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0056U - 수족관 여과 정수장치 - Google Patents

수족관 여과 정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0056U
KR20120000056U KR2020100006751U KR20100006751U KR20120000056U KR 20120000056 U KR20120000056 U KR 20120000056U KR 2020100006751 U KR2020100006751 U KR 2020100006751U KR 20100006751 U KR20100006751 U KR 20100006751U KR 20120000056 U KR20120000056 U KR 2012000005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ration
water
aquarium
bubble generating
water pur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67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용문
Original Assignee
하용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용문 filed Critical 하용문
Priority to KR20201000067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0056U/ko
Publication of KR2012000005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005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5Filters for aquar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2Introducing gases into the water, e.g. aerators, air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족관내의 부유물이나 이물질을 여과 정수하는 수족관용 여과 정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여과조 내의 미생물 여과 정수재에 유동성을 부여하여 용수(바닷물)의 흐름 및 여과 정수 기능을 개선할 수 있게 하며, 아울러 전어 등과 같은 어종을 수용하는 수족관의 용수를 효과적으로 여과 정수 할 수 있게 한 수족관용 여과 정수장치를 제공코자 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본체(2)의 내부를 격벽(3)으로 양분하여 여과 정수재(11)로 채워지는 제1,2여과실(5)로 구획 구성하고, 하부에 이들을 연결하는 유로(6)를 형성하며, 제 1여과실(4)의 상부에는 거품발생조(7)가 수평격판(8)으로 구획되어 형성되고, 제1,2여과실(4)(5)의 바닥(4a)(5a)과 수평격판(8)에는 수개의 구멍(4b)(5b)(8a) 조밀하게 관통되며, 제1여과실(4)에는 중도에 가압펌프(14)와 공기공급관(15)이 설치되어 수족관(100)의 오염된 공급하는 용수공급관(13)이 배관된 거품발생관(12)을 수직방향으로 설치하며, 거품발생조(7)의 상측으로는 거품배출구(9)를 설치한 수족관용 여과 정수장치(1)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용수공급관(13)은 거품발생관(12)의 하부에 배관되고, 상기 거품발생관(12)에는 하단에 제1여과실(4)과 통하는 수개의 노즐(12a)을 형성하고, 거품발생조(7)에 노출된 쪽에는 거품발생구멍(12b)을 형성하며, 상기 제2여과실(5)에는 상부에 수족관(100)과 연결되는 용수배수관(18)이 배관되며, 그 입구에는 걸름망(19)을 설치하여 여과 정수용 여과 정수재(11)를 통과한 찌꺼기 등을 최종적으로 걸러서 수족관(100)으로 용수를 공급할 수 있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수족관 여과 정수장치{Aquarium filtration water purifying system}
본 고안은 수족관내의 부유물이나 이물질을 여과 정수하는 수족관용 여과 정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여과조 내의 미생물 여과 정수재에 유동성을 부여하여 용수(바닷물)의 흐름 및 여과 정수 기능을 개선할 수 있게 하며, 아울러 전어 등과 같은 어종을 수용하는 수족관의 용수를 효과적으로 여과 정수 할 수 있게 한 수족관용 여과 정수장치를 제공코자 한 것이다.
수족관에서는 용수를 여과하기 위해서 다양한 구성의 여과 정수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여과 정수장치는 상하부가 개방된 통체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공급관과 배출관을 설치하고 통체의 내부에는 필터로 스펀지와 맥반석 및 활성탄을 삽입하여 정수여과기를 구성하였거나, 솜과 모래를 이용하는 등의 여러 구성들에 제공되고 있으며, 대부분의 여과 정수장치들은 장시간 사용 후에 필터가 이물질에 의해 오염되어 주기적(수일 내지 수십일)으로 세척 하거나 교체시켜야 한다.
