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9858A - 전기제품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전기제품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9858A
KR20110139858A KR1020100059930A KR20100059930A KR20110139858A KR 20110139858 A KR20110139858 A KR 20110139858A KR 1020100059930 A KR1020100059930 A KR 1020100059930A KR 20100059930 A KR20100059930 A KR 20100059930A KR 20110139858 A KR20110139858 A KR 201101398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consumption
unit
time period
peak time
control meth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9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문석
김양환
안준호
서대근
이욱진
이훈봉
장봉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599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39858A/ko
Priority to CN2010800485159A priority patent/CN102598580A/zh
Priority to PCT/KR2010/007357 priority patent/WO2011052956A2/en
Priority to EP10827040.6A priority patent/EP2494735B1/en
Priority to US13/504,336 priority patent/US20120215370A1/en
Publication of KR201101398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98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수요의 집중을 해소함으로써 전력공급자는 전력수요의 효율적 관리가 가능하고, 수요자는 전기요금절감 및 에너지 소비절감이 가능한 전기제품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기제품의 제어방법{Control Method for Electric Device}
본 발명은 전기제품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정에서 사용되는 가전기기 또는 사무실에서 사용되는 사무기기 등과 같은 전기제품이 작동하기 위한 전력은 일반적으로 한국전력공사에서 운영하는 전력발전소와, 송전선로, 그리고, 배선선로의 순서를 통하여 공급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는 분산전원이 아닌 중앙전원의 성격을 가지고 있으며, 중앙에서 주변부로 퍼져나가는 방사형구조이고, 수요자 중심이 아닌 단방향의 공급자 중심이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또한, 그 기술기반은 아날로그 또는 전자기계적이고, 사고 시 수동적으로 복구되어야하고, 설비 또한 수동적으로 복구되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전기에 대한 가격의 정보도 실시간으로 알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전력거래소를 통하여 제한적으로만 알 수 있었고, 가격제도 또한 사실상의 고정가격제이기 때문에 가격변화를 통한 수요자에 대한 인센티브와 같은 유인책을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에너지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스마트 그리드(Smart Grid, 스마트 그리드)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중이다.
스마트 그리드이라 함은 현대화된 전력기술과 정보통신 기술의 융합과 복합을 통하여 구현된 차세대 전력시스템 및 이의 관리체제를 의미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현재의 전력망은 중앙에 집중되고 생산자가 통제하는 수직적, 중앙 집중적인 네트워크인 반면에, 스마트 그리드은 공급자에게 덜 집중되어 있고, 수요자와 공급자 간의 상호작용을 가능케 해주는 수평적, 협력적, 분산적 네트워크이다.
스마트 그리드에서는 모든 전기기기, 전력저장장치 및 분산된 전원이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수요자와 공급자 간의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므로, 스마트 그리드을 "에너지 인터넷"으로 부르기도 한다.
한편, 이러한 스마트 그리드가 가정이나 빌딩과 같은 전력수요자 입장에서 구현되기 위해서는 개별적인 전기제품 및 복수 개의 전기제품이 연결되는 네트워크가 일방적으로 전력을 받기만 하는 것에서 벗어나서 전력공급원과 전력정보에 관하여 양방향 통신을 해야 한다는 필요성과, 이러한 양방향 통신을 위한 새로운 장치들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또한, 전기제품의 사용 시 실시간으로 전기요금을 판단하고, 전기요금이 높은 시간대인 경우에는 전기제품의 사용을 자제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에너지 및 전기요금을 절약할 수 있는 전기제품의 제어방법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본 발명은 전력수요의 집중을 해소함으로써 전력공급자는 전력수요의 효율적 관리가 가능하고, 수요자는 전기요금절감 및 에너지소비절감이 가능한 전기제품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a) 전기요금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력정보가 소정값을 초과하는 온피크 시간구간과 상기 소정값 이하가 되는 오프피크 시간구간을 인식하는 단계와, (b) 전기제품의 구동시간 중 적어도 일부구간이 상기 온피크 시간구간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c) 상기 구동시간 중 적어도 일부구간이 상기 온피크 시간구간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전기제품에 포함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전력소비유닛 중 일부 전력소비유닛의 기능수행이 상기 온피크 시간구간에서 제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제품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이 경우, 상기 (c) 단계에서 구동하는 전력소비유닛의 수량, 또는 소비전력량, 또는 전기요금, 또는 구동시간은 상기 오프피크 시간구간에서 구동하는 전력소비유닛의 수량, 또는 소비전력량, 또는 전기요금, 또는 구동시간보다 작도록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c) 단계는 상기 둘 이상의 전력소비유닛 중 상대적으로 높은 소비전력량을 가지거나, 소정 기준량 이상의 소비전력량을 가지는 전력소비유닛의 기능을 제한하도록 상기 전기제품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 단계에서 기능수행이 제한되는 전력소비유닛은 상기 둘 이상의 전력소비유닛 중 소비전력량이 가장 큰 전력소비유닛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 단계는 상기 온피크 시간구간에서 상기 일부 전력소비유닛의 기능수행을 중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c) 단계는 상기 일부 전력소비유닛의 기능수행을 상기 오프피크 시간구간으로 연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 단계는 상기 일부 전력소비유닛의 기능수행을 상기 온피크 시간구간 이전에 구비되는 오프피크 시간구간으로 앞 당겨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 단계는 상기 온피크 시간구간에서의 상기 일부 전력소비유닛의 출력이 상기 오프피크 시간구간에서의 출력보다 낮은 출력을 가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전기제품의 제어방법은 상기 온피크 시간구간에서 기능수행이 제한된 상기 일부 전력소비유닛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온피크 시간구간에 이어지는 오프피크 시간구간에서 기능수행 제한을 