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1347U - 과일수확 및 전정용 가위 - Google Patents

과일수확 및 전정용 가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1347U
KR20120001347U KR2020100008578U KR20100008578U KR20120001347U KR 20120001347 U KR20120001347 U KR 20120001347U KR 2020100008578 U KR2020100008578 U KR 2020100008578U KR 20100008578 U KR20100008578 U KR 20100008578U KR 20120001347 U KR20120001347 U KR 2012000134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attached
pruning
handle
attachmen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85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우석
Original Assignee
한우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우석 filed Critical 한우석
Priority to KR20201000085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1347U/ko
Publication of KR2012000134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134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00Cutting imp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horticultural purposes; Delimbing standing trees
    • A01G3/02Secateurs; Flower or fruit shears
    • A01G3/025Secateurs; Flower or fruit shears having elongated or extended handles
    • A01G3/0255Tree pruners, i.e. pruning shears carried at the end of a pol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00Cutting imp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horticultural purposes; Delimbing standing trees
    • A01G3/08Other tools for pruning, branching or delimbing standing trees
    • A01G3/083Manual pruning sa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3/00Hand shears; Scissors
    • B26B13/22Hand shears; Scissors combined with auxiliary implements, e.g. with cigar cutter, with manicure instru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cissors And Nippers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Specific Cro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과일수확 및 전정용 가위에 톱을 부착시킬 수 있게 구성하여 가지치기 작업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한 것으로서 구체적인 것은 손잡이와 조작부가 형성된 장대끝에 부착되어 고정가위날(1)과 가동가위날(2)이 축봉(3)으로 힌지 연결되고 고정가위날(1)의 고정부(1a)가 장대(4) 끝에 형성한 부착부(4a)에 고정볼트(5)로 체결되며 고정가위날의 외측면에 칼날높이와 같은 높이를 유지하고 칼날모양에 대응하는 오목곡면으로 받침면이 형성되어 요철돌기를 구비하는 가지받침대(10)가 부착되고 가동가위날(2)의 측면에는 가지받침대(10) 위에 적층되며 선단부가 가동가위날의 끝에 부착한 힌지축(H)에 연결되고 하단이 가위날의 칼날부와 같은 볼록곡면을 유지하는 두줄의 압착면(20a)이 형성되어 양단스프링(7)에 의하여 탄력이 축적되는 가지압착구(20)를 구비하는 과일수확 및 정전용 가위의 부착부(4a)에 형성된 고정볼트 사이에 암나사구멍(50)을 형성하고 전정가위와 별도로 제작된 전정톱(51)에 손잡이(51a)를 부착하여 손잡이 내측면에 부착부(4a)와 결합하도록 부착홈(52)을 형성하여 부착홈내에 고정볼트(5)가 삽입되는 고정구멍(60)(61)을 형성하고 그 사이에 장대 상단 부착부(4a)에 형성된 암나사구멍(50)과 일치되는 위치에 체결공(62)을 형성하여 나비볼트(63)를 끼워서 나비볼트(63)의 나사부(63a)를 암나사구멍(50)에 나사조립할 수 있게 한 과일수확 및 전정용 가위이다.

Description

과일수확 및 전정용 가위{Fruit harvest and pruning shears}
본 고안은 과일수확 및 전정용 가위에 톱을 부착시킬 수 있게 구성하여 가지치기 작업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한 것이다.
과일수확 및 전정용 가위는 가위날의 측면에 절단된 가지를 잡아주는 가지수용부를 부착하여 수확한 과일이 떨어져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으나, 수확기에 과일을 수확하다 보면 옆가지가 과일수확을 방해하는 일이 잦아 과일수확을 더디게 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불편을 개선하기 위하여 개발한 것이다.
본 고안은 과일수확 및 전정용으로 고안된 가위의 측면에 톱을 부착할 수 있게 손잡이와 부착장치가 구비된 톱을 준비하고 착탈이 편리하도록 구성하여 사용하기 좋게 한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전정톱에 손잡이가 부착되어 손잡이에 형성된 부착홈(52)에 전정가위 부착부(4a)가 삽입되게 결합하고 전정가위 부착부 표면으로 형성된 가위 부착용 볼트머리가 전정톱의 손잡이 부착홈에 형성된 고정구멍에 삽입되게 하면 톱이 요동없이 결합되어 고정구멍 사이에 형성된 암나사구멍에 나비볼트를 나사조립하고 나비볼트 선단이 전정가위 부착부의 볼트 사이에 형성한 암나사구멍에 나사조립하게 하면 전정톱의 손잡이가 전정가위 부착부의 표면에 부착고정되므로 장대끝에 장치된 전정가위 부착부에 전정톱을 더 장치할 수 있게 되고, 이로인하여 과일수확 또는 전정작업시에 방해가 되는 곁가지를 전정톱으로 잘라낼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어 전정작업이나 과일수확작업을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전정톱에는 손잡이가 있어서 전정가위에서 분리시킨 후 독립된 톱으로 사용할 수 있어서 효과적으로 톱을 사용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정톱 외측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전정톱 내측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부착상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전체적인 예시도이다.
본 고안은 손잡이와 조작부가 형성된 장대끝에 부착되어 고정가위날(1)과 가동가위날(2)이 축봉(3)으로 힌지 연결되고 고정가위날(1)의 고정부(1a)가 장대(4) 끝에 형성한 부착부(4a)에 고정볼트(5)로 체결되며 고정가위날의 외측면에 칼날높이와 같은 높이를 유지하고 칼날모양에 대응하는 오목곡면으로 받침면이 형성되어 요철돌기를 구비하는 가지받침대(10)가 부착되고 가동가위날(2)의 측면에는 가지받침대(10) 위에 적층되며 선단부가 가동가위날의 끝에 부착한 힌지축(H)에 연결되고 하단이 가위날의 칼날부와 같은 볼록곡면을 유지하는 두줄의 압착면(20a)이 형성되어 양단스프링(7)에 의하여 탄력이 축적되는 가지압착구(20)를 구비하는 과일수확 및 정전용 가위의 부착부(4a)에 형성된 고정볼트 사이에 암나사구멍(50)을 형성하고 전정가위와 별도로 제작된 전정톱(51)에 손잡이(51a)를 부착하여 손잡이 내측면에 부착부(4a)와 결합하도록 부착홈(52)을 형성하여 부착홈내에 고정볼트(5)가 삽입되는 고정구멍(60)(61)을 형성하고 그 사이에 장대 상단 부착부(4a)에 형성된 암나사구멍(50)과 일치되는 위치에 체결공(62)을 형성하여 나비볼트(63)를 끼워서 나비볼트(63)의 나사부(63a)를 암나사구멍(50)에 나사조립할 수 있게 한 구성이다.
1 : 고정가위날 1a : 고정부
2 : 가동가위날 3 : 축봉
4 : 장대 4a : 부착부
5 : 고정트 7 : 양단스프링
10 : 가지받침대 20 : 가지압착구
20a : 압착면 50 : 암나사구멍
51 : 전정톱 51a : 손잡이
52 : 부착홈 60,61 : 고정구멍
62 : 체결공 63 : 나비볼트