근자에는 장시간 사용으로 인하여 발생한 부유물을 거품을 이용하여 방출하고, 대량의 활성산소를 공급하여 담체를 이용한 미생물 번식을 활성화시켜 수질을 정화시킬 수 있도록 한 여과 정수장치가 개발되어 특허 등록(10-0714227)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한 특허등록된 여과 정수장치는 여과 정수재가 수용되어 있는 여과통의 상부에 이물질 배출구가 설치되는 거품발생부를 설치하고, 이 거품발생부의 내측에는 상부에서 하부로 용수를 공급하는 용수공급관을 배관하고, 거품발생부의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홀을 통과하면서 거품이 발생되어 부유물 등을 이물질 배출구로 배출할 수 있게 하고, 용수는 거품발생부의 상단에 형성된 홀을 통해서 여과통에 담겨진 여과 정수재 위로 떨어져 여과되게 구성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여과 정수장치의 경우 여과통 내에 담긴 여과 정수재의 유동성이 떨어지므로 장시간 사용할 경우 용수에 잔존하는 부유물 등에 의해 여과 정수재들이 엉겨 붙고 그로 인해서 용수가 배출되지 못하고 이물질 배출구로 넘게 되므로 수족관내의 용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등의 염려가 있었다.
또한 상기한 여과 정수장치의 경우 비늘이 많은 전어, 숭어 등의 어종을 보관할 경우 비늘이 여과통 내의 여과 정수재 사이에서 용수의 흐름을 방해하여 상기한 용수 넘침이 단시간에 발생하므로 여과정수장치의 사용이 불가능한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 10-0714227호(2007년05월02일 공고) 대한민국 특허 10-00475171호(2005년03월14일 공고)
이에 본 고안자는 상기한 종래 여과 정수장치의 문제점을 일소코자 본 고안을 연구 개발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서는 여과조 내의 미생물 여과 정수재에 유동성을 부여하여 용수(바닷물)의 흐름 및 여과 정수 기능을 개선할 수 있게 하며, 아울러 전어 등과 같은 어종을 수용하는 수족관의 용수를 효과적으로 여과 정수 할 수 있게 한 수족관용 여과 정수장치를 제공함에 고안의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고안을 완성한 것이다.
과제 해결수단으로 본 고안에서는 여과조 내에 설치되어 있는 거품발생관의 하부로 용수가 공급되도록 배관하되, 거품발생관의 내부에는 스크루를 설치하여 용수가 과도하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고 거품발생관의 하부에 제1여과실 쪽으로 노즐을 형성하여 용수의 일부가 제1여과실의 여과 정수재 쪽으로 분사될 수 있게 하여 여과 정수재가 엉겨 붙는 등의 문제점이 보완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제2여과실에 70~80%의 여과 정수재를 채워서 여과 정수재의 유동성을 높여 여과 정수재가 엉겨 붙는 등의 문제점이 보완될 수 있게 하였으며, 거품발생관으로 공급되는 용수공급관에 별도의 여과망을 더 설치하여 어류에서 떨어지는 비늘을 여과할 수 있게 함으로 해서 여과 정수장치의 기능성을 개선할 수 있게 하였다.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수족관 여과 정수장치를 사용할 경우 제1여과실 내의 여과 정수재가 유동성을 갖게 되는 구성으로 용수의 흐름성을 개선할 수 있다.
여과 정수재가 엉겨 붙는 등의 문제점이 해결되므로 거품배출구를 통해서 용수가 넘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용수공급관에 별도의 보조여과망을 더 설치함으로 제1,2여과실로 유입될 수 있는 고기비늘을 걸러 여과 정수기의 유지 관리의 편리성과 여과 정수재의 청소시간을 대폭 연장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을 수족관에 적용한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수족관 여과 정수장치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1,2여과실의 바닥과 수평격판의 구성을 보인 일부 확대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적용될 수 있는 보조여과기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이하에서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수족관용 여과 정수장치의 구성을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을 수족관에 적용한 사용상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수족관 여과 정수장치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1,2여과실의 바닥과 수평격판의 구성을 보인 일부 확대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적용될 수 있는 보조여과기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수족관용 여과장치(1)는 본체(2)의 내부를 격벽(3)으로 양분하여 제1,2여과실(5)로 구획 구성하고, 하부에 이들을 연결하는 유로(6)를 형성하며, 제 1여과실(4)의 상부에는 거품발생조(7)가 수평격판(8)으로 구획되어 형성되고, 거품발생조(7)의 상측으로는 거품배출구(9)가 설치된다.
