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6420A - 철근 받침대 - Google Patents

철근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6420A
KR20120006420A KR1020100067658A KR20100067658A KR20120006420A KR 20120006420 A KR20120006420 A KR 20120006420A KR 1020100067658 A KR1020100067658 A KR 1020100067658A KR 20100067658 A KR20100067658 A KR 20100067658A KR 20120006420 A KR20120006420 A KR 201200064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bar
reinforcement
elastic body
elastic
lower reinfor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7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칠성
Original Assignee
다산이노씨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산이노씨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다산이노씨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676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6420A/ko
Publication of KR20120006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64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8Spacers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and spacing the reinforcements from the 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8Spacers of metal or substantially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20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of material other than metal or with only additional metal parts, e.g. concrete or plastics spacers with metal binding wires
    • E04C5/206Spacers having means to adapt the spacing distanc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2Mounting of reinforcing inserts; Prestr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공사 현장에서 바닥애 배치되는 철근을 받쳐주기 위한 철근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바닥면으로부터 세워질 수 있도록 타워 형태로 되고, 상측에 상부철근을 수용하여 파지하도록 상부철근 파지부가 형성된 철근 받침대에 있어서, 하부철근의 위치에 해당하는 몸체의 측부에는 하부철근에 걸어 탄성을 가지고 파지되는 하부철근 걸이부가 일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부철근 작업시에 하부철근에 몸체를 걸어서 고정시킨 다음 상부철근을 상단의 상부철근 파지부에 수용시켜 고정시킴으로써 넘어지는 경우가 발생하지 않아 작업능률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철근 받침대{omitted}
본 발명은 철근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건축공사 현장에서 바닥애 배치되는 철근을 받쳐주기 위한 철근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의 바닥 시공시에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바닥 거푸집의 상부면에 철근 작업을 하게 되며, 철근을 상부와 하부에 각각 격자 형태로 배설하면서 바닥부분으로부터 일정높이 이격되도록 철근 받침대를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상부에 배설되는 철근은 상부철근이라 하며, 하부에 배설되는 철근을 하부철근이라 한다.
도1은 기존의 상부철근을 지지하기 위한 철근 받침대를 보인 도로서, 타워 형태로 되어 세워질 수 있도록 몸체(10)가 형성되며, 몸체(10)의 상단에는 상부철근을 파지하여 탄성력을 가지고 지지하기 위한 파지부(20)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부철근을 따라 일정간격마다 몸체(10)를 바닥으로부터 세운다음 파지부(20)에 상부철근을 삽입시킴으로써 상부철근이 바닥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기존의 철근 받침대는 단순히 바닥면에 놓여진 상태에서 상부철근을 파지부(20)에 끼우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상부철근의 한쪽을 끼운 다음 다른쪽을 끼울 때 철근 받침대가 쉽게 넘어져서 작업자가 다시 일으켜 세워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특히 계단과 같은 경사도를 갖는 곳에서의 철근 작업시에는 넘어지는 경우가 거의 대부분이어서 매우 불편하며, 이러한 불편함은 작업능률을 크게 떨어뜨려 공사지연의 문제점을 가져온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부철근이 지나는 몸체의 측부 위치에 걸이부를 형성하여 상부철근 작업시 걸이부를 하부철근에 끼워 고정시키도록 한 철근 받침대를 제안한다.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는
