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0207A - Camera module - Google Patents

Camera modu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0207A
KR20120000207A KR1020100060428A KR20100060428A KR20120000207A KR 20120000207 A KR20120000207 A KR 20120000207A KR 1020100060428 A KR1020100060428 A KR 1020100060428A KR 20100060428 A KR20100060428 A KR 20100060428A KR 20120000207 A KR20120000207 A KR 201200002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target
unit
audio
d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04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웅태
황석조
한승찬
김대욱
오승만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604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0207A/en
Publication of KR201200002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020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60Analysis of geometric attribu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196Human being; Person
    • G06T2207/30201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30/00Signal processing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30/01Aspects of volume control, not necessarily automatic, in sound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PURPOSE: An image communication apparatus is provided to control the output rate of a speaker and the input signal of a microphone by measuring the distance between the imag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a target object. CONSTITUTION: An image photographing unit(110) acquires an image of a photographing target. An audio unit(120) performs the input and output of sound or sound data. A control unit(130) detects a target image among images acquired through the image photographing unit. The control unit calculates the distance from the target image to an image communication apparatus.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input and output of the audio unit.

Description

화상통신장치{Camera Module}Video communication device {Camera Module}

본 발명은 화상통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deo communication apparatus.

일반적으로 카메라 모듈은 단순히 이미지를 촬영, 저장 및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카메라는 디지털 카메라, 휴대폰 카메라에 이어, 노트북, 본안감시 카메라, 화상통신용, 의료진단용 및 로보트등으로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In general, the camera module performs a function of simply photographing, storing, and outputting an image. In addition, cameras are being developed in various ways, such as digital cameras, mobile phone cameras, laptops, security cameras, video communication, medical diagnostics, and robots.

그러나 카메라 모듈이 장착된 화상통신장치의 경우, 단순히 카메라의 주된 역할인 화상통신으로 화면을 통해 상대방의 얼굴을 보고 대화를 하거나, 스피커를통해 상대방과 대화하는 등의 기능만을 수행하는 한계가 있다. 또한, 화상통신장치를 이용하여 화상통화 또는 화상회의등을 진행할 경우, 사용자와 화상통신장치간의 거리를 인식할 수 없어, 사용자가 이동할 경우 또는 사용자가 복수인 경우, 사용자가 사용중에 이를 일일이 조정하여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However, in the case of a video communication apparatus equipped with a camera module, there is a limitation in performing only a function such as looking at a counterpart's face through a screen or having a conversation with a speaker through video communication, which is a main role of a camera. In addition, when conducting a video call or video conference using the video communication apparatus,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 and the video communication apparatus cannot be recognized, and when the user moves or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users, the user manually adjusts them during use. It has a problem that needs to be used.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미지 중에서 타겟 이미지를 검출하고, 이를 통해 타겟 대상물과의 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거리정보를 통해 마이크의 입력 및 스피커의 출력량을 제어할 수 있는 화상통신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tect a target image from the image, calculate the distance from the target object through this, and through the distance information of the input of the microphone and the speaker An image communication apparatus capable of controlling an output amount is provided.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화상통신장치로서, 촬영대상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이미지 촬상부와, 음성 또는 음향데이터의 입력 및 출력하는 오디오부와, 상기 이미지 촬상부를 통해 획득한 이미지 중에서 타겟 이미지를 검출하고, 상기 타겟 이미지와의 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오디오부의 입력 및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mage communication apparatus, comprising: an image pickup unit for acquiring an image of a photographing target; an audio unit for inputting and outputting voice or sound data;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detect a target image from the image, calculate a distance from the target image, and control input and output of the audio unit.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이미지 촬상부를 통해 획득한 이미지 중에서 타겟 이미지를 검출하는 타겟 이미지 검출부와, 상기 타겟 이미지 검출부로부터 검출된 타겟 대상물과 거리를 산출하는 거리 산출부와, 상기 산출된 거리정보를 통해 상기 오디오부의 입력부 및 출력부를 제어하는 오디오 제어부를 포함한다. The controller may further include a target image detector detecting a target image from an image acquired by the image capturing unit, a distance calculator configured to calculate a distance from the target object detected by the target image detector, and the calculated distance information. An audio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input unit and the output unit of the audio uni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타겟 이미지 검출부는 페이스 이미지 검출부인 경우, 타겟 대상물은 사람의 얼굴이다. In addition, when the target image detector is a face image detector, the target object is a face of a pers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타겟 대상물이 복수인 경우, 하나의 타겟 대상물의 이미지를 통한 거리 정보를 기준으로 나머지 타겟 대상물의 상대적 거리량을 산출하고, 산출된 거리정보를 통해 오디오 입력 및 출력을 제어한다. In addition,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target obje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lative distance amount of the remaining target objects is calculated based on the distance information through the image of one target object, and the audio input and output are controlled through the calculated distance information. do.

