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3359A - 냉각탑 - Google Patents

냉각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3359A
KR20120003359A KR1020110025262A KR20110025262A KR20120003359A KR 20120003359 A KR20120003359 A KR 20120003359A KR 1020110025262 A KR1020110025262 A KR 1020110025262A KR 20110025262 A KR20110025262 A KR 20110025262A KR 20120003359 A KR20120003359 A KR 201200033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
section
cooling tower
air inlet
exchange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5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마스 피. 카터
커트 긴스
Original Assignee
벌티모어 에어코일 컴파니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벌티모어 에어코일 컴파니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벌티모어 에어코일 컴파니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200033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33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C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COME INTO DIRECT CONTACT WITHOUT CHEMICAL INTERACTION
    • F28C1/00Direct-contact trickle coolers, e.g. cooling towers
    • F28C1/02Direct-contact trickle coolers, e.g. cooling towers with counter-current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C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COME INTO DIRECT CONTACT WITHOUT CHEMICAL INTERACTION
    • F28C1/00Direct-contact trickle coolers, e.g. cooling towers
    • F28C1/14Direct-contact trickle coolers, e.g. cooling towers comprising also a non-direct contact heat exchan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5/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using the cooling effect of natural or forced evaporation
    • F28D5/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using the cooling effect of natural or forced evaporation in which the evaporating medium flows in a continuous film or trickles freely over the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5/00Component parts of trickle coo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5/00Component parts of trickle coolers
    • F28F25/10Component parts of trickle coolers for feeding gas or vapour
    • F28F25/12Ducts; Guide vanes, e.g. for carrying currents to distinct zo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냉각탑 또는 교호형 작동에서 증발형 응축기는 건식 현열 또는 간접열 열교환 섹션 및 증발열 열교환 섹션을 갖는다. 상기 건식 현열 섹션은 냉각될 액체를 통과시키는 코일 회로를 유도한다. 상기 증발열 섹션은 건식 현열 섹션 아레에 있고, 코일 회로 또는 충진 시트를 유도할 수 있다. 조절형 루버는 공기 흐름을 허용하도록 제공되며, 이에 따라 건식 현열 섹션과 증발열 섹션 사이에서 증발 부하가 변경되게 제공된다.

Description

냉각탑{INDUCED DRAFT COOLING TOWER}
본 발명은 냉각탑 또는 증발형 응축기와 같은 열교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건식 현열 열교환 섹션(dry sensible heat exchange section) 및 증발열 열교환 섹션(evaporative heat exchange section)을 구비한 절수형 냉각탑에 관한 것이다.
건식 현열 열교환 섹션 및 증발열 열교환 섹션을 포함하는 냉각탑에 있어서, 냉각탑의 성능을 주위 온도와 다른 조건에 따라 최적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건식 현열 열교환 섹션 및 증발열 열교환 섹션을 포함하는 냉각탑에 있어서, 배출 공기는 일반적으로 팬을 가로질러 상측으로 유도된다. 이러한 냉각탑의 결점은, 건식 헌열 열교환 섹션이 냉각탑의 총 냉각성능에 대한 상대적으로 고정된 현열 냉각성능을 제공한다는 점이다. 특히, 주위 온도가 떨어짐에 따라 또는 냉각탑에 대한 총 냉각부하가 감소함에 따라, 현열 열교환 섹션이 총 냉각부하의 보다 큰 퍼센트를 취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현열 열교환 섹션 및 증발열 열교환 섹션을 갖는 절수형 냉각탑을 제공함으로써, 건식 현열 열교환 섹션 내의 냉각탑에 의해 제공되는 총 부하의 냉각 퍼센트가 쉽게 증가될 수 있는 것이다.
냉각탑의 일부로서의 건식 현열 열교환 섹션의 일반적인 작동에서, 건식 현열 열교환 섹션을 포함하는 일련의 회로를 통해 초기에 고온 유체, 통상적으로 물이 하측으로 지향된다. 고온수는 팬 기구에 의해 냉각탑을 통해 유도되는 대향 공기류에 의해 간접 현열 열교환을 받는다. 이러한 작동은 일반적으로 건식 코일 작동으로 불리며, 이에 의해 건식 현열 열교환 섹션 내로 통과하는 물 또는 다른 유체로의 현열 냉각이 공기에 의해서만 냉각된다.
