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2427U - 어망 - Google Patents

어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2427U
KR20120002427U KR2020100010054U KR20100010054U KR20120002427U KR 20120002427 U KR20120002427 U KR 20120002427U KR 2020100010054 U KR2020100010054 U KR 2020100010054U KR 20100010054 U KR20100010054 U KR 20100010054U KR 20120002427 U KR20120002427 U KR 2012000242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wire
pipe
diameter
inlet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00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오
Original Assignee
이종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오 filed Critical 이종오
Priority to KR20201000100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2427U/ko
Publication of KR2012000242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242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20Keepnets or other containers for keeping captured fis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3/00Drawn ne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어망은 링 형상으로 권회된 제1 코일과, 전술한 제1 코일과 동일한 직경으로 권회되어 대향되게 배치되는 링 형상의 제2 코일과, 전술한 제1 코일보다 직경이 작거나 같은 입구링과, 전술한 입구링과 전술한 제1 코일 및 전술한 제2 코일의 가장자리를 순차적으로 감싸며 전술한 제2 코일측을 마감하는 그물과, 전술한 제1 코일과 전술한 제2 코일 각각의 단부를 연장하여 적어도 1회 이상 나선 형상으로 권회되어 전술한 제1 코일과 전술한 제2 코일의 가장자리가 상호 근접 또는 이격되게 탄성 변형하면서 신축하는 가변구를 포함하며, 전술한 제1 코일은 전술한 그물과 별도로 가장자리를 따라 점차 좁아지게 연장되는 양단 관통의 보조망과, 전술한 보조망의 전술한 입구링측 가장자리를 따라 장착되고 전술한 입구링보다 작은 범위 내에서 직경이 가변되는 보조 입구링이 포함된다.

