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5267A - 의류 건조기 - Google Patents

의류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5267A
KR20120005267A KR1020100065921A KR20100065921A KR20120005267A KR 20120005267 A KR20120005267 A KR 20120005267A KR 1020100065921 A KR1020100065921 A KR 1020100065921A KR 20100065921 A KR20100065921 A KR 20100065921A KR 20120005267 A KR20120005267 A KR 201200052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unit
discharge
wat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5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주
이상익
노현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659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5267A/ko
Priority to US13/177,885 priority patent/US20120005912A1/en
Priority to PCT/KR2011/004989 priority patent/WO2012005533A2/en
Priority to EP11803819.9A priority patent/EP2591161B1/en
Publication of KR20120005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5267A/ko
Priority to US14/177,659 priority patent/US9752274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4Condens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43/00Dry-cleaning apparatus or methods using volatile solvents
    • D06F43/08Associated apparatus for handling and recovering the solvents
    • D06F43/086Recovering the solvent from the drying air current
    • D06F43/088Condens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Abstract

본 발명은 드럼으로부터 배기되는 공기에서 수분을 응축시키는 열교환 장치, 상기 열교환 장치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수집하는 수집부, 상기 수집부의 응축수를 워터탱크로 펌핑하는 펌프, 솔레노이드 스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워터탱크의 응축수를 선택적으로 배출하여 상기 열교환 장치를 세척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건조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의류 건조기{dryer}
본 발명은 열교환 장치를 구비한 의류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열교환 장치에서 발생한 응축수를 이용하여 열교환 장치를 세척하는 의류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 건조기는 건조실을 이루는 드럼의 내부로 열풍을 송풍하여 건조대상물의 수분을 흡수해서 건조시키는 의류 건조 기능이 구비되어 있다. 의류 건조기는 건조대상물을 건조시키면서 발생되는 습공기의 처리방식에 따라 크게 배기식과 응축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배기식은 드럼으로부터 배기된 습공기를 의류 건조기 외부로 배기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이 경우, 드럼내 증발된 수분을 외부로 배기시키기 위한 배기덕트를 필요로 하며, 특히 연소 생성물인 일산화탄소 등이 함께 배기되기 때문에 배기덕트를 실외까지 길게 연장하여 설치해야 한다.
응축식은 드럼으로부터 배기된 습공기를 열교환 장치에서 응축시켜 수분을 제거한 다음에 수분이 제거된 건조공기를 다시 드럼으로 보내서 재순환시키는 방식을 사용한다. 이 경우, 건조유동이 폐루프를 형성하기 때문에 열원으로 가스를 사용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상기와 같은 응축식 의류 건조기에서는, 드럼으로부터 배기된 습공기를 열교환부에서 응축시켜 수분을 제거하게 됨에 따라 상기 습공기를 응축시키는 과정에서 응축수가 발생되고, 이 응축수를 펌프로 펌핑하여 의류 건조기의 외부로 배출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배수펌프를 이용하여 응축수를 배출하는 경우에는, 상기 배수펌프의 구동으로 인한 소음발생과 전력소모의 증가가 불가피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상기 드럼에서 배기되는 습공기에는 세탁물에서 분리된 이물질(lint)이 섞여 있다. 이물질이 포함된 습공기가 열교환 장치, 특히 증발기를 거칠 때 증발기에 이물질이 고착되어 건조 성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습공기가 증발기로 유입되는 입구에 필터를 구비하는 방법이 제시되었으나 필터에 의해 풍량이 저하되고 건조효율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새로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드럼에서 배기되는 습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새로운 방식의 건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드럼으로부터 배기되는 공기에서 수분을 응축시키는 열교환 장치, 상기 열교환 장치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수집하는 수집부, 상기 수집부의 응축수를 워터탱크로 펌핑하는 펌프, 솔레노이드 스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워터탱크의 응축수를 선택적으로 배출하여 상기 열교환 장치를 세척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건조기를 제공한다.
