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1561A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based on sensing action, kiosk device and mobile device used in the same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based on sensing action, kiosk device and mobile device used in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1561A
KR20120001561A KR1020100083725A KR20100083725A KR20120001561A KR 20120001561 A KR20120001561 A KR 20120001561A KR 1020100083725 A KR1020100083725 A KR 1020100083725A KR 20100083725 A KR20100083725 A KR 20100083725A KR 20120001561 A KR20120001561 A KR 201200015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
providing serv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372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240747B1 (en
Inventor
김은희
권문영
김보미
김무항
윤승현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1/004733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2002716A2/en
Publication of KR201200015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156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07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074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Abstract

PURPOSE: A content supplying system, method thereof, kiosk apparatus, and mobile device which uses an operation sensing signal of a mobile device are provided to receive desired content by generating a predetermined operation to the mobile device. CONSTITUTION: A first communication device(100) reproduces content. A second communication device(300) requests content transmission if the predetermined operation is generated. A content providing server(200) receives the content transmission request from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and determines content which transmits to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based on the request. The content transmission request does not include content information capable of specifying the content.

Description

동작 감지 신호 기반의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사용되는 키오스크 장치 및 모바일 기기{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based on sensing action, kiosk device and mobile device used in the same}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based on motion detection signal and kiosk device and mobile device used in the same

본 발명은 동작 감지 신호 기반의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사용되는 키오스크 장치 및 모바일 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정해진 동작을 발생시킴에 의해 원하는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는 동작 감지 신호 기반의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사용되는 키오스크 장치 및 모바일 기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content based on a motion detection signal, and a kiosk device and a mobile device used therein.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tion detection signal based motion detection signal based on a motion detection signal. A content providing system and method, and a kiosk device and mobile device used therein.

다양한 컨텐츠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지털 기기가 보편화되고,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한 컨텐츠 및 서비스의 이용이 급증함에 따라, 서버로부터 컨텐츠를 제공받던 고유 방식에서 벗어나 이동통신단말기를 포함한 디지털 기기들 간에 컨텐츠를 송수신하고자 하는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As digital devices providing various contents and services become popular, and the use of contents and services through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is rapidly increasing, it is possible to transmit and receive contents between digital devices includ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way from the unique method of providing contents from a server. The desire to do is increasing.

종래에 무선 통신을 통해 컨텐츠를 송수신하는 방법은, 무선통신모듈의 구동, 무선통신이 가능한 기기 검색, 무선통신을 할 기기 선택, 송수신할 컨텐츠 선택, 선택된 컨텐츠의 전송과 같이 일련의 절차가 요구됨에 따라, 사용자는 각 절차별로 일일이 조작을 하여야 한다.Conventionally, a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ntent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requires a series of procedures such as driving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searching for a device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selecting a device for wireless communication, selecting a content to transmit and receive, and transmitting selected content. Therefore, the user must operate each procedure individually.

이러한 방식은 사용자가 무선 통신에 대하여 기본적인 지식이 있어야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기본 지식이 없는 초보자의 경우에는 이러한 조작들에 상당한 어려움을 느낄 수 있다.This method is most often required for the user to have a basic knowledge of wireless communication, and for beginners who do not have a basic knowledge, these operations may have considerable difficulty.

본 발명은 컨텐츠를 제공받기 위한 일련의 동작들을 생략하고, 사용자가 소지한 모바일 기기에 기정해진 동작을 발생시킴에 의해, 모바일 기기를 통해 원하는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동작 감지 신호 기반의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사용되는 키오스크 장치 및 모바일 기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omits a series of operations for receiving content and generates a predetermined operation on a mobile device possessed by a user, thereby enabling a content providing system based on a motion detection signal that can use desired content through the mobile devic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 kiosk device and a mobile device used therefo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재생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통신기기; 소정 동작이 발생되면 컨텐츠 전송 요청을 하는 제2 통신기기; 및 상기 제2 통신기기로부터 상기 컨텐츠 전송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통신기기로 전송할 컨텐츠를 결정하고, 결정한 컨텐츠를 상기 제2 통신기기로 전송하는 컨텐츠 제공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at least one first communication device for playing at least one content; A second communication device for requesting content transmission when a predetermined operation occurs; And a content providing server configured to receive the content transmission request from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determine content to be transmitted to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based on the request, and transmit the determined content to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A content providing system may be provided.

상기 소정 동작은, 상기 제2 통신기기의 흔들림 동작 또는 충돌 동작일 수 있다.The predetermined operation may be a shaking operation or a collision operation of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상기 소정 동작은, 상기 제2 통신기기가 상기 제1 통신기기에서 재생중인 컨텐츠에 직접 접촉하는 동작일 수 있다.The predetermined operation may be an operation in which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directly contacts content being played in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상기 컨텐츠 전송 요청에는 컨텐츠를 특정할 수 있는 컨텐츠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것일 수 있다.The content transmission request may not include content information for specifying content.

상기 컨텐츠 제공서버는 AP 신호의 식별정보를 상기 제2 전송기기로부터 전송받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통신기기 중에서 상기 AP 신호의 식별정보를 가진 제1 통신기기를 결정하며, 상기 결정한 제1 통신기기가 재생하는 컨텐츠를 상기 제2 전송기기로 전송할 컨텐츠로 결정하는 것일 수 있다.The content providing server receiv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AP signal from the second transmission device, determines a first communication device hav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AP signal among the at least one first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determined first communication The content to be played by the device may be determined as content to be transmitted to the second transmission device.

상기 컨텐츠 제공서버는 AP 신호의 식별정보를 상기 제2 전송기기로부터 전송받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통신기기 중에서 상기 AP 신호의 식별정보를 가진 제1 통신기기를 결정하며, 상기 결정한 제1 통신기기로 컨텐츠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제1 통신기기로부터 수신하는 컨텐츠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전송기기로 전송할 컨텐츠를 결정하는 것일 수 있다.The content providing server receiv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AP signal from the second transmission device, determines a first communication device hav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AP signal among the at least one first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determined first communication Requesting content information from a device, and determining content to be transmitted to the second transmission device based on content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상기 컨텐츠 전송 요청에는 상기 제2 통신기기의 위치 정보가 포함되며,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통신기기 중에, 상기 제2 통신기기의 위치와 가장 근접한 제1 통신기기를 결정하며, 상기 결정한 제1 통신기기가 재생하는 컨텐츠를 상기 제2 전송기기로 전송할 컨텐츠로 결정하는 것일 수 있다.The content transmission request include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determines, among the at least one first communication device, a first communication device closest to the location of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And determining the content to be played by the determined first communication device as the content to be transmitted to the second transmission device.

상기 컨텐츠 전송 요청에는 상기 제2 통신기기의 위치 정보가 포함되며,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통신기기 중에서 상기 제2 통신기기의 위치와 가장 근접한 제1 통신기기를 결정하며, 상기 결정한 제1 통신기기로 컨텐츠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제1 통신기기로부터 수신하는 컨텐츠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전송기기로 전송할 컨텐츠를 결정하는 것일 수 있다.The content transmission request include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determines a first communication device closest to the location of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among the at least one first communication device, Requesting content information from the determined first communication device, and determining content to be transmitted to the second transmission device based on the content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상기 제1 통신기기는, 사용자로부터 컨텐츠 선택 명령을 입력받으며,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의 컨텐츠 정보 요청의 수신 시간과 상기 컨텐츠 선택 명령의 입력 시간을 비교하고, 양자의 시간 차이가 소정 범위 이내인 경우에만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 상기 컨텐츠 정보를 전송하는 것일 수 있다.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receives a content selection command from a user, compares a reception time of a content information request from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with an input time of the content selection command, and the time difference i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Only to transmit the content information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상기 제1 통신기기는, 사용자로부터 컨텐츠 선택 명령을 입력받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컨텐츠 선택 명령을 소정의 시간 동안만 유효하게 유지시키며,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의 컨텐츠 정보 요청을 수신하였을 때, 상기 유효하게 유지되는 컨텐츠 선택 명령이 있는 경우에만 컨텐츠 정보를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것일 수 있다.When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receives a content selection command from a user, keeps the content selection command received from the user valid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receives a content information request from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Only when there is a content selection command that remains valid, content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재생하는 복수의 제1 통신기기들로부터 제2 통신기기로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소정의 동작이 발생하면,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 컨텐츠 전송 요청을 하는 제2 통신기기; 및 상기 복수의 제1 통신기기들 중에서, 상기 컨텐츠 전송 요청에 포함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 통신기기로 전송할 컨텐츠를 특정할 수 있는 정보를 요청할 제1 통신기기를 결정하는 컨텐츠 제공 서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content providing system for providing content to a second communication device from a plurality of first communication devices for playing at least one content, when a predetermined operation occurs,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A second communication device for requesting content transmission to a mobile station; And a content providing server that determines, from among the plurality of first communication devices, a first communication device to request information for specifying content to be transmitted to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by using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ontent transmission request. There may be provided a content providing system comprising a.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는, 상기 결정한 제1 통신기기로, 컨텐츠를 특정할 수 있는 정보를 요청하며, 상기 요청을 받은 제1 통신기기는 현재 재생중인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것일 수 있다.The content providing server requests the information for specifying the content to the determined first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receiving the request transmits the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 currently being played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Can be.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는, 상기 결정한 제1 통신기기로, 컨텐츠를 특정할 수 있는 정보를 요청하며, 상기 요청을 받은 제1 통신기기는 사용자로부터 선택 받은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것일 수 있다.The content providing server requests the information for specifying the content to the determined first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requesting first communication device transmits the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 selected by the user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It may be.

상기 제1 통신기기는 다음 i)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은 컨텐츠, ii) 상기 선택받은 컨텐츠와 유기적인 관계를 가진 컨텐츠 ,iii) 상기 i) 컨텐츠 식별 정보 ,iv) 상기 ii) 컨텐츠의 식별 정보 들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것일 수 있다.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i) content selected from a user, ii) content having an organic relationship with the selected content, iii) i) cont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v)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ii) content; It may be to transmit one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상기 제1 통신기기는 다음 i) 현재 재생중인 컨텐츠, ii) 상기 재생중인 컨텐츠와 유기적인 관계를 가진 컨텐츠, iii) 상기 i) 컨텐츠 식별 정보, iv) 상기 ii) 컨텐츠의 식별 정보 들 중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것일 수 있다.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i) content currently being played, ii) content having an organic relationship with the content being played, iii) cont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 iv) cont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i) content The content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컨텐츠 정보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의해 표시중인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정보를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키오스크 에이전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오스크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t least one content; When receiving the content information request from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kiosk agent unit for transmitting the content information on the content displayed by the display unit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Kiosk apparatus may include a; .

상기 키오스크 에이전트부는 상기 재생중인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및 상기 재생중인 컨텐츠와 유기적인 관계를 가진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것일 수 있다.The kiosk agent may transmit at least one of the at least one content being reproduced and the content having an organic relationship with the content being played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컨텐츠 선택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키오스크 에이전트부는 상기 재생중인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중에서 상기 입력부를 통해 선택받은 컨텐츠를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것일 수 있다.The kiosk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n input unit for receiving a content selection command from a user, wherein the kiosk agent unit selects the content selected through the input unit from the at least one content being played. It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상기 키오스크 에이전트부는, 상기 컨텐츠 정보 요청의 수신 시간이 상기 컨텐츠 선택 명령의 입력 시점으로부터 소정 시간 이내인 경우에만 컨텐츠 정보를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것일 수 있다.The kiosk agent unit may transmit content information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only when the reception time of the content information request is within a predetermined time from the input time of the content selection comman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의해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중에서, 사용자로부터 컨텐츠 선택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는 입력부;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컨텐츠 정보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 선택 명령에 의해 선택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키오스크 에이전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오스크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t least one content; An input unit configured to receive a content selection command from a user among at least one content displayed by the display unit; When receiving the content information request from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a kiosk agent for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on the content selected by the user selection command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may be provided with a kiosk apparatus comprising a.

상기 키오스크 에이전트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컨텐츠에 대한 선택 명령을 소정의 시간 동안만 유지시키고, 상기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컨텐츠에 대한 선택을 해제하는 것일 수 있다.The kiosk agent unit may maintain the selection command for the content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only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release the selection for the content after the predetermined time elapses.

상기 키오스크 에이전트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컨텐츠에 대한 선택 명령의 입력 시간과, 상기 컨텐츠 정보 요청의 수신 시간을 비교하여 소정의 시간차 이내에 경우에만 상기 컨텐츠 정보를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것일 수 있다.The kiosk agent unit is to compare the input time of the selection command for the content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with the reception time of the content information request and transmit the content information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only within a predetermined time difference. Can be.

상기 키오스크 에이전트부는 다음 i)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은 컨텐츠, ii) 상기 선택받은 컨텐츠와 유기적인 관계를 가진 컨텐츠, iii) 상기 i) 컨텐츠 식별 정보, iv) 상기 ii) 컨텐츠의 식별 정보들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것일 수 있다.The kiosk agent un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i) content selected by the user, ii) content having an organic relationship with the selected content, iii) i) cont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v) ii)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ontent. It may be to transmit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의 발생을 감지하는 동작 감지부; 및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motion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the occurrence of the motion; And

상기 동작 감지부에 의해 소정 동작의 발생이 감지되면, 컨텐츠 제공 서버로 컨텐츠 전송 요청을 하는 모바일 에이전트부; 를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A mobile agent unit for making a content transmission request to a content providing server when the occurrence of a predetermined operation is detected by the motion detecting unit; A mobile device comprising a may be provided.

상기 소정 동작은, 상기 모바일 기기의 흔들림 동작 또는 충돌 동작일 수 있다.The predetermined operation may be a shaking operation or a collision operation of the mobile device.

상기 소정 동작은, 상기 모바일 기기가 키오스크 장치에서 재생중인 컨텐츠에 직접 접촉하는 동작일 수 있다.The predetermined operation may be an operation in which the mobile device directly contacts content being played in a kiosk device.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컨텐츠는, 상기 직접 접촉한 컨텐츠와 동일한 것일 수 있다.Content received from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may be the same as the content of the direct contact.

상기 소정 동작의 발생 시점으로부터 소정 시간 이내에만,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는 것일 수 있다.Content may be received from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only within a predetermined time from when the predetermined operation occur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는,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가 수신하는 컨텐츠는 상기 소정 동작의 발생 시점에 기초하여 특정된 것일 수 있다.The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network interface unit configured to receive content from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wherein the content received by the network interface unit is specified based on a time point of occurrence of the predetermined operation. Can be.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가 수신하는 컨텐츠는 상기 모바일 기기의 위치로부터 가장 근접한 곳에 위치하는 통신기기가 재생하는 것과 동일한 것일 수 있다.The content received by the network interface unit may be the same as that of a communication device located closest to the location of the mobile device.

상기 컨텐츠 전송 요청에는 컨텐츠를 특정할 수 있는 컨텐츠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것일 수 있다.The content transmission request may not include content information for specifying conten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는, AP 신호들을 수집하는 AP 신호 수집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모바일 에이전트부는, 상기 AP 신호 수집부가 수집한 AP 신호들의 신호 세기와 식별정보를 상기 컨텐츠 정보 요청에 포함시키는 것일 수 있다.The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n AP signal collector for collecting AP signals, wherein the mobile agent unit includes the content of the signal strength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AP signals collected by the AP signal collector. It may be included in the information reques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는, AP 신호들을 수집하는 AP 신호 수집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모바일 에이전트부는, 상기 AP 신호 수집부가 수집한 AP 신호들 중에서 신호 세기가 가장 큰 AP 신호의 식별 정보를 상기 컨텐츠 정보 요청에 포함시키는 것일 수 있다.The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n AP signal collector for collecting AP signals, wherein the mobile agent unit includes an AP signal having the largest signal strength among the AP signals collected by the AP signal collector. May be included in the content information reques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는, 상기 모바일 기기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위치 정보 획득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모바일 에이전트부는 상기 위치 정보 획득부가 획득한 위치 정보를 상기 컨텐츠 정보 요청에 포함시키는 것일 수 잇다.The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for obtain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device, wherein the mobile agent unit transmits the location information acquired by the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to the content information request. It may be included.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가 수신하는 컨텐츠는 신호 세기가 가장 큰 AP 신호의 식별 정보를 가진 통신기기가 재생하는 것과 동일한 것일 수 있다.The content received by the network interface unit may be the same as that of a communication device hav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n AP signal having the largest signal strength.

상기 컨텐츠 전송 요청에는 컨텐츠를 특정할 수 있는 컨텐츠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것일 수 있다.The content transmission request may not include content information for specifying content.

상기 모바일 에이전트부는,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컨텐츠를 분석하여 상기 컨텐츠의 종류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The mobile agent unit may analyze the content received from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and perform an opera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conten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모바일 에이전트부는 상기 컨텐츠에 전화번호가 포함된 경우,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여 상기 전화번호로 전화를 거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The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wherein the mobile agent unit may perform an operation of calling the phone number by controlling the communication unit when the content includes a phone number. hav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는 웹 브라우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모바일 에이전트부는 상기 컨텐츠에 웹 주소가 포함된 경우, 상기 웹 브라우저를 제어하여 상기 웹 주소를 가진 웹 사이트로 접속하는 것일 수 있다.The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web browser; wherein the mobile agent unit controls the web browser to access a web site having the web address when the web address is included in the content. Can b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 및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기기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컨텐츠 제공 서버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기기로부터 컨텐츠 전송 요청을 수신하는 서버 통신부; 상기 컨텐츠 전송 요청에 포함된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 식별 정보 또는 컨텐츠를 요청할 통신기기를 결정하는 판독부; 및 상기 통신 기기로부터 전송받은 컨텐츠 또는 컨센츠 식별 정보에 의해 특정된 컨텐츠를 상기 서버 통신부를 통해 상기 모바일 기기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서버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tent providing server connected to at least one communication device and at least one mobile device via a network,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comprising: a server communication unit receiving a content transmission request from the mobile device; A reading unit that determines cont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r a communication device to request content based on th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ontent transmission request;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transmit the content specified by the content or cont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device to the mobile device through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상기 컨텐츠 전송 요청에는 컨텐츠를 특정할 수 있는 컨텐츠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것일 수 있다.The content transmission request may not include content information for specifying content.

