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1288A - 자동차용 도어 래치의 손상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도어 래치의 손상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1288A
KR20120001288A KR1020100062004A KR20100062004A KR20120001288A KR 20120001288 A KR20120001288 A KR 20120001288A KR 1020100062004 A KR1020100062004 A KR 1020100062004A KR 20100062004 A KR20100062004 A KR 20100062004A KR 20120001288 A KR20120001288 A KR 201200012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door latch
door
lock knob
da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2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영표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620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1288A/ko
Publication of KR201200012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12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42Means for damping the movement of lock parts, e.g. slowing down the return movement of a hand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1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 E05B79/12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using connecting rods
    • E05B79/16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using connecting rod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linking the rods to other lock parts, e.g. to le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05B85/12Inner door handles
    • E05B85/13Inner door handles with a locking knob forming part of the inside door handle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60J5/0416Assembly panels to be installed in doors as a module with components, e.g. lock or window lifter, attached theret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63Conceptual assembling of door, i.e. how door frame parts should be fitted together to form door
    • B60J5/0466Conceptual assembling of door, i.e. how door frame parts should be fitted together to form door using cast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8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B60J5/0481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plastic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도어 래치의 손상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 오픈시 역으로 전달되는 핸들 작동력을 차단하여 도어 래치의 부품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손상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도어 오픈을 위한 인사이드 핸들의 당김시 잠금 노브를 밀어서 잠금 해제를 위한 위치로 회전 이동시키는 잠금 노브 링크의 일측 중간에 구비되는 것으로,
잠금 노브 측에 연결되는 잠금 노브 링크의 제1로드와 도어 래치 측에 연결되는 잠금 노브 링크의 제2로드에 양단부가 각각 접합 고정되는 신축 가능한 완충부재가 구성되고, 잠금 노브가 도어 잠금을 위한 위치에 고정될 시 도어 래치를 통해 전달되는 핸들 작동력이 상기 완충부재에 작용하여 감쇄됨에 의해 도어 래치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 래치의 손상 방지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도어 래치의 손상 방지 장치{Apparatus avoiding damage of door latch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도어 래치의 손상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 오픈시 역으로 전달되는 핸들 작동력을 차단하여 도어 래치의 부품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손상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자동차의 도어류 개폐 시스템에 적용되는 도어 래치의 해제 장치에 있어서 오버라이드 기능을 적용한 도어 래치는 도어 오픈을 위해 인사이드 핸들을 당김시 도어 잠금 노브(이하, 잠금 노브라고 함)와 연동되어 도어 잠금을 동시에 해제시켜주기 위한 기구학적인 링크를 가지고 있다.
즉, 오버라이드 기능을 적용한 도어 래치를 채용한 차량의 경우 사용자가 도어 오픈을 위해 인사이드 핸들을 당기게 되면 잠금 노브가 연동되면서 도어 잠금을 동시에 해제하게 된다.
상기 링크는 인사이드 핸들에 연결되는 인사이드 핸들 링크와 잠금 노브에 연결되는 잠금 노브 링크로 이루어지며, 보통 인사이드 핸들이나 잠금 노브 레버와 연동되는 링크 로드가 로드 하우징에 의해 안내되도록 형성된다.
첨부한 도 1은 종래 자동차의 도어 래치를 도시한 개략도로서 인사이드 핸들과 잠금 노브에 링크를 통해 연결됨을 보여주며, 도 2는 도 1의 도어 래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로서 인사이드 핸들의 당김시 잠금 노브와 연동되는 동작 상태를 보여준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오픈을 위해 ①인사이드 핸들(10)을 당기게 되면 인사이드 핸들 로드(21a)가 당겨지면서 ②도어 래치(20)의 인사이드 핸들 레버(22)를 회전시키게 되고 ③회전하는 인사이드 핸들 레버(22)의 걸림턱에 의해 록 링크(23)가 상승 이동하게 되며 ④이때 상기 록 링크(23)에 연결된 잠금 노브 레버(24)가 회전되면서 ⑤잠금 노브 로드(25a)를 작동시키게(밀어주게) 됨에 의해 ⑥잠금 노브(30)가 밀리면서 잠금 해제를 위한 위치로 회전 이동하게 된다.
도 3은 자동차의 도어 오픈을 위해 인사이드 핸들을 당김시 사용자의 손등이 잠금 노브와 간섭되는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보통 자동차의 도어 오픈시 사용자가 인사이드 핸들(10)을 잡고 당기게 되는데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손등이 잠금 노브(30)를 누른 상태로 인사이드 핸들(10)을 당기게 됨에 따라 인사이드 핸들 작동력(이하, 핸들 작동력이라 함)이 역방향으로 전달되어 도어 래치(20)의 내부 부품을 손상시키게 되는 문제가 있다.
