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5333A - 헤드폰 또는 이어폰 음상정위를 위한 좌우출력 자동조절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헤드폰 또는 이어폰 음상정위를 위한 좌우출력 자동조절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5333A
KR20180015333A KR1020160098684A KR20160098684A KR20180015333A KR 20180015333 A KR20180015333 A KR 20180015333A KR 1020160098684 A KR1020160098684 A KR 1020160098684A KR 20160098684 A KR20160098684 A KR 20160098684A KR 20180015333 A KR20180015333 A KR 201800153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audio
earphone
right speakers
micro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86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풍민
김제금
남득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머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머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머시스
Priority to KR10201600986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15333A/ko
Publication of KR201800153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53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33Headphones for stereophonic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005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combining the signals of two or more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04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correcting frequency respon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7/00Indicating arrangements; Control arrangements, e.g. balance control
    • H04S7/30Control circuits for electronic adaptation of the sound fie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Stereophonic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기기를 이용하여 음향을 청취할 수 있는 좌우 스피커를 가지는 스테레오 헤드폰 또는 이어폰 음상정위를 위한 좌우출력 자동조절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마이크로폰과, 컨텐츠의 오디오데이터를 스피커로 출력하는 오디오출력부를 가지는 스마트기기에서 스테레오 헤드폰 또는 이어폰 음상정위를 위한 좌우출력 자동조절 장치로서, (A) 음량을 포함하는 소정 특성을 가지는 좌측 및 우측 오디오 테스트신호를 상기 스테레오 이어폰 또는 헤드셋의 좌측 및 우측 스피커로 출력하는 테스트신호발생부; (B) 상기 오디오 테스트신호에 따라 좌측 및 우측 스피커의 출력 오디오를 상기 마이크로폰으로 입력받아 출력특성을 측정하여 임시 저장하는 출력특성측정부; (C) 입력 저장된 좌측 및 우측 스피커의 출력특성을 비교하여 좌측 및 우측 스피커의 출력특성이 일치되도록 보정치를 계산하고, 상기 보정치에 따라 좌측 또는 우측 스피커의 출력특성을 보정하도록 상기 오디오출력부를 튜닝하는 연산보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헤드폰 또는 이어폰 음상정위를 위한 좌우출력 자동조절 장치와 상기 장치를 이용한 자동조절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헤드폰 또는 이어폰 음상정위를 위한 좌우출력 자동조절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Adjusting Left and Right Output for Sound Image Localization of Headphone or Earphone}
본 발명은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와 같은 스마트기기를 이용하여 음향을 청취할 수 있는, 좌우 스피커를 가지는 스테레오 헤드폰 또는 이어폰 음상정위를 위한 좌우출력 자동조절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2014년도 전 세계 인구당 스마트폰 보급률은 24.5%로 PC(20.0%)를 앞질렀고('2015년 모바일 트렌드 전망' 보고서, KT경제경영연구소), 국내도 스마트폰 가입자는 4,000만 명이 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스마트폰의 보급확대와 빠른 네트워크의 구축, 고화질 컨텐츠의 증가, 무제한 요금제의 등장, 스마트폰의 대화면화 등의 영향으로 가정이나 또는 커피숍과 같은 매장에서 뿐만 아니라 대중이 많은 공공장소에서도 통화, 게임, 음악청취, 동영상시청 등을 하는 것이 보편화되었다.
이렇게 스마트폰으로 사운드가 포함된 컨텐츠 등을 이용할 때 주변의 타인에게 피해를 주지 않고 사생활을 보호하면서 고품위의 사운드를 즐기기 위해 이어폰이나 헤드셋과 같은 개인감상용 스테레오 청취도구를 활용하고 있다.
이어폰, 헤드셋은 전기적 신호를 소리로 바꿔주는 음향변환기(스피커)의 일종으로서 귀에 착용할 수 있게 소형화시킨 것인데, 통상 좌우가 케이블 이외의 구조로 고정된 것을 헤드셋이나 헤드폰으로, 단순히 유연한 케이블로 연결된 것을 이어폰으로 칭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에서는 전기적 신호를 소리로 바꿔주는 소형 음향변환기를 단순히 '이어폰'으로 칭하기로 한다. 이어폰은 보통의 스피커로 듣는 것에 비해 훨씬 작은 음향신호도 들을 수 있고 주변에 피해를 주거나 방해를 받지 않고 소리를 들을 수 있어 통신, 방송, 학습, 음악 감상 등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한국디자인진흥원(2013/14 IT기반 주변제품 시장 미래전망)에 따르면 스마트폰 등 IT기기 사용자의 73%가 이어폰을 별도로 구매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이어폰 구입시 '기능'과 '가격'을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고 있다고 한다.