상기 배출부는 상기 워터탱크의 응축수를 배출유로로 배출하는 개폐부와 상기 솔레노이드 스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개폐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작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폐부의 작동을 복원시키는 복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원부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개폐부와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 내부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에 결합되어 상기 연결부의 이동을 복원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원부는 상기 하우징을 고정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동부는 상기 솔레노이드 스위치의 작동에 따라 상기 개폐부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작동부는 상기 솔레노이드 스위치의 작동에 따라 시소 운동을 하는 레버가 상기 개폐부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작동부는 상기 워터탱크와 연통된 배출유로의 외주연에 구비되며 상기 개폐부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리프터와 상기 솔레노이드 스위치의 작동에 따라 시소운동을 하며 상기 리프터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유로는 한 번 이상 절곡되어 있으며, 상기 작동부는 상기 배출유로의 절곡된 부위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출유로는 단차지게 절곡될 수 있다.
상기 배출유로에는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개폐부는 절개부에 선택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개폐부의 크기는 상기 절개부의 내경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개폐부는 상기 배출유로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작동부는 상기 개폐부에 연결되어 상기 마개를 들어올리는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폐부는 하나 이상의 배출홀과 하나 이상의 차폐부를 구비하고 상호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회전마개와 제2회전마개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부는 상기 제1회전마개 및 제2회전마개 중 적어도 하나를 회전시켜 상기 제1회전마개 및 제2회전마개의 배출홀을 정렬하여 응축수를 배출할 수 있다.
상기 복원부는 상기 제1회전마개 또는 제2회전마개의 회전을 복원시키는 스파일럴 스프링일 수있다.
드럼으로부터 배기되는 공기에서 수분을 응축시키는 열교환 장치, 상기 열교환 장치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수집하는 수집부, 상기 수집부의 응축수를 워터탱크로 이동시키는 펌프, 전자석을 이용하여 상기 워터탱크의 응축수를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부는 상기 워터탱크의 응축수를 배출유로로 배출하는 자석재질의 개폐부와 상기 전자석을 이용하여 상기 개폐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작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부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을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개폐부와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 내부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자석 재질의 연결, 상기 연결부에 결합되어 상기 연결부의 이동을 복원시키는 탄성부재, 상기 연결부를 선택적으로 이동시켜 상기 워터탱크의 응축수를 상기 배출유로로 배출하는 전자석으로 구성된 작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석은 상기 개폐부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자석은 상기 워터탱크의 상부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출부는 상기 열교환 장치로 응축수를 분사하는 분사노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솔레노이드 스위치 또는 전자석을 이용하여 워터탱크의 배출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함으로써, 워터탱크의 배출부의 구조가 간단하고 효율적인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배출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제1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배출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배출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배출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제4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제1회전마개 및 제2회전마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배출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배출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의한 의류 건조기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는 드럼(미도시)으로부터 배기되는 공기에서 수분을 응축시키는 열교환 장치(1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드럼으로부터 배기되는 공기가 열교환 장치(10)를 통과하면서 발생되는 응축수가 모이는 수집부(2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수집부(20)의 응축수를 워터탱크(40)로 펌핑하는 펌프(30)를 포함한다. 더불어, 상기 워터탱크(40)의 응축수를 배출유로(60)로 배출하고 열교환 장치(10)를 세척하는 배출부(100)를 포함한다.
상기 열교환 장치(10)는 다양한 형태로 개시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히트펌프이다. 순환덕트(미도시)를 통해 드럼으로 유입된 건조 공기는 건조대상물의 수분을 흡수하여 습한 상태로 배출된다. 드럼으로부터 배출된 공기는 상기 히트펌프를 통과하면서 응축되고 가열된다. 상기 히트펌프를 통과하면서 습한 상태의 공기는 수분이 응축되면서 건조 공기가 된다. 따라서, 습한 공기의 수분이 응축된 응축수는 히트펌프의 하부로 흘러내린다. 히트펌프에서 응축된 응축수는 히트펌프의 하부에 구비된 수집부(20)에 수집된다.
상기 펌프(30)는 상기 수집부(20)에 수집된 응축수를 공급유로(70)를 통해 워터탱크(40)로 펌핑한다. 상기 펌프(30)는 건조기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펌프(30)는 상기 수집부(20)의 인근에 배치된다.
