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0170U - 발광 모듈이 결합된 욕실용 환풍기 - Google Patents

발광 모듈이 결합된 욕실용 환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0170U
KR20120000170U KR2020100006909U KR20100006909U KR20120000170U KR 20120000170 U KR20120000170 U KR 20120000170U KR 2020100006909 U KR2020100006909 U KR 2020100006909U KR 20100006909 U KR20100006909 U KR 20100006909U KR 20120000170 U KR20120000170 U KR 2012000017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bathroom
case
air
emitting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69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원남
Original Assignee
백원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원남 filed Critical 백원남
Priority to KR20201000069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0170U/ko
Publication of KR2012000017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017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24F13/078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combined with lighting fix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발광 모듈이 결합된 욕실용 환풍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욕실의 천정에 결합되며, 흡입구와 토출구가 형성되어 욕실 내부의 공기를 흡입한 후 외부로 배출시키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케이스를 통해 공기가 흡입 배출될 수 있도록 흡입력을 생성하는 팬; 상기 팬에 회전력을 공급하는 회전 모터; 상기 팬을 감싸는 형태로서, 가이드유입구와 가이드배출구가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 내부의 공기의 흐름을 가이드 하는 유입 가이드캡; 상기 케이스의 하단면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흡입구에 설치되며, 공기가 통과될 수 있는 격자형 흡입필터가 구비된 상부 커버; 상기 흡입필터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흡입필터에 공기가 흡입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커버에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결합하는 하부 커버; 상기 케이스의 하단과 상기 하부 커버의 일측면에 설치되며, 욕실 내부를 비추기 위한 발광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발광 모듈에 접촉하지 않도록 상기 발광 모듈을 밀폐하는 형태로서, 상기 케이스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한 발광 유닛; 및 상기 회전 모터 및 상기 발광 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 제안하고 있는 발광 모듈이 결합된 욕실용 환풍기에 따르면, 욕실용 환풍기에 발광 유닛을 부착하여 사용함으로써, 욕실 내부에 조명을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공사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자재비 및 인건비를 절약할 수 있으며, 발광 모듈로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하는 경우, 사용수명이 영구적이므로 형광등 또는 백열전구를 사용할 때 지속적으로 지출되는 조명관리비를 절약할 수 있는 동시에, 기존의 욕실에 사용되는 형광등이나 백열전구에 비하여 전기 사용량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고, 반사시트를 사용함으로써 반사율을 높이고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으며, 욕실 내부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발광 모듈이 결합된 욕실용 환풍기는, 발광 유닛이 독립된 공간을 구성함으로 인하여, 환풍기에 흡입되는 욕실 내의 오염되고 습한 공기로부터 발광 모듈을 격리시킴으로써, 욕실 공기가 지닌 습도로 인해 발광 모듈에 누수 누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조명수단으로서의 기능을 효율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고안에 따른 발광 모듈이 결합된 욕실용 환풍기는, 볼트 등을 이용하여 발광 유닛을 환풍기의 케이스로부터 탈부착시킬 수 있으므로 발광 모듈의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발광 유닛의 측면에 에어필터를 구비하여 발광 모듈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방출시키고 외부 먼지 유입을 차단함으로써 적정한 내부 온도 및 내부 청결을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발광 모듈이 결합된 욕실용 환풍기{VENTILATION FAN FOR BATHROOM HAVING LIGHT EMITTING MODULE}
본 고안은 발광 모듈이 결합된 욕실용 환풍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욕실의 오염된 공기 또는 고습도 공기를 배출하는 동시에, 발광 모듈을 사용하여 욕실 내를 밝힐 수 있도록 하며, 발광 모듈이 설치되는 부분을 공기로부터 격리시킴으로써 고습도 공기에 의하여 발광 모듈에 하자가 발생하는 것을 차단하는 발광 모듈이 결합된 욕실용 환풍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아파트 또는 주택의 욕실에는, 오염된 공기와 고습도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환풍기가 천장에 설치되어 사용된다. 환풍기는 실내의 천장이나 벽면에 고정되며, 흡입구와 배출구를 구비하는 케이스, 케이스에 내장되어 실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팬, 흡입구에 설치되는 흡입필터, 배출구에 설치되어 팬의 구동 시 자동으로 개폐되는 댐퍼로 구성되어 있다.
