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5153U - 독서대를 겸용한 필통 - Google Patents

독서대를 겸용한 필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5153U
KR20120005153U KR2020110000105U KR20110000105U KR20120005153U KR 20120005153 U KR20120005153 U KR 20120005153U KR 2020110000105 U KR2020110000105 U KR 2020110000105U KR 20110000105 U KR20110000105 U KR 20110000105U KR 20120005153 U KR20120005153 U KR 2012000515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k
pencil case
support
case body
penc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01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희수
Original Assignee
김희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희수 filed Critical 김희수
Priority to KR20201100001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5153U/ko
Publication of KR2012000515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515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34Pencil boxes; Pencil etui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용 필통본체에 길이가 가변되는 책받침대를 구성한 독서대 겸용 필통에 관한 것으로서, 이
를 위해 독서시 책을 지지하도록 지지면이 형성된 필통본체와, 상기 필통본체의 상단에 경사지게 놓여진
책의 하단을 지지하도록 상기 필통본체와 결합된 책받침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책을 독서할수 있어 학습효율을 향상시키며, 휴대가 간편하여 장소에 제약없이 독서대를
사용할수 있다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독서대를 겸용한 필통{The pencil box which uses in various ways the reading unit}
본 고안은 독서대를 겸용한 필통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필기구를 수납하는 휴대용 필통본체에 길이가 가변되는 책받침대를 구성함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책을 독서대에 놓고 독서할 수 있어 학습효율을 증진시키며, 장소에 제약없이 독서대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독서대 겸용 필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필통은 학습에 필요한 다양한 필기구를 수납함으로 학생은 누구나 휴대하여 가지고 다닌다. 한편, 효과적으로 능률적인 학습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과학적인 자세에서 책을 탐독할 수 있는 독서대가 요구되고 있으나 각종 서적의 책은 크기나 사이즈가 다양하여 기존의 독서대에는 맞지않아 학습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뿐만아니라 노트나 필통 등 학습에 필요한 물품들을 과다하게 가지고 다니는 학생들로서는 별도의 독서대를 따로 휴대하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휴대용 필통본체에 길이가 가변되는 책받침대를 구성함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책을 독서대에 놓고 독서할 수 있어 효과적인 학습 분위기를 제공하여 학습능률을 항상시키며, 휴대가 간편하여 장소에 제약없이 독서대의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독서대를 겸용한 필통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 독서대를 겸용한 필통은, 독서 시 책을 지지하도록 지지면이 형성된 필통본체와, 상기 필통본체의 상단에 경사지게 놓여진 책의 하단을 지지하도록 상기 필통본체와 결합된 책받침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독서대 겸용 필통(1)에는 학생들이 필요한 다양한 필기구를 수납할 수 있도록 수납부(2a)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필통본체(2)의 양측면에는 책을 지지할 수 있게 경사진 지지면(2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필통본체(2)의 바닥면 좌,우일단에 책의 밑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책받침대(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책받침대(3)는 책(100)을 상기 필통본체(2)의 앞면과 뒷면중에 선택적으로 지지시키도록 상기 필통 본체(2)에 제 1 힌지(3c)와 결합된 두 개의 책받침부(3a)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책받침부(3a)에는 상기 책(100)의 밑면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해 상기 상기 제 1 힌지(3c)와 대향되는 책받침부(3a)의 일단에 고정부(3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필통본체(2)에는 상기 책받침부(3a)의 고정부(3b)가 삽입되도록 삽입홈(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삽입홈(4)은 상기 필통본체(2)의 바닥면 중심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필통본체(2) 상단에는 상기 책(100)을 펼칠 때 책(100)의 뒷편 중심의 돌출된 부분을 삽입고정되도록 고정홈(3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필통본체(2)의 바닥면에는 필통(1)의 고정력을 향상시키도록 고무부재(6)가 설치되어 있다.
본 고안에 의한 독서대를 겸용한 필통에 의하면, 휴대용 필통본체에 길이가 가변되는 책받침대를 구성함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책을 독서할 수 있어 학습효율을 증진시키며, 휴대가 간편하여 장소에 제약없이 독서대를 사용할 수 있다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독서대를 겸용한 필통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독서대를 겸용한 필통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저면도,
도 3는 도 1의 책받침대의 일 사용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도 1 의 책받침대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독서대를 겸용한 필통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책받침대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저면도,
도 6는 도 4의 책받침대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7은 도 7의 책받침대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저면도,