다시 말해, 인사이드 핸들(10)의 당김시 상기 잠금 노브 로드(25a)가 잠금 노브(30)를 밀어서 도어 잠금을 해제시켜야 하나 사용자의 손등이 잠금 노브(30)를 누른 상태로 간섭함으로 인해 인사이드 핸들(10)과 연계되어 움직여야 할 잠금 노브(30)가 고정되어 핸들 작동력이 잠금 노브(30)에 전달되지 못하고 도어 래치(20)의 부품에 그대로 전달되어 도어 래치(20) 부품의 파손, 고착, 끼임이 발생되게 하며 이에 따라 도어 래치의 작동 불량을 초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도어 래치의 작동 불량은 주행 중 도어 열림과 같은 안전사고를 일으킬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도어 래치의 잠금 노브 링크에 구성되어 도어 오픈을 위한 핸들 작동력이 도어 래치로 역전달됨을 차단하여 도어 래치의 내부 부품을 보호할 수 있는 자동차용 도어 래치의 손상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도어 오픈을 위한 인사이드 핸들의 당김시 잠금 노브를 밀어서 잠금 해제를 위한 위치로 회전 이동시키는 잠금 노브 링크의 일측 중간에 구비되는 것으로,
잠금 노브 측에 연결되는 잠금 노브 링크의 제1로드와 도어 래치 측에 연결되는 잠금 노브 링크의 제2로드에 양단부가 각각 접합 고정되는 신축 가능한 완충부재가 구성되고, 잠금 노브가 도어 잠금을 위한 위치에 고정될 시 도어 래치를 통해 전달되는 핸들 작동력이 상기 완충부재에 작용하여 감쇄됨에 의해 도어 래치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 래치의 손상 방지 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로드와 제2로드를 완충부재의 양단부에 각각 연결 고정하기 위한 연결부가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연결부는 제1로드와 제2로드 및 완충부재 간의 견고한 연결을 위해 강화 플라스틱 소재를 이중사출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연결부는 제1로드와 제2로드 및 완충부재 간의 견고한 연결을 위해 금속 소재를 다이캐스팅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완충부재는 로드 하우징의 중공부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 래치의 손상 방지 장치는 잠금 노브가 작동간섭으로 인해 고정될 시 핸들 작동력이 도어 래치로 역전달되는 것을 차단하여 도어 래치의 내부 부품을 보호하고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도어 래치의 작동 불량을 방지하여 주행 중 도어 열림과 같은 안전사고의 우려를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자동차의 도어 래치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도어 래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로서 인사이드 핸들의 당김시 잠금 노브와 연동되는 동작 상태를 보여준다.
도 3은 자동차의 도어 오픈을 위해 인사이드 핸들을 당김시 사용자의 손등이 잠금 노브와 간섭되는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 래치의 손상 방지 장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손상 방지 장치의 작동상태를 잠금 노브의 상태에 따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설명에 있어서 종래의 기술과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되는 것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오버라이드 기능을 적용한 자동차용 도어 래치(20)의 경우 도어의 인사이드 핸들(10)과 잠금 노브(30)를 연계시키기 위한 링크를 구비하여 도어 오픈을 위한 인사이드 핸들(10)의 당김시 잠금 노브(30)가 잠금 해제를 위한 위치로 회전 이동하여 도어 잠금을 해제시키게 되므로 도어 오픈시 별도로 잠금 노브(30)를 조작할 필요가 없게 된다.
상기 링크는 인사이드 핸들(10)에 연결되는 인사이드 핸들 링크(21)와 잠금 노브에 연결되는 잠금 노브 링크(25)로 이루어지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의 손상 방지 장치는 상기 잠금 노브 링크(25)의 일측 중간에 구비된다.
상기 잠금 노브 링크(25)는 도어 열림을 위한 인사이드 핸들(10)의 당김시 잠금 노브(30)를 밀어서 잠금 해제를 위한 위치로 회전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잠금 노브(30)와 도어 래치(20) 사이를 연결해주는 잠금 노브 로드와 이 잠금 노브 로드를 감싼 형태로 안내하기 위한 로드 하우징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잠금 노브 로드는 일측 중간이 끊김되어 잠금 노브 측에 연결되는 제1로드(41)와 도어 래치(20) 측에 연결되는 제2로드(42)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도어 래치의 손상 방지 장치는 상기 제1로드(41)와 제2로드(42)에 양단부가 각각 접합 고정되는 신축 가능한 완충부재(43)를 포함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노브 링크(25)의 일측 중간에서 로드 하우징(40)의 내부에 구성된다.