욕실에 설치되는 이러한 환풍기는, 케이스에 내장된 팬이 회전됨과 동시에 발생하는 팬의 흡입력과 토출력에 의하여, 흡입필터를 통해 주변의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한 오염된 공기를 배출구 및 댐퍼를 통해 배출함으로써 강제 환기시킨다. 그러나 환풍기는 실내 환기 기능만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설치되는 공간의 부피에 비하여 쓸모없는 공간이 환풍기 내부의 대부분을 차지하므로 효율이 떨어지며, 통공된 격자 형태인 흡입필터로 인해 욕실 천정의 미관이 좋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환풍기와는 별도로, 대부분의 욕실에는 욕실의 내부 밝기를 위하여 조명을 설치하여 사용한다. 조명으로는 소형 형광등이나 백열전구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조명은, 형광등 또는 전구를 사용하기 때문에 소비되는 전력이 매우 크므로 비효율적이며, 조명수단에 물이 닿지 않도록 하기 위한 커버가 욕실의 천장이나 벽면으로부터 크게 돌출될 수밖에 없어 욕실 내부의 미관을 해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욕실용 환풍기의 흡입필터 상하 또는 중앙 부분에 조명을 결합하여 사용하는 장치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장치는, 흡입필터의 상하 또는 중앙부분에 조명을 설치하기 때문에, 흡입되는 고습도 공기로 인하여 조명수단에 누수 및 누전이 발생할 위험이 있으며, 누수 및 누전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매우 고가의 조명수단을 사용하여야 하고, 따라서 전체적인 제조단가가 높으므로 실질적으로 제품을 현실화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욕실용 환풍기에 발광 유닛을 부착하여 사용함으로써, 욕실 내부에 조명을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공사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자재비 및 인건비를 절약할 수 있으며, 발광 모듈로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하는 경우, 사용수명이 영구적이므로 형광등 또는 백열전구를 사용할 때 지속적으로 지출되는 조명관리비를 절약할 수 있는 동시에, 기존의 욕실에 사용되는 형광등이나 백열전구에 비하여 전기 사용량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고, 반사시트를 사용함으로써 반사율을 높이고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으며, 욕실 내부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발광 모듈이 결합된 욕실용 환풍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발광 유닛이 독립된 공간을 구성함으로 인하여, 환풍기에 흡입되는 욕실 내의 오염되고 습한 공기로부터 발광 모듈을 격리시킴으로써, 욕실 공기가 지닌 습도로 인해 발광 모듈에 누수 및 누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조명수단으로서의 기능을 효율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발광 모듈이 결합된 욕실용 환풍기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뿐만 아니라, 본 고안은, 볼트 등을 이용하여 발광 유닛을 환풍기의 케이스로부터 탈부착시킬 수 있으므로 발광 모듈의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발광 유닛의 측면에 에어필터를 구비하여 발광 모듈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방출시키고 외부 먼지 유입을 차단함으로써 적정한 내부 온도 및 내부 청결을 유지할 수 있는 발광 모듈이 결합된 욕실용 환풍기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른, 발광 모듈이 결합된 욕실용 환풍기는,
욕실의 천정에 결합되며, 흡입구와 토출구가 형성되어 욕실 내부의 공기를 흡입한 후 외부로 배출시키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케이스를 통해 공기가 흡입 배출될 수 있도록 흡입력을 생성하는 팬;
상기 팬에 회전력을 공급하는 회전 모터;
상기 팬을 감싸는 형태로서, 가이드유입구와 가이드배출구가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 내부의 공기의 흐름을 가이드 하는 유입 가이드캡;
상기 케이스의 하단면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흡입구에 설치되며, 공기가 통과될 수 있는 격자형 흡입필터가 구비된 상부 커버;
상기 흡입필터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흡입필터에 공기가 흡입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커버에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결합하는 하부 커버;
상기 케이스의 하단과 상기 하부 커버의 일 측면에 설치되며, 욕실 내부를 비추기 위한 발광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발광 모듈에 접촉하지 않도록 상기 발광 모듈을 밀폐하는 형태로서, 상기 케이스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한 발광 유닛; 및
상기 회전 모터 및 상기 발광 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광 모듈은, 발광 다이오드이며,