도 8는 도 7의 책받침대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이하,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독서대 겸용 필통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독서대 겸용 필통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함과 동시에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진다. ,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독서대 겸용 필통(1)에는 학생들이 필요한 다양한 필기구를 수납할 수 있도록 수납부(2a)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필통본체(2)의 양측면에는 책을 지지할수 있게 경사진 지지면(2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필통본체(2)의 바닥면 좌,우일단에 책의 밑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책받침대(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책받침대(3)는 책(100)을 상기 필통본체(2)의 앞면과 뒷면중에 선택적으로 지지시키도록 상기 필통 본체(2)에 제 1 힌지(3c)와 결합된 두 개의 책받침부(3a)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책받침부(3a)에는 상기 책(100)의 밑면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해 상기 상기 제 1 힌지(3c)와 대향되는 책받침부(3a)의 일단에 고정부(3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필통본체(2)에는 상기 책받침부(3a)의 고정부(3b)가 삽입되도록 삽입홈(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삽입홈(4)은 상기 필통본체(2)의 바닥면 중심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필통본체(2) 상단에는 상기 책(100)을 펼칠 때 책(100)의 뒷편 중심의 돌출된 부분을 삽입고정되도록 고정홈(3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필통본체(2)의 바닥면에는 필통(1)의 고정력을 향상시키도록 고무부재(6)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독서대 겸용 필통의 동작과정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먼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같이, 독서를 하기 위해 필통(1) 양측면에 책을 지지할수 있는 경사진 지지면(2b)이 형성된 필통본체(2)의 바닥면 좌,우일단에 제 1 힌지(3c)와 결합되어 소정각도로 좌,우회동되어 길이가 가변되는 책받침대(3)가 상기 필통본체(2) 바닥면 중심의 삽입홈(4)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이 삽입홈(4)에서 상기 책받침대(3)를 좌,우로 회동하여 꺼낸다. 이때, 도 3a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책받침대(3)는 책(100)을 상기 필통본체(2)의 앞면과 뒷면 중에 선택적으로 지지시키도록 상기 필통본체(2)에 제 1 힌지(3c)와 결합된 두 개의 책받침부(3a)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상기 책받침부(3a)를 제 1 힌지(3c)에 의해 회동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책받침부(3a)와 결합된 제 1 힌지(3c)의 대향 일단에 책(100)을 고정시키는 고정부(3b)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펼쳐진 상기 책받침부(3a)의 고정부(3b)에 책을 걸친다. 이와 동시에, 상기 필통본체(2) 상단 중심에 펼쳐진 책(100)뒷편 중심부분이 돌출됨으로 이 돌출된 부분을 삽입고정하는 고정홈(5)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이 고정홈(5)에 책(100)뒷편의 돌출된 부분을 삽입하여 고정한다. 여기서, 도 3b에 도시된 바와같이 책(100)의 사이즈가 다양할 경우 상기 책받침부(3a)를 반대로 회전하여 상기 책받침부(3a)의 길이를 가변조절함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책을 독서할수 있다. 이와 같이 독서를 하면서 필통(1)에 구비된 수납부(2a)에서 다양한 필기구를 사용할수 있으므로 독서를 하면서 필통(1)으로도 사용가능하다. 또한, 이하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독서대 겸용 필통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독서대 겸용 필통의 상기 책받침대(30)는 상기 필통본체(2)와 결합되도록 제 2 힌지(30c)에 의해 두 부분의 제 1,2 책받침부(30a)(30b)로 나뉘어지도록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 1 책받침부(30a) 일단은 상기 제 1 힌지(3c)와 결합되어 좌,우 회동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책받침부(30a) 타단은 제 2 힌지(30c)에 의해 제 2 책받침부(30b)와 결합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 2 책받침부(30b)는 상기 제 2 힌지(30c)와 결합되어 상,하로 회동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 2 책받침부(30b)에는 상기 제 2 힌지(30c)와 대향되는 일단에 책(100)을 고정하도록 고정부(30d)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30d)가 결합되도록 상기 필통본체(2)의 좌,우 상단에 삽입홈(4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필통본체(2)의 바닥면에는 필통(1)의 고정력을 향상시키도록 고무부재(6)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독서대 겸용 필통의 동작과정을 첨부된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책받침대(30)는 상기 필통본체(2)와 결합되도록 제 2 힌지(30c)에 의해 두 부분의 제 1,2 책받침부(30a)(30b)으로 나뉘어진다. 상기 제 책받침부(30b)는 제 2 힌지(30c)에 의해 상,하로 절첩가능함으로 독서대를 설치하기 위해 상기 제 2 책받침부(30b)를 상부에서 하부로 회전시켜 펼친다. 이때, 상기 필통본체(2) 상단의 양일단에는 상기 제 2 책받침부(30b)의 고정부(30d)가 착탈가능하도록 삽입홈(40)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이 삽입홈(40)에서 상기 고정부(30d)를 이탈후 펼친후 책(100)을 고정부(30d)에 올려 놓고 독서를 한다. 여기서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책(100)의 사이즈가 클 경우 상기 제 1 책받침부(30a)는 제 1 힌지(3c)에 의해 상기 필통본체(2)와 결합되어 좌,우회동되도록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 1 책받침부(30a)를 회동하여 책(100)을 고정 후 독서를 한다. 또한, 이하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독서대 겸용 필통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독서대 겸용 필통의 상기 책받침대(300)는 상기 필통본체(2)에 고정함과 동시에 상기 책받침대(300)를 상기 필통본체(2)의 앞면과 뒷면 중에 선택적으로 배치시키도록 제 1 힌지(3c)와 결합된 두 개의 가이드관(300a)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가이드관(300a)은 상기 가이드관(300a)내에서 전,후방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관(300a)에 연결된 두개의 책받침부(300b)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필통본체(2)이 하부 좌,우 일단에 상기 가이드관(300a)을 설치하도록 가이드홈(20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필통본체(2)의 바닥면에는 필통(1)의 고정력을 향상시키도록 고무부재(6)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독서대 겸용 필통의 동작과정을 첨부된 도 7 내지 도 9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필통본체(2) 하부 좌,우 일단에 가이드홈(200)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가이드홈(200)내에서 고정함과 동시에 상기 책받침대(300)를 상기 필통의 앞면과 뒷면 중에 선택적으로 배치시키도록 두 개의 가이드관(300a)이 제 1 힌지(3c)와 결합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홈(400)내에 전,후방으로 이동하도록 두 개의 책받침부(300b)가 이루어져 있으므로 상기 가이드관(300a)내에 설치된 책받침부(300b)를 전방으로 이동시킨후 책(100)을 상기 책받침부(300b)에 올려놓는다. 여기서 도 9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 1 힌지(3c)결합된 상기 책받침부(300b)는 회동에 따라 길이가 가변조절됨으로 다양한 크기의 책(100)을 독서할수 있다. 한편, 지금까지 서술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의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할 수 있다.
2 : 필통본체 2a : 수납부
2b : 지지면 3,30,300 : 책받침대
3a,300b : 책받침부 3b,30d,300c : 고정부
30a : 제 1 책받침부 30b : 제 2 책받침부
3c : 제 1 힌지 30c : 제 2 힌지
4,40 : 삽입홈 5 : 고정홈
200 : 가이드홈 300a: 가이드관

