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4405A - 불소중합체의 다층 고 흡착성 피복을 생성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불소중합체의 다층 고 흡착성 피복을 생성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4405A
KR20120004405A KR1020117020768A KR20117020768A KR20120004405A KR 20120004405 A KR20120004405 A KR 20120004405A KR 1020117020768 A KR1020117020768 A KR 1020117020768A KR 20117020768 A KR20117020768 A KR 20117020768A KR 20120004405 A KR20120004405 A KR 201200044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oropolymer
coating
coated
reaction
coating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0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쥬리 리이브
Original Assignee
비지트레트 디스플레이즈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지트레트 디스플레이즈 엘티디 filed Critical 비지트레트 디스플레이즈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1200044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44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12Chemical modification
    • C08J7/16Chemical modification with polymerisable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7/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 B01D67/0002Organic membrane manufacture
    • B01D67/0006Organic membrane manufacture by chemical rea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7/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 B01D67/0081After-treatment of organic or inorganic membranes
    • B01D67/0093Chemical modif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7/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 B01D67/0081After-treatment of organic or inorganic membranes
    • B01D67/0093Chemical modification
    • B01D67/00931Chemical modification by introduction of specific groups after membrane formation, e.g. by graf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7/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 B01D67/0081After-treatment of organic or inorganic membranes
    • B01D67/0093Chemical modification
    • B01D67/00933Chemical modification by addition of a layer chemically bonded to the membr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14Dynamic membranes
    • B01D69/141Heterogeneous membranes, e.g. containing dispersed material; Mixed matrix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28Polymers of vinyl aromatic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28Polymers of vinyl aromatic compounds
    • B01D71/281Polystyr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30Polyalkenyl halides
    • B01D71/32Polyalkenyl halides containing fluorine atoms
    • B01D71/34Polyvinylidene fluor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30Polyalkenyl halides
    • B01D71/32Polyalkenyl halides containing fluorine atoms
    • B01D71/36Polytetrafluoro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5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halogen containing monomers as defined in group C08F14/00
    • C08F259/08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halogen containing monomers as defined in group C08F14/00 on to polymers containing fluori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20Manufacture of shaped structures of ion-exchange resins
    • C08J5/22Films, membranes or diaphrag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20Manufacture of shaped structures of ion-exchange resins
    • C08J5/22Films, membranes or diaphragms
    • C08J5/2287After-treatment
    • C08J5/2293After-treatment of fluorine-containing membr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4/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D183/00 - C09D183/16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51/00Adhesives based on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89Means for holding the electroly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preparation
    • B01D2323/38Graft polymeriz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5/00Details relating to properties of membranes
    • B01D2325/04Characteristic thic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5/00Details relating to properties of membranes
    • B01D2325/10Catalysts being present on the surface of the membrane or in the p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5/00Details relating to properties of membranes
    • B01D2325/26Electr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2Inorganic material
    • B01D71/024Ox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2Inorganic material
    • B01D71/024Oxides
    • B01D71/025Aluminium ox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2Inorganic material
    • B01D71/024Oxides
    • B01D71/027Silicium 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438/00Living radical polymerisation
    • C08F2438/01Atom Transfer Radical Polymerization [ATRP] or reverse ATR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7/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6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the element or component having a specified physical dimension
    • Y10T428/261In terms of molecular thickness or light wave lengt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54Of fluorinated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Graft Or Block Polymer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자 전이 라디칼 중합 반응에 의해 코팅 물질로 불소중합체를 코팅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후속 공정에서 다중사슬 및 다중고리 아민들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리간드, 제1 산화 상태인 적어도 하나의 금속의 염, 적어도 하나의 용매 및 단량체 형태의 유기 코팅 물질을 포함하는 반응 혼합물에 불소중합체를 접촉시킨다.

Description

불소중합체의 다층 고 흡착성 피복을 생성하는 방법{METHOD FOR CREATING MULTILAYER HIGH ADSORPTIVE COVERING FOR FLUOROPOLYMERS}
본 발명은 원자 전이 라디칼 중합반응 및 후속 처리에 의해 코팅 물질로 불소중합체를 코팅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불소중합체들(fluoropolymers, FP)은 화학 약품들에 대해 매우 우수한 저항성을 가져 공격적인 화학 약품들에 노출되는 제품들의 생산에 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반면에, 상기 불소중합체들은 이들의 응용에서 상충되는 많은 경우들에서 수많은 원치 않는 특성을 가지거나, 제조가 어렵거나 불가능하다. 예를 들면, 플라스틱들 또는 심지어 많은 금속들에 대한 접착성도 열악하여 접착제들이 사용되어야 하고, 그 결과 소정의 접착력을 향상시킨다. 그러나, 접착제들이 사용될 때, 특히 박막들이 기판에 적용될 때에는 상기 접착제가 상기 불소중합체(FP)로 이동하고, 그 화학적 저항성에 악영향을 미친다.