상기 발광 유닛은, 상기 발광 다이오드에 의하여 발생하는 열을 분산시키는 방열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광 유닛은,
상기 발광 모듈로부터 발생한 빛이 욕실 내부에 고르게 퍼질 수 있도록, 상기 발광 유닛의 하단에 구비되며 탈부착이 가능한 렌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광 유닛은,
공기가 상기 하부 커버와 상기 발광 유닛의 틈새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하부 커버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상기 케이스에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광 유닛은,
볼트 결합을 이용하여 상기 케이스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광 유닛의 상단 또는 하단에 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돌기의 위치와 대응되는 상기 케이스의 일부분에 홈이 구비되어, 상기 돌기가 상기 홈에 삽입 고정됨으로써 상기 발광 유닛이 상기 케이스에 탈부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광 유닛은,
상기 케이스에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발광 유닛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발광 유닛의 상단에 구비되는 개스킷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광 유닛은,
상기 발광 다이오드가 발광함에 따라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고 내부 청결을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발광 유닛의 일 측면에 구비되는 에어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토출구에 부착되며, 회동하는 블레이드를 이용하여 상기 케이스로부터 빠져나온 공기가 다시 상기 케이스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댐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댐퍼에는,
상기 블레이드가 회동하는 과정에서 소음 또는 진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블레이드의 일면 또는 상기 블레이드의 끝단과 대응되는 위치에 탄성 재질의 쿠션이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제안하고 있는 발광 모듈이 결합된 욕실용 환풍기에 따르면, 욕실용 환풍기에 발광 유닛을 부착하여 사용함으로써, 욕실 내부에 조명을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공사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자재비 및 인건비를 절약할 수 있으며, 발광 모듈로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하는 경우, 사용수명이 영구적이므로 형광등 또는 백열전구를 사용할 때 지속적으로 지출되는 조명관리비를 절약할 수 있는 동시에, 기존의 욕실에 사용되는 형광등이나 백열전구에 비하여 전기 사용량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고, 반사시트를 사용함으로써 반사율을 높이고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으며, 욕실 내부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발광 모듈이 결합된 욕실용 환풍기는, 발광 유닛이 독립된 공간을 구성함으로 인하여, 환풍기에 흡입되는 욕실 내의 오염되고 습한 공기로부터 발광 모듈을 격리시킴으로써, 욕실 공기가 지닌 습도로 인해 발광 모듈에 누수 누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조명수단으로서의 기능을 효율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고안에 따른 발광 모듈이 결합된 욕실용 환풍기는, 볼트 등을 이용하여 발광 유닛을 환풍기의 케이스로부터 탈부착 시킬 수 있으므로 발광 모듈의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발광 유닛의 측면에 에어필터를 구비하여 발광 모듈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방출시키고 외부 먼지 유입을 차단함으로써 적정한 내부 온도 및 내부 청결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광 모듈이 결합된 욕실용 환풍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광 모듈이 결합된 욕실용 환풍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광 모듈이 결합된 욕실용 환풍기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광 모듈이 결합된 욕실용 환풍기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광 모듈이 결합된 욕실용 환풍기의 발광 유닛의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광 모듈이 결합된 욕실용 환풍기의 발광 유닛의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광 모듈이 결합된 욕실용 환풍기의 발광 유닛의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광 