Claims (7)

  1. 독서시 책을 지지하도록 지지면이 형성된 필통본체와, 상기 필통본체의 상단에 경사지게 놓여진 책의 하단을 지지하도록 상기 필통본체와 결합된 책받침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대를 겸용한 필통.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책받침대는 책을 상기 필통본체의 앞면과 뒷면에서 선택적으로 지지시키도록 상기 필통본체에 힌지 결합된 두 개의 책받침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책받침부에는 상기 책의 밑면을 고정하도록 고정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대를 겸용한 필통.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통본체에는 상기 책받침대의 고정부를 삽입하는 삽입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대를 겸용한 필통.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통본체에는 상기 책의 뒷편 중심 부분이 삽입 고정되는 고정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대를 겸용한 필통.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은 상기 필통본체의 중심 앞부분에 또는 상기 필통본체의 좌,우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대를 겸용한 필통.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책받침부는 상기 필통본체와 힌지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대를 겸용한 필통.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통본체에는 상기 책받침대를 상기 필통본체에 고정함과 동시에 상기 책받침대를 상기 필통의 앞면과 뒷면 중에 선택적으로 배치시키도록 두 개의 가이드관이 힌지결합되고, 상기 책받침대는 상기 가이드관내에서 전,후방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가이드관에 연결된 두 개의 책받침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대를 겸용한 필통.
KR2020110000105U 2011-01-06 2011-01-06 독서대를 겸용한 필통 KR2012000515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0105U KR20120005153U (ko) 2011-01-06 2011-01-06 독서대를 겸용한 필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0105U KR20120005153U (ko) 2011-01-06 2011-01-06 독서대를 겸용한 필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5153U true KR20120005153U (ko) 2012-07-16

Family

ID=46853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0105U KR20120005153U (ko) 2011-01-06 2011-01-06 독서대를 겸용한 필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5153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4007A (ko) * 2016-12-23 2018-07-03 채신형 필기구 보관이 가능한 휴대용 독서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4007A (ko) * 2016-12-23 2018-07-03 채신형 필기구 보관이 가능한 휴대용 독서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3647B1 (ko) 독서대
JP3165771U (ja) 折畳式携帯書見台
KR101477984B1 (ko) 클립보드 독서대
KR20120005153U (ko) 독서대를 겸용한 필통
KR101308810B1 (ko) 북홀더클립
KR200179063Y1 (ko) 독서대 겸용 필통
KR20090080684A (ko) 독서용 클립
KR101356638B1 (ko) 보드판이 구비된 책상
KR101314757B1 (ko) 다용도 수납장치
KR20140012536A (ko) 다용도 화이트보드 독서대
CN206150827U (zh) 一种多功能夹书板
JPH11290112A (ja) 筆記版付き肩掛け鞄
KR100844517B1 (ko) 독서대 겸용 필통
KR102582340B1 (ko) 책넘김 방지기구
JP3168147U (ja) 折畳み式簡便書見台
JP2018061809A (ja) 学校机に取り付け収納できるラック
CN201879148U (zh) 一种便携书立
CN210748136U (zh) 学生用文具收纳盒
KR20100007848U (ko) 서랍을 형성한 독서대
CN204526464U (zh) 一种幅度可调节的书夹板
KR101436535B1 (ko) 다용도 독서대
KR20110027077A (ko) 필기를 위한 공간제공이 가능한 종교서적용 독서대
KR20230125534A (ko) 한손 독서대
KR20150146146A (ko) 독서대가 구비된 책상
KR101419368B1 (ko) 보조책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