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4020B1 - 무선을 이용한 주유 방법 및 이를 위한 주유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선을 이용한 주유 방법 및 이를 위한 주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4020B1
KR101284020B1 KR1020120135932A KR20120135932A KR101284020B1 KR 101284020 B1 KR101284020 B1 KR 101284020B1 KR 1020120135932 A KR1020120135932 A KR 1020120135932A KR 20120135932 A KR20120135932 A KR 20120135932A KR 101284020 B1 KR101284020 B1 KR 1012840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fueling
payment
oil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5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수
Original Assignee
박경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2020120006278U external-priority patent/KR20120006069U/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20093360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20112301A/ko
Application filed by 박경수 filed Critical 박경수
Priority to PCT/KR2013/006304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4014243A1/ko
Priority to US14/414,908 priority patent/US20150170298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40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4020B1/ko
Priority to US16/371,777 priority patent/US20190228400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5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using wireless networ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 G07F13/02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by volume
    • G07F13/025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by volume wherein the volume is determined during deliv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4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near-field transmission
    • H04B5/48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2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local intradevice communic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Fina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Loading And Unloading Of Fuel Tanks Or Sh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을 이용한 주유 방법 및 이를 위한 주유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 주유 방법은 무선 단말기에서, 유종 정보, 금액 정보, 결제 정보, 주유기 정보를 적어도 하나를 선택 가능하고, 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유종 정보, 금액 정보, 결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무선 단말기가 상기 주유기 또는 상기 주유 시스템 영역에 접근할 때 상기 무선 단말기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종 정보, 금액 정보, 결제 정보를 상기 선택된 주유기 또는 상기 주유 시스템으로 무선으로 전송하고, 상기 주유기 또는 상기 주유 시스템에서, 상기 유종 정보, 금액 정보, 결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주유기 또는 상기 시스템에 자동으로 주유를 세팅하도록 제공한다.

Description

무선을 이용한 주유 방법 및 이를 위한 주유 시스템{A method of refueling car using wireless protocol and refueling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무선을 이용한 주유 방법 및 이를 위한 주유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주유시 주유원이나 고객이 주유를 할 경우, 잘못된 유종의 선택과 금액을 선택하여 혼유나 금전적인 실수를 하는 사례가 있다.
또한 주유시 기존 모바일로 결제할 경우 신용카드로 결제하는 순간에만 모바일로 대체할 경우에는, 기존 신용카드에 비해서, 모바일 결제로 인한 차별화가 없었으며 오히려 기존신용카드에 비해서 결제의 시간과 방법의 복잡함으로 고객의 외면을 당하는 사례가 있어왔다.
기존의 모바일로 물건을 바코드로 찍은 다음에 결제카운터에 와서 모바일로 결제하는 방식과 커피숍과 같은 특정 매장에 방문을 하였을 때 미리 커피숍에서 커피와 같은 물건에 대해서 선택을 하고 결제를 요청할 수 있는 기술은 존재해 왔으나. 이러한 물건들은 사람의 기호와 습성과 가맹점의 메뉴에 따라서 선별적으로 선택이 가능하고, 선택이 잘못되었다고 하더라도 물건의 반품 및 교환이 가능하지만 주유의 경우는 잘못 선택하거나 잘못 금액을 주유하게 되면 혼유 등의 이유로 차량에 심각한 손상을 제공하기 때문에 단순히 결제의 방법으로 주유시마다 주유유종과 주유금액을 현장에서만 결제하기에는 위험의 요소를 갖추고 있으며, 다른 상품의 경우는 모바일에 별도로 품목이 셋팅되도록 하고 자동적으로 해당 품목을 판매하는 가맹점에 갔을 때 자동으로 해당 품목을 선택되고 결제될 이유가 없으나, 주유는 사람이 주기적으로 밥을 먹듯이 반드시 차량을 유지하려면 해당 주유에 대한 유종과 금액을 반드시 주유해야 하고 차량이 바뀌기 전까지는 품목의 변화가 있을 수 없는 특수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특수성에 따라, 모바일에 주유할 유종과 금액을 셋팅하고 셋팅된 모바일의 정보가 셀프주유기에 전달될 방법들이 활성화 될 것으로 예상된다. 기존의 셀프주유기를 자연인이 사용할 경우에 자연인이 직접 주유할 유종과 금액을 설정한 상태에서 갑자기 모바일로부터 주유유종과 주유금액에 대한 신호가 셀프주유기에 전송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두 주유할 유종과 금액이 서로 상충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어, 자연인이 주유할 때 혼선을 야기하거나 주유를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모바일을 이용하여 주유 방법을 셋팅한다고 해도 고객은 주유소를 선택해야하고, 주유할 여러 개의 주유기들 중 상기 자연인의 차량에 주유할 주유기를 선택하는 과정이 기술적으로 어려운 것이 사실이며 별도의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각각의 주유기에 무선통신기를 설정하더라도 다른 모든 주유기에 무선통신기를 설치한다고 해도 고객은 모바일에서 별도로 무선통신기의 동기화 과정을 거처야하는 기술적인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비셀프주유소 중 POS(Point of Sales System, 이하 POS 시스템)가 설치된 시스템에서, 하나의 신용카드로 고객이 주유를 요청하여, 주유원이 고객의 차량에 주유를 할 경우, 주유를 종료한 다음에 주유 종료한 내역을 선택하여, 실제 주유한 금액을 결제하여 왔으며, 이때 신용카드의 한도가 부족하거나 신용카드의 마그네틱이 손상될 경우에는, 주유해야 할 결제방법이 없어서 서로 난처한 경우가 있어 왔다.
또한, 비셀프주유소 중 POS가 설치된 시스템에서, 주유하는 도중에 선결제 방식으로 주유도중에 주유를 결제하는 방식이 있어 왔지만, 차량이 많이 있는 상황에서 모두를 선결제하여 주유하는 경우가 어려웠던 게 사실이며, 이때 선결제할 때 5만원을 주유하고 있을 때 직원의 실수로 5,000원을 결제하는 주유원의 실수등으로 어려움이 있어 왔다.
비셀프주유소에서 고객이 보편적으로 차량의 내부에 있으면서, 주유원에게 주유금액을 알려주게 될 경우, 주유금액을 잘못 듣거나 잘못 셋팅할 실수가 발생하는 어려움이 있어왔으며, 주유금액을 고객에게 알려주게 되면 주유원은 고객의 차량을 임의적으로 판단하여 고객의 차량의 유종을 파악하여 주유하게 될 경우, 주유 유종을 잘못 파악하여 주유원이 혼유를 하는 일이 있어 왔다.
비셀프주유소에서 주유하고자 할 경우 고객과 주유원 사이에서 주유할 금액과 유종을 확인하는 과정의 시간과 주유할 정보를 전달하는 시간 동안의 시간적인 지체가 있어왔으며, 주유원 또한 고객이 전달하는 내용을 듣고 주유기에서 주유할 주유유종과 주유금액을 별도로 셋팅하는 번거로움이 있어 왔다.
주유시 주유원이나 고객이 주유를 할 경우, 잘못된 유종의 선택과 금액을 선택하여 혼유나 금전적인 실수가 적어지도록 해야 한다.
또한 주유시 기존 모바일로 결제할 경우 신용카드로 결제하는 방법에 비해서 주유하는 총시간의 단축과 고객의 편리함이 제공되어야 한다.
기존의 모바일로 물건을 바코드로 찍은 다음에 결제카운터에 와서 모바일로 결제하는 방식과 커피숍과 같은 특정 매장에 방문을 하였을 때 미리 커피숍에서 커피와 같은 물건에 대해서 선택을 하고 결제를 요청할 수 있는 기술은 존재해 왔으나 이러한 모바일 결제는 잘못 선택하거나 결제하더라도 사람에게 해가 되는 경우는 없었으며 다시 반품이라는 절차를 거칠 수 있었으나, 주유유종과 주유금액을 잘못 선택하게 되면 주유유종의 경우 차량진행중 차량의 엔진에서 파손이 발생하면서 교통사고의 위험과 차량의 물질적인 피해를 입힐 수 있는 위험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별도의 모바일에서 다른 결제와 틀리게, 미리 주유유종과 주유금액에 셋팅되도록하여 혼유의 위험을 줄이는게 필요하며, 차량에 들어가는 주유는 한번 셋팅하게 되면 차량이 바뀌거나 주유금액을 다시 셋팅하기 이전에는 다시 셋팅할 가능성이 없는 안전장치로서의 역할을 해야 한다.
이것은 평상시에 한번 모바일에 셋팅하게 된 후 주유기에 적용할 경우, 자동으로 셋팅이가능한 차량의 주유를 넣을 때, 미리 주유유종과 주유금액에 대해서 모바일에 셋팅되도록하여, 주유시 차량에 혼유나 잘못된 주유의 금액을 막아주도록하는 안전장치로서의 역할을 모바일이 제공하여야 한다.
셀프주유기에서의 각각의 단계에서 모바일로부터 셀프주유시스템에 외부신호가 전달될때 셀프주유시스템이 모바일로부터 전달받은 외부신호를 처리하는 방법으로, 대기상태에서 셀프주유기로 모바일로부터 전달되는 외부신호가 전달되면 외부신호를 파악하여 정상적인 셀프주유기의 단계로 진행할 것인지, 아니면 전달된 외부신호를 이용하여 셀프주유기를 셋팅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설정하고 구성된 셀프주유시스템을 제공하여야 한다. 또한 셀프주유기를 셋팅하는 동안 외부신호가 들어올 경우 외부신호를 파악하여, 외부신호에 속해있는 결제정보와 주유정보와 주유금액을 적용할 것인지 아닌지에 대한 방법을 구성하여 셀프주유기시스템을 구성하도록 하여, 자연인이 셀프주유기에서 선택한 방법과 모바일로부터 전송된 외부신호에 속한 방법이 서로 충돌하지 않도록 제공해야만 한다. 모바일에 장착된 근거리 통신 프로토콜의 일종인 NFC(Near Field Communication)를 이용하여 셀프주유기를 결제하는 방법으로는 자연인이 셀프주유기를 직접적으로 주유할 유종과 금액을 선택한 후에, 자연인이 결제방법을 선택할때, 모바일의 결제방법을 선택하고, 모바일결제를 이용하여 자연인이 선택한 주유유종과 금액을 결제하는 단계에서, 자연인의 모바일에 장착된 NFC를 셀프주유기의 NFC에 접촉할 경우, 모바일로부터 셀프주유기로 결제할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이 출시되었거나, 앞으로 출시될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모바일에 주유정보인 주유유종과 주유금액이 미리셋팅된 경우에는 셀프주유기를 자연인이 직접 셋팅하는 단계를 거칠필요 없이, 모바일과 셀프주유기간에 NFC를 통하여 셀프주유기에 주유정보를 전달할 수가 있음을 의미하며, 이때는 기존의 셀프주유기의 방식의 단계를 따를 필요가 없을 수있게 된다.즉, 셀프주유기를 자연인이 주유셋팅하기전인 대기단계에 있을때 모바일의 NFC를 통하여 전송되는 주유정보를 전달받을 경우, 대기단계에서 모바일의 NFC를 통하여 전달받은 주유정보를 처리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대기단계에서 모바일이 NFC를 통하여 전달받은 주유정보를 처리하는 대기단계을 안정적으로 구성하고, 대기단계에서 모바일과 셀프주유기의 NFC를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 구현하는데 있다. 휴대용전자장치에서 미리 주유셋팅을 하여 주유유종과 주유에 관련된 내용을 미리 셋팅후 저정함으로서 실시간으로 주유소에서 주유셋팅하는 과정에서 사람이 실수하는 혼유와 사람이 실수로할 수 있는 주유금액을 잘못알거나 셋팅하여 주유하는 문제점을 해결해야하며 일일이 주유소를 별도로 셋팅하지 않고 자동으로 주유소를 인지하여야 하며 별도의 주유기를 셋팅하지 않더라도 고객이 정차한 인근의 주유기에서 주유기 가능하여야 한다.
비셀프주유기에서 미리 주유정보가 셋팅된 결제도구를 입력하게 되면, 결제도구에 저장된 주유정보를 입력 받아서 주유시스템에서 주유금액과 주유유종과 결제가 이루어져서 자동으로 주유기가 가동되도록 하여, 결제도구가 가지고 있는 한도의 부족이나. 결제도구의 일부 손상으로 인해서 난처한 경우를 없애면서, 주유원이 주유하기 위해서 주유유종과 주유금액을 잘못 셋팅하는 일이 없도록 하며, 결제도구의 제시만으로 주유금액과 주유유종을 주유기에 셋팅이 되기 때문에 주유원의 실수로 인한 혼유나 잘못된 주유금액을 셋팅하는 실수가 없게 되면서, 주유할 유종과 주유할 금액을 주유원이 셋팅하지 않도록 구성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무선 단말기 및 이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주유기 및 주유 시스템으로 구성된 시스템에서, 상기 무선 단말기에서, 유종 정보, 금액 정보, 결제 정보, 주유기 정보를 적어도 하나를 선택 가능하고, 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유종 정보, 금액 정보, 결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무선 단말기가 상기 주유기 또는 상기 주유 시스템 영역에 접근할 때 상기 무선 단말기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종 정보, 금액 정보, 결제 정보를 상기 선택된 주유기 또는 상기 주유 시스템으로 무선으로 전송하고, 상기 주유기 또는 상기 주유 시스템에서, 상기 유종 정보, 금액 정보, 결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주유기 또는 상기 시스템에 자동으로 주유 셋팅하도록 제공한다.