해제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다수의 전력소비유닛은 음식을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에 냉기를 공급하는 증발기,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를 포함하고, 상기 (c) 단계는 상기 온피크 시간구간에서 상기 압축기의 기능수행을 제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다수의 전력소비유닛은 상기 저장부에 선택적으로 연통하되 상기 증발기와 열교환하여 냉기가 저장되는 축냉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c) 단계는 상기 압축기의 기능수행 중단 시 상기 축냉부의 냉기를 상기 저장부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프피크 시간구간에서 상기 축냉부에 냉기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다수의 전력소비유닛은 음식이 저장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에 냉기를 공급하는 증발기,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와, 상기 증발기를 소정의 주기로 제상하는 제상부를 포함하되, 상기 (c) 단계는 상기 온피크 시간구간에서 상기 제상부의 기능수행을 제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다수의 전력소비유닛은 상기 증발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c) 단계는 상기 온도측정수단이 측정한 온도가 소정 기준온도 이상인 경우에만 상기 제상부의 기능수행을 중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다수의 전력소비유닛은 음식을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에 냉기를 공급하는 증발기,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와, 상기 증발기를 소정의 주기로 제상하는 제상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c) 단계는 상기 주기가 상기 온피크 시간구간에 속하는 경우, 상기 오프피크 시간구간에서 상기 제상부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전력소비유닛은 음식을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공급부와, 상기 저장부에 빛을 조사하는 발광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c) 단계는 상기 온피크 시간구간에서 상기 발광부의 기능수행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부는 적어도 두 개이상 구비되고, 상기 (c) 단계는 상기 온피크 시간구간에서 상기 발광부 중 일부만 기능수행을 중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실 외부의 조도를 판단하는 조도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c) 단계는 상기 조도감지부에서 감지한 조도가 소정의 조도기준값 이상일 때 상기 일부 발광부의 기능수행을 중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다수의 전력소비유닛은 음식을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공급부와, 얼음을 생산하는 제빙부를 포함하고, 상기 (c) 단계는 상기 온피크 시간구간에서 상기 제빙부의 기능수행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전력소비유닛은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인출 및 인입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드로워와, 상기 드로워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공급부와, 상기 저장드로워의 인출 및 인입에 필요한 동력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인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c) 단계는 상기 온피크 시간구간에서 상기 인출부의 기능수행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다수의 전력소비유닛은 세척대상물이 수용되는 터브와, 세탁수가 저장되는 섬프와, 상기 섬프에 저장된 세척수를 가열하는 가열장치와, 상기 섬프에 저장된 세척수를 상기 세척대상물에 분사하는 분사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c) 단계는 상기 온피크 시간구간에서 상기 가열장치의 기능수행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다수의 전력소비유닛은 상기 섬프로 온수 또는 냉수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급수밸브를 더 포함하되, 상기 온피크 시간구간에서 상기 섬프로 온수가 급수될 수 있도록 상기 급수밸브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다수의 전력소비유닛은 세탁수가 저장되는 터브와, 상기 터브 내부에 구비되는 드럼을 회전시키는 모터와, 상기 터브에 구비되어 세탁수를 가열하는 다수의 가열장치를 더 포함하되, 상기 (c) 단계는 상기 온피크 시간구간에서 상기 다수의 가열장치 중 일부 가열장치의 기능수행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전기기의 제어방법에 의하면, 전력수요의 집중을 해소함으로써 전력공급자는 전력수요의 효율적 관리가 가능하고, 수요자는 전기요금절감 및 에너지 소비절감이 가능한 전기제품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도1은 스마트 그리드의 개념도이다.
도2는 가정용 전력공급네트워크의 개략도이다.
도3은 에너지관리장치의 정면도이다.
도4는 전력공급원과 가정용 전력공급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블록도이다.
도5는 전력공급네트워크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블록도이다.
도 6은 도 6은 전기제품으로 제공되는 전력정보의 일례이다.
도 7은 전기제품의 일례인 냉장고의 개념도이다.
도 8은 전기제품의 일례인 식기세척기의 개념도이다.
도 9는 전기제품의 일례인 세탁기의 개념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가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각 구성요소들의 명칭 및 부호는 본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본 실시예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도 1은 스마트 그리드(smart grid)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스마트 그리드는 화력발전, 원자력발전 또는 수력발전을 통하여 전력을 발생시키는 발전소와, 신 재생에너지에 속하는 태양광 또는 풍력을 이용한 태양광발전소와 풍력발전소를 포함하는 전력공급원을 구비한다.
상기 화력발전소, 원자력발전소 또는 수력발전소는 송전선을 통하여 전력소로 전력을 보내고, 전력소에서는 변전소 및 저장장치로 전기를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태양광발전소와 풍력발전소에서 생산된 전기는 변전소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변전소로 송전된 전기는 전력저장장치를 거쳐서 사무실이나 각 가정으로 분배될 수 있다.
한편, 일반 가정에서도 가정용 전력네트워크(HAN, Home Area Network, 도 2에서 상술)를 채용하는 경우에 일반 가정의 자가 태양광 발전시설, 또는 PHEV(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Plug in Hybrid Electric Vehicle)에 장착된 연료전지를 통하여 전기를 자체공급할 수 있고, 여분의 전기는 외부에 되팔 수도 있다.
그리고, 사무실이나 가정에는 각 수요처에서 사용되는 전력 및 전기요금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는 소위 '스마트 계측장치'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계측장치를 통하여 사용자는 현재 사용되는 전력량 및 전기요금을 인지하여 상황에 따라 전력소모량이나 전기요금을 줄이는 방안을 강구할 수 있다.
