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6304A - Hydroponics flower port and hydroponics grow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Hydroponics flower port and hydroponics grow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6304A
KR20110136304A KR1020100056200A KR20100056200A KR20110136304A KR 20110136304 A KR20110136304 A KR 20110136304A KR 1020100056200 A KR1020100056200 A KR 1020100056200A KR 20100056200 A KR20100056200 A KR 20100056200A KR 20110136304 A KR20110136304 A KR 201101363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ridge
pot
water
inner pot
hydropo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620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227836B1 (en
Inventor
심이성
Original Assignee
심이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이성 filed Critical 심이성
Priority to KR10201000562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7836B1/en
Publication of KR20110136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630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78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783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ponic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PURPOSE: A hydroponics flowerpot, and a hydroponic culture system capable of easily assembling are provided to enable users to easily locate plural flowerpots in various arrangements. CONSTITUTION: A hydroponics flowerpot comprises the following: an inner flowerpot(110) including a hole(111) on the bottom, and supplying a space for planting plants; a cartridge(120) including plural filling layers for generating the capillary phenomenon, installed on the hole of the inner flowerpot; an outer flowerpot(130) including a space for storing water on the bottom, and fixing the inner flowerpot and the cartridge; and a water level controller(131) located on the outer flowerpot.

Description

수경화분 및 수경재배장치{HYDROPONICS FLOWER PORT AND HYDROPONICS GROWING APPARATUS}Hydroponic Flower Pot and Hydroponic Cultivation Device {HYDROPONICS FLOWER PORT AND HYDROPONICS GROWING APPARATUS}

본 발명은 수경화분 및 수경재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분에 체결되어 물과 양분을 공급하는 교환용 카트리지를 갖는 수경 화분 및 다수의 수경 화분을 수직형 타워나 일정 공간 내에 배치시킨 수경 재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ydroponic flower pot and a hydroponic cultivation device, and particularly, to a hydroponic flowerpot having a replacement cartridge fastened to a flowerpot and supplying water and nutrients, and to a hydroponic cultivation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hydroponic flowerpots arranged in a vertical tower or a predetermined space. It is about.

일반적으로 화분은 상부가 개방되고 그 내부에 흙을 채워넣고 흙에 화초를 비롯한 각종 식물을 식재하거나 파종하여 재배하도록 된 것이다. In general, the pot is to open the top and fill the soil therein, and to plant or plant various plants including plants in the soil is to be grown.

이러한 형태의 화분은 식재된 식물에 수분을 공급하는데 있어서 화분의 상부에 물을 뿌리거나 부어서 물이 흙에 스며들도록 되어 있다.This type of pollen is designed to spray or pour water on the top of the pot to moisturize the plant.

그러나 상기와 같은 형태의 화분의 경우 항상 일정량의 수분을 공급하기가 어려우며, 적절한 시기에 관수하지 않으면 식물이 건조하여 죽게 된다. 특히 흙 표면이 햇빛에 노출되는 경우에는 수분이 쉽게 건조되어 식물의 뿌리에까지 충분한 수분을 공급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자주 물을 주어야 하므로 관리가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물을 지나치게 많이 주게 될 경우에는 물과 함께 흙이 화분의 상부로 넘치거나 화분의 바닥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주변으로 넘쳐 주변이 더러워질 수 있다.However, it is difficult to always supply a certain amount of moisture in the case of the above-described pollen, and the plant will dry out and die if it is not irrigated at an appropriate time. In particular, when the surface of the soil is exposed to sunlight, moisture is easily dried, so that sufficient moisture cannot be supplied to the root of the plant. In addition, because the water must be frequently watered, the management is cumbersome, and when too much water is supplied, the soil may overflow with the water to the top of the flower pot or the surrounding water through the hole formed in the bottom of the flower pot.

또한 상기 복수개의 화분들을 좁은 공간에 효율적으로 보관하기 위해 화분받침대가 사용되기도 한다. 이러한 화분 받침대(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단 형상의 지지부(12)에 받침판(14)을 2단 또는 3단으로 설치하고, 그 위에 다수의 화분(20)을 배치한다.In addition, a pot stand may be used to efficiently store the plurality of pots in a narrow space. As shown in FIG. 1, the pot holder 10 is provided with two or three stages of the supporting plate 14 on the support 12 having a step shape, and a plurality of pots 20 are disposed thereon.

이와 같이, 종래의 화분 받침대(10)는 단순히 화분(20)들을 수평적으로 보관하는 용도로만 사용되며, 화분(20)들을 다양하게 배치할 수 없어 배치가 단조롭다. 또한, 종래의 화분 받침대(10)는 화분(20)들을 많이 배치하기가 곤란하며, 이와 같이 화분(20)들의 보관에 많은 공간이 소요됨에 따라 내부 공간을 협소하게 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또한, 화분(20)들이 넓게 분포함에 따라 물주기, 비료주기 등의 유지관리도 용이하지 않다. 또한, 종래에는 화분(20)에 물을 많이 줄 경우, 배수된 물에 의해 주변환경이 더럽혀질 우려가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화분(20)을 별도의 장소로 옮긴 후 물을 주고 그 물이 완전히 빠진 다음 다시 진열하도록 하고 있으나 이와 같이 화분(20)을 옮기는 과정이 번거롭다.As such, the conventional plant pot pedestal 10 is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simply storing the pots 20 horizontally, the arrangement of the pots 20 can not be variously arranged is monotonous.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plant pot pedestal 10 is difficult to arrange a lot of the potted plants 20, as it takes a lot of space for the storage of the potted plant 20 has become a factor to narrow the internal space. In addition, as the pollen 20 is widely distributed, maintenance of water cycle, fertilizer cycle, etc. is not easy. In addition, conventionally, when a lot of water is supplied to the pot 20, the surrounding environment may be polluted by the drained water, in order to prevent this, after moving the pot 20 to a separate place to give water and the water Completely missing and then to display again, but the process of moving the potted plant (20) is cumbersome.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물 또는 영양제의 공급이 용이한 수경 화분을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to provide a hydroponic flower pot that is easily supplied with water or a nutrient.

또한 화분을 다양한 형태로 배치할 수 있으며, 조립이 간단하고, 진열하는 화분의 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수경재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pot can be arranged in a variety of forms, the assembly is simple, it is to provide a hydroponic cultivation apparatus that can freely control the number of pots to display.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식물이 식재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저면부에 홀이 형성되는 내측화분; 상기 내측화분의 상기 홀에 장착되며, 내부에 모세관 현상을 일으키는 복수개의 충전층을 갖는 카트리지; 및 하부에 물이 저장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내측화분과 상기 카트리지가 고정되는 외측화분; 을 포함하는 수경화분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pace in which plants are planted and the inner pot is formed with a hole in the bottom portion; A cartridge mounted to the hole of the inner pot, the cartridge having a plurality of filling layers causing capillary action therein; And an outer pot having a space in which water is stor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wherein the inner pot is fixed to the inner pot; It can be achieved by providing a hydroponics comprising a.