상기 식별 정보는 AP 식별 정보이며, 상기 판독부는 상기 AP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 식별 정보 또는 컨텐츠를 요청할 통신기기를 결정하는 것일 수 있다.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AP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reading unit may determine cont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r a communication device for requesting content by using the AP identification information.

상기 컨텐츠 전송 요청에는 상기 모바일 기기의 위치 정보가 포함된 것일 수 있다.The content transmission request may includ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devi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서버는, 위치와 통신기기가 서로 매핑된 매핑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판독부는 상기 모바일 기기의 위치 정보와 상기 매핑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 식별 정보 또는 컨텐츠를 요청할 통신기기를 결정하는 것일 수 있다.The content providing serv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torage unit which stores mapping information in which a location and a communication device are mapped to each other, wherein the reading unit is configured to use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mapping information of the mobile device. It may be to determine the communication device to request the cont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r conten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서버는, 통신 기기들에 대한 재생 스케쥴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판독부는 상기 재생 스케쥴과 상기 컨텐츠 전송 요청에 포함된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 식별 정보 또는 컨텐츠를 요청할 통신기기를 결정하는 것일 수 있다.Contents providing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playback schedules for the communication device further comprises, the reading unit content using the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playback schedule and the content transmission request It may be to determine a communication device to request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r conten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 및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기기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컨텐츠 제공 서버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기기로부터 컨텐츠 전송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통신 기기로부터 컨텐츠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서버 통신부; 및 상기 컨텐츠 전송 요청과 상기 컨텐츠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기기로 전송할 컨텐츠를 전송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서버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tent providing server connected to at least one communication device and at least one mobile device via a network, the content transmission request is received from the mobile device, and cont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device. Server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transmit content to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device based on the content transmission request and the cont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 content providing server including a may be provided.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 전송 요청의 수신 시간과 상기 컨텐츠 식별 정보의 수신 시간을 비교하여 상기 모바일 기기로 컨텐츠를 전송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일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determine whether to transmit content to the mobile device by comparing the reception time of the content transmission request with the reception time of the cont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재생하는 복수의 제1 통신기기들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제2 통신기기로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신기기에 소정의 동작이 발생하면, 상기 제2 통신기기에서 컨텐츠 제공 서버로 컨텐츠 전송 요청을 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제1 통신기기들 중에서, 상기 컨텐츠 전송 요청에 포함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 통신기기로 전송할 컨텐츠를 특정할 수 있는 컨텐츠 정보를 요청할 통신 기기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providing content from a plurality of first communication devices that reproduce at least one content to at least on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wherein a predetermined operation is performed on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Generating a content transmission request from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to a content providing server when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occurs; And determining, from among the plurality of first communication devices, a communication device to request content information for specifying content to be transmitted to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by using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ontent transmission request. Content providing method comprising a may be provided.

상기 컨텐츠 전송 요청에는 AP 신호에 대한 식별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통신 기기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제1 통신기기들 중에서 상기 AP 신호에 대한 식별 정보를 가진 제1 통신기기를 상기 제2 통신기기로 전송할 컨텐츠를 특정할 수 있는 컨텐츠 정보를 요청할 통신 기기로서 결정하는 것일 수 있다.The content transmission request includ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n an AP signal, and the determining of the communication device may include: generating a first communication device hav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n the AP signal among the plurality of first communication devices; 2 may be determined as a communication device to request the content information that can specify the content to be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device.

상기 컨텐츠 전송 요청에는 AP 신호들의 세기와 식별 정보들이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통신 기기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AP 신호들 중 가장 신호의 세기가 큰 AP 신호에 대한 식별 정보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제1 통신기기들 중에서 상기 신호의 세기가 큰 AP 신호를 가진 제1 통신기기를 상기 제2 통신기기로 전송할 컨텐츠를 특정할 수 있는 컨텐츠 정보를 요청할 통신 기기로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The content transmission request includes strength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P signals, and the determining of the communication device may include: determin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n AP signal having the greatest strength of the AP signals; And determining, among the plurality of first communication devices, a first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n AP signal having a large signal strength as a communication device to request content information for specifying content to be transmitted to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It may be to include.

상기 컨텐츠 전송 요청에는 상기 제2 통신기기의 위치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통신 기기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제1 통신기기들 중에서 상기 제2 통신기기의 위치와 가장 근접한 제1 통신기기를 상기 제2 통신기기로 전송할 컨텐츠를 특정할 수 있는 컨텐츠 정보를 요청할 통신 기기로서 결정하는 것일 수 있다.The content transmission request include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determining of the communication device may include: a first communication device closest to the location of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among the plurality of first communication devices; May be determined as a communication device to request content information for specifying content to be transmitted to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방법은, 상기 통신 기기를 결정하는 단계에서 결정된 제1 통신기기로 컨텐츠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통신기기로부터 수신하는 컨텐츠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통신기기로 전송할 컨텐츠를 특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Content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requesting the content information to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determined i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communication device; And specifying content to be transmitted to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based on content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방법은, 상기 제1 통신기기에서 사용자로부터 컨텐츠 선택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통신기기에서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컨텐츠 정보의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컨텐츠 선택 명령에 의해 선택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Contents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receiving a content selection command from the user in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the content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in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In response to the request,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 selected by the content selection command received from the user may be provided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방법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은 컨텐츠 선택 명령을 소정의 시간 동안만 유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of providing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maintaining a content selection command selected by the user only for a predetermined time.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은 컨텐츠 선택 명령의 입력 시간과 상기 컨텐츠 정보의 수신 시간을 비교하여 상기 컨텐츠 정보 제공 서버로 컨텐츠 정보를 제공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일 수 있다.The method may include determining whether to provide content information to the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by comparing an input time of a content selection command selected by the user with a reception time of the content information.

상기 제1 통신기기에서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컨텐츠 정보의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1 통신기기에서 재생중인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In response to a request for content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may provide information about content being played in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상기 소정의 동작은, 상기 제2 통신기기의 흔들림 동작 또는 충돌 동작인 것일 수 있다.The predetermined operation may be a shaking operation or a collision operation of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상기 소정의 동작은, 상기 제2 통신기기가 상기 제1 통신기기에서 재생중인 컨텐츠에 직접 접촉하는 동작인 것일 수 있다.The predetermined operation may be an operation in which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directly contacts the content being played in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는 상기 제1 통신기기들에 대한 컨텐츠 재생 스케쥴을 저장하며, 상기 재생 스케쥴과 상기 컨텐츠 전송 요청에 포함된 정보를 이용하여 제2 통신기기로 전송할 컨텐츠를 특정하는 것일 수 있다.The content providing server may store content reproduction schedules for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s, and may specify content to be transmitted to a second communication device using the reproduction schedule and th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ontent transmission reques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기기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컨텐츠 제공 서버에 있어서, 무선 식별정보와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통신기기에 매핑된 매핑 정보와, 통신기기의 컨텐츠 재생 스케쥴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content providing server connected to a mobile device through a network, at least one of wireless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is mapped to a communication device, and stores mapping information and a content reproduction schedule of the communication device. Storage unit; And

상기 모바일 기기로부터 수신받은, 무선 식별정보와 상기 모바일 기기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매핑정보와 상기 컨텐츠 재생 스케쥴을 이용하여 상기 모바일 기기로 전송할 컨텐츠를 결정하는 판독부;를 포함하며, 상기 판독부에 의해 결정된 컨텐츠는 상기 모바일 기기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서버가 제공될 수 있다.And a reading unit that determines at least one of wireless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device received from the mobile device to determine the content to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device using the mapping information and the content playback schedule. The content determined by the unit may be provided with a content providing server, characterized in that transmitted to the mobile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에 의한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사용되는 키오스크 장치 및 모바일 기기는, 컨텐츠를 제공받기 위한 일련의 과정들을 진행할 필요 없이 모바일 기기에 기정해진 동작을 발생시킴으로써 원하는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by an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kiosk device and a mobile device used therein, may generate a desired content by generating a predetermined operation on the mobile device without performing a series of processes for receiving the content.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provid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에 의한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사용되는 키오스크 장치 및 모바일 기기는, 컨텐츠를 제공받기 위하여 공개적인 장소에 설치되는 키오스크 장치에 개인 정보를 입력할 필요가 없음에 따라, 개인 정보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and method by the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kiosk device and mobile device used therein, it is not necessary to input personal information to the kiosk device installed in a public place in order to receive the content Accordingly,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event the leakage of personal information.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에 의한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사용되는 키오스크 장치 및 모바일 기기는, 쉽고 빠른 인터페이스를 지원함으로 인하여, 사용자들의 직접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고, 양방향의 광고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and method by the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kiosk device and mobile device used therein, by supporting an easy and fast interface, can induce direct participation of users, There is a possible effec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 감지 신호 기반의 컨텐츠 제공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작 감지 신호 기반의 컨텐츠 제공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 감지 신호 기반의 컨텐츠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작 감지 신호 기반의 컨텐츠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작 감지 신호 기반의 컨텐츠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 감지 신호 기반의 컨텐츠 제공 방법의 적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작 감지 신호 기반의 컨텐츠 제공 방법의 적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작 감지 신호 기반의 컨텐츠 제공 방법의 적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network diagram of a content providing system based on a motion detection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network configuration of a content providing system based on a motion detection sig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ent providing method based on a motion detection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ent providing method based on a motion detection sig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ent providing method based on a motion detection sig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for explaining an application example of a content providing method based on a motion detection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for explaining an application example of a method for providing a content based on a motion detection sig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8 is a view for explaining an application example of a content providing method based on a motion detection sig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Objects,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readily understood through the following preferred embodiments associated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Rather,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are provided so that the disclosure can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n this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on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formed on another element, or a third element may be interposed therebetwee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includes plural form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specification. As used herein, the words 'comprises' and / or 'comprising'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specific embodiments below, various specific details are set forth in order to explain the invention more specifically and to help understand. However,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without these various specific details. In some cases, it is mentioned in advance that parts of the invention which are commonly known in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nd which are not highly related to the invention are not described in order to prevent confusion in explaining the invention without cause.

용어의 정의Definition of Terms

본원 명세서에서 사용할 용어들을 정의하기로 한다.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ill be defined.

'컨텐츠 정보'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로서, 예를 들면 컨텐츠 자체 및/또는 컨텐츠 식별 정보를 의미한다. 'Content information' is information on content, for example, the content itself and / or cont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컨텐츠 식별 정보'는 컨텐츠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로서, 예를 들면 컨텐츠 ID 일 수 있다.'Cont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information for identifying content, and may be, for example, a content ID.

'컨텐츠 정보 요청'은 컨텐츠 제공 서버가 제1 통신기기로 전송하는 리퀘스트로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는 리퀘스트이다.The 'content information request' is a request transmitted from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to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and is a request for requesting information about content.

'컨텐츠 재생 스케쥴'은 어떤 시간에 어떤 컨텐츠를 재생할 것인가에 관한 정보를 의미한ㄷ. 예를 들면, 시간과 컨텐츠 ID가 서로 매핑되어 있으며, 시간을 알면 그 시간에 재생되는 컨텐츠 ID를 알 수 있다. The content playback schedule refers to information about what content is played at what time. For example, time and content ID are mapped to each other, and knowing the time, it is possible to know the content ID played at that time.

'컨텐츠 선택 명령'는 컨텐츠를 선택하는 명령으로서, 사용자로부터 제1 통신기기가 입력받는 명령이다.The 'content selection command' is a command for selecting content and is a command that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receives from a user.

'컨텐츠 선택 화면 표시 명령'은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을 표시하라는 명령으로서, 사용자로부터 제1 통신기기가 입력받는 명령이다.The 'content selection screen display command' is a command for displaying a screen from which content can be selected, and is a command that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receives from a user.

'컨텐츠 선택 정보'는 컨텐츠 선택 명령을 통해서 선택받은 컨텐츠에 대한 정보로서, 컨텐츠 식별 정보와 컨텐츠 선택 명령을 입력받은 시간을 포함한다.'Content selection information' is information on content selected through a content selection command, and includes cont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a time for receiving a content selection command.

'컨텐츠 선택 시간'은 컨텐츠 선택 명령을 입력받은 시간을 의미한다.'Content selection time' means a time when a content selection command is input.

'AP 식별 정보'는 네트워크에 포함된 AP 장치를 식별하기 위해서 부여된 정보이다. 예를 들면 무선공유기의 SSID가 될 수 있다.'AP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information provided for identifying an AP device included in a network. For example, it may be the SSID of the wireless router.

'컨텐츠 전송 요청'은 제2 통신기기가 컨텐츠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리퀘스트로서, 컨텐츠를 전송하여 달라는 리퀘스트를 의미한다.The 'content delivery request' is a request transmitted by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and means a request to transmit content.

'AP_키오스크 매핑 정보'는 AP 식별정보와 키오스크 장치를 상호간에 매핑한 정보로서, 'AP 식별정보'와 'AP_키오스크 매핑 정보'를 이용하면 키오스크 장치가 결정될 수 있다.'AP_Kiosk Mapping Information' is information obtained by mapping AP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kiosk devices to each other. The kiosk device may be determined by using 'AP ID information' and 'AP_Kiosk mapping information'.

'컨텐츠 ID_컨텐츠 매핑 정보'는 컨테츠 ID와 컨텐츠를 상호간에 매핑한 정보로서, 컨텐츠 ID와 '컨텐츠 ID_컨텐츠 매핑 정보'를 이용하면 컨텐츠가 결정될 수 있다.The content ID_content mapping information is information obtained by mapping the content ID and the content to each other, and the content may be determined by using the content ID and the content ID_content mapping information.

'위치_키오스크 매핑정보'는 키오스크 장치의 위치와 키오스크가 상호 매핑된 정보이다. 위치를 알면 '위치_키오스크 매핑정보'를 이용하여 키오스크 장치가 결정될 수 있다.'Location_Kiosk Mapping Information' is information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kiosk device and the kiosk are mapped to each other. If the location is known, the kiosk device may be determined using the 'location_kiosk mapping information'.

'컨텐츠 ID_컨텐츠 매핑 정보'는 컨텐츠 ID와 컨텐츠가 상호 매핑된 정보로서, 컨텐츠 ID를 알면 '컨텐츠 ID_컨텐츠 매핑 정보' 를 이용하여 컨텐츠가 결정될 수 있다.
The content ID_content mapping information is information in which the content ID and the content are mapped to each other. When the content ID is known, the content may be determined using the content ID_content mapping inform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 감지 신호 기반의 컨텐츠 제공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network configuration of a content providing system based on a motion detection sig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 감지 신호 기반의 컨텐츠 제공 시스템은 제1 통신기기, 제2 통신기기, 및 컨텐츠 제공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제1 통신기기 및 하나의 제2 통신기기를 도시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컨텐츠 제공 서버(200)와 통신 가능한 복수의 제1 통신기기와 제2 통신기기가 네트워크상에 존재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로 이루어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content providing system based on a motion detection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rst communication device, a second communication device, and a content providing server.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one first communication device and on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are illustrated. However,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are merely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a plurality of first communication devices and second communication devices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are provided. May exist on the network. Here, the network may be a wired and / or wireless network.

제1 통신기기는 특정 장소에 설치되어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으며, 도 1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통신기기는 키오스크 장치(100)일 수 있다.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may be installed in a specific place to provide at least one conten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1,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may be a kiosk device 10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10), 키오스크 컨텐츠 재생부(120), 입력부(130), 키오스크 통신부(140), 키오스크 에이전트부(150), 무선 AP부(160), 및 저장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Kiosk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isplay unit 110, kiosk content playback unit 120, input unit 130, kiosk communication unit 140, kiosk agent unit 150, wireless AP unit ( 160, and a storage unit 170.

디스플레이부(110)는 키오스크 컨텐츠 재생부(120)에 의해 재생되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기능만을 구비하거나, 디스플레이는 물론 사용자로부터 명령도 입력받을 수 있는 터치 패널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The display 110 may display the content played by the kiosk content playback unit 120. The display 110 may have a function of displaying content only or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touch panel capable of receiving a command from a user as well as a displa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110)는 키오스크 장치(100)가 제공하는 컨텐츠들을 선택할 수 있는 선택 화면도 표시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display 110 may also display a selection screen for selecting contents provided by the kiosk apparatus 100.

키오스크 컨텐츠 재생부(120)는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 컨텐츠 재생부(120)는 '컨텐츠 재생 스케쥴'에 따라서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The kiosk content playback unit 120 may play the content. Kiosk content playback unit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lay the content according to the "content playback schedule."

컨텐츠는 예를 들면, 영화 예고편, 각종 광고, 버스 노선 안내, 지하철 노선 안내, 및/또는 각종 이벤트 안내와 같이 다양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재생부(120)는 동영상 플레이어 또는 사진 등과 같은 이미지 플레이어일 수 있으며, 동영상 및/또는 이미지를 재생할 수 있다.The content may be various, for example, a movie trailer, various advertisements, bus route guidance, subway route guidance, and / or various event guidance. The content player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n image player such as a video player or a picture, and may play a video and / or an image.

키오스크 컨텐츠 재생부(120)가 재생하는 컨텐츠는 후술하는 저장부(170)에 저장된 것일 수 있으나, 저장부(170)에 저장된 컨텐츠에만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예를 들면 스트리밍의 형태로 외부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컨텐츠를 실시간으로 재생할 수도 있다. 여기서, "외부 서버"는 "컨텐츠 제공 서버(200)" 또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다른 임의의 서버"일 수 있다. The content played by the kiosk content playback unit 120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70 to be described later, but is not limited to the content stored in the storage unit 170 and is transmitted from an external server, for example, in the form of streaming. Content can also be played in real time. Here, the "external server" may b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or "any other server providing content".

