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2774A - 식수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식수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2774A
KR20120002774A KR1020100063457A KR20100063457A KR20120002774A KR 20120002774 A KR20120002774 A KR 20120002774A KR 1020100063457 A KR1020100063457 A KR 1020100063457A KR 20100063457 A KR20100063457 A KR 20100063457A KR 20120002774 A KR20120002774 A KR 201200027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drinking water
motor
air
conden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3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진규
윤병관
Original Assignee
(주)드림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드림코리아 filed Critical (주)드림코리아
Priority to KR1020100063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2774A/ko
Publication of KR201200027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27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 C02F1/0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by distillation or evapo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2Temper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4Tim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Vaporization, Distillation, Condensation, Sublimation, And Cold Trap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 중에 포함된 습기를 응축시켜 이를 집수하고 정수처리하여 식수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식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어 공기를 가열시키는 제1응축기와 가열된 공기 중의 수분을 응축하여 물을 생성하는 제1증발기를 포함하는 응축수단 및 상기 응축수단의 일측에 구비된 흡입팬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응축수단에서 공기는 제1응축기와 제1증발기를 차례로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식수 제조장치에 따르면, 공기 중에 포함된 습기를 응축시켜 이를 집수하여 식수로 사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되, 공기가 응축기를 먼저 거치면서 가열되어 부피가 증가 된 상태에서 증발기를 거치도록 함으로써 응축되는 습기의 양을 증가시켜 집수 되는 물의 양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발휘된다.

Description

식수 제조장치{Device to make drinking water}
본 발명은 식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 중에 포함된 습기를 응축시켜 이를 집수하고 정수처리하여 식수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식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화 및 공해물질로 인한 수질오염이 심각해짐에 따라 수돗물에 대한 불신이 높아지면서 수돗물을 정수기로 정화하여 식수로 사용하거나, 시중에서 판매되는 생수를 식수로 많이 사용하고 있다.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정수기는 수돗물을 여러 개의 필터를 통과시켜 침전, 여과, 살균 등의 과정을 거쳐 수돗물에 함유된 중금속 및 기타 유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정화된 물을 소정온도로 냉각하거나 가열하여 냉수 및 온수를 선택적으로 마실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생활여건이 향상되면서 낚시나 등산과 같은 여가활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이에 따른 용품들이 다양화되면서 야외에서 강물이나 시냇물 또는 호수의 물을 여과하여 식수나 취사용수로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정수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아울러, 바다를 운항하는 선박이나 함정 등에서는 운항시 필요한 식수를 선박이나 함정에 저장한 상태로 출항하거나 또는 조수기를 이용하여 필요한 식수를 확보하게 된다.
상기 조수기는 역삼투압현상을 이용하여 해수를 담수로 제조하는 장치로서, 해수를 고압펌프로 이송시켜 삼투압 이상의 높은 압력을 가하여 분리막을 통과시키면 해수 속의 담수만 분리막을 통과하고 염분은 분리되도록 이루어진 것으로서, 강우량이 적은 지역이나 외부로부터 급수를 받아야 생활할 수 있는 도서지역에서도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와 같이 선박이나 함정에 필요한 식수를 저장한 상태로 출항할 경우, 식수를 구입하는데 많은 비용이 소요되고 식수를 선박에 저장하기 위한 별도의 작업을 행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조수기를 이용하여 선박 운항시 필요한 식수를 마련할 경우, 조수기의 설치 및 운용에 많은 비용이 소요됨은 물론, 필연적으로 염분의 완벽한 제거는 어렵기 때문에 물맛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공기 중에 포함된 습기를 응축시켜 이를 집수하여 식수로 사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되, 공기가 응축기를 먼저 거치면서 가열되어 포화수증기량이 증가 된 상태에서 증발기를 거치도록 함으로써 응축되는 습기의 양을 증가시켜 집수 되는 물의 양을 증가시키는 식수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식수 제조장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어 공기를 가열시키는 제1응축기와 가열된 공기 중의 수분을 응축하여 물을 생성하는 제1증발기를 포함하는 응축수단 및 상기 응축수단의 일측에 구비된 흡입팬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응축수단에서 공기는 제1응축기와 제1증발기를 차례로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응축수단을 구동시키는 제1모터, 대기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및 흡입팬을 구동시키는 제2모터가 구비되며, 상기 제1모터는 대기온도에 따라 작동시간과 정지시간이 교대로 반복될 수 있다.
