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5236A - 중공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프로필렌의 복합 재질을 사용한 니들 펀칭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중공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프로필렌의 복합 재질을 사용한 니들 펀칭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5236A
KR20120005236A KR1020100065870A KR20100065870A KR20120005236A KR 20120005236 A KR20120005236 A KR 20120005236A KR 1020100065870 A KR1020100065870 A KR 1020100065870A KR 20100065870 A KR20100065870 A KR 20100065870A KR 20120005236 A KR20120005236 A KR 201200052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propylene
nonwoven fabric
polyethylene terephthalate
hollow
nee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58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56784B1 (ko
Inventor
박서진
김동욱
이정한
Original Assignee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658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6784B1/ko
Publication of KR201200052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52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67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67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heating meth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4Punching, slitting or perfo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4Punching, slitting or perforating
    • B32B2038/042Pun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53Polyolefin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76Polyester fibres
    • B32B2262/0284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or 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14Mixture of at least two fibres made of different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3/00Polyalkenes
    • B32B2323/10Polypropyle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프로필렌을 일정비율로 되도록 하여 중공의 단섬유 형태로 제작하여 이를 니들 펀칭하여 보온성이 우수한 중공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프로필렌의 복합 재질을 사용한 니들 펀칭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본 발명의 중공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프로필렌의 복합 재질을 사용한 니들 펀칭 부직포는 각기 다른 이성분 소재로 구성된 2층 이상의 부직포를 적층하여 칼렌더 롤에서 열융착 과정과 니들펀칭으로 교락되는 과정을 거쳐 형성되는 부직포에 있어서, 상기 다른 이성분 소재는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이고, 여기서,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는 4 내지 40%의 중공율을 지닌 장섬유로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중공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프로필렌의 복합 재질을 사용한 니들 펀칭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프로필렌를 적절한 비율로 복합 사용하고 니들펀칭하여 부직포를 형성한 것을 사용하므로 보온특성을 우수하게 유지하면서 제조 비용을 낮출 수 있을 뿐 아니라 제조공정 및 작업성을 향상하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중공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프로필렌의 복합 재질을 사용한 니들 펀칭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Needle-punching non-woven fabric using a hollow polyethyleneterephthalate and polypropylen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중공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프로필렌의 복합 재질을 사용한 니들 펀칭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프로필렌을 일정비율로 되도록 하여 중공의 단섬유 형태로 제작하여 이를 니들 펀칭하여 보온성이 우수한 중공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프로필렌의 복합 재질을 