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0962U - 앰프 컴포넌트의 결합이 가능한 보호케이스 - Google Patents

앰프 컴포넌트의 결합이 가능한 보호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0962U
KR20120000962U KR2020110004325U KR20110004325U KR20120000962U KR 20120000962 U KR20120000962 U KR 20120000962U KR 2020110004325 U KR2020110004325 U KR 2020110004325U KR 20110004325 U KR20110004325 U KR 20110004325U KR 20120000962 U KR20120000962 U KR 2012000096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plifier
portable electronic
protective case
amplifier component
cover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43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1614Y1 (ko
Inventor
친-성 린
Original Assignee
친-성 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친-성 린 filed Critical 친-성 린
Priority to KR20201100043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1614Y1/ko
Publication of KR2012000096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096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16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161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30Combinations of transducers with horns, e.g. with mechanical matching means, i.e. front-loaded hor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02Mechanical acoustic impedances; Impedance matching, e.g. by horns; Acoustic reson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1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audio devices, e.g. headphones or MP3-play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Details casings, cabinets or mounting therein for transducers covered by H04R1/02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Multimedia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앰프 컴포넌트의 결합이 가능한 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재생포트가 구비된 휴대용 전자제품을 수용하기 위해 사용되며, 덮개부와 외부에서 연결되는 앰프 컴포넌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덮개부에는 휴대용 전자제품이 장착되되, 그 표면에는 재생포트와 상통되는 연접공이 형성된다. 앰프 컴포넌트는 중공 형상으로 덮개부의 외부에서 결합되되, 그 일단은 연접공 내부로 삽입되는 삽입연결단이 성형되고, 그 타단은 앰프단이 성형된다. 휴대용 전자제품에서 나오는 오디오 음성은 재생포트를 따라 앰프 컴포넌트를 통과하고, 앰프단을 경유하여 출력된다; 이를 통하여 본 고안은 스피커를 연결시키지 않아도 오디오 음성을 증폭시키는 효과를 거두어, 보호케이스의 기능성 및 효용성이 대폭 향상된 것이다.

Description

앰프 컴포넌트의 결합이 가능한 보호케이스{Protective sleeve having an external sound-amplifying member}
본 고안은 휴대용 전자제품에 사용되는 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앰프 컴포넌트의 결합이 가능한 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과학기술의 빠른 진보로 인해, 핸드폰, 디지털 카메라,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제품이 광범위하게 우리의 일상생활에 파고들고 있다. 이러한 휴대용 전자제품이 긁혀서 마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수많은 보호케이스가 개발되었는데, 이들 보호케이스는 합성수지, 고무, 실리콘, 합성피혁 또는 진피(眞皮)로 제작되어 휴대용 전자제품의 외부표면을 커버하여 상기 휴대용 전자제품을 보호한다.
사용자가 휴대용 전자제품의 재생포트를 통해 나오는 오디오 음성을 듣고자 할 경우,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상기 재생포트에 이어폰을 삽입하여 상기 이어폰을 통해 오디오 음성을 듣게 된다. 물론 선택적으로 휴대용 전자제품에 스피커를 내장하여, 오디오 음성이 상기 재생포트를 통해 직접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러나 휴대용 전자제품에 내장된 스피커의 확성 효과는 제한적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스피커를 외부에서 연결해서 사용해야 원하는 수준의 확성 효과를 얻을 수 있는데, 이렇게 되면 스피커를 별도로 휴대해야 하기 때문에 불편하고, 또한 스피커의 사용은 휴대용 전자제품의 전력을 소모하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보호케이스는 휴대용 전자제품을 보호하는 기능은 구비하고 있지만, 확성 효과를 구비하고 있지는 않다. 그런데 만약 보호케이스가 확성 효과를 구비한다면, 사용자들은 스피커를 별도로 외부에서 연결시키지 않아도 보호케이스 자체가 양호한 확성 기능을 갖게 되어, 보호케이스의 실용성을 향상시키게 될 것이다. 본 고안은 종래 기술을 개량하여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앰프 컴포넌트의 결합이 가능한 보호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인데, 보호케이스가 앰프 컴포넌트와 연결됨으로써 확성 효과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이 제공하는 앰프 컴포넌트의 결합이 가능한 보호케이스는, 재생포트가 구비된 휴대용 전자제품을 수용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휴대용 전자제품이 장착되되, 그 표면에는 상기 재생포트와 상통되는 연접공이 개설된 덮개부; 및
