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4265U - 작물 지주대 타격기구 - Google Patents

작물 지주대 타격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4265U
KR20120004265U KR2020120004355U KR20120004355U KR20120004265U KR 20120004265 U KR20120004265 U KR 20120004265U KR 2020120004355 U KR2020120004355 U KR 2020120004355U KR 20120004355 U KR20120004355 U KR 20120004355U KR 20120004265 U KR20120004265 U KR 2012000426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support
hammer
striking
str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43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걸
Original Assignee
이상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걸 filed Critical 이상걸
Priority to KR20201200043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4265U/ko
Publication of KR201200042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426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14Props; Stays
    • A01G17/16Devices for driving-in or pulling-out pro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05Cultivation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2Supports for plants; Trellis for strawberries or the like
    • A01G9/122Stak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6/00Food or edible material: processes, compositions, and products
    • Y10S426/809Food or edible material: processes, compositions, and products including harvesting or planting or other numerous miscellaneous processing step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Placing Or Removing Of Piles Or Sheet Piles, Or Accessories Thereof (AREA)
  • Percussive Tools And Relate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직선상으로 길게 형성된 고추나무 지지대를 지면에 박을 때 안전하고 신속정확하게 박아 고정시킬 수 있게 한 작물 지주대 타격기구에 관한 것이다.
구성의 특징을 설명하면, 지주대(3) 상단에 끼우는 지지관체(1)와, 상기 지지관체(1) 상부에 끼워 승강되면서 망치와 같은 작용을 하는 타격관체(2)로 이루어진 지주대 타격기구에 있어서,
지지관체(1) 하단의 타격부(11) 측면에 손잡이(4)를 장착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손잡이(4)에 의해 안전하면서도 신속 정확하게 박아 고정시킬 수 있어 신뢰성 및 안전성이 극대화되는 등의 많은 효과가 따르게 된다.