사용한 니들 펀칭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부직포의 원료 수지에는 각종 합성 수지가 이용되고 있고, 그 중에서도 부직포의 의도하는 다양한 사용 용도에 적합한 원료들이 적의 선택되어 각종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는 부직포들이 제안 생산되어 왔는데, 예를 들어, 이러한 부직포의 실용적인 특성을 이용한 보온성 중면 소재로도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보온 중면의 예로는, 예를 들어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991-0010713호는 "보온 중면 소재 및 그 제조방법"이라는 명칭으로, "중공율이 5-40%인 폴리에스텔 중공필라멘트를 열융착 컷팅하여 양쪽 말단부가 밀폐되어 있는 중공의 단섬유(Staple)를 만들고, 상기 단섬유들을 프리니들펀칭(Pre-Needle Punching)하여 부직포 웹을 만든 다음에, 이것을 통기성이 낮은 스판 본드 시트(Spun Bond Sheet)의 한쪽면에 형성시킨 알루미늄 증착층 위에 중첩시킨 후 니들펀칭하여 양자를 결합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성 중면(中綿)소재의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한편으로, 부직포의 소재로는 그 특성이 우수한 폴리이미드가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종래의 폴리아미드 부직포는 우수한 장점을 가지는 반면으로 여타 다른 합성섬유에 비해 고가이면서도 기계적 강도가 떨어진다는 단점을 들어내고 있어서 이에 대한 기술적 해결 방안이 요구되어 왔고, 또한 한편으로 최근 보다 고급화된 인공피혁을 추구하는 소비자의 요구 수준에 부응하기 위해서는 상기 문제점의 기술적 해결에 더하여 보온성과 소프트성이 우수하면서 더 가벼운 섬유의 출현이 시급하다고 할 수 있으나, 이러한 문제점이 아직 해결되고 있지 못할 뿐 아니라 이에 대한 아무런 제시도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자 등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보온성이 우수한 중면 소재를 보다 낮은 비용으로 생산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예의 연구하여 복합 소재를 사용하므로 종래의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므로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991-0010713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기술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따라서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종래의 기술적인 문제를 해결하여 우수한 보온성을 가지는 소재를 보다 낮은 비용으로 보다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는 중공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프로필렌의 복합 재질을 사용한 니들 펀칭 부직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특성을 갖는 중공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프로필렌의 복합 재질을 사용한 니들 펀칭 부직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한 명확한 목적 이외에 이러한 목적 및 본 명세서의 전반적인 기술로부터 이 분야의 통상인에 의해 용이하게 도출될 수 있는 다른 목적을 달성함을 그 목적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중공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프로필렌의 복합 재질을 사용한 니들 펀칭 부직포는;
각기 다른 이성분 소재로 구성된 2층 이상의 부직포를 적층하여 칼렌더 롤에서 열융착 과정과 니들펀칭으로 교락되는 과정을 거쳐 형성되는 부직포에 있어서, 상기 다른 이성분 소재는 하기 구조식(I)의 폴리프로필렌 및 하기 구조식(II)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이고,
Figure pat00001
---- (I)
Figure pat00002
---- (II)
여기서,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는 4 내지 40%의 중공율을 지닌 장섬유로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이성분 소재의 하나인 폴리프로필렌은 150 내지 250g/㎡의 중량을 지니도록 열융착에 의해 부직포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이성분 소재의 하나인 폴리프로필렌에 의한 부직포는 10 내지 30 미크론의 폴리프로필렌 장섬유 또는 0.1 내지 10 미크론의 단섬유의 하나 또는 이들의 복합체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이성분 소재의 하나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는 150 내지 250g/㎡의 중량을 지니도록 열융착에 의해 부직포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이성분 소재인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중량비는 1 내지 9 대 9 내지 1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중공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프로필렌의 복합 재질을 사용한 니들 펀칭 부직포의 제조 방법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프로필렌을 1:9 비율, 최대 9:1의 중량비율로 하여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각각 컨베이어벨트 위에 랜덤하게 적층시켜 칼렌더를 통과하면서 열융착하여 스펀본드 부직포를 형성하는 제 1단계와;