저장부(170)는 '컨텐츠 재생 스케쥴', '컨텐츠', 및/또는 키오스크 장치(100)를 식별하는 '무선 식별정보'(이하, 'AP 식별정보'라고도 함)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70)가 저장하는 '컨텐츠 재생 스케쥴'과 '컨텐츠'는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외부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것일 수 있다. 한편, '컨텐츠 재생 스케쥴'과 '컨텐츠'가 저장부(170)에 반드시 저장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컨텐츠를 외부 서버로부터 스트리밍의 형태로 제공받는 경우에는 저장부(170)에 컨텐츠가 반드시 저장될 필요는 없을 것이다. 또한, '컨텐츠 재생 스케쥴'의 경우도, 외부 서버에서 푸쉬 방식으로 컨텐츠를 키오스크 장치(100)로 전송하는 경우에는 외부 서버에서 '컨텐츠 재생 스케쥴'을 관리할 것이므로, 저장부(170)에 반드시 저장될 필요는 없다. 한편, '무선 식별정보'는 저장부(170)가 아니라도, 예를 들면 무선 랜카드와 같은 하드웨어에 내장된 메모리 같은 곳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The storage unit 170 may store 'content playback schedule', 'content', and / or 'wireless identification inform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P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kiosk device 100. The content playback schedule and the content stored by the storage unit 170 may be received from an external server periodically or aperiodically. Meanwhile, the 'content playback schedule' and the 'content' do not necessarily have to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70. For example, when the content is provided in the form of streaming from an external server, the content may not necessarily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70. Also, in the case of the 'content playback schedule', when the content is transmitted from the external server to the kiosk apparatus 100 by the push method, the 'content playback schedule' will be managed by the external server, so it is necessarily stored in the storage unit 170. It doesn't have to be. Meanwhile, the 'wireless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not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70, but may be stored in, for example, a memory built in hardware such as a wireless LAN card.

또한, 저장부(170)는 키오스크 장치(100)가 제공할 수 있는 컨텐츠에 대한 목록을 더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목록을 이용하여, 키오스크 에이전트부(150)는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서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orage unit 170 may further store a list of contents that the kiosk apparatus 100 can provide. Using the list, the kiosk agent unit 150 may display a selection screen for selecting content through the display 110.

본원 명세서에서 저장부(170)는 키오스크 장치(100)가 가지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모든 저장 수단을 통칭하는 의미로 사용하기로 한다. 예를 들면, 키오스크 장치(100)는 플래쉬 메모리, 램, 하드 디스크, 레지스터 등과 같이 데이터를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수단을 복수 개 포함할 수 있는데, 그러한 저장 수단들을 통칭하여 본원 명세서에는 저장부(170)라고 부르기로 한다. 다만, 특별히 그러한 저장 수단들을 구별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또한 후술할 저장부(350), 컨텐츠 저장부(240), 매핑 정보 저장부(250)도 위의 저장부(170)와 같은 의미로서 사용하기로 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torage unit 170 will be used as a generic term for any storage means capable of storing data included in the kiosk apparatus 100. For example, the kiosk device 1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means for temporarily or permanently storing data, such as flash memory, RAM, hard disks, registers, and the like. 170). This is not the case, however, when it is particularly necessary to distinguish such storage means. In addition, the storage unit 350, the content storage unit 240, and the mapping information storage unit 250 to be described later will be used as the same meaning as the storage unit 170.

키오스크 컨텐츠 재생부(120)에 의해 재생되는 컨텐츠의 영상은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디스플레이되고, 음향은 스피커(미도시)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An image of the content reproduced by the kiosk content reproducing unit 120 may be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110 and sound may be output through a speaker (not shown).

입력부(130)는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는 명령은 '컨텐츠 선택 명령', 또는 '컨텐츠 선택 화면 표시 명령'등과 같은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컨텐츠 선택 명령'은 특정 컨텐츠를 선택한다는 것이고, '컨텐츠 선택 화면 표시 명령'은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을 표시하라는 것이다.The input unit 130 may receive a command from a user. For example, the command that may be input from the user may be a 'content selection command' or a 'content selection screen display command'. Here, the 'content selection command' refers to selecting specific content, and the 'content selection screen display command' refers to displaying a screen for selecting content.

예를 들면, 입력부(130)는 디스플레이부(110)에 터치 패널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다르게(alternatively), 입력부(130)는 디스플레이부(110)와는 별도로 구성된 수단(조작 버튼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input unit 130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touch panel on the display 110. Alternatively, the input unit 130 may be implemented by means (operation buttons, etc.) configured separately from the display unit 110.

키오스크 통신부(140)는 네트워크(유선, 무선, 또는 유무선 통신망을 모두 포함)를 통해서 연결된 외부 장치와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키오스크 통신부(140)는 서버 통신부(200)와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The kiosk communication unit 140 may support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device connected through a network (including both wired, wireless, or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or example, the kiosk communication unit 140 may support communication with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200.

예를 들면, 키오스크 통신부(140)는 후술하는 키오스크 에이전트부(150)의 제어하에 컨텐츠에 대한 정보(이하, '컨텐츠 정보')를 컨텐츠 제공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컨텐츠 정보'는 '컨텐츠' 자체이거나 컨텐츠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예를 들면, 컨텐츠 ID)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kiosk communication unit 140 may transmit information on the content (hereinafter, referred to as 'content information')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under the control of the kiosk agent unit 150 to be described later. Here, the "content information" may be "content" itself or information (for example, content ID) for identifying conten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키오스크 에이전트부(150)가 컨텐츠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컨텐츠'는, 현재 키오스크 장치(100)가 현재 재생중인 컨텐츠 및 현재 재생중인 컨텐츠와 유기적으로 연결된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transmitted by the kiosk agent unit 150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may include at least one of content currently being played by the kiosk device 100 and organically connected to content currently being played. It may includ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170)는, 컨텐츠간의 유기적인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키오스크 에이전트부(150)는 저장부(170)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 제공 서버(200)로부터 컨텐츠 정보 요청이 전송되면, i) 상호 유기적으로 연결된 컨텐츠들(또는 이들 컨텐츠들을 식별하는 식별 정보)을 모두 컨텐츠 제공 서버(100)로 전송하거나, 또는 ii) 상호 유기적으로 연결된 컨텐츠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컨텐츠(또는 컨텐츠 식별 정보)를 컨텐츠 제공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The storage unit 17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store information indicating an organic relationship between contents. When the kiosk agent unit 150 transmits a content information request from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by us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170, i)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organically connected contents (or these contents) )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100, or ii) any one content (or cont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mong the contents which are organ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100.

일 예를 들면, 키오스크 장치(300)가 광고를 재생하고 있고, 광고와 유기적으로 연결된 컨텐츠는 할인 쿠폰이라고 가정하기로 한다. 본 예에서, 컨텐츠 제공 서버(200)로부터 컨텐츠 정보 요청이 오면, 키오스크 장치(300)는 할인 쿠폰 또는 할인 쿠폰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정보(예를 들면 쿠폰 번호)를 컨텐츠 제공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For example, it is assumed that the kiosk device 300 is playing an advertisement, and the content organically connected to the advertisement is a discount coupon. In this example, when a content information request is received from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the kiosk device 300 sends the discount information o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example, a coupon number) to identify the discount coupon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Can transmit

다른 예를 들면, 키오스크 장치(300)가 현재 광고를 재생하고 있고, 그 광고와 유기적으로 연결된 컨텐츠는 그 광고를 안내하는 인터넷 주소(URL)와 전화번호라고 가정하기로 한다. 본 예에서, 컨텐츠 제공 서버(200)로부터 컨텐츠 정보 요청이 오면, 키오스크 장치(300)는 인터넷 주소와 전화번호를 컨텐츠 제공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르게는, 이 경우 키오스크 장치(300)는 인터넷 주소와 전화번호 뿐만 아니라 광고 컨텐츠(또는 광고 컨텐츠 식별정보)도 컨텐츠 제공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For another example, it is assumed that the kiosk device 300 is currently playing an advertisement, and the content organically connected to the advertisement is an internet address (URL) and a phone number for guiding the advertisement. In this example, when a content information request is received from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the kiosk device 300 may transmit an internet address and a phone number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Alternatively, in this case, the kiosk device 300 may transmit not only an Internet address and a phone number but also advertisement content (or advertisement cont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상술한 바와 같이 유기적으로 연결된 컨텐츠를 전송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 장치(300)의 에이전트부(150)는, 컨텐츠 제공 서버(200)로 컨텐츠 정보를 제공할 때,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된 컨텐츠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저장부(170)에는 컨텐츠 상호간의 유기적인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컨텐츠 상호간의 유기적인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는,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된 컨텐츠들에 대한 목록이나, 상호 유기적인 관계를 가진 컨텐츠를 모두 전송할지 여부, 아니면 유기적인 관계를 가진 컨텐츠들 중에서 일부만 선택적으로 전송할지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transmit the organically connected content, the agent unit 150 of the kiosk device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providing the content information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organically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re is content connected to the network. To this end, the storage unit 170 may store information indicating an organic relationship between contents. Information indicating an organic relationship between contents may include a list of contents that are organ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whether to transmit all contents having organic relations with each other, or selectively transmitting only a part of contents having organic relations. It may contain information about.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푸쉬 방식 또는 풀링 방식에 의해서 '컨텐츠 정보'를 컨텐츠 제공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ent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by a push method or a pulling method.

푸쉬 방식에 따르면, 키 오스크 장치(100)는, 컨텐츠 제공 서버(200)의 요청이 없는 경우라도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은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정보'를 컨텐츠 제공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ush method, the kiosk apparatus 100 may transmit the 'content information' of the content selected by the user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even when there is no request from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한편, 풀링 방식에 따르면, 키 오스크 장치(100)는 컨텐츠 제공 서버(200)로부터 요청('컨텐츠 정보 요청')이 있는 경우에 '컨텐츠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컨텐츠 정보'는, i)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은 컨텐츠에 대한 식별 정보 또는 컨텐츠 자체, 또는 ii)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컨텐츠에 대한 식별 정보 또는 컨텐츠 자체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pooling method, the kiosk apparatus 100 may transmit 'content information' when there is a request ('content information request') from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Here, the "content information" may be i) identification information or content itself about the content selected by the user, or ii) identification information or content itself about the content currently being displayed.

i)의 실시예에서, 키오스크 에이전트부(150)는 '컨텐츠 정보 요청'을 컨텐츠 제공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시점을 기준으로 하여 컨텐츠 제공 서버(200)가 요청한 컨텐츠가 어떠한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키오스크 에이전트부(150)는 "컨텐츠 정보 요청"을 수신하기 직전 또는 직후에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은 컨텐츠에 대한 식별 정보 또는 컨텐츠 자체를 컨텐츠 제공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of i), the kiosk agent unit 150 may determine what content is requested by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on the basis of the time when the 'content information request' is received from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have. For example, the kiosk agent unit 150 may transmit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 selected by the user or the content itself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immediately before or immediately after receiving the "content information request".

ii)의 실시예에서, 키오스크 장치(100)는 '컨텐츠 정보 요청'을 수신한 시점을 기준으로 현재 디스플레이하고 있는 컨텐츠에 대한 식별 정보 또는 컨텐츠 자체를 컨텐츠 제공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of ii), the kiosk apparatus 100 may transmit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n the content currently displayed or the content itself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on the basis of the time when the 'content information request' is received.

무선 AP부(160)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며, AP(Access Point, 이하, "AP"라고 함)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AP 신호에는 키오스크 장치(100)를 네트워크 상에서 유일하게 식별시키는 AP 식별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The wireless AP unit 160 supports wireless communication and may broadcast an AP signal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AP"). The AP signal may include AP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at uniquely identifies the kiosk device 100 on the network.

키오스크 에이전트부(150)는 키오스크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키오스크 에이전트부(150)는 디스플레이부(110), 키오스크 컨텐츠 재생부(120), 입력부(130), 키오스크 통신부(140), 무선 AP부(160), 및 저장부(170)의 동작들을 제어할 수 있다.The kiosk agent unit 150 may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kiosk apparatus 100. For example, the kiosk agent unit 150 may include the display unit 110, the kiosk content playback unit 120, the input unit 130, the kiosk communication unit 140, the wireless AP unit 160, and the storage unit 170. You can control the actions.

키오스크 에이전트부(150)는 키오스크 통신부(140)를 통해 수신되는 '컨텐츠 정보 요청'에 대한 응답을 컨텐츠 제공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키오스크 에이전트부(150)는, 상기 '컨텐츠 정보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서, '컨텐츠 정보 요청'을 수신하기 직전 또는 직후에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은 컨텐츠를 특정하는 정보를 컨텐츠 제공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The kiosk agent unit 150 may transmit a response to the 'content information request' received through the kiosk communication unit 140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As described above, the kiosk agent unit 150, in response to the 'content information request', provides information for specifying the content selected by the user immediately before or after receiving the 'content information request' from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 Can be sent.

다르게(alternatively), 키오스크 장치(100)는, 상기 '컨텐츠 정보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서, '컨텐츠 정보 요청'을 수신한 시점을 기준으로 현재 디스플레이하고 있는 컨텐츠를 특정할 수 있는 정보를 컨텐츠 제공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kiosk apparatus 100, in response to the 'content information request', provides a content providing server that can specify the content currently displayed on the basis of the time when the 'content information request' is received. And transmit to 200.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키오스크 에이전트부(150)는 컨텐츠 제공 서버(200)로부터 요청이 없는 경우라도, 컨텐츠 정보를 컨텐츠 제공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Meanwhi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kiosk agent unit 150 may transmit the content information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even when there is no request from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예를 들면, 키오스크 에이전트부(150)는 입력부(130)를 통해서 사용자가 특정의 컨텐츠를 선택한 경우, 그 선택한 컨텐츠를 특정할 수 있는 정보를 컨텐츠 제공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user selects a specific content through the input unit 130, the kiosk agent unit 150 may transmit information for specifying the selected content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풀링 방식에 따라서 컨텐츠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하는 경우, 키오스크 에이전트부(150)는 입력부(130)를 통해 선택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이하, '컨텐츠 선택 정보'라고 함)를 저장부(170) 또는 별도로 마련된 저장부(미도시)에 저장하여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컨텐츠 선택 정보'는 어떤 시간에 어떠한 컨텐츠에 대하여 선택하였는지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컨텐츠 선택 정보'는, 사용자가 컨텐츠를 선택한 선택 시간(이하, '컨텐츠 선택 시간')과 컨텐츠 식별 정보(예를 들면, 컨텐츠 ID)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ntent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200 according to the pooling method, the kiosk agent unit 150 may provide information on content selected through the input unit 130 (hereinafter, referred to as 'content selection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70 or a storage unit (not shown) provided separately. Here, the 'content selection information' may indicate which content is selected at what time. For example, the 'content selection information' may include a selection time (hereinafter, referred to as 'content selection time') in which the user selects content and cont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eg, content I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 선택 정보'는 시간적으로 가장 최근에 선택받은 정보만이 저장되어 유효하게 유지되며, 그 이전에 저장되던 '컨텐츠 선택 정보'는 삭제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selection information' may be stored and kept valid only with the information most recently selected in time, and the 'content selection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may be delet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 선택 정보'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시점부터 소정의 시간동안에만 유효하게 저장되어 유지될 수 있다. 키오스크 에이전트부(150)는, 유효하게 저장되어 유지되는 '컨텐츠 선택 정보'가 없는 경우에는 컨텐츠 제공 서버(200)로 컨텐츠 정보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selection information' may be effectively stored and maintained only for a predetermined time from a time point input from the user. The kiosk agent unit 150 may not transmit the content information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when there is no 'content selection information' that is effectively stored and maintain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키오스크 에이전트부(150)는 '컨텐츠 선택 정보'를 참조하여, 컨텐츠 정보 요청에 대한 응답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키오스크 에이전트부(150)는, '컨텐츠 정보 요청'을 컨텐츠 제공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시간과, '컨텐츠 선택 정보'에 포함된 컨텐츠 선택 시간을 비교하여 양자의 시간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시간대역(이하, '동일시간대역'이라고 함)에 포함되었다고 판단되면, '컨텐츠 선택 정보'에 포함된 컨텐츠 식별 정보를 컨텐츠 제공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kiosk agent unit 150 may generate a response to the content information request with reference to 'content selection information'. For example, the kiosk agent unit 150 compares the time of receiving the 'content information request' from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with the content selection time included in the 'content selection information' so that the time of both is substantially reduced. When it is determined to be included in the same time band (hereinafter, referred to as 'same time band'), the cont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ontent selection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여기서, 동일시간대역은 양자의 시간차가 소정의 기준보다 적을 때 동일시간대역에 포함되어 있다고 판단된다. 예를 들면 '컨텐츠 선택 시간'과 '컨텐츠 정보 요청' 수신 시간 간의 차이가 5초 이하이면, 이들 '컨텐츠 선택 시간'과 '컨텐츠 정보 요청' 수신 시간은 동일시간대역에 포함되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5초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보다 크거나 더 작게 설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Here, it is determined that the same time band is included in the same time band when the time difference between them is small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For example,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ntent selection time' and the 'content information request' receiving time is 5 seconds or less,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content selection time' and the 'content information request' receiving time are included in the same time band. . Here, 5 seconds is exemplary and can be set larger or smaller than this.

한편, 실시예에 따라서, '컨텐츠 선택 정보'는, 소정의 시간 동안에만 저장되고, 소정의 시간이 경과 되면 삭제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키오스크 에이전트부(150)는 '컨텐츠 선택 정보'가 있는 경우에만 컨텐츠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상기 실시예처럼, '컨텐츠 선택 시간'과 '컨텐츠 정보 요청' 수신 시간을 고려할 필요 없이, '컨텐츠 선택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저장된 '컨텐츠 선택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In some embodiments, the 'content selection information' may be stored only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deleted after a predetermined time. In this case, the kiosk agent unit 150 may transmit the content information to the server 200 only when there is 'content selection information'. That is, as in the above embodiment, when the 'content selection information' is stored without considering the 'content selection time' and the 'content information request' receiving time, the server stores the content information using the stored content selection information server. And transmit to 200.