상기 워터탱크(40)는 펌프(30)에 의해 펌핑된 응축수를 수용한다. 건조기를 1회 작동하여 상기 수집부(20)에 수집되는 응축수의 양은 열교환 장치(10)의 세척을 위해서 충분하지 않다. 따라서, 열교환 장치(10)를 한 번 세척하기 위한 최소 응축수량을 구비하기 위해 상기 워터탱크(40)가 구비된다. 상기 워터탱크(40)의 상부는 공급유로(70)와 연결되어 있으며 하부는 배출유로(60)와 연결되어 있다. 더불어, 상기 워터탱크(40)는 상기 열교환 장치(10)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건조기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워터탱크(40)에 수용된 응축수를 자연 낙하시켜 열교환 장치(10)를 세척하기 위해서는 소정의 수압이 필요하다. 따라서, 워터탱크(40)를 열교환 장치(10)의 상부, 특히 건조기의 상부에 구비시킴으로써 응축수가 소정의 위치에너지를 가지게 되며 소정의 수압이 형성된다. 따라서, 소정의 위치에너지를 가지는 워터탱크(40)의 응축수가 배출유로(60)로 배출되면서 위치에너지가 속도에너지로 변환된다.
한편, 상기 배출부(100)는 워터탱크(40)의 응축수를 배출유로(60)로 선택적으로 개방한다. 열교환 장치(10)를 세척하기 위한 최소량의 응축수 이상이 모이게 되면 상기 배출부(100)가 응축수를 배출유로(60)로 배출시켜 열교환 장치(10)를 세척한다.
상기 배출부(100)는 워터탱크(40)의 응축수를 배출유로(60)로 배출하는 개폐부(110)(210)(310)를 포함한다. 더불어, 솔레노이드 스위치 또는 전자석를 이용하여 상기 개폐부(110)(210)(310)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작동부(150)(250)(350)를 포함한다. 또한, 열교환 장치(10)로 응축수를 분사하는 분사노즐(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솔레노이드 스위치(152)(252)는 전원의 인가에 따라 발생된 전자기력으로 작동하는 스위치를 말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배출부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배출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특히 도 2의 (a)는 배출유로가 차단된 상태이며 (b)는 배출유로가 개방된 상태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배출부는 개폐부(110), 작동부(150), 복원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개폐부(110)는 워터탱크(40)의 응축수를 배출유로(60)로 배출하는 구성으로서 배출유로(60)를 선택적으로 여닫는 마개(114)로 구성된다. 상기 마개(114)는 상기 배출유로(60)와 상기 워터탱크(40)가 결합되는 지점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마개(114)는 플레이트 형상으로서 배출유로(60)의 내구경 보다 크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마개(114)가 배출유로(60)를 차단하고 있을 때 응축수가 배출유로(60)로 누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마개(114)에는 실링부재(112)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작동부(150)는 상기 개폐부(110)를 상부로 이동시켜 배출유로(60)로 응축수가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작동부(150)는 솔레노이드 스위치(152)와 상기 솔레노이드 스위치(152)의 작동에 따라 시소운동을 하는 레버(154)로 구성된다. 상기 레버(154)의 일단은 상기 개폐부(110)의 하부에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솔레노이드 스위치(152)와 연결된다. 상기 솔레노이드 스위치(152)는 레버(154)의 타단에 연결되어 레버(154)의 타단을 하부로 이동시킨다. 상기 작동부(150)의 작동을 설명하면, 상기 솔레노이드 스위치(152)에 전원이 인가되면 솔레노이드 스위치(152)가 상기 레버(154)의 타단을 하부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레버(154)의 일단은 솔레노이드 스위치(152)가 연결된 지점과 반대로 상부로 이동한다. 따라서, 레버(154)의 일단에 연결된 개폐부(110)가 상부로 이동하게 되며, 배출유로(60)는 개방된다. 이어서, 개방된 배출유로(60)를 통해 워터탱크(40)의 응축수는 배출된다.
복원부(130)는 개폐부(110)의 작동을 복원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작동부(150)의 작동에 따라 상부로 이동한 개폐부(110)를 하부로 이동시켜 개방된 배출유로(60)를 차단한다. 전자기력에 의해 레버(154)를 하부로 이동시키는 솔레노이드 스위치(152)는 레버(154)를 원상태로 복원시키는 작용을 하지 않기 때문에 복원부(130)가 구비된다.
