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8967A - 휴대기기 분실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기기 분실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8967A
KR20110138967A KR1020100059172A KR20100059172A KR20110138967A KR 20110138967 A KR20110138967 A KR 20110138967A KR 1020100059172 A KR1020100059172 A KR 1020100059172A KR 20100059172 A KR20100059172 A KR 20100059172A KR 20110138967 A KR20110138967 A KR 201101389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r
alarm
main body
mobile device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9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영
Original Assignee
김민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영 filed Critical 김민영
Priority to KR10201000591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38967A/ko
Publication of KR201101389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89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02Mechanical actuation
    • G08B13/14Mechanical actuation by lifting or attempted removal of hand-portable articles
    • G08B13/1409Mechanical actuation by lifting or attempted removal of hand-portable articles for removal detection of electrical appliances by detecting their physical disconnection from an electrical system, e.g. using a switch incorporated in the plug connecto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4Reminder alarms, e.g. anti-los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기기 분실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수용부가 형성되며, 외주면에 상기 수용부와 연통하는 하나 이상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본체부와; 상기 수용부에 마련되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시간이 입력되는 타이머와; 상기 타이머와 연결되어, 상기 타이머로부터 신호를 인가받으면 경보음을 울리는 경보기와; 상기 타이머 및 상기 경보기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관통공에 지지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에 탄성지지되어 상기 관통공에 인출입 가능하게 마련되는 돌기부와, 상기 전원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돌기부의 가압 및 가압 해제에 따라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타이머 및 상기 경보기에 인가하거나 차단하는 접촉단자를 갖는 스위치부와; 휴대기기에 연결되며 상기 본체부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본체부에 장착시 상기 돌기부를 가압하여 상기 타이머 및 상기 경보기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소지하는 본체부에서 휴대기기에 연결된 커버가 설정된 타이머 시간 이상으로 분리되어 있으면 경보음이 울리게 됨으로써, 휴대기기의 분실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기기 분실 방지 장치{APPARATUS FOR MISSING PREVENTION OF THE POTABLE DEVICE}
본 발명은 휴대기기 분실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소지하는 본체부에서 휴대기기에 연결된 커버를 설정 타이머 시간 이상으로 분리하면 경보음이 울리게 함으로써 휴대기기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휴대기기 분실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산업이 발전함에 따라 전자 기기의 소형화 및 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휴대폰, PDA, MP3, 전자사전 등의 휴대기기가 급속도로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기기는 점점더 소형화 및 경량화되고 있는 추세로서, 사용자의 호주머니에 넣거나 가방에 넣어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휴대기기가 현대인들의 생활필수품이 되면서,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해 휴대기기가 호주머니 및 가방에서 이탈되어 휴대기기가 분실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되고 있다. 이와 같은 휴대기기의 분실사고는 경제적으로 큰 손실을 발생시킬 뿐만 아니라, 분실된 휴대기기가 휴대폰일 경우에는 각종 범죄에 사용되기도 하기 때문에 사회적으로 큰 문제가 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휴대기기의 분실을 방지하기 위한 각종 장치가 개발되고 있으며, 보편적으로 무선 송신기와 무선 수신기를 이용한 휴대기기 분실 방지 장치가 보급되고 있다.
즉, 종래의 휴대기기 분실 방지 장치는, 휴대기기에 설치되는 무선 수신기와, 사용자가 휴대하는 무선 송신기와, 무선 송신기와 같이 설치되는 경보장치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무선 수신기가 설치된 휴대기기로부터 사용자가 휴대하고 있는 무선 송신기가 일정거리이상 떨어지면 경보장치에서 경보음이 발생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휴대기기에 무선 송신기가 설치될 수 있고, 이에 맞추어 사용자가 무선 수신기를 휴대할 수도 있다. 이때는 경보장치가 무선 수신기와 같이 설치된다.