키오스크 에이전트부(150)는, 입력부(130)를 통해서 입력되는 '컨텐츠 선택 화면 표시 명령'에 대하여, 키오스크 장치(100)가 재생할 수 있는 컨텐츠들에 대한 모든 목록을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서 화면으로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그러한 목록을 보고 원하는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The kiosk agent unit 150 displays the list of contents that can be played by the kiosk device 100 through the display unit 110 with respect to the 'content selection screen display command'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30. Can be provided as The user can view such a list and select the desired content.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 장치(100)는, 사용로 하여금 키오스크 장치(100)가 재생하는 컨텐츠를 선택하게 하거나 또는 컨텐츠들에 대한 목록을 제공하고 그 목록을 보고 사용자가 컨텐츠를 선택하게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kiosk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user to select content to be played by the kiosk device 100 or provides a list of contents and view the list. Allows you to select content.

무선 AP부(160)는 무선 네트워크를 가능하게 하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로 구성될 수 있으며, AP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AP부(160)는 무선 공유기와 같은 AP 장치일 수 있다.The wireless AP unit 160 may be configured with hardware and / or software for enabling a wireless network, and may broadcast an AP signa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wireless AP unit 160 may be an AP device such as a wireless router.

AP 신호에는 무선 AP부(160)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예를 들면, SSID(Service set identifier))가 포함된다.The AP signal includes information (for example, a service set identifier (SSID)) for identifying the wireless AP unit 160.

컨텐츠 제공 서버(200)는 서버 통신부(210), 판독부(220), 제어부(230), 컨텐츠 저장부(240), 및 매핑 정보 저장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컨텐츠 제공 서버(200)는 제2 통신기기로부터 컨텐츠 전송 요청을 수신하고, 그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통신기기로 전송할 컨텐츠를 결정하고, 결정한 컨텐츠를 제2 통신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may include a server communication unit 210, a reading unit 220, a control unit 230, a content storage unit 240, and a mapping information storage unit 250. Here,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may receive a content transmission request from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determine content to be transmitted to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based on the request, and transmit the determined content to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여기서, 서버 통신부(210)는 키오스크 장치(100) 및 모바일 기기(300)과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고, 판독부(220)는 컨텐츠 정보를 요청할 대상이 되는 키오스크 장치를 결정할 수 있고, 제어부(230)는 컨텐츠 제공 서버(200)의 전반적인 동작과, 서버 통신부(210), 판독부(220), 및 컨텐츠 저장부(240)들간의 상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저장부(240)는 컨텐츠를 저장하며, 매핑 정보 저장부(250)는 AP_키오스크 매핑 정보, 및/또는 컨텐츠 ID_컨텐츠 매핑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컨텐츠 저장부(240)와 매핑 정보 저장부(250)에 저장된 정보들은 업데이트될 수 있다.Here,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210 may support communication with the kiosk device 100 and the mobile device 300, the reading unit 220 may determine the kiosk device to which the content information is requested, and the control unit 230. ) May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and the mutual operation between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210, the reader 220, and the content storage 240. In addition, the content storage unit 240 may store content, and the mapping information storage unit 250 may store AP_kiosk mapping information and / or content ID_content mapping information. Meanwhile, information stored in the content storage unit 240 and the mapping information storage unit 250 may be upda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 통신부(210)는 모바일 기기(300)로부터 소정의 요청을 수신하고 그에 대한 응답을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의 요청'은 컨텐츠를 전송하여 달라는 요청(이하, '컨텐츠 전송 요청')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기기(300)가 컨텐츠 제공 서버(200)로 전송하는 '컨텐츠 전송 요청'에는 전송을 원하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는 포함되지 않으며, 컨텐츠를 전송하여 달라는 요구와, AP 식별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210 may receive a predetermined request from the mobile device 300 and transmit a response thereto. Here, the 'predetermined request' may be a request for transmitting content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content transfer reque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delivery request' transmitted by the mobile device 300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does not include information on content to be transmitted, and a request to transmit the content; AP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included.

모바일 기기(300)로부터의 '컨텐츠 전송 요청'에 대하여, 컨텐츠 제공 서버(200)는 어떠한 컨텐츠를 전송해야할지를 반드시 특정할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모바일 기기(300)는 어떠한 컨텐츠를 전송해야 할지에 대한 정보를 컨텐츠 제공 서버(200)로는 알려주지 않기 때문이다. With respect to the 'content transfer request' from the mobile device 300,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needs to specify what content to transmit. This is because the mobile device 300 does not inform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of what content should be transmitted.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컨텐츠 제공 서버(200)는 아래와 같은 방식들 중 어느 하나에 의해서 모바일 기기(300)로 전송할 컨텐츠를 특정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may specify content to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device 300 by any one of the following methods.

첫 번째 방식은, 키오스크 장치(100)로 소정의 정보를 요청하고 그에 대한 응답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특정하는 방식이고,The first method is a method of requesting predetermined information from the kiosk apparatus 100 and specifying content using the response thereto.

두 번째 방식은, 키오스크 장치(100)로부터 소정의 정보를 푸쉬 받고, 그러한 푸쉬받은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특정하는 방식이며, 그리고The second method is a method of receiving predetermined information from the kiosk apparatus 100 and specifying the content by using the pushed information, and

세 번째 방식은, 키오스크 장치에 대한 컨텐츠 재생 스케쥴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특정하는 방식이다.
The third method is a method of specifying content using a content reproduction schedule for the kiosk device.

첫 번째 방식인, 키오스크 장치(100)로 소정의 정보를 요청하고 그에 대한 응답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특정하는 방식을 설명하기로 한다. A first method, a method of requesting predetermined information from the kiosk device 100 and specifying content using the response thereof will be described.

서버 통신부(210)를 통해서, 모바일 기기(300)로부터 '컨텐츠 전송 요청'이 수신되면, 판독부(220)는 '컨텐츠 전송 요청'에 포함된 AP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 정보를 요청할 키오스크 장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매핑 정보 저장부(250)에는 AP_키오스크 매핑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AP_키오스크 매핑 정보는 AP 식별정보와 키오스크 장치가 일대일로 매핑된 정보이다. 판독부(220)는 저장부(250)에 저장된 AP_키오스크 매핑 정보를 이용하여 키오스크 장치를 결정할 수 있다.When the 'content transmission request' is received from the mobile device 300 through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210, the reading unit 220 uses the AP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ontent transmission request' to request the kiosk device. You can decide. To this end, the mapping information storage unit 250 may store AP_kiosk mapping information. Here, the AP_kiosk mapping information is information in which the AP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kiosk device are mapped one-to-one. The reader 220 may determine the kiosk device using the AP_kiosk mapp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250.

제어부(230)는 판독부(220)에 의해 결정된 키오스크 장치(100)로 서버 통신부(200)를 통해서 컨텐츠 정보 요청을 전송하며, 키오스크 장치(100)로부터 컨텐츠 정보가 수신되면, 컨텐츠 정보를 이용하여 모바일 기기(300)로 해당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230 transmits a content information request to the kiosk device 100 determined by the reader 220 through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200, and when the content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kiosk device 100, the content information is used. The content may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device 300.

만약, 키오스크 장치(100)로부터 전송받은 '컨텐츠 정보'가 컨텐츠 ID 인 경우, 제어부(230)는 컨텐츠 ID_컨텐츠 매핑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특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매핑 정보 저장부(250)는 컨텐츠 ID_컨텐츠 매핑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컨텐츠 ID_컨텐츠 매핑 정보는 컨텐츠 ID와 컨텐츠가 일대일로 매핑된 정보이다. 만약, 키오스크 장치(100)로부터 전송받은 '컨텐츠 정보'가 컨텐츠 자체인 경우, 제어부(230)는 전송받은 컨텐츠를 모바일 기기(300)로 전송할 수 있다.If the 'content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kiosk device 100 is the content ID, the controller 230 may specify the content using the content ID_content mapping information. To this end, the mapping information storage unit 250 may store the content ID_content mapping information, and the content ID_content mapping information is information in which the content ID and the content are mapped one-to-one. If the 'content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kiosk device 100 is the content itself, the controller 230 may transmit the received content to the mobile device 300.

상술한 바 있지만, 키오스크 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컨텐츠 정보'는,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은 컨텐츠에 대한 정보이거나, 또는 현재 키오스크에서 디스플레이중인 컨텐츠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ontent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kiosk apparatus 100 may be information about content selected by the user or information about content currently being displayed in the kiosk.

두 번째 방식은, 키오스크 장치(100)로부터 소정의 정보를 푸쉬 받고, 그러한 푸쉬받은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특정하는 방식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기기(300)로부터 전송받은 '컨텐츠 전송 요청'의 수신 시간과, 키오스크 장치(100)로부터 푸쉬받는 정보의 수신 시간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시간대역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모바일 기기(300)로 전송할 컨텐츠를 특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컨텐츠 전송 요청'에 AP 식별정보가 반드시 포함될 필요는 없다. The second method is a method in which predetermined information is pushed from the kiosk apparatus 100 and content is specified using the pushed information.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by determining whether the reception time of the 'content transmission request' received from the mobile device 300 and the reception time of the information pushed from the kiosk apparatus 100 belong to substantially the same time band, Content to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device 300 may be specified. In this case, the AP identification information does not necessarily need to be included in the 'content transfer request'.

예를 들면, 컨텐츠 제공 서버(200)는, 키오스크 장치(100)로부터 2010년 8월 25일 12시 10초 경에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였고, 모바일 기기(300)로부터는 '컨텐츠 전송 요청'을 2010년 8월 25일 12시 11초경에 수신하였다고 가정하자. 이러한 경우, 제어부(230)는, 양자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시간대역에 속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으며, 키오스크 장치(100)로부터 2010년 12시 10초경에 수신한 컨텐츠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컨텐츠를 상기 2010년 8월 25일 11초경에 수신한 '컨텐츠 전송 요청'를 보낸 모바일 기기(300)로 전송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receives the content information from the kiosk device 100 at about 12:10 o'clock on August 25, 2010, and transmits a 'content transfer request' from the mobile device 300 to 2010. Suppose you receive it around 12:11 on August 25, 2011. In this case, the controller 230 may determine that both belong to substantially the same time band, and the content specified by the content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kiosk apparatus 100 at about 12:10 pm in 2010 may be determined. The mobile device 300 may transmit the 'content transmission request' received at about 11 seconds on August 25 to the mobile device 300.

만약, 위 실시예에서 컨텐츠 정보를 수신한 시간과 컨텐츠 전송 요청을 수신한 시간의 차이가 1초가 아니고, 60초라면 이들은 서로 동일한 시간대역에 속하지 않는다고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시간의 차이는 본 발명의 실시자에 의해 통신에 걸리는 시간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 In the above embodiment,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time of receiving the content information and the time of receiving the content transmission request is not 1 second, but 60 seconds, they may determine that they do not belong to the same time band. On the other hand, the time difference may be appropriately set in consideration of the time taken for communication by the implementer of the present invention.

즉, 두 번째 방식의 경우, 컨텐츠 제공 서버(200)는 키오스크 장치(100)로 컨텐츠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를 요청하지 않으며, 키오스크 장치(100)로부터 푸쉬받는 정보와, 그 푸쉬정보를 수신하는 시간, 그리고 모바일 기기(300)로부터 '컨텐츠 전송 요청'을 수신하는 시간 등을 고려하여, 모바일 기기(300)로 전송할 컨텐츠를 특정할 수 있다. 두 번째 방식에서도, 키오스크 장치(100)로부터 푸쉬받은 '컨텐츠 정보'는,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은 컨텐츠에 대한 정보이거나, 또는 현재 키오스크에서 디스플레이중인 컨텐츠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That is, in the second method,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does not request information for specifying content from the kiosk device 100, but receives information pushed from the kiosk device 100 and the time for receiving the push information. In addition, the content to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device 300 may be specified in consideration of the time for receiving the 'content transmission request' from the mobile device 300. In the second method, 'content information' pushed from the kiosk apparatus 100 may be information about content selected by a user or information about content currently being displayed in a kiosk.

세 번째 방식은, 키오스크 장치에 대한 컨텐츠 재생 스케쥴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특정하는 방식이다. The third method is a method of specifying content using a content reproduction schedule for the kiosk device.

본 방식에 따르면 키오스크 장치(100)에 대한 컨텐츠 재생 스케쥴을 컨텐츠 제공 서버(200)가 저장하고 있다. 컨텐츠 재생 스케쥴은 컨텐츠 저장부(240), 또는 매핑 정보 저장부(25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 재생 스케쥴은 키오스크 장치(100)가 가지는 컨텐츠 재생 스케쥴과 동기화되어 있다. 컨텐츠 재생 스케쥴의 동기화를 위해서, 키오스크 장치(100)와 컨텐츠 제공 서버(200)는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통신을 하거나, 또는 컨텐츠 재생 스케쥴을 관리하는 별도의 관리서버(미도시)가 별도로 마련되어 그 관리서버(미도시)를 통해서 최신의 컨텐츠 재생 스케쥴을 키오스크 장치(100)와 컨텐츠 제공 서버(200)가 전송받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method,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stores a content reproduction schedule of the kiosk device 100. The content playback schedule may be stored in the content storage unit 240 or the mapping information storage unit 2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playback schedule is synchronized with the content playback schedule of the kiosk apparatus 100. In order to synchronize the content playback schedule, the kiosk apparatus 100 and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communicate periodically or aperiodically or have a separate management server (not shown) separately managing the content playback schedule. The kiosk apparatus 100 and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may receive the latest content reproduction schedule through a server (not shown).

컨텐츠 재생 스케쥴에는, 키오스크 장치별로, 그리고 시간대별로 재생되는 컨텐츠 정보가 모두 포함되어 있다. 즉, 키오스크와 시간을 알면 컨텐츠를 특정할 수 있다. The content reproduction schedule includes all the content information reproduced for each kiosk device and for each time zone. In other words, knowing the kiosk and time can specify the content.

예를 들어, 제어부(230)는, 모바일 기기(300)로부터 수신한 '컨텐츠 전송 요청'과, '컨텐츠 전송 요청' 수신 시간과, 컨텐츠 재생 스케쥴을 참조하면, 모바일 기기(300)로 전송할 컨텐츠를 특정할 수 있다. 즉, 컨텐츠 재생 스케쥴에는 키오스크 장치 및 시간대별로 재생되는 컨텐츠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키오스크 장치에 대한 정보와 시간을 알면 컨텐츠가 특정될 수 있다. 제어부(230)는, 모바일 기기(300)로부터 전송받은 AP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정해지는 키오스크 장치와, '컨텐츠 전송 요청'을 수신한 시간을 이용하면 모바일 기기(300)로 전송할 컨텐츠를 결정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controller 230 may refer to the 'content transmission request' received from the mobile device 300, the 'content transmission request' reception time, and the content reproduction schedule, referring to the content to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device 300. It can be specified. That is, since the content playback schedule includes the content played for each kiosk device and time zone, the content can be specified by knowing the information and time of the kiosk device. The controller 230 may determine a content to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device 300 by using the kiosk device determined using the AP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obile device 300 and the time when the content transmission request is received. .

제2 통신기기는 자신의 동작(액션)을 감지할 수 있고, 컨텐츠를 수신하여 재생할 수 있는 모바일 기기(300)일 수 있다.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may be a mobile device 300 capable of detecting its own operation (action) and receiving and playing conten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300)는 '컨텐츠 전송 요청'을 컨텐츠 제공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러한 '컨텐츠 전송 요청'에는 '컨텐츠를 전송해달라는 요구'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The mobile device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transmit a 'content delivery request'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and the 'content delivery request' may include a 'request to transmit content'. Can be.

또한, '컨텐츠 전송 요청'에는 키오스크 장치(100)를 식별하는 AP 식별정보가 더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전송의 대상이 되는 컨텐츠가 어떤 것인지에 대한 정보는 '컨텐츠 전송 요청'에 포함되어 있지 않다.In addition, the 'content transfer request' may further include AP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kiosk device 100. However, information on what content is the object of transmission is not included in the 'content delivery request'.

다르게는, AP 식별정보는 모바일 에이전트부(330)가 처음 실행될 때, 상기 '컨텐츠 전송 요청'과는 별도로 컨텐츠 제공 서버(200)로 전송될 수 있다. 즉, 처음 모바일 에이전트부(330)가 처음 실행될 때, 모바일 에이전트부(330)는 AP 신호 수집부(360)가 수집한 AP 식별정보를 컨텐츠 제공 서버(200)로 먼저 전송하고, 이후 소정의 모바일 기기(200)의 동작이 동작 감지부(310)에 의해 감지되며 '컨텐츠 전송 요청'을 컨텐츠 제공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컨텐츠 전송 요청'에는 AP 식별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을 수 있으며, AP 식별정보가 포함되더라도 무방하다.Alternatively, the AP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separately from the 'content transmission request' when the mobile agent 330 is first executed. That is, when the mobile agent unit 330 is first executed, the mobile agent unit 330 first transmits the AP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AP signal collection unit 360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and then predetermined mobile The motion of the device 200 is detected by the motion detector 310 and may transmit a 'content transfer request'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In this case, the 'content transmission request' may not include AP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may include AP identification information.

모바일 기기(300)는 '컨텐츠 전송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컨텐츠 전송 서버(200)로부터 컨텐츠를 전송받아 표시할 수 있다.The mobile device 300 may receive and display the content from the content delivery server 200 in response to the 'content delivery reques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300)는 동작 감지부(31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20), 모바일 에이전트부(330), 모바일 컨텐츠 재생부(340), 저장부(350), 및 AP 신호 수집부(36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obile device 300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motion detector 310, a network interface 320, a mobile agent 330, a mobile content playback 340, a storage 350, and It may include an AP signal collector 360.

