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9782A - 이동통신 단말기 간 실시간 스트리밍을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 간 실시간 스트리밍을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9782A
KR20110139782A KR1020100059812A KR20100059812A KR20110139782A KR 20110139782 A KR20110139782 A KR 20110139782A KR 1020100059812 A KR1020100059812 A KR 1020100059812A KR 20100059812 A KR20100059812 A KR 20100059812A KR 20110139782 A KR20110139782 A KR 201101397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audio
video
time streaming
re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9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1742B1 (ko
Inventor
우상욱
이상봉
최우준
신용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598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1742B1/ko
Priority to US13/167,843 priority patent/US9497245B2/en
Publication of KR201101397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97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17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17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65Network streaming protocols, e.g. real-time transport protocol [RTP] or real-time control protocol [RTC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7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characterised by the inclusion of specific contents
    • H04L51/10Multimedia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70Media network packet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75Media network packet handling
    • H04L65/762Media network packet handling at the sour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43Communication protocols
    • H04N21/64322I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43Communication protocols
    • H04N21/6437Real-time Transport Protocol [RT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8Information format or content conversion, e.g. adaptation by the network of the transmitted or received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wireless delivery to user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간 실시간 스트리밍을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간 실시간 스트리밍을 위한 서버 단말의 동작 방법은, IP(Internet Protocol) 기반 패킷 서비스 망에 접속하는 과정과, 오디오/비디오 데이터를 TS(Transport Stream) 다중화하여 TS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접속된 IP 기반 패킷 서비스 망을 통해, 상기 생성된 TS 데이터를 실시간 스트리밍 방식으로 클라이언트 단말에게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 간 실시간 스트리밍을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LIVE STREAMING BETWE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간 실시간 스트리밍을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별도의 실시간 스트리밍 서버에 대한 경유 없이, 서버 단말과 클라이언트 단말 간 실시간 스트리밍을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과 같은 개인이 휴대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보급이 일반화되고 있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통신 기술의 발전에 따라 통화 기능이나 SMS(Short Message Service) 기능과 같은 통신 기능 이외에도 각종 이미지와 소리들을 이용한 게임 기능, 알람 기능, MP3 플레이어 기능 등과 같은 부가 기능들을 제공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는 고유의 통화 기능 이외에도 다양한 사용상 편의를 제공받게 된다.
또한, 최근에는 실시간 스트리밍 서비스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출시되고 있다. 여기서, 스트리밍이란, 디지털 파일을 다수의 패킷으로 분할하여 연이어 실시간 전송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종래의 실시간 스트리밍 서비스는, 단말이 촬영을 통해 획득한 비디오/오디오 데이터를 실시간 스트리밍 서버로 전송하면, 상기 실시간 스트리밍 서버가 비디오/오디오 데이터를 실시간 스트리밍에 알맞은 타입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비디오/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실시간 스트리밍 서버에 접속된 타 단말에게 실시간 스트리밍 방식으로 전송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실시간 스트리밍 서비스를 위해서는 RTP(Real-Time Transport Protocol), RTSP(Real-Time Streaming Protocol) 등의 실시간 스트리밍 프로토콜이 구현된 별도의 실시간 스트리밍 서버가 외부에 존재해야 하며, 실시간 스트리밍 프로토콜이 구현된 플레이어(예, PC, 단말)만이 상기 실시간 스트리밍 서버에 접속하여 실시간 스트리밍 데이터를 수신 및 재생할 수 있다. 