제1모터의 작동시간은 대기온도가 기준온도 범위일 때 최대가 되며, 기준온도에서 멀어질수록 감소 될 수 있다.
제1모터의 작동시간 대비 정지시간은 기준온도 범위일 때 최소가 되며, 기준온도에서 멀어질수록 증가 될 수 있다.
제1모터의 작동시간 및 정지시간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주기는 기준온도에서 멀어질수록 줄어들 수 있다.
기준온도는 21℃ 내지 35℃ 범위에서 마련될 수 있다.
기준온도는 27℃ 내지 32℃ 범위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식수 제조장치에 따르면, 공기 중에 포함된 습기를 응축시켜 이를 집수하여 식수로 사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되, 공기가 응축기를 먼저 거치면서 가열되어 포화수증기량이 증가 된 상태에서 증발기를 거치도록 함으로써 응축되는 습기의 양을 증가시켜 집수 되는 물의 양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발휘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수 제조장치를 도시한 전면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수 제조장치에서 부품의 배관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수 제조장치를 도시한 후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수 제조장치의 제어상태를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응축수단의 온도에 따른 작동시간을 도시한 그래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응축수단의 온도에 따른 작동시간 대비 정지시간 비율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수 제조장치를 도시한 전면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수 제조장치에서 부품의 배관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수 제조장치를 도시한 후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수 제조장치의 제어상태를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응축수단의 온도에 따른 작동시간을 도시한 그래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응축수단의 온도에 따른 작동시간 대비 정지시간 비율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이하에서, 도 1의 필터부(131)가 구비된 면을 전면, 흡입팬(139)이 구비된 면을 후면이라고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수 제조장치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식수 제조장치의 외형을 이루는 케이스(100)와,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 구비되어 공기를 가열시키는 제1응축기(135)와 가열된 공기 중의 수분을 응축하여 물을 생성하는 제1증발기(137)를 포함하는 응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응축수단은 통상의 공기정화기와 유사한 구조의 냉각기가 사용될 수 있다. 즉 기체상태의 냉매를 고온, 고압으로 압축하는 제1압축기(111)와, 상기 제1압축기(111)에서 배출되는 고온, 고압의 냉매가스를 응축시키는 제1응축기(135)와, 상기 제1응측기(135)를 거쳐 팽창튜브(133)를 통과한 저압의 냉매를 증발시키는 제1증발기(137)를 포함하는 냉각시스템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0)는 상부(150), 중앙부(130) 및 하부(110)로 나눌 수 있다.
하부(110)에는 상기 제1증발기(137)를 통해 습기가 응집되어 낙하 되는 물을 모으는 물받이(113), 상기 물받이(113)의 물이 저장되는 저수조(115), 제1압축기(111) 및 제1압축기(111)를 구동시키는 제1모터(112)가 구비된다.
아울러, 물받이(113)의 하부에는 관로(114)가 구비되어 저수조(115)와 연결되며, 상기 관로(114)를 통하여 물받이(113)의 물이 저수조(115)로 채워질 수 있다.
중앙부(130)에는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시키는 필터부(131), 제1응축기(135), 제1응축기(135) 후방으로 팽창튜브(133) 및 제1증발기(137)가 구비된다.
아울러, 중앙부(130)에는 공기를 제1응축기(135) 측으로 흡입되도록 하는 흡입팬(139) 및 흡입팬(139)을 구동시키는 제2모터(138)가 상기 제1증발기(137)의 일측으로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100)의 전면 또는 측면에는 외부 공기가 케이스(100) 내부로 흡입될 수 있도록 도시되지 않은 공기 흡입구가 형성될 수 있으며, 케이스(100)의 후면에는 케이스(100) 내부의 공기가 케이스(100) 외부로 배출되도록 공기 배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압축기(111)를 통하여 냉매는 제1응축기(135)로부터 팽창튜브(133)와 제1증발기(137)를 통해 다시 제1응축기(135)로 순환되도록 구비되는데, 이때 흡입팬(139)의 회전으로 공기가 케이스(100) 내부로 흡입되면 필터부(131)를 통해 먼지 등의 이물질이 제거된다.