상기 제 1단계에서 제작된 폴리프로필렌 스펀본드 부직포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스펀본드 부직포를 니들펀칭 공정을 거치면서 결합되어 있지 않은 섬유들의 교락을 통하여 최종 니들펀칭 부직포를 제작하는 제 2단계의 공정으로 구성되어 지며,
상기 제 1단계 방사 공정에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소재의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를 제조 시,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4 내지 40%의 중공율로 제조하기 위해 중공이 형성되어 있는 구금을 사용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중공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프로필렌의 복합 재질을 사용한 니들 펀칭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프로필렌를 적절한 비율로 복합 사용하고 니들펀칭하여 부직포를 형성한 것을 사용하므로 보온특성을 우수하게 유지하면서 제조 비용을 낮출 수 있을 뿐 아니라 제조공정 및 작업성을 향상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재활용성과 친환경성이 탁월하여 적용범위가 한정적이지 않다는 우수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라 일 단계에서 사용되는 스펀본드 공정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라 다른 단계에서 사용되는 니들펀칭 공정의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부직포를 구성하는 중공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장섬유의 전자현미경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의해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주가 여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중공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프로필렌의 복합 재질을 사용한 니들 펀칭 부직포는, 각기 다른 이성분 소재로 구성된 2층 이상의 부직포를 적층하여 칼렌더 롤에서 열융착 과정과 니들펀칭으로 교락되는 과정을 거쳐 형성되는 부직포에 있어서, 상기 다른 이성분 소재는 하기 구조식(I)의 폴리프로필렌 및 하기 구조식(II)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이고,
Figure pat00003
---- (I)
Figure pat00004
---- (II)
여기서,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는 4 내지 40%의 중공율을 지닌 장섬유로 구성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각기 다른 이성분인 폴리프로필렌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복합 니들펀칭 부직포는 일부 열용융 결합 방식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스펀본드 공법을 적용한 동시에 섬유 간 기계적 교락으로 결합시키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니들펀칭 공법도 함께 적용한 복합방식으로 제조된다. 이때, 모두 장섬유로 구성되거나, 장섬유와 단섬유의 혼합구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이는 제품을 적용하고자 하는 용도나 적용 분야에 따라 조절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스펀본드 공법과 니들펀칭 공법을 사용하는 본 발명은 구체적으로는 하기 제1단계 및 제2단계 공정에 의해 본 발명의 부직포를 제조할 수 있다.
제1단계: 폴리프로필렌 장섬유를 컨베이어벨트 위에 랜덤하게 적층시킨다. 적층된 폴리프로필렌 섬유들은 칼렌더를 통과하면서 스펀본드와 같이 형태 안정성을 유지하며 권취 작업을 거쳐 롤 형태로 만들어지게 되고, 1단계에서 만들어진 롤은 다음의 2단계 니들펀칭 라인에 적용하게 된다. 또한, 이와 유사한 방식으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장섬유 또한 방사, 적층, 칼렌더링 과정을 거쳐 롤 형태로 권취 후 상기의 폴리프로필렌 롤 제품과 함께 다음의 2단계 니들펀칭 과정을 거치게 된다. 단,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장섬유의 경우, 방사공정에서 폴리프로필렌의 방사공정과 달리 중공이 형성되어 있는 구금을 사용하는 특징이 있다.
제2단계: 상기 제1단계에서 제작된 두 가지 롤 제품(구체적으로는, 폴리프로필렌 롤 제품,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롤 제품)을 수많은 니들로 제작된 니들펀칭 공정을 거치면서 결합되어 있지 않은 섬유들의 교락을 통하여 최종 니들펀칭 부직포를 제작하게 된다.
상기 각 단계별 공정에 따른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복합 니들펀칭 부직포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1) 1단계 공정:
폴리프로필렌 장섬유를 일정 간격으로 제작된 노즐 홀을 통하여 방사하면서, 급냉 및 연신작용을 거쳐 컨베이어벨트 위에 랜덤하게 적층시킨다. 적층된 섬유들은 웹층을 이루고 있지만 서로 간의 결합력이 약하여 형태 유지력이 약하다. 이 적층체를 칼렌더 롤에 통과시키면서 일정한 압력 및 온도 조정을 통하여 장섬유 스펀본드 층을 최소로 열융착시켜, 웹의 형태를 유지하도록 제조하는 공정이다.
