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3410U - 커피와 차류의 드립용 전기 무선주전자 - Google Patents

커피와 차류의 드립용 전기 무선주전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3410U
KR20120003410U KR2020100011504U KR20100011504U KR20120003410U KR 20120003410 U KR20120003410 U KR 20120003410U KR 2020100011504 U KR2020100011504 U KR 2020100011504U KR 20100011504 U KR20100011504 U KR 20100011504U KR 20120003410 U KR20120003410 U KR 2012000341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ttle
pipe
water
less
dr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15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현봉
Original Assignee
신현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현봉 filed Critical 신현봉
Priority to KR20201000115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3410U/ko
Publication of KR2012000341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341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21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 A47J27/21166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 A47J27/21191Pouring spou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12Vessels or pots for table use
    • A47G19/14Coffee or tea po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21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 A47J27/21008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electrically heat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21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 A47J27/21008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electrically heated
    • A47J27/2105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electrically heated of the cordless type, i.e. whereby the water vessel can be plugged into an electrically-powered base 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드립용 무선주전자는 주전자 본체와 전원공급 받침판이 분리되는 무선주전자의 물이 들어있는 하단부에 지름 10밀리미터 이하의 금속 파이프를 접합하고 접합한 파이프의 끝단 높이는 뚜껑을 제외한 주전자 본체의 높이를 넘지 않도록 한다.
전원공급 받침판에 주전자를 결합한 다음 전원 스위치를 ON 시키면 주전자의 가열판이 발열하여 주전자본체에 들어있는 물이 가열된다.
차의 추출을 위한 적정한 온도가 막대형 온도계를 통하여 관찰되면 전원 스위치를 OFF 시키고 손잡이를 이용하여 물을 붓게 된다.
이때 주전자본체에 들어있는 물의 양과 관련이 있지만 부착된 파이프의 방향으로 서서히 기울이게 되면 파이프의 끝단으로 물이 나오게 된다.
파이프이 끝단 모양은 물 맺힘을 최소화하는 모양으로 종단을 중력방향으로 꺾은 모양을 갖춘다.
주전자 본체에 지름 10 밀리미터 이하의 금속파이프를 직접 접합할 경우 접합 내구성이 떨어질 수 있어 전체 파이프 길이의 1/2 이내는 지름 10 밀리미터 이상의 굵기를 가진 파이프형태를 접합하고 인체에 무해한 실리콘 등의 재질을 이용한 가스켓을 이용하여 10 밀리미터 이하의 나머지 파이프 부분을 연결하여도 무관하다.

Description

커피와 차류의 드립용 전기 무선주전자{Electric cordless pot for coffee and tea drip}
다양한 형태의 전기 무선주전자는 주전자 본체는 발열판을 내장하고 있지만 전기의 공급은 주전자와 분리되는 받침판을 통한 접점 접촉으로 전기를 공급받아 발열을 한다. 이에 무선주전자라 불리고 있다. 또한, 물이 가열되어 100도씨에 도달하면 안전장치가 작동하여 전기공급은 차단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커피나 차(녹차, 홍차, 허브차 등)를 추출하는 방법 중 핸드드립(손으로 주전자를 이용하여 물을 붓는 방법)을 위한 디자인은 개발되어 있지 않다. 대부분의 디자인은 주전자 상단에 물이 나오는 돌출부가 있어 소량의 가느다란 물줄기를 필요로 하는 차의 추출에는 사용하기 어렵다.
반면 금속재질의 주전자는 너무도 많은 디자인이 출시되어 있지만 핸드드립을 위해서는 별도로 물을 가열하여 드립용 주전자에 옮겨 부어 사용하거나 이 드립주전자를 직화(열원에 올려놓고 데우는)하여 사용한다. 이 경우 화상의 우려와 열원이 노출되어 있어 안전사고가 유발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전기 무선주전자의 물이 나오는 출수구의 형태를 고안한 것으로 커피 및 차류의 추출에 적용하여 본 고안의 목적을 충분히 이룰 수 있게 되었다.
1,000 KW 이상의 발열량을 가진 열판을 내장한 주전자에 금속파이프를 굴곡가공하여 결합한 것으로서,
커피의 추출에 있어 핸드드립은 매우 오래된 기술이지만 한편 매우 간편한 추출방법이다. 오랜동안 커피관련 취미와 업무에 종사하면서 취미로 하든 상업적으로 하든 많은 사람들이 직화형 금속주전자를 이용하여 핸드드립을 하고 있으나, 많은 불편을 호소하고 있다.
무선 전기주전자 본체와 연결되는 파이프 사이에 누수가 없어야 한다.
주전자와 파이프는 같은 재질의 금속으로 용접되고, 접합 강도 보강을 위해 덧살을 붙일 수 있다.
또한, 주전자와 파이프의 결합 강도 보강을 위해 주전자 본체와 파이프의 접합부는 굵게 시작하되, 물이 나오는 파이프의 끝 부분으로부터 직경 10밀리미터, 길이 100 밀리미터 이상만 되면 본 고안은 충분한 역할을 한다.
이때 굵기가 다른 부분의 결합은 무독성 실리콘 등의 가스켓을 이용하여 연결하여도 본 고안은 목적을 이룰 수 있다.
발열량이 높은 무선주전자이기 때문에 신속히 물을 데울 수 있고, 물을 부을때 주전자를 급한 각도로 기울여 물을 부으려 해도 파이프의 내경 크기에 따라 과도한 물이 나오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차의 추출에 필요한 가느다란 물줄기를 구현하고 싶을 경우 물붓는 각도를 작게 할 경우 매우 가느다란 물줄기를 구현할 수 있다.
주전자 내부 물의 온도를 관찰하기 위한 막대형 온도계를 뚜껑에 부착하여 다양한 차의 추출온도를 확인할 수 있다.
도1 드립용 무선주전자의 사시도
도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전자 본체(1)와 전원공급 받침판(6)이 분리되는 무선주전자의 물이 들어있는 하단부에 지름 10밀리미터 이하의 드립용 파이프(2)를 접합하고 접합한 파이프의 끝단 높이는 뚜껑을 제외한 주전자 본체의 높이를 넘지 않도록 한다.
전원공급 받침판(6)에 주전자본체(1)를 결합한 다음 전원스위치(7)를 ON 시키면 주전자본체(1)의 가열판이 발열하여 주전자본체(1)에 들어있는 물이 가열된다.
차의 추출을 위한 적정한 온도가 막대형 온도계(9)를 통하여 관찰되면 전원 스위치(7)를 OFF 시키고 손잡이를 이용하여 물을 붓게 된다.
이때 주전자본체(1)에 들어있는 물의 양과 관련이 있지만 부착된 드립용파이프(2)의 방향으로 서서히 기울이게 되면 파이프의 끝단으로 물이 나오게 된다.
파이프 끝단(4) 모양은 물 맺힘을 최소화하는 모양으로 종단을 중력방향으로 꺾은 모양을 갖춘다.
주전자본체(1)에 지름 10 밀리미터 이하의 드립용파이프(2)를 직접 접합할 경우 접합 내구성이 떨어질 수 있어 전체 파이프 길이의 1/2 이내는 지름 10 밀리미터 이상의 굵기를 가진 파이프형태를 접합하고 인체에 무해한 실리콘 등의 재질을 이용한 연결구(5)를 이용하여 10 밀리미터 이하의 나머지 파이프 부분을 연결하여도 무관하다.
1 : 주전자 본체
2 : 드립용 파이프
3 : 드립용 파이프 접합부
4 : 파이프 끝단
5 : 연결구
6 : 전원공급 받침판
7. : 전원스위치
8 : 손잡이
9 : 막대형 온도계
10 : 뚜껑
11 : 전원코드

