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5230A - Hydrogen and oxygen produce mechanism - Google Patents

Hydrogen and oxygen produce mechanis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5230A
KR20120005230A KR1020100065861A KR20100065861A KR20120005230A KR 20120005230 A KR20120005230 A KR 20120005230A KR 1020100065861 A KR1020100065861 A KR 1020100065861A KR 20100065861 A KR20100065861 A KR 20100065861A KR 20120005230 A KR20120005230 A KR 201200052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magnetic field
electrode plate
hydrogen
electrolyte
oxygen gen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586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인수
오영준
이범주
박순철
김동현
용순철
Original Assignee
(주)제중메디칼
오영준
용순철
박순철
김동현
김인수
이범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중메디칼, 오영준, 용순철, 박순철, 김동현, 김인수, 이범주 filed Critical (주)제중메디칼
Priority to KR10201000658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5230A/en
Publication of KR20120005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523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00Electrolytic production of inorganic compounds or non-metals
    • C25B1/01Products
    • C25B1/02Hydrogen or oxygen
    • C25B1/04Hydrogen or oxygen by electrolysis of water
    • C25B1/044Hydrogen or oxygen by electrolysis of water producing mixed hydrogen and oxygen gas, e.g. Brown's gas [HHO]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1/00Electrodes; Manufacture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25B11/02Electrodes; Manufacture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hape or form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5/00Operating or servicing cells
    • C25B15/08Supplying or removing reactants or electrolytes; Regeneration of electrolyte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9/00Cells or assemblies of cells; Constructional parts of cell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e.g. electrode-diaphragm assemblies; Process-related cell features
    • C25B9/17Cells comprising dimensionally-stable non-movable electrode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36Hydrogen production from non-carbon containing sources, e.g. by water electrolysi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lytic Production Of Non-Metals, Compounds, Apparatuses Therefor (AREA)

Abstract

PURPOSE: A high-output hydrogen and oxygen generating device using electromagnetic field is provided to make more powerful combination than hydrogen with disordered torque in an electrolysis process and ensure high-output energy efficiency with high heat and explosion. CONSTITUTION: A high-output hydrogen and oxygen generating device using electromagnetic field comprises an insulating case(10), a plurality of electrode plates(12), and an electromagnetic-field forming unit(18). A space to hold electrolyte is formed in the insulating case. The electrode plates are arranged in the insulating case at regular intervals. The electrode plates are arranged on the central part of electromagnetic field. The electrode plates are arranged to be influenced by electromagnetic field regardless of the direction of electromagnetism. The electromagnetic-field forming unit forms electromagnetic field along the electrode plates.

Description

전자기장을 이용한 고출력 수소 및 산소 발생장치{Hydrogen and Oxygen Produce mechanism}High power hydrogen and oxygen generator using electromagnetic field {Hydrogen and Oxygen Produce mechanism}

본 발명은 전기분해를 이용한 수소 및 산소 발생 장치는 전극판과 전극판 사이에 전해액(물+전해 촉매)을 채운 뒤 전류를 흘려 물을 에너지로서 활용가능한 수소와 산소로 분해시켜 포집하여 수소 및 산소를 얻기 위한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본 장치는 외부에 전자기장(전계, 자계, field)을 형성하는 영구자석, 전자석 또는 유도코일을 설치하고, 설치된 전자기장 내에 수소 및 산소 기체 발생장치를 설치함으로써, 발생된 수소 및 산소 기체가 재결합(폭발)시 기존의 수소와 산소 기체가 결합하여 발산하는 방식의 순간에너지보다 더 강력한 에너지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전자기장을 이용한 고출력 수소 및 산소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ydrogen and oxygen generating device using electrolysis fills an electrolyte solution (water + electrolytic catalyst) between an electrode plate and an electrode plate, and then flows an electric current to decompose and collect water into hydrogen and oxygen, which can be utilized as energy, to collect hydrogen and oxygen. In more detai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enerator for obtaining the present invention. More specifically, the apparatus includes a permanent magnet, an electromagnet, or an induction coil that forms an electromagnetic field (field, magnetic field, field), and installs a hydrogen and oxygen gas generator in the installed electromagnetic field.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igh output hydrogen and oxygen generator using an electromagnetic field, so that when the generated hydrogen and oxygen gas are recombined (exploded), a more powerful energy can be obtained than the instantaneous energy of the method in which the existing hydrogen and oxygen gas are combined and diverged. .

물로부터 수소 및 산소 기체를 획득하기 위해 물에 일정 준위 이상의 전기 에너지를 공급함으로써 물을 수소와 산소로 분해시켜 획득하는 전기분해방법이 잘 알려져 있다. 이 방법은 일반적으로 전극판과 전극판 사이에 전해액(물+전해 촉매)을 채운 뒤 전류를 흘려 물을 에너지로서 활용가능한 수소와 산소로 분해시켜 포집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Electrolysis methods are known in which water is decomposed into hydrogen and oxygen by supplying electrical energy above a certain level to obtain hydrogen and oxygen gas from water. This method generally adopts a method of filling an electrolyte (water + electrolytic catalyst) between an electrode plate and an electrode plate, and then flowing current to decompose and collect water into hydrogen and oxygen, which can be used as energy.

물의 전기분해는 이론적으로는 1.23V 이상의 표준 전위차가 필요하지만, 전해질에서의 전위강하, 분리막에서의 전위 강하, 전극판 표면에서의 전기 저항에 의한 전위 강하 및 수소 기체와 산소 기체의 분압에 의한 영향을 고려한다면, 실제 전기분해에 필요한 전위차는 1.23V 보다 높게 나타난다. The electrolysis of water theoretically requires a standard potential difference of 1.23 V or more, but the potential drop in the electrolyte, the potential drop in the separator, the potential drop due to the electrical resistance on the electrode plate surface, and the effects of partial pressure of hydrogen gas and oxygen gas. Considering this, the potential difference required for the actual electrolysis is higher than 1.23V.

이처럼 전기분해에 의한 수소 기체의 생산은 간단하면서도 널리 알려진 방법이지만, 전기 에너지와 같은 고급의 에너지를 이용하여 수소 기체를 발생시킴에 있어서는 가능하면 적은 양의 전기 에너지로 많은 양의 수소 기체를 얻을 수 있는 고효율의 메커니즘(Mechaniam)이 요구된다.The production of hydrogen gas by electrolysis is a simple and widely known method. However, when generating hydrogen gas using high-grade energy such as electrical energy, a large amount of hydrogen gas can be obtained with as little electric energy as possible. High efficiency mechanism (Mechaniam) is required.

종래 일반적으로 알려진 물 전기분해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절연 하우징 내부에 다수의 전극판을 평행하게 이격 배치하여 전극판과 전극판 사이에 다수의 반응영역을 형성하고, 각각의 반응영역으로는 전해액(물+전해 촉매)을 채운 뒤 상기 전극판에 전류를 흘려줌으로써, 전기 화학적 반응에 의해 전해액에 포함된 물이 수소와 산소로 분해될 수 있도록 장치를 구성하고 있다.In the conventionally known water electrolysis device, a plurality of electrode plates are disposed in parallel in an insulating housing forming an exterior to form a plurality of reaction regions between the electrode plates and the electrode plates, and each of the reaction regions includes an electrolyte solution. By filling the (water + electrolytic catalyst) and supplying a current to the electrode plate, the device is configured so that water contained in the electrolyte can be decomposed into hydrogen and oxygen by an electrochemical reaction.

즉, 각각의 전극판 사이에 전해액이 채워져 있고 이 사이에 전류를 흘려주면, 양이온은 음극으로, 음이온은 양극으로 이동하여 전극판의 표면에서 여러 가지 화학변화를 일으키면서 작은 물방울과 같은 기체형태로 생성된다. 이 과정에서 각각의 반응영역에 존재하는 전해액의 온도가 상승하고, 가스 발생률에 따른 전해액의 농도차이로 인해 임피던스(Impedance)의 변화가 생긴다.That is, when the electrolyte is filled between each electrode plate and current flows between them, the cations move to the cathode, and the anions move to the anode, causing various chemical changes on the surface of the electrode plate. Is generated. In this process, the temperature of the electrolyte solution present in each reaction zone increases, and a change in impedance occurs due to the difference in concentration of the electrolyte solution according to the gas generation rate.