증발열 열교환 섹션은 건식 현열 열교환 섹션 아래에 위치된다. 상기 증발열 열교환 섹션은 일반적으로 냉각될 유체, 통상적으로 이격되고 인접한 구성으로 배치된 일련의 폐쇄 회로로 이루어짐으로써, 물을 폐쇄 회로 내에서 하측으로 이동시킨다. 증발성 액체, 통상적으로 물은 각각의 회로의 전체 외부면을 가로질러 물이 고르게 분포되어 회로 내의 유체로부터 열을 올리는 방식으로 회로를 가로질러 하측으로 분무된다. 회로 위에서 하측으로 떨어지는 증발성 액체에 대한 냉각을 제공하는 공기는 팬 기구에 의해 흐르는 증발성 액체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유도된다. 이로써, 증발 프로세스 에너지는 열과 질량 이송 프로세스의 조합에 의해 증발성 액체로부터 공기류로 전달된다. 그 다음, 증발성 액체는 섬프 내에 수집된 다음, 증발열 열교환 섹션의 상부로 재분배된다. 이는 일반적으로 폐쇄 회로 냉각탑으로 불린다.
냉각탑의 변형적인 작동에서, 증발형 응축기에 의해 작동할 수 있다. 이로써, 응축되는 가스는 건식 현열 열교환 섹션의 코일을 통과함으로써, 팬에 의해 건식 현열 열교환 섹션을 가로질러 유도된 냉각 공기는 가스의 과열 및 부분 응축을 일으킨다. 나머지 가스는 증발열 열교환기 내에서 응축된다. 냉각탑의 또 다른 변형적인 작동에서, 개방형 냉각탑으로서 작동할 수 있다. 개방형 냉각탑으로서의 건식 현열 열교환 섹션의 일반적인 작동에서, 건식 현열 열교환기 섹션을 포함하는 일련의 회로를 통해 초기의 고온 유체, 통상적으로 물이 하측으로 지향된다. 그 다음, 유체는 일반적으로 기격된 충진 시트로 이루어진 직접 접촉 증발열 열교환기 매체 위로 직접 분무되며, 이는 대향하게 흐르는 공기에 의해 조합된 열 및 질량 이송 프로세스 내에서 더욱 냉각된다. 그 후, 냉각된 유체는 섬프 내에 수집된 다음, 냉각탑을 다시 순환되는 열을 올리는 프로세스로 펌핑된다.
건식 현열 열교환 섹션이 냉각탑에 의한 총 냉각의 냉각 퍼센트를 증대시키기 위해, 건식 현열 열교환기 아래 그리고 증발열 열교환기 위의 냉각탑의 측부는 조절형 루버로 대체된다. 조절형 루버 또는 댐퍼는, 일반적으로 주위 온도가 떨어지거나 또는 냉각탑에 대한 총 냉각부하가 감소함에 따라 건식 현열 열교환 섹션을 가로질러 공기를 증가시키도록 개방될 수 있다. 이는 냉각탑을 통한 총 공기 흐름 및 건식 현열 열교환 섹션의 코일을 가로지르는 공기의 상대 퍼센트를 증가시키며, 건식 현열 코일의 냉각성능을 증대시킨다. 그와 동시에, 증발열 열교환 섹션을 가로지르는 상대 공기 흐름을 감소시키고, 증발열 열교환 섹션의 성능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총 냉각부하의 보다 많은 부분은 건식 코일로서 작동하는 건식 현열 열교환 코일에 의해 제공되며, 총 냉각탑 자체 내에 냉각을 제공하도록 증발되는 물의 양을 절약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냉각탑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냉각탑의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냉각탑의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조절형 루버의 세부도.
도 1을 참조하면, 냉각탑은 참조번호 10으로 도시한다. 이러한 냉각탑은 유도식 드래프트 냉각탑이며, 냉각탑의 상부에는 팬(12)과 팬 플레넘(13)이 위치됨으로써, 냉각탑의 측부에 위치된 입구(18, 22)를 통해 공기를 유도한다. 냉각탑 자체는 통상적으로 아연도금강 또는 스테인리스강의 구조적 요소로 이루어진 장방형 구조체의 것으로 도시된다. 냉각탑(10)의 상측 섹션(14)은 건식 현열 냉각 코일 섹션(16)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조절형 루버(18)는 냉각탑(10)의 측부 내에 위치됨으로써, 조절형 루버(18)를 통한 공기 흐름이 기본적으로 전체의 공기 통로로부터 이러한 루버의 폐쇄 시에 공기 통로가 없는 것으로 조절되게 한다.
