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5053A - Method for approving image quality of 3 dimensional image and digital broadcast receiver thereof - Google Patents

Method for approving image quality of 3 dimensional image and digital broadcast receiver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5053A
KR20110135053A KR1020100054769A KR20100054769A KR20110135053A KR 20110135053 A KR20110135053 A KR 20110135053A KR 1020100054769 A KR1020100054769 A KR 1020100054769A KR 20100054769 A KR20100054769 A KR 20100054769A KR 20110135053 A KR20110135053 A KR 201101350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image quality
individual user
quality setting
setting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476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송준용
한미경
임근화
손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547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35053A/en
Publication of KR20110135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505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2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 A61B3/09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for testing accommod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90Dynamic range modification of images or parts thereof
    • G06T5/92Dynamic range modification of images or parts thereof based on global image proper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7Control of contrast or brightn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PURPOSE: A method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a 3D image and a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are provided to display an optimum 3D image to an individual user by considering the eyesight of the user. CONSTITUTION: A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receives a 3D video signal(410). The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controls an image quality setting value suitable for the eyesight of an individual user(420). The image quality setting value is applied to left and right images in the 3D image signal. The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applies the controlled image quality setting value to the received 3D image signal(430). The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displays the 3D image signal(440).

Description

3차원 영상의 화질 개선 방법 및 그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 {METHOD FOR APPROVING IMAGE QUALITY OF 3 DIMENSIONAL IMAGE AND DIGITAL BROADCAST RECEIVER THEREOF} Method for Improving 3D Image Quality and Its Digital Broadcast Receiver {METHOD FOR APPROVING IMAGE QUALITY OF 3 DIMENSIONAL IMAGE AND DIGITAL BROADCAST RECEIVER THEREOF}

본 발명은 3차원 영상의 화질 개선 방법 및 그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시력에 맞춰서 3차원 영상 신호의 화질을 최적화시킬 수 있는 3차원 영상의 화질 개선 방법 및 그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improving image quality of a 3D image and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according to the abov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improving image quality of a 3D image that can optimize the image quality of a 3D image signal according to a user's vision and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현재에는 아날로그 방송에서 디지털 방송으로 방송환경이 급속히 전환되고 있다. 그에 따라 디지털 방송을 위한 컨텐츠의 양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또한, 디지털 방송을 위한 컨텐츠로는 2차원(2-dimensions: 2D) 영상 신호를 2차원 이미지로 디스플레이하는 컨텐츠 이외에도 3차원(3 dimensions: 3D) 영상 신호를 3차원 이미지로 디스플레이하는 컨텐츠가 제작 및 기획되고 있다. 이하에서는 3차원 영상 신호를 3차원 이미지로 디스플레이하는 컨텐츠를 3차원 컨텐츠라 한다. Currently, the broadcasting environment is rapidly changing from analog broadcasting to digital broadcasting. Accordingly, the amount of content for digital broadcasting is increasing rapidly. In addition to the content for displaying a two-dimensional (2D) video signal as a two-dimensional image as a content for digital broadcasting, content that displays a three-dimensional (3D) video signal as a three-dimensional image is produced and It is planned. Hereinafter, content displaying a 3D image signal as a 3D image is referred to as 3D content.

3차원 컨텐츠의 제작 및 기획에 따라서, 3차원 컨텐츠를 시청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되고 있으며, 3차원 컨텐츠의 제작 및 기획은 계속하여 증가하고 있다.According to the production and planning of three-dimensional content, a display apparatus capable of viewing three-dimensional content is provided, and the production and planning of three-dimensional content continues to increase.

따라서, 고화질을 갖는 3차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방법 및 그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제공이 필요하다. 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capable of displaying three-dimensional images with high image quality and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accordingly.

본 발명은 개별 사용자의 시력을 고려하여 개별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화질을 갖는 3차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3차원 영상의 화질 개선 방법 및 그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improving image quality of a 3D image capable of displaying a 3D image having an image quality optimized for an individual user in consideration of the eyesight of the individual user, and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accordingl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영상의 화질 개선 방법은 3차원 영상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3차원 영상 신호에 포함되는 좌 및 우 이미지 각각의 화질 설정값을 개별 사용자의 시력에 맞춰 조절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3차원 영상 신호에 상기 조절된 화질 설정값을 적용시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improving image quality of a 3D image includes: receiving a 3D image signal; Adjusting an image quality setting value of each of the left and right images included in the 3D image signal according to an individual user's eyesight; And outputting the adjusted 3D image signal by applying the adjusted image quality setting value.

바람직하게, 상기 화질 설정값을 개별 사용자의 시력에 맞춰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좌 및 우 이미지 각각의 색감(color), 명도(brightness), 선명도(sharpness), 색차(contrast), 또는 채도(chroma)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상기 개별 사용자의 시력에 맞춰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adjusting of the image quality setting to the visual acuity of the individual user may include color, brightness, sharpness, contrast, or chroma of each of the left and right images. Adjusting at least one of the at least one of the eyes according to the individual user.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영상의 화질 개선 방법은 상기 개별 사용자의 시력을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method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a 3D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measuring the visual acuity of the individual user.

바람직하게, 상기 개별 사용자의 시력을 측정하는 단계는 시력 검사표를 2차원 이미지로써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된 시력 검사표를 이용하여 상기 개별 사용자의 시력을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Preferably, measuring the visual acuity of the individual user comprises displaying a visual acuity table as a two-dimensional image; And measuring the visual acuity of the individual user by using the displayed visual acuity chart.

바람직하게, 상기 시력 검사표를 이용하여 상기 개별 사용자의 시력을 측정하는 단계는 셔터 안경의 좌 셔터만을 오픈시켜 상기 개별 사용자의 좌안 시력을 측정하고, 상기 셔터 안경의 우 셔터만을 오픈시켜 상기 개별 사용자의 우안 시력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step of measuring the visual acuity of the individual user by using the eye test table to measure the left eye of the individual user by opening only the left shutter of the shutter glasses, and by opening only the right shutter of the shutter glasses of the individual user And measuring right eye vision.

바람직하게, 상기 화질 설정값을 개별 사용자의 시력에 맞춰 조절하는 단계는 측정된 상기 개별 사용자의 시력에 맞춰서 자동적으로 상기 좌 및 우 이미지 각각의 화질 설정값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Preferably, adjusting the image quality setting value according to the visual acuity of the individual user may include automatically adjusting the image quality setting value of each of the left and right images according to the measured visual acuity of the individual user.

바람직하게, 상기 개별 사용자의 시력에 맞춰 조절하는 단계는 서로 다른 상기 화질 설정값을 갖는 다수개의 3차원 이미지를 동시에 또는 소정 시간 간격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다수개의 3차원 이미지 중, 상기 개별 사용자의 좌안 또는 우안 시력에 대응되는 3차원 이미지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3차원 이미지의 화질 설정값을 상기 수신된 3차원 영상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좌 또는 우 이미지에 적용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adjusting to the visual acuity of the individual user may include displaying a plurality of three-dimensional images having different image quality setting values simultaneously or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Selecting a 3D image corresponding to the left eye or right eye vision of the individual user from the plurality of 3D images; And applying an image quality setting value of the selected 3D image to the left or right image included in the received 3D image signal.

바람직하게, 상기 개별 사용자의 시력에 맞춰 조절하는 단계는 서로 다른 상기 화질 설정값을 갖는 다수개의 3차원 이미지들 간의 화면을 전환시키기 위한 조절 바를 포함하는 OSD(On Screen Display)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다수개의 3차원 이미지들 중, 상기 개별 사용자의 좌안 또는 우안 시력에 대응되는 3차원 이미지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3차원 이미지의 화질 설정값을 상기 수신된 3차원 영상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좌 또는 우 이미지에 적용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adjusting to the visual acuity of the individual user may include: outputting OSD (On Screen Display) data including an adjustment bar for switching a screen between a plurality of three-dimensional images having different image quality setting values; Selecting a three-dimensional image among the plurality of three-dimensional images corresponding to the left or right eye vision of the individual user; And applying an image quality setting value of the selected 3D image to the left or right image included in the received 3D image signal.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영상의 화질 개선 방법은 상기 개별 사용자의 시력 정보를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개별 사용자의 시력에 맞춰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받는 개별 사용자의 시력 정보에 따라서, 상기 화질 설정값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method for improving image quality of a 3D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receiving visual information of the individual user through a user interface. The adjusting to the visual acuity of the individual user may include adjusting the image quality setting value according to the visual acuity information of the individual user.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영상의 화질 개선 방법은 상기 조절된 화질 설정값이 적용된 상기 3차원 영상 신호를 3차원 이미지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image quality improvement method of the 3D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displaying the 3D image signal to which the adjusted image quality setting value is applied as a 3D image.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영상의 화질 개선 방법은 시력 정보에 대응시킨 화질 설정값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method of improving the quality of a 3D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storing an image quality setting value corresponding to vision inform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3차원 영상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입력부; 및 상기 3차원 영상 신호에 포함되는 좌 및 우 이미지 각각의 화질 설정값을 개별 사용자의 시력에 맞춰 조절하며, 상기 수신된 3차원 영상 신호에 상기 조절된 화질 설정값이 적용되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ignal input unit for receiving a 3D video signal; And a control unit adjusting the image quality setting values of the left and right images included in the 3D image signal according to the visual acuity of the individual user, and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received 3D image signal by applying the adjusted image quality setting values. It includes.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응답하여, 상기 수신된 3차원 영상 신호에 상기 조절된 화질 설정값을 적용하여 출력하는 스케일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caler for applying the adjusted image quality setting value to the received 3D image signal and outputting the received 3D image signal in response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상기 좌 이미지 또는 상기 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외부적으로 구비되는 셔터 안경의 좌 또는 우 셔터가 상기 좌 또는 우 이미지의 디스플레이에 대응하여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left image or the right image. Herein,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left or right shutters of the shutter glasses that are externally provided in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to be selectively opened or closed in response to the display of the left or right imag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영상의 화질 개선 방법 및 그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개별 사용자의 시력을 고려하여, 개별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화질을 갖는 3차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improving image quality of a 3D image and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display a 3D image having an optimized image quality for an individual user in consideration of the eyesight of the individual us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영상의 화질 개선 방법 및 그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3차원 컨텐츠의 시청시, 개별 사용자의 양안 시력 차이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영상 화면 왜곡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에 따라서, 개별 사용자가 3차원 컨텐츠를 보다 편안하게 시청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improving image quality of a 3D image and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minimize the occurrence of image screen distortion that may occur due to a difference in binocular vision of an individual user when viewing 3D content. . Accordingly, individual users can be more comfortably watched three-dimensional content.