임피던스(Impedance) 변화로 인하여 전극판 표면의 전류밀도가 불규칙한 상태 즉, 과전류 과전압이 부분적으로 일어나며, 이에 따라 극심한 온도 상승과 심각한 효율 저하가 발생한다. Due to the change in impedance, the current density on the surface of the electrode plate is irregular, that is, the overcurrent overvoltage partially occurs, resulting in an extreme temperature rise and a significant decrease in efficiency.

위와 같은 현상은 하나의 반응영역 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반응영역 간의 관계에서도 발생된다. 즉, 임피던스가 틀려지면 에너지 밀도가 달라질 수 밖에 없고, 이는 에너지 쏠림현상으로 나타나 심각한 전위차이를 유발하고 막대한 에너지 손실을 발생시킨다. The above phenomenon occurs not only in one reaction zone but also in a relationship between different reaction zones. In other words, if the impedance is incorrect, the energy density is inevitably changed, which results in energy deflection, which causes a serious potential difference and enormous energy loss.

또한, 일반적인 종래의 물 전기분해장치는 장시간 가동 시 가동시간에 비례하여 전해액의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이 경우 소정의 상승 온도영역에서는 분해 효율이 극대화되지만 그 이상으로 온도가 올라가게 되면 오히려 투입된 전기 에너지에 비해 발생되는 수소 및 산소 기체의 양이 줄어드는 것과 같이 장치의 전반적인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In addition, in general, the water electrolysis device of the prior art will increase the temperature of the electrolyte in proportion to the operating time when operating for a long time. In this case, the decomposition efficiency is maximized in the predetermined elevated temperature range, but when the temperature rises above, the overall efficiency of the device decreases, such as the amount of hydrogen and oxygen gas generated is reduced compared to the input electrical energy. .

다시 말해, 기존 전기분해방식에서는 전류가 극판의 일부분에 집중되는 반면 다른 부분에선 상대적으로 전류밀도는 떨어지게 되며, 집중된 극판 부분에서는 과잉 전압과 전류가 온도를 상승시키며 전기에너지가 분해하기보다는 오히려 물을 수증기화 시키는데 쓰이므로 효율 저하의 가장 큰 요인이 된다.
In other words, in the existing electrolysis method, the current is concentrated in a part of the pole plate, while in other parts, the current density is relatively decreased. As it is used to vaporize, it is the biggest cause of efficiency deterioration.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극판 둘레에 전자기장을 형성하는 전자기장 형성수단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전자기장에 의해 수소의 원자핵과 외부를 돌고 있는 전자의 회전방향이 바뀌도록 함으로써, 전기분해 과정에서 무질서한 회전력을 갖는 수소보다 훨씬 위력적인 결합을 이룰 수 있고, 이로 인해 높은 열과 폭발력을 갖는 고출력 에너지 효율을 갖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전자기장을 이용한 고출력 수소 및 산소 발생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an electromagnetic field forming means for forming an electromagnetic field around the electrode plate, by changing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atomic nucleus of hydrogen and electrons circulating outside by the electromagnetic field, electrolysis process In order to achieve a much more powerful bond than the disordered rotational power in the hydrogen, and to provide a high power hydrogen and oxygen generator using an electromagnetic field aimed at having a high output energy efficiency with high heat and explosion forc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전극판 사이로 형성되는 하나의 반응영역 및 이 반응영역과 다른 반응영역 간 전해액의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고, 따라서 반응영역 간 전류의 밀도를 균일하게 조정할 수 있는 전자기장을 이용한 고출력 수소 및 산소 발생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intain a constant concentration of the electrolyte between one reaction zone formed between the electrode plates and the reaction zone and the other reaction zone, and thus to uniformly maintain the density of the current between the reaction zones.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 high power hydrogen and oxygen generator using an adjustable electromagnetic field.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전기분해 과정에서의 전해액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전자기장을 이용한 고출력 수소 및 산소 발생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igh output hydrogen and oxygen generating apparatus using an electromagnetic field that can maintain a constant electrolyte temperature in the electrolysis process.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전해액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내부에 형성한 절연 케이스; 및 상기 절연 케이스 내에 일정한 간격으로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는 다수의 전극판;을 포함하는 전기분해장치로서, 상기 전극판 둘레에 전자기장을 형성하는 전자기장 형성수단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장을 이용한 고출력 수소 및 산소 발생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the insulating case formed therein a space to accommodate the electrolyte; And a plurality of electrode plates spaced apart in parallel at regular intervals in the insulating case, wherein the electromagnetic field forming means for forming an electromagnetic field around the electrode plate is formed. And an oxygen generator.

여기서, 상기 전극판은 전자기장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전자기의 계(field) 중심부에 배치되며, 전자기의 방향과 관계없이 전자기장의 영향권 내부에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Here, the electrode plate may be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field of the electromagnetic field that is most affected by the electromagnetic field, and may be disposed inside the area of influence of the electromagnetic field regardless of the direction of the electromagnetic field.

또한, 상기 전자기장 형성수단은 유도코일이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electromagnetic field forming means may be an induction coil.

이때, 상기 유도코일이 전극판과 대면되는 방향으로 권선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induction coil may be wound in a direction facing the electrode plate.

또한, 상기 유도코일이 전극판과 평행한 방향으로 권선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duction coil may be woun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electrode plate.

그리고, 상기 전자기장 형성수단은 마그네틱 모듈일 수 있다.The electromagnetic field forming means may be a magnetic module.

이때, 상기 마그네틱 모듈이 전극판과 대면되는 방향의 외측둘레에 설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magnetic module may be install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direction facing the electrode plate.

또한, 상기 마그네틱 모듈이 전극판과 평행한 방향의 외측둘레에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gnetic module may be install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electrode plate.

그리고, 전자기장 형성수단이 되는 상기 마그네틱 모듈은 전자석, 유도코일, 또는 영구자석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The magnetic module forming the electromagnetic field may be any one of an electromagnet, an induction coil, and a permanent magnet.

그리고, 상기 다수의 전극판 중 최 외곽에 위치한 한 쌍의 전극판과 접속하여 직류전원을 인가하는 접속단자가 설치되고, 상기 접속단자로부터 인가된 전원이 전자기장 형성수단에 공급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 connection terminal for connecting a pair of electrode plates located at the outermost side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 plates to apply DC power may be installed, and the power applied from the connection terminal may be supplied to the electromagnetic field forming means.

그리고, 상기 다수의 전극판이 병렬 접속하여 교류전원을 인가받도록 접속단자가 설치되고, 상기 접속단자로부터 인가된 전원이 전자기장 형성수단에 공급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 connection terminal may be provided such that the plurality of electrode plates are connected in parallel to receive an AC power, and the power applied from the connection terminal may be supplied to the electromagnetic field forming means.

그리고, 상기 전극판에는 전해액이 다른 전극판 사이의 반응영역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출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n entrance and exit may be formed in the electrode plate so that the electrolyte may move to the reaction region between the other electrode plates.

이때, 상기 전극판의 출입구 전방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존재하여 전해액을 우회시켜 출입구로 진입시키는 차폐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electrode plate may further include a shielding membrane which is present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front of the entrance of the electrode plate to bypass the electrolyte to enter the entrance.

이때, 하나의 전극판과 이웃하는 다른 전극판의 출입구 형성 위치가 서로 다르게 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ositions of the entrance and exit of one electrode plate and another neighboring electrode plate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이때, 상기 출입구는 전극판의 하부 좌측 또는 우측 코너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entrance and exit may be formed in the lower left or right corner region of the electrode plate.

이때, 이웃하는 전극판에 각각 형성된 출입구는 전극판 평면을 기준으로 상호 사선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존재하여, 평면에서 봤을 때 다수의 출입구가 서로 엇갈려 교호(交互)형태로 연속될 수 있다.In this case, each of the entrances and exits formed in the neighboring electrode plates may be present at posi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n obliqu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electrode plate plane, and thus, the plurality of entrances may be alternately connected to each other when viewed from the plane.

