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5590U - 부추 세척기 - Google Patents

부추 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5590U
KR20120005590U KR2020110000759U KR20110000759U KR20120005590U KR 20120005590 U KR20120005590 U KR 20120005590U KR 2020110000759 U KR2020110000759 U KR 2020110000759U KR 20110000759 U KR20110000759 U KR 20110000759U KR 20120005590 U KR20120005590 U KR 2012000559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ek
conveyor belt
strip
water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07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6219Y1 (ko
Inventor
김명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덕종합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덕종합기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덕종합기계
Priority to KR20201100007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6219Y1/ko
Publication of KR2012000559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559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62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621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2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washing or blan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08B3/022Cleaning travelling work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부추 세척기는 회전축에 의하여 연결된 두 쌍의 롤러(103 및 103')에 의하여 순환적으로 돌아가고, 씨줄과 날줄로 형성된 망으로 형성되며, 세척될 부추가 가지런히 얹혀지는 콘베이어 벨트(101); 망형태의 상기 콘베이어 벨트(101) 상에 놓여지는 부추(500)에 대하여 상부 및 하부로부터 동시에 물을 분사하여 부추를 세척하는 양방향 물 분사 수단(200); 상기 양 방향 물 분사 수단(200)에 의하여 상기 콘베이어 벨트(101)에서 상기 부추(500)가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부추 상에 놓여져서 상기 부추를 누르는 스트립형 순환 벨트(300); 및 상기 스트립형 순환 벨트(300)가 끼워져서 상기 콘베이어 벨트(101)와 동일한 속도로 상기 스트립형 순환 벨트(300)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부추(500)의 이송시에 상기 부추와 상기 스트립형 순환 벨트(300)의 마찰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는 두 개의 롤러(410 및 420)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부추 세척기에 의하면, 철망으로 된 콘베이어 벨트 상에서 부추를 자동으로 세척할 수 있다. 이때, 부추는 상부 및 하부로부터 분사되는 물에 의하여 깨끗하게 세척될 뿐만 아니라 세척과정에서 부추는 콘베이어 벨트로부터 이탈되지 않아 완벽한 세척이 달성된다.

Description

부추 세척기{Leek Washer}
본 고안은 부추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철망으로 된 콘베이어 벨트 상에서 부추를 자동으로 세척하는 부추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부추는 알리움 투베로숨(Allium tuberosum)이란 학명을 가진 백합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비늘줄기는 밑에 짧은 뿌리줄기가 있고 겉에 검은 노란색의 섬유가 있다. 잎은 녹색으로 줄 모양으로 길고 좁으며 연약하다. 잎 사이에서 길이 30~40cm 되는 꽃줄기가 자라서 끝에 큰 산형(傘形)꽃차례를 이룬다. 꽃은 7∼8월에 피고 흰색이며 지름 6∼7mm로 수평으로 퍼지고 작은 꽃자루가 길다. 화피갈래조각과 수술은 6개씩이고 꽃밥은 노란색이다. 열매는 삭과로 거꾸로 된 심장 모양이고 포배(胞背)로 터져서 6개의 검은색 종자가 나온다. 비늘줄기는 건위(健胃) ·정장(整腸) ·화상(火傷)에 사용하고 연한 식물체는 식용한다. 종자는 한방에서 구자(삘子)라 하여 비뇨(泌尿)의 약재로 사용한다. 한국 각지에서 재배한다. (출처: 네이버 백과사전)
이러한 부추는 각종 요리의 재료, 특히 만두소(속)의 재료로 사용되는데, 대형 음식점 또는 급식소, 특히 만두공장에서는 부추를 대량으로 세척한 후에 사용하여야 하여야 한다. 그러나 아직까지 부추를 자동으로 세척하는 기계장치는 제안되지 않았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166107호(1999. 10. 25. 등록)는 구상 채소 또는 과일의 예냉장치를 개시한다. 이 등록고안은 과일을 냉각시키기 전에 먼저 과일을 세척하는 공정을 수행하는데, 두 로울러 사이에 배치되어 순환되는 투수형 컨베이어 벨트의 상류측에서 하부에 세척로울러가 배치된 청과물공급호퍼를 착설하고 또한 그 하류측에서 컨베이어 벨트의 상측에 다수의 집중세척살수관을 배치하고 컨베이어 벨트의 하측에는 다단형의 배수조가 배치된 청과물세척살수단을 구성한다.