중공 형상으로 상기 덮개부의 외부에서 결합되는 앰프 컴포넌트로서, 그 일단은 상기 연접공 내부로 삽입되는 삽입연결단이 성형되고, 그 타단은 앰프단이 성형된 앰프 컴포넌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휴대용 전자제품에서 나오는 오디오 음성이 상기 재생포트를 따라 상기 앰프 컴포넌트를 통과하고, 상기 앰프단을 경유하여 출력된다.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구비한다. 즉, 본 고안이 제공하는 보호케이스에는 앰프 컴포넌트가 외부에서 결합되는데, 휴대용 전자제품이 장착될 때, 상기 휴대용 전자제품에서 나오는 오디오 음성이 재생포트를 따라 앰프 컴포넌트를 통과하고, 앰프단을 경유하여 출력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스피커를 연결시키지 않아도 오디오 음성을 증폭시키는 효과를 거두어, 보호케이스의 기능성 및 효용성을 대폭 향상시킨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입체 분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입체 조립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휴대용 전자제품이 결합된 입체 조립도이다.
도 4는 도 3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입체 분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앰프구조를 보여주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체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앰프구조를 보여주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단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입체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입체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에 따라 휴대용 전자제품이 결합된 입체 조립도이다.
본 고안에 대한 상세한 설명과 기술적 특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자면 아래와 같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본 고안의 보호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사용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를 보여주고 있는데, 이를 참조한다. 본 고안이 제공하는 앰프 컴포넌트의 결합이 가능한 보호케이스(이하 「보호케이스1」이라 함)는, 휴대용 전자제품(100)(도 3 참조)을 수용하는데 사용되는데, 전술한 휴대용 전자제품(100)은 재생포트(110)를 구비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재생포트(110)는 휴대용 전자제품(100)의 저부에 위치하고 있으나, 휴대용 전자제품(100)의 재생포트의 위치는 각종 기계설계의 유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보호케이스1은 덮개부(10) 및 앰프 컴포넌트(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휴대용 전자제품(100)이 장방형(이는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형상이다)이기 때문에, 본 고안의 덮개부(10)는 이에 대응되어 장방형의 윤곽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본 고안의 덮개부(10)가 휴대용 전자제품(100)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을 물론이다. 본 고안의 덮개부(10)와 앰프 컴포넌트(20)(또는 전체 ‘보호케이스1'일 수도 있다)는 합성수지, 고무, 실리콘 또는 기타 탄력성 및 신축성을 구비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의할 경우, 덮개부(10)는 휴대용 전자제품(100)의 하부(도 3에 도시됨)에 결합되는데, 덮개부(10)에 앰프 컴포넌트(20)가 외부에서 결합되어, 휴대용 전자제품(100)이 세워진 상태가 된다. 덮개부(10)에는 휴대용 전자제품(100)을 고정시키기 위한 수용부(11)가 구비되어 있다.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자면, 수용부(11)는 덮개부(10)의 상부단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휴대용 전자제품(100)을 덮개부(10)의 상단에 위치한 수용부(11) 내에 편리하게 삽입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부가적으로 설명되어야 할 것은, 덮개부(10)의 표면에는 재생포트(110)와 상통되는 연접공(12)이 형성되어 있는데, 도 1의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접공(12)은 덮개부(10)의 후표면에 위치하여 재생포트(110)와 상통되어 있다는 것이다(도 4에서 확인할 수 있음).
그 밖에, 덮개부(10)의 하반부에는 휴대용 전자제품(100)에 형성된 연결포트의 위치에 따라 다른 용도의 통공(점선으로 표시됨)이 형성되어, 전원선, USB전송선 등과 같은 다양한 플로그(plug)가 삽입될 수 있다.