불소중합체들은 1938년에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Teflonㄾ)을 합성한 알제이 플런케트(RJ. Plunkett) 박사에 의해 발견되었다. 불소중합체들은 이러한 발명 이후 다음과 같은 독특한 특성들로 인하여 짧은 시간에 대량 판매되기 시작했다.
- 비 점착성(non-stick)
- 높은 융점(high melting point)
- 낮은 마찰 저항(low friction)
- 다양한 조건들(화학 약품, 자외선, 방사선 등) 하에서의 매우 높은 내구성
- 일부 불소중합체들의 플라스틱들에 대해 비통상적인 특성들
- 압전성(piezoelectricity), 강유전성(ferroelectricity), 초전성(pyroelectricity) 등
그러나 불소중합체들의 사용에 있어서,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과정이 어렵다는 많은 문제점들이 있다.
- 다른 물질들로 불소중합체들을 코팅
- 다른 표면들에 불소중합체들의 접착; 및
- 불소중합체들의 소수성으로 인한 임의의 화학적 시약들과의 기능화(functionalize).
비록 불소중합체들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종래의 불소중합체 코팅 기술들이 불소중합체의 특성들이 변하지 않고 남아 있는 방식으로 불소중합체와 적용되는 막 사이에 충분하게 강한 결합들을 생성하지 못하기 때문에 이들의 응용 분야들은 제한되어 있다.
다음과 같은 불소중합체들을 위한 다층 고 흡착성 피복을 생성하는 상이한 방법들이 알려져 있다.
- 중합체의 일부 특성들(전기, 내구성 등)이 손상을 입는 방식으로 베이스 고분자를 다양한 레진들과 혼합하는 방법
- 약한 결합과 같은 단점들을 가지며 응용 가능성이 제한되는 방법으로써, 표면을 기계적, 열적 또는 플라즈마 처리하는 방법
- 개발 과정에서 그 표면을 화학적으로 처리하는 방법.
상기의 방법들 중 대부분의 방법들이 그 표면으로부터 불소 원자들을 제거하지만, 충분한 친수성을 확보하지는 못한다.
미국특허 제4,308,359호에는, 고체 상태의 불화 폴리비닐리덴(polyvinylidene fluoride)을 에틸렌적으로 불포화된(ethylenically unsaturated) 화합물의 모노머와 접촉시키고, 상기 불화 폴리비닐리덴이 고체 상태로 잔류하고 그 후에 상기 고상의 불화 폴리비닐리덴이 상기 에틸렌적으로 불포화된 화합물을 위한 중합반응 조건들 하에서 유지되며, 상기 에틸렌적으로 불포화된 화합물을 물 및/또는 용매가 없는 상태에서 중합시키도록 상기 모노머 및 촉매를 형성하는 라디칼을 상기 불화 폴리비닐리덴에 확산시킴으로써, 불화 폴리비닐리덴이 에틸렌적으로 불포화된 화합물의 폴리머의 적어도 0.5 중량퍼센트(%) 및 98 중량퍼센트까지 그 상부에 그라프트된 불화 폴리비닐리덴의 그라프트 폴리머(graft polymer)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문헌에는, 예를 들면 유기 과산화물들 또는 아조(azo) 화합물들과 같은 라디칼 중합반응에 사용 가능한 알려진 촉매들이 기재되어 있으며, 이하 기술되는 공정들에 따른 촉매들로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과산화물들은, 예를 들면, 디라우로일(dilauroyl) 과산화물, 벤조일(benzoyl) 과산화물, 또는 디세틸(dicetyl) 과탄산염이나 디이소프로필(diisopropyl) 과탄산염 등의 과탄산염들(percarbonates), 또는 터트-부틸퍼옥시시벤조네이트(tert-butylperoxybenzonate)와 같은 퍼에스테르들(peresters)을 포함한다. 촉매적으로 활성인 아조 화합물의 예로는 아조이소부티릭산 디니트릴(azoisobuturic acid dinitrile)을 들 수 있다.