한편, 스마트 그리드에서 전술한 발전소, 전력소, 저장장치 및 전력을 사용하는 수요처는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다. 따라서, 수요처에서 일방적으로 전기를 받도록 하는 것만을 떠나서, 수요처의 상황을 저장장치, 전력소, 발전소로 통지하여 수요처의 상황에 따라 전기 생산 및 전기분배를 할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 그리드에서는 수요처의 실시간 전력관리 및 소요전력의 실시간 예측을 담당하는 에너지관리장치(EMS, Energy Management System) 및 전력의 소모량을 실시간으로 계측하는 계측장치(AMI,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에너리관리장치 및 계측장치는 별개의 장치로 구성되거나, 또는 하나의 장치에 두 장치의 기능을 모두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스마트 그리드 하에서의 계측장치는 '오픈 아키텍쳐(open architecture)'를 근거로 하여 소비자를 통합하려는 기반기술로서 소비자에게는 전기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도록 하고, 전력공급자에게는 시스템상의 문제를 탐지하여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능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오픈 아키텍쳐'란 일반적인 통신망과는 달리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에서 전기장치의 제조업체에 상관없이 모든 전기기구가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기준을 의미한다.
따라서, 스마트 그리드에서 사용되는 계측장치는 "가격 대 장치(Prices to Devices)" 와 같은 소비자 친화적인 효율성 개념을 가능케 한다. 즉, 전력시장의 실시간 가격정보가 각 가정에 설치된 에너지관리장치(EMS)를 통하여 전송될 수 있으며, 에너지관리장치(EMS)는 각 가정에 구비된 전기장치(가전기기 등)와 통신을 하며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에너지관리장치(EMS)에 의해 각 전기장치의 전력정보를 인식하고 이를 기초로 소모전력량이나 전기요금 한계설정 등과 같은 전력정보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에너지 및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전술한 에너지관리장치(EMS)는 사무실이나 가정에서 사용되는 로컬에너지관리장치(Local EMS)와, 상기 로컬에너지관리장치(EMS)와 양방향 통신을 하여 로컬에너지관리장치(Local EMS)에서 취합된 정보를 처리하는 중앙에너지관리장치(Central EMS)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그리드에서는 전력 공급자와 수요자 간의 전력정보에 관한 실시간 통신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종래와 달리 전력공급에 따른 다양한 수요자의 반응, 즉 "실시간 전력망 반응"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시간대에 따라 전력의 가격이 달라지거나, 전력공급회사에 따라 전력의 가격이 달라지는 경우 수요자는 그러한 조건을 고려하여 전력 사용량이나 전력소비시간을 변경 내지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전력공급자는 수요자의 반응에 따라 전력 가격의 조정 내지 전력 공급량 등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스마트 그리드의 주요 수요처인 가정에서의 전력공급네트워크 시스템(10)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력공급네트워크 시스템(10)은 각 가정에 공급되는 전력 및/또는 전기요금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는 계측장치(스마트미터, 20), 계측장치(20) 및 가전기기와 같은 복수 개의 전기제품과 연결되고 이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에너지관리장치(30)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각 가정의 전기요금은 시간당 요금으로 과금되며, 전력소비량이 급격하게 증대되는 시간구간에서는 시간당 전기요금이 비싸지며, 전력소비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심야시간과 같은 때에는 시간당 전기요금이 저렴해질 수 있다.
에너지관리장치(30)는 가정 내부의 네트워크망을 통하여 냉장고(101), 세탁기 및 건조기(102), 에어컨(103), TV(105) 또는 조리기기(104)와 같은 전기제품과 연결되어 양방향 통신을 할 수 있다.
가정에서의 통신은 무선 또는 PLC와 같은 유선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하나의 가전기기는 다른 가전기기들과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에너지관리장치(30)는 전력정보 및/또는 외부의 환경정보 등을 표시하는 표시부(31), 사용자의 조작이 가능한 입력부(32), 외부 장치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34, 도 4 참조), 시계(40, 도 4 참조), 제어부(35, 도 4 참조)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너지관리장치(30)는 터치패널(33)을 구비할 수 있으며, 터치패널(33)에 표시부(31)를 구비할 수 있다. 표시부(31)에는 전력정보 및/또는 외부 환경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전력정보는 현재 전기사용량, 전기요금, 누적된 히스토리에 의하여 예상되는 예상요금, 이산화 탄소 발생량과 같은 금일의 에너지 정보, 현재 시간이 속하는 구간의 전기요금, 다음 시간구간의 전기요금, 전기요금이 변하는 시간구간을 포함하는 실시간 에너지 정보 중에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외부 환경 정보는 현재의 날씨, 온도, 습도, 강수량, 바람과 같은 정보 중에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31)는 각 가전기기의 시간구간별 전력소모량 및/또는 그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를 표시할 수 있으며, 시간구간별 전기요금 추이 그래프도 나타날 수 있다.
표시부(31)의 일측에는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전기제품의 동작 등을 설정할 수 있는 입력부(32)가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입력부(32)를 이용하여 각 가전기기의 전력량 또는 전기요금의 한계를 설정할 수 있고, 이러한 설정에 따라 에너지관리장치(30)는 각 가전기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통신부(34)는 가정 내 냉장고(101, 도 4 참조), 세탁장치(102, 도 4 참조), 공기조화기(103, 도 4 참조) 및/또는 조리기기(104, 도 4 참조) 등의 전기제품과 통신을 하며, 이들의 전력정보(소비전력정보값) 및 구동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35)는 입력부(38)에 의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설정정보 및 기존에 누적된 가전기기의 동작 및 전력사용 히스토리 정보, 그리고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력량을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이들 정보를 실시간으로 처리하여 가전기기의 동작과 전력소비를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스마트 그리드 하에서의 전력공급원과, 가정 내의 전기제품에 대한 전력공급을 담당하는 전력공급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블록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전력공급원은 일반적인 발전장비(화력, 원자력, 수력)를 구비하거나 신 재생에너지(태양광, 풍력, 지열) 등을 이용한 발전장비 등을 구비한 전력회사(50)가 될 수 있다. 또한, 전력공급원은 각 가정에 구비될 수 있는 자가 태양광발전시설(51)과, 연료전지 자동차 또는 가정에 구비될 수 있는 연료전지(52)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공급원은 계측장치(20)와 연결되고, 계측장치(20)는 에너지관리장치(30)와 연결된다. 다만, 상기 계측장치와 에너지관리장치가 하나의 모듈로 구성될 경우 상기 전력공급원은 상기 계측장치 또는 에너지관리장치와 통신가능하도록 상기 모듈에 연결되면 충분하다.