상기 복원부(130)는 하우징(131), 연결부(135), 탄성부재(133) 및 지지부(13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31)은 외관을 형성하며, 상기 연결부(135) 및 탄성부재(133)를 수용한다. 상기 하우징(131)은 원통형의 실린더 형상으로서 하부면에 연결부(135)가 관통하는 홀(131a)이 형성되어 있다. 연결부(135)는 상기 개폐부(110)와 연결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부(135)는 상기 하우징(131) 내부에서 상하로 이동하는 디스크(135a)와 상기 개폐부(110)와 상기 디스크(135a)를 연결시키는 연결막대(135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디스크(135a)는 상기 탄성부재(133)의 탄성력을 연결막대(135b)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디스크(135a)는 상기 하우징(131)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탄성부재(133)의 하부에 구비된다. 더불어, 상기 디스크(135a)의 직경은 상기 하우징(131)의 내구경에 대응하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디스크(135a)의 직경을 하우징(131)의 내구경에 대응되도록 하여 탄성부재(133)가 응축수에 노출되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연결막대(135b)는 상기 개폐부(110)와 상기 디스크(135a)를 연결하여 개폐부(110)와 디스크(135a)의 운동을 전달한다. 상기 연결막대(135b)의 일단은 상기 디스크(135a)의 하부에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개폐부(110)의 상부에 결합된다. 더불어, 상기 연결막대(135b)의 일측은 상기 하우징(131)의 하부에 형성된 홀(131a)을 관통하여 상기 디스크(135a)의 하부에 결합된다.
탄성부재(133)는 솔레노이드 스위치(152)에 전원이 차단되었을 때 개폐부(110)를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탄성부재(133)는 탄성력을 가지는 부재이면 족하나, 바람직하게는 코일스프링이다. 상기 탄성부재(133)는 하우징(131)의 내부에 구비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하우징(131) 상부 내측면과 디스크(135a)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탄성부재(133)는 솔레노이드 스위치(152)에 전원이 인가되어 개폐부(110)가 상부로 이동한 경우 디스크(135a)에 의해 압축된다. 더불어, 솔레노이드 스위치(152)에 전원이 차단되면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상기 디스크(135a)를 하부로 가압하여 개폐부(110)를 원위치로 복원시킨다. 즉, 압축된 탄성부재(133)가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개폐부(110)를 하부로 가압하여 개방된 배출유로(60)를 차단한다.
지지부(137)는 상기 하우징(131)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지지부(137)는 하우징(131)을 고정하기 위해 하우징(131)의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부(137)의 일단은 상기 하우징(131)의 상부면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워터탱크(40)의 상부면 내측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배출유로(60)는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솔레노이드 스위치(152)는 배출유로(60)의 절곡부(61)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출유로(60)의 절곡부(61)는 단차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과 같이 배출유로(60)가 절곡부(61)를 형성하고 있고, 솔레노이드 스위치(152)가 절곡부(61)에 구비되는 경우 별도의 레버(154)를 이용하지 않고 솔레노이드 스위치(152)가 직접 개폐부(110)를 상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 외 구성 및 작동은 도 2에 도시된 배출부와 동일하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제2실시예에 따른 배출부를 설명한다. 제1실시예에 따른 배출부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4의 (a)는 제2실시예에 따른 배출부를 나태낸 도면이며, (b)는 배출유로와 리프터를 나타낸 평면 단면도이다.
제2실시예에 따른 배출부의 개폐부(110) 및 복원부(130)의 구성 및 작용은 동일한다. 제2실시예에 따른 배출부의 작동부(250)는 배출유로(60)의 외주연에 구비된 리프터(256)와 상기 리프터(256)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레버(254) 및 솔레노이드 스위치(25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리프터(256)는 배출유로(60)의 외주연에 구비되어 개폐부(110)를 상부로 이동시킨다. 리프터(256)는 복수 개의 레그(leg)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레그는 배출유로(60)의 외주연에 결합된다. 더불어, 각 레그는 리프터(256)의 하부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레버(254)의 일단은 상기 리프터(256)의 일측에 결합되어 시소 운동을 하면서 상기 리프터(256)를 상부로 이동시킨다. 더불어, 솔레노이드 스위치(252)는 상기 레버(254)의 타측에 결합되어 레버(254)의 타단을 하부로 이동시킨다. 이때 레버(254)의 타단이 상부로 이동하게 되고 리프터(256)도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제3실시예에 따른 배출부를 설명한다. 제1실시예에 따른 배출부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3실시예에 따른 작동부는 전자석(350)으로 구성되어 있다. 더불어, 복원부(130)의 연결부(135)는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전자석(350)에 전원이 인가되어 자기장이 형성되면 전자석(350)과 연결부(135)의 인력에 의해 개폐부(110)가 상부로 이동하면서 배출유로(60)가 개방된다. 또한, 전자석(350)에 전원이 차단되면 복원부(130)의 스프링이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개폐부(110)를 하부로 이동시키고 개폐부(110)는 배출유로(60)를 차단한다. 상기 전자석(350)은 연결부(135)의 상부에 구비되며, 바람직하게는 워터탱크(40)의 상부면에 구비된다. 한편, 상기 실시예에서는 연결부(135)가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진 것을 설명하였으나, 개폐부(110)가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져도 동일한 작용을 기대할 수 있다. 즉, 개폐부(110)를 상부로 이동시키는 구성 중 어느 하나가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지면 동일한 작용을 기대할 수 있다.
