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2105U - 영ㆍ유아 감각능력 개발용 앞치마 - Google Patents

영ㆍ유아 감각능력 개발용 앞치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2105U
KR20120002105U KR2020100009631U KR20100009631U KR20120002105U KR 20120002105 U KR20120002105 U KR 20120002105U KR 2020100009631 U KR2020100009631 U KR 2020100009631U KR 20100009631 U KR20100009631 U KR 20100009631U KR 20120002105 U KR20120002105 U KR 2012000210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ant
apron
sensory
infants
develop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96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희훈
전은주
Original Assignee
정희훈
전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희훈, 전은주 filed Critical 정희훈
Priority to KR20201000096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2105U/ko
Publication of KR2012000210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210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4Aprons; Fastening devices for apr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15/00Shoulder or like strap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007Signall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023Colour matching, recognition, analysis, mixture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영ㆍ유아 감각능력 개발용 앞치마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앞치마 몸체를 구성하는 겉감(10)과, 사용자의 어깨에 걸 수 있도록 상기 겉감(10)의 상부에 부착된 어깨끈(20) 및 상기 겉감(10)의 안쪽에 부착된 안감(30)으로 이루어지는 앞치마에 있어서, 상기 겉감(10)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탈착 수단(11); 및 상기 탈착수단에 대응되는 부착수단(41)을 구비하는 하나 이상의 영ㆍ유아 감각자극 완구(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ㆍ유아 감각능력 개발용 앞치마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영ㆍ유아의 촉각, 시각, 청각 등을 복합적으로 자극하여 감각능력을 발달시킴과 동시에 보호자와 영ㆍ유아 사이의 상호작용을 도모하여 영ㆍ유아의 정서적 안정과 생리적 발달을 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영ㆍ유아 감각능력 개발용 앞치마{Apron for developing sensory ability of infant}
본 고안은 영ㆍ유아의 감각능력을 개발하도록 고안된 앞치마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의료기술의 발달로 미숙아의 사망률은 극적으로 감소하였으나 미숙아에게 나타날 수 있는 건강문제로 인지 장애, 학습장애, 행동장애를 비롯하여 심하면 뇌성마비나 정신박약과 같은 심각한 신경 발달 장애도 나타나고 있으며, 미숙아는 정상영아보다 발달장애의 발생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신생아 집중 치료실을 시작으로 어머니와 분리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미성숙한 신경근육체계를 가지고 있어, 환경 자극에 대한 부적절한 행동을 보이게 되며, 이들 행동은 어머니로 하여금 미숙아와의 상호 작용을 어렵게 만들고 있다. 또한 정상적으로 감각자극을 변별하고 통합할 수 있는 능력이 충분히 발달되어 있지 않다.
또한 출생 후 저체중아가 생활하는 병원환경은 저체중아의 감각 발달 정도와는 상당한 차이가 있는데 태아 초기부터 꾸준하게 발달한 전정자극과 촉각자극은 상대적으로 부족하고 비교적 발달되지 않는 청각자극과 시각자극은 강한 빛과 소음에 의해 지속적으로 자극받게 된다(White-Traut, Nelson, Burns, & Cunningham, 1994). 특히, 영아의 촉각 자극은 출생 시 비교적 잘 발달되어 있는 감각으로, 최적의 성장 발달 및 모아 관계 형성에 기본이 되며, 촉각자극을 통한 학습은 다른 감각을 통한 연계 학습에 절대적으로 필요한 부분으로, 이러한 촉각 자극은 자신과 주위환경에 대한 의식력을 높여서 개인에게 의미 있는 감각과 지각의 발달을 유도하며 다른 자극과 연계를 촉진하는 기능을 하는 바, 상기 감각 자극의 불일치는 저체중아의 성장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출생 직후부터 어머니와 분리되어 어머니와 영아간 접촉 행동이 지연되고, 모아간 상호작용 발달도 저조하다는 문제점이 있다(Kuhn & Schanberg, 1998).