상기 외측화분에는 수위제어수단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수위제어수단은 상기 외측화분의 일측벽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홀을 포함하며, 상기 홀의 높이는 상기 내측화분의 저면보다 낮게 위치할 수 있다.The outer pot may be provided with a level control means, the level control means includes a hole formed to penetrate one side wall of the outer pot, the height of the hole may be located lower tha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pot.

상기 수위제어수단은 결합 홀과 상기 결합 홀에 결합되는 수위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수위조절부의 상단은 개방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수위조절부의 측면에는 눈금이 표시되어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계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The level control means may include a coupling hole and a water level control unit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the upper end of the water level control unit may be open. A scale may be displayed on the side of the water level control unit to serve as a water level gauge.

상기 카트리지와 상기 내측화분은 나사결합될 수 있다. The cartridge and the inner pot may be screwed together.

상기 카트리지의 내부에는 모세관 현상에 의해 물을 내측화분으로 공급하는 심지층; 상기 심지층의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며, 흡착제 내에 비료 및 농약을 흡착시켜 형성된 물질공급층; 상기 카트리지의 최상층에는 내부의 충전층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물을 통과시키는 실링층; 및 상기 카트리지의 최하층에는 내부의 충전층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필터층;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물질공급층의 흡착제는 점토일 수 있다. A wick layer for supplying water to the inner pot by capillary action inside the cartridge; A material supply layer disposed above or below the wick layer and formed by adsorbing fertilizer and pesticide in an adsorbent; The uppermost layer of the cartridge is a sealing layer for passing water while preventing the separation of the inner filling layer; And a filter layer on the lowermost layer of the cartridge to prevent the inside of the filling layer from leaking. The adsorbent of the material supply layer may be clay.

상기 카트리지의 저면부에는 작은 투수공이 구비되어 상기 투수공을 통하여 상기 외측화분의 하부에 저장된 물이 상기 카트리지 내부로 흡수되고 다시 상기 내측화분으로 전달될 수 있다. The bottom surface of the cartridge is provided with a small perforation hole through the water through the water stor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outer pot can be absorbed into the inside of the cartridge and again transferred to the inner pot.

상기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외측화분의 일측면에 고정되며 외측화분 내에 채워진 물이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는 유입구, 유입된 물을 배출하는 배출구 및 하측에 배치되는 다른 고정 수단의 일부가 삽입되어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가 형성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저면관수식 수경 재배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let is fixed to one side of the outer pot and the water filled in the outer pot is introduced into the inner space, the outlet for discharging the inlet water and a part of the other fixing means disposed below It can be achieved by providing a bottom irrigation hydroponic cultivation apparatus comprising a; fixing means for forming a coupling portion for coupling.

복수 개의 수경화분을 다양하게 전시, 배치함으로써 다양한 수경 재배장치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수경화분의 형태는 상기 수경 재배장치의 외형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하여 제공될 수 있다. By displaying and arranging a plurality of hydroponic pollen in various ways, various hydroponic cultivation apparatuses can be provided, and the shape of the hydroponic pollen can be variously modified according to the appearance of the hydroponic cultivation apparatus.

상기 수경 재배장치는 벽면 또는 유리면에 부착되거나 화단에 식재될 수 있는 등 다양하게 변형되어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내측화분 또는 상기 외측화분은 상기 수경 재배장치의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하여 제공 될 수 있다. The hydroponic cultivation apparatus may be provided in various forms, such as attached to a wall surface or a glass surface or planted on a flower bed, and the inner flower pot or the outer flower pot may be provided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hydroponic cultivation device. have.

상기 복수 개의 고정수단은 상하방향으로 배치되고, 각각의 외측화분이 상기 고정수단을 중심으로 하여 좌우로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fixing means may be dispo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each outer pot may be disposed in a zigzag form from side to side with respect to the fixing means.

상기 외측화분은 원뿔, 원뿔대, 각뿔 또는 각뿔대 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갖을 수 있다. The outer pot may have a form of any one of a cone, a truncated cone, a pyramid or a truncated pyramid.

상기 고정수단의 상단부에는 다른 고정수단의 결합부 내에 삽입되기 위한 삽입부가 형성될 수 있다.An upper end portion of the fixing means may be formed with an insertion portion for insertion into the coupling portion of the other fixing means.

본 발명에 따른 수경화분 및 수경 재배장치는 좁은 공간에 효율적으로 전시, 보관할 수 있고, 화분을 다양한 형태로 배치할 수 있어 전시효과를 더욱 향상시키며, 물을 급수하거나 물을 배수하는 것이 용이하다. Hydroponic flower pot and hydroponic cultiv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ffectively displayed and stored in a narrow space, can be arranged in various forms pots to further improve the display effect, it is easy to water or drain water.

또한 복수의 충전층을 가지는 교환이 가능한 카트리지에 의해 화분에 모세관 현상에 의해 물과 양분을 효율적이고 손쉽게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upply water and nutrients efficiently and easily by capillary action to flower pots by an exchangeable cartridge having a plurality of filling layers.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화분 받침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경화분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 중 카트리지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경재배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수단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a~b는 커튼이나 벽 또는 길가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수경재배장치를 도시한 도이고,
도 7a~c는 본 발명에 따른 수경화분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이고,
도 8은 수경화분을 이용한 수경 재배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로 전시용 수경재배장치를 도시한 도이고,
도 9는 수경화분을 이용한 수경 재배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로 벽면 부착형 수경재배장치를 도시한 도이고,
도 10은 수경화분을 이용한 수경 재배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로 교환형 화단 식재 수경재배장치를 도시한 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lant pot hold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hydroponic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artridge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hydroponic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ix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a ~ b is a view showing a hydroponic cultivation apparatus used to be installed on the curtain or wall or roadside,
7a to c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hydroponic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 hydroponic cultivation apparatus for exhibition as another embodiment of a hydroponic cultivation apparatus using hydroponic pollen,
9 is a view showing a wall-mounted hydroponic cultivation apparatus as another embodiment of a hydroponic cultivation apparatus using a hydroponic flower,
10 is a view showing a replaceable flower bed planting hydroponic apparatus as another embodiment of a hydroponic cultivation apparatus using a hydroponic flower.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이를 달성하는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효과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서 좀 더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figuration and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same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교환용 카트리지를 통하여 저면관수(低面灌水)되는 식물재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내부장치는 하부에 모세관 현상을 가지며 식물 영양과 농약 등을 포함하는 매질로 충전된 카트리지와 상부에 식물의 근권이 발달할 수 있는 토양층으로 구분되어 구성되고, 외부장치는 내부장치를 싸고 하부에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저장된 물이 카트리지를 통하여 상부로 이동되어 식물에 장기간 이용되도록 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nt cultivation device that is bottom irrigation water through the replacement cartridge, the internal device has a capillary phenomenon at the bottom and the cartridge is filled with a medium filled with a medium containing plant nutrition and pesticides. It is divided into soil layers that can develop root zone, and the external device is designed to enclose the internal device and store water at the bottom. will be.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수경화분의 일 실시예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First, an embodiment of the hydroponic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도 2와 같이 수경화분(100)은 내측화분(110), 카트리지(120), 외측화분(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 2, the hydroponic pollen 100 includes an inner pot 110, a cartridge 120, and an outer pot 130.