이어폰은 대개 진동판, 유닛, 케이블, 마그넷, 플러그 등으로 이루어져 있어 이들 각 부품의 구조와 성능, 각 부품의 결합 충실도, 디자인 및 케이블의 품질 등에 따라 이어폰의 성능이 결정된다. 그런데 일단 이어폰이 제작되고 나면 성능을 개선할 방법이 없기 때문에, 하이엔드 유저를 위한 고가격 고품질 제품을 제외하고는 좌우측 볼륨이 10% 차이 이내에서 품질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중저가의 이어폰을 사용하는 보통의 소비자는 좌우측 이어폰의 볼륨이 다른 상태에서 음향을 청취하기 때문에 고품질의 컨텐츠를 저품위로 소비하게 되며, 심지어는 좌우측의 볼륨이 다른 상태에서 반복 사용함에 따라 청각의 불균형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스마트기기에서 헤드폰 또는 이어폰 음상정위를 위한 좌우출력 자동조절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기기에서 스테레오 헤드폰 또는 이어폰 음상정위를 위한 좌우출력 자동조절 장치 및 방법을 수행하는 기능을 하는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마이크로폰과, 컨텐츠의 오디오데이터를 스피커로 출력하는 오디오출력부를 가지는 스마트기기에서 스테레오 이어폰 또는 헤드셋의 음상정위를 위한 좌우출력 자동조절 장치로서, (A) 음량을 포함하는 소정 특성을 가지는 좌측 및 우측 오디오 테스트신호를 상기 스테레오 이어폰 또는 헤드셋의 좌측 및 우측 스피커로 출력하는 테스트신호발생부; (B) 상기 오디오 테스트신호에 따라 좌측 및 우측 스피커의 출력 오디오를 상기 마이크로폰으로 입력받아 출력특성을 측정하여 임시 저장하는 출력특성측정부; (C) 입력 저장된 좌측 및 우측 스피커의 출력특성을 비교하여 좌측 및 우측 스피커의 출력특성이 일치되도록 보정치를 계산하고, 상기 보정치에 따라 좌측 또는 우측 스피커의 출력특성을 보정하도록 상기 오디오출력부를 튜닝하는 연산보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헤드폰 또는 이어폰 음상정위를 위한 좌우출력 자동조절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좌우측 스피커의 출력이 상이한 스테레오 이어폰 또는 헤드셋이라도 스마트기기와 연동하여 소프트웨어적으로 출력을 보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중저가의 스테레오 이어폰 또는 헤드셋을 최적화하여 고품질의 음향을 청취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통상의 스마트기기에서 오디오데이터와 오디오출력부와 이어폰의 관계를 보여주는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조절 장치와 스마트기기 및 이어폰의 관계의 개념적 관계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조절 장치를 이용할 때 오디오출력부-이어폰-마이크로폰 사이의 작동관계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조절 방법의 진행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내용과 범위를 쉽게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거나 변경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예시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안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는 당연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어폰, 헤드셋(헤드폰) 등 전기적 신호를 소리로 바꿔주는 소형 음향변환기를 '이어폰'으로 통칭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스마트기기"는 스마트폰, PC, 노트북, MP3, 내비게이션, 블루투스 헤드셋 등 특정한 프로세서에 의해서 음향을 청취하는 기기를 의미한다.
전술하였듯이 본 발명은 마이크로폰과, 컨텐츠의 오디오데이터를 스피커로 출력하는 오디오출력부를 가지는 스마트기기에서 스테레오 이어폰의 음상정위를 위한 좌우출력의 자동조절 장치와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이러한 기능을 가지는 스마트기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장치의 작동과 방법의 수행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스피커 출력보정 키 신호에 의해 개시될 수 있으며, 이때 이어폰은 스마트기기에 연결된 상태에서 좌측 및 우측 스피커는 스마트기기의 마이크로폰에 동일한 간격과 대칭되는 방향에 배치되거나, 마이크로폰에 동일한 간격과 방향에 시간차를 두고 교호적으로 배치된다.
