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3524A - 다기능 코 청소기와 여기에 적용되는 다기능 소독기용 소독액 - Google Patents

다기능 코 청소기와 여기에 적용되는 다기능 소독기용 소독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3524A
KR20110133524A KR1020110110843A KR20110110843A KR20110133524A KR 20110133524 A KR20110133524 A KR 20110133524A KR 1020110110843 A KR1020110110843 A KR 1020110110843A KR 20110110843 A KR20110110843 A KR 20110110843A KR 20110133524 A KR20110133524 A KR 201101335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jection
disinfectant
spray
nos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0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상관
Original Assignee
한상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상관 filed Critical 한상관
Priority to KR10201101108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33524A/ko
Publication of KR201101335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3524A/ko
Priority to KR1020120011553A priority patent/KR1013335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00Medical syringes, e.g. enemata; Irrigators
    • A61M3/02Enemata; Irrigators
    • A61M3/0279Cannula; Nozzles; Tips; their connec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M11/006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applying mechanical pressure to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 A61M11/007Syringe-type or piston-type sprayers or atomis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00Medical syringes, e.g. enemata; Irrigators
    • A61M3/02Enemata; Irrigators
    • A61M3/0233Enemata; Irrigators characterised by liquid supply means, e.g. from pressurised reservoirs
    • A61M3/0245Containers therefor, e.g. with heating means or with storage means for cannul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00Medical syringes, e.g. enemata; Irrigators
    • A61M3/02Enemata; Irrigators
    • A61M3/0233Enemata; Irrigators characterised by liquid supply means, e.g. from pressurised reservoirs
    • A61M3/0254Enemata; Irrigators characterised by liquid supply means, e.g. from pressurised reservoirs the liquid being pumped
    • A61M3/0262Enemata; Irrigators characterised by liquid supply means, e.g. from pressurised reservoirs the liquid being pumped manually, e.g. by squeezing a bulb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1Pharmaceuticals, e.g. medicaments, artificial body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02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06Head
    • A61M2210/0618N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06Head
    • A61M2210/0625Mouth
    • A61M2210/065Throat; Pharynx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10Trunk
    • A61M2210/1042Alimentary tract
    • A61M2210/1067An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14Female reproductive, genital org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50/00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Surge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사람이나 동물의 주요 호흡기관인 목구멍 속과 목 젓과 콧속을 소독하여 주기 위한 다기능 소독기에 관한 발명으로서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플라스틱 재질 또는 고무재질 또는 실리콘 소재를 이용하여 원형 또는 뭉툭한 형태의 액체 통(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용기이기 때문에 미도시함)을 구비한다.
액체 통(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용기이기 때문에 미도시함)은 연질의 플라스틱 소재 또는 고무재질 또는 실리콘 소재를 이용하여 원형 또는 뭉툭한 형태로 구
성되며, 액체 통(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용기이기 때문에 미도시함)의 상단에는 착탈이 용이하도록 구비되는 액체 통 캡(미도시)을 구성하여 줌과 함께 액체 통 캡
(미도함)의 상단부에는 분사파이프(69)를 구성하여 준다.
액체 통 캡(미도시)과 연결되는 분사파이프(69)의 상단 둘레 측면에는 목 젓 또는 콧속에 서식하는 세균들과 이물질들을 용이하게 소독하여 줌과 함께 소독액이 목구멍 속 또는 콧속의 상단부로 솟구치지 못함과 동시에 가로 방향으로만 분사하도록 가로방향으로 소독액 분출구(36)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 젓 또는 콧속에 서식하는 세균들과 이물질들을 용이하게 소독하여 주도록 가로방향으로만 분출되는 소독액 분출구(36)가 구비되는 다기능 소독기를 제공한다.
소독액 분출구 차단판 겸 글기판(33)의 상단부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하여 구성할 수가 있으나 원형의 형태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예를 도시하는 이유는 콧속을 소독하거나 목구멍 속의 목 젓을 소독액으로 소독할 때에 분출되는 소독액이 목구멍 속으로 유입되지 못함과 동시에 콧속의 상단부를 통하여 기도로 소독액이 유입되지 못하게 소독액 분출구(36)를 가로방향으로 구성한 소독액 분출구(36)의 모양을 구성한 것이 도1의 사시도 이다.
즉 소독액이 목구멍 속으로 유입되지 못하게 하거나 콧속으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다양한 형태로 소독액 분출구(36)의 모양을 구성할 수가 있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예시도 임으로 다른 모방업자가 만드는 다기능 소독기에구성되는 소독액 분출구(36)의 모양을 다르게 구성한 것 모두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임으로 권리범위 확인 심판 없이 그 즉시 처벌받아야 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Description