Description

어망{FISH NET}
본 고안은 어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납과 정리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음은 물론, 낚시할 때 포획한 물고기가 탈출하지 않도록 내부에 담아둘 수 있도록 하는 어망에 관한 것이다.
어망은 낚시할 때 포획한 물고기를 넣고, 담수 또는 해수에 담가두어 포획된 물고기가 신선한 상태 또는 살아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도구이다.
어망은 통상 각형 또는 환형으로 제작된 복수개의 프레임이 골조를 이루고, 프레임의 가장자리를 그물이 감싸 전체적으로 통 형상을 이루게 된다.
그러나, 어망은 포획된 물고기가 탈출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그물의 입구를 끈 등으로 묶어서 호수, 저수지, 강 또는 바닷가에 고정시키고 나머지 부분을 침수시키게 되는데, 그물 내에 담겨진 물고기가 많거나 살아있는 큰 물고기가 담긴 경우는 물고기의 하중 또는 물고기의 몸부림 등으로 인하여 고정된 그물의 입구가 파손되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어망은 그물의 입구를 확실하게 단속하지 않으면, 그물의 입구를 통하여 포획된 물고기가 분실되거나 그물로부터 도주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고안은 수납과 정리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음은 물론, 낚시할 때 포획한 물고기가 탈출하지 않도록 내부에 담아둘 수 있도록 하는 어망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어망은 링 형상으로 권회된 제1 코일과, 전술한 제1 코일과 동일한 직경으로 권회되어 대향되게 배치되는 링 형상의 제2 코일과, 전술한 제1 코일보다 직경이 작거나 같은 입구링과, 전술한 입구링과 전술한 제1 코일 및 전술한 제2 코일의 가장자리를 순차적으로 감싸며 전술한 제2 코일측을 마감하는 그물과, 전술한 제1 코일과 전술한 제2 코일 각각의 단부를 연장하여 적어도 1회 이상 나선 형상으로 권회되어 전술한 제1 코일과 전술한 제2 코일의 가장자리가 상호 근접 또는 이격되게 탄성 변형하면서 신축하는 가변구를 포함하며, 전술한 제1 코일은 전술한 그물과 별도로 가장자리를 따라 점차 좁아지게 연장되는 양단 관통의 보조망과, 전술한 보조망의 전술한 입구링측 가장자리를 따라 장착되고 전술한 입구링보다 작은 범위 내에서 직경이 가변되는 보조 입구링이 포함되는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어망은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우선, 제1, 2 코일 사이를 신축하는 가변구에 의하여 수납의 편의를 도모할수 있으며 공간을 절약할 수 있음은 물론, 가변구가 탄성 변형력으로 신장되므로 그물이 엉키거나 꼬인 부분이 없어 포획된 물고기의 피부가 상하지 않으면서 살아있는 물고기의 경우 적당한 유영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그물과 별도로 보조망을 마련하여 그물 속에 포획된 물고기가 분실되거나 도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보조망의 가장자리를 따라 직경이 가변되는 보조 입구링을 마련하여 보조 입구링의 수축된 상태의 직경보다 큰 물고기를 수용하고 보조 입구링의 단부를 고정할 수 있으므로 유용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망이 신장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 개념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망이 수축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망의 주요부인 보조 입구링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 내지 도 8은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어망의 주요부인 보조 입구링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망이 신장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 개념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망이 수축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제1 코일(100)은 링 형상으로 권회되어 후술할 가변구(500)의 일단부가 연장되며, 전체적인 어망의 상부 골조를 이루는 부분이다.
제2 코일(200)은 제1 코일(100)과 동일한 직경으로 권회되어 제1 코일(100)과 대향되게 배치되는 링 형상의 것으로, 후술할 가변구(500)의 타단부가 연장되며, 전체적인 어망의 하부 골조를 이루는 부분이다.
입구링(300)은 제1 코일(100)보다 직경이 작거나 같은 것으로, 후술할 그물(400)이 연결되는 어망의 입구이다.
어망(400)은 입구링(300)과 제1 코일(100) 및 제2 코일(200)의 가장자리를 순차적으로 감싸며 제2 코일(200)측을 마감하는 것으로, 포획된 물고기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면서 수축시에는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다.
가변구(500)는 제1 코일(100)과 제2 코일(200) 각각의 단부를 연장하여 적어도 1회 이상 나선 형상으로 권회되어 제1 코일(100)과 제2 코일(200)의 가장자리가 상호 근접 또는 이격되게 탄성 변형하면서 신축하는 것으로, 전체적인 어망의 중간 골조를 이루는 부분이며 일종의 코일 스프링이다.