Description

작물 지주대 타격기구{a hammer for a farm produce support}
본 고안은 일직선상으로 길게 형성된 고추나무 지지대를 지면에 박을 때 안전하고 신속정확하게 박아 고정시킬 수 있게 한 작물 지주대 타격기구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작물 지주대를 지면에 박을 때 통상 망치를 이용하여 지면에 박아 고정시키게 되는데, 이때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필연적으로 따르게 된다.
즉, 작물 지주대의 길이가 통상 120cm?150cm이기 때문에 이를 망치로 타격하여 지면에 박으려면 한 손에 지주대를 잡고 다른 한 손으로 망치를 들고 타격하게 되는데, 이때 고추나무지주대의 길이가 상당히 길기 때문에 키가 큰 사람의 경우라 하더라도 통상 작업자의 가슴높이(키가 작은 사람의 경우에는 목이나 얼굴 높이)에서 타격하여야 하는 것이며, 이때 망치질을 하는 과정에서 작업자가 자신의 손이나 팔목을 때리게 되는 경우가 적지 않게 발생한다. 따라서 안전사고의 발생률이 매우 높다.
또한 선 자세에서 높은 위치에 망치질을 하다 보니 힘이 매우 많이 들게 되고 이에 따라 시간과 인력이 많이 들 수밖에 없다.
또한, 길이가 긴 지주대를 높은 위치에서 망치질을 하게 되다 보니 지주대를 지면에 수직으로 정확하게 박아 고정시키기도 어렵다.
또, 고추나무 지주대가 길이가 긴 일직선 구조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망치로 때려 박을 때 망치와 작물 지주대의 상단의 타격각도가 제대로 맞지 않아 안전사고의 위험성도 한 층 더 높았던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특히 작물 지주대를 지면에 박을 때 힘이 거의 들지 않음과 동시에 안전한 작업이 이루어져 오랜 시간 동안 안정적인 작업이 이루어지게 하고, 또 지주대를 항상 정확하게 수직방향으로 박아 고정시킬 수 있게 함으로서 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지주대(3) 상단에 끼우는 지지관체(1)와, 상기 지지관체(1) 상부에 끼워 승강되면서 망치와 같은 작용을 하는 타격관체(2)로 이루어진 지주대 타격기구에 있어서,
지지관체(1) 하단의 타격부(11) 측면에 손잡이(4)를 장착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 지지관체(1) 측면에 손잡이(4)를 조립시킬 수 있도록 나사구멍(12)을 형성하고 타격관체(2) 외주면에는 상하로 길게 안내장공(21)을 형성하며, 지지관체(1)에 타격관체(2)를 끼운 상태에서 안내장공(21)을 통해 나사구멍(11)에 손잡이(4)를 체결고정시킴을 특징으로 한다.
손잡이(4)는 "-"형, 또는 "ㄷ"형이나 "⊂"으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타격기구(100)는 한 손으로 손잡이(4)를 잡고 다른 손으로 타격관체(2)를 잡아 내리치면 타격관체(2)에 형성된 해머(22)가 지지관체(1)에 구비된 타격부(11)를 강하게 때리게 되며, 이 때 때리는 압력과 충격이 지지관체(1)를 하강시키게 됨으로서 지지관체(1)가 지주대(3)를 지면에 박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타격관체(2)를 잡아 내리치는 동작만 반복하면 되는데, 이때 한 손으로 손잡이(4)를 잡은 상태에서 다른 손으로 타격관체(2)를 잡아 내리침으로서 안전한 작업이 가능하게 하고, 또 신속 정확하게 박을 수 있어 신뢰성 및 안전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되는 등 많은 효과가 따르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로서 작용상태를 나타낸 종단면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예시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타격기구(100)에 대한 일 실시예는 하단 외주면에 타격부(11)를 가진 지지관체(1)에 하단에 해머(22)를 가진 타격관체(2)를 승강 가능하도록 끼워 설치하되, 상기 타격부(11) 외부에 손잡이(4)를 연결 장착한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타격기구(100)로서 고추나무 등의 지주대(3)를 박아 고정시키고자 할 때는 지주대(3)를 세워 그 상단에 지지관체(1)를 끼운 상태에서 한 손으로 손잡이(4)를 잡고, 다른 손으로 타격관체(2)를 잡고 내리쳤다 올리는 승강 동작을 반복하게 되면 타격관체(2)에 구비된 해머(22)가 타격부(11)를 강하게 타격하게 되는 것이며, 이때 타격 충격에 의해 지주대(3)가 지면에 박혀 고정되는 것이며, 특히 손잡이(4)를 잡은 상태에서 타격관체(2)를 승강시켜 지지관체(1)를 타격하기 때문에 지주대(3)를 박을 때 안전하고, 또, 지주대(3)를 박을 때 흔들리지 않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지탱된 상태에서 박히게 됨으로 매우 신속정확하게 박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2?도3은 본 고안의 타격기구에 대한 다른 실시예로서, 타격부(11)가 지지관체(1)의 하부에 위치함으로서 해머(22) 또한 타격관체(2)의 하단에 구비되어 있는 상기 일 실시예와는 달리 타격부(11)가 지지관체(1)의 상부에 위치하고, 해머(22)는 타격관체(2)의 내부 상단에 위치하게끔 구성된 통상의 구조에 있어서, 타격관체(2)의 외주면에 수직으로 안내장공(21)을 형성하여 이 곳을 통해 손잡이(4) 선단을 지지관체(1)에 결합고정시킴으로서 손잡이(4)에 의해 지지관체(1)와 타격관체(2)가 조립 유지되게끔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타격관체(2)를 상하로 승강시켜가면서 지지관체(1)의 상단 타격부(11)를 내리칠 때 타격관체(2)에 형성된 안내장공(21)이 안내레일과 같은 작용을 하게 되어 타격관체(2)가 안정적으로 승강작용하게 되는 것이기에 지주대(3)를 보다 더 안정적으로 신속정확하게 박아 고정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통상의 타격기구(100)에 손잡이(4)를 장착함으로서 작업시 안전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되고, 더불어 신속정확한 작업이 가능하게 되어 신뢰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타격기구(100)로서 지주대(3)를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지주대(3)를 박아 세우고자 하는 지면에 한 손으로 지주대(3)를 잡아 세우고, 다른 손으로 타격기구(100)를 잡아 지주대(3) 상단에 지지관체(1)를 끼운 상태에서 지주대(3)를 잡았던 손으로 손잡이(4)를 잡고, 다른 손으로 타격관체(2)를 잡아 순간적으로 내리치면 해머(22)가 타격부(11)를 내리치게 되며 이 충격에 의해 지주대(3)가 지면에 박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은 타격기구(100)에 손잡이(4)를 연결 장착하여 안전성과 작업 신뢰성을 극대화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어떤 형태의 타격기구든 간에 지지관체(1)와 타격관체(2)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타격기구에 손잡이(4)를 장착한 구성이라면 이는 당연히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손잡이(4)를 "ㄷ"형이나 "⊂"형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미설명 부호 14는 스프링이고, 17은 안내봉이다.
1 : 지지관체 2 : 타격관체 3 : 지주대
11 : 타격부 12: 나사구멍 21: 안내장공
22 : 해머 100 : 타격기구

