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0666A - 휴대용 통신단말기 및 그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통신단말기 및 그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0666A
KR20120000666A KR1020100061028A KR20100061028A KR20120000666A KR 20120000666 A KR20120000666 A KR 20120000666A KR 1020100061028 A KR1020100061028 A KR 1020100061028A KR 20100061028 A KR20100061028 A KR 20100061028A KR 20120000666 A KR20120000666 A KR 201200006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aker
communication terminal
portable communication
signa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1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세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마이티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마이티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마이티웍스
Priority to KR10201000610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0666A/ko
Publication of KR201200006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06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4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playing music 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58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wireless LAN interface

Abstract

휴대용 통신단말기 및 그 제공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제1 스피커 및 제2 스피커를 포함하는 이어폰 장치에 연결될 수 있는 휴대용 통신단말기는 상기 이어폰 장치와 연결되는 인터페이스부, 무선 통화를 수행하는 통신부, 컨텐츠를 재생하는 컨텐츠 재생부, 및 상기 통신부 또는 상기 컨텐츠 재생부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선택적으로 상기 인터페이스부로 출력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소정의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이어폰 장치에 포함된 상기 제1 스피커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오디오 신호가 출력되지 않도록 제어한다.

Description

휴대용 통신단말기 및 그 제공방법{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provid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휴대용 통신단말기 및 그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용 통신단말기에 마이크를 구비하지 않은 이어폰을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도 마이크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휴대용 통신단말기 및 그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통신단말기(예컨대, 핸드폰, 모바일 PC 등)의 기능이 다양해지면서, 사람들은 휴대용 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다양한 컨텐츠(예컨대, 동영상, 음악 파일, MP3 등)를 이용하게 되었다.
휴대용 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다양한 컨텐츠를 소비할 때, 대개 사람들은 이어폰(본 명세서에서는 해드폰 또는 해드셋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됨)을 이용하게 된다. 이어폰은 일반적으로 양쪽의 귀에 삽입될 수 있는 두 개의 작은 스피커부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각각의 스피커부에는 소형의 스피커가 포함되어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할 수 있다. 하지만, 휴대용 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소비하기 위해 사용되는 이어폰은 휴대용 통신단말기의 본연의 기능인 음성통화를 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이어폰에 마이크(마이크로폰)를 구비하게 된다.
즉, 종래의 방식으로 휴대용 통신단말기를 이용하는 경우, 컨텐츠를 소비할 때에는 컨텐츠에 상응하는 오디오 신호가 이어폰의 양쪽 스피커를 통해 출력된다. 그 후 음성통화 또는 보이스 레코딩(voice recording) 등과 같이 사용자가 휴대용 통신단말기로 음성신호를 입력하고자 할 때에는 이어폰에 구비되는 마이크를 이용할 수 있다. 종래의 이어폰은 이처럼 휴대용 통신단말기로 소정의 음성신호를 입력하기 위하여 마이크를 구비하게 되는데, 상기 마이크는 이어폰의 양쪽 스피커부와는 소정의 거리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도 1은 종래의 이어폰이 휴대용 통신단말기와 연결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어폰(20)은 상기 이어폰(20)에 구비된 플러그(23)가 휴대용 통신단말기(10)에 구비된 이어폰 잭(미도시)에 삽입 또는 연결되어 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이어폰(20)은 두 개의 스피커부(21, 2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용 통신단말기(10)로 소정의 음성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마이크(24)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24)의 위치는 구현 예에 따라 다소 다양할 수 있다.