이때, 상기 전극판에 형성된 출입구는 이웃하는 전극판에 형성된 출입구로부터 사선방향으로 전극판 사이의 수평거리(b)의 최소 1.2배 이상 거리를 확보 해야한다.At this time, the doorway formed in the electrode plate should ensure a distance of at least 1.2 times the horizontal distance (b) between the electrode plate in an oblique direction from the doorway formed in the neighboring electrode plate.

이때, 상기 출입구의 폭(d)은, 전극판 두께(t)를 기준으로 5t 이내의 폭(d)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width d of the entrance and exit may be formed to a width d within 5t of the electrode plate thickness t.

그리고, 상기 차폐막은 출입구 면적의 3배 이상 큰 면적으로 형성 되어야한다.In addition, the shielding film should be formed with an area larger than three times the entrance area.

또한, 절연 케이스에 형성되며 이 절연 케이스에 수용된 전해액을 외부로 순환시키는 한 쌍의 순환관; 및 순환관과 배관을 통해 연결되며 순환관을 통해 순환하는 전해액을 냉각시키는 냉각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a pair of circulation pipes formed in the insulating case and circulating the electrolyte contained in the insulating case to the outside; And cooling means connected to the circulation pipe and the pipe and cooling the electrolyte solution circulated through the circulation pipe.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장을 이용한 고출력 수소 및 산소 발생장치에 의하면, 전극판 둘레에 전자기장을 형성하는 전자기장 형성수단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전자기장에 의해 수소의 원자핵과 외부를 돌고 있는 전자의 회전방향이 바뀌도록 함으로써, 전기분해과정에서 무질서한 회전력을 갖는 수소보다 훨씬 위력적인 결합을 이룰 수 있고, 이로 인해 높은 열과 폭발력을 갖는 고출력 에너지 효율을 갖게 된다.According to the high-power hydrogen and oxygen generator using the electromagnetic fiel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electromagnetic field forming means for forming an electromagnetic field is formed around the electrode plate, and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atomic nucleus of hydrogen and electrons circulating outside is changed by the electromagnetic field.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achieve a much more powerful bond than the disordered rotational hydrogen in the electrolysis process, resulting in high output energy efficiency with high heat and explosive forc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극판 사이의 반응영역에 채워진 전해액이 다른 반응영역으로 순환 이동될 수 있게 전극판에 출입구가 형성됨으로써, 전극판 사이로 형성되는 하나의 반응영역 및 이 반응영역과 다른 반응영역 간 전해액의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ntrance and exit is formed in the electrode plate so that the electrolyte filled in the reaction zone between the electrode plates can be circulated to another reaction zone, thereby forming one reaction zone and the reaction zone between the electrode plates. The concentration of the electrolyte between the reaction zone and the other reaction zone can be kept constant.

즉, 출입구 형성으로 인하여 다수로 분리 구획된 반응영역 전반에 걸쳐 전해액의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고, 따라서 임피던스(Impedance) 또한 반응영역 전반에 걸쳐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임피던스가 일정하게 유지되면, 전극판 표면에 전압 및 전류밀도가 균일하게 유지되므로 장치 전반에 걸쳐 에너지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발현된다.That is, due to the formation of the entrance and exit, the concentration of the electrolyte solution can be kept constant throughout the reaction zone divided into a plurality, and therefore, the impedance can also be kept constant throughout the reaction zone. If the impedance is kept constant, the voltage and current density are kept uniform on the surface of the electrode plate, and the effect of further improving the energy efficiency is exhibited throughout the apparatu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출입구 형성으로 인하여 장치 내부에서 전해액이 순환 이동하면서 전기 화학적 반응을 일으키고, 반응과정에서 온도가 적정 수준 이상으로 온도가 상승된 전해액은 순환관을 통해 장치 외부에 연결된 냉각수단을 순환하면서 적정 수준으로 냉각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lytic reaction is caused by the circulation of the electrolyte in the device due to the formation of the entrance and exit, the electrolyte is raised to a temperature higher than the appropriate level during the reaction is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device through the circulation pipe Cooling to an appropriate level while circulating the cooling means.

따라서, 전기분해 과정에서 전해액은 과열되지 않고 항상 적정 수준의 온도로 유지될 수 있으며, 적정 수준 이상으로 온도가 상승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에너지 효율 저하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보완, 해소할 수 있는 효과 또한 발현된다.
Therefore, the electrolyte may be maintained at an appropriate temperature at all times without overheating in the electrolysis process, and the effect of compensating for and solving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such as a decrease in energy efficiency caused by the temperature rise above the appropriate level. It is also express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소 및 산소 기체 발생장치 주요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기체 발생장치의 평면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소 및 산소 기체 발생장치 주요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따른 기체 발생장치의 평면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된 전극판 배열 및 출입구 배치형태를 보여주기 위한 전극판의 평면 구성도.
도 6은 도 5에 따른 전극판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체 발생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략 구성도.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main part of the hydrogen and oxygen gas gen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plan view of the gas generator according to FIG. 1;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main part of the hydrogen and oxygen gas gen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lan schematic view of the gas generator according to FIG. 3;
Figure 5 is a plan view of the electrode plate for showing the electrode plate arrangement and the entrance arrangements applied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ide view of the electrode plate according to FIG. 5;
7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gas gen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수소 및 산소 기체 발생장치는, 절연 케이스(10), 절연 케이스(10) 내에 일정한 간격으로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는 다수의 전극판(12), 다수의 전극판(12) 중 최 외곽에 위치한 한 쌍의 전극판(12)과 접속하는 전자기장형성수단(18)과 이 전자기장형성수단(18)에 직류전원을 인가하는 접속단자(14)를 포함한다.1 to 4, the hydrogen and oxygen gas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n insulating case 10, a plurality of electrode plates 12 spaced apart in parallel at regular intervals in the insulating case 10, An electromagnetic field forming means (18) for connecting to a pair of electrode plates (12) located at the outermost side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 plates (12), and a connecting terminal (14) for applying direct current power to the electromagnetic field forming means (18). do.

이때, 상기 전원 접속단자(14)는 물을 분해하기위한 전원 접속단자이며 이 단자에는 직류 또는 펄스형태의 직류 또는 여러 모양의 전력파 중 어느 하나가 입력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ower connection terminal 14 is a power connection terminal for decomposing water, and any one of DC or pulsed DC or various power waves may be input to the terminal.

그리고, 전자기장의 형성 수단이 영구 자석이 아닐 경우, 즉 유도코일일 경우는 별도의 전력 공급장치가 외부에 있으며 전자기장을 형성하는 전력의 형태는 직류일 수도 있으나 펄스형태, 혹은 고주파 형태일 수 있다. When the means for forming the electromagnetic field is not a permanent magnet, that is, an induction coil, a separate power supply device is located outside, and the form of power for forming the electromagnetic field may be direct current, but may be in the form of pulse or high frequency.

즉, 본 발명에서는 강한 전자기장을 형성하기 위한 유도 코일 및 영구자석을 배치하는 것이 중요하다. 다시 말해 강한 전자기의 계를 형성하고 그러한 계(field) 내부에서 수소와 산소가 만들어질 경우, 동일형태의 스핀 방향을 갖게 되는 것이다.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important to arrange the induction coil and the permanent magnet for forming a strong electromagnetic field. In other words, when a strong electromagnetic system is formed and hydrogen and oxygen are produced inside such a field, they have the same spin direction.

절연 케이스(10)는 장치의 외형을 이루는 구성요소에 해당하며, 전해액 및 전극판(12) 등을 수용할 수 있을 정도의 충분한 공간을 내부에 형성하고 있다. 이 절연 케이스(10)는 장치 특성상 플라스틱과 같이 전기나 열이 통하지 않는 절연소재로서 구성될 수 있으며, 상부에는 전기분해 과정에서 발생한 수소 및 산소 기체 포집을 위한 한 쌍의 포집구(16)를 구비한다.The insulating case 10 corresponds to a component forming an external shape of the device, and forms a sufficient space therein to accommodate the electrolyte and the electrode plate 12. The insulating case 10 may be configured as an insulating material that does not conduct electricity or heat, such as plastic,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vice, and has a pair of collecting holes 16 for collecting hydrogen and oxygen gas generated during the electrolysis process. do.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절연 케이스(10)에 대한 바람직한 예로서 직육면체 형상을 가진 케이스를 도시하고 있지만, 이러한 절연 케이스(10)는 도시된 직육면체 형상뿐 아니라 원통형, 다각면체 등과 같이 내부공간이 형성된 형상이면 특정한 형상 및 형태에 구애됨이 없이 적용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a case having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is shown as a preferred example of the insulating case 10. If the insulating case 10 is not only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but also a cylindrical or polygonal shape, the internal space is formed. It can be applied without regard to particular shapes and forms.