이때, 칼렌더 롤의 온도 및 압력 조건이 최종 니들펀칭 부직포의 물성과 품질에 많은 영향을 주게 된다. 예를 들어, 1단계에서의 칼렌더링 온도와 압력이 과도하게 높을 경우는 대부분의 섬유가 열융착되어 교락작용이 이루어져야 할 섬유들이 존재하지 않게 됨으로써, 니들펀칭의 효과를 발현시킬 수 없게 될 뿐만 아니라, 타소재로 구성된 다른 층과의 결합 또한 이루어질 수 없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게 된다. 이와 반대로, 1단계에서의 칼렌더링 온도와 압력이 매우 낮은 조건 하에서 진행되었을 경우는 니들펀칭 공정에서 이루어질 섬유 간 교락작용 및 층간 결합력은 기대할 수 있으나, 1단계를 거쳐 나온 롤 상태의 제품을 관리하기가 쉽지 않고, 형태 유지가 약하여 각 부위별 섬유 밀도가 불균일하게 된다. 이와 같은 롤 제품 상태에서 니들펀칭 공정을 거치게 되면, 전체적으로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각 부위별 물성의 편차도 커지게 되어 최종 폴리프로필렌-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니들펀칭 복합부직포 제품으로서의 품질을 떨어뜨리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폴리프로필렌 장섬유를 이용한 롤 제품 생산시 적절한 칼렌더의 온도와 압력 조건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더불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소재의 부직포 층을 생산하는 방법은 상기 폴리프로필렌 소재의 부직포층 생산 방식과 유사한 원리로 진행되나, 중공사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중공율을 이용하여 방사성 최적화가 이루어질 수 있는 수준으로 구금이 제작되어야 한다.
또한, 폴리프로필렌 부직포 층은 100% 장섬유로만 이루어질 수도 있고, 혹은 일부 단섬유(멜트블로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장섬유와 단섬유의 중량 구성비는 0 내지 90%의 범위까지 조정이 가능하며, 제품의 용도나 적용 분야에 따라 자유자재로 중량 비율의 변경이 가능하다. 장섬유는 평균직경이 10 내지 30 미크론으로 형성되어 있고, 단섬유는 평균직경이 0.1 내지 10 미크론인 멜트블로운 초극세사 형태를 이루고 있다.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와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부직포 층은 위의 부직포 구조와 같이 장섬유와 단섬유가 혼합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고, 장섬유 혹은 단섬유 단일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10 내지 40 미크론의 평균직경을 나타내고 있으며, 대개 20 내지 30 미크론의 평균직경을 보인다.
(2) 2단계 공정
상기 1단계 공정에서 제작된 폴리프로필렌 소재의 부직포 롤 제품과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롤 제품을 적층하여 니들펀칭 공정의 컨베이어벨트 위로 언와인딩(unwinding)하며 웹을 진행시킨다. 상하 운동이 일어나는 수많은 니들로 인하여 각 층을 구성하고 있는 섬유들 중에서 열융착이 이루어지지 않은 섬유들끼리의 기계적 교락작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동시에, 각기 다른 소재로 구성된 부직포 층들 간의 교락작용도 함께 이루어져 복합 부직포 전체의 기계적 결속력을 지니게 되어, 최종적으로 폴리프로필렌-중공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복합 니들펀칭 부직포 형태로 갖추어진다.
상기 1단계 공정에서 만들어진 프리 본딩 스펀본드 부직포를 니들펀칭 공정으로 2차 적용할 때 니들의 밀도는 대개 30 내지 200punch/㎠를 사용하며, 바람직하기로는 50 내지 100punch/㎠를 이용한다. 섬유 간 교락을 위한 니들이동깊이(depth)는 대개 5 내지 30mm이고, 바람직하기로는 10 내지 15mm로 진행한다. 그리고 니들 이동속도(stroke)는 대개 300 내지 1000stroke/min를 이용하고, 바람직하기로는 400 내지 700stroke/min이다.
니들펀칭 부직포의 경우, 대개 50 내지 1000 g/㎡의 중량을 이루고, 우수하게는 100 내지 500g/㎡, 더욱 우수하게는 150 내지 400g/㎡ 중량으로 제작할 수 있으며, 중량이 50g/㎡ 미만으로 낮을 경우나 1000g/㎡를 초과하게 되면 상업적 생산에 쉽지 않아 바람직하지 않다.