내측화분(110)은 상부에 식물이 식재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저면부에는 홀(111)이 형성되어 물과 영양분의 이동통로를 제공한다. 상기 내측화분(110)의 형태는 단면의 모양이 원 또는 사각형으로 저면부의 단면의 면적이 점차 작아지는 테이퍼(taper)된 형태의 사각뿔대의 형상이다. 다만 상기 내측화분(110)의 형상은 사각뿔대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내측화분(110)이 수용되는 상기 수경화분(100)의 형태에 따라 원뿔대 등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The inner flower pot 110 provides a space for planting in the upper portion, and a hole 111 is formed in the bottom portion to provide a moving passage of water and nutrients. The inner flower pot 110 has a tapered square pyramid having a tapered shape in which the cross-sectional shape is a circle or a square, and the area of the cross section of the bottom portion is gradually reduced. However, the shape of the inner flower pot 110 is not limited to the square pyramid, but may be variously modified such as a truncated cone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hydroponic flower pot 100 in which the inner flower pot 110 is accommodated.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 중 카트리지(120)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상기 카트리지(120)는 상기 내측화분(110)의 상기 홀(111)에 장착되며, 내부에 모세관 현상을 일으키는 복수개의 충전층(121~124)을 갖는다. 상기 충전층은 실링층(121), 심지층(122), 물질공급층(123), 필터층(124)으로 구성된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cartridge 120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2, wherein the cartridge 120 is mounted in the hole 111 of the inner pot 110 and has a plurality of capillary phenomena therein. The filling layers 121 to 124 are provided. The filling layer includes a sealing layer 121, a wick layer 122, a material supply layer 123, and a filter layer 124.

상기 실링층(121)은 상기 카트리지(120)의 최상층에 해당하며 한지(韓紙) 등과 같이 물은 통과시키고 내부의 충진물의 이탈을 방지시키기 위하여 상기 충진물을 통과시키지 않는 재료를 이용하여 봉인하여 이동, 보관 등의 취급이 용이하도록 한다.The sealing layer 121 corresponds to the uppermost layer of the cartridge 120 and is sealed and moved by using a material that does not pass through the filler in order to allow water to pass through and prevent separation of the filler therein, such as Hanji. Make it easy to handle and store.

상기 심지층(122)은 상기 실링층(121)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카트리지(120)의 부피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모세관현상에 의해 물의 상부 이동이 원활하도록 토양, 버미큐라이트(vermiculite), 코코넛 섬유 등의 혼합물로 구성된 배지(倍地)에 해당한다. The wick layer 122 is located below the sealing layer 121 and occupies most of the volume of the cartridge 120, and the soil, vermiculite, Corresponds to a medium consisting of a mixture of coconut fiber and the like.

상기 물질공급층(123)은 상기 심지층(122)의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하며 점토 등의 흡착제에 비료 또는 농약을 흡착시켜 굳힌 것으로서 물에 풀려 서서히 용출되게 함으로써 식물의 생육기간 중에 지속적으로 공급이 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물질 공급층(123)의 흡착제는 점토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material supply layer 123 is positioned above or below the wick layer 122 and is fixed by adsorbing fertilizers or pesticides on an adsorbent such as clay, which is loosened in water and gradually eluted. To be possible. The adsorbent of the material supply layer 123 may be made of clay.

농약은 농작물 등에 직접 살포하는 것이 보통이나, 흡착제에 흡착시켜 용출되도록 할 수도 있다. 농약은 토양 중의 점토 및 유기물에 흡착되어 땅속 깊이 침투하지는 못하며, 상기 물질공급층(123)의 흡착제에 흡착된 농약은 내측화분에 식재된 식물에까지 효율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Pesticides are usually sprayed directly on crops, etc., but can also be adsorbed on an adsorbent to dissolve. Pesticides are adsorbed to the clay and organic matter in the soil does not penetrate deep into the ground, the pesticide adsorbed to the adsorbent of the material supply layer 123 can be efficiently supplied to plants planted in the inner pot.

상기 필터층(124)는 상기 카트리지(120)의 내부의 충전부의 저면부에 위치하며 화분으로부터 협잡물(挾雜物)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필터링(filtering)하는 역할을 하며 스폰지 등의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The filter layer 124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filling part inside the cartridge 120 and serves to filter the contaminants from the potted plant to the outside, and a material such as a sponge is used. Can be.

내부에 상기 복수의 충전층(121~124)을 갖는 상기 카트리지(120)는 원통형의 형상을 갖는 플라스틱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카트리지(120)는 상기 내측화분(110)의 상기 홀(111)과 체결되기 위하여 상단에 체결부(125)를 구비한다. 상기 체결부(125)는 나사산을 구비하고 있어 상부의 상기 내측화분(110)에 돌려 끼울 수 있도록 하는 스크류(125a)와 나사모형의 하단에 스토퍼(stopper)로서 돌출부(125b)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카트리지(120)와 상기 내측화분(110)은 상기 체결부(125)에 의해 나사결합된다. 또한 상기 카트리지(120)는 저면부에는 물은 통과시킬 수 있고 내부의 충전 물질은 통과시키지 않도록 작은 투수공(126)이 형성된다.The cartridge 120 having the plurality of filling layers 121 to 124 therein may be made of a plastic material having a cylindrical shape. The cartridge 120 has a fastening part 125 at an upper end thereof to be fastened to the hole 111 of the inner pot 110. The fastening part 125 includes a screw 125a to be screwed into the inner pot 110 of the upper part and a protrusion 125b as a stopper at a lower end of the screw model. Therefore, the cartridge 120 and the inner pot 110 are screwed by the fastening portion 125. In addition, the cartridge 120 has a small permeable hole 126 is formed so that the water can pass through the bottom portion and do not pass the filling material therein.