에너지관리장치(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35), 입력부(38), 통신부(34), 표시부(39), 시계(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너지관리장치(30) 및 각 전기제품에 구비된 제어부는 서로 연동함으로써 각 전기제품의 동작을 제어하게 되는데, 구체적으로 전기제품 작동 시 전기요금을 절약할 수 있게 하는 전기요금절약모드 및 소모전력을 절약할 수 있게 하는 에너지절약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전기요금절약모드는 전기제품이 작동되는 시간에 따라 달라지는 전기요금에 대한 정보를 근거로 하여 작동된다. 예를 들어, 제어부(35)는 시계 또는 타이머(40)를 이용하여 현재 시간구간의 전기요금을 판단할 수 있다.
즉, 제어부(35)는 현재의 전기요금이 소정 전기요금기준(기준요금)을 넘어서는 시간구간, 즉 제1 시간구간(온피크 시간구간)인지 또는 소정 전기요금기준 이하가 되는 시간구간, 즉 제2 시간구간(오프피크 시간구간)인지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5)는 현재 시각이 제1 시간구간에 속한다고 판단된 경우, 제2 시간구간에 돌입하려면 얼마의 시간이 남았는지도 알려줄 수도 있다.
한편, 에너지 절약모드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설정한 모드에서 유발하는 기술적인 효과와 대등하거나 큰 차이가 없는 효과를 유발하되 그 소모전력을 줄일 수 있는 절약모드를 안내하거나 강제로 수행시킨다.
예를들어 전기제품이 세탁장치인 경우, 사용자가 표준운전모드를 선택한 경우라도 세탁장치에 수용된 세탁물이 양이 비교적 적다면, 상기 에너지관리장치와 전기제품에 구비된 제어부는 표준운전모드에 비해 더 적은 전력을 소비하는 다른 운전모드(예, 신속운전모드)로 세탁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세탁장치가 소비하는 세탁수의 양, 세탁장치의 총 구동시간 및 건조시간, 히터가 소비하는 전력량은 표준코스를 진행할 경우보다 줄어들게 될 것이다.
다만, 상기 에너지 절약모드는 제1시간구간과 제2시간구간에서 가전기기의 출력을 변화시키는 방식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에너지 절약모드로 제어되는 전기제품은 제2시간구간에서 선택된 운전모드에 설정된 출력에 따라 구동하나, 제1시간구간에서는 상기 제2시간구간의 출력보다 낮은 출력 또는 선택된 운전모드에 설정된 출력보다 낮은 출력을 가지도록 제어될 수 있다.
냉장고와 같은 전기제품을 예로 들면, 에너지 절약모드에서 냉장고는 구동시간이 제2시간구간에 속해 있으면 많은 냉기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제어되나, 구동시간이 제1시간구간에 속하면 적은 냉기를 발생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과출력 제어를 통해 축적된 냉기에 의해 냉장고의 기능은 유지될 수 있도록 제어되어야 함).
상술한 에너지절약모드 또는 전기요금절약모드는 상기 전기제품과 독립적으로 구비되는 에너지관리장치(30)에 의하여 제어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도 4와 달리 상기 에너지관리장치(30)는 전기제품에 착탈가능한 형태로 구비되거나 전기제품에 일체로 구비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즉, 냉장고와 같이 24시간 계속 동작되는 전기제품에 에너지관리장치(30)를 일체로 구비시킬 수도 있다(도 5 참고).
다만, 상기 냉장고는 일례일 뿐이므로 상기 에너지관리장치는 24시간 작동하는 제품이라면 어떤 전기제품에도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냉장고(101)에 에너지관리장치(30)가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경우, 상기 에너지관리장치(30)의 제어부(35)는 통신부(34)를 통해 냉장고의 제어부(101a) 및 계측장치(2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35)는 통신부(34)를 통하여 다른 전기제품, 예를 들어 세탁장치(102), 공기조화기(103), 또는 조리기기(104) 등과 각종 정보를 주고받고,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전기제품으로 제공되는 전력정보의 일례로, 도 6의 전력정보는 시각에 따라 변동하는 전기요금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다만, 상기 전기요금은 전력정보의 일례일 뿐이므로 전력수요가 집중하는 온피크(On-Peak) 시간구간과 전력수요의 집중이 덜한 오프피크(Off-Peak) 시간구간을 구분할 수 있는한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가 전력정보로 수신될 수 있다.
온피크 시간구간은 전기요금이 소정값(S)을 초과하는 시간구간으로 정의될 수 있고, 오프피크 시간구간은 전기요금이 소정값(S) 이하인 시간구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소정값(S)은 다양한 형태로 정의될 수 있는데, 상기 전력정보에서 제공되는 전기요금의 평균값, 전기제품의 실행예정시점 이후의 전기요금 평균값, 전기제품의 실행예정시점 이후의 전기요금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평균값 등이 일례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실행예정시점의 의미는 전기제품의 구동이 특정시점 이후에 실행되도록 사용자가 예약한 경우 전기제품의 동작시점을 의미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전기제품의 구동시점을 예약하지 않고 전기제품을 구동하는 경우에는 전기제품의 구동시키는 현재시점이 실행예정시점이 될 것이다.