즉, 실시간 스트리밍 프로토콜이 구현되지 않은 플레이어에서는 실시간 스트리밍 데이터를 수신 및 재생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 간 실시간 스트리밍을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별도의 실시간 스트리밍 서버에 대한 경유 없이, IP 기반 패킷 서비스 망에 접속된 서버 단말과 클라이언트 단말 간 실시간 스트리밍을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실시간 스트리밍 프로토콜이 구현되지 않은 단말이 IP(Internet Protocol) 기반 패킷 서비스 망에 접속하여 실시간 스트리밍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서버 단말이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IP 기반 패킷 서비스 망에 접속한 후, TS(Personer Computer) 다중화기를 이용하여 TS 데이터를 생성하며, 별도의 실시간 스트리밍 서버를 경유하지 않고, 상기 생성된 TS 데이터를 실시간 스트리밍 방식으로 클라이언트 단말에게 전송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HTT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IP 기반 패킷 서비스 망에 접속한 후, 별도의 실시간 스트리밍 서버를 경유하지 않고, 서버 단말로부터 실시간 스트리밍 방식으로 TS 데이터를 수신한 후, 상기 수신된 TS 데이터를 TS 역다중화기를 이용하여 재생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견지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 간 실시간 스트리밍을 위한 서버 단말의 동작 방법은, IP(Internet Protocol) 기반 패킷 서비스 망에 접속하는 과정과, 오디오/비디오 데이터를 TS(Transport Stream) 다중화하여 TS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접속된 IP 기반 패킷 서비스 망을 통해, 상기 생성된 TS 데이터를 실시간 스트리밍 방식으로 클라이언트 단말에게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 견지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 간 실시간 스트리밍을 위한 클라이언트 단말의 동작 방법은, IP 기반 패킷 서비스 망에 접속하는 과정과, 상기 접속된 IP 기반 패킷 서비스 망을 통해, 서버 단말로부터 상기 서버 단말에 의해 생성된 TS 데이터를 실시간 스트리밍 방식으로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TS 데이터를 TS 역다중화하여 원래의 오디오/비디오 데이터를 복원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3 견지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 간 실시간 스트리밍을 위한 서버 단말은, 오디오/비디오 데이터를 TS 다중화하여 TS 데이터를 생성하는 TS 다중화기와, IP 기반 패킷 서비스 망에 접속하고, 상기 접속된 IP 기반 패킷 서비스 망을 통해, 상기 생성된 TS 데이터를 실시간 스트리밍 방식으로 클라이언트 단말에게 전송하는 HTTP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4 견지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 간 실시간 스트리밍을 위한 클라이언트 단말은, IP 기반 패킷 서비스 망에 접속하고, 상기 접속된 IP 기반 패킷 서비스 망을 통해, 서버 단말로부터 상기 서버 단말에 의해 생성된 TS(Transport Stream) 데이터를 실시간 스트리밍 방식으로 수신하는 HTTP 처리부와, 상기 수신된 TS 데이터를 TS 역다중화하여 원래의 오디오/비디오 데이터를 복원하는 TS 역다중화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별도의 실시간 스트리밍 서버에 대한 경유 없이, IP 기반 패킷 서비스 망에 접속된 서버 단말과 클라이언트 단말 간 실시간 스트리밍 방안을 제공함으로써, 실시간 스트리밍 프로토콜이 구현되지 않은 단말의 경우에도 IP 기반 패킷 서비스 망에 접속하여 실시간 스트리밍을 수행할 수 있으며, 외부에 실시간 스트리밍 서버를 별도로 두지 않으므로, 부가적인 저장장치(storage)를 필요로 하지 않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간 실시간 스트리밍을 위한 서버 단말과 클라이언트 단말의 장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간 실시간 스트리밍을 위한 서버 단말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간 실시간 스트리밍을 위한 클라이언트 단말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간 실시간 스트리밍을 위한 TS(Transport Stream) 데이터의 포맷을 도시한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 간 실시간 스트리밍 방안을 제시한다. 특히, 별도의 실시간 스트리밍 서버를 경유하지 않고도, 서버 단말과 클라이언트 단말이 내부 TS(Transport Stream) 다중화기(Muxer)/역다중화기(De-muxer)를 이용하여 실시간 스트리밍을 수행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한다.
이하 설명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는 셀룰러 전화기(Cellular phone), 개인휴대통신 전화기(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 PCS), 복합무선단말기(Personal Data Assistant : PDA),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단말기, PC(Personer Computer), 노트북 등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며, 이하 설명은 상기 예들의 일반적인 구성을 가지고 설명할 것이다.
또한, 이하 설명에서 서버 단말과 클라이언트 단말은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IP(Internet Protocol) 기반 패킷 서비스(Packet Service) 망(예, LTE, WiFi 망)에 접속이 가능한 단말로서, 서버 단말은 실시간 스트리밍용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말을 의미하고, 클라이언트 단말은 실시간 스트리밍용 데이터를 제공받아 재생하는 단말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간 실시간 스트리밍을 위한 서버 단말과 클라이언트 단말의 장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 단말(100)은 카메라부(Camera Module)(102), 비디오 코덱(CODEC : Coder-Decoder)(104), 마이크(106), 오디오 코덱(108), TS 다중화기(110), 제어부(MPU: Micro-Processor Unit)(112), HTTP 처리부(114), 통신모듈(116), 메모리(Memory)(118), 입력부(120), 표시부(1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클라이언트 단말(130)은 표시부(132), 비디오 코덱(134), 스피커(136), 오디오 코덱(138), TS 역다중화기(140), 제어부(142), HTTP 처리부(144), 통신모듈(146), 메모리(148), 입력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도 1을 참조하여, 먼저, 서버 단말(100)의 장치 구성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카메라부(102)는 영상 촬영시에 감지되는 광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 센서와, 상기 카메라 센서로부터 촬영되는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를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로 변환하는 신호처리부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 센서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센서로, 상기 신호처리부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로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비디오 코덱(104)는 상기 카메라부(102)로부터 제공받은 비디오(V: Video) 데이터를 설정된 방식으로 인코딩하여 출력한다.