불소중합체들은 이들의 높은 화학적, 물리적 및 생물학적 안정성과 기타 특별한 특성들로 인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동시에, 불소중합체들의 표면은 어떠한 첨가제들의 접착도 방해하는 극도의 소수성을 가진다. 전통적으로 불소중합체들의 견지성(consistence)은 폴리머 특성들을 현저하게 악화시키도록 이들의 함유물(보다 소수성인 물질이 형성된 화합물)에 첨가제들을 접착시키기 위해 변화되거나, 불소중합체의 표면이 첨가제가 필요한 양들로 도입되지 못하거나 상기 첨가제들의 행동을 조절하지 못하도록 변경(화학적으로; 코로나 효과 등)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불소중합체를 위한 다층 고 흡착성 피복을 생성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불소중합체를 위한 다층 고 흡착성 피복을 생성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원자 전이 라디칼 중합반응(atom transfer radical polymerisation)에 의해 코팅 물질로 불소중합체를 코팅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리간드, 적어도 하나의 용매, 제1 산화 상태인 적어도 하나의 금속의 염, 개시제 및 단량체 형태의 코팅 물질을 포함하는 반응 혼합물에 불소중합체를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본 출원인에 의해 개발된 상기의 신규한 코팅 방법은 하기의 주요한 단계들을 포함한다.
- 상기 불소중합체의 표면의 특별한 화학적 변형
- 필요한 막들을 적용하는 단걔
- 필요한 기능성 성분들을 적용하는 단계
상기의 신규한 방법은 3 개의 공정들을 포함한다
1) ATRP(Atom Transfer Radical Polymerization) 반응을 이용하여 불소중합체의 일부 불소 원자들을 친수성 단량체(예를 들면, 스티렌)의 짧은 사슬로 치환
2) 1) 단계의 불소중합체 표면을 무기 단층막(예를 들면, 실리콘 산화물(SiO2), 알루미늄 산화물(Al2O3), 티타늄 산화물(TiO2))로 피복
3) 상기 표면들(예를 들면, SiO2, Al2O3, TiO2 등)에 필요한 두께로 비정질 흡착막의 침전
필요한 경우, 상기 표면을 외부 영향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또 다른 단층막으로 피복할 수 있다. 상기의 방법은 초기 불소중합체의 특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첨가제로부터 절대적으로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안정적이고 영구적인 표면 피복을 보장하며 상기 표면 코팅을 위한 필요한 특성들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방법은 스마트 입자들의 생산을 위한 나노전자제품들, 스마트 캡슐의 생산을 위한 의약품, 얇은 에너지 소스들을 생산하기 위한 분야 등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공지된 방법, 예를 들면, 원자 전이 라디칼 중합반응(atom transfer radical polymerization, ATRP)을 이용할 수 있다. ATRP 반응의 수행은 외부의 유기 및 무기 물질들의 공 용해능력을 요구한다. 지금까지는 일반적으로 상이한 이온성 및 비이온성 용매들(예를 들면, 애니솔(Aanisole) 및 디하이드로퓨란(dihydrofuran))의 혼합물들이 이용되어 왔으나, 이들은 불안정하고, 독성을 가지며, 가연성이며, 상이한 첨가제들(가스 형태의 산소를 포함하는)에 매우 민감한 문제들이 있었다.
상기의 신규한 방법은 액상 염(liquid salt) 또는 액상 염처럼 반응하는 공융(eutetic) 용매(예를 들면, 콜린 염화물(choline chloride) 및 글리세롤(glycerol))의 안정적이며, 비독성이고 첨가제들에 민감하지 않은 환경을 이용하는 ATRP 반응을 수행한다.
모든 공지된 불소중합체들은 본 발명에 근거하여 기능화될 수 있다. 순수한 베이스 고분자에 레진 및 다른 성분들을 첨가할 필요가 없다. 상기 베이스 고분자의 특성들은 변화하지 않고 남아있다. 그래프팅(grafting) 전에 상기 불소중합체의 표면의 기계적, 열적 혹은 플라즈마 처리를 수행할 필요가 없다. 다양한 단량체들이 기능성 막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적용된 막의 두께 및 구조는 엄격하게 조절될 수 있다. 상기 불소중합체 및 적용된 표면은 매우 높은 강도로 결합된다. ATRP 반응은 베이스 고분자 내에 존재하는 불소 원자들로부터 직접 개시될 수 있다.