도 1은 3차원 영상 신호의 전송 포맷들 중 싱글 비디오 스트림 포맷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3차원 영상 신호의 전송 포맷들 중 멀티 비디오 스트림 포맷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를 나타내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영상의 화질 개선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5는 셔터 안경을 이용하여 개별 사용자의 시력을 측정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셔터 안경을 이용하여 개별 사용자의 시력을 측정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질 개선 방법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일 화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4의 420 단계에서의 일 화질 설정값 조절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4의 420 단계에서의 다른 화질 설정값 조절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4의 420 단계에서의 다른 화질 설정값 조절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4의 420 단계에서의 화질 설정값 조절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4의 420 단계에서의 화질 설정값 조절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영상의 화질 개선 방법 및 그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이용될 수 있는 시력별 화질 설정값의 데이터 베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diagram for describing single video stream formats among transmission formats of a 3D video signal.
FIG. 2 is a diagram for describing multi video stream formats among transmission formats of a 3D video signal.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improving image quality of a 3D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n operation of measuring an eyesight of an individual user using shutter glasses.
FIG. 6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n operation of measuring an eyesight of an individual user using shutter glasses.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configuration displayed in the image quality improv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n operation of adjusting one image quality setting value in step 420 of FIG. 4.
9 is a view for explaining another image quality setting value adjusting operation in step 420 of FIG.
FIG. 10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nother image quality setting value adjusting operation in step 420 of FIG. 4.
FIG. 11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n image quality setting value adjusting operation in step 420 of FIG. 4.
FIG. 12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n operation of adjusting image quality setting values in step 420 of FIG. 4.
FIG. 1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improving image quality of a 3D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database of visual quality setting values for each visual acuity that can be used in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고 또 이것에 의해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않는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can specifically realize the above object will be described. At this time,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by it will be described as at least one embodiment, by which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cor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is not limited.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해 기술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elected as general terms widely used as possible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but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a person skilled in the art or the emergence of a new technology. In addition, in certain cases, there is also a term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in which case the meaning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Therefore, it is intended that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ased on the meanings of the terms and the general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than the names of the simple terms.

본 발명은, 3차원(3 dimensions; 이하 '3D')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에서 개별 사용자의 시력에 따라 화질 설정값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3차원 영상의 화질 개선 방법 및 그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improving image quality of a 3D image and automatically adjusting the image quality setting value according to the visual acuity of an individual user in the process of displaying a 3D image (hereinafter referred to as '3D') and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accordingly. I would like to.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함에 있어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차원 영상인 3차원 영상을 처리할 수 있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가 좌 영상과 우 영상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액티브(active) 방식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in describ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capable of processing a 3D image, which is a 3D image, sequentially shows a left image and a right image as an example. Will be explained.

본 발명과 관련하여, 이하에서 먼저 3차원 영상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한다. In connection with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briefly describes the three-dimensional image.

3차원 영상으로는 두 개의 시점을 고려하는 스테레오(또는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세 개의 시점 이상을 고려하는 다시점 영상 등이 있다. 스테레오 영상은 일정한 거리로 이격되어 있는 좌측 카메라와 우측 카메라로 동일한 피사체를 촬영하여 획득한 1쌍의 좌우 영상을 말한다. 다시점 영상은 일정한 거리나 각도를 갖는 3개 이상의 카메라로 동일한 피사체를 촬영하여 획득한 3개 이상의 영상을 말한다.Three-dimensional images include stereo (or stereoscopic) images considering two viewpoints and multi-view images considering three or more viewpoints. The stereo image refers to a pair of left and right images obtained by photographing the same subject with a left camera and a right camera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certain distance. The multi-view image refers to three or more images obtained by photographing the same subject with three or more cameras having a constant distance or angle.

스테레오 영상의 전송 포맷으로는 싱글 비디오 스트림 포맷(single video stream format)과 멀티 비디오 스트림 포맷(multi video stream format)이 있다. The stereo video transmission formats include a single video stream format and a multi video stream format.

싱글 비디오 스트림 포맷 및 멀티 비디오 스트림 포맷들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The single video stream format and the multi video stream formats ar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도 1은 3차원 영상의 전송 포맷들 중 싱글 비디오 스트림 포맷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for describing single video stream formats among transmission formats of a 3D video.

싱글 비디오 스트림 포맷으로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side by side), 탑/다운(top/down), 인터레이스드(interlaced), 프레임 시퀀셜(frame sequential), 체커 보드(checker board), 또는 애너그리프(anaglyph) 등이 있다.Single video stream formats include side by side, top / down, interlaced, frame sequential, checker board, or anaglyph. Etc.

도 1의 (a)를 참조하면, 도 1의 (a)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 포맷을 나타낸다. 사이드 바이 사이드 포맷은 좌 영상과 우 영상을 각각 수평 방향으로 1/2 서브 샘플링(sub sampling)하고, 샘플링한 좌 영상을 좌측에, 샘플링한 우 영상을 우측에 위치시켜 하나의 스테레오 영상을 만든다. Referring to FIG. 1A, FIG. 1A shows a side by side format. In the side-by-side format, the left image and the right image are each subsampl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y 1/2, and the sampled left image is placed on the left side and the sampled right image is placed on the right side to make one stereo image.

도 1의 (b)를 참조하면, 도 1의 (b)는 탑/다운 포맷을 나타낸다. 탑/다운 포맷은 좌 영상과 우 영상을 각각 수직 방향으로 1/2 서브 샘플링하고, 샘플링한 좌 영상을 상부에, 샘플링한 우 영상을 하부에 위치시켜 하나의 스테레오 영상을 만든 경우이다.Referring to FIG. 1B, FIG. 1B shows a top / down format. The top / down format is a case where one stereo image is created by sub-sampling the left image and the right imag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placing the sampled left image at the top and the sampled right image at the bottom.

도 1의 (c)를 참조하면, 도 1의 (c)는 인터레이스드 포맷을 나타낸다. 인터레이스드 포맷은 좌 영상과 우 영상을 각각 수직 방향으로 1/2 서브 샘플링하고, 샘플링한 좌 영상의 화소와 우 영상의 화소가 라인마다 교대로 위치하도록 하여 스테레오 영상을 만든다. 또는 좌 영상과 우 영상을 각각 수평 방향으로 1/2 서브 샘플링하고, 샘플링한 좌 영상의 화소와 우 영상의 화소가 한 화소씩 교대로 위치하도록 하여 스테레오 영상을 만든다. Referring to FIG. 1C, FIG. 1C shows an interlaced format. In the interlaced format, the left image and the right image are 1/2 subsamp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respectively, and a stereo image is generated by alternately placing pixels of the sampled left image and pixels of the right image for each line. Alternatively, the left image and the right image are each 1/2 subsampl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pixels of the sampled left image and the pixel of the right image are alternately positioned one pixel to create a stereo image.

도 1의 (d)를 참조하면, 도 1의 (d)는 프레임 시퀀셜 포맷을 나타낸다. 프레임 시퀀셜 포맷은 좌 영상과 우 영상을 서브 샘플링하는 것이 아니라, 좌 영상과 우 영상 각각을 하나의 프레임으로 하여 순차적으로 번갈아 디스플레이되도록 하여 스테레오 영상을 만든다. Referring to FIG. 1D, FIG. 1D shows a frame sequential format. The frame sequential format does not subsample the left image and the right image, but creates a stereo image by sequentially displaying the left image and the right image as one frame.

도 1의 (e)를 참조하면, 도 1의 (e)는 체커 보드 포맷을 나타낸다. 체커 보드 포맷은 좌 영상과 우 영상을 각각 수직과 수평 방향으로 1/2 서브 샘플링하고, 샘플링한 좌 영상의 화소와 우 영상의 화소가 한 화소씩 교대로 위치하도록 하여 스테레오 영상을 만든다. Referring to FIG. 1E, FIG. 1E illustrates a checker board format. The checker board format creates a stereo image by sub-sampling the left image and the right image 1/2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and positioning the pixels of the sampled left image and the pixels of the right image alternately one pixel.

도 2는 3차원 영상 신호의 전송 포맷들 중 멀티 비디오 스트림 포맷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 2 is a diagram for describing multi video stream formats among transmission formats of a 3D video signal.

멀티 비디오 스트림 포맷으로는 풀 좌/우(Full left/right), 풀 좌/하프 우(Full left/Half right), 또는 2D 비디오/깊이(2D video/depth) 등이 있다.The multi video stream format includes full left / right, full left / half right, or 2D video / depth.

도 2의 (a)를 참조하면, 도 2의 (a)는 풀 좌/우 포맷을 나타낸다. 풀 좌/우 포맷은 좌 영상과 우 영상을 순차적으로 각각 전송한다. Referring to FIG. 2A, FIG. 2A shows a full left / right format. The full left and right formats sequentially transmit left and right images, respectively.

도 2의 (b)를 참조하면, 도 2의 (b)는 풀 좌/하프 우 포맷을 나타낸다. 풀 좌/하프 우 포맷은 좌 영상은 그대로, 우 영상은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1/2 서브 샘플링하여 전송한다. Referring to FIG. 2B, FIG. 2B shows a full left / half right format. In the full left / half right format, the left image is left as it is, and the right image is 1/2 subsampled and transmitted in the vertical or horizontal direction.

도 2의 (c)를 참조하면, 도 2의 (c)는 2D 비디오/깊이 포맷을 나타낸다. 2D 비디오/깊이 포맷은 좌 영상과 우 영상 중 하나의 영상과 다른 하나의 영상을 만들어내기 위한 깊이 정보를 함께 전송한다. Referring to FIG. 2C, FIG. 2C shows a 2D video / depth format. The 2D video / depth format transmits depth information for generating one image of the left image and the right image and the other image.

스테레오 영상 또는 다시점 영상은 MPEG 또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압축 부호화되어 수신 시스템으로 전송된다. 수신 시스템은 디지털 방송 수신기가 될 수 있다. Stereo images or multi-view images are compressed and encoded by MPEG or various methods and transmitted to a receiving system. The receiving system may be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예를 들어, 사이드 바이 사이드 포맷, 탑/다운 포맷, 인터레이스드 포맷, 체커 보드 등과 같은 스테레오 영상은 H.264/AVC 방식으로 압축 부호화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수신 시스템에서 H.264/AVC 코딩 방식의 역으로 상기 스테레오 영상에 대해 복호를 수행하여 3차원 영상을 얻을 수 있다.For example, a stereo image such as a side by side format, a top / down format, an interlaced format, a checker board, and the like may be compressed and transmitted by H.264 / AVC. In this case, a 3D image may be obtained by decoding the stereo image in the inverse of the H.264 / AVC coding scheme in the reception system.

또한, 풀 좌/하프 우 포맷의 좌 영상 또는 다시점 영상 중 하나의 영상은 기본 계층(based layer) 영상으로, 나머지 영상은 상위 계층(enhanced layer) 영상으로 할당한 후, 기본 계층의 영상은 모노스코픽 영상과 동일한 방식으로 부호화하고, 상위 계층의 영상은 기본 계층과 상위 계층의 영상 간의 상관 정보에 대해서만 부호화하여 전송할 수 있다. In addition, one of a left image or a multiview image of a full left / half right format is assigned to a base layer image, and the other image is assigned to an enhanced layer image, and then the base layer image is mono. Encoding is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as the scopic video, and an upper layer video may be encoded and transmitted only with respect to correlation information between a base layer and an upper layer.

기본 계층의 영상에 대한 압축 부호화 방식의 예로는 JPEG, MPEG-1, MPEG-2, MPEG-4, H.264/AVC 방식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위 계층의 영상에 대한 압축 부호화 방식은 H.264/MVC (Multi-view Video Coding)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스테레오 영상은 기본 계층의 영상과 하나의 상위 계층 영상으로 할당되나, 다시점 영상은 하나의 기본 계층의 영상과 복수 개의 상위 계층 영상으로 할당된다. 여기서 다시점 영상을 기본 계층의 영상과 하나 이상의 상위 계층의 영상으로 구분하는 기준은 카메라의 위치에 따라 결정될 수도 있고, 카메라의 배열 형태에 따라 결정될 수도 있다. 또는 특별한 기준을 따르지 않고 임의로 결정될 수도 있다.As an example of the compression encoding scheme for the image of the base layer, a JPEG, MPEG-1, MPEG-2, MPEG-4, H.264 / AVC scheme may be used. In addition, a compression encoding scheme for an upper layer video may use a H.264 / MVC (Multi-view Video Coding) scheme. In this case, the stereo image is allocated to the base layer image and one higher layer image, but the multiview image is allocated to the base layer image and the plurality of higher layer images. The criterion for dividing the multiview image into an image of the base layer and an image of one or more higher layers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camera or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the cameras. Or may be arbitrarily determined without following special criteria.