또한, 상기 소정값(S)은 상기 전력정보를 통해 산정되는 값이 아니라 사용자나 전기제품의 제어부가 임의의 전기요금을 설정하는 방식으로 정의되어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기 소정값을 20원으로 설정하면 전기요금이 단위 시간당 20원을 초과하는 시간구간은 온피크 시간구간이 되고, 단위 시간당 20원 이하의 전기요금 시간구간은 오프피크 시간구간으로 인식될 것이므로 사용자는 자신이 설정한 단위 시간당 전기요금 이하의 시간구간에서만 전기제품을 구동할 수 있게 된다.
결론적으로 상기 온피크 시간구간은 비교적 비싼 전기요금으로 전기제품을 구동가능한 시간구간을 의미하게 되고, 상기 오프피크 시간구간은 비교적 싼 전기요금으로 전기제품을 구동가능한 시간구간을 의미하게 된다.
또한, 전력공급원의 입장에서 보면 상기 온피크 시간구간은 전력수요가 집중하는 시간구간이기 때문에 오프피크 시간구간으로 전력수요를 분산시킬 필요가 있는 시간구간이라는 의미를 가지게 된다.
본 발명은 전기제품의 구동시간이 온피크 시간구간에 포함되는 경우, 온피크 시간구간 내에서 전기제품의 전력소비유닛 중 적어도 일부의 기능을 제한함으로써 전기요금의 절약과 전력수요 집중을 해소할 수 있는 전기제품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먼저, 본 발명 제어방법은 전력정보를 수신한 뒤 소정값(S, 도 6 (a) 참고)과 비교함으로써 온피크 시간구간과 오프피크 시간구간을 인식하는 단계가 진행된다.
상기 전력정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력수요가 집중하는 온피크 시간구간과 전력수요의 집중이 덜한 오프피크 시간구간을 구분할 수 있는 데이터로 정의될 수 있고, 이하에서는 상기 전력정보의 내용이 전기요금인 경우를 예로 설명한다.
상기 온피크 시간구간과 오프피크 시간구간을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전기제품이 전력공급원으로부터 전력정보를 수신한 뒤 전기제품에 설정된 소정값(S)을 수신한 전력정보와 비교함으로써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전력정보가 전기요금의 형태로 제공된다면 상기 소정값(S)은 사용자, 전기제품의 제어부 등에 의해 입력된 소정 전기요금 데이터가 될 것이다.
다만, 상기 전기제품이 전력정보와 소정값을 비교, 분석하여 온피크 시간구간과 오프피크 시간구간을 판단하지 않고, 전기제품의 외부로부터 온피크 시간구간과 오프피크 시간구간의 정보가 곧바로 전기제품에 제공되는 경우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즉, 전력공급원과 같이 전기제품의 외부에 위치한 전력정보 제공자가 상기 전기제품으로 온피크 시간구간과 오프피크 시간구간의 구분정보를 직접 제공할 수도 있다.
온피크 시간구간과 오프피크 시간구간을 확인한 다음 본 발명 제어방법은 상기 온피크 시간구간에 전기제품의 구동시간이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사용자가 상기 전기제품에 설정된 다수의 운전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 경우를 가정해보자. 전기제품에 구비된 운전모드는 단일 행정을 수행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지만, 다수의 행정이 일정한 순서로 조합된 형태로 구비됨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어떤 운전모드를 선택하면 전기제품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는 선택된 운전모드의 실행예정시점, 설정된 총 구동시간 및 실행종료시점을 판단할 수 있고, 실행예정시점과 실행종료시점 사이에 온피크 시간구간이 위치하면 온피크 시간구간에 전기제품의 구동시간이 포함되었다고 판단하게 된다.
한편, 수신된 전력정보가 소정값(S)을 초과하는 온피크 시간구간이라고 판단한 경우 본 발명 제어방법은 전기제품을 구성하는 다수의 전력소비유닛 중 일부 전력소비유닛의 기능수행을 제한하도록 전기제품을 제어하게 된다.
전기제품은 전력을 공급받아 고유한 기능을 수행하는 다수의 전력소비유닛의 조합이다. 예를들면, 냉장고는 음식이 저장되는 공간 내부에 냉기를 공급하기 위해 구비되는 증발기와 압축기 등이 조합된 전기제품으로 정의될 수 있고, 세탁장치는 세탁수가 저장되는 터브에 구비되어 세탁수를 가열하는 가열장치, 터브 내부에서 회전하는 드럼에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등이 조합된 전기제품으로 정의될 수 있다.
한편, 기능수행이 제한되는 전력소비유닛은 전기제품을 구성하는 다수의 전력소비유닛 중 소비전력량이 일정 기준값 이상인 전력소비유닛, 또는 가장 소비전력량이 큰 전력소비유닛으로 선정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 제어방법은 오프피크 시간구간에서는 원래 전기제품의 운전모드에 설정된 바에 따라 전력소비유닛을 실행시키나, 온피크 시간구간 내에서는 전력소비유닛 중 일부 전력소비유닛은 그 기능수행을 제한한다(나머지 일부 전력소비유닛은 고유한 기능을 수행함).
또한, 상기 기능수행이 제한되는 전력소비유닛은 전기제품의 고유한 기능을 유지하기 위한 메인 전력소비유닛이 아니라 전기제품에 부가적 기능을 부여하는 서브 전력소비유닛만을 기능수행 제한 대상으로 삼으로 수 있다.
