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4528A - 한글 입력 방법 - Google Patents

한글 입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4528A
KR20110134528A KR1020100054118A KR20100054118A KR20110134528A KR 20110134528 A KR20110134528 A KR 20110134528A KR 1020100054118 A KR1020100054118 A KR 1020100054118A KR 20100054118 A KR20100054118 A KR 20100054118A KR 20110134528 A KR20110134528 A KR 201101345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method
symbols
consonant
hangul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4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선
Original Assignee
김기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선 filed Critical 김기선
Priority to KR10201000541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34528A/ko
Publication of KR201101345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45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이나 전화기 등에서 한글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방식으로, 방식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기호체계를 기본으로 하고 있다.
본 한글입력방식의 기호체계에 있어서 먼저, 한글의 자음이나 모음의 입력에 필요한 기호로서 자음조합을 위한 기호 9개와 모음조합을 위한 기호 4개를 기본으로 구성하고, 구성된 기호들을 휴대폰이나 전화기 등에서 사용되는 숫자키패드(숫자판) 상에 효율적으로 배열하였다. 다음으로, 이렇게 배열된 기호들을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조합하면 한글의 모든 자음이나 모음이 만들어지는데, 이렇게 만들어지는 자ㆍ모음을 이용하여 한글의 필순에 따라 한글을 입력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Description