상기 외측화분(130)은 하부에 물이 저장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의 내부에 상기 내측화분(110)과 상기 카트리지(120)를 수용하여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외측화분(130)의 하부에 저장된 물은 상기 카트리지(120)의 저면부의 작은 투수공(126)을 통하여 내부로 흡수된다. The outer pot 130 has a space in which water is stored therein, and serves to fix the inner pot 110 and the cartridge 120 inside the space. Water stor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outer pot 130 is absorbed into the inside through a small water hole 126 of the bottom portion of the cartridge 120.

상기 외측화분(130)에는 수위제어수단(131)으로서 홀을 구비하여 상기 외측화분(130)의 내부에 수용된 물이 일정 높이 이상인 경우에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The outer pot 130 is provided with a hole as the water level control means 131 serves to discharge to the outside when the water contained in the inner pot 130 is above a certain height.

상기 수위제어수단(131)은 상기 외측화분(130)의 일측벽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홀을 포함하며, 상기 홀의 높이는 상기 내측화분(130)의 저면보다 낮게 위치하여 내측화분 내의 토양이 물과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유지된다. 따라서, 외측화분 하부에 공급된 물은 상기 카트리지(120)를 통해서만 공급되므로 적정량의 수분이 지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The water level control means 131 includes a hole formed to penetrate one side wall of the outer pot 130, the height of the hole is located lower tha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pot 130 so that the soil in the inner pot directly with water Keep out of contact. Therefore, since the water supplied to the lower outer pot is supplied only through the cartridge 120, an appropriate amount of water may be continuously supplied.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경재배장치(150)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hydroponic cultivation device 15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수경재배장치(150)는 내측화분(110), 카트리지(120), 외측화분(130) 및 고정수단(140)을 포함하며, 상기 구성요소들은 앞서 설명한 수경화분(100)의 구성요소들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hydroponic cultivation apparatus 150 includes an inner pot 110, a cartridge 120, an outer pot 130 and a fixing means 140, and the components are the components of the hydroponic pot 100 described above. Since the same,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수단(140)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fixing means 1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고정수단(140)은 상기 외측화분(130)의 일측면을 고정시키며, 상기 외측화분(130)의 내부에 채워진 물이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는 유입구(141)와 유입된 물을 배출하는 배출구(142), 하측에 배치되는 다른 고정수단(140')의 일부가 삽입되어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144) 및 상기 고정수단(140)의 상단부에는 다른 고정수단(140')의 상기 결합부(144')의 내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삽입부(143)가 형성될 수 있다. The fixing means 140 is fixed to one side of the outer pot 130, the inlet 141 and the outlet for discharging the water is introduc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water filled in the inner pot 130 ( 142, a coupling part 144 for inserting and coupling a part of the other fixing means 140 ′ disposed below, and the coupling part 144 of the other fixing means 140 ′ at an upper end of the fixing means 140. Insertion portion 143 may be formed to be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inside of ').

상기 유입구(141)는 상기 외측화분(130)의 수위제어수단(131)이 상기 유입구(141)에 삽입될 수 있도록 홀을 형태를 취한다. 상기 수위제어수단(131)으로부터 상기 외측화분(130) 내부의 물은 상기 유입구(141)를 통해 상기 고정수단(140) 내부로 전달된다. 상기 고정수단(140) 내부의 물은 상기 배출구(142)를 통해 하부에 위치한 수경화분(100-2)으로 전달된다.The inlet 141 takes the form of a hole so that the water level control means 131 of the outer pot 130 can be inserted into the inlet 141. Water inside the outer pot 130 from the water level control means 131 is transferred into the fixing means 140 through the inlet 141. The water inside the fixing unit 140 is delivered to the hydroponic flower pot 100-2 located below through the outlet 142.

상기 결합부(144)는 상기 고정수단(140)의 하부에 위치하며 다른 상기 고정수단(140')의 상기 삽입부(143')가 삽입될 수 있도록 그 내부가 비어 있다. 상기 삽입부(143')가 삽입되는 높이는 상기 삽입부(143')의 하단부와 상기 고정수단(140')의 경계턱(145)에 의하거나 상기 결합부(144)의 막혀있는 상단의 결합 상단부(146)에 의해 조절된다. 상기 삽입부(143')는 다른 상기 고정수단(140)의 상기 결합부와 결합될 수 있도록 그 직경은 상기 고정수단(140)의 결합부(144)의 내경보다 작아야 한다. The coupling part 144 is positioned below the fixing means 140 and is empty in the insert part 143 'of the other fixing means 140'. The insertion portion 143 'is inserted into a height by the lower end of the insertion portion 143' and the boundary jaw 145 of the fixing means 140 'or the coupling upper end of the upper end of the coupling portion 144 Adjusted by 146. The insertion portion 143 ′ should be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coupling portion 144 of the fixing means 140 so that the insertion portion 143 ′ may be coupled to the coupling portion of the other fixing means 140.

좌측 상단에 위치한 수경화분(100-1) 내의 물의 높이가 상기 유입구(141)의 높이보다 높은 경우에는 상기 수경화분(100-1)내의 물이 상기 유입구(141)를 통해 상기 고정수단(140)의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고정수단(140)의 내부로 유입된 물은 상기 배출구(142)를 통해 배출되어 우측 하단에 위치한 수경화분(100-2)으로 전달된다. 따라서 최상부의 수경화분에만 물을 유입하면 자동으로 최하부의 저수층에까지 물이 전달되므로 복수 개의 식물재배용기에 대한 물관리가 용이하다. When the height of the water in the hydroponic flower pot 100-1 located at the upper left side is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inlet port 141, the water in the hydroponic flower pot 100-1 is fixed through the inlet port 141. Flows into the interior. Water introduced into the fixing means 140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142 and is delivered to the hydroponic flower pot 100-2 located at the lower right. Therefore, when water is introduced only to the top hydroponics, water is automatically transferred to the bottom water reservoir so that water management for a plurality of plant cultivation containers is easy.

상기 수경재배장치(150)는 복수 개의 고정수단(140)이 상호 결합되어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고, 각각의 외측화분(130)이 고정수단(140)을 중심으로 좌우로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된다. The hydroponic cultivation device 150 is a plurality of fixing means 140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dispo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each outer pot 130 is disposed in a zigzag form from side to side around the fixing means 140.

상기 복수개의 수경재배장치(150)는 도 6과 같이 커튼이나 벽 또는 길가에 설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hydroponic apparatuses 150 may be installed and used on a curtain, a wall, or a roadside as shown in FIG. 6.