앰프 컴포넌트(20)는 중공 형상으로 덮개부(10)의 외부에 연접되는데, 앰프 컴포넌트(20)의 일단은 연접공(12) 내부로 삽입되는 삽입연결단(21)이 성형되고, 앰프 컴포넌트(20)의 타단은 앰프단(22)이 성형된다. 그 밖에, 도 2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앰프 컴포넌트(20)의 삽입연결단(21)과 앰프단(22) 사이는 2단으로 구부러져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이는 앰프 컴포넌트(20)의 길이를 늘이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앰프 컴포넌트(20)의 삽입연결단(21)과 앰프단(22) 사이의 구경(口徑)은 길이방향으로 완만하게 점차적으로 증가된다. 도 2를 통해서 명백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앰프단(22)은 나팔 형상인데, 덮개부(10)의 후표면을 따라 형성되다가 덮개부(10)의 측면에서 절곡됨으로써, 덮개부(10)와 앰프 컴포넌트(20)가 조립되어 전제 보호케이스(1)가 안정적으로 세워져서, 보호케이스(1)에 장착된 휴대용 전자제품(100)이 세워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앰프 컴포넌트(20)를 형성하여, 휴대용 전자제품(100)에서 나오는 오디오 음성이 재생포트(110)를 따라 앰프 컴포넌트(20)를 통과하고, 최종적으로 앰프단(22)을 경유하여 출력되도록 하여, 확성의 효과를 달성한다.
여기서 설명되어야 할 사항은, 제 1 실시예에서, 앰프 컴포넌트(20)의 삽입연결단(21)이 덮개부(10)의 연접공(12) 내에 삽입되기 때문에, 앰프 컴포넌트(20)는 연접공(12)을 회전의 중심으로 하여 덮개부(1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되는데, 상기 구조를 통해 앰프 컴포넌트(20)가 덮개부(10)의 좌측 또는 우측에 놓일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것인데, 이를 참조한다.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와의 차이점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덮개부(10)의 후표면에는 연접공(12) 주변으로 위치제한공(13)이 성형되고, 앰프 컴포넌트(20)에는 상기 위치제한공(13)에 끼워져 결합되는 위치고정바(23)가 성형된다는 것이다. 전술한 구조를 통하여 앰프 컴포넌트(20)가 덮개부(10)의 일측에 고정되어 덮개부(10)에 대하여 회동되지 않게 된다.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의 앰프 구조를 보여주는 다른 실시예인데, 이를 참조한다. 도 1 내지 도 5 중의 앰프 컴포넌트(20)는 일체로 성형된 구조인 반면, 도 6 및 도 7의 앰프 컴포넌트(20')는 전면부(20a') 및 상기 전면부(20a')에 결합되는 후면부(20b')로 나뉘어 성형되어 이들이 조립된다. 여기서, 전면부(20a')는 중공형상으로 삽입연결단(21')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연결단(21')에는 재생포트(110)와 상통되는 통공(211')이 형성된다. 삽입연결단(21')에서 떨어진 전면부(20a')의 타단에는 연결공(212')이 성형된다. 후면부(20b') 또한 중공형상으로 앰프단(22')이 형성되고, 앰프단(22')에서 떨어진 후면부(20b')의 타단에는 연결공(212')과 끼움결합되는 연결헤드(222')가 성형된다. 후면부(20b')의 연결헤드(222')가 전면부(20a')의 연결공(212')에 삽입되어, 후면부(20b')가 전면부(20a')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기 때문에,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앰프단(22')의 나팔 모양의 개구를 사용자 청음을 위한 최적의 방향으로 돌려 놓을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를 보여주고 있는데, 이를 참조한다. 제 1 실시예와의 차이점은, 제 1 실시예의 덮개부(10)는 휴대용 전자제품(100)의 하부를 커버한 반면, 제 3 실시예의 덮개부(10')는 휴대용 전자제품(100) 전체를 커버한다는 것이다. 도 8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수용부(11')는 덮개부(10')의 내부에 형성되는데, 즉 덮개부(10')의 정면으로 수용부 개구(111')가 형성되어, 사용자는 휴대용 전자제품(100)의 상부 테두리부를 수용부 개구의 상부에 삽입한 후, 덮개부(10')의 탄성 및 신축성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수용부 개구(111')의 하부 테두리부를 당겨 휴대용 전자제품(100)을 상기 덮개부(10') 내에 장착시킴으로써, 덮개부(10')가 휴대용 전자제품(100)의 전체 외부표면을 커버할 수 있도록 한다. 제 3 실시예에서는, 앰프 컴포넌트(20')가 전술한 두 가지 형태의 앰프 컴포넌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중복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9 및 도 10은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를 보여주고 있는데, 이를 참조한다. 