그러나 종래의 휴대기기 분실 방지 장치는 휴대기기에 무선 송신기 및 무선 수신기 중 하나를 설치해야 하며, 사용자가 무선 송신기 및 무선 수신기 중 하나 휴대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더불어, 최근에는 무선 송신기 및 무선 수신기를 대신하여 블루투스(Bluetoth)방식의 휴대기기 분실 방지 장치가 출시되고 있으나, 이는 반드시 휴대폰에 블루투스 기능이 탑재되어야 가능하며 전력 소모가 대체로 많아 배터리 교체작업 혹은 충전작업을 자주 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무선 송신기 또는 무선 수신기를 휴대기기에 설치할 필요가 없이 타이머에 의해 작동되어, 사용자가 소지하는 본체부에서 휴대기기에 연결된 커버를 설정된 타이머 시간 이상으로 분리하면 경보음이 울리게 함으로써 휴대기기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휴대기기 분실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수용부가 형성되며, 외주면에 상기 수용부와 연통하는 하나 이상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본체부와; 상기 수용부에 마련되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시간이 입력되는 타이머와; 상기 타이머와 연결되어, 상기 타이머로부터 신호를 인가받으면 경보음을 울리는 경보기와; 상기 타이머 및 상기 경보기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관통공에 지지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에 탄성지지되어 상기 관통공에 인출입 가능하게 마련되는 돌기부와, 상기 전원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돌기부의 가압 및 가압 해제에 따라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타이머 및 상기 경보기에 인가하거나 차단하는 접촉단자를 갖는 스위치부와; 휴대기기에 연결되며 상기 본체부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본체부에 장착시 상기 돌기부를 가압하여 상기 타이머 및 상기 경보기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에 마련되며, 상기 타이머의 시간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에는 휴대 가능하도록 스트랩, 고리, 클립 중 어느 하나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기기 분실 방지 장치는 사용자가 소지하는 본체부에서 휴대기기에 연결된 커버가 설정된 타이머 시간 이상으로 분리되어 있으면 경보음이 울리게 됨으로써, 휴대기기의 분실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기기 분실 방지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기기 분실 방지 장치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기기 분실 방지 장치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기기 분실 방지 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한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기기 분실 방지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기기 분실 방지 장치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기기 분실 방지 장치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기기 분실 방지 장치(100)는 본체부(10)와, 본체부(10)의 내부에 마련되는 타이머(20)와, 타이머(20)의 신호를 받으면 경보음을 울리는 경보기(30)와, 타이머(20)와 경보기(3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전원공급부(40)와, 본체부(10)에 마련되어 전원공급부(4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타이머(20)와 경보기(30)에 인가하거나 차단하는 스위치부(50)와, 휴대기기(1)에 연결되며 본체부(10)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어 타이머(20)와 경보기(3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커버(60)를 포함한다.
본체부(10)는 내부에 수용부(11)가 형성되어 있으며, 외주면에는 수용부(11)와 연통하는 관통공(13)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본체부(10)의 양측부에 각각 관통공(13)이 형성되어 있다.
더불어 본체부(10)에는 타이머의 시간을 표시하는 표시부(15)가 마련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타이머 시간을 설정할 수 있도록 복수의 조작버튼(17)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본체부(10)에는 사용자가 휴대 가능하도록 스트랩, 고리, 클립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즉, 도 1에서와 같이 본체부(10)에 스트랩(19)이 설치될 경우, 사용자가 스트랩(19)을 손목에 걸거나 스트랩(19)의 길이를 길게 하여 목에 걸어 본 발명의 휴대기기 분실 방지 장치(100)와 같이 휴대기기(1)를 휴대할 수 있게 된다.
다른 실시 예로서, 본체부(10)에 반지형태의 고리(미도시)가 설치될 경우에는 사용자가 손가락에 걸어 휴대할 수 있으며, 본체부(10)에 클립(미도시)이 설치될 경우에는 사용자 바지의 벨트 고리에 고정하거나 가방에 마련된 고리에 고정하여 휴대할 수 있다.
타이머(20)는 본체부(10)의 수용부(11)에 마련되며, 디지털 작동 방식으로서 사용자가 본체부(10)에 마련된 복수의 조작버튼(17)을 조작하여 타이머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설정된 시간은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부(15)에 표시되며, 타이머 작동시 타임 카운트 또한 표시부(15)에 표시된다.
경보기(30)는 본체부(10)의 수용부(11) 내에서 타이머(20)와 연결되어 있으며, 타이머(20)로부터 신호를 인가받으면 경보음을 울리게 된다.
즉,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의 카운트가 완료되면 타이머(20)가 경보기(30)에 신호를 보냄으로써 경보기(30)가 경보음을 울리게 되는 것이다.
전원공급부(40)는 본체부(10)의 수용부(11)에 마련되어 타이머(20) 및 경보기(30)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전원공급부(40)로는 일반 건전지 및 충전지가 이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크기가 작아 수용부(11)에 수용하기 용이한 수은전지를 이용할 수 있다.
스위치부(50)는 전원공급부(4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타이머(20) 및 경보기(30)에 인가하거나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스위치부(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공(13)에 지지되는 스프링(51)과, 스프링(51)에 탄성지지되어 본체부(10)의 외측 방향으로 인출입 가능하게 마련되는 돌기부(53)와, 전원공급부(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돌기부(53)의 가압 및 가압해제에 따라 전원공급부(4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타이머(20) 및 경보기(30)에 인가하거나 차단하는 접촉단자(57)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본체부(10)의 관통공(13)에는 스프링(51)이 지지될 수 있도록 지지턱(1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기부(53)는 일단부에 볼(ball) 형상의 누름부(54)와, 타단부에 누름부(54)와 접촉단자(57)를 연결하는 바(bar)형상의 연결부(55)를 갖는다.
