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8495A - 커피 부산물 및 재생 대나무 숯을 재활용한 폴리락트산 바이오복합재료 - Google Patents

커피 부산물 및 재생 대나무 숯을 재활용한 폴리락트산 바이오복합재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8495A
KR20110138495A KR1020100058415A KR20100058415A KR20110138495A KR 20110138495 A KR20110138495 A KR 20110138495A KR 1020100058415 A KR1020100058415 A KR 1020100058415A KR 20100058415 A KR20100058415 A KR 20100058415A KR 20110138495 A KR20110138495 A KR 201101384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ffee
powder
biocomposite
polylactic acid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8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중
백봉산
이병호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584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38495A/ko
Publication of KR201101384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84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0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06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 C08G63/08Lactones or lact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13/00Use of mixtures of ingredients not covered by one singl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each of these compounds being essential
    • C08K13/08Ingredients of unknown constitution and ingredients covered by the main groups C08K3/00 - C08K9/00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205Compounds containing groups, e.g. carbam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4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e.g. lact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230/00Compositions for preparing biodegradable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6Biodegradabl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락트산 생분해성 고분자 분말, 커피부산물 분말 및 결합제로 MDI (4,4-Methylene diphenyl diisocyanate)가 혼합 성형되어 제조되는 바이오복합재료에 관한 것이며, 재생 대나무 숯 분말이 더욱 포함될 수 있고, 본 발명에 의한 바이오복합재료는 종래 천연충전재 및 흡착제를 대체할 수 있는 저가의 식품폐기물을 적용함으로써 폐기 천연자원 재활용 및 원료수급의 원활한 공급 및 가격 경쟁력을 달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커피 부산물 및 재생 대나무 숯을 재활용한 폴리락트산 바이오복합재료{Bio-composite with coffee by-product and recycled bamboo charchaol powders}
본 발명은 폴리락트산 바이오복합재료, 특히 생분해성 고분자인 폴리락트산(PLA) 및, 커피부산물 분말, 선택적으로 재생 대나무 숯 분말이 포함되는 PLA 바이오복합재료에 관한 것이다.
최근 지구 환경문제에 대한 인식이 증가하고, 폐플라스틱 처리문제, 기후변화 협약, 새로운 환경법규 규정 등 세계적으로 환경문제에 대한규제가 점차 강화되고 있으므로 환경친화적인 신소재로써 바이오복합재료(bio-composites)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바이오복합재료는 셀룰로오스(cellulose)계 물질인 목분, 왕겨분말, 대나무분말 등 천연분말(natural flour)과 목재섬유, 목분, 마, 모시 등 천연섬유(natural fibers)를 보강제(reinforcements)로 사용한 고분자 복합재료로서 주로 기존에 무기질 원료인 탄소섬유와 유리섬유를 보강재로 한 고분자 복합재료의 대체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바이오복합재의 장점으로는 기존의 무기질 충전제와는 달리 생분해되므로 환경 친화적이라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커피 소비량이 증가되고 있고, 이에 따라 원두커피를 내리고 생성되는 부산물은 식품 쓰레기로 버려지게 되는데 커피부산물을 복합재료의 충전재로 사용할 경우 다른 천연 충전재에 비해 가격 경쟁력을 높이면서 자원의 활용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주택 실내 또는 일상용품에서 방산되는 유해물질과 관련하여 휘발성유기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이 문제로 부각되고 있으며 이를 처리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들이 제안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소주 정제 후 폐기되는 대나무 숯을 흡착제로 바이오복합재료에 적용하여 휘발성유기화합물(VOC) 방산을 저감시킴과 동시에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는 방안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식품쓰레기로 폐기 처분되었던 커피부산물을 바이오복합재료 원료로 활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역시 폐기물로 간주되었던 재생 대나무 숯을 커피부산물 적용 바이오복합재료에 활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천연충전재 및 흡착제를 적용하면서도 생분해성 복합재료의 특성을 유지하면서 기계적 물성을 개선하기 위한 결합제가 포함된 폴리락트산 바이오복합재료를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폴리락트산 생분해성 고분자 분말, 커피부산물 분말 및 결합제로 MDI (4,4-Methylene diphenyl diisocyanate)가 혼합 성형되어 제조되는 바이오복합재료에 의해 달성된다. 비제한적으로 재생 대나무 숯 분말이 더욱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바이오복합재료는 종래 천연충전재 및 흡착제를 대체할 수 있는 저가의 식품폐기물을 적용함으로써 폐기 천연자원 재활용 및 원료수급의 원활한 공급 및 가격 경쟁력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복합재료는 상기와 같은 식품폐기물을 재활용할 뿐 각종 분야에서 수용될 수 있는 기계적 물성이 달성될 수 있다.