상기한 종래기술의 장치들은 부추의 세척과는 무관한 것으로서, 그것들을 그대로 또는 약간 변형하여 부추를 세척하는데 사용할 수는 없는 것이다. 왜냐하면 과일의 세척에는 높은 압력으로 물을 분사하여야 하지만 부추를 높은 압력으로 물을 분사하여 세척하게 되면 부추는 짓물러지기 때문이다. 부추를 자동으로 세척하기 위해서는 부추의 특성을 파악하여야 하고 그것에 적합하도록 장치의 구조를 설계하여야 한다.
이에, 본 고안의 목적은 철망으로 된 콘베이어 벨트 상에서 부추를 자동으로 세척하는 부추 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부추 세척기는 회전축에 의하여 연결된 두 쌍의 롤러에 의하여 순환적으로 돌아가고, 씨줄과 날줄로 형성된 망으로 형성되며, 세척될 부추가 가지런히 얹혀지는 콘베이어 벨트; 망형태의 상기 콘베이어 벨트 상에 놓여지는 부추에 대하여 상부 및 하부로부터 동시에 물을 분사하여 부추를 세척하는 양방향 물 분사 수단; 상기 양 방향 물 분사 수단에 의하여 상기 콘베이어 벨트에서 상기 부추가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부추 상에 놓여져서 상기 부추를 누르는 스트립형 순환 벨트; 및 상기 스트립형 순환 벨트가 끼워져서 상기 콘베이어 벨트와 동일한 속도로 상기 스트립형 순환 벨트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부추의 이송시에 상기 부추와 상기 스트립형 순환 벨트의 마찰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는 두 개의 롤러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상기 스트립형 순환 벨트는 상기 콘베이어 벨트 상의 제1 영역에서 상기 부추의 제1 위치 상에서 상기 부추를 누르는 제1 스트립형 순환 벨트 및 상기 콘베이어 벨트 상의 상기 제1 영역에 연속하는 제2 영역에서 상기 부추의 제2 위치 상에서 상기 부추를 누르는 제2 스트립형 순환 벨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스트립형 순환 벨트(310)는 그것을 연장할 때 상기 제2 스트립형 순환벨트(320)와 겹쳐지지 않는 것임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콘베이어 벨트 상의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이 만나는 경계지점에는 상기 제1 스트립형 순환 벨트를 순환시키는 제1 롤러와 상기 제2 스트립형 순환 벨트를 순환시키는 제2 롤러가 배치되고, 상기 경계지점 상의 상기 제1 롤러와 상기 제2 롤러는 서로 축이 연결되어 있어 함께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양방향 물 분사 수단은 독립적으로 작동하는 복수개로 구성되고, 상기 콘베이어 벨트 하에 놓여져서 분사된 물을 수집하는 탱크, 상기 탱크에 물을 보충하는 보충수 공급수단, 상기 탱크의 물을 압축하는 압축펌프, 상기 압축펌프에 의하여 압축된 물을 상기 콘베이어 벨트 상에 놓여지는 상기 부추에 대하여 상부 및 하부로 이송하는 상부 및 하부 물공급관, 상기 상부 및 하부 물공급관으로부터 분지되는 복수개의 상부 및 하부 분지관, 상기 상부 및 하부 분지관에 설치되어 상기 압축된 물을 분사하는 복수개의 상부 및 하부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양방향 물 분사 수단은 독립적으로 작동하는 3개로 구성되고, 상기 각 양방향 물 분사 수단의 탱크는 물이 흐를 수 있는 관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탱크들 중 가장 마지막 탱크에 보충수 공급수단이 연결되어 그 탱크에 보충수가 공급되면 상기 연결관에 의하여 다른 탱크들에도 보충수가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부추 세척기에 의하면, 철망으로 된 콘베이어 벨트 상에서 부추를 자동으로 세척할 수 있다. 이때, 부추는 상부 및 하부로부터 분사되는 물에 의하여 깨끗하게 세척될 뿐만 아니라 세척과정에서 부추는 콘베이어 벨트로부터 이탈되지 않아 완벽한 세척이 달성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부추 세척기에 관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부추 세척기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부추 세척기에서 양방향 물 분사 구조를 나타낸 상세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부추 세척기에서 상부 물 분사 구조를 나타낸 상세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부추 세척기에서 양방향 물 분사 구조를 나타낸 상세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부추 세척기에서 콘베이어 벨트 상에 놓여진 부추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스트립형 순환 벨트 및 롤러의 배치 상황을 나타내는 평면 개념도이다.