이하,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제4실시예에 따른 배출부를 설명한다. 제1실시예에 따른 배출부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4실시예에 따른 배출부의 개폐부(210)는 제1회전마개(216)와 제2회전마개(214)를 포함한다. 더불어, 제1회전마개(216)의 회전을 복원시키는 스파이럴 스프링(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회전마개(216)와 제2회전마개(214)는 배출유로(60)와 워터탱크(40)의 결합지점에 구비된다. 제1회전마개(216)와 제2회전마개(214)는 상하로 적층되어 배치된다.
도 7의 (a)는 제1회전마개(216)의 평면도이며, (b)는 제2회전마개(214)의 평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회전마개(216)는 하나 이상의 차폐부(216b)와 하나 이상의 배출홀(216a)로 구성되어 있다. 더불어, 상기 차폐부(216b)와 배출홀(216a)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다. 또한, 제1회전마개(216)의 중심에는 결합홀(216c)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결합홀(216c)에 회전축을 결합하여 제1회전마개(216)와 제2회전마개(214)를 결합시킨다. 제2회전마개(214)의 구성은 제1회전마개(216)의 구성과 동일하다.
개폐부(210)가 배출유로(60)를 차단한 상태에서는 제1회전마개(216)의 차폐부(216b)와 제2회전마개(214)의 배출홀(214a)이 정렬된 상태이며, 개폐부(210)가 배출유로(60)를 개방한 상태에서는 제1회전마개(216)와 제2회전마개(214)의 각 배출홀(216a)(214a)이 정렬된 상태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제4실시예에 따른 개폐부(210)의 작동을 설명한다. 먼저 솔레노이드 스위치(152)는 제1회전마개(216)의 일측에 연결된다. 솔레노이드 스위치(152)에 전원이 인가되어 솔레노이드 스위치(152)가 제1회전마개(216)를 소정각도 회전시킨다. 따라서, 제1회전마개(216)의 배출홀(216a)과 제2회전마개(214)의 배출홀(214a)이 상하로 정렬되면서 워터탱크(40)의 응축수가 상기 배출홀(216a)(214a)을 통해 배출유로(60)로 배출된다. 응축수 배출이 종료되면 솔레노이드 스위치(152)에 전원이 차단된다. 이때, 상기 스파이럴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제1회전마개(216)가 소정각도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제1회전마개(216)의 배출홀(216a)과 제2회전마개(214)의 차폐부(214b)가 정렬되게 되고 배출유로(60)는 차단된다.
상술한 설명에서 솔레노이드 스위치(152)가 제1회전마개(216)에 연결된 것을 설명하였으나, 제2회전마개(214)에 연결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제5실시예에 따른 배출부를 설명한다. 제1실시예에 따른 배출부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5실시예에 따른 개폐부(110)는 배출유로(60)의 상단에 힌지(미도시)로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개폐부(110)가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을 하면서 상기 배출유로(60)를 개폐한다. 제5실시예에 따른 작동부는 상기 개폐부(110)에 연결된 와이어(454)와 상기 와이어(454)의 방향을 전환시키는 풀리(456), 상기 와이어(454)를 당기는 솔레노이드 스위치(15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와어어(454)의 일단은 상기 개폐부(110)의 상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솔레노이드 스위치(152)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솔레노이드 스위치(152)에 전원이 인가되면 솔레노이드 스위치(152)가 와이어(454)를 당기고 따라서 상기 개폐부(110)가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배출유로(60)를 개방한다. 개방된 배출유로(60)로 응축수가 모두 배출되면 개폐부(110)의 자중에 의해 개폐부(110)가 배출유로(60)를 차단한다. 상기 풀리(456)는 상기 와이어(454)의 중간에 연결되어 와이어(454)의 방향을 전환한다. 상기 풀리(456)는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제5실시예에서는 개폐부(110)가 힌지로 결합되어 있어 별도의 복원부(130)를 구비하지 않는다. 즉, 솔로노이드 스위치(152)의 작동에 따라 개폐부(110)가 배출유로(60)를 개방한 후 개폐부(110)의 자중에 의해 배출유로(60)가 차단되므로 별도의 복원부(130)를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도 8에서는 솔레노이드 스위치(152)가 워터탱크(40)의 하부에 구비되고, 와이어(454)의 중간에 2개의 풀리(456)가 구비되어 방향을 전환하는 실시예를 도시하였으나, 이는 사용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솔레노이드 스위치(152)를 워터탱크(40)의 상부 또는 측면에 구비할 경우 솔레노이드 스위치(152)의 위치에 따라 와이어(454)의 방향 전환 횟수와 이에 따른 와이어(454)의 개수는 달라질 수 있다.
