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3893B1 - Pulling device for bobbin - Google Patents

Pulling device for bobbi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3893B1
KR102663893B1 KR1020230130955A KR20230130955A KR102663893B1 KR 102663893 B1 KR102663893 B1 KR 102663893B1 KR 1020230130955 A KR1020230130955 A KR 1020230130955A KR 20230130955 A KR20230130955 A KR 20230130955A KR 102663893 B1 KR102663893 B1 KR 1026638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bbin
support
pulling
pressing
flang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3095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전재만
Original Assignee
전재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재만 filed Critical 전재만
Priority to KR10202301309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389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38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389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9/00Unwinding or paying-out filamentary material; Supporting, storing or transporting packages from which filamentary material is to be withdrawn or paid-out
    • B65H49/18Methods or apparatus in which packages rotate
    • B65H49/20Package-supporting devices
    • B65H49/24Rollers

Landscapes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 Replacing, Conveying, And Pick-Finding F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빈용 풀링장치에 관한 것으로, 서로에 대하여 소정 거리 이격되게 한 쌍으로 구성되어 케이블 또는 와이어가 권취된 보빈의 사이즈에 대응되게 회전가능하게 지지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보다 안전하고 용이하게 보빈에 권취된 케이블 또는 와이어를 풀링시킬 수 있고, 아울러 하나의 풀링장치로 다양한 사이즈의 보빈을 풀링시킬 수 있어서 풀링장치 구입에 따른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bbin pulling device, which consists of a pair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is configured to be rotatably supported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bobbin on which the cable or wire is wound, making it safer and easier to use. The cable or wire wound around the bobbin can be pulled, and bobbins of various sizes can be pulled with a single pulling device, thereby reducing the cost of purchasing the pulling device.

Description

보빈용 풀링장치{Pulling device for bobbin}Pulling device for bobbin

본 발명은 보빈용 풀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서로에 대하여 소정 거리 이격되게 한 쌍으로 구성되어 케이블 또는 와이어가 권취된 보빈의 사이즈에 대응되게 회전가능하게 지지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보다 안전하고 용이하게 보빈에 권취된 케이블 또는 와이어를 풀링시킬 수 있고, 아울러 하나의 풀링장치로 다양한 사이즈의 보빈을 풀링시킬 수 있어서 풀링장치 구입에 따른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한 보빈용 풀링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ulling device for bobbins, and more specifically, to a pulling device for bobbins, which consists of a pair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configured to be rotatably supported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bobbin on which the cable or wire is wound. About a bobbin pulling device that can safely and easily pull a cable or wire wound on a bobbin, and can also pull bobbins of various sizes with a single pulling device, thereby reducing the cost of purchasing a pulling device. will be.

주지하는 바와 같이, 보빈(bobbin)이란 섬유, 케이블 또는 와이어 등과 같은 소재를 감아서 보관하거나 이송하기 위한 통 모양의 목재를 말한다.As is well known, a bobbin refers to a barrel-shaped piece of wood for storing or transporting materials such as fibers, cables, or wires by winding them.

일반적으로 보빈은, 중심부에 심통이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의 목재로, 원통형의 양단에는 원판형의 플랜지가 형성되어 구비되어 있다.In general, a bobbin is a cylindrical piece of wood with a core formed in the center, and disk-shaped flanges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cylindrical shape.

이와 같이 구비된 보빈은, 양단에 구비된 플랜지 사이의 심통에 와이어 등을 감아서 보관하거나 이송하게 된다.The bobbin provided in this way is stored or transported by wrapping a wire, etc. around the core tube between flanges provided at both ends.

상기한 보빈에 권취된 케이블 또는 와이어를 인출시키고자 할 경우, 상기 보빈을 서치대에 회전가능하게 거치시킨 후 권취된 케이블 또는 와이어를 인출시키게 된다.When it is desired to pull out the cable or wire wound around the bobbin, the bobbin is rotatably mounted on a search stand and then the wound cable or wire is pulled out.

그러나, 종래의 일반적인 보빈 거치대는 보빈과 거치대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져 보빈을 장.탈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conventional bobbin holder had a problem in that the bobbin and the holder were integrated, making it impossible to attach or detach the bobbin.

또한, 종래의 일반적인 보빈 거치대는 과중한 무게 때문에 포설 및 권취시 많은 인력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conventional bobbin holder had the problem of requiring a lot of manpower during laying and winding due to its excessive weight.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특허출원번호 10-2011-0135053호에 케이블용 보빈 거치대가 출원된 바 있다.Considering this, a bobbin holder for cables has been applied for in patent application number 10-2011-0135053.