도 6의 (a)는 베란다 또는 쇼 윈도우의 유리창에 조립한 수경재배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바이오 커튼과 같이 사용할 수 있으며 물 주기가 용이하고 물이 외부로 세지 않으므로 청결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수경화분 내부의 꽃이나 식물을 교체하고자 할 때는 내측화분 만을 교체하여 새로운 꽃이나 식물로 교체가 가능하다. Figure 6 (a) shows a hydroponic cultivation device assembled on the glass window of the porch or show window can be used like a bio curtain and can be kept clean because the water cycle is easy and water does not count to the outside. When replacing the flowers or plants inside the hydroponic pollen can be replaced with a new flower or plant by replacing only the inner pot.

또한 꽃 또는 식물의 영양이 부족할 때는 내부의 카트리지(120)만을 교체하여 새로운 영양분이 공급이 가능하며, 꽃 또는 식물에 진딧물, 응애, 깍지벌레 등의 해충을 방제하기 위하여 농약을 따로 살포하지 않고 카트리지 교환만으로 가능하다. In addition, when the nutrition of flowers or plants is insufficient, it is possible to supply only new nutrients by replacing only the cartridge 120 inside, and to control pests such as aphids, mites, and insects on flowers or plants without spraying pesticides separately. Only exchange is possible.

도 6의 (b)는 상기 수경재배장치를 길가의 양 쪽에 나란히 세워서 수직형 가로화단을 조성한 것으로 설치 해체가 용이하므로 각종 이벤트 등의 장식물로서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수경재배장치를 벽면 등에 배치하여 수직 화단을 조성한 것으로 벽면을 따라 배열하거나 여러 개의 상기 수경재배장치를 일정 간격으로 모아 배치하여 꽃이 만발한 수직 화단을 조성할 수 있다. 꽃 대신에 채소 등의 작물을 배치하게 되면 도시의 좁은 공간이나 옥상에서도 토양이 없이 수직형 채전이 가능하다. Figure 6 (b) is a vertical horizontal flower bed by forming the hydroponic cultivation device side by side on both sides of the road, easy to dismantle installation can be utilized as a decoration for various events. In addition, the hydroponic cultivation device is arranged on the wall surface to form a vertical flower bed can be arranged along the wall surface or by arranging a plurality of the hydroponic cultivation devic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o form a flower bed vertical flower bed. By arranging crops such as vegetables instead of flowers, vertical charging is possible without soil even in a narrow space or rooftop of the city.

상기 카트리지를 구비한 상기 수경화분은 타워 형태의 수직 조립형의 수경 재배장치 뿐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변형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The hydroponic flower with the cartridge may be used in various forms as well as a hydroponic cultivation device in a vertical assembly type in the form of a tower.

도 7은 수경화분(20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외측화분(230)의 내부에 내측화분(210)과 카트리지(120)를 포함한다. 7 illustrates another embodiment of the hydroponic pollen 200 and includes an inner pot 210 and a cartridge 120 inside the outer pot 230.

도 7의 (a)는 상기 수경화분(200)의 사시도로서, 상기 외측화분(230) 내부에 상기 내측화분(210)이 삽입되어 있는 상태이다. 상기 내측화분(210)에는 꽃 또는 식물이 식재되고 상기 외측화분(230)은 장식 또는 전시 목적에 적합하게 외부를 다양하게 장식할 수 있다. 상기 외측화분(230)의 하단에는 수위조절수단(231)을 구비하여 상기 외측화분(230) 내부의 물이 상기 내측화분(210)의 저면보다 낮게 유지하도록 한다.FIG. 7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ydroponic flower pot 200 in which the inner flower pot 210 is inserted into the outer flower pot 230. The inner flower pot 210 may be planted with flowers or plants, and the outer flower pot 230 may decorate the exterior in various ways for decoration or exhibition purposes. The lower end of the outer pot 230 is provided with a water level adjusting means 231 to maintain the water inside the outer pot 230 is lower than the bottom of the inner pot 210.

도 7의 (b)는 상기 수경화분(100)을 a-a'를 따라 절단한 면에서의 단면도이다.FIG. 7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urface of the hydrocurable powder 100 taken along a-a '.

상기 내측화분(210)의 하부의 구획된 각각의 내부 공간에는 상기 내측화분(210)에 체결되어 내부에 모세관 현상을 일으키는 복수 개의 충전층을 가지는 카트리지(120)가 있어 상기 카트리지(120)로 흡수된 물과 영양분은 상기 내측화분(210)으로 효율적으로 전달된다. 상기 내측화분(210)의 하부에는 물이 채워져 있어 상기 카트리지(120)의 하부의 작은 투수공을 통해 물을 상기 카트리지(120)의 내부로 흡수시키고 모세관 현상에 의해 상기 내측화분(210)으로 물과 영양분을 공급한다. Each of the inner spaces partitioned below the inner flower pot 210 has a cartridge 120 which is fastened to the inner flower pot 210 and has a plurality of filling layers inside the capillary phenomenon to be absorbed by the cartridge 120. Water and nutrients are efficiently delivered to the inner pot (210). Water is filled in the lower part of the inner potent 210 to absorb water into the inside of the cartridge 120 through a small hole in the lower part of the cartridge 120, and the water into the inner potent 210 by capillary action. And nourish.

상기 외측화분(230)의 하부에는 수위제어수단(231)이 구비되며 상기 수위제어수단은 결합 홀(231a)과 상기 홀에 결합되는 수위조절부(231b)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 홀(231a)은 상기 카트리지(220)가 배치되는 상기 외측화분(230)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수위조절부(231b)와 나사 홈 결합되며 필요에 따라 분리 가능하다. 상기 수위조절부(231b)는 상기 결합 홀(231a)과 나사 홈 결합되며 상기 외측화분(230)의 내부에 물의 수위에 해당하는 높이만큼 상기 수위조절부(231b)에 물이 차게 되어 외부에서 관찰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수위조절부(231b)의 상단은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상단의 높이는 상기 내측화분의 저면보다 낮도록 하여 상기 외측화분(230) 내부의 물이 상기 내측화분(210)에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물의 높이가 상기 수위조절부(231b)의 상단의 높이보다 높은 경우 그 높이가 같아질 때 까지 물을 외부로 방출한다. 또한 상기 수위조절부(231b)는 그 측면에 눈금이 표시되어 상기 외측화분(230) 내부의 물의 높이를 측정하는 수위계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A water level control means 231 is provided below the outer pot 230, and the water level control means includes a coupling hole 231a and a water level control unit 231b coupled to the hole. The coupling hole 231a is disposed under the outer pot 230 in which the cartridge 220 is disposed, and is coupled to the water level adjusting unit 231b by a screw groove, and may be separated as necessary. The water level adjusting unit 231b is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231a and a screw groove, and water is filled in the water level adjusting unit 231b by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water level inside the outer pot 230. It is possible. The top of the water level control unit 231b is open and the height of the top is lower than the bottom of the inner pot so that the water inside the outer pot 230 does not directly contact the inner pot 210. Therefore, when the height of the water is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top of the water level control unit 231b, the wat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until the same height. In addition, the water level control unit 231b may be displayed as a scale on its side to serve as a water level gauge for measuring the height of the water inside the outer pot 230.

