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5529A - 기지국 장치가 중계 장치의 식별 정보를 브로드캐스트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 Google Patents

기지국 장치가 중계 장치의 식별 정보를 브로드캐스트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5529A
KR20120005529A KR1020117027912A KR20117027912A KR20120005529A KR 20120005529 A KR20120005529 A KR 20120005529A KR 1020117027912 A KR1020117027912 A KR 1020117027912A KR 20117027912 A KR20117027912 A KR 20117027912A KR 20120005529 A KR20120005529 A KR 201200055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dentification information
nodeb
rnc
information
hn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7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쯔시 나까따
요시오 우에다
Original Assignee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05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55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0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broadcasted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61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of neighbour cel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4Reselecting a cell layer in multi-layered cel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 H04W84/045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using private Base Stations, e.g. femto Base Stations, home Node B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 H04W84/047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using dedicated repeater 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 통신 시스템은, 셀을 형성하는 제1 NodeB와, 제1 NodeB가 접속하고 있으며, 제1 NodeB와 코어 네트워크 사이에서 송수신하는 데이터를 중계하는 중계 장치를 갖고 있다. 제1 NodeB는, 그 제1 NodeB가 접속하고 있는 중계 장치의 식별 정보를 브로드캐스트한다.

Description

기지국 장치가 중계 장치의 식별 정보를 브로드캐스트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 WHICH BASE STATION APPARATUS BROADCAST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RELAY APPARATUS}
본 발명은, 기지국에 의해 셀을 형성함으로써, 이동 가능한 유저 장치와 무선 접속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3GPP(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의 일반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유저 장치(UE : User Equipment)는, NodeB 및 기지국 제어 장치(RNC : Radio Network Controller)를 통하여 코어 네트워크(CN : Core Network)에 접속한다.
NodeB에 의해 형성되는 무선 통신이 가능한 영역은, 통상적으로, 매크로 셀로 불리는 반경이 비교적 큰 셀이다. 3GPP에서는, 이와 같은 일반적인 구성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대하여, 펨토 셀로 불리는 작은 셀을 추가하기 위한 검토가 행해지고 있다(문헌 1 참조).
예를 들면, 펨토 셀을 형성하는 소형의 NodeB로서 HNB(Home NodeB)를 적절히 배치하고, 그 HNB를 공중 유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HNBGW(HNB Gateway)에 접속한다고 하는 아키텍처가 생각되고 있다. 예를 들면, HNB는 가정 또는 기업 등의 옥내 영역에 설치된다.
HNBGW는, HNB와 코어 네트워크가 서로 송수신하는 데이터를 중계하는 중계 장치이며, 논리적으로는 HNBGW와 코어 네트워크 사이에 배치된다. HNB는, 또한 공중 유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HMS(HNB Management System)에도 접속된다. HMS는 HNB의 파라미터나 구성 정보를 관리하는 관리 장치이다. HNBGW 및 HMS는 일반적으로는 복수의 HNB를 소속시킬 수 있다.
도 18은 매크로 셀과 펨토 셀의 양방을 전개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본 무선 통신 시스템은, NodeB(501, 502), RNC(701), HNB(101, 102), HNBGW(301), 및 HMS(401)를 갖고 있다. NodeB(501, 502)가 매크로 셀(601, 602)을 형성하고, HNB(101, 102)가 각각 펨토 셀(201, 202)을 형성하고 있다.
NodeB(501, 502)는 RNC(701)에 접속되고, 그 RNC(701)가 코어 네트워크 노드(901)에 접속되어 있다.
HNB(101, 102)는 공중 유선 네트워크(1000)를 통하여 HNBGW(301) 및 HMS(401)에 접속되어 있다. 그 HNBGW(301)가 코어 네트워크 노드(901)에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는 HNB(101)와 HNB(102)가 동일한 HNBGW(301) 및 동일한 HMS(401)에 접속되는 예가 나타내어져 있지만, 각각이 상이한 HNBGW 및 상이한 HMS에 접속되는 구성도 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UE(802)는 NodeB(501, 502)와 HNB(101, 102) 중 어느 것에도 접속할 수 있고, 또한, 이들 사이를 핸드오버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3GPP-WCDMA 시스템에서는 핸드오버에는 SRNS Relocation Procedure가 이용되므로(문헌 5 참조), 이 수순의 실행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장래적으로는, 사람의 손의 개입없이, 혹은 사람의 손의 개입을 최소화하여, 네트워크 구성을 구축하는 기능으로서 SON(Self-Organizing Networks)의 도입이 기대되고 있다(문헌 2 참조). 예를 들면, 자동 근린 셀 관계 구축(문헌 3 참조)이나, 자율적 네트워크 최적 구성(문헌 4 참조) 등이 주목된다.
문헌 1 :3GPP TS 25.467 V8.1.0, UTRAN architecture for 3G Home NodeB; Stage2 문헌 2 : 3GPP TS 32.500 V8.0.0, Telecommunication Management; Self-Organizing Networks(SON); Concepts and requirements 문헌 3 : 3GPP TS 32.511 V8.1.0, Telecommunication management; Automatic Neighbour Relation(ANR) management; Concepts and requirements 문헌 4 : 3GPP TS32.521 V0.3.0, Telecommunication management; Self-Organizing Networks(SON); Self-optimization and self-healing; Concepts and requirements 문헌 5 : 3GPP TS 25.413 V8.2.1, UTRAN Iu interface Radio Access Network Application Part(RANAP) signalling
여기서 펨토 셀을 타깃으로 하는 핸드오버에 주목한다. 펨토 셀을 타깃으로 하는 핸드오버에는, 매크로 셀로부터 펨토 셀로의 핸드오버와, 펨토 셀로부터 펨토 셀로의 핸드오버가 있다.
핸드오버에서 소스측으로부터 타깃측으로의 접속의 절환은 코어 네트워크 노드(901)에 의해 행해진다. 그 때문에, 펨토 셀을 타깃으로 하는 핸드오버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타깃으로 되는 펨토 셀을 형성하고 있는 HNB가 소속해 있는 HNBGW(301)의 식별 정보를 어떠한 수단에 의해 코어 네트워크 노드(901)에 통지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현재, 타깃측의 HNBGW(301)의 식별 정보를 코어 네트워크 노드(901)에 통지하기 위해서, 소스측이 타깃측의 HNBGW(301)의 식별 정보를 취득하는 적절한 방법이 확립되어 있지 않다.
예를 들면, CN-RNC-NodeB-UE라고 하는 구성의 기존의 3GPP-WCDMA 시스템 중에서는, 펨토 셀의 정보가 어느 노드에도 설정되어 있지 않다. 그 때문에, UE가 매크로 셀로부터 펨토 셀로 이동하였을 때, 핸드오버를 위한 SRNS Relocation Procedure에서 설정해야 할, 펨토 셀을 형성하는 HNB가 소속해 있는 HNBGW의 RNC id를, 소스측의 RNC가 알 수 없다. 그 결과, 매크로 셀로부터 펨토 셀로의 SRNS Relocation procedure를 실시할 수 없다.
또한, CN-HNBGW-HNB-UE라고 하는 구성의 HNB 아키텍처에서는, 공중 유선 네트워크(1000) 경유로 집중 관리를 행하는 HMS를 통하지 않고, 근린의 펨토 셀을 형성하는 HNB가 소속해 있는 HNBGW를 전달하는 방법이 없었다. 또한 HMS를 통해도, 펨토 셀로부터 펨토 셀로의 SRNS Relocation Procedure를 즉각적으로 실행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또한, 소스측의 HNB와 타깃측의 HNB가 각각 다른 HMS에 접속하고 있는 경우, 타깃측의 HNB가 소속하는 HNB GW의 RNC Id를, 소스측의 HNB가 알기 위해서는, 소스측의 HNB가 타깃측의 HMS를 통하여 HNB GW의 RNC Id를 취득한다고 해도, HMS간의 정보의 교환이 필요로 되어, 시스템이 복잡해지는 문제가 생긴다.