또한, 영아의 성장발달을 위해서는 초기 모아 상호작용의 경험이 중요한데 어머니와 영아가 장기간 분리되어 모아 상호작용 발달이 저조한 경우에는 영아의 생리적인 발달과 심리적인 발달뿐만 아니라 성장과 뇌의 조직화에도 영향을 미친다. 이에, 이러한 저체중아의 성장 발달 및 모아 상호작용과 관련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저체중아에게 부족한 태내 감각자극과 유사한 중재들을 적용할 수 있는데 여러 선행 보고에 의하면, 촉각, 전정, 청각, 시각 자극들을 개별적으로 적용한 단일 감각보다는 둘 이상의 자극을 혼합한 통합 감각자극이 더 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이들 통합 감각자극들은 간호사가 자극을 제공하는 주체였고 중재기간은 저체중아가 신생아 집중치료실에 입원한 기간에만 국한되어 있어 저체중아가 퇴원하게 되면 중재가 단절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보고에 의하면 복합 감각자극은 영아의 체중증가와 두위 증가에 큰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모아 상호작용이 쉽지 않은 시기에도 영아의 시각 발달 과정이 흑백구분에서 시작하여 점차 색 구분으로 발달하는 과정에 따라 감각자극 장난감을 개월 수에 맞도록 선택하면 곁에 있거나 수유를 하는 등 일상생활에서도 감각 자극을 줄 수 있다. 그리고 많은 시간을 아이를 안고 보내는 시기에는 여러 가지 형태의 감각자극 놀이기구가 엄마 품에 있다면 놀이를 의도하지 않은 시간에도 아이에게는 좋은 감각자극은 물론이고 모아 상호작용에 있어 영아와의 반응을 좀 더 효율적으로 이끌어 낼 수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영ㆍ유아의 촉각, 시각, 청각 등을 복합적으로 자극하여 감각능력을 발달시킴과 동시에 모아(母兒) 상호작용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 오도록 한, 영ㆍ유아 감각능력 개발용 앞치마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상기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앞치마 몸체를 구성하는 겉감(10)과, 사용자의 어깨에 걸 수 있도록 상기 겉감(10)의 상부에 부착된 한 쌍의 어깨끈(20) 및 상기 겉감(10)의 안쪽에 부착된 안감(30)으로 이루어지는 앞치마에 있어서, 상기 겉감(10)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탈착 수단(11); 및 상기 탈착수단에 대응되는 부착수단(41)을 구비하는 하나 이상의 영ㆍ유아 감각자극 완구(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ㆍ유아 감각능력 개발용 앞치마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감(30)은 전자파를 차단하는 금속사원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겉감(10)의 하단에는 하나 이상의 주머니(50)가 더 형성되도록 한다. 이 때, 상기의 주머니(50)도 영ㆍ유아의 감각자극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으므로 다양한 형상과 다양한 촉감으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영ㆍ유아 감각자극 완구(40)는 내부에 솜이나 스펀지형태의 쿠션부재가 충진된 봉제인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봉제인형의 내부에, 몸체를 누르면 녹음된 소리가 나도록 작동되는 스피커, 몸체를 누르면 소리가 나도록 하는 삑삑이, 복수 개의 구슬 또는 소리가 나는 방울 중 어느 하나를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영ㆍ유아의 청각을 보다 효과적으로 자극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봉제인형은 각각 다른 색상과 다른 촉감의 직물로, 각각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영ㆍ유아의 시각과 촉각을 보다 효과적으로 자극하여 줄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봉제인형은 동물형상 봉제인형, 과일형상 봉제인형, 주방용품 형상 봉제인형, 문구용품 형상 봉제인형 또는 자연물 형상의 봉제인형일 수 있으며, 흑백대비에서부터 강렬한 원색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색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부드럽거나 털재질이거나 딱딱한 촉감 등 다양한 촉감으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른 색상, 다른 촉감, 다른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시각, 촉각 등 부모가 아이의 선호에 따라 선택하여 복합적으로 영ㆍ유아의 감각을 자극하여 줄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영?유아의 촉각, 시각, 청각 등을 복합적으로 자극하여 감각능력을 발달시킴과 동시에 모아(母兒) 상호작용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 오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고안은 엄마 또는 간호사 등 영?유아의 보호자가 아이의 개월 수나 아이가 좋아하는 선호도에 따라 감각을 자극할 수 있는 완구를 다르게 부착하여 아이의 관심과 놀이를 유도하여 아이의 감각능력을 개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호자와 아이가 이러한 놀이 등으로 인하여 원활하고 보다 친밀하게 상호작용을 할 수 있게 되어 의사소통을 좀 더 쉽게 할 수 있고, 보호자의 육아 스트레스나 아이의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게 될 수 있게 되는 효과도 거둘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더욱이, 초산인 엄마의 경우 이러한 감각자극을 줄 수 있는 본 고안을 이용하여 아이와의 상호작용이 좀 더 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출산 초기 미숙한 육아에도 도움을 줄 수 있게 된다. 또한 신생아실이나 산후조리원 등에서 엄마를 대신하여 육아를 담당하게 되는 보호자가 아이의 관심을 유도하면서 자연스럽게 아이의 감각을 통합적으로 자극하여 줄 수 있고 아이와 보다 상호작용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와 영ㆍ유아의 생리적인 발달과 심리적인 발달을 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수유시 수유가리개로도 활용이 가능하다.