상기 본체(2)의 측벽에는 제1,2여과실(4)(5)과 연통되도록 밀폐용 마개(10)가 결합되는 구멍(2a)을 형성하여 필터로 사용하는 여과 정수재(11)를 투입하고, 오손된 경우 밀폐용 마개(10)를 개방하여 여과 정수재(11)를 세척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여과 정수재(11)는 대한민국 특허 10-00475171호 제품 및 이와 유사한 것을 사용토록 한다.
상기 제1,2여과실(4)(5)의 바닥(4a)(5a)과 수평격판(8)에는 수개의 구멍(4b)(5b)(8a) 조밀하게 관통되어 있으며, 이들 구멍(4b)(5b)(8a)들은 이웃하는 여러개의 구멍(4b)(5b)(8a)과 수직절개구멍(4c)(5c)(8b)으로 연결되도록 형성한 것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수직절개구멍(4c)(5c)(8b)을 형성할 경우 구멍(4b)(5b)(8a)을 통과할 수 없는 고기비늘 등이 쉽게 통과할 수 있어 구멍(4b)(5b)(8a) 막힘 현상을 예방할 수 있다.
상기 제1여과실(4)에는 수직방향으로 거품발생관(12)이 설치되며 거품발생관(12)의 상단은 거품발생조(7)의 내부로 노출되어 있다.
상기 거품발생관(12)의 바닥에는 수족관(100)과 연결되는 용수공급관(13)이 배관되어 있으며, 용수공급관(13)의 중도에는 가압펌프(14)를 설치하여 용수를 가압 이송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용구공급관(13)의 중도에는 외기를 공급하는 밸브 제어되는 공기공급관(15)을 배관하여 용수공급관(13)을 통해서 용수가 공급될 때 공기가 혼합 공급되면서 자연스럽게 거품 생성이 가능하게 한다.
상단이 거품발생조(7) 내에 노출되어 있는 거품발생관(12)에는 하단에 제1여과실(4)과 통하는 수개의 노즐(12a)을 형성하고, 거품발생조(7)에 노출된 쪽에는 거품발생구멍(12b)을 형성한다. 그리고 거품발생관(12)의 내부에는 공급되는 용수가 과도하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스크루(16)가 거품발생관(12)의 상부에 나사 결합되는 커버(17)에 의해 지지되게 설치되어 있으며, 스크루(16)에는 표면에 돌기 또는 구멍(16a)을 형성하여 거품발생관(12)을 통해서 이동하는 용수 및 용수에 포함되어 있는 공기방울과 접촉하여 미세 기포가 발생될 수 있게 한다.
상기 거품발생관(12)의 바닥에는 밸브로 제어되는 드레인관(18)을 설치하여 오물 등을 배출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상기 제1여과조(4)의 기능이 상실된 때에도 용수가 거품배출구(9)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1여과실(4)과 제2여과실(5)을 구획하는 격벽(3) 상단에 오버플로 구멍(3a)을 형성하며, 상기 제2여과실(5)에는 상부에 수족관(100)과 연결되는 용수배수관(18)이 배관되며, 그 입구에는 걸름망(19)을 설치하여 여과 정수용 여과 정수재(11)를 통과한 찌꺼기 등을 최종적으로 걸러서 수족관(100)으로 용수를 공급할 수 있게 한다.