일반적으로 3차원 영상(또는 3차원 영상)은 두 눈의 스테레오(stereo) 시각 원리에 의한다. 양안 시차(binocular parallax)는 입체감을 느끼게 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좌우 눈이 각각 연관된 평면 영상을 볼 경우, 뇌는 이들 서로 다른 두 영상을 융합하여 3차원 영상 본래의 깊이감과 실재감을 재생할 수 있다. 여기서, 양안 시차란, 두 눈의 시차를 말하는 것으로, 약 65mm 정도 떨어져 존재하는 두 눈 사이의 간격에 따라 발생하는 좌안과 우안의 보이는 것의 차이를 뜻한다. In general, a 3D image (or 3D image) is based on a stereo vision principle of two eyes. The binocular parallax is an important factor in making the stereoscopic sense, and when the planar image of the left and right eyes are respectively connected, the brain can fuse these two different images to reproduce the depth and reality of the 3D image. Here, binocular disparity refers to the disparity of two eyes, and means the difference between the left and right eyes visible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eyes that are about 65mm apart.

이러한 3차원 영상 표시는 크게 스테레오스코픽(stereoscopic) 방식, 부피표현(volumetric) 방식, 홀로그래픽(holographic) 방식으로 구분된다. 예를 들어, 스테레오스코픽 기술을 적용한 3차원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2D 영상에 깊이(depth) 정보를 부가하고, 이 깊이 정보를 이용하여 관찰자가 입체의 생동감과 현실감을 느낄 수 있게 하는 영상 표시 장치이다.The 3D image display is largely divided into a stereoscopic method, a volumetric method, and a holographic method. For example,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capable of displaying a 3D video signal using stereoscopic technology adds depth information to a 2D image, and the viewer can feel stereoscopic liveness and reality using the depth information. It is a video display device.

그리고 3차원 영상을 보여주는 방식에는 크게 안경을 착용하는 방식과 안경을 착용하지 않는 무안경 방식이 있다. 안경을 착용하는 방식은 다시 패시브(passive) 방식과 액티브(active) 방식으로 나뉜다. In addition, there are two methods of displaying three-dimensional images, a method of wearing glasses and a glasses-free method of not wearing glasses. The way of wearing the glasses is divided into passive and active methods.

여기서 패시브 방식은 편광 필터를 사용해서 좌 영상과 우 영상을 구분해서 보여주는 방식이다. 즉, 패시브 방식은 양안에 각각 청색과 적색의 색안경을 쓰고 보는 방식이다. 그리고 액티브 방식은 액정 셔터를 이용하여 좌우 안을 구분하는 방식으로, 시간적으로 좌안(왼쪽 눈)과 우안(오른쪽 눈)을 순차적으로 가림으로써 좌 영상과 우 영상을 구분하는 방식이다. 즉, 액티브 방식은 시간 분할된 화면을 주기적으로 반복시키고 이 주기에 동기시킨 전자 셔터가 설치된 안경을 쓰고 보는 방식이며, 시분할 방식(time split type) 또는 셔텨드 글래스(shuttered glass) 방식이라 하기도 한다. 이하에서는 셔터드 글래스 방식으로 구동되는 안경을 셔터 안경이라 한다. In this case, the passive method distinguishes between the left image and the right image using a polarization filter. In other words, the passive method is to wear blue and red sunglasses on both eyes. The active method distinguishes left and right eyes using a liquid crystal shutter, and distinguishes between a left image and a right image by sequentially covering the left eye (left eye) and the right eye (right eye) in time. That is, the active method is a method of wearing and viewing glasses with an electronic shutter that is periodically repeated and synchronized with the time-divided screen, and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time split type or shuttered glass method. Hereinafter, the glasses driven by the shuttered glass method are referred to as shutter glasses.

안경을 착용하지 않는 무안경 방식으로서 알려진 대표적인 것으로는 원통형의 렌즈 어레이를 수직으로 배열한 렌티큘러(lenticular) 렌즈 판을 영상 패널 전방에 설치하는 렌티큘러 방식과, 영상 패널 상부에 주기적인 슬릿을 갖는 배리어 층을 구비하는 패러랙스 배리어(parallax barrier) 방식이 있다.Representative examples of glasses-free glasses-free methods include a lenticular method in which a lenticular lens plate in which a cylindrical lens array is arranged vertically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image panel, and a barrier layer having a periodic slit on the image panel. There is a parallax barrier (parallax barrier) method having a.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해 입체 디스플레이 방식 중 스테레오스코픽 방식을 예로 하고, 스테레오스코픽 방식 중 액티브 방식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다만, 이하에서 액티브 방식의 매체로 셔터 안경을 예로 하여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매체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적용 가능함을 미리 밝혀둔다.In the following specification, in order to more easily describ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ereoscopic method of a stereoscopic display method is taken as an example, and an active method of the stereoscopic method is described as an example. However, hereinafter, the shutter glasses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of the active type media,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other media as described below.

상술한 바와 같이, 액티브 방식에 의할 경우, 좌안을 위한 영상이 디지털 방송 수신기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되는 경우에는 셔터 안경의 좌측 셔터를 오픈(open)하고, 우안을 위한 영상이 디지털 방송 수신기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되는 경우에는 우측 셔터를 오픈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the active method, when the image for the left eye is displayed through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the left shutter of the shutter glasses is opened, and the image for the right eye is displayed through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In this case, open the right shutter.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를 나타내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300)는 신호 입력 및 처리부(310), 포맷터(Formatter)(330), 적외선 출력부(IR emitter: Infra-Red emitter)(335), 제어부(Controller)(350), 사용자 인터페이스 부(User Interface unit)(360), 및 디스플레이 부(Display unit)(370)을 포함한다. 디지털 방송 수신기로는 디지털 텔레비전 또는 셋 톱 박스(set-top box) 등이 있다. 또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300)는 외부적으로 셔터 안경(Shutter glasses)(3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셔터 안경(Shutter glasses)(340)은 디지털 방송 수신기(300)와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3,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ignal input and processing unit 310, a formatter 330, an infrared emitter (IR emitter: Infra-Red emitter) 335, and a controller. And a controller 350, a user interface unit 360, and a display unit 370. Digital broadcast receivers include digital televisions or set-top boxes. In addition,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300 may further include shutter glasses 340. In addition, the shutter glasses 340 may b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300.

또한, 신호 입력 및 처리부(310)는 신호 입력부(예를 들어, 튜너(Tuner)(311)), 복조기(Demodulator)(313), 역다중화기(Demux: Demultiplexer)(315), 및 디코더 및 스케일러(32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디코더 및 스케일러(320)는 비디오 디코더(Video Decoder)(321), 오디오 디코더(Audio Decoder)(323), 스케일러(Scaler)(325), 및 비디오 처리부(Video Processor)(327)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ignal input and processing unit 310 may include a signal input unit (for example, a tuner 311), a demodulator 313, a demultiplexer 315, and a decoder and scaler ( 320). The decoder and scaler 320 may include a video decoder 321, an audio decoder 323, a scaler 325, and a video processor 327. Can be.

또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300)에는 도 1에서 도시되는 구성 이외에 필요한 다른 구성이 더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300 may further include other necessary components in addition to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 1.

도 3에서는 디스플레이될 영상 신호를 입력받는 신호 입력부로 튜너(Tuner)(311)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 튜너(311)는 소정 주파수 대역의 채널을 통하여 무선 주파수(RF: Radio Frequency) 신호 형태로 전송되는 소정 콘텐츠를 포함하는 방송 신호를 선택적으로 수신한다. 즉, 튜너(311)는 방송국 등의 컨텐츠 제작자로부터 전송되는 방송 신호를 선택적으로 수신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될 영상 신호를 입력받는 신호 입력부로는 컨텐츠 제공자(CP: Content Provider)로부터 컨텐츠를 전송받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부(미도시)가 될 수도 있다. 3 illustrates a tuner 311 as a signal input unit for receiving an image signal to be displayed as an example. The tuner 311 selectively receives a broadcast signal including predetermined content transmitted in the form of a radio frequency (RF) signal through a channel of a predetermined frequency band. That is, the tuner 311 selectively receives a broadcast signal transmitted from a content producer such as a broadcast station. Also, the signal input unit for receiving an image signal to be displayed may be a network interface unit (not shown) that receives content from a content provider (CP).

복조기(313)는 튜너(311)로부터 입력되는 방송 신호를 복조한다.The demodulator 313 demodulates the broadcast signal input from the tuner 311.

역다중화부(315)는 복조된 방송 신호로부터 오디오 신호, 비디오 신호 및 부가 정보를 역다중화(demultiplex)한다. 여기서, 부가 정보는 PSI/PSIP(Program Specific Information/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와 같은 SI(System Information) 정보일 수 있다. The demultiplexer 315 demultiplexes an audio signal, a video signal, and additional information from the demodulated broadcast signal. Here, the additional information may be SI (System Information) information such as PSI / PSIP (Program Specific Information / 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

역다중화부(315)는 역다중화 된 오디오 신호 및 비디오 신호를 디코더 및 스케일러(320)로 출력하고, 부가 정보를 부가 정보 처리부(미도시)로 출력한다.The demultiplexer 315 outputs the demultiplexed audio signal and the video signal to the decoder and the scaler 320, and outputs additional information to an additional information processor (not shown).

비디오 디코더(321) 및 오디오 디코더(323)는 각각 역 다중화된 오디오 신호 및 비디오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한다.The video decoder 321 and the audio decoder 323 respectively receive and process the demultiplexed audio signal and the video signal.

스케일러(325)는 상기 디코더(321) 및 오디오 디코더(323)에서 처리된 신호를 디스플레이 부(370) 또는 스피커 부(미도시)를 통하여 출력하기 위한 적절한 크기의 신호로 스케일링한다. The scaler 325 scales the signal processed by the decoder 321 and the audio decoder 323 into a signal of an appropriate size for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370 or the speaker unit (not shown).

또한, 스케일러(325)는 3차원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적용되는 화질 설정값을 디스플레이할 3차원 영상 신호에 따른 좌 및 우 이미지에 각각 적용시킨다. 여기서, 화질 설정값은 제어부(350)에 의하여 구체적으로 조절 또는 설정될 수 있으며, 스케일러(325)는 제어부(350)의 제어에 따라서 소정 화질 설정값을 디스플레이할 3차원 영상 신호에 따른 좌 및 우 이미지에 각각 적용하여 출력하는 것이다. 여기서, 소정 화질 설정값을 디스플레이할 3차원 영상 신호에 따른 좌 및 우 이미지에 각각 적용하여 출력하는 동작은 스케일러(325)가 아닌 포맷터(330)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scaler 325 applies the image quality setting values applied to display the 3D image to the left and right images according to the 3D image signal to be displayed, respectively. Here, the image quality setting value may be specifically adjusted or set by the control unit 350, and the scaler 325 may be left and right according to a 3D image signal to display a predetermined image quality setting valu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350. Each output is applied to an image. In this case, an operation of applying a predetermined image quality setting value to the left and right images according to the 3D image signal to be displayed may be performed by the formatter 330 instead of the scaler 325.