이어서, 흡입된 공기는 제1응축기(135)를 지나면서 공기가 가열되어 포화수증기량이 증가되기 때문에 더욱 많은 수증기를 수용한 후 제1증발기(137)를 지나면서 가열된 공기가 이슬점 이하로 냉각되면서 응축되어 공기 중에 포함된 습기는 이슬로 맺혀져 물받이(113)에 물이 고이게 된다.
참고로, 공기가 증발기와 응축기를 차례로 통과하는 종래의 식수 생성장치를 이용하여 대기온도 22도, 상대습도 60%인 상태에서 24시간 동안 실험한 결과 약 24리터 정도의 물이 생성된 반면, 본 발명에 따른 공기가 제1응축기(135)와 제1증발기(137)를 차례로 통과하는 식수 생성장치를 이용하여 같은 조건에서 실험한 결과 약 28리터 정도의 물이 생성되었다. 이는 종래의 식수 생성장치에서 생성된 24리터 정도의 물에 비해 약 17% 정도 증가된 것을 알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식수 제조장치에는 대기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온도센서(310) 및 대기습도를 측정할 수 있는 습도센서(320)를 구비하며, 온도센서(310)를 통하여 대기온도 데이터를 입력받아 미리 설정된 온도범위와 비교하는 제어부(200)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식수 제조장치에 전원을 연결하고 도시하지 않은 스위치를 켜면, 응축수단이 가동되고, 흡입팬(139)이 회전하여 식수제조가 시작된다.
스위치를 켠 상태에서 흡입팬(139)은 계속 회전하고, 상기 응축수단은 가동과 중단이 반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응축수단이 가동과 중단이 반복됨으로써 주위 온도에 따라 더 많은 양의 식수가 제조될 수 있다.
제어부(200)에는 저장부(210)가 구비되는데 저장부(210)에는 표 1과 같이, 미리 설정된 다수의 온도범위와 각각의 온도범위에 해당되는 제1모터(112)의 작동시간 및 정지시간이 저장되며, 이에 따른 그래프를 도 5에 도시하였다.
대기온도 작동시간 정지시간
12℃ ~ 17℃ 30분 5분
17℃ ~ 21℃ 40분 5분
21℃ ~ 27℃ 45분 5분
27℃ ~ 32℃ 50분 5분
32℃ ~ 35℃ 45분 5분
35℃ ~ 37℃ 35분 5분
37℃ ~ 39℃ 25분 5분
39℃ ~ 41℃ 15분 3분
41℃ ~ 42℃ 10분 3분
42℃ 이상 8분 3분
표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대기온도가 12℃ 내지 17℃ 범위일 때 제2모터(138)가 계속 작동되는 동안 제1모터(112)는 30분 작동하고, 5분 쉬는 주기를 반복하도록 하는 것이고, 대기온도가 27℃ 내지 32℃ 범위일 때 제1모터(112)는 50분 작동하고, 5분 쉬는 주기를 반복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주기에서 제1모터(112)의 작동시간은 대기온도가 27℃ 내지 32℃일 때 최대가 되고, 27℃ 내지 32℃를 기준으로 27℃ 미만 및 32℃ 초과 될수록 감소 되며,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모터(112)의 작동시간 대비 정지시간은 27℃ 내지 32℃일 때가 최소가 되고, 27℃ 내지 32℃를 기준으로 27℃ 미만 및 32℃ 초과 될수록 증가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일정한 주기 내에서 27℃ 내지 32℃일 때 제1모터(112)는 상대적으로 긴 시간 작동한 후 정지하고를 반복하고, 27℃ 미만 및 32℃ 초과 될수록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 작동하고 정지하고를 반복한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제어부(200)는 대기온도와 미리 설정된 온도를 비교한 후 이에 해당하는 작동시간 및 정지시간으로 제1모터(112)를 구동시키는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증발기(137)에 성에 등이 끼어 물의 생성이 줄어들면, 제어부(200)는 제1모터(112)를 짧게 작동시킨 후 정지시키고를 반복하면서 제1압축기(111)를 구동시킴으로써 성에를 제거할 수 있어서 물의 생성이 계속 진행될 수 있으며, 열대지역 등의 대기온도가 높고 습도가 높은 지역이라도 제1모터(112)의 작동시간 및 정지시간을 조절하여 물의 생성이 계속 진행될 수 있다.
