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6069U - 휴대용전자장치을 이용한 주유셋팅 시스템 - Google Patents

휴대용전자장치을 이용한 주유셋팅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6069U
KR20120006069U KR2020120006278U KR20120006278U KR20120006069U KR 20120006069 U KR20120006069 U KR 20120006069U KR 2020120006278 U KR2020120006278 U KR 2020120006278U KR 20120006278 U KR20120006278 U KR 20120006278U KR 20120006069 U KR20120006069 U KR 2012000606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ing
identification
portable electronic
electronic devic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62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수
Original Assignee
박경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경수 filed Critical 박경수
Priority to KR20201200062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6069U/ko
Publication of KR2012000606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6069U/ko
Priority to KR1020120135932A priority patent/KR101284020B1/ko
Priority to PCT/KR2013/006304 priority patent/WO2014014243A1/ko
Priority to US14/414,908 priority patent/US20150170298A1/en
Priority to US16/371,777 priority patent/US20190228400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oading And Unloading Of Fuel Tanks Or Shi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용전자장치(17)에서 주유할 정보를 미리 설정하는 주유셋팅설정단계(1)와;
상기 주유셋팅설정단계(1)과 상관없이 등록된 주유소의 존에 들어 왔음을 인지하는 휴대용전자장치(17)의 주유소인지단계(2)와;
상기 주유소인지단계(2) 이후에 주유가능을 요청하는 휴대용전자장치(17)의 요청단계(3)와;
상기 요청단계(3)에서 요청한 신호를 받는 주유장치(16)에서의 수신단계(4)와;
상기 수신단계(4)에서 받은 정보의 내용을 서버에 저장하는 주유장치(16)의 서버저장단계(5)와;
상기 서버저장단계(5)의 정보에 의해서 바로 주유가 가능할 경우 식별정보를 생성하는 주유장치(16)에서의 식별생성단계(6)와;
상기 식별생선단계(6)에서 생성된 식별정보를 송신하는 주유장치(16)의 식별송신단계(7)와;
상기 식별송신단계(7)에서 식별정보를 수신 받은 휴대용전자장치(17)의 식별수신단계(10)와;
상기 식별수신단계(10)에서 수신된 식별정보를 화면으로 보여주는 휴대용전자장치(17)의 식별표시단계(11)와;
상기 식별표시단계(11)을 고객이 인지하고 주유장치(16)의 입력장치에 식별정보를 입력하면 식별생성단계(6)에서 생성된 식별정보와 비교 검색하여 주유여부를 판단하는 주유장치(16)의 식별검색단계(9)와;
상기 식별검색단계(9)에서 식별정보가 확인되면 식별검색단계(9)와 연동된 입력장치의 주유기에서 주유가 가능하도록 휴대용전자장치(17)의 주유셋팅설정단계(1)에서 설정된 방식으로 주유가 가능한 주유장치(16)의 주유단계(12)와;
상기 주유단계(12)로 주유를 마치는 주유장치(16)의 주유종료단계(13)와;
상기 주유종료단계(13)에서 주유된 정보를 확인 및 저장하기 위해 주유정보를 전달하는 주유장치(16)의 정보전달단계(14);로 구성되어 등록된 주유소의 존에 휴대용전자장치(17)가 존재하면 휴대용전자장치(17)에서 식별정보를 보고 주유할 주유장치(16)의 입력장치에 식별정보를 입력하면 별도의 주유셋팅 과정을 거치지 않고 미리 설정한 휴대용전자장치(1)의 주유셋팅설정단계(1)의 내용으로 주유장치(16)가 바로 주유단계(12)로 이동된 후 주유할 수 있는 휴대용전자장치을 이용한 주유셋팅 시스템이다.

Description

휴대용전자장치을 이용한 주유셋팅 시스템{the gas-pump system is used the portable type electronic}
주유하기 위해서 주유의 셋팅을 주유소의 직원이나 주유소의 셀프주유기에서 고객이 주유기에서 직접 주유셋팅하는 것을 휴대용전자장치에서 주유셋팅이 가능하도록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셀프주유기에서나 일반 주유소에서의 직원이 주유를 직접 또는 직원이 주유를 할 경우 실시간으로 주유를 셋팅하기 때문에 경유와 무연의 유종을 사람의 실수로 오판하여 혼유하는 경우와 잘못 결제하거나 잘못된 주유를 하는 사람이 할수 있는 실수가 있어 왔다.