모듈이 결합된 욕실용 환풍기의 발광 유닛의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광 모듈이 결합된 욕실용 환풍기의 작동 원리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광 모듈이 결합된 욕실용 환풍기의 작동 원리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광 모듈이 결합된 욕실용 환풍기의 작동 원리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광 모듈이 결합된 욕실용 환풍기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광 모듈이 결합된 욕실용 환풍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광 모듈이 결합된 욕실용 환풍기(10)는, 케이스(100), 팬(200), 회전 모터(300), 유입 가이드캡(400), 상부 커버(500), 하부 커버(600), 발광 유닛(700), 제어모듈(800), 댐퍼(9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케이스(100)는, 욕실의 천정에 결합되며, 흡입구(110)와 토출구(120)가 형성되어 욕실 내부의 공기를 흡입한 후 외부로 배출시킨다. 이때 케이스(100)는 PP 수지(polypropylene 수지)를 사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케이스(100)는 상부 커버(500)가 부착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욕실 천정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케이스(100)가 욕실 천정에 고정되는 방식에는 제한이 없다. 또한 케이스(100)는 하단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태일 수 있으며, 토출구(120)는 측면으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욕실 천정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케이스(100)의 개방된 하단 전면이 흡입구(110)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욕실 내부의 오염되고 습한 공기가 케이스(100)의 하단에 위치한 흡입구(110)에 흡입된 이후, 토출구(120)를 통하여 욕실 천정의 내부, 즉 욕실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욕실 내부의 공기를 환기시킬 수 있다.
또한 케이스(100)는 측면 하단 일부분이 개방된 형태를 가짐으로써, 발광 유닛(700)이 결합되는 경우 발광 유닛(700)의 측면이 바로 외부에 노출되도록 하여, 발광 모듈(710)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용이하게 방출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외부의 먼지는 발광 유닛(700)의 측면에 구비된 에어필터(760)에 의하여 필터링 될 수 있다.
팬(200)은, 케이스(100)의 내부에 구비되며, 케이스(100)를 통해 공기가 흡입 배출될 수 있도록 흡입력을 생성한다. 팬(200)은 시로코 팬(Sirrocco Fan) 형태일 수 있고, 팬(200)이 구동됨에 따라 흡입력이 발생함으로써, 욕실 내부 공기가 상부 커버(500)와 하부 커버(600) 사이의 틈을 통해 케이스(100)의 내부로 흡입될 수 있다. 흡입된 공기는 팬(200)의 중앙부분으로 흐른 후, 팬(200)의 회전 시 발생하는 원심력에 의하여 외부로 방사됨으로써 욕실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방사되는 공기의 흐름을 가이드하기 위하여 팬(200)의 하단에는 유입 가이드캡(400)이 설치될 수 있다.
회전 모터(300)는, 팬(200)에 회전력을 공급한다. 회전 모터(300)의 제원에는 제한이 없으며, 팬(200)을 회전시킬 수 있다면 어떠한 모터도 사용이 가능하다. 이때 팬(200)이 일정한 회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팬(200)과 회전 모터(300)의 사이에는 회전 지지대(310)가 구비될 수 있다.
유입 가이드캡(400)은, 팬(200)을 감싸는 형태로서, 가이드 유입구(410)와 가이드 배출구(420)가 형성되어 케이스(100) 내부의 공기의 흐름을 가이드 한다. 가이드 유입구(410)는 케이스(10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팬(200)의 중앙부분으로 흘러들어갈 수 있도록, 팬(200)의 회전 중심 부분에 형성된다. 가이드 배출구(420)는 케이스(100)의 토출구(120)에 연결되어, 팬(200)으로부터 방사된 공기가 가이드 배출구(420) 및 케이스(100)의 토출구(120)를 통해 모두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상부 커버(500)는, 케이스(100)의 하단 면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흡입구(110)에 설치되며, 공기가 통과될 수 있는 격자형 흡입필터(510)가 구비된다. 케이스(100)의 하단 면에는 상부 커버(500)와 발광 유닛(700)이 동시에 결합되어야 하므로, 상부 커버(500)는 케이스(100)의 하단 면보다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상부 커버(500)에 구비되는 격자형 흡입필터(510)는, 하부 커버(600)와 상부 커버(500) 사이의 틈새 또는 하부 커버(600)와 발광 유닛(700) 사이의 틈새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통과되는 역할만 할 수 있다면, 흡입필터(510)의 필터 구멍 크기에는 제한이 없다.