휴대폰, 전화기 등을 위한 한글입력방식{KOREAN LETTER INPUT METHOD FOR MOBILE, TELEPHONE AND ETC.}
본 발명은 휴대폰이나 집 전화 등에서 한글문자를 입력하는데 사용되는 한글입력방식에 관한 것으로 휴대폰 등에서 사용되는 숫자키패드(숫자판) 상에 한글입력에 필요한 기호들을 배열하고 이것을 통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방식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에 있어서는 현재 국내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삼성 애니콜에 쓰이고 있는 천지인한글입력방식이나 엘지전자의 싸이언휴대폰에 쓰이고 있는 나랏글방식 등을 예로 들 수 있을 것이다.
휴대폰이나 전화기 등에서 숫자키를 이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한글입력방식은 숫자키패드에 있는 한정된 수의 숫자키를 이용하여 모든 한글 또는 모든 한글의 자음이나 모음을 입력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새로운 한글입력방식을 만들어 내는 것은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은 새로운 기호체계를 이용하여 이러한 까다로운 조건을 해결하고, 이를 통하여 사용자들이 쉽게 한글을 입력할 수 있는 새로운 한글입력방식을 만들어 내는 것에 목적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글입력방식은 기본적으로 본 한글입력방식에 필요한 기호들의 채택 및 구성, 채택 및 구성된 기호들의 숫자판 상의 배열, 숫자판 상에 배열된 기호들을 통한 자음조합 및 모음조합, 그리고 앞에 열거된 모든 과정들에 기반한 한글입력방식 등으로 설명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다음의 세 부분으로 나누어 설명하였다.
1. 채택한 기호들의 구성
본 발명의 한글입력방식을 위해 채택한 기호들의 구성은 자음을 위한 기호들과 모음을 위한 기호들의 두 부분으로 나뉜다.
자음기호들의 구성은 한글에서 사용되는 기본자음의 일부를 포함하였고 여기에 자음조합을 위한 가로획 하나를 더하여 구성하였다.
자음구성(9개): {ㄱ,ㄴ,ㄹ,ㅅ,ㅇ,ㅁ,ㅂ,ㅍ과 가로획(―) 1개}
위의 자음구성 중에서,
ㄱ,ㄴ,ㅅ,ㅇ과 가로획(―)은 여러 가지 조합의 형태로서 필요한 다른 자음들을 만들어 낸다.
기호 리을(ㄹ)은 기역(ㄱ)과 자음구성의 가로획(―) 그리고 니은(ㄴ)을 순차적으로 조합하여 리을(ㄹ)을 만들어 내는 방법 대신에 한글입력의 편의상 사용빈도가 높은 리을(ㄹ)을 직접 자음기호의 구성에 포함시켰다.
그 외에, 위의 자음구성기호들 중에서 ㅁ,ㅂ,ㅍ을 빼고, 대신에 세로획(|)을 자음구성에 추가 구성하여도 ㅁ,ㅂ,ㅍ을 입력할 수 있지만 이것 역시 한글입력의 편의상 ㅁ,ㅂ,ㅍ을 자음구성에 포함시켰다. 또한 이들 중 ㅂ은 쌍비읍(ㅃ)에도 쓰이므로 단독배열하였고, ㅁ,ㅍ은 두 자음이 한글의 받침에서 겹받침으로 함께 쓰이는 경우가 없어서 묶어서 배열하여도 문제가 되지 않으므로 두 개의 자음을 하나의 키에 묶어서 배열하였다.
모음기호들의 구성에 관하여는 긴 가로획, 긴 세로획, 짧은 가로획, 짧은 세로획 이렇게 네 개의 기호로 구성되었다.
모음구성(4개): {ㅡ,|,-,
Figure pat00001
}
위의 4개의 모음기호들이 여러 형태로 조합하여 필요한 모든 모음들을 만들어 낸다.
2. 채택 및 구성한 기호들의 배열
기호들의 배열과 관련하여, 본 발명의 기호배열은 기본적으로 숫자판의 1,2,4,5,7,8,0번과 *키는 자음배열에 할당하였고, 3,6,9번과 #키는 모음배열에 할당하였다.
3. 자음조합 및 모음조합과 이를 통한 한글입력방식
본 방식의 자음조합 및 모음조합과 이를 통한 한글입력방식에 있어서 구성된 기호들 중에는 이미 독립적으로도 완성된 자음기호나 모음기호들도 있는데 이런 독립완성형 기호들을 포함한 모든 구성기호들은 그 기호들이 속한 자ㆍ모음 분류의 테두리 내에서 숫자키패드자판 상에는 없는 다른 자음이나 모음을 만들기 위하여 자음조합이나 모음조합에 이용될 수 있으며, 이런 과정들을 통하여 한글의 모든 자음이나 모음이 완성되고, 이렇게 완성된 자ㆍ모음을 이용하여 한글 본연의 필순원칙에 따라 한글을 입력할 수 있다.
본 한글입력방식은 기존의 방식들에 대하여 특별히 개선된 방식은 아니지만 나름의 독특한 체계로 기능성과 편의성을 갖추고 있으며 그 구조가 한글의 필순에 가까운 구조로 되어 있어서 본 방식을 처음 접하는 사람들도 쉽게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기존의 한글입력방식들과 함께 또 한가지의 새로운 방식으로서 한글입력방식을 필요로 하는 업체들에게 한글입력의 방식에 대한 선택의 폭을 넓혀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글입력방식에서 채택한 기호들을 휴대폰이나 전화기 등에서 사용되는 숫자판 상의 각각 지정된 위치에 배열한 그림이다.
본 발명의 실시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대부분 '도 1'과 '표 1'을 참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용에 있어서, 휴대폰이나 전화기 등에서의 실제 적용은 도 1의 숫자판 상의 기호배열을 참고한다.
본 발명에 채택 및 배열된 기호들을 통한 한글입력방식은 표 1의 자음조합 및 모음조합을 참고한다.
표 1의 자음조합 및 모음조합의 실제 적용에 있어서 한글작성의 과정은 아래의 예에서 보듯이 몇 개의 표본글자를 선택하여 자음기호 및 모음기호가 할당된 숫자키의 번호조합의 형태로서 예를 들어 보았다.
예: 토=4549# / 종=479#8 / 닭=4536*2
(번호조합에는 글자에 따라 *기호나 #기호가 포함됨)
본 발명의 한글입력방식에서는 문자작성과정에서의 커서의 이동이나 문자삭제, 문자전환, 특수문자 등의 방식은 포함되지 않았다. 관련하여, 문자작성에서의 커서의 이동이나 문자삭제 등은 본 방식을 실제 적용할 개별제품의 방향키나 삭제/취소키 등을 사용하고, 문자전환이나 특수문자 등의 기능은 별도의 방식이나 기능을 채택 또는 개발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다음의 표 항목(표 1)은 본 한글입력방식에 있어서 자음조합 및 모음조합을 휴대폰 등의 숫자판 상에 있는 각각의 키에 대한 기본번호인 번호조합의 형태로 표시한 것이며, 번호조합의 표시에 있어서 각각 자음조합 및 모음조합의 표시에는 *기호나 #기호가 포함될 수 있다.
Figure pat00002
부호의 설명에 있어서 다음은 본 한글입력방식에서 채택 및 구성한 기호들로 한글입력에 필요한 자음입력을 위한 기호 9개와 모음입력을 위한 기호 4개이다.
자음을 위한 기호 구성(9개): {ㄱ,ㄴ,ㄹ,ㅅ,ㅇ,ㅁ,ㅂ,ㅍ과 가로획(―) 1개}
모음을 위한 기호 구성(4개): {ㅡ,|,-,
Figure pat00003
}