보조망(600)은 제1 코일(100)의 가장자리를 따라 그물(400)과는 별도로 점차 좁아지게 연장되는 양단 관통의 것으로, 포획된 물고기가 분실되거나 그물(400) 외부로 도주하지 못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보조망(600)의 입구링(300)측 가장자리에는 입구링(300)의 직경보다 작은 범위 내에서 직경이 가변될 수 있는 구조의 보조 입구링(700)이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구링(300)과 보조 입구링(700)은 공히 그물(400) 및 보조망(600)의 꼬임을 방지하고 그물(400) 및 보조망(600)이 일정한 장력을 유지하여 물 속에서 신장된 상태로 있도록 함으로써 그물(400) 내부에 포획된 물고기가 신선한 상태를 유지하거나 살아있는 물고기의 경우 충분한 유영 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 의하여 적용이 가능하며, 보다 상세한 설명을 위하여 본 고안의 주요부에 대하여 더욱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제1 코일(100)에는 도 2와 같이 가변구(500)가 압축되어 제1, 2 코일(100, 200)이 상호 근접되면 제1 코일(100)로부터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2 코일(200)의 가장자리를 고정하는 고정클립(800)이 적어도 하나 이상 더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어망을 사용하지 않을 때는 가변구(500)를 압축시켜 고정클립(800)으로 제1, 2 코일(100, 200)을 상호 접촉 고정시켜 좁은 공간이나 틈 사이에 수납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보조 입구링(7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직경이 가변되도록 하면서 보조망(600)의 꼬임 등을 방지하고, 물고기의 분실 및 도주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도 3과 같이 커버파이프(710)와 와이어(720)와 신축부재(730) 및 마감파이프(740)를 포함하는 구조임을 알 수 있다.
커버파이프(710)는 링 형상으로 굴곡되는 양단 관통인 관재이며, 와이어(720)는 커버파이프(710)의 강도를 보강하며 굴곡 가능한 금속재의 것으로, 내부식성 및 내해수성 등이 우수한 재질을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신축부재(730)는 와이어(720)의 양단부를 상호 연결하며 길이가 가변되는 것으로, 보조 입구링(700)의 수축된 상태의 직경보다 큰 물고기를 그물(400) 속으로 집어넣거나 빼낼 때 유용할 것이다.
마감파이프(740)는 커버파이프(710)의 일단에 장착되고 신축부재(730)가 커버파이프(710)에 수납되면 커버파이프(710)의 양단을 상호 고정시키는 것으로, 마감파이프(740)의 내경(di)은 커버파이프(710)의 외경(do)에 대응되도록 한다.
마감파이프(740)는 신축부재(730)가 불시에 신장되어 그물(400) 속의 물고기가 외부로 도주하거나 분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마련된다.
여기서, 전술한 신축부재(730)는 도 4와 같이 신축부재(730)는 양단부가 와이어(720)의 양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코일 스프링(731)이거나, 도 5와 같이 양단부가 와이어(720)의 양단부를 상호 연결하며 신축 가능한 탄성 재질의 연결띠(732) 형태를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신축부재(730)는 도 6과 같이 제1, 2 신축관(733, 734) 사이에 장착된 연결 신축관(735)이 수납 또는 인출되는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즉, 제1 신축관(733)은 와이어(720)의 일단부와 연결되어 커버파이프(710)에 내장되며 굴곡 가능한 양단 관통의 것이며, 제2 신축관(734)은 와이어(720)의 타단부와 연결되며 제1 신축관(733)보다 직경이 작으며 굴곡 가능한 양단 관통의 것이다.
연결 신축관(735)은 제1 신축관(733)과 제2 신축관(734)에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연결되며, 제1 신축관(733)보다 직경이 작고 제2 신축관(734)보다 직경이 큰 굴곡 가능한 양단 관통의 부재이다.
따라서, 연결 신축관(735) 및 제2 신축관(734)은 순차적으로 제1 신축관(733)에 수납 또는 인출되는 것이다.
또한, 신축부재(730)는 도 7 및 도 8과 같이 태엽의 원리를 이용한 신축태엽(736)이 신축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신축태엽(736)은 일단부는 와이어(720)의 일단부 외주면에 고정되어 도 7과 같이 와이어(720)의 일단부 외주면 상에 복수회 겹쳐지게 권취되고, 타단부는 와이어(720)의 타단부 외주면에 고정되어, 와이어(720)의 양단부가 상호 이격되면 풀리면서 도 8과 같이 신장되고 와이어(720)의 양단부가 상호 근접하면 감기면서 수축하는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의 것이다.
신축부재(730)를 포함한 보조 입구링(700)은 전술한 구조 외에도 당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수납과 정리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음은 물론, 낚시할 때 포획한 물고기가 탈출하지 않도록 내부에 담아둘 수 있도록 하는 어망을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제1 코일 200...제2 코일
300...입구링 400...그물
500...가변구 600...보조망
700...보조 입구링 710...커버파이프
720...와이어 730...신축부재
731...코일 스프링 732...연결띠
733...제1 신축관 734...제2 신축관
735...연결 신축관 736...신축태엽
740...마감파이프 800...고정클립