이하, 본 고안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부추 세척기(10)를 고정하기 위하여 프레임(11)이 설치되고 그것은 프레임 지지대(13)에 의하여 바닥에 고정된다. 본 고안의 부추 세척기(10)는 도 1 및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회전축에 의하여 연결된 두 쌍의 롤러(103 및 103')에 의하여 순환적으로 돌아가는 콘베이어 벨트(101 및 101')를 가진다. 콘베이어 벨트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한 쪽 말단에 한 쌍의 롤러(103-1 및 103-2)가 배치되고 다른쪽 말단에 또한 한 쌍의 롤러(103'-1 및 103'-2)가 배치된다. 그러한 한 쌍의 롤러는 각각 축(104 및 104')에 의하여 서로 연결된다. 이러한 롤러들을 구동하기 위하여 구동모터(111)가 사용되며, 구동모터(111)의 구동축(105)은 롤러(103')와 구동벨트(109)에 의하여 연결되어 동력을 롤러(103')에 전달한다. 롤러(103)는 롤러(103')에 의하여 종속적으로 움직이는 2륜구동방식일 수도 있고, 롤러(103')와는 별도의 구동수단에 의하여 구동되어 움직이는 4륜구동방식일 수도 있다.
이러한 콘베이어 벨트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씨줄과 날줄이 얽혀서 형성된 망, 특히 철망으로 형성되며, 그 위에는 세척될 부추(500)가 가지런히 얹혀진다. 철망은 씨줄과 날줄이 얽혀서 형성되는 대신에 씨줄과 날줄이 서로 용접에 의하여 결합되는 형태이어도 무방하다. 콘베이어 벨트는 롤러의 위쪽에서 표면으로 노출되어 그 위에 부추를 얹어서 이송시킬 수 있는 상부 콘베이어 벨트(101)와 롤러의 아래쪽에서 노출되지 않은 하부 콘베이어 벨트(101')로 구분된다.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구분하지 않고 콘베이어 벨트라고 지칭하면 상부 콘베이어 벨트를 의미하거나 문맥에 따라서 전체 콘베이어 벨트를 의미한다. 도 1에서 콘베이어 벨트(101)는 왼쪽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움직인다. 즉 부추(500)는 왼쪽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세척된다.
본 고안의 부추 세척기(10)는 망형태의 콘베이어 벨트(101) 상에 놓여지는 부추(500)에 대하여 상부 및 하부로부터 동시에 물을 분사하여 부추를 세척하는 양방향 물 분사 수단(200)을 가진다. 이러한 양방향 물 분사 수단(200)은 독립적으로 작동하는 복수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서는 세개의 영역(영역 2, 3 및 4)에 3개의 양방향 물 분사 수단(200)을 도시하였는데, 부추의 세척을 위하여 이 정도가 적당하다. 양방향 물 분사 수단(200)은 콘베이어 벨트(101 및 101') 하에 놓여져서 분사된 물을 수집하는 탱크(210), 탱크(210)에 물을 보충하는 보충수 공급수단(미도시), 탱크(210)의 물을 압축하는 압축펌프(220)(도 3 참조), 압축펌프(220)에 의하여 압축된 물을 콘베이어 벨트(101) 상에 놓여지는 부추(500)에 대하여 상부 및 하부로 이송하는 상부 및 하부 물공급관(230 및 240), 상부 및 하부 물공급관(230 및 240)으로부터 분지되는 복수개의 상부 및 하부 분지관(250 및 260), 상부 및 하부 분지관(250 및 260)에 설치되어 압축된 물을 분사하는 복수개의 상부 및 하부 노즐(270 및 280)을 포함한다.
양방향 물 분사 수단(200)에서 물공급관은 수직으로 상승하는 수직 물공급관과 그것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는 수평 물공급관으로 구분된다. 수직 물공급관은 상부 콘베이어 벨트(101)과 하부 콘베이어 벨트(101')의 사이에 위치하는 지점까지의 하부 물공급관(240)과 그것으로부터 연장되어 상부 콘베이어 벨트(101)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물공급관(230)으로 이루어지며, 그것들 각각은 수평으로 연장되는 하부 물 공급관(240) 및 상부 물 공급관(230)과 연결된다.