포맷터(330)는 디코더 및 스케일러(320)에서 출력되는 영상 및 음성 신호들을 디스플레이 부(370)의 출력 포맷에 맞게 변환한다. 여기서, 포맷터(330)는 2D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경우에는 상기 변환 기능 수행 없이 입력받은 신호를 통과시킨다. 그리고, 3D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경우에는 제어부(350)의 제어에 따라 3D 컨텐츠의 포맷 및 디스플레이부(370)의 출력 주파수 등에 맞게 3D 포맷으로 처리하는 3D 포맷터로 동작할 수 있다.The formatter 330 converts the video and audio signals output from the decoder and the scaler 320 according to the output format of the display unit 370. Here, when displaying the 2D content, the formatter 330 passes the received signal without performing the conversion function. When the 3D content is displayed, the 3D content may be operated as a 3D formatter that processes the 3D content according to the format of the 3D content and the output frequency of the display unit 37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350.

포맷터(330)는 3차원 입체 영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변환된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 부(370)로 출력하고, 출력되는 3차원 영상 신호에 관한 수직 동기 신호(Vsync)를 생성하여 적외선 출력부(335)로 출력한다. 여기서, 수직 동기 신호(Vsync)는 3차원 영상 신호에 따른 좌 이미지 또는 우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시점과 셔터 안경(340)의 좌 안 렌즈 또는 우안 렌즈의 개폐 시점을 동기 시키기 위한 신호이다. The formatter 330 outputs the converted image signal to the display unit 370 to implement the 3D stereoscopic image, generates a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Vsync for the output 3D image signal, and outputs the infrared output unit 335. Will output Here, the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Vsync is a signal for synchronizing the display time of the left image or the right image according to the 3D image signal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time of the left eye lens or the right eye lens of the shutter glasses 340.

적외선 출력부(335)는 포맷터(330)에서 출력되는 수직 동기 신호를 수신하여 셔터 안경(340) 내 수광부(미도시)로 전송한다. The infrared output unit 335 receives a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output from the formatter 330 and transmits the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to a light receiving unit (not shown) in the shutter glasses 340.

셔터 안경(340)은 내부적으로 구비되는 수광부(미도시)를 통해 전송받은 수직 동기 신호(Vsync)에 따라 셔터 오픈 주기를 조정한다. The shutter glasses 340 adjusts the shutter open period according to the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Vsync received through an internal light receiving unit (not shown).

셔터 안경(340)은 좌안 셔터 액정 패널(좌안 렌즈)과 우안 셔터 액정 패널(우안 렌즈)을 구비한다. 셔터 액정 패널들은 액정 패널의 양 전극으로 공급되는 소스 구동 전압들에 따라 광을 단순히 통과 또는 차단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shutter glasses 340 include a left eye shutter liquid crystal panel (left eye lens) and a right eye shutter liquid crystal panel (right eye lens). The shutter liquid crystal panels perform a function of simply passing or blocking light according to source driving voltages supplied to both electrodes of the liquid crystal panel.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표시면에 좌 이미지가 표시될 때, 좌안 셔터 액정 패널은 광을 통과시키고 우안 셔터 액정 패널은 광 투과를 차단한다. 그에 따라서, 좌 이미지가 안경 사용자의 좌측 눈에만 전달된다. 그리고,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표시면에 우 이미지가 표시될 때에는, 좌안 셔터 액정 패널은 광 투과를 차단하고, 우안 셔터 액정 패널은 광을 통과시킨다. 그에 따라서, 우 이미지가 사용자의 우측 눈에만 전달된다. When a left imag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surface of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the left eye shutter liquid crystal panel passes light and the right eye shutter liquid crystal panel blocks light transmission. Accordingly, the left image is transmitted only to the left eye of the spectacles user. When the right imag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surface of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the left eye shutter liquid crystal panel blocks light transmission, and the right eye shutter liquid crystal panel passes light. Accordingly, the right image is delivered only to the user's right eye.

이 과정에서, 셔터 안경(340)의 내부적으로 구비되는 적외선 수신부(미도시)는 적외선 출력부(335)로부터 전송되는 적외선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며, 셔터안경(340)의 내부적으로 구비되는 제어부(미도시)는 변환된 적외선 신호에 따라서 좌안 셔터 액정 패널과 우안 셔터 액정 패널이 교대로 온 오프되게 제어한다. In this process, the infrared receiver (not shown) provided internally of the shutter glasses 340 converts an infrared signal transmitted from the infrared output unit 335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a controller provided internally of the shutter glasses 340. (Not shown) controls the left eye shutter liquid crystal panel and the right eye shutter liquid crystal panel to be turned on and off alternately according to the converted infrared signal.

제어부(350)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소정 컨텐츠를 포함하는 방송 신호가 영상 화면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한다. The controller 35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300. In detail, a broadcast signal including predetermined content may be displayed on an image screen.

구체적으로, 제어부(35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부(360)를 통하여 입력되는 사용자별 좌안 및 우안 각각의 시력 정보를 전송받고, 상기 시력 정보에 따라서 3차원 영상 신호의 화질 설정값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조절된 화질 설정값을 디스플레이하고자 하는 3차원 영상 신호에 적용하여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In detail, the control unit 350 may receive visual information of each of the left and right eyes of each user input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360, and adjust the image quality setting value of the 3D image signal according to the visual acuity information. The adjusted image quality setting value may be applied to the 3D image signal to be displayed and output.

또한, 제어부(350)는 디스플레이 부(370)의 디스플레이 화면 상으로 시력 검사표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고, 디스플레이된 시력 검사표에 대응하여 입력되는 개별 사용자의 시력 검사 데이터를 사용자 인터페이스 부(360)를 통하여 입력받을 수 있다. 그리고, 입력받은 시력 검사 데이터에 따라서 개별 사용자의 시력을 측정하고, 상기 시력에 맞춰 디스플레이될 3차원 영상 신호의 좌 및 우 이미지의 화질 설정값을 조절할 수 있다. 그에 따라서, 조절된 화질 설정값을 디스플레이하고자 하는 3차원 영상 신호에 적용하여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350 allows the eye test table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of the display unit 370 and receives eye test data of the individual user input corresponding to the displayed eye test table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360. Can be. The visual acuity of the individual user may be measured according to the received visual acuity test data, and the image quality setting values of the left and right images of the 3D image signal to be displayed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visual acuity. Accordingly, the adjusted image quality setting value may be applied to the 3D image signal to be displayed and output.

여기서, 시력 검사표는 정확한 시력 검사를 위하여 2차원 이미지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50)는 시력 검사를 위하여 필요한 메시지(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화면으로부터 2m 거리 유지', '지시된 숫자를 입력하세요' 등)를 포함하는 OSD(On Screen Display)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러면, OSD 생성부(335)는 제어부(360)의 제어에 따라서 소정 OSD 데이터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 부(370)로 출력하며, 디스플레이 부(370)는 출력된 OSD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화면의 소정 영역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Here, the eye test table may be displayed as a 2D image for accurate eye test. In addition, the controller 350 outputs OSD (On Screen Display) data including a message (eg, 'keep 2m away from the display screen', 'enter the displayed number', etc.) necessary for the vision test. Can be controlled. Then, the OSD generator 335 generates predetermined OSD data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360 and outputs the OSD data to the display unit 370. The display unit 370 displays the output OSD data i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display screen. can do.

OSD 생성부(355)는 소정 OSD 데이터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 부(370)로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OSD 생성부(355)는 제어부(350)의 제어에 따라서 디스플레이되는 3차원 영상 신호의 화질 설정값을 조절하기 위한 OSD(On Screen Display) 데이터를 생성한다. 또한, 사용자에게 제공하여야 할 각종 정보를 OSD 데이터 형태로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OSD 데이터는 디스플레이 부(370)로 바로 전송되어 2차원 영상으로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고, 포맷터(330)로 전송되어 3차원 이미지로 변환됨으로써 3차원 영상으로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The OSD generator 355 generates predetermined OSD data and outputs the same to the display unit 370. In detail, the OSD generation unit 355 generates OSD (On Screen Display) data for adjusting the quality setting value of the 3D image signal display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350. In addition,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to be provided to the user may be generated in the form of OSD data. The generated OSD data may be directly transmitted to the display unit 370 to be displayed as a 2D image, or may be transmitted to the formatter 330 and converted into a 3D image to be displayed as a 3D image.

사용자 인터페이스 부(360)는 사용자에게 제공하여야할 데이터를 생성하여 출력하거나, 사용자로부터 소정 요청 또는 소정 정보를 입력받는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 부(360)는 3차원 영상 신호의 화질 설정값을 조절하기 위한 OSD 데이터 또는 영상 화면을 출력할 수 있으며,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의 시력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The user interface 360 generates and outputs data to be provided to the user, or receives a predetermined request or predetermined information from the user. In detail, the user interface 360 may output OSD data or an image screen for adjusting the image quality setting value of the 3D image signal, and receive the user's vision information from the user.

디스플레이 부(370)는 포맷터(330)를 통하여 전송되는 3차원 영상 신호를 입체 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포맷터(330)를 단순 통과(bypass)하여 전송되거나 포맷터(330)를 통과하지 않고 디코더 및 스케일러(320)에서 출력되는 2차원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370 displays a 3D image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formatter 330 as a 3D image. In addition, the 2D image signal output by the decoder and the scaler 320 may be displayed by simply passing through the formatter 330 or without passing through the formatter 330.

저장부(380)는 디스플레이 동작에 필요한 각종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The storage unit 380 may store various pieces of information necessary for a display oper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300)는 이하에서 도 4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할 3차원 영상의 화질 개선 방법과 그 기술적 사상이 동일하다. 따라서, 디지털 방송 수신기(300)의 세부 동작은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same technical spirit as the method of improving the quality of a 3D image,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4 to 13. Therefore, detailed operations of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3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영상의 화질 개선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improving image quality of a 3D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영상의 화질 개선 방법은 3차원 영상 신호를 수신한다(410 단계). 3차원 영상 신호의 수신은 튜너(311)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in a method of improving image quality of a 3D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3D image signal is received (step 410). The 3D image signal may be received through the tuner 311.

3차원 영상 신호에 포함되는 좌 및 우 이미지 각각에 적용되는 화질 설정값을 개별 사용자의 시력에 맞춰 조절한다(420 단계). The image quality setting values applied to each of the left and right images included in the 3D image signal are adjusted according to the visual acuity of the individual user (step 420).

좌 안과 우 안이 동시에 동일 영상을 보는 경우에는 좌우 시력 차이가 있더라도, 사용자의 뇌에서는 좌 안과 우 안이 받아들인 영상의 평균값으로 영상을 보정한다. 즉, 좌 안과 우 안이 소정 시간 간격 없이 동시에 영상을 인식하게 되는 2차원 영상의 경우, 사용자에게 좌우 시력 차이가 있다고 하더라도 뇌에서 평균적인 값으로 보정된 영상을 최종적으로 인식하게 되므로, 사용자가 최종적으로 인식하게 되는 영상에는 왜곡이 발생하지 않는다. If the left eye and the right eye view the same image at the same time, even if there is a difference in left and right vision, the user's brain corrects the image with the average value of the image received by the left and right eyes. That is, in the case of a two-dimensional image in which the left eye and the right eye simultaneously recognize the image withou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even though there is a difference in left and right eyesight, the user finally recognizes the image corrected by the average value in the brain. Distortion does not occur in the image to be recognized.

