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5710A - 열전소자 일체형 축냉 열교환기 - Google Patents

열전소자 일체형 축냉 열교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5710A
KR20120005710A KR1020100066310A KR20100066310A KR20120005710A KR 20120005710 A KR20120005710 A KR 20120005710A KR 1020100066310 A KR1020100066310 A KR 1020100066310A KR 20100066310 A KR20100066310 A KR 20100066310A KR 20120005710 A KR20120005710 A KR 201200057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ermoelectric element
heat exchanger
tube
tubes
cold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6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동훈
장길상
지용준
이대웅
Original Assignee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66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5710A/ko
Publication of KR20120005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57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0/00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1/00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F25B21/02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using Peltier effect; using Nernst-Ettinghausen eff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 F28D1/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 F28D1/03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0/00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 F28D20/003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using thermochemical rea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0/00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 F28D20/0034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using liquid heat storage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3/00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Assemblies of 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 F28F3/02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3/00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Assemblies of 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 F28F3/02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 F28F3/025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the means being corrugated, plate-like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0/00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 F28D2020/0004Particular heat storage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4Thermal energy stor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의 열전소자 일체형 축냉 열교환기는, 한 쌍의 플레이트(110)가 접합되어 구성되는 복수의 튜브(130); 상기 튜브(130)의 일단 및 타단 중 적어도 한단에 상기 튜브(130)와 연통되는 헤드탱크(140); 상기 플레이트(110)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변환물질이 저장되는 저장부(120);를 포함하는 축냉 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튜브(130) 중 적어도 하나의 튜브(130)의 한 면에 열전소자(150)가 부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변환물질이 봉입된 저장부와 일체로 형성된 냉매용 튜브 면에 열전소자가 부착된 구조를 가지므로, 열전소자의 작용에 의해 종래 축냉부의 축냉제 수용 용량에 따르는 냉각능력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열전소자 일체형 축냉 열교환기{COLD RESERVING HEAT EXCHANGER INTEGRATED THERMOELECTRIC ELEMENT}
본 발명은 축냉 열교환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열전소자가 일체형으로 구비된 축냉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세계적인 친환경 정책에 힘입어 가솔린 엔진 및 디젤 엔진 등 연소식 엔진 차량은 하이브리드 차량(HEV: Hybrid Electric Vehicle) 또는 연료전지 차량으로 진화하고 있다. 하이브리드 차량은 기존의 엔진과 전기 에너지로 구동되는 모터를 연계하여 차량을 구동하므로 배기가스에 의한 대기오염을 줄임과 동시에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어, 선진국을 중심으로 활발한 연구개발의 대상이 되고 있다.
하이브리드 차량은 전기모터에 전기를 공급하는 고용량 배터리, 전기모터를 제어하는 모터 제어기, 배터리 전압을 적절하게 변환시키는 컨버터를 구비한다. 고용량 배터리는 필요 시 모터로 전력을 공급하고, 차량 정지 시 재생 동력원으로부터 생성되는 전기 에너지를 충전한다.
하이브리드 차량은 연비 성능을 높이고 배기 성능을 개선하기 위하여 교통 신호 대기와 같은 차량 정차 시 엔진의 공회전(Idle)을 자동적으로 정지시키는 아이들 스탑(Idle-Stop) 모드로 운용된다. 하이브리드 차량에서 차량이 아이들 스탑 모드로 운용되면 차량 엔진의 정지와 아울러 차량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압축기가 정지되어 차량 냉방 성능이 떨어지게 된다.
또한 증발기 내부의 냉매는 상온에서도 쉽게 기화되므로, 압축기가 동작하지 않는 짧은 시간에 기화되어 다시 차량 엔진이 구동되더라도 냉매를 액화하는 시간이 소요될 뿐 아니라 전체적인 에너지 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하이브리드 차량은 냉매 사이클 가동 시 발생되는 냉기를 냉동 사이클 상의 증발기 내부에 축냉시켜 공조장치의 압축기 정지 시 냉방효율을 높이는 축냉 열교환기 기술에 제안된 바 있다.
이러한 예로 일본공개특허 제2009-204215호에는 축냉 축열형 열교환기를 개시하고 있으며, 이를 도 1에 도시하였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축냉 열교환기는 제1열교환체(4)와 제2열교환체(5)가 서로 열팽창에 대해 자유롭게 배치되고, 제1열교환체(4)와 제2열교환체(5) 사이에 복수의 편평한 튜브(3)가 배치되며, 편평한 튜브(3)들 사이에 축냉제(14)가 충진되어 있다.