도 7의 (c)는 상기 수경화분(200)을 b-b'를 따라 절단한 면에서의 단면도이다. 상기 수경화분(200)의 상기 외측화분(230)의 내부를 구획하여 4개의 상기 내측화분(230)과 상기 카트리지(120)를 그 내부에 삽입한 것이다. FIG. 7C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of the hydraulic powder 200. FIG. The inner pot 230 and four cartridges 120 are inserted into the outer pot 230 of the hydroponic pot 200.

상기 수경화분(200)의 내부의 구획된 영역의 수는 도 6의 (c)와 같이 4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원형 형태로 구획할 수도 있으며, 내부를 구획하지 않고 그 내부에 한 개의 내측화분(210)을 배치시킬 수도 있다. The number of partitioned areas in the interior of the hydroponics 200 is not limited to four as shown in (c) of FIG. 6, may be partitioned in a circular shape, one inside of the inside without partitioning The flower pot 210 may be disposed.

도 8은 수경화분(300)을 이용한 수경 재배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수직형의 타워의 상단에 복수개의 외측화분을 포함하는 전시용 수경 재배장치(350)이다. FIG. 8 illustrates another embodiment of a hydroponic cultivation apparatus using the hydroponic pollen 300, which is a hydroponic cultivation apparatus 350 for exhibition that includes a plurality of outer pots on the top of a vertical tower.

상기 수경 재배장치(350)는 최하단에 상기 수경 재배장치(350)를 바닥에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지지부(310)와 상기 지지부(310)에 연결되어 수경화분(300)을 일정 높이에 배치하여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지주(320)와 상기 지주(320)의 상단에 복수 개의 상기 수경화분(300)을 수용하는 수용부(330)를 포함한다. 상기 지주(320)는 한 개로 제작될 수도 있으나 상기 수경화분(300)이 배치되는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복수 개의 상기 지주(320)에 의해 조립되는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상기 수용부(340)의 내부를 일정한 공간으로 구획하여 그 수용부(330)의 내부에 카트리지(120)가 결합된 내측화분(110)을 삽입한다. 상기 수용부(330)의 구획된 공간 사이에는 외측화분의 역할을 하는 구획부(335)가 있어 상기 수경화분(300)을 내부에 배치시킨다.The hydroponic cultivation device 350 is connected to the support part 310 and the support part 310 to support the hydroponic cultivation device 350 on the bottom at the bottom end to fix the hydroponic flower plant 300 at a predetermined height. It includes a support (320) and a receiving portion (330) for receiving a plurality of the hydroponics (300) on the top of the support (320). The support 320 may be manufactured in one piece, but may have a form assembled by the plurality of supports 320 to adjust the height of the hydroponic pot 300. The inner part of the accommodating part 340 is partitioned into a predetermined space to insert the inner pot 110 to which the cartridge 120 is coupled into the accommodating part 330. Between the partitioned space of the accommodating part 330 there is a partition 335 that serves as an outer pot to arrange the hydroponic pot 300 inside.

상기 수경 재배장치(350)의 물 관리는 수위제어수단(340)에 의해 이루어지며, 상기 수위제어수단(340)은 상기 구획부(335)의 하부에 상기 내측화분의 저면보다 낮은 위치에서 형성되어 내부의 물을 상기 수경화분(300) 상호 간에 이동시켜 물관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수위조절부(341); 및 상기 수위조절부(341)에서 연결되어 상기 지주(320)를 통해 상기 지지부(310)까지 연장되어 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부(342)를 포함한다. 상기 배출부(342)는 배출호스의 형태로 상기 수위조절부(341)와 체결되고 상기 수경 재배장치(340)의 내부에서 형성되어 상기 지주(320)의 하단부 또는 상기 지지부(320)까지 연장되어 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Water management of the hydroponic cultivation device 350 is made by the water level control means 340, the water level control means 340 is formed at a lower position than the bottom of the inner pot in the lower portion of the partition portion 335 A water level control unit 341 for moving water inside the water hardeners 300 to facilitate water management; And a discharge part 342 connected to the water level control part 341 and extending to the support part 310 through the support 320 to discharge water to the outside. The discharge part 342 is fastened to the water level control unit 341 in the form of a discharge hose and formed in the hydroponic cultivation device 340 is extended to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320 or the support 320 Water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도 9은 수경화분(400)을 이용한 수경 재배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벽면 부착형 수경재배장치(450)이다. 상기 수경재배장치(450)는 모세관 현상을 이용하여 화분의 물관리를 용이하게 한 것이며, PET등의 경량 자재를 사용하면 벽면에 부착할 수 있는 화분을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수경재배장치(450)의 내측화분(110)에 여러가지 꽃이나 식물을 식재하고 상기 내측화분(110)에 카트리지를 체결하여 상기 외측화분(430)의 내부에 삽입한 복수 개의 수경화분(100)을 벽면에 부착한 것으로 상기 내측화분(110) 또는 카트리지를 수시로 교환할 수 있다. 벽면에 외측화분을 부착하고 그 내부에 결합된 내측화분을 넣으면 물관리가 용이하고 오랫동안 꽃 또는 식물을 죽이지 않고 감상할 수 있다. 꽃이 시든 후에는 새로운 화분으로 교환하면 간단하게 새로운 분위기로 바꿀 수 있다. 또한 상기 수경재배장치(450)는 벽면 뿐만 아니라 유리면 등에도 부착하여 사용될 수 있다. Figure 9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hydroponic cultivation apparatus using the hydroponic flower 400 is a wall-mounted hydroponic apparatus 450. The hydroponic cultivation device 450 is to facilitate the water management of the pot using a capillary phenomenon, using a lightweight material such as PET can be manufactured to be attached to the wall. Planting a variety of flowers or plants in the inner flower pot 110 of the hydroponic cultivation device 450 and fastening a cartridge to the inner flower pot 110 to insert a plurality of hydroponic flower pots (100) inside the outer flower pot (430) By attaching to the wall, the inner pot 110 or cartridge can be replaced at any time. Attaching the outer pots on the wall and putting the inner pots attached to the inside makes it easy to manage water and can enjoy the flowers or plants without killing them for a long time. After the flowers have withered, you can simply switch to a new flowerpot to change the atmosphere. In addition, the hydroponic cultivation device 450 may be used by attaching to the glass as well as the wall surface.