스테레오스코픽 방식 중 액티브 방식에 따라서 디스플레이되는 3차원 영상을 셔터 안경을 통하여 시청할 경우, 사용자는 좌 안을 통하여 좌 이미지를 시각적으로 인지하고, 소정 시간 간격(예를 들어, 좌 이미지와 우 이미지가 각각 60Hz의 신호로 디스플레이된다면, 1/60초 간격) 후에 우 안으로 우 이미지를 시각적으로 인지한다. When viewing the 3D image displayed according to the active method of the stereoscopic method through the shutter glasses, the user visually recognizes the left image through the left eye, and the predetermined time interval (for example, the left image and the right image are 60 Hz, respectively). If it is displayed as a signal of, visually perceive the right image into the right after 1/60 second intervals.

이러한 3차원 영상의 경우, 사용자의 좌 안과 우 안에 시력 차이가 발생한 경우, 시간적으로 독립하여 받아들인 좌 이미지와 우 이미지는 보정없이 최종적으로 사용자에게 인식되게 된다. 따라서, 좌 안과 우 안이 시력 차이가 있는 사용자의 경우, 왜곡이 발생한 영상을 최종적으로 인식하게 된다. 시력 차이에 의하여 발생하는 영상의 왜곡으로는, 좌안과 우안의 초점 거리 불일치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화면 겹쳐 보임 현상 등이 있다. In the case of such a 3D image, when a difference in visual acuity occurs i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user, the left image and the right image received independently in time are finally recognized by the user without correction. Therefore, a user who has a difference in vision between the left eye and the right eye finally recognizes an image in which distortion occurs. The distortion of an image caused by a difference in visual acuity includes a screen overlapping phenomenon that may be caused by a focal length mismatch between the left and right eye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영상의 화질 개선 방법은 좌 이미지와 우 이미지 각각에 적용되는 화질 설정값을 3차원 영상을 시청하는 개별 사용자의 시력에 맞춰서 최적화하여 조절함으로써, 전술한 영상 왜곡 현상을 감소 또는 제거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improving image quality of a 3D image by optimizing and adjusting the image quality setting values applied to each of the left image and the right image according to the eyesight of an individual user watching the 3D image, The phenomenon can be reduced or eliminated.

또한, 개별 사용자의 좌 안과 우 안의 시력 차이가 있지 않다고 하더라도, 사용자의 시력이 낮은 경우에는 선명도가 낮은 이미지를 인식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영상의 화질 개선 방법은 개별 사용자의 시력에 맞춰 선명도 등의 화질 설정값을 재조정함으로써, 사용자가 고화질의 3차원 이미지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even if there is no difference in visual acuity between the left and right eyes of the individual user, when the visual acuity of the user is low, an image with low sharpness is recognized. In this case, the method of improving the quality of a 3D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user to recognize a high quality 3D image by readjusting image quality setting values such as sharpness according to an individual user's eyesight.

여기서, 화질 설정값은 3차원 영상에 적용되는 모든 화질 요소들의 설정값으로, 색감(color), 명도(brightness), 선명도(sharpness), 색차(contrast), 또는 채도(chroma) 등의 설정값을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image quality setting value is a setting value of all the image quality elements applied to the 3D image, and the setting values such as color, brightness, sharpness, contrast, or saturation are used. It may include.

예를 들어, 해당 컨텐츠에 따른 3차원 영상을 시청하는 개별 사용자의 좌안 시력이 우안 시력보다 낮을 경우, 좌 이미지의 선명도(sharpness)를 우 이미지의 선명도(sharpness)에 비하여 증가시켜, 좌안과 우안이 각각 동일한 선명도를 갖는 좌 이미지와 우 이미지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For example, when the left eye of an individual user viewing a 3D image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content is lower than the right eye of the user, the sharpness of the left image is increased compared to the sharpness of the right image. The left and right images each having the same sharpness can be recognized.

420 단계의 화질 설정값 조절 동작은 이하의 도 5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Operation of adjusting the image quality setting value in step 42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5 to 12.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영상 신호의 화질 개선 방법은 개별 사용자의 시력을 측정하는 단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개별 사용자의 시력을 측정하는 단계는 420 단계 이전에 배치될 수 있으며, 시력 검사표를 2차원 이미지로써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미도시), 및 디스플레이된 시력 검사표를 이용하여 개별 사용자의 시력을 측정하는 단계(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개별 사용자의 시력을 측정하는 단계 이전에, 개별 사용자의 시력을 측정할지 여부를 선택받기 위한 OSD(On Screen Display)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OSD 데이터에 대응하여 입력되는 시력 측정 요청을 사용자 인터페이스 부(360)를 통하여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method of improving the quality of a 3D video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measuring an eye of an individual user (not shown). In addition, the step of measuring the eyesight of the individual user may be disposed before step 420, displaying the eyesight test table as a two-dimensional image (not shown), and measuring the eyesight of the individual user by using the displayed eyesight table. It may include a step (not shown). In addition, prior to the step of measuring the eyesight of the individual user, the step of outputting the OSD (On Screen Display) data for selecting whether to measure the eyesight of the individual user and the vision measurement request input corresponding to the OSD data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receiving an input through the interface unit 360.

여기서, OSD 데이터는 OSD 생성부(355)에서 생성되어, 3차원 영상 또는 2차원 영상으로써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Here, the OSD data may be generated by the OSD generator 355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as a 3D image or a 2D image.

시력 측정 여부의 선택은 사용자의 리모트 컨트롤러(미도시) 또는 사용자 입력부(미도시) 조작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리모트 컨트롤러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300)를 원격 제어하는 장치로, 디지털 방송 수신기(300)와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미도시)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300)의 내부적으로 구비되며,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를 통하여 소정 정보 또는 명령을 디지털 방송 수신기로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는 전송받는 정보 또는 명령을 제어부(350)로 전송하여, 사용자가 요청한 동작 또는 명령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Selection of whether to measure the eyesight may be made by a user's remote controller (not shown) or a user input unit (not shown). Here, the remote controller is a device for remotely controlling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300 and may transmit and receive a signal wirelessly with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300. In addition, the user input unit (not shown) is provided internally of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300, and the user may input predetermined information or a command to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through the user input unit. The user input unit transmits the received information or command to the control unit 350 so that an operation or command requested by the user can be performed.

또한, 시력 검사표를 2차원 이미지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시력 검사시 2m 거리 유지'와 같은 경고 문고를 OSD(On Screen Display) 데이터로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되는 시력 검사표는 규격화된 시력 검사 기준을 만족하는 시력 검사표가 된다. In addition, the displaying of the eye test table as a two-dimensional image may output a warning document such as 'keeping a distance of 2 m during visual inspection' on the display screen as OSD (On Screen Display) data. The visual acuity chart displayed is a visual acuity chart satisfying standardized visual acuity standards.

개별 사용자의 시력은 측정하는 단계는 이하의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Measuring the visual acuity of the individual us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5 below.

도 5는 셔터 안경을 이용하여 개별 사용자의 시력을 측정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measurement of the eyesight of the individual user using the shutter glasses.

도 5를 참조하면, 좌안의 시력을 먼저 측정하는 경우, 시력 검사표를 화면(510) 상에 2차원 이미지로 디스플레이하고, 셔터 안경(340)의 좌안 셔터 액정 패널(341)이 빛을 투과하게 하고, 우안 셔터 액정 패널(343)은 빛을 차단하도록 한다. 사용자는 빛이 투과되는 좌안 셔터 액정 패널(341)로 시력 검사표를 보고, 시력 검사표 상에 활성화(미도시)된 숫자 또는 기호 등을 원격 제어 장치 등을 통하여 디지털 방송 수신기(300)로 입력함으로써 시력을 측정할 수 있다. 셔터 안경(340)의 빛 통과 또는 차단 조절은 디지털 방송 수신기(300)에서 출력되는 제어 명령에 따라서 셔터 안경(340) 내의 제어부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when the eyesight of the left eye is measured first, an eyesight test table is displayed as a two-dimensional image on the screen 510, and the left eye shutter liquid crystal panel 341 of the shutter glasses 340 transmits light. The right eye shutter liquid crystal panel 343 blocks light. The user sees an eye examination table with the left eye shutter liquid crystal panel 341 through which light is transmitted, and inputs a number or symbol activated (not shown) on the eye examination table into the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300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Can be measured. Light passing or blocking adjustment of the shutter glasses 340 may be performed by a controller in the shutter glasses 340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output from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300.

그리고, 우안의 시력을 측정하는 경우, 시력 검사표를 화면(520) 상에 2차원 이미지로 디스플레이하고, 셔터 안경(340)의 좌안 셔터 액정 패널(341)이 빛을 차단하게 하고, 우안 셔터 액정 패널(343)은 빛을 통과하도록 한다. In addition, when measuring the visual acuity of the right eye, the visual inspection table is displayed as a two-dimensional image on the screen 520, and the left eye shutter liquid crystal panel 341 of the shutter glasses 340 blocks light, and the right eye shutter liquid crystal panel (343) allows light to pass through.

전술한 개별 사용자의 시력을 측정하는 단계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300)의 제어부(350)의 제어에 따라서, 디스플레이 부(37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시력 검사표 및 셔터 안경(340)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Measuring the visual acuity of the individual user may be performed by using the eye test table and the shutter glasses 340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7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350 of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300. .

420 단계에 있어서, 개별 사용자의 좌안 및 우안 각각의 시력에 따라서 최적화된 화질 설정값은 실험적으로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할 수 있으며,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사양 또는 제품 모델에 따라서 서로 다른 화질 설정값으로 매우 다양하게 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좌안 및 우안 각각 별 최적화된 화질 설정값은 저장부(380)에 데이터 베이스 형태로 저장하여 420 단계에서 이용할 수 있다. 즉, 개별 사용자이 좌안 및 우안 각각의 시력 정보가 구해지거나 입력되면, 제어부(350)는 저장부(380)에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하여 소정 시력에 대응되는 화질 설정값을 독출하고, 독출된 화질 설정값에 따라서 디스플레이될 3차원 영상 신호에 포함되는 좌 및 우 이미지 각각의 화질 설정값을 조절하는 것이다. In step 420, the image quality settings optimized according to the visual acuity of each of the left and right eyes of an individual user can be obtained experimentally or in software, and vary greatly with different image quality settings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s or product model of the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Can be calculated. The optimized image quality setting value for each of the left and right eyes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380 in the form of a database and used in step 420. That is, when an individual user obtains or inputs vision information of each of the left eye and the right eye, the controller 350 reads the image quality setting value corresponding to the predetermined vision by using the database stored in the storage unit 380, and sets the read image quality. According to the value, the image quality setting value of each of the left and right images included in the 3D video signal to be displayed is adjusted.

420 단계의 화질 설정값 조절 동작은, 도 5에서의 시력 측정이 완료되면 자동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image quality setting value adjusting operation of step 420 may be automatically performed when the vision measurement in FIG. 5 is completed.

화질 설정값의 데이터 베이스는 이하의 도 13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The database of the image quality setting value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with reference to FIG. 13.

420 단계는 서로 다른 화질 설정값을 갖는 다수개의 3차원 이미지를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미도시), 디스플레이된 다수개의 3차원 이미지 중, 개별 사용자의 좌안 또는 우안 시력 각각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선택하는 단계(미도시), 및 선택된 이미지의 화질 설정값을 3차원 영상 신호에 포함되는 좌 또는 우 이미지에 적용하는 단계(420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계들의 동작은 이하의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In step 420, a plurality of three-dimensional images having different image quality settings are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displayed (not shown). Among the displayed plurality of three-dimensional images, an image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left and right eyesight of the individual user is displayed. Selecting (not shown), and applying the image quality setting value of the selected image to the left or right image included in the 3D video signal (step 420). The operation of the step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6 to 10 below.