또 다른 예로 한국공개특허 제2009-108173호에는 일체형 축냉 열교환기를 개시하고 있으며, 이를 도 2에 도시하였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래 축냉 열교환기는 복수의 튜브(30), 튜브(30)와 연통되는 탱크(40), 튜브(30)를 구성하는 한 쌍의 플레이트(10)와 일체로 형성되어 축냉제가 저장되는 축냉부(20)를 구비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 축냉 열교환기는 축냉제가 충진되는 공간이 한정되어 있어 축냉제의 용량에 한계가 있고 이에 따라 축냉제에 냉기가 축냉되는 축냉능력에 한계가 있다. 또한 축냉제의 종류에 따라 냉기가 축냉되는 정도가 달라 차량 엔진의 정지시 사용되는 냉기의 온도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상변환물질이 봉입된 저장부와 일체로 형성된 냉매용 튜브 면에 열전소자가 부착된 열전소자 일체형 축냉 열교환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열전소자 일체형 축냉 열교환기는, 한 쌍의 플레이트가 접합되어 구성되는 복수의 튜브; 상기 튜브의 일단 및 타단 중 적어도 한단에 상기 튜브와 연통되는 헤드탱크; 상기 플레이트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변환물질이 저장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축냉 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튜브 중 적어도 하나의 튜브의 한 면에 열전소자가 부착된다.
상기 열전소자는 N형 및 P형 열전반도체를 열적으로 병렬로 연결한 모듈형태의 소자로서, 상기 튜브의 한 면에 부착되는 발열부와 핀이 부착된 흡열부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튜브 사이에는 냉각핀이 개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전소자는 인가된 전원의 극성에 따라 상기 상변환물질의 상태를 변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열전소자 일체형 축냉 열교환기는, 변환물질이 봉입된 저장부와 일체로 형성된 냉매용 튜브 면에 열전소자가 부착된 구조를 가지므로, 열전소자의 작용에 의해 종래 축냉제 수용 용량에 따르는 냉각능력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열전소자 일체형 축냉 열교환기는, 열전소자에 흐르는 류전류의 방향과 양을 제어하여 온도를 제어할 수 있는 다른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축냉 열교환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다른 축냉 열교환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전소자 일체형 축냉 열교환기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전소자 일체형 축냉 열교환기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b에 도시된 열전소자의 부착되는 튜브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튜브와 열전소자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전소자 일체형 축냉 열교환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전소자 일체형 축냉 열교환기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전소자 일체형 축냉 열교환기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전소자 일체형 축냉 열교환기(100)는, 복수의 튜브(130), 헤드탱크(140), 저장부(120), 열전소자(150) 및 냉각핀(160)을 포함한다.
상기 튜브(130)는 두 개의 플레이트가 접합되어 내부에 냉매유로가 형성된 튜브-플레이트 타입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헤드탱크(140)에는 냉매가 유입되는 입구 파이프(131)와 냉매가 배출되는 출구 파이프(132)가 연결되어 있고, 내부에 하나 이상의 냉매유로가 형성된다. 헤드탱크(140)는 복수의 튜브(130)의 일단 및 타단 중 적어도 한단에 튜브(130)와 연통된다. 복수의 튜브(130) 사이에는 냉각핀(160)이 개재된다.