그리고 상기 오디오부는 음성 및 음향데이터를 입력받는 마이크와 음성 및 음향데이터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에 의해 마이크의 입력량 및 스피커의 출력량이 조절된다.
The audio unit includes a microphone for receiving voice and sound data and a speaker for outputting voice and sound data, and the input amount of the microphone and the output amount of the speaker are adjusted by the controller.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The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Prior to this,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 conventional and dictionary sense, and the inventors will be required to properly define the concepts of terms in order to best describe their invention. On the basis of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rrespon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의하면, 이미지 중에서 타겟 이미지를 검출하고, 검출된 타켓 이미지를 통해 타겟 대상물과의 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거리정보를 통해 마이크의 입력 및 스피커의 출력량을 제어하여 적절한 음량이 자동제어될 수 있는 화상통신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appropriate volume can be automatically controlled by detecting a target image in the image, calculating a distance to the target object through the detected target image, and controlling the input volume of the microphone and the output volume of the speaker through the distance information. It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n image communication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통신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통신장치를 이용한 거리정보획득 및 오디오제어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
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video commun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low chart schematically showing a distance information acquisition and audio control method using a video commun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objects, specific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preferred embodiments associated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reference numerals are added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and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assigned the same number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통신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video commun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통신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화상통신장치(100)는 이미지 촬상부(110), 오디오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video commun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drawing, the video communication apparatus 100 includes an image capturing unit 110, an audio unit 120, and a controller 130.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미지 촬상부(110)는 촬영대상의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것으로써, 카메라등의 이미지 촬영장치로 구현된다. More specifically, the image capturing unit 110 is for acquiring an image of a photographing target, and is implemented as an image capturing apparatus such as a camera.

그리고 상기 오디오부(120)는 음성 또는 음향데이터의 입력 및 출력하기 위한 것으로써, 음성 및 음향데이터를 입력받는 마이크(121)와 음성 및 음향데이터를 출격하는 스피커(122)를 포함한다. The audio unit 120 is for inputting and outputting voice or sound data, and includes a microphone 121 for receiving voice and sound data and a speaker 122 for displaying voice and sound data.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이미지 촬상부(110)를 통해 획득한 이미지 중에서 타겟 이미지를 검출하고, 상기 타겟 이미지와의 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데이터를 통해 상기 오디오부의 입력 및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타겟 이미지 검출부(131), 거리 산출부(132) 및 오디오 제어부(133)를 포함한다.The controller detects a target image from an image acquired through the image capturing unit 110, calculates a distance from the target image, and controls input and output of the audio unit through the calculated data. . To this end, the target image detector 131, the distance calculator 132, and the audio controller 133 are included.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타겟 이미지 검출부(131)는 이미지 촬상부를 통해 획득한 이미지 중에서 타겟 이미지를 검출한다. 또한, 상기 타겟 이미지 검출부는 페이스 이미지 검출부로 구현될 수 있고, 이 경우 타겟 대상물은 사람의 얼굴이다. More specifically, the target image detector 131 detects a target image among images acquired through the image capturer. In addition, the target image detector may be implemented as a face image detector, in which case the target object is a human face.

그리고 거리 산출부(132)는 상기 타겟 이미지 검출부로부터 검출된 타겟 대상물과 거리를 산출한다. 또한 상기 타겟 대상물이 복수인 경우, 하나의 타겟 대상물의 이미지를 통한 거리 정보를 기준으로 나머지 타겟 대상물의 상대적 거리량을 산출한다. The distance calculator 132 calculates a distance from the target object detected by the target image detector. In addition,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target objects, the relative distance amount of the remaining target objects is calculated based on the distance information through the image of one target object.