냉각탑(10)의 하측 섹션(20)은 증발열 냉각 섹션(21)을 포함하도록 도시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증발열 섹션은 일련의 이격된 평행한 폐쇄 회로 또는 충진 시트로 이루어지며, 이는 이러한 회로 또는 충진 시트를 가로질러 증발성 액체를 갖도록 설계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충진 시트는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또는 그와 유사한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며, 통상적으로 장방형 형상일 갖는다. 전체적으로, 시트는 평탄한 구성을 갖지만, 각종 파형 및 홈형 패턴이 사용된다. 섬프(28)는 증발성 액체, 일반적으로 물을 수집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폐쇄 회로 냉각탑 또는 증발형 응축기에서, 섬프 내의 이러한 증발성 액체는 물 공급 라인(30)을 통해 물 분배 라인(24)으로 상측으로 펌핑된다. 개방형 냉각탑에서, 섬프 내의 증발성 액체는 프로세스로부터 거부된 열을 올리는 열교환기로 펌핑된다. 그 다음, 가열된 물은 부분적으로 냉각되는 건식 현열 열교환 섹션으로 복귀한다. 그 다음, 프로세스 유체는 물 분배 라인(24)으로 흐른다. 개방형 냉각탑에서, 프로세스 유체 및 증발성 유체는 동일하게 한가지이다. 복수의 분무 노즐(26)은 물 분배 라인(24)으로부터 이격된 구성으로 연장됨으로써, 증발성 액체, 일반적으로 물은 증발형 코일 또는 충진 섹션(21)의 전체 상부면을 가로질러 분무된다. 별도의 노즐이 사용될 수 없지만, 변형 실시예에서, 물 분배 라인(24) 내의 개구가 설계 및 구성됨으로써, 물이 물 분배 라인(24)으로부터 분무되게 한다. 노즐 또는 개구에 대한 다른 동등물이 사용될 수도 있다. 공기 입구 루버(22)는 증발열 냉각 섹션(21) 아래에 제공된다. 이러한 루버는 일반적으로 공기 흐름에 개방되지만, 공기 흐름이 전체 공기 흐름으로부터 이러한 루버의 폐쇄 시에 제로(0) 흐름으로 조절되게 할 수 있다. 드리프트 제거기(32)는 노즐(26)로부터 분무되는 증발성 액체가 냉각탑의 상측 섹션(14) 내로 유도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냉각탑은 참조부호 110으로 도시된다. 이러한 냉각탑은 유도형 드래트프 냉각탑이며, 팬(112)과 플레넘(113)이 냉각탑의 상부에 위치됨으로써, 냉각탑의 측부에 위치된 입구(118, 122)를 통해 공기를 유도한다. 냉각탑 자체는 통상적으로 아연도금강 또는 스테인리스강의 구조적 요소로 이루어진 장방형 구조체의 것으로 도시된다.
냉각탑(110)의 상측 섹션(114)은 코일(117)을 갖는 건식 현열 냉각 코일 섹션(116)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이러한 코일(117)은 액체에 열을 부여하는 프로세스로부터 액체, 통상적으로 물을 수용한다. 액체가 코일(117)을 통과함에 따라, 코일 내의 액체는 팬(112)에 의해 코일(117)의 상부를 가로지르는 공기에 의해 간접적으로 냉각된다. 조절형 루버(118)는 냉각탑(110)의 측부 내에 위치됨으로써, 조절형 루버(118)를 통한 공기 흐름이 기본적으로 전체의 공기 통로로부터 이러한 루버(118)의 폐쇄 시에 공기 통로가 없는 것으로 조절되게 한다. 따라서, 코일(117)의 냉각 부하는 조절형 루버(118)를 완전히 개방한 상태에서 냉각탑(110)의 총 냉각 부하의 큰 부분으로부터 조절형 루버(118)를 폐쇄한 상태에서 냉각탑(110)의 총 냉각 부하의 작은 부분으로 조절될 수 있다.