동작 감지부(310)는 모바일 기기(300)의 동작을 감지하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20)는 컨텐츠 제공 서버(200)와의 통신을 지원하고, 모바일 컨텐츠 재생부(340)는 이미지 및/또는 동영상과 같은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고, 저장부(350)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모바일 에이전트부(330)는 모바일 기기(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동작 감지부(31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20), 모바일 컨텐츠 재생부(340), 및 저장부(350)들 간의 상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AP 신호 수집부(360)는 모바일 기기(300) 주위의 AP 신호를 스캐닝하여 AP 신호의 세기와 AP 식별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The motion detection unit 310 detects the motion of the mobile device 300, the network interface 320 supports communication with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and the mobile content playback unit 340 may display an image and / or a video. And the like, the storage unit 350 may store information, and the mobile agent unit 33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device 300, the motion detector 310, and the network interface unit ( 320, the interaction between the mobile content player 340 and the storage 350 may be controlled. In addition, the AP signal collector 360 may collect the strength of the AP signal and the AP identification information by scanning the AP signal around the mobile device 30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에이전트부(330)는 사용자의 실행 명령이 있는 경우에만 동작하거나, 또는 백그라운드에서 항상 동작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모바일 기기(300)의 운영체제(미도시)는 사용자에게 모바일 에이전트부(330)의 실행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그러한 화면을 통해서 모바일 에이전트부(330)를 실행시킬 수 있다. 다르게는, 모바일 기기(300)의 운영체제(미도시)는 모바일 기기(300)가 동작하는 경우 모바일 에이전트부(330)를 항상 실행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agent 330 may operate only when there is a user's execution command or may be a component that always operates in the background. An operating system (not shown) of the mobile device 300 may provide a user with a screen for inputting an execution command of the mobile agent unit 330, and the user may execute the mobile agent unit 330 through such a screen. Can be. Alternatively, the operating system (not shown) of the mobile device 300 may always execute the mobile agent unit 330 when the mobile device 300 operates.

모바일 에이전트부(330)는 서버 통신부(210)와의 통신 경로를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에이전트부(330)는 서버 통신부(210)와의 통신을 위한 세션을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세션을 통해서, '컨텐츠 전송 요청'을 서버 통신부(210)로 송신하거나 또는 그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The mobile agent unit 330 may maintain a communication path with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210. For example, the mobile agent 330 may maintain a session for communication with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210. Through this session, the 'content transfer request' may be transmitted to or received from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210.

동작 감지부(310)는 모바일 기기(300)에 발생하는 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 동작 감지부(310)는 예를 들면 중력 센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감지부(310)는 모바일 에이전트부(330)가 실행된 경우에만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르게는, 동작 감지부(310)는 모바일 에이전트부(330)의 실행여부와 무관하게 동작하여 감지 결과를 저장부(350)에 저장할 수 있다.The motion detector 310 may detect a motion occurring in the mobile device 300. The motion detector 310 may be implemented by, for example, a gravity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tion detector 310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only when the mobile agent 330 is executed. Alternatively, the motion detector 310 may operate regardless of whether the mobile agent 330 is executed and store the detection result in the storage 350.

동작 감지부(310)가 감지하는 동작은 예를 들면, 모바일 기기(300)의 흔들림 동작이나 충돌 동작일 수 있다. 흔들림 동작 또는 충돌 동작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다른 동작도 감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동작 감지부(310)는 모바일 기기(300)의 다양한 동작들을 적어도 하나 이상 구별하여 감지할 수 있다.The motion detected by the motion detector 310 may be, for example, a shaking motion or a collision motion of the mobile device 300. The shaking motion or the collision motion is exemplary, and other motions may also be sensed. Preferably, the motion detector 310 may distinguish and detect at least one or more various operations of the mobile device 300.

AP 신호 수집부(360)는 모바일 기기(300) 주위의 AP 신호들을 스캐닝하여 AP 신호의 세기와 AP 식별 정보를 수집한다. AP 신호 수집부(360)는 모바일 에이전트부(330)가 실행되는 경우에만 동작하거나, 또는 모바일 에이전트부(330)의 실행여부와 무관하게 동작할 수 있다.The AP signal collector 360 scans AP signals around the mobile device 300 and collects the strength of the AP signal and the AP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AP signal collection unit 360 may operate only when the mobile agent unit 330 is executed or may operate regardless of whether the mobile agent unit 330 is executed.

모바일 에이전트부(330)는 동작 감지부(310)가 흔들림 동작을 감지한 경우에는 컨텐츠 제공 서버(200)로 '컨텐츠 전송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모바일 에이전트부(330)는, '컨텐츠 전송 요청'에 AP 신호 수집부(360)가 수집한 AP 식별 정보를 모두 포함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컨텐츠 제공 서버(200)의 판독부(220)는 모바일 기기(300)로부터 수신하는 AP 식별 정보 중에서, 가장 신호의 세기가 센 AP 신호에 대한 AP 식별 정보를 선택하고, 그렇게 선택한 AP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키오스크를 결정할 수 있다.When the motion detection unit 310 detects the shaking motion, the mobile agent 330 may transmit a 'content transmission request'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Meanwhile, the mobile agent 330 may include all AP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AP signal collector 360 in the 'content transmission request'. In this case, the reader 220 of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selects AP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AP signal having the strongest signal strength among AP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obile device 300, and thus selects the AP identification. The information can be used to determine the kiosk.

또한, 모바일 에이전트부(330)는 AP 신호 수집부(360)가 수집한 AP 신호들 중에서 가장 신호의 세기가 센 AP 신호에 대한 AP 식별 정보를 상기 '컨텐츠 전송 요청'에 포함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mobile agent 330 may include AP identification information on the AP signal having the strongest signal strength among the AP signals collected by the AP signal collector 360 in the 'content transmission request'.

모바일 에이전트부(330)는, 동작 감지부(310)가 흔들림 동작을 감지한 순간, AP 신호 수집부(360)가 수집한 AP 신호들 중에서 신호의 세기가 가장 센 AP 신호에 대한 AP 식별 정보를 '컨텐츠 전송 요청'에 포함시켜서 컨텐츠 제공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The mobile agent unit 330, when the motion detection unit 310 detects the shaking motion, provides AP identification information on the AP signal having the strongest signal strength among the AP signals collected by the AP signal collection unit 360. It may be included in the 'content delivery request' and transmitted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기기(300)의 사용자는 키오스크 장치(100)가 재생하는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으며, 그와 동시 또는 직후에 모바일 기기(300)를 흔들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user of the mobile device 300 may select content to be played by the kiosk device 100 and shake the mobile device 300 at the same time or immediately after.

모바일 에이전트부(330)는 컨텐츠 제공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컨텐츠를 저장부(350)에 저장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받을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는 명령은 예를 들면 컨텐츠 재생, 재생 중지 또는 중단 등과 같은 명령일 수 있다.The mobile agent 330 may store the content received from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in the storage 350 and may receive a user interface screen for receiving a command from the user. Here, the command that can be input from the user may be a command such as playing content, stopping playing, or stopping playing.

모바일 컨텐츠 재생부(340)는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모바일 컨텐츠 재생부(340)에 의해 재생되는 컨텐츠는 스피커나 디스플레이부(미도시)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The mobile content player 340 may play content. Although not shown, the content played by the mobile content player 340 may be output through a speaker or a display unit (not shown).

저장부(350)는 모바일 기기(30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다. 예를 들면, 저장부(350)는 컨텐츠 제공 서버(200)로 전송할 사용자 정보, 컨텐츠 제공 서버(200)로부터 전송받은 컨텐츠, 및 키오스크 장치(100)로부터 수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350 stores various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mobile device 300. For example, the storage 350 may store user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content received from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and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kiosk device 100.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기기(300)는 컨텐츠 제공 서버(200)로부터 전송받은 컨텐츠의 종류를 분석하고, 컨텐츠의 종류에 따라서 다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에서는, 컨텐츠 제공 서버(200)로부터 전송받은 컨텐츠를 모바일 기기(300)는 주로 재생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와 다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device 300 may analyze the type of content received from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and perform other operations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content.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e mobile device 300 is mainly played back to the content received from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it can be performed different operations.

일 예를 들면, 모바일 에이전트부(330)는 컨텐츠의 내용을 파싱하여 컨텐츠의 종류가 무엇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가 '전화번호' 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그 전화번호로 전화를 자동으로 걸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모바일 기기(300)는 전화를 위한 통신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모바일 에이전트부(330)는 그러한 통신부(미도시)를 제어하여 전화를 걸 수 있다. 한편, 모바일 에이전트부(300)는 사용자에게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지 여부를 안내하는 화면을 사용자에게 표시한 후, 사용자로부터 확인을 받은 후에 전화를 걸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mobile agent 330 may determine the type of the content by parsing the content. For example, if the content includes a 'phone number', the phone number can be automatically dialed. To this end, the mobile device 300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for a telephone, and the mobile agent unit 330 may control the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to make a call. On the other hand, the mobile agent 300 may display a screen for guiding the user whether to call the phone number to the user, and then make a call after receiving confirmation from the user.

다른 예를 들면, 모바일 에이전트부(330)는 컨텐츠가 'URL'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 그 URL을 가진 웹 사이트로 접속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모바일 기기(300)는 웹 브라우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모바일 에이전트부(330)는 웹 브라우저(미도시)를 실행시켜서 상기 URL을 가진 웹 사이트로 접속할 수 있다. 본 실시예 역시 사용자에게 웹 사이트로 접속할 지 여부를 문의하여 확인을 받은 후에 웹 사이트로 접속할 수 있다.For another example, if the content includes a 'URL', the mobile agent 330 may access a web site having the URL. To this end, the mobile device 300 may further include a web browser (not shown), and the mobile agent unit 330 may access a web site having the URL by executing a web browser (not shown). This embodiment may also access the web site after receiving a confirmation by inquiring whether the user accesses the web sit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300)는 컨텐츠 제공 서버(200)로부터 전송받은 컨텐츠의 종류에 따라서 미리 정의된 동작을 자동 또는 수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obile device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utomatically or manually perform a predefined opera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content received from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작 감지 신호 기반의 컨텐츠 제공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network configuration of a content providing system based on a motion detection signal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의 실시예와 비교하면, 도 2의 실시예는 키오스크 장치(100)에 대한 AP식별정보를 이용하지 않는 것이다. 도 2의 실시예는 AP 식별정보 대신에 모바일 기기(3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위치 정보 획득부를 추가적으로 구비하고 있다는 면에서 도 1의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Compared to the embodiment of FIG. 1, the embodiment of FIG. 2 does not use AP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kiosk device 100. The embodiment of FIG. 2 differs from the embodiment of FIG. 1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for obtain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device 300 instead of the AP identification information.

도 2의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 장치(400)는 디스플레이부(410), 키오스크 컨텐츠 재생부(420), 입력부(430), 키오스크 통신부(440), 키오스크 에이전트부(450), 및 저장부(470)를 포함하며, 이들 구성요소 각각은 도 1의 실시예의 키오스크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10), 키오스크 컨텐츠 재생부(120), 입력부(130), 키오스크 통신부(140), 키오스크 에이전트부(150), 및 저장부(170)에 각각 대응된다. 도 1의 실시예에서는 AP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하는 점만을 제외하면, 도 1의 키오스크 장치(100)와 도 2의 키오스크 장치(400)는 동일한 동작을 수행한다. 즉, 도 2의 키오스크 장치(400)는 AP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하지 않는다.The kiosk device 4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2 includes a display unit 410, a kiosk content playback unit 420, an input unit 430, a kiosk communication unit 440, a kiosk agent unit 450, and a storage unit 470. Each of these components includes a display unit 110, a kiosk content playback unit 120, an input unit 130, a kiosk communication unit 140, and a kiosk agent unit of the kiosk device 100 of the embodiment of FIG. 150 and the storage unit 170, respectively. 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FIG. 1, except for broadcasting the AP signal, the kiosk apparatus 100 of FIG. 1 and the kiosk apparatus 400 of FIG. 2 perform the same operation. That is, the kiosk device 400 of FIG. 2 does not broadcast the AP signal.

또한, 도 2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600)는 동작 감지부(61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620), 모바일 에이전트부(630), 모바일 컨텐츠 재생부(640), 저장부(650), 및 위치 정보 획득부(670)를 포함하며, 이들 구성요소 각각은 도 1의 실시예의 모바일 기기(300)의 동작 감지부(31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20), 모바일 에이전트부(330), 모바일 컨텐츠 재생부(340), 저장부(350), 및 AP 신호 수집부(370)에 대응된다. 또한, 도 2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서버(500)는 서버 통신부(510), 판독부(520), 제어부(530), 컨텐츠 저장부(540), 및 매핑 정보 저장부(550)를 포함하며, 이들 구성요소 각각은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서버(200)의 서버 통신부(210), 판독부(220), 제어부(230), 컨텐츠 저장부(240), 및 매핑 정보 저장부(250)에 대응된다. In addition, the mobile device 6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2 includes a motion detection unit 610, a network interface unit 620, a mobile agent unit 630, a mobile content playback unit 640, a storage unit 650, And a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670, each of which is a motion detection unit 310, a network interface unit 320, a mobile agent unit 330, a mobile device of the mobile device 300 of the embodiment of FIG. 1. Corresponds to the content playback unit 340, the storage unit 350, and the AP signal collector 370. In addition,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5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2 includes a server communication unit 510, a reading unit 520, a control unit 530, a content storage unit 540, and a mapping information storage unit 550. Each of these components may include a server communication unit 210, a reader 220, a controller 230, a content storage unit 240, and a mapping information storage unit of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1. Corresponds to 250.

이하에서는, 도 1의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도 2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embodiment of FIG. 2 will be described based on differences from the embodiment of FIG. 1.

도 2의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기기(600)의 위치 정보 획득부(670)는 GPS 수신기와 같이 모바일 기기(6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모바일 에이전트부(630)는 동작 감지부(610)가 흔들림 동작을 감지한 경우 컨텐츠 제공 서버(500)로 '컨텐츠 전송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에이전트부(630)는, '컨텐츠 전송 요청'에 위치 정보 획득부(670)가 획득한 모바일 기기(600)의 위치 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2, the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670 of the mobile device 600 may acquir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device 600, such as a GPS receiver. When the motion detection unit 610 detects the shaking motion, the mobile agent 630 may transmit a 'content transmission request'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500. Meanwh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agent 630 may includ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device 600 acquired by the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670 in the 'content transmission request'.

한편, 모바일 기기(600)의 위치 정보는 컨텐츠 전송 요청에 포함되어 전송되거나, 또는 별도로 전송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모바일 에이전트부(630)가 실행되면, 모바일 기기(600)의 움직임이 있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모바일 기기(600)의 위치 정보가 컨텐츠 제공 서버(500)로 바로 전송될 수 있다. Meanwhil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device 600 may be included in the content transmission request and transmitted or may be separately transmitted. For example, when the mobile agent 630 is executed, regardless of whether there is a movement of the mobile device 600,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device 600 may be directly transmitted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500.

모바일 에이전트부(630)는, 동작 감지부(610)가 흔들림 동작을 감지한 순간, 위치 정보 획득부(670)가 획득한 모바일 기기(600)의 위치 정보를 '컨텐츠 전송 요청'에 포함시켜서 컨텐츠 제공 서버(500)로 전송할 수 있다. The mobile agent 630 includ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device 600 acquired by the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670 in the 'content transmission request' at the moment the motion detection unit 610 detects the shaking motion. It may transmit to the providing server 500.

컨텐츠 제공 서버(500)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The operation of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500 will be described.

서버 통신부(510)는 키오스크 장치(400) 및 모바일 기기(600)과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고, 판독부(520)는 컨텐츠 정보를 요청할 대상이 되는 키오스크 장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저장부(540)는 컨텐츠를 저장하며, 매핑 정보 저장부(250)는 위치_키오스크 매핑정보와 컨텐츠 ID_컨텐츠 매핑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The server communicator 510 may support communication with the kiosk device 400 and the mobile device 600, and the reader 520 may determine a kiosk device to which content information is requested. In addition, the content storage unit 540 may store content, and the mapping information storage unit 250 may store location_kiosk mapping information and content ID_content mapping inform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 통신부(510)는 모바일 기기(600)로부터 컨텐츠 전송 요청을 수신하고 그에 대한 응답을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기기(600)가 컨텐츠 제공 서버(500)로 전송하는 '컨텐츠 전송 요청'에는 컨텐츠에 대한 식별 정보는 포함되어 있지 않으며, 컨텐츠를 전송하여 달라는 요구와, 모바일 기기(600)의 위치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510 may receive a content transmission request from the mobile device 600 and transmit a response thereto.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transmission request' transmitted by the mobile device 600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500 does not includ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 and the request to transmit the content and the mobil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evice 600 is included.

예를 들어, 본원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컨텐츠 제공 서버(500)는 아래와 같은 방식들 중 어느 하나에 의해서 모바일 기기(600)가 원하는 컨텐츠를 특정할 수 있다.For exampl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500 may specify the content desired by the mobile device 600 by any one of the following methods.

첫 번째 방식은, 키오스크 장치(400)로 소정의 정보를 요청하고 그에 대한 응답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특정하는 방식이고, 두 번째 방식은, 키오스크 장치(400)로부터 소정의 정보를 푸쉬 받고, 그러한 푸쉬받은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특정하는 방식이며, 그리고 세 번째 방식은, 키오스크 장치(400)의 도움이 없이, 키오스크 장치에 대한 컨텐츠 재생 스케쥴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특정하는 방식이다.The first method is a method of requesting predetermined information from the kiosk device 400 and specifying content using a response thereto, and the second method is to receive predetermined information from the kiosk device 400 and to push such information. The third method is a method of specifying content using the received information, and the third method is a method of specifying content using a content reproduction schedule for the kiosk device without the help of the kiosk device 400.

한편, 상기 3가지 방식은 이미 도 1의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차이가 나는 부분에 대하여만 설명하기로 한다. On the other hand, since the three methods have already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 of FIG. 1, only differences will be described.

첫 번째 방식에서, 컨텐츠 제공 서버(500)의 판독부(520)는 키오스크를 결정할 때, 위치_키오스크 매핑 정보를 이용하여 키오스크를 결정할 수 있다. 즉, 모바일 기기(600)로부터 전송받은 컨텐츠 전송 요청에는 위치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데, 판독부(520)는 모바일 기기(600)의 위치에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한 키오스크를 컨텐츠 정보를 요청할 대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위치_키오스크 매핑 정보에는 위치별 키오스크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판독부(520)는 그러한 매핑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제어부(530)는, 판독부(520)가 결정한 키오스크 장치로 컨텐츠 정보 요청을 서버 통신부(520)를 통해서 전송하며, 이후의 동작은 도 1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In the first method, when the reader 520 of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500 determines the kiosk, the reader 520 may determine the kiosk using the location_kiosk mapping information. That is, the content transmission request received from the mobile device 600 includes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reader 520 may determine a content kiosk located closest to the location of the mobile device 600 as a request for content information. . Since the location_kiosk mapping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on location-specific kiosks, the reader 520 may use such mapping information. The control unit 530 transmits the content information request to the kiosk device determined by the reading unit 520 through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520, and the subsequent operation is the same as described in the embodiment of FIG.