살펴보면 종래의 일반적인 케이블용 보빈 거치대는, 양끝단에 베어링이 장착되는 보빈축과, 상기 보빈축과 직각방향으로 연장되고, 일측이 보빈축의 일단부에 고정되는 링크부재 및 상기 링크부재의 타측에 형성되는 손잡이부재를 포함하는 손잡이와, 상기 보빈축이 삽입되는 원통형의 드럼이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드럼의 양 측면에 방사형으로 결합된 다수개의 프레임 끝단을 연결하여 골조형상으로 형성된 보빈과, 상기 보빈축의 양끝단이 장착되는 삽입홈이 형성된 박스와, 상기 박스를 중심으로 하향 삼각형 골조가 형성되어 지면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받침부 및 상기 지지대에 설치되고, 상기 손잡이의 링크부재에 형성된 홈에 들어가서 보빈의 움직임을 고정하는 걸림쇠와, 상기 걸림쇠가 장착이 되고 걸림쇠의 움직임을 좌우로 제한하는 홈이 형성된 걸림쇠 케이스를 포함하는 브레이크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박스는, 상기 삽입홈의 상단 양측에 형성된 나사결합부에 나사 체결되는 나사형 고정대를 이용하여 보빈축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나사결합부는, 상기 박스의 삽입홈 상단 일측에 제1나사결합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제2나사결합부가 관통 형성되어 상기 나사형 고정대의 끝단이 제2나사결합부에 나사체결되고, 상기 나사형 고정대가 삽입홈의 상단을 관통하여 제1나사결합부와 제2나사결합부에 나사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받침부는, 지면과 맞닿는 부분에 삼각형 돌기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Looking at a conventional conventional cable bobbin holder, a bobbin shaft with bearings mounted on both ends, a link member exten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bobbin shaft, one side of which is fixed to one end of the bobbin shaft, and a link member attached to the other side of the link member. A handle including a handle member formed, a cylindrical drum into which the bobbin shaft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center, a bobbin formed in a frame shape by connecting the ends of a plurality of frames radially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drum, and A box formed with an insertion groove into which both ends of the bobbin shaft are mounted, a support portion including a support bar for supporting the ground with a downward triangular frame formed around the box, and installed on the support bar, and formed on the link member of the handle. It includes a brake device including a latch that enters a groove and fixes the movement of the bobbin, and a latch case in which the latch is mounted and a groove is formed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latch to the left and right, and the box is located on both upper sides of the insertion groov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paration of the bobbin axis is prevented by using a screw-type fixture screwed to the screw coupling portion formed in the screw coupling portion, wherein a first screw coupling portion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insertion groove of the box and a second screw coupling portion is formed on the other side. Two screw joints are formed through and the end of the screw-type fixture is screwed to the second screw coupling portion, and the screw-type fixture penetrates the top of the insertion groove and is screwed to the first screw coupling portion and the second screw coupling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triangular protrusion is formed at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ground.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일반적인 케이블용 보빈 거치대는, 보빈축의 양끝단이 장착되는 삽입홈이 형성된 박스와, 상기 박스를 중심으로 하향 삼각형 골조가 형성되어 지면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받침부가 보빈의 사이즈에 대응되게 높이 조절이 불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어서, 상기한 케이블용 보빈 거치대는 보빈의 사이즈에 대응되게 각각 구비하여야 하므로 구입에 따른 비용이 많이 소요될 수 밖에 없는 단점이 있다. However, a conventional conventional cable bobbin holder configured in this way includes a box with insertion grooves into which both ends of the bobbin shaft are mounted, and a support portion that includes a support bar for supporting the ground with a downward triangular frame formed around the box. Since the height cannot be adjusted to correspond to the size of the bobbin, the bobbin holder for the cable must be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size of the bobbin, so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purchase cost is high.

특허출원번호 10-2011-0135053호, 출원일; 2011년12월15일Patent application number 10-2011-0135053, application date; December 15, 2011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서로에 대하여 소정 거리 이격되게 한 쌍으로 구성되어 케이블 또는 와이어가 권취된 보빈의 사이즈에 대응되게 회전가능하게 지지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보다 안전하고 용이하게 보빈에 권취된 케이블 또는 와이어를 풀링시킬 수 있고, 아울러 하나의 풀링장치로 다양한 사이즈의 보빈을 풀링시킬 수 있어서 풀링장치 구입에 따른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한 보빈용 풀링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s composed of a pair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o that the cable or wire can be rotatably supported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bobbin wound, This bobbin pulling device allows you to more safely and easily pull the cable or wire wound on the bobbin, and can also pull bobbins of various sizes with one pulling device, thereby reducing the cost of purchasing a pulling device. The purpose is to provide.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기술이 진행되면서 명확해질 것이다.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clear as technology progresses.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서로에 대하여 소정 거리 이격되게 한 쌍으로 구성되어 케이블 또는 와이어가 권취되는 심통(11)과, 상기 심통(11) 양단을 막음가능하도록 원형의 판으로 형성된 플랜지부(12)로 구성된 보빈(1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시켜 상기 보빈(10)을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권취된 케이블 또는 와이어를 풀링시킬 수 있도록 한 보빈용 풀링장치로서, 바닥면에 안착되면서 상기 보빈(10)의 플랜지부(12)를 내측으로 각각 안내시킬 수 있도록 일면과 상면 그리고 바닥면 일부가 개부되되, 상면 일측에는 보빈(10)의 사이즈에 대응되게 거리를 조절가능하도록 지지거리조절용 홈(111a)이 다수 형성되어 구비되는 풀링용 지지부재(110)와, 상기 보빈(10)의 사이즈에 대응되게 상기 풀링용 지지부재(110)의 지지거리조절용 홈(111a)에 장,탈착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보빈(10)의 플랜지부(12) 외주면 일단을 회전가능하게 지지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지지용 로울러부재(130)와, 상기 풀링용 지지부재(110)의 타측에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보빈(10)의 플랜지부(12) 외주면 타단을 회전가능하게 지지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가압용 로울러부재(150), 상기 가압용 로울러부재(150)에 일단이 연결되게 상기 풀링용 지지부재(110)에 고정 설치되고, 타단은 공구를 이용하여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대응되게 상기 가압용 로울러부재(150)를 가압 및 가압 해제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가압용 로울러부재(150)가 상기 보빈(10)의 플랜지부(12) 외주면 타단 가압시켜 상기 보빈(10)을 지면으로 이격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가압수단(1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object consists of a pair of core tubes (11)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round which a cable or wire is wound, and a plan formed of a circular plate to block both ends of the core tube (11). A bobbin pulling device that rotatably supports a bobbin 10 composed of a branch 12 to pull a wound cable or wire by rotating the bobbin 10, and is seated on the bottom of the bobbin. One surface, an upper surface, and a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are opened so that the flange portion 12 of (10) can be guided inward, and a support distance adjustment groove ( A pulling support member 110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111a) is installed and detachably installed in the support distance adjustment groove 111a of the pulling support member 110 to correspond to the size of the bobbin 10. The support roller member 130 is provided to rotatably support one end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12 of the bobbin 10, and moves in one direction and the other direction on the other side of the pulling support member 110. A pressing roller member 150 that is installed so as to rotatably support the other end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12 of the bobbin 10, and the pulling member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pressing roller member 150. It is fixedly installed on the support member 110, and the other end is rotated in one direction and the other direction using a tool, thereby pressing and depressurizing the pressing roller member 150. )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pressing means 170 provided to pressurize the other end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12 of the bobbin 10 to space the bobbin 10 to the ground.