또한, 상술한 SON 기능에도, 각 HNB가 소속해 있는 HNBGW의 식별 정보가 필요로 된다. 그러나, 그 식별 정보를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방법이 확립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HNBGW 혹은 그것에 소속하는 HNB에, 다른 HNBGW의 식별 정보를 신속하게 통지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셀을 형성하는 NodeB가 소속해 있는 중계 장치의 식별 정보를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무선 통신 시스템은,
셀을 형성하는 제1 NodeB와,
상기 제1 NodeB에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제1 NodeB와 코어 네트워크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중계하는 중계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NodeB는, 상기 제1 NodeB에 접속되어 있는 상기 중계 장치의 식별 정보를 브로드캐스트한다.
본 발명의 NodeB는, 중계 장치를 통하여 코어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고, 무선으로 셀을 형성하여 유저 장치와 접속하는 NodeB로서,
설정된 정보를 상기 셀에 브로드캐스트하는 송신부와,
상기 NodeB 자신이 접속되어 있는 상기 중계 장치의 식별 정보를, 상기 셀에 브로드캐스트하는 정보로서 상기 송신부에 설정하는 설정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통신 제어 방법은,
셀을 이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통신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셀을 형성하는 제1 NodeB가, 상기 제1 NodeB가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제1 NodeB와 코어 네트워크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중계하는 중계 장치의 식별 정보를 브로드캐스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HNB(101)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UE(801)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5는 HNB(102)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6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작을 도시하는 시퀀스도이다.
도 7은 제1 실시예를 가능하게 하는 3GPP TS25.331의 기재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제1 실시예를 가능하게 하는 3GPP TS25.331의 기재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0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작을 도시하는 시퀀스도이다.
도 11은 제3 실시예에서의 UTRAN Cell Identity의 내용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제3 실시예를 가능하게 하는 3GPP TS25.331의 기재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제3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UE가 HNB로부터의 요구에 응답하여 펨토 셀의 식별자를 통지할 때의 동작을 도시하는 시퀀스도이다.
도 14는 제4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UE가 HNB로부터의 요구에 응답하여 펨토 셀에 송신되는 식별자를 통지할 때의 동작을 도시하는 시퀀스도이다.
도 15는 제5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6은 제6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7은 제7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8은 매크로 셀과 펨토 셀의 양방을 전개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 또는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은, 펨토 셀(201)을 형성하는 NodeB인 HNB(101)와, HNB(101)가 소속하는 중계 장치인 HNBGW(301)를 갖고 있다.
HNB(101)는 HNBGW(301)에 접속하고, 그 HNBGW(301)는, 코어 네트워크의 노드인 CN(901)에 접속하고 있다. HNBGW(301)는, HNB(101)와 CN(901) 사이에 있으며, HNB(101)와 CN(901)가 서로 송수신하는 데이터를 중계하는 장치이다. 또한, HNB(101)는, 그 HNB(101)의 파라미터 및 HNB(101)의 구성 정보를 관리하는 관리 장치인 HMS(401)에 접속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HNB(101)는, HNB(101) 자신이 소속해 있는 HNBGW(301)의 식별 정보를 펨토 셀(201)에서 브로드캐스트한다. 3GPP-WCDMA 시스템의 일례에서는, HNB(101)는, HNBGW(301)의 식별 정보인 RNC id for HNBGW를, System Information 내의 RNC Identity 정보 요소로서 브로드캐스트하면 된다.
브로드캐스트된 식별 정보는, 펨토 셀(201)의 무선 전파가 도달하는 범위에 있는 장치[UE(801), HNB(102), 혹은 NodeB(501)]에 의해 수신되고, 필요에 따라서 무선 통신 시스템 내에서 배포된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식별 정보는, 예를 들면, 펨토 셀(201)을 타깃으로 하는 핸드오버나, SON 기능에 의한 네트워크 구성의 구축에 이용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펨토 셀(201)을 형성하는 HNB(101)가, 그 HNB(101)가 소속해 있는 HNBGW(301)의 식별 정보를 브로드캐스트하므로, HNBGW(301)의 식별 정보를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HNB(101)가 형성하는 펨토 셀(201)의 근린의 셀 배치로서는 시스템의 셀 설계에 따라 다양한 구성이 생각된다. 도 1, 도 2에는, 각각 상이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의 예에서는, HNB(101)가 형성하는 펨토 셀(201)의 근린에는 다른 펨토 셀(202)이 있다. 이 펨토 셀(202)은 HNB(102)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HNB(102)는, HNB(101)가 소속해 있는 HNBGW(301)와는 상이한 HNBGW(302)에 소속해 있다. 또한 HNB(102)는 HMS(402)에 접속하고 있다. 여기서는, 유저 장치인 UE(801)는, HNB(101, 102)의 양방으로부터의 무선 전파를 수신할 수 있는 위치에 있고, 펨토 셀(202)을 경유하여 HNB(102)에 접속하여 통신을 행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도 2의 예에서는, HNB(101)가 형성하는 펨토 셀(201)을 포함하는 매크로 셀(601)이 있다. 이 매크로 셀(601)은 NodeB(501)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NodeB(501)는, 기지국 제어 장치인 RNC(701)에 소속해 있고, 그 RNC(701)에 의해 관리되고 있다. 여기서는, UE(801)는, HNB(101)와 NodeB(501)의 양방으로부터의 무선 전파를 수신할 수 있는 위치에 있고, 매크로 셀(601) 경유로 NodeB(501)에 접속하여 통신을 행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도 1, 도 2 중 어느 경우라도, UE(801)는, HNB(101)에 의해 브로드캐스트된 HNBGW(301)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UE(801) 자신이 접속하고 있는 NodeB에 그 식별 정보를 통지한다. 도 1의 예에서는 UE(801)는 식별 정보를 HNB(102)에 통지한다. 도 2의 예에서는 UE(801)는 식별 정보를 NodeB(501)에 통지(송신)한다.
또한, UE(801)는, UE(801) 자신이 접속하고 있는 NodeB 이외의 NodeB[HNB(101)]에 의해 브로드캐스트된, 중계 장치[HNBGW(301)]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면, 그 식별 정보를 통지한다고 하는 동작을 항상 행해도 된다. 또한, UE(801)는, 그 동작을 행하는 것이 명시적으로 요구된 경우에만, 그 동작을 행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명시적으로 요구되었을 때에만, 그 동작을 행하는 것은 주로 SON 기능에 유효하다.
예를 들면, UE(801)가 접속하고 있는 NodeB[도 1에서는 HNB(102), 도 2에서는 NodeB(501)]가 UE(801)에 식별 정보의 통지를 요구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그 경우, UE(801)는, 그 요구에 응답하여, 근린의 NodeB[HNB(101)]에 의해 브로드캐스트되어 있는 식별 정보를 관측하고, 관측된 식별 정보를 요구한 NodeB[도 1에서는 HNB(102), 도 2에서는 NodeB(501)]에 통지하면 된다.
3GPP-WCDMA 시스템의 경우, 식별 정보의 통지를 요구하기 위한 메시지로서 Measurement Control 메시지를 이용하고, 식별 정보를 통지하기 위한 메시지로서 Measurement Report 메시지를 이용하고 있으면 된다.
또한, 식별 정보의 통지를 요구하기 위한 Measurement Control 메시지에는, TRUE로 설정된 Cell Identity Reporting Indicator 정보 요소와, TRUE로 설정된 ANR Indicator 정보 요소를 포함시키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에 의해, UE(801)는, 식별 정보의 통지를 요구하기 위한 Measurement Control 메시지를, 다른 Measurement Control 메시지와 구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식별 정보를 통지하기 위한 Measurement Report 메시지에서는, Cell Identity 정보 요소에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펨토 셀(201)의 근린의 셀 배치에 따라서는, HNB(101)에 의해 브로드캐스트된, HNBGW(301)의 식별 정보를, UE(801)를 통하지 않고 HNB(102) 혹은 NodeB(501)가 직접 수신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도 3은 HNB(101)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HNB(101)는, HNBGW(301)를 통하여 코어 네트워크(도시 생략)에 접속되어 있고, 무선으로 펨토 셀(201)을 형성하여 유저 장치와 접속하는 NodeB이다. 도 3을 참조하면, HNB(101)는 송신부(101A)와 설정부(101B)를 갖고 있다.