두 번째 방식에서 도 1의 실시예와 도 2의 실시예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Since the embodiment of FIG. 1 and the embodiment of FIG. 2 are the same in the second metho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세 번째 방식에서 본 실시예는 키오스크 장치(400)에 대한 컨텐츠 재생 스케쥴을 컨텐츠 제공 서버(500)가 저장하고 있는 경우를 상정한 것으로서, 컨텐츠 재생 스케쥴이 컨텐츠 저장부(540), 또는 매핑 정보 저장부(55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고, 위치_키오스크 매핑정보가 매핑 정보 저장부(55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In the third method, the present embodiment assumes that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500 stores a content playing schedule for the kiosk device 400, and the content playing schedule is stored in the content storing unit 540 or mapping information. It may be stored in the unit 550, location_kiosk mapping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the mapping information storage unit 550.

컨텐츠 재생 스케쥴에는, 키오스크 장치별로, 그리고 시간대별로 재생되는 컨텐츠 정보가 모두 포함되어 있다. 즉, 키오스크와 시간을 알면 컨텐츠를 특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530)는, 모바일 기기(600)로부터 수신한 '컨텐츠 전송 요청'과, '컨텐츠 전송 요청' 수신 시간과, 컨텐츠 재생 스케쥴과, 위치_키오스크 매핑정보를 참조하여, 모바일 기기(600)로 전송할 컨텐츠를 특정할 수 있다. 즉, 컨텐츠 재생 스케쥴에는 키오스크 장치 및 시간대별로 재생되는 컨텐츠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키오스크 장치에 대한 정보와 시간을 알면 컨텐츠가 특정될 수 있다. 제어부(530)는, 모바일 기기(500)로부터 전송받은 '컨텐츠 전송 요청'에 포함된 모바일 기기(600)의 위치 정보와 상기 위치_키오스크 매핑정보에 의해 정해지는 키오스크 장치와, '컨텐츠 전송 요청'을 수신한 시간을 이용하면 모바일 기기(600)로 전송할 컨텐츠를 결정할 수 있다. The content reproduction schedule includes all the content information reproduced for each kiosk device and for each time zone. In other words, knowing the kiosk and time can specify the content. For example, the controller 530 may refer to the 'content transfer request' received from the mobile device 600, the 'content transfer request' reception time, the content playback schedule, and the location_kiosk mapping information. Content to be transmitted to 600 may be specified. That is, since the content playback schedule includes the content played for each kiosk device and time zone, the content can be specified by knowing the information and time of the kiosk device. The controller 530 is a kiosk device determined by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device 600 included in the 'content transmission request' received from the mobile device 500 and the location_kiosk mapping information, and the 'content transmission request'. Using the received time, the content to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device 600 may be determined.

이상과 같이, 도 2의 실시예를 도 1의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며, 그외의 부분은 도 1의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작용을 하는 것이므로 도 1의 실시예의 설명을 참조하기 바란다.As described above, the embodiment of FIG. 2 has been described mainly for differences from the embodiment of FIG. 1, and other parts of the embodiment have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as the embodiment of FIG. 1, and thus,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 of FIG. .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 감지 신호 기반의 컨텐츠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ent providing method based on a motion detection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 감지 신호 기반의 컨텐츠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based on a motion detection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키오스크 장치(100)는 자신의 컨텐츠 재생 스케쥴에 따라 지속적으로 컨텐츠를 재생한다(S401). 이때, 재생되는 컨텐츠 및 그 컨텐츠의 컨텐츠 재생 스케쥴은 키오스크 장치(100)가 설치되는 장소에 따라 다르게 정해질 수 있다.The kiosk apparatus 100 continuously plays the content according to its content playing schedule (S401). In this case, the content to be played and the content playback schedule of the content may be determin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location where the kiosk apparatus 100 is installed.

키오스크 장치(100)에서 재생되고 있는 컨텐츠를 시청하던 중 재생되고 있는 컨텐츠 중 적어도 일부를 전송받고자 한다면, 사용자는 모바일 기기(300)를 조작하여 모바일 에이전트부(330)를 구동시킨다(S403).If the user wants to receive at least some of the content being played while watching the content being played in the kiosk apparatus 100, the user operates the mobile device 300 to drive the mobile agent 330 (S403).

모바일 에이전트부(330)가 구동(실행)된 후, 모바일 기기(300)에 소정의 동작이 발생하면, 동작 감지부(310)에서 발생한 동작을 감지하여 컨텐츠 요청 동작인지를 판단한다. 여기서, 컨텐츠 요청 동작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S405), 모바일 에이전트부(33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20)를 통해 컨텐츠 제공 서버(200)로 컨텐츠를 요청한다(S407).After the mobile agent 330 is driven (executed), if a predetermined operation occurs in the mobile device 300, the motion detection unit 310 detects an operation generated and determines whether the content is requested. Her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ontent request operation has occurred (S405), the mobile agent 330 requests the content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through the network interface 320 (S407).

모바일 기기(300)로부터 컨텐츠 전송을 요청받은 컨텐츠 제공 서버(200)의 판독부(220)는 모바일 기기(300)가 요청한 컨텐츠를 재생하는 키오스크 장치(100)가 어느 것인지를 판독한다(S409). 이때, 컨텐츠 제공 서버(200)의 판독부(220)에서는 컨텐츠를 요청한 모바일 기기(300)의 현재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모바일 기기(300)가 요청한 컨텐츠를 재생하는 키오스크 장치(100)를 판별할 수 있다.The reading unit 220 of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which has been requested to transmit content from the mobile device 300, reads which kiosk device 100 reproduces the content requested by the mobile device 300 (S409). In this case, the reader 220 of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may determine the kiosk device 100 that plays the content requested by the mobile device 300 using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device 300 that requested the content. have.

이후, 컨텐츠 제공 서버(200)는 모바일 기기(300)가 요청한 컨텐츠를 재생하는 것으로 판별된 키오스크 장치(100)로 현재 재생중인 컨텐츠 정보를 요청한다(S411). 이와 다르게, 사용자가 키오스크 장치(100)를 통해서 선택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Thereafter,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requests content information currently being played from the kiosk device 100 determined to play the content requested by the mobile device 300 (S411). Alternatively, the user may request information on the content selected by the kiosk device 100.

컨텐츠 제공 서버(200)로부터 컨텐츠 정보를 요청받은 키오스크 장치(100)는 키오스크 컨텐츠 재생부(120)에서 현재 재생하고 있는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정보 예를 들면, 해당 컨텐츠의 ID를 컨텐츠 제공 서버(200)로 전송한다(S413). 이와 다르게, 사용자가 키오스크 장치(100)를 통해서 선택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와 유기적으로 연결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The kiosk apparatus 100 that has received content information from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may provide content information on content currently being played by the kiosk content playback unit 120, for example, an ID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to be provided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It transmits to (S413). Alternatively, the user may transmit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 selected by the user through the kiosk device 100 or may transmit information about content organically connected to the content selected by the user.

키오스크 장치(100)로부터 컨텐츠 정보가 수신되면, 제어부(230)는 수신한 컨텐츠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 저장부(240)로부터 컨텐츠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추출한다(S415).When content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kiosk apparatus 100, the controller 230 extracts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information from the content storage unit 240 using the received content information (S415).

컨텐츠 제공 서버(200)의 제어부(230)는 추출한 컨텐츠를 모바일 기기(300)로 전송하도록 서버 통신부(210)를 제어한다. 이에 의해, 모바일 기기(300)는 컨텐츠 제공 서버(200)로부터 기요청한 컨텐츠를 전송받는다(S417).The controller 230 of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controls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210 to transmit the extracted content to the mobile device 300. As a result, the mobile device 300 receives the requested content from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S417).

컨텐츠 제공 서버(200)로부터 컨텐츠를 전송받은 후, 모바일 기기(300)의 모바일 컨텐츠 재생부(340)에서는 해당 컨텐츠를 재생한다(S419). 이때, 모바일 컨텐츠 재생부(340)는 컨텐츠 제공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컨텐츠가 복수일 경우,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썸네일 형태로 컨텐츠의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After receiving the content from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the mobile content playback unit 340 of the mobile device 300 plays the content (S419). In this case,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contents received from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the mobile content playing unit 340 may output an image of the contents in a thumbnail form for the convenience of the user.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작 감지 신호 기반의 컨텐츠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ent providing method based on a motion detection signal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 1과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작 감지 신호 기반의 컨텐츠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based on a motion detection sig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4.

키오스크 장치(100)는 자신의 컨텐츠 재생 스케쥴에 따라 지속적으로 컨텐츠를 재생한다(S501). 이때, 재생되는 컨텐츠 및 그 컨텐츠의 컨텐츠 재생 스케쥴은 키오스크 장치(100)가 설치되는 장소에 따라 다르게 정해질 수 있다.The kiosk apparatus 100 continuously plays the content according to its content playing schedule (S501). In this case, the content to be played and the content playback schedule of the content may be determin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location where the kiosk apparatus 100 is installed.

사용자는 모바일 기기(300)를 조작하여 모바일 에이전트부(330)를 구동시키고(S503), 모바일 기기(300)에서 모바일 에이전트부(330)가 구동된 상태에서 컨텐츠 요청 동작 예를 들면, 모바일 기기(300)의 흔들림 동작이 발생하면(S505), AP 신호 수집부(360)는 통신 가능 범위 이내의 키오스크 장치들로부터 AP 신호를 수집한다(S509). The user manipulates the mobile device 300 to drive the mobile agent unit 330 (S503), and the content request operation while the mobile agent unit 330 is driven in the mobile device 300. When the shaking operation of 300 occurs (S505), the AP signal collector 360 collects the AP signal from the kiosk devices within the communication range (S509).

AP 신호 수집부(360)는 키오스크 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AP 신호들을 저장한다(S511). 여기서, 통신 가능 범위 이내의 키오스크 장치(100)가 복수 개이면 AP 신호들도 복수 개가 수신될 것이며, 복수의 AP 신호들이 저장부(350)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이와 다르게, AP 신호 수집부(360)는 수집한 AP 신호들 중에서 가장 신호의 세기가 센 신호에 대한 AP의 식별정보만을 저장할 수 있다.The AP signal collector 360 stores the AP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kiosk apparatus 100 (S511). Here,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kiosk devices 100 within a communication range, a plurality of AP signals may be received, and a plurality of AP signals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350. On the other hand, the AP signal collector 360 may store only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AP for the signal having the strongest signal strength among the collected AP signals.

모바일 기기(300)는 통신 가능 범위 이내의 키오스크 장치(100)로부터 전송받은 AP 식별코드와 자신의 사용자 정보를 컨텐츠 제공 서버(200)로 전송하여 컨텐츠를 요청한다(S513).The mobile device 300 requests the content by transmitting the AP identification code and its user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kiosk device 100 within the communication range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S513).

컨텐츠 제공 서버(200)는 서버 통신부(210)를 통해 컨텐츠 요청이 입력되면, 모바일 기기(300)로부터 수신한 AP 식별코드를 매핑 정보 저장부(250)에 기저장된 AP 식별코드와 비교하여 요청된 컨텐츠를 재생하는 키오스크 장치(100)를 판독한다(S515).When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receives a content request through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210,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compares the AP identification code received from the mobile device 300 with the AP identification code previously stored in the mapping information storage unit 250. The kiosk apparatus 100 for playing the content is read out (S515).

컨텐츠 제공 서버(200)는 서버 통신부(210)를 통해 기판독된 키오스크 장치(100)로 재생중인 컨텐츠 정보를 요청하고(S517), 컨텐츠 정보 요청을 수신한 키오스크 장치(100)는 키오스크 컨텐츠 재생부(120)에서 현재 재생하고 있는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정보를 컨텐츠 제공 서버(200)로 전송한다(S519). 만약, 컨텐츠 제공 서버(200)의 매핑 정보 저장부(250)에 각 키오스크 장치(100) 별 컨텐츠 재생 스케쥴이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S517 및 S519 단계는 생략될 수 있다.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requests the content information being played back to the read kiosk device 100 through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210 (S517), and the kiosk device 100 receiving the content information request receives the kiosk content playback unit. In operation 120, content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 currently being played is transmitted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If the content reproduction schedule of each kiosk device 100 is stored in the mapping information storage unit 250 of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steps S517 and S519 may be omitted.

컨텐츠 제공 서버(200)는 컨텐츠 저장부(240)로부터 해당 컨텐츠를 추출하고(S521), 서버 통신부(210)를 통해 추출한 컨텐츠를 모바일 기기(300)로 전송한다(S523).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extracts the corresponding content from the content storage unit 240 (S521), and transmits the extracted content through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210 to the mobile device 300 (S523).

컨텐츠 제공 서버(200)로부터 컨텐츠를 전송받은 모바일 기기(300)는 저장부(350)에 해당 컨텐츠를 저장할 수 있고, 모바일 컨텐츠 재생부(340)에 의해 재생할 수 있다(S525).The mobile device 300, which has received the content from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may store the corresponding content in the storage 350 and may reproduce the content by the mobile content playback unit 340 (S525).

상기 실시예의 S509에서는 모바일 기기(300)의 흔들림 동작이 발생하면(S505), AP 신호 수집부(360)가 AP 신호를 수집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모바일 기기(300)의 흔들림 동작과 무관하게 AP 신호 수집부(360)가 수시로 AP 신호를 수집하는 것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모바일 에이전트는 모바일 기기(300)의 흔들림 동작이 감지되면, 그 순간 AP 신호 수집부(360)가 수집한 AP 신호들 중 세기가 가장 센 AP 신호를 선택하고, 선택한 AP 신호에 대한 식별정보를 컨텐츠 전송 요청에 포함시켜서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In the S509 of the above embodiment, when the shaking motion of the mobile device 300 occurs (S505), the AP signal collector 360 collects the AP signal, but the AP signal is independent of the shaking motion of the mobile device 300. It is also possible to configure the collection unit 360 to collect the AP signal from time to time. In this case, when the shaking motion of the mobile device 300 is detected, the mobile agent selects the AP signal having the strongest strength among the AP signals collected by the AP signal collector 360 at that moment, and identifies the selected AP signal. The information may be included in the content transmission request and transmitted to the server 200.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작 감지 신호 기반의 컨텐츠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ent providing method based on a motion detection signal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제1 통신기기가 고정된 위치에 장착되는 것이 아니고 이동되는 기기를 상정하여 설명한 것으로서, 이하 순차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Referring to FIG. 5, the present embodiment has been described assuming that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is not mounted at a fixed position but is moved, and will be described sequentially below.

① ~ ② 제1 통신기기에서 에이전트가 구동되면, 컨텐츠가 재생되어 표시된다. 또한, 제2 통신기기에서 에이전트(즉, 모바일 에이전트부)가 구동되면 컨텐츠 전송 요청을 컨텐츠 제공 서버로 할 준비를 한다(예를 들면, 제2 통신기기에 소정의 동작이 감지되는지 등).① ~ ② When the agent is driven in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the content is played and displayed. In addition, when the agent (that is, the mobile agent unit) is driven in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it prepares to make the content transmission request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for example, whether a predetermined operation is detected in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③ 제2 통신 기기의 흔들림 동작 또는 충돌 동작이 발생되고, 그러한 동작 직후 또는 직전에 제1 통신 기기에 표시된 컨텐츠에 대하여 사용자로부터 선택을 받을 수 있다.(3) A shaking operation or a collision operation of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is generated, and the user may receive a selection of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immediately after or just before such an operation.

④ 제1 통신기기는 선택받은 컨텐츠(식별정보) 및/또는 상기 선택받은 컨텐츠와 유기적인 관계를 가진 컨텐츠(또는 식별정보)를 컨텐츠 제공 서버로 전송한다. 여기서, 전송되는 정보는 제1 통신기기가 푸쉬 방식으로 제공하거나, 또는 컨텐츠 제공 서버에서 요청이 있는 경우에 제공하는 풀링 방식 어떠한 방식으로도 구현가능하다.④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transmits the selected cont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 or content (or identification information) having an organic relationship with the selected content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In this case, the transmitted information may be implemented in any manner by a first communication device provided in a push method or provided by a content providing server when a request is made.

⑤ 제2 통신기기는 소정의 모션이 감지되면, 컨텐츠 전송 요청을 컨텐츠 제공 서버로 전송한다. 여기서, 컨텐츠 전송 요청에는, AP 식별 정보 또는 위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AP 식별 정보가 이미 컨텐츠 제공 서버로 전송된 경우에는 컨텐츠 전송 요청에 중복하여 포함될 필요는 없으나 중복하여 포함되더라도 무방하다. 한편, 컨텐츠 전송 요청에는 동작 발생 시간이 포함될 수 있으나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컨텐츠 제공 서버가, 컨텐츠 전송 요청을 수신한 시간으로부터 상기 동작 발생 시간을 추정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⑤ If a predetermined motion is detected,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transmits a content transmission request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Here, the content transmission request may include AP identification information or location information. If the AP identification information has already been transmitted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the AP does not need to be included in the content transmission request. However, the AP may be included in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Meanwhile, the content transmission request may include an operation occurrence time, but is not essential. This is because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may estimate the operation occurrence time from the time when the content delivery request is received.

⑥ ~ ⑧ 컨텐츠 제공 서버는 제1 통신 기기로부터 컨텐츠를 전송 받은 경우에는, 그 전송받은 컨텐츠를 제2 통신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만약, 제1 통신 기기로부터 컨텐츠 식별정보를 전송 받은 경우에는, 전송 받은 컨텐츠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결정하고, 결정한 컨텐츠를 제2 통신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컨텐츠 제공 서버가 풀링 방식으로 컨텐츠 정보를 제1 통신 기기로부터 전송받을 경우에는, 컨텐츠 제공 서버는 제2 통신기기로부터 전송받는 AP 식별정보 또는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어떠한 제1 통신기기로 컨텐츠를 요청할지를 결정하고, 결정한 제1 통신기기로 컨텐츠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이후, 제1 통신기기로부터 컨텐츠 정보를 전송받고, 그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제2 통신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⑥ to ⑧ When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receives the content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may transmit the received content to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If the cont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the content may be determined using the received cont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determined content may be transmitted to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receives the content information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in a pooling manner,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uses the AP identification information or the lo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to transmit the content to any first communication device. It may determine whether to request, and request the content information from the determined first communication device. Thereafter, the content information may be received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content may be transmitted to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using the information.