또한, 상기한 풀링용 지지부재(110)의 양측면 하부 일측에는, 상기 보빈용 풀링장치(100)가 설치됨에 따른 바닥면에 대하여 지지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지지력증대부재(19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on one lower side of both sides of the pulling support member 110, a supporting force increasing member 190 is further provided to increase the supporting force against the floor surface where the bobbin pulling device 100 is installed. It is characterized by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빈용 풀링장치에 따르면, 서로에 대하여 소정 거리 이격되게 한 쌍으로 구성되어 케이블 또는 와이어가 권취된 보빈의 사이즈에 대응되게 회전가능하게 지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보다 안전하고 용이하게 보빈에 권취된 케이블 또는 와이어를 풀링시킬 수 있고, 아울러 하나의 풀링장치로 다양한 사이즈의 보빈을 풀링시킬 수 있어서 풀링장치 구입에 따른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bobbin pull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omposed of a pair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is configured to be rotatably supported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bobbin on which the cable or wire is wound, The cable or wire wound on the bobbin can be pulled more safely and easily, and bobbins of various sizes can be pulled with a single pulling device, which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cost of purchasing a pulling devi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빈용 풀링장치의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빈용 풀링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빈용 풀링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빈용 풀링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talled state of the bobbin pull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obbin pull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bobbin pull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ide view showing the state of use of the bobbin pull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보빈용 풀링장치의 일실시 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Below, an embodiment of the bobbin pull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First of all, it should be noted that among the drawings, identical components or par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well-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are omitted in order to not obscure the gist of the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빈용 풀링장치는, 서로에 대하여 소정 거리 이격되게 한 쌍으로 구성되어 케이블 또는 와이어가 권취된 보빈의 사이즈에 대응되게 회전가능하게 지지시켜 권취된 케이블 또는 와이어를 풀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As shown, the bobbin pull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a pair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pulls the wound cable or wire by supporting it rotatably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bobbin on which the cable or wire is wound. It is configured so that it can be done.

즉, 상기한 본 발명은 서로에 대하여 소정 거리 이격되게 한 쌍으로 구성되어 케이블 또는 와이어가 권취되는 심통(11)과, 상기 심통(11) 양단을 막음가능하도록 원형의 판으로 형성된 플랜지부(12)로 구성된 보빈(1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시켜 상기 보빈(10)을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권취된 케이블 또는 와이어를 풀링시킬 수 있도록 한 보빈용 풀링장치(100)로서, 바닥면에 안착되면서 상기 보빈(10)의 플랜지부(12)를 내측으로 각각 안내시킬 수 있도록 일면과 상면 그리고 바닥면 일부가 개부되되, 상면 일측에는 보빈(10)의 사이즈에 대응되게 거리를 조절가능하도록 지지거리조절용 홈(111a)이 다수 형성되어 구비되는 풀링용 지지부재(110)와, 상기 보빈(10)의 사이즈에 대응되게 상기 풀링용 지지부재(110)의 지지거리조절용 홈(111a)에 장,탈착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보빈(10)의 플랜지부(12) 외주면 일단을 회전가능하게 지지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지지용 로울러부재(130)와, 상기 풀링용 지지부재(110)의 타측에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보빈(10)의 플랜지부(12) 외주면 타단을 회전가능하게 지지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가압용 로울러부재(150)와, 상기 가압용 로울러부재(150)에 일단이 연결되게 상기 풀링용 지지부재(110)에 고정 설치되고, 타단은 공구를 이용하여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대응되게 상기 가압용 로울러부재(150)를 가압 및 가압 해제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가압용 로울러부재(150)가 상기 보빈(10)의 플랜지부(12) 외주면 타단 가압시켜 상기 보빈(10)을 지면으로 이격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가압수단(1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at is, the above-described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a pair of core tubes 11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round which a cable or wire is wound, and a flange portion 12 formed of a circular plate to block both ends of the core tube 11. ) is a bobbin pulling device (100) that rotatably supports a bobbin (10) configured to pull the wound cable or wire by rotating the bobbin (10), and is seated on the bottom of the bobbin (100). One surface, an upper surface, and a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are opened so that the flange portion 12 of (10) can be guided inward, and a support distance adjustment groove ( A pulling support member 110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111a) is installed and detachably installed in the support distance adjustment groove 111a of the pulling support member 110 to correspond to the size of the bobbin 10. The support roller member 130 is provided to rotatably support one end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12 of the bobbin 10, and moves in one direction and the other direction on the other side of the pulling support member 110. A pressing roller member 150 that is installed so as to rotatably support the other end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12 of the bobbin 10, and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pressing roller member 150. It is fixedly installed on the pulling support member 110, and the other end is rotated in one direction and the other direction using a tool to press and release the pressing roller member 150, thereby pressurizing and depressurizing the pressing roller member (150). 150) is configured to include a pressing means 170 provided to press the other end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12 of the bobbin 10 to space the bobbin 10 to the ground.