송신부(101A)는, 설정부(101B)에 의해 설정된 정보를 펨토 셀에 브로드캐스트한다.
설정부(101B)는, HNB(101) 자신이 소속해 있는 중계 장치인 HNBGW(301)의 식별 정보를, 펨토 셀(201)에 브로드캐스트하는 정보로서 송신부(101A)에 설정한다.
도 4는 UE(801)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UE(801)는, HNB(101, 102), 혹은 NodeB(501)라고 하는 NodeB를 통하여 코어 네트워크와 접속하고,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말 장치이다. 도 4를 참조하면, UE(801)는 수신부(801A)와 송신부(801B)를 갖고 있다.
수신부(801A)는, 펨토 셀을 형성하는 HNB(101)로부터 브로드캐스트된 HNBGW(301)의 식별 정보를 수신한다. 송신부(801B)는, 수신부(801A)가 수신한 식별 정보를, UE(801) 자신이 접속하고 있는 HNB(102)에 통지한다. 예를 들면, 수신부(801A)는, HNB(102)로부터 식별 정보의 통지를 요구받으면, HNB(101)에 의해 브로드캐스트되어 있는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도 5는 HNB(102)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HNB(102)는, UE(801)가 위치하고 접속하고 있는 NodeB이다. 도 5를 참조하면, HNB(102)는 요구부(102A)와 취득부(102B)를 갖고 있다.
요구부(102A)는, HNB(102) 자신에 접속하고 있는 UE(801)에, 펨토 셀을 형성하는 NodeB[여기서는 HNB(101)]에 의해 브로드캐스트된 식별 정보의 통지를 요구한다. 취득부(102B)는, 요구부(102A)로부터의 요구에 응답하여 UE에 의해 통지되는, HNBGW(301)의 식별 정보를 취득한다.
이 HNBGW(301)의 식별 정보는, 예를 들면, 펨토 셀(201)을 타깃으로 하는 핸드오버나, SON 기능에 의한 네트워크 구성의 구축에 이용된다. 핸드오버에서는, 취득부(102B)는, 취득한 식별 정보를 HNBGW(302) 경유로 코어 네트워크에 통지한다. 코어 네트워크는, 통지된 식별 정보를 기초로 하여 핸드오버 타킷으로의 경로를 특정한다. SON 기능에서는, 취득부(102B)는, 취득한 식별 정보를 HMS(402)에 통지한다. HMS(402)는, HMS(402) 자신이 관리하는 각 NodeB에 의해 통지된 정보를 기초로 하여 SON 기능을 실행한다.
또한,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상, HNB의 기능을, UE(801)가 접속하고 있는 HNB(102)(도 5)와, UE(801)에 대하여 정보를 브로드캐스트하는 HNB(101)(도 3)로 나누어 설명하였지만, 실제의 HNB는 HNB(101, 102)의 양방의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여기서는, UE(801)가 접속하고 있는 NodeB로서 HNB를 예시하였지만, NodeB(501)이어도 마찬가지로 도 5의 구성을 구비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실시 형태를 보다 구체화하고자 하면 다양한 구성 혹은 동작이 채용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 형태의 구체적인 실시예의 몇 가지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예)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본적인 구성은 도 1, 도 2에 도시한 것과 마찬가지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펨토 셀(201)을 형성하는 HNB(101)는 HNBGW(301)에 속해 있고, HNB(101)에 관한 네트워크 파라미터는 HMS(401)에 의해 관리되고 있다. 마찬가지로, 펨토 셀(202)을 형성하는 HNB(102)는 HNBGW(302)에 속해 있고, HNB(102)의 네트워크 파라미터는 HMS(402)에 의해 관리되고 있다. HNB(101)와 HNB(102)는 서로 근린의 관계에 있지만, 각각 상이한 HMS에 의해 관리되고 있다.
여기서는, HNB(102)는 HNB(101)가 속해 있는 HNBGW(301)의 식별 정보(식별자)를 HMS(402)로부터 취득할 수 없는 것으로 한다. 또한 마찬가지로, HNB(101)는 HNB(102)가 속해 있는 HNBGW(302)의 식별 정보(식별자)를 HMS(401)로부터 취득할 수 없는 것으로 한다.
또한, 여기서는, HNB(101)와 HNB(102)가 상이한 HNBGW에 속하고, 또한 상이한 HMS에 속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구성으로서, HNB(101)와 HNB(102)가 동일한 HNBGW에 속해도 되고, 또는, HNB(101)와 HNB(102)가 동일한 HMS에 속해도 된다. 또한, HNB(101)와 HNB(102)가 동일한 HNBGW에 속하고, 또한 동일한 HMS에 속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HNB(101)가 형성하는 펨토 셀(201)의 근린의 셀 배치로서는 시스템의 셀 설계에 따른 다양한 구성이 생각되고, 도 1은 그 일례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HNB(101)가 형성하는 펨토 셀(201)의 근린에, 펨토 셀(201)을 포함하는 매크로 셀(601)이 있어도 된다. 도 2의 구성에서는, UE(801)가 HNBGW(301)의 식별자를 통지하는 곳은, 매크로 셀(601)을 형성하는 NodeB(501) 혹은 NodeB(501)가 속해 있는 RNC(701)로 된다.
도 6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작을 도시하는 시퀀스도이다. 도 6에는 도 1의 구성을 전제로 한 동작예가 도시되어 있지만, 도 2의 구성이어도 마찬가지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우선, HNB(101)는, HNB(101)가 형성하는 펨토 셀(201)의 System Information에, HNB(101)가 속해 있는 HNBGW(301)의 식별자를 1개의 파라미터로서 설정한다(스텝 S101). 이에 의해, HNBGW(301)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System Information이, 펨토 셀(201)에서 브로드캐스트된다(스텝 S102).
여기서는, UE(801)는, 펨토 셀(202)의 영역 내에 존재하고, 그 펨토 셀(202)을 형성하고 있는 HNB(102)에 접속하여 통신을 행하고 있는 상태에서, 펨토 셀(201)을 향하여 이동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UE(801)는, HNB(101)의 펨토 셀(201)의 영역 내에 들어가면, HNB(101)에 의해 펨토 셀(201)에 브로드캐스트된 System Information을 수신한다. 그리고, UE(801)는, 수신한 System Information으로부터, HNB(101)가 속해 있는 HNBGW(301)의 식별자를 취득한다(스텝 S103).
HNBGW(301)의 식별자를 취득하면, UE(801)는, UE(801)가 접속하고 있는 HNB(102)에, 펨토 셀(201)을 구성하는 HNB(101)가 속해 있는 HNBGW(301)의 식별자를 통지한다(스텝 S104). 통지 방법은, 일례로서, 3GPP TS25.331에 규정된 RRC Measurement Report 메시지를 이용하여, 그 1개의 파라미터로서 HNBGW(301)의 식별자를 통지하는 방법이다.
HNB(102)는, UE(801)로부터의 통지를 수신하여, 근린에 존재하는 펨토 셀(201)을 형성하는 HNB(101)가 소속해 있는 HNBGW(301)의 식별자를 취득한다(스텝 S105).
도 7은 제1 실시예를 가능하게 하는 3GPP TS25.331의 기재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Section10.2.48.8.6에서, System Information Block type3에 설정되는 정보 요소로서 RNC Identity가 포함되어 있다. 이 RNC Identity에 HNBGW의 식별자를 저장하면 된다.