상기 마이크(106)는 음성 등의 오디오(A: Audio) 데이터를 발생한다.
상기 오디오 코덱(108)는 상기 마이크(106)로부터 제공받은 A 데이터를 설정된 방식으로 인코딩하여 출력한다.
상기 TS 다중화기(110)는 상기 오디오 코덱(108)/비디오 코덱(104)으로부터 제공받은 인코딩된 A/V 데이터를 TS 다중화하여 TS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TS 데이터를 제어부(112)로 제공한다.
상기 제어부(112)는 상기 서버 단말(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통신 및 데이터통신을 위한 처리 및 제어를 수행하고, 통상적인 기능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 간 실시간 스트리밍을 하기 위한 기능을 처리한다. 특히, 상기 제어부(112)는 HTT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IP 기반 패킷 서비스 망에 접속한 후, TS 다중화기(110)를 이용하여 TS 데이터를 생성하며, 별도의 실시간 스트리밍 서버를 경유하지 않고, 상기 생성된 TS 데이터를 실시간 스트리밍 방식으로 클라이언트 단말(130)에게 전송하기 위한 기능을 처리한다.
상기 HTTP 처리부(114)는 HTT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IP 기반 패킷 서비스 망에 접속한 후, 클라이언트 단말(130)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제어부(112)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생성된 TS 데이터를, 별도의 실시간 스트리밍 서버를 경유하지 않고, 통신모듈(116)을 통해 실시간 스트리밍 방식으로 클라이언트 단말(130)에게 전송한다.
상기 통신모듈(116)은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변환하는 RF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상기 메모리(118)는 상기 제어부(112)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의 마이크로코드와 각종 참조 데이터를 저장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 간 실시간 스트리밍을 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또한, 상기 메모리(118)는 각종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하는 일시적인 데이터를 저장하고, 예를 들어 상기 생성된 TS 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입력부(120)는 숫자키 버튼과, 메뉴버튼(menu), 취소버튼(지움), 확인버튼, 촬영버튼 등 다수의 기능키들을 구비하며, 사용자가 누르는 키에 대응하는 키입력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112)로 제공한다.
상기 표시부(122)는 상기 서버 단말(100)의 동작 중에 발생되는 상태 정보, 제한된 숫자의 문자들, 다량의 동영상 및 정지영상 등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표시부(122)는 칼라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 이하 'LCD'라 칭함))를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클라이언트 단말(130)의 장치 구성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표시부(132)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30)의 동작 중에 발생되는 상태 정보, 제한된 숫자의 문자들, 다량의 동영상 및 정지영상 등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표시부(132)는 LCD를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라 상기 표시부(132)는 비디오 코덱(134)으로부터 제공받은 V 데이터를 재생한다.
상기 비디오 코덱(134)는 상기 TS 역다중화기(140)로부터 제공받은 인코딩된 V 데이터를 서버 단말(100)에 설정된 방식으로 디코딩하여 원래의 V 데이터를 복원하고, 복원된 V 데이터를 표시부(132)로 출력한다.
상기 스피커(136)는 오디오 코덱(138)으로부터 제공받은 A 데이터를 재생한다.
상기 오디오 코덱(138)는 상기 TS 역다중화기(140)로부터 제공받은 인코딩된 A 데이터를 서버 단말(100)에 설정된 방식으로 디코딩하여 원래의 A 데이터를 복원하고, 복원된 A 데이터를 스피커(136)로 출력한다.
상기 TS 역다중화기(140)는 제어부(142)로부터 제공받은 TS 데이터를 TS 역다중화하여 인코딩된 A/V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인코딩된 A/V 데이터를 상기 오디오 코덱(138)/비디오 코덱(134)으로 제공한다.