하부 커버(600)는, 흡입필터(510)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동시에 흡입필터(510)에 공기가 흡입될 수 있도록, 상부 커버(500)에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결합한다. 흡입필터(510)가 욕실 천장에 노출된다면 욕실 내부의 미관을 해칠 수 있기 때문에, 하부 커버(600)를 이용하여 흡입필터(510)를 감쌀 필요가 있다. 다만 하부 커버(600)가 흡입필터(510)를 밀폐한다면 욕실 내부 공기를 환기시키는 기본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없으므로, 하부 커버(600)는 상부 커버(500)와 일정 거리 이격을 두고 결합된다. 이격된 부분을 따라 공기가 흡입필터(510)에 유입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광 모듈이 결합된 욕실용 환풍기의 발광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광 모듈이 결합된 욕실용 환풍기(10)의 발광 유닛(700)은, 케이스(100)의 하단과 하부 커버(600)의 일 측면에 설치되며, 욕실 내를 비추기 위한 발광 모듈(710)을 포함하고, 케이스(10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발광 모듈(710)에 접촉하지 않도록 발광 모듈(710)을 밀폐하는 형태로서, 케이스(100)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하다. 종래 기술은 흡입필터(510)의 중앙 부분에 발광 모듈(710)을 설치하기 때문에,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습기로부터 발광 모듈(710)을 보호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고안은, 발광 모듈(710)을 밀폐하는 형태의 발광 유닛(700)을 사용하기 때문에, 욕실 내부 공기의 습도와 상관없이 조명수단으로서의 기능을 문제없이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발광 유닛(700)은, 제조 단가를 낮추는 동시에 견고함을 유지하기 위하여, ABS 수지(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copolymer)를 사용하여 제작할 수 있으며, 발광 유닛(700) 외에 상부 커버(500) 및 하부 커버(600) 또한 ABS 수지를 사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이때 발광 모듈(71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광등 또는 발광 다이오드일 수 있으며, 발광 모듈(710)이 발광 다이오드인 경우, 일반적으로 욕실에서 사용되는 백열전구에 비하여 전기 사용량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다만 발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발광 유닛(700)은 발광 다이오드에 의하여 발생하는 열을 분산시키는 방열판(72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발광 모듈로부터 발생한 빛이 욕실 내부에 고르게 퍼질 수 있도록, 발광 유닛(700)의 하단에 구비되며 탈부착이 가능한 렌즈부(730)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부(730)를 탈부착하는 원리로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에 돌기가 삽입 고정되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 렌즈부(730)는, 빛을 더욱 고르게 분산시키기 위하여 곡면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발광 유닛(700)의 발광 효율을 높이기 위해 발광 모듈(710)의 상단에는 반사시트(740)가 포함될 수 있으며, 전반사율 및 확산 반사율이 95 내지 99%인 반사시트(740)를 사용하여 소비전력을 최대 70%까지 절약함으로써 발광 효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발광 유닛(700)은, 공기가 하부 커버(600)와 발광 유닛(700)의 틈새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부 커버(600)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케이스(100)에 결합될 수 있다. 발광 유닛(700)이 하부 커버(600)와 맞닿는 형태로 케이스(100)에 결합되는 경우에는, 상부 커버(500)에 구비된 흡입필터(510)를 통해 흡입하는 공기의 양이 줄어듦으로써 환기의 효율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발광 유닛(700)은, 케이스(100)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할 수 있으므로, 발광 모듈(710)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 케이스(100)를 포함한 다른 구성요소를 모두 분해할 필요 없이, 발광 유닛(700)만을 탈착하여 발광 모듈(710)을 점검, 수리하면 되므로 유지 및 보수가 매우 편리하다. 