그리고 오디오 제어부(133)는 상기 산출된 거리정보를 통해 오디오부의 입력 부 및 출력부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오디오부는 입력부는 마이크(121)로 구현되고, 출력부는 스피커(122)로 구현되며, 상기 마이크는 음성 및 음향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한 것이고, 상기 스피커(122)는 음성 및 음향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고, 상기 오디오부의 마이크(121) 및 스피커(122)는 상기 오디오 제어부에 의해 마이크의 입력량 및 스피커의 출력량이 조절된다.
The audio controller 133 controls the input unit and the output unit of the audio unit through the calculated distance information. In addition, the audio unit is implemented as a microphone 121, the output unit is implemented as a speaker 122, the microphone is for receiving voice and sound data, the speaker 122 outputs voice and sound data It is to. In this way, the microphone 121 and the speaker 122 of the audio unit is controlled by the audio control unit the input amount of the microphone and the output amount of the speaker.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통신장치를 이용한 거리정보획득 및 오디오제어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통신장치를 이용한 오디오 제어방법은 다음과 같다.2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ethod for acquiring distance information and controlling audio using a video commun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an audio control method using a video commun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우선, 이미지 촬영부(110)를 통해 촬영대상의 이미지를 촬영(S210)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30)의 타겟 이미지 검출부(131)는 촬영된 이미지로부터 타겟 이미지를 검출(S220)한다. 이때, 타겟 이미지는 사람의 얼굴 또는 거리를 산출하기 위한 대상물이 된다. 그리고 제어부(130)의 거리 산출부(132)는 타겟 이미지로부터 거리를 산출하여 거리정보를 획득(S230)하고, 산출된 거리정보를 통해 마이크(121) 의 입력량 또는 스피커의 출력량을 제어(S240)한다. First, an image of a photographing target is photographed through the image photographing unit 110 (S210). In addition, the target image detector 131 of the controller 130 detects the target image from the captured image (S220). In this case, the target image is an object for calculating a face or distance of a person. The distance calculator 132 of the controller 130 obtains distance information by calculating a distance from the target image (S230), and controls an input amount of the microphone 121 or an output amount of a speaker through the calculated distance information (S240). do.

일 실시예로서, 이미지 촬상부인 카메라를 통해 타겟 대상물을 촬영하고 이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를 설정하고, 상기 타겟 대상물이 이동될 경우, 수동으로 스피커의 용량을 조정할 필요없이, 제어부의 타겟 이미지 검출부는 타겟 이미지의 위치 및 크기정보를 통해 이동된 거리를 산출하고 이에 따라 오디오부의 스피커 용량을 제어하게 된다. 또한 오디오부이 마이크의 경우에도, 타겟 대상물의 근접이동 또는 원거리 이동에 따른 거리정보를 획득하여 마이크의 감도를 조절한다. In one embodiment, a target image is captured by a camera, which is an image capturing unit, and image data for the target object is set, and when the target object is moved, the target image detection unit of the controller does not need to manually adjust the capacity of the speaker. The distance traveled is calculated based on the position and size information of and controls the speaker capacity of the audio unit. In addition, even in the case of the audio buoy microphone, the sensitivity of the microphone is adjusted by obtaining distanc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near or far movement of the target object.

또한, 타겟 대상물이 복수인 경우 지정된 타겟과의 거리에 따라 마이크의 입력량 또는 스피커의 출력량을 제어한다. In addition,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target objects, the input amount of the microphone or the output amount of the speaker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distance from the designated target.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화상통신장치는 초기 사용시 타켓 대상물과의 이미지 데이터를 통해 거리정보를 세팅해 놓고, 이후 타켓 대상물의 위치이동 또는 다른 타켓 대상물의 신규유입에 따라 오디오부의 마이크 또는 스피커의 입출력량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video commun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ets the distance information through the image data with the target object at the time of initial use, and then adjusts the input / output amount of the microphone or the speaker of the audio unit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target object or the introduction of another target object. It can also be implemented in an automatic control mann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통신장치는 유무선 통신을 위해, 유선통신모듈 또는 원거리 이동통신모듈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image commun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a wired communication module or a remot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for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통신장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through specific embodiments, this is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and the video commun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is common knowledge in the art withi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hat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are possible by those who have them.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All simple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pecific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pparent from the appended claims.