도 6은 서로 다른 화질 설정값을 갖는 3차원 이미지가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 6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 step of sequentially displaying three-dimensional images having different image quality setting values.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질 개선 방법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일 화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configuration displayed in the image quality improv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도 4의 420 단계에서의 일 화질 설정값 조절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 8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n operation of adjusting one image quality setting value in step 420 of FIG. 4.

도 9는 도 4의 420 단계에서의 다른 화질 설정값 조절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9 is a view for explaining another image quality setting value adjusting operation in step 420 of FIG.

도 10은 도 4의 420 단계에서의 다른 화질 설정값 조절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 10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nother image quality setting value adjusting operation in step 420 of FIG. 4.

도 6을 참조하면, 전술한 서로 다른 화질 설정값을 갖는 다수개의 3차원 이미지를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에서, 다수개의 3차원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좌안 시력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선택하는 때에는 좌 이미지(610)를 디스플레이하고, 우안 시력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선택하는 때에는 우 이미지(620)를 디스플레이한다. 그리고, 좌 이미지(610)을 디스플레이할 때는 셔터 안경(340)의 좌안 셔터 액정 패널(341)이 빛을 통과하게 하고, 우안 셔터 액정 패널(343)은 빛을 차단하도록 한다. 또한, 우 이미지(620)을 디스플레이할 때는 셔터 안경(340)의 좌안 셔터 액정 패널(341)이 빛을 차단하게 하고, 우안 셔터 액정 패널(343)은 빛을 통과하도록 한다. Referring to FIG. 6, in the step of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displaying a plurality of three-dimensional images having different image quality setting values, the left eye visual acuity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The left image 610 is displayed when selecting an image corresponding to, and the right image 620 is displayed when selecting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right eye's vision. When the left image 610 is displayed, the left eye shutter liquid crystal panel 341 of the shutter glasses 340 passes through the light, and the right eye shutter liquid crystal panel 343 blocks the light. In addition, when displaying the right image 620, the left eye shutter liquid crystal panel 341 of the shutter glasses 340 blocks the light, and the right eye shutter liquid crystal panel 343 passes the light.

도 6에서는 도 1의 (c)에서 설명한 인터레이스드 방식에 따라서 좌 이미지가 이븐(even) 필드에 디스플레이되고 우 이미지가 오드(odd) 필드에 디스플레이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 FIG. 6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a left image is displayed in an even field and a right image is displayed in an odd field according to the interlaced metho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또한, 서로 다른 화질 설정값을 갖는 다수개의 3차원 이미지를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에 이전에 또는 동시에, 사용자의 시력을 고려하여 화질 설정값을 조절하는 개별 설정 모드로 설정할 것인지 아니면 사용자의 시력을 고려하지 않는 일반 설정 모드로 설정한 것인지를 선택하기 위한 OSD 데이터(720)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prior to or simultaneously with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display of a plurality of three-dimensional images having different image quality setting values, whether to set to an individual setting mode that adjusts the image quality setting value in consideration of the user's vision or the user's vision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outputting the OSD data 720 for selecting whether to set to a general setting mode that does not take into consideration.

도 7을 참조하면, OSD 데이터(720)은 디스플레이 화면(710)의 소정 영역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선택 조절 키(73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등은 OSD 데이터(720)의 선택 조절 키(730)를 조작하여, 개별 설정 모드, 일반 설정 모드들 중 어느 하나의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선택된 모드는 유저 인터페이스 부(360)를 통하여 디지털 방송 수신기(300)로 입력된다. Referring to FIG. 7, the OSD data 720 may be displayed o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display screen 710 and may include a selection control key 730. The user or the like may operate the selection control key 730 of the OSD data 720 to select one of the individual setting mode and the general setting mode. The selected mode is input to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300 through the user interface 360.

도 7의 (b)를 참조하면, 개별 설정 모드가 선택된 경우, 조절가능한 화질 설정값들(예를 들어, 색감(color), 명도(brightness), 선명도(sharpness), 색차(contrast), 또는 채도(chroma) 등) 중 어느 화질 설정값의 조절을 시작할 것인지 선택하기 위한 OSD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화면(750) 상에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의 (b)를 참조하면, OSD 데이터(760)는 조절 가능한 화질 설정값들을 리스팅하여 포함하며, 선택 커서(770) 등을 이용하여 소정 화질 설정값을 조절할 것을 선택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B, when the individual setting mode is selected, adjustable image quality setting values (for example, color, brightness, sharpness, contrast, or saturation). outputting OSD data on the display screen 750 to select which image quality setting value to start adjusting. Referring to FIG. 7B, the OSD data 760 may list and include adjustable image quality setting values, and may select to adjust a predetermined image quality setting value using the selection cursor 770.

도 7의 (b)에 도시된 화면을 이용하여 개별 설정 모드에서 소정 화질 설정값 조절(예를 들어, 명도(brightness) 중 black level 조절)이 선택된 경우, 전술한 서로 다른 화질 설정값을 갖는 다수개의 3차원 이미지를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가 진행되게 된다. When a predetermined image quality adjustment value (for example, black level adjustment of brightness) is selected in the individual setting mode using the screen illustrated in FIG. 7B, a plurality of images having different image quality setting values mentioned above are selected. Displaying three three-dimensional image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proceeds.

또한, 전술한 OSD 데이터들(720, 760)을 출력하는 단계는 도 4에서 설명한 420 단계 이전에 구비될 수도 있다. 즉, 개별 설정 모드가 선택되고, 계속하여 소정 화질 설정값 조절이 선택된 경우, 420 단계를 진행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step of outputting the aforementioned OSD data 720 and 760 may be provided before step 42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That is, when the individual setting mode is selected and the predetermined quality setting adjustment is continuously selected, step 420 is performed.

도 8의 (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화면(810)의 소정 영역(820)에 서로 다른 화질 설정값을 갖는 다수개의 3차원 이미지가 동시에 디스플레이 화면의 소정 영역에 또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전체적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8의 (a)에서는 화질 설정값으로 밝기(brightness) 중 흑색도(black level)의 설정값을 조절하는 경우를 예로 도시하였으며, 3개의 서로 다른 흑색도를 갖는 3차원 이미지(831, 833, 835)가 동시에 디스플레이 화면의 소정 영역상에 디스플레이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 Referring to FIG. 8A, a plurality of three-dimensional images having different image quality setting values may be simultaneously displayed o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display screen or as a whole of the display screen in a predetermined area 820 of the display screen 810. have. FIG. 8A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a black level setting value is adjusted as the image quality setting value, and three-dimensional images 831, 833, which have three different blackness levels are illustrated. The case where 835 is simultaneously displayed o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display screen is shown as an example.

개별 사용자의 좌안 시력에 따른 좌 이미지의 화질 설정값을 먼저 조절하면, 다수개의 3차원 이미지들(831, 833, 835)은 좌 이미지들이 된다. 선택 커서(830)를 다수개의 3차원 이미지들(831, 833, 835) 중 개별 사용자의 좌안 시력에 대응되는 이미지(예를 들어, 831)에 위치시키고 리모트 컨트롤러 등의 선택 키 조작을 통하여 831 이미지를 선택한다. 그에 따라 디스플레이된 다수개의 3차원 이미지들(831, 833, 835) 중, 개별 사용자가 가장 높은 화질의 화면으로 인식할 수 있는 이미지인 개별 사용자의 좌안 시력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선택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If the image quality setting value of the left image according to the left eye of the individual user is first adjusted, the plurality of 3D images 831, 833, and 835 become left images. The selection cursor 830 is positioned on an image (eg, 831) corresponding to the left eye of the individual user among the plurality of three-dimensional images 831, 833, and 835, and the 831 image is operated by operating a selection key such as a remote controller. Select. Accordingly, among the plurality of displayed three-dimensional images 831, 833, and 835,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left eye of the individual user, which is an image that the individual user can recognize as the highest quality screen, may be performed. Can be.

여기서, 선택 커서(830)가 위치되는 3차원 이미지(831)는 전체 화면(825)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전체 화면(825)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3차원 이미지(831)를 참조하여, 더욱 용이하게 개별 사용자의 시력에 맞는 화질 설정값을 갖는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다. Here, the 3D image 831 in which the selection cursor 830 is positioned may be displayed on the full screen 825. The user may more easily select an image having an image quality setting value suitable for an individual user's vision by referring to the 3D image 831 displayed on the full screen 825.

전술한 서로 다른 화질 설정값을 갖는 다수개의 3차원 이미지를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미도시), 디스플레이된 다수개의 3차원 이미지 중, 개별 사용자의 좌안 또는 우안 시력 각각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선택하는 단계(미도시), 및 선택된 이미지의 화질 설정값을 3차원 영상 신호에 포함되는 좌 또는 우 이미지에 적용하는 단계는 디스플레이 부(37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되는 다수개의 3차원 이미지들(831, 833, 835) 중 어느 하나의 이미지를 리모트 컨트롤러(미도시)로 선택하고, 선택 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 부(360)를 통하여 입력받고, 상기 입력을 제어부(350)가 전송받아 디스플레이될 컨텐츠의 3차원 영상 신호의 화질 설정값을 조절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displaying a plurality of three-dimensional images having different image quality setting values as described above, selecting an image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left and right eyesight of an individual user from among the plurality of displayed three-dimensional images The step (not shown), and the step of applying the image quality setting value of the selected image to the left or right image included in the 3D image signal may include a plurality of 3D images 831 and 833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370. 835 selects an image as a remote controller (not shown), receives selection information through the user interface 360, and receives the input from the control unit 350 to receive a 3D image of the content to be displayed. This can be done by adjusting the image quality setting of the signal.

또한, 도 8의 (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화면(850)의 소정 영역(860)에 서로 다른 화질 설정값을 갖는 3차원 이미지가 개별적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8의 (b)에서도 도 8의 (a)에서와 같이, 화질 설정값으로 밝기(brightness) 중 흑색도(black level)의 설정값을 조절하는 경우를 예로 도시하였다. In addition, referring to FIG. 8B, three-dimensional images having different image quality setting values may be individually displayed on a predetermined area 860 of the display screen 850. In FIG. 8B, as shown in FIG. 8A, an example in which a black level value is adjusted among brightness is illustrated as an example.

도 8의 (b)를 참조하면, 흑색도(black level) 중 'Low' 설정값을 갖는 3차원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며, 다른 설정값(예를 들어, '추천' 또는 'High')을 갖는 3차원 이미지를 선택하기 위해서는 이동 커서(871, 873)를 조작하여 다른 설정값을 갖는 3차원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한 후, 선택 커서(870)를 이용하여 해당 3차원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설정값을 갖는 3차원 이미지들이 디지털 방송 수신기(300)가 자체적으로 설정하거나 사용자 등이 설정한 소정 시간 간격으로 자동적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화면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3차원 이미지의 흑색도(black level)의 정확한 설정값이 소정 영역(880)에 별도로 표시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B, a 3D image having a 'Low' setting value among black levels is displayed, and 3 having another setting value (for example, 'recommended' or 'High'). In order to select the dimensional image, the moving cursors 871 and 873 are manipulated to display a 3D image having different setting values, and then the corresponding 3D image may be selected using the selection cursor 870. In addition, the 3D images having different setting values may be automatically displayed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set by the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300 or set by the user. In addition, an accurate setting value of the black level of the 3D image being displayed on the screen may be separately displayed in the predetermined area 880.