다기능 코 청소기와 여기에 적용되는 다기능 소독기용 소독액{?}
사람이나 동물의 콧속 또는 항문 또는 여성의 성기 속을 청결하게 소독하여주는 다기능 소독기에 관한 발명이다
종래에 발명된 특허출원 10-2011-0010379호와 특허출원10-2010-0123895 호와 실용신안 출원 20-2010-005957호를 개량한 기술이다
코청소기의 분사구를 통하여 배출되는 소독액 분사량을 늘려줌과 함께 코속에 생성된 코 딱지등을 글거 내도록 구비하여 사용자의 편리함을 높여 주도록 구비되는 다기능 소독기를 구성하는 것을 본 발명의 주요 과제로 삼는다
이상과 같은 결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다기능 소독기를 구성하는 주요 구성요소인 분사 파이프의 상단에 1개의 기둥을 구성하여주고 그 상단부에 글기 겸용 분사 차단 장치를 구성하는 방법을 통하여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한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다기능 소독기를 이용하여 사람이나 동물의 주요 호흡기관인 목구멍 속의 목 젓과 콧속에 서식 하는 세균들을 용이하게 소독하여 줌으로서 항상 청결한 건강 상태를 유지하여 주는 효과가 있다.
즉 입속의 목구멍 속에 있는 목 젓에는 엄청나게 많은 세균들이 서식하고 있으나 소독을 하기가 곤란한 실정이기 때문에 자주 소독을 못하여 주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에 의해 만들어지는 다기능 소독기는 소독액을 분사하여주는 분출구가 분사파이프의 상단 둘레 부분의 측면에 가로 방향으로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소독액이 목구멍 속으로 넘어가지 않은 상태에서 목 젓 부분 많을 유효적절하게 소독하여 줄 수가 있다.
즉 콧속이나 목 젓에 서식하는 세균들을 그 즉시즉시 소독하여 줄 수가 있기 때문에 항상 청결한 건강 상태를유지하여주는 중대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종래에는 콧속에 서식하는 세균들을 소독하여주기 위해선 손바닥에 물 또는 소독액을 따른 상태에서 물 또는 소독액을 콧속으로 흡입하여 소독해야만 했기 때문에 물 또는 소독액이 기도 속으로 유입되면서 또 다른 후유증을 유발하는 중대한 결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다기능 소독기를 이용하여 콧속을 소독하여 주게 되면 가로방향으로 구성되어 있는 소독액 분출구의 역할에 의해 소독액이 콧구멍 속의 상단부와 연결되어 있는 기도 속으로 소독액이 넘어가지 않은 상태에서 간단하게 콧속을 소독하여주기 때문에 콧속을 항상 청결한 상태를 유지시켜주는 작용효과가 있다.
또한 코 소독기의 상단에 구성되는 글기 겸용 차단판의 작용에 의해 코 속에 생성된 딱정이등을 용이하게 제거하여 줄수가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콧 속 건강을 신속하게 치료하여주는 작용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제1 실시 예에 의해 구성되는 다기능 소독기의 상단부에 구성 되는 소독액 분출구 차단판 겸 긁기판의 단면 사시도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제2의 실시 예에 의해 구성되는 다기능 소독기의 상단부에 구성되는 분사구 캡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제3의 실시 예에 의해 구성되는 다기능 소독기에 적용되는 조립식 착탈용 분사구 캡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제4의 실시 예에 의해 구성되는 다기능 소독기에 적용되는 조립식 착탈용 분사구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제5의 실시 예에 의해 구성되는 다기능 소독기에 적용되는 조립식 착탈용 분사구의 사시도
도6은 본 발명 제6의 실시 예에 의해 구성되는 다기능 소독기에 적용되는 조립식 착탈용 분사구의 사시도
도7은 본 발명 제7의 실시 예에 의해 구성되는 다기능 소독기에 적용되는 조립식 착탈용 분사구의 사시도
도8은 본 발명 제8의 실시 예에 의해 구성되는 다기능 소독기에 적용되는 조립식 착탈용 분사구의 사시도
도9는 본 발명 제9의 실시 예에 의해 구성되는 다기능 소독기에 적용되는 조립식 착탈용 분사구의 사시도
도10은 본 발명 제10의 실시 예에 의해 구성되는 다기능 소독기에 적용되는 조립식 착탈용 분사구의 사시도
도11은 본 발명에 따른 각각의 실시 예에 적용되는 소독액 분사통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12는 본 발명에 따른 각각의 실시 예에 적용되는 또 다른 형태로 구성되는 소독액 분사통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13은 본 발명 제11의 실시 예에 의해 구성되는 다기능 소독기에 적용되는 액체 분사통과 조립식 착탈용 분사구의 사시도
도14는 본 발명 제12의 실시 예에 의해 구성되는 다기능 소독기에 적용되는 액체 분사통과 조립식 착탈용 분사구의 사시도
도15에서 도 36까지는 본 발명 각각의 실시 예를 변경하여 적용 할수 있는
다기능 소독기의 형상을 예시한 사시도
도 37은 본 발명 제 13의 실시 예에 적용되는 소독액 분사구의 사시도
도 38은 본 발명 제 14의 실시 예에 적용되는 소독액 분사구의 사시도
도 39는 본 발명 제 15의 실시 예에 적용되는 분사통과 소독액 분사구의 사시도
도 40은 본 발명 제 15의 실시 예에 적용되는 분사통과 결합 된 소독액 분사구에 뚜껑을 끼워놓은 사용상태도
도 41은 본 발명 제 15의 실시 예에 적용되는 분사통과 결합 된 소독액 분사구에 뚜껑을 제거하여 사용하는 사용상태도
본 발명 제1 실시 예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제1 실시 예에 의해 구성되는 다기능 소독기의 상단부에 구성 되는 소독액 분출구 차단판 겸 긁기판의 단면 사시도와 사시도 이며,
도11과 도12와 도 13은 본 발명 각각의 실시 예에 적용되는 소독액 분사통의 개략적인 사시도 이고 ,도15에서 도 36까지는 본 발명 각각의 실시 예를 변경하여 적용 할수 있는 다기능 소독기의 형상을 예시한 사시도 이다.
본 발명 제1 실시 예에 따라 구성되는 다기능 소독기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사람이나 동물의 주요 호흡기관인 목구멍 속과 목 젓과 콧속을 소독하여 주기 위한 다기능 소독기에 관한 발명으로서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분사기구 즉 소독액 분사기의 분출구에 분사구(36)를 구성하여 콧속에 서식하는 세균들을 소독하여주기 위한 다기능 소독기에 관한 발명이다.
연질의 플라스틱 소재 또는 고무재질 또는 실리콘 소재를 이용하여 원형 또는 뭉툭한 형태로 구성되는 액체 통에 구성되는 분사노즐에 소독액 분사파이프를 결합하여 콧속 또는 목젓 속에 서식하는 세균을 소독하는 다기능 소독기에 관한 발명으로서 ;
분사파이프(69)의 하단부는 소독액이 담기는 분사통(69)에 구성되는 분사노즐(55)과 착탈이 용이하면서 소독액의 용이하게 통과하도록 상단부와 하단부를 관통하도록 분사파이프(69)를 구성함과 함께;
상기 분사파이프(69)의 상단부 일측에는 1개의 분사구 캡 기둥(35)을 구성함과 함께;
상기 분사구 캡기둥(35)의 상단부에는 목 젓 또는 콧속에 서식하는 세균들과 이물질들을 용이하게 소독하여 줌과 함께 소독액이 목구멍 속 또는 콧속의 상단부로 솟구치지 못함과 동시에 가로 방향으로만 분사하도록 소독액 분출구 차단판 겸 긁기판(33)을 원형으로 구성하여 가로 방향으로만 소독액을 분사하도록 구성하는 다기능 소독기를 특징으로 하는 사람이나 동물의 콧속을 청결하게 소독하여주는 다기능 소독기를 제시한다.
소독액 분출구 차단판 겸 긁기판(33)의 상단부 형상은 사각이나 육각형 또는 팔각형등으로 다양하게 변경하여 구성할 수가 있으나 원형의 형태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소독액 분출구 차단판 겸 긁기판(33)을 지지하여주는 기둥(35)의 갯수를 추가하여 구성하는 것 또한 본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이러한 예를 도시하는 이유는 콧속을 소독하거나 목구멍 속의 목 젓을 소독액으로 소독할 때에 분출되는 소독액이 목구멍 속으로 유입되지 못함과 동시에 콧속의 상단부를 통하여 기도로 소독액이 유입되지 못하도록 가로방향으로만 소독액을 분사하여 주도록 구비되는 소독액 분출구(36)를의 모양을 구성한 것이 도1의 사시도 이다.
즉 소독액이 목구멍 속으로 유입되지 못하게 하거나 콧속으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다양한 형태로 소독액 분출구(36)의 모양을 구성할 수가 있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예시도 임으로 다른 모방업자가 만드는 다기능 소독기에 구성되는 소독액 분출구(36)의 모양을 다르게 구성한 것 모두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임으로 권리범위 확인 심판 없이 그 즉시 처벌받아야 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다음은 본 발명 제2의 실시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 제2의 실시 예에 의해 구성되는 다기능 소독기의 상단부에 구성되는 분사구 캡의 사시도 이며,도11과 도12와 도 13은 본 발명 각각의 실시 예에 적용되는 소독액 분사통의 개략적인 사시도 이고, 도15에서 도 36까지는 본 발명 각각의 실시 예를 변경하여 적용 할수 있는