이하,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제6실시예에 따른 배출부를 설명한다. 제1실시예에 따른 배출부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제6실시예에 따른 배출부는 배출유로(60)의 중간에 절개부(6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절개부(62)는 배출유로(60)의 어느 일측에 구비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배출유로(60)의 상부에 구비된다.
개폐부(310)는 상기 절개부(62)에 선택적으로 삽입 또는 인출되면서 상기 배출유로(60)를 개폐한다. 즉, 상기 개폐부(310)가 상기 절개부(62)에 삽입되었을 때는 배출유로(60)는 차단된 상태로서 배출유로(60)를 통해 워터탱크(40)의 응축수가 배출되지 않는다. 상기 개폐부(310)가 상기 절개부(62)에 삽입된 상태에서 배출유로(60)로 응축수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개폐부(310)는 상기 절개부(62)의 내경과 대응되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히다. 상기 개폐부(310)가 상기 절개부(62)에서 인출되었을 때는 배출유로(60)는 개방된 상태로서 배출유로(60)를 통해 워터탱크(40)의 응축수가 배출된다. 작동부는 솔레노이드 스위치(15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솔레노이드 스위치(152)는 개폐부(310)의 일측에 연결되어 있으며, 솔레노이드 스위치(152)의 작동에 따라 상기 개폐부(310)를 상기 절개부(62)로 인출한다. 복원부(230)는 상기 개폐부(310)의 타측에 연결되어 인출된 개폐부(310)를 상기 절개부(62)로 다시 삽입시킨다. 상기 복원부(230)는 코일 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프링(230)의 일측은 상기 개폐부(310)의 타측에 고정 결합되어 있으며, 스프링(230)의 타측은 워터탱크(40)의 내측면에 고정 결합되어 있다. 즉, 솔레노이드 스위치(152)가 작동하여 개폐부(310)를 절개부(62)에서 인출시켜 워터탱크(40)의 응축수를 배출시킨 후, 솔레노이드 스위치(152)에 전원을 차단하면 상기 스프링(230)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개폐부(310)가 절개부(62)로 삽입되고 배출유로(60)는 차단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열교환 장치 20 수집부
30 펌프 40 워터탱크
50 분사노즐 60 배출유로
70 공급유로 100 배출부
110,210,310 개폐부 130 복원부
150,250,350 작동부

Claims (21)

  1. 드럼으로부터 배기되는 공기에서 수분을 응축시키는 열교환 장치;
    상기 열교환 장치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수집하는 수집부;
    상기 수집부의 응축수를 워터탱크로 펌핑하는 펌프; 및
    솔레노이드 스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워터탱크의 응축수를 선택적으로 배출하여 상기 열교환 장치를 세척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건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상기 워터탱크의 응축수를 배출유로로 배출하는 개폐부와
    상기 솔레노이드 스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개폐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의 작동을 복원시키는 복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건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부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개폐부와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 내부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에 결합되어 상기 연결부의 이동을 복원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부는 상기 하우징을 고정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상기 솔레노이드 스위치의 작동에 따라 상기 개폐부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상기 솔레노이드 스위치의 작동에 따라 시소 운동을 하는 레버가 상기 개폐부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상기 워터탱크와 연통된 배출유로의 외주연에 구비되며 상기 개폐부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리프터와
    상기 솔레노이드 스위치의 작동에 따라 시소운동을 하며 상기 리프터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유로는 한 번 이상 절곡되어 있으며,
    상기 작동부는 상기 배출유로의 절곡된 부위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유로는 단차지게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유로에는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개폐부는 절개부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의 크기는 상기 절개부의 내경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1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배출유로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작동부는 상기 개폐부에 연결되어 상기 개폐부를 들어올리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1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하나 이상의 배출홀과 하나 이상의 차폐부를 구비하고 상호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회전마개와 제2회전마개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부는 상기 제1회전마개 및 제2회전마개 중 적어도 하나를 회전시켜 상기 제1회전마개 및 제2회전마개의 배출홀을 정렬하여 응축수를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부는 상기 제1회전마개 또는 제2회전마개의 회전을 복원시키는 스파일럴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16. 드럼으로부터 배기되는 공기에서 수분을 응축시키는 열교환 장치;