전극판(12)은 전해액이 채워진 반응공간에서 실질적으로 전기분해반응을 일으키는 핵심 요소이며, 본 실시 예에서는 다수의 전극판(12)이 절연 케이스(10) 내에 일정한 간격으로 평행하게 이격 배치됨으로써 하나의 전극판(12)과 이웃하는 다른 전극판(12) 사이에는 그 사이에 존재하는 전해액이 전기 화학적 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반응영역을 형성하고 있다. The electrode plate 12 is a key element that substantially causes the electrolysis reaction in the reaction space filled with the electrolyte, and in this embodiment, the plurality of electrode plates 12 are spaced apart in parallel at regular intervals in the insulating case 10. Between the electrode plate 12 and the other electrode plate 12 adjacent to each other, a reaction region in which the electrolytic solution existing therebetween can cause an electrochemical reaction is formed.

상기 다수의 전극판(12) 중 최 외곽에 위치한 한 쌍의 전극판(12)은 전류가 흐를 경우 전자기장을 형성시키는 전자기장형성수단(18)과 접속되며, 이 전자기장형성수단(18)은 이를 통해 상기 전극판(12)에 직류전원을 인가하는 접속단자(14)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The pair of electrode plates 12 located at the outermost side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 plates 12 is connected to an electromagnetic field forming means 18 which forms an electromagnetic field when a current flows, and the electromagnetic field forming means 18 is connected thereto.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connection terminal 14 for applying a DC power to the electrode plate 12.

따라서 접속단자(14)를 통해 외부 전류가 입력되면 상기 전자기장형성수단(18)과 전극판(12) 사이에 충진된 전해액을 통해 각각의 전극판(12)은 전기적으로 활성상태가 된다.Therefore, when an external current is input through the connection terminal 14, each of the electrode plates 12 becomes electrically active through the electrolyte filled between the electromagnetic field forming means 18 and the electrode plate 12.

이때, 상기 다수의 전극판(12)이 병렬 접속하여 교류전원을 인가받도록 접속단자(14)가 설치되고, 상기 접속단자(14)로부터 인가된 전원이 전자기장 형성수단(18)에 공급될 수도 있다.
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electrode plates 12 may be connected in parallel so that the connection terminal 14 is applied, and the power applied from the connection terminal 14 may be supplied to the electromagnetic field forming means 18. .

상기 전자기장형성수단(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극판(12) 둘레에 전자기장을 형성하게 되는데, 도 1,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은 유도코일(18a)가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The electromagnetic field forming means 18 is to form an electromagnetic field around the electrode plate 1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be such that the induction coil 18a as shown in Figs.

이때, 상기 유도코일(18a)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판(12)과 대면되는 방향으로 권선되도록 할 수 있고,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전극판(12)과 평행한 방향으로 권선될 수도 있다.
In this case, the induction coil 18a may be wound in a direction facing the electrode plate 12 as shown in the drawing, 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induction coil 18a is woun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electrode plate 12. May be

그리고, 상기 전자기장 형성수단(18)은 도 3, 도4에서 보는 바와 같은 마그네틱 모듈(18b)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electromagnetic field forming means 18 may be a magnetic module 18b as shown in FIGS. 3 and 4.

이때, 상기 마그네틱 모듈(18b)은 전자석 또는 영구자석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는데,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그네틱 모듈(18b)이 전극판(12)과 대면되는 방향의 외측둘레에 설치되도록 하거나,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마그네틱 모듈(18b)이 전극판(12)과 평행한 방향의 외측둘레에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magnetic module 18b may be any one of an electromagnet or a permanent magnet, and as shown in FIGS. 3 and 4, the magnetic module 18b is installed at an outer circumference in a direction facing the electrode plate 12.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magnetic module 18b may be installed at an outer circumference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electrode plate 12.

이때, 도1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자기장형성수단(18)은 전극판(12)과 접속하여 직류전원을 인가하는 접속단자(14)로부터 인가된 전원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
In this case, the electromagnetic field forming means 18 as shown in FIGS. 1 to 4 may be supplied with the applied power from the connection terminal 14 which is connected to the electrode plate 12 and applies DC pow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게 되면, 물을 전기분해 함에 있어 전자기장을 형성함으로써, 전자기장 환경에서 생성된 수소와 산소 기체는 강한 전자기장의 힘을 받아 원자핵과 외부를 돌고 있는 전자의 회전방향에 영향을 주게 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an electromagnetic field in the electrolysis of water, hydrogen and oxygen gas generated in the electromagnetic environment are subjected to a strong electromagnetic field to affect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atomic nucleus and electrons circling outside. do.

이처럼, 전자기장 안에서 생성된 수소와 산소가스는 강한 전자기장의 힘에 의해 전해액으로부터 분해될 때, 수소 결합 또는 공유결합이 끊기면서 전자기장의 힘을 받아 원자핵과 외부를 돌고 있는 전자의 회전방향이 바뀌게 됨과 아울러 일정하고 안정적인 회전을 보이게 된다.As such, when hydrogen and oxygen gas generated in the electromagnetic field are decomposed from the electrolyte by a strong electromagnetic force, the hydrogen bond or covalent bond breaks, and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electrons moving around the nucleus and the outside under the force of the electromagnetic field is changed. Constant and stable rotation is shown.

이렇게 일정한 회전방향을 갖게 되는 수소는 기존의 전기분해과정에서 무질서한 회전력을 갖는 수소보다 훨씬 위력적인 결합을 이룰 수 있고, 이로 인해 높은 열과 폭발력을 갖는 고출력 에너지 효율을 갖게 된다.Hydrogen, which has a constant rotational direction, can achieve a much more powerful bond than hydrogen having disordered rotational force in the existing electrolysis process, and thus has high output energy efficiency with high heat and explosive force.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전극판(12)은 별도의 홀딩수단 없이 절연 케이스(10) 양 측벽에 그 양 선단이 고정되는 형태로 다수가 이격 배치될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절연 케이스(10) 내부에 밀착 고정되는 절연홀더(미도시)를 이용하면, 다수의 전극판(12)을 케이스 내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평행하게 이격 고정시킴에 있어 용이하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electrode plate 12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such a manner that both ends thereof are fixed to both sidewalls of the insulating case 10 without a separate holding means, but preferably inside the insulating case 10. By using an insulating holder (not shown) that is tightly fixed, it is easy to fix the plurality of electrode plates 12 spaced apart in parallel at regular intervals inside the case.

이처럼 절연홀더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전극판(12) 간 절연성은 물론 전극판(12) 간 보다 효과적인 시일(Seal)성 확보가 중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전기적 절연성과 시일성을 동시에 충족시킬 수 있는 우레탄 또는 실리콘을 소재로 한 절연홀더를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using the insulating holder as described above, it is important to ensure more effective sealing between the electrode plate 12 as well as the insulation between the electrode plate 12, for this purpose urethane or which can satisfy the electrical insulation and sealability at the same time It is preferable to adopt an insulating holder made of silicon.

전극판(12) 이격으로 형성되는 반응공간이 하나의 밀폐된 독립적 공간으로 형성되면,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과 같이 전기분해 과정에서 반응영역 간 가스 발생률 차이에 따른 전해액의 농도차이로 인해 임피던스(Impedance)의 변화가 생기며, 임피던스(Impedance) 변화로 인하여 전극판(12) 표면의 전류밀도가 불규칙한 상태 즉, 과전류 과전압이 부분적으로 일어날 수 있다. When the reaction space formed by spaced apart from the electrode plate 12 is formed as one closed independent space, the impedance due to the difference in concentration of the electrolyte according to the gas generation rate difference between the reaction zones during the electrolysis process as in the conventional problem described above ), And the current density on the surface of the electrode plate 12 may be irregular, that is, the overcurrent overvoltage may partially occur due to the change in impedance.