제 1 실시예와의 차이점은, 제 1 실시예의 덮개부(10)가 일체로 성형된 반면, 제 4 실시예의 덮개부(10'')는 제 1 부재(11''), 제 2 부재(12'') 및 상기 제 1 부재(11'')와 제 2 부재(12'')를 힌지 결합시키는 힌지결합부(13'')를 포함한다는 것이다. 제 1 부재(11'')에는 연접공(111'')이 형성되어, 휴대용 전자제품(100)의 재생포트(110)와 결합된다(도 10 참조). 제 1 부재(11'')의 일단에는 제 1 손잡이부(112'')가 연장 형성되고, 제 2 부재(12'')의 일단에도 제 2 손잡이부(122'')가 연장 형성되는데, 상기 제 1 손잡이부(112'')와 제 2 손잡이부(122'')는 힌지결합부(13'')에 의해 힌지 결합하되, 힌지결합부(13'')를 관통한다. 제 1 손잡이부(112'')와 제 2 손잡이부(122'')를 눌러 힌지결합부의 사이를 벌리고, 상기 제 1 부재(11'')와 제 2 부재(12'') 사이에 휴대용 전자제품(100)이 끼워져서, 휴대용 전자제품(100)이 보호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전술한 내용을 종합하여 보면, 본 고안이 제공하는 「앰프 컴포넌트의 결합이 가능한 보호케이스」는 산업상 이용 가능성, 신규성 및 진보성을 구비한 것이고, 본 고안의 출원 전에 이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제품이 사용되거나 공개된 사실이 없기 때문에, 본 고안은 실용신안등록요건을 구비한 것이고, 이에 근거하여 실용신안등록출원을 신청한다.
1 : 보호케이스 10,10', 10'' : 덮개부
11,11' : 수용부 111' : 수용부 개구
12 : 연접공 13 : 위치제한공
11'' : 제 1 부재 111'' : 연접공
112'' : 제 1 손잡이부 12'' : 제 2 부재
122'' : 제 2 손잡이부 13'' : 힌지결합부
20,20' : 앰프 컴포넌트 20a' : 전면부
20b' : 후면부 21,21' : 삽입연결단
211,211' : 통공 212' : 연결공
22,22' : 앰프단 222' : 연결헤드
23 : 위치고정바 100 : 휴대용 전자제품
110 : 재생포트

Claims (10)

  1. 재생포트가 구비된 휴대용 전자제품을 수용하기 위해 사용되는 보호케이스로서, 상기 보호케이스는,
    상기 휴대용 전자제품이 장착되되, 그 표면에는 상기 재생포트와 상통되는 연접공이 형성된 덮개부; 및
    중공 형상으로 상기 덮개부의 외부에서 결합되는 앰프 컴포넌트로서, 그 일단은 상기 연접공 내부로 삽입되는 삽입연결단이 성형되고, 그 타단은 앰프단이 성형된 앰프 컴포넌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휴대용 전자제품에서 나오는 오디오 음성이 상기 재생포트를 따라 상기 앰프 컴포넌트를 통과하고, 상기 앰프단을 경유하여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앰프 컴포넌트의 결합이 가능한 보호케이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삽입연결단에는 상기 연접공과 상통되는 통공이 형성되는, 앰프 컴포넌트의 결합이 가능한 보호케이스.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휴대용 전자제품의 일부를 커버하되, 상기 덮개부와 앰프 컴포넌트가 조립되어 상기 휴대용 전자제품이 세워진 상태가 되는, 앰프의 결합이 가능한 보호케이스.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에는 상기 휴대용 전자제품을 장착시키는 수용부가 형성되는, 앰프 컴포넌트의 결합이 가능한 보호케이스.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삽입연결단과 앰프단 사이는 한군데 이상이 구부러져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앰프단의 구경(口徑)이 상기 삽입연결단의 구경보다 크게 되는, 앰프 컴포넌트의 결합이 가능한 보호케이스.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의 후표면에는 연접공 주변으로 위치제한공이 성형되고, 상기 앰프 컴포넌트에는 상기 위치제한공에 끼워져 결합되는 위치고정바가 성형되는, 앰프 컴포넌트의 결합이 가능한 보호케이스.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앰프 컴포넌트는 전면부 및 상기 전면부에 결합되는 후면부로 나뉘어 성형되어 이들의 조립에 의해 형성되는 것인데, 상기 전면부는 중공형상으로 상기 삽입연결단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연결단에서 떨어진 상기 전면부의 타단에는 연결공이 성형되며, 상기 후면부는 중공형상으로 상기 앰프단이 형성되고, 상기 앰프단에서 떨어진 상기 후면부의 타단에는 상기 연결공과 끼움결합되는 연결헤드가 성형되는, 앰프 컴포넌트의 결합이 가능한 보호케이스.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휴대용 전자제품의 전체 외부표면을 커버하는, 앰프 컴포넌트의 결합이 가능한 보호케이스.