이렇게 제1모터(112)의 작동시간과 정지시간을 대기온도에 따라 가변시킴으로써, 항상 일정한 양의 물을 얻을 수가 있다.
한편, 제1모터(112)가 작동되거나 또는 정지되거나 상관없이 흡입팬(139)을 구동시키는 제2모터(138)는 계속 작동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생성된 물이 저장되는 저수조(115)에는 제1수위조절센서(117)가 구비되어 저수조(115)에 일정량의 물이 채워지면 제1압축기(111), 제1응축기(135) 및 제1증발기(137)는 작동이 중지될 수 있고, 저수조(115)의 수위가 일정수준 이하로 내려가면 제1압축기(111), 제1응축기(135) 및 제1증발기(137)는 다시 작동될 수 있다.
상부(150)에는 상기 저수조(115)에 저장된 물을 공급받아 정화시키는 정수부(160), 상기 정수부(160)를 통하여 정화된 정수를 냉각 또는 가열시켜 사용자가 마시거나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식수 공급부(170)가 구비된다.
상기 정수부(160)는 복수의 필터부로 이루어지는데, 예를 들면 침전필터(161), 전처리카본필터(162), 멤브레인필터(163), 후처리카본필터(164)가 관로를 통하여 순차적으로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필터부의 선단부는 관로(119)를 통하여 저수조(115)와 연결되며, 침전필터(161)와 전처리카본필터(162) 사이에는 저수조(115)의 물을 필터부로 강제적으로 통과시키는 펌프(165)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필터부 말단부에는 정화된 물에 포함된 세균 및 미생물을 살균하는 살균램프(167)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정수부(160)를 통하여 물이 필터부들을 통과하면서 침전, 여과, 살균 등의 과정을 거쳐 물에 함유된 중금속 및 기타 유해물질이 제거된 후 식수공급부(170)로 전달된다.
식수공급부(170)에는 상기 정수부(160)를 통하여 전달되는 정화된 물이 저장되는 냉수탱크(171), 상기 냉수탱크(171)와 관로를 통하여 연결된 온수탱크(175), 상기 냉수탱크(171)의 물을 소정 온도 이하로 냉각하는 냉각수단과 상기 온수탱크(175)에 저장된 물을 소정 온도로 가열하는 가열수단 및 상기 냉수탱크(171)와 온수탱크(175)에 각각 연결되어 냉수 또는 온수가 배출되는 온수배출콕(177) 및 냉수배출콕(178)이 구비된다.
참고로, 상기 냉각수단과 가열수단은 필요에 따라 어느 하나만이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냉수탱크(171)에는 제2수위조절센서(172)가 구비되어 냉수탱크(171)에 일정량의 물이 항상 채워져 있도록 형성되는데, 상기 제2수위조절센서(172)와 상기 저수조(115)의 제1수위조절센서(117)는 통상적으로 수위를 조절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냉각수단으로는 상술한 제1압축기(111), 제1응축기(135) 및 제1증발기(137)에서의 냉동사이클을 이용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기체상태의 냉매를 고온, 고압으로 압축하는 제2압축기(181), 제2압축기(181)를 구동시키는 제3모터(182), 상기 제2압축기(181)에서 배출되는 고온, 고압의 냉매가스를 응축시키는 제2응축기(183), 상기 제2응축기(183)를 거친 저압의 냉매를 증발시키는 제2증발기(185)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제2압축기(181)를 통하여 냉매는 제2증발기(185)로부터 제2응축기(183)를 통해 다시 제2증발기(185)로 순환되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식수 제조장치는 선박이나 함정 또는 식수를 구하기 어려운 도서지역, 열대지역 등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되, 밀폐되지 않은 개방된 공간에 설치를 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겠다.