상기에서 무선으로 전송한 이후 상기 금액 정보는 수정 후 재전송이 가능하다.
상기 무선으로 전송하는 경우, 상기 결제 정보만이 상기 주유소 또는 상기 주유 시스템으로 전송되는 경우 상기 주유기 또는 상기 주유 시스템은 결제 정보를 기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결제 정보에 매칭되는 유종 정보, 금액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주유기 또는 상기 주유 시스템을 셋팅하도록 한다.
상기 무선으로 전송하는 것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주유기 또는 상기 주유 시스템에서, 상기 전송된 적어도 하나의 유종 정보, 금액 정보, 결제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주유기 또는 상기 주유 시스템에서, 상기 전송된 유종 정보, 금액 정보, 결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가 전송되지 않았거나 에러가 발생한 경우, 사용자로 하여금 유종 정보, 금액 정보, 결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도록 요구하고, 상기 주유기 또는 상기 주유 시스템에서, 상기 전송된 또는 상기 요구되어 전송된 유종 정보, 금액 정보, 결제 정보에 근거하여 결제하고, 상기 주유기 또는 상기 주유 시스템에서 상기 셋팅된 유종 정보, 금액 정보 및 승인 결과에 근거하여 주유하도록 제공한다.
상기 주유기 또는 상기 주유 시스템에서, 상기 결제하는 단계에서 전송되는 주유 정보, 금액 정보, 결제 정보가 전송되는 경우, 이전에 전송된 주유 정보, 금액 정보, 결제 정보와 상이할 경우 우선 순위를 정하거나, 수정을 하거나, 상이한 어느 한 쪽을 무시하도록 한다.
상기 주유기 또는 상기 주유 시스템에서, 상기 요구에 따라 사용자가 유종 정보, 금액 정보, 결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할 때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정보를 차단하도록 한다.
상기 금액 정보만이 전송되는 경우 기 저장된 유종 정보, 결제 정보에 근거하여 주유하도록 한다.
상기 유종 정보만이 전송되는 경우 기 저장된 금액정보, 결제 정보에 근거하여 주유하도록 한다.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전송된 적어도 하나의 유종 정보, 금액 정보, 결제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주유기 또는 상기 주유 시스템에서, 상기 유종 정보, 금액 정보, 결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주유기 또는 상기 시스템에 자동으로 주유 셋팅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무선 단말기, 상기 주유기 및 상기 주유 시스템에서, 근접 무선 통신 프로토콜(NFC 프로토콜)을 활성화하고, 상기 무선 단말기에서, 기 저장된 유종 정보, 금액 정보, 결제 정보를 사용자의 선택 과정 없이 상기 활성화된 근접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상기 주유기 또는 상기 주유 시스템에 전송하고, 상기 주유기 또는 상기 주유 시스템에서, 상기 근접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수신된 기 저장된 유종 정보, 금액 정보, 결제 정보에 근거하여 결제를 승인하고, 상기 주유기 또는 상기 주유 시스템에서, 상기 근접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전송된 기 저장된 유종 정보, 금액 정보, 결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가 전송되지 않았거나 에러가 발생한 경우, 사용자로 하여금 유종 정보, 금액 정보, 결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도록 요구하도록 한다.
상기 요구된 적어도 하나의 유종 정보, 금액 정보, 결제 정보는 상기 활성화된 근접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서 전송된다.
상기 무선 단말기에서, 상기 활성화된 근접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마일리지 카드 대한 정보와 할인정보와 쿠폰정보가 전송된다.
상기 무선 단말기에서, 상기 활성화된 근접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고객의 주유 패턴, 주유소 방문횟수, 평균 주유량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가 전송된다. 상기 무선 단말기에서, 스캔 가능한 바코드나 이미지를 갖는 주유기를 근거리에서 스캔하거나, 하나 이상의 주유기들의 배치를 화면에 표시하거나, 번호나 코드로 구성된 주유기 식별자를 사용자가 직접 선택하거나, 주유 시스템으로부터 선택 가능한 번호나 코드로 구성된 주유기 식별자를 수신하여 선택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주유기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을 이용한 자동 주유 방법.
상기 결제정보는 휴대폰 번호, IP 주소, 인터넷 계정, 신용카드 번호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주유기 또는 상기 주유 시스템은 상기 결제정보를 기 저장하고, 상기 결제정보만이 상기 무선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경우에 상기 결제정보에 매칭되는 유종정보, 금액 정보가 상기 주유기에 세팅된다.
상기 무선 단말기에서,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유종 정보, 금액 정보, 결제 정보를 문자코드, 바코드, QR 코드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저장하고, 상기 무선 단말기가 상기 주유기 또는 상기 주유 시스템 영역에 접근할 때 상기 무선 단말기에서 적외선 통신 프로토콜 방식으로 상기 주유기 또는 상기 주유 시스템으로 전송된다.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유종 정보, 금액 정보, 결제정보는 가입자 식별 모듈 칩, NFC 칩, 신용카드의 RFID 칩에 저장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구성에 근거하여, 모바일로 주유유종과 주유금액을 셋팅하고 이를 받아들이는 주유기시스템에서 모바일을 사용하게 되면, 별도의 주유유종과 주유금액의 셋팅없이 주유기가 가동되도록하여 혼유나 잘못된 금액의 셋팅으로인한 실수를 줄일 수가 있고, 신용카드로 주유하는 시간보다는 전체적으로 주유하기 위해서 셋팅되는 시간이 줄어들게 되며. 이때 고객은 주유기에 별도의 셋팅을 하지 않아도 될 수있기 때문에 편리함과 잘못된 유종을 주유하여 혼유가 가능한 부분에서 안전성을 가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셀프주유기를 자연인이 사용하는 동안 모바일로부터 외부신호가 전달될 경우 서로 충돌이 발생하지 않도록 셀프주유기시스템을 구축한다면 안정적인 셀프주유기의 작동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자연인이 셀프주유기를 사용할때 모바일를 통하여 셀프주유기에 결제정보와 주유정보와 주유할 금액을 전달할 수있도록하여 셀프주유기와 모바일을 사용하는 자연인에게 불편을 느끼지 않도록 셀프주유기의 작동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대기단계에서 모바일이 NFC를 통하여 전달받은 주유정보를 처리하는 대기단계을 안정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대기단계에서 모바일과 셀프주유기의 NFC를 활용하여 다양한 쿠폰의 제공 및 할인정보와 마일리지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다양한 활용방법을 구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고객이 미리 주유셋팅을 하기 때문에 편리함이 있으며 해당 시스템을 갖춘 주유소에 고객이 방문하기 때문에 고객을 유입하는 효과가 있다. 주유하기전 도구를 이용하여 주유할 유종과 금액과 결제를 미리셋팅함으로써 주유할 당시의 현장에서 혼유와 잘못 셋팅된 금액으로 인한 피해가 없어지게 된다. 미리 셋팅된 내용에 의해서 셀프주유기에서 바로 주유가 가능하기 때문에 시간적인 이점과 편리함이 있으며, 고객이 직접적으로 비닐장갑을 사용하여 직접적인 접촉을 피할 수 있는 셀프주유기의 주유건 외에는 사람이 직접 주유기의 일부를 접촉할 필요가 없어 세균으로부터 감염의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또한, 주유정보가 셋팅된 결제도구를 이용한 주유셋팅시스템을 구성하게 됨으로써, 비셀프주유기에서 미리 주유정보가 셋팅된 결제도구를 입력하게 되면, 결제도구에 저장된 주유정보를 입력 받아서 주유시스템에서 주유금액과 주유유종과 결제가 이루어져서 자동으로 주유기가 가동되도록 하여, 결제도구가 가지고 있는 한도의 부족이나. 결제도구의 일부 손상으로 인해서 난처한 경우를 없앨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가 휴대용무선기기만을 이용하여, 주유하고자 하는 주유기를 셋팅 가능 하도록 하여 혼유의 가능성과 잘못된 금액을 셋팅하는 실수를 줄일 수 있고 휴대용무선기기의 정보를 타인에게 제공하지 않아서 범죄의 위험이 줄어들면서, 주유기에 직접적으로 주유셋팅하는 복잡한 과정이 없도록 고객에게 편의성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기에서 주유정보와 결제정보를 주유기로 전송하고 결제를 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주유기에서 설정한 값과 단말기에서 전송한 값이 충돌했을 때 주유소 시스템에서 처리하는 방법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주유기에서 설정한 값과 단말기에서 전송한 값이 충돌했을 때 처리하는 방법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주유기에서 설정한 값과 단말기에서 전송한 값이 충돌했을 때 처리하는 방법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주유 시스템의 일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주유 시스템의 다른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7은 대기단계에서 NFC를 적용한 셀프주유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8은 대기단계에서 NFC를 적용한 주유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9은 대기단계에서 NFC를 적용한 주유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대기단계에서 점프할 다음 단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1은 대기단계에서 NFC를 적용한 셀프주유시스템을 구성하는데 있어서 인증을 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인증단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3은 대기단계에서 NFC를 적용한 셀프주유시스템을 구성하는데 있어서 쿠폰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4는 도 11에 도시된 쿠폰정보확인단계 및 쿠폰 전송단계의 일 예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5는 도 11에서 제공된 쿠폰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16은 대기단계에서 NFC를 적용한 주유시스템을 구성하는 블록도이다.
도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기와 주유 시스템 간의 정보 전송 방법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OS 시스템을 이용한 주유방법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셀프주유소에서 POS 단말기를 이용한 주유셋팅 방법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기에서 주유정보와 결제정보를 주유기로 전송하고 결제를 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단말기는 사용자가 자신의 차량에 주유할 유종 정보와, 주유금액 정보와, 결제 정보, 주유기 정보, 주유소 정보 등을 입력할 수 있도록 화면을 제공하고, 사용자는 이 화면 상에서 주유 유종 정보, 주유 금액 정보, 주유기 정보, 주유소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S100)
이와 같이 선택된 주유 유종 정보, 주유 금액 정보, 결제 정보, 주유기 정보, 주유소 정보(이하, 주유 정보)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정보는 단말기에 기 저장되었다가 해당 주유기 또는 해당 주유기에 연계된 주유소 내에 POS(Point Of Sales system, 이하 POS) 시스템에 자동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주유기 또는 상기 주유 POS 시스템에 제공되는 주유 정보는 원거리의 공중 이동통신 망을 이용하거나, NFC(Near Field Communication)와 같은 근접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선택된 주유 유종 정보, 주유 금액 정보, 결재 정보, 주유기 정보, 주유소 정보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정보는 문자코드나 바코드나, QR 코드 등의 형태로 단말기에 저장되었다가, 단말기 화면에 상기 저장된 문자코드나, 바코드나, QR 코드 등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고, 적외선 등의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해당 주유기나 주유 POS 시스템으로 자동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때, 해당 주유기나 해당 주유 시스템이 상기 단말기에 표시된 문자코드나, 바코드나, QR 코드 등의 스캔 신호를 적외선 방식의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수신하고, 이에 대한 스캔 결과를 해당 주유기나 해당 주유 시스템으로부터 단말기가 수신하여 다시 확인하는 방식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단말기 상에서 주유 대기를 선택할 때 상기 세팅된 주유 정보가 표시되고, 이 중 적어도 하나의 주유 아이템을 수정할 수 있도록 화면을 제공한다.
상기 주유정보입력단계(S100)에서 선택된 주유유종과 주유금액은 같이 선택된 결제정보와 연동되어 단말기에 저장되고, 이후 사용자 선택에 의해 또는 주유 존 진입 시 주유 시스템으로 자동으로 전송될 수 있다. (S200, S300)
상기 선택된 주유유종, 주유 금액, 결제 정보, 주유기 정보 들 적어도 하나는 단말기 내부에 설치된, 독립적으로 존재하여 해당 단말기와 접속 가능한 가입자 식별 모듈 칩(유심칩), NFC 칩, 신용카드 등의 RFID 칩 등에 연동되어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결제정보와 연동되도록 저장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결제정보가 주유시스템에 전달될 때 결제정보가 전달되면서 자동으로 주유유종과 주유금액이 전달되도록 연동되어 전달 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주유시스템에 결제정보, 주유유종과 주유금액 중 적어도 하나를 먼저 전달하도록 하고, 전달된 다음에 전달하지 못한 결제정보, 주유유종과 주유금액을 주유소시스템에 전달하도록 구성될 경우 결제정보와 연동되었다라고 할 수 있다.