냉각탑(110)의 하측 섹션(120)은 증발열 냉각 섹션(121)을 포함하도록 도시된다. 증발열 냉각 섹션(121)은 냉각 코일 섹션(123)으로 이루어지며, 이는 냉각 코일(117)로부터 냉각 코일부(123) 내로 통과하는 액체의 또 다른 간접 냉각을 위해 일련의 폐쇄 회로를 유도한다. 증발성 액체, 통상적으로 물은 냉각 코일부(123)를 가로질러 떨어진다. 섬프(28)는 증발성 액체를 수집한다.
폐쇄 회로 냉각탑 또는 증발형 응축기에서, 증발성 액체는 물 공급 라인(130)을 통해 물 분배 라인(124)으로 상측으로 펌핑된다. 복수의 분무 노즐(126)은 물 분배 라인(124)으로부터 이격된 구성으로 연장됨으로써, 증발성 액체는 냉각 코일(123)의 전체 상부면을 가로질러 분무된다. 별도의 노즐이 사용될 수 없지만, 변형 실시예에서, 물 분배 라인(124) 내의 개구가 설계 및 구성됨으로써, 물이 물 분배 라인(124)으로부터 분무 또는 이와는 달리 분배되게 한다. 노즐 또는 개구에 대한 다른 기능적 동등물이 사용될 수도 있다. 냉각되거나 또는 응축된 액체는 참조부호(125)에서 냉각 코일(123)로부터 배출된다. 공기 입구 루버(122)는 증발열 냉각 섹션(121) 아래에 제공된다. 루버(122)는 일반적으로 공기 흐름에 개방되지만, 공기 흐름이 전체 공기 흐름으로부터 이러한 루버(122)의 폐쇄 시에 제로(0) 흐름으로 조절되게 할 수 있다. 드리프트 제거기(132)는 노즐(126)로부터 분무되는 증발성 액체가 냉각탑의 상측 섹션(114) 내로 유도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냉각탑은 참조부호 210으로 도시된다. 이러한 냉각탑은 유도형 드래트프 냉각탑이며, 팬(212)과 플레넘(213)이 냉각탑의 상부에 위치됨으로써, 냉각탑의 측부에 위치된 입구를 통해 공기를 유도한다.
냉각탑 자체는 통상적으로 아연도금강 또는 스테인리스강의 구조적 요소로 이루어진 장방형 구조체의 것으로 도시된다.
냉각탑(210)의 상측 섹션(214)은 코일(217)을 갖는 건식 현열 냉각 코일 섹션(216)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이러한 코일(217)은 액체에 열을 부여하는 프로세스로부터 액체, 통상적으로 물을 수용한다. 액체가 코일(217)을 통과함에 따라, 코일(217) 내의 액체는 팬(212)에 의해 코일(217)을 가로질러 유도되는 공기에 의해 간접적으로 냉각된다. 조절형 루버(218)는 냉각탑(210)의 측부 내에 위치됨으로써, 조절형 루버(218)를 통한 공기 흐름이 기본적으로 전체의 공기 통로로부터 이러한 루버(218)의 폐쇄 시에 공기 통로가 없는 것으로 조절되게 한다. 따라서, 코일(217)의 냉각 부하는 조절형 루버(218)를 완전히 개방한 상태에서 냉각탑(210)의 총 냉각 부하의 큰 부분으로부터 조절형 루버(218)를 폐쇄한 상태에서 냉각탑(210)의 총 냉각 부하의 작은 부분으로 조절될 수 있다.
냉각탑(210)의 하측 섹션(220)은 증발열 냉각 섹션(221)을 포함하도록 도시된다. 증발열 냉각 섹션(221)은 충진 섹션(223)으로 이루어지며, 이는 코일(217)로부터 액체의 직접 냉각을 위해 일련의 이격된 충진 시트를 유도함으로써, 충진 섹션(223)을 가로질러 떨어지도록 연결부(238)를 통과한다. 복수의 분무 노즐(226)은 물 분배 라인(224)으로부터 이격된 구성으로 연장됨으로써, 연결부(238)로부터의 증발성 액체는 충진 섹션(223)의 전체 상부면을 가로질러 분무된다. 별도의 노즐이 사용될 수 없지만, 변형 실시예에서, 물 분배 라인(224) 내의 개구가 설계 및 구성됨으로써, 물이 물 분배 라인(224)으로부터 분무 또는 이와는 달리 분배되게 한다. 노즐 또는 개구에 대한 다른 기능적 동등물이 사용될 수도 있다. 섬프(228)는 충진 섹션(223)으로부터 떨어지는 증발성 액체를 수집한다. 증발성 액체는 수냉식 응축기와 같은 냉각 작동에 다시 사용되는 물 공급 라인(230)을 통해 외측으로 펌핑된다. 드리프트 제거기(232)는 노즐(226)로부터 분무되는 증발성 액체가 냉각탑의 상측 섹션(214) 내로 유도되는 것을 방지한다.