불소중합체 표면의 화학적 변형
특정한 반응 개시제들 또는 반응 개시를 위한 고분자 결정 구조 결함들을 사용하여 금속 착체 내의 다중 사슬 혹은 다중고리 아민들을 리간드로서 사용한다. 미리제조된 용액들(혼합물들)이 표면 변형을 위해 사용된다. 상기 용액들은 특정 시퀀스 내에서 불소화탄소 표면들 상에서 피복될 수 있다.
불소중합체의 표면 상에 친수성 막을 형성한 후에 상기 막은 가수분해 및 졸-겔(sol-gel) 방법을 사용하여 추가적인 무기, 미세결정 또는 비정질 막으로 코팅하기 위해 처리된다.
본 발명에 따라, 원자 전이 라디칼 중합반응에 의해 코팅 물질로 불소중합체들을 코팅하기 위한 전형적인 방법은 불소중합체를 반응 혼합물에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반응 혼합물은 하기의 성분들을 포함한다.
- 다중사슬 및 다중고리 아민들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리간드
- 금속이 제1 산화 상태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금속 염
- 적어도 하나의 용매; 및
- 단량체 형태의 유기 코팅 물질
단량체 형태의 유기 코팅 물질은 고분자 사슬을 형성할 수 있는 유기 물질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반응 혼합물은 개시제를 더 포함한다. 상기 개시제는 이소부틸산 브롬화물(isobutylic acid bromide) 또는 다른 유기 할로젠화물(organic halide)들과 같은 유기산의 할로젠화물들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반응의 개시는 고분자 결정 구조 결함들에 의해 유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개시제가 불필요하다.
전형적으로, 상기 코팅 물질은 스티렌(styrene), 술폰산(sulphonic acid), 메타크릴레이트(metacrylate), 에틸렌-이민(ethylene-imine) 또는 다른 친수성 단량체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다. 상기 코팅 물질로 코팅된 막의 두께는 1nm 내지 100㎛ 일 수 있다.
상기 반응 혼합물은 또한 하나 이상의 산화 상태, 예를 들면 Cu+/Cu2+, Fe2+/Fe3+ 등을 갖는 금속 염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속 염은, 예를 들면 브롬화구리(CuBr), 염화구리(CuCl) 및 염화철(FeCl2)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리간드는 트리스(2-아미노에틸)아민(tris(2-aminoethyl)amine, TREN), 트리스[2-(디메틸아미노)에틸]아민(tris[2-(dimethylamino)ethyl]amine, Me6TREN), 2,2'-비피리딘(2,2'-bipyridine, bpy), 테트라아자시클로테트라데칸(tetraazacyclotetradecane, CYCLAM)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다. 천연의 다른 적절한 리간드들이 또한 사용가능하다.
상기의 방법에 의해 코팅된 상기 불소중합체는 임의의 불소중합체일 수 있다. 상기 불소중합체들의 일부 예들로서, 폴리비닐렌(polyvinylene),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폴리비닐플루오라이드(polyvinylfluoride) 및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상기 불소중합체는, 예를 들면 블록, 막 또는 입자 형태와 같은 임의의 적절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막 형태가 사용되는 경우, 상기 막의 두께는 1㎛ 내지 1mm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용매는 유기 용매, 액상 염(liquid salts) 및 액상 염처럼 반응하는 공융(eutetic) 용매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될 수 있다. 적절한 용매들의 일부 예들로서, 테트라하이드로퓨란(tetrahydrofuran) 및 아세톤니트릴(acetonenitrile)의 혼합물, 콜린 염화물(choline chloride), 글리세롤(glycerol) 및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상기 코팅 물질로 코팅된 불소중합체를 무기막으로 코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기막은 알루미늄 산화물(Al2O3), 실리콘 산화물(SiO2) 또는 티타늄 산화물(TiO2)의 막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코팅은 Al(CH3)3 과 같은 유기금속 화합물의 가수분해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무기 산화막은 하나의 알루미늄 산화물 분자의 두께를 갖는 단층막일 수 있다.