바닥면으로부터 세워질 수 있도록 타워 형태로 되고, 상측에 상부철근을 수용하여 파지하도록 상부철근 파지부가 형성된 철근 받침대에 있어서,
하부철근의 위치에 해당하는 몸체의 측부에는 하부철근에 걸어 탄성을 가지고 파지되는 하부철근 걸이부가 일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철근 받침대는 상부철근 작업시에 하부철근에 몸체를 걸어서 고정시킨 다음 상부철근을 상단의 상부철근 파지부에 수용시켜 고정시킴으로써 넘어지는 경우가 발생하지 않아 작업능률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도1은 종래의 철근 받침대의 예를 보인 도.
도2는 본 발명의 철근 받침대의 구조를 보인 도.
도3은 본 발명의 정면도.
도4는 본 발명의 댜른 형태를 보인 도.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2와 같이 본 발명의 철근 받침대(100)는 그 단면이 '+' 형태의 몸체(110)를 가지며, 몸체(100)에는 다수개의 관통공(111)이 형성되어 있어서, 콘크리트의 흐름을 좋게 한다.
몸체(110)의 상단에는 상부철근을 파지하기 위한 상부철근 파지부(120)가 일체로 형성되는데, 작업자들이 상부철근 파지부(120)를 밟을 때 파손이 되지 않도록 상측을 향해서 수직상태로 두꺼운 판 형태의 지지부(121,122)가 양측에 세워지고, 그 내측으로 탄성을 갖는 탄성부(123,124)가 연장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탄성부(123,124)에 의해 상부철근이 파지되어 고정되며, 지지부(121,122)의 상측을 작업자가 밟는다 하더라도 파손이 발생되지 않아 안정적인 상부철근의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다.
몸체(110)의 하측에는 후크 형태의 하부철근 걸이부(130)가 일체로 형성되는데, 이러한 하부철근 걸이부(130)는 하부철근의 높이에 해당위치가 좋다.
따라서 몸체(110)가 바다면에 닿아 세워지면서도 하부철근에 몸체(110)가 지지되어 넘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하부철근 걸이부(130)는 상측이 몸체(110)에 고정되고, 하측은 개방된 후크 형태의 탄성몸체(131)를 가지며, 탄성몸체(131)의 중간부에는 하부철근 몸체 일부를 수용하여 고정하도록 외측으로 라운드 형태를 가지는 하부철근 수용부(13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탄성몸체(131)의 하측은 외측으로 확장된 장착유도부(133)가 형성되어 있어서, 하부철근을 탄성몸체(131)의 하측으로부터 끼울 때 쉽게 하부철근 수용부(132)쪽으로 유도되도록 함으로써 하부철근에 거는 동작이 매우 쉬워진다.
하부철근 수용부(132)와 마주보는 위치의 몸체 측부에는 하부철근 수용부와 반대의 라운드 형태를 가지는 안착부(134)가 형성되어 있어서, 하부철근 수용부(132)와 함께 하부철근의 양쪽부위를 파지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안착부(134)의 하측에도 장착유도부(133)와 반대방향으로 경사를 갖는 장착유도부(135)가 형성되어 있어서, 탄성몸체(131)의 내측으로 자연스럽게 유도하게 되는 것이다.
탄성몸체(131)는 그 자체만으로 탄성력이 떨어질 수 있어서 철근 받침대(100)가 하부철근으로부터 이탈이 발생되는 경우가 발생하므로 탄성력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탄성몸체(131)에는 탄성보조돌부(136)를 가지게 되는데, 탄성보조돌부(136)는 탄성몸체(131)의 상하방향 가운데 부분에서 그 외면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됨으로써 탄성몸체(131)가 큰 두께를 가지지 않고도 탄성력을 유지하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설치과정을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하부철근(2)에 상측으로부터 하부철근 걸이부(130)를 끼우게 되면, 하부철근(2)이 장착유도부(133,135)에 의해 안내되어 하부철근 수용부(132)와 안착부(134)에 의해 형성된 공간으로 유도되며, 이때 탄성몸체(131)의 탄성력에 의해 하부철근(2)을 고정함으로써 철근 받침대(100)의 하측이 하부철근(2)에 안정적으로 끼워진다.
이 상태에서 상부철근 파지부(120)로 상부철근(1)을 끼워 파지시키더라도 철근 받침대(100)가 넘어지지 않는 것이다.
도4는 본 발명의 다른 형태를 보인 도로서, 하부철근 걸이부(140)가 클립 형태로 형성된 것으로서, 몸체(141)의 측방향이 개방되고, 몸체(141)의 내측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탄성을 가지고 하부철근을 파지하도록 파지편(142,14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몸체(141)의 내측벽 즉, 몸체(110)의 위치에는 하부철근의 몸체 일부를 수용하도록 라운드 형태의 안착부(144)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하부철근(2)에 대해 철금 받침대의 몸체(110)를 측방향으로부터 접근시켜 하부철근 걸이부(140)의 내측으로 하부철근(2)을 수용하여 파지시키며, 이 후 상부철근 파지부(120)에 상부철근을 삽입시켜 파지시키게 된다.
1 : 상부철근 2 : 하부철근
100 : 철근 받침대 110 : 몸체
111 : 관통공 120 : 상부철근 파지부
121,122 : 지지부 123,124 : 탄성부
130 : 하부철근 걸이부 131 : 탄성몸체
132 : 하부철근 수용부 133,135: 장착유도부
134 : 안착부 140 : 하부철근 걸이부