수평으로 연장된 상부 물공급관(230) 및 하부 물공급관(240)으로부터 다시 수평으로 복수개의 상부 분지관(250) 및 하부 분지관(260)이 연장되어 배치되고, 그러한 상부 및 하부 분지관(250 및 260)에는 물을 분사할 수 있는 노즐(270 및 280)이 복수개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노즐들(270 및 280)은 상부 컨베이어 벨트(101)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배치되어 양방향에서 물을 분사함으로써 부추를 완벽하게 세척하는데 사용된다. 이때 하부 분지관(260) 및 노즐(280)은 상부 콘베이터 벨트(101)과 하부 콘베이어 벨트(101') 사이의 공간에 배치된다. 하부 분지관(260) 및 노즐(280)을 상부 콘베이터 벨트(101)과 하부 콘베이어 벨트(101') 사이의 공간에 배치하기 위하여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물공급관 및 분지관의 구조가 필요하다. 각 분지관(250 및 260)에는 각각 밸브(235)가 설치되어 급수량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각 양방향 물 분사 수단(200)의 탱크(210)는 물이 흐를 수 있는 관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미도시), 탱크들 중 가장 마지막 탱크, 즉 도 1에서 4번 영역에 배치된 양방향 물 분사 수단(200)의 탱크(210)에 보충수 공급수단이 연결되어 그 탱크에 보충수가 공급되면 상기 연결관에 의하여 다른 탱크들에도 보충수가 공급되는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물 공급을 위한 배관 구조가 간단해지는 효과가 있으며, 서로 연결된 탱크들의 수위 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다음으로, 본 고안의 부추 세척기는 콘베이어 벨트(101) 상에 놓여지는 부추(500)를 누르는 스트립형 순환 벨트(300)를 가진다. 이러한 순환 벨트(300)는 양 방향 물 분사 수단(200)에 의하여 콘베이어 벨트(101)에서 부추(500)가 이탈하지 않도록 부추(500)를 붙잡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그러나 콘베이어 벨트(101)는 롤러(103 및 103')의 회전에 의하여 앞으로 전진하는 것인데, 이에 대하여 만약 스트립형 순환 벨트(300)가 움직이지 않는 것이라면 콘베이어 벨트(101)의 전진에 의한 마찰에 의하여 부추는 상하게 된다. 따라서, 부추가 상하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부추(500)도 콘베이어 벨트(101)와 동일한 속도로 전진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콘베이어 벨트(101)와 맞닿는 스트립형 순환 벨트(300)도 콘베이어 벨트(101)와 동일한 속도로 전진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스트립형 순환 벨트(300)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최소한 두 개의 롤러(410 및 420)가 채용된다. 이러한 두 개의 롤러(410 및 420)에는 스트립형 순환 벨트(300)가 끼워지고, 롤러(410 및 420)의 회전에 의하여 스트립형 순환 벨트(300)는 전진하게 된다. 롤러(420)는 구동력을 얻기 위하여 모터(111)의 구동축(105)과 구동벨트(109')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다른 롤러(410)는 구동 롤러(420)에 종속되어 움직이도록 설계할 수도 있고 별도의 구동력이 전달되는 형태로 설계될 수도 있다.
콘베이어 벨트(101) 상에서 부추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채용되는 스트립형 순환 벨트(300)는 콘베이어 벨트(101)와 맞닿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콘베이어 벨트(101)와 스트립형 순환 벨트(300) 사이에 어느 정도의 틈이 있더라도 그것이 너무 넓지만 않다면 양방향 물 분사에 의하여 부추의 배열이 크게 흐트려지지 않으므로 채용될 수 있다.
콘베이어 벨트(101) 상에서 부추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채용되는 스트립형 순환 벨트(300)는 1열의 부추에 대하여 하나가 사용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열의 위치가 다르게 배치되는 두 개가 사용될 수 있다. 만약 1열의 부추에 대하여 스트립형 순환 벨트(300)가 하나만 적용된다면 스트립형 순환 벨트(300)에 의하여 가려진 부추의 부분은 세척이 되지 않게 되는데, 이것은 작은 부분에 불과하더라도 세척효과에 만전을 기할 수 없다는 점에서 미흡한 점으로 남는다. 이러한 세척 결함을 없애기 위하여 1열의 부추에 대하여 열의 위치가 다르게 배치되는 2개 이상의 스트립형 순환 벨트, 특히 2개의 스트립형 순환 벨트(300)를 배치하는 것이 좋다.
