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5906A - 자가세정가능한 정수기 - Google Patents

자가세정가능한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5906A
KR20110135906A KR1020110127977A KR20110127977A KR20110135906A KR 20110135906 A KR20110135906 A KR 20110135906A KR 1020110127977 A KR1020110127977 A KR 1020110127977A KR 20110127977 A KR20110127977 A KR 20110127977A KR 20110135906 A KR20110135906 A KR 201101359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torage tank
cleaning
filter
filte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7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39830B1 (ko
KR101439830B9 (ko
Inventor
주일
이선용
김연국
박설희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10030853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135952B1/ko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279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9830B1/ko
Publication of KR201101359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59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98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9830B1/ko
Publication of KR101439830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9830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6Cleaning-out devices, e.g. for removing the cake from the filter casing or for evacuating the last remnants of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reverse osm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ultrafiltration or microfilt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001/007Processes including a sedimentation step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가세정가능한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가세정가능한 정수기는, 물을 여과하기 위하여 RO 멤브레인 필터를 포함한 다수개의 필터를 구비하는 여과부(200); 상기 여과부(200)에서 여과된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상기 여과부(200)와 연결된 저장탱크(300); 및 상기 여과부(200)에서 여과된 물을 이용하여 상기 저장탱크(300)를 세정할 수 있도록 상기 저장탱크(300)에 연결된 세정부(400);를 포함하며, 상기 세정부(400)는 상기 RO 멤브레인필터의 전단에 구비된 모든 필터 또는 일부의 필터만을 통하여 여과된 물이 유입되도록 구성되는 세정수단(410)을 구비하며, 상기 세정수단(410)은 상기 세정수단(410)에서 배출된 물이 상기 RO 멤브레인필터(230)를 통과하지 않고 상기 저장탱크(300)로 공급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정수기의 저장탱크를 정수기에서 분리할 필요없이 자가세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정수기의 저장탱크를 항상 청결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고, 사용자에게 항상 깨끗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가세정가능한 정수기{PURIFIER WHICH IS ABLE TO CLEAN ITSELF}
본 발명은 자가세정가능한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정수기는 유입된 물을 여과시켜서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정수기는 유입된 물을 여과하는 여과부와 여과부에서 여과된 물을 저장하는 저장탱크 및 저장탱크에 저장된 여과된 물을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콕크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여과부에서 여과되었다고 하더라도 여과부에서 여과된 물에는 미량이나마 오염물질이 섞여있을 수 있다. 따라서, 장시간 정수기를 사용하다 보면 이와 같은 미량의 오염물질이 저장탱크에 축적되어 저장탱크가 오염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저장탱크가 오염되면, 저장탱크에 유입되는 여과부에서 여과된 물이 저장탱크에서 오염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저장탱크에서 오염된 물이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정수기의 저장탱크를 세정하거나 살균해주어야만 할 필요성이 있다.
종래, 이와 같이 저장탱크를 세정 또는 살균하기 위해서는 정수기의 작동을 멈춘 후, 저장탱크를 정수기로부터 분리시켜야만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정수기로부터 분리된 저장탱크를 사용자가 직접 수작업으로 세정물질 또는 살균물질을 사용하여 세정 또는 살균해야만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오염물질이 축적된 저장탱크의 세정 또는 살균이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저장탱크의 세정 또는 살균이 제때에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항상 청결한 상태로 저장탱크가 유지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에게 깨끗한 물을 공급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정수기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정수기의 저장탱크를 정수기에서 분리할 필요없이 자가세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정수기의 저장탱크를 항상 청결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사용자에게 항상 깨끗한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 중 적어도 하나를 달성하기 위한 일실시 형태와 관련된 자가세정가능한 정수기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정수기의 저장탱크를 자가세정하기 위해서 정수기의 여과부에서 여과되는 물을 사용하는 것을 기초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물을 여과하기 위하여 RO 멤브레인 필터를 포함한 다수개의 필터를 구비하는 여과부; 상기 여과부에서 여과된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상기 여과부와 연결된 저장탱크; 및 상기 여과부에서 여과된 물을 이용하여 상기 