또한 결제정보와 연동된다는 방법으로는 단말기 주유소시스템에 결제정보와 주유유종과 주유금액이 전달이 가능하도록 저장하는 것 또한 결제정보와 연동되었다고 할 수 있으며, 주유소시스템에 결제정보와 주유유종과 주유금액이 전달이 가능하지 못할 경우에는 주유소시스템에서 주유유종과 주유금액을 요청하더라도 주유소시스템에 전달할 수 없기 때문에, 주유소시스템에 전달이 가능하도록 단말기에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것 자체도 결제정보와 연동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주유정보연동단계(S200) 이후에 특정 주유기에 대한 정보 없이 특정의 주유기와 단말기와 송수신하지 않고, 주유소시스템과 단말기가 송수신할 때 또는 상기 주유기에 에러가 발생하여 상기 주유기가 주유유종과 주유금액을 자동으로 세팅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주유 시스템에서 단말기가 주유기를 식별할 수 있거나, 선택할 수 있도록 소정의 메뉴로 구성된 화면을 상기 단말기에 제공한다. 해당 화면에서 사용자가 주유기를 선택하면, 주유기의 정보와, 결제정보와, 결제정보와 연동된 주유유종과 주유금액을 주유소시스템에 전달한다. (S300)
상기 단말기는 주유기의 화면에 표시된 식별자, 바코드, 이미지(QR 코드) 등을 스캔하여 해당 주유기를 지정할 수 있으며, 주유소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된 주유소 내의 주유기 배치도, 주유기에 붙어 있는 번호, 또는 코드를 참고하여 사용자가 해당 주유기를 선택할 수 있으며, 상기 주유기에 붙여 있는 번호 또는 코드를 사용자가 직접 입력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주유소의 주유만을 본 발명에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주유소처럼 차량에게 연료를 주입할 수 있는 가스충전소와 전기충전소에서도 주유유종을 선택할 때 충전할 수 있는 연료를 선택하도록 구성하고, 선택된 연료에 대한 금액을 설정하여 연료의 결제시 단말기의 무선 기능을 사용하여 원하는 연료와 원하는 금액을 셋팅하여 단말기에서의 연료 세팅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주유기에서 설정한 값과 단말기에서 전송한 값이 충돌했을 때 주유소 시스템에서 처리하는 방법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주유 시스템은 주유를 세팅하기 전에 주유를 대기하는 대기단계(S1), 주유할 유종을 선택하는 유종선택단계(S2), 주유할 금액을 선택하는 금액선택단계(S3), 다수의 결제 수단 중 적어도 하나의 결제 수단을 선택하는 결제선택단계(S4), 상기 선택된 결제 수단에 근거하여 결제를 승인하는 결제단계(S5), 결제 승인 후 해당 주유기가 해당 차량에 주유를 할 수 있도록 세팅하는 주유기세팅단계(S6), 상기 차량에 주유를 행하는 주유단계(S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대기단계에서부터 주유단계까지의 각 단계마다 해당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외부신호(주유에 필요한 주유유종정보, 주유금액정보, 주유기정보, 주유소 정보, 결제정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해당 단말기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를 각 단계마다 적용할 것인지를 아닌지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주유기에서 설정한 값과 단말기에서 전송한 값이 충돌했을 때 처리하는 방법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주유 시스템은 주유를 세팅하기 전에 주유를 대기하는 대기단계(S1), 주유할 유종을 선택하는 유종선택단계(S2), 주유할 금액을 선택하는 금액선택단계(S3), 다수의 결제 수단 중 적어도 하나의 결제 수단을 선택하는 결제선택단계(S4), 상기 선택된 결제 수단에 근거하여 결제를 승인하는 결제단계(S5), 결제 승인 후 해당 주유기가 해당 차량에 주유를 할 수 있도록 세팅하는 주유기세팅단계(S6), 상기 차량에 주유를 행하는 주유단계(S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주유소 시스템은 대기단계(S1), 유종선택단계(S2), 금액선택단계(S3) 이전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주유유종 정보, 주유 금액 정보, 결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이하, 외부신호)가 있는지를 판단한다. (S8) 만일, 이들 정보가 모두 있는 경우(S5-1), 대기 단계(S1)를 거쳐, 결제 정보를 이용하여 결제 단계(S5-1)를 진행한다. 이후 주유 단계(S7)로 진입하여 해당 주유기가 자동으로 주유 정보를 세팅하고 해당 차량에 주유를 제공한다. 또는 주유 정보가 세팅되었음을 주유원에게 알려 주유원이 해당 차량에 주유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이들 정보가 없는 경우 대기단계(S1)를 유지하거나, 유종선택단계(S2) 및 금액선택단계(S3)로 진행하면서 단말기 사용자가 유종정보와 금액정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이들 정보 중 어느 하나라도 전송되지 않았거나, 전송되었다 하더라도 전송 과정 중에 에러가 발생한 경우 대기단계(S1)를 유지하거나, 유종선택단계(S2), 금액선택단계(S3)로 진행하여 해당 단말기가 유종을 선택하거나, 금액을 선택할 수 있도록 화면을 제공한다. 이후 선택된 결제 수단에 근거하여 결제 정보를 이용하여 결제 승인 단계(S5)를 진행한다. 이후 주유기셋팅단계(S6) 및 주유 단계(S7)로 진입하여 해당 주유기가 자동으로 주유 정보를 세팅하고 해당 차량에 주유를 제공한다. 또는 주유 정보가 세팅되었음을 주유원에게 알려 주유원이 해당 차량에 주유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대기단계(S1)로부터 제공된 외부신호에 유종정보와 금액정보가 있고, 별도의 결제 정보가 없는 경우, 상기 유종정보와 금액정보로부터 결제정보를 유추할 수 있다. 이때 필요한 정보를 식별코드라고 지칭하고, 이 식별코드는 해당 단말기 자체 또는 해당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제공된 IP 주소, 전화번호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대기단계(S1)에서 결제단계(S5-1)로 이동하고, 이 결제단계(S5-1)에서 결제정보가 없더라도 상기 식별코드를 분석하거나, 다른 서버나, POS 시스템에 상기 식별코드를 전송하여 주유가 가능하다는 승인 및 신호를 받도록 구성할 수 있다.
다른 한편, 상기 대기단계(S1)로부터 제공된 외부신호에 유종정보, 금액정보, 결제정보가 없는 가운데 단말기 또는 단말기 사용자로부터 유종선택단계(S2-1), 금액선택단계(S3-1)를 통하여 유종정보 또는 금액정보에 근거하여 단말기 또는 단말기 사용자의 결제정보를 유추할 수 있다. 이 유추한 결제 정보에 근거하여 결제승인단계(S11, S11-1)를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유종선택단계(S2), 금액선택단계(S3)는 동시에 진행되거나, 순차적으로 진행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주유 유종 정보, 주유 금액 정보, 결제 정보는 모두 존재하거나, 적어도 하나 존재하여 다른 정보를 유추할 수 있을 정도면 충분하다. 예를 들어, 상기 결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주유 유종 정보, 주유 금액 정보를 유추할 수 있기도 하다. 상기 결제 정보는 주유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외상을 위해 제공되는 정보를 포함하기도 한다.
상기 결제선택단계(S4)에서 결제방법은 신용카드, 현금, 외상, 모바일 결제 중에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게 되며, 모바일 결제인 경우 외부에서 단말기로부터 제공된 유종정보, 금액정보, 결제 정보가 주유 시스템에서 유지되거나 수정될 수 있으며, 이때 유지 및 수정은 주유 시스템을 구성하는 프로그램에 의해서 제공될 수 있다.
셀프 주유 시스템에서 평상시 주유기는 대기상태(S1)로 유지하고 있다가, 고객이 주유를 시작한다는 동작을 하면, 상기 주유기는 이에 전기적인 신호, 예를 들어, 카메라를 통한 고객의 제스처 촬영, 주유기에 포함된 터치 입력 디바이스를 통한 정전 입력 신호,로 반응하여 유종선택단계(S2), 금액선택단계(S3), 결제선택단계(S4)로 진행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대기단계란 주유기를 자연인이 직접 주유기의 유종과 금액을 선택하기 전의 단계를 의미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주유기가 주유유종과 주유금액을 선택하기 전에, 주유유종과 주유금액을 선택하는 기능 외에 다른 추가기능을 구현하고 있는 경우 또한 대기단계라고 할 수 있으며, 추가기능의 하나의 바람직한 예를 든다면, 셀프주유 모니터에서 광고 등이 나오는 경우가 이에 속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주유기에서 설정한 값과 단말기에서 전송한 값이 충돌했을 때 처리하는 방법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주유 유종 정보, 금액 정보, 결제 정보는 대기단계(S1) 이전에 해당 단말기로부터 미리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S12-1) 또한, 유종선택단계(S2), 금액선택단계(S3), 결제선택단계(S4)에서는 해당 단말기로부터 추가되는 또는 변경되는 정보가 없도록 차단할 수 있다. (S12-2) 이렇게 함으로써 주유 과정 중에 단말기 사용자 또는 주유원에 혼선을 주지 않도록 한다.
만일, 유종선택단계(S2), 금액선택단계(S3)를 제외한 결제단계(S5)에서만 해당 단말기로부터 추가되는 또는 변경되는 정보가 전달되게 하는 경우 (S12-3), 해당 단말기의 사용자의 선택이 아닌 NFC와 같은 근접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결제 정보가 주유 시스템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만일, 결제단계(S5)에서 해당 단말기로부터 추가되는 또는 변경되는 정보가 전달되게 하는 경우(S12-3), 이 단계에서 제공된 정보와 결제단계(S5) 이전에 제공된 유종정보, 주유정보가 상이한 경우 결제정보만을 적용하고, 이전의 유종정보, 금액 정보는 무시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다른 한편, 결제 정보, 유종 정보, 금액정보를 모두 이용하여 주유를 하는 방법 이외에도 상황에 따라서 결제정보, 유종정보, 금액정보를 각각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주유소 시스템에서 자연인으로부터 대기단계(S1)부터 시작하여 결재단계(S5)까지 유종정보, 금액정보, 결제정보가 모두 포함된 정보를 직접적으로 제공받는 경우 유종정보와 금액정보를 무시하고, 결제정보만을 이용하여 주유기를 세팅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5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주유 시스템의 일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주유 시스템의 다른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단말기(13)의 통신기능을 이용하여 도5에서 처럼 단말기의 기지국(14)에 1차적으로 신호(S20-1)를 전달하거나, 도6에서처럼 단말기(13)의 통신기능을 이용하여 직접적으로 외부신호를(S8) 전달할 수 있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서 도5를 들어 설명하면, 기지국(14)에 도착한 신호(S20-1)은 다시 기지국(14)를 통하여, 별도의 서버(16)으로 신호(S20-3)이 전송되고 이때 전송받은 서버(16)에서는 다시 주유소에 있는 POS SYSTEM(Point Of sales System, 17)에 신호(S20-5)를 전송하게 되며 이때 POS SYSTEM(17)과 셀프주유기는(21) 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셀프주유기시스템단계(S9)에 외부신호(S8)를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외부신호(S8)를 전달하는 다른 방법으로는 셀프주유기(21) 자체에 통신기능이 자체적으로 구비가 되어 있을 경우에 기지국(14)에서 직접적으로 셀프주유기(21)에 신호(S20-10)를 전송할 수 있고 이때 셀프주유기시스템단계(S9)에 외부신호(S8)를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외부신호(S8)를 전달하는 또 다른 방법으로는 기지국(14)에서 셀프주유기(21)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유선단말기(18)과 무선단말기(19)에 신호(S20-8)과 신호(S20-9)를 전송하게 하여, 셀프주유기(21)과 연결된 유선단말기(18)과 무선단말기(19)로부터 셀프주유기시스템단계(S9)에 외부신호(S8)를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외부신호(S8)를 전달하는 또 다른 방법으로는 기지국(14)으로부터 주유소 내에 와이파이 또는 AP같은 별도의 주유소내통신장치(15)가 있다면 신호(20-2)를 통하여 외부신호(8)의 정보가 전달되고 이때 주유소내통신장치(15)는 다시 POS SYSTEM(17) 또는 셀프주유기(21)자체에 신호(S20-7)과 신호(S20-11)를 전달하거나 별도의 서버(16)에 신호(S20-6)을 전송하도록 하고 다시 POS SYSTEM(17)에 신호(S20-5)을 전송하여 셀프주유기시스템단계(S9)에 외부신호(S8)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도6을 보면 단말기(13)를 통하여 기지국(14)을 통하지 않고서 단말기(13)에서 바로 주유소내통신장치(15)와 서버(16)과 POS SYSTEM(17)과 유선단말기(18)과 무선단말기(19)에 직접적으로 신호(20)를 전송하여 셀프주유기시스템단계(S9)에 외부신호(S8)를 전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여기서 단말기(13)를 통하여 셀프주유기(21)에 직접적으로 전달하는 방법이 신호(S20-10)에 의해서만 전달되어 외부신호(S8)가 셀프주유기(21)의 셀프주유기시스템단계(S9)에 전달할 수 있다는 것만은 아니며, 이를 설명하면 단말기(13)에 NFC와 같은 통신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을 경우 셀프주유기(21)의 본체 또는 유선단말기(18)과 무선단말기(19)에 NFC와 같은 무선통신 이용하여 단말기(13)에 있는 외부신호(S8)을 셀프주유기시스템단계(S9)에 전달할 수 있으며, 다른 방법으로는 단말기(13)에서 제공하는 이미지인 바코드나 QR코드와 같은 이미지를 셀프주유기(21)에서 스캐너 등의 기능을 이용하여, 셀프주유기(21)를 구동하는 셀프주유기시스템단계(S9)에 바코드나 QR코드와 같은 이미지에 외부신호(S8)를 포함시킨 후에 셀프주유기시스템단계(S9)으로 외부신호(S8)를 전달할 수 있다.