상기 저장부(120)는 튜브(130)를 구성하는 플레이트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변환물질(PCM; phase change material)이 저장된다. 상변환물질은 열을 흡수, 저장, 방출하는 특징을 가지며 온도에 따라 고체에서 액체 또는 액체에서 고체로 상변환되는 물질을 말한다. 상변환물질은 예를들면, 파라핀 계열 또는 공융염류(eutectic salts) 계열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열전소자(150)는 N형 및 P형 열전반도체(thermoelectric semiconductor)를 전기적으로 직렬로 연결하고 열적으로는 병렬로 연결한 모듈형태의 소자로서, 발열부와 핀(156)이 부착된 흡열부를 포함한다. 열전소자(150)는 복수의 튜브(130) 중 일체형 축냉 열교환기(100)의 외각 양단에 위치한 튜브(130) 바깥 면에 부착될 수 있다. 열전소자(150)는 열전소자(150)의 발열부가 튜브(130) 면 쪽을 향하고 열전소자(150)의 흡열부에 부착된 핀(156)이 외부로 향하도록 튜브(130) 면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열전소자(150)는 일체형 축냉 열교환기(100)의 외각 양단에 위치한 튜브(130) 바깥 면에 부착하는 경우를 예시하여 설명하였지만 열전소자(150)가 부착되는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일체형 축냉 열교환기(100)의 외각 양단 사이에 위치한 복수의 튜브(130)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튜브 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도 4는 이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열전소자(150)는 복수의 튜브(130) 중 선택된 두 개의 튜브(132,134) 사이에 위치되며, 두 개의 튜브(132,134) 중 하나의 튜브(132) 면에 부착될 수 있다. 열전소자(150)가 부착되지 않은 다른 튜브(134)와 열전소자(150) 면 사이는 냉각핀(160)이 접촉 개재되어 열적으로 서로 연결된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튜브와 열전소자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튜브(130)를 구성하는 플레이트(110)의 좌 우 양측에는 냉매유로(111a,111b)가 각각 형성되고, 냉매유로(111a,111b) 영역의 플레이트(110) 면에는 비드(112)가 돌출 형성되며, 상부 또는 하부에는 이웃하는 튜브(130)로 냉매가 유동되도록 하는 유동구(113)와 저장부(120)에 봉입된 상변환물질이 유동되도록 하는 홀(121)이 형성된다.
저장부(120)는 플레이트(110)의 좌우측 냉매유로(111a,111b) 사이에 냉매유로(111a,111b)와 평행하게 형성되며, 봉입된 상변환물질이 플레이트(110)에 형성된 홀(121)을 통하여 일체형 축냉 열교환기(100)의 전체 영역에 연통되도록 플레이트(110)와 일체로 형성된다. 저장부(120)는 좌우측 냉매유로(111a,111b) 사이에 형성되므로 냉매의 흐름의 변화를 최소화하면서 공기와 냉매의 열교환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며, 또한 저장부(120)도 냉매의 냉기를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튜브(130)를 구성하는 두 개의 플레이트(110) 중 하나의 플레이트(110) 외면에는 열전소자(150)가 부착된다. 열전소자(150)는 저장부(120)가 형성된 영역의 플레이트(110) 면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유동구(113) 및 홀(121)이 플레이트(110)의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지만 유동구(113) 및 홀(121)은 냉매의 흐름 및 저장부(150)의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전소자 일체형 축냉 열교환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전소자 일체형 축냉 열교환기의 열전소자(150)는 흡열부(154), 발열부(152), 흡열부(154)와 발열부(152)에 사이에 접합 배치되는 N형 및 P형 열전반도체(158) 및 흡열부(154)에 접합되는 핀(156)을 포함한다. 열전소자(150)는 복수의 튜브(130) 중 선택된 두 개의 튜브(132,134) 사이에 위치되고, 두 개의 튜브(132,134) 중 하나의 튜브(132) 면에 부착되어 열전소자(150)의 핀(156)이 외부 공기와 서로 열교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전소자 일체형 축냉 열교환기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에어컨이 가동되는 경우, 일체형 축냉 열교환기(100)는 냉매의 기화작용에 의해 주위 공기를 냉각시키면서 저장부(120)에 봉입된 상변환물질을 고체화시켜 냉기를 축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열전소자(150)에 제1방향의 직류전원을 인가하면, 열전소자(150)는 발열부(152)를 통해 냉매로 열을 방출하고, 흡열부(154) 및 핀(156)을 통해 냉기를 방출함으로서 냉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열전소자(150)는 전류 흐름의 방향에 따라 발열부와 흡열부의 작용이 서로 바뀌어 질 수 있으므로, 제1방향과 반대되는 제2방향의 전원 인가 및 전류의 양 제어를 통하여 일체형 축냉 열교환기에서 방출되는 냉기의 온도를 제어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아이들 스탑과 같이 에어컨이 가동되다가 멈추는 경우 냉각 사이클의 냉매가 압축기에 의해 액화될 수 없어 냉각 기능이 떨어지게 된다. 이때 열전소자(150)에 제1방향의 직류전원을 인가하면, 열전소자(150)는 발열부(152)를 통해 냉매로 열을 방출하고, 방출된 열은 냉매를 매개로 저장부(120)의 상변환물질에 전달되며, 고체의 상변환물질은 액화되면서 발열부(152)에서 방출되는 열을 흡수한다. 반면 열전소자(150)의 흡열부(154)는 핀(156)을 통해 냉기를 방출함으로서 에어컨의 가동이 중단되는 경우에도 냉각된 공기를 차량 실내에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열전소자(150)의 작용에 의하여 종래 축냉부가 수용할 수 있는 축냉제 용량의 한계에 따르는 냉각능력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 또한 열전소자(150)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 및 양을 제어하여 공기 온도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100: 일체형 축냉 열교환기 110: 플레이트