또한, 상기한 풀링용 지지부재(110)의 양측면 하부 일측에는 상기 보빈용 풀링장치(100)가 설치됨에 따른 바닥면에 대하여 지지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지지력증대부재(190)가 더 구비된다.In addition, a support force increasing member 190 is further provided on one lower side of both sides of the pulling support member 110 to increase the support force with respect to the floor surface where the bobbin pulling device 100 is installed.

이하에서,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보빈용 풀링장치를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bobbin pull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FIGS. 1 to 4.

먼저,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보빈용 풀링장치의 풀링용 지지부재(110)는, 바닥면에 안착되면서 상기 보빈(10)의 플랜지부(12)를 내측으로 각각 안내시킬 수 있도록 일면과 상면 그리고 바닥면 일부가 개부되되, 상면 일측에는 보빈(10)의 사이즈에 대응되게 상기 지지용 로울러부재(130)를 거리 조절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지지거리조절용 홈(111a)이 다수 형성되어 구비된다.First, the pulling support member 110 of the bobbin pull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eated on the bottom surface and has one surface, an upper surface, and a top surface so that the flange portion 12 of the bobbin 10 can be guided inward, respectively. A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is open, and a plurality of support distance adjustment grooves 111a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so that the support roller member 130 can be installed in a distance-adjustable manner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bobbin 10.

즉, 상기한 풀링용 지지부재(110)는 직사각 형상의 판으로 형성되어 상기 보빈(10)의 플랜지부(12)를 내측으로 안내시킬 수 있도록 서로 이격되게 한 쌍으로 형성되되, 각 판상의 상면 일측에는 상기 지지용 로울러부재(130)를 위치 이동시키면서 설치할 수 있도록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지지거리조절용 홈(111a)이 형성된 풀링용 지지판(111)과, 상기 풀링용 지지판(111)의 하부 타측을 서로 연결시켜 단일체로 만들면서 상기 가압수단(170)을 설치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풀링용 연결판(113)과, 상기 풀링용 지지판(111)의 타측에 횡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에 의해 상기 풀링용 연결판(113)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가압용 로울러부재(150)를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가압가이드용 홀(115)로 구성된다. That is, the pulling support members 110 are formed as a rectangular plate and are formed in pair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guide the flange portion 12 of the bobbin 10 inward, and the upper surface of each plate On one side, a pulling support plate 111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support distance adjustment grooves 111a at regular intervals so that the support roller member 130 can be installed while moving the position, and the other lower side of the pulling support plate 111 is The pulling connection plate 113 is provided so that the pressing means 170 can be installed by connecting them to form a single piece, and the pulling connection plate 113 is formed laterally on the other side of the pulling support plate 111. It is loc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plate 113 and consists of a pressure guide hole 115 provided so that the pressure roller member 150 can be installed movably in one direction and the other direction.

상기한 지지용 로울러부재(130)는 상기 보빈(10)의 사이즈에 대응되게 상기 풀링용 지지부재(110)의 지지거리조절용 홈(111a)에 장,탈착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보빈(10)의 플랜지부(12) 외주면 일단을 회전가능하게 지지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다.The support roller member 130 is detachably installed in the support distance adjustment groove 111a of the pulling support member 110 to correspond to the size of the bobbin 10 and is attached to the bobbin 10. One end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12 is provided so as to be rotatably supported.

즉, 상기한 지지용 로울러부재(130)는 상기 풀링용 지지부재(110)에 형성된 지지거리조절용 홈(111a)에 거치가능하게 구비되는 지지용 축(131)과, 상기 지지용 축(131) 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보빈(10)의 플랜지부(12) 외주면 일단을 회전가능하게 지지시킬 수 있도록 구비는 지지용 로울러(133)로 구성된다.That is, the support roller member 130 includes a support shaft 131 that can be mounted on the support distance adjustment groove 111a formed in the pulling support member 110, and the support shaft 131. It consists of a support roller 133 that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bobbin 10 to rotatably support one end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12 of the bobbin 10.