도 9를 참조하면, 화질 설정값으로 색감(color)의 설정값을 조절하는 경우가 도시되었다. 도 9에서는 서로 다른 색감(color) 설정값을 갖는 3개의 3차원 이미지들(931, 933, 935)이 디스플레이 화면(910) 상의 소정 영역(920)에 디스플레이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며, 이동 커서(940)를 이동시켜 소정 3차원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다. 이외의 구성 및 동작은 도 8의 (a) 및 도 8의 (b)에서와 동일하므로 상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Referring to FIG. 9, a case in which a color setting value is adjusted using an image quality setting value is illustrated. 9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three three-dimensional images 931, 933, and 935 having different color settings are displayed on a predetermined area 920 on the display screen 910. 940 may be moved to select a predetermined three-dimensional image. Since other configurations and operations are the same as those of FIGS. 8A and 8B,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0을 참조하면, 화질 설정값으로 선명도(sharpness)의 설정값을 조절하는 경우가 도시되었다. 도 10에서는 서로 다른 선명도(sharpness)의 설정값을 갖는 3개의 3차원 이미지들(1031, 1033, 1035)이 디스플레이 화면(1010) 상의 소정 영역(1020)에 디스플레이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며, 이동 커서(1040)를 이동시켜 소정 3차원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다. 이외의 구성 및 동작은 도 8의 (a) 및 도 8의 (b)에서와 동일하므로 상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Referring to FIG. 10, a case of adjusting a sharpness setting value with an image quality setting value is illustrated. FIG. 10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three three-dimensional images 1031, 1033, and 1035 having different sharpness settings are displayed on a predetermined area 1020 on the display screen 1010. The cursor 1040 may be moved to select a predetermined 3D image. Since other configurations and operations are the same as those of FIGS. 8A and 8B,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1은 도 4의 420 단계에서의 화질 설정값 조절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11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n image quality setting value adjusting operation in step 420 of FIG. 4.

420 단계는 서로 다른 상기 화질 설정값을 갖는 다수개의 3차원 이미지들 간의 화면을 전환시키기 위한 조절 바를 포함하는 OSD(On Screen Display)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미도시), 상기 다수개의 3차원 이미지들 중, 상기 개별 사용자의 좌안 및 우안 시력 각각에 대응되는 3차원 이미지를 선택하는 단계(미도시), 및 상기 선택된 3차원 이미지의 화질 설정값을 상기 수신된 3차원 영상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좌 또는 우 이미지에 적용시키는 단계(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In step 420, outputting OSD (On Screen Display) data including an adjustment bar for switching a screen between a plurality of 3D images having different image quality setting values (not shown), and the plurality of 3D images. Selecting a 3D image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left and right eyesight of the individual user (not shown), and setting the image quality setting value of the selected 3D image in the received 3D image signal; And applying to a right image (not shown).

도 11을 참조하면, 조절바(1130)를 포함하는 OSD 데이터(1120)가 디스플레이 화면(1110) 상에 디스플레이된다. 조절바(1130)에 의하여 화면간의 전환이 이뤄지는, 서로 다른 화질 설정값을 갖는 다수개의 3차원 이미지들은 도 8 내지 도 10에서와 같이 세부 화질 설정값이 각각 조절된 화면일 수 있고, 또한 세부 화질 설정값들을 모두 조합하여 시력의 고저 별로 매핑(mapping)시켜 형성한 화면들 일 수 있다. 도 11에서는 세부 화질 설정값들을 모두 조합하여 시력의 고저 별로 매핑(mapping)시켜 형성한 화면들 간의 전환이 이뤄지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 세부 화질 설정값들을 모두 조합하여 시력의 고저 별로 매핑(mapping)시키는 것은 이하에서 도 1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Referring to FIG. 11, OSD data 1120 including an adjustment bar 1130 is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1110. The plurality of 3D images having different image quality setting values, which are switched between screens by the adjustment bar 1130, may be screens in which detailed image quality setting values are adjusted as shown in FIGS. The screens may be formed by combining all the set values and mapping the heights of the eyesight. FIG. 11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switching between screens formed by combining all the detailed image quality setting values and mapping the heights of eyesight is performed as an example. The combination of all of the detailed image quality setting values and the mapping of the visual acuity by heigh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3.

도 11을 참조하면, 사용자 등은 조절 바(1130)의 위치를 이동시켜 서로 다른 화질 설정값을 갖는 3차원 이미지들을 전환시키고, 전환된 이미지들 사이에서 개별 사용자의 좌안 및 우안 시력 각각에 대응되는 3차원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1, a user or the like shifts the position of the adjustment bar 1130 to switch 3D images having different image quality setting values, and corresponds to each of the left and right eyesight of an individual user among the converted images. You can select a three-dimensional image.

도 12는 도 4의 420 단계에서의 화질 설정값 조절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 12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n operation of adjusting image quality setting values in step 420 of FIG. 4.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영상의 화질 개선 방법은 개별 사용자의 시력 정보를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받는 단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method of improving the quality of a 3D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tep (not shown) of receiving vision information of an individual user through a user interface.

도 12를 참조하면, 제어부(350)의 제어에 따라서, 개별 사용자의 시력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OSD 데이터(1220)가 디스플레이 화면(1210) 상의 소정 영역에 디스플레이된다. 시력 정보 입력을 위한 OSD 데이터(1220)는 시력 단위 선택 창(1230)과 시력 입력 창(1240)을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방송 수신기(300)는 디스플레이된 OSD 데이터(1220)에 대응하여 개별 사용자의 시력 정보를 입력받는다. 사용자는 좌안 시력인지 우안 시력인지를 좌우 선택키(1250)를 조작하여 입력하며, 세부 시력값을 입력창(1260)으로 입력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2,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350, the OSD data 1220 for receiving vision information of an individual user is displayed in a predetermined area on the display screen 1210. The OSD data 1220 for inputting vision information may include a vision unit selection window 1230 and a vision input window 1240.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300 receives vision information of an individual user in response to the displayed OSD data 1220. The user may input whether the left eye is right or the right eye by manipulating the left and right selection keys 1250, and may input the detailed vision value into the input window 1260.

그러면, 420 단계에 있어서, 입력받은 개별 사용자의 시력 정보에 따라서 수신받은 3차원 영상 신호에 포함되는 좌 및 우 이미지 각각의 화질 설정값을 조절할 수 있다. Then, in step 420, the quality setting value of each of the left and right images included in the received 3D image signal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received visual acuity information of the individual user.

계속하여, 420 단계에서 조절된 화질 설정값을 수신된 3차원 영상 신호에 적용시켜 출력한다(430 단계). 430 단계는 제어부(350)의 제어부에 따라서 스케일러(325)에서 이뤄질 수 있다. 즉, 스케일러(325)는 조절된 화질 설정값을 디스플레이될 3차원 영상 신호에 적용시켜 출력하는 것이다. 또한, 430 단계의 동작은 포멧터(330)에서 이뤄질 수도 있다.In operation 430, the image quality setting adjusted in operation 420 is applied to the received 3D image signal and output. Operation 430 may be performed by the scaler 325 according to the controller of the controller 350. That is, the scaler 325 applies the adjusted image quality setting value to the 3D image signal to be displayed and outputs the same. In addition, operation 430 may be performed by the formatter 330.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영상의 화질 개선 방법은 430 단계에서 출력되는 3차원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단계의 동작은 제어부(350)의 제어에 따라서 디스플레이 부(370)에서 이뤄진다. The method for improving image quality of a 3D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displaying a 3D image signal output in step 430 (not shown).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step is performed by the display unit 37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350.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영상의 화질 개선 방법 및 그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이용될 수 있는 시력별 화질 설정값의 데이터 베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 1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improving image quality of a 3D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database of image quality setting values for each vision that can be used in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영상의 화질 개선 방법 및 그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세부 화질 설정값들을 모두 조합하여 시력의 고저 별로 매핑(mapping)시킨 시력별 화질 설정값 정보(1300)를 디지털 방송 수신기(300) 내부에 구비되는 저장부(380)에 저장시켜놓고 이용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3, a method for improving image quality of a 3D image and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bines all of the detailed image quality setting values and maps the visual quality setting values for each sight level The information 1300 may be stored and used in the storage unit 380 provided in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300.

도 13을 참조하면, 시력을 안경 도수 값(1.0, 0.9, 0.8 등)으로 나타내고, 화질 설정값의 세부 값들을 시력별로 매핑시킨 데이터 베이스가 도시된다. 도 13의 데이터 베이스는 시력별 화질 설정값을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모델, 사양 등을 고려하여 최적화된 값을 실험적으로 구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3, a database in which visual acuity is represented by glasses frequency values (1.0, 0.9, 0.8, etc.), and detailed values of image quality setting values are mapped for each visual acuity is illustrated. The database of FIG. 13 may experimentally obtain an optimized value by considering a model, a specification, etc. of a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도 13에 도시된 시력별 화질 설정값은 도 11에서 디스플레이될 다수개의 3차원 이미지들을 간의 화질 설정값들이 될 수 있다. 또한, 도 1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입력한 시력 값에 따라서 화질 설정값을 조절하기 위해,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1300)를 이용할 수 있다. The image quality setting values for each visual acuity shown in FIG. 13 may be image quality setting values among a plurality of 3D images to be displayed in FIG. 11. In addition,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2, the stored database 1300 may be used to adjust the image quality setting value according to the visual acuity value input by the user.

한편,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용어들로써 이는 해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On the other hand,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terminology)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skilled person in the relevant field, the definitions of which are used throughout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based on.

이상의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된 실시 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hich are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300: 디지털 방송 수신기
310: 신호 입력 및 처리부
311: 튜너
313: 복조기
315: 역다중화기
320: 디코더 및 스케일러
321: 비디오 디코더
323: 오디오 디코더
325: 스케일러
327: 비디오 프로세서
330: 포멧터
335: 적외선 출력부
340: 셔터 안경
350: 컨트롤러
355: OSD 생성부
360: 사용자 인터페이스 부
370: 디스플레이 부
380: 저장부
300: digital broadcast receiver
310: signal input and processing unit
311: tuner
313: demodulator
315: demultiplexer
320: decoder and scaler
321: video decoder
323: audio decoder
325: scaler
327 video processor
330: formatter
335: infrared output unit
340: shutter glasses
350: controller
355: OSD generator
360: user interface part
370: display unit
380: storage unit

Claims (19)