다기능 소독기의 형상을 예시한 사시도 이다.
소독액 분사구(36)에서 분사되는 소독액이 콧속의 상부 방향으로 분출되지 못하도록 작용하는 분사구 캡(34)의 재질은 플라스틱 재질 또는 고무재질 또는 실리콘 소재를 이용하여 콧에 형성되는 딱정이 등을 용이하게 긁어 낼 수 있도록 원형의 바가지 형태로 구성함과 함께;
분사파이프(69)의 상단부에 구성되는 상기 분사구(36)의 일측에 분사구 캡 기둥(35)을 구성한 후 상기 분사캡 기둥(35)에 상기 분사구 캡(34)을 결합하여 가로 방향으로만 분사되도록 상기 분사 파이프(69)의 구조를 구성함과 함께;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상기 분사파이프(69)를 소독액이 담기는 분사통(65)의 상단에 구성되는 분사노즐(55)에 착탈식으로 연결하여 가로 방향으로만 소독액을 분사하도록 구성하는 소독액 분사구(36)를 특징으로 하는 사람이나 동물의 콧속을 청결하게 소독하여주는 다기능 소독기를 제시한다.
분사구(36)에서 분사되는 소독액이 콧속으로 분출되지 못하도록 작용하는 분사구 캡(34)의 재질은 플라스틱 재질 또는 고무재질 또는 실리콘 소재를 이용하거나 또다른 재료를 이용하여 구성할수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이론을 이용하여 다기능 소독기를 구성하는데 필요한 모든 재료들은 지구상에 존재하는 모든 재료들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가 있기 때문에 특정한 재료에 한정하지 않는다.
분사구 캡(34)을 원형의 바가지 형태로 구성하여 주는 것은 콧에 형성되는 딱정이 등을 용이하게 긁어 내기 위해서 이다.
분사구 캡(34)과 분사구 (36)가 구비되는 분사파이프(69)는 통상적으로 구성되어 사용되고 있는 소독액 분사통(65)의 분사노즐(55)에 착탈식으로 결합되어 사용된다.
소독액 분사통(65)은 통상적으로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기 때문에 상세한 구조는 다양하게 변경하여 구성할 수가 있기 때문에 상세한 구조에 대한 도시를 생략하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략적인 도면만 제시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분사구 캡(34)과 분사구 (36)가 구비되는 분사파이프(69)는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소독액 분사통(65)의 분사노즐(55)에 끼워지거나 착탈이 용이하도록 결합하여 사람이나 동물의 목 젓 또는 콧속에 서식하는 세균들과 이물질들을 용이하게 소독하여 주도록 가로 방향으로만 분출되는 작용에 의해 콧속과 연결되어 있는 뇌와 귀 그리고 눈의 신경세포에 소독액이 전달되지 못함으로 인해 안정적인 상태에서 콧속에 서식하는 세균들을 용이하게 소독하여주는 작용효과가 있다.
다음은 본 발명 제3의 실시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 제3의 실시 예에 의해 구성되는 다기능 소독기에 적용되는 조립식 착탈용 분사구 캡의 사시도 이며 ,도11과 도12와 도 13은 본 발명 각각의 실시 예에 적용되는 소독액 분사통의 개략적인 사시도 이고 ,도15에서 도 36까지는 본 발명 각각의 실시 예를 변경하여 적용 할수 있는 다기능 소독기의 형상을 예시한 사시도 이다.
분사구(36)에서 분사되는 소독액이 콧속의 상부 방향으로 분출되지 못하도록 작용함과 동시에 소독액이 담기는 분사통(65)의 분사노즐(55)과 착탈이 용이하도록 구비되는 조립식 착탈용 분사구 캡(58)의 재질은 플라스틱 재질 또는 고무재질 또는 실리콘 소재를 이용하여 구성하거나 이와 비슷한 재료로 구성함과 함께;
상기 조립식 착탈용 분사구 캡(58)의 하단부에는 콧속으로 상기 조립식 착탈용 분사구 캡(58)이 깊숙이 삽입되지 못하도록 원주형의 테두리(58)를 구성함과 함께;
상기 조립식 착탈용 분사구 캡(58)을 소독액이 담기는 상기 분사통(65)의 상단에 구성되는 상기 분사노즐(55)에 착탈식으로 결합하여 콧속에 서식하는 균을 소독하거나 콧속을 청결하게 소독하여 주도록 작용하는 조립식 착탈용 분사구 캡(58)을 특징으로 하는 사람이나 동물의 콧속을 청결하게 소독하여주는 다기능 소독기를 제공한다.
분사구 캡(34)과 분사구 (36)가 구비되는 분사파이프(69)는 통상적으로 구성되어 사용되고 있는 소독액 분사통(65)의 분사노즐(55)에 착탈식으로 결합되어 사용된다.
다음은 본 발명 제4의 실시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 제4의 실시 예에 의해 구성되는 다기능 소독기에 적용되는 조립식 착탈용 분사구의 사시도 이고,도11과 도12와 도 13은 본 발명 각각의 실시 예에 적용되는 소독액 분사통의 개략적인 사시도 이며,도15에서 도 36까지는 본 발명 각각의 실시 예를 변경하여 적용 할수 있는 다기능 소독기의 형상을 예시한 사시도 이다.
비닐계열 또는 프라스틱 계열의 재료 또는 고무재질 또는 실리콘 소재를 이용하여 가공되는 부르기 생산 공법 또는 사출공법으로 만들어지는 분사 파이프(69)의 상단부는 거꾸로 유자 형태 즉 ∩자 형태로 분사구캡 (88)을 구성하고 상기 분사파이프(69)의 하단부는 하단부는 통공 되어 소독액 분사통(65)에 구성되는 분사노즐(55)과 착탈이 용이하도록 상기 분사파이프(69)를 구성함과 함께;
상기 분사파이프(69)의 상단부 즉 봉우리(88)하단부 일측과 타측을 관통하여 가로방향으로만 분사되도록 다수개의 소독액 분사구(36)를 구성함과 함께;
이상과 같이 과정을 통하여 만들어지는 상기 분사 파이프(69)를
소독액이 담기는 상기 분사통(65)의 상단에 구성되는 상기 분사노즐(55)에 착탈식으로 결합하여 사람이나 동물의 콧속에 서식하는 균을 소독하거나 콧속을 청결하게 소독하여 주면서 가로방향으로만 소독액이 분사되도록 작용하는 조립식 착탈용 소독액 분사구(36)을 구비하는 다기능 소독기를 특징으로 하는 사람이나 동물의 콧속을 청결하게 소독하여주는 다기능 소독기를 제시한다.
다음은 본 발명 제5의 실시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 제5의 실시 예에 의해 구성되는 다기능 소독기에 적용되는 조립식 착탈용 분사구의 사시도이며,도11과 도12와 도 13은 본 발명 각각의 실시 예에 적용되는 소독액 분사통의 개략적인 사시도 이고 ,도15에서 도 36까지는 본 발명 각각의 실시 예를 변경하여 적용 할수 있는 다기능 소독기의 형상을 예시한 사시도 이다.
비닐계열 또는 프라스틱 계열의 재료를 이용하여 가공되는 부르기 생산 공법 또는 사출공법으로 만들어지는 분사파이프(69)가 구비되고 상기 분사파이프(69)의 상단부 외주면 중간 중간에는 가로방향으로만 소독액을 분사하여 주도록 구비되는 다수개의 분사구(68)가 통공되어 구성되고
상기 분사파이프(69)의 끝단에는 방사형(*)의 좌대(66)를 구성하여 상기 분사 파이프(69)를 통하여 분출되는 소독액이 원할하게 분출되도록 소독액 분사구(362)를 구성함과 함께;
상기 좌대(66)의 중앙에는 긁기 겸용 분사구캡(342)의 기둥(352)을 구성한 후 상기 기둥(352)의 상부에는 긁기 겸용 분사구캡(342)을 삿갓의 형태로 구성함과 함께;
상기 분사파이프(69)의 외주면 주위 부분에는 원반형의 (◎) 형태로 다수개의 긁기 판(67)을 구성함과 함께;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상기 분사파이프(69)재질은 비닐 계열 및 플라스틱 재질 또는 고무재질 또는 실리콘 소재를 이용하여 구성하거나 이와 비슷한 재료로 구성되어
소독액이 담기는 분사통(65)의 상단에 구성되는 분사노즐(55)에 착탈식으로 결합하여 사람이나 동물의 콧속에 서식하는 균을 소독하거나 콧속을 콧물을 긁어 내어 청결하게 소독하여 주면서 가로방향으로만 소독액이 분사되도록 작용하는 조립식 착탈용 분사구(36)(362)을 구비하는 다기능 소독기를 특징으로 하는 사람이나 동물의 콧속을 청결하게 소독하여주는 다기능 소독기를 제시한다
다음은 본 발명 제6의 실시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 제6의 실시 예에 의해 구성되는 다기능 소독기에 적용되는 조립식 착탈용 분사구의 사시도 이며,도11과 도12와 도 13은 본 발명 각각의 실시 예에 적용되는 소독액 분사통의 개략적인 사시도 이고, 도15에서 도 36까지는 본 발명 각각의 실시 예를 변경하여 적용 할수 있는 다기능 소독기의 형상을 예시한 사시도 이다.
연질의 비닐계열제 또는 플라스틱 계열 또는 실리콘 계열 또는 고무계열의 재질로 구성되는 분사파이프(69)를 준비함과 함께;
준비된 상기 분사 파이프(36)의 상단부 끝단부 내부에 접착제를 칠한 후 압착기를 이용하여 압착하여 봉합부(101)를 구성함과 함께;
상기 압착 작업 과정을 마친후 분사되는 소독액이 가로방향으로만 분사되도록 상기 분사파이프(36)의 상단부에 다수개의 소독액 분사구(36)를 구성함과 함께;
가로방향으로만 분사되도록 구비되는 상기 소독액 분사구(36)가 구비되는 상기 분사파이프(69)를 소독액이 담기는 분사통(65)의 상단부에 구성되는 분사노즐(55)에 결합하여 콧속이나 목젓에 서식하는 세균들을 소독하는 다기능 소독기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사람이나 동물의 콧속을 청결하게 소독하여주는 다기능 소독기를 제시한다.