Claims (3)

  1. 바닥면으로부터 세워질 수 있도록 타워 형태로 되고, 상측에 상부철근을 수용하여 파지하도록 상부철근 파지부가 형성된 철근 받침대에 있어서,
    하부철근의 위치에 해당하는 몸체의 측부에는 하부철근에 걸어 탄성을 가지고 파지되는 하부철근 걸이부가 일체로 형성된 철근 받침대.
  2. 1항에 있어서, 하부철근 걸이부는 하부가 개방되면서 탄성을 갖는 탄성몸체를 가지고, 탄성몸체의 하단은 바깥쪽 방향으로 확장된 유도부가 형성되며, 탄성몸체의 중간부위에는 하부철근의 몸체 일부를 수용하도록 라운드 형태의 하부철근 수용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하부철근 수용부와 대향하는 몸체에는 하부철근의 몸체 일부를 수용하도록 라운드 형태의 안착부가 형성된 철근 받침대
  3. 1항에 있어서, 하부철근 걸이부는 측방향이 개방된 몸체를 가지고, 몸체의 내측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탄성을 가지고 하부철근을 파지하는 파지편이 형성되며, 탄성몸체의 내측벽에는 하부철근의 몸체 일부를 수용하도록 라운드 형태의 안착부가 형성된 철근 받침대
KR1020100067658A 2010-07-12 2010-07-12 철근 받침대 KR201200064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7658A KR20120006420A (ko) 2010-07-12 2010-07-12 철근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7658A KR20120006420A (ko) 2010-07-12 2010-07-12 철근 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6420A true KR20120006420A (ko) 2012-01-18

Family

ID=45612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7658A KR20120006420A (ko) 2010-07-12 2010-07-12 철근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642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36827Y1 (ko) 시공성이 우수한 유로폼용 고정구
KR20070114876A (ko) 슬래브 지지장치
KR20110092991A (ko) 케이블 거치대
KR101636850B1 (ko) 외부벽돌벽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외부벽돌벽 시공방법
KR20100009385U (ko) 개량형 에이치빔 연결클램프
KR20120006420A (ko) 철근 받침대
KR20140000872A (ko) 가고정 기능을 갖는 동바리
CA2508162A1 (en) Reinforcing steel support
KR200406601Y1 (ko) 건물 청소용 로프 고정장치
KR20120128455A (ko) 알루미늄폼용 방수턱 거푸집 고정구
JP2006046044A (ja) 床配筋付デッキによる中空スラブのボイド管固定金具
KR101278686B1 (ko) 슬래브거푸집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방법
KR200397826Y1 (ko) 일체형 거푸집 지지장치
KR100725619B1 (ko) 모빌랙용 레일
KR20110033639A (ko) 선박블록 지지용 타워지주
KR100928592B1 (ko) 태양열 전지모듈 고정장치
KR20170018147A (ko) 내장재 고정용 클립
KR101976352B1 (ko) 멍에 고정용 탄성 클립
KR200431375Y1 (ko) 철근 받침대용 설치대
KR200445023Y1 (ko) 거푸집 보강프레임용 고정구
KR20090118506A (ko) 콘크리트용 거푸집
KR101129961B1 (ko) 철근 받침대
KR20110008084U (ko) 방수턱 거푸집
KR20100004374U (ko) 트러스형 합벽 지지대
JP2017066771A (ja) 建築用パネル仮置き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