도 1은 영ㆍ유아 감각자극 완구를 탈착한 상태의 본 고안 앞치마 앞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 앞치마의 뒷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영ㆍ유아 감각자극 완구를 부착하고 어깨끈을 연결한 상태의 본 고안 앞치마 앞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영ㆍ유아 감각자극 완구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 영ㆍ유아 감각자극 완구가 부착된 본 고안 앞치마의 시제품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고안 영ㆍ유아 감각자극 완구의 시제품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영ㆍ유아 감각능력 개발용 앞치마를 설명하면 본 고안 영ㆍ유아 감각능력 개발용 앞치마는, 앞치마 몸체를 구성하는 겉감(10)과, 사용자의 어깨에 걸 수 있도록 상기 겉감(10)의 상부에 부착된 어깨끈(20) 및 상기 겉감(10)의 안쪽에 부착된 안감(30)으로 이루어지는 앞치마에 있어서, 상기 겉감(10)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탈착 수단(11); 및 상기 탈착수단에 대응되는 부착수단(41)을 구비하는 하나 이상의 영ㆍ유아 감각자극 완구(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겉감(10)은 단추, 벨크로 등에 의하여 안감과 탈부착가능하도록 결합ㆍ고정되도록 하며, 이 때, 상기 겉감(10)은 영ㆍ유아의 감각자극을 효과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도록 가능한 한 원색으로 형성되어 영ㆍ유아의 시각을 자극하고, 도톰한 누빔소재로 형성되도록 하여 영ㆍ유아의 촉각을 자극하도록 한다. 도 2 및 도 5를 참고하면, 본 고안의 일 양태로서 단추에 의하여 겉감과 안감이 결합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노란색의 도톰한 누빔소재로 제조되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겉감(10)의 상부에는 어깨끈(20)이 부착되어 사용자의 어깨에 앞치마를 걸 수 있도록 한다. 도 1 및 도 3을 참고하면, 어깨끈의 말단부에 복수 개의 단추(21)를 달고, 상기 겉감 중앙부의 좌, 우 양단에 단추구멍(12, 13)을 형성하여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에 맞게 상기 어깨끈이 사용자의 목 뒤에서 교차되도록 하여 상기 겉감의 좌, 우 양단에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어깨끈과 겉감 사이로 사용자의 팔을 집어넣어 사용자의 어깨에 본 고안 앞치마가 걸리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단추와 단추구멍을 이용하였지만, 벨크로 암과 수, 똑딱이 단추 암과 수 등의 탈부착수단을 이용하여 어깨끈이 겉감의 상부와 결합고정될 수 있고, 어깨끈에는 복수 개의 벨크로 암 또는 수, 복수 개의 똑딱이 단추 암 또는 수 등을 구비하여 어깨끈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겉감(10)에 구비되는 탈착수단(11)과 상기 탈착수단(11)에 대응되는 부착수단(41)은, 벨크로 암과 수, 똑딱이 단추 암과 수, 단추 또는 단추구멍 등 통상의 탈,부착수단을 의미한다. 