더욱 구체적으로, 도 6은 철망의 콘베이어 벨트(101) 상에 2열의 부추가 배열되어 세척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부추(500)는 뿌리(501)쪽이 바깥으로 그리고 끝쪽(502)이 안쪽으로 배치되는 것이 편리하다. 부추(500)는 연속적으로 2열로 배열되는 것이지만, 도면에서는 양방향 물 분사 영역을 표시하기 위하여 임의로 분리하여 표시하였다. 따라서, 도 6의 부추의 영역들은 도 1에 표시된 양방향 물 분사 영역(영역 2, 3 및 4)에 대응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콘베이어 벨트(101)는 임의적으로 제1영역(101-1)과 제2영역(101-2)로 구분할 수 있다. 콘베이어 벨트(101)의 제1영역(101-1) 상에는 제1열의 부추에 대하여 두 개의 롤러(410 및 430)에 의하여 회전하는 제1 스트립형 순환 벨트(310)가 배치되고, 콘베이어 벨트(101)의 제2 영역(101-2) 상에는 제1열의 부추에 대하여 두 개의 롤러(420 및 440)에 의하여 회전하는 제2 스트립형 순환 벨트(320)가 배치된다. 이때 제1 스트립형 순환 벨트(310)와 제2 스트립형 순환벨트(320)는 열의 위치가 서로 다르게 배치된다. 열의 위치가 서로 다르게 배치된다는 것의 의미는 제1 스트립형 순환 벨트(310)를 연장하였을 때 그것은 제2 스트립형 순환벨트(320)와 겹쳐지지 않음을 말하는 것이다.
제2열의 부추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두 개의 롤러(410' 및 430')에 의하여 회전하는 제1 스트립형 순환 벨트(310')가 배치되고, 콘베이어 벨트(101)의 제2 영역(101-2) 상에는 제2열의 부추에 대하여 두 개의 롤러(420' 및 440')에 의하여 회전하는 제2 스트립형 순환 벨트(320')가 배치된다.
이때, 콘베이어 벨트(101) 상의 제1 영역(101-1)과 제2 영역(101-2)이 만나는 경계지점(101-3)에는 제1 스트립형 순환 벨트(310)를 순환시키는 제1 롤러(430)와 제2 스트립형 순환 벨트(320)를 순환시키는 제2 롤러(440)가 배치되고, 경계지점(101-3) 상의 제1 롤러(430)와 제2 롤러(440)는 서로 축이 연결되어 있어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스트립형 순환 벨트(310 및 320)를 회전시키는 롤러들(410, 420, 430 및 440)은 본 고안의 세척기(10)의 프레임(11)에 고정된다. 이에 대해서는 통상적으로 구성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도면에서의 도시는 생략하였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부추(500)가 콘베이어 벨트(101) 상에 배치되어 이동하면서 양방향 물 분사 수단(200)에 의하여 양방향으로부터 분사되는 물에 의하여 깨끗하게 세척된다. 또한 그러한 세척동안에 부추의 배열은 분사되는 물에 의하여 흐트려지지 않아 실질적인 세척효과를 달성할 수 있고, 또한 두 개의 스트립형 순환 벨트에 의하여 더욱 완벽한 세척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한편, 부추는 밭에서 뿌리채 수확하는 것이기 때문에 흙이 많이 묻어 있다. 따라서, 부추를 처음 세척할 때에 많은 양의 흙이 제거되기 때문에 세척후 수집된세척수는 그 자체로 다시 재사용되기는 어렵다. 그러한 이유로 본 고안에서는 콘베이어 벨트에 의한 부추의 자동 세척공정에서 첫 번째 단계로서, 즉 콘베이어 벨트의 가장 상류 측에는 콘베이어 벨트(101)에 놓여지는 부추(500)의 상부로부터 물을 분사하는 단방향 물 분사 수단(200')에 의하여 부추를 우선적으로 세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방향 물 분사 수단(200')은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물공급관(230'), 이 수직 물공급관(230')으로부터 콘베이어 벨트(101)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 물공급관(230') 그리고 수평 물공급관(230')으로부터 콘베이어 벨트(10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분지관(250')로 구성될 수 있다. 분지관(250')에는 복수개의 노즐(270')이 설치되어 있다.