도 10는 수경화분(500)을 이용한 수경 재배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교환형 화단 식재 수경재배장치(550)이다. 기존에는 화단에 꽃을 식재하는 경우에는 직접 땅을 파고 꽃묘를 식재하고 시든 후에는 땅을 파내고 다시 식재하는 작업을 반복하였다. 상기 수경재배장치(550)를 이용하면 간단하게 카트리지(120) 및 내측화분(110)의 교체가 가능하다. 즉 미리 묻어둔 외측화분(630)에 꽃묘를 심은 상기 카트리지(520)를 삽입하는 것으로 화분의 교체가 가능하고, 시든 후에는 빼내고 다시 새로운 화분으로 교체가 가능하다.  FIG. 10 shows another embodiment of a hydroponic cultivation apparatus using a hydroponic pollen 500, and is a replaceable flower bed planting hydroponic apparatus 550. Previously, when planting flowers in flowerbeds, they dug the ground and planted flower seedlings, and after withering, they dug the ground and planted again. Using the hydroponic cultivation device 550 it is possible to simply replace the cartridge 120 and the inner pot 110. That is, by inserting the cartridge 520 planting the flower seedlings in the outer pots 630 buried in advance, it is possible to replace the pot, and after withering, it is possible to remove and replace it again with a new pot.

100, 100-1, 100-2, 200, 300, 400, 500: 수경화분
110, 210: 내측화분 111: 홀(hole)
120,620: 카트리지 121: 실링층
122: 심지층 123: 물질공급층
124: 필터층 125: 체결부
125a: 스크류 125b: 돌출부
130, 230, 330, 430, 530: : 외측화분
131, 231, 340: 수위제어수단 131a: 결합 홀(hole)
131b: 수위계 131c: 수위 식별표지
140: 고정수단 141: 유입구
142: 배출구 143: 결합부
144: 삽입부 145: 경계턱
146: 결합상단부 150: 수경재배장치
231a: 결합 홀 231b, 341: 수위조절부
330: 수용부 335: 구획부
342: 배출부
350: 전시용 수경재배장치 450: 벽면 부착형 수경재배장치
550: 유리면 부착형 수경재배장치 650: 교환형 화단 식재 수경재배장치
100, 100-1, 100-2, 200, 300, 400, 500: hydroponics
110, 210: inner pot 111: hole
120,620: cartridge 121: sealing layer
122: wick layer 123: material supply layer
124: filter layer 125: fastening portion
125a: screw 125b: protrusion
130, 230, 330, 430, 530: outer pot
131, 231, and 340: water level control means 131a: coupling hole
131b: water level gauge 131c: water level identification mark
140: fixing means 141: inlet
142: outlet 143: coupling portion
144: insertion portion 145: boundary jaw
146: coupling top 150: hydroponic cultivation device
231a: coupling hole 231b, 341: level control
330: receiving portion 335: compartment
342: discharge part
350: hydroponic apparatus for exhibition 450: hydroponic apparatus for wall attachment
550: glass surface attached hydroponic cultivation device 650: interchangeable flower bed planting hydroponic cultivation device

Claims (14)

식물이 식재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저면부에 홀이 형성되는 내측화분;
상기 내측화분의 상기 홀에 장착되며, 내부에 모세관 현상을 일으키는 복수개의 충전층을 갖는 카트리지; 및
하부에 물이 저장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내측화분과 상기 카트리지가 고정되는 외측화분; 을 포함하는 수경화분.
An inner pot that provides a space for planting and has holes formed in a bottom portion thereof;
A cartridge mounted to the hole of the inner pot, the cartridge having a plurality of filling layers causing capillary action therein; And
An outer pot having a space for storing water in a lower portion thereof and having the inner pot fixed to the cartridge; Hydroponics comprising a.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화분에는 수위제어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화분.
The method of claim 1,
Hydroponics,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pot is provided with a water level control means.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제어수단은 상기 외측화분의 일측벽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홀을 포함하며, 상기 홀의 높이는 상기 내측화분의 저면보다 낮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화분.
The method of claim 2,
The water level control means includes a hole formed to penetrate through the one side wall of the outer pot, the height of the hol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position than the bottom of the inner po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와 상기 내측화분은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화분.
The method of claim 1,
Hydraulic cartridge, characterized in that the cartridge and the inner pot is screw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의 내부에는
모세관 현상에 의해 물을 내측화분으로 공급하는 심지층; 및
상기 심지층의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며, 흡착제 내에 비료 및 농약을 흡착시켜 형성된 물질공급층;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화분.
The method of claim 1,
Inside the cartridge
A wick layer for supplying water to the inner pot by capillary action; And
And a material supply layer disposed on the upper or lower portion of the wick layer and formed by adsorbing fertilizer and pesticide in the adsorbent.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공급층의 흡착제는 점토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화분.
6. The method of claim 5,
The adsorbent of the material supply layer is hydrophobic powder,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clay.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의 최상층에는 내부의 충전층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물을 통과시키는 실링층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화분.
6. The method of claim 5,
The top layer of the cartridge is a hydroponic powd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ealing layer for passing water while preventing the separation of the inner filling layer is disposed.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의 최하층에는 내부의 충전층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필터층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화분.
6. The method of claim 5,
The lower layer of the cartridge is a hydroponic powder, characterized in that the filter layer for preventing the inside of the filling layer is leaking.
식물이 식재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저면부에 홀이 형성되는 내측화분;
상기 내측화분의 상기 홀에 장착되며, 내부에 모세관 현상을 일으키는 복수개의 충전층을 갖는 카트리지;
하부에 물이 채워진 상태에서 상기 내측화분과 상기 카트리지가 고정되는 외측화분;
상기 외측화분의 일측면에 고정되며 외측화분 내에 채워진 물이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는 유입구, 유입된 물을 배출하는 배출구 및 하측에 배치되는 다른 고정 수단의 일부가 삽입되어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가 형성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수경 재배장치.
An inner pot that provides a space for planting and has holes formed in a bottom portion thereof;
A cartridge mounted to the hole of the inner pot, the cartridge having a plurality of filling layers causing capillary action therein;
An outer pot to which the inner pot and the cartridge are fixed while a water is filled in a lower part thereof;
Fixed to one side of the outer pot and fixed to form a coupling portion for inserting and inserting a portion of the inlet for the water filled in the outer pot into the inner space, the outlet for discharging the inlet water and a part of the other fixing means disposed below Hydroponic apparatus comprising; means.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고정수단이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고, 각각의 외측화분이 상기 고정수단을 중심으로 하여 좌우로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는 수경 재배장치.
The method of claim 9,
And a plurality of fixing means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each outer pot is arranged in a zigzag form from side to side with respect to the fixing means.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화분은 원뿔, 원뿔대, 각뿔 또는 각뿔대 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 재배장치.
The method of claim 9,
The outer pot is hydroponic cultivation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form of any one of a cone, truncated cone, pyramid or pyramid.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의 상단부에는 다른 고정수단의 결합부 내에 삽입되기 위한 삽입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 재배장치.
The method of claim 9,
Hydroponic cultivation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end of the fixing means is formed with an insertion portion for insertion in the coupling portion of the other fixing means.
식물이 식재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저면부에 홀이 형성되는 내측화분;
상기 내측화분의 상기 홀에 장착되며, 내부에 모세관 현상을 일으키는 복수개의 충전층을 갖는 카트리지;
하부에 물이 채워진 상태에서 상기 내측화분과 상기 카트리지가 고정되는 외측화분;을 포함하되,
상기 외측화분은 일측면이 벽면 또는 유리면의 판넬에 다수 개가 부착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부착형 수경재배장치.
An inner pot that provides a space for planting and has holes formed in a bottom portion thereof;
A cartridge mounted to the hole of the inner pot, the cartridge having a plurality of filling layers causing capillary action therein;
Including the inner pot and the outer pot is fixed to the cartridge in a state filled with water;
The outer pot is a wall-mounted hydroponic cultiv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one side is fixed to the wall or glass panel.
식물이 식재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저면부에 홀이 형성되는 내측화분;
상기 내측화분의 상기 홀에 장착되며, 내부에 모세관 현상을 일으키는 복수개의 충전층을 갖는 카트리지;
하부에 물이 채워진 상태에서 상기 내측화분과 상기 카트리지가 고정되는 외측화분;을 포함하되,
상기 외측화분은 땅을 파내어 형성된 공간에 수용되어 다수 개가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부착형 수경재배장치.
An inner pot that provides a space for planting and has holes formed in a bottom portion thereof;
A cartridge mounted to the hole of the inner pot, the cartridge having a plurality of filling layers causing capillary action therein;
Including the inner pot and the outer pot is fixed to the cartridge in a state filled with water;
The external potted plant is wall-mounted hydroponic cultivation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plurality is arranged in a space formed by digging out the ground.
KR1020100056200A 2010-06-14 2010-06-14 Hydroponics flower port and hydroponics growing apparatus KR10122783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6200A KR101227836B1 (en) 2010-06-14 2010-06-14 Hydroponics flower port and hydroponics grow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6200A KR101227836B1 (en) 2010-06-14 2010-06-14 Hydroponics flower port and hydroponics grow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6304A true KR20110136304A (en) 2011-12-21
KR101227836B1 KR101227836B1 (en) 2013-01-30