하지만 어떠한 경우든, 종래의 이어폰(20)은 상기 휴대용 통신단말기(10)에 음성신호를 입력하기 위해 마이크(24)를 구비하여야만 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이어폰(20)을 사용자가 착용하는 경우, 상기 마이크(24)가 화자의 입과는 다소 거리가 멀어져서, 화자의 입으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신호에 노이즈가 비교적 많이 추가되고 음량 또는 음질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화자는 상기 마이크(24) 또는 상기 이어폰(20)의 줄을 손으로 잡고 상기 마이크(24)를 입 가까이 가져가서 음성신호를 입력하는 등의 행위를 수행하는 불편함을 겪어야만 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마이크가 구비되지 않은 이어폰을 이용하여서도 휴대용 통신단말기에 음성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마이크가 구비되지 않은 이어폰을 휴대용 통신단말기에 연결하여 컨텐츠를 이용하는 중에 간편하게 상기 이어폰을 이용하여 휴대용 통신단말기에 음성입력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제1 스피커 및 제2 스피커를 포함하는 이어폰 장치에 연결될 수 있는 휴대용 통신단말기는 상기 이어폰 장치와 연결되는 인터페이스부, 무선 통화를 수행하는 통신부, 컨텐츠를 재생하는 컨텐츠 재생부, 및 상기 통신부 또는 상기 컨텐츠 재생부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선택적으로 상기 인터페이스부로 출력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소정의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이어폰 장치에 포함된 상기 제1 스피커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오디오 신호가 출력되지 않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스피커를 통해 수신되어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화자 음성신호를 증폭하고, 증폭된 음성신호를 음성입력 신호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성입력 신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포함된 상기 제1스피커에 대응되는 연결단자와 마이크 연결단자를 상기 제1 스피커와 선택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정의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1스피커를 상기 마이크 연결단자와 연결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스피커는 R(Right) 스피커일 수 있다.
상기 소정의 제어신호는 호 연결 신호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호 연결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상대방 음성신호를 상기 제2 스피커로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 재생부에 의해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가 상기 제1 스피커 및 상기 제2스피커로 출력되는 중에 상기 호 연결요청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호 연결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상대방 음성신호를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제2 스피커로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휴대용 통신단말기 제공방법은 휴대용 통신단말기가 상기 휴대용 통신 단말기에 연결된 이어폰의 제1 및 제2스피커로 컨텐츠 재생에 따른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휴대용 통신단말기가 소정의 제어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휴대용 통신단말기가 상기 제1 스피커로는 상기 오디오 신호가 출력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휴대용 통신단말기 제공방법은 상기 제1 스피커를 통해 입력되는 화자 음성신호를 증폭하는 단계 및 증폭된 상기 화자 음성신호를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통신단말기 제공방법은 상기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상대방 음성신호를 상기 제2 스피커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통신단말기가 상기 제1 스피커로는 상기 오디오 신호가 출력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휴대용 통신단말기가 상기 제1스피커를 상기 마이크 연결단자와 연결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휴대용 통신단말기 제공방법은 휴대용 통신단말기가 컨텐츠 재생에 따른 오디오 신호를 상기 휴대용 통신단말기에 연결된 이어폰의 제1 및 제2 스피커로 출력하는 단계, 상기 휴대용 통신단말기로 호 연결 요청신호가 수신되고, 수신된 호 연결 요청신호에 응답하여 호가 연결되는 단계, 및 호가 연결되면, 상기 휴대용 통신단말기는 상기 제1스피커로는 상기 휴대용 통신단말기의 화자 음성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제2 스피커로 상대방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휴대용 통신단말기 제공방법은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휴대용 통신단말기 및 그 제공방법에 의하면, 휴대용 통신단말기에 연결되는 이어폰에 마이크가 구비되지 않아도 상기 휴대용 통신단말기로 화자의 음성입력 신호를 입력할 수 있어서, 이어폰의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휴대용 통신단말기에 구비되는 음성입출력 처리 알고리즘을 간단히 변경하거나, 소정의 회로를 간단히 구비하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휴대용 통신단말기 제공방법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마이크가 구비되지 않은 이어폰을 그대로 이용하여 음성입력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휴대용 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이용하다가 음성통화 등과 같이 음성입력 신호를 입력할 필요가 있게 되는 경우, 간단한 조작만으로 음성입력 신호를 입력할 수 있고, 마이크가 별도로 상기 이어폰에 구비되지 않으므로 마이크를 화자의 입 가까이 가져가서 음성을 입력하는 불편함이 없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마이크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고 스피커부에 포함된 스피커가 마이크의 역할을 수행하므로 마이크가 화자의 귀에 삽입되게 되어 외부 노이즈가 심한 환경에서도 상기 외부 노이즈가 음성입력 신호에 덜 노출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종래의 이어폰이 휴대용 통신단말기와 연결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통신단말기에 마이크가 구비되니 않은 이어폰이 연결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통신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통신단말기의 인터페이스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통신단말기 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플로우 차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성요소는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를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도 있는 것을 의미한다.