상기 제어부(142)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3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통신 및 데이터통신을 위한 처리 및 제어를 수행하고, 통상적인 기능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 간 실시간 스트리밍을 하기 위한 기능을 처리한다. 특히, 상기 제어부(142)는 HTT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IP 기반 패킷 서비스 망에 접속한 후, 별도의 실시간 스트리밍 서버를 경유하지 않고, 서버 단말(100)로부터 실시간 스트리밍 방식으로 TS 데이터를 수신한 후, 상기 수신된 TS 데이터를 TS 역다중화기(140)를 이용하여 재생하기 위한 기능을 처리한다.
상기 HTTP 처리부(144)는 HTT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IP 기반 패킷 서비스 망에 접속한 후, 서버 단말(100)로 요청하여, 별도의 실시간 스트리밍 서버를 경유하지 않고, 서버 단말(100)로부터 통신모듈(146)을 통해 실시간 스트리밍 방식으로 TS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TS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142)로 출력한다.
상기 통신모듈(146)은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변환하는 RF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상기 메모리(148)는 상기 제어부(142)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의 마이크로코드와 각종 참조 데이터를 저장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 간 실시간 스트리밍을 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또한, 상기 메모리(148)는 각종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하는 일시적인 데이터를 저장하고, 예를 들어 상기 수신된 TS 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입력부(150)는 숫자키 버튼과, 메뉴버튼(menu), 취소버튼(지움), 확인버튼, 촬영버튼 등 다수의 기능키들을 구비하며, 사용자가 누르는 키에 대응하는 키입력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142)로 제공한다.
한편,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30)이 DMB 데이터의 수신 및 재생이 가능한 단말인 경우,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30)은 DMB용 통신모듈(도시하지 않음)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며, 상기 DMB 통신모듈(도시하지 않음)은 방송용 채널을 통해, TS 데이터 수신 경로와 별도의 경로로, DMB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DMB 데이터를 제어부(142)로 출력한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142)는 DMB 데이터용으로 TS 역다중화기(140)를 초기화한 후, 상기 수신된 DMB 데이터를 TS 역다중화기(140)로 제공하며, 상기 TS 역다중화기(140)는 상기 DMB 데이터를 처리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간 실시간 스트리밍을 위한 서버 단말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서버 단말은 201단계에서 HTT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IP 기반 패킷 서비스 망(예, LTE, WiFi 망)에 접속한다.
이후, 상기 서버 단말은 203단계에서 A/V 데이터 생성 모드에서 A/V 데이터의 실시간 스트리밍을 위한 메뉴가 선택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여기서, 상기 A/V 데이터 생성 모드는, 마이크/카메라를 구동하여 A/V 데이터를 생성하는 모드를 의미한다.
상기 203단계에서, A/V 데이터 생성 모드에서 A/V 데이터의 실시간 스트리밍을 위한 메뉴가 선택됨이 판단될 시, 상기 서버 단말은 205단계에서 인스턴트 메시지를 생성하여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인스턴트 메시지는, 서버 단말 자신의 IP 주소와 인코딩 정보(예를 들어, A/V 데이터 코덱 종류), 실시간 스트리밍을 위한 채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혹은 다른 방법으로, SNS(Social Network Service) 서버와 연동하여, SNS 서버에 등록된 서버 단말 자신의 계정에 서버 단말 자신의 IP 주소와 인코딩 정보(예를 들어, A/V 데이터 코덱 종류), 실시간 스트리밍을 위한 채널에 대한 정보를 업로드하고, 이로써 주변 사람들에게 해당 정보를 알릴 수 있다.
이후, 상기 서버 단말은 207단계에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TS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하는 접속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이와 같은 접속 요청 메시지는 서버 단말 자신의 IP 주소를 이용하여 클라이언트 단말에 의해 전송된다.
상기 207단계에서, 기 결정된 시간 동안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접속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음이 판단될 시, 상기 서버 단말은 본 발명에 따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반면, 상기 207단계에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접속 요청 메시지가 수신됨이 판단될 시, 상기 서버 단말은 209단계에서 상기 인코딩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A/V 데이터 생성 모드에서 획득된 A/V 데이터를 인코딩한다. 이를 위해, 상기 서버 단말은 상기 인코딩 정보를 기반으로 내부 코덱을 설정한다. 만약,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수신된 접속 요청 메시지에,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의해 지원 가능한 인코딩 정보(예를 들어, A/V 데이터 코덱 종류)가 포함되어 있다면, 상기 서버 단말은 서버 단말 자신의 인코딩 정보가 클라이언트 단말에 의해 지원 불가능함을 인지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의해 지원 가능한 인코딩 정보를 기반으로 코덱을 설정한다.