또한 주유할 경우 실시간으로 주유금액과 주유유종을 알려주고 결제시 신용카드와 현금 같은 결제도구를 전달 및 사인 받는 과정을 거쳐오는 시간적인 낭비가 있어 왔다.
휴대용전자장치에서 주유를 셋팅한다고 해도 고객은 주유소를 선택해야하고 주유할 여러개의 주유기 중 주유할 주유기를 선택하는 과정이 기술적으로 어려운것이 사실이며 별도의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각각의 주유기에 무선통신기를 설정하더라도 다른 모든 주유기에 무선통신기를 설치한다고 해도 고객은 휴대용전자장치에서 별도로 무선통신기의 동기화 과정을 거처야하는 기술적인 번거로움이 있다.
휴대용전자장치에서 미리 주유셋팅을 하여 주유유종과 주유에 관련된 내용을 미리 셋팅후 저정함으로서 실시간으로 주유소에서 주유셋팅하는 과정에서 사람이 실수하는 혼유와 사람이 실수로할 수 있는 주유금액을 잘못알거나 셋팅하여 주유하는 문제점을 해결해야하며 일일이 주유소를 별도로 셋팅하지 않고 자동으로 주유소를 인지하여야 하며 별도의 주유기를 셋팅하지 않더라도 고객이 정차한 인근의 주유기에서 주유기 가능하여야 한다.
등록된 주유소의 존에 휴대용전자장치가 존재하면 휴대용전자장치에서 식별정보가 생성되도록하고 생성된 식별정보를 정차한 주유기에 입력하면 별도의 주유셋팅과정을 거치지 않고 미리 설정한 휴대용전자장치의 주유셋팅설정에 따라서 바로 주유가 가능하도록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휴대용전자장치에서 고객이 미리 주유셋팅하기 때문에 혼유나 사람이 실수할 수 있는 주유량등을 잘못하는 실수가 없게 되는 안전성이 있다.
고객이 미리 주유셋팅을 하기 때문에 편리함이 있으며 해당 시스템을 갖춘 주유소에 고객이 방문하기 때문에 고객을 유입하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전자장치을 이용한 주유셋팅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본 고안은 휴대용전자장치(17)에서 주유할 정보를 미리 설정하는 주유셋팅설정단계(1)와;
상기 주유셋팅설정단계(1)과 상관없이 등록된 주유소의 존에 들어 왔음을 인지하는 휴대용전자장치(17)의 주유소인지단계(2)와;
상기 주유소인지단계(2) 이후에 주유가능을 요청하는 휴대용전자장치(17)의 요청단계(3)와;
상기 요청단계(3)에서 요청한 신호를 받는 주유장치(16)에서의 수신단계(4)와;
상기 수신단계(4)에서 받은 정보의 내용을 서버에 저장하는 주유장치(16)의 서버저장단계(5)와;
상기 서버저장단계(5)의 정보에 의해서 바로 주유가 가능할 경우 식별정보를 생성하는 주유장치(16)에서의 식별생성단계(6)와;
상기 식별생선단계(6)에서 생성된 식별정보를 송신하는 주유장치(16)의 식별송신단계(7)와;
상기 식별송신단계(7)에서 식별정보를 수신 받은 휴대용전자장치(17)의 식별수신단계(10)와;
상기 식별수신단계(10)에서 수신된 식별정보를 화면으로 보여주는 휴대용전자장치(17)의 식별표시단계(11)와;
상기 식별표시단계(11)을 고객이 인지하고 주유장치(16)의 입력장치에 식별정보를 입력하면 식별생성단계(6)에서 생성된 식별정보와 비교 검색하여 주유여부를 판단하는 주유장치(16)의 식별검색단계(9)와;
상기 식별검색단계(9)에서 식별정보가 확인되면 식별검색단계(9)와 연동된 입력장치의 주유기에서 주유가 가능하도록 휴대용전자장치(17)의 주유셋팅설정단계(1)에서 설정된 방식으로 주유가 가능한 주유장치(16)의 주유단계(12)와;
상기 주유단계(12)로 주유를 마치는 주유장치(16)의 주유종료단계(13)와;
상기 주유종료단계(13)에서 주유된 정보를 확인 및 저장하기 위해 주유정보를 전달하는 주유장치(16)의 정보전달단계(14);로 구성되어 등록된 주유소의 존에 휴대용전자장치(17)가 존재하면 휴대용전자장치(17)에서 식별정보를 보고 주유할 주유장치(16)의 입력장치에 식별정보를 입력하면 별도의 주유셋팅 과정을 거치지 않고 미리 설정한 휴대용전자장치(1)의 주유셋팅설정단계(1)의 내용으로 주유장치(16)가 바로 주유단계(12)로 이동된 후 주유할 수 있는 휴대용전자장치을 이용한 주유셋팅 시스템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위해서 도1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휴대용전자장치(17)에서 주유할 정보를 미리 설정하는 주유셋팅설정단계(1)와;
여기서 주유셋팅설정단계(1)는 주유금액과 유종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할인 받을 쿠폰의 미리 입력하여 금액에 대한 할인을 미리 받도록하는 것이 가능하며 마일리지 카드의 정보를 미리 입력하여 주유 완료했을 때 마일리지가 자동으로 적립되도로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주유셋팅설정단계(1)는 주유할 정보만을 셋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신용카드나 별도로 주유의 한도를 부여하고 부여된 주유의 한도 범위 내에서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이때 주유한도의 범위는 신용카드의 결제나 마일리지 카드의 할인 및 휴대폰이 가지고 있는 결제수단을 이용하여 주유한도를 설정 및 셋팅을 할 수 있다.