Claims (1)

  1. 직경 10밀리미터 이하, 길이 50밀리미터 이상의 파이프 형태의 출수구를 가진 드립용 전기 무선주전자
KR2020100011504U 2010-11-09 2010-11-09 커피와 차류의 드립용 전기 무선주전자 KR2012000341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1504U KR20120003410U (ko) 2010-11-09 2010-11-09 커피와 차류의 드립용 전기 무선주전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1504U KR20120003410U (ko) 2010-11-09 2010-11-09 커피와 차류의 드립용 전기 무선주전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3410U true KR20120003410U (ko) 2012-05-17

Family

ID=46612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1504U KR20120003410U (ko) 2010-11-09 2010-11-09 커피와 차류의 드립용 전기 무선주전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3410U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83082A (zh) * 2014-07-20 2014-10-08 郑州中智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电热水壶
CN106073490A (zh) * 2016-08-11 2016-11-09 安徽中科自动化股份有限公司 一种紫砂电热水壶
JP2017000231A (ja) * 2015-06-05 2017-01-05 タイガー魔法瓶株式会社 電気ケトル
KR101695133B1 (ko) * 2016-06-15 2017-01-11 조재만 핸드드립커피 추출장치
KR102279998B1 (ko) * 2021-04-05 2021-07-21 김마을 캠핑주전자용 핸드 드립 스파우트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83082A (zh) * 2014-07-20 2014-10-08 郑州中智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电热水壶
JP2017000231A (ja) * 2015-06-05 2017-01-05 タイガー魔法瓶株式会社 電気ケトル
KR101695133B1 (ko) * 2016-06-15 2017-01-11 조재만 핸드드립커피 추출장치
CN106073490A (zh) * 2016-08-11 2016-11-09 安徽中科自动化股份有限公司 一种紫砂电热水壶
KR102279998B1 (ko) * 2021-04-05 2021-07-21 김마을 캠핑주전자용 핸드 드립 스파우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03410U (ko) 커피와 차류의 드립용 전기 무선주전자
EP3132724B1 (en) Tea making appliance with filter assembly
US20100170892A1 (en) Induction Heating Apparatus with Suspended Induction Plate
WO2007022388A3 (en) Method and device for brewing beverages
WO2008033657A3 (en) Concentrated fresh brewed tea
US20170354278A1 (en) Percolator with removable grip
CN203647092U (zh) 一种可加热式真空壶
JP2006525828A (ja) 飲料抽出ポット、電気ポット、コードレス電気ポット
JP3200378U (ja) やかん
ATE234585T1 (de) Wasserkocher mit sicherheitsabschaltung
CN204561827U (zh) 一种双层壶身的快速电热水壶
CN203407895U (zh) 一种可加热真空壶
CN204813139U (zh) 一种杯子
CN203564112U (zh) 一种自灭火野外烧水壶
CN202761009U (zh) 一种新型保温热水瓶
CN209219946U (zh) 电热水壶
KR100911441B1 (ko) 뜸용 밀랍 가열장치를 이용한 뜸방법
TWM455458U (zh) 咖啡沖泡濾杯改良
JP2011024971A (ja) バター溶かし器〈トックン〉
CN208301428U (zh) 一种方便搅拌的杯型结构
CN215272029U (zh) 一种能够自动倒水的电水壶
US6964563B1 (en) Candle re-topper
KR20110003255U (ko) 무선 커피포트
CN202739719U (zh) 一种长效保温式防干烧电热水壶
KR200417584Y1 (ko) 국자의 손잡이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