도 1 및 도 4를 참고하면, 본 고안 일 양태로서 똑딱이 단추 암과 수를 탈,부착수단으로 이용하였고, 상기 똑딱이 단추 암과 수는 자석의 N극과 S극을 각각 가지도록 하여 부착력을 높이도록 하였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탈착수단(11)은 상기 겉감(10)의 중앙부 또는 하부에 구비하여 영ㆍ유아의 눈높이 또는 손을 뻗었을 때의 높이에 맞도록 하였다. 즉, 본 고안 앞치마에 달린 완구(40)를 보여주거나, 만져볼 수 있도록 하는 것 외에도 탈?부착이 용이하게 하여 쉽게 떼었다 붙였다 하면서 놀이를 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입체적인 역할을 극대화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상기 탈착수단(11)과 부착수단(41)에 자석을 구비하는 경우의 전자파 발생은 물론 일상생활에서 발생되는 전자파의 발생을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안감은 전자파를 차단할 수 있는 금속사원단으로 구성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겉감(10)의 하단에는 하나 이상의 주머니(50)를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영?유아 감각자극 완구(40)를 주머니에서 꺼내어 부착하거나 탈착하여 주머니에 넣도록 함으로써 영ㆍ유아의 시선을 끌어 보호자와의 상호작용을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영ㆍ유아 감각자극 완구(40)는 내부에 솜이나 스펀지 형태의 쿠션부재가 충진된 봉제인형으로 제조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봉제인형 내부에, 몸체를 누르면 녹음된 소리가 나도록 작동되는 스피커, 몸체를 누르면 소리가 나도록 하는 삑삑이, 복수 개의 구슬 또는 소리가 나는 방울 등을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본 고안 앞치마를 입은 보호자가 상기 완구(40)를 보여주며, 손으로 완구(40)의 몸체를 누르거나 흔들어서 소리가 나도록 함으로써 영?유아에게 시각적, 청각적인 자극을 동시에 제공하여 영ㆍ유아의 감각능력을 더 효과적으로 개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봉제인형은 각각 다른 색상과 다른 촉감의 직물로, 각각 다른 형상으로 제조할 수 있다. 특히 영ㆍ유아에게 보다 친숙하게 대체적으로 원형이 되도록 형성하고, 동물의 머리 형상이라던가, 과일 형상, 거울이나 빗, 접시나 도마 등의 주방용품 형상, 펜이나 노트 등의 문구용품 형상 또는 달이나 별, 해와 같은 자연물 형상으로 봉제인형을 제조하여 영ㆍ유아에게 다양한 형상을 시각적으로 보여줄 수 있도록 본 발명 앞치마에 탈?부착하여 활용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본 고안의 일 양태로서 사과모양, 거울 모양 등의 형상으로 봉제인형을 제조하고, 그 무늬에 있어서도 도트무늬, 줄무늬, 단색 등으로 다양하게 봉제인형을 제조하였으며, 그 소재에 있어서도 털소재, 광택소재, 엠보싱소재 등으로 다양하게 제조하여 영ㆍ유아에게 다양한 형상과 무늬를 시각적으로 보여주고, 촉각적으로도 다양한 감각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였다.
예를 들어, 동물의 머리 형상으로 완구(40)를 제조할 경우에는 털소재의 직물을 이용하고, 각 동물에 맞는 울음소리를 녹음시킨 스피커를 구비하여 효과적으로 자극을 제공하면서도 학습효과도 가져올 수 있게 된다.