120: 저장부 130: 튜브
140: 헤드탱크 150: 열전소자
160: 냉각핀

Claims (4)

  1. 한 쌍의 플레이트(110)가 접합되어 구성되는 복수의 튜브(130); 상기 튜브(130)의 일단 및 타단 중 적어도 한단에 상기 튜브(130)와 연통되는 헤드탱크(140); 상기 플레이트(110)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변환물질이 저장되는 저장부(120);를 포함하는 축냉 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튜브(130) 중 적어도 하나의 튜브(130)의 한 면에 열전소자(150)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소자 일체형 축냉 열교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소자(150)는 N형 및 P형 열전반도체(158)를 열적으로 병렬로 연결한 모듈형태의 소자로서, 상기 튜브(30)의 한 면에 부착되는 발열부(152)와 핀(156)이 부착된 흡열부(15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소자 일체형 축냉 열교환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튜브(130) 사이에는 냉각핀(160)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소자 일체형 축냉 열교환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소자(150)는 인가된 전원의 극성에 따라 상기 상변환물질의 상태를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소자 일체형 축냉 열교환기.
KR1020100066310A 2010-07-09 2010-07-09 열전소자 일체형 축냉 열교환기 KR201200057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6310A KR20120005710A (ko) 2010-07-09 2010-07-09 열전소자 일체형 축냉 열교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6310A KR20120005710A (ko) 2010-07-09 2010-07-09 열전소자 일체형 축냉 열교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5710A true KR20120005710A (ko) 2012-01-17

Family

ID=45611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6310A KR20120005710A (ko) 2010-07-09 2010-07-09 열전소자 일체형 축냉 열교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571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00284A (zh) * 2012-12-26 2014-07-02 现代自动车株式会社 具有热电元件的热交换器
US9829220B2 (en) 2013-12-23 2017-11-28 Hyundai Motor Company Heat exchang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00284A (zh) * 2012-12-26 2014-07-02 现代自动车株式会社 具有热电元件的热交换器
US9175886B2 (en) 2012-12-26 2015-11-03 Hyundai Motor Company Heat exchanger having thermoelectric element
US9829220B2 (en) 2013-12-23 2017-11-28 Hyundai Motor Company Heat exchang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0408506B2 (en) 2013-12-23 2019-09-10 Hyundai Motor Company Heat exchang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Xu et al. Progress and perspectives of integrated thermal management systems in PEM fuel cell vehicles: A review
CN103946043B (zh) 电气设备的冷却装置
US9151545B2 (en) Thermal management of an electrochemical cell by a combination of heat transfer fluid and phase change material
KR101991241B1 (ko) 배터리 전력 공급에 의한 차량용 냉동 시스템
CN104218273B (zh) 用于电气化车辆的电池热管理系统
EP2580801B1 (en) Thermal management system for a battery system
US20170028869A1 (en) Thermal management system including cold plate and integrated heat pipe
WO2013146561A1 (ja) 電源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車両並びに蓄電装置
JP4407082B2 (ja) 発熱体の冷却システムおよび熱管理システム
CN103958234B (zh) 电气设备的冷却装置
JP2014103005A (ja) 電池パック及び車両用暖房装置
CN110492135B (zh) 燃料电池汽车余热发电系统及其工作方法、燃料电池汽车
CN110660944A (zh) 一种具有热管装置的动力电池包散热装置及其散热方法
KR20210082147A (ko) 열전 모듈과 히트 파이프 결합 구조의 냉동기
KR101291029B1 (ko) 일체형 축냉 열교환기
KR20120005710A (ko) 열전소자 일체형 축냉 열교환기
CN112886096A (zh) 基于相变材料的锂离子动力电池组主动热管理系统
JP7263713B2 (ja) 保温装置
CN109488483B (zh) 一种车辆热交换系统
Sukkam et al. Overview of machine learning applications to battery thermal management systems in electric vehicles
US20210249705A1 (en) Thermal Management System
CN218939816U (zh) 电池的热管理装置、电池包及汽车
CN220021289U (zh) 一种换热装置、电池热管理系统及车辆
CN117021886A (zh) 热管理系统及车辆
CN216750052U (zh) 热管理装置以及电池热管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