이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폴리프로필렌과 중공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중량비를 조정함으로써, 보온성 향상을 달성할 수 있게됨과 더불어 폴리프로필렌 고유의 내화학성 및 경량화를 이룰 수 있게 되는데, 폴리프로필렌과 중공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중량비는 1 내지 9 대 9 내지 1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4 내지 6 대 6 내지 4로 구성됨이 가장 바람직하다. 만일, 상기 폴리프로필렌 소재로 이루어진 부직포 층의 구성 비율이 과도하게 높을 경우에는 초기의 기계적 강도물성이 낮아질 우려가 있고 중공섬유의 보온에 대한 효과성이 낮아질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중공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소재로 이루어진 부직포 층의 과도하게 높은 구성 비율을 이룰 경우, 낮은 밀도를 지닌 폴리프로필렌의 부피감 활용도가 떨어지고 내화학성 대한 물성저하 현상이 증가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두 소재 간의 중량비가 상기 범위 안에서 적절하게 구성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에 따라 제작된 폴리프로필렌-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복합 니들펀칭 부직포는 2가지 이상의 원료 소재를 이용하여 2층 혹은 다층의 각기 다른 형태의 파이버(Fiber)를 이루고 있다. 예를 들면, 폴리올레핀계와 폴리에스테르계 소재의 조합으로 장섬유로만 구성된 다층 구조를 제조할 수 있으며, 장섬유 뿐만 아니라 단섬유와의 조합된 층으로 구성시켜 제조할 수도 있다. 또한, 복합 니들펀칭 부직포를 구성하고 있는 각 소재의 층들은 니들(needle)을 통한 섬유 간 교락이 이루어진 형태로 구성되고, 폴리프로필렌 소재의 부드러운 면과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소재의 기계적 강성을 지닌 면으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부직포는 멜트블로운 층의 구성이 포함될 수도 있고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다.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중공섬유 층과 더불어 폴리프로필렌 멜트블로운 층은 발수효과, 단열효과, 흡음효과, 강도 등과 같은 복합 부직포의 여러 가지 물성과 관련하여 적용되는 용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조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일 성분으로 4 내지 40%의 중공율을 지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장섬유를 사용하고, 또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프로필렌을 1:9 비율, 최대 9:1의 중량비율로 중공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두께 및 중공율의 특성과 함께 낮은 밀도를 지닌 폴리프로필렌의 경량성 및 부피감을 이용하여 보온성 향상을 이루었다. 이때,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장섬유의 중공율이 4% 미만이면 경량성과 보온성이 현저하게 저하되고, 반대로 40%를 초과하면 부피감, 작업성 및 보온성의 모든 면에서 열등하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이하, 실시예와 비교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는 400g/㎡ 제품에 대하여 비교 진행하였다. 다음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1. 약 20 ㎛의 폴리프로필렌 장섬유를 방사하여 칼렌더링 열접착이 일부 이루어진 부직포를 형성하고, 중간 층에 약 5 ㎛의 폴리프로필렌의 멜트블로운 단섬유를 포함하여 제조하였다.
2. 상기 폴리프로필렌 장섬유와 멜트블로운 단섬유를 적층하여 3층 구조를 이루는 밀도 200g/㎡의 부직포 적층체를 형성하였다. 이때, 포함된 멜트블로운 층의 밀도는 8g/㎡으로 하였다.
3. 또한, 상기와 더불어 약 25㎛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장섬유를 방사하여 상기 폴리프로필렌 장섬유의 칼렌더링과 유사한 방식으로 일부 열압착 공정을 거친다.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경우 단섬유를 포함하지 않고 장섬유로만 구성되도록 제조하였으며, 이때 중공율을 20%정도로 하였다.
4.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장섬유를 이루는 밀도는 200g/㎡으로 적층체를 형성하였다.
5. 상기 각각의 두 공정을 거쳐 제작된 폴리프로필렌 장섬유 웹과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웹을 니들펀칭 공정으로 이동시킨다. 이동된 두 제품을 컨베이어벨트 위에 적층시키고 언와인딩(unwinding)하며 웹을 진행시킨다. 수많은 니들의 상하운동으로 열융착이 이루어지지 않은 섬유들과 소재가 다른 층들의 기계적 교략작용이 일어나 부직포의 전체의 결속력을 지니도록 제조하였다. 이때, 최종적으로 완성된 부직포 전체의 밀도는 400g/㎡이다.