공기 입구 루버(222)는 증발열 냉각 섹션(221) 아래에 제공된다. 루버(222)는 공기 흐름으로 개방되지만, 공기 흐름이 전체의 공기 흐름으로부터 루버(222)의 폐쇄 시에 제로(0) 공기 흐름으로 조절되게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조절형 루버(318)를 상세하게 도시한다. 기계식 제어부(338)는 조절형 루버(318)를 쉽게 개폐할 수 있도록 도시됨으로써, 완전한 공기 흐름을 가능하게 하거나, 또는 기본적으로 공기 흐름이 상측 섹션에 도입되는 것을 정지시킨다.

Claims (25)

  1. 감지(sensible) 및 증발(evaporative) 조합형의 냉각탑에 있어서,
    외측에 공기 입구와, 상측면에 공기 출구를 갖는 인클로저(enclosure);
    건식 현열 열교환 섹션(dry sensible heat exchange section)을 구비한 상측 섹션;
    증발열 열교환 섹션(evaporative heat exchange section)을 구비한 하측 섹션;
    상기 냉각탑의 하측 섹션 내의 수집 섬프(collection sump), 상기 섬프에 연결된 공급 라인(supply line), 상기 공급 라인에 연결되며 상기 증발열 열교환 섹션 위로 연장되는 분배 라인(distribution line), 및 상기 섬프 내에 수집된 물이 상기 증발열 열교환 섹션 위로 분배될 수 있도록 상기 분배 라인 내에 위치된 복수의 개구를 포함하는 물 분배 시스템(water distribution system);
    상기 하측 섹션 내로 그리고 상기 증발열 열교환 섹션을 가로질러 공기를 통과시키는, 상기 하측 섹션 내의 제 1 공기 입구 루버(first air inlet louvers); 및
    상기 상측 섹션 내로 그리고 상기 건식 현열 열교환 섹션을 가로질러 공기를 통과시키는, 상기 상측 섹션 내의 제 2 공기 입구 루버(second air inlet louvers);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공기 입구 루버는 상기 건식 현열 열교환 섹션을 가로질러 공기 흐름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도록 제어가능한
    냉각탑.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공기 입구 루버는 상기 건식 현열 열교환 섹션 아래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탑.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식 현열 열교환 섹션은 복수의 회로를 갖는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공기 입구 루버는 상기 건식 현열 열교환 섹션 아래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탑.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열 열교환 섹션은 복수의 코일을 포함하여, 상기 증발열 열교환 섹션 위로 분배되는 물이 대부분의 코일을 가로질러 흐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탑.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클로저의 하측 섹션은 2개 세트의 평행 벽으로 이루어진 장방형 구조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공기 입구 루버는 상기 하측 섹션의 2개의 평행 벽에 위치되고,
    상기 인클로저의 상측 섹션은 2개 세트의 평행 벽으로 이루어진 장방형 구조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공기 입구 루버는 상기 상측 섹션의 2개의 평행 벽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탑.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공기 입구 루버를 통해 공기 흐름을 제거하도록 폐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탑.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공기 입구 루버는 상기 증발열 열교환 섹션을 가로질러 공기 흐름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도록 제어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탑.