이후, 상기 서버 단말은 211단계에서 상기 인코딩된 A/V 데이터를 TS 다중화하여 TS 데이터를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TS 다중화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서버 단말은 상기 인코딩된 A/V 데이터를 소정의 압축 알고리듬(예, MPEG(Moving Pictures Expert Group)2)을 이용하여 압축하고, 압축된 비트열을 패킷 형태로 묶어서 다수의 A/V 패킷으로 변환한 후, 도 4와 같이, 변환된 다수의 A/V 패킷 및 각 A/V 패킷의 TS 헤더를 포함하는 TS 데이터를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TS 헤더는 해당 패킷이 A 패킷인지 또는 V 패킷인지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프로그램 식별자(PID: Program Identification)와, 동기 획득을 위한 프로그램 클럭 참조(PCR: Program Clock Reference)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후, 상기 서버 단말은 213단계에서 상기 채널을 통해 실시간 스트리밍 방식으로, 상기 생성된 TS 데이터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한 후, 본 발명에 따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간 실시간 스트리밍을 위한 클라이언트 단말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클라이언트 단말은 301단계에서 HTT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IP 기반 패킷 서비스 망(예, LTE, WiFi 망)에 접속한다.
이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은 303단계에서 서버 단말로부터 인스턴트 메시지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여기서, 상기 인스턴트 메시지는, 서버 단말의 IP 주소와 인코딩 정보(예를 들어, A/V 데이터 코덱 종류), 실시간 스트리밍을 위한 채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혹은 다른 방법으로, SNS(Social Network Service) 서버와 연동하여, SNS 서버에 등록된 상기 서버 단말의 계정에서 서버 단말의 IP 주소와 인코딩 정보(예를 들어, A/V 데이터 코덱 종류), 실시간 스트리밍을 위한 채널에 대한 정보를 다운로드하고, 이로써 해당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303단계에서, 상기 서버 단말로부터 인스턴트 메시지가 수신됨이 판단될 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은 305단계에서 표시화면에 상기 수신된 인스턴트 메시지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의 사용자는 서버 단말에 의해 제공 가능한 TS 데이터에 대한 수신 또는 비수신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이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은 307단계에서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라 TS 데이터 수신 메뉴가 선택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상기 307단계에서, 기 결정된 시간 동안 TS 데이터 수신 메뉴가 선택되지 않음이 판단될 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은 본 발명에 따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반면, 상기 307단계에서, TS 데이터 수신 메뉴가 선택됨이 판단될 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은 309단계에서 TS 데이터용으로 내부 TS 역다중화기를 초기화한다. 이는 TS 역다중화기가 TS 데이터용 외에 다른 용도(예, DMB 데이터용)로도 사용되는 경우를 가정한 것으로, 만약 TS 역다중화기가 오직 TS 데이터용으로만 사용된다면, 상기 309단계는 생략될 수 있다.
이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은 311단계에서 TS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하는 접속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접속 요청 메시지를 상기 서버 단말의 IP 주소를 이용하여 상기 서버 단말로 전송한다. 만약, 상기 서버 단말의 인코딩 정보(예를 들어, A/V 데이터 코덱 종류)가 클라이언트 단말에 의해 지원 불가능한 인코딩 정보라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은 상기 접속 요청 메시지에 클라이언트 단말 자신에 의해 지원 가능한 인코딩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서버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은 313단계에서 상기 서버 단말로부터 상기 채널을 통해 실시간 스트리밍 방식으로 TS 데이터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상기 313단계에서, 상기 서버 단말로부터 실시간 스트리밍 방식으로 TS 데이터가 수신됨이 판단될 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은 315단계에서 상기 수신된 TS 데이터를 TS 역다중화하여 A/V 데이터를 획득한다. 여기서, 상기 TS 역다중화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은 상기 수신된 TS 데이터에서 다수의 A/V 패킷 및 각 A/V 패킷의 TS 헤더를 검출하고, 검출된 다수의 A/V 패킷과 각 A/V 패킷의 TS 헤더를 기반으로 비트열을 복원하며, 복원된 비트열에 대해 소정의 압축 알고리듬(예, MPEG(Moving Pictures Expert Group)2)을 이용하여 압축 해제함으로써, 인코딩된 A/V 데이터를 획득한다. 여기서, 상기 TS 헤더는 해당 패킷이 A 패킷인지 또는 V 패킷인지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프로그램 식별자(PID: Program Identification)와, 동기 획득을 위한 프로그램 클럭 참조(PCR: Program Clock Reference)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은 상기 PCR을 이용하여 동기를 획득할 수 있다.