Claims (7)

  1. 링 형상으로 권회된 제1 코일;
    상기 제1 코일과 동일한 직경으로 권회되어 대향되게 배치되는 링 형상의 제2 코일;
    상기 제1 코일보다 직경이 작거나 같은 입구링;
    상기 입구링과 상기 제1 코일 및 상기 제2 코일의 가장자리를 순차적으로 감싸며 상기 제2 코일측을 마감하는 그물; 및
    상기 제1 코일과 상기 제2 코일 각각의 단부를 연장하여 적어도 1회 이상 나선 형상으로 권회되어 상기 제1 코일과 상기 제2 코일의 가장자리가 상호 근접 또는 이격되게 탄성 변형하면서 신축하는 가변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코일은 상기 그물과 별도로 가장자리를 따라 점차 좁아지게 연장되는 양단 관통의 보조망과,
    상기 보조망의 상기 입구링측 가장자리를 따라 장착되고 상기 입구링보다 작은 범위 내에서 직경이 가변되는 보조 입구링이 포함되는 어망.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일에는,
    상기 가변구가 압축되어 상기 제1, 2 코일이 상호 근접되면 상기 제1 코일로부터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2 코일의 가장자리를 고정하는 고정클립이 적어도 하나 이상 더 마련되는 어망.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입구링은,
    링 형상으로 굴곡되는 양단 관통인 커버파이프와,
    상기 커버파이프에 내장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의 양단부를 상호 연결하며 길이가 가변되는 신축부재와,
    상기 커버파이프의 일단에 장착되고 신축부재가 상기 커버파이프에 수납되면 상기 커버파이프의 양단을 상호 고정시키는 마감파이프를 포함하며,
    상기 마감파이프의 내경은 상기 커버파이프의 외경에 대응되는 어망.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부재는 양단부가 상기 와이어의 양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코일 스프링인 어망.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부재는 양단부가 상기 와이어의 양단부를 상호 연결하며 신축 가능한 탄성 재질의 연결띠인 어망.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부재는,
    상기 커버파이프에 내장되게 상기 와이어의 일단부와 연결되고 굴곡 가능한 양단 관통의 제1 신축관과,
    상기 와이어의 타단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1 신축관보다 직경이 작으며, 굴곡 가능한 양단 관통의 제2 신축관과,
    상기 제1 신축관과 상기 제2 신축관에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연결되며, 상기 제1 신축관보다 직경이 작고 상기 제2 신축관보다 직경이 큰 굴곡 가능한 양단 관통의 연결 신축관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 신축관 및 상기 제2 신축관은 순차적으로 상기 제1 신축관에 수납 또는 인출되는 어망.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부재는,
    일단부는 상기 와이어의 일단부 외주면에 고정되어 상기 와이어의 일단부 외주면 상에 복수회 겹쳐지게 권취되고, 타단부는 상기 와이어의 타단부 외주면에 고정되어, 상기 와이어의 양단부가 상호 이격되면 풀리면서 신장되고 상기 와이어의 양단부가 상호 근접하면 감기면서 수축하는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의 신축태엽인 어망.
KR2020100010054U 2010-09-29 2010-09-29 어망 KR2012000242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0054U KR20120002427U (ko) 2010-09-29 2010-09-29 어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0054U KR20120002427U (ko) 2010-09-29 2010-09-29 어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2427U true KR20120002427U (ko) 2012-04-06

Family

ID=46606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0054U KR20120002427U (ko) 2010-09-29 2010-09-29 어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2427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04182A (zh) * 2013-12-16 2014-04-09 浙江海洋学院 一种新型海上捕鱼装置
CN110081776A (zh) * 2019-05-27 2019-08-02 合肥衡磊警用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防暴约束网
US20210105990A1 (en) * 2019-10-09 2021-04-15 Daniel Lee Davidson Scallop harvesting bag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04182A (zh) * 2013-12-16 2014-04-09 浙江海洋学院 一种新型海上捕鱼装置
CN110081776A (zh) * 2019-05-27 2019-08-02 合肥衡磊警用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防暴约束网
US20210105990A1 (en) * 2019-10-09 2021-04-15 Daniel Lee Davidson Scallop harvesting bag
US11779002B2 (en) * 2019-10-09 2023-10-10 Pluck Em Dive Sports Llc Scallop harvesting ba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02427U (ko) 어망
US5577932A (en) Coiled electrical cord retainer
US20100115819A1 (en) Rigid-rod-anchor-weight assembly
AU2002301546A1 (en) Case Structure for Housing Fishing Hook and its Fixing Method
JP2015516799A (ja) ネット、及びこのネットを製造するための装置
US8001717B1 (en) Collapsible fishing bait pen
KR20110080115A (ko) 적층이 가능한 통발
US20160100560A1 (en) Protective device for animal breeding, such as the breeding of fish, mussels or molluscs
KR101216718B1 (ko) 원터치형 새우 채집 장치
KR101384136B1 (ko) 접이식 어패류 포획용 통발
CN211882632U (zh) 头发固定装置
US20170130478A1 (en) Storage Basket
US20180271248A1 (en) Hair tie
KR100751806B1 (ko) 신축성을 구비한 전선 케이블
US20180313469A1 (en) Apparatus for routing cables through a cable support system
US20140331542A1 (en) Materials and Method for Waterfowl Decoy Rigging Systems
WO2004008908A2 (en) Sheath for collapsing and encasing a hammock
KR200438781Y1 (ko) 나선결합된 접철식골조가 구성된 살림망
CN206565124U (zh) 一种具有快速收口装置的手抄网
KR20110115637A (ko) 적층이 가능한 통발
US20160255945A1 (en) Waterfowl decoy carrying and storage device
KR20080020874A (ko) 고탄성 민물 낚시대
JP2010058716A (ja) ロープ用保護カバー及びロープの保護方法
KR102671820B1 (ko) 밴드형 정치망 부자 커버
KR20180043545A (ko) 그물망의 강도를 높여 파손이 방지되도록 이루어지는 살림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