도 1은 열 추출기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바이오복합재료 성분 중 천연충전재 비율에 따른 인장강도 측정결과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MDI를 포함된 경우의 인장강도 측정 그래프이다.
도 4는 바이오복합재료 성분 중 천연충전재 비율에 따른 굴곡강도 측정결과를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MDI를 포함된 경우의 굴곡강도 측정 그래프이다.
도 6은 PLA/CG의 응력과 변형율 그래프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재생 대나무 숯 비율에 따른 TVOC 감소율 측정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처리조건에 따른 LDPE 및 PP의 TVOC 감소율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하나 이는 단지 예시를 위한 것이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복합재료 구성 성분들을 설명하며, 이를 적용한 본 발명에 따른 복합재료 및 실험 예들을 기술하고자 한다.
실시예
1. 바이오복합재료 주재료 구성
본 발명에서 예시된 생분해성 고분자는 NatureWorks에서 입수된 poly(lactic acid) (PLA)이며, 용융지수는 15g/10분이고, 밀도는 1.22g/cm3이다. 대조군으로 예시된 석유계 고분자인 저밀도폴리에틸렌 (LDPE) 및 폴리프로필렌 (PP)는 각각 LG화학및 효성에서 공급받았으며, 각각의 용융지수는 24g/10분 및 1.7g/10분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천연충전재 및 생분해성 고분자 계면 결합 개선을 위한 결합제는 BASF에서 구입한 MDI(4,4'-Methylene diphenyl diisocyanate)가 채용되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본 발명에서 천연충전재로는 CJ에서 공급받은 원두커피를 내리고 남은 커피부산물을 건조시켜서 사용하였으며, 종래 사용되던 천연충전재와 비교하기 위해서 한양소재에서 공급받은 대나무 분말 (대조군)을 사용하여 바이오복합재료를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2. 제조방법
2-1) 커피부산물 및 대나무분말 (대조) 각각을 105℃에서 24시간 건조하여 함수율이 1~3%가 되도록 처리한 후, 트윈 스크류 압출기(twin screw extruder)를 이용하여 1.에서 언급된 폴리락트산 고분자 분말과 혼합한 후 결합재를 첨가하여 펠렛 형태의 샘플을 제작하였다. 표 1에는 바이오복합재의 혼합비율이 정리된다. 상기 펠렛을 주입 성형기를 이용하여 시편을 제작한 후 이에 대하여 물성 실험이 수행되었다
Figure pat00002
실험예
1. 인장강도 및 굴곡강도 측정
제작 시편 인장강도를 측정하기 위해 ASTM D638-03에 의거하여 유니버셜 테스트 기구(Universal testing machine, Zwick Co.)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이때 인장속도는 5mm/분으로 23±2℃에서 측정하였으며 5개 시편 평균값으로 인장강도 값을 산출하였다. 한편, 굴곡강도는 ASTM D 790-07에 의거하여 universal testing machine (Zwick Co.)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조건은 인장강도와 동일한 5 mm/분으로 23±2℃에서 측정하였으며 5개 시편 평균값으로 굴곡강도를 산출하였다.
2. VOC 방산 특성 측정
TVOCs(Total Volatile Organic Compounds) 방산량 평가를 위해 도 1에 도시된 열추출기(Thermal Extractor, TE)를 이용하여 복합재료에서 방산되는 유해물질을 평가하였다.
도 2는 PLA 함량에 따른 바이오복합재료 인장강도 감소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순수하게 PLA로만 이루어진 복합재료 인장강도는 60.1 MPa이나, 대나무분말이 10%부터 40%까지 함유량이 증가할수록 48 MPa부터 27.5 MPa까지 강도 감소율이 나타났다. 본 발명에 의한 커피부산물이 이용된 경우에도 유사한 결과를 얻었다. 한편 대나무분말이 커피부산물보다 인장강도가 약간 높게 나타나며 이러한 차이는 커피부산물이 가지는 화학적 조성차이 때문이라 판단된다. 결합제로 MDI를 이용한 결과 생분해성 고분자 및 천연섬유간의 결합력은 다양한 분야에서 수용가능한 범위로 증가되었다 (도 3 참조). 따라서 본 발명에서 시도된 커피부산물 폐기물을 이용한 바이오복합재료는 고가의 대나무분말을 대체하기에 적합한 대체 원료라고 판단된다.