저장탱크를 세정할 수 있도록 상기 저장탱크에 연결된 세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세정부는 상기 RO 멤브레인필터의 전단에 구비된 모든 필터 또는 일부의 필터만을 통하여 여과된 물이 유입되도록 구성되는 세정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세정수단은 상기 세정수단에서 배출된 물이 상기 RO 멤브레인필터를 통과하지 않고 상기 저장탱크로 공급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세정가능한 정수기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세정수단은 상기 세정수단에서 배출된 물이 상기 RO 멤브레인필터 및 그 후단에 설치된 필터를 통과하지 않고 상기 저장탱크로 공급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RO 멤브레인 필터의 전단에는 세디멘트필터와 선카본필터 중 적어도 하나가 구비되며, 상기 세정수단은 상기 세디멘트필터 또는 선카본필터의 후단과 상기 저장탱크 사이의 유로에 장착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세정수단은, 상기 멤브레인필터의 전단에 구비된 필터의 출측과 상기 저장탱크를 직접 연결하는 유로 상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물을 여과하기 위하여 UF필터를 포함한 다수개의 필터를 구비하는 여과부; 상기 여과부에서 여과된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상기 여과부와 연결된 저장탱크; 및 상기 여과부에서 여과된 물을 이용하여 상기 저장탱크를 세정할 수 있도록 상기 저장탱크에 연결된 세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세정부는 상기 UF필터의 전단에 구비된 모든 필터 또는 일부의 필터만을 통하여 여과된 물이 유입되도록 구성되는 세정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세정수단은 상기 세정수단에서 배출된 물이 상기 UF필터를 통과하지 않고 상기 저장탱크로 공급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세정가능한 정수기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세정수단은 하우징 내부에 세정물질 또는 살균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세정수단은 상기 일부의 필터만을 통하여 여과된 물에 세정물질 또는 살균물질을 희석시켜 상기 저장탱크에 공급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정수기의 저장탱크를 정수기에서 분리할 필요없이 정수기의 여과부에서 여과되는 물을 사용하여 자가세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정수기의 저장탱크를 항상 청결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항상 깨끗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자가세정가능한 정수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자가세정가능한 정수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자가세정가능한 정수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자가세정가능한 정수기의 또 따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자가세정가능한 정수기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들은 기본적으로 정수기의 저장탱크를 자가세정하기 위해서 정수기의 여과부에서 여과되는 물을 사용하는 것을 기초로 한다.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가세정가능한 정수기는 여과부(200)와 저장탱크(300) 및 세정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과부(200)는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이에 유입되는 물을 여과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정수필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정수필터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세디멘트필터(210)와 선카본필터(220), RO 멤브레인필터(230) 및 후카본필터(2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정수필터는 도3과 도4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세디멘트필터(210)와 선카본필터(220), UF필터(230') 및 후카본필터(24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여과부에 포함되는 정수필터는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정수기(100)에 유입된 물을 여과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한편,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정수필터로 RO 멤브레인필터(230)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RO 멤브레인필터(230)에서 배출되는 생활용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생활용수 배출관(231)이 RO 멤브레인필터(230)에 연결될 수 있다.
저장탱크(300)는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여과부(200)에 포함될 수 있는 복수개의 정수필터를 거치면서 여과된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여과부(2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저장탱크(300)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탱크(300)의 만수위를 감지할 수 있는 만수위센서(310)와 저장탱크(300)의 저수위를 감지할 수 있는 저수위센서(320)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만수위센서(310)와 저수위센서(320)는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실시예와 후술할 바와 같이 제어부(500)에 연결될 수 있다.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세정부(400)는 여과부(200)에서 여과되는 물로 저장탱크(300)를 세정할 수 있도록 여과부(200)와 저장탱크(30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세정부(400)는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세정수단(410)과 유로전환밸브(420) 및 배수펌프(430)를 포함할 수 있다.
세정수단(410)은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여과부(200)와 저장탱크(300)를 연결하는 연결관(411)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세정수단(410)은 세정물질 또는 살균물질을 저장탱크(300)에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세정수단(410)은 자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세정물질 또는 살균물질이 포함된 세정살균필터 또는 세정살균제 도징시스템(Dosing System)이 될 수 있다.