상기한 가압용 로울러부재(150)는, 상기 풀링용 지지부재(110)의 타측에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보빈(10)의 플랜지부(12) 외주면 타단을 회전가능하게 지지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다.The pressing roller member 150 is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pulling support member 110 to be movable in one direction and the other direction and rotatably supports the other end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12 of the bobbin 10. It is equipped so that you can do it.

즉, 상기한 가압용 로울러부재(150)는 상기 풀링용 지지부재(110)의 풀링용 연결판(113) 상부에 위치되게 상기 풀링용 지지판(111)에 형성된 가압가이드용 홀(115)에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가압용 축(151)과, 상기 가압용 축(151) 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보빈(10)의 플랜지부(12) 외주면 타단을 회전가능하게 지지시킬 수 있도록 구비는 가압용 로울러(153)로 구성된다.That is, the pressing roller member 150 is loc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pulling connection plate 113 of the pulling support member 110 and is connected in one direction to the pressure guide hole 115 formed in the pulling support plate 111. and a pressing shaft 151 that is movable in the other direction, and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pressing shaft 151 to rotatably support the other end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12 of the bobbin 10. It consists of a roller 153 for pressurization.

상기한 가압수단(170)은 상기 가압용 로울러부재(150)에 일단이 연결되게 상기 풀링용 지지부재(110)에 고정 설치되고, 타단은 공구를 이용하여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대응되게 상기 가압용 로울러부재(150)를 가압 및 가압 해제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가압용 로울러부재(150)가 상기 보빈(10)의 플랜지부(12) 외주면 타단 가압시켜 상기 보빈(10)을 지면으로 이격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다.The pressing means 170 is fixed to the pulling support member 110 so that one end is connected to the pressing roller member 150, and the other end is rotated in one direction and the other using a tool. By pressurizing and depressurizing the pressing roller member 150, the pressing roller member 150 presses the other end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12 of the bobbin 10 to separate the bobbin 10 from the ground. It is provided so that

즉, 상기한 가압수단(170)은 상기 가압용 로울러부재(150)의 가압용 축(151) 일단과 타단을 회전가능하게 수용시킬 수 있도록 각 상면에는 가압용 요홈(171a)이 형성된 "⊃"자 형상의 가압부재(171)와, 상기 풀링용 지지부재(110)의 풀링용 연결판(113)에 안착 고정되되, 중앙부에는 가압용 나사홀(도면부호 생략)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가압 가이드부재(173)와, 상기 가압부재(171)의 일면에 용접에 의해 고정가능하게 구비되는 가압용 베어링(175)과, 상기 가압 가이드부재(173)의 가압용 나사홀에 나사방식으로 결합되면서 상기 가압용 베어링(175)에 일단이 고정되되, 외주면에는 가압용 나사부(177a)가 형성되고, 타단은 공구를 이용하여 회전시킬 수 있도록 공구결합부(177b)가 형성되어, 공구를 이용하여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가압용 로울러부재(150)가 상기 보빈(10)의 플랜지부(12) 외주면 타단 가압시켜 상기 보빈(10)을 지면으로 이격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가압회전바(177)로 구성된다.That is, the above-described pressing means 170 has a pressing groove 171a formed on each upper surface so as to rotatably accommodate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pressing shaft 151 of the pressing roller member 150. A pressure guide member that is seated and fixed on the ruler-shaped pressure member 171 and the pulling connection plate 113 of the pulling support member 110, and is provided with a pressure screw hole (figure omitted) in the central portion. (173) and a pressure bearing 175 that is provided to be fixable by welding on one surface of the pressure member 171, and is screwed to the pressure screw hole of the pressure guide member 173, thereby pressurizing the pressure. One end is fixed to the bearing 175, and a threaded portion 177a for pressing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nd a tool coupling portion 177b is formed at the other end so that it can be rotated using a tool, so that it can be rotated in one direction and the other using a tool. The pressurizing roller member 150 presses the other end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12 of the bobbin 10 by rotating it in this direction, thereby separating the bobbin 10 from the ground. It consists of

여기서, 상기한 가압수단(170)의 가압부재(171) 상면에 형성된 가압용 요홈(171a)은, 상기 가압용 로울러부재(150)를 가압시 가압용 축(151)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가능하도록 45°각도로 경사져 형성된다.Here, the pressing groove 171a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ressing member 171 of the pressing means 170 is formed to prevent the pressing shaft 151 from being separated when pressing the pressing roller member 150. It is formed by slanting at a 45° angle.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보빈용 풀링장치를 이용하여 케이블이 권취되면서 플랜지부의 직경이 1미터인 보빈을 풀링시키고자 할 경우,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보빈용 풀링장치를 풀링시키고자 하는 보빈의 사이즈에 맞게 서로 이격되게 설치한다.When it is desired to pull a bobbin with a flange diameter of 1 meter while winding the cable using the bobbin pull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attached drawings FIGS. 1 to 4, first, the bobbin Install the pulling devic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bobbin to be pulled.