즉, 냉장고와 같은 전기제품의 경우에는 음식이 저장되는 저장부의 온도를 일정온도 이하로 낮추는 것을 고유한 기능으로 정의할 때 저장부 내부를 밝혀주는 발광부나 얼음을 생산하여 사용자 편의를 향상시키는 제빙부 등이 서브 전력소비유닛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는 온피크 시간구간내 일부 전력소비유닛의 기능을 제한함으로써 전기요금을 절감하되 전기제품 고유기능 저하를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도 6 (b)는 본 발명 제어방법의 시간구간에 따른 전기제품의 소비전력량의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6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제어방법은 온피크 시간구간에서는 전기제품의 전력소비유닛 중 일부 전력소비유닛의 기능을 제한하므로 전기제품의 동작은 유지시키되 전기제품의 소비전력량이 오프피크 시간구간에 비해 현저히 줄어들게 된다.
이 경우, 온피크 시간구간에서 구동하는 전력소비유닛의 갯 수, 전력소비량, 전기요금, 구동시간은 오프피크 시간구간에서 구동하는 전력소비유닛의 갯수, 전력소비량, 전기요금, 구동시간에 비해 작도록 기능수행이 제한되는 전력소비유닛을 선정함이 바람직하다.
다만, 상술한 '전력소비유닛의 기능을 제한'한다는 의미는 온피크 시간구간에서는 전력소비유닛의 기능수행을 중단시킨다는 의미와, 기능수행을 오프피크 시간구간으로 연기하거나 또는 앞 당겨 실행한다는 의미 및 온피크 시간구간에서 전력소비유닛을 구동시키되 출력을 낮추어 구동시키는 의미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즉, 본 발명 제어방법에 따르면 전기제품은 온피크 시간구간 내에서 일부 전력소비유닛이 동작하지 않도록 제어되거나 원래 설정된 구동시간보다 작은 시간동안 구동(저출력제어)될 수도 있고, 온피크 시간구간에서 실행되어야 할 전기제품의 전력소비유닛을 오프피크 시간구간으로 이동시켜 실행할 수도 있다.
다만, 본 발명 제어방법은 온피크 시간구간이 종료된 뒤 오프피크 시간구간이 시작되면 전력소비유닛의 기능수행 제한을 해제시키도록 전기제품을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도 7은 전기제품의 일례인 냉장고의 개념도로, 이하에서는 도 7을 참고하여 본 발명 전기제품의 제어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전기제품의 일례인 냉장고는 음식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공급부와, 상기 전기제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전력공급원으로부터 전력정보를 수신(에너지관리장치)할뿐만 아니라 전기제품에 구비된 다수의 전력소비유닛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이다. 다만, 상기 제어부는 전력정보 수신을 위한 제1제어부(에너지관리장치)와 전력소비유닛을 제어하기 위한 제2제어부로 분리하여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냉기공급부는 액체 냉매가 저장부 내부의 공기로부터 열을 공급받아 증발되는 증발기와, 증발된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압축된 고압냉매를 저장부 외부의 공기와 열교환시켜 응축시키는 응축기와, 응축된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제어방법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온피크 시간구간에서 전기제품의 일부 전력소비유닛의 기능수행을 제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데, 상기 일부 전력소비유닛의 기능수행을 제한하는 단계는 상기 압축기의 기능수행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압축기의 기능수행을 중단시키게 되면 냉매가 저장부 내부의 공기와 열교환할 수 있는 능력이 떨어지게 되므로 상기 전력소비유닛의 기능수행을 제한하는 단계는 상기 압축기가 원래 설정된 출력보다 낮은 출력을 내도록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냉장고는 상기 저장부와 선택적으로 연통하는 축냉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축냉부는 냉기를 제공받을 경우 어는 축냉제와 상기 축냉제를 저장공간과 단열시키는 단열재(진공 내지 발포재 등)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일부 전력소비유닛의 기능수행을 제한하는 단계는 온피크 시간구간에서 상기 압축기의 기능수행을 중단하되, 상기 축냉부에 저장된 냉기를 상기 저장부에 공급할 수 있도록 제어될 수 있다.
즉, 상기 축냉부는 오프피크 시간구간에서는 냉기를 저장하였다가 온피크 시간구간에서는 저장된 냉기를 저장부에 공급할 수 있도록 제어되므로 온피크 시간구간에서 압축기의 기능수행을 중단시켜도 냉장고의 성능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냉장고는 상기 증발기를 소정 주기로 제상하는 제상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상부는 증발기의 표면을 가열하는 히터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일부 전력소비유닛의 기능을 제한하는 단계는 온피크 시간구간에서 상기 제상부의 기능수행을 제한하는 단계로 구비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상기 제상부는 일정한 주기로 구동하여 상기 증발기의 표면에 형성된 성애를 제거하므로 특별한 사정이 없는한 설정된 주기 이내에 제상부의 구동이 요구되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제상부의 구동주기가 온피크 시간구간 위치한 경우 상기 전력소비유닛의 기능을 제한하는 단계는 제상부의 기능수행을 중단시킬 수도 있고, 온피크 시간구간 이전에 구비되는 오프피크 시간구간에 제상부를 앞 당겨 구동할 수도 있으며, 온피크 시간구간 이후에 구비되는 오프피크 시간구간으로 제상부의 구동을 지연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전력소비유닛의 기능을 제한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상부를 낮은 출력으로 구동하도록 제어하여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전력소비유닛의 기능을 제한하는 단계가 온피크 시간구간에서 상기 제상부의 구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냉장고는 상기 증발기의 온도(또는 냉매의 온도) 변화를 측정하는 온도측정수단을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증발기는 저장부 내부의 공기로부터 열을 공급받아 냉매가 기화되는 구성이므로 상기 증발기 표면에 성에가 많이 발생하면 열교환이 어려워져 냉매의 온도 상승이 둔화된다(증발기 표면온도 상승도 둔화됨).