100: 화상통신장치 110: 이미지 촬상부
120: 오디오부 121: 마이크
122: 스피커 130: 제어부
131: 타겟 이미지 검출부 132: 거리산출부
133: 오디오 제어부
100: video communication device 110: image pickup unit
120: audio unit 121: microphone
122: speaker 130: control unit
131: target image detector 132: distance calculator
133: audio control unit

Claims (6)

촬영대상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이미지 촬상부;
음성 또는 음향데이터의 입력 및 출력하는 오디오부; 및
상기 이미지 촬상부를 통해 획득한 이미지 중에서 타겟 이미지를 검출하고, 상기 타겟 이미지와의 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오디오부의 입력 및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통신장치.
An image pickup unit which acquires an image of a photographing target;
An audio unit for inputting and outputting voice or sound data; And
And a control unit for detecting a target image among the images acquired through the image capturing unit, calculating a distance from the target image, and controlling input and output of the audio uni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이미지 촬상부를 통해 획득한 이미지 중에서 타겟 이미지를 검출하는 타겟 이미지 검출부;
상기 타겟 이미지 검출부로부터 검출된 타겟 대상물과 거리를 산출하는 거리 산출부; 및
상기 산출된 거리정보를 통해 상기 오디오부의 입력부 및 출력부를 제어하는 오디오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통신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A target image detector detecting a target image among images acquired through the image pickup unit;
A distance calculator configured to calculate a distance from the target object detected by the target image detector; And
And an audio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an input unit and an output unit of the audio unit through the calculated distance information.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타겟 이미지 검출부는 페이스 이미지 검출부이고, 타겟 대상물은 사람의 얼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통신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And the target image detector is a face image detector, and the target object is a human face.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타겟 대상물이 복수인 경우, 하나의 타겟 대상물의 이미지를 통한 거리 정보를 기준으로 나머지 타겟 대상물의 상대적 거리량을 산출하고, 산출된 거리정보를 통해 오디오 입력 및 출력을 제어하는 화상통신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And a plurality of target objects, calculating relative distances of the remaining target objects based on distance information through an image of one target object, and controlling audio input and output through the calculated distance informa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부는
음성 및 음향데이터를 입력받는 마이크; 및
음성 및 음향데이터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에 의해 마이크의 입력량 및 스피커의 출력량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통신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udio unit
A microphone for receiving voice and sound data; And
Including a speaker for outputting voice and sound data,
And an input amount of a microphone and an output amount of a speaker are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청구항 1에 있어서,
화상통신장치는 유/무선 통신을 위해, 유/무선통신모듈 또는 원거리 이동통신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통신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video communication apparatus further comprises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or a remot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for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KR1020100060428A 2010-06-25 2010-06-25 Camera module KR2012000020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0428A KR20120000207A (en) 2010-06-25 2010-06-25 Camera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0428A KR20120000207A (en) 2010-06-25 2010-06-25 Camera modu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207A true KR20120000207A (en) 2012-01-02

Family

ID=45608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0428A KR20120000207A (en) 2010-06-25 2010-06-25 Camera modu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0207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99114A (en) * 2018-04-24 2019-11-01 深圳市优必选科技有限公司 Control method, apparatus and terminal device that robot carries out video monitoring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99114A (en) * 2018-04-24 2019-11-01 深圳市优必选科技有限公司 Control method, apparatus and terminal device that robot carries out video monitoring
CN110399114B (en) * 2018-04-24 2023-08-04 深圳市优必选科技有限公司 Method, device and terminal equipment for controlling robot to perform video monitor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4674B1 (en) Method and device for image photographing
US10375296B2 (en) Methods apparatuses, and storage mediums for adjusting camera shooting angle
US9674395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generating photograph
US2017030473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Live Broadcast on Game
EP3032821B1 (en) Method and device for shooting a picture
EP3179711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photograph from being shielded
EP3174283B1 (en) Preview image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computer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KR10172716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image filter
US9491371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nfiguring photographing parameters
US20160065852A1 (en) Method and device for photographing
US9924090B2 (en) Method and device for acquiring iris image
WO2017140109A1 (en) Pressure detection method and apparatus
EP307666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framing information
CN106303192A (en) Terminal control method and terminal
KR20220033402A (en) Photography method, photography apparatus,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RU2635873C2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framing information
WO2017140108A1 (en) Pressure detection method and apparatus
EP3211879A1 (en) Method and device for automatically capturing photograph, electronic device
US8525870B2 (en) Remot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estimating a distance between an imaging device and a user image-captured
EP376762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btaining audio-visual information
EP3629560A1 (en) Full screen terminal,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and device based on full screen terminal
KR20120000207A (en) Camera module
JP6631166B2 (en) Imaging device, program, and imaging method
CN111723615B (en) Method and device for judging matching of detected objects in detected object image
CN114268743A (en) Image acquisition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