본 발명의 식수 제조장치를 사용하려면, 먼저 도시되지 않은 전원스위치를 온 하여 식수 제조장치에 전원을 인가하면, 인가된 전원에 의해 제1압축기(111), 제1응축기(135), 제1증발기(137), 정수부(160) 및 식수공급부(170)는 작동 가능한 상태로 전환된다.
그러한 상태에서 흡입팬(139)이 구동하면 케이스(100) 외부의 공기가 케이스(100) 내부로 흡입되면서 필터부(131)에서 공기 중의 이물질이 제거된 후 제1응축기(135)를 지나면서 냉매에 의하여 흡입된 공기가 가열되어 공기의 포화수증기량이 증가하고, 포화수증기량이 증가함에 따라 주변에 존재하는 공기 중 습기를 더 많이 수용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가열된 공기는 제1증발기(137)를 지나면서 냉매에 의하여 공기가 이슬점 이하로 냉각되면서 공기 중에 포함된 습기는 이슬로 맺혀지고, 이러한 이슬이 일정량 모이게 되면 물로 형성되어 물받이(113)로 자유낙하하고, 습기가 제거된 건조한 공기는 흡입팬(139)을 거쳐 케이스(100)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케이스(100) 외부로 배출되는 건조한 공기는 제1증발기(137)를 통하여 냉각된 공기가 되므로, 밀폐되지 않은 개방된 공간으로 배출되어 실내에 냉기를 공급함으로써 실내의 온도를 낮추는 효과도 나타낸다.
아울러, 제1증발기(137)에 성에가 끼거나, 상대습도가 높은 열대지방 등에서의 대기온도가 상승되는 등의 기준온도를 벗어나면, 제어부(200)는 대기온도와 미리 설정된 온도를 비교한 후 이에 해당하는 작동시간 및 정지시간으로 반복하여 제1모터(112)를 구동시킬 수가 있다.
이렇게 제1모터(112)의 작동시간과 정지시간을 대기온도에 따라 변경시킴으로써, 일정한 양의 물을 얻을 수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물받이(113)에 물이 모이면, 이 물은 관로(114)를 통하여 저수조(115)로 저장된다.
이때, 저수조(115)에 설치된 제1수위조절센서(117)로 인하여 저수조(115)에 일정량의 물이 채워지면 제1압축기(111), 제1응축기(135) 및 제1증발기(137)의 작동이 중지되고, 저수조(115)의 수위가 일정수준 이하로 내려가면 제1압축기(111), 제1응축기(135) 및 제1증발기(137)가 다시 작동되어 저수조(115)의 수위는 항상 일정한 범위를 유지하게 된다.
이렇게 생성된 저수조(115)의 물은 펌프(165)의 작동으로 필터부(28a, 28b, 28c, 28d)들을 통과되면서 침전, 여과, 살균 등의 과정을 거쳐 물에 함유된 중금속 및 기타 유해물질이 제거된 후, 살균램프(167)를 통하여 제거되지 않은 세균이나 인체에 해로운 미생물을 다시 한번 살균한 다음 냉수탱크(171)로 저장된다.
그리고, 냉수탱크(171)의 정화된 물의 일부분은 수압에 의하여 온수탱크(175)로 보내져 냉수탱크(171) 및 온수탱크(175)에서 항상 소정량의 물이 채워진 상태가 되는데, 이때 냉수탱크(171)와 온수탱크(175)에 각각 제공된 냉각수단과 가열수단을 통하여 냉수와 온수는 소정의 온도로 각각 냉각 및 가열된 상태로 저장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냉수탱크(171)와 온수탱크(175)에 각각 연결된 배출콕(177, 178)을 조작하여 냉수 또는 온수를 컵이나 용기에 적당량을 배출시켜 사용하면 된다.