  8. 감지(sensible) 및 증발(evaporative) 조합형의 냉각탑에 있어서,
    상측면에 공기 출구를 갖는 인클로저(enclosure);
    건식 현열 열교환 섹션(dry sensible heat exchange section)을 구비한 상측 섹션;
    증발열 열교환 섹션(evaporative heat exchange section)을 구비한 하측 섹션;
    상기 현열 열교환 섹션으로부터 액체를 이송하며, 상기 증발열 열교환 섹션 위로 연장되는 분배 라인;
    상기 현열 열교환 섹션 내에서 부분적으로 냉각된 물이 상기 증발열 열교환 섹션을 가로질러 분배될 수 있도록 상기 분배 라인 내에 있는 복수의 개구;
    상기 하측 섹션 내로 그리고 상기 증발열 열교환 섹션을 가로질러 공기를 통과시키는, 상기 하측 섹션 내의 제 1 공기 입구 루버(first air inlet louvers); 및
    상기 상측 섹션 내로 그리고 상기 건식 현열 열교환 섹션을 가로질러 공기를 통과시키는, 상기 상측 섹션 내의 제 2 공기 입구 루버(second air inlet louvers);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공기 입구 루버를 통해 공기 흐름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도록 제어가능한
    냉각탑.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공기 입구 루버는 상기 건식 현열 열교환 섹션 아래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탑.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건식 현열 열교환 섹션은 복수의 회로를 갖는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공기 입구 루버는 상기 건식 현열 열교환 섹션 아래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탑.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열 열교환 섹션은 복수의 충진 시트(fill sheets)를 포함하여, 상기 증발열 열교환 섹션 위로 분배되는 물이 각각의 충진 시트의 대부분의 표면을 가로질러 흐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탑.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인클로저의 하측 섹션은 2개 세트의 평행 벽으로 이루어진 장방형 구조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공기 입구 루버는 상기 하측 섹션의 2개의 평행 벽에 위치되고,
    상기 인클로저의 상측 섹션은 2개 세트의 평행 벽으로 이루어진 장방형 구조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공기 입구 루버는 상기 상측 섹션의 2개의 평행 벽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탑.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공기 입구 루버를 통해 공기 흐름을 제거하도록 폐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탑.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공기 입구 루버는, 상기 제 1 공기 입구 루버를 통한 공기 흐름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도록 제어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탑.
  15. 감지(sensible) 및 증발(evaporative) 조합형의 냉각탑에 있어서,
    공기 입구와 공기 출구를 갖는 인클로저(enclosure);
    건식 현열 열교환 섹션(dry sensible heat exchange section)을 구비한 상측 섹션;
    증발열 열교환 섹션(evaporative heat exchange section)을 구비한 하측 섹션;
    수집 섬프를 포함하는 물 분배 시스템;
    상기 섬프에 연결되는 공급 라인, 상기 증발열 열교환 섹션으로 연장되며 상기 공급 라인에 연결되는 분배 라인, 및 상기 섬프 내에 수집된 물이 상기 증발열 열교환 섹션 위로 분배될 수 있도록 상기 분배 라인 내에 위치되는 복수의 개구;
    상기 하측 섹션 내로 그리고 상기 증발열 열교환 섹션을 가로질러 공기를 통과시키는, 상기 하측 섹션 내에 있는 제 1 공기 입구 루버;
    상기 상측 섹션 내로 그리고 상기 건식 현열 열교환 섹션을 가로질러 공기를 통과시키는, 상기 상측 섹션 내에 있는 제 2 공기 입구 루버;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공기 입구 루버는 상기 건식 현열 열교환 섹션을 가로질러 공기 흐름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도록 제어가능한
    냉각탑.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인클로저의 하측 섹션은 2개 세트의 평행 벽으로 이루어진 장방형 구조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공기 입구 루버는 상기 하측 섹션의 2개의 평행 벽에 위치되고,
    상기 인클로저의 상측 섹션은 2개 세트의 평행 벽으로 이루어진 장방형 구조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공기 입구 루버는 상기 상측 섹션의 2개의 평행 벽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탑.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공기 입구 루버는, 상기 제 2 공기 입구 루버를 통한 공기 흐름을 제거하도록 폐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탑.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공기 입구 루버는, 상기 증발열 열교환 섹션을 가로질러 공기 흐름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도록 제어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탑.