본 실시예에서는 전극판(12) 사이의 반응영역에 존재하는 전해액이 다른 전극판(12) 사이의 반응영역으로 순환 이동함으로써 각각의 반응영역에 존재하는 전해액의 농도가 균일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각각의 전극판(12)에는 출입구(120)가 형성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electrolyte solution present in the reaction zone between the electrode plates 12 is circulated to the reaction zone between the other electrode plates 12 so that the concentration of the electrolyte solution present in each reaction zone can be maintained uniformly. An entrance 120 is formed in the electrode plate 12.

도 5는 본 실시예에 적용된 전극판 배열 및 출입구 배치형태를 보여주기 위한 전극판의 평면 구성도이며, 도 6은 도 5에 따른 전극판의 측면도이다.FIG. 5 is a plan view of the electrode plate for showing the electrode plate arrangement and the doorway arrangement applied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FIG. 6 is a side view of the electrode plate according to FIG. 5.

도 5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각각의 전극판(12)은 전해액 순환 이동을 위한 출입구(120)를 형성하고 있다. 각각의 전극판(12)에 출입구(120)를 형성함에 있어서는, 하나의 전극판(12)과 이웃하는 다른 전극판(12)의 출입구(120) 형성 위치를 서로 다르게 함으로써, 전해액이 반응영역 전반에 걸쳐 고르게 순환될 수 있도록 하며 거리를 길게 둠으로써 임피던스를 크게 하여 전기가 중간극판을 통하지 않고 출입구로 통하는 것을 방지하는 고 임피던스 상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5 to 6, each electrode plate 12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orms an entrance and exit 120 for circulation circulation of the electrolyte. In forming the inlet and outlet 120 in each of the electrode plates 12, the positions of the inlet and outlet 120 of the one electrode plate 12 and the other electrode plate 12 which are adjacent to each other are different, so that the electrolyte solution spreads throughout the reaction region. It is desirable to configure a high impedance state that allows the circuit to be evenly circulated over a long distance and increases the impedance to prevent electricity from passing through the entrance and exit through the mesopole plate.

이 경우 전해액의 순환성 및 온도 상승에 따른 대류성을 고려했을 때, 도 6에서와 같이 전극판(12)의 하부 좌측 또는 우측 코너영역에 출입구(120)를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5의 도시와 같이 이웃하는 전극판(12)에 각각 형성된 출입구(120)는 전극판(12) 평면을 기준으로 상호 사선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존재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좋다. In this case, considering the circulation of the electrolyte and the convection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rise,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entrance 120 in the lower left or right corner region of the electrode plate 12, as shown in FIG. As shown in the drawing, the entrances 120 formed in the neighboring electrode plates 12 may be configured to exist at posi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diagonal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plane of the electrode plates 12.

이때 상기 출입구(120)를 전극판(12) 평면을 기준으로 상호 사선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존재하도록 구성하면, 도 5에서와 같이 전극판(12)을 평면에서 봤을 때 다수의 출입구(120)가 서로 엇갈려 교호(交互)형태로 연속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게 된다.In this case, when the doorway 120 is configured to exist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n obliqu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electrode plate 12 plane, as shown in FIG. 5, the plurality of doorways 120 when the electrode plate 12 is viewed in plan view. Are alternately formed in a continuous configuration in alternating form (交互).

각각의 전극판(12)의 출입구(120)가 서로 엇갈려 교호(交互)형태로 연속되게 구성함에 있어서는 구체적으로, 도 5와 같이 전극판(12)을 평면에서 봤을 때 전극판(12)에 형성된 출입구(120)가 이웃하는 전극판(12)에 형성된 출입구(120)로부터 전극판(12) 사이의 수평거리(b)의 1.2 이상의 거리로 사선방향으로 이격된 지점에 형성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In the case where the inlet and outlet 120 of each electrode plate 12 are alternately arranged in a continuous form, specifically, the electrode plate 12 is formed on the electrode plate 12 when viewed in plan view as shown in FIG. 5. Preferably, the doorway 120 is formed at a point spaced diagonally at a distance of 1.2 or more of the horizontal distance b between the doorway 120 formed on the neighboring electrode plate 12 and the electrode plate 12. .

즉, 전극판(12)에 형성되는 출입구(120) 간 사선방향 이격거리(a)가 각각의 전극판(12) 이격된 수평거리(b)의 1.2배 이상(a > (1.2ㅧb)) 유지해야한다. 그 이유에 대해 첨부도면 도 3을 참조하여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에 앞서 도 3에서 좌측에 위치한 전극판부터 순서대로 전극판 1, 전극판 2, 전극판 3으로 지칭한다.That is, the diagonal spacing distance a between the entrances and exits 120 formed in the electrode plate 12 is 1.2 times or more of the horizontal distance b spaced apart from each electrode plate 12 (a> (1.2 μb)). Should be maintained The reason is brief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as follows. Prior to description, the electrode plate 1, the electrode plate 2, and the electrode plate 3 will be referred to in order from the electrode plate on the left side in FIG. 3.

전류가 전극판 1에서 전극판 2를 통해 전극판 3으로 흐를 경우(혹은 그 반대인 경우), 전극판 1(혹은 전극판3)으로부터 흐르는 전류 모두는 전극판 2로 흡수되에 다음 전극판인 전극판 3(혹은 전극판 1)으로 이동된다. 그런데 초기 상태에서의 전해액 임피던스의 경우 반응이 시작되면 극판 표면에서 기포가 발생하므로 비록 용액의 흐름이 원활하다 할지라도 실제로 반응 시 일정량 더 커지는 현상이 있다.When current flows from the electrode plate 1 through the electrode plate 2 to the electrode plate 3 (or vice versa), all of the current flowing from the electrode plate 1 (or the electrode plate 3) is absorbed into the electrode plate 2 and thus becomes the next electrode plate. It moves to electrode plate 3 (or electrode plate 1). However, in the case of the electrolyte impedance in the initial state, since bubbles are generated on the surface of the electrode plate when the reaction starts, there is a phenomenon that a certain amount becomes larger during the reaction even though the solution flows smoothly.

이로 인하여, 상대적으로 반응 하지 않은 출입구(비교적 임피던스저항이 낮은쪽)를 통해 전극판 3과 전극판 1이 전극판 2를 통하지 않고 전류가 직접 흐르려는 일명 전류 쏠림 현상이 발생하게 되며, 이 전류 쏠림 현상은 상기 출입구(12)에 집중된다. 이를 막기 위해 여러 변수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했을 때, 출입구(12) 간 사선방향 이격거리 (a)는 가급적 커지는 편이 좋지만, 너무 커지면 전극판 간 거리도 멀어지므로 보다 높은 전위가 요구되기 때문이다. As a result, the electrode plate 3 and the electrode plate 1 do not go through the electrode plate 2 through the relatively unreacted entrances (the lower side of the comparative impedance resistance), so that a current draw phenomenon occurs in which current flows directly. The phenomenon is concentrated in the doorway 12. In order to prevent this, when considering various variables as a whole, the diagonal distance (a) between the doorways 12 should be as large as possible, but if it is too large, the distance between the electrode plates will be greater, so a higher potential is required.

본 실시예에서 출입구(120) 간 사선방향 이격거리(a)가 전극판(12) 수평거리(b)의 1.2배 이상인 것은 전해액의 농도 약 2%를 기준으로 한 것이며, 1.2배는 최소한의 거리이다. 이 거리가 최소한으로 유지되지 않으면, 반응시 전류 쏠림 현상이 출입구에서 집중적으로 발생하고 기포발생이 출입구 쪽에 집중됨으로써 심한 열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전기에너지가 용액을 수증기로 만드는데 사용되는 효율저하요인이 된다.In this embodiment, the diagonal distance (a) between the entrances and exits 120 is 1.2 times or more than the horizontal distance b of the electrode plate 12, based on the concentration of about 2% of the electrolyte, and 1.2 times is the minimum distance. to be. If this distance is not kept to a minimum, the current draw in the reaction may be concentrated at the entrance and the bubble may be concentrated at the entrance, causing severe heat, which is a cause of the efficiency deterioration factor used to make the solution into water vapor. do.