도 1에 통상의 스마트기기에서 오디오데이터와 오디오출력부와 이어폰의 관계를 개념적으로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오디오출력부는 저장매체 또는 네트워크에 의해 수신되는 오디오데이터를 입력받아 그 오디오데이터의 정보에 따라 스피커(여기서는 이어폰의 좌우측 스피커)로 출력하는 '오디오출력장치'에 해당한다. 오디오출력부는 이퀄라이저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1) 장치관련 발명
본 발명은 테스트신호발생부, 출력특성측정부 및 연산보정부를 포함하는, 스테레오 헤드폰 또는 이어폰 음상정위를 위한 좌우출력 자동조절 장치 및 이 장치가 내장된 스마트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조절 장치는 스마트기기와 별개로 존재할 수도 있겠지만 스마트기기에 내장되거나, 스마트기기의 구성품(예를 들면 CPU, 저장장치, 앱 등)과 일체화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2에 본 발명에 의한 자동조절 장치와 스마트기기 및 이어폰의 관계를 개념적으로 도시하고, 도 3에 본 발명에 의한 자동조절 장치를 이용할 때 오디오출력부-이어폰-마이크로폰 사이의 작동관계를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조절 장치(청색 사각형으로 표시)가 스마트기기(녹색 사각형으로 표시)와 별개로 존재하는 경우와, 자동조절 장치가 스마트기기에 내장된 경우(적색 사각형으로 표시)가 함께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2에, 본 발명에 의한 장치 및 스마트기기에서 각 구성요소들 사이의 정보(신호, 오디오 또는 명령)의 흐름을 순서대로 ①∼⑥으로 표시하였다.
본 발명에서 상기 테스트신호발생부는, 음량정보를 포함하는 좌측 및 우측 오디오 테스트신호를 스마트기기에 잭으로 연결된 상기 스테레오 이어폰의 좌측 및 우측 스피커로 출력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테스트신호발생부에서 이어폰의 스피커로 직접 신호를 전달할 수도 있겠지만,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오디오출력부를 거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오디오 테스트신호는 방향정보(좌측 스피커용인가, 우측 스피커용인가에 관한 정보)와 음량정보 뿐 아니라 각종 음질정보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도 3에 예시된 것처럼, 오디오 테스트신호는 "A라는 오디오데이터를 좌측 스피커로 10dB로 출력"하는 것과, "A라는 오디오데이터를 우측 스피커로 10dB로 출력"이라는 것 두 종류이며, 소정의 시간차를 두고 전달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출력특성측정부는, 상기 마이크로폰으로 입력받은 좌측 및 우측 스피커의 출력 오디오에 대한 출력특성을 측정하여 임시로 저장하는 기능을 한다.
출력특성측정부는, 예를 들면 도 3에 예시된 것처럼, "좌측 스피커로 10dB로 출력"된 오디오를 마이크로폰이 입력받아 "좌측 스피커로 입력된 오디오는 8dB"이라는 출력특성과, "우측 스피커로 10dB로 출력"된 오디오를 마이크로폰이 입력받아 "우측 스피커로 입력된 오디오는 9dB"이라는 출력특성을 측정하여 임시로 저장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연산보정부는, 상기 출력특성측정부에 저장된 좌측 및 우측 스피커의 출력특성을 비교하여 좌측 및 우측 스피커의 출력특성이 일치되도록 보정치를 계산하고, 보정치에 따라 컨텐츠의 오디오데이터를 보정하여 상기 오디오출력부로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예를 들면 연산보정부는, "좌측 스피커로 입력된 오디오는 8dB"과 "우측 스피커로 입력된 오디오는 9dB"이라는 출력특성을 비교하여 "좌측 스피커의 출력을 9/8배 강화" 또는 "우측 스피커의 출력을 8/9배 감쇄"라는 보정치를 계산한다. 이어서 상기 보정치에 따라 좌측 및 우측 스피커의 출력특성을 보정하도록 상기 오디오출력부를 튜닝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이어폰의 좌우스피커의 출력을 자동조절하는 장치에 의하면, 사용자가 선택한 이어폰에 대하여 출력 자동조절이 완료되면 저장매체 또는 네트워크에 의해 수신되어 출력되는 오디오데이터는 튜닝된 오디오출력부의 보정에 의해 좌측 및 우측의 스피커 음량이 동일한 상태로 고품질의 오디오를 청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전술한 예에서는 음량에 대해서만 보정을 하였으나, 종래 알려진 음질측정방법에 따라 좌우 스피커의 음질을 비교하여 보정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이어폰의 좌우스피커의 출력을 자동조절하는 장치에 의하면, 전술한 예보다 정교하게, 예를 들면 소정의 음량간격별로 보정하거나, 소정의 주파수간격별로 보정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오디오 테스트신호는, 통상 이어폰이 허용하는 음량의 범위에서 소정의 음량 간격으로 반복되거나, 가청 주파수 범위에서 소정의 주파수 간격으로 반복되도록 하며, 오디오출력부도 소정 폭의 음량별로 또는 소정 폭의 주파수별로 튜닝된다.