상기와 같이 보빈용 풀링장치가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면, 보빈(10)의 플랜지부(12)를 풀링용 지지부재(110)의 풀링용 지지판(111) 사이로 위치시킨다. When the bobbin pulling devices are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s described above, the flange portion 12 of the bobbin 10 is positioned between the pulling support plates 111 of the pulling support member 110.

상기와 같이 보빈(10)의 플랜지부(12)가 풀링용 지지부재(110)의 풀링용 지지판(111) 사이로 위치되면, 상기 풀링용 지지부재(110)의 풀링용 지지판(111)에 형성된 지지거리조절용 홈(111a)에 지지용 로울러부재(130)를 설치시킨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flange portion 12 of the bobbin 10 is positioned between the pulling support plates 111 of the pulling support member 110, the support formed on the pulling support plate 111 of the pulling support member 110 A support roller member 130 is installed in the distance adjustment groove 111a.

그로 인해, 상기 보빈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용 로울러부재(130)와 가압용 로울러부재(150)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As a result, the bobbin is located between the support roller member 130 and the pressing roller member 150, as shown in FIG. 4.

이때, 상기 보빈(10)의 플랜지부(12) 외주면은 풀링용 지지판(111) 사이의 지면에 지지한 상태가 된다.At this time,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12 of the bobbin 10 is supported on the ground between the pulling support plates 111.

이후, 공구를 이용하여 가압수단(170)의 가압회전바(177)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가압부재(171)가 상기 가압용 로울러부재(150)의 가압용 축(151)을 가압시키게 된다.Thereafter, the pressing rotation bar 177 of the pressing means 170 is rotated clockwise using a tool so that the pressing member 171 presses the pressing shaft 151 of the pressing roller member 150. do.

상기 가압용 로울러부재(150)의 가압용 축(151)의 가압으로 가압용 로울러(153)가 보빈(10)의 플랜지부(12) 외주면을 가압하게 된다.The pressing roller 153 presses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12 of the bobbin 10 by pressing the pressing shaft 151 of the pressing roller member 150.

상기 보빈(10)의 플랜지부(12)가 계속적으로 가압되는 것에 의해 상기 보빈(10)의 플랜지부(12)는 지지용 로울러부재(130)측으로 이동하면서, 플랜지부(12)의 일단과 타단이 지지용 로울러(133)와 가압용 로울러(153)의 외주면에 각각 지지되고, 그로 인해 상기 플랜지부(12)는 지면으로부터 이격된다.As the flange portion 12 of the bobbin 10 is continuously pressed, the flange portion 12 of the bobbin 10 moves toward the support roller member 130, and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flange portion 12 They are support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s of the support roller 133 and the pressure roller 153, respectively, and as a result, the flange portion 12 is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그로 인해 상기한 보빈은 지지용 로울러(133)와 가압용 로울러(153) 사이에서 회전가능하게 되어 권취된 케이블을 용이하게 풀림시킬 수 있다.As a result, the bobbin can rotate between the support roller 133 and the pressurizing roller 153, so that the wound cable can be easily unwound.

한편, 케이블이 권취되면서 플랜지부의 직경이 50cm인 보빈을 풀링시키고자 할 경우, 지지용 로울러부재(130)를 가압용 로울러부재(150)에 가깝게 형성된 지지거리조절용 홈(111a)에 설치한 후,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가압용 로울러부재(150)를 가압하는 것에 의해 플랜지부의 직경이 50cm인 보빈의 플랜지부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므로 인해 권취된 케이블을 용이하게 풀림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it is desired to pull a bobbin with a flange diameter of 50 cm while the cable is wound, the support roller member 130 is installed in the support distance adjustment groove 111a formed close to the pressure roller member 150, and then By pressing the pressing roller member 150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the flange portion of the bobbin having a flange diameter of 50 cm is separated from the ground, so that the wound cable can be easily unwound.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보빈용 풀링장치로 인해 안전하고 용이하게 보빈에 권취된 케이블 또는 와이어를 풀링시킬 수 있고, 아울러 하나의 풀링장치로 다양한 사이즈의 보빈을 풀링시킬 수 있어서 풀링장치 구입에 따른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The bobbin pulling device configured as above allows the cable or wire wound around the bobbin to be pulled safely and easily. In addition, bobbins of various sizes can be pulled with a single pulling device, reducing the cost of purchasing a pulling device. You can do it.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an illustrative explanation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rather to explain it,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보빈 11 ; 심통
12 ; 플랜지부 100 ; 보빈용 풀링장치
110 ; 풀링용 지지부재 130 ; 지지용 로울러부재
150 ; 가압용 로울러부재 170 ; 가압수단
190 ; 지지력증대부재
10 ; Bobbin 11 ; disposition
12 ; Flange part 100; Pulling device for bobbin
110 ; Support member for pulling 130; Support roller member
150 ; Roller member for pressurization 170; pressurization means
190 ; Absence of increased bearing capacity

Claims (5)