도5와 6을 예제로 들었듯이 외부신호(S8)가 셀프주유기시스템단계(S9)에 전달되는 방식이 여러 방법으로 나눠지게 됨을 알 수 있듯이, 외부신호(S8)에 결제정보와 유종정보와 금액정보를 동시에 전달될 수도 있지만, 각각의 정보를 시간적인 차이와, 단말기(13)에서 셀프주유기시스템단계(S9)에 전달되는 신호(20)의 여러 가지 경로를 사용하여 외부신호(S8)을 전달할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7은 대기단계에서 NFC를 적용한 셀프주유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단말기 및/또는 주유기 간에 근접 통신 프로토콜에 기반하여 NFC활성화단계(S1-2), 이 활성화된 NFC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 및 상기 주유기 간에 주유에 필요한 주유 정보 및 이것의 응답 신호를 교환하는 NFC송수신단계(S1-3), 주유 시스템에서 상기 주유 정보를 확인하고, 앞서 도시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단계들로 점프가 가능한지를 판단하기 위한 주유정보확인단계(S1-4), 이 판단 결과에 따라 해당 단계로 점프하는 점프단계(S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8은 대기단계에서 NFC를 적용한 주유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9은 대기단계에서 NFC를 적용한 주유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16은 대기단계에서 NFC를 적용한 주유시스템을 구성하는 블록도이다.
상기에서 NFC장치를 활성화하는 방법으로는 단말기의 NFC와 셀프주유기의 NFC의 한쪽 또는 전부에서 NFC 신호가 발생하게 되면, 발생된 NFC 신호에 의해서 모바일 및 셀프주유기의 NFC에서 서로 통신이 가능하도록 동기화 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NFC의 특성상 별도의 동기화가 아니더라도 단말기의 NFC를 통하여 셀프주유기의 NFC간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8 및 도 16에서처럼 NFC활성화단계(S1-2) 이전에 센서신호수신단계(S1-1)에서 유입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NFC활성화단계(S1-2)를 구성할 수 있으며, 이때 센서신호수신단계(S1-1)은 셀프주유기에 자동차나 사람과 같은 물체가 있을 경우 동작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셀프주유기(21-1)에 자동차(22-2)가 위치하게 되면 센서(25-2)에 의해서 셀프주유기(21-1)의 앞에 자동차(22-2)가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때, 센서신호수신단계(S1-1)에서 인지된 신호가 NFC활성화단계(S1-2)에 전달되며, 이때 전달된 신호에 의해서 셀프주유기의 NFC가 동작을 하면서 모바일의 NFC로부터 송수신이 가능한 모드로 활성화되도록 구성된 NFC활성화단계(S1-2)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신호수신단계(S1-1)에서 센서의 위치로는 센서(25-1에서 처럼 셀프주유기(21-1)와 분리된 별도의 센서(25-1)를 구성할 수 있으며, 이때 자동차(22-1)가 센서(25-1)을 통과하여 자동차(22-2)의 위치에 있을 때, 센서(25-1)에 자동차(22-2)가 감지되지 않더라도 셀프주유기(21-1)에 자동차(22-2)가 있다고 가정할 수 있음으로 NFC활성화단계(S1-2)에서 센서(25-1)을 통하여 전달된 신호를 이용하여 일정 시간 동안 NFC장치를 활성화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유기NFC(30) 근처에 있는 센서(25-3)에 의해서 자연인(31)이 주유기NFC(30)에 모바일(21)을 근접시킬 때 센서(25-3)이 동작되도록 하여 센서신호수신단계(S1-1)를 구성할 수도 있다.
다른 한편, 도 9 및 도 16을 참조하면, NFC활성화단계(S1-2)을 위해서 모바일여부선택단계(S16)가 첨가된 대기단계에서 NFC를 적용한 셀프주유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NFC활성화단계(S1-2)이전에 도16에서 셀프주유기(21-1)의 터치모니터(32)에 단말기를 활용 할 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는 소정의 메뉴를 표시하도록 구성하고, 자연인(31)이 터치모니터(32)을 터치하여 단말기(13)를 활용할 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다. 만일, 이러한 단말기(13)를 선택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서 NFC활성화단계(S1-2)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터치모니터(32)을 이용할 경우, 터치모니터(32)에 단말기, NFC, 스마트폰, 모바일 결제와 같은 문구와 이미지를 보여주도록 구성하고, 구성된 문구 또는 이미지를 자연인(31)이 선택할 수 있다. 만일, 터치모니터(32)를 이용하지 않더라도 셀프주유기(21-1)에 별도의 키패드 및 버튼을 구비하거나 전자장치를 구비하고, 구비된 장치를 자연인이 선택할 경우에 동작하는 모바일여부선택단계(S16)를 구성할 수 있다.
NFC활성화단계(S1-2)가 필요한 이유는 단말기와 셀프주유기의 NFC가 서로 송수신하기 위해서 서로 동기화를 맞추기 위한 목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NFC장치가 오동작하거나 항상 전원이 인가되어서 NFC장치에 무리가 가거나, 또는 주유시스템을 구성하면서 NFC장치를 상시적으로 사용할 필요가 없을 경우에, 단말기에 탑재된 NFC 장치가 일시적으로 대기모드로 있다가 주유하고자 하는 자동차(22)나, 사람(31)이나, 단말기(13)이 셀프주유기(21) 근처에 위치하게 될 경우 NFC장치를 동작하도록 구성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NFC송수신단계(S1-3)에서는 NFC활성화단계(S1-2)에서 동기화가 안될 경우에 동기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동기화가 필요 없다면 단말기의 NFC에 있는 주유정보를 셀프주유기에 전달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단말기의 NFC를 통하여 주유정보를 전달받기 전 또는 후에 셀프주유기에서 NFC를 통하여 단말기로 기 등록된 정보를 전달하거나, 전달 후 재전달 받을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주유정보는 주유할 유종과 금액을 의미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마일리지 카드에 대한 정보와, 단말기의 번호와, 할인정보와, 쿠폰정보와 기존 주유내역을 알 수 있는 정보들 또한 주유정보라고 할 수 있다.
상기 주유정보확인단계(S1-4)에서 마일리지 카드에 대한 정보와, 단말기의 번호와, 할인정보와, 쿠폰정보와 기존 주유내역을 확인한 후, 기존의 마일리지에서 해당 주유 금액을 차감하거나, 해당 주유 금액에서 해당 할인정보 또는 쿠폰 정보만큼 차감할 수 있다. 또는 점프단계(S1-5)이후의 단계에서 마일리지 적립 및 주유할인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이것은 본 발명의 대기단계에서 NFC를 통하여 마일리지 카드에 대한 정보와 할인정보와 쿠폰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에서 결제 정보는 주유할 유종과 금액을 승인할 수 있는 정보를 의미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주유소에서 외상을 할 경우에 외상을 승인 받을 수 있는 정보와 은행계좌에 자동이체를 신청할 수 있는 정보 또는 결제금액에 상응하는 대가를 지불하거나 지불을 약속을 하기 위한 정보 또한 결제정보라고 한다.
또한 결제정보에 있어서 마일리지나 현금과 대체가 가능한 점수를 사용할 수 있다면 이것 또한 결제정보라고 하며, IP 주소나 서버의 URL주소를 지칭하고 지칭된 곳의 프로그램에 의해서 결제가 가능하도록 하는 정보 또한 결제정보라고 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대기단계에서 점프할 다음 단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주유정보확인단계(S1-4)에서 확인된 주유정보에서 주유할 유종과 금액과 결제에 대한 정보가 있을 경우, 결제의 승인을 받은 후, 셀프주유시스템단계(S9)중 주유기셋팅단계(S6)로 점프한다. 만일, 주유기셋팅단계(S6)로 점프하기에 부족한 정보가 있으면, 부족한 정보를 얻기 위해서 셀프주유시템단계(S9)를 구성하는 소정의 단계로 구성된 단계로 점프가 되도록 구성된 대기단계(6)에서의 점프단계(5)로 구성된다.
상기 대기단계에서 단말기의 NFC를 통하여 주유정보가 수신되면, 해당 주유정보를 파악한 후, 셀프주유시스템단계(S9)을 구성하는 각 단계 중 일부로 점프하도록 NFC를 적용한 셀프 주유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셀프주유시스템단계(S9)의 대기단계(S1)에서 주유할 유종과 금액과 결제정보를 알게 될 경우, 미리 프로그램된 절차에 따라서 셀프주유시스템단계(S9)로 점프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통해서 표시하였다. 또한 이때 대기단계(S1)에서 각 단계로 점프할위치(S18)를 표시하였으며, 이때 점프할위치(S18)는 각 단계의 전과 후 또는 각 단계를 구성을 돕기위한 셀프주유시스템단계(S9)를 구성하는 별도의 단계로 점프할 수 도 있다.
여기서 점프단계(S1-5)의 구성으로 셀프주유기가 대기단계(S1)에 있을 때 모바일의 NFC를 통하여 셀프주유기에 주유정보가 전달되면 대기단계(S1)를 벗어나 주유정보의 내용에 따라서 미리 지정된 셀프주유시스템단계(S9)을 구성하는 단계로 단계점프(S1-5)가 가능하다.
도 11은 대기단계에서 NFC를 적용한 셀프주유시스템을 구성하는데 있어서 인증을 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인증단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NFC를 통하여 주유정보가 셀프주유기에 전달이 될 때 주유정보확인단계(S1-4)에서 주유정보 중 결제를 재차 확인할 수 있는 인증단계(S19)를 넣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인증단계(S19)는 결제정보의 보안을 위해서 결제정보에 대한 암호를 입력하기 위한 방법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NFC에서 정보가 셀프주유기의 NFC로 전달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도록 확인여부를 묻는 방법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셀프주유기로 전달된 주유정보에 대해서 잘못된 부분이 있는지에 대한 확인을 거치는 방법으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결제를 하기 위한 방법으로 구성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인증단계(S19)는 패스워드를 통한 인증단계(S19-1)과, 지문 및 홍채인식을 통한 인증단계(S19-2)와, 외부신호를 통한 인증단계(S19-3)과, 기 등록된 정보를 통한 인증단계(S19-4)중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단계를 통하여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기 등록된 정보를 통한 인증단계(S19-1)를 구성할 경우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면, 주유정보확인단계(S1-4)에서 주유할 유종정보와 금액정보만 있고 결제정보가 없을 경우 인증단계에서 자연인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기 등록된 정보를 입력하면,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기 등록된 정보와 대칭이 되는 결제정보를 찾은 후 결제의 승인을 받도록 셀프주유기를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의 NFC를 통하여 전달받은 정보를 이용하여 주유정보확인단계(S1-4)에서 휴대폰번호에 대해서 전달 확인이 되면, 인증단계(S19)을 통해서 자연인으로부터 암호를 입력받도록 인증단계(S19)을 구성할 수 있다. 이때, 휴대폰번호와 인증받은 암호를 이용하여 휴대폰번호와 암호를 이용하여 결제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시스템으로부터 결제의 승인여부를 받을 수 있게 되어 결제정보를 이용하여 결제승인을 얻을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단말기의 NFC에서 전달된 폰번호 또는 단말기를 표시하는 정보를 셀프주유기에서 전달받고 인증단계(S19)를 통하여 자연인으로부터 결제승인이 가능한 정보를 받은 후, 주유할 유종과 금액을 이용하여 점프단계(S1-5)에서 주유기셋팅단계(S6)로 바로 점프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결제승인에 대한 정보라고 하면 인증단계(S19)에서 받은 정보를 이용하여 결제승인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을 경우에 대한 정보를 의미하며, 하나의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면, 인증단계(S19)이전에 모바일폰번호를 전달받고, 인증단계(S19)에서 자연인으로부터 암호를 받았을 경우에, 모바일폰번호와 암호를 결제승인기관으로 전송하게할 수 있으며, 이때 결제승인기관에서는 모바일폰의 소유자에게 통신사 통신요금에 같이 청구될 수 있도록 할수 있으며, 이때 모바일폰과 같이 입력된 암호로 인해서, 통신사 통신요금에 같이 청구될 수 있다는 것을 확정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으며, 모바일폰번호와 암호가 일반은행일 경우에는 모바일폰번호와 대칭되는 계좌번호를 찾은 후 암호를 이용하여, 계좌이체할 수 있도록 일반은행에서도 결제승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3은 대기단계에서 NFC를 적용한 셀프주유시스템을 구성하는데 있어서 쿠폰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4는 도 11에 도시된 쿠폰정보확인단계 및 쿠폰 전송단계의 일 예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주유정보확인단계(S1-4)에서 주유시스템은 단말기로부터 제공된 주유정보를 확인하고, 이 주유정보에 대응하는 쿠폰정보를 단말기로 전송한다.
상기 쿠폰정보확인단계(S13)에서 주유 시스템은 상기 단말기로부터 제공된 주유정보에서 주유할 유종과 금액을 확인하고, 확인된 정보에 맞는 쿠폰을 찾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단말기의 NFC와 셀프주유기의 NFC가 서로 송수신이 가능한 정보를 인지하여 기 등록된 쿠폰정보를 해당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쿠폰의 종류는 주유할인과 같은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주유 목적이 아니더라도 단말기를 사용하는 자연인이 필요로 할 수 있는 쿠폰정보를 전달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고객의 주유패턴 및 주유소방문횟수와 평균 주유량과 같은 정보가 주유정보확인단계(S1-4)에 존재할 경우 이에 맞는 쿠폰을 해당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쿠폰전송단계(S14)에서 단말기의 NFC와 셀프주유기의 NFC가 서로 송수신하는 도 14를 참조하면, 쿠폰정보는 NFC을 통한쿠폰전송단계(S14-1), 주유시스템은 폰번호를 통한 쿠폰전송단계(S14-2), IP를 통한 쿠폰전송단계(S14-3), 계정을 통한 쿠폰전송단계(S14-4), 또는 서버를 통한 쿠폰전송단계(S14-5) 중에 하나 또는 하나이상의 단계를 이용하여 해당 단말기로 쿠폰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쿠폰전송단계(S14-1)에서와 같이 단말기 사용자에게 별도로 셀프주유기의 NFC에 접촉하도록 메뉴를 구성하여 별도의 쿠폰정보를 셀프주유기에서 모바일로 NFC를 통하여 전달 할 수 있다.