상기 방법은 가수분해 혹은 졸-겔 공정을 사용하여 상기 코팅물질로 코팅된 불소중합체 및 상기 단층막을 미세결정 또는 비정질 금속 산화막으로 코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세결정 금속 산화막의 두께는 0.1nm 내지 100㎛ 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사용되는 상기 반응 용액은 아스코르빈산(ascorbic acid)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항산화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응 용액은 콜린 염화물 및 글리세롤의 혼합물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액상 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 반응 시간은 1초 내지 60분이며, 반응온도는 30 내지 90℃이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공정에 의해 수득되는 코팅 물질로 코팅된 불소중합체와 연관된다.
본 발명은 또한 하기의 화학식 (1)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코팅 고분자의 사슬이 베이스 고분자의 사슬과 화학적으로 결합되는, 코팅 물질로 코팅된 불소중합체와 연관된다.
[화학식 (1)]
Figure pct00001

상기의 화학식 (1)은 폴리스티렌(polystyrene) 막으로 코팅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ttetrafluoroethylene, PTFE)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코팅된 불소중합체에 있어서, 상기 코팅 물질은 임의의 친수성 고분자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친수성 고분자 코팅의 두께는 전형적으로 적어도 5 개의 스티렌 분자들에 상응할 수 있다. 상기 불소중합체는 또한 추가적으로 기능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코팅된 불소중합체의 용도, 예를 들면, 반응 칼럼 충진제, 마이크로필터, 전기 센서, 트위스트-볼(twist-ball) 또는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생물공학적 멤브레인, 연료 전지 멤브레인 혹은 생물증착기(biodepositor) 등의 용도와 관련된다.
본 발명은 또한 다음의 분야들과 연관된다.
- 본 발명의 공정에 의해 수득되는 코팅된 불소중합체 입자들을 포함하는 트위스트-볼 또는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 본 발명의 공정에 의해 이온 전도성(ion-conductive)으로 변형되는 연료 전지 멤브레인 또는 가수분해기(hydrolyser)
- 본 발명의 공정에 의해 촉매들이 부착되는 반응 칼럼 충진제
- 본 발명의 공정에 의해 여과시 반응 수행 혹은 테스팅(testing)이 가능한 기능성 마이크로필터; 및
- 본 발명의 공정에 의해 구동부(전극들이 고분자에 부착되는 나노밸브와 같은)가 형성되는 마이크로머신 및 액츄에이터
실험예
샘플 1
다른 반응 조건들을 이용하는 본 발명에 근거한 PVDF 미세입자(microparticle)의 변형. 다른 구조들을 가지는 친수성 고분자(예를 들어, 스티렌(styrene)) 막들은 반응 중심(reaction centre)의 양을 결정하는 반응 조건들(촉매, 개시제 및 단량체 농도, 온도 및 시간)을 기초로 획득될 수 있다.
- 비정질 (amorphous)
- 블랭크 (blank)
- 상기 화학적 변형 방법(chemical modification method)의 셀룰라 이점들(cellular advantages)
생성된 결합이 매우 강할수록, 불소중합체들은 다른 물질들에 단단히 부착되어 내구성을 증가시키고, 마찰을 감소시키며, 이들 물질들의 외양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의 가능성은 불소중합체들을 높은 내구성이 필요한 우주항공, 군사, 화학 공업, 해운, 자동차, 건설업 등과 같은 시장에서 새로운 용도들로 사용되는 것을 가능케 한다.
도 1은 Solef 1008 PVDF의 구형 입자들이 15mg의 염화구리(CuCl), 23mg의 TREN 및 100ml의 순수한 스티렌(styrene)의 용액 속에서 10ml의 다이하이드로 퓨란(dihydrofuran)과 애니솔(anisole)의 혼합물 내에서 5분 동안 60℃의 온도에서 처리되는 본 발명의 상기 방법에 따라서 코팅된 PVDF를 도시한다. 2㎛의 두께를 가지는 셀룰라 폴리스티렌(cellular polystyrene)층이 수득되었다. 그 후, 상기 입자들은 10%의 트리메틸 알루미늄(trimethyl aluminium) 용액에서 5초 동안 처리되고, 이후 상기 입자들은 20분 동안 75℃의 온도에서 산성화된(acidated) 알루미늄 설페이트(acidated aluminium sulphate) 용액의 열가수분해에 의해서 미세결정 알루미나층(microcrystallic alumina layer)으로 코팅된다. 1㎛의 두께를 가지는 알루미나 코팅이 수득되었다.