Claims (1)

  1. 본 발명의 한글입력방식에 있어서, 본 발명의 한글입력방식에서 채택한 기호들의 구성과; 구성된 기호들의 숫자판 상의 지정된 위치에 대한 배열과; 구성 및 배열된 기호들을 통한 자음조합 및 모음조합의 방식과; 본 발명의 특허출원자료(명세서, 요약서, 도면)에서 설명 및 기술된 모든 내용들에 근거한 본 발명의 한글입력방식.
KR1020100054118A 2010-06-09 2010-06-09 한글 입력 방법 KR201101345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4118A KR20110134528A (ko) 2010-06-09 2010-06-09 한글 입력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4118A KR20110134528A (ko) 2010-06-09 2010-06-09 한글 입력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4528A true KR20110134528A (ko) 2011-12-15

Family

ID=45501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4118A KR20110134528A (ko) 2010-06-09 2010-06-09 한글 입력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3452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1549B1 (ko) 투 클릭 모르스부호를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및 입력방법
KR101065711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문자입력방법
KR20110134528A (ko) 한글 입력 방법
CN104765470A (zh) 一种按键受限制的软键盘字符输入方法
KR20110092941A (ko) 한글 입력 방법
JP2010020747A (ja) 象形的組み合わせ及び使用頻度数を使用した小型キーパッドでのアルファベット入力装置及びアルファベット認識システム
KR20080064934A (ko) 영문 소문자 모양에 의한 영문자 입력방식
KR20050122188A (ko) 숫자버튼을 좌,우(상,하)두개로 분할하여 양쪽 모두를접지시켜 입력시키는 핸드폰 버튼.
KR100651400B1 (ko) 가로세로막대한글에 의한 핸드폰한글입력 방법
KR101921586B1 (ko) 한글의 모음과 자음 사용빈도에 따른 전자통신기기의 문자입력장치
KR101243853B1 (ko) 한글 문자입력방법
KR20110056464A (ko) 슬라이드 방식의 개량형 영어 자판
KR101531540B1 (ko) 알파벳 입력 시스템
KR100918082B1 (ko) 사전식 순서 및 사용 빈도를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
CN101373408B (zh) 一种利用数字键输入字母的方法
CN103823571A (zh) 基于双方向控制的输入法系统
KR101071812B1 (ko) 휴대단말기의 일본어 터치스크린 키패드 어레이
CN101241398B (zh) 简易文字输入法及使用该方法之输入装置
CN104571590B (zh) 一种用于触摸屏设备的中文输入系统
KR101039482B1 (ko) 스마트 조합식 문자 입력 키패드
KR20090072891A (ko) 모바일 기기용 영문자판
KR101105210B1 (ko) 휴대단말기의 태국어 터치스크린 키패드 어레이
KR20050030947A (ko) 휴대폰 키패드에서의 영문 알파벳 입력 방식
KR101045386B1 (ko) 통합한글 단말기 문자입력기
KR101448370B1 (ko) 전화기 키패드의 한글문자 입력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