바이오복합재 굴곡강도는 인장강도의 경우와 거의 유사한 경향을 보인다. 도 4에 의하면 PLA 굴곡강도는 106 MPa이나, PLA/CG의 경우 천연섬유의 비율이 증가할수록 80 MPa에서 42.3 MPa까지 감소되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대나무분말도 역시 커피부산물과 거의 비슷한 굴곡강도를 보인다. 천연섬유의 비율이 증가할수록 강도가 감소하는 것은 천연섬유와 고분자 사이 특성 차이 때문이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MDI를 첨가한 경우 전체적으로 강도가 증가하여 수용 가능한 강도를 회복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커피부산물 적용 바이오복합재료는 기타 천연섬유 분말과 대비하여 높은 연신율을 보였다. 이는 커피부산물이 포함하는 22.5 ~ 28.3 %의 오일화합물이 고분자와 결합하여 연신율을 증가시킨 것으로 판단된다 (도 6 참조).
상기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흡착제로써 재생 대나무 숯 분말이 적용되었다. VOC 방산 특성 측정 포집 조건은 30℃부터 90℃의 온도 범위에서 진행하였다.
도 7은 재생 대나무 숯 분말을 1%부터 5% 혼합한 PLA/CG 바이오복합재료 VOC 방산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재생 대나무 숯 분말 비율이 3 phr 및 5 phr 경우 거의 유사한 결과를 보이므로 3 phr을 최적 혼합 비율이라 판단하고 이를 대조군인 비분해성 고분자인 PP와 LDPE에 적용하여 비교실험을 진행하였다. 순수 비분해성 고분자, 70℃에서 5시간 동안 bake-out처리 (고온 처리), 재생 대나무 숯 분말 (3phr) 혼합 처리 및 베이크-아웃(bake-out)과 동시에 재생 대나무 숯 처리 조건으로 VOC 방산을 측정하였다. LDPE와 PP는 291.86 mg/m2h와 22.26 mg/m2h의 TVOC를 방산하였으나, 재생 대나무 숯이 첨가된 경우 50% 가까운 감소율을 보였다. 더 나아가 bake-out 처리 및 재생 대나무 숯을 함께 처리한 시편 경우 19.34 mg/m2h 와 1.45 mg/m2h의 TVOC 방산율을 나타냈는데 이는 놀랍게도 순수 고분자와 비교할 때 90% 이상의 감소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실험적 사실은 또 다른 식품폐기물인 재생 대나무 숯 분말이 커피부산물 적용 바이오복합재료의 흡착제로 활용될 수 있음을 보이는 것이다.

Claims (3)

  1. 폴리락트산 생분해성 고분자 분말, 커피부산물 분말 및 결합제 MDI (4,4-Methylene diphenyl diisocyanate)가 혼합 성형되어 제조되는, 폴리락트산 바이오복합재료.
  2. 제1항에 있어서, 재생 대나무 숯 분말이 더욱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락트산 바이오복합재료.
  3. 제1항에 있어서, 폴리락트산 생분해성 고분자 분말 및 커피부산물 분말 혼합 비율은 50~80 중량부 대 50~20 중량부이며, 결합제는 1 내지 5 중량부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락트산 바이오복합재료.
KR1020100058415A 2010-06-21 2010-06-21 커피 부산물 및 재생 대나무 숯을 재활용한 폴리락트산 바이오복합재료 KR201101384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8415A KR20110138495A (ko) 2010-06-21 2010-06-21 커피 부산물 및 재생 대나무 숯을 재활용한 폴리락트산 바이오복합재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8415A KR20110138495A (ko) 2010-06-21 2010-06-21 커피 부산물 및 재생 대나무 숯을 재활용한 폴리락트산 바이오복합재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8495A true KR20110138495A (ko) 2011-12-28

Family

ID=45504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8415A KR20110138495A (ko) 2010-06-21 2010-06-21 커피 부산물 및 재생 대나무 숯을 재활용한 폴리락트산 바이오복합재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38495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57061A3 (en) * 2006-11-09 2008-12-11 Serhiy Petrenko Piezoelectric generator of mechanical vibrations, and piezoelectric motor based thereon (variants)
WO2018021980A1 (en) * 2016-07-28 2018-02-01 Ptt Public Company Limited A bioplastic composition comprising biomass as a component and a production process
KR20180029379A (ko) 2016-09-12 2018-03-21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커피박, 계분, 바이오차 및 미생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퇴비 및 그 제조방법
WO2020055111A1 (ko) * 2018-09-14 2020-03-19 김병용 친환경 고분자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체
CN111040402A (zh) * 2019-12-30 2020-04-21 施湖保 一种可完全降解的复合pla纤维素母粒的制备方法
KR20200085252A (ko) * 2020-07-01 2020-07-14 김병용 친환경 고분자 조성물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WO2021188087A3 (en) * 2020-03-18 2021-10-21 Trplas Otomoti̇v Plasti̇k Loji̇sti̇k Turi̇zm Sanayi̇ Ve Ti̇caret Ltd. Şti̇. Chemical mixture for kitchen products, recyclable, containing filling material consisted of coffee grounds
WO2021221598A1 (ru) * 2020-04-30 2021-11-04 Havrylenko Maksym Mykolaiovych Экологический материал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изделий, способ его производства и оправа для очков из экологического материала
KR20230072791A (ko) 2021-11-18 2023-05-25 주식회사 테코플러스 폐수지 및 식품부산물을 활용한 재생 소재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57061A3 (en) * 2006-11-09 2008-12-11 Serhiy Petrenko Piezoelectric generator of mechanical vibrations, and piezoelectric motor based thereon (variants)