탈부착하는 방식으로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결합 방식을 사용하거나, 또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 유닛(700)의 상단 또는 하단에 돌기(750)가 구비되고, 돌기(750)의 위치와 대응되는 케이스(100)의 일부분에 홈(130)이 구비되어, 돌기(740)가 홈(130)에 삽입 고정됨으로써 발광 유닛(700)이 케이스(100)에 탈부착되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을 통해 사용자는 발광 유닛(700)을 탈부착시킬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은 사용자의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발광 유닛(700)은, 케이스(100)에 유입되는 공기가 발광 유닛(7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발광 유닛(700)의 상단에 구비되는 개스킷(7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개스킷(750)은 특히 케이스(100)의 하단과 발광 유닛(700) 간의 결합 부분보다 위쪽 부분에 구비될 수 있으며, 개스킷(750)을 사용함으로써, 케이스(100)에 유입되는 공기가 발광 모듈(710)에 닿지 않도록 완벽하게 격리시킬 수 있다. 이때 개스킷(750)은 네오프렌 개스킷을 사용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발광 유닛(700)은, 발광 모듈(710)이 발광함에 따라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고 내부 청결을 유지하기 위하여, 발광 유닛(700)의 일 측면에 구비되는 에어필터(7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에어필터(760)는 하부 커버(600)가 위치한 방향의 측면과 반대되는 측면에 위치하여야만, 공기가 에어필터(760)를 통해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즉 욕실 내부 공기가 케이스(100)의 토출구(120)를 통해 배출되는 방향과, 발광 모듈(710)의 열이 에어필터(760)를 통해 방출되는 방향은, 서로 상이하여야 하며 바람직하게는 정반대일 수 있다. 따라서 케이스(100)의 토출구(120)를 통해 배출된 고습도의 공기가 에어필터(760)를 통해 발광 유닛(700) 내부에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만약 발광 유닛(700)의 측면이 에어필터(760) 없이 전면 개방되었다면, 욕실 천장 내부의 먼지가 발광 모듈(710)에 하자를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에어필터(760)를 사용함으로써 먼지의 유입을 차단하여 발광 모듈(710)의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제어모듈(800)은, 회전 모터(300) 및 발광 유닛(700)을 제어한다. 욕실 천장 내부를 통과하는 전선(도시하지 않음)을 이용하여 회전 모터(300) 및 발광 유닛(700)과 욕실 외부의 스위치(도시하지 않음)를 연결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팬(200)의 속도나 발광 모듈(710)의 조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다만 발광 유닛(700)은 케이스(100)로부터 탈부착 될 수 있으므로, 발광 유닛(700)이 부착되는 케이스(100)의 하단에는 콘센트와 같은 전기 연결부(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발광 유닛(700)을 탈착한 후 다시 케이스(100)에 부착하면, 발광 유닛(700)은 즉시 제어모듈(800)과 연결되며, 발광 모듈(700)은 욕실 외부의 스위치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댐퍼(900)는, 토출구(120)에 부착되며, 회동하는 블레이드(910)를 이용하여 케이스(100)로부터 빠져나온 공기가 다시 케이스(100)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토출구(120)를 통해 배출된 공기가 댐퍼(900) 내부에 있는 블레이드(910)를 배출 압력으로 회동 개방시킴에 따라, 흡입과 토출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져 공기가 원활하게 환기될 수 있다. 반면 환기과정에서 댐퍼(900)의 외측으로부터 배출저항 또는 배출 압력이 작용할 경우, 블레이드(910)가 닫혀 토출구(120)를 막음에 따라 공기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댐퍼(900)에는, 블레이드(910)가 회동하는 과정에서 소음 또는 진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블레이드(910)의 일면 또는 블레이드(910)의 끝단과 대응되는 위치에 탄성 재질의 쿠션(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공기가 흡입 배출됨에 따라 지속적으로 회동하는 블레이드(910)가 댐퍼(900)의 내부를 타격함으로써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광 모듈이 결합된 욕실용 환풍기의 작동 원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광 모듈이 결합된 욕실용 환풍기(10)의 하부 커버(600)와 상부 커버(500)의 틈새로 유입된 공기는, 상부 커버(500)의 흡입필터(510)를 통과하며, 유입 가이드캡(400)의 가이드유입구(410)를 통해 팬(200)의 중앙 부분으로 흘러들어간다. 이후 팬(200)이 회전함에 따라 발생하는 원심력에 의하여 방사되며, 가이드배출구(420)를 통해 배출된 후 댐퍼(900)의 블레이드(910)를 밀어내면서 토출구(120) 밖으로 빠져나간다. 이러한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욕실 내부의 공기를 환기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발광 모듈(700)을 케이스(100)의 하단에 탈부착시킬 수 있기 때문에, 설명한 바와 같이 공기를 환기시키는 환풍기로서의 역할을 문제없이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욕실 내의 조명 수단으로서도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므로, 공간 절약, 다기능 구현, 설치비용 절감 등의 다양한 측면에서 매우 효과적이다.