또한, 상술한 RRC Measurement Report 메시지의 일례로서는, HNBGW(301)의 식별자인 RNC Identity를 Cell measured results로서 메시지에 저장하는 것이 생각된다. 그 경우, 3GPP TS25.331에서는, Cell measured results로서 설정될 수 있는 정보 요소에, HNBGW의 RNC identity가 정의된다.
도 8은 제1 실시예를 가능하게 하는 3GPP TS25.331의 기재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의 예에서는, Section10.3.2.x로서, RNC Identity가 정의되어 있다. 또한, Section10.3.7.3에서, RNC Identity가 Cell measured results로서 설정되는 정보 요소에 포함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HNB(101)가, HNB(101)가 형성하는 펨토 셀(201)에 브로드캐스트하는 System Information에, HNB(101)가 속해 있는 HNBGW(301)의 식별자를 포함시키므로, HNB(101)가 속하는 HNBGW(301)의 식별자를 근린의 시스템에 배포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UE(801)가, 접속하고 있는 HNB(102)와 상이한 HNB(101)가 속하는 HNBGW(301)의 식별자가 설정된 System Information을 수신하므로, UE(801)는, 주변의 HNB(101)가 속해 있는 HNBGW(301)의 식별자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HNB(102)에 접속하고 있는 UE(801)로부터 HNB(102)에 대하여, 다른 HNB(101)가 속하는 HNBGW(301)의 식별자를 통지하므로, HNB(102)가 근린의 HNB(101)의 네트워크 구성 정보의 하나인 HNBGW(301)의 식별자를 인식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제2 실시예의 무선 통신 시스템은, 기본적인 구성에서 제1 실시예의 것과 동일하다. 제2 실시예에서는, NodeB(HNB 또는 RNC)가, 근린의 펨토 셀을 형성하고 있는 HNB로부터 직접, 그 HNB가 소속해 있는 HNBGW의 식별자를 수신한다고 하는 기능을 갖는다. 제2 실시예에서는, 본 기능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이, 제1 실시예에 나타낸 기능에 추가적으로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도 9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제2 실시예는, 도 1에 도시한 구성보다도 HNB(102)와 HNB(101)의 거리가 가깝고, HNB(102)의 펨토 셀(202)의 권내에 HNB(101)가 존재하고 있는 점에서 제1 실시예와 상이하다.
펨토 셀(201)을 형성하고 있는 HNB(101)는, HNBGW(301)에 속해 있고, HNB(101)의 파라미터는 HMS(401)에 의해 관리되고 있다. 펨토 셀(201)의 권내에 HNB(102)가 존재한다.
펨토 셀(202)을 형성하고 있는 HNB(102)는, HNBGW(302)에 속해 있고, HNB(102)의 파라미터는 HMS(402)에 의해 관리되고 있다.
여기서는, HNB(102)는 HNB(101)가 속해 있는 HNBGW(301)의 식별자를 HMS(402)로부터 취득할 수 없고, HNB(101)는 HNB(102)가 속해 있는 HNBGW(302)의 식별자를 HMS(401)로부터 취득할 수 없는 것으로 한다.
또한, 여기서는, HNB(101)와 HNB(102)가 상이한 HNBGW에 속하고, 상이한 HMS에 속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구성으로서, HNB(101)와 HNB(102)가 동일한 HNBGW에 속해도 되고, 동일한 HMS에 속해도 된다. 또한, HNB(101)와 HNB(102)가 동일한 HNBGW에 속하고, 또한 동일한HMS에 속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HNB(101)가 형성하는 펨토 셀(201)의 근린의 셀 배치로서는 시스템의 셀 설계에 따라 다양한 구성이 생각되고, 도 9는 그 일례이다. HNB(101)가 형성하는 펨토 셀(201)의 권내에, 매크로 셀을 형성하는 RNC가 존재해도 된다. 그 경우, UE(801)가 HNBGW(301)의 식별자를 통지하는 곳은, 매크로 셀을 형성하는 NodeB 혹은 NodeB가 속해 있는 RNC일 수 있다.
도 10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작을 도시하는 시퀀스도이다. 도 10에는 도 4의 구성을 전제로 한 동작예가 도시되어 있지만, HNB(102)가 RNC로 대체되어도 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우선, HNB(101)는, HNB(101)가 형성하는 펨토 셀(201)의 System Information에, HNB(101)가 속해 있는 HNBGW(301)의 식별자를 하나의 파라미터로서 설정한다(스텝 S201). 이에 의해, HNBGW(301)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System Information이, 펨토 셀(201)에서 브로드캐스트된다(스텝 S202).
여기서는, HNB(102)가, HNB(101)의 펨토 셀(201)의 권내에 존재하고 있으므로, HNB(102)는, HNB(101)에 의해 브로드캐스트되어 있는 펨토 셀(201)의 System Information을 수신한다. 그리고, HNB(102)는, 수신한 System Information으로부터, HNB(101)가 속해 있는 HNBGW(301)의 식별자를 취득한다(스텝 S203).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HNB(102)는, 근린에 존재하는 HNB(101)에 의해 브로드캐스트된 System Information을 수신하므로, HNB(102)가 근린의 HNB(101)의 네트워크 구성 정보의 하나인 HNBGW(301)의 식별자를 인식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제3 실시예는, 제1 혹은 제2 실시예에서의 HNBGW(301)의 식별자의 통지 방법을 보다 구체화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본적인 구성예로서는 도 1, 도 2, 도 9와 같은 구성이 생각된다.
제3 실시예에서는, HNB(101)는, HNB(101)가 속해 있는 HNBGW(301)의 식별자를 브로드캐스트하기 위해서, System Information에서의 UTRAN Cell identity라고 하는 정보 요소 중에 RNC id (HNBGW)를 포함시킨다.
RNC id (HNBGW)는, HNBGW에 부여된 RNC id이다. HNB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아키텍처에서는, NodeB인 HNB에도 RNC id가 부여되어 있지만, 그것은 RNC id(HNB)로 표기되고, RNC id (HNBGW)와 구별된다.
도 11은 제3 실시예에서의 UTRAN Cell Identity의 내용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현재의 3GPP의 규정에 의하면, System Information에는 28 비트의 UTRAN Cell identity가 포함되어 있다. TS25.331에서는, 그 구성은 실장 의존이다라고 기재되어 있지만, 일반적으로 RNC id 및 Cell id로 구성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28비트의 UTRAN Cell Identity에, RNC id의 필드와, Cell id의 필드가 있다. 일반적으로는, RNC id의 필드가 12비트이고, Cell id의 필드가 16비트이다. 단, 확장 시에는, RNC id의 필드가 16비트로 되고, Cell id의 필드가 12비트로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RNC id의 필드에 상당하는 부분을 RNC id (HNBGW)의 필드로 정의하고, Cell id의 필드에 상당하는 부분을 RNC id(HNB)의 필드로 정의하고 있다.
HNB(101)의 동작으로서는, HNB(101)가 속해 있는 HNBGW(301)의 식별자를, RNC id필드에 상당하는 RNC id (HNBGW) 필드에 저장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HNB(101)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프로토콜을 종단하는 HNB(101) 자신에 부여되어 있는 RNC id(HNB)를, Cell id 필드에 상당하는 RNC id(HNB) 필드에 저장한다.
일반적으로 1개의 HNB가 형성하는 펨토 셀은 기껏해야 1개이다. 그 때문에, HNB를 특정하는 것은 펨토 셀을 특정하는 것과 다름없다. 따라서, HNB가 브로드캐스트하는 System Information에서, 28비트로 구성된 기존의 파라미터(정보 요소)인 UTRAN Cell identity에, RNC id 및 Cell id 대신에, RNC id (HNBGW) 및 RNC id(HNB)를 설정하면, HNBGW-HNB-펨토 셀이라고 하는 시스템의 아키텍처가 일의로 특정된다.