(2) 방법관련 발명
본 발명은 테스트신호출력단계, 테스트오디오입력단계, 출력특성측정단계, 보정치결정단계 및 튜닝단계를 포함하는, 스테레오 헤드폰 또는 이어폰 음상정위를 위한 좌우출력 자동조절 방법, 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상기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스마트기기에 관한 것이다.
도 4에 본 발명에 의한 보정방법의 진행 순서도를 도시하였다. 본 발명에 의한 보정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물리적 장치는 스마트기기와 별개로 존재할 수도 있겠지만 스마트기기 자체를 이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조절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물리적 장치는 전술한 자동조절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테스트신호출력단계는, 음량정보를 포함하는 좌측 및 우측 오디오 테스트신호를 상기 스테레오 이어폰의 좌측 및 우측 스피커로 출력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는 전술한 테스트신호발생부에 의해 진행될 수 있을 것이다. 이 단계에서 테스트신호를 이어폰의 스피커로 직접 전달할 수도 있겠지만, 오디오출력부를 거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오디오 테스트신호는 앞서 장치관련 발명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방향정보(좌측 스피커용인가, 우측 스피커용인가에 관한 정보)와 음량정보 뿐 아니라 각종 음질정보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도 3에 예시된 것처럼, 오디오 테스트신호는 "A라는 오디오데이터를 좌측 스피커로 10dB로 출력"하는 것과, "A라는 오디오데이터를 우측 스피커로 10dB로 출력"이라는 것 두 종류이며, 소정의 시간차를 두고 전달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테스트오디오입력단계는, 동일한 간격과 방향에서 좌측 및 우측 스피커의 출력 오디오를 상기 마이크로폰으로 입력받는 단계로서, 전술한 마이크로폰과 출력특성측정부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 단계는 마이크로폰에 대하여 동일한 조건이 되도록 위치한 좌측 및 우측 스피커에서 출력된 테스트 오디오를 마이크로폰에서 입력받는 것이다.
이어서 상기 출력특성측정단계는, 상기 마이크로폰으로 입력받은 좌측 및 우측 스피커에서 출력된 테스트오디오의 입력신호로부터 좌측 및 우측 스피커의 출력특성을 측정하여 임시 저장하는 단계로서, 전술한 출력특성측정부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테스트오디오입력단계와 출력특성측정단계에서, 예를 들면 도 3에 예시된 것처럼, "좌측 스피커로 10dB로 출력"된 오디오를 마이크로폰이 입력받아 "좌측 스피커로 입력된 오디오는 8dB"이라는 출력특성과, "우측 스피커로 10dB로 출력"된 오디오를 마이크로폰이 입력받아 "우측 스피커로 입력된 오디오는 9dB"이라는 출력특성을 측정하여 임시로 저장하는 것이다.
상기 보정치결정단계는, 저장된 좌측 및 우측 스피커의 출력특성을 비교하여 좌측 및 우측 스피커의 출력특성이 일치되도록 보정치를 결정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예를 들면 "좌측 스피커로 입력된 오디오는 8dB"과 "우측 스피커로 입력된 오디오는 9dB"이라는 출력특성을 비교하여 "좌측 스피커의 출력을 9/8배 강화" 또는 "우측 스피커의 출력을 8/9배 감쇄"라는 보정치를 계산한다.