이러한 돌기부(53)는 본체부(10)의 관통공(13) 내에서 스프링(51)에 탄성지지되어 누름부(54)의 일정 부분이 본체부(10)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접촉단자(57)는 본체부(10)의 수용부(11)에 위치하도록 돌기부(53)의 연결부(55)에 연결되며, 관통공(13)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관통공(13) 내에 위치한 돌기부(53)가 관통공(13)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스토퍼 역할을 한다.
즉, 지지턱(14)에 지지된 스프링(51)에 의해 돌기부(53)가 관통공(13)으로부터 돌출될 시, 돌기부(53)에 연결된 접촉단자(57)가 수용부(11) 쪽에서 관통공(13) 주변부에 밀착지지되어 돌기부(53)가 관통공(13)을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더불어 접촉단자(57)는 전원공급부(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타이머(20) 및 경보기(30)에 전원을 인가하거나 차단하는데, 돌기부(53)의 가압 및 가압 해제에 따라 타이머(20) 및 경보기(30)에 전원을 인가하거나 차단하게 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머(20) 및 경보기(30)에는 접촉단자(57)에 접촉되어 전원을 인가받는 보조 접촉단자(21)가 마련되어 있으며, 돌기부(53)의 가압 및 가압해제에 따라 보조 접촉단자(21)에 접촉단자(57)가 접촉되거나 접촉해제되어 타이머(20) 및 경보기(30)에 전원을 인가하거나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60)는 휴대기기(1)에 연결끈(61)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본체부(10)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어 본체부(10)에 장착시 돌기부(53)를 가압하여 타이머(20) 및 경보기(3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한다.
즉, 상기 커버(60)는 본체부(10)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돌기부(53)가 돌출된 부분에 결합되며, 돌기부(53)를 가압함으로써 접촉단자(57)를 타이머 및 경보기(30)의 보조 접촉단자(21)에서 이격시킨다.
또한, 반대로 커버(60)를 본체부(10)에서 분리하면 돌기부(53)가 가압해제됨으로써 접촉단자(57)가 타이머(20) 및 경보기(30)의 보조 접촉단자(21)에 접촉되어 타이머 및 경보기(30)에 전원이 공급된다.
상기 커버(60)는 본체부(10)에서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본체부(10)에 걸림 고정되는 클립형식의 걸림버튼(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다음에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기기 분실 방지 장치의 작동상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기기 분실 방지 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휴대기기 분실 방지 장치(100)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타이머(20)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본체부(10)에서 커버(60)를 분리한 다음, 사용자가 본체부(10)에 마련된 조작버튼(17,도 1 참조)을 조작하여 타이머 시간을 설정한다. 이때, 표시부(15,도 1 참조)에 사용자가 설정한 타이머 시간이 표시된다.
타이머 설정이 완료되면 본체부(10)에 커버(60)를 결합하여 타이머(20)에 전원 공급을 차단한다.
이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기기 분실 방지 장치(100)를 휴대기기(1)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더불어, 본체부(10)에 마련된 스트랩(19)을 목에 걸거나 손목에 걸어 휴대기기(1)와 함께 휴대기기 분실 방지 장치(100)를 휴대할 수 있다.
이때는, 본체부(10)에 커버(60)가 결합된 상태로서, 커버(60)에 의해 돌기부(53)가 가압되어 돌기부(53)에 연결된 접촉단자(57)가 타이머(20) 및 경보기(30)에 마련된 보조 접촉단자(21)와 접촉해제되며, 이로 인해 타이머(20) 및 경보기(30)에 전원공급이 차단된다. 따라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타이머 시간의 카운트가 작동하지 않게 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기기(1)를 이용할 시에는 본체부(10)에서 커버(60)를 분리하여 휴대기기(1)를 이용하게 된다.
예를 들어, 휴대기기(1)가 휴대폰일 경우, 전화를 걸거나 받을 시 본체부(10)에서 커버(60)를 분리하여 휴대폰을 이용하게 된다.
즉, 본체부(10)에서 커버(60)를 분리하게 되면, 커버(60)에 의해 가압되어 있던 돌기부(53)가 가압해제되어 스프링(51)에 의해 관통공(13)에서 돌출되며, 돌기부(53)에 연결된 접촉단자(57)가 돌기부(53)를 따라 이동하여 타이머(20) 및 경보기(30)에 마련된 보조 접촉단자(21)에 접촉된다.