냉수탱크(171)와 온수탱크(175)의 물이 일정량 배출되면 배출된 양만큼의 물이 상술한 바와 같은 정화과정을 거쳐 냉수탱크(171)와 온수탱크(175)에 채워진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케이스 135: 제1응축기
137: 제1증발기 139: 흡입팬

Claims (7)

  1. 케이스(100);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 구비되어 공기를 가열시키는 제1응축기(135)와 가열된 공기 중의 수분을 응축하여 물을 생성하는 제1증발기(137)를 포함하는 응축수단 및
    상기 응축수단의 일측에 구비된 흡입팬(139)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응축수단에서 공기는 제1응축기(135)와 제1증발기(137)를 차례로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수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0)에는
    상기 응축수단을 구동시키는 제1모터(112);
    대기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310) 및
    흡입팬(139)을 구동시키는 제2모터(138)가 구비되며,
    상기 제1모터(112)는 대기온도에 따라 작동시간과 정지시간이 교대로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수 제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제1모터(112)의 작동시간은 대기온도가 기준온도 범위일 때 최대가 되며, 기준온도에서 멀어질수록 감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수 제조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제1모터(112)의 작동시간 대비 정지시간은 기준온도 범위일 때 최소가 되며, 기준온도에서 멀어질수록 증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수 제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제1모터(112)의 작동시간 및 정지시간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주기는 기준온도에서 멀어질수록 줄어드는 것을 특징으로 식수 제조장치.
  6. 제3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기준온도는 21℃ 내지 35℃ 범위에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수 제조장치.
  7. 제3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기준온도는 27℃ 내지 32℃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수 제조장치.
KR1020100063457A 2010-07-01 2010-07-01 식수 제조장치 KR201200027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3457A KR20120002774A (ko) 2010-07-01 2010-07-01 식수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3457A KR20120002774A (ko) 2010-07-01 2010-07-01 식수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2774A true KR20120002774A (ko) 2012-01-09

Family

ID=45609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3457A KR20120002774A (ko) 2010-07-01 2010-07-01 식수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277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8065B1 (ko) * 2019-04-29 2019-10-30 필드스톤 주식회사 발전시설을 이용한 식수 및 생활용수 공급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8065B1 (ko) * 2019-04-29 2019-10-30 필드스톤 주식회사 발전시설을 이용한 식수 및 생활용수 공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0745B1 (ko) 식수 제조장치
US7861544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creating sparkling water from the atmosphere
US8943843B2 (en) Energy-saving and environmentally-friendly multipurpose air conditioning as a generator of dew drinking water, hot water and dryer
US9057557B2 (en) Apparatus and method to recover and dispense potable water
TWI679381B (zh) 改進的空調單元
WO2008108740A1 (en) System and method for atmospheric water generation over extended range of ambient temperatures
JP2010524658A (ja) 蒸留器
CN202347580U (zh) 一种除湿净水装置
KR20120003141A (ko) 온도 가변 식수 제조장치
JPS6344030B2 (ko)
KR20050027843A (ko) 식수 제조장치
US10962290B2 (en) High-efficiency air water system for tropical climate
KR20120002774A (ko) 식수 제조장치
KR20090098946A (ko) 에너지절감형 복합 식수제조장치
KR20100104336A (ko) 에어 워터 공급장치
CN201831681U (zh) 空气制水饮水机
KR100753205B1 (ko) 콤팩트형 위생안전 냉온수기
JP4593698B2 (ja) 取水装置
JPS6075389A (ja) 飲料水製造装置
WO2005054763A1 (fr) Dispositif de refrigeration combine
CN204039374U (zh) 用于从大气中生产啤酒的设备
KR20050031164A (ko) 식수 제조방법
CN206514448U (zh) 一种空调
KR100604110B1 (ko) 식수 제조 시스템
KR20020073311A (ko) 정수기와 가습기가 겸비된 냉/온풍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