상기 폰번호를 통한 쿠폰전송단계(S14-2)에서 주유 시스템은 쿠폰정보확인단계(S13)에서 확인된 쿠폰을 주유정보확인단계(S4)에서 추출하여, 단말기의 무선기능을 이용하여, 모바일의 폰번호로 쿠폰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IP를 통한 쿠폰전송단계(S14-3) 또는 계정을 통한 쿠폰전송단계(S14-4)에서 주유시스템은 쿠폰정보확인단계(S13)에서 확인된 쿠폰을 주유정보확인단계(S1-4)에서 추출한 IP 및 계정을 통하여, 단말기의 무선기능을 이용하여, 추출한 IP 및 계정으로 쿠폰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이때, 단말기 사용자는 IP 또는 계정에 등록된 쿠폰정보를 불러올 수 있도록 단말기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IP는 인터넷 주소를 의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계정은 단말기를 사용하기 위해서, 단말기에 별도의 프로그램을 설치하거나, 단말기 자체에 등록된 계정을 의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계정은 다른 계정과 서로 식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버를 통한 쿠폰전송단계(S14-5)에서 주유시스템은 쿠폰정보를 기 설정된 서버에 저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해당 단말기 사용자는 기 설정된 서버로부터 쿠폰정보를 불러올 수 있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5는 도 11에서 제공된 쿠폰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쿠폰 정보를 제공받은 해당 단말기의 사용자가 쿠폰정보를 활용할 수 있도록, 가맹점에서 사용자가 제시한 쿠폰정보의 사용여부를 파악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기 등록된 서버에 쿠폰정보 및 이 쿠폰정보의 사용여부를 저장한다. (쿠폰서버저장단계, S15)
또는 주유소에서 사용자가 제시한 쿠폰정보의 사용여부를 파악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주유소에 있는 장치에 쿠폰정보 및 이 쿠폰정보의 사용여부를 저장한다. (주유소장치저장단계, S17)
여기서, 주유소에 있는 장치라고 하면 주유소에 있는 부대 시설 및 POS SYSTEM과 셀프주유기와 연동된 유무선 단말기가 있으며, 세차를 사용할 수 있는 단말기 등이 있다. 상기 주유소에 있는 장치 중 세차단말기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주유소장치저장단계(17)에 의해서 세차단말기에서 고객이 제시한 세차 쿠폰정보의 사용여부를 파악하고, 세차단말기에서 세차정보를 보고서 쿠폰정보를 사용하도록 세차원이 세차단말기를 설정한 후, 쿠폰정보를 제공한 모바일 사용자의 차량을 무료로 세차해주거나 할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만일, 셀프주유기와 연동된 POS SYSTEM에서 고객이 주유할인 및 판촉물 지급에 대한 쿠폰정보를 쿠폰전송단계(14)를 통해서 받은 후, 받은 쿠폰정보를 제시할 경우 해당하는 POS system에서 해당 주유할인과 판촉물의 지급여부를 파악하고, 모바일 사용자에게 주유할인과 판촉물을 지급할 수 있게 구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가맹점이라는 빵집이나 마트 및 음식점과 같은 가맹점을 의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맹점은 주유소와 연관이 없더라도 주유소와 제휴하여, 주유하는 동안 쿠폰전송단계(14)를 통하여 모바일에 쿠폰을 전송받을 수 있고, 이때 쿠폰버서저장단계(S15)에 의해서 저장된 쿠폰정보를 가맹점에서 확인하고, 쿠폰정보에 맞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쿠폰정보확인단계(S13)와 쿠폰전송단계(S14)와 쿠폰서버저장단계(S15)와 주유소장치저장단계(S17)와 인증단계(S19)는 대기단계(6)일때 작동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지만, 대기단계(S1)이 아닌 다른 단계에서도 구성할 수 있으며, 이때는 대기단계(S1)로부터 발생한 정보를 이용하여 각 단계에서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쿠폰정보확인단계(S13)와 쿠폰전송단계(S14)와 쿠폰서버저장단계(S15)와 주유소장치저장단계(S17)와 인증단계(S19)는 대기단계(S1)에 의해서 구성되었다고 할 수 있다.
도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기와 주유 시스템 간의 정보 전송 방법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해당 단말기는 주유셋팅 설정단계(S21), 주유소인지단계(S22), 요청단계(S23)를 통하여 주유 시스템으로 주유에 관련된 주유 정보를 전송한다.
상기 주유셋팅설정단계(S21)에서 단말기는 주유금액과 주유유종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할인 받을 쿠폰 정보를 미리 입력하여 할인을 미리 받을 수 있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마일리지 카드의 정보를 미리 입력하여 주유를 완료했을 때 마일리지를 자동으로 적립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주유셋팅설정단계(S21)에서 단말기는 주유할 정보만을 셋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신용카드나 별도로 주유의 한도를 부여하고, 부여된 주유의 한도 범위 내에서 주유금액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주유한도의 범위는 신용카드의 결제나, 마일리지 카드의 할인, 및 휴대폰이 가지고 있는 결제수단을 이용하여 주유한도를 설정 및 셋팅을 할 수 있다.
상기 주유셋팅설정단계(S21)과 상관없이 단말기는 등록된 주유소의 존에 들어 왔음을 인지할 수 있다. 즉, 단말기가 주유소 또는 주유소 인근에 왔음을 의미하며 해당 단말기는 탑재된 GPS 수신기를 이용하여 주유소 존을 파악할 수 있다. 또는, 주유소나 주유기에서 별도로 설치된 무선통신기기를 이용하여 주변 단말기들에게 주유소의 존 내에 있음을 알릴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해당 단말기는 주유소의 존을 인지할 수 있다. 이때, 주유소의 명칭이나 별도의 팝업 창을 표시하여 주유소의 존을 사용자에게 인식시킬 수 있다.
상기 요청단계(S23)에서 단말기는 단말기를 가진 고객이 주유를 할 의사가 있음을 주유시스템(100)에게 신호를 보낸다. 이 신호는 상기 주유셋팅설정단계(S21)의 설정정보의 일부를 요청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주유시스템(100)에 미리 주유 셋팅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신호는 해당 단말기가 상기 표시된 주유소의 명칭 또는 주유소의 존에 들어 왔을 때 표시되는 화면을 선택하는 방식으로 요청하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별도의 단말기의 내부 프로그램을 통해서 주유 가능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받은 주유 시스템(100)(S24)은 상기 단말기로부터 제공받은 정보를 서버에 저장한다. (S25) 상기 요청을 받은 주유 시스템(100)은 단말기로부터 제공받은 정보 자체를 저장하거나, 정보를 해석해서 해석된 내용을 토대로 가공하여 저장한다. 예를 들어, 서버에 저장되는 정보는 주유금액과 주유유종을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주유셋팅설정단계(S21)에서 필요한 고객정보와 단말기(13)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와 주유 결제시 필요한 승인요청과 같은 정보도 서버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서버저장단계(S25)에서 저장된 정보 또는 이를 토대로 가공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해당 단말기에 바로 주유가 가능할 경우 식별정보를 생성하고, 이 생성된 식별정보를 해당 단말기로 전송한다. (SS26, S27, S30)
상기 식별정보란 숫자를 의미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숫자를 입력하기 위한 패턴이나 전혀 다른 이미지에 패턴을 입력할 수 있으면 여러 개의 이미지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식별정보는 단말기, 단말기의 사용자, 주유원이 여러 개의 주유기들중 한대와 연관된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이다. 상기 단말기, 단말기의 사용자, 주유원이 상기 식별정보를 해당 주유기로 전송하거나, 입력하면, 해당 주유기가 자동으로 주유셋팅설정단계(S21)에서 설정된 내용을 토대로 주유단계(S32)를 수행할 수 있도록 사용된다.
상기 식별생성단계(S26)에서는 별도의 식별정보를 실시간으로 생성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미리 저장된 식별정보를 선택하는 과정을 통하여 식별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식별송신단계(S27)에서 주유시스템(100)에서 단말기(13)로 바로 무선으로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별도의 서버에 저장되도록 송신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상기 식별수신단계(S30)에서 주유시스템(100)에서 송신된 정보를 단말기(13)에서 바로 무선으로 수신 받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별도의 서버를 통하여 단말기(13)에 수신을 받을 수 있다.
상기 식별수신단계(S30)에는 상기 식별정보 이외의 주유정보를 함께 받을 수도 있다.
상기 식별정보 및/또는 주유정보를 수신받은 해당 단말기는 이 정보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화면에 표시한다. (S31) 상기 식별정보는 주유하고자 하는 주유기에 식별정보를 입력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 표시되며 이때 수신 받은 식별정보를 해석하여 별도의 또 다른 식별정보를 화면에 표시할 수도 있다.
상기 식별표시단계(S31)에서 단말기 또는 단말기 사용자가 이 식별정보를 인지하고 주유시스템(100)의 입력장치에 식별정보를 바로 입력하거나, 전송하면, 주유시스템(100)은 기 생성한 식별정보와 비교 검색하여 주유여부를 판단한다(S29).
주유기에서 별도의 키패드가 설치된 경우에는 별도의 키패드를 입력장치라고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셀프주유기가 터치화면을 가진 기능이 있을 경우에는 사람의 손으로 터치하여 숫자를 입력하거나 패턴을 넣는 것도 가능하며, 터치화면에 별도의 그림과 같은 패턴을 인식할 수 있는 장치를 입력장치라 하며, 주유원이 주유를 하는 주유소에서는 주유기에 붙여 있는 키패드나 주유기와 연동된 또 다른 단말기에 식별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장치도 입력장치라 한다.
상기 단말기(13)의 화면에 표시된 식별정보를 주유시스템(100)에서 스캔기능을 이용하여 단말기(13)의 화면에 표시된 식별정보를 바로 인식하는 장치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식별검색단계(9)에서 단말기(13)의 식별표시단계(S31)을 보거나 기억한 고객이 식별정보를 주유시스템(100)의 입력장치에 입력하거나 전송하는 경우에 입력된 또는 전송된 식별정보를 검색하여 주유셋팅설정단계(S21)에서 설정된 내용을 토대로 주유가 가능한지 여부를 검색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주유단계(S32)에서 해당 주유기의 입력장치에 식별정보를 입력하거나, 전송하면 해당 주유기가 주유단계(S3212)로 이동하여 바로 주유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주유단계(S32)는 실제적으로 고객이나 주유원이 주유할 수 있도록 주유기의 모터가 가동되거나 주유기의 건을 당겼을 때 주유가 가능한 단계를 의미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주유단계(S32)에서 신용카드나 현금을 요구로 결제를 유도한 후 주유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신용카드와 같은 결제수단을 요구하지 않는 경우는 주유셋팅설정단계(S21)에서 선결제를 한 경우에 별도의 결제를 요구하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주유종료단계(S33) 이후, 상기 주유된 정보를 단말기 사용자가 확인 및 저장할 수 있도록 해당 단말기로 주유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S34)
단말기 사용자 또는 주유 시스템(100)은 주유단계(S32)에서의 주유정보와 주유종료단계(S33)에서의 정보가 다를 경우와, 제대로 주유가 되었을 다른 장치에서 이용 가능하도록 보내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유 5만원이 셋팅된 후 주유를 하던 중 4만원만 주유가 되면 1만원의 차이를 해당 단말기로 돌려줘야하기 때문에 정보전달단계(S34)가 필요하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일반고객이 자신의 차량을 경유라는 정보와 주유할 수 있는 최대한의 금액 10만원을 주유셋팅설정단계(S21)에서 설정 했다고 가정하고, 본 발명이 시스템이 가능한 주유소에 방문하면, 자동으로 주유소인지단계(2)로 이동하면서 모바일(13)인 휴대폰 액정화면에 주유소의 명칭이 표시되는 주유소인지단계(S22)가 되며, 이때 고객이 주유소의 명칭을 선택하면 요청단계(S23)가 되며, 이때 식별정보가 모바일(13)에 표시되게 하기 위해서 수신단계(S24)와 서버저장단계(S25)와 식별생성단계(S26)와 식별송신단계(S27)와 모바일(13)의 식별수신단계(S30)와 식별표시단계(S31)를 거쳐 고객이 직접 모바일(13)의 휴대폰 액정화면으로 식별정보를 볼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이때 고객이 여러 주유기중 하나의주유기에서 식별정보를 입력하면 처음 주유셋팅설정단계(S21)에서 설정된 10만원의 금액과 경유가 자동으로 식별정보를 입력한 주유기가 셋팅되어 고객은 바로 주유단계(S32)와 주유종료단계(S33)을 거쳐 주유를 완료 하게 되는 것이며, 이때 10만원이 모두 주유되지 않았다면 정보전달단계(S34)에서 모두 주유되지 않았다는 정보를 해당 단말기로 보내게 되어 주유금액을 수정할 수 있게 정보를 보내는 것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OS 시스템을 이용한 주유방법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정보셋팅단계(S47), 식별검출단계(S48), POS검색단계(S50), 식별서버결제단계(S49), 주유셋팅및제어단계(S44), 주유시작단계(S45), 주유종료단계(S4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사용자는 셀프주유기에 정보의 전달이 가능한 휴대용결제도구에 주유할 유종과 금액과, 식별코드의 정보를 저장하여 셋팅하고(S47), 이 휴대용결제도구를 이용하여 주유할 유종과 금액과 식별코드를 해당 주유기로 전송한다.