다시 말해, 상기 잠금 노브 링크(25)의 작동시 핸들 작동력의 전달을 위하여 상기 완충부재(43)의 일측은 제1로드(41)에 연결되고 타측은 제2로드(42)와 연결된다.
상기 로드 하우징(40)은 완충부재(43)의 원활한 신축 및 이동을 위해 내측에 중공부(45a)를 가지며, 완충부재(43)는 이 중공부(45a)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완충부재(43)는 최대하중 7.5㎏f 의 스프링으로 구성되고 상기 최대하중 즉, 최대로 압축시키거나 인장시킬 시 필요한 하중보다 큰 하중이 작용할 경우 손상되어 작동 신뢰성을 상실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프링은 작용 하중이 7.5㎏f 이상이면 과도한 작동력이 전달되어 도어 래치(20)의 부품이 손상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도어 래치(20)의 부품이 파손될 수 있는 힘을 기준으로 그 이하의 스프링을 사용하게 된다.
상기 완충부재(43)의 양단부에는 예를 들면 용접 등의 공정에 의해 제1로드(41) 및 제2로드(42)가 각기 접합 고정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완충부재(43)와 제1로드(41) 및 제2로드(42) 간의 연결 고정을 위한 연결부(44)를 구성하는 것이 좋다.
상기 연결부(44)는 강화 플라스틱 소재를 이중사출하여 형성되거나 또는 금속 소재를 다이캐스팅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연결부(44)는 제1로드(41)와 제2로드(42) 및 완충부재(43) 간의 견고한 연결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연결부(44)는 1차 레진을 사용하여 제1로드(41)와 완충부재(43)의 일측 표면에 1차 사출물을 각각 성형한 다음 2차 레진을 사용하여 상기 1차 사물물들의 표면에 1차 사출물들을 연결하는 2차 사출물을 성형함으로써 제1로드와 완충부재(43)의 일측을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44)는 금형에 용융금속, 예를 들면 아연을 주입하여 주조될 수 있으며, 연결하고자 하는 제1로드(41)와 완충부재(43)의 일측을 상기 금형 내부에 삽입한 상태에서 주조함으로써 제1로드(41)와 완충부재(43)의 일측을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연결부(44)는 제2로드(42)와 완충부재(43)의 타측에도 동일하게 형성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연결부(44)는 기계적 성질이 우수하고 대량 생산이 가능한 장점을 가진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손상 방지 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한다.
먼저 도 5a를 참조하여 잠금 노브(30)가 사용자의 손등에 의해 간섭되지 않은 경우를 살펴보면, 사용자가 도어 오픈을 위해 인사이드 핸들(10)을 당기게 되면 인사이드 핸들(10)의 당김시 발생된 핸들 작동력이 인사이드 핸들 링크(21)와 도어 래치(20)의 작동을 통해 잠금 노브 링크(25)로 전달되고, 전달된 핸들 작동력은 잠금 노브 링크(25)를 작동시켜 제1로드(41)와 제2로드(42) 및 완충부재(43)를 잠금 노브(30) 측으로 이동시키며, 이동된 제1로드(41)는 잠금 노브(30)를 밀어서 잠금 해제를 위한 위치로 회전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완충부재(43)는 핸들 작동력을 잠금 노브(30)에 신뢰성있게 전달하기 위해 압축됨 없이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3과 같이 잠금 노브(30)가 사용자의 손등에 간섭되어 잠금 해제를 위한 회전 이동이 불가한 경우를 살펴보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오픈을 위해 인사이드 핸들(10)을 당김시 발생된 핸들 작동력이 인사이드 핸들 링크(21)와 도어 래치(20)를 작동시키고 잠금 노브 링크(25)로 전달된다.
이때 잠금 노브(30)는 외부 간섭에 의해 잠금 위치에 고정된 상태이므로 전달된 핸들 작동력은 완충부재(43)에 작용하여 완충부재(43)를 압축시키면서 감쇄된다.
다시 말해, 핸들 작동력의 전달시 잠금 노브(30)가 잠금 위치에 고정됨에 따라 상기 완충부재(43)는 일측이 고정된 제1로드(41)에 의해 지지되는 동시에 타측이 제2로드(42)에 의해 밀림으로써 압축되고, 이에 의해 도어 래치(20)에 역방향의 핸들 작동력이 전달되지 않게 됨으로써 도어 래치(20)의 부품을 보호하고 손상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도어 래치(20)는 내부 부품들의 파손, 고착, 끼임 등의 발생이 차단되고 정상적인 작동이 가능하므로 작동 불량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실시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들을 모두 포함한다.