또한, HNBGW-HNB-펨토 셀이라고 하는 구성의 시스템과, RNC-NodeB-매크로 셀이라고 하는 구성의 시스템이 혼재되는 경우, 펨토 셀과 매크로 셀의 각각에 할당된 UTRAN Cell Identity의 일의성(uniqueness)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를 위해서는, RNC id 및 Cell id의 값과, RNC id (HNBGW) 및 RNC id(HNB)의 값에서 중복이 생기지 않도록 식별자를 부여하면 된다. 예를 들면, 상위측의 12 비트 혹은 16 비트가 중복되지 않도록 하면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UE(801)는, UE(801) 자신이 접속하고 있는 HNB(102)와는 상이한 HNB(101)로부터 System Information의 UTRAN Cell identity를 통해 브로드캐스트된 HNBGW의 식별자를 수신하면, 그 식별 정보를 HNB(102)에 통지한다고 하는 동작을 항상 행해도 된다. 또한, UE(801)는, 그 동작을 행하는 것이 HNB(102)에 의해 명시적으로 요구된 경우에만, 그 동작을 행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3GPP TS25.331 Section10.3.7.5에 의하면, Cell Identity Reporting Indicator라고 하는 정보 요소가 정의되어 있고, 또한, 그 정보 요소의 값으로서 TRUE와 FALSE가 정의되어 있다. Cell Identity Reporting Indicator=TRUE는, 측정 대상 셀의 Cell id(=UTRAN Cell Identity)의 보고를 요구하는 것이다.
그러나, 현재의 규정에서는, Section8.6.7.7에서, UE는 Cell Identity Reporting Indicator=TRUE이어도, FALSE이다라고 판독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방법으로서, Section8.6.7.7에서, Cell Identity Reporting Indicator=TRUE의 경우에, 일률적으로 FALSE로 판독하지 않는 것을 제안한다.
구체적으로는, HNB(102)는, Cell Identity Reporting Indicator=TRUE로 설정한 Measurement Control 메시지를 통해, 펨토 셀의 Cell Identity를 UE(801)에 요구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그 요구를 받은 UE(801)는, 측정된 Cell Identity를, Measurement Report 메시지로 HNB(102)에 통지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다른 방법으로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Section8.6.7.7 및 관련 개소의 기술을 변경함으로써, UE로부터 HNB로 UTRAN Cell Identity를 통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도 제안한다.
구체적으로는, HNB(102)는, Cell Identity Reporting Indication=TRUE 및 ANR Indicator=TRUE로 설정한 Measurement Control 메시지를 통해, 펨토 셀의 Cell Identity를 UE(801)에 요구하는 것으로 한다. ANR은, Automatic Neighbour Relation의 약칭이다.
새롭게 정의되는 정보 요소(파라미터)인 ANR Indicator에는, 그 값으로서 TRUE와 FALSE가 설정될 수 있다. ANR Indicator=TRUE는, 근린 셀에 의해 브로드캐스트되는 System Information을 측정하고, UTRAN Cell Identity를 취득하는 것을 요구하는 것이다.
그 메시지를 받은 UE(801)는, 근린 셀에 의해 브로드캐스트되어 있는 System Information을 측정하고, 측정된 System Information 내의 Cell Identity를 취득하고, 그것을 Measurement Report 메시지로 HNB(102)에 통지한다.
3GPP TS25.331에서의, ANR Indicator를 포함하는 Measurement Control 메시지에 대응하기 위한 변경에 대하여 설명한다.
측정 대상 셀의 Cell Identity(즉 UTRAN Cell Identity)의 보고 지시에 관한 기재가 이하와 같이 변경된다. UE는, 수신한 Measurement Control 메시지에서 Cell Identity Reporting Indicator=TRUE 및 ANR Indicator=TRUE로 설정되어 있으면, 측정한 셀의 Cell Identity를, Mesurement Report 메시지에 설정한다. 또한, UE는, 수신한 Measurement Control 메시지가 그것과는 상이한 설정으로 되어 있었던 경우에는, Cell Identity Reporting Indicator=FALSE로 간주한다.
<3GPP TS25.331의 기술예>
도 12는 제3 실시예를 가능하게 하는 3GPP TS25.331의 기재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Section10.3.2.2에서의 2번째 「NOTE」로서, HNB에 의해 형성되는 펨토 셀의 경우의 RNC Identity가 Cell Identity 정보 요소에 저장될 수 있는 것이 추기되어 있다.
또한, Section10.3.7.5에서, Cell reporting quantities로서 ANR Indicator가 설정될 수 있는 것이 추기되어 있다.
게다가 또한, 3GPP TS25.331 Section8.6.7.7의 기술예로서,
「If the IE "Cell Identity" is set to TRUE, the UE shall
1>if the IE "ANR indicator" is set to TRUE,
set IE "cell identity" of the measured cell.
2>Otherwise,
treat the IE as if the IE "Cell Identity" is set to FALSE.」
라고 하는 바와 같은 기술을 하면 된다.
도 13은 제3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UE가 HNB로부터의 요구에 응답하여 펨토 셀의 식별자를 통지할 때의 동작을 도시하는 시퀀스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UE(801)와 HNB(102) 사이에서 RRC Connection이 확립되면(스텝 S301), HNB(102)는, Cell Identity Reporting Indicator=TRUE 및 ANR Indicator=TRUE의 Measurement Control 메시지를 UE(801)에 송신한다(스텝 S302). UE(801)는, 그 메시지를 수신한다.
한편, HNB(101)는, HNB(101)가 형성하는 펨토 셀(201)의 System Information의 UTRAN Cell Identity 정보 요소에, HNBGW(301)의 식별자인 RNC id (HNBGW)와, HNB(101)의 식별자인 RNC id(HNB)를 설정하고 있다(스텝 S303). 이에 의해, HNBGW(301)의 식별자와 HNB(101)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System Information이, 펨토 셀(201)에서 브로드캐스트된다(스텝 S304).
여기서는, UE(801)는, HNB(102)에 접속하여 통신을 행하고 있는 상태에서, 펨토 셀(201)을 향하여 이동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스텝 S302에서 Measurement Control 메시지를 수신한 UE(801)는, HNB(101)의 펨토 셀(201)의 영역 내에 들어가면, HNB(101)에 의해 브로드캐스트된 펨토 셀(201)의 System Information을 수신한다.
그리고, UE(801)는, 수신한 System Information으로부터, UTRAN Cell Identity 정보 요소를 취득한다(스텝 S305). 이 UTRAN Cell Identity 정보 요소에는, HNB(101)의 식별자와 HNBGW(301)의 식별자가 저장되어 있다.
그리고, UE(801)는, 취득한 UTRAN Cell Identity 정보 요소를 포함하는 Measurement Report 메시지를 HNB(102)에 송신한다(스텝 S306).
HNB(102)는, Measurement Report 메시지로부터, UTRAN Cell Identity 정보 요소에 포함되어 있는, HNB(101)의 식별자(RNC id(HNB))와, HNBGW(301)의 식별자(RNC id (HNBGW))를 취득한다(스텝 S307).
또한, ANR Indicator=TRUE를 이용한 UTRAN Cell Identity의 요구에서는 측정 대상 셀을 지정할 수 있고, 그와 같은 지정은 SON 기능에 유효하다. 측정 대상 셀의 지정은 셀마다 행할 수 있고, 이미 구성 정보가 파악되어 있는 셀을 지정할 수도 있다.