이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은 317단계에서 상기 인코딩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획득된 A/V 데이터를 디코딩한다.
이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은 319단계에서 상기 디코딩된 A/V 데이터를 재생한 후, 본 발명에 따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카메라부 102, 비디오 코덱 104, 마이크 106, 오디오 코덱 108, TS 다중화기 110, TTP 처리부 114, 통신모듈 116

Claims (18)

  1. IP(Internet Protocol) 기반 패킷 서비스 망에 접속하는 과정과,
    오디오/비디오 데이터를 TS(Transport Stream) 다중화하여 TS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접속된 IP 기반 패킷 서비스 망을 통해, 상기 생성된 TS 데이터를 실시간 스트리밍 방식으로 클라이언트 단말에게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간 실시간 스트리밍을 위한 서버 단말의 동작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TS 데이터는, 오디오/비디오 패킷과, 상기 오디오/비디오 패킷의 TS 헤더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TS 헤더는 프로그램 식별자(PID: Program Identification)와, 프로그램 클럭 참조(PCR: Program Clock Referen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간 실시간 스트리밍을 위한 서버 단말의 동작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TS 데이터 생성 과정 이전에,
    상기 오디오/비디오 데이터의 실시간 스트리밍을 위한 메뉴가 선택될 시, 인스턴트 메시지를 생성하여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인스턴트 메시지는, 서버 단말 자신의 IP 주소, 인코딩 정보, 실시간 스트리밍을 위한 채널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간 실시간 스트리밍을 위한 서버 단말의 동작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TS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하는 메시지가 수신될 시, 상기 인코딩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오디오/비디오 데이터를 인코딩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TS 데이터는, 상기 인코딩된 오디오/비디오 데이터를 TS 다중화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간 실시간 스트리밍을 위한 서버 단말의 동작 방법.
  5. IP(Internet Protocol) 기반 패킷 서비스 망에 접속하는 과정과,
    상기 접속된 IP 기반 패킷 서비스 망을 통해, 서버 단말로부터 상기 서버 단말에 의해 생성된 TS(Transport Stream) 데이터를 실시간 스트리밍 방식으로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TS 데이터를 TS 역다중화하여 원래의 오디오/비디오 데이터를 복원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간 실시간 스트리밍을 위한 클라이언트 단말의 동작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TS 데이터는, 오디오/비디오 패킷과, 상기 오디오/비디오 패킷의 TS 헤더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TS 헤더는 프로그램 식별자(PID: Program Identification)와, 프로그램 클럭 참조(PCR: Program Clock Referen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간 실시간 스트리밍을 위한 클라이언트 단말의 동작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TS 데이터 수신 과정 이전에,
    상기 서버 단말로부터 인스턴트 메시지가 수신될 시, 상기 인스턴트 메시지를 표시화면에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TS 데이터에 대한 수신 메뉴가 선택될 시, 상기 서버 단말로 TS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인스턴트 메시지는, 서버 단말 자신의 IP 주소, 인코딩 정보, 실시간 스트리밍을 위한 채널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간 실시간 스트리밍을 위한 클라이언트 단말의 동작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TS 데이터에 대한 수신 메뉴가 선택될 시, 내부 TS 역다중화기를 TS 데이터용으로 초기화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간 실시간 스트리밍을 위한 클라이언트 단말의 동작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인코딩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복원된 원래의 오디오/비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과정과,
    상기 디코딩된 원래의 오디오/비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간 실시간 스트리밍을 위한 클라이언트 단말의 동작 방법.
  10. 오디오/비디오 데이터를 TS(Transport Stream) 다중화하여 TS 데이터를 생성하는 TS 다중화기와,
    IP(Internet Protocol) 기반 패킷 서비스 망에 접속하고, 상기 접속된 IP 기반 패킷 서비스 망을 통해, 상기 생성된 TS 데이터를 실시간 스트리밍 방식으로 클라이언트 단말에게 전송하는 HTTP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간 실시간 스트리밍을 위한 서버 단말.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TS 데이터는, 오디오/비디오 패킷과, 상기 오디오/비디오 패킷의 TS 헤더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TS 헤더는 프로그램 식별자(PID: Program Identification)와, 프로그램 클럭 참조(PCR: Program Clock Referen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간 실시간 스트리밍을 위한 서버 단말.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HTTP 처리부는,
    상기 오디오/비디오 데이터의 실시간 스트리밍을 위한 메뉴가 선택될 시, 인스턴트 메시지를 생성하여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하며,
    여기서, 상기 인스턴트 메시지는, 서버 단말 자신의 IP 주소, 인코딩 정보, 실시간 스트리밍을 위한 채널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간 실시간 스트리밍을 위한 서버 단말.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TS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하는 메시지가 수신될 시, 상기 인코딩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오디오/비디오 데이터를 인코딩하는 오디오/비디오 코덱을 더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TS 데이터는, 상기 인코딩된 오디오/비디오 데이터를 TS 다중화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간 실시간 스트리밍을 위한 서버 단말.