상기 주유셋팅설정단계(1)과 상관없이 등록된 주유소의 존에 들어 왔음을 인지하는 휴대용전자장치(17)의 주유소인지단계(2)와;
여기서 주유소의 존이라함은 고객이 휴대용전자장치(17)를 주유소 또는 주유소 인근에 왔을 때 을 의미하며 주유소의 존에 왔다는 것을 인지하는 것은 휴대용전자장치(17)에서 GPS을 이용한 위치를 파악하여 주유소의 존에 왔다는 것을 인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주유소나 주유기에서 별도로 설치된 무선통신기기의 송신을 통하여 주유소의 존에 왔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여기서 주유소의 존이라는 것이 판단되면 휴대용전자장치(17)에 주유소의 명칭이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주유소명이 아니라도 주유소의 존에 들어왔다는 별도의 화면을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주유소인지단계(2) 이후에 주유가능을 요청하는 휴대용전자장치(17)의 요청단계(3)와;
여기서 주유가능을 요청한다는 뜻은 휴대용전자장치(17)를 가진 고객이 주유를 할 의사가 있음을 주유장치(16)에게 보내는 신호를 의미하며 이때 신호는 주유셋팅설정단계(1)의 설정정보의 일부를 요청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는 주유장치(16)에 미리 주유 셋팅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여기서 요청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무선으로 휴대용전자장치(17)에서 직접 무선으로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무선기지국에 송신하여 송신된 내용이 주유장치(16)에 도달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여기서 요청의 방법으로는 주유소인지단계(2)에서 주유소의 존에 들어 왔을 때 활성화되는 주유소의 명칭 또는 주유소의 존에 들어 왔을 때 표시되는 화면을 선택하는 방식으로 요청하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별도의 휴대용전자장치(17)의 내부 프로그램을 통해서 주유 가능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단계(3)에서 요청한 신호를 받는 주유장치(16)에서의 수신단계(4)와;
여기서 수신단계(4)는 휴대용전자장치(17)의 무선송신으로부터 직접적으로 수신 받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휴대용전자장치(17)이 무선기지국으로 송신되고 송신된 내용이 별도의 서버에 저장한 후 다시 주유장치(16)의 수신단계(4)로 전달되는 방법도 가능하며 이때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유선상이나 무선으로 직접 수신단계(4)에 수신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상기 수신단계(4)에서 받은 정보의 내용을 서버에 저장하는 주유장치(16)의 서버저장단계(5)와;
여기서 받은 정보라함은 요청단계(3)에서 보내온 신호을 파악한 내용을 직접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요청단계(3)에서 보내온 신호를 해석해서 해석된 내용을 토대로 가공하여 저장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또한 여기서 서버에 저장되는 정보는 주유금액과 주유유종을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주유셋팅설정단계(1)에서 필요한 고객정보와 휴대용전자장치(1)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와 주유결제시 필요한 승인요청과 같은 정보도 서버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서버저장단계(5)의 정보에 의해서 바로 주유가 가능할 경우 식별정보를 생성하는 주유장치(16)에서의 식별생성단계(6)와;
여기서 식별정보란 숫자를 의미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숫자를 입력하기 위한 패턴이나 전혀 다른 이미지에 패턴을 입력할 수 있으면 여러 개의 이미지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사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식별정보는 고객이나 주유원이 여러 개의 주유기중 한대와 연관된 장치에 식별정보를 넣으면 해당 주유기가 자동으로 주유셋팅설정단계(1)에서 설정된 내용을 토대로 주유단계(12)로 넘어가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며 이때 연관된 장치라는 것은 주유장치(16)의 식별검색단계(9)에서 사용되는 입력장치를 의미한다.