반대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를 '직접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성요소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지 않고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상기 데이터가 전송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통신단말기에 마이크가 구비되니 않은 이어폰이 연결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통신단말기(100)는 마이크가 구비되지 않은 이어폰(20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이어폰(200)은 두 개의 스피커부(210, 220) 및 플러그(230)를 포함한다. 상기 플러그(230)는 상기 휴대용 통신단말기(100)에 구비된 인터페이스부(예컨대, 도 3의 140)와 연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인터페이스부(예컨대, 도 3의 140)는 상기 이어폰(200) 플러그(230)가 삽입되는 이어잭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어폰(200)에는 별도의 마이크가 구비되지 않는다. 마이크가 구비되지 않음에도 상기 이어폰(200)을 이용하여 화자가 음성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이유는 상기 스피커부(210, 220) 중 적어도 하나로 상기 휴대용 통신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오디오 신호가 출력되지 않을 때, 상기 이어폰(200)을 착용한 화자가 말(음성신호)을 하면, 상기 화자의 구강 내부를 통하여 상기 스피커부(210, 220)중 적어도 하나로 말(음성신호)이 입력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각각의 스피커는 진동판, 자석, 및 코일을 포함하는데, 스피커는 코일에 전류를 가하면 자석에 의해 생성된 자력선에 의해 발생되는 힘(로렌츠의 힘)에 의해 진동판이 진동하여 휴대용 통신단말기(100)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이와는 반대로 마이크는 입력되는 음성신호에 의해 진동판이 진동하게 되면, 자석이 같이 진동함으로써 코일에 전류가 발생되게 되는 원리를 갖는다. 즉, 스피커와 마이크는 반대의 원리로 동작하게 되는데, 동일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소형의 스피커(예컨대, 이어폰, 해드폰, 해드셋 등)에 음성을 입력하면 마이크처럼 동작할 수 있다. 물론, 스피커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원래 스피커의 음성출력 경로와는 역경로를 통해 음성신호가 입력되게 되므로, 입력되는 음성신호의 음량에 비해서는 음량이 줄어들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통신단말기 제공방법은 상기 스피커부(210, 220)에 포함된 스피커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상기 휴대용 통신단말기(100)의 음성입력 신호로 사용할 수 있는 기술적 사상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통신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통신단말기(100)는 제어부(110), 통신부(120), 컨텐츠 재생부(130), 및 인터페이스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휴대용 통신단말기(100)의 전반적인 제어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소정의 MCU(Micro Control Unit) 또는 소정의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20)는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하에 무선 통화(음성 통화 및 영상통화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됨)를 수행하거나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음성 통화 및/또는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상기 통신부(120)의 원리 및 구성은 널리 공지되어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컨텐츠 재생부(130)는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하에 소정의 컨텐츠(예컨대, 오디오 파일 또는 동영상 등)를 재생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재생부(130)에 의해 재생가능한 컨텐츠의 종류는 구현 예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20)를 통해 상대방 단말기(미도시)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신호 또는 상기 컨텐츠 재생부(130)에 의해 재생되는 컨텐츠의 오디오 신호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4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통신부(120)에 의해 출력되는 상대방 단말기의 음성신호 또는 상기 컨텐츠 재생부(130)에 의해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선택적으로 상기 인터페이스부(140)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40)를 제어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부(140)로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를 상기 휴대용 통신단말기(100)에 구비된 스피커(미도시) 또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40)에 연결되는 상기 이어폰(200)으로 선택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상기 제어부(110)는 소정의 제어신호(예컨대, 호 연결 신호 등)가 입력되면 상기 이어폰(200)에 포함된 상기 스피커부(210, 220)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된 제1 스피커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40)를 통해 오디오 신호가 출력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통신부(120)를 통해 수신되는 상대방의 음성신호 및 상기 컨텐츠 재생부(130)를 통해 출력되는 컨텐츠 재생시의 오디오 신호가 상기 제1 스피커로는 출력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소정의 제어신호(예컨대, 호 연결 신호 등)가 입력되면, 상대방과 통화중이거나 컨텐츠가 재생중이라도 상기 제1 스피커로는 어떠한 신호도 출력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화자가 음성신호를 출력하면(말을 하면), 출력된 음성신호는 상기 제1 스피커를 통해 상기 인터페이스부(140)로 