연결관(411)에는 전술된 세정수단(410) 이외에도, 도2와 도4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여과부(200)에서 여과되는 물을 저장탱크(300)로 보낼 때, 이를 더 여과시키기 위해서 예컨대 UF필터와 같은 정수필터(440)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유로전환밸브(420)는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여과부(200)와 연결관(411)을 연결하는 연결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여과부(200)에서 여과되는 물을 저장탱크(300)로 보낼 수 있다.
한편,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여과부(200)에 정수필터로 RO 멤브레인필터(230)를 사용하는 경우에, 연결관(411)은 여과부(200)의 선카본필터(220)의 후단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 유로전환밸브(420)는 선카본필터(220)의 후단과 연결관(411)을 연결하는 연결부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 연결관(411)은 여과부(200)의 세디멘트필터(210)의 후단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로전환밸브(420)도 세디멘트필터(210)의 후단과 연결관(411)을 연결하는 연결부에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여과부(200)에서 정수필터로 RO 멤브레인필터(230)를 사용하는 경우에, RO 멤브레인필터(230)에 유입된 물은 RO 멤브레인필터(230)에서 여과된 물과 여과되지 않은 생활용수로 나뉘어진다. 그리고, 여과된 물은 후카본필터(240)에 유입되고, 생활용수는 RO 멤브레인필터(230)에 연결된 생활용수 배출관(231)을 통해 정수기(100)의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연결관(411)이 여과부(200)의 RO 멤브레인필터(230)의 후단에 연결되면, 저장탱크(300)를 세정하기 위한 충분한 양의 물을 얻을 수 없어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그리고, 연결관(411)이 여과부(200)의 후카본필터(240)의 후단에 연결되는 경우에도, RO 멤브레인필터(230)에서 여과된 물만이 후카본필터(240)에 유입되어 여과되기 때문에, 저장탱크(300)를 세정하기 위한 충분한 양의 물을 얻을 수 없어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그러나, 도3과 도4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여과부(200)에 정수필터로 RO 멤브레인필터(230)를 사용하지 않고 UF필터(230')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RO 멤브레인필터(230)를 사용하는 때와 같이, UF필터(230')에서 여과된 물과 여과되지 않은 생활용수로 나뉘어지지 않는다. 그러므로, 이 경우에는 저장탱크(300)를 세정하기 위한 충분한 양의 물을 얻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관(411)은 여과부(200)의 세디멘트필터(210)나 선카본필터(220)나 UF필터(230') 또는 후카본필터(240)의 후단 중 어느 곳에도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로전환밸브(420)도 세디멘트필터(210)나 선카본필터(220)나 UF필터(230')나 후카본필터(240)의 후단과 연결관(411)을 연결하는 연결부에 구비될 수 있다.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배수펌프(430)는 저장탱크(300)에 연결된 배수관(431)에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배수펌프(430)는 여과부(200)에서 여과되는 물과 이에 희석된 세정물질 또는 살균물질을 사용하여서 저장탱크(300)의 세정 또는 살균이 끝나면, 저장탱크(300)의 세정 또는 살균을 위해서 저장탱크(300)에 남아 있는 물과 이에 희석된 세정물질 또는 살균물질을 정수기(100)의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서 사용된다.