Claims (1)

  1. 손잡이와 조작부가 형성된 장대끝에 부착되어 고정가위날(1)과 가동가위날(2)이 축봉(3)으로 힌지 연결되고 고정가위날(1)의 고정부(1a)가 장대(4) 끝에 형성한 부착부(4a)에 고정볼트(5)로 체결되며 고정가위날의 외측면에 칼날높이와 같은 높이를 유지하고 칼날모양에 대응하는 오목곡면으로 받침면이 형성되어 요철돌기를 구비하는 가지받침대(10)가 부착되고 가동가위날(2)의 측면에는 가지받침대(10) 위에 적층되며 선단부가 가동가위날의 끝에 부착한 힌지축(H)에 연결되고 하단이 가위날의 칼날부와 같은 볼록곡면을 유지하는 두줄의 압착면(20a)이 형성되어 양단스프링(7)에 의하여 탄력이 축적되는 가지압착구(20)를 구비하는 과일수확 및 정전용 가위의 부착부(4a)에 형성된 고정볼트 사이에 암나사구멍(50)을 형성하고 전정가위와 별도로 제작된 전정톱(51)에 손잡이(51a)를 부착하여 손잡이 내측면에 부착부(4a)와 결합하도록 부착홈(52)을 형성하여 부착홈내에 고정볼트(5)가 삽입되는 고정구멍(60)(61)을 형성하고 그 사이에 장대 상단 부착부(4a)에 형성된 암나사구멍(50)과 일치되는 위치에 체결공(62)을 형성하여 나비볼트(63)를 끼워서 나비볼트(63)의 나사부(63a)를 암나사구멍(50)에 나사조립할 수 있게 한 과일수확 및 전정용 가위
KR2020100008578U 2010-08-18 2010-08-18 과일수확 및 전정용 가위 KR2012000134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8578U KR20120001347U (ko) 2010-08-18 2010-08-18 과일수확 및 전정용 가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8578U KR20120001347U (ko) 2010-08-18 2010-08-18 과일수확 및 전정용 가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347U true KR20120001347U (ko) 2012-02-28

Family

ID=45939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8578U KR20120001347U (ko) 2010-08-18 2010-08-18 과일수확 및 전정용 가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1347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0868Y1 (ko) 과일수확 및 전정(剪定)용 가위
KR20150097091A (ko) 과일수확 및 전정용 가위
EP2599374A1 (en) Portable working machine
KR101437265B1 (ko) 과일수확 및 전정용 가위
US20170072483A1 (en) Reciprocating saw adaptor
KR100900397B1 (ko) 과일 수확기
KR20120001347U (ko) 과일수확 및 전정용 가위
ES2683205T3 (es) Elevador para productos de cosecha
US9743580B2 (en) Lawnmower blade holder device
CN207505503U (zh) 一种果树栽培修剪刀
KR200478386Y1 (ko) 과일 수확기
US8863392B2 (en) Grafting pruner
WO2009091157A3 (ko) 적과가위
US20140147229A1 (en) Extension fastener for portable tool
CN204929747U (zh) 一种适用性强的组合式园艺剪
CN103650933A (zh) 多功能便携式电动果树修剪机
KR20130124712A (ko) 귤 수확용 가위
JP2007044027A (ja) 根切棒杖器
KR20110005911U (ko) 열매수확용 가위
CN213638981U (zh) 一种新型园林修剪装置
KR20120000618U (ko) 낫 날이 비스듬히 형성된 낫
KR200405019Y1 (ko) 열매 수확기 및 수확기를 갖는 장갑
CN215122339U (zh) 一种树枝修剪装置
CN214178077U (zh) 一种打草机头
CN213818992U (zh) 一种圆林工程用园林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