따라서, 상기 전력소비유닛의 기능을 제한하는 단계는 상기 온도측정수단이 감지한 온도변화가 일정한 범위(정상온도변화범위)에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만 상기 제상부의 기능수행을 중단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냉장고는 상기 저장부의 내부에 빛을 조사하는 다수의 발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부는 다수의 램프로 구비될 수 있고, 사용자가 저장부에 구비된 도어를 열면 자동으로 발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력소비유닛의 기능수행을 제한하는 단계는 온피크 시간구간에서 상기 발광부의 기능수행을 중단시키거나, 상기 다수의 발광부 중 일부 발광부만 기능수행을 중단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냉장고가 저장부 외부의 조도를 판단할 수 있는 조도감지부를 더 포함한다면 상기 전력소비유닛의 기능수행을 제한하는 단계는 저장부 외부의 조도에 따라 상기 발광부의 출력을 조절하거나 일부 발광부만을 선택적으로 기능제한 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냉장고는 얼음을 생산하는 제빙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전력소비유닛의 기능수행을 제한하는 단계는 온피크 시간구간에서 상기 제빙부의 기능수행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장고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인출 및 인입 가능한 드로워와, 상기 드로워의 인출과 인입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는 인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로워는 음식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으로 상기 냉기공급부에 의해 냉기를 공급받을 수 있으며, 사용자가 하우징의 외부로 인출할 수 있는 구성이다. 상기 인출부는 사용자가 드로워를 하우징에서 인출하거나 하우징으로 인입하는 것을 보조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하우징 외부로 드로워를 인출하는 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인출부가 작동하여 드로워의 인출방향으로 드로워를 밀어주고, 드로워의 인입신호가 감지되면 드로워의 입입이 용이하도록 드로워를 인입방향으로 당겨주게 된다.
상기 인출부는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나 모터, 모터에 구비된 기어, 상기 기어와 치합되되 드로워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레일의 형태가 일례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상기 전력소비유닛의 기능수행을 제한하는 단계는 온피크 시간구간에서 상기 인출부의 기능수행을 중단시킬 수 있다.
다만, 상술한 드로워는 냉장고에 구비되어 음식이 저장되는 구성으로 설명하였으나 냉장고 이외의 전기제품에 구비되는 드로워 및 인출부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 8은 전기제품의 일례인 식기세척기의 개념도로, 이하에서는 도 8을 참고하여 본 발명 전기제품의 제어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식기세척기는 접시와 같은 세척대상이 수용되는 터브와, 세탁수가 저장되는 섬프와, 상기 섬프에 저장된 세척수를 가열하는 가열장치와, 삭이 섬프에 저장된 세척수를 세척대상물에 분사하는 분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상기 전력소비유닛의 기능수행을 제한하는 단계는 온피크 시간구간에서 상기 가열장치의 기능수행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기능수행의 제한의 의미는 가열장치의 기능수행 중단, 가열장치의 저출력제어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다만, 상기 가열장치의 기능수행을 중단하는 경우에는 식기세척기의 성능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섬프로 온수를 공급함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식기세척기는 섬프로 온수를 공급할 수 있는 급수밸브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도 9는 전기제품의 일례인 세탁기의 개념도로, 이하에서는 도 9를 참고하여 본 발명 전기제품의 제어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세탁기는 세탁수가 저장되는 터브와, 상기 터브 내부에 구비되는 드럼을 회전시키는 모터와, 상기 터브에 저장된 세탁수를 가열하는 가열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열장치는 다수의 히터가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되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상기 전력소비유닛의 기능수행을 제한하는 단계는 온피크 시간구간에서 상기 다수의 가열장치 중 일부의 기능수행을 제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 전력공급네트워크 20: 계측장치 30:에너지관리장치

Claims (23)

  1. (a) 전기요금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력정보가 소정값을 초과하는 온피크 시간구간과 상기 소정값 이하가 되는 오프피크 시간구간을 인식하는 단계;
    (b) 전기제품의 구동시간 중 적어도 일부구간이 상기 온피크 시간구간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구동시간 중 적어도 일부구간이 상기 온피크 시간구간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전기제품에 포함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전력소비유닛 중 일부 전력소비유닛의 기능수행이 상기 온피크 시간구간에서 제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제품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구동하는 전력소비유닛의 수량, 또는 소비전력량, 또는 전기요금, 또는 구동시간은 상기 오프피크 시간구간에서 구동하는 전력소비유닛의 수량, 또는 소비전력량, 또는 전기요금, 또는 구동시간보다 작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제품이 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둘 이상의 전력소비유닛 중 상대적으로 높은 소비전력량을 가지거나, 소정 기준량 이상의 소비전력량을 가지는 전력소비유닛의 기능을 제한하도록 상기 전기제품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제품의 제어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기능수행이 제한되는 전력소비유닛은 상기 둘 이상의 전력소비유닛 중 소비전력량이 가장 큰 전력소비유닛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제품의 제어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온피크 시간구간에서 상기 일부 전력소비유닛의 기능수행을 중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제품의 제어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일부 전력소비유닛의 기능수행을 상기 오프피크 시간구간으로 연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제품의 제어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일부 전력소비유닛의 기능수행을 상기 온피크 시간구간 이전에 구비되는 오프피크 시간구간으로 앞 당겨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제품의 제어방법.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온피크 시간구간에서의 상기 일부 전력소비유닛의 출력이 상기 오프피크 시간구간에서의 출력보다 낮은 출력을 가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제품의 제어방법.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온피크 시간구간에서 기능수행이 제한된 상기 일부 전력소비유닛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온피크 시간구간에 이어지는 오프피크 시간구간에서 기능수행 제한을 해제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제품의 제어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전력소비유닛은 음식을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에 냉기를 공급하는 증발기,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를 포함하고,