또한, HNB(101)가 형성하는 펨토 셀(201)의 근린의 셀 배치로서는 시스템의 셀 설계에 따라 다양한 구성이 생각된다. HNB(101)가 형성하는 펨토 셀(201)을 포함하도록, 혹은 펨토 셀(201)과 중복되도록 매크로 셀이 있어도 된다. 그 경우, UE(801)가 HNBGW(301)의 식별자를 통지하는 곳은, 매크로 셀을 형성하는 NodeB 혹은 NodeB가 속해 있는 RNC일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HNBGW의 식별자인 RNC id (HNBGW)를, 기존의 파라미터인 UTRAN Cell identity에 저장하므로, HNB가 브로드캐스트하는 System Information에 신규 파라미터(정보 요소)를 추가할 필요가 없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Measurement Control 메시지를 통해, UTRAN Cell identity의 통지를 요구할 수 있으므로, 네트워크 구성을 모르는 셀을 측정 대상으로 하고, 또한, 지정한 UE가 통지할 수 있는 UTRAN Cell Identity만을 취득할 수 있다.
(제4 실시예)
제4 실시예도 제3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1 혹은 제2 실시예에서의HNBGW(301)의 식별자의 통지 방법을 보다 구체화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본적인 구성예로서는 도 1, 도 2와 같은 구성이 생각된다.
제4 실시예에서는, HNB(101)는, HNB(101)가 속해 있는 HNBGW(301)의 식별자를 브로드캐스트하기 위해서, System Information에서의 RNC identity라고 하는 새롭게 정의된 정보 요소 중에 RNC id (HNBGW)를 포함시킨다.
도 14는 제4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UE가 HNB로부터의 요구에 응답하여 펨토 셀에 송신되는 식별자를 통지할 때의 동작을 도시하는 시퀀스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UE(801)와 HNB(102) 사이에서 RRC Connection이 확립되면(스텝 S401), HNB(102)는, RNC Identity Reporting Indicator=TRUE로 설정된 Measurement Control 메시지를 UE(801)에 송신한다(스텝 S402). UE(801)는, 그 메시지를 수신한다.
한편, HNB(101)는, HNB(101)가 형성하는 펨토 셀(201)의 System Information에 포함되는 새로운 파라미터 RNC Identity 정보 요소에, HNBGW(301)의 식별자인 RNC id (HNBGW)를 설정하고 있다(스텝 S403). 이에 의해, HNBGW(301)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System Information이, 펨토 셀(201)에서 브로드캐스트된다(스텝 S404).
여기서는, UE(801)는, HNB(102)에 접속하여 통신을 행하고 있는 상태에서, 펨토 셀(201)을 향하여 이동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스텝 S302에서 Measurement Control 메시지를 수신한 UE(801)는, HNB(101)의 펨토 셀(201)의 영역 내에 들어가면, HNB(101)에 의해 브로드캐스트된 펨토 셀(201)의 System Information을 수신한다.
그리고, UE(801)는, 수신한 System Information으로부터, RNC Identity 정보 요소를 취득한다(스텝 S405). 이 RNC Identity 정보 요소에는, HNBGW(301)의 식별자가 저장되어 있다.
그리고, UE(801)는, 취득한 RNC Identity 정보 요소를 포함하는 Measurement Report 메시지를 HNB(102)에 송신한다(스텝 S406).
HNB(102)는, Measurement Report 메시지로부터, RNC Identity 정보 요소에 포함되어 있는, HNBGW(301)의 식별자(RNC id (HNBGW))를 취득한다(스텝 S407).
또한, RNC Identity Reporting Indicator=TRUE를 이용한 RNC Identity의 요구에서는 측정 대상 셀을 지정할 수 있고, 그와 같은 지정은 SON 기능에 유효하다. 측정 대상 셀의 지정은 셀마다 행할 수 있고, 이미 구성 정보가 파악되어 있는 셀을 지정할 수도 있다.
또한, HNB(101)가 형성하는 펨토 셀(201)의 근린의 셀 배치로서는 시스템의 셀 설계에 따라 다양한 구성이 생각된다. HNB(101)가 형성하는 펨토 셀(201)을 포함하도록, 혹은 펨토 셀(201)과 중복되도록 매크로 셀이 있어도 된다. 그 경우, UE(801)가 HNBGW(301)의 식별자를 통지하는 곳은, 매크로 셀을 형성하는 NodeB 혹은 NodeB가 속해 있는 RNC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Measurement Control 메시지를 통해, RNC identity의 통지를 요구할 수 있으므로, 네트워크 구성을 모르는 셀을 측정 대상으로 하고, 또한, 지정한 UE가 통지할 수 있는 RNC Identity만을 취득할 수 있다.
(제5 실시예)
상술한 제1∼3 실시예에서는, 일반적으로 RANGW 방식의 펨토 시스템으로 불리는, CN-HNBGW-HNB-UE의 아키텍처를 갖는 시스템의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서, IMS(IP Multimedia Subsystem) Femto 방식의 펨토 시스템에도 마찬가지로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IMS Femto 방식의 펨토 시스템에서는 HNB에 IMS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
도 15는 제5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5에서는, 도 2에 도시한 HNB(101) 대신에 IMS-Femto(101)가 배치되고, HNBGW(301) 대신에 IMS-GW(301)가 배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서는, IMS 기능을 포함한 HNB인 IMS-Femto(101)가, IMS-Femto(101) 자신이 속하는 IMS-GW(301)의 식별자를 브로드캐스트하게 된다.
(제6 실시예)
또 다른 예로서, E-UTRAN 네트워크의 펨토 시스템에도 마찬가지로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E-UTRAN 네트워크의 펨토 시스템에서는, MME-HeNBGW-HeNB-UE라고 하는 아키텍처가 채용된다.
도 16은 제6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6에서는, 도 2에 도시한 HNB(101) 대신에 HeNB(101)가 배치되고, HNBGW(301) 대신에 HeNBGW(301)가 배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서는, HeNB(101)가, HeNB(101) 자신이 속하는 HeNBGW(301)의 식별자를 브로드캐스트하게 된다.
(제7 실시예)
또 다른 예로서, 일반적으로 RANGW 방식으로 불리는 펨토 시스템에도 마찬가지로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RANGW 방식의 펨토 시스템에서는, CN-HNBGW-HNB-UE라고 하는 아키텍처가 채용된다.
도 17은 제7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7에서는, 도 2에 도시한 HNB(101) 대신에 Femto-BTS(101)가 배치되고, HNBGW(301) 대신에 RNC(701)가 배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서는, Femto-BTS(101)가, Femto-BTS(101) 자신이 속하는 RNC(701)의 식별자를 브로드캐스트하게 된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 및 실시예에서의 NodeB는, 하드웨어적 혹은 소프트웨어적인 구성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실시 형태 및 실시예에서의 NodeB는, 내장하는 프로세서에 의해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상술한 각 처리 동작을 행하는 것이어도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 및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해 왔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 형태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이들 실시 형태나 실시예를 조합하여 사용하거나, 일부의 구성을 변경하거나 해도 된다.
이 출원은, 2009년 4월 23일에 출원된 일본 출원 특원 2009-105629를 기초로 하여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하는 것이며, 그 개시 모두를 인용에 의해 여기에 포함한다.