다음은 본 발명 제7의 실시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 제7의 실시 예에 의해 구성되는 다기능 소독기에 적용되는 조립식 착탈용 분사구의 사시도 이며,도11과 도12와 도 13은 본 발명 각각의 실시 예에 적용되는 소독액 분사통의 개략적인 사시도 이며 , 도15에서 도 36까지는 본 발명 각각의 실시 예를 변경하여 적용 할수 있는 다기능 소독기의 형상을 예시한 사시도 이다.
연질의 비닐계열제 또는 플라스틱 계열 또는 실리콘 계열 또는 고무계열의 재질로 구성되는 분사파이프(69)를 준비함과 함께;
준비된 상기 분사 파이프(36)의 상단부 끝단부 내부에 접착제 칠한 후 봉합제(100)로 메꾸어서 봉합함과 함께;
상기 분사파이프(36)의 상단부를 다수개 타공하여 분사되는 소독액이 가로방향으로만 분사되도록 소독액 분사구(36)를 구성함과 함께;
가로방향으로만 분사되도록 구비되는 상기 소독액 분사구(36)가 구비되는 상기 분사파이프(69)를 소독액이 담기는 분사통(65)의 상단부에 구성되는 분사노즐(55)에 결합하여 콧속이나 목젓에 서식하는 세균들을 소독하는 다기능 소독기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사람이나 동물의 콧속을 청결하게 소독하여주는 다기능 소독기를 제시한다.
다음은 본 발명 제8의 실시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 제8의 실시 예에 의해 구성되는 다기능 소독기에 적용되는 조립식 착탈용 분사구의 사시도 이며,도11과 도12와 도 13은 본 발명 각각의 실시 예에 적용되는 소독액 분사통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15에서 도 36까지는 본 발명 각각의 실시 예를 변경하여 적용 할수 있는 다기능 소독기의 형상을 예시한 사시도 이다.
가로방향으로만 소독액을 분사하여주는 소독액 분사구(361)가 구비되는 분사파이프(691)를 연질의 비닐계열제 또는 플라스틱 계열 또는 실리콘 계열 또는 고무계열의 재료로 준비함과 함께;
상기 분사파이프(691)의 상단부 끝단부에 가로방향( \)으로 분사구 캡 기둥(351)을 1개를 구성하고 상기 분사구캡기둥(351)의 상단부에 삿갓 형태로 분사구캡 겸 긁기판(341)을 구성함과 함께;
이상과 같이 가로방향으로만 분사되도록 구비되는 상기 소독액 분사구(361)가 구비되는 상기 분사파이프(691)를 소독액이 담기는 분사통(65)의 상단부에 구성되는 분사노즐(55)에 결합하여 콧속이나 목젓에 서식하는 세균들을 소독하는 다기능 소독기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사람이나 동물의 콧속을 청결하게 소독하여주는 다기능 소독기를 제시한다.
다음은 본 발명 제 9의 실시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9는 본 발명 제9의 실시 예에 의해 구성되는 다기능 소독기에 적용되는 조립식 착탈용 분사구의 사시도 이며, 도11과 도12와 도 13은 본 발명 각각의 실시 예에 적용되는 소독액 분사통의 개략적인 사시도 이고, 도15에서 도 36까지는 본 발명 각각의 실시 예를 변경하여 적용 할수 있는 다기능 소독기의 형상을 예시한 사시도 이다.
.
상기 분사파이프(69)의 외주면 에는 가로 방향으로만 소독액이 분출되도록 다수개의 소독액 분사구(36)를 가로 방향으로 구성함과 함께;
상기 분사파이프(69)의 외주면 주위 부분에는 원반형의 (◎) 형태로 다수개의 긁기 판(22)을 구성함과 함께;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상기 분사파이프(69)재질은 비닐 계열 및 플라스틱 재질 또는 고무재질 또는 실리콘 소재를 이용하여 구성하거나 이와 비슷한 재료로 구성되어
소독액이 담기는 분사통(65)의 상단에 구성되는 분사노즐(55)에 착탈식으로 결합하여 사람이나 동물의 콧속에 서식하는 균을 소독하거나 콧속을 콧물을 긁어 내어 청결하게 소독하여 주면서 가로방향으로만 소독액이 분사되도록 작용하는 조립식 착탈용 분사구(36)를 구비하는 다기능 소독기를 특징으로 하는 사람이나 동물의 콧속 또는 항문 또는 여성의 성기 속을 청결하게 소독하여주는 다기능 소독기를 구성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다음은 본 발명 제 10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10은 본 발명 제10의 실시 예에 의해 구성되는 다기능 소독기에 적용되는 조립식 착탈용 분사구의 사시도 이며, 도11과 도12와 도 13은 본 발명 각각의 실시 예에 적용되는 소독액 분사통의 개략적인 사시도 이고 ,도15에서 도 36까지는 본 발명 각각의 실시 예를 변경하여 적용 할수 있는 다기능 소독기의 형상을 예시한 사시도 이다.
상기 분사파이프(69)를 통하여 분사되는 소독액이 가로 방향으로만 분사 되도록 원형파이프 형태로 구성되는 분사파이프(69)의 상단에 분사구 캡(99)을 ∩ 자 형태로 구성하여 줌과 함께;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상기 분사파이프(69)재질은 비닐 계열 및 플라스틱 재질 또는 고무재질 또는 실리콘 소재를 이용하여 구성하거나 이와 비슷한 재료로 구성되어
소독액이 담기는 분사통(65)의 상단에 구성되는 분사노즐(55)에 착탈식으로 결합하여 사람이나 동물의 콧속에 서식하는 균을 소독하거나 콧속을 콧물을 긁어 내어 청결하게 소독하여 주면서 가로방향으로만 소독액이 분사되도록 작용하는 조립식 착탈용 분사구(36)를 구비하는 다기능 소독기를 특징으로 하는 사람이나 동물의 콧속 또는 항문 또는 여성의 성기 속을 청결하게 소독하여주는 다기능 소독기를 제시한다.
다음은 본 발명 제 11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13은 본 발명 제11의 실시 예에 의해 구성되는 다기능 소독기에 적용되는 액체 분사통과 조립식 착탈용 분사구의 사시도 이며, 도11과 도12는 본 발명 각각의 실시 예에 적용되는 소독액 분사통의 개략적인 사시도 이고 ,도15에서 도 36까지는 본 발명 각각의 실시 예를 변경하여 적용 할수 있는 다기능 소독기의 형상을 예시한 사시도 이다.
누름 버튼(66)이 구비되는 상기 소독액 분사통(65)에 이중으로 구성되는 연결 파이프(62)를 끼울 수 있도록 연결 파이프 끼움구(68)를 구성함과 함께;
상기 연결파이프(62)를 상기 연결 파이프 끼움구(68)에 끼워서 결합함과 함께;
상기 연결파이프(62)의 끝단부에 가로방향으로만 소독액이 분사되도록 구성된 소독액 분사구(36)가 구비된 이중 분사파이프(64)를 끼워서 구성되는 사람이나 동물의 콧속에 서식하는 균을 소독하여 주면서 가로방향으로만 소독액이 분사되도록 작용하는 조립식 착탈용 분사구(36)를 구비하는 다기능 소독기를 특징으로 하는 사람이나 동물의 콧속 또는 항문 또는 여성의 성기 속을 청결하게 소독하여주는 다기능 소독기를 제시한다.
다음은 본 발명 제 12의 실시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14는 본 발명 제12의 실시 예에 의해 구성되는 다기능 소독기에 적용되는 액체 분사통과 조립식 착탈용 분사구의 사시도 이고 ,도15에서 도 36까지는 본 발명 각각의 실시 예를 변경하여 적용 할수 있는 다기능 소독기의 형상을 예시한 사시도 이다.
누름 버튼(66)이 구비되는 상기 소독액 분사통(65)에 이중으로 구성되는 연결 파이프 끼움구(68)를 구성함과 함께;
상기 연결 파이프 끼움구(68)에 중간에 자바라(101)가 구비되고 끝단은 봉합되고 끝단 하단부에 가로 방향으로만 분사되도록 소독액 분사구(36)가 구비되어 있는 구부러지는 분사파이프(100)를 상기 연결 파이프 끼움구(68)에 결합하여 구성되는 사람이나 동물의 콧속에 서식하는 균을 소독하여 주면서 가로방향으로만 소독액이 분사되도록 작용하는 조립식 착탈용 소독액 분사구(36)를 구비하는 다기능 소독기를 특징으로 하는 사람이나 동물의 콧속 또는 항문 또는 여성의 성기 속을 청결하게 소독하여주는 다기능 소독기를 제시한다.
즉 소독액이 분사되는 분사 파이프(100)의 중간부 일단부에 자유자재로 구부러지도록 구성되는 자바라(101)를 구성하여 주어 소독액을 콧속에 분사할 때에 분사되는 소독액의 분사 방향을 사용자가 자유자재로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소독액 분사파이프(100)를 구성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 제12의 실시 예에 구성되는 자바라식 분사파이프의 끝단부에 구성되는 분사구의 형태는 본 발명에서 제세하는 다양한 형태의 분사구를 응용하면 얼마든지 변경 구성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러한 변경된 방법들 모두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다음은 본 발명 제 13의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7은 본 발명 제 13의 실시 예에 적용되는 소독액 분사구의 사시도 이다.
비닐계열 또는 프라스틱 계열의 재료를 이용하여 가공되는 부르기 생산 공법 또는 사출공법으로 만들어지는 분사파이프(69)가 구비되고 상기 분사파이프(69)의 상단부 끝단부에는 방사형(*)의 좌대(66)를 구성함과 함께;
상기 좌대(66)의 중앙에는 긁기 겸용 분사구캡(342)의 기둥(352)을 구성한 후 상기 기둥(352)의 상부에는 긁기 겸용 분사구캡(342)을 거꾸로 ∩자 형태로 구성하여 역방향으로만 분출되도록 구비되는 소독액 분출구(36)를 구성함과 함과 함께;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상기 분사파이프(69)재질은 비닐 계열 및 플라스틱 재질 또는 고무재질 또는 실리콘 소재를 이용하여 구성하거나 이와 비슷한 재료로 구성되어