⑨ 이후 제2 통신 기기는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다르게는, 제2 통신 기기는 컨텐츠의 종류를 분석하고, 컨텐츠의 종류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것처럼, 전화를 걸거나 웹 사이트에 접속하는 것과 같은 동작을 할 수 있다.⑨ Then,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can play the content received from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Alternatively,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may analyze the type of content and perform an opera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content. As described above, operations such as making a phone call or accessing a web site can be performed.

즉, 도 1과 도 2의 실시예는 컨텐츠의 재생을 별도로 할 필요없이 자신의 재생 스케쥴에 따라 컨텐츠를 재생하였으나, 본 도 5의 실시예는 사용자로부터 컨텐츠 재생 명령을 받아서 컨텐츠가 재생되는 것을 전제로 한다. 그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상술한 도 1과 도 2에서의 실시예와 동일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That is, although the embodiments of FIGS. 1 and 2 play content according to their own playback schedule without having to play content separately, the embodiment of FIG. 5 assumes that the content is played by receiving a content playback command from a user. Shall be. Except for that portion, the remaining portions may perform the same operations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of FIGS. 1 and 2.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 감지 신호 기반의 컨텐츠 제공 방법의 적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6 is a view for explaining an application example of a content providing method based on a motion detection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 장치(100)가 버스 정류장에 버스 노선을 안내하는 목적으로 설치되었을 경우에 모바일 기기(300)로 컨텐츠가 제공되는 구체적 실시예를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6, a specific embodiment in which content is provided to the mobile device 300 when the kiosk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for the purpose of guiding a bus route at a bus stop will be described. .

(a)를 참조하면, 버스 정류장에 설치된 키오스크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10)에는 키오스크 장치(100)가 설치된 버스 정류장을 경유하는 적어도 하나의 버스 노선이 디스플레이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10)에 "401"번 버스, "3217"번 버스, 및 "860"번 버스의 노선이 디스플레이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키오스크 장치(100)가 설치된 버스 정류장을 경유하는 버스가 더 있을 경우에는 더 많은 버스 노선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고, 하나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지 못하는 경우에는 스크롤을 통해 다른 버스 노선을 더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Referring to (a), at least one bus line via the bus stop in which the kiosk device 100 is installed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10 of the kiosk device 100 installed at the bus stop. 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the figure, it can be seen that the lines of the bus "401", the bus "3217", and the bus "860"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110. If there are more buses passing through the bus stop where the kiosk device 100 is installed, more bus routes may be displayed, and if not displayed on one screen, other bus routes may be further displayed through scrolling.

버스 정류장에서 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특정 사용자가 키오스크 장치(100)에 디스플레이된 버스 노선을 육안으로 확인하던 중 원하는 버스 노선을 자신이 소유하고 있는 모바일 기기(300)로 로딩하고자 하는 경우에, 원하는 버스 노선을 선택하여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When a specific user who wants to use the bus at the bus stop visually checks the bus route displayed on the kiosk device 100 and wants to load the desired bus route onto the mobile device 300 owned by the user, the desired bus You can request a transfer by selecting a route.

(b)는 버스 정류장에 있던 어느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10)에 디스플레이된 "401"번 버스, "3217"번 버스, 및 "860"번 버스의 노선 중 "3217"번 버스 노선을 선택하였을 경우를 예시한 것이다.(b) when a user at the bus stop selects the bus route "3217" among the routes of bus "401", bus "3217", and bus "860" displayed on the display 110; It is an example.

이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선택한 상태에서 모바일 기기(300)에 흔들림 동작을 발생시키면, 도 3 및 도 4에서 설명한 절차에 의해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바일 기기(300)로 "3217"번 버스 노선이 전송된다. 여기서, "3217"번 버스 노선이 모바일 기기(300)가 요청한 컨텐츠에 해당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shaking operation is generated on the mobile device 300 while at least one content is selected, as shown in (c) by the procedur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the mobile device 300 returns to the " 3217 " "Bus line is sent. Here, the bus route "3217" corresponds to the content requested by the mobile device 300.

본 실시예에서, 모바일 기기(300)의 소유자인 사용자가 (b)의 화면에서 컨텐츠를 선택하고, 자신의 모바일 기기(300)를 흔들어 원하는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음을 설명하였다.In the present embodiment,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user who is the owner of the mobile device 300 can select the content on the screen of (b) and shake the mobile device 300 to receive the desired content.

하지만, (b)의 화면에서 컨텐츠를 선택한 사용자가 아니더라도 (b)의 화면에서 컨텐츠를 선택한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를 자신의 모바일 기기(300)로 전송받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다른 사용자가 (b)의 화면에서 자신이 전송받고자 하는 동일한 컨텐츠를 선택한 경우에 사용자는 자신의 모바일 기기(300)에서 전용 어플리케이션(예를 들면 모바일 에이전트부)을 실행시키고 모바일 기기(300)를 흔들면, 해당 컨텐츠를 전송받을 수 있다.However, even if the user does not select the content on the screen of (b), the user who selects the content on the screen of (b) may receive the selected content to his mobile device 300. More specifically, when another user selects the same content that he or she wants to receive on the screen of (b), the user executes a dedicated application (for example, a mobile agent unit) on his mobile device 300 and executes the mobile device ( Shake 300 to receive the corresponding content.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작 감지 신호 기반의 컨텐츠 제공 방법의 적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7 is a view for explaining an application example of a content providing method based on a motion detection sig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도 6과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 장치(100)가 버스 정류장에 버스 노선을 안내하는 목적으로 설치되었을 경우에 모바일 기기(300)로 컨텐츠가 제공되는 구체적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컨텐츠 요청 동작이 도 6과 다른 경우를 예시한 것이다.FIG. 7 illustrates a specific embodiment in which content is provided to the mobile device 300 when the kiosk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for the purpose of guiding a bus route at a bus stop. do. However, the case where the content request operation is different from FIG. 6 is illustrated.

(a)를 참조하면, 버스 정류장에 설치된 키오스크 장치(100)에 적어도 하나의 버스 노선이 디스플레이되고, 이 버스 노선 중 "3217" 버스 노선을 모바일 기기(300)로 전송받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모바일 기기(300)를 직접 "3217" 버스 노선에 접촉시킨다.Referring to (a), when at least one bus line is displayed on the kiosk apparatus 100 installed at the bus stop, and the user wants to receive the "3217" bus line among the bus lines to the mobile device 300, the user is mobile. The device 300 is directly in contact with the "3217" bus line.

이러한 동작에 의해, 접촉된 컨텐츠를 선택하고, 선택된 컨텐츠를 요청하는 컨텐츠 선택 및 요청신호가 컨텐츠 제공 서버(200)로 전송된다. 이에 의해, 도 3 및 도 4에서 설명한 절차에 의해, (b)와 같이 "3217" 버스 노선이 모바일 기기(300)로 전송된다. 본 실시예는 도 6에서 설명한 컨텐츠 요청 동작에 비하여 보다 간단한 동작에 의해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this operation, the contacted content is selected, and a content selection and request signal for requesting the selected content are transmitted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Thereby, by using the procedur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the "3217" bus line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device 300 as in (b). This embodiment has the advantage that the content can be provided by a simpler operation compared to the content request operation described in FIG.

도 7의 실시예에서, 동작 감지부(310)가 동작하는 동작은 흔들림이라기 보다 모바일 기기(300)가 키오스크 장치(100)에 충돌할 때의 동작이다. 즉, 동작 감지부(310)는 모바일 기기(300)가 임의의 장치에 충돌할 때의 동작을 감지하고, 모바일 에이전트부(330)는 그러한 충돌 동작이 있으면(또는 흔들림 동작이 있으면), 컨텐츠 전송 요청을 서버(200)로 송신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FIG. 7, the operation of the motion detection unit 310 is an operation when the mobile device 300 collides with the kiosk device 100 rather than shaking. That is, the motion detection unit 310 detects an operation when the mobile device 300 collides with an arbitrary device, and the mobile agent unit 330 transmits content when there is such a collision operation (or shaking operation). The request may be sent to the server 200.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작 감지 신호 기반의 컨텐츠 제공 방법의 적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8 is a view for explaining an application example of a content providing method based on a motion detection sig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를 참조하면, 복수의 키오스크 장치(100a, 100b, 100c)가 설치될 수 있음을 예시하였다. 복수의 키오스크 장치(100a, 100b, 100c)는 광고를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대중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므로 인가된 장소라면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설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a), it was illustrated that a plurality of kiosk devices 100a, 100b, 100c may be installed. The plurality of kiosk devices 100a, 100b, and 100c are for advertisement purposes, and are intended for the public, so that the kiosk devices 100a, 100b, and 100c may be installed regardless of the place.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한 3개의 키오스크 장치(100a, 100b, 100c)가 모바일 기기(300)의 통신 가능 범위 이내에 존재한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모바일 기기(300)가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 후, 흔들림 동작이 발생하면, 3개의 키오스크 장치(100a, 100b, 100c)가 재생중인 컨텐츠가 각각 모바일 기기(300)로 전송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assumed that the three kiosk devices 100a, 100b, 100c shown are within the communication range of the mobile device 300. In this case, if the shaking operation occurs after the mobile device 300 executes the dedicated application, the contents being played by the three kiosk devices 100a, 100b, and 100c may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device 300, respectively.

이를 (b)에 도시하였다. 도시한 바와 같이, 3개의 키오스크 장치(100a, 100b, 100c)가 각각 재생하고 있던 컨텐츠가 모바일 기기(300)의 화면에 썸네일 형태로 표시되었다.This is shown in (b). As shown in the drawing, contents played by the three kiosk apparatuses 100a, 100b, and 100c, respectively, ar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mobile device 300 in the form of thumbnails.

상술한 컨텐츠 제공 방법을 프로모션 이벤트 응모 시스템에도 적용할 수 있다. 키오스크 장치(100)는 프로모션 이벤트 응모가 필요한 컨텐츠를 재생하고, 모바일 기기(300)는 이전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키오스크 장치(100)가 재생중인 컨텐츠를 컨텐츠 제공 서버(200)로부터 전송받는다. 다만, 모바일 기기(300)로 컨텐츠를 전송받은 후, 사용자는 컨텐츠 제공 서버(200)로 이벤트 응모를 위한 응모 정보를 입력하여 업로드하는 절차가 더 포함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content providing method can be applied to a promotion event application system. The kiosk device 100 plays the content that requires the promotion event, and the mobile device 300 receives the content being played by the kiosk device 100 from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by the same method as before. However, after receiving the content to the mobile device 300, the user may further include a process of inputting and uploading the application information for the event entry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been described by way of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from this description. This is possible.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not only by the claims below but also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100 : 키오스크 장치 110 : 디스플레이부
120 : 키오스크 컨텐츠 재생부 130 : 입력부
140 : 키오스크 통신부 150 : 키오스크 에이전트부
160 : 무선 AP부 200 : 컨텐츠 제공 서버
210 : 서버 통신부 220 : 판독부
230 : 제어부 240 : 컨텐츠 저장부
300 : 모바일 기기 310 : 동작 감지부
320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330 : 모바일 에이전트부
340 : 모바일 컨텐츠 재생부 350 : 저장부
100: kiosk device 110: display unit
120: kiosk content playback unit 130: input unit
140: kiosk communication unit 150: kiosk agent unit
160: wireless AP unit 200: content providing server
210: server communication unit 220: reader unit
230: control unit 240: content storage unit
300: mobile device 310: motion detection unit
320: network interface unit 330: mobile agent unit
340: mobile content playback unit 350: storage unit