  19. 감지(sensible) 및 증발(evaporative) 조합형의 냉각탑에 있어서,
    공기 출구를 갖는 인클로저(enclosure);
    건식 현열 열교환 섹션(dry sensible heat exchange section)을 구비한 상측 섹션;
    증발열 열교환 섹션(evaporative heat exchange section)을 구비한 하측 섹션;
    상기 증발열 열교환 섹션으로 연장되며 상기 현열 열교환 섹션으로부터의 액체를 이송하는 분배 라인;
    상기 현열 열교환 섹션 내에서 부분적으로 냉각되는 물이 상기 증발열 열교환 섹션 위로 분배될 수 있도록 상기 분배 라인 내에 위치되는 복수의 개구;
    상기 하측 섹션 내로 그리고 상기 증발열 열교환 섹션을 가로질러 공기를 통과시키는, 상기 하측 섹션 내에 있는 제 1 공기 입구 루버;
    상기 상측 섹션 내로 그리고 상기 건식 현열 열교환 섹션을 가로질러 공기를 통과시키는, 상기 상측 섹션 내에 있는 제 2 공기 입구 루버;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공기 입구 루버를 통해 공기 흐름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도록 제어가능한
    냉각탑.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공기 입구 루버는 상기 건식 현열 열교환 섹션 아래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탑.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건식 현열 열교환 섹션은 복수의 회로를 갖는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공기 입구 루버는 상기 건식 현열 열교환 섹션 아래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탑.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열 열교환 섹션은 복수의 충진 시트를 포함하여, 상기 증발열 열교환 섹션 위로 분배되는 물이 각각의 충진 시트의 대부분의 표면을 가로질러 흐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탑.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인클로저의 하측 섹션은 2개 세트의 평행 벽으로 이루어진 장방형 구조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공기 입구 루버는 상기 하측 섹션의 2개의 평행 벽에 위치되고,
    상기 인클로저의 상측 섹션은 상기 상측 섹션의 2개의 평행 벽으로 이루어진 장방형 구조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탑.
  24.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공기 입구 루버는, 상기 제 2 공기 입구 루버를 통한 공기 흐름을 제거하도록 폐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탑.
  25.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공기 입구 루버를 통해 공기 흐름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도록 제어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탑.
KR1020110025262A 2010-07-02 2011-03-22 냉각탑 KR2012000335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803,650 2010-07-02
US12/803,650 US8434746B2 (en) 2010-07-02 2010-07-02 Induced draft cooling tow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3359A true KR20120003359A (ko) 2012-01-10

Family

ID=44587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5262A KR20120003359A (ko) 2010-07-02 2011-03-22 냉각탑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434746B2 (ko)
EP (1) EP2402693A3 (ko)
KR (1) KR20120003359A (ko)
CN (1) CN102313483A (ko)
BR (1) BRPI1101835A2 (ko)
MX (1) MX2011002285A (ko)
MY (1) MY15210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23228A (zh) * 2013-02-21 2013-05-29 双良节能系统股份有限公司 机力通风空气冷却塔
US9255739B2 (en) * 2013-03-15 2016-02-09 Baltimore Aircoil Company, Inc. Cooling tower with indirect heat exchanger
US9279619B2 (en) 2013-03-15 2016-03-08 Baltimore Aircoil Company Inc. Cooling tower with indirect heat exchanger
US9291397B2 (en) * 2014-02-07 2016-03-22 Spx Cooling Technologies, Inc. Liquid distribution system for a fluid cooler
JP6401587B2 (ja) * 2014-11-28 2018-10-10 東芝プラントシステム株式会社 地下変電所の変圧器冷却装置、変圧器冷却システム、および変圧器冷却方法
US9995533B2 (en) * 2015-12-03 2018-06-12 Baltimore Aircoil Company, Inc. Cooling tower with indirect heat exchanger
US10365876B2 (en) * 2017-04-19 2019-07-3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utomatic real-time configuration of a multi-head display system
CN108413799B (zh) * 2018-03-12 2023-12-26 北京京诚科林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减少锅炉热力系统的蒸汽外排量的系统
US11022374B2 (en) 2018-09-11 2021-06-01 Munters Corporation Staged spray indirect evaporative cooling system
CN109631652A (zh) * 2018-12-11 2019-04-16 上海市建筑科学研究院 一种适应上海地区的高能效数据中心冷却系统
MX2021005799A (es) 2018-12-13 2021-07-02 Baltimore Aircoil Co Inc Sistema de control de respuesta de falla de un arreglo de ventiladores.
EP3942241A4 (en) 2019-03-19 2022-11-23 Baltimore Aircoil Company, Inc. HEAT EXCHANGER WITH FLAG REDUCTION ARRANGEMENT BYPASS
CA3163716A1 (en) 2019-12-11 2021-06-17 Baltimore Aircoil Company, Inc. Heat exchanger system with machine-learning based optimization
CN111023856A (zh) * 2019-12-21 2020-04-17 江苏唐问节能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热管暖风机
MX2022014251A (es) 2020-05-12 2023-02-22 Baltimore Aircoil Co Inc Sistema de control de torre de enfriamiento.