또한 전극판(12)에 출입구(120)를 형성함에 있어 상기 출입구(120)의 폭(d)은, 전극판(12) 두께(t)를 기준으로 5t 이내의 폭(d)으로 형성(d < 5t)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출입구(120) 폭(d)가 전극판 두께(t)의 5배 이상이면 출입구(120) 전방에 차폐막(13, 후술됨)이 존재하더라도 전극판 2를 통해 흘러야 할 전류의 일부가 출입구(120)를 통해 유입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In addition, in forming the doorway 120 in the electrode plate 12, the width d of the doorway 120 is formed to have a width d within 5t based on the thickness t of the electrode plate 12 (d). <5t) is preferable. When the width of the doorway 120 is 5 times or more than the thickness of the electrode plate t, even if the shielding film 13 (described below) exists in front of the doorway 120, a part of the current that must flow through the electrode plate 2 is passed through the doorway 120. This is because there is a risk of inflow through the.

상기 출입구(120)를 통해 전극판(12) 사이의 하나의 반응영역에서 다른 반응영역으로 전해액이 이동됨에 있어서는, 이동되는 전해액에 의해 이웃하는 전극판(12)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전류가 흐를 우려가 있으며, 전해액의 빠른 유입으로 인한 마찰저항으로 인하여 상기 출입구(120) 주변이 집중적으로 과열되어 전해액의 온도가 적정수준 이상으로 상승 될 우려 또한 있다.When the electrolyte is moved from one reaction region between the electrode plates 12 to the other reaction region through the entrance and exit 120, the neighboring electrode plates 12 are electrically connected by the moving electrolyte so that a current may flow. In addition, due to the frictional resistance due to the rapid inflow of the electrolyte may be overheated around the entrance 120 intensively there is a concern that the temperature of the electrolyte is raised above the appropriate level.

이를 위해 상기 전극판(12)의 출입구(120) 전방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는 전해액을 우회시켜 출입구(120)로 진입시키는 차폐막(13)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폐막(13)은 이동되는 전해액에 의해 이웃하는 전극판(12) 끼리 직접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하면서 전해액의 빠른 유입으로 인해 출입구(120) 주변이 집중적으로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o this end, it is preferable to install a shielding film 13 for bypassing the electrolyte and entering the entrance 120 at a position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away from the front of the entrance 120 of the electrode plate 12. The shielding film 13 prevents intensive overheating around the entrance 120 due to rapid inflow of the electrolyte while preventing direct current from flowing between neighboring electrode plates 12 by the moving electrolyte.

이처럼 차폐막(13)을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 차폐막(13)은, 도 6의 도시와 같이 출입구(120) 면적에 비해 적어도 큰 면적으로 형성시키는 것은 물론이며, 이웃하는 전극판(12)으로 전류가 직접적으로 흐르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어하기 위해서는 상기 출입구(120) 면적의 3배 이상 큰 면적을 가진 차폐막(13)을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described above, in forming the shielding film 13, the shielding film 13 is formed at least at a larger area than the area of the doorway 120, as shown in FIG. 6, and the current flows directly into the neighboring electrode plate 12. In order to more effectively defend the flow to the water, it is preferable to adopt a shielding film 13 having an area three times larger than the area of the entrance 120.

한편, 도 1, 도3에서 미설명 부호 20은 절연 케이스(10)에 수용된 전해액을 외부로 순환시키는 한 쌍의 순환관을 가르킨다. 이 순환관(20)은 반응과정에서 온도가 적정 수준 이상으로 온도가 상승했을 경우, 전해액을 장치 외부로 순환시켜 냉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전해액을 외부로 순환시켜 냉각시키는 구성에 대해서는 이후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In FIG. 1 and FIG. 3, reference numeral 20 denotes a pair of circulation tubes circulating the electrolyte contained in the insulating case 10 to the outside. The circulation tube 20 is to allow the electrolyte to circulate to the outside of the device to cool when the temperature rises above the appropriate level in the reaction proces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electrolyte is circulated to the outside and cooled is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 7.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체 발생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략 구성도이다.7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gas gen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순환관(20)은 도면의 도시와 같이 절연 케이스(10)에 형성되고 이 절연 케이스(10)에 수용된 전해액을 외부로 순환시킨다. 이 순환관(20)은 다시 배관(25)과 연결되며, 배관(25)은 절연 케이스(10) 외부로 배출된 전해액이 순환될 수 있는 순환경로를 형성한다.Referring to FIG. 7, the circulation tube 20 is formed in the insulating case 10 as shown in the drawing and circulates the electrolyte solution contained in the insulating case 10 to the outside. The circulation pipe 20 is again connected to the pipe 25, the pipe 25 forms a circulation path through which the electrolyt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insulating case 10 can be circulated.

따라서 절연 케이스(10) 내에서 전극판(12)과 반응하여 수소 및 산소 기체를 생성시킨 고온의 전해액은 상기 순환관(20) 및 배관(25)을 거쳐 절연 케이스(10) 외부를 순환하면서 적정 수준으로 냉각될 수 있다. 이 경우 전해액의 보다 효율적인 냉각을 위해 상기 배관(25)에 의한 순환경로 상에는 도면에서와 같이 냉각수단(30)이 마련될 수 있다. Therefore, the high temperature electrolyte that reacts with the electrode plate 12 in the insulation case 10 to generate hydrogen and oxygen gas is circulated outside the insulation case 10 via the circulation pipe 20 and the pipe 25. Can be cooled to a level. In this case, the cooling means 30 may be provided on the circulation path by the pipe 25 in order to more efficiently cool the electrolyte.

냉각수단(30)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열교환 장치로서 냉각팬을 포함하는 공랭식 열교환 장치가 채택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외에도 물을 이용하는 수냉식 열교환 장치와 같이 순환경로를 경유하는 전해액을 적정 수준으로 냉각시킬 수 있는 수단이면 특정한 형상 또는 구성에 구애됨이 없이 적용가능하다.The cooling means 30 may be adopted an air-cooled heat exchanger including a cooling fan as a heat exchanger generally known. However, in addition to this, any means capable of cooling the electrolyte solution through the circulation path to an appropriate level, such as a water-cooled heat exchanger using water, can be applied regardless of a specific shape or configuration.

첨부도면 도 7에서 P는 상기한 순환관(20) 및 배관(25)에 의해 형성되는 순환경로 상에 설치되어, 전해액을 절연 케이스(10) 내부와 상기 순환경로로 이루어진 하나의 싸이클을 따라 지속적으로 강제 순환시키는 펌프를 가르킨다.In FIG. 7, P is installed on a circulation path formed by the circulation pipe 20 and the pipe 25 so that the electrolyte is continuously maintained along the cycle consisting of the insulation case 10 and the circulation path. Points to the pump for forced circulation.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수소 및 산소 기체 발생장치를 통해 수행되는 수소 및 산소 기체 발생과정을 본 발명에 따른 장치 동작과 연계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hydrogen and oxygen gas generating process performed through the hydrogen and oxygen gas generating device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operation of th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전극판(12)과 전극판(12) 사이로 형성되는 다수의 반응영역으로 전해액(물+ 전해 촉매)을 채운 뒤 접속전극을 통해 상기 전극판(12)에 전류를 흘려주게 되면 다음과 같은 반응이 이루어지게 된다.After filling the electrolyte solution (water + electrolytic catalyst) with a plurality of reaction zones formed between the electrode plate 12 and the electrode plate 12, the current is flowed to the electrode plate 12 through a connecting electrode. Will be done.