서로에 대하여 소정 거리 이격되게 한 쌍으로 구성되어 케이블 또는 와이어가 권취되는 심통(11)과, 상기 심통(11) 양단을 막음가능하도록 원형의 판으로 형성된 플랜지부(12)로 구성된 보빈(1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시켜 상기 보빈(10)을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권취된 케이블 또는 와이어를 풀링시킬 수 있도록 한 보빈용 풀링장치에 있어서,
바닥면에 안착되면서 상기 보빈(10)의 플랜지부(12)를 내측으로 각각 안내시킬 수 있도록 일면과 상면 그리고 바닥면 일부가 개부되되, 상면 일측에는 보빈(10)의 사이즈에 대응되게 거리를 조절가능하도록 지지거리조절용 홈(111a)이 다수 형성되어 구비되는 풀링용 지지부재(110)와;
상기 보빈(10)의 사이즈에 대응되게 상기 풀링용 지지부재(110)의 지지거리조절용 홈(111a)에 장,탈착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보빈(10)의 플랜지부(12) 외주면 일단을 회전가능하게 지지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지지용 로울러부재(130)와;
상기 풀링용 지지부재(110)의 타측에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보빈(10)의 플랜지부(12) 외주면 타단을 회전가능하게 지지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가압용 로울러부재(150);
상기 가압용 로울러부재(150)에 일단이 연결되게 상기 풀링용 지지부재(110)에 고정 설치되고, 타단은 공구를 이용하여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대응되게 상기 가압용 로울러부재(150)를 가압 및 가압 해제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가압용 로울러부재(150)가 상기 보빈(10)의 플랜지부(12) 외주면 타단 가압시켜 상기 보빈(10)을 지면으로 이격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가압수단(170)을 포함하되,
상기 풀링용 지지부재(110)는, 판으로 형성되어 상기 보빈(10)의 플랜지부(12)를 내측으로 안내시킬 수 있도록 서로 이격되게 한 쌍으로 형성되되, 각 판상의 상면 일측에는 상기 지지용 로울러부재(130)를 위치 이동시키면서 설치할 수 있도록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지지거리조절용 홈(111a)이 형성된 풀링용 지지판(111)과, 상기 풀링용 지지판(111)의 하부 타측을 서로 연결시켜 단일체로 만들면서 상기 가압수단(170)을 설치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풀링용 연결판(113)과, 상기 풀링용 지지판(111)의 타측에 횡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에 의해 상기 풀링용 연결판(113)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가압용 로울러부재(150)를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가압가이드용 홀(115)로 구성되고,
상기 가압수단(170)은, 상기 풀링용 지지부재(110)의 풀링용 연결판(113) 상부에 위치되게 상기 풀링용 지지판(111)에 형성된 가압가이드용 홀(115)에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가압용 축(151)과, 상기 가압용 축(151) 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보빈(10)의 플랜지부(12) 외주면 타단을 회전가능하게 지지시킬 수 있도록 구비는 가압용 로울러(153)로 구성된 가압용 로울러부재(150)의 가압용 축(151) 일단과 타단을 회전가능하게 수용시킬 수 있도록 각 상면에는 가압용 요홈(171a)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가압부재(171)와, 상기 풀링용 지지부재(110)의 풀링용 연결판(113)에 안착 고정되되, 중앙부에는 가압용 나사홀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가압 가이드부재(173)와, 상기 가압부재(171)의 일면에 용접에 의해 고정가능하게 구비되는 가압용 베어링(175)과, 상기 가압 가이드부재(173)의 가압용 나사홀에 나사방식으로 결합되면서 상기 가압용 베어링(175)에 일단이 고정되되, 외주면에는 가압용 나사부(177a)가 형성되고, 타단은 공구를 이용하여 회전시킬 수 있도록 공구결합부(177b)가 형성되어, 공구를 이용하여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가압용 로울러부재(150)가 상기 보빈(10)의 플랜지부(12) 외주면 타단 가압시켜 상기 보빈(10)을 지면으로 이격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가압회전바(177)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빈용 풀링장치.
A bobbin (10) consisting of a pair of core tubes (11)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round which a cable or wire is wound, and a flange portion (12) formed of a circular plate to block both ends of the core tube (11). In the bobbin pulling device, which rotatably supports the bobbin (10) to pull the wound cable or wire by rotating the bobbin (10),
One side, the upper side, and a part of the bottom side are opened so that the flange portion 12 of the bobbin 10 can be guided inward while being seated on the bottom side, and the distance on one side of the upper side is adjusted to correspond to the size of the bobbin 10. A support member 110 for pulling, which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grooves 111a for adjusting the support distance so as to be possible;
It is detachably installed in the support distance adjustment groove 111a of the pulling support member 110 to correspond to the size of the bobbin 10, and one end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12 of the bobbin 10 can be rotated. A support roller member 130 provided to support the support;
A pressurizing roller member 150 is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pulling support member 110 to be movable in one direction and the other direction so as to rotatably support the other outer peripheral end of the flange portion 12 of the bobbin 10. );
The pressing roller member 150 is fixed to the pulling support member 110 so that one end is connected to the pressing roller member 150, and the other end is rotated in one direction and the other direction using a tool. By pressing and releasing the pressure, the pressing roller member 150 presses the other end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12 of the bobbin 10, thereby separating the bobbin 10 from the ground. Pressing means 170 ), including
The pulling support members 110 are formed of plates and are formed in pair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as to guide the flange portion 12 of the bobbin 10 inward.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each plate is provided for the support. A pulling support plate 111 with a plurality of support distance adjustment grooves 111a formed at regular intervals so that the roller member 130 can be installed while moving the position, and the other lower side of the pulling support plate 11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 single body. The upper part of the pulling connection plate 113 is formed laterally on the other side of the pulling support plate 111 and the pulling connection plate 113, which is provided so that the pressing means 170 can be installed while making it. It is located in and consists of a pressure guide hole 115 provided so that the pressure roller member 150 can be installed movably in one direction and the other direction,
The pressing means 170 is loc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pulling connection plate 113 of the pulling support member 110 and is positioned in the pressure guide hole 115 formed in the pulling support plate 111 in one direction and the other direction. A pressurizing shaft 151 that is movably provided and rotatably installed on the pressing shaft 151 to rotatably support the other end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12 of the bobbin 10. A pressing member (171a) is formed on each upper surface so that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pressing shaft 151 of the pressing roller member 150 composed of the pressing roller 153 can be rotatably accommodated. 171), and a pressure guide member 173 that is seated and fixed on the pulling connection plate 113 of the pulling support member 110 and has a pressurizing screw hole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and the pressure member 171 A pressure bearing 175 is provided to be fixable by welding on one surface of the pressure bearing 175, and one end is fixed to the pressure bearing 175 while being threaded into the pressure screw hole of the pressure guide member 173, A pressurizing thread portion (177a)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nd a tool coupling portion (177b) is formed at the other end so that it can be rotated using a tool. The pressing roller member is rotated in one direction and the other direction using a tool. A pulling device for bobbins, characterized in that (150) consists of a pressurizing rotation bar (177) provided to pressurize the other end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12) of the bobbin (10) to space the bobbin (10) from the groun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풀링용 지지부재(110)의 양측면 하부 일측에는, 보빈용 풀링장치(100)가 설치됨에 따른 바닥면에 대하여 지지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지지력증대부재(19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빈용 풀링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A bobbin, characterized in that a support force increasing member 190 is further provided on one lower side of both sides of the pulling support member 110 to increase the support force with respect to the floor surface as the bobbin pulling device 100 is installed. For pulling devi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170)의 가압부재(171) 상면에 형성된 가압용 요홈(171a)은, 상기 가압용 로울러부재(150)를 가압시 가압용 축(151)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가능하도록 경사져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빈용 풀링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pressing groove 171a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ressing member 171 of the pressing means 170 is inclined to prevent the pressing shaft 151 from being separated when pressing the pressing roller member 150. Features a pulling device for bobbins.
KR1020230130955A 2023-09-27 2023-09-27 Pulling device for bobbin KR10266389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30955A KR102663893B1 (en) 2023-09-27 2023-09-27 Pulling device for bobbi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30955A KR102663893B1 (en) 2023-09-27 2023-09-27 Pulling device for bobbi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3893B1 true KR102663893B1 (en) 2024-05-03