소독액이 담기는 분사통(65)의 상단에 구성되는 분사노즐(55)에 착탈식으로 결합하여 사람이나 동물의 콧속에 서식하는 균을 소독하거나 콧속을 콧물을 긁어 내어 청결하게 소독하여 주면서 역방향으로만 소독액이 분사되도록 작용하는 조립식 착탈용 분사구(36)를 구비하는 다기능 소독기를 특징으로 하는 사람이나 동물의 콧속 또는 항문 또는 여성의 성기 속을 청결하게 소독하여주는 다기능 소독기를 제시한다.
다음은 본 발명 제 14의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8은 본 발명 제 14의 실시 예에 적용되는 소독액 분사구의 사시도 이다.
비닐계열 또는 프라스틱 계열의 재료를 이용하여 가공되는 부르기 생산 공법 또는 사출공법으로 만들어지는 분사파이프(69)가 구비되고 상기 분사파이프(69)의 상단부 외주면 중간 중간에는 가로방향으로만 소독액을 분사하여 주도록 구비되는 다수개의 분사구(681)가 통공되어 구성되고
상기 분사파이프(69)의 끝단부 상단부에는 ∩자 형태로 분사구 캡(331) 겸용 소독액 분사구(36)가 구비됨과 함께;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상기 분사파이프(69)재질은 비닐 계열 및 플라스틱 재질 또는 고무재질 또는 실리콘 소재를 이용하여 구성하거나 이와 비슷한 재료로 구성되어
소독액이 담기는 분사통(65)의 상단에 구성되는 분사노즐(55)에 착탈식으로 결합하여 사람이나 동물의 콧속에 서식하는 균을 소독하거나 콧속을 콧물을 긁어 내어 청결하게 소독하여 주면서 역방향으로만 소독액이 분사되도록 작용하는 조립식 착탈용 분사구(36)를 구비하는 다기능 소독기를 특징으로 하는 사람이나 동물의 콧속 또는 항문 또는 여성의 성기 속을 청결하게 소독하여주는 다기능 소독기를 제시한다.
다음은 본 발명 제 15의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9는 본 발명 제 15의 실시 예에 적용되는 분사통과 소독액 분사구의 사시도 이며, 도 40은 본 발명 제 15의 실시 예에 적용되는 분사통과 결합 된 소독액 분사구에 뚜껑을 끼워놓은 사용상태도 이며,도 41은 본 발명 제 15의 실시 예에 적용되는 분사통과 결합 된 소독액 분사구에 뚜껑을 제거하여 사용하는 사용상태도 이다.
비닐계열 또는 프라스틱 계열의 재료를 이용하여 가공되는 부르기 생산 공법 또는 사출공법으로 만들어지는 분사통(65)과 분사파이프(300)가 일체의 몸체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분사파이프(69)의 상단부 외주면 에는 볼트(200)형태로 주름을 구성하여 별도로 구성되는 뚜껑(100)과 나사 형태로 결합 되도록 상기 분사통(65)의 상단부를 상기 분사통(65)과 일체형으로 구성함과 함께;
상기 분사파이프(300)의 상단부에는 가로방향으로만 소독액이 분사되도록 구성되는 소독액분사구(36)가 구비됨과 함께;
상기 소독액 분사구(36)를 이용하고자 할 때에 상기 분사파이프(300)의 상단부 외부면에 나사홈이 구성되어 있는 뚜껑(100)을 개방한 후 상기 소독액 분사구(36)를 이용하여 콧속을 소독 또는 청소하여주되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소독액 분사구(36)을 폐쇄하여 놓을 수 있도록 상기 뚜껑(100)이 구비되는
착탈식 상기 소독액 분사구(36)를 이용하여 사람이나 동물의 콧속에 서식하는 균을 소독하여주거나 콧속의 콧물을 긁어내어 청결하게 소독하여 주면서 가로방향으로만 소독액이 분사되도록 작용하는 착탈용 분사구(36)를 구비하는 다기능 소독기를 특징으로 하는 사람이나 동물의 콧속 또는 항문 또는 여성의 성기 속을 청결하게 소독하여 주는 다기능 소독기를 제시한다.
이상에서 제시한 각각의 발명에 대한 실시 예에 적용되는 소독액 분사통(65)은 통상적으로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제품에 소독액을 주입하여 사용하면 되기 때문에 소독액 분사통의 상세한 구조에 대한 상세한 도시를 생략하고 도11과 12와 13과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도면 만 제시하고 본 발명의 각각의 실시 예에 따라 변경하여 구성할수 있는 실시 예는 도 15에서 도 32까지를 예시적으로 도시 하므로 이러한 설계 변경들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또한 소독액을 분사하여주는 분사통의 구조는 분사통 속에 압축 공기 즉 질소와 과산화 수소와 같은 소독액과 혼합되는 산소나 수소 또는 식염수를 담은 후 눌름 압력식과 가스 압력식과 일반 압력분출식과 강제 압박식등으로 다양하게 변경하여 사용하여도 무방하기 때문이며 분사통에 압력을 발생시키는 압력재료로 쓰이는 물질은 공기를 압축한 질소와 산소와 부탄가스와 같은 재료를 이용하거나 물을 채워서 압력을 발생시키는 분무기와 같은 압력분사식등을 이용하면 본 발명의 효과를 발휘할 수가 있기 때문에 압력을 발산 시키는 분사통의 구조는 다양하게 변경하여 구성 할수가 있기 때문에 분사통의 구조를 변경하여 구성한 실시 예들은 당연히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
이상의 실시 예에서 제시한 분사구 캡(34) 또는 분사구 (36)가 구비되는 분사파이프(69)는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소독액 분사통(65)의 분사노즐(55)에 끼워지거나 착탈이 용이하도록 결합하여 사람이나 동물의 목 젓 또는 콧속에 서식하는 세균들과 이물질들을 용이하게 소독하여 주도록 가로 방향으로만 분출되는 소독액 분사구(36)의 구조로 구성된다.
그러나 소독액 분사의 형태는 원하기만 하면 어떠한 형태로도 변경 구성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러한 설계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임으로 모방품 생산자는 그 즉시 처벌받아야 하는 것은 당연한 것임으로 사법기관에서는 그러한 모방자들을 그 즉시 체포하여 구속해야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다기능 소독기는 콧속으로 분사되는 소독액이 콧속의 상단부를 통과 한 후 뇌와 연결되는 호흡 통로를 통하여 뇌의 조직까지 소독액이 도달하지 못하도록 작용하는 효과에 의해 뇌수막염과 같은 질병으로부터 안전한 보호를 받으면서 콧속에 서식하는 세균들을 안전하게 소독하여 주는 작용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소독액 분사구를 구성하는 방법은 공지되어 사용되고 있는 방법을 사용하거나 새로운 아이디어를 창안하여 사용하여도 구성이 가능함으로 상세한 생산방법을 제시하지 않는다 그 이유는 매우 다양하게 변경 구성이 가능하기 때문에 상세한 구성방법을 제시하지 않는 것이다.
즉 분사파이프에 통공을 구성하여 그 통공을 통하여 소독액이 가로 방향으로만 분사되거나 대각선 방향으로만 분사하도록 분사구를 구성하는 방법은 매우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기 때문에 제시하지 않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을 모방하는 모방업자가 대각선 방향이나 가로 방향으로 소독액이 분사되도록 분사구를 구성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다기능 소독기를 만들어내는 모방 업자들은 그 즉시 구속되어야 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각각의 실시 예에 따라 구성되는 소독액 분사파이프를 이용하여 동물의 항문이나 콧속을 소독하여주거나 또는 여성의 성기 내부를 청소 또는 소독하여 주거나 사람의 항문을 청소 또는 소독하여주는 방법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포함됨으로 이러한 행위 자체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다음은 본 발명 각각의 실시 예에 적용되는 소독액 비율을 제시한다.
공기를 압축하여 만든 질소 20wt%~40wt%와 과산화 수소 10~30wt% 산소 30~50wt% 식염수 10~30wt% 정제수20~40%wt%를 혼합한 후 밀폐된 용기에 투입하여 코속 소독액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다기능 소독기용 소독액의 합성 비율을 제시한다.
또다른 합성 비율은 질소10wt%~50wt%와 과산화 수소10~20wt%,산소 20~40wt% 알콜10~20wt%,정제수30~50wt% 염소 또는 크로로칼키 5~10wt%, 식염수10~20wt%를 혼합한 후 밀폐용기에 투입하여 코속 소독액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다기능 소독기용 소독액의 합성 비율을 제시한다.
산소대신에 수소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각각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소독액 분사파이프가 구비되는 소독액 분사구는 가정용이나 영업이나 직장용으로 사용되는 수도 꼭지 또는 샤워기에 결합하여 콧속에 서식하는 균을 소독하거나 콧속을 콧물을 긁어 내어 청결하게 소독하여 주도록 작용하는 조립식 착탈용 분사구(36)을 구비하는 다기능 소독기를 특징으로 하는 사람이나 동물의 콧속을 청결하게 소독하여주는 다기능 소독기를 제공한다.
33.차단판 겸 코속 글기판 22.긁기판 34. 분사구 캡 36.분사구 55. 분사노즐 62. 연결파이프 .63. 이중 분사구 64. 이중 분사파이프 65. 분사통 66. 누름 버튼 67. 긁기판 68. 연결 파이프 끼움구 69. 분사파이프 77. 누름 버튼 88, 99.분사구 캡 100.구부러지는 분사파이프 101.자바라