상기 튜닝단계는, 상기 보정치에 따라 좌측 및 우측 스피커의 출력특성을 보정하도록 상기 오디오출력부를 튜닝하는 단계이다. 즉 이 단계에서 오디오출력부는 입력되는 오디오데이터에서 "좌측 스피커의 출력을 9/8배 강화" 또는 "우측 스피커의 출력을 8/9배 감쇄"하도록 튜닝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입력되는 오디오데이터에서 좌우측 스피커의 출력이 동일하게 10dB로 정의되어 있더라도 튜닝된 오디오출력부가 "좌측 스피커의 출력을 9/8배 강화"하거나 "우측 스피커의 출력을 8/9배 감쇄"함으로써 실제 이어폰의 좌우측 스피커에서는 동일한 9dB 또는 8dB의 오디오가 출력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스테레오 헤드폰 또는 이어폰 음상정위를 위한 좌우출력 자동조절 방법에 의하면, 사용자가 선택한 이어폰에 대하여 출력보정이 완료되면 저장매체 또는 네트워크에 의해 수신되어 출력되는 오디오데이터는 튜닝된 오디오출력부의 보정에 의해 좌측 및 우측의 스피커 음량이 동일한 상태로 고품질의 오디오를 청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전술한 예에서는 음량에 대해서만 보정을 하였으나, 종래 알려진 음질측정방법에 따라 좌우 스피커의 음질을 비교하여 보정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이어폰의 좌우스피커의 출력을 보정하는 방법에 의하면, 전술한 예보다 정교하게, 예를 들면 소정의 음량간격별로 보정하거나, 소정의 주파수간격별로 보정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오디오 테스트신호는, 통상 이어폰이 허용하는 음량의 범위에서 소정의 음량 간격으로 반복되거나, 가청 주파수 범위에서 소정의 주파수 간격으로 반복되도록 하며, 오디오출력부도 소정 폭의 음량별로 또는 소정 폭의 주파수별로 튜닝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한 스테레오 헤드폰 또는 음상정위를 위한 좌우출력 자동조절은 컴퓨터 등 스마트기기에 의해 읽힐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되고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은 컴퓨터 등 스마트기기의 프로세서(CPU)가 읽힐 수 있는 C, C++, JAVA, 기계어 등의 컴퓨터 언어로 코드화된 코드(C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는 전술한 기능들을 정의한 함수 등과 관련된 기능적인 코드(Function Code)를 포함할 수 있고, 전술한 기능들을 컴퓨터 등 스마트기기의 프로세서가 소정의 절차대로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실행 절차 관련 제어 코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코드는 전술한 기능들을 컴퓨터 등 스마트기기의 프로세서가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추가 정보나 컴퓨터 등 스마트기기의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의 어느 위치(주소 번지)에서 참조 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메모리 참조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힐 수 있는 기록매체는, 일예로,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미디어저장장치 등일 수 있다.

Claims (5)

  1. 마이크로폰과, 컨텐츠의 오디오데이터를 스피커로 출력하는 오디오출력부를 가지는 스마트기기에서 스테레오 헤드폰 또는 이어폰 음상정위를 위한 좌우출력 자동조절 장치로서,
    (A) 음량정보를 포함하는 좌측 및 우측 오디오 테스트신호를 상기 스테레오 헤드폰 또는 이어폰의 좌측 및 우측 스피커로 출력하는 테스트신호발생부;
    (B) 상기 오디오 테스트신호에 따라 좌측 및 우측 스피커의 출력 오디오를 상기 마이크로폰으로 입력받아 출력특성을 측정하여 임시 저장하는 출력특성측정부;
    (C) 입력 저장된 좌측 및 우측 스피커의 출력특성을 비교하여 좌측 및 우측 스피커의 출력특성이 일치되도록 보정치를 계산하고, 상기 보정치에 따라 좌측 또는 우측 스피커의 출력특성을 보정하도록 상기 오디오출력부를 튜닝하는 연산보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헤드폰 또는 이어폰 음상정위를 위한 좌우출력 자동조절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테스트신호는 가청 주파수 범위에서 소정의 주파수 간격으로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헤드폰 또는 이어폰 음상정위를 위한 좌우출력 자동조절 장치.