금속층들의 적용
다른 금속들(구리(Cu), 금(Au), 백금(Pt), 알루미늄(Al) 등)의 화학적 또는 이온성 침전이 가능하다. 전극들(미세 전극들(microelectrode)을 포함)을 적용하거나 불소 중합체의 표면들 상에서 촉매들로 이용될 수 있다.
활용 분야들: 압전 마이크로머신들(piezoelectrical micromachines), 압전 센서들, 기능성 멤브레인(functional membranes) 등.
비정질 또는 미세결정(microcrystallic) 무기 비활성층의 적용
활용 분야들: 기능성 멤브레인들, 컬럼들(columns)을 위한 촉매 충진제(catalyst filling), 연료 전지 멤브레인들(촉매 및 이온 도전체들로 기능화된(functionalized) FP), 마이크로필터들(microfilters)(마이크로필터들과 기능성 검사 물질을 결합함), 증착기 막들(depositor films) 및 생물증착기(biodepositor), 일체형 검사기 필름들(all-in-one tester films), 등.
샘플 2
비정질 또는 미세결정 무기 비활성층을 상기 기능화된 불소중합체에 적용함. 알루미나(alumina), 실리카(silica), 이산화 티타늄(TiO2) 및 다른 산화물들이 이용될 수 있다. 하기의 표면 변형의 단계들이 수행될 수 있다.
- 불소 원자를 친수성 폴리머 사슬(polymer chain)로 치환
- 할로겐 원자들의 분리
- 무기 단층막으로 표면을 피복
- 두꺼운 미세결정 무기층의 침전
샘플 2는 상기 불소중합체 표면 상에 흡착성 막을 형성하는 상기의 신규한 방법을 사용하는 가능성을 기술한다.
상기 신규한 방법은 극도의 내구성 또는 낮은 마찰을 요구하거나, 순수한 불소중합체의 고유한 성질들을 보존하는 것이 필요한 고부가가치의 적용예들에 있어서 다른 물질들에 결합된 불소중합체의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활용 분야들: 칼럼들을 위한 충진제(fillings for columns); 기능성 멤브레인, 마이크로필터들 및 필름들; 크로마토그래피 및 다른 분석(analysator) 필름들; 연료전지 멤브레인; 생물증착기; 기타 적용분야(예를 들면, 전자종이 디스플레이들(e-paper displays))에 있어서 스마트 불소중합체 입자들 등

Claims (32)

  1. 다중사슬 및 다중고리 아민들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리간드, 제1 산화 상태인 적어도 하나의 금속의 염, 적어도 하나의 용매 및 단량체 형태의 유기 코팅 물질을 포함하는 반응 혼합물에 불소중합체를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원자 전이 라디칼 중합반응에 의해 불소중합체를 코팅 물질로 코팅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 혼합물은 개시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소중합체의 코팅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의 개시는 고분자 결정 구조 결함에 의해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소중합체의 코팅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 물질은 스티렌(styrene), 술폰산(sulphonic acid), 메타크릴레이트(metacrylate), 에틸렌-이민(ethylene-imine) 또는 다른 친수성 단량체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소중합체의 코팅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 혼합물은 하나 이상의 산화상태를 갖는 금속 염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소중합체의 코팅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간드는 트리스(2-아미노에틸)아민(tris(2-aminoethyl)amine, TREN), 트리스[2-(디메틸아미노)에틸]아민(tris[2-(dimethylamino)ethyl]amine, Me6TREN), 2,2'-비피리딘(2,2'-bipyridine, bpy), 테트라아자시클로테트라데칸(tetraazacyclotetradecane, CYCLAM)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소중합체의 코팅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불소중합체는 폴리비닐렌(polyvinylene),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폴리비닐플루오라이드(polyvinylfluoride)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소중합체의 코팅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유기 용매, 액상 염(liquid salts) 및 액상 염처럼 반응하는 공융(eutetic) 용매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소중합체의 코팅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테트라하이드로퓨란(tetrahydrofuran) 및 아세톤니트릴(acetonenitrile)의 혼합물, 콜린 염화물(choline chloride), 글리세롤(glycerol)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소중합체의 코팅 방법.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염은 브롬화구리(CuBr), 염화구리(CuCl) 및 염화철(FeCl2)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소중합체의 코팅 방법.