전송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스피커는 마이크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스피커를 통해 입력되어 상기 인터페이스부(140)로 전송되는 음성신호는 전술한 바와 같이 미량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제1 스피커 및 상기 인터페이스부(140)를 통해 입력되는 화자 음성신호를 증폭하고, 증폭된 음성신호를 음성입력 신호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가 상기 화자 음성신호를 증폭한다고 함은, 상기 제어부(110)가 소정의 증폭기를 구비하여 상기 화자 음성신호를 증폭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상기 휴대용 통신단말기(100)에 구비된 소정의 증폭기를 통해 상기 화자 음성신호가 증폭되도록 하는 경우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증폭된 음성신호를 음성입력 신호로 사용한다고 함은, 상기 휴대용 통신단말기(100)의 모드 또는 상태에 적합한 입력신호로 사용됨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휴대용 통신단말기(100)로 전화가 걸려오면 화자(사용자)는 상기 휴대용 통신단말기(100)에 설치된 소정의 버튼 또는 UI(User Interface)를 선택함으로써 호 연결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제1 스피커로부터 입력되어 증폭된 음성입력 신호를 통화 신호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음성입력 신호를 상기 통신부(120)를 통해 상대방 단말기(미도시)로 전송하도록 제어하여 무선 통화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휴대용 통신단말기(100)를 이용하여 동영상을 촬영하거나 보이스 레코딩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동영상 촬영모드 또는 보이스 레코딩 모드로 진입하기 위해 소정의 제어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제1 스피커로부터 입력되어 증폭된 음성입력 신호를 동영상 음성신호로 사용하거나, 보이스 레코딩 시의 보이스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외에도 상기 제1 스피커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입력 신호는 상기 휴대용 통신단말기(100)가 제공하는 기능에 따라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10)가 소정의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1 스피커로는 오디오 신호가 출력되지 않도록 한 후, 상기 제1 스피커를 마이크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어부(110)가 상기 통신부(120) 또는 상기 컨텐츠 재생부(130)를 제어하여 상기 제1 스피커로 출력될 오디오 신호를 상기 인터페이스부(140)로 전송하지 못하도록 제어하거나, 상기 인터페이스부(140)를 제어하여 상기 제1 스피커에 연결되는 단자로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은 종래의 휴대용 통신단말기의 제어부를 동작하기 위한 소정의 OS 또는 음성입출력 알고리즘을 변경하거나, 소정의 회로를 상기 인터페이스부(140)에 구비함으로써 구현 가능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통신부(120) 또는 상기 컨텐츠 재생부(130)가 제1 스피커 또는 제2 스피커로 출력될 오디오 신호(예컨대, 스트레오 오디오 신호)를 각각 생성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부(140)로 출력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소정의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1 스피커로 출력될 오디오 신호를 상기 인터페이스부(140)로 출력되지 못하도록 상기 통신부(120) 또는 상기 컨텐츠 재생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물론, 모노 신호인 경우에도 상기 제1 스피커로 출력될 오디오 신호를 상기 인터페이스부(140)로 출력하지 못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터페이스부(140)에 소정의 회로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소정의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1 스피커로는 오디오 신호가 출력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통신단말기의 인터페이스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4개의 단자를 갖는 이어잭을 구비하는 인터페이스부(140)를 일 예로 설명하고 있는데,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인터페이스부(140)는 레프트(Left) 단자(141), 라이트(Right) 단자(142), 마이크 단자(143), 및 그라운드 단자(144)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단자들(141~144)는 상기 이어폰(200)의 플러그에 구비되는 대응되는 단자들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부(140)는 상기 제1 스피커에 대응되는 연결단자(예컨대, 라이트 단자(142))와 상기 마이크 단자(143)를 선택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소정의 스위칭 회로(1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칭 회로(145)는 상기 제어부(110)로부터 수신되는 소정의 스위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스피커를 상기 제1 스피커에 대응되는 연결단자(예컨대, 라이트 단자(142))와 상기 마이크 단자(143)를 선택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스위칭 회로(145)와 연결되는 회선(146)으로 출력되거나 입력될 데이터의 경로를 제어할 수도 있다. 