한편,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배수관(413)은 RO 멤브레인필터(230)에 연결된 생활용수 배출관(231)에 연결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배수관(431)으로 배출되는 저장탱크(300)를 세정 또는 살균한 물이 생활용수 배출관(231)으로 역류하지 않도록, 생활용수 배출관(231)에 체크밸브(232)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가세정가능한 정수기(100)는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어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탱크(300)에 구비될 수 있는 만수위센서(310) 또는 저수위센서(32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0)는 세정부(400)의 세정수단(410)이나 유로전환밸브(420) 또는 배수펌프(430)에도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500)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저장탱크(300)에 연결되어 사용자에게 저장탱크(300)에 저장된 여과된 물을 공급하는 콕크에도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야간에 세정부(400)가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광센서에도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저장탱크(300)의 세정 중임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디스플레이부에도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사용자가 저장탱크(300)를 세정하고 싶을 때, 세정부(400)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세정선택버튼에도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여과부(200)에 유입되는 물을 차단하는 원수차단밸브에도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어부(500)는 저장탱크(300)에 저장된 여과된 물을 완전히 배수하고, 여과부(200)에서 여과되는 물을 세정물질 또는 살균물질과 함께 저장탱크(300)로 보내어 저장탱크(300)를 세정하며, 저장탱크(300)를 세정한 물을 완전히 배수할 있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자가세정가능한 정수기의 자가세정방법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저장탱크(300)의 세정이 필요한 경우, 예컨대 저장탱크(300)를 세정한 후, 즉 종전의 세정작업이 수행된 후 일정기간이 경과하거나, 전술된 바와 같은 광센서(도시되지 않음)가 정수기(100)에 구비된 경우에는 야간이나, 또는 전술된 바와 같은 세정선택버튼(도시되지 않음)을 사용자가 누른 경우에는, 먼저 제어부(500)에 의해서 세정부(400)의 배수펌프(430)를 작동시켜서 여과부(200)에서 여과되어 저장탱크(300)에 저장된 물을 배수관(431)을 통해 정수기(100)의 외부로 배출시킨다(정수배출단계).
이후, 여과부(200)에서 여과되는 물이 연결관(411)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제어부(500)에 의해서 유로전환밸브(420)를 사용하여 여과부(200)에서 여과되는 물의 유로를 전환시킨다. 이에 따라, 여과부(200)에서 여과되는 물은 연결관(411)을 통해 연결관(411)에 구비되는 세정수단(410)에 유입되게 된다.
한편, 도2와 도4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연결관(411)에 정수필터(440)가 구비된 경우에는, 여과부(200)에서 여과되는 물은 정수필터(440)를 거치면서 한번 더 여과된 후 세정수단(410)에 유입되게 된다.
세정수단(410)에서는 세정수단(410)에 유입된 여과부(200)에서 여과되는 물에 세정수단(410)에 포함된 세정물질 또는 살균물질이 희석되게 된다. 이와 같이 세정물질 또는 살균물질이 희석된 여과부(200)에서 여과되는 물은 연결관(411)을 통해 저장탱크(300)에 공급된다(세정수공급단계).
이와 같이, 세정물질 또는 살균물질이 희석된 여과된 물이 저장탱크(300)에 공급되면서 저장탱크(300)가 세정 또는 살균되게 된다. 세정물질 또는 살균물질이 희석된 여과된 물의 저장탱크(300)로의 공급은 저장탱크(300)가 만수위가 될 때까지 이루어진다. 한편, 제어부(500)는 저장탱크(300)에 구비된 만수위센서(310)에 의해서 저장탱크(300)의 만수위를 감지하면, 원수차단밸브(도시되지 않음)를 닫아서 세정물질 또는 살균물질이 희석된 여과된 물의 저장탱크(300)로의 유입을 차단하게 된다.
일정시간이 경과되어 세정물질 또는 살균물질이 희석된 여과된 물에 의해서 저장탱크(300)의 세정 또는 살균이 끝나면, 제어부(500)에 의해서 배수펌프(430)가 작동한다. 이에 의해서 저장탱크(300)에 담겨진 세정물질 또는 살균물질이 희석된 여과된 물을 배수관(431)으로 배출시켜서, 저장탱크(300)에 담겨진 세정물질 또는 살균물질이 희석된 여과된 물을 정수기(100)의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세정수배출단계).
이와 같은 저장탱크(300)에 담겨진 세정물질 또는 살균물질이 희석된 여과된 물의 배출은 저장탱크(300)가 완전히 비워질 때까지 계속된다. 한편, 도1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관(431)이 RO 멤브레인 필터(230)에 연결된 생활용수 배출관(231)과 연결된 경우에는, 저장탱크(300)에 담겨진 세정물질 또는 살균물질이 희석된 여과된 물은 배수관(431)과 생활용수 배출관(231)을 통해 정수기(100)의 외부로 배출된다.