(-)극 : 4H2O + 4e- → 2H₂ + 4OH-(-) Pole: 4H 2 O + 4e- → 2H₂ + 4OH-

(+)극 : 2H2O → O₂ + 4H+ + 4e-(+) Pole: 2H 2 O → O₂ + 4H + + 4e-

전체반응 2H2O → 2H₂ + O₂Total reaction 2H 2 O → 2H₂ + O₂

즉, 음극은 전기에너지로부터 전자를 얻어 수소가 발생하는 환원 반응이며, 양극은 전자를 주는 산화반응이 일어나며, OH- 이온이 음극에서 양극으로 이동하며 전류를 흘려 반응이 시작된다.That is, the cathode is a reduction reaction in which hydrogen is generated by obtaining electrons from electrical energy, and the anode is an oxidation reaction in which electrons are generated.

다시 말해, 각각의 전극판(12) 사이에 전해액이 채워져 있고 이 사이에 전류를 흘려주면, 양이온은 음극으로, 음이온은 양극으로 이동하여 전극판(12)의 표면에서 여러 가지 화학변화를 일으키면서 작은 물방울과 같은 기체 형태로 수소 및 산소가 생성되며, 생성된 수소 및 산소 기체는 포집구(16)를 통해 절연 케이스(10) 바깥으로 배출되어 별도의 포집탱크(미도시)로 이동된다.In other words, when the electrolyte is filled between each electrode plate 12 and a current flows therebetween, the positive ions move to the nega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ions move to the positive electrode, causing various chemical changes on the surface of the electrode plate 12. Hydrogen and oxygen are generated in the form of gas such as droplets, and the generated hydrogen and oxygen gas are discharged out of the insulating case 10 through the collecting port 16 and moved to a separate collecting tank (not shown).

위와 같은 과정에서 전극판(12)과 전극판(12) 사이의 각각의 반응영역에 존재하는 전해액의 온도가 상승하고, 따라서 각각의 반응영역은 가스 발생률 차이에 의해 영역별로 전해액의 농도 차이가 발생될 수 있다.In the above process, the temperature of the electrolyte solution present in each reaction region between the electrode plate 12 and the electrode plate 12 is increased, so that each reaction region has a difference in concentration of the electrolyte solution in each region due to the gas generation rate difference. Can be.

본 실시예에서는 출입구(120)를 전극판(12)과 전극판(12) 사이를 전해액이 자유롭게 유동가능하므로, 전해액이 채워져 있는 각각의 반응영역 사이의 전해액의 농도는 균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 경우 전극판(12) 사이의 전압과 전류의 밀도 역시 균일하게 조정되므로 전반에 걸쳐 에너지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since the electrolyte is freely flowable between the electrode plate 12 and the electrode plate 12 through the entrance and exit 120, the concentration of the electrolyte solution between each reaction region filled with the electrolyte solution may be maintained uniformly. In this case, since the density of the voltage and the current between the electrode plates 12 is also uniformly adjusted, energy efficiency can be improved throughout.

한편, 전기분해과정에서 전극판(12)과 반응하여 온도가 상승된 고온의 전해액은 전극판(12) 각각에 형성된 출입구(120) 및 순환관(20) 및 배관(25)을 경유하면서 열교환 장치와 같은 냉각수단(30)을 거치면서 적정 수준으로 냉각되고 다시 절연 케이스(10) 내부로 제공된다. 따라서 절연 케이스(10)에 채워지는 전해액은 항상 적정 수준의 온도로 유지되며, 적정 수준 이상으로 과열될 경우 발생하는 가스 발생률 저하와 같은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high-temperature electrolyte that the temperature is raised by reacting with the electrode plate 12 during the electrolysis process, the heat exchange device via the entrance 120 and the circulation pipe 20 and the pipe 25 formed in each of the electrode plate 12 Through the cooling means 30, such as to cool to an appropriate level and is provided back into the insulating case (10). Therefore, the electrolyte filled in the insulating case 10 is always maintained at an appropriate level of temperature, it is possible to prevent problems such as a decrease in the gas generation rate generated when overheated above the appropriate level.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장을 이용한 고출력 수소 및 산소 발생장치에 의하면, 전극판(12) 사이의 반응영역에 채워진 전해액이 다른 반응영역으로 순환 이동될 수 있게 전극판(12)에 출입구(120)가 형성됨으로써, 전극판(12) 사이로 형성되는 하나의 반응영역 및 이 반응영역과 다른 반응영역 간 전해액의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high-output hydrogen and oxygen generating apparatus using the electromagnetic fiel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lyte solution filled in the reaction zone between the electrode plates 12 can be circulated and moved to another reaction zone. By forming the 120, the concentration of the electrolyte between one reaction region formed between the electrode plates 12 and the reaction region and the other reaction region can be kept constant.

즉, 출입구(120) 형성으로 인하여 다수로 분리 구획된 반응영역 전반에 걸쳐 전해액의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고, 따라서 임피던스(Impedance) 또한 반응영역 전반에 걸쳐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임피던스가 일정하게 유지되면, 전극판(12) 표면에 전압 및 전류밀도가 균일하게 유지되므로 장치 전반에 걸쳐 에너지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That is, due to the formation of the inlet and outlet 120, the concentration of the electrolyte may be kept constant throughout the reaction zone, which is divided into a plurality, and therefore, the impedance may also be kept constant throughout the reaction region. If the impedance is kept constant, the voltage and current density are uniformly maintained on the surface of the electrode plate 12, so that the energy efficiency can be further improved throughout the apparatus.

또한, 각각의 전극판(12)에 출입구(120)가 형성됨으로 인하여 장치 내부에서 전해액이 순환 이동하면서 전기 화학적 반응을 일으키고, 반응과정에서 온도가 적정 수준 이상으로 온도가 상승된 전해액은 순환관(20)을 통해 장치 외부에 연결된 냉각수단(30)을 순환하면서 적정 수준으로 냉각된다. In addition, since the entrance and exit 120 is formed in each of the electrode plates 12, the electrolytic reaction circulates inside the apparatus to cause an electrochemical reaction, and the electrolyte in which the temperature rises above an appropriate level in the reaction process is a circulation tube ( Cooling to an appropriate level while circulating the cooling means 30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device through 20).

이에 따라, 전기분해 과정에서 전해액은 과열되지 않고 항상 적정 수준의 온도로 유지될 수 있으며, 적정 수준 이상으로 온도가 상승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에너지 효율 저하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이 보완, 해소될 수 있다.
Accordingly, during the electrolysis process, the electrolyte may be maintained at an appropriate temperature at all times without overheating, and problems of the related art, such as energy efficiency degradation caused by the temperature rise above the appropriate level, may be compensated for and resolved. .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In 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have been described.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forms referred to in the description, but rather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ion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Should be.

10 : 절연 케이스 12 : 전극판
13 : 차폐막 14 : 접속단자
16 : 포집구 18 : 전자기장형성수단
18a : 유도코일 18b : 마그네틱 모듈
20 : 순환관 30 : 냉각수단
120 : 출입구
10: insulation case 12: electrode plate
13: shielding film 14: connection terminal
16: collection port 18: electromagnetic field forming means
18a: Induction coil 18b: Magnetic module
20: circulation pipe 30: cooling means
120: entrance

Claims (19)