이때, 전원공급부(40)로부터 접촉단자(57)를 통해 보조 접촉단자(21)로 전원이 인가되며, 타이머(20) 및 경보기(30)에 전원이 공급된다.
전원이 공급되어 타이머(20)가 작동하면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타이머 시간이 카운트되며, 카운트가 완료되면 경보기(30)에 신호를 보내 경보기(30)에서 경보음이 울리게 된다.
즉,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타이머 시간 이상으로 본체부(10)와 커버(60)를 분리한 상태가 유지되면 경보기(30)에서 경보음이 울리게 됨으로써 사용자가 휴대기기(1)를 분실했을시 이를 빨리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기기 분실 방지 장치는 사용자가 소지하는 본체부에서 휴대기기에 연결된 커버가 설정된 타이머 시간 이상으로 분리되어 있으면 경보음이 울리게 됨으로써, 휴대기기의 분실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휴대기기 10: 본체부
11: 수용부 13: 관통공
15: 표시부 17: 조작버튼
19: 스트랩 20: 타이머
30: 경보기 40: 전원공급부
50: 스위치부 51: 스프링
53: 돌기부 57: 접촉단자
60: 커버

Claims (3)

  1. 내부에 수용부가 형성되며, 외주면에 상기 수용부와 연통하는 하나 이상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본체부와;
    상기 수용부에 마련되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시간이 입력되는 타이머와;
    상기 타이머와 연결되어, 상기 타이머로부터 신호를 인가받으면 경보음을 울리는 경보기와;
    상기 타이머 및 상기 경보기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관통공에 지지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에 탄성지지되어 상기 관통공에 인출입 가능하게 마련되는 돌기부와, 상기 전원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돌기부의 가압 및 가압 해제에 따라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타이머 및 상기 경보기에 인가하거나 차단하는 접촉단자를 갖는 스위치부와;
    휴대기기에 연결되며 상기 본체부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본체부에 장착시 상기 돌기부를 가압하여 상기 타이머 및 상기 경보기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분실 방지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 마련되며, 상기 타이머의 시간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분실 방지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는 휴대 가능하도록 스트랩, 고리, 클립 중 어느 하나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분실 방지 장치.
KR1020100059172A 2010-06-22 2010-06-22 휴대기기 분실 방지 장치 KR201101389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9172A KR20110138967A (ko) 2010-06-22 2010-06-22 휴대기기 분실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9172A KR20110138967A (ko) 2010-06-22 2010-06-22 휴대기기 분실 방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8967A true KR20110138967A (ko) 2011-12-28

Family

ID=45504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9172A KR20110138967A (ko) 2010-06-22 2010-06-22 휴대기기 분실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3896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8988B1 (ko) * 2018-07-13 2019-09-24 (주)샤픈고트 스마트 소화기보관함
KR20200007756A (ko) * 2018-07-13 2020-01-22 (주)샤픈고트 스마트 소화기보관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8988B1 (ko) * 2018-07-13 2019-09-24 (주)샤픈고트 스마트 소화기보관함
KR20200007756A (ko) * 2018-07-13 2020-01-22 (주)샤픈고트 스마트 소화기보관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60432B2 (en) Bluetooth communication bracelet
US2013033115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earable wireless speakerphone
JP6050490B2 (ja) データ伝送デバイス及びデータ伝送システム
US20110057809A1 (en) Personal alert device
WO2009145451A2 (ko) 이동전화 비상발신방법
KR20110138967A (ko) 휴대기기 분실 방지 장치
KR100795156B1 (ko) 휴대폰 착용기기
FR2867593A3 (fr) Dispositif de telecommande pour appareil radio comportant un ecran et un clavier
KR200438070Y1 (ko) 블루투스를 이용한 핸즈프리 통신장치
JP2006246420A (ja) 移動通信周辺機器
DK200500021U4 (da) Hovedsæt med bærestil
KR200443486Y1 (ko) 휴대폰 착용기기
JP6410780B2 (ja) データ伝送デバイス及びデータ伝送システム
CN214710879U (zh) 可拆卸的按压通讯扣
CN205105275U (zh) 一种多功能智能指环及移动终端
JPH03162024A (ja) 携帯電話機
GB2518658A (en) Alarm device
CN106992386A (zh) 一种手机挂件
KR101545112B1 (ko) 도난방지 기능을 갖는 스마트워치용 거치장치
CN104305683A (zh) 一种固定在手臂上的手机套
JP6410781B2 (ja) データ伝送デバイス、データ伝送システム及びデータ伝送方法
JP2018514109A (ja) 多機能ズボン固定ベルト
GB2542168A (en) Security system
KR200262103Y1 (ko) 시계 기능을 갖는 무전기
CN202178764U (zh) 组合无线发送接收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