이상 설명한 본 고안은 본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고안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발광 모듈이 결합된 욕실용 환풍기
100: 케이스 110: 흡입구
120: 토출구 130: 홈
200: 팬 300: 회전 모터
310: 회전 지지대 400: 유입 가이드캡
410: 가이드유입구 420: 가이드배출구
500: 상부 커버 510: 흡입필터
600: 하부 커버 700: 발광 유닛
710: 발광 모듈 720: 방열판
730: 렌즈부 740: 반사시트
750: 돌기 760: 개스킷
770: 에어필터 800: 제어모듈
900: 댐퍼 910: 블레이드

Claims (10)

  1. 욕실용 환풍기에 있어서,
    욕실의 천정에 결합되며, 흡입구와 토출구가 형성되어 욕실 내부의 공기를 흡입한 후 외부로 배출시키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케이스를 통해 공기가 흡입 배출될 수 있도록 흡입력을 생성하는 팬;
    상기 팬에 회전력을 공급하는 회전 모터;
    상기 팬을 감싸는 형태로서, 가이드유입구와 가이드배출구가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 내부의 공기의 흐름을 가이드 하는 유입 가이드캡;
    상기 케이스의 하단면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흡입구에 설치되며, 공기가 통과될 수 있는 격자형 흡입필터가 구비된 상부 커버;
    상기 흡입필터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흡입필터에 공기가 흡입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커버에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결합하는 하부 커버;
    상기 케이스의 하단과 상기 하부 커버의 일측면에 설치되며, 욕실 내부를 비추기 위한 발광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발광 모듈에 접촉하지 않도록 상기 발광 모듈을 밀폐하는 형태로서, 상기 케이스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한 발광 유닛; 및
    상기 회전 모터 및 상기 발광 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모듈이 결합된 욕실용 환풍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모듈은, 발광 다이오드이며,
    상기 발광 유닛은, 상기 발광 다이오드에 의하여 발생하는 열을 분산시키는 방열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모듈이 결합된 욕실용 환풍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유닛은,
    상기 발광 모듈로부터 발생한 빛이 욕실 내부에 고르게 퍼질 수 있도록, 상기 발광 유닛의 하단에 구비되며 탈부착이 가능한 렌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모듈이 결합된 욕실용 환풍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유닛은,
    공기가 상기 하부 커버와 상기 발광 유닛의 틈새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하부 커버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모듈이 결합된 욕실용 환풍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유닛은,
    볼트 결합을 이용하여 상기 케이스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모듈이 결합된 욕실용 환풍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유닛의 상단 또는 하단에 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돌기의 위치와 대응되는 상기 케이스의 일부분에 홈이 구비되어, 상기 돌기가 상기 홈에 삽입 고정됨으로써 상기 발광 유닛이 상기 케이스에 탈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모듈이 결합된 욕실용 환풍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유닛은,
    상기 케이스에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발광 유닛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발광 유닛의 상단에 구비되는 개스킷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모듈이 결합된 욕실용 환풍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유닛은,
    상기 발광 모듈이 발광함에 따라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고 내부 청결을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발광 유닛의 일 측면에 구비되는 에어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모듈이 결합된 욕실용 환풍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에 부착되며, 회동하는 블레이드를 이용하여 상기 케이스로부터 빠져나온 공기가 다시 상기 케이스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댐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모듈이 결합된 욕실용 환풍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에는,
    상기 블레이드가 회동하는 과정에서 소음 또는 진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블레이드의 일면 또는 상기 블레이드의 끝단과 대응되는 위치에 탄성 재질의 쿠션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모듈이 결합된 욕실용 환풍기.