전해액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내부에 형성한 절연 케이스; 및 상기 절연 케이스 내에 일정한 간격으로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는 다수의 전극판;을 포함하는 전기분해장치로서,
상기 전극판 둘레에 전자기장을 형성하는 전자기장 형성수단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장을 이용한 고출력 수소 및 산소 발생장치.
An insulation case having a space formed therein to accommodate the electrolyte; And a plurality of electrode plates spaced apart in parallel at regular intervals in the insulation case.
High-power hydrogen and oxygen generating apparatus using an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zed in that the electromagnetic field forming means for forming an electromagnetic field around the electrode pl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장 형성수단은 유도코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장을 이용한 고출력 수소 및 산소 발생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electromagnetic field forming means is a high output hydrogen and oxygen generator using an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zed in that the induction coi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판은 전자기의 계(field) 중심부에 배치되며, 전자기의 방향과 관계없이 전자기장의 영향권 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장을 이용한 고출력 수소 및 산소 발생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electrode plate is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electromagnetic field (field), high power hydrogen and oxygen generating apparatus using an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zed in that disposed within the sphere of influence of the electromagnetic field irrespective of the direction of the electromagnetic.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코일이 전극판과 대면되는 방향으로 권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장을 이용한 고출력 수소 및 산소 발생장치.
The method of claim 2,
High power hydrogen and oxygen generating apparatus using an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zed in that the induction coil is wound in a direction facing the electrode plat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코일이 전극판과 평행한 방향으로 권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장을 이용한 고출력 수소 및 산소 발생장치.
The method of claim 2,
High power hydrogen and oxygen generating apparatus using an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zed in that the induction coil is woun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electrode pl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장 형성수단은 마그네틱 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장을 이용한 고출력 수소 및 산소 발생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electromagnetic field forming means is a high power hydrogen and oxygen generator using an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zed in that the magnetic modul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틱 모듈이 전극판과 대면되는 방향의 외측둘레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장을 이용한 고출력 수소 및 산소 발생장치.
The method of claim 6,
High-power hydrogen and oxygen generating device using an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zed in that the magnetic module is installed on the outer periphery in the direction facing the electrode plat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틱 모듈이 전극판과 평행한 방향의 외측둘레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장을 이용한 고출력 수소 및 산소 발생장치.
The method of claim 6,
High-power hydrogen and oxygen generating device using an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zed in that the magnetic module is installed on the outer periphery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electrode plat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틱 모듈은 전자석 또는 영구자석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장을 이용한 고출력 수소 및 산소 발생장치.
The method of claim 6,
The magnetic module is a high-power hydrogen and oxygen generator using an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f an electromagnet or a permanent magn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전극판 중 최 외곽에 위치한 한 쌍의 전극판과 접속하여 직류전원을 인가하는 접속단자가 설치되고, 상기 접속단자로부터 인가된 전원이 전자기장형성수단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장을 이용한 고출력 수소 및 산소 발생장치.
The method of claim 1,
Using an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ng terminal for connecting the pair of electrode plates located at the outermost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 plates to apply a DC power supply, the power applied from the connection terminal is supplied to the electromagnetic field forming means High power hydrogen and oxygen generator.
제1항 내지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판에는 전해액이 다른 전극판 사이의 반응영역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출입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장을 이용한 고출력 수소 및 산소 발생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0,
The electrode plate has a high output hydrogen and oxygen generating device using an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zed in that the entrance is formed so that the electrolyte can be moved to the reaction region between the other electrode plate.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판의 출입구 전방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존재하여 전해액을 우회시켜 출입구로 진입시키는 차폐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장을 이용한 고출력 수소 및 산소 발생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And a shielding membrane which exists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front and rear of the electrode plat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bypasses the electrolyte, and enters the entrance and exit.
제 12항에 있어서,
하나의 전극판과 이웃하는 다른 전극판의 출입구 형성 위치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장을 이용한 고출력 수소 및 산소 발생장치.
The method of claim 12,
High-power hydrogen and oxygen generating apparatus using an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zed in that the entrance and exit positions of the one electrode plate and the other neighboring electrode plate are different.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구는 전극판의 하부 좌측 또는 우측 코너영역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장을 이용한 고출력 수소 및 산소 발생장치.
The method of claim 13
The entrance and exit is a high-power hydrogen and oxygen generating device using an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lower left or right corner region of the electrode plate.
제 14항에 있어서,
이웃하는 전극판에 각각 형성된 출입구는 전극판 평면을 기준으로 상호 사선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존재하여, 평면에서 봤을 때 다수의 출입구가 서로 엇갈려 교호(交互)형태로 연속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장을 이용한 고출력 수소 및 산소 발생장치.
The method of claim 14,
Each of the entrances and exits formed in the neighboring electrode plates is locat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n obliqu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electrode plate plane. High power hydrogen and oxygen generator.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판에 형성된 출입구는 이웃하는 전극판에 형성된 출입구로부터 전극판 사이의 수평거리(b)의 1.2배 이상으로 사선방향으로 이격된 지점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장을 이용한 고출력 수소 및 산소 발생장치.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outlet formed in the electrode plate is a high output hydrogen and oxygen generation using an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at a point spaced diagonally more than 1.2 times the horizontal distance (b) between the door and the gate formed in the neighboring electrode plate (b) Device.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구의 폭(d)은, 전극판 두께(t)를 기준으로 5t 이내의 폭(d)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장을 이용한 고출력 수소 및 산소 발생장치.
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width (d) of the entrance and exit, high output hydrogen and oxygen generating device using an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width (d) within 5t of the electrode plate thickness (t).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막은 출입구 면적의 3배 이상 큰 면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장을 이용한 고출력 수소 및 산소 발생장치.
The method of claim 12,
The shielding film is a high-power hydrogen and oxygen generating device using an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zed in that the area is formed more than three times the area of the entrance.
제 12항에 있어서,
절연 케이스에 형성되며 이 절연 케이스에 수용된 전해액을 외부로 순환시키는 한 쌍의 순환관; 및
순환관과 배관을 통해 연결되며 순환관을 통해 순환하는 전해액을 냉각시키는 냉각수단;을 더 포함하는 전자기장을 이용한 고출력 수소 및 산소 발생장치.
The method of claim 12,
A pair of circulation pipes formed in the insulating case and circulating the electrolyte contained in the insulating case to the outside; And
A high power hydrogen and oxygen generating device using an electromagnetic field further comprising; cooling means connected to the circulation pipe and the pipe and cooling the electrolyte circulating through the circulation pipe.
KR1020100065861A 2010-07-08 2010-07-08 Hydrogen and oxygen produce mechanism KR2012000523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5861A KR20120005230A (en) 2010-07-08 2010-07-08 Hydrogen and oxygen produce mechanis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5861A KR20120005230A (en) 2010-07-08 2010-07-08 Hydrogen and oxygen produce mechanis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5230A true KR20120005230A (en) 2012-01-16

Family

ID=45611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5861A KR20120005230A (en) 2010-07-08 2010-07-08 Hydrogen and oxygen produce mechanis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5230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3589B1 (en) * 2010-12-20 2014-11-0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Dipolar Type Electrolysis Reactor for Preventing Current Leakage
KR102632321B1 (en) * 2023-11-20 2024-02-01 주식회사 이후 System electrolyzer with power efficiency enhancement architecture
WO2024101614A1 (en) * 2022-11-07 2024-05-16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Active ion transport system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3589B1 (en) * 2010-12-20 2014-11-0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Dipolar Type Electrolysis Reactor for Preventing Current Leakage
WO2024101614A1 (en) * 2022-11-07 2024-05-16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Active ion transport system
KR102632321B1 (en) * 2023-11-20 2024-02-01 주식회사 이후 System electrolyzer with power efficiency enhancement architec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12114B1 (en) Rotating electric machine for vehicles
KR20120005230A (en) Hydrogen and oxygen produce mechanism
CN105883724A (en) Plate-type ozone generator discharge body
CN114006103A (en) Immersed liquid cooling battery system
JP2013030403A (en) Cooling device of battery module
CN103130190A (en) Ozone generator discharging device
CN209840775U (en) Special water-air intercooler for low-conductivity fuel cell
CN204598450U (en) Single chamber multi beam type drift tube ion accelerator and equipment
CN214707588U (en) Motor controller and vehicle
JP2017153339A (en) Apparatus unit
CN110028043A (en) Creeping discharge ozone generator
CN104393739A (en) Power cabinet heat dissipation system
CN113316304A (en) Moving target for neutron production
CN110417188B (en) Cooling device for electric machine
JP6333614B2 (en) A system that equalizes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between battery units
CN113206586A (en) Wind power converter power cabinet and multi-energy complementary energy station
CN220755123U (en) Injection and extraction two-in-one convex rail magnet of medical synchrotron
CN212115997U (en) Machine cabinet
CN104964317A (en) Water-cooling silent frequency-variable microwave oven
KR20130089329A (en) Apparatus for cooling inverter
CN220528467U (en) Converter, electrical equipment and energy storage system
CN216928765U (en) Battery pack and shell thereof
CN217445560U (en) Moving target for neutron production
CN215711784U (en) Ozone generator using liquid oxygen as raw material
CN218969393U (en) Water-cooled conductive busbar for foil producing machine and copper foil production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