Claims (18)

  1. 연질의 플라스틱 소재 또는 고무재질 또는 실리콘 소재를 이용하여 원형 또는 뭉툭한 형태로 구성되는 액체 통과 액체 통 꼭지를 이용한 다기능 소독기에 있어서;

    분사파이프(69)의 하단부는 소독액이 담기는 분사통(69)에 구성되는 분사노즐(55)과 착탈이 용이하면서 소독액의 용이하게 통과하도록 상단부와 하단부를 관통하도록 분사파이프(69)를 구성함과 함께;
    상기 분사파이프(69)의 상단부 일측에는 1개의 분사구 캡 기둥(35)을 구성함과 함께;
    상기 분사구 캡기둥(35)의 상단부에는 목 젓 또는 콧속에 서식하는 세균들과 이물질들을 용이하게 소독하여 줌과 함께 소독액이 목구멍 속 또는 콧속의 상단부로 솟구치지 못함과 동시에 가로 방향으로만 분사하도록 소독액 분출구 캡(33)을 원형으로 구성하여 가로 방향으로만 소독액을 분사하도록 구성하는 다기능 소독기를 특징으로 하는 사람이나 동물의 콧속 또는 항문 또는 여성의 성기 속을 청결하게 소독하여주는 다기능 소독기

  2. 소독액 분사구(36)에서 분사되는 소독액이 콧속의 상부 방향으로 분출되지 못하도록 작용하는 분사구 캡(34)의 재질은 플라스틱 재질 또는 고무재질 또는 실리콘 소재를 이용하여 콧에 형성되는 딱정이 등을 용이하게 긁어 낼 수 있도록 원형의 바가지 형태로 구성함과 함께;
    분사파이프(69)의 상단부에 구성되는 상기 분사구(36)의 일측에 분사구 캡 기둥(35)을 구성한 후 상기 분사캡 기둥(35)에 상기 분사구 캡(34)을 결합하여 가로 방향으로만 분사되도록 상기 분사 파이프(69)의 구조를 구성함과 함께;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상기 분사파이프(69)를 소독액이 담기는 분사통(65)의 상단에 구성되는 분사노즐(55)에 착탈식으로 연결하여 가로 방향으로만 소독액을 분사하도록 구성하는 소독액 분사구(36)를 특징으로 하는 사람이나 동물의 콧속 또는 항문 또는 여성의 성기 속을 청결하게 소독하여주는 다기능 소독기


  3. 분사구(36)에서 분사되는 소독액이 콧속의 상부 방향으로 분출되지 못하도록 작용함과 동시에 소독액이 담기는 분사통(65)의 분사노즐(55)과 착탈이 용이하도록 구비되는 조립식 착탈용 분사구 캡(58)의 재질은 플라스틱 재질 또는 고무재질 또는 실리콘 소재를 이용하여 구성하거나 이와 비슷한 재료로 구성함과 함께;
    상기 조립식 착탈용 분사구 캡(58)의 하단부에는 콧속으로 상기 조립식 착탈용 분사구 캡(58)이 깊숙이 삽입되지 못하도록 원주형의 테두리(58)를 구성됨과 함께;

    상기 조립식 착탈용 분사구 캡(58)을 소독액이 담기는 상기 분사통(65)의 상단에 구성되는 상기 분사노즐(55)에 착탈식으로 결합하여 콧속에 서식하는 균을 소독하거나 콧속을 청결하게 소독하여 주면서 가로방향으로만 소독액이 분사되도록 작용하는 조립식 착탈용 분사구 캡(58)을 특징으로 하는 사람이나 동물의 콧속 또는 항문 또는 여성의 성기 속을 청결하게 소독하여주는 다기능 소독기

  4. 비닐계열 또는 프라스틱 계열의 재료 또는 고무재질 또는 실리콘 소재를 이용하여 가공되는 부르기 생산 공법 또는 사출공법으로 만들어지는 분사 파이프(69)의 상단부는 거꾸로 유자 형태 즉 ∩자 형태로 분사구캡 (88)을 구성하고 상기 분사파이프(69)의 하단부는 하단부는 통공 되어 소독액 분사통(65)에 구성되는 분사노즐(55)과 착탈이 용이하도록 상기 분사파이프(69)를 구성함과 함께;
    상기 분사파이프(69)의 상단부 즉 봉우리(88)하단부 일측과 타측을 관통하여 가로방향으로만 분사되도록 다수개의 소독액 분사구(36)를 구성함과 함께;
    이상과 같이 과정을 통하여 만들어지는 상기 분사 파이프(69)를
    소독액이 담기는 상기 분사통(65)의 상단에 구성되는 상기 분사노즐(55)에 착탈식으로 결합하여 사람이나 동물의 콧속에 서식하는 균을 소독하거나 콧속을 청결하게 소독하여 주면서 가로방향으로만 소독액이 분사되도록 작용하는 조립식 착탈용 소독액 분사구(36)을 구비하는 다기능 소독기를 특징으로 하는 사람이나 동물의 콧속 또는 항문 또는 여성의 성기 속을 청결하게 소독하여주는 다기능 소독기
  5. 비닐계열 또는 프라스틱 계열의 재료를 이용하여 가공되는 부르기 생산 공법 또는 사출공법으로 만들어지는 분사파이프(69)가 구비되고 상기 분사파이프(69)의 상단부 외주면 중간 중간에는 가로방향으로만 소독액을 분사하여 주도록 구비되는 다수개의 분사구(68)가 통공되어 구성되고
    상기 분사파이프(69)의 끝단에는 방사형(*)의 좌대(66)를 구성하여 상기 분사 파이프(69)를 통하여 분출되는 소독액이 원할하게 분출되도록 소독액 분사구(362)를 구성함과 함께;
    상기 좌대(66)의 중앙에는 긁기 겸용 분사구캡(342)의 기둥(352)을 구성한 후 상기 기둥(352)의 상부에는 긁기 겸용 분사구캡(342)을 삿갓의 형태로 구성함과 함께;

    상기 분사파이프(69)의 외주면 주위 부분에는 원반형의 (◎) 형태로 다수개의 긁기 판(67)을 구성함과 함께;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상기 분사파이프(69)재질은 비닐 계열 및 플라스틱 재질 또는 고무재질 또는 실리콘 소재를 이용하여 구성하거나 이와 비슷한 재료로 구성되어
    소독액이 담기는 분사통(65)의 상단에 구성되는 분사노즐(55)에 착탈식으로 결합하여 사람이나 동물의 콧속에 서식하는 균을 소독하거나 콧속을 콧물을 긁어 내어 청결하게 소독하여 주면서 가로방향으로만 소독액이 분사되도록 작용하는 조립식 착탈용 분사구(36)(362)을 구비하는 다기능 소독기를 특징으로 하는 사람이나 동물의 콧속 또는 항문 또는 여성의 성기 속을 청결하게 소독하여주는 다기능 소독기