Claims (42)

  1. 셀을 형성하는 제1 NodeB와,
    상기 제1 NodeB에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제1 NodeB와 코어 네트워크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중계하는 중계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NodeB는, 상기 제1 NodeB에 접속되어 있는 상기 중계 장치의 식별 정보를 브로드캐스트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NodeB에 의해 브로드캐스트된 상기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유저 장치 자신이 접속하고 있는 제2 NodeB에 상기 식별 정보를 송신하는 유저 장치
    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NodeB는, 상기 제2 NodeB 자신에 접속하고 있는 상기 유저 장치에 식별 정보의 송신을 요구하고,
    상기 유저 장치는, 상기 요구에 응답하여, 근린의 제1 NodeB에 의해 브로드캐스트되어 있는 식별 정보를 관측하고,
    상기 유저 장치는, 관측된 상기 식별 정보를 상기 제2 NodeB에 송신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의 송신을 요구하기 위한 메시지는 Measurement Control 메시지이고,
    상기 식별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메시지는 Measurement Report 메시지인 무선 통신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의 송신을 요구하기 위한 상기 Measurement Control 메시지에는, TRUE로 설정된 Cell Identity Reporting Indicator 정보 요소와, TRUE로 설정된 ANR Indicator 정보 요소가 포함되어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상기 Measurement Report 메시지에는, 상기 식별 정보가 저장된 Cell Identity 정보 요소가 포함되어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의 송신을 요구하기 위한 상기 Measurement Control 메시지에는, TRUE로 설정된 RNC Identity Reporting Indicator 정보 요소가 포함되어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
  8. 제4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상기 Measurement Report 메시지에는, 상기 식별 정보가 저장된 RNC Identity 정보 요소가 포함되어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NodeB에 의해 브로드캐스트된 상기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제2 NodeB
    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NodeB는, 상기 중계 장치의 식별 정보를, System Information 내의 Cell Identity 정보 요소로서 브로드캐스트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NodeB는, 상기 중계 장치의 식별 정보인 RNC id (HNBGW)를, System Information 내의 Cell Identity 정보 요소의 RNC id의 필드에 저장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12.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NodeB는, 상기 중계 장치의 식별 정보를, System Information 내의 RNC Identity 정보 요소로서 브로드캐스트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NodeB는, 상기 중계 장치의 식별 정보인 RNC id (HNBGW)를, System Information 내의 RNC Identity 정보 요소의 RNC id의 필드에 저장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14. 중계 장치를 통하여 코어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고, 무선으로 셀을 형성하여 유저 장치와 접속하는 NodeB로서,
    설정된 정보를 상기 셀에 브로드캐스트하는 송신부와,
    상기 NodeB 자신이 접속되어 있는 상기 중계 장치의 식별 정보를, 상기 셀에 브로드캐스트하는 정보로서 상기 송신부에 설정하는 설정부
    를 포함하는 NodeB.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부는, 상기 중계 장치의 식별 정보를, System Information 내의 Cell Identity 정보 요소로서, 상기 송신부에 설정하는 NodeB.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부는, 상기 중계 장치의 식별 정보인 RNC id (HNBGW)를, System Information 내의 Cell Identity 정보 요소의 RNC id의 필드로서, 상기 송신부에 설정하는 NodeB.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부는, 상기 중계 장치의 식별 정보를, System Information 내의 RNC Identity 정보 요소로서, 상기 송신부에 설정하는 NodeB.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부는, 상기 중계 장치의 식별 정보인 RNC id (HNBGW)를, System Information 내의 RNC Identity 정보 요소의 RNC id의 필드로서, 상기 송신부에 설정하는 NodeB.
  19. 중계 장치를 통하여 코어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고, 무선으로 셀을 형성하여 유저 장치와 접속하는 제1 NodeB에 의해 브로드캐스트된, 상기 제1 NodeB가 접속하고 있는 상기 중계 장치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가 수신한 상기 식별 정보를, 상기 유저 장치 자신이 접속하고 있는 제2 NodeB에 송신하는 송신부
    를 포함하는 유저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제2 NodeB에 의해 식별 정보의 송신을 요구받으면, 상기 제1 NodeB에 의해 브로드캐스트되어 있는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유저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의 송신을 요구하기 위한 메시지는 Measurement Control 메시지이고,
    상기 식별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메시지는 Measurement Report 메시지인 유저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의 송신을 요구하기 위한 상기 Measurement Control 메시지에는, TRUE로 설정된 Cell Identity Reporting Indicator 정보 요소와, TRUE로 설정된 ANR Indicator 정보 요소가 포함되어 있는 유저 장치.
  23.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상기 Measurement Report 메시지에는, 상기 식별 정보가 저장된 Cell Identity 정보 요소가 포함되어 있는 유저 장치.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의 송신을 요구하기 위한 상기 Measurement Control 메시지에는, TRUE로 설정된 RNC Identity Reporting Indicator 정보 요소가 포함되어 있는 유저 장치.
  25. 제21항 또는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상기 Measurement Report 메시지에는, 상기 식별 정보가 저장된 RNC Identity 정보 요소가 포함되어 있는 유저 장치.
  26. 제19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NodeB에 의해, 상기 중계 장치의 식별 정보가, System Information 내의 Cell Identity 정보 요소로서 브로드캐스트되는 유저 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NodeB에 의해, 상기 중계 장치의 식별 정보인 RNC id (HNBGW)가, System Information 내의 Cell Identity 정보 요소의 RNC id의 필드에 저장되어 브로드캐스트되는 유저 장치.
  28. 제19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NodeB에 의해, 상기 중계 장치의 식별 정보가, System Information 내의 RNC Identity 정보 요소로서 브로드캐스트되는 유저 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NodeB에 의해, 상기 중계 장치의 식별 정보인 RNC id (HNBGW)가, System Information 내의 RNC Identity 정보 요소의 RNC id의 필드에 저장되어 브로드캐스트되는 유저 장치.
  30. NodeB 자신에 접속하고 있는 유저 장치에, 셀을 형성하는 NodeB에 의해 브로드캐스트된 식별 정보의 송신을 요구하는 요구부와,
    상기 유저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상기 식별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부
    를 포함하는 NodeB.
  31. 셀을 이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통신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셀을 형성하는 제1 NodeB가, 상기 제1 NodeB에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제1 NodeB와 코어 네트워크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중계하는 중계 장치의 식별 정보를 브로드캐스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신 제어 방법.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NodeB는 브로드캐스트된 상기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유저 장치가 상기 유저 장치 자신이 접속하고 있는 제2 NodeB에 상기 식별 정보를 송신하는 통신 제어 방법.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NodeB는, 상기 제2 NodeB 자신에 접속하고 있는 상기 유저 장치에 식별 정보의 송신을 요구하고,
    상기 유저 장치는, 상기 요구에 응답하여, 근린의 제1 NodeB에 의해 브로드캐스트되어 있는 식별 정보를 관측하고,
    상기 유저 장치는, 관측된 상기 식별 정보를 상기 제2 NodeB에 송신하는 통신 제어 방법.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의 송신을 요구하기 위한 메시지는 Measurement Control 메시지이고,
    상기 식별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메시지는 Measurement Report 메시지인 통신 제어 방법.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의 송신을 요구하기 위한 상기 Measurement Control 메시지에는, TRUE로 설정된 Cell Identity Reporting Indicator 정보 요소와, TRUE로 설정된 ANR Indicator 정보 요소가 포함되어 있는 통신 제어 방법.
  36. 제34항 또는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상기 Measurement Report 메시지에는, 상기 식별 정보가 저장된 Cell Identity 정보 요소가 포함되어 있는 통신 제어 방법.
  37.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의 송신을 요구하기 위한 상기 Measurement Control 메시지에는, TRUE로 설정된 RNC Identity Reporting Indicator 정보 요소가 포함되어 있는 통신 제어 방법.
  38. 제34항 또는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상기 Measurement Report 메시지에는, 상기 식별 정보가 저장된 RNC Identity 정보 요소가 포함되어 있는 통신 제어 방법.
  39. 제31항 내지 제3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NodeB는, 상기 중계 장치의 식별 정보를, System Information 내의 Cell Identity 정보 요소로서 브로드캐스트하는 통신 제어 방법.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NodeB는, 상기 중계 장치의 식별 정보인 RNC id (HNBGW)를, System Information 내의 Cell Identity 정보 요소의 RNC id의 필드에 저장하는 통신 제어 방법.
  41. 제31항 내지 제3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NodeB는, 상기 중계 장치의 식별 정보를, System Information 내의 RNC Identity 정보 요소로서 브로드캐스트하는 통신 제어 방법.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NodeB는, 상기 중계 장치의 식별 정보인 RNC id (HNBGW)를, System Information 내의 RNC Identity 정보 요소의 RNC id의 필드에 저장하는 통신 제어 방법.