10 : 인사이드 핸들
20 : 도어 래치
21 : 인사이드 핸들 링크
30 : 잠금 노브
40 : 잠금 노브 링크
41 : 제1로드
42 : 제2로드
43 : 완충부재
44 : 연결부
45 : 로드 하우징
45a : 중공부

Claims (5)

  1. 도어 오픈을 위한 인사이드 핸들(10)의 당김시 잠금 노브(30)를 밀어서 잠금 해제를 위한 위치로 회전 이동시키는 잠금 노브 링크(40)의 일측 중간에 구비되는 것으로,
    잠금 노브(30) 측에 연결되는 잠금 노브 링크(40)의 제1로드(41)와 도어 래치 측에 연결되는 잠금 노브 링크(40)의 제2로드(42)에 양단부가 각각 접합 고정되는 신축 가능한 완충부재(43)가 구성되고, 잠금 노브(30)가 도어 잠금을 위한 위치에 고정될 시 도어 래치(20)를 통해 전달되는 핸들 작동력이 상기 완충부재(43)에 작용하여 감쇄됨에 의해 도어 래치(20)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 래치의 손상 방지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로드(41)와 제2로드(42)를 완충부재(43)의 양단부에 각각 연결 고정하기 위한 연결부(44)가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 래치의 손상 방지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44)는 제1로드(41)와 제2로드(42) 및 완충부재(43) 간의 견고한 연결을 위해 강화 플라스틱 소재를 이중사출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 래치의 손상 방지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44)는 제1로드(41)와 제2로드(42) 및 완충부재(43) 간의 견고한 연결을 위해 금속 소재를 다이캐스팅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 래치의 손상 방지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43)는 로드 하우징(45)의 중공부(45a)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 래치의 손상 방지 장치.
KR1020100062004A 2010-06-29 2010-06-29 자동차용 도어 래치의 손상 방지 장치 KR201200012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2004A KR20120001288A (ko) 2010-06-29 2010-06-29 자동차용 도어 래치의 손상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2004A KR20120001288A (ko) 2010-06-29 2010-06-29 자동차용 도어 래치의 손상 방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288A true KR20120001288A (ko) 2012-01-04

Family

ID=45609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2004A KR20120001288A (ko) 2010-06-29 2010-06-29 자동차용 도어 래치의 손상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128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43298A (zh) * 2013-08-09 2015-02-11 爱信精机株式会社 车辆用门锁装置
US20160295944A1 (en) * 2013-11-01 2016-10-13 Secretwoman Co., Ltd. Hairwear equipped with multi-layer structure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43298A (zh) * 2013-08-09 2015-02-11 爱信精机株式会社 车辆用门锁装置
CN104343298B (zh) * 2013-08-09 2018-10-02 爱信精机株式会社 车辆用门锁装置
US20160295944A1 (en) * 2013-11-01 2016-10-13 Secretwoman Co., Ltd. Hairwear equipped with multi-layer structur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57681B2 (en) Motor vehicle door lock
EP2053186B1 (en) Device for preventing unlocking of door handle
KR102342076B1 (ko) 자동차의 도어 또는 플랩을 열기 위한 장치
US8172283B2 (en) Door latch device in a motor vehicle
CA2827996A1 (en) Motor vehicle door lock
US11643851B2 (en) Motor vehicle lock
GB2432184A (en) Coupling apparatus which decouples in the event of acceleration above a predetermined threshold
US9638299B2 (en) Actuating device
US10920463B2 (en) Side door occupant latch with manual release and power lock
KR20130006348A (ko) 안전 도어 핸들 유닛
KR101610499B1 (ko) 차량용 도어 래치 장치
KR102554688B1 (ko) 차량용 록
KR101154300B1 (ko) 슬라이딩 도어의 록킹 컨트롤러
CN204715938U (zh) 车用门锁装置
KR101736348B1 (ko) 전자 오버라이드를 가지는 차량 도어 래치
ITTO940780A1 (it) Serratura ad azionamento elettrico per una portiera di un autoveicolo.
KR20120001288A (ko) 자동차용 도어 래치의 손상 방지 장치
KR102538461B1 (ko) 압축작동장치 및 그가 적용된 개폐장치
CN114080484A (zh) 机动车门锁
EP3591152B1 (en) A hood safety system for a vehicle
GB2544256A (en) A closure mechanism for a shower door and a shower door assembly
CN111279042B (zh) 具有紧急开启功能的锁操作装置
KR102398875B1 (ko) 차량용 후드의 락킹장치
US11017961B2 (en) Safety switch arrangement
ITBO960150U1 (it) Maniglione ad azionamento semplificato di sicurezza per portelloni di camion, rimorchi o simil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