상기 휴대용결제도구는 통신 기능을 갖는 단말기 또는 신용카드를 의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차량 내부에 장착된 전자장치나 별도의 내비게이션에서 셀프주유기로 주유할 유종정보, 금액정보, 식별코드를 전달할 수 있다면 이것 또한 휴대용 결제도구라고 할 수 있다.
상기 저장된 유종정보, 금액정보, 식별코드는 단말기의 경우 화면에 주유 유종과 금액과 식별코드를 표시할 수 있는 바코드나 이미지를 화면에 출력하고, 해당 주유기가 이 바코드나 이미지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유종정보, 금액 정보, 식별코드가 신용카드에 저장된 경우 해당 주유기는 비접촉식 카드인식 시스템을 이용하여 신용카드의 마그네틱 자체에 저장된 유종정보, 금액 정보, 식별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신용카드를 발급할 때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주유할 때 해당 주유기에서 신용카드에 저장된 내용을 바꾸어 영구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또는 주유할 때마다 신용카드에 저장된 내용을 임시적으로 바꿀 수 있으며, 설정된 주유 금액이 변경되는 주유 금액보다 클 때는 설정된 주유 금액은 자동으로 취소되고, 변경되는 주유 금액으로 다시 결재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식별검출단계(S48)에서 주유시스템은 상기 유종정보, 금액정보, 식별코드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식별코드 정보가 결제 기능의 정보가 있는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결제가 가능한 신용카드와 같은 결제회사의 서버에 상기 식별코드의 일부를 전송했을 때, 상기 주유금액의 승인여부가 가능할 때 상기 식별코드에 결제기능의 정보가 있다라고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식별코드의 일부가 아닌 상기 식별코드와 대칭이 되는 또 다른 코드가 상기 결제회사의 서버에 미리 저장이 되어있고, 이러한 대칭되는 다른 코드를 상기 결제회사의 서버에서 결제승인하는 경우도 결제기능의 정보가 있다고 가정할 수 있다.
만일, 결제 기능의 정보가 있는 경우 식별서버결제단계(S49)에 상기 유종정보, 금액정보, 식별코드 정보를 제공하고, 결제 기능의 정보가 없는 경우 POS 검색 단계(S50)에 상기 유종정보, 금액정보, 식별코드 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식별코드는 주유할 때 최종적으로 주유할 금액을 결제해주는 결제자의 정보에 대한 속성을 식별할 수 있는 코드를 의미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결제를 하기 위한 신용카드에 대한 정보의 속성을 가지고 있을 때도 의미한다. 또는 주유소에서 외상을 하는 고객이나 단체를 구분할 수 있는 코드 또한 식별코드에 해당된다.
상기 유종과 금액과 식별코드를 휴대용 결제도구로부터 동시에 받는다는 의미는 식별검출단계(S48) 전까지 유종과 금액과 식별코드가 순차적으로 전달되면 동시에 전달되었다고 할 수 있으며, 식별검출단계(S48)는 주유할 유종과 금액과 식별코드가 전송이 되지 않으면 동작을 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별서버결제단계(S49)에서 상기 식별코드의 정보가 있는 결재서버에 결재요청을 하여 결재 승인을 받는다. (S49)
상기 POS검색단계(S50)에서 POS 시스템은 미리 저장된 식별코드를 분석하여, 상기 유종정보와, 금액정보에 해당되는 내용으로 주유 가능하거나 불가능하다는 것을 검색하여 주유 여부를 승인한다. 상기 POS 시스템은 셀프주유기와 연동되어 있으면서 신용카드의 결제가 필요없는 외상고객과 미리 주유금액에 대해서 선결제를 하고 간 고객에게 제공한 식별코드를 저장하며, 신용카드의 결제가 필요 없는 고객의 단말기로부터 식별코드를 수신하면 해당 식별코드가 미리 저장되어 있는지를 검색하여 주유가 가능한지를 분석할 수 있으면서 주유 가능여부를 승인해줄 수 있다.
상기 식별서버결제단계(S49)와 식별POS 검색단계(S50)가 진행되지 않았을 때, 자연인의 손으로 직접 셀프주유기를 접촉하여 주유 유종과 주유금액을 셋팅하는 접촉셋팅단계(S41)와, 상기 접촉셋팅단계(S41)에서 셋팅된 금액을 결제하기 위해서 신용카드를 리딩하는 물리적카드리딩단계(S42)와, 상기 물리적카드리딩단계(S42)에서 리딩된 신용카드 결제회사의 서버에 리딩된 정보를 이용하여 카드결제의 승인여부를 전달하여, 접촉셋팅단계(S41)에서 셋팅된 금액을 결제하는 카드결제승인단계(S43)를 수행하도록 한다.
상기 접촉셋팅단계(S41)과 카드결제승인단계(S43)사이의 단계에 있을 때 식별검출단계(S43)에 의해서 식별서버결제단계(9)와 POS검색단계(S50)에서 신호가 들어오면 접촉셋팅(S41)과 카드결제승인단계(S43)사이의 단계는 모두 초기화도록 제어된다. 상기 식별서버결제단계(S49)와 POS검색단계(S50)에서 승인된 주유 유종과 금액이 해당 주유기로 전달되면 바로 주유가 가능하도록 셋팅이 된다. (S44)
여기서 초기화라는 의미는 접촉셋팅단계(S41)에서 부터 카드결제승인단계(S43)까지의 단계가 진행되더라도 접촉셋팅단계(S41)의 전단계로 셀프주유기로서의 대기상태로 우선 들어가는 것을 의미하지만 실제적으로 접촉셋팅단계(S41)부터 카드결제승인단계(S43)가 리셋되면서 식별검출단계(S43)가 되는 것을 의미한다.
주유시작단계(S45)에서 주유가 끝나고 주유기건을 셀프주유기에 고정하게 되어 주유가 완료될 때 영수증과 주유한 결과를 필요로 하는 단계에 해당 단말기에 정보를 표시한다. (S46)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셀프주유소에서 POS 단말기를 이용한 주유셋팅 방법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입력대기단계(S61), 결제승인단계(S62), 주유셋팅단계(S63), 주유기선택표시단계(S64), 주유기선택단계(S65), 주유시작과주유종료단계(S6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POS의 입력장치와 주유단말기는 주유유종과 주유금액이 셋팅된 휴대용 결제도구로부터 주유셋팅요청정보와 결제정보의 입력을 대기한다. (S61)
주유원이나 주유하고자 하는 사람이 POS의 입력장치와 단말기에서 결제도구의 정보를 입력받기 위해서 POS의 입력장치와 주유단말기를 조작하여 결제도구의 정보를 받는 상태의 모드로 선택했을 때를 의미한다. 만일, 별도의 조작 없이 상시적으로 결제도구의 정보를 받도록 POS의 입력장치와 주유단말기를 설정할 경우에는 POS의 입력장치와 주유단말기에서 주유셋팅정보와 결제정보의 입력을 기다린다고 할 수 있다.
POS를 구성하는 모니터와 키패드와 POS와 연결이 되어 있으면서 상기 결제도구로부터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는 POS와 연결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한 장치를 POS입력장치라고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주유 단말기는 고정된 POS의 일부의 기능을 가지고 있으면서 POS와 연동되어 있다. 주유결제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받는 기능을 가지는 단말기를 의미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주유소에 POS 시스템이 없다면 POS 시스템의 필수적인 기능인 신용카드와 같은 결제의 요청과 승인을 확인할 수 있는 POS 기능을 포함하는 단말기도 주유단말기라고 할 수 있다. 각 주유기마다 고유의 주유단말기를 설치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결제도구는 결제기능이 가능한 휴대용무선기기와 신용카드를 의미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POS의 입력장치와 주유단말기에 결제를 요청할 수 있는 수단을 갖는 장치와 도구를 결제도구라 할 수 있다.
상기 결제도구에 주유유종과 주유금액을 셋팅하거나, 셋팅되어 있으면서 POS의 입력장치와 주유단말기를 통해서 해당 주유셋팅정보를 전달할 경우, POS 시스템이 이 전달된 정보로부터 주유유종과 주유금액에 대해서 추출하거나, 유추할 수 있다면 주유셋팅정보라고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주유유종과 주유금액 중 한가지만 가지고 POS 시스템에서 주유유종과 주유금액이 셋팅이 가능하도록 해도 무방하다.
상기 입력대기단계(S61)에서 주유셋팅요청정보와 결제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POS의 입력장치와 주유단말기는 입력된 주유셋팅요청정보와 결제정보를 주유소의 POS로 전달하고, 전달된 내용 중 결제정보를 이용하여, POS에서 결제의 승인여부를 파악하고, 파악된 결제의 승인여부를 확인한다. (S62)
상기 제공된 결제정보와 주유할 금액을, 결제를 승인하는 결제사의 서버에 주유할 금액에 대한 승인을 요청하면, 상기 결제사의 서버에서 결제정보의 내용을 파악한 후 결제의 승인의 요청이 가능하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결제사의 서버에서 결제의 승인을 내고, 상기 승인된 내용을 POS에 승인의 여부를 송신해준다. 이때, 결제사의 종류로는 카드사, 마일리지사, 핸드폰 통신사 등으로 주유의 대가로 지급이 가능한 결제사를 의미하지만 외상을 하고 있는 업체가 있을 경우, 외상을 승인해주는 서버 또한 결제사라고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신용카드의 정보가 있는 결제정보를 신용카드의 카드결제사의 서버에 주유할 금액과 같이 전달하고 카드결제사의 서버에서 결제정보를 분석하여 결제정보를 가지고 있는 소유주의 신용 한도를 파악하여, 한도의 범위 안에 있을 경우, 주유할 금액에 대해서 승인을 확정하고, POS에 승인번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결제승인단계(S62)에서 결제의 승인이 확인되면, 주유하고자 하는 주유기에 주유셋팅요청정보에 맞는 주유유종과 주유금액이 셋팅되도록 한다. (S63)
상기 입력대기단계(1)의 이전에서부터 시작하여, 상기 주유셋팅요청단계(S63)의 단계 중에서, 주유기에 주유유종과 주유금액을 셋팅하는 이전의 단계에서, 주유하고자 하는 주유기를 선택할 수 있는 소정의 메뉴로 구성된 화면을 상기 주유단말기와 상기 POS의 입력장치에 표시한다. (S64)
상기 POS의 입력장치와 주유단말기의 메뉴에, 주유기를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는 버튼을 구성하여, 해당 주유기를 선택하여 입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POS의 터치모니터 또는 주유단말기의 터치모니터에 주유기에 대한 버튼을 만들고, 버튼을 선택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S65). 이때도 POS의 입력장치와 주유단말기의 키패드를 이용하여 선택할 수 있도록 각각의 모니터에 주유기를 입력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이때, 결제도구에 주유할 주유기에 대한 정보가 있을 경우, 주유기에 대한 정보를 입력대기단계(S61)에서 입력되도록 구성하면서, 주유할 주유기에 대한 정보를 입력대기단계(1)에서부터 가지게 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주유기에 주유유종과 주유금액을 셋팅하는 이전의 단계라는 의미는 실제적으로 주유유종과 주유금액을 셋팅을 할 경우에는 반드시, 셋팅해야 하는 주체의 주유기가 선택되어야 하기 때문이며, 입력대기단계(S61) 이전에 다른 프로그램과 연동되어 진행되고, 이때 연동된 진행시 주유기에 대한 선택이 되어 있을 경우, 주유기선택표시단계(S64)와 주유기선택단계(S65)를 하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입력대기단계(S61) 이후라도 다른 입력장치와 입력도구 또는 다른 프로그램의 연동으로 주유기에 대한 정보가 전달될 경우 또한 주유기선택표시단계(S64)와 주유기선택단계(S65)를 하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주유기에서 주유기에 대한 신호를 보내주어서 자동으로 인식할 수 있는 경우와 POS에서 주유결제를 요청하거나 받을 경우에 외부의 서버로부터 주유할 주유기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는 것이다. 상기 주유유종과 주유금액을 셋팅하는 이전의 단계에서 주유기를 선택하는 메뉴의 구성에 있어서, 각 단계마다 주유기를 선택할 수 있는 메뉴가 상시적으로 입력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로 인해 각 단계 진행도중 언제라도 주유기 번호를 입력할 수 있다. 상기 POS의 입력장치와 주유단말기의 터치가 가능한 모니터에 주유기에 정보가 표시되어 있고, 상기 표시된 정보를 터치하는 방식으로 주유기로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별도의 키패드의 단축번호를 이용하여 주유기를 선택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주유유종과 주유금액을 셋팅하는, 전단계에서 주유기가 선택되지 않았다면, 주유기의 번호를 입력하도록 요구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만일, 주유기번호를 선택하지 않았더라도 주유단말기를 주유기에 설치된 별도의 송수신 장치로 인해서 자동으로 주유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받고 주유원이 주유를 하고자 주유기의 특정 버튼을 선택하거나 누르게 되면 주유단말기에서 정보를 읽어와서 주유기를 선택한 것과 같이 주유기와 주유단말기를 구성할 수 있다. 이때, 별도의 장치가 설치되어 있지 않더라도 주유단말기나 POS의 입력장치에서 주유기를 가동하기 이전의 단계에서 주유원이 식별이 가능한 코드를 제공하고, 해당 주유기로 가서 식별이 가능한 코드를 직접 입력하거나 간접적인 장치를 이용하여, 주유기를 선택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주유셋팅단계(S63)로 인해서 셋팅된 주유기가, 주유가능 하도록 가동되면, 가동된 주유기를 이용하여 주유를 하고, 주유가 종료하면 주유셋팅단계(S63)에서 셋팅된 주유금액과 실제 주유한 금액이 상이하면 다시 실제 주유한 금액으로 재승인을 하고, 상이하지 않다면 주유를 종료한다. (S66)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무선 단말기 및 이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주유기 및 주유 시스템으로 구성된 시스템에서, 상기 무선 단말기에서, 유종 정보, 금액 정보, 결제 정보, 주유기 정보를 적어도 하나를 선택 가능하고, 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유종 정보, 금액 정보, 결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무선 단말기가 상기 주유기 또는 상기 주유 시스템 영역에 접근할 때 상기 무선 단말기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종 정보, 금액 정보, 결제 정보를 상기 선택된 주유기 또는 상기 주유 시스템으로 무선으로 전송하고, 상기 주유기 또는 상기 주유 시스템에서, 상기 유종 정보, 금액 정보, 결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주유기 또는 상기 시스템에 자동으로 주유 셋팅하도록 제공한다.