한편 본 고안은 도 4와 같이 용수공급관(13)에 보조여과망(20)을 더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보조여과망(20)은 특히 고기비늘이 심하게 배출되는 수족관(100)에 적합하며, 하부에 마개(22)가 수밀가능하게 나사 결합되어 있는 몸체(21)의 중간에 여과망(23)을 설치하고, 여과망(23)을 중심으로 마개(22)가 있는 하측은 수족관쪽을 연결하고, 밀폐된 상측은 거품배출관(12)과 연결하여 용수가 보조여과망(20)을 경유토록 하고, 마개(22)를 열어서 주기적으로 청소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보조여과망(20)을 설치할 경우 제1,2여과실(4)(5)의 여과 정수재(11) 오염을 예방할 수 있어 여과 정수재(11) 청소주기를 대폭 연장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수족관용 여과 정수장치(1)에 대한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수족관(100)에서 오염된 용수가 가압펌프(14)에 의해 가압상태로 용수공급관(13)을 통해서 공기공급관(15)으로 공급되는 공기와 함께 거품발생관(12)으로 공급된다.
이때 도 4와 같이 용수공급관(13)의 중도에 보조여과망(20)이 설치된 경우 고기비늘 등을 1차 여과한 상태로 공급될 수 도 있다.
상기와 같이 거품발생관(12)의 하단에 공급된 용수는 스크루(16)를 따라서 상승하는데, 이때 스크루(16) 표면에 형성된 돌기 또는 구멍(16a)과 용수 및 공기방울이 접하면서 분쇄되어 거품 생성이 활발하게 일어날 수 있도록 돕게 되며, 용수의 일부는 거품발생관(12)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노즐(12a)로 분사되면서 제1여과실(4) 내부의 여과 정수재(11)에 유동성을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거품발생관(12)의 상단 거품발생구멍(12b)을 통해서 거품발생조(7) 내에 투입되는 용수에서 다량의 거품이 발생하는데 이들 거품은 상부의 거품배출구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고, 용수는 거품발생조(7)의 바닥인 수평격판(8)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8a)을 통해서 제1여과실(4)로 공급되어 1차 여과되고, 제1여과실(4)을 통과한 용수는 유로(6)를 경유한 상태에서 제2여과실(5)의 아래쪽으로 공급되어 2차 여과된 상태에서 제2여과실(5)의 상단에 있는 걸림망(19)을 통과한 후 용수배수관(18)을 통해서 수족관(100)으로 공급되는 것이다.
1:수족관용 여과장치 2:본체
3:격벽 3a:오버플로 구멍
4:제1여과실 4a,5a:바닥
4b,5b,8a:구멍 4c,5c,8b:수직절개구멍
5:제2여과실 6:유로
7:거품발생조 8:수평격판
9:거품배출구 10:밀폐용 마개
11:여과 정수재 12:거품발생관
12a:노즐 12b:거품발생구멍
13:용수공급관 14:가압펌프
15:공기공급관 16:스크루
16a:돌기 또는 구멍 17:커버
18:드레인관 19:걸름망
20:보조여과망 21:몸체
22:마개 23:여과망
100:수족관

Claims (6)

  1. 본체(2)의 내부를 격벽(3)으로 양분하여 여과 정수재(11)로 채워지는 제1,2여과실(5)로 구획 구성하고, 하부에 이들을 연결하는 유로(6)를 형성하며, 제 1여과실(4)의 상부에는 거품발생조(7)가 수평격판(8)으로 구획되어 형성되고, 제1,2여과실(4)(5)의 바닥(4a)(5a)과 수평격판(8)에는 수개의 구멍(4b)(5b)(8a) 조밀하게 관통되며, 제1여과실(4)에는 중도에 가압펌프(14)와 공기공급관(15)이 설치되어 수족관(100)의 오염된 공급하는 용수공급관(13)이 배관된 거품발생관(12)을 수직방향으로 설치하며, 거품발생조(7)의 상측으로는 거품배출구(9)를 설치한 수족관용 여과 정수장치(1)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용수공급관(13)은 거품발생관(12)의 하부에 배관되고,
    상기 거품발생관(12)에는 하단에 제1여과실(4)과 통하는 수개의 노즐(12a)을 형성하고, 거품발생조(7)에 노출된 쪽에는 거품발생구멍(12b)을 형성하며,
    상기 제2여과실(5)에는 상부에 수족관(100)과 연결되는 용수배수관(18)이 배관되며, 그 입구에는 걸름망(19)을 설치하여 여과 정수용 여과 정수재(11)를 통과한 찌꺼기 등을 최종적으로 걸러서 수족관(100)으로 용수를 공급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용 여과 정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품발생관(12)의 내부에는 공급되는 용수가 과도하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스크루(16)가 거품발생관(12)의 상부에 나사 결합되는 커버(17)에 의해 지지되게 설치되며,