그러면, 상기 스위칭 회로(145)가 상기 제1 스피커에 대응되는 연결단자(예컨대, 142)와 연결될 때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40)로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가 상기 연결단자(예컨대, 142)를 통해 상기 제1 스피커로 출력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제어부(110)가 상기 제어신호(예컨대, 호 연결신호 등)를 수신하면, 상기 스위칭 회로(145)로 소정의 스위칭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그르면, 상기 스위칭 회로(145)는 마이크 단자(143)와 연결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1 스피커에 대응되는 연결단자로는 어떠한 오디오 신호도 출력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스피커가 상기 마이크 단자(143)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제1 스피커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로 취급하여 상기 음성입력 신호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이어잭은 라이트 단자(142)가 마이크 단자(143)와 인접하여 형성되거나 라이트 단자(142)와 마이크 단자(143)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는 경우도 있으므로, 상기 제1 스피커는 상기 라이트 단자(142)에 연결되는 라이트 스피커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통신단말기 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플로우 차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사용자가 상기 휴대용 통신단말기(100)를 통해 컨텐츠를 이용하다가 무선 전화가 걸려오는 경우의 일 예를 나타내는데, 도 5를 참조하면, 컨텐츠를 이용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40)를 통해 제1 스피커 및 제2 스피커로 컨텐츠에 상응하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100). 그러다가 무선 전화가 걸려오면, 사용자는 소정의 버튼(예컨대, 통화 버튼) 또는 UI를 선택함으로써 호 연결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S110). 그러면, 상기 제어부(110)는 입력된 상기 호 연결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스피커로는 오디오 신호가 출력하지 않도록 제어하여 상기 제1 스피커를 마이크로 사용하도록 하고, 상기 제2 스피커는 계속 스피커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S120). 즉, 상대방의 음성신호는 상기 제2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고, 상기 사용자의 음성신호는 상기 제1 스피커를 통해 상기 인터페이스부(140)로 입력되어 필요한 경우 증폭 후 상기 통신부(120)를 통해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110)는 소정의 스위칭 신호를 스위칭 회로(145)로 전송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호 연결 상태가 계속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S130). 만약 호 연결 상태가 계속되는 경우에는 제1 스피커와 제2 스피커의 사용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호 연결이 종료되면(즉, 무선 통화가 끊어지면) 다시 제1스피커와 제2스피커를 통해 정상적으로 컨텐츠에 상응하는 오디오 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100).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통신단말기 제공방법은 귀에 삽입된 제1 스피커를 마이크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어폰(200)에 마이크가 구비되지 않아도 음성신호를 입력할 수 있고, 제1 스피커가 귀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외부환경 노이즈에 강하고, 마이크를 손으로 들어서 화자의 입 가까이로 가져가는 등의 불편함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통신단말기 제공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5)

  1. 제1 스피커 및 제2 스피커를 포함하는 이어폰 장치에 연결될 수 있는 휴대용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통신단말기는 상기 이어폰 장치와 연결되는 인터페이스부;
    무선 통화를 수행하는 통신부;
    컨텐츠를 재생하는 컨텐츠 재생부; 및
    상기 통신부 또는 상기 컨텐츠 재생부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선택적으로 상기 인터페이스부로 출력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소정의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이어폰 장치에 포함된 상기 제1 스피커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오디오 신호가 출력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휴대용 통신단말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스피커를 통해 수신되어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화자 음성신호를 증폭하고,
    증폭된 음성신호를 음성입력 신호로 사용하는 휴대용 통신단말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성입력 신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휴대용 통신단말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포함된 상기 제1스피커에 대응되는 연결단자와 마이크 연결단자를 상기 제1 스피커와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휴대용 통신단말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정의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1스피커를 상기 마이크 연결단자와 연결되도록 제어하는 휴대용 통신단말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피커는,
    R(Right) 스피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단말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제어신호는,
    호 연결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단말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호 연결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상대방 음성신호를 상기 제2 스피커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휴대용 통신단말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 재생부에 의해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가 상기 제1 스피커 및 상기 제2스피커로 출력되는 중에 상기 호 연결요청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호 연결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상대방 음성신호를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제2 스피커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휴대용 통신단말기.