  9.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제 1 부재, 제 2 부재 및 상기 제 1 부재와 제 2 부재를 힌지 결합시키는 힌지결합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부재와 제 2 부재 사이에 휴대용 전자제품이 끼워지는, 앰프 컴포넌트의 결합이 가능한 보호케이스.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재에는 상기 재생포트에 대응되는 연접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부재의 일단에는 제 1 손잡이부가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 2 부재의 일단에는 제 2 손잡이부가 연장 형성되는데, 상기 제 1 손잡이부와 제 2 손잡이부는 상기 힌지결합부에 의해 힌지 결합하는, 앰프 컴포넌트의 결합이 가능한 보호케이스.
KR2020110004325U 2010-07-28 2011-05-19 앰프 컴포넌트의 결합이 가능한 보호케이스 KR2004616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4325U KR200461614Y1 (ko) 2010-07-28 2011-05-19 앰프 컴포넌트의 결합이 가능한 보호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099214339 2010-07-28
KR2020110004325U KR200461614Y1 (ko) 2010-07-28 2011-05-19 앰프 컴포넌트의 결합이 가능한 보호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962U true KR20120000962U (ko) 2012-02-08
KR200461614Y1 KR200461614Y1 (ko) 2012-07-24

Family

ID=45843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4325U KR200461614Y1 (ko) 2010-07-28 2011-05-19 앰프 컴포넌트의 결합이 가능한 보호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1614Y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4433B1 (ko) 2007-05-03 2008-04-22 마승홍 휴대 기기용 보호케이스 및 그 제조 방법
KR200449122Y1 (ko) 2010-03-10 2010-06-17 이규철 이동통신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1614Y1 (ko) 2012-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56568B2 (en) Protective sleeve having an external sound-amplifying member
US9338542B2 (en) Wireless headset having ear hook
US10021486B1 (en) Portable auxiliary unit for mobile audio player
US7869615B2 (en) Sound-box type earphone housing, headset with sound-box type earphone housings
US20120027237A1 (en) Protective sleeve having a built-in sound-amplifying channel
US9259046B2 (en) Combination hat and earphone assembly
US9918152B2 (en) Peripheral audio output device
US20080106693A1 (en) Eyeglasses having function of broadcasting music
US11418868B2 (en) Earphone and head-mounted earphone
EP1633020B1 (en) Waterproof audio player
CA2720145A1 (en) Shelf
EP2777296A1 (en) An audio accessory including a headphone with separate sockets
KR200461614Y1 (ko) 앰프 컴포넌트의 결합이 가능한 보호케이스
CN201742534U (zh) 具有内建式扩音槽道的保护套
CN200994189Y (zh) 微型折叠式音箱
KR200467481Y1 (ko) 스피커가 구비된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CN110557491B (zh) 手机扬声套结构
TWI679901B (zh) 手機揚聲套結構
KR200472656Y1 (ko) 수납함을 갖는 스피커장치
JP3135522U (ja) ヘッドフォン
US20130156199A1 (en) Handheld computing device case with audio output
KR200468243Y1 (ko) 거치대가 구비된 스피커
US20080057860A1 (en) Multifunctional auxiliary audio device
KR20220154066A (ko) 서로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핸드폰 케이스와 무선 이어폰 케이스
KR20020042980A (ko) 컴퓨터용 멀티어댑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