여기서 식별생선단계(6)는 별도의 식별정보를 실시간으로 생성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미리 저장된 식별정보를 선택하는 과정을 통하여 식별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식별생선단계(6)에서 생성된 식별정보를 송신하는 주유장치(16)의 식별송신단계(7)와;
여기서 송신의 방법으로는 주유장치(16)에서 휴대용전자장치(17)로 바로 무선으로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별도의 서버에 저장되도록 송신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상기 식별송신단계(7)에서 식별정보를 수신 받은 휴대용전자장치(17)의 식별수신단계(10)와;
여기서 수신의 방법으로 주유장치(16)에서 송신된 정보를 휴대용전자장치(17)에서 바로 무선으로 수신 받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별도의 서버를 통하여 휴대용전자장치(1)에 수신을 받을 수 있다.
여기서 식별수신단계(10)는 식별정보단계(10)에서는 식별정보 이외의 주유정보를 함께 받을 수도 있다.
상기 식별수신단계(10)에서 수신된 식별정보를 화면으로 보여주는 휴대용전자장치(17)의 식별표시단계(11)와;
여기서 식별정보를 화면에 보여주는 이유는 식별정보를 사람이 시력으로 보고서 주유하고자하는 주유기에 식별정보를 입력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 표시되며 이때 수신 받은 식별정보를 해석하여 별도의 또 다른 식별정보를 화면에 표시할 수도 있다.
상기 식별표시단계(11)을 고객이 인지하고 주유장치(16)의 입력장치에 식별정보를 입력하면 식별생성단계(6)에서 생성된 식별정보와 비교 검색하여 주유여부를 판단하는 주유장치(16)의 식별검색단계(9)와;
여기서 입력장치라함은 주유기에서 별도의 키패드가 설치된 경우에는 별도의 키패드를 입력장치라고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셀프주유기가 터치화면을 가진 기능이 있을 경우에는 사람의 손으로 터치하여 숫자를 입력하거나 패턴을 넣는 것도 가능하며 이때 터치화면에 별도의 그림과 같은 패턴을 인식할 수 있는 장치을 입력장치라 하며 주유원이 주유를 하는 주유소에서는 주유기에 붙여 있는 키패드나 주유기와 연동된 또 다른 단말기에 식별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장치도 입력장치라 한다.