  6. 연질의 비닐계열제 또는 플라스틱 계열 또는 실리콘 계열 또는 고무계열의 재질로 구성되는 분사파이프(69)를 준비함과 함께;
    준비된 상기 분사 파이프(36)의 상단부 끝단부 내부에 접착제를 칠한 후 압착기를 이용하여 압착하여 봉합부(101)를 구성함과 함께;
    상기 압착 작업 과정을 마친후 분사되는 소독액이 가로방향으로만 분사되도록 상기 분사파이프(36)의 상단부에 다수개의 소독액 분사구(36)를 구성함과 함께;
    가로방향으로만 분사되도록 구비되는 상기 소독액 분사구(36)가 구비되는 상기 분사파이프(69)를 소독액이 담기는 분사통(65)의 상단부에 구성되는 분사노즐(55)에 결합하여 콧속이나 목젓에 서식하는 세균들을 소독하는 다기능 소독기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사람이나 동물의 콧속 또는 항문 또는 여성의 성기 속을 청결하게 소독하여주는 다기능 소독기

  7. 연질의 비닐계열제 또는 플라스틱 계열 또는 실리콘 계열 또는 고무계열의 재질로 구성되는 분사파이프(69)를 준비함과 함께;
    준비된 상기 분사 파이프(36)의 상단부 끝단부 내부에 접착제 칠한 후 봉합제(100)로 메꾸어서 봉합함과 함께;
    상기 분사파이프(36)의 상단부를 다수개 타공하여 분사되는 소독액이 가로방향으로만 분사되도록 소독액 분사구(36)를 구성함과 함께;

    가로방향으로만 분사되도록 구비되는 상기 소독액 분사구(36)가 구비되는 상기 분사파이프(69)를 소독액이 담기는 분사통(65)의 상단부에 구성되는 분사노즐(55)에 결합하여 콧속이나 목젓에 서식하는 세균들을 소독하는 다기능 소독기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사람이나 동물의 콧속 또는 항문 또는 여성의 성기 속을 청결하게 소독하여주는 다기능 소독기


  8. 가로방향으로만 소독액을 분사하여주는 소독액 분사구(361)가 구비되는 분사파이프(691)를 연질의 비닐계열제 또는 플라스틱 계열 또는 실리콘 계열 또는 고무계열의 재료로 준비함과 함께;

    상기 분사파이프(691)의 상단부 끝단부에 가로방향( \)으로 분사구 캡 기둥(351)을 1개를 구성하고 상기 분사구캡기둥(351)의 상단부에 삿갓 형태로 분사구캡 겸 긁기판(341)을 구성함과 함께;

    이상과 같이 가로방향으로만 분사되도록 구비되는 상기 소독액 분사구(361)가 구비되는 상기 분사파이프(691)를 소독액이 담기는 분사통(65)의 상단부에 구성되는 분사노즐(55)에 결합하여 콧속이나 목젓에 서식하는 세균들을 소독하는 다기능 소독기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사람이나 동물의 콧속 또는 항문 또는 여성의 성기 속을 청결하게 소독하여주는 다기능 소독기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파이프(69)의 외주면 에는 가로 방향으로만 소독액이 분출되도록 다수개의 소독액 분사구(36)를 가로 방향으로 구성함과 함께;

    상기 분사파이프(69)의 외주면 주위 부분에는 원반형의 (◎) 형태로 다수개의 긁기 판(22)을 구성함과 함께;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상기 분사파이프(69)재질은 비닐 계열 및 플라스틱 재질 또는 고무재질 또는 실리콘 소재를 이용하여 구성하거나 이와 비슷한 재료로 구성되어
    소독액이 담기는 분사통(65)의 상단에 구성되는 분사노즐(55)에 착탈식으로 결합하여 사람이나 동물의 콧속에 서식하는 균을 소독하거나 콧속을 콧물을 긁어 내어 청결하게 소독하여 주면서 가로방향으로만 소독액이 분사되도록 작용하는 조립식 착탈용 분사구(36)를 구비하는 다기능 소독기를 특징으로 하는 사람이나 동물의 콧속 또는 항문 또는 여성의 성기 속을 청결하게 소독하여주는 다기능 소독기

  10. 상기 분사파이프(69)를 통하여 분사되는 소독액이 가로 방향으로만 분사 되도록 원형파이프 형태로 구성되는 분사파이프(69)의 상단에 분사구 캡(99)을 ∩ 자 형태로 구성하여 줌과 함께;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상기 분사파이프(69)재질은 비닐 계열 및 플라스틱 재질 또는 고무재질 또는 실리콘 소재를 이용하여 구성하거나 이와 비슷한 재료로 구성되어
    소독액이 담기는 분사통(65)의 상단에 구성되는 분사노즐(55)에 착탈식으로 결합하여 사람이나 동물의 콧속에 서식하는 균을 소독하거나 콧속을 콧물을 긁어 내어 청결하게 소독하여 주면서 가로방향으로만 소독액이 분사되도록 작용하는 조립식 착탈용 분사구(36)를 구비하는 다기능 소독기를 특징으로 하는 사람이나 동물의 콧속 또는 항문 또는 여성의 성기 속을 청결하게 소독하여주는 다기능 소독기

  11. 누름 버튼(66)이 구비되는 상기 소독액 분사통(65)에 이중으로 구성되는 연결 파이프(62)를 끼울 수 있도록 연결 파이프 끼움구(68)를 구성함과 함께;
    상기 연결파이프(62)를 상기 연결 파이프 끼움구(68)에 끼워서 결합함과 함께;
    상기 연결파이프(62)의 끝단부에 가로방향으로만 소독액이 분사되도록 구성된 소독액 분사구(36)가 구비된 이중 분사파이프(64)를 끼워서 구성되는 사람이나 동물의 콧속에 서식하는 균을 소독하여 주면서 가로방향으로만 소독액이 분사되도록 작용하는 조립식 착탈용 분사구(36)를 구비하는 다기능 소독기를 특징으로 하는 사람이나 동물의 콧속 또는 항문 또는 여성의 성기 속을 청결하게 소독하여주는 다기능 소독기
  12. 누름 버튼(66)이 구비되는 상기 소독액 분사통(65)에 이중으로 구성되는 연결 파이프 끼움구(68)를 구성함과 함께;
    상기 연결 파이프 끼움구(68)에 중간에 자바라(101)가 구비되고 끝단은 봉합되고 끝단 하단부에 가로 방향으로만 분사되도록 소독액 분사구(36)가 구비되어 있는 구부러지는 분사파이프(100)를 상기 연결 파이프 끼움구(68)에 결합하여 구성되는 사람이나 동물의 콧속에 서식하는 균을 소독하여 주면서 가로방향으로만 소독액이 분사되도록 작용하는 조립식 착탈용 소독액 분사구(36)를 구비하는 다기능 소독기를 특징으로 하는 사람이나 동물의 콧속 또는 항문 또는 여성의 성기 속을 청결하게 소독하여주는 다기능 소독기
  13. 1항~12항에 있어서
    각각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소독액 분사파이프를 가정용이나 영업이나 직장용으로 사용되는 수도 꼭지 또는 샤워기에 결합하여 콧속에 서식하는 균을 소독하거나 콧속에 생성되는 콧물을 긁어 내어 청결하게 소독하여 주면서 가로방향으로만 소독액이 분사되도록 작용하는 조립식 착탈용 분사구(36)을 구비하는 다기능 소독기를 특징으로 하는 사람이나 동물의 콧속 또는 항문 또는 여성의 성기 속을 청결하게 소독하여주는 다기능 소독기

  14. 과산화 수소1~5wt% 질소 20~50wt% 식염수 10~50wt% 정제수30~40%wt%를 혼합한 후 밀폐된 용기에 투입하여 콧속 소독액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소독기용 소독액
  15. 과산화 수소1~20wt%,산소 20~40wt% 알콜10~20wt%,정제수30~50wt% 염소 또는 크로로칼키 1~10wt%, 식염수10~20wt%를 혼합한 후 밀폐용기에 투입하여 콧속 소독액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다기능 소독기용 소독액