Claims (3)

  1. 지주대(3) 상단에 끼우는 지지관체(1)와, 상기 지지관체(1) 상부에 끼워 승강되면서 망치와 같은 작용을 하는 타격관체(2)로 이루어진 지주대 타격기구에 있어서,
    지지관체(1) 하단의 타격부(11) 측면에 손잡이(4)를 장착함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 지주대 타격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지지관체(1) 측면에 손잡이(4)를 조립시킬 수 있도록 나사구멍(12)을 형성하고 타격관체(2) 외주면에는 상하로 길게 안내장공(21)을 형성하며, 지지관체(1)에 타격관체(2)를 끼운 상태에서 안내장공(21)을 통해 나사구멍(11)에 손잡이(4)를 체결고정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 지주대 타격기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손잡이(4)는 "-"형, 또는 "ㄷ"형이나 "⊂"으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 지주대 타격기구.
KR2020120004355U 2012-05-22 2012-05-22 작물 지주대 타격기구 KR2012000426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4355U KR20120004265U (ko) 2012-05-22 2012-05-22 작물 지주대 타격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4355U KR20120004265U (ko) 2012-05-22 2012-05-22 작물 지주대 타격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4265U true KR20120004265U (ko) 2012-06-14

Family

ID=53716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4355U KR20120004265U (ko) 2012-05-22 2012-05-22 작물 지주대 타격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4265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307Y1 (ko) * 2012-09-05 2013-06-07 이상걸 작물 지주대 타격기구
KR200467616Y1 (ko) * 2013-02-01 2013-06-27 이상걸 작물 지주대 타격기구
KR200467707Y1 (ko) * 2012-12-20 2013-06-28 서한호 농작물 지주대용 망치
KR101427411B1 (ko) * 2012-06-27 2014-08-07 심우형 지주 타설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7411B1 (ko) * 2012-06-27 2014-08-07 심우형 지주 타설장치
KR200467307Y1 (ko) * 2012-09-05 2013-06-07 이상걸 작물 지주대 타격기구
KR200467707Y1 (ko) * 2012-12-20 2013-06-28 서한호 농작물 지주대용 망치
KR200467616Y1 (ko) * 2013-02-01 2013-06-27 이상걸 작물 지주대 타격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12645U (ko) 고추나무지지대 타격기구
KR20120004265U (ko) 작물 지주대 타격기구
KR101291823B1 (ko) 작물 지주대 타격기구
KR20110029964A (ko) 고추지주대 항타기
KR200467616Y1 (ko) 작물 지주대 타격기구
KR200449637Y1 (ko) 농작물 지지용 말뚝박기 타격봉
KR200430569Y1 (ko) 지지대 타격기
KR200467614Y1 (ko) 작물 지주대 타격기구
KR200466446Y1 (ko) 작물 지주대 타격기구
KR20120008257U (ko) 작물 지주대 타격기구
KR200466272Y1 (ko) 작물 지주대 인발기
KR102029091B1 (ko) 작물 지주대 타격기
KR200467307Y1 (ko) 작물 지주대 타격기구
KR101427411B1 (ko) 지주 타설장치
KR102186396B1 (ko) 농작물지주대 설치기구
KR200461713Y1 (ko) 농작물 지지봉 설치용 구멍 천공기
KR200472413Y1 (ko) 말뚝박기용 봉
KR20130001639U (ko) 작물 지주대 타격기구
KR200467454Y1 (ko) 작물 지주대 타격기구
KR20130001821U (ko) 고추 지지대 망치
KR20130041044A (ko) 작물 지주대 타입기
KR20130001413U (ko) 작물 지주대 인발기
KR200467707Y1 (ko) 농작물 지주대용 망치
JP5171292B2 (ja) 釘抜き装置
KR200496456Y1 (ko) 농작물 지지대 타격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