Family

ID=91077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30955A KR102663893B1 (en) 2023-09-27 2023-09-27 Pulling device for bobbi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3893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32177U (en) * 1984-07-30 1986-02-26 永喜 廣澤 Drum rotation support device
KR20110135053A (en) 2010-06-10 2011-1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approving image quality of 3 dimensional image and digital broadcast receiver thereof
KR102265075B1 (en) * 2019-11-25 2021-06-15 주식회사 태성솔라 Cable Drum Pulling Apparatus
CN218478400U (en) * 2022-10-14 2023-02-14 山东鲁宝电缆有限公司 Cable paying-off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32177U (en) * 1984-07-30 1986-02-26 永喜 廣澤 Drum rotation support device
KR20110135053A (en) 2010-06-10 2011-1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approving image quality of 3 dimensional image and digital broadcast receiver thereof
KR102265075B1 (en) * 2019-11-25 2021-06-15 주식회사 태성솔라 Cable Drum Pulling Apparatus
CN218478400U (en) * 2022-10-14 2023-02-14 山东鲁宝电缆有限公司 Cable paying-off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02679A (en) Wire dispenser
US2155769A (en) Reel
KR910000984B1 (en) Oil spill controlling equipment
US3096951A (en) Wire package and reel therefor
US4557515A (en) Coil handling device
KR20140115199A (en) Winding advance units with guide means
KR102663893B1 (en) Pulling device for bobbin
US2943807A (en) Spool mechanism
US3603526A (en) Portable wire holder rack
CN110282485B (en) Convenient pay-off of many cables
WO2007011997A2 (en) Wire cable dispenser
CN213326019U (en) Cable pay-off device
US3974980A (en) Wire dispensing device
RU2397937C2 (en) Method of winding turns of material onto reel
KR20220040126A (en) Fiber cable loosening prevention apparatus
US3520489A (en) Transmission wire stringing device
US9884738B1 (en) Wire caddy
US2916225A (en) Demountable-head reel for annular bundles or packages of coiled wire
EP0445312B1 (en) Device for laying cables or flexible pipes on a track
CN210779843U (en) Wire arrangement structure for laying underground cable
US11643297B1 (en) Reel take-up machine
KR20200078068A (en) Carrying apparatus for pipe
CN109733942B (en) Cable carrying and paying-off device
DE10020013A1 (en) Spooling device such as cable drum has connector associated with central part with connection on one end of connector for winding on/off shaft, other end connected to extension
US2339688A (en) Swivelable wire storage re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