또한 여기서 입력장치라함은 휴대용전자장치(17)의 화면에 표시된 식별정보를 주유장치(16)에서 스캔기능을 이용하여 휴대용전자장치(17)의 화면에 표시된 식별정보를 바로 인식하는 장치를 사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식별검색단계(9)는 휴대용전자장치(17)의 식별표시단계(11)을 보거나 기억한 고객이 식별정보를 주유장치(16)의 입력장치에 입력할 경우에 입력된 식별정보를 검색하여 주유셋팅설정단계(1)에서 설정된 내용을 토대로 주유가 가능한지 여부를 검색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며 방법으로는 별도로 저장된 서버나 메모리에서 주유셋팅설정단계(1)에서 얻은 정보를 검색하는 것이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식별검색단계(9)에서 해당 주유기의 입력장치에 식별정보를 입력하면 해당 주유기가 주유단계(12)로 이동하여 바로 주유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식별검색단계(9)에서 식별정보가 확인되면 식별검색단계(9)와 연동된 입력장치의 주유기에서 주유가 가능하도록 휴대용전자장치(17)의 주유셋팅설정단계(1)에서 설정된 방식으로 주유가 가능한 주유장치(16)의 주유단계(12)와;
여기서 주유단계(12)는 실제적으로 고객이나 주유원이 주유할 수 있도록 주유기의 모터가 가동되거나 주유기의 건을 당겼을 때 주유가 가능한 단계를 의미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주유단계(12)에서 신용카드나 현금을 요구로 결제를 유도한 후 주유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신용카드와 같은 결제수단을 요구하지 않는 경우는 주유셋팅설정단계(1)에서 선결제을 한 경우에 별도의 결제를 요구하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주유단계(12)로 주유를 마치는 주유장치(16)의 주유종료단계(13)와;
여기서 주유종료단계(13)은 차량의 주유를 끝내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주유종료단계(13)에서 주유된 정보를 확인 및 저장하기 위해 주유정보를 전달하는 주유장치(16)의 정보전달단계(14);로 구성되어 등록된 주유소의 존에 휴대용전자장치(17)가 존재하면 휴대용전자장치(17)에서 식별정보를 보고 주유할 주유장치(16)의 입력장치에 식별정보를 입력하면 별도의 주유셋팅 과정을 거치지 않고 미리 설정한 휴대용전자장치(1)의 주유셋팅설정단계(1)의 내용으로 주유장치(16)가 바로 주유단계(12)로 이동된 후 주유할 수 있는 휴대용전자장치)을 이용한 주유셋팅 시스템이다.
여기서 정보전달단계(14)는 주유단계(12)에서의 주유정보와 주유종료단계(13)에서의 정보가 틀릴 경우와 제대로 주유가 되었을 다른 장치에서 이용 가능하도록 보내는 목적으로 사용되며 예을들어 주유 5만원이 셋팅된 후 주유를 하던 중 4만원만 주유가 되면 1만원의 차이를 돌려줘야하기 때문에 정보전달단계(14)가 필요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고객의 입장에서 사용한다고 가정한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보면
일반고객이 자신의 차량을 경유라는 정보와 주유할 수 있는 최대한의 금액 10만원을 주유셋팅설정단계(1)에서 설정 했다고 가정하고 본 고안이 시스템이 가능한 주유소에 방문하면, 자동으로 주유소인지단계(2)로 이동하면서 휴대용전자장치(17)인 휴대폰 액정화면에 주유소의 명칭이 표시되는 주유소인지단계(2)가 되며, 이때 고객이 주유소의 명칭을 선택하면 요청단계(3)가 되며 이때 식별정보가 휴대용전자장치(17)에 표시되게 하기 위해서 수신단계(4)와 서버저장단계(5)와 식별생성단계(6)와 식별송신단계(7)와 휴대용전자장치(17)의 식별수신단계(10)와 식별표시단계(11)를 거쳐 고객이 직접 휴대용전자장치(17)의 휴대폰 액정화면으로 식별정보를 볼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이때 고객이 여러 주유기중 하나의주유기에서 식별정보를 입력하면 처음 주유셋팅설정단계(1)에서 설정된 10만원의 금액과 경유가 자동으로 식별정보를 입력한 주유기가 셋팅되어 고객은 바로 주유단계(12)와 주유종료단계(13)을 거쳐 주유를 완료 하게 되는 것이며, 이때 10만원이 모두 주유되지 않았다면 정보전달단계(14)에서 모두 주유되지 않았다는 정보는 보내게 되어 주유금액을 수정할 수 있게 정보를 보내는 것이다.
여기서 다시 설명하면 휴대용전자장치(17)을 보유한 사람이 주유소의 존에 오면 휴대용전자장치(17)에서 주유소을 인지하는 주유소인지단계(2)에 접어들고 주유소인지단계(2)에서 발생한 휴대용전자장치(17)에서 주유의 의사를 표시하기 위해서 주유소인지단계(2)에 의해 변화된 내용을 선택하는 요청단계(3)가 진행되면 주유장치(16)의 요청단계(3)에서 전송된 신호를 수신단계(4)를 거쳐 서버저장단계(5)로 저장이되며 이때 저장되면서 식별생성단계(6)에서 식별정보가 생성되고 생성된 식별정보는 식별송신단계(7)과 식별수신단계(10)와 식별표시단계(11)를 거쳐 휴대용 전자장치(17)의 화면에 식별정보가 표시되는 것이다.