    상기 (c) 단계는 상기 온피크 시간구간에서 상기 압축기의 기능수행을 제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제품의 제어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전력소비유닛은 상기 저장부에 선택적으로 연통하되 상기 증발기와 열교환하여 냉기가 저장되는 축냉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c) 단계는 상기 압축기의 기능수행 중단 시 상기 축냉부의 냉기를 상기 저장부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제품 제어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피크 시간구간에서 상기 축냉부에 냉기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제품 제어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전력소비유닛은 음식이 저장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에 냉기를 공급하는 증발기,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와, 상기 증발기를 소정의 주기로 제상하는 제상부를 포함하되,
    상기 (c) 단계는 상기 온피크 시간구간에서 상기 제상부의 기능수행을 제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제품의 제어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전력소비유닛은 상기 증발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c) 단계는 상기 온도측정수단이 측정한 온도가 소정 기준온도 이상인 경우에만 상기 제상부의 기능수행을 중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제품의 제어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전력소비유닛은 음식을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에 냉기를 공급하는 증발기,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와, 상기 증발기를 소정의 주기로 제상하는 제상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c) 단계는 상기 주기가 상기 온피크 시간구간에 속하는 경우, 상기 오프피크 시간구간에서 상기 제상부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제품의 제어방법.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전력소비유닛은 음식을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공급부와, 상기 저장부에 빛을 조사하는 발광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c) 단계는 상기 온피크 시간구간에서 상기 발광부의 기능수행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제품의 제어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적어도 두 개이상 구비되고,
    상기 (c) 단계는 상기 온피크 시간구간에서 상기 발광부 중 일부만 기능수행을 중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제품의 제어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실 외부의 조도를 판단하는 조도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c) 단계는 상기 조도감지부에서 감지한 조도가 소정의 조도기준값 이상일 때 상기 일부 발광부의 기능수행을 중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전기제품의 제어방법.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전력소비유닛은 음식을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공급부와, 얼음을 생산하는 제빙부를 포함하고,
    상기 (c) 단계는 상기 온피크 시간구간에서 상기 제빙부의 기능수행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제품의 제어방법.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전력소비유닛은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인출 및 인입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드로워와, 상기 드로워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공급부와, 상기 저장드로워의 인출 및 인입에 필요한 동력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인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c) 단계는 상기 온피크 시간구간에서 상기 인출부의 기능수행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제품의 제어방법.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전력소비유닛은 세척대상물이 수용되는 터브와, 세탁수가 저장되는 섬프와, 상기 섬프에 저장된 세척수를 가열하는 가열장치와, 상기 섬프에 저장된 세척수를 상기 세척대상물에 분사하는 분사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c) 단계는 상기 온피크 시간구간에서 상기 가열장치의 기능수행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제품의 제어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전력소비유닛은 상기 섬프로 온수 또는 냉수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급수밸브를 더 포함하되,
    상기 온피크 시간구간에서 상기 섬프로 온수가 급수될 수 있도록 상기 급수밸브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제품 제어방법.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전력소비유닛은 세탁수가 저장되는 터브와, 상기 터브 내부에 구비되는 드럼을 회전시키는 모터와, 상기 터브에 구비되어 세탁수를 가열하는 다수의 가열장치를 더 포함하되,
    상기 (c) 단계는 상기 온피크 시간구간에서 상기 다수의 가열장치 중 일부 가열장치의 기능수행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제품 제어방법.
KR1020100059930A 2009-10-26 2010-06-24 전기제품의 제어방법 KR20110139858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9930A KR20110139858A (ko) 2010-06-24 2010-06-24 전기제품의 제어방법
CN2010800485159A CN102598580A (zh) 2009-10-26 2010-10-26 网络系统及其控制方法
PCT/KR2010/007357 WO2011052956A2 (en) 2009-10-26 2010-10-26 Network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EP10827040.6A EP2494735B1 (en) 2009-10-26 2010-10-26 Network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3/504,336 US20120215370A1 (en) 2009-10-26 2010-10-26 Network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9930A KR20110139858A (ko) 2010-06-24 2010-06-24 전기제품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9858A true KR20110139858A (ko) 2011-12-30

Family

ID=45505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9930A KR20110139858A (ko) 2009-10-26 2010-06-24 전기제품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3985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94735B1 (en) Network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8543250B2 (en) Electric applian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US9684358B2 (en) Electrical appliance
US9373095B2 (en) Method of controlling component for network system
US20140303801A1 (en) Network system
US9407114B2 (en) Network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721873B1 (ko) 전기제품의 제어방법
KR20110042862A (ko) 전력공급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10119321A (ko) 전기제품의 소비전력 산정방법
KR20110139858A (ko) 전기제품의 제어방법
KR101955875B1 (ko) 냉장고
KR20120017182A (ko) 스마트 디바이스
KR101781221B1 (ko) 네트워크 시스템
KR20120000294A (ko) 전기제품의 제어방법
KR20120016740A (ko) 스마트 디바이스
KR101802094B1 (ko) 네트워크 시스템
KR101660539B1 (ko)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677767B1 (ko) 네트워크 시스템
KR101788045B1 (ko) 히트펌프식 냉난방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915817B1 (ko) 네트워크 시스템
KR101656884B1 (ko) 네트워크 시스템
KR101918297B1 (ko) 가전제품
KR101674954B1 (ko) 통신컴포넌트의 제어방법
KR20120005188A (ko) 전기제품의 제어방법
KR101967469B1 (ko) 가전제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