  14. IP(Internet Protocol) 기반 패킷 서비스 망에 접속하고, 상기 접속된 IP 기반 패킷 서비스 망을 통해, 서버 단말로부터 상기 서버 단말에 의해 생성된 TS(Transport Stream) 데이터를 실시간 스트리밍 방식으로 수신하는 HTTP 처리부와,
    상기 수신된 TS 데이터를 TS 역다중화하여 원래의 오디오/비디오 데이터를 복원하는 TS 역다중화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간 실시간 스트리밍을 위한 클라이언트 단말.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TS 데이터는, 오디오/비디오 패킷과, 상기 오디오/비디오 패킷의 TS 헤더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TS 헤더는 프로그램 식별자(PID: Program Identification)와, 프로그램 클럭 참조(PCR: Program Clock Referen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간 실시간 스트리밍을 위한 클라이언트 단말.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HTTP 처리부는,
    상기 서버 단말로부터 인스턴트 메시지가 수신될 시, 표시부를 통해 표시화면에 상기 인스턴트 메시지를 출력하고, 입력부를 통해 상기 TS 데이터에 대한 수신 메뉴가 선택될 시, 상기 서버 단말로 TS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며,
    여기서, 상기 인스턴트 메시지는, 서버 단말 자신의 IP 주소, 인코딩 정보, 실시간 스트리밍을 위한 채널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간 실시간 스트리밍을 위한 클라이언트 단말.
  17. 제 16 항에 있어서,
    입력부를 통해 상기 TS 데이터에 대한 수신 메뉴가 선택될 시, 상기 TS 역다중화기는 TS 데이터용으로 초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간 실시간 스트리밍을 위한 클라이언트 단말.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인코딩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복원된 원래의 오디오/비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오디오/비디오 코덱과,
    상기 디코딩된 원래의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스피커와,
    상기 디코딩된 원래의 비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간 실시간 스트리밍을 위한 클라이언트 단말.
KR1020100059812A 2010-06-24 2010-06-24 이동통신 단말기 간 실시간 스트리밍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7017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9812A KR101701742B1 (ko) 2010-06-24 2010-06-24 이동통신 단말기 간 실시간 스트리밍을 위한 장치 및 방법
US13/167,843 US9497245B2 (en) 2010-06-24 2011-06-24 Apparatus and method for live streaming betwe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9812A KR101701742B1 (ko) 2010-06-24 2010-06-24 이동통신 단말기 간 실시간 스트리밍을 위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9782A true KR20110139782A (ko) 2011-12-30
KR101701742B1 KR101701742B1 (ko) 2017-02-02

Family

ID=45353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9812A KR101701742B1 (ko) 2010-06-24 2010-06-24 이동통신 단말기 간 실시간 스트리밍을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497245B2 (ko)
KR (1) KR1017017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43420A1 (ko) * 2022-08-23 2024-02-29 주식회사 팀그릿 실시간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그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03264B1 (en) 2015-06-16 2019-12-10 Snap Inc. Radial gesture navigation
US10530731B1 (en) 2016-03-28 2020-01-07 Snap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hat with audio and video elements
CN106453337A (zh) * 2016-10-21 2017-02-22 安徽协创物联网技术有限公司 一种视频直播构架系统
WO2023000133A1 (zh) * 2021-07-19 2023-01-26 深圳爱特天翔科技有限公司 互联网直播系统
US20230297539A1 (en) * 2022-03-18 2023-09-21 Streaming Global, Inc. Portable cloud services for media and data distribut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65122A1 (en) * 2002-05-24 2007-03-22 Digeo, Inc. System and method for digital multimedia stream conversion
KR20070081385A (ko) * 2006-02-10 2007-08-1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서비스 시스템에서 방송 데이터 전송 장치 및방법
US20090298485A1 (en) * 2006-05-22 2009-12-03 Vidiator Enterpris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obile personal video recorder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6528B1 (ko) * 1995-03-29 1999-10-15 가나이 쓰도무 다중화 압축화상/음성데이타의 복호장치
US7412533B1 (en) * 1997-03-31 2008-08-12 West Corporation Providing a presentation on a network having a plurality of synchronized media types
EP1133190A1 (en) * 2000-03-06 2001-09-12 Canon Kabushiki Kaisha Moving image generation apparatus, moving image playback apparatus, their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US7908628B2 (en) * 2001-08-03 2011-03-15 Comcast Ip Holdings I, Llc Video and digital multimedia aggregator content coding and formatting