여기서 휴대용전자장치(17)에 표시된 식별정보를 특정주유기에 입력장치를 통해 입력하면 식별검색단계(9)에서 주유가능여부를 검색하고 난 후 주유가 가능하면 주유단계(12)와 주유종료단계(13)의 단계를 거쳐 주유를 하게 되며 주유종료단계(13)후에 발생하는 정보를 정본전달단계(14)를 통해서 다시 다른 시스템에서 사용가능하도록 주유정보를 보게 주게 되는 것이다.
1: 주유셋팅설정단계 2:주유소인지단계 3:요청단계
4: 수신단계 5:서버저장단계 6:식별생성단계
7:식별송신단계 9:식별검색단계 10:식별수신단계
11: 식별표시단계 12:주유단계 13:주유종료단계
14: 정보전달단계 16:주유장치 17:휴대용전자장치

Claims (3)

  1. 휴대용전자장치(17)에서 주유할 정보를 미리 설정하는 주유셋팅설정단계(1)와;
    상기 주유셋팅설정단계(1)과 상관없이 등록된 주유소의 존에 들어 왔음을 인지하는 휴대용전자장치(17)의 주유소인지단계(2)와;
    상기 주유소인지단계(2) 이후에 주유가능을 요청하는 휴대용전자장치(17)의 요청단계(3)와;
    상기 요청단계(3)에서 요청한 신호를 받는 주유장치(16)에서의 수신단계(4)와;
    상기 수신단계(4)에서 받은 정보의 내용을 서버에 저장하는 주유장치(16)의 서버저장단계(5)와;
    상기 서버저장단계(5)의 정보에 의해서 바로 주유가 가능할 경우 식별정보를 생성하는 주유장치(16)에서의 식별생성단계(6)와;
    상기 식별생선단계(6)에서 생성된 식별정보를 송신하는 주유장치(16)의 식별송신단계(7)와;
    상기 식별송신단계(7)에서 식별정보를 수신 받은 휴대용전자장치(17)의 식별수신단계(10)와;
    상기 식별수신단계(10)에서 수신된 식별정보를 화면으로 보여주는 휴대용전자장치(17)의 식별표시단계(11)와;
    상기 식별표시단계(11)을 고객이 인지하고 주유장치(16)의 입력장치에 식별정보를 입력하면 식별생성단계(6)에서 생성된 식별정보와 비교 검색하여 주유여부를 판단하는 주유장치(16)의 식별검색단계(9)와;
    상기 식별검색단계(9)에서 식별정보가 확인되면 식별검색단계(9)와 연동된 입력장치의 주유기에서 주유가 가능하도록 휴대용전자장치(17)의 주유셋팅설정단계(1)에서 설정된 방식으로 주유가 가능한 주유장치(16)의 주유단계(12)와;
    상기 주유단계(12)로 주유를 마치는 주유장치(16)의 주유종료단계(13)와;
    상기 주유종료단계(13)에서 주유된 정보를 확인 및 저장하기 위해 주유정보를 전달하는 주유장치(16)의 정보전달단계(14);로 구성되어 등록된 주유소의 존에 휴대용전자장치(17)가 존재하면 휴대용전자장치(17)에서 식별정보를 보고 주유할 주유장치(16)의 입력장치에 식별정보를 입력하면 별도의 주유셋팅 과정을 거치지 않고 미리 설정한 휴대용전자장치(1)의 주유셋팅설정단계(1)의 내용으로 주유장치(16)가 바로 주유단계(12)로 이동된 후 주유할 수 있는 휴대용전자장치을 이용한 주유셋팅 시스템
  2. 청구항1에 있어서 식별검색단계(9)에서 해당 주유기의 입력장치에 식별정보를 입력하면 해당 주유기가 주유단계(12)로 이동하여 바로 주유가 가능한 휴대용전자장치을 이용한 주유셋팅 시스템
  3. 청구항1에 있어서 식별정보를 이용한 휴대용전자장치을 이용한 주유셋팅 시스템
KR2020120006278U 2012-07-16 2012-07-16 휴대용전자장치을 이용한 주유셋팅 시스템 KR20120006069U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6278U KR20120006069U (ko) 2012-07-16 2012-07-16 휴대용전자장치을 이용한 주유셋팅 시스템
KR1020120135932A KR101284020B1 (ko) 2012-07-16 2012-11-28 무선을 이용한 주유 방법 및 이를 위한 주유 시스템
PCT/KR2013/006304 WO2014014243A1 (ko) 2012-07-16 2013-07-15 무선을 이용한 주유 방법
US14/414,908 US20150170298A1 (en) 2012-07-16 2013-07-15 Fueling method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US16/371,777 US20190228400A1 (en) 2012-07-16 2019-04-01 Fueling method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6278U KR20120006069U (ko) 2012-07-16 2012-07-16 휴대용전자장치을 이용한 주유셋팅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6069U true KR20120006069U (ko) 2012-08-29

Family