  11. 제 1 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시제는 이소부틸산 브롬화물(isobutylic acid bromide) 또는 다른 유기 할로젠화물(organic halide)들과 같은 유기산의 할로젠화물들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소중합체의 코팅 방법.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 물질로 코팅된 불소중합체를 유기금속 화합물의 가수분해에 의해 알루미늄 산화물(Al2O3), 실리콘 산화물(SiO2) 또는 티타늄 산화물(TiO2)의 무기 산화막으로 코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소중합체의 코팅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산화막은 하나의 알루미늄 산화물 분자의 두께를 갖는 단층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소중합체의 코팅 방법.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 물질로 코팅된 불소중합체 또는 상기 단층막을 가수분해 또는 졸-겔(sol-gel) 공정을 이용하여 미세결정 혹은 비정질 금속 산화막으로 코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소중합체의 코팅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결정 금속 산화막의 두께는 0.1nm 내지 10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소중합체의 코팅 방법.
  16.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불소중합체는 입자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소중합체의 코팅 방법.
  17.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불소중합체는 두께가 1㎛ 내지 1mm 인 막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소중합체의 코팅 방법.
  18. 제 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 물질의 코팅막 두께는 1nm 내지 10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소중합체의 코팅 방법.
  19. 제 1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 용액은 아스코르빈산(ascorbic acid)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항산화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소중합체의 코팅 방법.
  20. 제 1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 용액은 콜린 염화물 및 글리세롤의 혼합물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액상 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소중합체의 코팅 방법.
  21. 제 1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반응 시간은 1초 내지 60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소중합체의 코팅 방법.
  22. 제 1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반응 온도는 30 내지 9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소중합체의 코팅 방법.
  23. 제 1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해 수득되는 코팅 물질로 코팅된 불소중합체.
  24. 하기 화학식 (1)과 같이 코팅 고분자의 사슬이 베이스 고분자의 사슬에 화학적으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 물질로 코팅된 불소중합체.
    [화학식 (1)]
    Figure pct00002
  25. 제 23 항 또는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 물질은 친수성 고분자이며, 상기 친수성 고분자의 코팅 두께는 적어도 5 개의 스티렌 분자들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된 불소중합체.
  26. 제 23 항 또는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불소중합체는 추가로 기능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된 불소중합체.
  27. 제 23 항 또는 제 24 항에 있어서, 반응 칼럼 충진제, 마이크로필터, 전기 센서, 트위스트-볼(twist-ball),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생물공학용 멤브레인, 연료 전지 멤브레인 또는 생물증착기(biodepositor) 용도의 코팅된 불소중합체.
  28. 제 1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해 수득되는 코팅된 불소중합체 입자들을 포함하는 트위스트-볼 또는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29. 제 1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해 이온 전도성으로 변형되는 연료 전지 멤브레인 또는 가수분해기(hydrolyser).
  30. 제 1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해 촉매들이 부착되는 반응 칼럼 충진제.
  31. 제 1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해 여과시 반응 전도 혹은 테스팅(testing)이 가능한 기능성 마이크로필터.
  32. 제 1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해 구동부(전극들이 고분자에 부착되는 나노밸브와 같은)가 형성되는 마이크로머신 및 액츄에이터.
KR1020117020768A 2009-02-05 2010-02-05 불소중합체의 다층 고 흡착성 피복을 생성하는 방법 KR2012000440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EU200900010U EE00894U1 (et) 2009-02-05 2009-02-05 Meetod fluorpolmeeride pinna adsorbeerivaks muutmiseks
EEU200900010 2009-02-05
US25676609P 2009-10-30 2009-10-30
US61/256,766 2009-10-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4405A true KR20120004405A (ko) 2012-01-12

Family

ID=41528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0768A KR20120004405A (ko) 2009-02-05 2010-02-05 불소중합체의 다층 고 흡착성 피복을 생성하는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30280641A1 (ko)
EP (1) EP2393872A1 (ko)
KR (1) KR20120004405A (ko)
CN (1) CN102482442B (ko)
EA (1) EA201101169A1 (ko)
EE (1) EE00894U1 (ko)
WO (1) WO20100893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72813A1 (en) 2014-05-13 2015-11-19 Visitret Displays Ltd. Electrophoretic display panel structure and its manufacturing process
CN105566160A (zh) * 2016-01-14 2016-05-11 忻州师范学院 一种使用深共晶溶剂制备2-(4-氯苯基-羟基甲基)-丙烯腈的方法