저장탱크(300)에 담겨진 세정물질 또는 살균물질이 희석된 여과된 물이 배수펌프(430)에 의해서 정수기(100)의 외부로 배출되어 저장탱크(300)가 완전히 비워지면, 제어부(500)에 의해서 배수펌프(430)의 동작이 멈춘다.
이와 같은 저장탱크(300)로의 세정물질 또는 살균물질이 희석된 여과된 물의 공급과, 이에 의한 저장탱크(300)의 세정 또는 살균, 및 저장탱크(300)에 공급된 세정물질 또는 살균물질이 희석된 여과된 물의 정수기(100) 외부로의 배출은 한 번만 이루어질 수도 있고 여러 번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반복회수는 제어부(500)에 의해서 조절가능하게 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저장탱크(300)에 담겨진 세정물질 또는 살균물질이 희석된 여과된 물의 정수기(100) 외부로의 배출이 끝나면, 제어부(500)에 의해서 유로전환밸브(420)가 작동되어, 여과부(200)에서 여과되는 물이 세정부(400)의 연결관(411)으로 유동하지 않고, 계속하여 여과부(200)에서 유동할 수 있도록 유로를 전환시킨다.
이후, 제어부(500)에 의해서 원수차단밸브(도시되지 않음)가 열리면, 정수기(100)에 유입된 물은 여과부(200)를 거쳐서 저장탱크(300)에 저장되고(정수재공급단계), 콕크(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사용자에게 공급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가세정가능한 정수기(100)를 사용하면, 정수기(100)에서 저장탱크(300)를 분리할 필요없이 저장탱크(300)를 자가세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수기의 저장탱크를 항상 청결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에게 항상 깨끗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자가세정가능한 정수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 정수기 200 : 여과부
210 : 세디멘트필터 220 : 선카본필터
230 : RO 멤브레인필터 230' : UF필터
231 : 생활용수 배출관 232 : 체크밸브
240 : 후카본필터 300 : 저장탱크
310 : 만수위센서 320 : 저수위센서
400 : 세정부 410 : 세정수단
411 : 연결관 420 : 유로전환밸브
430 : 배수펌프 431 : 배수관
440 : 정수필터 500 : 제어부

Claims (7)

  1. 물을 여과하기 위하여 RO 멤브레인 필터를 포함한 다수개의 필터를 구비하는 여과부(200);
    상기 여과부(200)에서 여과된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상기 여과부(200)와 연결된 저장탱크(300); 및
    상기 여과부(200)에서 여과된 물을 이용하여 상기 저장탱크(300)를 세정할 수 있도록 상기 저장탱크(300)에 연결된 세정부(400);
    를 포함하며,
    상기 세정부(400)는 상기 RO 멤브레인필터의 전단에 구비된 모든 필터 또는 일부의 필터만을 통하여 여과된 물이 유입되도록 구성되는 세정수단(410)을 구비하며,
    상기 세정수단(410)은 상기 세정수단(410)에서 배출된 물이 상기 RO 멤브레인필터(230)를 통과하지 않고 상기 저장탱크(300)로 공급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세정가능한 정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단(410)은 상기 세정수단(410)에서 배출된 물이 상기 RO 멤브레인필터(230) 및 그 후단에 설치된 필터를 통과하지 않고 상기 저장탱크(300)로 공급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세정가능한 정수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RO 멤브레인 필터(230)의 전단에는 세디멘트필터(210)와 선카본필터(220) 중 적어도 하나가 구비되며,
    상기 세정수단(410)은 상기 세디멘트필터(210) 또는 선카본필터(220)의 후단과 상기 저장탱크(300) 사이의 유로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세정가능한 정수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단(410)은, 상기 멤브레인필터의 전단에 구비된 필터의 출측과 상기 저장탱크(300)를 직접 연결하는 유로 상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세정가능한 정수기.