EP1359722A1 (en) * 2002-03-27 2003-11-05 BRITISH TELECOMMUNICATIONS public limited company Data streaming system and method
KR100677378B1 (ko) * 2004-11-02 2007-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Wcdma 단말기의 영상 통화 데이터 인코딩 방법
US7899170B2 (en) * 2005-04-28 2011-03-01 Apple Inc. Multi-participant conference setup
JP5394735B2 (ja) * 2005-07-11 2014-01-22 パケットビデオ コーポレーション データ転送システム及び方法
US8042148B2 (en) * 2006-02-07 2011-10-18 Cisco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enforcing policy in a communication network
US8605730B2 (en) * 2006-04-13 2013-12-10 Directpacket Research, Inc. System and method for multimedia communication across disparate networks
US8478880B2 (en) * 2007-08-31 2013-07-02 Palm, Inc. Device profile-based media management
KR101066830B1 (ko) * 2008-08-20 2011-09-26 삼성전자주식회사 통화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통화 장치
US7970932B2 (en) * 2008-12-16 2011-06-28 Polytechnic Institute Of New York University View-upload decoupled peer-to-peer video distribution systems and methods
CN101924903B (zh) * 2009-06-17 2013-03-20 华为技术有限公司 实现视频通话的方法、装置和系统
US10341721B2 (en) * 2009-09-26 2019-07-02 Mimik Technology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multi-media content
US8660551B2 (en) * 2009-12-07 2014-02-25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Look-ahead capability determination via device profiles
US20110306325A1 (en) * 2010-06-10 2011-12-15 Rajesh Gutta Streaming video/audio from mobile phone to any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65122A1 (en) * 2002-05-24 2007-03-22 Digeo, Inc. System and method for digital multimedia stream conversion
KR20070081385A (ko) * 2006-02-10 2007-08-1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서비스 시스템에서 방송 데이터 전송 장치 및방법
US20090298485A1 (en) * 2006-05-22 2009-12-03 Vidiator Enterpris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obile personal video record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43420A1 (ko) * 2022-08-23 2024-02-29 주식회사 팀그릿 실시간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1742B1 (ko) 2017-02-02
US9497245B2 (en) 2016-11-15
US20110320571A1 (en) 2011-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0223B1 (ko) 단말 간 실시간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701742B1 (ko) 이동통신 단말기 간 실시간 스트리밍을 위한 장치 및 방법
TW200935906A (en) A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a composite video image
CN111092898B (zh) 报文传输方法及相关设备
JP6179179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6464933B (zh) 用于远程控制对多媒体内容的渲染的设备和方法
CN111526387B (zh) 一种视频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2533014A (zh) 视频直播中目标物品信息处理和显示方法、装置及设备
CN108809924B (zh) 执行网络实时通信的方法和装置
CN110996122A (zh) 视频帧传输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KR100961391B1 (ko) 화상 통화 중 저장된 영상 관리 방법 및 영상 관리 장치 및그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
EP3316546B1 (en) Multimedia information live method and system, collecting device and standardization server
US7542067B2 (en) System of using digital frames in an idle web video conferencing device
CN109587497B (zh) Flv流的音频数据传输方法、装置和系统
US11943492B2 (en) Method and system for adding subtitles and/or audio
JP2008139977A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EP2469812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communications control method of the same, and communications control system
KR20080047683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스트리밍 서비스 전송 방법 및 장치
JP2007281600A (ja) コンテンツ提供システムおよびコンテンツ切替方法
US20080088693A1 (en) Content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using video call
KR20020070721A (ko) 동영상 전송장치
JP2014072600A (ja) 会議サーバ、通信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遠隔会議システム
WO2012155761A1 (zh) 一种可视电话动态相框实现方法及移动终端
KR20130004719A (ko) 어플리케이션정보 공유 시스템 및 방법
WO2015196651A1 (zh) 一种数据共享的方法、设备和系统、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