KR2020100006909U 2010-06-29 2010-06-29 발광 모듈이 결합된 욕실용 환풍기 KR2012000017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6909U KR20120000170U (ko) 2010-06-29 2010-06-29 발광 모듈이 결합된 욕실용 환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6909U KR20120000170U (ko) 2010-06-29 2010-06-29 발광 모듈이 결합된 욕실용 환풍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170U true KR20120000170U (ko) 2012-01-04

Family

ID=45842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6909U KR20120000170U (ko) 2010-06-29 2010-06-29 발광 모듈이 결합된 욕실용 환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0170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42675A (zh) * 2015-07-15 2015-11-11 品格卫厨(浙江)有限公司 一种用于集成吊顶的通风换气和照明装置
CN109185956A (zh) * 2018-10-11 2019-01-11 浙江菲斯格乐智能家居有限公司 一种集成吊顶风暖浴霸
EP3988856A1 (de) * 2020-10-20 2022-04-27 OHB System AG Umluft-lüftungsvorrichtung
KR102421171B1 (ko) * 2021-01-28 2022-07-15 이권환 욕실용 다기능 바디 드라이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42675A (zh) * 2015-07-15 2015-11-11 品格卫厨(浙江)有限公司 一种用于集成吊顶的通风换气和照明装置
CN109185956A (zh) * 2018-10-11 2019-01-11 浙江菲斯格乐智能家居有限公司 一种集成吊顶风暖浴霸
EP3988856A1 (de) * 2020-10-20 2022-04-27 OHB System AG Umluft-lüftungsvorrichtung
KR102421171B1 (ko) * 2021-01-28 2022-07-15 이권환 욕실용 다기능 바디 드라이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31621B2 (ja) 照明付換気扇
US20120120658A1 (en) LED lamp
JP5166580B2 (ja) 光半導体照明装置
TWI542824B (zh) 具有通風扇之燈具
KR100984252B1 (ko) 욕실용 환풍기
KR20120000170U (ko) 발광 모듈이 결합된 욕실용 환풍기
JP3991575B2 (ja) 循環送風機
KR101062365B1 (ko)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매입형 조명기구
KR200466988Y1 (ko) 엘이디 그릴 조립체를 구비하는 환풍기
KR100907618B1 (ko) 하이파워 엘이디 램프
KR101715569B1 (ko) 조명등을 겸한 욕실용 환풍기
JP3125067U (ja) 照明装置一体型エアコン
CN210271656U (zh) 一种散热优良的超薄灯箱
KR20110088634A (ko) 공기조화기를 이용한 엘이디 램프의 방열장치
KR101633852B1 (ko) 형광등타입 led 조명장치
KR20130033217A (ko) 광 반도체 기반 조명장치
JP6857843B2 (ja) 電気機器
JP6803546B2 (ja) 照明器具
CN213177955U (zh) 一种led模组隧道照明调节装置
CN210979570U (zh) 一种适应多种安装方式的天花灯
JP2014096258A (ja) 照明器具
TWI631298B (zh) 具有燈具的換氣扇
KR100964530B1 (ko) 태양열을 이용한 팬 냉각 방식의 엘이디 조명등
CN108506825B (zh) 照明器具
KR100920024B1 (ko) 등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10217

Effective date: 201208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