  5. 물을 여과하기 위하여 UF필터를 포함한 다수개의 필터를 구비하는 여과부(200);
    상기 여과부(200)에서 여과된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상기 여과부(200)와 연결된 저장탱크(300); 및
    상기 여과부(200)에서 여과된 물을 이용하여 상기 저장탱크(300)를 세정할 수 있도록 상기 저장탱크(300)에 연결된 세정부(400);
    를 포함하며,
    상기 세정부(400)는 상기 UF필터의 전단에 구비된 모든 필터 또는 일부의 필터만을 통하여 여과된 물이 유입되도록 구성되는 세정수단(410)을 구비하며,
    상기 세정수단(410)은 상기 세정수단(410)에서 배출된 물이 상기 UF필터(230)를 통과하지 않고 상기 저장탱크(300)로 공급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세정가능한 정수기.
  6. 제1항, 제2항,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단(410)은 하우징 내부에 세정물질 또는 살균물질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자가세정가능한 정수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단(410)은 상기 일부의 필터만을 통하여 여과된 물에 세정물질 또는 살균물질을 희석시켜 상기 저장탱크(300)에 공급하는 것을 자가세정가능한 정수기.
KR1020110127977A 2011-04-04 2011-12-01 자가세정가능한 정수기 KR1014398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7977A KR101439830B1 (ko) 2011-04-04 2011-12-01 자가세정가능한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0853A KR101135952B1 (ko) 2010-10-28 2011-04-04 자가세정가능한 정수기
KR1020110127977A KR101439830B1 (ko) 2011-04-04 2011-12-01 자가세정가능한 정수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0853A Division KR101135952B1 (ko) 2010-10-28 2011-04-04 자가세정가능한 정수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4064A Division KR20110138332A (ko) 2011-12-13 2011-12-13 정수기의 자가세정방법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5906A true KR20110135906A (ko) 2011-12-20
KR101439830B1 KR101439830B1 (ko) 2014-09-17
KR101439830B9 KR101439830B9 (ko) 2024-02-08

Family

ID=86052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7977A KR101439830B1 (ko) 2011-04-04 2011-12-01 자가세정가능한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98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7361A (ko) * 2015-09-01 2017-03-10 코웨이 주식회사 물배출구의 살균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8516B1 (ko) * 1998-08-11 2001-02-01 정휘동 정수장치
KR200353265Y1 (ko) * 2004-03-09 2004-06-26 주식회사 대양시스템 소독장치를 구비한 정수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7361A (ko) * 2015-09-01 2017-03-10 코웨이 주식회사 물배출구의 살균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9830B1 (ko) 2014-09-17
KR101439830B9 (ko) 2024-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5529B1 (ko) 자동세정수단을 갖는 정수기 및 그를 이용한 정수기의 자동세정방법
KR101135951B1 (ko) 정수기의 자가세정방법
JP2009233591A (ja) 浄水器
KR101027722B1 (ko) 자가세정가능한 정수기
KR20160005319A (ko) 생활용수 재활용이 가능한 정수기
KR102010981B1 (ko) 수처리장치
CN102548905A (zh) 净水器
KR20110135906A (ko) 자가세정가능한 정수기
KR101135952B1 (ko) 자가세정가능한 정수기
KR101358225B1 (ko) 정수기의 세정방법
KR101521937B1 (ko) 정수기용 위생키트
JP5048140B2 (ja) 浄水器
KR102462653B1 (ko) 탄산수를 이용한 살균 정수기
KR20110138332A (ko) 정수기의 자가세정방법
KR101647647B1 (ko) 고탁도필터의 세척이 가능한 정수기
RU2668909C1 (ru) Система фильтрации воды
KR101586319B1 (ko) 플러싱 기능을 가지는 정수기 및 이를 제어하는 제어방법
KR20130071010A (ko) 제균필터 재생장치와 이를 구비한 정수기 및 제균필터의 재생방법
KR20210026945A (ko) 정수기 및 정수기용 필터
JPH1119486A (ja) 給水装置
KR101907736B1 (ko) 정수기 살균 장치
KR101803674B1 (ko) 정수기 살균 장치
KR20120047139A (ko) 자동세정수단을 갖는 정수기 및 그를 이용한 정수기의 자동세정방법
JP2013017927A (ja) 浄水器
KR102640032B1 (ko) 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6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100002651;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10902

Effective date: 20220323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2100000798;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220322

Effective date: 20220801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2100002308;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20817

Effective date: 20221228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2200003144;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20511

Effective date: 20231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