KR1020117027912A 2009-04-23 2010-03-01 기지국 장치가 중계 장치의 식별 정보를 브로드캐스트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KR2012000552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105629 2009-04-23
JPJP-P-2009-105629 2009-04-23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2658A Division KR101476576B1 (ko) 2009-04-23 2010-03-01 기지국 장치가 중계 장치의 식별 정보를 브로드캐스트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KR1020147011905A Division KR101446011B1 (ko) 2009-04-23 2010-03-01 기지국 장치가 중계 장치의 식별 정보를 브로드캐스트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5529A true KR20120005529A (ko) 2012-01-16

Family

ID=43010965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1905A KR101446011B1 (ko) 2009-04-23 2010-03-01 기지국 장치가 중계 장치의 식별 정보를 브로드캐스트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KR1020137022658A KR101476576B1 (ko) 2009-04-23 2010-03-01 기지국 장치가 중계 장치의 식별 정보를 브로드캐스트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KR1020117027912A KR20120005529A (ko) 2009-04-23 2010-03-01 기지국 장치가 중계 장치의 식별 정보를 브로드캐스트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1905A KR101446011B1 (ko) 2009-04-23 2010-03-01 기지국 장치가 중계 장치의 식별 정보를 브로드캐스트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KR1020137022658A KR101476576B1 (ko) 2009-04-23 2010-03-01 기지국 장치가 중계 장치의 식별 정보를 브로드캐스트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9883448B2 (ko)
EP (1) EP2424299B1 (ko)
JP (1) JP5168408B2 (ko)
KR (3) KR101446011B1 (ko)
CN (2) CN105050158A (ko)
WO (1) WO201012284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424299B1 (en) 2009-04-23 2019-12-25 Nec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 which base station apparatus broadcast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relay apparatus
US20110090820A1 (en) 2009-10-16 2011-04-21 Osama Hussein Self-optimizing wireless network
CN102111805B (zh) * 2010-06-18 2016-12-28 电信科学技术研究院 多载波系统的测量配置和上报方法及设备
TW201220876A (en) * 2010-11-05 2012-05-16 Askey Computer Corp Communication service switching processing system of a femtocell and method thereof
CN102595534B (zh) 2011-01-10 2014-12-03 华为技术有限公司 用户设备上下文相关资源的释放方法和设备
US8509762B2 (en) 2011-05-20 2013-08-13 ReVerb Network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underperforming cell detection and recovery in a wireless network
EP2754271B1 (en) 2011-09-09 2019-11-13 Reverb Network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a self optimizing-organizing network manager
US9258719B2 (en) 2011-11-08 2016-02-09 Viavi Solution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partitioning wireless network cells into time-based clusters
US9008722B2 (en) 2012-02-17 2015-04-14 ReVerb Network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coordination in multi-mode networks
JP2014060505A (ja) * 2012-09-14 2014-04-03 Ntt Docomo Inc 移動通信システム、無線基地局及び移動局
US9113353B1 (en) 2015-02-27 2015-08-18 ReVerb Network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improving coverage and capacity in a wireless network
US10356832B2 (en) * 2015-05-11 2019-07-16 Qualcomm Incorporated Introduction of powered relay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US10939363B2 (en) * 2016-10-04 2021-03-0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Detection of potential system reference conflicts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75242B2 (en) * 2001-07-09 2004-08-1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time-aligning transmissions from multiple base stations in a CDMA communication system
KR100735242B1 (ko) 2003-12-16 2007-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네트워크와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의 연동 정보를전달하고 통지하는 방법 및 시스템
JPWO2007043117A1 (ja) * 2005-09-30 2009-04-16 富士通株式会社 移動通信システム、移動通信端末及び呼接続方法
JP5080481B2 (ja) * 2005-10-04 2012-11-21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 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Ip接続の無線基地局に対する無線ネットワーク制御局の選択
JP4844159B2 (ja) 2006-02-21 2011-12-28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無線装置、ネットワーク及び通信方法
JP2007295349A (ja) 2006-04-26 2007-11-08 Softbank Bb Corp 通信中継システム及び通信中継方法
US7941144B2 (en) * 2006-05-19 2011-05-1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ccess contro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GB2447885B (en) 2007-03-05 2011-03-30 Toshiba Res Europ Ltd Fast relay station handover
KR100957009B1 (ko) * 2007-04-03 2010-05-13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홉 셀룰러 시스템의 동시전송 스케줄링 장치 및 방법
CN101321383B (zh) 2007-06-05 2012-07-1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系统和方法、家用基站网关及归属用户服务器
JP2009105629A (ja) 2007-10-23 2009-05-14 Jitsugyo No Nihonsha:Kk 位置情報に基づくポイント配信システム
US8064909B2 (en) 2007-10-25 2011-11-22 Cisco Technology, Inc. Interworking gateway for mobile nodes
US20090310532A1 (en) * 2008-06-11 2009-12-17 Ip.Access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obtaining an address associated with a neighbouring cell of a cellular communication network
WO2010047647A1 (en) * 2008-10-20 2010-04-29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Use of a cell id and mask to retrieve home node b gateway address
US8805371B2 (en) * 2009-03-17 2014-08-12 Airvana Lp Identifying hand-over targets in lightly coordinated networks
EP2424299B1 (en) 2009-04-23 2019-12-25 Nec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 which base station apparatus broadcast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relay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415139B (zh) 2015-10-21
WO2010122842A1 (ja) 2010-10-28
US9883448B2 (en) 2018-01-30
US10051553B2 (en) 2018-08-14
US20120034919A1 (en) 2012-02-09
US20180049105A1 (en) 2018-02-15
EP2424299B1 (en) 2019-12-25
JP5168408B2 (ja) 2013-03-21
KR20130113522A (ko) 2013-10-15
EP2424299A1 (en) 2012-02-29
EP2424299A4 (en) 2016-11-16
JPWO2010122842A1 (ja) 2012-10-25
KR101476576B1 (ko) 2014-12-24
CN102415139A (zh) 2012-04-11
KR101446011B1 (ko) 2014-09-29
KR20140065018A (ko) 2014-05-28
CN105050158A (zh) 2015-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6576B1 (ko) 기지국 장치가 중계 장치의 식별 정보를 브로드캐스트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KR101479596B1 (ko)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측정 보고 방법 및 장치
KR101578965B1 (ko) 무선 송수신 장치 및 방법, 및, 단말 장치, 기지국 장치 및 무선 통신 시스템
JP4648469B2 (ja) 移動通信方法、移動局及び無線基地局
WO2011004599A1 (ja) 移動通信システム、端末装置および基地局装置
US8995930B2 (en) Method for creating a channel between femto base stations based on user equipment
EP2716129B1 (en) Carrier aggregation support for home base stations
CN103716787B (zh) 一种支持对家用基站进行验证的方法
JP4637252B2 (ja) 移動通信方法、移動局及び無線基地局
KR20100096534A (ko) 펨토 셀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lbo 서비스 지원 방법 및 장치
KR20110019715A (ko) 홈 기지국 간의 관계에 대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JP6467543B2 (ja) 通信システム、ユーザ端末、プロセッサ及び通信制御方法
CN102104921B (zh) 切换时接近指示的处理方法和系统
KR20130064471A (ko) 폐쇄형 펨토 기지국의 동작 방법, 폐쇄형 펨토 기지국으로 핸드오버하는 핸드오버 방법, 그리고 이웃한 폐쇄형 펨토 셀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는 관리 방법
KR20140010551A (ko) 이종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제어정보 전송방법 및 장치
CN102892165A (zh) 一种家庭基站的切换方法及系统
KR20120049807A (ko) 펨토셀 기지국에 인접한 비등록 매크로셀 단말 탐색 방법
KR20140013870A (ko) 이종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제어정보 전송방법 및 장치
JP5150700B2 (ja) 移動通信方法、移動局及び無線基地局
KR20110093287A (ko)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측정 보고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JP2011087320A (ja) 移動通信方法、移動局及び無線基地局
KR20100136408A (ko) 기지국의 위치정보 전송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