단방향 물 분사 수단(200')은 상부 콘베이어 벨트(101)와 하부 콘베이어 벨트(101') 사이에 배치되는 하부 물 공급수단이 없다는 점에서 양방향 물 분사 수단(200)과 다른 것이다. 밭에서 수확한 부추는 흙을 많이 가지고 있기 때문에 양방향으로 물을 분사하여 세척할 경우에는 부추 자체의 세척력은 높아지겠지만, 양방향 물 분사에 의하여 주변 오염의 정도가 높아질 수 있다. 부추를 잡기 위한 스트립형 순환 벨트를 적용할 경우에는 그 순환 벨트가 흙으로 오염될 염려도 있다. 따라서, 부추의 최초 세척시에도 양방향 물 분사 방식에 의한 세척을 수행할 수도 있으나 단방향 물 분사 방식에 의한 세척만으로도 충분할 수 있다.
단방향 물 분사 방식의 세척에 의하면 부추의 배열이 크게 흐트려지지 않으므로 그대로 후단에서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지만, 첫번째 단계(영역 1)에서 강한 물 분사로 인하여 부추의 배열이 흐트려질 경우에는 중간에 사람이 개입하여 흐트려진 부추의 배열을 다시 가지런히 잡아줄 수도 있다.
10: 부추 세척기 11: 프레임
13: 프레임 지지대 101,101': 콘베이어 벨트
103,103',410,420,430,440: 롤러 105: 구동축
109,109': 구동벨트 111: 구동모터
200: 양방향 물 분사 수단 210,210': 물탱크
220: 압축펌프 230,230': 상부 물공급관
240: 하부 물공급관 250,250': 상부 분지관
260: 하부 분지관 270,270',280: 물분사 노즐
300,310,320: 스트립형 순환 벨트 500: 부추

Claims (5)

  1. 회전축에 의하여 연결된 두 쌍의 롤러(103 및 103')에 의하여 순환적으로 돌아가고, 씨줄과 날줄로 형성된 망으로 형성되며, 세척될 부추가 가지런히 얹혀지는 콘베이어 벨트(101);
    망형태의 상기 콘베이어 벨트(101) 상에 놓여지는 부추(500)에 대하여 상부 및 하부로부터 동시에 물을 분사하여 부추를 세척하는 양방향 물 분사 수단(200);
    상기 양 방향 물 분사 수단(200)에 의하여 상기 콘베이어 벨트(101)에서 상기 부추(500)가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부추 상에 놓여져서 상기 부추를 누르는 스트립형 순환 벨트(300); 및
    상기 스트립형 순환 벨트(300)가 끼워져서 상기 콘베이어 벨트(101)와 동일한 속도로 상기 스트립형 순환 벨트(300)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부추(500)의 이송시에 상기 부추와 상기 스트립형 순환 벨트(300)의 마찰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는 두 개의 롤러(410 및 420)를 포함하는 부추 세척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형 순환 벨트(300)는 상기 콘베이어 벨트(101) 상의 제1 영역(101-1)에서 상기 부추(500)의 제1 위치 상에서 상기 부추를 누르는 제1 스트립형 순환 벨트(310) 및 상기 콘베이어 벨트(101) 상의 상기 제1 영역에 연속하는 제2 영역(101-2)에서 상기 부추의 제2 위치 상에서 상기 부추를 누르는 제2 스트립형 순환 벨트(320)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스트립형 순환 벨트(310)는 그것을 연장할 때 상기 제2 스트립형 순환벨트(320)와 겹쳐지지 않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부추 세척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콘베이어 벨트(101) 상의 상기 제1 영역(101-1)과 상기 제2 영역(101-2)이 만나는 경계지점(101-3)에는 상기 제1 스트립형 순환 벨트(310)를 순환시키는 제1 롤러(430)와 상기 제2 스트립형 순환 벨트(320)를 순환시키는 제2 롤러(440)가 배치되고, 상기 경계지점(101-3) 상의 상기 제1 롤러(430)와 상기 제2 롤러(440)는 서로 축이 연결되어 있어 함께 회전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부추 세척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물 분사 수단(200)은 독립적으로 작동하는 복수개로 구성되고, 상기 콘베이어 벨트(101) 하에 놓여져서 분사된 물을 수집하는 탱크(210), 상기 탱크에 물을 보충하는 보충수 공급수단, 상기 탱크(210)의 물을 압축하는 압축펌프(220), 상기 압축펌프에 의하여 압축된 물을 상기 콘베이어 벨트(101) 상에 놓여지는 상기 부추(500)에 대하여 상부 및 하부로 이송하는 상부 및 하부 물공급관(230 및 240), 상기 상부 및 하부 물공급관(230 및 240)으로부터 분지되는 복수개의 상부 및 하부 분지관(250 및 260), 상기 상부 및 하부 분지관에 설치되어 상기 압축된 물을 분사하는 복수개의 상부 및 하부 노즐(270 및 28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추 세척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물 분사 수단(200)은 독립적으로 작동하는 3개로 구성되고, 상기 각 양방향 물 분사 수단(200)의 탱크(210)는 물이 흐를 수 있는 관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탱크들 중 가장 마지막 탱크에 보충수 공급수단이 연결되어 그 탱크에 보충수가 공급되면 상기 연결관에 의하여 다른 탱크들에도 보충수가 공급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부추 세척기.