ID=53716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6278U KR20120006069U (ko) 2012-07-16 2012-07-16 휴대용전자장치을 이용한 주유셋팅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6069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0953A (ko) * 2019-04-11 2019-04-19 박경수 셀프 주유시스템에 사용되는 도구의 속성 정보를 변경하는 방법
KR20200077478A (ko) * 2020-06-18 2020-06-30 박경수 무선단말기에서 설정한 도구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연료주입소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방법
KR20210022023A (ko) * 2014-01-21 2021-03-02 박경수 셀프 주유시스템에서 코드를 이용한 주유방법
KR20210031880A (ko) * 2014-02-24 2021-03-23 박경수 선인지 주유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2023A (ko) * 2014-01-21 2021-03-02 박경수 셀프 주유시스템에서 코드를 이용한 주유방법
KR20210031880A (ko) * 2014-02-24 2021-03-23 박경수 선인지 주유시스템
KR20190040953A (ko) * 2019-04-11 2019-04-19 박경수 셀프 주유시스템에 사용되는 도구의 속성 정보를 변경하는 방법
KR20200077478A (ko) * 2020-06-18 2020-06-30 박경수 무선단말기에서 설정한 도구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연료주입소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4020B1 (ko) 무선을 이용한 주유 방법 및 이를 위한 주유 시스템
KR101765422B1 (ko) 주유 이력을 이용한 선결제 주유 예약 방법
KR101207338B1 (ko) 사용자 단말, 주유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0751530B1 (ko) 셀프 주유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주유 방법
KR20120006069U (ko) 휴대용전자장치을 이용한 주유셋팅 시스템
CN112735036A (zh) 一种实现加油站智能化加油的方法及系统
KR101677098B1 (ko) ⅠoT컨트롤러를 이용한 주유소 통합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044080A (ko) 주유비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102404019B1 (ko) 주유소 자동결제 시스템
KR20120108574A (ko) 주유 카드 단말, 주유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29922B1 (ko) 주유비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58149A (ko) 도구 또는 단말기에서 주유기를 재설정하는 시스템
KR20160089744A (ko) 스마트폰앱과 O2O(Online to Offline)기술을 이용한 주유소 마케팅 연계 및 혼유방지 시스템 구현
CN113706781A (zh) 一种基于近距离无线通讯技术的燃油添加方法及相关装置
KR102175536B1 (ko) 스마트 무인 주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20190031616A (ko) 관리자 단말 또는 서버에서 연료주입기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KR102347713B1 (ko) 무선단말기에서 연료주입기를 설정하는 방법
KR20190054227A (ko) 주유비 결제 처리 방법
KR102375687B1 (ko) 선인지 주유시스템
KR20140078042A (ko) 연료금액 또는 연료량 중 적어도 하나를 무선단말기의 프로그램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KR20180008070A (ko) 스마트 주유 결제 시스템
KR102382496B1 (ko) 생체정보를 이용한 주유정보를 모니터에 표시하는 방법
KR20220088378A (ko) 전기 충전기에 사용되는 시스템
KR20220099924A (ko) 선인지 주유시스템
KR101682994B1 (ko) 주유금액을 통한 이벤트 발생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