WO2018021980A1 (en) * 2016-07-28 2018-02-01 Ptt Public Company Limited A bioplastic composition comprising biomass as a component and a production process
US10961385B2 (en) 2016-07-28 2021-03-30 Ptt Global Chemical Public Company Limited Bioplastic composition comprising biomass as a component and a production process
KR20180029379A (ko) 2016-09-12 2018-03-21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커피박, 계분, 바이오차 및 미생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퇴비 및 그 제조방법
WO2020055111A1 (ko) * 2018-09-14 2020-03-19 김병용 친환경 고분자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체
CN111040402A (zh) * 2019-12-30 2020-04-21 施湖保 一种可完全降解的复合pla纤维素母粒的制备方法
WO2021188087A3 (en) * 2020-03-18 2021-10-21 Trplas Otomoti̇v Plasti̇k Loji̇sti̇k Turi̇zm Sanayi̇ Ve Ti̇caret Ltd. Şti̇. Chemical mixture for kitchen products, recyclable, containing filling material consisted of coffee grounds
WO2021221598A1 (ru) * 2020-04-30 2021-11-04 Havrylenko Maksym Mykolaiovych Экологический материал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изделий, способ его производства и оправа для очков из экологического материала
KR20200085252A (ko) * 2020-07-01 2020-07-14 김병용 친환경 고분자 조성물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20230072791A (ko) 2021-11-18 2023-05-25 주식회사 테코플러스 폐수지 및 식품부산물을 활용한 재생 소재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38495A (ko) 커피 부산물 및 재생 대나무 숯을 재활용한 폴리락트산 바이오복합재료
Nagarajan et al. New engineered biocomposites from poly (3-hydroxybutyrate-co-3-hydroxyvalerate)(PHBV)/poly (butylene adipate-co-terephthalate)(PBAT) blends and switchgrass: Fabrication and performance evaluation
Ayrilmis et al. Physical, mechanical, and thermal properties of polypropylene composites filled with walnut shell flour
Ramesh Wood flour filled thermoset composites
US20190112479A1 (en) Lignin Composites
JP6196317B2 (ja) 自動車内装材用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自動車内装材用成形品
Mukhopadhyay et al. Effect of ageing of sisal fibres on properties of sisal–polypropylene composites
US10472440B2 (en) Toughened polyolefin and biocarbon based light-weight biocomposite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Kaymakci et al. Physical, mechanical and thermal properties of wood/zeolite/plastic hybrid composites
AU2013328401A1 (en) Plant fiber-reinforce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Chang et al. Sustainable biocarbon as an alternative of traditional fillers for poly (butylene terephthalate)‐based composites: Thermo‐oxidative aging and durability
de Oliveira Santos et al. Processing and thermal properties of composites based on recycled PET, sisal fibers, and renewable plasticizers
CN102977624A (zh) 一种具有超高韧性的完全降解型竹塑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RU2012135553A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полимерного материала, наполненного длинными волокнами
CN104371293B (zh) 一种玻璃纤维增韧增强聚碳酸酯复合材料及制备方法
Alpár et al. Introduction to biomass and biocomposites
Bahari et al. Thermal stability of processed PVC/bamboo blends: effect of compounding procedures
KR20140032130A (ko) 친환경 바이오 목재 플라스틱 복합재 및 이의 제조방법
Mlhem et al. Sustainable heat insulation composites from date palm fibre reinforced poly (β-hydroxybutyrate)
KR20150094608A (ko) 재생가능한 원재료를 함유하는 복합 물질 및 이의 제조 방법
Ketabchi et al. Effect of oil palm EFB-biochar on properties of PP/EVA composites
Fuqua et al. Characterization of polypropylene/corn fiber composites with maleic anhydride grafted polypropylene
Agustin-Salazar et al. Biobased structural additives for polymers
Mlhem et al. Development of sustainable thermal insulation based on bio-polyester filled with date pits
Shahril et al. Effect of chemical modifier on the properties of polypropylene (PP)/Coconut fiber (CF) in automotive appl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