  16. 비닐계열 또는 프라스틱 계열의 재료를 이용하여 가공되는 부르기 생산 공법 또는 사출공법으로 만들어지는 분사파이프(69)가 구비되고 상기 분사파이프(69)의 상단부 끝단부에는 방사형(*)의 좌대(66)를 구성함과 함께;
    상기 좌대(66)의 중앙에는 긁기 겸용 분사구캡(342)의 기둥(352)을 구성한 후 상기 기둥(352)의 상부에는 긁기 겸용 분사구캡(342)을 거꾸로 ∩자 형태로 구성하여 역방향으로만 분출되도록 구비되는 소독액 분출구(36)를 구성함과 함과 함께;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상기 분사파이프(69)재질은 비닐 계열 및 플라스틱 재질 또는 고무재질 또는 실리콘 소재를 이용하여 구성하거나 이와 비슷한 재료로 구성되어
    소독액이 담기는 분사통(65)의 상단에 구성되는 분사노즐(55)에 착탈식으로 결합하여 사람이나 동물의 콧속에 서식하는 균을 소독하거나 콧속을 콧물을 긁어 내어 청결하게 소독하여 주면서 역방향으로만 소독액이 분사되도록 작용하는 조립식 착탈용 분사구(36)를 구비하는 다기능 소독기를 특징으로 하는 사람이나 동물의 콧속 또는 항문 또는 여성의 성기 속을 청결하게 소독하여주는 다기능 소독기

  17. 비닐계열 또는 프라스틱 계열의 재료를 이용하여 가공되는 부르기 생산 공법 또는 사출공법으로 만들어지는 분사파이프(69)가 구비되고 상기 분사파이프(69)의 상단부 외주면 중간 중간에는 가로방향으로만 소독액을 분사하여 주도록 구비되는 다수개의 분사구(681)가 통공되어 구성되고
    상기 분사파이프(69)의 끝단부 상단부에는 ∩자 형태로 분사구 캡(331) 겸용 역방향으로만 분사되도록 구성되는 소독액 분사구(36)를 구비함과 함께;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상기 분사파이프(69)재질은 비닐 계열 및 플라스틱 재질 또는 고무재질 또는 실리콘 소재를 이용하여 구성하거나 이와 비슷한 재료로 구성되어
    소독액이 담기는 분사통(65)의 상단에 구성되는 분사노즐(55)에 착탈식으로 결합하여 사람이나 동물의 콧속에 서식하는 균을 소독하거나 콧속을 콧물을 긁어 내어 청결하게 소독하여 주면서 역방향으로만 소독액이 분사되도록 작용하는 조립식 착탈용 분사구(36)를 구비하는 다기능 소독기를 특징으로 하는 사람이나 동물의 콧속 또는 항문 또는 여성의 성기 속을 청결하게 소독하여주는 다기능 소독기

  18. 비닐계열 또는 프라스틱 계열의 재료를 이용하여 가공되는 부르기 생산 공법 또는 사출공법으로 만들어지는 분사통(65)과 분사파이프(300)가 일체의 몸체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분사파이프(69)의 상단부 외주면 에는 볼트(200)형태로 주름을 구성하여 별도로 구성되는 뚜껑(100)과 나사 형태로 결합 되도록 상기 분사통(65)의 상단부를 상기 분사통(65)과 일체형으로 구성함과 함께;
    상기 분사파이프(300)의 상단부에는 가로방향으로만 소독액이 분사되도록 구성되는 소독액분사구(36)가 구비됨과 함께;
    상기 소독액 분사구(36)를 이용하고자 할 때에 상기 분사파이프(300)의 상단부 외부면에 나사홈이 구성되어 있는 뚜껑(100)을 개방한 후 상기 소독액 분사구(36)를 이용하여 콧속을 소독 또는 청소하여주되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소독액 분사구(36)을 폐쇄하여 놓을 수 있도록 상기 뚜껑(100)이 구비되는
    착탈식 상기 소독액 분사구(36)를 이용하여 사람이나 동물의 콧속에 서식하는 균을 소독하여주거나 콧속의 콧물을 긁어내어 청결하게 소독하여 주면서 가로방향으로만 소독액이 분사되도록 작용하는 착탈용 분사구(36)를 구비하는 다기능 소독기를 특징으로 하는 사람이나 동물의 콧속 또는 항문 또는 여성의 성기 속을 청결하게 소독하여 주는 다기능 소독기




KR1020110110843A 2011-08-26 2011-10-28 다기능 코 청소기와 여기에 적용되는 다기능 소독기용 소독액 KR2011013352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0843A KR20110133524A (ko) 2011-10-28 2011-10-28 다기능 코 청소기와 여기에 적용되는 다기능 소독기용 소독액
KR1020120011553A KR101333565B1 (ko) 2011-08-26 2012-02-06 사람이나 동물의 콧속 또는 항문 또는 여성의 성기 속을 청결하게 소독하여주는 다기능 소독기 및 여기에 적용되는 다기능 소독기용 소독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0843A KR20110133524A (ko) 2011-10-28 2011-10-28 다기능 코 청소기와 여기에 적용되는 다기능 소독기용 소독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3524A true KR20110133524A (ko) 2011-12-13

Family

ID=45501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0843A KR20110133524A (ko) 2011-08-26 2011-10-28 다기능 코 청소기와 여기에 적용되는 다기능 소독기용 소독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3352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74637B2 (ja) ガスミスト吸入器
KR100888445B1 (ko) 기능성 팔찌
JP2015532889A (ja) 洗浄装置
JP2012148021A (ja) ガスミスト吸入器
JP3163836U (ja) ガスミスト圧浴用ボックス
KR101333565B1 (ko) 사람이나 동물의 콧속 또는 항문 또는 여성의 성기 속을 청결하게 소독하여주는 다기능 소독기 및 여기에 적용되는 다기능 소독기용 소독액
KR20110118114A (ko) 사람이나 동물의 콧속 또는 항문 또는 여성의 성기 속을 청결하게 소독하여주는 다기능 소독기와 여기에 적용되는 다기능 소독기용 소독액
KR101064106B1 (ko) 목 젓 또는 콧속에 서식하는 세균과 이물질을 소독하여 주는 다기능 소독기
KR20110126573A (ko) 동물이나 사람의 콧속 또는 항문 또는 여성의 성기 속을 청결하게 소독하여주는 다기능 소독기와 여기에 적용되는 다기능 소독기용 소독액
US20110208130A1 (en) Universal disposable syringe for vaginal feminine hygiene upright position
KR20110133524A (ko) 다기능 코 청소기와 여기에 적용되는 다기능 소독기용 소독액
KR20120010217A (ko) 스포이드 용기를 이용한 다기능 코 청소기와 여기에 적용되는 다기능 소독기용 소독액
KR20110133521A (ko) 콧속을 청결하게 소독하여주는 다기능 코 청소기와 여기에 적용되는 다기능 소독기용 소독액
KR20110131144A (ko) 동물이나 사람의 콧속 또는 항문 또는 여성의 성기 속을 청결하게 소독하여주는 다기능 소독기와 여기에 적용되는 다기능 소독기용 소독액
KR20110131148A (ko) 목 젓을 소독하여 주거나 동물이나 사람의 콧속 또는 항문 또는 여성의 성기 속을 청결하게 소독하여주는 다기능 소독기와 여기에 적용되는 다기능 소독기용 소독액
KR20110128759A (ko) 동물이나 사람의 콧속 또는 항문 또는 여성의 성기 속을 청결하게 소독하여주는 다기능 소독기와 여기에 적용되는 다기능 소독기용 소독액
KR20110128760A (ko) 동물이나 사람의 콧속 또는 항문 또는 여성의 성기 속을 청결하게 소독하여주는 다기능 소독기와 여기에 적용되는 다기능 소독기용 소독액
KR20110118754A (ko) 사람이나 동물의 콧속 또는 항문 또는 여성의 성기 속을 청결하게 소독하여주는 다기능 소독기와 여기에 적용되는 다기능 소독기용 소독액
US20110208131A1 (en) Universal disposable syringe for vaginal feminine hygiene with hose
KR20110107780A (ko) 사람이나 동물의 콧속 또는 항문 또는 여성의 성기 속을 청결하게 소독하여주는 다기능 소독기와 여기에 적용되는 다기능 소독기용 소독액
KR101557730B1 (ko) 구강 세정장치
KR102199583B1 (ko) 목 속의 목젓에 서식하는 각종 세균들을 소독하여 주도록 구성되는 다기능 소독기
KR20110118112A (ko) 사람이나 동물의 콧속을 청결하게 소독하여주는 다기능 소독기
KR101955255B1 (ko) 사람이나 동물의 콧속 또는 항문 또는 여성의 성기 속 또는 목 속의 목젓에 서식하는 각종 세균들을 소독하여 주도록 구성되는 다기능 소독기
KR20110118111A (ko) 사람이나 동물의 콧속을 청결하게 소독하여주는 다기능 소독기