KR2020110000759U 2011-01-26 2011-01-26 부추 세척기 KR2004662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0759U KR200466219Y1 (ko) 2011-01-26 2011-01-26 부추 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0759U KR200466219Y1 (ko) 2011-01-26 2011-01-26 부추 세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5590U true KR20120005590U (ko) 2012-08-03
KR200466219Y1 KR200466219Y1 (ko) 2013-04-05

Family

ID=46874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0759U KR200466219Y1 (ko) 2011-01-26 2011-01-26 부추 세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621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5645B1 (ko) * 2012-12-21 2014-08-04 (주)에코파워텍 조립식 컨베이어이송형 자동세척장치
CN109499974A (zh) * 2018-12-24 2019-03-22 杭州园泰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海藻加工提取物清洗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9335B1 (ko) 2018-09-07 2019-07-04 양홍복 이물질 제거와 절단이 가능한 농산물 가공 세척 제피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7411A (ko) * 2003-01-23 2004-07-30 고택성 채소 세척기
KR100865281B1 (ko) * 2008-03-28 2008-10-27 음성군 인삼류 세척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5645B1 (ko) * 2012-12-21 2014-08-04 (주)에코파워텍 조립식 컨베이어이송형 자동세척장치
CN109499974A (zh) * 2018-12-24 2019-03-22 杭州园泰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海藻加工提取物清洗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6219Y1 (ko) 2013-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674073B (zh) 一种果蔬水果清洗筛选设备
KR101521588B1 (ko) 농산물 자동 제피기
JP2007097529A (ja) 長尺根菜類の洗浄装置
KR200466219Y1 (ko) 부추 세척기
CN103919242A (zh) 一种土豆淋洗输送装置
CN112586173B (zh) 设施农业蔬菜水培种植一体化收获和再回收系统及其方法
CN109573469B (zh) 食品用钉杆卸料装置
CN104874562A (zh) 一种多种谷物同时清洗烘干装置
CN107307451A (zh) 具有风干功能的果蔬清洗装置
CN102744232A (zh) 一种根须类中药材的清洗机
CN109430906B (zh) 香菇加工保持架
CN109527616B (zh) 农产品卸料装置
CN206576245U (zh) 一种适用于清洗毛豆的气泡毛刷清洗机
CN105266171A (zh) 一种轻简型移动式香蕉清洗装置
KR101723856B1 (ko) 부유 이물질 제거기능을 갖는 야채류 세척장치
CN104997137B (zh) 青蒿的清洗方法
CN205180304U (zh) 一种竹笋清洗设备
CN209498516U (zh) 一种地瓜清洗装置
KR101222944B1 (ko) 대파탈피기
CN109592370B (zh) 一种农产品加工系统
CN109430905B (zh) 一种农产品加工方法
CN209121225U (zh) 一种农业用薯类蔬菜表皮高效清理设备
CN211020904U (zh) 一种防止蔬菜损伤的清洗装置
CN209376645U (zh) 脐橙漂洗沥水装置
KR20130092027A (ko) 모싯잎 자동 처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