  10. 휴대용 통신단말기가 상기 휴대용 통신 단말기에 연결된 이어폰의 제1 및 제2스피커로 컨텐츠 재생에 따른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휴대용 통신단말기가 소정의 제어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휴대용 통신단말기가 상기 제1 스피커로는 상기 오디오 신호가 출력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통신단말기 제공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통신단말기 제공방법은,
    상기 제1 스피커를 통해 입력되는 화자 음성신호를 증폭하는 단계; 및
    증폭된 상기 화자 음성신호를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통신단말기 제공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통신단말기 제공방법은,
    상기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상대방 음성신호를 상기 제2 스피커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통신단말기 제공방법.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통신단말기가 상기 제1 스피커로는 상기 오디오 신호가 출력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휴대용 통신단말기가 상기 제1스피커를 상기 마이크 연결단자와 연결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통신단말기 제공방법.
  14. 휴대용 통신단말기가 컨텐츠 재생에 따른 오디오 신호를 상기 휴대용 통신단말기에 연결된 이어폰의 제1 및 제2 스피커로 출력하는 단계;
    상기 휴대용 통신단말기로 호 연결 요청신호가 수신되고, 수신된 호 연결 요청신호에 응답하여 호가 연결되는 단계; 및
    호가 연결되면, 상기 휴대용 통신단말기는 상기 제1스피커로는 상기 휴대용 통신단말기의 화자 음성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제2 스피커로 상대방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통신단말기 제공방법.
  15. 제 10항 내지 제 14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00061028A 2010-06-28 2010-06-28 휴대용 통신단말기 및 그 제공방법 KR201200006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1028A KR20120000666A (ko) 2010-06-28 2010-06-28 휴대용 통신단말기 및 그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1028A KR20120000666A (ko) 2010-06-28 2010-06-28 휴대용 통신단말기 및 그 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666A true KR20120000666A (ko) 2012-01-04

Family

ID=45608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1028A KR20120000666A (ko) 2010-06-28 2010-06-28 휴대용 통신단말기 및 그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066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03826B2 (en) Headset with ambient sound
US8416961B2 (en) Detecting the repositioning of an earphone using a microphone and associated action
US7986802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personal hands-free accessory with audio disable
KR101731714B1 (ko) 음질 개선을 위한 방법 및 헤드셋
JP2017512048A (ja) オーディオ・トランスデューサの性能をトランスデューサの状態の検出に基づいて向上させ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TW201334573A (zh) 超小型耳機
WO2010106957A1 (ja) ヘッドホン
KR101450014B1 (ko) 블루투스를 이용한 스마트 사용자 보조 장치
KR20090017956A (ko) 스테레오 블루투스 헤드셋
US10719292B2 (en) Sound enhancement adapter
US8908878B2 (en) Arrangements in a device for use with a service involving play out of media and related methods
US20050255817A1 (en) Method and device for background monitoring of an audio source
WO2017185602A1 (zh) 一种耳机模式切换方法和电子设备
CN111770404A (zh) 录音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KR20010059527A (ko) 휴대폰의 이어 마이크
KR20120000666A (ko) 휴대용 통신단말기 및 그 제공방법
JP4707160B2 (ja) ヘッドホン
KR100627665B1 (ko) 스피커 일체형 이어폰
AU2009101318B4 (en) Detecting the repositioning of an earphone using a microphone and associated action
JP4915466B2 (ja) 音声出力装置
KR100668920B1 (ko) 이어폰의 출력 제어장치
KR20040058660A (ko) 스테레오 신호를 출력하는 휴대 단말기
KR20060042813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스테레오 재생 방법
KR20180015333A (ko) 헤드폰 또는 이어폰 음상정위를 위한 좌우출력 자동조절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