    상기 스크루(16)에는 표면에 돌기 또는 구멍(16a)을 형성하여 거품발생관(12)을 통해서 이동하는 용수 및 용수에 포함되어 있는 공기방울과 접촉하여 미세 기포가 발생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용 여과 정수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여과실(4)(5)의 바닥(4a)(5a)과 수평격판(8)에는 형성된 구멍(4b)(5b)(8a)들은 이웃하는 여러개의 구멍(4b)(5b)(8a)과 수직절개구멍(4c)(5c)(8b)으로 연결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용 여과 정수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품발생관(12)의 바닥에는 밸브로 제어되는 드레인관(18)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용 여과 정수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여과실(4)과 제2여과실(5)을 구획하는 격벽(3) 상단에 오버플로 구멍(3a)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용 여과 정수장치.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수공급관(13)에는 보조여과망(20)을 더 설치하되,
    상기 보조여과망(20)은 하부에 마개(22)가 수밀가능하게 나사 결합되어 있는 몸체(21)의 중간에 여과망(23)을 설치하고, 여과망(23)을 중심으로 마개(22)가 있는 하측은 수족관쪽을 연결하고, 밀폐된 상측은 거품배출관(12)과 연결하여 용수가 보조여과망(20)을 경유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용 여과 정수장치.
KR2020100006751U 2010-06-25 2010-06-25 수족관 여과 정수장치 KR2012000005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6751U KR20120000056U (ko) 2010-06-25 2010-06-25 수족관 여과 정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6751U KR20120000056U (ko) 2010-06-25 2010-06-25 수족관 여과 정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056U true KR20120000056U (ko) 2012-01-02

Family

ID=45842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6751U KR20120000056U (ko) 2010-06-25 2010-06-25 수족관 여과 정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0056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9280A (ko) * 2013-03-28 2014-10-10 이전상 해수 수족관 정화용 스키머
KR20230064812A (ko) 2021-11-04 2023-05-11 임새해 수족관용 정수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9280A (ko) * 2013-03-28 2014-10-10 이전상 해수 수족관 정화용 스키머
KR20230064812A (ko) 2021-11-04 2023-05-11 임새해 수족관용 정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7108145A1 (ja) 水槽用濾過装置
KR101882803B1 (ko) 염 및 불순물 제거 기능을 갖는 약액식 탈취장치
CN102438715A (zh) 水处理装置
KR100714227B1 (ko) 여과 정수 장치
KR20100076721A (ko) 수족관용 정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족관
KR101039472B1 (ko) 전시용 수족관 사육수 여과장치
KR101236830B1 (ko)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KR101777637B1 (ko) 상향 오픈식 수평형 습식 세정탑
KR20120000056U (ko) 수족관 여과 정수장치
KR20140101346A (ko) 침지식 스크린 및 작동 방법
AU2008329598B2 (en) Up-flow filtration apparatus and method
KR20120108585A (ko) 해수 정수장치
CN107318751B (zh) 一种循环水养殖系统
MXPA03001190A (es) Una planta para purificar agua contaminada por gotas de liquido hidrocarbonaceo.
JP2020148010A (ja) 受水槽内の洗浄装置及び浄水供給システム
KR20100107153A (ko) 유수분리장치
KR20090113104A (ko) 계곡수 여과장치
KR101361672B1 (ko) 설치가 용이한 수처리 여과장치
CN201995464U (zh) 大型观赏鱼缸
CN102124984B (zh) 大型观赏鱼缸
KR100851409B1 (ko) 저수 정화장치
KR20090072295A (ko) 수족관 정수장치
KR20160042333A (ko) 수족관용 정수장치
US20110079555A1 (en) Aquarium Filter
CN220159450U (zh) 一种液体物料滤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