비교예 1
폴리프로핀렌 웹층 전체의 밀도를 50g/㎡, 중공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장섬유 웹층의 밀도를 350g/㎡으로 제조하는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였다.
비교예 2
폴리프로핀렌 웹층 전체의 밀도를 350g/㎡, 중공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장섬유 웹층의 밀도를 50g/㎡으로 제조하는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였다.
실험예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하여 각각 제조한 폴리프로필렌-중공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복합 니들펀칭 부직포를 대상으로 다음과 같이 물성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1. 초기 강도(kg/5cm) :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하여 제조된 복합 니들펀칭 부직포로부터 시료를 채취하고, 알맞은 크기로 절단하여 시료의 강도를 측정하였다. 시료의 크기는 50mm×150mm이며, 인스트롱기를 이용하여 시료마다 16회씩 평균값을 비교하였다. 구체적인 측정방법은 Edana20.2-89 을 참고하였다.
2. 보온율(%) : 국내 보온율 측정 규격(KSK 0560:2006, 항온법)에 의거하여 진행하였다.
상기와 같이 실시한 복합 니들펀칭 부직포의 물성 테스트 결과를 다음의 표 1에 나타내었다.
복합 니들펀칭 부직포 성능 테스트 결과 비교
구 분 단위 실시예1 비교예1 비교예2
초기 강도 kg/5cm 152 173 109
보온성 % 84 70 73
상기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1의 부직포는 비교예들의 부직포에 비하여 보온성이 높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폴리프로필렌의 중량구성비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중공사 포함비율을 적절한 범위 내에서 구성해야 함을 의미한다.

Claims (6)

  1. 각기 다른 이성분 소재로 구성된 2층 이상의 부직포를 적층하여 칼렌더 롤에서 열융착 과정과 니들펀칭으로 교락되는 과정을 거쳐 형성되는 부직포에 있어서, 상기 다른 이성분 소재는 하기 구조식(I)의 폴리프로필렌 및 하기 구조식(II)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이고,
    Figure pat00005
    ---- (I)
    Figure pat00006
    ---- (II)
    여기서,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는 4 내지 40%의 중공율을 지닌 장섬유로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프로필렌의 복합 재질을 사용한 니들 펀칭 부직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성분 소재의 하나인 폴리프로필렌은 150 내지 250g/㎡의 중량을 지니도록 열융착에 의해 부직포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프로필렌의 복합 재질을 사용한 니들 펀칭 부직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성분 소재의 하나인 폴리프로필렌에 의한 부직포는 10 내지 30 미크론의 폴리프로필렌 장섬유 또는 0.1 내지 10 미크론의 단섬유의 하나 또는 이들의 복합체임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프로필렌의 복합 재질을 사용한 니들 펀칭 부직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성분 소재의 하나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는 150 내지 250g/㎡의 중량을 지니도록 열융착에 의해 부직포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프로필렌의 복합 재질을 사용한 니들 펀칭 부직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성분 소재인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중량비는 1 내지 9 대 9 내지 1임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프로필렌의 복합 재질을 사용한 니들 펀칭 부직포.
  6.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프로필렌을 1:9 비율, 최대 9:1의 중량비율로 하여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각각 컨베이어벨트 위에 랜덤하게 적층시켜 칼렌더를 통과하면서 열융착하여 스펀본드 부직포를 형성하는 제 1단계와;
    상기 제 1단계에서 제작된 폴리프로필렌 스펀본드 부직포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스펀본드 부직포를 니들펀칭 공정을 거치면서 결합되어 있지 않은 섬유들의 교락을 통하여 최종 니들펀칭 부직포를 제작하는 제 2단계의 공정으로 구성되어 지며,
    상기 제 1단계 방사 공정에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소재의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를 제조 시,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4 내지 40%의 중공율로 제조하기 위해 중공이 형성되어 있는 구금을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프로필렌의 복합 재질을 사용한 니들 펀칭 부직포의 제조 방법.