    상기 열교환 장치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수집하는 수집부;
    상기 수집부의 응축수를 워터탱크로 이동시키는 펌프; 및
    전자석을 이용하여 상기 워터탱크의 응축수를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상기 워터탱크의 응축수를 배출유로로 배출하는 자석재질의 개폐부와
    상기 전자석을 이용하여 상기 개폐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을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개폐부와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 내부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자석 재질의 연결부;
    상기 연결부에 결합되어 상기 연결부의 이동을 복원시키는 탄성부재;
    상기 연결부를 선택적으로 이동시켜 상기 워터탱크의 응축수를 상기 배출유로로 배출하는 전자석으로 구성된 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19.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은 상기 개폐부의 상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은 상기 워터탱크의 상부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21.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상기 열교환 장치로 응축수를 분사하는 분사노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KR1020100065921A 2010-07-08 2010-07-08 의류 건조기 KR20120005267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5921A KR20120005267A (ko) 2010-07-08 2010-07-08 의류 건조기
US13/177,885 US20120005912A1 (en) 2010-07-08 2011-07-07 Clothes dryer
PCT/KR2011/004989 WO2012005533A2 (en) 2010-07-08 2011-07-07 Clothes dryer
EP11803819.9A EP2591161B1 (en) 2010-07-08 2011-07-07 Clothes dryer
US14/177,659 US9752274B2 (en) 2010-07-08 2014-02-11 Clothes dry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5921A KR20120005267A (ko) 2010-07-08 2010-07-08 의류 건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5267A true KR20120005267A (ko) 2012-01-16

Family

ID=45611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5921A KR20120005267A (ko) 2010-07-08 2010-07-08 의류 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526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86679B1 (en) Clothes dryer
CN105951348B (zh) 滚筒洗衣机及其高效洗涤、烘干方法
KR101549861B1 (ko) 덕트리스 건조기
WO2012005533A2 (en) Clothes dryer
JP2017506084A (ja) パルセータ型ヒートポンプ洗濯乾燥機および乾燥方法
JP2006015118A (ja) サイクロン凝縮装置およびこのサイクロン凝縮装置を備えた洗濯乾燥機
JP2008079855A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WO2014038112A1 (ja) 衣類乾燥機
EP3219845B1 (en) Clothes care apparatus with smoke filter
KR100640758B1 (ko) 필터가 구비된 드럼세탁기의 리프터
EP2920351A1 (en) Machine adapted to carry out at least one laundry drying cycle
US20190106832A1 (en) Machine for drying laundry, in particular washer-dryer, equipped with a heat pump system
KR100600730B1 (ko) 배기식 건조기/세탁건조기
KR20120005267A (ko) 의류 건조기
KR101158438B1 (ko) 의류 건조기
US11761141B2 (en) Filter configured for being used in a machine for drying laundry and machine for drying laundry equipped with such a filter
KR100743977B1 (ko) 오일 회수기
CN109440385A (zh) 一种洗衣机
WO2021174825A1 (zh) 一种无外筒式洗衣机
KR20120005266A (ko) 건조기
JP5791528B2 (ja) 洗濯乾燥機及び乾燥機
CN219411076U (zh) 一种多功能家用厨房的集成水槽
CN209568291U (zh) 一种成衣烘干机
CN108315952A (zh) 一种防衣物变形的清洗方法
CN108411558A (zh) 一种智能洗衣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