US11976882B2 (en) 2020-11-23 2024-05-07 Baltimore Aircoil Company, Inc. Heat rejection apparatus, plume abatement system,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812111A1 (de) * 1968-12-02 1970-06-11 Eisner Dipl Ing Joachim H Kuehler mit Einrichtungen zur Verhinderung von Nebel- und Eisbildung und zum Betrieb mit indirektem Kreislauf
US3923935A (en) * 1971-01-25 1975-12-02 Marley Co Parallel air path wet-dry water cooling tower
US3782451A (en) * 1972-06-19 1974-01-01 Marley Co Hydraulic flow distribution system for multiple pass air cooled heat exchanger
US3917764A (en) * 1973-01-26 1975-11-04 Peter M Phelps Sloped film fill assembly cooling tower
US3977431A (en) * 1974-07-01 1976-08-31 Ecodyne Corporation Flow control apparatus
JPS5941107B2 (ja) * 1975-11-11 1984-10-04 イシカワジマハリマジユウコウギヨウ カブシキガイシヤ ジヨウハツシキネツコウカンキ
DE2602485B2 (de) * 1976-01-23 1980-05-22 Gea-Luftkuehlergesellschaft Happel Gmbh & Co Kg, 4630 Bochum Wasserrückkühlvorrichtung
US4076771A (en) * 1976-11-19 1978-02-28 The Marley Cooling Tower Company Bottom vented wet-dry water cooling tower
US4315873A (en) * 1977-11-21 1982-02-16 Hudson Products Corporation Cooling equipment
JPS5924788B2 (ja) * 1978-04-11 1984-06-12 株式会社荏原製作所 散水蒸発式熱交換器
US4367183A (en) * 1980-04-25 1983-01-04 Hamon-Sobelco, S.A. Air channeling device for mixing dry and humid air streams of a combined wet and dry atmospheric cooler
US4380910A (en) * 1981-08-13 1983-04-26 Aztech International, Ltd. Multi-stage indirect-direct evaporative cooling process and apparatus
US4706554A (en) * 1986-08-15 1987-11-17 Kelly Industries, Inc. Vertical louver system for cooling towers
JPH0534081A (ja) * 1991-07-29 1993-02-09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冷水塔
US7310958B2 (en) * 2004-03-08 2007-12-25 Baltimore Aircoil Company, Inc. Control of heat exchanger operation
CN1844824A (zh) * 2006-04-21 2006-10-11 清华大学 一种环保节水型冷却塔
US7887030B2 (en) * 2008-05-19 2011-02-15 Spx Cooling Technologies, Inc. Wet/dry cooling tower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Y152104A (en) 2014-08-15
US20120001352A1 (en) 2012-01-05
BRPI1101835A2 (pt) 2012-12-11
MX2011002285A (es) 2012-01-23
EP2402693A3 (en) 2014-08-20
EP2402693A2 (en) 2012-01-04
US8434746B2 (en) 2013-05-07
CN102313483A (zh) 2012-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03359A (ko) 냉각탑
US10443942B2 (en) Cooling tower with indirect heat exchanger
US10288351B2 (en) Cooling tower with indirect heat exchanger
KR102251473B1 (ko) 습식 냉각 탑을 위한 에어-투-에어 열 교환기 우회 장치 및 방법
US9995533B2 (en) Cooling tower with indirect heat exchanger
CN102735072B (zh) 风机冷却塔的设计及方法
RU2436011C1 (ru) Устройство утилизации тепла дымовых газов и способ его работы
US10175002B2 (en) Liquid distribution system for a fluid cooler
US10132569B2 (en) Hybrid fluid cooler with extended intermediate basin nozzles
CN106595340A (zh) 一种多模块多喷淋装置蒸发空冷器及其操作模式
KR20160133980A (ko) 습식 냉각탑을 위한 공기 대 공기 열 교환기 바이패스 장치 및 방법
CN108413782B (zh) 一种高炉蒸发空冷系统板垢的处理方法
KR101626024B1 (ko) 공기열원을 이용한 냉각탑 백연방지장치
JP2016211775A (ja) 湿式冷却塔装置用空気−空気熱交換器バイパス及び方法
WO2008059524B1 (en) Heat exchanger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