WO2018049157A1 (en) * 2016-09-08 2018-03-15 Rensselaer Polytecnic Institute Method for providing a modification to a polymeric surface
JP2022514905A (ja) * 2018-12-19 2022-02-16 ヘンケル・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ウント・コムパニー・コマンディットゲゼルシャフト・アウフ・アクチェン その場での重合を介した直接的な基板コーティング
CN111538113A (zh) * 2020-05-08 2020-08-14 水利部南京水利水文自动化研究所 一种减少降水测量仪器承水口水附着量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76168A (en) * 1962-08-02 1968-04-02 Yardney International Corp Metal-containing graft-polymerized product and method of making same
DE2559260C3 (de) * 1975-12-31 1982-04-01 Dynamit Nobel Ag, 5210 Troisdorf Verfahren zur Modifizierung von Polyvinylidenfluorid
EP1339777A2 (en) * 2000-09-11 2003-09-03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Graft copolymers, methods for grafting hydrophilic chains onto hydrophobic polymers, and articles thereof
AUPR404801A0 (en) * 2001-03-28 2001-04-26 Polymerat Pty Ltd A method of polymerization
CN100467506C (zh) * 2005-09-30 2009-03-11 天津工业大学 一种温敏型聚偏氟乙烯智能膜材的制备方法及其产品
US20070244262A1 (en) * 2006-04-05 2007-10-18 Mingfu Zhang Graft copolymers and related methods of prepar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93872A1 (en) 2011-12-14
WO2010089386A1 (en) 2010-08-12
CN102482442A (zh) 2012-05-30
CN102482442B (zh) 2014-10-01
EE00894U1 (et) 2010-01-15
EA201101169A1 (ru) 2012-05-30
US20130280641A1 (en) 2013-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Yu et al. Controlled grafting of well-defined polymers on hydrogen-terminated silicon substrates by surface-initiated atom transfer radical polymerization
Bruening et al. Creation of functional membranes using polyelectrolyte multilayers and polymer brushes
Ye et al. Molecular imprinting: synthetic materials as substitutes for biological antibodies and receptors
Kim et al. Synthesis of triblock copolymer brushes by surface-initiated atom transfer radical polymerization
Kitano et al. Molecular recognition at the exterior surface of a zwitterionic telomer brush
Zhao et al. A novel electrolyte-responsive membrane with tunable permeation selectivity for protein purification
Alf et al. Chemical vapor deposition of conformal, functional, and responsive polymer films
Zhou et al. High-throughput membrane surface modification to control NOM fouling
Friebe et al. Controlled pore functionalization of poly (ethylene terephthalate) track-etched membranes via surface-initiated atom transfer radical polymerization
Haupt et al. Molecularly imprinted polymers
Quinn et al. Polyelectrolyte blend multilayers: a versatile route to engineering interfaces and films
Zhai et al. Functionalization of hydrogen-terminated silicon with polybetaine brushes via surface-initiated reversible addition− fragmentation chain-transfer (RAFT) polymerization
KR20120004405A (ko) 불소중합체의 다층 고 흡착성 피복을 생성하는 방법
Cheng et al. Bilayer hydrogel mixed composites that respond to multiple stimuli for environmental sensing and underwater actuation
Bhattacharjee et al. Formation of high-capacity protein-adsorbing membranes through simple adsorption of poly (acrylic acid)-containing films at low pH
Fu et al. Preparation of cross-linked polystyrene hollow nanospheres via surface-initiated atom transfer radical polymerizations
de Grooth et al. Building polyzwitterion-based multilayers for responsive membranes
Cheng et al. Molecular understanding on the underwater oleophobicity of self-assembled monolayers: zwitterionic versus nonionic
Sun et al. Polymer brush-functionalized surfaces with reversible, precisely controllable two-way responsive wettability
Yap et al. Colloid surface engineering via deposition of multilayered thin films from polyelectrolyte blend solutions
US20240059822A1 (en) Compositions for forming Polymer Brushes
Liu et al. Modification of poly (hydroethyl acrylate)-grafted cross-linked poly (vinyl chloride) particles via surface-initiated atom-transfer radical polymerization (SI-ATRP). Competitive adsorption of some heavy metal ions on modified polymers
Hou et al. Surface nanostructures fabricated by polymerization-induced surface self-assembly
Huang et al. The toolbox of porous anodic aluminum oxide–based nanocomposites: from preparation to application
Ziemann et al. Zwitterion polymer brushes on porous membranes: Characterization, tribology, performance, and the effect of electrolyte an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