디지털 방송 수신기를 통하여 제공되는 3차원 영상의 화질을 개선하는 방법에 있어서,
3차원 영상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3차원 영상 신호에 포함되는 좌 및 우 이미지 각각의 화질 설정값을 개별 사용자의 시력에 맞춰 조절하는 단계; 및
상기 3차원 영상 신호에 상기 조절된 화질 설정값을 적용시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영상의 화질 개선 방법.
In the method of improving the image quality of the 3D image provided through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Receiving a 3D video signal;
Adjusting an image quality setting value of each of the left and right images included in the 3D image signal according to an individual user's eyesight; And
And applying the adjusted image quality setting value to the 3D image signal and outputting the adjusted image quality setting valu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질 설정값을 개별 사용자의 시력에 맞춰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좌 및 우 이미지 각각의 색감(color), 명도(brightness), 선명도(sharpness), 색차(contrast), 또는 채도(chroma)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상기 개별 사용자의 시력에 맞춰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영상의 화질 개선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adjusting of the image quality setting value to the visual acuity of the individual user is performed.
Adjusting at least one or more of color, brightness, sharpness, contrast, or chroma of each of the left and right images to the individual user's vision; The quality improvement method of the three-dimensional image,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사용자의 시력을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영상의 화질 개선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And measuring the visual acuity of the individual us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사용자의 시력을 측정하는 단계는
시력 검사표를 2차원 이미지로써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된 시력 검사표를 이용하여 상기 개별 사용자의 시력을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영상의 화질 개선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measuring the visual acuity of the individual user
Displaying an eye test table as a two-dimensional image; And
And measuring the visual acuity of the individual user by using the displayed visual acuity test tabl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시력 검사표를 이용하여 상기 개별 사용자의 시력을 측정하는 단계는
셔터 안경의 좌 셔터만을 오픈시켜 상기 개별 사용자의 좌안 시력을 측정하고, 상기 셔터 안경의 우 셔터만을 오픈시켜 상기 개별 사용자의 우안 시력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영상의 화질 개선 방법.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measuring the visual acuity of the individual user using the visual acuity chart
And measuring only the left eye of the individual user by opening only the left shutter of the shutter glasses, and measuring the right eye of the individual user by opening only the right shutter of the shutter glasses. Way.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화질 설정값을 개별 사용자의 시력에 맞춰 조절하는 단계는
측정된 상기 개별 사용자의 시력에 맞춰서 자동적으로 상기 좌 및 우 이미지 각각의 화질 설정값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영상의 화질 개선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adjusting of the image quality setting value to the visual acuity of the individual user is performed.
And adjusting the image quality setting value of each of the left and right images automatically in accordance with the measured visual acuity of the individual us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사용자의 시력에 맞춰 조절하는 단계는
서로 다른 상기 화질 설정값을 갖는 다수개의 3차원 이미지를 동시에 또는 소정 시간 간격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다수개의 3차원 이미지 중, 상기 개별 사용자의 좌안 또는 우안 시력에 대응되는 3차원 이미지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3차원 이미지의 화질 설정값을 상기 수신된 3차원 영상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좌 또는 우 이미지에 적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영상의 화질 개선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adjusting to the vision of the individual user is performed.
Displaying a plurality of three-dimensional images having different image quality setting values simultaneously or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Selecting a 3D image corresponding to the left eye or right eye vision of the individual user from the plurality of 3D images; And
And applying the image quality setting value of the selected 3D image to the left or right image included in the received 3D image sig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사용자의 시력에 맞춰 조절하는 단계는
서로 다른 상기 화질 설정값을 갖는 다수개의 3차원 이미지들 간의 화면을 전환시키기 위한 조절 바를 포함하는 OSD(On Screen Display)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다수개의 3차원 이미지들 중, 상기 개별 사용자의 좌안 또는 우안 시력에 대응되는 3차원 이미지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3차원 이미지의 화질 설정값을 상기 3차원 영상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좌 또는 우 이미지에 적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영상의 화질 개선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adjusting to the vision of the individual user is performed.
Outputting OSD (On Screen Display) data including an adjustment bar for switching a screen between a plurality of 3D images having different image quality setting values;
Selecting a three-dimensional image among the plurality of three-dimensional images corresponding to the left or right eye vision of the individual user; And
And applying the image quality setting value of the selected 3D image to the left or right image included in the 3D image sig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사용자의 시력 정보를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개별 사용자의 시력에 맞춰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받는 개별 사용자의 시력 정보에 따라서, 상기 화질 설정값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 차원 영상의 화질 개선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Receiving the vision information of the individual user through a user interface;
Adjusting according to the eyesight of the individual user
And adjusting the image quality setting value according to the received visual acuity information of the individual us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된 화질 설정값이 적용된 상기 3차원 영상 신호를 3차원 이미지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영상의 화질 개선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And displaying the three-dimensional image signal to which the adjusted image quality setting value is applied, as a three-dimensional image.
제1항에 있어서,
시력 정보에 대응시킨 화질 설정값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영상의 화질 개선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And storing image quality setting values corresponding to the visual acuity information.
3차원 영상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입력부; 및
상기 3차원 영상 신호에 포함되는 좌 및 우 이미지 각각의 화질 설정값을 개별 사용자의 시력에 맞춰 조절하며, 상기 수신된 3차원 영상 신호에 상기 조절된 화질 설정값이 적용되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A signal input unit for receiving a 3D image signal; And
A control unit for adjusting the image quality setting values of the left and right images included in the 3D image signal according to the visual acuity of the individual user, and controlling the image quality setting value to be applied to the received 3D image signal and outputting the adjusted image quality setting value. Digital broadcast receiver comprising a.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응답하여, 상기 수신된 3차원 영상 신호에 상기 조절된 화질 설정값을 적용하여 출력하는 스케일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The method of claim 12,
And a scaler configured to output the adjusted 3D image signal by applying the adjusted image quality setting value to the received 3D image signal in response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좌 이미지 또는 상기 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외부적으로 구비되는 셔터 안경의 좌 또는 우 셔터가 상기 좌 또는 우 이미지의 디스플레이에 대응하여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The method of claim 12,
Further comprising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left image or the right image,
The control unit
And controlling the left or right shutters of the shutter glasses provided externally of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to be selectively opened or closed in correspondence to the display of the left or right imag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좌 및 우 이미지 각각의 색감(color), 명도(brightness), 선명도(sharpness), 색차(contrast), 또는 채도(chroma)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화질 설정값을 상기 개별 사용자의 시력에 맞춰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디지털 방송 수신기.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control unit
Adjusting image quality settings of at least one of color, brightness, sharpness, contrast, or chroma of each of the left and right images according to the visual acuity of the individual user. Featuring digital broadcast receivers.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개별 사용자의 시력을 측정하고, 측정된 상기 개별 사용자의 시력에 맞춰서 자동적으로 상기 좌 및 우 이미지 각각의 화질 설정값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control unit
And measuring visual acuity of the individual user and automatically adjusting image quality setting values of each of the left and right images according to the measured visual acuity of the individual user.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서로 다른 상기 화질 설정값을 갖는 다수개의 3차원 이미지들이 동시에 또는 소정 시간 간격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다수개의 3차원 이미지들 중, 상기 개별 사용자의 좌안 또는 우안 시력에 대응하여 선택된 3차원 이미지의 화질 설정값이 상기 수신된 3차원 영상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좌 또는 우 이미지에 적용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 to display a plurality of three-dimensional images having different image quality setting values at the same time or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Among the plurality of 3D images, controlling the image quality setting value of the 3D image selected according to the left eye or right eye vision of the individual user to be applied to the left or right image included in the received 3D image signal. Digital broadcast receiver characterized.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서로 다른 상기 화질 설정값을 갖는 다수개의 3차원 이미지들 간의 화면을 전환시키기 위한 조절 바를 포함하는 OSD(On Screen Display)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다수개의 3차원 이미지들 중, 상기 개별 사용자의 좌안 또는 우안 시력에 대응하여 선택된 3차원 이미지의 화질 설정값이 상기 수신된 3차원 영상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좌 또는 우 이미지에 적용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o output OSD (On Screen Display) data including an adjustment bar for switching a screen between a plurality of 3D images having different image quality setting values,
Among the plurality of 3D images, controlling the image quality setting value of the 3D image selected according to the left eye or right eye vision of the individual user to be applied to the left or right image included in the received 3D image signal. Digital broadcast receiver characterized.
제12항에 있어서,
시력 정보에 대응시킨 화질 설정값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개별 사용자의 시력 정보를 입력받아 그에 대응되는 화질 설정값을 상기 저장부에서 독출하여, 독출된 화질 설정값이 상기 수신된 3차원 영상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좌 및 우 이미지에 적용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The method of claim 12,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storage configured to store image quality setting values corresponding to vision information.
The control unit
Receiving the visual acuity information of the individual user and reading a corresponding image quality setting value from the storage unit to control the read image quality setting value to be applied to the left and right images included in the received 3D image signal. Digital broadcast receiver characterized.
KR1020100054769A 2010-06-10 2010-06-10 Method for approving image quality of 3 dimensional image and digital broadcast receiver thereof KR2011013505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4769A KR20110135053A (en) 2010-06-10 2010-06-10 Method for approving image quality of 3 dimensional image and digital broadcast receiver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4769A KR20110135053A (en) 2010-06-10 2010-06-10 Method for approving image quality of 3 dimensional image and digital broadcast receiver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5053A true KR20110135053A (en) 2011-12-16

Family

ID=45502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4769A KR20110135053A (en) 2010-06-10 2010-06-10 Method for approving image quality of 3 dimensional image and digital broadcast receiver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35053A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2555B1 (en) * 2011-12-29 2013-1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binocular disparity compensating method thereof
WO2014034972A1 (en) * 2012-08-28 2014-03-06 Oh Injeong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for vision correction, and recording media having stereoscopic image display program for vision correction recorded thereon
WO2016035952A1 (en) * 2014-09-03 2016-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Image processing device and image processing method for same
KR102663893B1 (en) 2023-09-27 2024-05-03 전재만 Pulling device for bobbi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2555B1 (en) * 2011-12-29 2013-1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binocular disparity compensating method thereof
WO2014034972A1 (en) * 2012-08-28 2014-03-06 Oh Injeong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for vision correction, and recording media having stereoscopic image display program for vision correction recorded thereon
WO2016035952A1 (en) * 2014-09-03 2016-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Image processing device and image processing method for same
US10073265B2 (en) 2014-09-03 2018-09-11 Lg Electronics Inc. Image processing device and image processing method for same
KR102663893B1 (en) 2023-09-27 2024-05-03 전재만 Pulling device for bobbi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51257B2 (en) 3D image reproduction device and method capable of selecting 3D mode for 3D image
US913752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image display so that viewers selectively view a 2D or a 3D service
EP2410753B1 (en) Image-processing method for a display device which outputs three-dimensional content, and display device adopting the method
US20100238274A1 (en) Method of displaying three-dimensional image data and an apparatus of processing three-dimensional image data
CN104219515B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US20100265315A1 (en) Three-dimensional image combining apparatus
KR20110044573A (en) Display device and image display method thereof
JP2012015774A (en) Stereoscopic image processing device and stereoscopic image imaging method
WO2010092823A1 (en) Display control device
US20130229409A1 (e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method
CN102340678B (en) Stereoscopic display device with adjustable field depth and field depth adjusting method
KR20110135053A (en) Method for approving image quality of 3 dimensional image and digital broadcast receiver thereof
KR20100112940A (en) A method for processing data and a receiving system
KR101733488B1 (en) Method for displaying 3 dimensional image and 3 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thereof
KR101638959B1 (en) Display mode changing method, and display apparatus and 3D image providing system using the same
KR101728724B1 (en) Method for displaying image and image display device thereof
KR20120011520A (en) Method for displaying 3 dimensional image and 3 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thereof
KR20110037068A (en) An apparatus for displaying stereoscopic image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video quality
KR101620969B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3D image preview applied to the same and system for providing 3D Image
KR20110139419A (en) Method for displaying 3 dimensional image and image display device thereof
KR101634768B1 (en) Display apparatus and 3D image providing method
KR101651132B1 (en) Method for providing 3 demensional contents and digital broadcast receiver enabling of the method
KR101662077B1 (en)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of broadcast program and digital broadcast receiver enabling of the method
KR101660731B1 (en) Method for setting a limit on watching digital broadcast receiver and digital broadcast receiver enabling of the method
KR20110138644A (en) Active glasses of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riving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