부틸렌(pb)을 원료로 하는 보일러 중계관
KR20080033131A (ko) 분기관 연결구
KR200464418Y1 (ko) 지중관로용 관로구 몸체
KR101801445B1 (ko) 파형관 연결용 이음관
KR100883214B1 (ko) 폴리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ppr)또는 폴리부틸렌(pb)을 원료로 하는 급수, 급탕용 냉,온수분배기
KR20120102946A (ko) 관로구 방수 장치
KR200466523Y1 (ko) 전선관연결체
KR102136340B1 (ko) 광케이블용 다중관 컨넥터
KR20080046465A (ko) 방수플러그
KR20130096932A (ko) 방수기능을 갖는 전선관용 커넥터
KR101503819B1 (ko) 조립식 이경 관로구 어댑터
KR100585842B1 (ko) 상하수도관용 커플러
KR20080040348A (ko) 접지선이 내장된 전선보호관
KR200332727Y1 (ko) 고정용 결합관이 구비된 관로구 삽입관
KR200349595Y1 (ko) 탄성체 결합핀 내장 콘넥터
JP7313209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壁内埋設管の継手部材、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壁内埋設管の継手構造及び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壁の設置方法
KR102321988B1 (ko) 호스용 퀵커넥팅 포트 통합체를 구비한 단자함
KR101015398B1 (ko) 전기 및 전자 통신용 맨홀의 관로구 어댑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