즉, 본 고안은 촉감의 단일 감각이 아닌 복합 감각의 자극을 유도하도록 색은 흑백의 대비라던가 강렬한 원색을 중심으로 구성하며, 형상은 영?유아의 눈높이에 맞춘 과일, 동물 등 대체적으로 동그란 모양으로 형성하고, 촉감은 매끄럽거나, 딱딱하거나, 털이 있거나, 부피감이 있거나, 뻣뻣한 소재이거나, 탄력성이 있거나, 시원한 소재 등으로 구성한다. 이러한 감각자극 내용을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Figure utm00001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앞치마를 이용함으로써 영?유아의 보호자가 영?유아의 시각, 청각, 촉각 등 복합적인 감각을 자극하여 영?유아의 감각능력을 개발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영?유아의 관심을 끌어 효과적으로 놀이를 할 수 있게 하여 보호자와의 보다 친밀한 상호작용을 할 수 있어 정서적인 면과 신체적인 면 모두에서 영?유아의 발달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엄마, 간호사, 선생님 등 다양한 분야에서 육아를 담당하게 되는 보호자라면 본 고안을 이용하여 보호자와 아이와의 상호작용을 높이고 아이의 감각능력을 개발하는데 이용할 수 있을 것인 바, 육아와 관련한 산업에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10: 겉감 11: 탈착수단
20: 어깨끈 30: 안감
40: 영ㆍ유아 감각자극 완구 41: 부착수단

Claims (6)

  1. 앞치마 몸체를 구성하는 겉감(10)과, 사용자의 어깨에 걸 수 있도록 상기 겉감(10)의 상부에 부착된 한 쌍의 어깨끈(20) 및 상기 겉감(10)의 안쪽에 부착된 안감(30)으로 이루어지는 앞치마에 있어서,
    상기 겉감(10)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탈착 수단(11); 및
    상기 탈착수단에 대응되는 부착수단(41)을 구비하는 하나 이상의 영ㆍ유아 감각자극 완구(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ㆍ유아 감각능력 개발용 앞치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감(30)은 전자파를 차단하는 금속사원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ㆍ유아 감각능력 개발용 앞치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겉감(10)의 하단에는 하나 이상의 주머니(50)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영ㆍ유아 감각능력 개발용 앞치마.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영ㆍ유아 감각자극 완구(40)는 내부에 솜이나 스펀지형태의 쿠션부재가 충진된 봉제인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ㆍ유아 감각능력 개발용 앞치마.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봉제인형의 내부에는 몸체를 누르면 녹음된 소리가 나도록 작동되는 스피커, 몸체를 누르면 소리가 나도록 하는 삑삑이, 복수 개의 구슬 또는 소리가 나는 방울 중 어느 하나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ㆍ유아 감각능력 개발용 앞치마.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봉제인형은 각각 다른 색상과 다른 촉감의 직물로, 각각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ㆍ유아 감각능력 개발용 앞치마.
KR2020100009631U 2010-09-14 2010-09-14 영ㆍ유아 감각능력 개발용 앞치마 KR2012000210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9631U KR20120002105U (ko) 2010-09-14 2010-09-14 영ㆍ유아 감각능력 개발용 앞치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9631U KR20120002105U (ko) 2010-09-14 2010-09-14 영ㆍ유아 감각능력 개발용 앞치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2105U true KR20120002105U (ko) 2012-03-23

Family

ID=46179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9631U KR20120002105U (ko) 2010-09-14 2010-09-14 영ㆍ유아 감각능력 개발용 앞치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2105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65355B2 (ja) 親と乳児の相互作用的な知覚刺激玩具
US20230034029A1 (en) Garment
US8277222B2 (en) Method and device for diagnosing and applying treatment for the emotional, physical, and cognitive development of a child for a multicultural society
US9877522B1 (en) Sensory stimulating garment
JPH0375080A (ja) 縫いぐるみの解剖的部材
US20180078866A1 (en) Sensory Stimulating Developmental Stuffed Animal Pacifier and Teething Toy
US20110209261A1 (en) baby toy
US20140189956A1 (en) The baby wedge
US20080134432A1 (en) "Binket" miniature security blanket with attachment device for a pacifier or other soothing apparatus for children
US20120276805A1 (en) Child Activity Wrap
WO2008098882A2 (en) Stimulator for brain, senses and skills development
US20090013473A1 (en) Baby comforter
Affonso The newborn's potential for interaction
US20140194034A1 (en) Infant Development Toy
KR20120002105U (ko) 영ㆍ유아 감각능력 개발용 앞치마
KR200404354Y1 (ko) 유아 교육용 의복
JP3228785U (ja) 花びら状の知育玩具
KR100834998B1 (ko) 탈부착 가능한 윈도우로 교육 부재를 구비하는 유아 교육용의복
KR101685642B1 (ko) 움직이는 캐릭터 티셔츠
CN214209434U (zh) 一种带有表情变化功能的触觉球
CN203953889U (zh) 模拟母亲婴儿保育仿真设备
CN213853087U (zh) 一种多功能触觉球
Dombro et al. The ordinary is extraordinary: How children under three learn
US20220312873A1 (en) Sensory chewing neck gaiter
KR200296960Y1 (ko) 입체형 기저귀 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