KR1020100065870A 2010-07-08 2010-07-08 중공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프로필렌의 복합 재질을 사용한 니들 펀칭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KR1011567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5870A KR101156784B1 (ko) 2010-07-08 2010-07-08 중공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프로필렌의 복합 재질을 사용한 니들 펀칭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5870A KR101156784B1 (ko) 2010-07-08 2010-07-08 중공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프로필렌의 복합 재질을 사용한 니들 펀칭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5236A true KR20120005236A (ko) 2012-01-16
KR101156784B1 KR101156784B1 (ko) 2012-06-18

Family

ID=45611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5870A KR101156784B1 (ko) 2010-07-08 2010-07-08 중공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프로필렌의 복합 재질을 사용한 니들 펀칭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67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20885A1 (de) * 2012-02-14 2013-08-22 Groz-Beckert Kg Fasermaterialteil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5149B1 (ko) 2013-07-02 2014-12-19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배수가 용이한 구조의 토목공사용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2353A (ko) * 2002-08-02 2004-02-11 주식회사 코오롱 다중복합형 적층체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KR100678338B1 (ko) * 2005-07-15 2007-02-05 (주)크린앤사이언스 공기 정화용 필터 소재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331082B1 (ko) * 2007-05-29 2013-11-19 코오롱패션머티리얼 (주) 인열강도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중공사 및그의 제조방법
KR101156908B1 (ko) * 2009-11-25 2012-06-21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이성분의 소재를 이용한 복합 니들 펀칭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20885A1 (de) * 2012-02-14 2013-08-22 Groz-Beckert Kg Fasermaterialteil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6784B1 (ko) 2012-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9183B1 (ko) 개선된 특성을 갖는 복합방사 장섬유 스펀본드 다층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JP4919881B2 (ja) 複合吸音材
KR101667516B1 (ko) 발포 성형용 부직포 적층체, 발포 성형용 부직포 적층체의 제조 방법, 부직포 적층체를 이용한 우레테인 발포 성형체 복합물, 차량용 시트, 및 의자
US10029444B2 (en) Multilayer nonwoven fabric for foam molding
KR101212426B1 (ko) 개선된 특성을 갖는 복합 스펀본드 장섬유 다층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
US20110217894A1 (en) Two-sided hydrophilic/hydrophobic nonwove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KR101156908B1 (ko) 이성분의 소재를 이용한 복합 니들 펀칭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KR101113545B1 (ko) 폴리프로필렌 장섬유 스펀본드 니들펀칭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US20230068055A1 (en) Liner for upholstered furniture
US20230150230A1 (en) Nonwoven Fabric and Composite Sound-Absorbing Material Using Same as Skin Material
US20030129910A1 (en) Multiple-layered nonwoven constructs for improved barrier performance
KR101156784B1 (ko) 중공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프로필렌의 복합 재질을 사용한 니들 펀칭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JP6646267B1 (ja) 積層吸音材
JP6774042B2 (ja) 積層吸音材
WO2019225466A1 (ja) 布帛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10133179A (ko)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유흡착제 장섬유 폴리프로필렌 니들펀칭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JP2017081040A (ja) 不織布積層体、吸音材、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JP2997404B2 (ja) 強化スパンボンド不織布
JP2018146942A (ja) 極細繊維を含む積層吸音材
KR100696137B1 (ko) 다층 구조 스판본드 부직포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505632B1 (ko) 인공피혁용 기포 및 그 제조방법
KR102161134B1 (ko)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TWI779532B (zh) 人工皮革結構及其製造方法
KR20230073105A (ko) 복합 부직포 및 물품
TW202035114A (zh) 不織布、該不織布之積層不織布、及使用其等作為表皮材料之複合吸音材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