Family

ID=45502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6200A KR101227836B1 (en) 2010-06-14 2010-06-14 Hydroponics flower port and hydroponics grow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7836B1 (e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8497B1 (en) * 2012-11-30 2013-04-03 주식회사 파이프팜 Plant system in water
KR101440292B1 (en) * 2012-12-07 2014-09-17 한철구 Planter assembly structure
KR20150094980A (en) * 2014-02-12 2015-08-20 이의범 Vegetation pot for shade system of architecture
US9420750B2 (en) 2012-09-12 2016-08-23 Takami Ito Wall-surface flower bed structure and method for forming wall-surface flower bed
KR102168614B1 (en) * 2019-05-13 2020-10-22 박기태 Multi-stag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for reducing fine dust and humidity control
WO2022123333A1 (en) * 2020-12-09 2022-06-16 H.Glass Sa Hydroponic growing system
KR102614005B1 (en) * 2022-08-31 2023-12-15 주식회사 플러스틱 Balcony far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8859A (en) 2021-09-13 2023-03-21 주식회사 수앤그린테크 Aquarium Having Multi Floor Structure
KR102623177B1 (en) 2023-08-29 2024-01-09 김성래 Pot structur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9373A (en) * 2001-09-22 2001-11-09 정화석 The lower part water supply type flowerpot having ventilation function
KR200321912Y1 (en) * 2003-04-29 2003-07-31 박기윤 a road install flowerpot
KR100801133B1 (en) * 2006-08-22 2008-02-05 배도윤 Flowerpot with automatic watersupply
KR101014627B1 (en) * 2008-10-29 2011-02-16 심이성 Flowerpot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20750B2 (en) 2012-09-12 2016-08-23 Takami Ito Wall-surface flower bed structure and method for forming wall-surface flower bed
KR101248497B1 (en) * 2012-11-30 2013-04-03 주식회사 파이프팜 Plant system in water
KR101440292B1 (en) * 2012-12-07 2014-09-17 한철구 Planter assembly structure
KR20150094980A (en) * 2014-02-12 2015-08-20 이의범 Vegetation pot for shade system of architecture
KR102168614B1 (en) * 2019-05-13 2020-10-22 박기태 Multi-stag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for reducing fine dust and humidity control
WO2022123333A1 (en) * 2020-12-09 2022-06-16 H.Glass Sa Hydroponic growing system
KR102614005B1 (en) * 2022-08-31 2023-12-15 주식회사 플러스틱 Balcony far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7836B1 (en) 2013-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7836B1 (en) Hydroponics flower port and hydroponics growing apparatus
US20110258925A1 (en) Vertical planter
US7676988B2 (en) Capillary hydration system and method
US20100162624A1 (en) Capillary hydration system and method
US8893431B2 (en) Farm in a box
JP2016518120A (en) Vertical garden system
KR20150087510A (en) Box-typed container for slantly mounting flowerpot and apparatus for wall gardening removably equipped with the box-typed containers in a modularized way
EP2885963B1 (en) Vertical garden
KR200420135Y1 (en) A separate type hydroponics flower port for environment beautification
CN204180606U (en) A kind of ventilative flowerpot capable of storing water
CN105009973A (en) Gas-permeable and water-storing flowerpot
KR20190137201A (en) Election type garden system
KR20140019983A (en) Vertical type planting structure
KR100419903B1 (en) The lower part water supply type flowerpot having ventilation function
JPH06253684A (en) Method for planting on wall face o building and planting tool
CN204518615U (en) Basin is hung in ventilative retaining
KR20070093504A (en) Padestal for installing a vegetation mat
JP2995275B2 (en) Irrigation method for potted plants and planter used therefor
CN204518612U (en) Quick-splicing type cultivating groove
JPH0112592Y2 (en)
KR20110003843U (en) An assemble type flowerpot
KR101014627B1 (en) Flowerpot
JP2003259747A (en) Waterable planting apparatus
KR102580157B1 (en) A Pollen With Centralized Flowerpots
CN212415358U (en) Ornamental pergola is used in municipal administ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