상기에서 무선으로 전송한 이후 상기 금액 정보는 수정 후 재전송이 가능하다.
상기 무선으로 전송하는 경우, 상기 결제 정보만이 상기 주유소 또는 상기 주유 시스템으로 전송되는 경우 상기 주유기 또는 상기 주유 시스템은 결제 정보를 기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결제 정보에 매칭되는 유종 정보, 금액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주유기 또는 상기 주유 시스템을 셋팅하도록 한다.
상기 무선으로 전송하는 것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주유기 또는 상기 주유 시스템에서, 상기 전송된 적어도 하나의 유종 정보, 금액 정보, 결제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주유기 또는 상기 주유 시스템에서, 상기 전송된 유종 정보, 금액 정보, 결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가 전송되지 않았거나 에러가 발생한 경우, 사용자로 하여금 유종 정보, 금액 정보, 결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도록 요구하고, 상기 주유기 또는 상기 주유 시스템에서, 상기 전송된 또는 상기 요구되어 전송된 유종 정보, 금액 정보, 결제 정보에 근거하여 결제하고, 상기 주유기 또는 상기 주유 시스템에서 상기 셋팅된 유종 정보, 금액 정보 및 승인 결과에 근거하여 주유하도록 제공한다.
상기 주유기 또는 상기 주유 시스템에서, 상기 결제하는 단계에서 전송되는 주유 정보, 금액 정보, 결제 정보가 전송되는 경우, 이전에 전송된 주유 정보, 금액 정보, 결제 정보와 상이할 경우 우선 순위를 정하거나, 수정을 하거나, 상이한 어느 한 쪽을 무시하도록 한다.
상기 주유기 또는 상기 주유 시스템에서, 상기 요구에 따라 사용자가 유종 정보, 금액 정보, 결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할 때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정보를 차단하도록 한다.
상기 금액 정보만이 전송되는 경우 기 저장된 유종 정보, 결제 정보에 근거하여 주유하도록 한다.
상기 유종 정보만이 전송되는 경우 기 저장된 금액정보, 결제 정보에 근거하여 주유하도록 한다.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전송된 적어도 하나의 유종 정보, 금액 정보, 결제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주유기 또는 상기 주유 시스템에서, 상기 유종 정보, 금액 정보, 결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주유기 또는 상기 시스템에 자동으로 주유 셋팅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무선 단말기, 상기 주유기 및 상기 주유 시스템에서, 근접 무선 통신 프로토콜(NFC 프로토콜)을 활성화하고, 상기 무선 단말기에서, 기 저장된 유종 정보, 금액 정보, 결제 정보를 사용자의 선택 과정 없이 상기 활성화된 근접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상기 주유기 또는 상기 주유 시스템에 전송하고, 상기 주유기 또는 상기 주유 시스템에서, 상기 근접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수신된 기 저장된 유종 정보, 금액 정보, 결제 정보에 근거하여 결제를 승인하고, 상기 주유기 또는 상기 주유 시스템에서, 상기 근접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전송된 기 저장된 유종 정보, 금액 정보, 결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가 전송되지 않았거나 에러가 발생한 경우, 사용자로 하여금 유종 정보, 금액 정보, 결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도록 요구하도록 한다.
상기 요구된 적어도 하나의 유종 정보, 금액 정보, 결제 정보는 상기 활성화된 근접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서 전송된다.
상기 무선 단말기에서, 상기 활성화된 근접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마일리지 카드 대한 정보와 할인정보와 쿠폰정보가 전송된다.
상기 무선 단말기에서, 상기 활성화된 근접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고객의 주유 패턴, 주유소 방문횟수, 평균 주유량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가 전송된다. 상기 무선 단말기에서, 스캔 가능한 바코드나 이미지를 갖는 주유기를 근거리에서 스캔하거나, 하나 이상의 주유기들의 배치를 화면에 표시하거나, 번호나 코드로 구성된 주유기 식별자를 사용자가 직접 선택하거나, 주유 시스템으로부터 선택 가능한 번호나 코드로 구성된 주유기 식별자를 수신하여 선택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주유기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을 이용한 자동 주유 방법.
상기 결제정보는 휴대폰 번호, IP 주소, 인터넷 계정, 신용카드 번호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주유기 또는 상기 주유 시스템은 상기 결제정보를 기 저장하고, 상기 결제정보만이 상기 무선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경우에 상기 결제정보에 매칭되는 유종정보, 금액 정보가 상기 주유기에 세팅된다.
상기 무선 단말기에서,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유종 정보, 금액 정보, 결제 정보를 문자코드, 바코드, QR 코드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저장하고, 상기 무선 단말기가 상기 주유기 또는 상기 주유 시스템 영역에 접근할 때 상기 무선 단말기에서 적외선 통신 프로토콜 방식으로 상기 주유기 또는 상기 주유 시스템으로 전송된다.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유종 정보, 금액 정보, 결제정보는 가입자 식별 모듈 칩, NFC 칩, 신용카드의 RFID 칩에 저장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Claims (18)

  1. 무선 단말기 및 이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주유기 및 주유 시스템으로 구성된 시스템에서,
    상기 무선 단말기에서, 유종 정보, 금액 정보, 결제 정보, 주유기 정보를 적어도 하나를 선택 가능하고, 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유종 정보, 금액 정보, 결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무선 단말기가 상기 주유기 또는 상기 주유 시스템 영역에 접근할 때 상기 무선 단말기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종 정보, 금액 정보, 결제 정보를 상기 선택된 주유기 또는 상기 주유 시스템으로 무선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주유기 또는 상기 주유 시스템에서, 상기 유종 정보, 금액 정보, 결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주유기 또는 상기 주유 시스템에 자동으로 주유 셋팅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을 이용한 자동 주유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으로 전송하는 단계 이후 상기 금액 정보는 수정 후 재전송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을 이용한 자동 주유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으로 전송하는 단계에서, 상기 결제 정보만이 상기 주유기 또는 상기 주유 시스템으로 전송되는 경우 상기 주유기 또는 상기 주유 시스템은 결제 정보를 기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결제 정보에 매칭되는 유종 정보, 금액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주유기 또는 상기 주유 시스템을 셋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을 이용한 자동 주유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으로 전송하는 것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을 이용한 자동 주유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유기 또는 상기 주유 시스템에서, 상기 전송된 적어도 하나의 유종 정보, 금액 정보, 결제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주유기 또는 상기 주유 시스템에서, 상기 전송된 유종 정보, 금액 정보, 결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가 전송되지 않았거나 에러가 발생한 경우, 사용자로 하여금 유종 정보, 금액 정보, 결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도록 요구하는 단계;
    상기 주유기 또는 상기 주유 시스템에서, 상기 전송된 또는 상기 요구되어 전송된 유종 정보, 금액 정보, 결제 정보에 근거하여 결제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주유기 또는 상기 주유 시스템에서 상기 셋팅된 유종 정보, 금액 정보 및 승인 결과에 근거하여 주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을 이용한 자동 주유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주유기 또는 상기 주유 시스템에서, 상기 결제하는 단계에서 전송되는 주유 정보, 금액 정보, 결제 정보가 전송되는 경우, 이전에 전송된 주유 정보, 금액 정보, 결제 정보와 상이할 경우 우선 순위를 정하거나, 상기 주유 정보, 금액정보 및 결제정보를 수정을 하거나, 상이한 어느 한 쪽을 무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을 이용한 자동 주유 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주유기 또는 상기 주유 시스템에서, 상기 요구에 따라 사용자가 유종 정보, 금액 정보, 결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할 때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정보를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하는 무선을 이용한 자동 주유 방법.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금액 정보만이 전송되는 경우 기 저장된 유종 정보, 결제 정보에 근거하여 주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을 이용한 자동 주유 방법.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유종 정보만이 전송되는 경우 기 저장된 금액정보, 결제 정보에 근거하여 주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을 이용한 자동 주유 방법.
  10.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전송된 적어도 하나의 유종 정보, 금액 정보, 결제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주유기 또는 상기 주유 시스템에서, 상기 유종 정보, 금액 정보, 결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주유기 또는 상기 시스템에 자동으로 주유 셋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을 이용한 자동 주유 방법.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단말기, 상기 주유기 및 상기 주유 시스템에서, 근접 무선 통신 프로토콜(NFC 프로토콜)을 활성화하는 단계;
    상기 무선 단말기에서, 기 저장된 유종 정보, 금액 정보, 결제 정보를 사용자의 선택 과정 없이 상기 활성화된 근접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상기 주유기 또는 상기 주유 시스템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주유기 또는 상기 주유 시스템에서, 상기 근접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수신된 기 저장된 유종 정보, 금액 정보, 결제 정보에 근거하여 결제를 승인하는 단계;
    상기 주유기 또는 상기 주유 시스템에서, 상기 근접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전송된 기 저장된 유종 정보, 금액 정보, 결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가 전송되지 않았거나 에러가 발생한 경우, 사용자로 하여금 유종 정보, 금액 정보, 결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도록 요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을 이용한 자동 주유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요구된 적어도 하나의 유종 정보, 금액 정보, 결제 정보는 상기 활성화된 근접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을 이용한 자동 주유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단말기에서, 상기 활성화된 근접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마일리지 카드에 대한 정보와 할인정보와 쿠폰정보가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을 이용한 자동 주유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단말기에서, 상기 활성화된 근접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고객의 주유 패턴, 주유소 방문횟수, 평균 주유량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가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을 이용한 자동 주유 방법.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단말기에서, 스캔 가능한 바코드나 이미지를 갖는 주유기를 근거리에서 스캔하거나, 하나 이상의 주유기들의 배치를 화면에 표시하거나, 번호나 코드로 구성된 주유기 식별자를 사용자가 직접 선택하거나, 주유 시스템으로부터 선택 가능한 번호나 코드로 구성된 주유기 식별자를 수신하여 선택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주유기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을 이용한 자동 주유 방법.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정보는 휴대폰 번호, IP 주소, 인터넷 계정, 신용카드 번호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주유기 또는 상기 주유 시스템은 상기 결제정보를 기 저장하고, 상기 결제정보만이 상기 무선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경우에 상기 결제정보에 매칭되는 유종정보, 금액 정보가 상기 주유기에 세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을 이용한 자동 주유 방법.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단말기에서,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유종 정보, 금액 정보, 결제 정보를 문자코드, 바코드, QR 코드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저장하고, 상기 무선 단말기가 상기 주유기 또는 상기 주유 시스템 영역에 접근할 때 상기 무선 단말기에서 적외선 통신 프로토콜 방식으로 상기 주유기 또는 상기 주유 시스템으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을 이용한 자동 주유 방법.
  1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유종 정보, 금액 정보,
    결제정보는 가입자 식별 모듈 칩, NFC 칩, 신용카드의 RFID 칩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을 이용한 자동 주유 방법.