Claims (57)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재생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통신기기;
소정 동작이 발생되면 컨텐츠 전송 요청을 하는 제2 통신기기; 및
상기 제2 통신기기로부터 상기 컨텐츠 전송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통신기기로 전송할 컨텐츠를 결정하고, 결정한 컨텐츠를 상기 제2 통신기기로 전송하는 컨텐츠 제공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
At least one first communication device for playing at least one content;
A second communication device for requesting content transmission when a predetermined operation occurs; And
And a content providing server receiving the content transmission request from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determining content to be transmitted to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based on the request, and transmitting the determined content to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Content provid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동작은, 상기 제2 통신기기의 흔들림 동작 또는 충돌 동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predetermined operation is a content provid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shaking operation or the collision operation of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전송 요청에는 컨텐츠를 특정할 수 있는 컨텐츠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content transmission request does not include content information for specifying conten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공서버는 AP 신호의 식별정보를 상기 제2 전송기기로부터 전송받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통신기기 중에서 상기 AP 신호의 식별정보를 가진 제1 통신기기를 결정하며, 상기 결정한 제1 통신기기가 재생하는 컨텐츠를 상기 제2 전송기기로 전송할 컨텐츠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receiv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AP signal from the second transmission device, determines a first communication device hav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AP signal among the at least one first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determined first communication And determining the content to be played by the device as the content to be transmitted to the second transmission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공서버는 AP 신호의 식별정보를 상기 제2 전송기기로부터 전송받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통신기기 중에서 상기 AP 신호의 식별정보를 가진 제1 통신기기를 결정하며, 상기 결정한 제1 통신기기로 컨텐츠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제1 통신기기로부터 수신하는 컨텐츠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전송기기로 전송할 컨텐츠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receiv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AP signal from the second transmission device, determines a first communication device hav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AP signal among the at least one first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determined first communication Requesting content information from a device, and determining content to be transmitted to the second transmission device based on content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공서버는 상기 제2 통신기기의 위치 정보를 전송받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통신기기 중에, 상기 제2 통신기기의 위치와 가장 근접한 제1 통신기기를 결정하며, 상기 결정한 제1 통신기기가 재생하는 컨텐츠를 상기 제2 전송기기로 전송할 컨텐츠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receiv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and determines, among the at least one first communication device, a first communication device closest to the location of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and determines the determined first communication. And determining the content to be played by the device as the content to be transmitted to the second transmission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공서버는 상기 제2 통신기기의 위치 정보를 전송받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통신기기 중에서 상기 제2 통신기기의 위치와 가장 근접한 제1 통신기기를 결정하며, 상기 결정한 제1 통신기기로 컨텐츠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제1 통신기기로부터 수신하는 컨텐츠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전송기기로 전송할 컨텐츠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receiv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determines a first communication device closest to the location of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among the at least one first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determined first communication device Requesting content information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and determining the content to be transmitted to the second transmission device based on the content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기기는, 사용자로부터 컨텐츠 선택 명령을 입력받으며,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의 컨텐츠 정보 요청의 수신 시간과 상기 컨텐츠 선택 명령의 입력 시간을 비교하고, 양자의 시간 차이가 소정 범위 이내인 경우에만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 상기 컨텐츠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receives a content selection command from a user, compares a reception time of a content information request from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with an input time of the content selection command, and the time difference i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only the content information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기기는, 사용자로부터 컨텐츠 선택 명령을 입력받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컨텐츠 선택 명령을 소정의 시간 동안만 유효하게 유지시키며,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의 컨텐츠 정보 요청을 수신하였을 때, 상기 유효하게 유지되는 컨텐츠 선택 명령이 있는 경우에만 컨텐츠 정보를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receives a content selection command from a user and keeps the content selection command received from the user valid for a predetermined time only.
And upon receiving a request for content information from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transmits content information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only when there is a content selection command that is valid.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재생하는 복수의 제1 통신기기들로부터 제2 통신기기로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소정의 동작이 발생하면,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 컨텐츠 전송 요청을 하는 제2 통신기기; 및
상기 복수의 제1 통신기기들 중에서, 상기 컨텐츠 전송 요청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 통신기기로 전송할 컨텐츠를 특정할 수 있는 정보를 요청할 제1 통신기기를 결정하는 컨텐츠 제공 서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
A content providing system for providing content to a second communication device from a plurality of first communication devices for playing back at least one content,
A second communication device for making a content transmission request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when a predetermined operation occurs; And
A content providing server that determines, from among the plurality of first communication devices, a first communication device to request information for specifying content to be transmitted to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using the content transmission request information; Content providing system comprising a.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는, 상기 결정한 제1 통신기기로, 컨텐츠를 특정할 수 있는 정보를 요청하며,
상기 요청을 받은 제1 통신기기는 현재 재생중인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0,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requests the information for specifying the content from the determined first communication device.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receiving the request transmits the information on the content currently being played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는, 상기 결정한 제1 통신기기로, 컨텐츠를 특정할 수 있는 정보를 요청하며,
상기 요청을 받은 제1 통신기기는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은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0,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requests the information for specifying the content from the determined first communication device.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receiving the request transmits the information on the content selected by the user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기기는 다음
i)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은 컨텐츠
ii) 상기 선택받은 컨텐츠와 유기적인 관계를 가진 컨텐츠
iii) 상기 i) 컨텐츠 식별 정보
iv) 상기 ii) 컨텐츠의 식별 정보
들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0,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is
i) Content selected by the user
ii) content having an organic relationship with the selected content
iii) the cont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
iv)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ontent ii)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at least one of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기기는 다음
i) 현재 재생중인 컨텐츠
ii) 상기 재생중인 컨텐츠와 유기적인 관계를 가진 컨텐츠
iii) 상기 i) 컨텐츠 식별 정보
iv) 상기 ii) 컨텐츠의 식별 정보
들 중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0,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is
i) Content currently playing
ii) content having an organic relationship with the content being played;
iii) the cont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
iv)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ontent ii)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at least one of the content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컨텐츠 정보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의해 표시중인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정보를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키오스크 에이전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오스크 장치.
A display unit displaying at least one content;
And a kiosk agent unit which transmits the content information on the content displayed by the display unit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when the content information request is received from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키오스크 에이전트부는 다음
i) 현재 재생중인 컨텐츠
ii) 상기 재생중인 컨텐츠와 유기적인 관계를 가진 컨텐츠
iii) 상기 i) 컨텐츠 식별 정보
iv) 상기 ii) 컨텐츠의 식별 정보
들 중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오스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5,
The kiosk agent unit next
i) Content currently playing
ii) content having an organic relationship with the content being played;
iii) the cont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
iv)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ontent ii)
Kiosk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at least one of the contents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키오스크 에이전트부는, 상기 컨텐츠 정보 요청의 수신 시간이 상기 컨텐츠 선택 명령의 입력 시점으로부터 소정 시간 이내인 경우에만 컨텐츠 정보를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오스크 장치.
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kiosk agent unit transmits the content information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only when the reception time of the content information request is within a predetermined time from the input time of the content selection command.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의해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중에서, 사용자로부터 컨텐츠 선택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는 입력부;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컨텐츠 정보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 선택 명령에 의해 선택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키오스크 에이전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오스크 장치.
A display unit displaying at least one content;
An input unit configured to receive a content selection command from a user among at least one content displayed by the display unit;
And a kiosk agent unit for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 selected by the user selection command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when the content information request is received from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키오스크 에이전트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컨텐츠에 대한 선택 명령을 소정의 시간 동안만 유지시키고, 상기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컨텐츠에 대한 선택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오스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8,
The kiosk agent unit, the kiosk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o maintain the selection command for the content input through the input only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to release the selection for the content after the predetermined time.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키오스크 에이전트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컨텐츠에 대한 선택 명령의 입력 시간과, 상기 컨텐츠 정보 요청의 수신 시간을 비교하여 소정의 시간차 이내에 경우에만 상기 컨텐츠 정보를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오스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8,
The kiosk agent unit compares the input time of the selection command for the content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with the reception time of the content information request, and transmits the content information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only within a predetermined time difference. Kiosk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키오스크 에이전트부는 다음
i)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은 컨텐츠
ii) 상기 선택받은 컨텐츠와 유기적인 관계를 가진 컨텐츠
iii) 상기 i) 컨텐츠 식별 정보
iv) 상기 ii) 컨텐츠의 식별 정보
들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오스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8,
The kiosk agent unit next
i) Content selected by the user
ii) content having an organic relationship with the selected content
iii) the cont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
iv)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ontent ii)
Kiosk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at least one of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동작의 발생을 감지하는 동작 감지부; 및
상기 동작 감지부에 의해 소정 동작의 발생이 감지되면, 컨텐츠 제공 서버로 컨텐츠 전송 요청을 하는 모바일 에이전트부; 을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
A motion detector for detecting the occurrence of motion; And
A mobile agent unit for making a content transmission request to a content providing server when the occurrence of a predetermined operation is detected by the motion detecting unit; Mobile device comprising a.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동작은, 상기 모바일 기기의 흔들림 동작 또는 충돌 동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
The method of claim 22,
The predetermined operation is a mobil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haking operation or the collision operation of the mobile device.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동작은, 상기 모바일 기기가 키오스크 장치에서 재생중인 컨텐츠에 직접 접촉하는 동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
The method of claim 22,
And the predetermined operation is an operation of directly contacting the content being played in the kiosk device.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동작의 발생 시점으로부터 소정 시간 이내에만,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
The method of claim 21,
And a content can be received from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only within a predetermined time from when the predetermined operation occurs.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가 수신하는 컨텐츠는 상기 소정 동작의 발생 시점에 기초하여 특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
The method of claim 21,
And a network interface unit configured to receive content from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wherein the content received by the network interface unit is specified based on a time point of occurrence of the predetermined operation.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가 수신하는 컨텐츠는 상기 모바일 기기의 위치로부터 가장 근접한 곳에 위치하는 통신기기가 재생하는 것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
The method of claim 26,
And the content received by the network interface unit is the same as that of the communication device located closest to the location of the mobile device.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전송 요청에는 컨텐츠를 특정할 수 있는 컨텐츠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
The method of claim 21,
The content transmission request does not include content information for specifying the content.
제 21 항에 있어서,
AP 신호들을 수집하는 AP 신호 수집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모바일 에이전트부는, 상기 AP 신호 수집부가 수집한 AP 신호들의 신호 세기와 식별정보를 상기 컨텐츠 정보 요청에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
The method of claim 21,
Further comprising: an AP signal collector for collecting the AP signals,
The mobile agent unit, characterized in that for including the signal strength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AP signals collected by the AP signal collector in the content information request.
제 21 항에 있어서,
AP 신호들을 수집하는 AP 신호 수집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모바일 에이전트부는, 상기 AP 신호 수집부가 수집한 AP 신호들 중에서 신호 세기가 가장 큰 AP 신호의 식별 정보를 상기 컨텐츠 정보 요청에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
The method of claim 21,
Further comprising: an AP signal collector for collecting the AP signals,
The mobile agent unit, characterized in that for includ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AP signal having the largest signal strength among the AP signals collected by the AP signal collector in the content information request.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기기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위치 정보 획득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모바일 에이전트부는 상기 위치 정보 획득부가 획득한 위치 정보를 상기 컨텐츠 정보 요청에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
The method of claim 21,
Further comprising: a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for obtain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device,
And the mobile agent unit includes the location information obtained by the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in the content information request.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가 수신하는 컨텐츠는 신호 세기가 가장 큰 AP 신호의 식별 정보를 가진 통신기기가 재생하는 것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
The method of claim 31, wherein
And the content received by the network interface unit is the same as that of a communication device hav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n AP signal having the largest signal strength.
제 22 항 내지 제 32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전송 요청에는 컨텐츠를 특정할 수 있는 컨텐츠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2 to 32,
The content transmission request does not include content information for specifying the content.
제 22 항 내지 제 32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에이전트부는,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컨텐츠를 분석하여 상기 컨텐츠의 종류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2 to 32,
The mobile agent unit, the mobil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performing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content by analyzing the content received from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제 34 항에 있어서,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모바일 에이전트부는 상기 컨텐츠에 전화번호가 포함된 경우,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여 상기 전화번호로 전화를 거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
35. The method of claim 34,
It further comprises a communication unit;
And the mobile agent unit controls the communication unit to make a call to the phone number when the content includes a phone number.
제 34 항에 있어서,
웹 브라우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모바일 에이전트부는 상기 컨텐츠에 웹 주소가 포함된 경우, 상기 웹 브라우저를 제어하여 상기 웹 주소를 가진 웹 사이트로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
35. The method of claim 34,
A web browser;
And the mobile agent unit controls the web browser to access a web site having the web address when the web address is included in the content.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 및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기기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컨텐츠 제공 서버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기기로부터 컨텐츠 전송 요청을 수신하는 서버 통신부;
상기 컨텐츠 전송 요청에 기초하여, 컨텐츠 식별 정보 또는 컨텐츠를 요청할 통신기기를 결정하는 판독부; 및
상기 통신 기기로부터 전송받은 컨텐츠 또는 컨센츠 식별 정보에 의해 특정된 컨텐츠를 상기 서버 통신부를 통해 상기 모바일 기기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서버.
A content providing server connected to at least one communication device and at least one mobile device through a network,
A server communication unit receiving a content transmission request from the mobile device;
A reading unit determining a communication device to request cont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r content based on the content transmission request; And
And a controller for transmitting the content specified by the communication device or the content specified by the cont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mobile device through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전송 요청에는 컨텐츠를 특정할 수 있는 컨텐츠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서버.
39. The method of claim 37,
And the content transmission request does not include content information for specifying content.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전송 요청에는 통신 기기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 정보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서버.
39. The method of claim 37,
And the content transmission request includ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a communication device.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는 AP 식별 정보이며, 상기 판독부는 상기 AP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 식별 정보 또는 컨텐츠를 요청할 통신기기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서버.
The method of claim 39,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AP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reading unit determines the cont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r the communication device to request the content using the AP identification information.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전송 요청에는 상기 모바일 기기의 위치 정보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서버.
39. The method of claim 37,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device.
제 41 항에 있어서,
위치와 통신기기가 서로 매핑된 매핑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판독부는 상기 모바일 기기의 위치 정보와 상기 매핑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 식별 정보 또는 컨텐츠를 요청할 통신기기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서버.
42. The method of claim 41 wherein
Further comprising: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mapping information mapped to each other and the location and the communication device,
The reading unit determines the communication device to request the cont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r the content by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mapping information of the mobile device.
제 42 항에 있어서,
통신 기기들에 대한 재생 스케쥴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판독부는 상기 재생 스케쥴과 상기 컨텐츠 전송 요청에 포함된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 식별 정보 또는 컨텐츠를 요청할 통신기기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서버.
43. The method of claim 42,
Further comprising: a storage unit for storing a playback schedule for the communication devices,
And the reading unit determines a communication device for requesting cont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r content by using the reproduction schedule and th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ontent transmission request.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 및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기기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컨텐츠 제공 서버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기기로부터 컨텐츠 전송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통신 기기로부터 컨텐츠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서버 통신부; 및
상기 컨텐츠 전송 요청과 상기 컨텐츠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기기로 전송할 컨텐츠를 전송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서버.
A content providing server connected to at least one communication device and at least one mobile device through a network,
A server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a content transmission request from the mobile device and receiving cont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communication device;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transmit content to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device based on the content transmission request and the cont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ntent providing server comprising a.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 전송 요청의 수신 시간과 상기 컨텐츠 식별 정보의 수신 시간을 비교하여 상기 모바일 기기로 컨텐츠를 전송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서버.
45. The method of claim 44,
The controller determines whether to transmit the content to the mobile device by comparing the reception time of the content transmission request with the reception time of the cont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재생하는 복수의 제1 통신기기들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제2 통신기기로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신기기에 소정의 동작이 발생하면, 상기 제2 통신기기에서 컨텐츠 제공 서버로 컨텐츠 전송 요청을 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제1 통신기기들 중에서, 상기 컨텐츠 전송 요청에 포함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 통신기기로 전송할 컨텐츠를 특정할 수 있는 컨텐츠 정보를 요청할 통신 기기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A method of providing content from a plurality of first communication devices that reproduce at least one content to at least on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the method comprising:
If a predetermined operation occurs in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making a content transmission request from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to a content providing server; And
Determining, from among the plurality of first communication devices, a communication device to request content information for specifying content to be transmitted to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by using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ontent transmission request; Content providing method comprising a.
제 46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가 AP 신호에 대한 식별 정보를 제2 통신기기로부터 전송받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통신 기기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제1 통신기기들 중에서 상기 AP 신호에 대한 식별 정보를 가진 제1 통신기기를 상기 제2 통신기기로 전송할 컨텐츠를 특정할 수 있는 컨텐츠 정보를 요청할 통신 기기로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46,
And receiving, by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n an AP signal from a second communication device.
The determining of the communication device may include: requesting content information for specifying content to transmit a first communication device hav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n the AP signal to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among the plurality of first communication devices; The content provid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determined as a device.
제 46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가 AP 신호들의 세기와 식별 정보들을 제2 통신기기로부터 전송받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통신 기기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AP 신호들 중 가장 신호의 세기가 큰 AP 신호에 대한 식별 정보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제1 통신기기들 중에서 상기 신호의 세기가 큰 AP 신호를 가진 제1 통신기기를 상기 제2 통신기기로 전송할 컨텐츠를 특정할 수 있는 컨텐츠 정보를 요청할 통신 기기로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46,
And receiving, by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strength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P signals from a second communication device.
Determining the communication device,
Determin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n AP signal having the largest signal strength among the AP signals; And
Determining, among the plurality of first communication devices, a first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n AP signal having a high signal strength as a communication device requesting content information for specifying content to be transmitted to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Content provid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제 46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전송 요청에는 상기 제2 통신기기의 위치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통신 기기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제1 통신기기들 중에서 상기 제2 통신기기의 위치와 가장 근접한 제1 통신기기를 상기 제2 통신기기로 전송할 컨텐츠를 특정할 수 있는 컨텐츠 정보를 요청할 통신 기기로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46,
The content transmission request include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The determining of the communication device may include requesting content information for specifying content to transmit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which is closest to the location of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to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among the plurality of first communication devices. Determining as a communication device.
제 46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기기를 결정하는 단계에서 결정된 제1 통신기기로 컨텐츠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통신기기로부터 수신하는 컨텐츠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통신기기로 전송할 컨텐츠를 특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46,
Requesting content information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determined i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communication device; And
Specifying content to be transmitted to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based on the content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제 5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기기에서 사용자로부터 컨텐츠 선택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통신기기에서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컨텐츠 정보의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컨텐츠 선택 명령에 의해 선택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51. The method of claim 50 wherein
Receiving a content selection command from a user in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In response to a request for content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provides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with information on the content selected by the content selection command received from the user. .
제 5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은 컨텐츠 선택 명령을 소정의 시간 동안만 유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51 wherein
And maintaining the content selection command selected by the user only for a predetermined time.
제 5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은 컨텐츠 선택 명령의 입력 시간과 상기 컨텐츠 정보의 수신 시간을 비교하여 상기 컨텐츠 정보 제공 서버로 컨텐츠 정보를 제공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51 wherein
And comparing the input time of the content selection command selected by the user with the reception time of the content information to determine whether to provide content information to the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제 5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기기에서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컨텐츠 정보의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1 통신기기에서 재생중인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51. The method of claim 50 wherein
And providing information on content being played in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in response to a request for content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in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제 46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동작은, 상기 제2 통신기기의 흔들림 동작 또는 충돌 동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47. The method of claim 46.
The predetermined operation is a content provid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shaking operation or the collision operation of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제 46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는 상기 제1 통신기기들에 대한 컨텐츠 재생 스케쥴을 저장하며, 상기 재생 스케쥴과 상기 컨텐츠 전송 요청에 포함된 정보를 이용하여 제2 통신기기로 전송할 컨텐츠를 특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47. The method of claim 46.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stores a content playing schedule for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s, and specifies a content to be transmitted to a second communication device by using the play schedule and th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ontent transmission request. How to Provide.
모바일 기기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컨텐츠 제공 서버에 있어서,
무선 식별정보와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통신기기에 매핑된 매핑 정보와, 통신기기의 컨텐츠 재생 스케쥴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모바일 기기로부터 수신받은, 무선 식별정보와 상기 모바일 기기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매핑정보와 상기 컨텐츠 재생 스케쥴을 이용하여 상기 모바일 기기로 전송할 컨텐츠를 결정하는 판독부;를 포함하며,
상기 판독부에 의해 결정된 컨텐츠는 상기 모바일 기기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서버.
In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connected to the mobile device through a network,
A storage unit storing mapping information in which at least one of wireless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is mapped to a communication device and a content reproduction schedule of the communication device; And
And a reading unit that determines at least one of wireless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obile device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device to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device using the mapping information and the content reproduction schedule.
And the content determined by the reading unit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device.
KR1020100083725A 2010-06-29 2010-08-27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based on sensing action, kiosk device and mobile device used in the same KR10124074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1/004733 WO2012002716A2 (en) 2010-06-29 2011-06-29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based on a motion-sensing signal, and kiosk device and mobile device used for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2377 2010-06-29
KR20100062377 2010-06-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561A true KR20120001561A (en) 2012-01-04
KR101240747B1 KR101240747B1 (en) 2013-03-11

Family

ID=45609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3725A KR101240747B1 (en) 2010-06-29 2010-08-27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based on sensing action, kiosk device and mobile device used in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0747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7790B1 (en) * 2013-01-25 2015-03-06 한국과학기술원 Apparatus and system for delivering digital signage contents to mobile device
WO2015108209A1 (en) * 2014-01-15 2015-07-23 장인지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 mapped to network access device
KR102105045B1 (en) * 2018-11-29 2020-04-27 주식회사 아이티밥 Method and system for The interworking between different devices based on soun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3996B1 (en) 2019-01-28 2021-01-18 주식회사 스마트캐스트 Smart order processing apparatus
KR102202945B1 (en) 2019-01-28 2021-01-14 주식회사 스마트캐스트 Smart order process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5830A (en) * 2003-07-07 2005-01-15 김민식 Web based kiosk for interworking with digital device
KR101737829B1 (en) * 2008-11-10 2017-05-22 삼성전자주식회사 Motion Input Device For Portable Device And Operation Method using the sam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7790B1 (en) * 2013-01-25 2015-03-06 한국과학기술원 Apparatus and system for delivering digital signage contents to mobile device
WO2015108209A1 (en) * 2014-01-15 2015-07-23 장인지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 mapped to network access device
KR102105045B1 (en) * 2018-11-29 2020-04-27 주식회사 아이티밥 Method and system for The interworking between different devices based on soun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0747B1 (en) 2013-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040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toring data of peripheral device in portable terminal
KR101031137B1 (en) Handheld terminal,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ontents display system and contents display method
KR101028794B1 (en) Control device, reproduction system,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gram
US9078047B2 (en) Content reproduction device
US20090241149A1 (en) Content reproduction system, remote control device, and computer program
CN106162369A (en) A kind of realize in virtual scene interactive method, Apparatus and system
KR101240747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based on sensing action, kiosk device and mobile device used in the same
US9338481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that performs streaming distribution, method of controlling communication apparatus, reproduction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reproduction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CN104284114A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control method
JP2015046089A (en) Information processor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20110020146A (en) A device capable of operation status change notification through a network and a method for networking among a plurality of the same
JP2017501598A5 (en)
JP2011139405A (en) Information processor,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control object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JP5842809B2 (en) Device to be controlled, device control system, device control program, and device control method
CN111913683A (en) Multi-channel sound control method, equipment,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N106878286B (en) Voice data synchronous method and device
EP2056594A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58430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questing contents
JP2014071266A (en) Advertisement display system, advertisement display method and advertisement display program
CN113110234B (en) Linkage control system and method
CN102325272B (en) A kind of network multimedia business remote control thereof, device and system
US1004293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to provide content on demand
CN117859331A (en) Display device, terminal device and content display method
JP6219531B2 (en) Television program image frame capture device, television program image frame acquisi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KR20130066896A (en) Real time screen clone apparatus of mobile terminal, the system and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