  3. 마이크로폰과, 컨텐츠의 오디오데이터를 스피커로 출력하는 오디오출력부를 가지는 스마트기기에서 스테레오 헤드폰 또는 이어폰 음상정위를 위한 좌우출력 자동조절 방법으로서,
    (A) 음량정보를 포함하는 좌측 및 우측 오디오 테스트신호를 상기 스테레오 이어폰 또는 헤드셋의 좌측 및 우측 스피커로 출력하는 테스트신호출력단계;
    (B) 동일한 간격과 방향에서 좌측 및 우측 스피커의 출력 오디오를 상기 마이크로폰으로 입력받는 테스트오디오입력단계;
    (C) 상기 마이크로폰으로 입력받은 좌측 및 우측 스피커에서 출력된 테스트오디오의 입력신호로부터 좌측 및 우측 스피커의 출력특성을 측정하여 임시 저장하는 출력특성측정단계;
    (D) 저장된 좌측 및 우측 스피커의 출력특성을 비교하여 좌측 및 우측 스피커의 출력특성이 일치되도록 보정치를 결정하는 보정치결정단계;
    (E) 상기 보정치에 따라 좌측 및 우측 스피커의 출력특성을 보정하도록 상기 오디오출력부를 튜닝하는 튜닝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헤드폰 또는 이어폰 음상정위를 위한 좌우출력 자동조절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테스트신호는 가청 주파수 범위에서 소정의 주파수 간격으로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헤드폰 또는 이어폰 음상정위를 위한 좌우출력 자동조절 방법.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의한 방법을 스마트기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스마트기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60098684A 2016-08-03 2016-08-03 헤드폰 또는 이어폰 음상정위를 위한 좌우출력 자동조절 장치 및 방법 KR201800153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8684A KR20180015333A (ko) 2016-08-03 2016-08-03 헤드폰 또는 이어폰 음상정위를 위한 좌우출력 자동조절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8684A KR20180015333A (ko) 2016-08-03 2016-08-03 헤드폰 또는 이어폰 음상정위를 위한 좌우출력 자동조절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5333A true KR20180015333A (ko) 2018-02-13

Family

ID=61231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8684A KR20180015333A (ko) 2016-08-03 2016-08-03 헤드폰 또는 이어폰 음상정위를 위한 좌우출력 자동조절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1533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97986B2 (ja) オーディオシステム、オーディオ装置、携帯端末装置、及びオーディオ信号制御方法
KR101731714B1 (ko) 음질 개선을 위한 방법 및 헤드셋
WO2017215657A1 (zh) 音效处理方法及终端设备
KR101251626B1 (ko)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음향기기의 특성에 대한 보상 서비스 제공 방법
AU2013211541B2 (en) Mobil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20219161A1 (en) Playback apparatus, audio data correction apparatus and playback method
KR101659410B1 (ko) 개인사용 스마트기기와 이어폰 조합의 사운드최적화 장치 및 방법
WO2014061578A1 (ja) 電子機器、及び音響再生方法
US10547947B2 (en) Device for generating audio output
US9525954B2 (en) Audio device and audio producing method
US11665499B2 (en) Location based audio signal message processing
CN113038337B (zh) 一种音频播放方法、无线耳机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2947886A (zh) 保护用户听力的方法、装置和电子设备
TWM526238U (zh) 可依據使用者年齡調整等化器設定之電子裝置及聲音播放裝置
US1121005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independently variable audio outputs
CN106657621B (zh) 一种声音信号自适应调节装置及方法
KR20150073538A (ko) 음향 광고 또는 음향 데이터를 재생하는 보청기
WO2018035868A1 (zh) 输出音频的方法、电子设备以及存储介质
CN108605067B (zh) 播放音频的方法和移动终端
CN111083250A (zh) 移动终端及其降噪方法
CN106331356B (zh) 一种音量控制方法及终端
KR20180015333A (ko) 헤드폰 또는 이어폰 음상정위를 위한 좌우출력 자동조절 장치 및 방법
CN113905124A (zh) 音频控制方法、电子设备和音频播放系统
WO2021120247A1 (zh) 听力补偿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2014534700A (ja) ソース依存の無線イヤフォンの等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