KR1020120135932A 2012-07-16 2012-11-28 무선을 이용한 주유 방법 및 이를 위한 주유 시스템 KR1012840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3/006304 WO2014014243A1 (ko) 2012-07-16 2013-07-15 무선을 이용한 주유 방법
US14/414,908 US20150170298A1 (en) 2012-07-16 2013-07-15 Fueling method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US16/371,777 US20190228400A1 (en) 2012-07-16 2019-04-01 Fueling method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6278U KR20120006069U (ko) 2012-07-16 2012-07-16 휴대용전자장치을 이용한 주유셋팅 시스템
KR2020120006278 2012-07-16
KR1020120093360 2012-08-26
KR1020120093360A KR20120112301A (ko) 2012-08-26 2012-08-26 모바일에서의 연료셋팅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4020B1 true KR101284020B1 (ko) 2013-07-17

Family

ID=48996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5932A KR101284020B1 (ko) 2012-07-16 2012-11-28 무선을 이용한 주유 방법 및 이를 위한 주유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50170298A1 (ko)
KR (1) KR101284020B1 (ko)
WO (1) WO2014014243A1 (ko)

Cited B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6945A (ko) * 2013-11-18 2015-05-28 박경수 도구의 식별정보를 이용한 연료주입기 설정방법
KR20150061047A (ko) * 2013-11-25 2015-06-04 박경수 주유정보에 따른 주유할인 방법
KR101571011B1 (ko) 2015-05-11 2015-11-23 주식회사 뉴론 코드를 활용한 주유기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5469502A (zh) * 2016-01-15 2016-04-06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智能加油的方法及终端
KR101676344B1 (ko) * 2016-03-17 2016-11-29 심동환 혼유 방지 방법 및 이에 적합한 주유 장치
KR101729723B1 (ko) * 2016-02-05 2017-04-25 주식회사 밸류로드 혼유 방지가 가능한 주유 관리 시스템
KR101765422B1 (ko) * 2015-11-10 2017-08-07 에스케이네트웍스 주식회사 주유 이력을 이용한 선결제 주유 예약 방법
KR20170120541A (ko) * 2017-10-19 2017-10-31 박경수 연료주입소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무선단말기
KR101849905B1 (ko) * 2014-01-27 2018-04-18 박경수 셀프 주유시스템에서 쿠폰 사용 방법
KR20180044448A (ko) * 2016-10-21 2018-05-03 퍼스트데이터코리아 유한회사 Ic카드 결제방법, 결제대행사 서버 및 가맹점 단말기
KR20190040953A (ko) * 2019-04-11 2019-04-19 박경수 셀프 주유시스템에 사용되는 도구의 속성 정보를 변경하는 방법
KR20200020766A (ko) * 2019-04-11 2020-02-26 박경수 셀프 주유시스템에 사용되는 도구의 속성 정보를 변경하는 방법
KR20200055701A (ko) * 2019-06-29 2020-05-21 박경수 무선단말기에서 주유정보와 생성되는 점수를 설정하는 방법
KR20200073172A (ko) * 2019-10-14 2020-06-23 박경수 연료 주입 방법
KR20200077478A (ko) * 2020-06-18 2020-06-30 박경수 무선단말기에서 설정한 도구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연료주입소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방법
KR20200078463A (ko) * 2017-10-19 2020-07-01 박경수 연료주입소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무선단말기
KR20200130672A (ko) * 2013-11-18 2020-11-19 박경수 도구의 식별정보를 이용한 연료주입기 설정방법
KR20200133706A (ko) * 2020-02-19 2020-11-30 박경수 무선단말기에서 의해서 영수증 출력을 생략하는 방법
KR20210012991A (ko) * 2013-11-25 2021-02-03 박경수 매출에 따른 단가 주유시스템
KR20210019038A (ko) * 2013-11-22 2021-02-19 박경수 카드를 통해서 단가할인 받는 방법
KR20210020055A (ko) * 2013-10-22 2021-02-23 박경수 재설정되는 주유시스템
KR20220108689A (ko) * 2021-01-27 2022-08-03 신상원 앱을 통한 주유기, 요소수 주입기, 전기 충전기, 가스 충전기, 수소 충전기, 액체류 주유기의 비접촉 셀프 주유(충전)방법
KR20230138623A (ko) 2022-03-24 2023-10-05 인파인(주) 차량의 혼유 방지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58627B2 (en) * 2016-02-01 2018-01-02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Fuel distribution system with correction mechanis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7530B1 (ko) * 2009-04-01 2011-04-06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셀프 주유소 고객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233792B1 (ko) * 2011-04-04 2013-02-15 신광섭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한 무인 전기 판매 시스템 및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한 무인 전기 판매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37647B1 (en) * 1998-04-06 2001-05-29 William Pong Automatic refueling station
US20030071117A1 (en) * 2001-10-16 2003-04-17 Meade William K.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priority among multiple mobile computing devices to control an appliance
KR20030037973A (ko) * 2001-11-08 2003-05-16 김병하 주유 카운터가 병설된 무선 신용카드 결제기
US8065235B2 (en) * 2003-05-05 2011-11-2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ortable intelligent shopping device
US7523770B2 (en) * 2005-12-12 2009-04-28 Exxonmobil Research And Enginnering Company Service station for serving requirements of multiple vehicle technologies
KR101202584B1 (ko) * 2006-11-08 2012-11-1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무인 주유관리 시스템
KR100751530B1 (ko) * 2007-05-16 2007-08-23 (주)제이슨알앤디 셀프 주유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주유 방법
US8689247B2 (en) * 2008-04-04 2014-04-01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distributing and redeeming credits on a broadcast system
US8250407B1 (en) * 2010-08-26 2012-08-21 The Boeing Company Methods and systems for correction of data transactions
US10319174B2 (en) * 2011-06-30 2019-06-11 Ncr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ordering items
US20130097034A1 (en) * 2011-10-12 2013-04-18 First Data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Point of Sale Transactions
US9177308B2 (en) * 2012-06-27 2015-11-03 Bank Of America Corporation Readable indicia for fuel purchas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7530B1 (ko) * 2009-04-01 2011-04-06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셀프 주유소 고객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233792B1 (ko) * 2011-04-04 2013-02-15 신광섭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한 무인 전기 판매 시스템 및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한 무인 전기 판매 방법

Cited By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5689B1 (ko) * 2013-10-22 2022-03-16 박경수 재설정되는 주유시스템
KR20210020055A (ko) * 2013-10-22 2021-02-23 박경수 재설정되는 주유시스템
KR20200130672A (ko) * 2013-11-18 2020-11-19 박경수 도구의 식별정보를 이용한 연료주입기 설정방법
KR102178551B1 (ko) * 2013-11-18 2020-11-13 박경수 도구의 식별정보를 이용한 연료주입기 설정방법
KR20150056945A (ko) * 2013-11-18 2015-05-28 박경수 도구의 식별정보를 이용한 연료주입기 설정방법
KR102347713B1 (ko) * 2013-11-18 2022-01-06 박경수 무선단말기에서 연료주입기를 설정하는 방법
KR102364795B1 (ko) * 2013-11-22 2022-02-18 박경수 카드를 통해서 단가할인 받는 방법
KR20210019038A (ko) * 2013-11-22 2021-02-19 박경수 카드를 통해서 단가할인 받는 방법
KR102364796B1 (ko) * 2013-11-25 2022-02-18 박경수 매출에 따른 단가 주유시스템
KR102277282B1 (ko) * 2013-11-25 2021-07-13 박경수 주유정보에 따른 주유할인 방법
KR20210012991A (ko) * 2013-11-25 2021-02-03 박경수 매출에 따른 단가 주유시스템
KR20150061047A (ko) * 2013-11-25 2015-06-04 박경수 주유정보에 따른 주유할인 방법
KR101849905B1 (ko) * 2014-01-27 2018-04-18 박경수 셀프 주유시스템에서 쿠폰 사용 방법
KR101571011B1 (ko) 2015-05-11 2015-11-23 주식회사 뉴론 코드를 활용한 주유기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65422B1 (ko) * 2015-11-10 2017-08-07 에스케이네트웍스 주식회사 주유 이력을 이용한 선결제 주유 예약 방법
CN105469502A (zh) * 2016-01-15 2016-04-06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智能加油的方法及终端
KR101729723B1 (ko) * 2016-02-05 2017-04-25 주식회사 밸류로드 혼유 방지가 가능한 주유 관리 시스템
WO2017160018A1 (ko) * 2016-03-17 2017-09-21 심동환 혼유 방지용 주유 장치 및 혼유 방지 방법
KR101676344B1 (ko) * 2016-03-17 2016-11-29 심동환 혼유 방지 방법 및 이에 적합한 주유 장치
KR101885670B1 (ko) * 2016-10-21 2018-08-07 퍼스트데이터코리아 유한회사 Ic카드 결제방법, 결제대행사 서버 및 가맹점 단말기
KR20180044448A (ko) * 2016-10-21 2018-05-03 퍼스트데이터코리아 유한회사 Ic카드 결제방법, 결제대행사 서버 및 가맹점 단말기
KR102298717B1 (ko) * 2017-10-19 2021-09-03 박경수 연료주입소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무선단말기
KR20170120541A (ko) * 2017-10-19 2017-10-31 박경수 연료주입소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무선단말기
KR102129394B1 (ko) * 2017-10-19 2020-07-02 박경수 연료주입소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무선단말기
KR20200078463A (ko) * 2017-10-19 2020-07-01 박경수 연료주입소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무선단말기
KR20200020766A (ko) * 2019-04-11 2020-02-26 박경수 셀프 주유시스템에 사용되는 도구의 속성 정보를 변경하는 방법
KR20190040953A (ko) * 2019-04-11 2019-04-19 박경수 셀프 주유시스템에 사용되는 도구의 속성 정보를 변경하는 방법
KR102081422B1 (ko) * 2019-04-11 2020-02-25 박경수 셀프 주유시스템에 사용되는 도구의 속성 정보를 변경하는 방법
KR102277280B1 (ko) * 2019-04-11 2021-07-13 박경수 셀프 주유시스템에 사용되는 도구의 속성 정보를 변경하는 방법
KR102277279B1 (ko) * 2019-06-29 2021-07-13 박경수 무선단말기에서 주유정보와 생성되는 점수를 설정하는 방법
KR20200055701A (ko) * 2019-06-29 2020-05-21 박경수 무선단말기에서 주유정보와 생성되는 점수를 설정하는 방법
KR102298714B1 (ko) * 2019-10-14 2021-09-03 박경수 연료 주입 방법
KR20200073172A (ko) * 2019-10-14 2020-06-23 박경수 연료 주입 방법
KR102347716B1 (ko) * 2020-02-19 2022-01-06 박경수 무선단말기에 의해서 영수증 출력을 생략하는 방법
KR20200133706A (ko) * 2020-02-19 2020-11-30 박경수 무선단말기에서 의해서 영수증 출력을 생략하는 방법
KR102160503B1 (ko) 2020-06-18 2020-09-28 박경수 무선단말기에서 설정한 도구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연료주입소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방법
KR20200077478A (ko) * 2020-06-18 2020-06-30 박경수 무선단말기에서 설정한 도구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연료주입소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방법
KR20210112277A (ko) * 2020-06-25 2021-09-14 박경수 차량충전소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무선단말기
KR102506621B1 (ko) * 2020-06-25 2023-03-03 박경수 무선단말기를 이용하여 연료주입소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KR20220108689A (ko) * 2021-01-27 2022-08-03 신상원 앱을 통한 주유기, 요소수 주입기, 전기 충전기, 가스 충전기, 수소 충전기, 액체류 주유기의 비접촉 셀프 주유(충전)방법
KR102462605B1 (ko) * 2021-01-27 2022-11-03 신상원 앱을 통한 주유기, 요소수 주입기, 전기 충전기, 가스 충전기, 수소 충전기, 액체류 주유기의 비접촉 셀프 주유(충전)방법
KR20230138623A (ko) 2022-03-24 2023-10-05 인파인(주) 차량의 혼유 방지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170298A1 (en) 2015-06-18
WO2014014243A1 (ko) 2014-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4020B1 (ko) 무선을 이용한 주유 방법 및 이를 위한 주유 시스템
JP6174116B2 (ja) 商品の供給のための装置
ITFI20120177A1 (it) Sistema di vendita tramite macchine distributrici automatiche con pagamento effettuato mediante dispositivi di comunicazione portatili.
KR101919916B1 (ko) 스마트 결제를 위한 사용자단말기, 무인판매기, 결제서버 및 이를 이용한 무인판매기 결제 방법
KR100566056B1 (ko) 주유제어기와 이를 이용하는 주유시스템 및 주유방법
KR20120006069U (ko) 휴대용전자장치을 이용한 주유셋팅 시스템
JP5861233B2 (ja) 決済処理システム、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110104677A (ko) 스마트 오더 시스템 운영방법
KR20190031616A (ko) 관리자 단말 또는 서버에서 연료주입기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KR102382496B1 (ko) 생체정보를 이용한 주유정보를 모니터에 표시하는 방법
KR102668367B1 (ko) 차량정보들을 선택하여 주유하는 방법
KR20200054517A (ko) 연료정보설정 방법
KR102298714B1 (ko) 연료 주입 방법
KR102643897B1 (ko) 이동속도가 제로일때 상품을 주문하는 방법
JP5877398B2 (ja) 取引情報登録システム、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2347713B1 (ko) 무선단말기에서 연료주입기를 설정하는 방법
KR102375687B1 (ko) 선인지 주유시스템
JP5857331B2 (ja) 取引情報登録システム、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210110283A (ko) 연료 주입 방법
KR20190122184A (ko) 연료 주입 방법
KR20170040048A (ko) 연료 주입소 수락 시스템
KR20190026072A (ko) 연료주입기 정보 선택방법
KR20170032549A (ko) 차량번호와 연동하여 주문 처리하는 가맹점의 단말기 시스템
KR20220088378A (ko) 전기 충전기에 사용되는 시스템
KR20190018392A (ko) 사용자 단말에서 연료 정보를 주문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